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426B1 - Air pressuriz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ir pressuriz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426B1
KR900006426B1 KR1019880013211A KR880013211A KR900006426B1 KR 900006426 B1 KR900006426 B1 KR 900006426B1 KR 1019880013211 A KR1019880013211 A KR 1019880013211A KR 880013211 A KR880013211 A KR 880013211A KR 900006426 B1 KR900006426 B1 KR 900006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oil separator
air
pressur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3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90011622A (en
Inventor
유우조 이찌시따
Original Assignee
니뽄 에어 브레이크 가부시끼가이샤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에어 브레이크 가부시끼가이샤,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니뽄 에어 브레이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6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4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Compresso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sure source includes an oil separator for removing oil in compressed air emitting from the compressor, a drier containing regenerable absorbent for removing humidty in compressed air from the oil separator, a storage tank for storing compressed air of the drier, a governor for feeding unload order to the air compressor when the pressure of compressed air storage tank reachs the first level and feeding load order when reaching the second level lower than the first level, a drain valve mounted between the oil separator and the compressor, a check valve mounted on a pathway for connecting the oil separator and the desiccant or compressor.

Description

압축 공기 압력원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오일 분리기의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oil separator in the above embodiment.

제3도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건조기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dryer in the embodimen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공기 압축 장치 2 : 오일 분리기1: air compression device 2: oil separator

6 : 건조기 3,9 : 관로6: dryer 3,9: pipeline

8 : 저장조 10 : 거버너 장치8: reservoir 10: governor device

32 : 드레인 밸브 67 : 흡착제32 drain valve 67 adsorbent

78 : 역지 밸브78: check valve

본 발명은 예를들어 차량등의 에어 브레이크용의 압축 공기 압력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r example, a 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for an air brake such as a vehicle.

이러한 종류의 압축 공기 압력원으로서는 종래 일본국 실개소 57-9320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여기에 나타나 있는 압축 공기 압력원은 공기 압축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공기중의 수분을 재생 가능한 흡착제를 통과시켜서 제거하는 건조기와, 건조된 압축 공기를 저장해두는 저장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건조기는 드레인 밸브를 구비하고 있으며, 저장조내의 압력을 감시하는 거버너 장치로부터 공기 압축 장치로 공급되는 언로드 지령(공기압 신호)을 도입하고, 이 지령에 의해 상기 드레인 밸브를 개방하여, 드레인을 배출함과 동시에 재생용 저장조내의 압축 공기를 역류시켜서 흡착제의 재생을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a 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of this kind, there is a conventional on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7-9320. The 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shown here is provided with the dryer which removes the moisture in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 emitted from an air compression apparatus through a regenerating adsorbent, and the storage tank which stores dried compressed air. This dryer is equipped with a drain valve, introduces an unload command (air pressure signal) supplied to the air compressor from the governor device for monitoring the pressure in the reservoir, and opens the drain valve to discharge the drain by this command. At the same time, the compressed air in the regeneration storage tank is flowed back to regenerate the adsorbent.

공기 압축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압축 공기는 수분 이외에 유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건조기에는 오일 필터를 내장시키고 있지만, 내장 오일 필터로서는 유분 제거 효율을 충분히 높이기가 어렵기 때문에, 보다 강력하게 유분의 제거를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별도로 오일 분리기를 설치하게 된다. ·Since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mpressor includes oil in addition to water, the dryer is equipped with an oil filter to remove this oil, but since the built-in oil filter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increase oil removal efficiency, If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oil strongly, an oil separator is installed separately. ·

그런데, 오일 분리기를 추가하는 경우, 오일 분리기내의 유분 흡착 부재(메쉬재나 펠트재)도 재생할 필요가 있으므로, 건조기와 오일 분리기의 양자에 상기 언로드 지령에 의해 작동하는 드레인 벨브를 설치하게되어,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고가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By the way, when adding an oil separator, since the oil adsorption member (mesh material or felt material) in an oil separator needs to be regenerated, the drain valve operated by the said unloading command is provided in both a dryer and an oil separator, It causes enlargement and becomes expensive.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건조기와 오일 분리기 양자의 드레인 배출과 재생 동작을 하나의 드레인 밸브의 개방 동작에 의해 가능한 압축 공기 압력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capable of performing drain discharge and regeneration operations of both a dryer and an oil separator by opening one drain valv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오일 분리기와 건조기의 흡착제 사이 및 상기 오일 분리기와 상기 공기 압축 장치 사이를 서로 연락하는 통로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통로에 소정의 압력차로 상기 흡착제 측으로부터의 공기 이동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를 설치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ssag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etween the oil separator and the adsorbent of the dryer and between the oil separator and the air compression device, and at the same time, the passage from the adsorbent side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difference. The check valve is installed to allow air movement.

본 발명에서는 오일 분리기의 드레인 밸브가 개방하여 그 오일 분리기내의 압력이 저하하면, 역지 밸브가 건조기내의 압력과 통로내의 압력과의 압력차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오일 분리기와 건조기의 내부를 대기와 언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ain valve of the oil separator is opened and the pressure in the oil separator is lowered, the check valve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in the dryer and the pressure in the passage. I'm sorry.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에 있어서, 1은 공기 압축 장치, 2는 오일 분리기이며, 공기 압축 장치(1)가 토출하는 압축 공기는 관로(3)를 통해 오일 분리기(2)의 입구에 도입된다. 오일 분리기(2)의 출구는 역지 밸브(4)를 갖는 관로(5)에 의해 건조기(6)의 입구에 연락되고, 이 건조기(6)의 출구는 역지 밸브(7)를 거쳐 저장조(8)에 연락되며, 또 건조기(6)의 배기측은 후술하는 역지 밸브와 관로(9)를 통해 관로(3)에 접속되어 있다. 10은 거버너 장치로써, 저장조(8)내의 압력이 상한 압력까지 상승하면 언로드 지령을. 그리고 하한 압력까지 저하하면 로드 지령을 공기 압축 장치(1)에 공급한다. 이 언로드 지령은 또 오일 분리기(2)의 조절 포트에 공급된다.In FIG. 1, 1 is an air compression device, 2 is an oil separator, and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by the air compression device 1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of the oil separator 2 through the conduit 3. The outlet of the oil separator 2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dryer 6 by a conduit 5 having a check valve 4, and the outlet of the dryer 6 is connected to the reservoir 8 via the check valve 7. The exhaust side of the dryer 6 is connected to the conduit 3 via a check valve and a conduit 9 described later. 10 is a governor device,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reservoir 8 rises to an upper limit pressure, an unload command is issued. When the pressure falls to the lower limit pressure, the rod command is supplied to the air compressor 1. This unload command is also supplied to the regulating port of the oil separator 2.

오일 분리기(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20)상에 재치 고정된 대경의 통형상 케이싱(21)과, 마찬가지로 기대(20)상에 재치 고정되어 상기 케이싱(21)내에 있으며 이 케이싱(21)과의 사이에 재생용 저장조(22)를 구획하는 통형상 본체(23)를 갖고 있다. 이 본체(23)는 공기 출구(24b)를 갖는 상부 덮개(24)로 덮혀지고, 바닥(25)에 복수의 구멍(25a)를 갖는 통형상체로써, 그 내부에 메쉬 부재(26a)와 펠트 부재(26b)를 다공판(40a,40b,40c,40d)을 거쳐 적충한 유분 흡착부(26)를 수납하고, 기대(20)의 상면에 직립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기대(20)는 주위면에 개구하며 관로(3)가 접속되는 입구(28)와, 저장조(22)에 연통하고 기대 주위면에 개구하여 관로(5)에 접속되는 출구(29)를 가짐과 동시에, 상면에 개구하는 종방향의 통로(30)를 갖고, 이 통로(30)는 바닥(25)의 복수의 구멍(25a)을 통과하며 본체(23)내에 연통하고 있다. 또, 이 통로(30)에 상기 입구(28)가 측방으로 부터 개구하고 있다. 기대(20)는 하면에 개구하는 오목부(31)를 갖고, 이 오목부(31)내에 드레인 밸브(32)를 갖고 있다. 이 드레인 밸브(32)는 오목부(31)의 상부 바닥과의 사이에 제어실(33)을 구획하는 피스톤(34)을 갖고, 이 피스톤(34)에 통로(30)와 배기구(37)의 연통을 개폐하는 밸브체(35)가 부착되어 있으며, 정상시에는 폐쇄되어 있지만, 제어실(33)에 상기 조절 포트를 통해 언로드 지령이 도입되면, 피스톤(34)이 복귀 스프링(36)에 저항하여 하강하므로서 개방되어, 통로(30)를 배기구(37)에 연통시킨다.The oil separator 2 has a large diameter cylindrical casing 21 mounted on the base 20 as shown in FIG. 2, and likewise mounted on the base 20 and in the casing 21. The cylindrical main body 23 which partitions the storage tank 22 for regeneration between this casing 21 is provided. The main body 23 is a tubular body covered with an upper lid 24 having an air outlet 24b and having a plurality of holes 25a in the bottom 25, the mesh member 26a and the felt member therein. The oil-absorbing portion 26, which is filled with the 26b through the porous plates 40a, 40b, 40c, and 40d, is accommodat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0 by bolts not shown in the upright direction. The base 20 has an inlet 28 which is open to the periphery and to which the conduit 3 is connected, and an outlet 29 which communicates with the reservoir 22 and is open to the base and is connected to the conduit 5. At the same time, it has a longitudinal passage 30 that opens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passage 30 communicates with the main body 23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5a of the bottom 25. In addition, the inlet 28 opens in the passage 30 from the side. The base 20 has a recess 31 opening in the lower surface, and has a drain valve 32 in the recess 31. This drain valve 32 has the piston 34 which partitions the control chamber 33 between the upper bottom of the recessed part 31, and the passageway 30 and the exhaust port 37 communicate with this piston 34. As shown in FIG. Although the valve body 35 which opens and closes is attached and is normally closed, when the unloading command is introduced into the control chamber 33 through the adjustment port, the piston 34 descends against the return spring 36. Therefore, it is open, and the passage 30 communicates with the exhaust port 37.

건조기(6)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개구하는 통형상 케이싱(60)의 이 개구를 폐쇄하는 기대(61)상에 케이싱(60)보다 소경의 본체(62)를 재치 고정하여 케이싱(60)과 본체(62)사이에 재생용 저장조(63)를 형성하고 있다. 본체(62)는 구멍이 있는 바닥(62A)을 가진 통체로써, 역지 밸브(64a)가 끼여 있고 교축구멍(64b)을 갖는 상부 덮개(65)로 덮혀 있으며, 내부에는 오일 필터(66)와 재생 가능한 흡착제(67), 이 횹착제(67)에 다공 격벽핀(68)을 거쳐 소정의 압압력을 가해주는 스프링(69)을 수납하고, 약간 소경으로 교축된 바닥부를 기대(61)에 형성된 오목부(70)에 끼워맞춰 직립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기대(61)는 주위면에 개구하여 오목부(70)의 바닥측에 연통하는 입구(71), 마찬가지로 주위면에 개구하여 저장조(63)에 연통하는 출구(72)를 가짐과 동시에 오목부(70)의 바닥에 아래로부터 개구하는 배기구멍(73)을 갖고, 이 배기구멍(73)의 대기측 개구에 나사부착되어 이 배기 구멍(73)내에 밸브실(74)을 구획하는 마개 부재(75)의 배기구(75a)에 관로(9)가 접속된다. 상기 밸브실(74)내에는 배기 구멍(73)의 오목부(70)측 개구 주위부에 걸쳐지는 밸브체(76)와 이 밸브체(76)에 아래로 부더 압압력을 가해주는 밸브 스프링(77)으로 이루어진 역지 밸브(78)가 수납되어 있다.The dryer 6 mounts and fixes the main body 62 of a smaller diameter than the casing 60 on the base 61 which closes this opening of the cylindrical casing 60 which a lower end opens, as shown in FIG. Thus, a regeneration storage tank 63 is formed between the casing 60 and the main body 62. The main body 62 is a cylinder having a bottom 62A having a hole, and is covered with a top cover 65 with a check valve 64a fitted and an throttle hole 64b, and an oil filter 66 therein. A regenerated adsorbent 67 and a spring 69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pressing force to the adhering agent 67 via the porous partition pin 68 are formed, and the bottom portion slightly throttled to a small diameter is formed on the base 61. It fits in the recessed part 70, and is provided in an upright direction. The base 61 has an inlet 71 that open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mmunicates with the bottom side of the recess 70, and similarly has an outlet 72 that opens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mmunicates with the reservoir 63. A plug member 75 having an exhaust hole 73 that opens from the bottom to the bottom of the 70, and is screwed into the atmospheric opening of the exhaust hole 73 to partition the valve chamber 74 in the exhaust hole 73. The conduit 9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75a of. In the valve chamber 74, a valve body 76 coveri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concave portion 70 of the exhaust hole 73 and a valve spring for applying a booster pressure downward to the valve body 76 ( A check valve 78 composed of 77 is housed.

이 구성에 있어서는, 공기 압축 장치(1)가 토출하는 압축 공기는 관로(3)를 통해 오일 분리기(2)의 입구(28)로 부터 통로(30)를 통해 본체(23)내로 들어간다. 이 압축 공기는 또 관로(9)를 경유하여 밸브실(74)로 들어가고, 밸브체(76)에 대해 안착 방향의 압압력을 부여한다. 본체(23)내에 유입한 압축 공기는 본체(23)내를 상승하고, 이 과정에서 유분 흡착부(26)에 의해 유분을 제거하여 저장조(22)내로 유출하며, 이 저장조(22)를 충만한 다음 출구(29)로부터 관로(5)로 흐르며, 역지 밸브(4)를 경유하여 건조기(6)의 입구(71)로부터 이 건조기(6)안으로 유입한다. 유입한 압축 공기는 오목부(70)로부터 본체(62)내로 들어가고, 오일 필터(66)에서 더욱 유분을 제거한 다음, 흡착제(67)의 층속을 상승하며, 이 상승 과정에서 수분이 제거되고, 역지 밸브(64a)를 경유하여 저장조(63)로 유출하여, 이 저장조(63)를 충만한뒤, 출구(72)로부터 역지 밸브(7)를 거쳐 저장조(8)로 유입한다. 건조기(6)안은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고압(Pb)으로 되고, 이 고압(Rb)이 역지 밸브(78)의 밸브체(76)에 작용하지만, 이 밸브체(76)에는 밸브 스프링(77)측으로부터 압축 공기의 압력(Pa)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개방된 채로 있게 된다. 또한, 밸브 스프링(77)의 스프링력은 Pa=Pb로 한 경우, 오목부(70)에 모인 드레인의 무게에 의해 밸브체(76)가 떨어지지 않을 정도의 작은 스프링력으로 충분하다.In this configuration,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by the air compression device 1 enters the main body 23 through the passage 30 from the inlet 28 of the oil separator 2 through the conduit 3. This compressed air also enters the valve chamber 74 via the conduit 9 and imparts pressure in the seating direction to the valve body 76. Compressed air flowing into the main body 23 rises in the main body 23, and in this process, the oil is removed by the oil adsorption unit 26 and flows out into the storage tank 22. It flows from the outlet 29 to the conduit 5 and flows into the dryer 6 from the inlet 71 of the dryer 6 via the check valve 4. The introduced compressed air enters the main body 62 from the recess 70, further removes oil from the oil filter 66, and then raises the laminar velocity of the adsorbent 67, in which the water is removed, and the check It flows out into the storage tank 63 via the valve 64a, and after filling this storage tank 63, it flows into the storage tank 8 from the outlet 72 via the check valve 7. The inside of the dryer 6 becomes the high pressure Pb by the compressed air which flowed in, and this high pressure Rb acts on the valve body 76 of the check valve 78, but the valve body 76 has a valve spring 77 Since the pressure Pa of the compressed air is acting from the) side, it remains open. When the spring force of the valve spring 77 is set to Pa = Pb, a small spring force such that the valve body 76 does not fall due to the weight of the drain collected in the recess 70 is sufficient.

저장조(8)내의 압력이 상승하여 거버너 장치(10)가 상기 언로드 지령을 발생하면, 공기 압축 장치(1)는 압축 공기의 토출을 정지하고, 오일 분리기(2)의 드레인 밸브(32)가 개방된다. 드레인 밸브(32)가 개방하면, 드레인이 배출됨과 동시에 저장조(22)의 압축 공기가 공기 출구(24b)를 통과해 본체(23)내로 역류하고, 유분 흡착 부재(27)에 부착되어 있는 유분을 제거하면서 흘러내려, 배기구(37)로부터 대기중으로 유출된다. 공기 압축 장치(1)가 압축 공기의 토출을 정지하고, 드레인 밸브(32)가 개방하면, 관로(3) 및 관로(9)내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저하하므로, 건조기(6)의 역지 밸브(78)의 밸브체(76)는 본체(62)측으로부터 고압(Pb)을 받고 있지만, 배기 구멍(73)측으로부터 받는 압력(Pa)이 대기압으로 저하하기 때문에, 양자의 차가 밸브 스프링(77)에서 설정한 소정압을 초과하면, 역지 밸브(78)가 개방한다. 역지 밸브(78)가 개방되면, 오목부(70)의 바닥에 모여 있던 드레인이 배출한 다음, 저장조(63)내의 압축 공기가 교축 구멍(64b)을 통해 본체(62)내로 유입하고, 흡착제(67)를 재생하면서 흘러내려 배기구(75a)로부터 관로(9)로 유출하며, 관로(3)를 통과해 오일 분리기(2)의 드레인 밸브(32)를 경유하여, 이 오일 분리기(2)의 배기구(37)로부터 대기중으로 유출하게 된다.When the pressure in the reservoir 8 rises and the governor device 10 generates the unload command, the air compressor 1 stops discharging compressed air, and the drain valve 32 of the oil separator 2 opens. do. When the drain valve 32 is opened, the drain is discharged and the compressed air of the storage tank 22 flows back through the air outlet 24b into the main body 23 so that the oil adhered to the oil adsorption member 27 is removed. It flows while removing, and flows out from the exhaust port 37 to the atmosphere. When the air compressor 1 stops discharging compressed air and the drain valve 32 opens, the pressure in the conduit 3 and conduit 9 drops to atmospheric pressure, so that the check valve 78 of the dryer 6 ), The valve body 76 receives the high pressure Pb from the main body 62 side, but the pressure Pa received from the exhaust hole 73 side drops to atmospheric pressure,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hen the set predetermined pressure is exceeded, the check valve 78 opens. When the check valve 78 is opened, the drain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recess 70 is discharged, and then the compressed air in the reservoir 63 flows into the main body 62 through the throttle hole 64b, and the adsorbent ( 67 flows down while regenerating, and flows out from the exhaust port 75a to the conduit 9, passes through the conduit 3, and passes through the drain valve 32 of the oil separator 2, thereby exhausting the exhaust port of the oil separator 2; From 37 it flows out into the atmosphere.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 압축 장치(1)가 토출하는 압축 공기를 오일 분리기(2)를 통과한 다음, 오일 필터(66)를 내장한 건조기(6)에 공급하므로서, 상기 압축 공기를 직접 건조기(6)에 인도하는 종래의 것에 비해 압축 공기중의 유분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by the air compressor 1 passes through the oil separator 2 and then is supplied to the dryer 6 having the oil filter 66 therein, whereby the compressed air is directly supplied to the dryer 6. The oil in the compressed air can be sufficiently rem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guided air).

게다가, 건조기(6)에는 언로드 지령을 받아 개방하는 드레인 밸브는 설치되어 있지만, 오일 분리기(2)의 드레인 밸브(32)가 개방하여 이 오일 분리기(2)내의 압력이 저하하면, 역지 밸브(78)가 본체(62)의 압력과 관로(9)의 압력차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유분 흡착부(26)의 청정과 흡착제(67)의 재생이 행해지므로, 재생 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없고, 저장조(8)에는 항상 유분과 수분이 충분히 제거된 압축 공기를 저장할 수가 있다.Moreover, although the drain valve which receives the unloading command and opens to the dryer 6 is provided, when the drain valve 32 of the oil separator 2 opens and the pressure in this oil separator 2 falls, the check valve 78 ) Is automatically opened due to the pressure of the main body 62 and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conduit 9 to clean the oil adsorption portion 26 and to regenerate the adsorbent 67, so there is no fear that the regeneration efficiency will decrease. The storage tank 8 can always store compressed air from which oil and moisture have been sufficiently removed.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기에는 드레인 밸브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오일 분리기를 단순히 추가하는 경우에 비해 가격을 싸게 할 수가 있으며, 장치 전체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ain valve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in the dryer,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cost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oil separator is simply added, and the whole apparatus can be miniaturized.

Claims (1)

공기의 압축 장치와, 이 공기 압축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공기중의 유분을 제거하는 오일 분리기와, 이 오일 분리기로부터의 압축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재생 가능한 흡착제를 수용한 건조기와, 이 건조기로부터의 압축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조와, 이 저장조내의 압력이 제1소정치에 도달하면 공기 압축 장치에 언로드 지령을 부여하고 제1소정치보다 낮은 제2소정치에 도달하면 로드 지령을 부여하는 거버니 장치와, 상기 오일 분리기와 공기 압축 장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거버너 장치의 언로드 지령에 따라 상기오일 분리기의 공기 압축 장치측을 외기에 연락하는 드레인 밸브를 갖는 압축 공기 압력원에 있어서, 상기오일 분리기와 상기 흡착제 사이 및 상기 오일 분리기와 상기 공기 압축 장치 사이를 서로 연락하는 통로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통로에 소정의 압력차로 상기 흡착제측으로부터의 공기 이동을 허용하는 역지 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 공기 압력원.A dryer containing an air compressor, an oil separator for removing oil in the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mpressor, a renewable adsorbent for removing moisture in the compressed air from the oil separator, and a dryer A storage tank for storing compressed air of the air, and when the pressure in the storage tank reaches a first predetermined value, an unloading command is given to the air compressor and a loading command is given when a second predetermined value lower than the first predetermined value is reached. A 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having a device and a drain valve installed between the oil separator and the air compression device and contacting the air compression device side of the oil separator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n unloading command of the governor device. At the same time as providing a passage for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between the adsorbent and between the oil separator and the air compressor , For the passage of 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a non-return valve allowing air movement from the drive-side adsorbent predetermined pressure.
KR1019880013211A 1988-01-26 1988-10-10 Air pressurizing apparatus KR9000064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620 1988-01-26
JP63-7620 1988-01-26
JP1988007620U JPH0647548Y2 (en) 1988-01-26 1988-01-26 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622A KR890011622A (en) 1989-08-21
KR900006426B1 true KR900006426B1 (en) 1990-08-31

Family

ID=3121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3211A KR900006426B1 (en) 1988-01-26 1988-10-10 Air pressuriz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47548Y2 (en)
KR (1) KR90000642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9496A1 (en) 2012-02-27 2013-09-06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 株式会社 Oil separator
CN104271949B (en) 2012-02-27 2016-08-24 纳薄特斯克汽车零部件有限公司 Separator
WO2013129497A1 (en) 2012-02-27 2013-09-06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 株式会社 Oil separator
EP2848296B1 (en) 2012-05-10 2019-07-03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Air dryer with oil separator
CN104641114B (en) * 2012-07-02 2017-05-17 纳薄特斯克汽车零部件有限公司 Oil separator
DE112014000994B4 (en) * 2013-02-26 2023-06-07 Nabtesco Automotive Corporation oil separator
JP6441392B2 (en) * 2017-02-15 2018-12-19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Oil separator, compressed air supply device, an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622A (en) 1989-08-21
JPH0647548Y2 (en) 1994-12-07
JPH01114025U (en) 198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3757B2 (en) Compressed air dryer
US4029486A (en) Pneumatic compactor for particulate desiccant
KR880009683A (en) 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system
KR900006426B1 (en) Air pressurizing apparatus
JPH0646496Y2 (en) Compressed air source device
JP2670856B2 (en) Compressed air dryer
JPH0639782Y2 (en) Compressed air pressure source device
JPS64991Y2 (en)
JPH0575448B2 (en)
JP6144154B2 (en) Compressed air dryer
JPH0640943B2 (en) Compressed air source device
KR900006425B1 (en) Pressurized air drying apparatus
JPS6025527A (en) Apparatus for drying compressed air
JPS6094116A (en) Compressed air dryer
JPS60104786A (en) Compressed air source with dryer
JP3093311B2 (en) Compressed air dryer
KR940000928Y1 (en) Drying apparatus by the compressed air
JPH067777Y2 (en) Air dryer equipment
JPH0771610B2 (en) Compressed air source device
JPS6327771Y2 (en)
JPS6078617A (en) Method for securing compressed air for use in regeneration in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JPH0545381Y2 (en)
JPH0236796B2 (en) KUATSUKIKYOEADORAIYASOCHI
JPS6344095Y2 (en)
JPH0268113A (en) Compressed air d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