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541B1 - Detergent composition and its preparation - Google Patents

Detergent composition and its preparation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541B1
KR900004541B1 KR1019860009104A KR860009194A KR900004541B1 KR 900004541 B1 KR900004541 B1 KR 900004541B1 KR 1019860009104 A KR1019860009104 A KR 1019860009104A KR 860009194 A KR860009194 A KR 860009194A KR 900004541 B1 KR900004541 B1 KR 900004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odium carbonate
crystal growth
sodiu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80005695A (en
Inventor
앨킨슨 콜린
존 하워드 헤이본 마이클
존 아일리 윌리암
코리 나이트 피터
존 러셀 피터
테일러 토마스
필립 죤즈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 브이
오노레 드 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 브이, 오노레 드 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 브이
Publication of KR880005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54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57(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 C11D3/3761(Co)polymerised carboxylic acids, -anhydrides, -esters in solid and liquid compositions in sol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세제조성물과 그 제조방법Detergent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세제조성물내의 액상성분의 운반체(carrier)로서 유용하며 슬러리를 건조시켜 만든 새로운 미세입자상 물질에 관한 것이며,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또한 그것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microparticulate material which is useful as a carrier of a liquid component in a detergent composition and is made by drying a slurr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현재 대부분의 유럽국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분무건조한 세제분말들은 비교적 많은 양의 트리폴리 인산나트륨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 물질은 매우 효과적인 세척력 빌더로서 그리고 분말내에 존재하는 유기 성분 특히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운반하기 위한 구조화제 또는 매트릭스 물질로서 동시에 작용한다. 적당한 조건하에서 트리폴리인산나트륨6수화물은 세제슬러리 가공중 결정화하여 작은 침상 결정체 입자가 되어서 이것은 분무건조시키면 대부분 10마이크론 이하의 세공이 산재하게 된다. 이러한 세공규격의 분포상태는 이동성 유기세제성분을 운반하기에 적합하다.Spray dried detergent powders currently sold in most European countries contain relatively large amounts of sodium tripolyphosphate, which is a very effective cleaning power builder and transports organic components, particularly anionic and nonionic surfactants, present in the powder. Acts simultaneously as structuring agent or matrix material. Under proper conditions, tripolyphosphate hexahydrate is crystallized during detergent slurry processing to form small acicular crystal grains, which are mostly spray-dried with less than 10 microns of pores. This pore size distribution is suitable for transporting mobile organic detergent components.

근년에 와서 인정된 것은 환경중의 인산염의 높은 함량이 내륙수의 부영양화를 초래하며, 인산염을 함유하는 세제는 이현상의 한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 결과 여러 가지의 인산염 저함유 또는 인산염 비함유 세척력빌더 시스템이 개발되어 트리폴리인산나트륨을 대치하게 되었다. 값싸고, 구입이 용이하고, 물연화 특성요건을 구비한 물질중의 하나는 탄산나트륨이며, 이물질은 예를들면 미국의 몇몇주에서와 같이 인산염을 세제에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완전금지령이 내려진 여러국가에서 널리 사용하게 되었다.It has been recognized in recent years that the high content of phosphate in the environment leads to eutrophication of inland water, and detergents containing phosphate are one cause of this phenomenon. As a result, various phosphate- or phosphate-free cleaning builders have been developed to replace sodium tripolyphosphate. One of the cheaper, easier to purchase, water-softening materials is sodium carbonate,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in some state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issued in many countries where complete bans have been issued to prevent the use of phosphates in detergents. Widely used.

구조화제 또는 매트릭스제로서 소다회의 상업용등급 수준의 탄산나트륨은 전현 만족스럽지가 못하다. 이상업용 무수물질은 통상의 세제슬러리 제조온도에서 물속에 슬러리화 시킬 때 최고 100-200마이크론의 큰규격의 결정형태의 탄산나트륨1수화물로 결정화한다. 그 결과, 분무건조하여 형성된 입자들은 직경 100마이크론 정도의 큰 세공이 산포한다. 이 입자들내의 다공성은 이동성 유기성분을 흡수하기에 충분할 것이나 실은 이 세공들이 너무커서 상기 성분들이 "누출되는" 경향이 있다. 이 세제분말을 카톤(carton)에 저장하였을 때 상기 현상으로 인하여 카톤이 더럽혀지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카톤벽은 탄산염 기재(base)내에 이동성 성분을 보유하고 있는 세공보다 더 작은 세공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성분이 기재에서 카톤으로 이동되는 일이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Soda ash commercial grade levels of sodium carbonate as structuring or matrixing agents are currently unsatisfactory. These commercial anhydrides crystallize into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in large crystalline form up to 100-200 microns when slurried in water at normal detergent slurry production temperatures. As a result, the particles formed by spray drying scatter large pores of about 100 microns in diameter. The porosity in these particles will be sufficient to absorb the mobile organic components but in reality these pores are so large that they tend to "leak". When this detergent powder is stored in a carton, the phenomenon tends to become dirty due to the above phenomenon, because the carton wall has smaller pores than pores having a mobile component in the carbonate base. This is because the movement of the component from the substrate to the carton may be caused by capillary action.

황산나트륨도 또한 세제조성물의 잘 알려진 성분이다.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만들때에는 두가지 염의 함유비가 허용하는 한도까지 무수 이중염인 부르케이트(2Na2SO4·Na2CO3)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 물질은 탄산나트륨1수화물과는 달리, 작은 결정체(약 10마이크론)들을 형성하나, 그러나 이 결정체들은 밀집한 응집체로서 모이게 된다. 부르케이트의 존재는 일반적으로 문제점으로서 인정되고 있는데, 대체로 그 이유는 밀집상태에 기인하는 매우 빈약한 다공성 때문이다.Sodium sulfate is also a well known component of detergent compositions. When making slurries containing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phate, anhydrous double salt burcate (2Na 2 SO 4 · Na 2 CO 3 ) can be formed to the extent that the content of the two salts is acceptable. Unlike the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this material forms small crystals (about 10 microns), but these crystals collect as dense aggregates. The presence of burcate is generally recognized as a problem, largely because of the very poor porosity due to dense conditions.

그러나 이제 슬러리 제조공정의 특정단계에서 적은 양의 폴리카복실레이트를 첨가함으로서 탄산나트륨1수화물과 부르케이트 양자는 슬러리내에서 더 바람직한 결정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 결과 얻은 수정된 결정형태는 이동성 유기성분의 흡수 및 보유에 효과적이다. 당해 물질의 경정화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폴리카복실레이트 결정성장수정제가 슬러리내에 첨가되어야 한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중요한 점이 있다. 즉 말하자면 상기 수정제는 당해 염보다 늦지 않게 첨가되어야 한다. 이 원리는 분무건조한 단순한 무기성기재, 완전한 세제분말, 또는 중간제품등을 형성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However, it has now been found that by adding a small amount of polycarboxylate at certain stages of the slurry manufacturing process, both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and burcate can be converted into the more preferred crystalline form in the slurry. The resulting modified crystalline form is effective for the absorption and retention of mobile organic components. It is of fundamental importance that the polycarboxylate crystal growth modifier must be added to the slurry before the material can be hardened. That is to say, the modifier should be added no later than the salt. This principle can be used to form spray dried simple inorganic bases, complete detergent powders, or intermediates.

본 발명에 의해 결정-성장-수정된 분무건조한 탄산나트륨1수화물 및 부르케이트는 트리폴리인산나트륨6수화물의 경우와 유사한 작은 결정체들을 함유하며, 또한 상기 물질들을 수은 다공도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하면 매우 작은 세공(3.5마이크론 이하)들이 광범위하게 산포되어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 분말들은 상당한 양의 액상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기타 유기 세제성분을 흡수하여 보유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결정체규격이 감소하고 결정체 밀집도가 약하게된 직접적인 결과로서, 결정성장수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다공도가 큰 입자를 만들기 때문이다. 이 수정된 결정구조는 광학현미경 또는 전자현미경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The spray-dried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and burcate crystal-grown-modified by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 small crystals similar to those of sodium tripolyphosphate hexahydrate, and the materials are also measured in very small pores when measured by mercury porosimetry. Submicron) is widely scattered. These powders can absorb and retain significant amounts of liquid nonionic surfactants and other organic detergent components, which is a direct result of reduced crystal size and weaker crystal density, without the use of crystal growth modifiers. This is because they make the particles more porous. This modified crystal structure can be confirmed as an optical microscope or an electron microscope.

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및 카복실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무건조한 분말의 제조방법은 공지이다. 예를 들면 유럽특허 제130,640A호(프록터 앤드 갬블)는 그 실시예 I에서 16.6%의 계면홀성제, 23.8%의 알루미노규산나트륨, 13.1%의 탄산나트륨, 비특정량의(약 40% 정도) 황산나트륨 및 1.5%의 폴리아크릴레이트등을 함유하는 분무건조한 세제분말에 관한여 설명한다. 유럽특허 제108,429A호(프록터 앤드 갬블)는 계면활성제, 파이로인산나트륨, 규산나트륨, 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분무건조한 분말에 대하여 발표하고 있다. 이 중합체들은 특정 종류의 때에 대하여 개선된 세척력을 발휘한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는 여러 가지 성분을 그 슬러리에 첨가하는 순서에 대한 언급이 없다. 반면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같이 당해염 또는 염들을 가하는 시각보다 늦지않게 중합체를 슬러리에 가해야 한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중요한 점이다.Methods for preparing spray dried powders containing sodium carbonate, sodium sulfate and carboxyl polymers are known. European Patent No. 130,640A (Procter & Gamble), for example, discloses in Example I 16.6% interfacial scavenger, 23.8% sodium aluminosilicate, 13.1% sodium carbonate, non-specific amounts (about 40%). The spray-drying detergent powder containing sodium sulfate, 1.5% polyacrylate, etc. is demonstrated. EP 108,429A (Procter & Gamble) discloses a spray dried powder containing a surfactant, sodium pyrophosphate, sodium silicate, sodium sulfate, sodium carbonate and polyacrylate. These polymers exhibit improved cleaning power for certain kinds of occasions. However, the document does not mention the order in which the various components are added to the slurry.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undamentally important that the polymer should be added to the slurry not later than the time when the salt or salts are added as described above.

유럽특허 제108,429A호(프록터 앤드 갬블)는 그 실시예 II에서 알킬벤젠 설포네이트(16.6%), 알킬 폴리에톡시 설페이트(7.1%), 파이로인산나트륨(58.8%) 탄산나트륨(6.3%), 규산나트륨(1.9%), 황산나트륨(1.9%), 분자량 50,000 내지 70,000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1.8%), 및 소량성분과 물등을 함유하는 분무건조한 세제조성물을 발표한다. 분자량 2,000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약 1%를 다른 성분들이 슬러리내에 첨가되기전 음이온 계면활성제 페이스트와 혼합시킨다. 이 제조과정이 매우 적은량의 결정성장수정돈 탄산나트륨1수화물 및 부르케이트를 형성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말할 수는 있으나, 그러나 그 양은 분말의 특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기에는 너무적다. 첫째 본 발명은 과립상 세제조성물 또는 그 성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된다.EP 108,429A (Procter & Gamble), in Example II, shows alkylbenzene sulfonate (16.6%), alkyl polyethoxy sulfate (7.1%), sodium pyrophosphate (58.8%) sodium carbonate (6.3%), A spray-dried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silicate (1.9%), sodium sulfate (1.9%), sodium polyacrylate (1.8%)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50,000 to 70,000, and a small amount of components and water is presented. About 1% of sodium polyacrylat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000 is mixed with the anionic surfactant paste before other ingredients are added into the slurry. It can be said that this manufacturing process results in the formation of very small amounts of crystallized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and burcate, but the amount is too small to have an effective effect on the properties of the powder. 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powder suitable for use as a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or a component there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steps.

(i)탄산나트륨을 함유하고 또한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중량비가 최소한 0.03:1되게끔, 그리고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의 총량이 건조분말 기준으로 최소한 10중량%가 되게끔 임의선택적으로 황산나트륨을 함유하고 ; 분자내에 최소한 3개의 카복실기를 가진 유기물질인 결정성장수정제의 유효량을 함유하고 ; 또한 임의선택적으로 1종 또는 그 이상의 음이온 및/또는 비이온 세제활성물질, 1종 또는 그 이상의 세척력 빌더, 및/또는 1종 또는 그 이상의 추가적인 열둔감성 세제성분을 함유하는 수성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결정성장수정제는 탄산나트륨보다 늦지않게 슬러리내에 첨가하며, 이에의해 결정성장수정된 탄산나트륨1수화물 및/또는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가 슬러리내에 형성되게 하는 슬러리제조단계, (ii) 상기 슬러리를 건조시켜 분말로 만드는 단계, (iii) 임의선택적으로 1종 또는 그 이상의 액상 세제성분을 건조된 분말에 첨가하며, 그리고/또는 건조된 분말의 1종 또는 그 이상의 고상세제성분과 혼합하는 단계.(i) contains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contains sodium sulfate such that the weight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is at least 0.03: 1 and the total amount of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is at least 10% by weight based on dry powder; Contains an effective amount of a crystal growth modifying agent which is an organic substance having at least three carboxyl groups in a molecule; And optionally, preparing an aqueous slurry containing one or more anionic and / or nonionic detergent actives, one or more cleaning power builders, and / or one or more additional thermosensitive detergent components. A crystal growth modifier is added to the slurry no later than sodium carbonate, whereby a slurry growth step of allowing crystal growth crystallized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and / or crystal growth crystallized burcate to be formed in the slurry, (ii) drying the slurry Powdering, (iii) optionally adding one or more liquid detergent ingredients to the dried powder, and / or mixing with one or more solid detergent ingredients of the dried powder.

본 명세서에서 "세제성분"이란 용어의 뜻은 세제조성물내에 존재하는 모든물질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 용어의 뜻은 반드시 계면활성을 암시하는 것이아니다.As used herein, the term "detergent component" refers to all substances present in the detergent composition. The term does not necessarily imply surfactant activity.

본 발명은 또한 과립상 세제조성물 또는 그 성분의 기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말을 제공하며, 이분말은 슬러리를 건조시켜 만들며, 그 구성으로서는 탄산나트륨이 근본적으로 함유되며, 임의선택으로 황산나트륨도 함유시킬 수 있는데 탄산염 대 황산염의 중량비는 최소한 0.03:1되게하며, 또한 부나내에 최소한 3개의 카복실기를 가진 유기물질인 결정성장수정제의 유효량을 함유하며, 분말의 특징으로서는 수은 다공도 측정법으로 측정할 때, 3.5마이크론 미만의 세공의 세공규격분포가 분말 1㎏당 최소한 300㎤,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350㎤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wder suitable for use as a substrate for a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or component thereof, which powder is made by drying the slurry, which essentially contains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may also contain sodium sulfate. The weight ratio of carbonate to sulphate is at least 0.03: 1, and it contains an effective amount of crystal growth modifier, which is an organic substance with at least three carboxyl groups in Bunna, and the powder is characterized by 3.5 micron, measured by mercury porosimetry. The pore size distribution of less than one pore is at least 300 cm 3, preferably at least 350 cm 3 per kg of powder.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슬러리를 건조시켜 분말을 형성하는 것과 근본적으로 관련된다. 선호되는 건조방법은 분무건조이나 오븐내건조, 드럼건조 또는 링건조등과 같은 다공성을 생성시키는 기타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편의 상 아래에 제시되는 설명들은 분무건조를 기준으로한 것이다.The process of the invention is fundamentally concerned with drying the slurry to form a powder. Preferred drying methods may also be used, such as spray drying, oven drying, drum drying or ring drying. However, for convenience, the descriptions given below are based on spray drying.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임의선택성 성분 및 채택된 추가적 제조단계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모든 제품은 결정성장수정된 탄산나트륨 및/또는 부르케이트의 분무건조한 무기 매트릭스를 공통으로 가지는데, 이것은 탄산나트륨 및(임의 선택적으로) 황산나트륨에서 유도해낸것이며, 이 두물질의 함량은 상기 단계(ii)에서 얻은 건조분말에 대하여 최소한 10중량%이나, 단계(iii)의 최종 제품에 대해서는 반드시 최소한 10중량%가 되야할 필요는 없다. 최종제품의 세공규격분포는 슬러리에 첨가했든 또는 사후첨가(postdosing)했든 함유된 기타물질에 좌우된다. 예를들면, 슬러리에 함유된 어떠한 성분도 분무건조에 의해 생성된 세공을 채우며, 사후첨가된 고체들은 그 자체의 다공도를 가져옴으로서 최종 세공규격분포를 변화시킨다.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yield a variety of products depending on the optional ingredients and additional manufacturing steps employed. All these products have in common a spray-dried inorganic matrix of crystal growth-modified sodium carbonate and / or burcate, which are derived from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sodium sulfate, the content of both being determined in step (ii). At least 10% by weight of the dry powders obtained in step 6, but not necessarily at least 10% by weight of the final product of step (iii). The pore size distribution of the final product depends on the other substances contained, whether added to the slurry or postdosed. For example, any component contained in the slurry fills the pores produced by spray drying, and the post-added solids bring their own porosity, thereby changing the final pore size distribution.

위에서 지적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다음 사실은 극도로 중요한 것이다. 즉 결정성장수정제는 충분히 이르게 슬러리내에 첨가되어 탄산나트륨1수화물 및/또는 부르케이트의 결정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한다. 만약에 황산나트륨이 함유되지 않아서 탄산나트륨1수화물이 문제가 된다면, 소다회를 가하는 시간보다 늦지않게, 바람직하게는 소다회를 가하기전에 수정제를 슬러리에 가해야 한다. 두가지 염(탄산염 및 황산염)이 함유된 경우에는 탄산나트륨을 가하는 것보다 늦지않게 바람직하게는 두가지 염을 가하는 것보다 늦지않게 결정성장수정제를 첨가해야 한다.As pointed out above, the following facts are extremely importa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crystal growth modifier should be added in the slurry sufficiently early to affect the crystal growth of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and / or burcate. If sodium sulphate monohydrate is a problem because no sodium sulfate is present, the modifier should preferably be added to the slurry no later than the time of adding soda ash, preferably before soda ash is added. If two salts (carbonates and sulfates) are contained, the crystal growth modifier should be added no later than the addition of sodium carbonate, preferably not later than the addition of the two salts.

뱃치(batch)식 슬러리 제조에 있어서, 첨가할 성분들을 적절한 순서로 배열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연속적 슬러리 제조과정에 있어서는 모든 성분들이 거의 동시에 첨가되나, 그러나 일단 개시기간(start-up period)이 지나면, 무기염들(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은 사실상 다소의 결정성장수정제를 함유하는 슬러리를 항상 당면하게 된다.In batch slurry preparation, it is not difficult to arrange the components to be added in the proper order. In the continuous slurry preparation, all the components are added almost simultaneously, but once the start-up period, the inorganic salts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always encounter a slurry that actually contains some crystal growth modifier. Done.

탄산나트륨과 황산나트륨이 슬러리에 함께 첨가될때에는 부르케이트만의 결정성장수정, 또는 부르케이트 및 탄산나트륨1수화물의 결정성장수정이 탄산염 대 황산염의 비에 좌우된다. 이비는 다공도의 충분한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미 지적한 바와같이 최소한 0.03:1이 되어야하며,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0.1:1, 더 유리하게는 최소한 0.37:1이 되어야 한다. 이 후자의 수치는 부르케이트 형성을 위한 화학량론적 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같이, 함유된 호아산나트륨의 가능한한 많은량이 부르케이트(수정된것)의 형태인 것이 선호된다. 과잉 탄산나트륨이 존재한다면 그 자체가 결정성장수정형태를 취하게 된다.When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phate are added together to the slurry, the crystal growth crystals of burcate alone or the crystal growth crystals of burcate and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depend on the ratio of carbonate to sulfate. This ratio should be at least 0.03: 1, as already noted, to achieve a sufficient level of porosity, preferably at least 0.1: 1 and more advantageously at least 0.37: 1. This latter figure represents the stoichiometric ratio for burcate formation. As such, it is preferred that as much of the sodium sodium phosphate as possible is in the form of burcate (modified). If excess sodium carbonate is present, it will itself take the form of crystal growth crystals.

두가지 염(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이 슬러리에 첨가되는 경우에 선호되는 그 첨가순서는 소다회를 가하기전에 황산염을 가하는 것이다. 이 순서에 의하여 부르케이트를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렇게 형성된 부르케이트는 고도의 유용한 다공도를 구비하는 것같다. 이 선호된 방법에 있어서, 결정성장수정제를 슬러리에 첨가하는 것은 두가지 염을 가하기전에 하거나, 또는 황산염을 가한후 소다회를 가하기전에 해야한다.When two salts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phate) are added to the slurry, the preferred order of addition is to add sulphate before adding soda ash. It has been found that by this order the burcate can be obtained in high yield, the burcate thus formed appears to have a high degree of useful porosity. In this preferred method, the addition of the crystal growth modifier to the slurry should be done before adding the two salts, or after adding the sulfate, before adding the soda ash.

슬러리를 건조시킨 직후에 무수물인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는 건조분말내에 변치않고 남는다. 결정성장수정된 탄산나트륨1수화물은 건조조건여하에따라 보통 건조후 결정수를 약간 잃는다. 그러나 이것은 다공도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더욱 유용한 특성의 다공도를 가져온다.Immediately after drying the slurry, anhydrous crystal growth-modified burcate remains unchanged in the dry powder. Crystalline growth-modified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usually loses some of its crystal water after drying, depending on drying conditions. However, this does not adversely affect porosity, but rather brings about porosity of more useful properties.

본 발명의 가장 단순한 제품은 근본적으로 물, 결정성장수정제, 탄산나트륨 및 임의 선택성 황산나트륨으로 구성된 수성 슬러리로부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단계(i) 및 (ii)만을 거쳐 생산된 무기성 기재물질이다. 이러한 제품은 위에서 발명의 정의를 표현한곳의 둘째절에서 정의되어 있다. 세제조성물내의 주된 운반체 물질로서 또는 한가지 특정성분의 운반체물질로서 유용한, 이 비교적 단순한 시스템은 원하는 세공규격분포를 달성시키기 위한 결정성장수정제의 선호되는 형태 및 그 적정수준을 확정하기 위한 모델로서 사용할 수 있다(세공규격분포는 공지의 수은 다공도 측정법으로 측정할 수 있음). 이와 동일한 수준에 있는 동일한 결정성장수정체는 본 발명의 더 복잡한 제품을 생산하기 우해 사용할 수 있는데, 더 복잡한 제품이란 계면활성제 및 세제조성물에 보통 함유되는 기타성분을 슬러리내에 첨가하였거나 또는 그후 과정에서 적절히 사후첨가하여 함유시킨 것을 가니킨다. 후속 실시예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수은 다공도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세공규격분포는 이이온 계면활성제와 같은 액상세제성분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용량과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나타난다.The simplest produ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organic base material produced essentially only through steps (i) and (ii) of the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aqueous slurry consisting of water, crystal growth modifying agent,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selective sodium sulfate. These products are defined in section 2 where the definition of the invention is expressed above. Useful as a major carrier material in detergent compositions or as a carrier material of one specific component, this relatively simple system can be used as a model to determine the preferred form of crystal growth modifier and its appropriate level to achieve the desired pore size distribution. The pore size distribution can be measured by known mercury porosimetry. These same crystal growth crystals at the same level can be used to produce more complex produ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 the addition of surfactants and other ingredients normally contained in detergent compositions into the slurry or appropriate post-mortem subsequent steps. Add and contain. As can be seen in subsequent examples, the pore size distribution determined by mercury porosimetry is shown to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the capacity to absorb and retain liquid detergent components such as ionic surfactants.

폴리카복실레이트 결정성장수정제는 순수한 구조용어로 일반적인 정의를 내릴 수 없다는 것과 수정제가 얼마나 많이 소요될 것인가를 예측하기도 또한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술한 단순 모델시스템은 분자내에 3개 또는 그 이사의 카복실기를 가진 유기물질로서 결정성장수정제를 기능적으로 한정할 수 있게하며, 상기유기물질은 탄산나트륨, 또는 최소한 0.03:1 중량비의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첨가한 슬러리내에 적절한 수준으로 첨가할 때 위에서 한정한 세공규격분포를 가진 분말을 건조후 얻을 수 있는 것을 가리킨다.We found that polycarboxylate crystal growth modifiers can't give a general definition in pure structural terms, and it's also difficult to predict how much a modifier will take. The simple model system described above enables the functional growth definition of a crystal growth modifier as an organic substance having three or more carboxyl groups in the molecule, the organic substance being sodium carbonate, or at least 0.03: 1 weight ratio of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It indicates that the powder having the pore size distribution defined above can be obtained after drying when added at an appropriate level in the slurry add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결정성장수정제는 폴리카복실레이트, 또는 단량체 폴리카복실레이트(예를들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및 구연산의 염들)를 사용할 수있으나, 그 사용량은 다소 높아서 예를 들면 탄산염 및 임의 선택성 황산염을 기준으로 5 내지 10중량%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복실레이트 결정성장수정제로는 중합체 폴리카복실레이트가 선호된다. 사용량은 탄산나트륨 및 임의선택성 황산나트륨의 총량에 입각하여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중량%가 일반적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더 많은량의 중합체, 예를들면 명시한 염들을 기준으로 하여 60중량%까지의 양을 본 발명의 조성물(상기한 모델시스템 이외의것)에 함유시킬 수 있는데 이는 빌딩, 구조화, 또는 재침전방지와 같이 결정성장수정 이외의 이유로 첨가되는 것이다.Crystal growth modifiers may use polycarboxylates or monomeric polycarboxylates (e.g., salts of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nitrilotriacetic acid and citric acid), but their usage is rather high, e.g. carbonates and optionally selective sulfates. 5 to 10% by weight on the basis. As the polycarboxylate crystal growth modifi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olymer polycarboxylate is preferred. The amount used is generally 0.1 to 20% by weight, preferably 0.2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amount of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 sodium sulfate. However, higher amounts of polymer, for example up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specified salts,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model system described above), which prevents building, structuring, or reprecipitation. As such, it is added for reasons other than crystal growth modification.

폴리카복실레이트 결정성장수정제는 최소한 1,000, 유리하게는 1,000, 내지 300,000, 특히 1,000 내지 250,000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3,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3,500 내지 70,000, 특히 10,000 내지 70,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카복실레이트 결정성장수정제를 사용하므로서, 특히 우수한 동적유속을 갖는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The polycarboxylate crystal growth modifier preferably has a molecular weight of at least 1,000, advantageously 1,000, to 300,000, in particular 1,000 to 250,000. By using polycarboxylate crystal growth modifiers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000 to 100,000, preferably 3,500 to 70,000, in particular 10,000 to 70,000, powders with particularly good dynamic flow rates can be prepared.

여기에 인용된 모든 분자량은 제조업자들에 의해 제공된 정보이다.All molecular weights cited herein ar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s.

선호되는 결정성장수정제들은 아크릴산 또는 말레산의 공중합체 및 단독중합체이다.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말레산공중합체, 및 아크릴포스피네이트등이다.Preferred crystal growth modifiers are copolymers and homopolymers of acrylic acid or maleic acid. Of particular interest are polyacrylates, acrylic / maleic acid copolymers, acrylic phosphinates and the like.

단독으로 또는 다른것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적당한 중합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Suitable polymers that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s include the following.

폴리아크릴산나트륨과 같은 폴리아크릴산의 염으로서, 예를 들면 평균분자량이 각각 3,500, 27,000 및 70,000인 얼라이드 콜로이드스회사의 버시콜(상표) E5,E7 및 E9; 평균 분자량이 각각 5,000 및 25,000인 내쇼날 에드헤시 브스 엔드 레진회사의 날렉스(상표) LD 30 및 34; 평균분자량이 각각 1,000, 2,000, 4,500 및 60,000인 로옴엔드 하아스회사의 아크리솔(상표) LMW-10, LMW-20, LMW-45 및 A-1N; 및 평균분자량이 250,000인 BASF회사의 소칼란(상표) PAS.As salts of polyacrylic acids, such as sodium polyacrylate, for example, Vericol® E5, E7 and E9 of Allied Colloids, Inc., having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3,500, 27,000 and 70,000, respectively; Narex® LD 30 and 34, available from National Edrecives End Resin Company, with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5,000 and 25,000, respectively; Acrisol® LMW-10, LMW-20, LMW-45 and A-1N from ROHM END HAAS, with average molecular weights of 1,000, 2,000, 4,500 and 60,000, respectively; And Socalan® PAS from BASF, with an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50,000.

에틸렌/말레산 공중합체로서 예를 들면 몬산토회사의 EMA(상표)계열. 메틸 비닐 에틸/말레산 공중합체로서 예를들면 GAF회사의 간트레즈(상표) AN 119.Ethylene / maleic acid copolymer, for example, EMA (trademark) series of Monsanto. Methyl vinyl ethyl / maleic acid copolymer, for example Gantrez® from GAF.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로서 예를 들면 GAF회사의 소칼란(상표) CP 5.Acrylic acid / maleic acid copolymers, for example Sokalan® CP 5.

아크릴포스피네이트로서 예를들면 유럽특허 제182,411A호(유니레버)에 발표된 대로 시바 가이기회사의 벨스베르제(상표)범위 또는 내쇼날 에드헤시브스엔드 레진스회사의 제품인 DKW범위.Acrylphosphinates, for example, the Belsberge (R) range of Ciba Geigy Corporation or the DKW range of the products of National EdHive's End Resin Company as published in European Patent No. 182,411A (Unilever).

본 발명의 조성물에 원하면 두가지 또는 그 이상의 결정 성장 수정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wo or more crystal growth modifiers may be mixed and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sired.

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탄산나트륨 및 본 발명의 운반체 물질은 아무형이든 관계없다. 합성 경소다회가 특히 바람직한 거으로 판명되었으며, 천연 종소다회는 중간정도이며, 한편 합성 과립상 소다회는 가장 덜 바람직한 물질로 판명되었다. 모든 등급의 황산나트륨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데, 단 이들은 황산 칼슘과 기타염으로 심하게 오염되 있어서는 아니된다.Sodium carbonate and the carrie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the present production method may be in any form. Synthetic light soda ash was found to be particularly preferred, while natural soda ash was moderate, while synthetic granular soda ash was found to be the least desirable substance. All grades of sodium sulfate are suitable for use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they are not heavily contaminated with calcium sulfate and other salts.

본 발명에 의한 분무 건조한 결정성장수정된 탄산나트륨 1수화물 및 부르케이트는 세제분말의 훌륭한 기재가 된다. 이들은 우수한 유동특성과(특히 부르케이트의 경우에 있어서) 케이킹 저항성(anti-caking)을 발휘한다. 따라서 이 물질들은 모든 성분이 슬러리내에 첨가되어 만들어지는 세제분말의 기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유리하다. 그러나 이들의 특수한 장점은 많은양의 액상성분을 흡수하여 보유하는 용량에 있는 것이며, 따라서 액상으로 사후 첨가한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사후 첨가성분은 제조온도에서 본질적으로 액체일 수도 있고, 만일 액체가 아니라면 우선 녹이거나 용매에 용해시켜 액체로 만든다. 이러한 성분의 예로는 향료, 염료, 오일, 표백전구물질, 과산 및 수성액체등이 있으며, 그러나 본 발명에서 특히 관심삼고 있는 것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관련해서이다.The spray dried crystal growth modified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and burc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xcellent substrates for detergent powders. They have good flow properties (especially in the case of burcate) and anti-caking. These materials are therefore very advantageous for use as a base for detergent powders, in which all ingredients are added into the slurry. However, their particular advantage lies in the capacity to absorb and retain large amounts of liquid components, and therefore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use in compositions containing components added afterwards in the liquid phase. The post additive may be essentially liquid at the preparation temperature, and if not liquid, first melt or dissolve in solvent to make it liquid. Examples of such ingredients are perfumes, dyes, oils, bleach precursors, peracids and aqueous liquids, but are of particular interest with respect to nonionic surfactants.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조과정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일차 및 이차 알콜에콕실레이트, 특히 평균 알콜 1몰당 3내지 20몰의 산화에틸렌으로서 에톡실화한 C12-C15의 일차 및 이차 알콜이 있다. 본 발명의 운반체 물질의 용도는 에톡실화도 10EO또는 그 이하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대하여 특히 유용하며,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실내온도에서 보통 액상이며, 또한 흔히 분무건조시킬 수 없는데 그 이유는 탑 증발물("푸른연기" 또는 "플루밍")이 과도한 수준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Nonionic surfactants which may preferably be used in the compositions and proces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rimary and secondary alcoholic oxylates, especially primary ethoxylated C 12 -C 15 as 3 to 20 moles of ethylene oxide per mole of average alcohol. And secondary alcohols. The use of the carrie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useful for nonionic surfactants having an ethoxylation degree of 10 EO or less, which nonionic surfactants are usually liquid at room temperature and often cannot be spray dried for reasons of tower evaporation. This is because water ("blue smoke" or "fluming") occurs at excessive levels.

본 발명의 결정성장 수정된 탄산나트륨 및 부르케이트는 액상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세제분말에 첨가하기에 매우 적합한 경로를 제공한다. 첫째로 분무 건조한 기재를 만들며(본 발명의 제조단계(i) 및 (ii)), 곧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살포한다(본 발명의 제조단계(iii)).The crystal growth modified sodium carbonate and burc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very suitable route for adding liquid nonionic surfactants to detergent powders. First, a spray dried substrate is made (preparation steps (i) and (ii)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n sprayed with a nonionic surfactant (preparation step (iii)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개념은 세제조성물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조단계(ii)에서 만든 분무건조한 분말은 본 조성물의 주된 기재이거나 또는 운반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품에 함유될 음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빌더와 같은 기타의 열둔감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타의 고체성분과 혼합하는 것은 임의 선택적이며, 예를들면 표백성분이나 효소를 함유하지 않은 분말에 있어서는 거의 생략할 수 있다.This concept can be used in many ways in detergent compositions. The spray dried powder made in preparation step (ii) may be the main substrate or carrier of the composition, and may contain other thermosensitive components such as, for example, anionic surfactants or builders to be contained in the product. In this case, mixing with other solid components is optional and can be omitted, for example, in powders that do not contain bleach components or enzymes.

반면에, 제조단계(ii)의 분무건조한 분말은 특히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운반하도록 의도된 무기성 운반체일 수 있으며, 또한 단지 최종제품내의 소량성분일 수도 있다. 제조단계(iii)에서, 그것은 곧 주제품과 혼합되는데, 이 주제품은 별도의 과정에서 자체분무건조한 것일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ray dried powder of preparation step (ii) may be an inorganic carrier, especially intended to carry nonionic surfactants, and may also be only minor components in the final product. In manufacturing step (iii), it is soon mixed with the main product, which may be self-spraying in a separate process.

또한 상기 두가지의 극단적 상태사이의 여러 가지중간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운반할 액상의 또는 액화가 능한 성분이 향료 또는 기타 적절한 세제성분인 경우에도 상기 사실은 해당된다.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several intermediate states between the two extreme states. This is true even if the liquid or liquefiable component to be transported is a perfume or other suitable detergent component.

이 모든 제품에 있어서, 탄산나트륨 및 임의선택성 황산나트륨의 총함량은 건조분말에 대하여 최소한 10중량% 되어야 하나,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최종제품내의 이 염들의 총 함량은 광범위한 한계내에서 변화 시킬 수 있다. 수정된 염이 조성물내의 주된 운반체인 제품에 있어서, 상기 염들의 함량수준은 최소한 15중량%, 바람직하게 최소한 20중량%이나, 결정성장수정된 물질이 소량성분의 운반체로서만 사용된 경우에 있어서는 더 낮은 함량수준이 가능하다.In all these products, the total content of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 sodium sulfate should be at least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dry powder, but the total content of these salts in the final produ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vary within wide limits. In products wherein the modified salt is the main carrier in the composition, the content level of the salt is at least 15% by weight, preferably at least 20% by weight, but more when the crystal growth modified material is used only as a minor component carrier. Low content levels are possible.

이와같은 제품내의 결정성장수정용 중합체의 함량은 실지 결정성장수정에 사용되는 수준보다 높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중합체가 분말내에서 구조화작용과 같은 기타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이다. 최종제품기준으로 낮은 수준의 당해염(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에 상기 사실은 특히 가능하다.The content of the polymer for crystal growth modification in such a product may be higher than the level used for crystal growth crystallization because the polymer also performs other functions such as structuring in the powder. This is particularly true for compositions containing low levels of the corresponding salts (sodium carbonate, sodium sulfate) on a final product basis.

본 발명에 의한 세제조성물은 종래에 통상 사용하던 성분들중 어떤 성분이든 함유할 수 있으며, 특히 비누성 또는 합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이미 위에서 설명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세척력빌더, 규산의 알카리금속염, 재침착방지제, 피막방지제, 형광제, 효소, 표백제, 표백전구물질, 표백안정화제, 향료 및 염료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 성분들은 분무건조과정을 거치는 공지된 적합성에 따라 수성슬러리에 첨가하거나((i) 단계), 또는 분무건조한 분말에 사후 첨가할 수 있다((iii) 단계).The detergent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ny of conventionally used components, in particular soap-based or synthetic anionic surfactants, nonionic surfactants already described above, cleaning power builders, alkali metal salts of silicic acid, ash Deposition inhibitors, anti-film agents, fluorescent agents, enzymes, bleaching agents, bleaching precursors, bleach stabilizers, fragrances, dyes and the like. These ingredients may be added to the aqueous slurry (step (i)) or post-added to the spray dried powder (step (iii)) according to known suitability through the spray drying process.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세제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잘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예를들면 알킬벤젠설포네이트, 특히 C12의 평균체인 길이를 가진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이 있으며, 일차 및 이차 알콜황산염, 특히 C12-C15일차알콜 황산나트륨이 있으며 올레핀 설포네이트, 알칸설포네이트 및 지방산 에스텔 설포네이트 등이 있다.Anionic surfactants are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detergent field. Examples of this are alkylbenzenesulfonates, especially sodium alkylbenzenesulfonates having an average chain length of C 12 , primary and secondary alcohol sulfates, especially C 12 -C 15 primary alcohol sodium sulfate, olefin sulfonates, alkanesulfos And fatty acid ester sulfonates.

또한 1종 또는 그 이상의 지방산 비누를 함유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사용가능한 비누로는 천연지방산, 예를들면 야자유, 쇠고기탤로우 또는 해바라기씨 기름등의 지방산에서 유도해낸 나트륨 비누가 선호된다.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비누성이든 비비누성이든 사후 첨가되기보다는 (i)단계에서 슬러리내로 보통 첨가된다.It is also preferable to contain one or more fatty acid soaps. Preferred soaps are sodium soaps derived from fatty acids such as fatty acids such as palm oil, beef tallow or sunflower seed oil. Anionic surfactants are usually added into the slurry in step (i) rather than post- addition, whether soapy or soapy.

본 세제조성물내에 함유된 탄산나트륨은 세척력 빌더로서 작용하나, 그러나 기타 빌더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인산염 빌더들, 특히 트리폴리인산, 오르토인산 및 파이로인산등의 알카리금속염을 함유시킬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무린(Zero-p)조성물에 특히 적용된다. 첨가가 가능한 무린 빌더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으나 다음의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결정성 및 비결정성 알루미노규산염, 비누, 설폰화된 지방산염, 구연산염,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염, 및 카복시메틸옥시숙신산염등이 그것이다. 그러한 기타 빌더들의 함량이 탄산나트륨 함량을 초과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든다. 탄산나트륨의 빌더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방해석을 종정(種晶)으로서 함유시킬 수 있다.Sodium carbonate contained in this detergent composition acts as a detergency builder, but it may be advantageous to add additional builders. Although phosphate builders may contain alkali metal salts such as tripolyphosphoric acid, orthophosphoric acid and pyrophosphoric acid, but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applicable to Zero-p compositions. The following builders can be added,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Crystalline and amorphous aluminosilicates, soaps, sulfonated fatty acid salts, citrates, nitrilotriacetates, and carboxymethyloxysuccinates.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content of such other builders exceeds the sodium carbonate content. In order to increase the builder effect of sodium carbonate, calcite may be contained as a seed.

위의 설명은 주로 직물세탁에 적합한 세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예를들면 다음과 같은 분야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세탁전 처리제품, 가정용 청정제 및 신체용 청정제(화장품류), 살충제, 의약품, 농업용 제품 및 공업용 제품등의 분야이다. 이 분야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이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모든 용도 분야에 있어서, 이 제품은 액상 도는 액화가능한 물질을 흡수하고 있는 무기성인 운반체 물질(수정된 탄산나트륨 및/또는 부르케이트)로 단순히 구성되거나, 또는 다른 물질들은 슬러리에 첨가하는 방법 또는 사후 첨가하는 방법 또는 양방법으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인 분무건조한 무기성인 운반체 물질은 본 제품의 주된 구성부 또는 소량구성부를 형성한다.The above description mainly relates to detergent compositions suitable for fabric washing.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fields. That is, the fields such as pre-washing products, household detergents and body detergents (cosmetics), insecticides, pharmaceuticals, agricultural products and industrial produc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applications. For all applications, this product is simply composed of an inorganic carrier material (modified sodium carbonate and / or burcate) that is absorbing liquid or liquefiable material, or other materials are added to the slurry or post-added It can be added by the method or both methods. The spray dried inorganic carrier material,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main component or minor component of the product.

위에서 설명한 것은 오로지 분무건조한 분말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또한 다른 방법에 의하여 건조시킨 제품에도 적용된다. 즉 예를들면, 공기건조, 오븐건조, 드럼건조, 링건조, 냉동건조, 용매건조 또는 고주파 건조등의 방법에 의하여 다공성을 형성시키는 것에도 적용된다.The above description relates only to spray dried powders, but as mentioned above the invention also applies to products dried by other methods. That is, for example, it is also applied to forming the porous by a method such as air drying, oven drying, drum drying, ring drying, freeze drying, solvent drying or high frequency drying.

위에서 지적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기성 운반체 물질에 대한 매우 선호되는 용도분야는 직물세탁용 세제분말의 경우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이 선호되는 유는 2가지으 세분류로 나누어진다. 즉 그중 하나는 본 발명의 무기성 운반체물질이 주된 기재를 이루거나 매트릭스 물질을 형성하며, 그 첨가량도 상당한수준인 분말이며, 다른 하나는 무기성 운반체 물질이 부가물로 사용되어, 말하자면 액상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같은 특정 성분에 대한 운반체 물질로서 사용되고 이 부가물은 다른형의 기재분말에 사후 첨가하게 되는 분말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무기성 운반체 물질의 첨가량은 비교적 낮은 수준이다.As indicated above, a very preferred field of application for the inorganic carrie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case of detergent powders for textile washing. This preferred oil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divided into two subclasses. That is, one of them is a powder in which the inorganic carrie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main substrate or forms a matrix material, and the amount of addition is also considerable, and the other is an inorganic carrier material is used as an additive, that is, a liquid non-ion. It is used as a carrier material for certain components, such as surfactants, and this adduct is a powder that is subsequently added to other types of substrate powder. In this case, the amount of the inorganic carrie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low.

본 발명의 무기성 운반체 물질을 분말의 주된 기재 또는 매트릭스로서 사용하는 세제조성물의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Examples of detergent compositions using the inorganic carrie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main substrate or matrix of powder are as follows.

(i) 탄산염으로 빌드한 무린 분말(i) Murine powder built with carbonate

이 물질은 대표적인 경우 주된 성분을 다음 양만큼 함유한다.This material typically contains the main component in the following amounts.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1

세탁기용의 저발포성 제품으로 의도된 세제분말은 대표적인 경우 5 내지 30중량%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만을 함유한다. 상부 적재식 세탁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간 발포성 제품은 대표적인 경우 2성분 계면활성제 시스템(음이온/비이온)을 5 내지 40중량%의 수준으로 함유한다. 손빨래용으로 만든 제품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만을 비교적 높은 수준(10 내지 40%)으로 함유한다.Detergent powders intended for low foaming products for washing machines typically contain only 5 to 30% by weight of nonionic surfactants. Intermediate foam products suitable for use in top-loaded washing machines typically contain a two component surfactant system (anionic / nonionic) at levels of 5 to 40% by weight. Products made for hand washing contain only anionic surfactants at relatively high levels (10-40%).

(ii) 인을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고 알루미노규산염으로 빌드된 분말(ii) powder built with aluminosilicate with little or no phosphorus

이것은 대표적인 경우 주된성분을 다음의 양으로 함유한다.It typically contains the main ingredients in the following amounts.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2

본 발명에 의한 무기성 운반체 물질을 입자구조화제로서 함유하며 알루미노 규산염으로 빌드된 무린분말은 주성분들을 다음의 양으로 함유한다.The murine powder containing the inorganic carrier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particle structuring agent and made of aluminosilicate contains the main components in the following amounts.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3

본 발명의 무기성 운반체물질을 부가물로 사용하는 세제조성물의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Examples of the detergent composition using the inorganic carrier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dditive are as follows.

(iii) 인산염으로 빌드한 분말(iii) powder built with phosphate

이것은 대표적인 경우 주성분을 다음의 양으로 함유한다.It typically contains the main component in the following amounts.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4

여기서 결정성장 수정된 탄산나트륨 1수화물 또는 부르케이트는 대표적인 경우 비이온계면활성제의 운반체로서 사용될 거이다. 부가물은 액상의 또는 액화가능한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본 발명에 따라 분무건조한 운반체 물질에 살포시켜 만들며, 이 부가물은 곧 음이온계면활성제, 혹 비이온계면활성제, 인산염빌더, 규산나트륨 및 기타 열 민감성 성분으로 구성된 별도로 분무건조시켜 만든 기재분말에 사후첨가한다. 예를들면 이 부가물은 5 내지 40중량%의 비이온계면활성제 및 60 내지 95중량%의 결정성장수정된 무기염을 함유한다. 이 부가물은 예를 들면 최종제품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를 점유한다.Crystalline modified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or burcate will be used here as a carrier of nonionic surfactants in typical cases. The adduct is made by spraying a liquid or liquefiable nonionic surfactant onto the spray-dried carrier material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is an anionic surfactant, or a nonionic surfactant, a phosphate builder, sodium silicate and other heat sensitive materials. It is post-added to the substrate powder made by spray drying separately. For example, this adduct contains 5-40% by weight of nonionic surfactant and 60-95% by weight of crystal growth-modified inorganic salts. This adduct comprises, for example, 5 to 20% by weight of the final product.

이 경우에 있어서, 부가물 운반체는 소량의 기타 열둔감성 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들면 규산나트륨은 운반체 물질의 파쇄도를 감소시키며 취급을 용이하게한다. 소량의 음이온계면활성제는 분말의 다공도를 증가시키며, 슬러리 안정도를 증가시킨다. 소량의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슬러리의 펌핑 용이성과 분무용이성을 개선시킨다.In this case, it is advantageous for the adduct carrier to contain small amounts of other heat sensitive components. Sodium silicate, for example, reduces the degree of crushing of the carrier material and facilitates handling. Small amounts of anionic surfactants increase the porosity of the powder and increase the slurry stability. Small amounts of nonionic surfactants improve the ease of pumping and spraying of the slurry.

물론 본 발명의 부가물 운반체는 비이온계면활성제 이외의 액상 성분을 조성물내로 도입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The adduct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f course be used to introduce liquid components other than nonionic surfactants into the composition.

(iv) 인이 거의 또는 전혀 함유되지 않고 알루미노 규산염으로 빌드한 분말(iv) powders containing little or no phosphorus and built with aluminosilicates

이 분말은 대표적인 경우 주성분들을 다음의 양으로 함유한다.This powder typically contains the main ingredients in the following amounts.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5

부가물에 대하여 위의(iii)에서 설명한 것은 알루미노규산염으로 빌드한 분말에도 적용된다.What is described in (iii) above for the adduct also applies to powders built with aluminosilicates.

이하 본 발명은 비제한성 실시예에 의해 설명될 것인데, 부 및 퍼센트는 중량부 및 중량%을 뜻한다.The invention will now be illustrated by the non-limiting examples, where parts and percentages refer to parts by weight and weight percent.

[실시예 1]Example 1

첫 번 슬러리는 소다회(50중량%)와 분자량 25,000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수용액(50중량%)을 혼합하여 만들었다. (상기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은 내쇼날 에드헤시브스 앤드 레진스회의 제품인 날렉스 LD 34임)(탄산나트륨 기준으로볼 때 1.5중량%의중합체).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은 둘째번 슬러리(대조시험용)를 또한 만들었으며, 이 슬러리들을 분무건조하여 분말화시켰다.The first slurry was made by mixing soda ash (50% by weight) and aqueous sodium polyacrylate (50% by weight) with a molecular weight of 25,000. (The sodium polyacrylate is Alexex LD 34, a product of National Edwards & Resin Society.) (1.5 wt.% Polymer on a sodium carbonate basis). A second slurry (control test) without polymer was also made and these slurries were powdered by spray drying.

각 분말의 세공규격분포는 콴타크롬 코퍼레이션의 스케닝 포로시미터(Scanning Porosimeter)모델 SP100을 사용하여 수은 다공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참조 : "Powder Surface Area and Porosity"by S Lowell and J E Shields, Second edition, Chapmann and Hall, New york, 1984, pages 84-120). 액상의 비이온계면활성제[ICI회사의 제품인 신페로닉(상표)A7(C12-C15의 일차알콜 혼합물로서 평균에톡실화도는 7임)]를 흡수하고 보유하는 각 분말의 용량은 또한 다음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즉 염료로 착색한 기지양의 액상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기지양의 분말샘플과 연속적으로 혼합시켰다. 매첨가작업후에 분말샘플을 일정 중량으로 일정 시간동안 여과지들 사이에서 압축시켰다. 여과지들이 착새되었는가 검사하였다. 상기 과정은 여과지들이 착색된 것이 관찰될때까지 계속하였다.The pore size distribution of each powder was measured by mercury porosimetry using a Quantachrome Corporation Scanning Porosimeter model SP100. (See: "Powder Surface Area and Porosity" by S Lowell and JE Shields, Second edition, Chapmann and Hall, New york, 1984, pages 84-120). The capacity of each powder to absorb and retain a liquid nonionic surfactant (Synferonic® A7 (primary alcohol mixture of C 12 -C 15 as average ethoxylation of 7) manufactured by ICI Corporation) It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at is, a known amount of non-ionic surfactant colored with dye was continuously mixed with a known amount of powder sample. After the addition, the powder sample was compressed at a constant weight between the filter papers for a certain time. The filter papers were examined for implantation. The process continued until filter papers were observed to be colored.

이 두가지 시험방법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The results of these two test methods were as follows.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6

이 결과치들은 탄산나트륨 1수화물의 결정성장을 수정하는 것이 이롭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These results clearly show that it is beneficial to modify the crystal growth of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실시예 2 내지 5][Examples 2 to 5]

탄산나트륨(12.5중량%), 황산나트륨(34중량%), 및 물(53.5중량%)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만들고, 이것을 분무건조시켜 26.6%의 탄산나트륨, 71.4%의 황산나트륨, 및 2.0%의 수분을 함유하는 분말로 만들었다. 탄산염 대 황산염의 비는 0.37:1이었다. 분자량 3,500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얼라이드 콜로이즈회사의 버시콜 E5)을 후속표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여러 가지 함량수준으로, 그리고 슬러리 제조공정의 여러단계에서 첨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각 분말의 세공규격분포는 수은 다공도측정법에의하여 측정하였으며, 액상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흡수하고 보유하는 용량은 적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A slurry containing sodium carbonate (12.5% by weight), sodium sulfate (34% by weight), and water (53.5% by weight) was made and spray dried to contain 26.6% sodium carbonate, 71.4% sodium sulfate, and 2.0% water. Made into powder. The ratio of carbonate to sulfate was 0.37: 1. Sodium polyacrylate (versicol E5 from Allied Colloids) with a molecular weight of 3,500 was added at various levels of content as indicated in the following table and at various stages of the slurry manufacturing process. As in Example 1, the pore size distribution of each powder was measured by mercury porosimetry, and the capacity to absorb and retain the liquid nonionic surfactant was measured by titration.

비교실시예 B는 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대조시험이며, 비교실시예 C는 염들 다음에 슬러리에 추가한 중합체0.3%를 함유하는 대조시험이다.Comparative Example B is a control test containing no polymer and Comparative Example C is a control test containing 0.3% of the polymer added to the slurry after salts.

이 순서로 첨가하였을때는 유용한 다공도에는 매우 적은 개선효과가 달성되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염들의 첨가이전에 같은 함량수준으로 중합체를 슬러리에 첨가하였을때(실시예 2), 중합체 비함유 비교 실시예 B에 비하여 거의 두배의 비이온계면활성제 보유용량을 나타내었다. 중합체의 함량수준을 더 높였을때(1.0% : 실시예 4) 더 많은 개선효과를 가져왔다.When added in this order, it can be seen that very little improvement was achieved in the useful poros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ymer was added to the slurry at the same content level prior to addition of the salts (Example 2), the non-ionic surfactant retention capacity was almost doubled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B without the polymer. Increasing the polymer content level (1.0%: Example 4) resulted in more improvement.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7

실시예 2의 분무건조한 분말 80중량부는 산포한 비이온계면 활성화제 20중량부를 흡수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자유유동성 분말특성을 유지한다. 이 분말의 물리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80 parts by weight of the spray-dried powder of Example 2 can absorb 20 parts by weight of the scattered nonionic surface activator, while maintaining free flowing powder properti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is powder are as follows.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8

옹 값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말로부터 "누출되는" 경향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즉 이것은 분말컬럼의위와 아래에 미리 중량측정한 여과지를 배치하고37℃에서 3주간 보관하였을 때 그 여과지가 비이온계면 활성제를 흡수한 양을 가리킨다. 80mg 이하의 값은 허용치로 간주한다.Ong values are used to determine the tendency for nonionic surfactants to "leak" from the powder. In other words, this indicates the amount of filter paper absorbed the nonionic surfactant when the pre-weighed filter paper was placed above and below the powder column and stored at 37 ° C. for 3 weeks. Values below 80 mg are considered acceptable.

실시예 4의 분무건조한 분말 75중량부를 살포한 비이온계면활성제 25중량부를 흡수하여 다음 특성을 가진 분말을 제공하였다.75 parts by weight of the spray-dried powder of Example 4 was sprayed with 25 parts by weight of a nonionic surfactant to provide a powder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09

대조 시험분말 B는 분말89중량부당 비이온성 계면활성제11중량부만을 흡수할 수 있었으며, 이 수준에 서도 분말특성은 다음과 같이 열등하였다.The control test powder B was able to absorb only 11 parts by weight of the nonionic surfactant per 89 parts by weight of powder, and at this level, the powder characteristics were inferior as follows.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0

대조 시험분말 C도 또한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었다.Control Test Powder C also showed similar properties.

[실시예 6 및 7]EXAMPLES 6 AND 7

분자량 27,000 및 70,000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버시콜 E7 및 E9)을 같은 함량수준으로 사용하여 (1.0%), 실시예 4의 고정을 반복하였으며, 액상 비이온계면활성제 보유용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치는 다음과 같다.The fixation of Example 4 was repeated using sodium polyacrylates (versicol E7 and E9) of molecular weights 27,000 and 70,000 (1.0%), and the liquid nonionic surfactant retention capacity was measured. The result is as follows.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1

중합체의 분자량을 높임에 따라 비이온 계면활성제 보유용량이 약간 증가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a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increases, the nonionic surfactant retention capacity increases slightly.

[실시예 8 및 9][Examples 8 and 9]

이 실시예들은 분무건조한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에 규산나트륨을 첨가하는 것이 이롭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즉, 입자강도가 증가하는 데에서 파쇄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These examples show that it is advantageous to add sodium silicate to the spray dried crystal growth modified burcate, which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degree of fracture at increasing particle strength.

두가지의 분무건조한 분말을 다음 조성에 의거하여 만들었는데(숫자는 %임) 탄산나트륨과 황산나트륨을 가하기전에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슬러리내에 첨가하였다.Two spray dried powders were prepared based on the following composition (numbers in%): Sodium polyacrylate was added into the slurry before adding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2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에 입각한 중합체의 수준은 각각 2.1% 및 2.2%였다.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비는 두가지 분말에 대하여 0.37:1 이었다.The levels of polymer based on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were 2.1% and 2.2%, respectively. 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was 0.37: 1 for the two powders.

두가지 분말자체의 파쇄도와, 분말이 비이온계활성제를 함유할때의 (비이온계면활성제 23%, 운반체 77%) 파쇄도는, 마손시험후 150 마이크론 이하 입자의 중량%가 얼마나 증가하는가를 측정하여 확정하였다. 20% 이상의 파쇄도 값은 공기식 분말처리에 부적합한 값이다.The crushing degree of the two powders themselves and the crushing degree when the powder contains a nonionic surfactant (23% nonionic surfactant, 77% carrier) determine how much the weight percent of particles below 150 microns increases after the wear test. To confirm. A crushing value of 20% or more is inadequate for pneumatic powdering.

액산 비이온계면활성제 보유용량은 규산나트륨 존재하에 약간 가모하나 품질을 저해할 정도로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The liquid acid nonionic surfactant retention capacity is slight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sodium silicate but does not decrease to a detrimental quality.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3

[실시예 10]Example 10

이 실시예는 분무건조한 결정성장수정한 부르케이트에 소량의 음이온계면활성제 (선형 알킬벤젠설폰산 나트륨)을 첨가하는 것이 이롭다는 것을 보여준다.This example shows the benefit of adding a small amount of anionic surfactant (linear alkylbenzenesulfonate sodium) to the spray dried crystal growth modified burcate.

실시예 1에서와 같이 폴리아크릴산나트륨(1.0%), 탄산나트륨(12.5%), 황산나트륨(34%), 음이온 계면활성제(0.5%), 및 물(53.0%)을 함유하는 슬러리를 만들었는데 폴리크릴산나트륨을 첫 번째로넣었으며, 이 슬러리를 분무건조시켜 분말을 만들었다. 중합체의 함량은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을 기준할 때 2.15%,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비는 0.37:1 이었다. 여기서 분말의 밀도 및 액상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보유용량을 실시예 6의 것과 아래표에서 비교시켰는데 실시예 6은 음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다.As in Example 1, a slurry was prepared containing sodium polyacrylate (1.0%), sodium carbonate (12.5%), sodium sulfate (34%), anionic surfactant (0.5%), and water (53.0%). Sodium was added first, and the slurry was spray dried to form a powder. The polymer content was 2.15% based on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and 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was 0.37: 1. Here, the density of the powder and the liquid nonionic surfactant retention capacity were compared with those of Example 6 in Example 6, which contains no anionic surfactant.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4

실시예6의 슬러리는 30 내지 40분후에 분리형상을 일으키기 시작하였으나 실시예 10의 슬러리는 5시간동안 안정성을 유지하였다.The slurry of Example 6 started to separate after 30-40 minutes but the slurry of Example 10 remained stable for 5 hours.

[실시예 11]Example 11

규산나트륨, 알킬벤젠설폰산염, 및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결정성장 수정도니 브루케이트를 뱃치식 슬러리 제조법에 의하여 만들고 이것을 분무건조시켜 다음 조성을 가진 분말이 만들어 졌다.(단위는 %임).Crystal growth crystallized brookates containing sodium silicate, alkylbenzenesulfonate, and nonionic surfactants were prepared by a batch slurry preparation and spray dried to give a powder having the following composition (unit:%).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5

주*황산나트륨+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하여 2.2%임.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비는 0.37:1 이다.Note: 2.2% based on sodium sulfate + sodium carbonate. 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is 0.37: 1.

슬러리 제조용기(크러쳐)에 성분들을 첨가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즉 85℃의 물,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황산나트륨, 탄산나트륨, 규산나트륨, 비이온계면활성제, 음이온계면활성제등의 순서이다.The order of adding the components to the slurry production container (crusher) is as follows. That is, it is order of 85 degreeC water, sodium polyacrylate, sodium sulfate, sodium carbonate, sodium silicate, nonionic surfactant, anionic surfactant, etc.

이 물질은 운반체 또는 부가물의 기재로서 매우 적합한대 예를들면 인산염으로 빌드한 세제분말 또는 알루미규산염으로 빌드한 세제분말(아래 실시예 24 및 25 참초)에 첨가하는 비이온계면활성제 부가물로서 적합하다.This material is well suited as a substrate for carriers or adducts, for example as a nonionic surfactant adduct added to detergent powders made of phosphates or detergent powders made of aluminosilicates (Examples 24 and 25 below). .

[실시예 12]Example 12

규산나트륨 및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는 연속적 슬러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다음에 분무건조시켜 아래 조성의 조성물을 만든다(단위는 %임), 연속적 슬러리 제조란 용어의 의미는 성분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거의 동시에 슬러리 제조용기에 투입하는 것이며, 한편 혼합된 슬러리를 분무탑으로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그 이동속도는 용기내의 내용량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정도로 하는 것을 말한다.Crystal growth-modified burcates containing sodium silicate and nonionic surfactants are prepared by a continuous slurry preparation method and then spray dried to form a composition of the following composition (in%), meaning the term continuous slurry preparation Means to continuously and almost simultaneously add the ingredients to the slurry production vessel, while moving the mixed slurry to the spray tower is such that the moving speed is such that the content in the vessel is kept substantially constant.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6

주*황산나트륨+탄산나트륨 기준으로 하면 1.63%임. 탄산나트륨의 비는 0.37:1임.Note: 1.63% based on sodium sulfate + sodium carbonate. 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is 0.37: 1.

이 제품은 벌크밀도 550g/l, 동적유속 90ml/s, 및 압축율 5%였다. 이 제품은 또한 1kg당 450ml의 액상비이온계면활성제 흡수용량을 가지고 있다.The product had a bulk density of 550 g / l, a dynamic flow rate of 90 ml / s, and a compression rate of 5%. The product also has an absorbent capacity of 450 ml of liquid nonionic surfactant per kilogram.

23중량%의 액상 비이온게면활성제 및 77중량%의 분무건조한 제품으로 구성된 부가물을 안정성과 함께우수한 분말특성을 가졌다.The adduct consisting of 23% by weight of liquid nonionic surfactant and 77% by weight of the spray dried product had excellent powder properties with stability.

[실시예 13 및 14][Examples 13 and 14]

직물을 손세탁하기에 적합한 탄산염으로 빌드한 고발포성 분말들을 아래표에 열거한 성분들로서 만들었으며, 중량%는 최종제품을 기준으로한 것이다. 조성물 13 및 14는 본 발명에 따르는 것이며 비교조성물 D는 중합체를 함유하지않는 대조시험용이다.Highly foamable powders made from carbonates suitable for hand washing fabrics were made from the ingredients listed in the table below, with weight percents based on the final product. Compositions 13 and 14 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arative composition D is for a control test containing no polymer.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7

주*황산나트륨+탄사나트륨에 대해 2.1%임.It is 2.1% of note * sodium sulfate + sodium carbohydrate.

주*황산나트륨+탄사나트륨에 대해 1.04%임.It is 1.04% of note * sodium sulfate + sodium carbon dioxide.

턴산나트륨 대황산나트륨 비는 두가지 분말에 있어서 15:1임, 각 분말에 있어서 슬러리는 약80℃에 수분함량 39%로만들었으며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을 첨가하기 이전에 결정성장수정제를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최종 분말은 다음 특성을 구비하였다.The sodium turnate persulfate ratio was 15: 1 for the two powders, for each powder the slurry made 39% water content at about 80 ° C and a crystal growth modifier was added to the slurry prior to the addition of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The final powder had the following properties.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8

[실시예 15]Example 15

자동세탁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탄산염으로 빌드한 지발포성 무신분말을 아래표에 열거한 성분들로서 만들었으며, 중량%는 최종제품에 입각한 것이다. 조성물 15는 본 발명에 의한 것이며, 한편 비교조성물 E는 중합체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시험용이다. 두분말에 있어서,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비는 0.79:1이다.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을 첨가하기 전에 슬러리에 혼입하였다.The non-foamable powder-free powder, made from carbonates suitable for use in automatic washing machines, is made from the ingredients listed in the table below, and the weight percentages are based on the final product. Composition 15 is from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mparative Composition E is for a control test containing no polymer. In both powders, 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is 0.79: 1. Sodium polyacrylate was incorporated into the slurry before adding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19

* 황산나트륨+탄산나트륨 기준으로할 때 0.40% 임.* 0.40% based on sodium sulfate + sodium carbonate.

30% 수분함량을 가진 슬러리를 상기 성분들의 혼합에 의해 만들었으며, 무기염들의 첨가이전에 결정성장 수정용 중합체를 슬러리내에 첨가하여다.A slurry with 30% moisture content was made by mixing the components, and the crystal growth modification polymer was added into the slurry prior to the addition of the inorganic salts.

이 슬러리들은 분무건조하여 수분함량 4%의 분말을 형성시켰으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살포에 의하여 사후첨가 되었다. 이 두가지 분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These slurries were spray dried to form a powder with a water content of 4% and nonionic surfactants were post-added by sparg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powders are as follows.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0

[실시예 16]Example 16

상부적재식 세탁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탄산염으로 빌드한 중간발포성 무린 분말을 다음표의 성분들로서 만들었으며, 이 모든 성분들을 슬러리내로 첨가하였다.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보다 먼저 첨가하였다.Interfoamable murine powders built with carbonates suitable for use in topload washing machines were made as the ingredients in the following table, all of which were added into the slurry. Sodium polyacrylate was added before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1

* 황산나트륨+탄산나트륨 기준으로할 때 0.48% 임.* 0.48% based on sodium sulfate + sodium carbonate.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비는 1.25:1 임. 분말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is 1.25: 1. The properties of the powder were as follows.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2

[실시예 17-19]Example 17-19

상이한 분자량의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높은 수준으로 함유시켜(총분말에 입각하여 1.0중량%임, 실시예 16의분말과 유사한 일련의 분말들을 만들었다. 각 경우에 있어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탄산나트륨 미치 황산나트륨을 첨가하기 전에 슬러리내에 첨가하였다. 이 조성물은 표에 나타나 바와같다.A high level of sodium polyacrylate of different molecular weights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powder) produced a series of powders similar to the powder of Example 16. In each case, sodium polyacrylate was added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It was added to the slurry before the composition, as shown in the table.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비는 각 분말에 있어서 0.51:1이었다. 이 분말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was 0.51: 1 for each powder. The properties of these powders are as follows.

Figure kpo00023
Figure kpo00023

동적유속은 중합체의 분자량 증가에 따라 상당히 증가하는 한편 압축율은 이에 대해 덜 민감하나 중합체의 분자량이 높은 경우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dynamic flow rate increases considerably with increasing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while the compressibility is less sensitive to this, but decreases when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is high.

[실시예 17 내지 19][Examples 17 to 19]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4

*탄산나트륨+황산나트륨에 대해 1.8%.* 1.8% based on sodium carbonate + sodium sulfate.

[실시예 20]Example 20

이 분말은 실시예 17 내지 29의 분말과 유사하나 탄산나트륨 및 제올라이트로 빌드한 것이 다르다.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을 첨가히 이전에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비는 0.54:1이었다.This powder is similar to the powders of Examples 17-29, but differs from those made of sodium carbonate and zeolite.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phate were previously added to the slurry prior to addition. 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was 0.54: 1.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5

주 *탄산나트륨+황산나트륨에 대해 2.3% 임.Note * 2.3% for Sodium Carbonate + Sodium Sulfate.

[실시예 21 및 22][Examples 21 and 22]

주된 빌더로서의 제올라이트 및 입자구조화제로서의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를 함유하는 분말을 분무건조 방법 및 사후첨가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입자구조화제 시스템은 규산나트륨(낮은 함량), 숙신산나트륨 및 수정된 부르케이트로 구성되었다.Powders containing zeolite as the main builder and crystal growth modified burcate as the particle structuring agent were prepared using the spray drying method and the post addition method. The granulating system consisted of sodium silicate (low content), sodium succinate and modified burcate.

슬러리의 수분함량은 조성물 21에대하여 49중량%였으며, 조성물 22와 H에 대하여는 47중량% 였다. 실시예 21 및 22에 사용된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은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 첨가 전에 슬러리에 첨가하였다.The moisture content of the slurry was 49% by weight for Composition 21 and 47% by weight for Compositions 22 and H. Sodium polyacrylate used in Examples 21 and 22 was added to the slurry prior to the addition of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첨가된 성분들은 다음과 같다.The added ingredients are as follows.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6

주 1 : *황산나트륨+탄산나트륨에 대해 0.6%임.Note 1: 0.6% of sodium sulfate + sodium carbonate.

2 : *황산나트륨+탄산나트륨에 대해 0.5%임.2: * 0.5% relative to sodium sulfate + sodium carbonate.

Figure kpo00027
Figure kpo00027

28℃ 및 70% RH에서 6주간 저장하였을 때 최종 분말은 다음 특성을 나타내었다.When stored for 6 weeks at 28 ° C. and 70% RH, the final powder exhibited the following properties.

Figure kpo00028
Figure kpo00028

비교조성물 H와 비교할 때 조성물 22의 불용물은 크게 감소한거을 알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insoluble matter of the composition 22 i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mparative composition H.

[실시예 23]Example 23

이 실시예는 손세탁용으로 의도된 고발포성 세제분말내에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며, 이 분말은 음이온계면활성제를 높은 수준으로 함유하며 트리폴리인산나트륨으로 빌드한 것이다.This example illustrates the use of crystal growth-modified burcate in a high foaming detergent powder intended for hand washing, which powder contains high levels of anionic surfactants and is made of sodium tripolyphosphate.

다음 조성(%)의 분말들은 슬러리 제조 및 분무 건조방법으로 만들었으며, 조성물 23 내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은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 첨가전에 슬러리에 첨가된 것이다.Powders of the following composition (%) were prepared by slurry preparation and spray drying, and sodium polyacrylate in composition 23 was added to the slurry prior to the addition of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Figure kpo00029
Figure kpo00029

*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에 기초할 때 1.42%임.* 1.42% based on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탄산나트륨 및 황산나트륨의 비는 0.29:1임.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and sodium sulfate is 0.29: 1.

분말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The properties of the powders were as follows.

Figure kpo00030
Figure kpo00030

[실시예 24]Example 24

이 실싱예에는 전방 적재식 자동세탁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인산염-빌드된 저 발포성 분말에 있어서,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를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운반하는 부가물용의 운반체물질로서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This example describes the use of crystal growth-modified burcate as a carrier material for adducts carrying nonionic surfactants in phosphate-built low foaming powders suitable for use in a front-loading automatic washing machine. .

액상 비이온계면활성제 23중량부는 실시예11의 분무건조한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 77중량부에 살포시켰다. 이 부가물은 분무건조한 기재분말 및 표백성분들과 혼합시켜 세제분말(조성물 24)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였다. 대조 시험 분말(조성물 K)을 또한 만들었는데, 이 분말은 슬러리내에 첨가한 비이온계면활성제를 같은 수준으로 함유하였다. 그 조성은 다음표에 표시되어 있다.23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nonionic surfactant was sprayed onto 77 parts by weight of the spray-dried crystal growth modified burcate of Example 11. This adduct was mixed with the spray dried substrate powder and the bleaching ingredients to prepare a detergent powder (composition 24). A control test powder (composition K) was also made, which contained the same level of nonionic surfactant added in the slurry. The composition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1

최종 분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The properties of the final powder are as follows.

Figure kpo00032
Figure kpo00032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운반하기 위한 부가물을 사용하였을때 분말의 동적유속이 증가되었으며 압축율과 응집력을 감소시켰다.The use of adducts to transport nonionic surfactants increased the dynamic flow rate of the powder and reduced the compressibility and cohesion.

[실시예 25]Example 25

이 실시예는 전방적재식 자동세탁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올라이트-빌드된 저-발포성 무린분말에 있어서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를 비이온계면활성제부가물의 운반체로서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사용한 부가물은 실시예 24의 것이었으며, 이것은 분무건조한 기재 분말 및 표백성분과 혼합하여 세제분말(조성물 25)을 만든는데에 사용하였다. 대조시험분말(조성물 L)도 또한 만들었는데, 이것은 슬러리에첨가 한 것과 같은 양의 비이온계면활성제를 함유하였다. 이 조성물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This example describes the use of crystal growth-modified burcate as a carrier for nonionic surfactant adducts in zeolite-built low-foaming lean powder suitable for use in a forward loaded automatic washing machine. The adduct used was that of Example 24, which was used to make a detergent powder (composition 25) by mixing with the spray-dried base powder and the bleaching component. A control test powder (composition L) was also made, which contained the same amount of nonionic surfactant as that added to the slurry. The composition of this composition is as follows.

Figure kpo00033
Figure kpo00033

최종분말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powder were as follows.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4

비이온 게면활성제를 운반하기 위해 부가물을 사용할 경우 분말의 동적유속이 증가되며 한편 압축율과 응집력은 감소된다.The use of adducts to convey nonionic surfactants increases the dynamic flow rate of the powder while reducing the compressibility and cohesion.

[실시예 26]Example 26

이 실시예는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를 음이온계면활성체(선형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수용액의 부가물 운반체로서 사용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 두가지의 운반체물질, 즉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26과 결정성 장수정된 부르케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대조시험용인 조성물 M은 슬러리제조법 및 분무건조방식에 의하여 만들어 다음 조성을 갖게 하였는데, 조성물 26내의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무기염을 첨가하기 전에 슬러리에 첨가하였다.This example illustrates the use of crystal growth-modified burcate as an adduct carrier of an anionic surfactant (linear alkylbenzenesulfonate) aqueous solution. Two carrier materials, composition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osition M, which is a control test containing no crystalline long modified burcate, were prepared by slurry production and spray drying to have the following composition, and the polyacrylate in composition 26 The inorganic salt was added to the slurry before addition.

Figure kpo00035
Figure kpo00035

* 황산나트륨+탄산나트륨을 기준으로 할때 1.6%임.* 1.6% based on sodium sulfate + sodium carbonate.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 비는 0.37:1임.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ratio is 0.37: 1.

음이온계면활성제 수용액(선형 알킬벤젠술폰산나트륨 2%, 물 98%)을 상기 각 물질에 살포하여 90%의 운반체물질 및 10%의 계면활성제 용액으로 구성된 부가물을 형성시켰다. 이 부가물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An anionic surfactant solution (2% sodium alkylbenzenesulfonate linear, 98% water) was sprayed onto each of these materials to form an adduct consisting of 90% carrier material and 10% surfactant solution. The properties of this adduct were as follows.

Figure kpo00036
Figure kpo00036

대조실시예의 부가물은 그 특성이 완전히 불합격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djunct of the control example is completely rejected in nature.

[실시예 27-29]Example 27-29

실시예 26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표백제 수용액을 함유하는 부가물을 만들었다. 부가물 운반체는 상기 조성물 26과 같으면 각 부가물은 아래에 열거한 수성표백물질 10중량부를 운반체물질 90중량부에 분무하여 만들었다.An adduct containing an aqueous bleach solution was made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Example 26. When the adduct carrier was the same as composition 26, each adduct was made by spraying 10 parts by weight of the aqueous bleach material listed below to 90 parts by weight of carrier material.

표백물질Bleach

[실시예 27]Example 27

과산화수소(30% w/v)Hydrogen peroxide (30% w / v)

[실시예 28]Example 28

페록시아세트산(40% w/v)Peroxyacetic Acid (40% w / v)

[실시예 29]Example 29

치아염소산나트륨(5% w/v)Sodium chlorite (5% w / v)

세가지 부가물은 모두 자유 유동성 미세입자상 물질들이었다.All three adducts were free flowing microparticulate materials.

[실시예 30 및 31]Examples 30 and 31

이들 실시예들은 분무 건조와 다른 방법, 즉 오븐건조방법에 의해 결정성장 수정된 부르케이트를 제소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한다.These examples illustrate the removal of crystal growth modified burcate by spray drying and other methods, ie oven drying.

슬러리는 다음의 조성으로 제조되었다. 조성물 30 및 31은 본 발명에 의한 것이며, 한편 조성물 N은 결정성장수정제를 함유하지않는 대조시험용이다. 슬러리 30 및 31을 만들 때, 중합체 결정성장 수정제는 무기염들의 첨가전에 첨가하였다.The slurry was prepared with the following composition. Compositions 30 and 31 are from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mposition N is for a control test containing no crystal growth modifier. When making slurs 30 and 31, the polymer crystal growth modifier was added before the addition of the inorganic salts.

Figure kpo00037
Figure kpo00037

주 : *황산나트륨+탄산나트륨에 대해 2.2%임.Note: * 2.2% for Sodium Sulfate + Sodium Carbonate.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비는 0.37:1임.The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is 0.37: 1.

슬러리들은 여과시키고 여과된 덩어리들은 공기온도 150℃의 오븐내에서 건조시켰다. 거조된 덩어리는 파쇄한후 체로걸러 1,400 마이크론의 스크린을 통과한 분말을 회수하였다.The slurries were filtered and the filtered mass was dried in an oven at 150 ° C. The crude mass was crushed and sieved to recover the powder that passed through a 1,400 micron screen.

이 분말들의 조성은 다음과 같았다.The composition of these powders was as follows.

Figure kpo00038
Figure kpo00038

액상 비이온계면활성제를 보유하는 각 분말들의 용량은 다음과 같았다.The doses of the respective powders containing the liquid nonionic surfactant were as follows.

Figure kpo00039
Figure kpo00039

이 결정성장수정된 물질은 월등히 유용한 다공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It can be seen that the crystal growth-modified material has an extremely useful porosity.

액상 비이온계면활성제 23중량부를 77중량부의 조성물 30에 분무시켜 "부가물"을 만들었다. 그 결과 얻은 물질은 자유 유동성 분말이었다. 실시예 24의 기재분말 70.4중량부에 상기 부가물 13중량부와 이와함게 표백성분고 소량성분 11.6중량부 및 탄산나트륨 5.0중량부를 사후 첨가하였을 때 안정한 자유 유동성 세제분말을 얻었다.23 parts by weight of the liquid nonionic surfactant was sprayed onto 77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30 to make an "adduct". The resulting material was a free flowing powder. A stable free-flowing detergent powder was obtained when 70.4 parts by weight of the base powder of Example 24, 13 parts by weight of the adduct, 11.6 parts by weight of a small amount of bleaching ingredient and 5.0 parts by weight of sodium carbonate were added.

Claims (22)

과립상 세제조성물 또는 그 성분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말의 제조방법으로서 (i) 탄산나트륨 및 임의 선택적으로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며,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중량비는 최소한 0.03:1이 되게하며, 또한 임의 선택적으로 1종 또는 그 이상의 음이온 및/또는 비이온 세제활성화합물을 함유하며, 1종 또는 그 이상의 세제빌더 및/또는 1종 또는 그 이상의 추가적인 열둔감성 세제성분을 함유하는 수성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ii) 이 슬러리를 건조시켜 분말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구성되며, 여기서 탄산나트륨 및 임의 선택성 황산나트륨의 총량은 건조분말 기준으로 최소한 10중량%가 되어야 하며, 분자내에 3개이상의 카복실기를 가진 유기물질인 결정성장수정제의 유효량을 탄산나트륨 첨가이전에 슬러리에 첨가하며 이에 의해 결정성장수정된 탄산나트륨 1수화물 및/또는 결정성장수정된 부르케이트를 슬러리내에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A process for preparing a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or powder suitable for use as a component thereof, comprising (i)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sodium sulfate, the weight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being at least 0.03: 1, and optionally optionally one Or (ii) preparing an aqueous slurry containing more than one anionic and / or nonionic detergent active compound and containing one or more detergent builders and / or one or more additional thermosensitive detergent components, (ii) Drying the slurry to form a powder, wherein the total amount of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 sodium sulphate should be at least 10% by weight based on dry powder, the crystal growth modifier of which is an organic substance having three or more carboxyl groups in the molecule. An effective amount is added to the slurry prior to the addition of sodium carbonate, whereby crystal growth A process for producing sodium carbonate monohydrate and / or crystal growth modified burcate in a slurry.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ii) 단계는 슬러리를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ii) consists of spray drying the slurry to form a powder.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황산나트륨이 첨가되며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중량비는 최소한 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process of claim 1 wherein sodium sulfate is added and the weight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is at least 0.1: 1.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 황산나트륨이 함유되며, 탄산나트륨 대 황산나트륨의 중량비는 최소한 0.37: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4. A proces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sodium sulfate is contained and the weight ratio of sodium carbonate to sodium sulfate is at least 0.37: 1.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탄산나트륨 및 임의선택성 황산나트륨의 건조분말내의 총함량은 최소한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tal content in the dry powder of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sodium sulfate is at least 15% by weight.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탄산나트륨 및 임의선택성 황산나트륨의 건조분말내의 총함량은 최소한 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6. A proces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otal content in the dry powder of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sodium sulfate is at least 20% by weight.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건조분말내의 탄산나트륨 및 임의선택성 황산나트륨의 총함량을 기준할 때 결정성장수정제는 0.1 내지 60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ystal growth modifier is added in an amount of 0.1 to 6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ntent of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selective sodium sulfate in the dry powder.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건조분말내의 탄산나트륨 및 임의선택성 황산나트륨의 총함량을 기준할 때 결정성장수정제는 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8. A proces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rystal growth modifier is added in an amount of 0.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ntent of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selective sodium sulfate in the dry powder.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건조분말내의 탄산나트륨 및 임의선택성 황산나트륨의 총함량을 기준할때 결정성장수정제는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8. A process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crystal growth modifier is added in an amount of 0.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ntent of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ly selective sodium sulfate in the dry powder.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결정성장수정제는 중합체 폴리카복실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A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ystal growth modifier is a polymer polycarboxylate. 청구범위 제10항에 있어서, 결정성장수정제는 아크릴산 단독중합체,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 및 아크릴 포스퍼네이트에서 선택한 중합체 폴리카복실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rystal growth modifier is a polymer polycarboxylate selected from acrylic acid homopolymers, acrylic acid / maleic acid copolymers and acrylic phosphonates. 청구범위 제10항에 있어서, 결정성장수정제는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rystal growth modifying agent is sodium polyacrylate. 청구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중합체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분자량 1,000 내지 250,000의 범위내에 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A proces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polymer polycarboxylate is in the range of molecular weight 1,000 to 250,000.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중합체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분자량 3,000 내지 100,000의 범위내에 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14. A proces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olymer polycarboxylate is in the range of from 3,000 to 100,000 molecular weight. 청구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중합체 폴리카복실레이트는 분자량 1,000 내지 70,000의 범위내에 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proces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polymer polycarboxylate is in the range of molecular weight 1,000 to 70,000.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추가적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iii) 액상 도는 액화 가능한 세제성분을 액체상태로 제조단계(ii)의 건조분말에 처가하며, 그리고/또는 기타의 고체세제성분을 건조분말과 혼합시키는 단계.A process according to claim 1 comprising the following additional manufacturing steps. (iii) subjecting the liquid or liquefiable detergent component to the dry powder of preparation step (ii) in a liquid state and / or mixing the other solid detergent component with the dry powder. 청구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액상 또는 액화가능한 세제성분은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liquid or liquefiable detergent component is a nonionic surfactant. 청구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액상 또는 액화가능한 세제성분은 평균 에톡실화도가 10 또는 그 이하인 에톡실화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liquid or liquefiable detergent component is an ethoxylated nonionic surfactant having an average ethoxylation of 10 or less. 청구범위 제16항에 있어서, 액상 또는 액화가능한 세제성분은 비이온계면활성제이며, 또한 제조단계(iii)의 생산물이 5 내지 40중량%의 비이온계면활성제 및 60 내지 95중량%의 건조분말로 구성되도록 상기 세제성분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liquid or liquefiable detergent component is a nonionic surfactant and the product of preparation step (iii) comprises 5 to 40% by weight of nonionic surfactant and 60 to 95% by weight of dry powder. Method for producing a deterg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ddition of the detergent component. 과립상 세제조성물 또는 그 성분의 기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분말로서, 슬러리를 건조시켜 제조하며, 근본적으로 탄산나트륨을 함유하며, 임의 선택적으로 황산나트륨을 함유하며 이때 탄산염 대 황산염의 중량비는 최소한 0.03:1이 되게하며, 또한 분자내에 최소한 3개의 카복실기를 가진 유기물질인 결정성장수정제의 유효량을 함유하며, 수은 다공도 측정법으로 측정할 때 3.5마이크론미만의 세공의 세공규격분포가 분말 1kg당 최소한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Powders suitable for use as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s or substrates thereof, prepared by drying the slurry, essentially containing sodium carbonate, optionally containing sodium sulfate, wherein the weight ratio of carbonate to sulfate is at least 0.03: 1 It also contains an effective amount of a crystal growth modifier, an organic substance with at least three carboxyl groups in its molecule, and a pore size distribution of less than 3.5 microns of pores, measured by mercury porosimetry, of at least 300 cm3 per kg of powder. Characterized by powder. 청구범위 제20항에 있어서, 결정성장수정제는 중합체 폴리카복실레이트이며, 탄산나트륨 및 임의선택성 황산나트륨의 총함량을 기준할 때 상기 결정성장수정제는 0.1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The powder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crystal growth modifier is a polymer polycarboxylate, and the crystal growth modifi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content of sodium carbonate and optional sodium sulfate. . 청구범위 제20항에 있어서, 3.5마이크론 미만의 세공의 세공규격 분포가 분말 1kg당 최소한 3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The powder of claim 20 wherein the pore size distribution of pores less than 3.5 microns is at least 350 cm 3 per kg of powder.
KR1019860009104A 1985-11-01 1986-10-31 Detergent composition and its preparation KR9000045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58526996A GB8526996D0 (en) 1985-11-01 1985-11-01 Spray-dried material & process
GB8612459 1986-05-22
GB868612459A GB8612459D0 (en) 1985-11-01 1986-05-22 Spray-dried material
GB8526996 1986-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695A KR880005695A (en) 1988-06-30
KR900004541B1 true KR900004541B1 (en) 1990-06-29

Family

ID=1058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104A KR900004541B1 (en) 1985-11-01 1986-10-31 Detergent composition and its preparatio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900004541B1 (en)
GB (2) GB8526996D0 (en)
ZA (1) ZA868316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903B1 (en) * 2009-07-30 2011-11-3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Dual-side light absorption organic solar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526996D0 (en) 1985-12-04
ZA868316B (en) 1988-07-27
GB8612459D0 (en) 1986-07-02
KR880005695A (en)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0466A (en) Process for preparing needle-shaped crystal growth modified burkeite detergent additive
US482044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US4818424A (en) Spray drying of a detergent containing a porus crystal-growth-modified carbonate
US4826632A (en) Detergent compositions manufacturing process by spraying anionic/nonionic surfactant mix
US5151208A (en) Detergent powder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4447349A (en) Suds suppressing granules for use in detergent compositions
SE440364B (en) PROCEDURE FOR PREPARING A PARTICULAR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AN ALKALIMETAL CARBONATE, A DETERGENT ACTIVE SUBSTANCE AND FINALLY DISTRIBUTED CALCIUM CARBONATE
CA2146960A1 (en) Useful materials and mixtures thereof for wetting agents, detergents and/or cleaning products in a new form of preparation
US4416809A (en)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EP0267042A2 (en) Detergent granules and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5324455A (en) Process for preparing a high bulk density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improved dispensing properties
KR900004541B1 (en) Detergent composition and its preparation
JPH0354158B2 (en)
EP0892843B1 (en) Modified aluminosilicate
JPH01268799A (en) Granular 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AU600123B2 (en) Spray-dried material for detergent compositions
KR19980076707A (en) Highly concentrated nonionic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02510342A (en) Cleaning or cleaning agents with improved cleaning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