KR900006491Y1 - 아기 포복 연습구 - Google Patents

아기 포복 연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491Y1
KR900006491Y1 KR2019870001352U KR870001352U KR900006491Y1 KR 900006491 Y1 KR900006491 Y1 KR 900006491Y1 KR 2019870001352 U KR2019870001352 U KR 2019870001352U KR 870001352 U KR870001352 U KR 870001352U KR 900006491 Y1 KR900006491 Y1 KR 900006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ase plate
creeping
present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736U (ko
Inventor
최종수
Original Assignee
최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수 filed Critical 최종수
Priority to KR2019870001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491Y1/ko
Publication of KR880015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7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4Apparatus for helping babies to walk; Baby walkers or st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아기 포복 연습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 분리 사시도.
제2도 a, b는 본 고안의 상, 하면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 예시도.
본 고안은 아기의 포복(匍匐) 연습구로서 대판 하면에 자유 회전 로울러를 다수개 부착하고 대판 상면에 밴드를 설치하여 대판 상면에 아기를 엎드리게 하여 아기를 밴드로 묶어서 아기 발의 미는 힘에 의하여 대판이 이동됨으로서 아기의 기는(포복)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한 아기 포복 연습구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아기가 기기(포복) 시작할 때 연습구에 의하여 기는 연습을 시키므로서 단시일내에 기는 수단이 능숙될 뿐아니라 연습구가 사방으로 진행하므로 아기 혼자서도 잘놀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은, 4각 형상의 대판(1) 상면에 쿠션체(2)를 씌우고 대판(1) 양쪽에 X형 탄성밴드(3.3')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에는 집게체(4)를 연결하며 대판(1)을 보호 쿠션체(5)내에 공간부에 삽입하고 대판 하면에 공지의 자유회전로울러(6) 다수개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7 : 고무밴드. 8 : 고정편이다.
여기에서 쿠션체(2)는 스폰지나 솜등을 내장하여 아기가 엎드리면 가슴이 안락하도록 하였으며 보호쿠션체(5)는 스폰지를 내장하여 탄성작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별첨도와 같이 대판(1)은 대판 하면에 설치된 자유회전로울러(6)에 의해 마루나 방바닥면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보호 쿠션체(5)는 탄성고무밴드(7)에 의해 대판(1)에 꼭 끼워져서 쿠션체(5)는 대판(1)과 결합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아기 포복 연습구를 사용할 시에는 제3도와 같이 기기시작하는 아기를 대판(1)상면의 쿠션체(2)에 엎드리게 한후 아기를 신축되는 탄성밴드(3.3')의 집게(4.4')로 대판(1) 일측의 고정편(8)에 집어서 아기가 탄성밴드(3.3')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후 대판(1)을 마루나 방바닥에 방치해 두면 아기는 손발을 움직이므로 주로 발이 움직일때 발로 바닥면을 차게 되어 이때 대판(1)은 바닥면을 활주하게 된다.
이와같이 아기의 동작이 반복 계속되면 손발 운동 신경이 발달되므로 기어다니는 수단이 숙련되는 것이다. 한편 대판(1)의 활주에 의하여 아기 혼자서 잘 놀게 되므로 아기보는데 편안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대판(1) 양측에 보호쿠션체(5)가 돌출연장된 부분은 대판(1)의 활주에 의하여 벽체 등에 부딪칠때 아기 몸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쿠션체(2)와 보호쿠션체(5)는 대판(1)에서 착탈이 용이하므로 세탁하기가 쉽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아기 가슴부에 대판이 위치되게 하여 아기의 손발의 움직임 작용에 의하여 아기의 기는 연습을 할 수 있고 또 아기 자신이 잘 놀수 있도록 유아 양육에 실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1)

  1. 4각 형상의 대판(1) 상면에 쿠션체(2)를 씌우고 대판(1) 양측에 X형 탄성밴드(3.3')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에는 집게체(4)를 연결하며, 상기 대판(1)을 보호 쿠션체(5)내의 공간부에 삽입하고 대판 하면에 공지의 자유 회전로울러(6) 다수개를 설치하여서 된 아기 포복 연습구.
KR2019870001352U 1987-02-09 1987-02-09 아기 포복 연습구 KR900006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352U KR900006491Y1 (ko) 1987-02-09 1987-02-09 아기 포복 연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352U KR900006491Y1 (ko) 1987-02-09 1987-02-09 아기 포복 연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736U KR880015736U (ko) 1988-10-06
KR900006491Y1 true KR900006491Y1 (ko) 1990-07-26

Family

ID=1925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352U KR900006491Y1 (ko) 1987-02-09 1987-02-09 아기 포복 연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4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7124B2 (en) * 2020-11-11 2022-12-06 Chollana Sok Infant mobility scooter and associated method for soothing an infant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7124B2 (en) * 2020-11-11 2022-12-06 Chollana Sok Infant mobility scooter and associated method for soothing an infant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736U (ko) 198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15338A (en) Exercise device comprising portable handles
US4492376A (en) Lower extremity exerciser
US4468025A (en) Exercise bench
US3791646A (en) Exercising and teaching apparatus for limb training and for teaching swimming
NO831826L (no) Mosjonsapparat
US3606321A (en) Elastic type leg exercising device
SE8400994D0 (sv) Anordning for trening av en sengliggande persons ben- eller armmuskulatur
US4522392A (en) Spring type leg exercising device
US4468026A (en) Leg exercise apparatus with elevated stand and lower line grinding member
KR900006491Y1 (ko) 아기 포복 연습구
KR101946465B1 (ko) 하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복합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US3622154A (en) Baby exerciser
RU8940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ног
KR20110059026A (ko) 팔과 다리 운동기구
US4968025A (en) Portable gymnastic training apparatus
SE7811847L (sv) Elastisk matta for sport- eller gymnastikendamal
KR100354219B1 (ko) 운동기구용 충격흡수 매트
JPH069640Y2 (ja) 健康器具
JPS6232060Y2 (ko)
US4154233A (en) Human support apparatus
KR20130009912A (ko)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SU137886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нировки спортсменов
SU1653793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к батуту дл страховки спортсменов
KR840000336Y1 (ko) 윗몸 일으키기 운동구
KR930003047Y1 (ko) 다목적 종합 운동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