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226B1 -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 Google Patents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226B1
KR900001226B1 KR1019860002358A KR860002358A KR900001226B1 KR 900001226 B1 KR900001226 B1 KR 900001226B1 KR 1019860002358 A KR1019860002358 A KR 1019860002358A KR 860002358 A KR860002358 A KR 860002358A KR 900001226 B1 KR900001226 B1 KR 900001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ell
region
coupled
capacitor
bit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747A (ko
Inventor
도오루 후루야마
시게요시 와타나베
다쯔오 이까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도오시바 마이크로-컴퓨터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또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6675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272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194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5446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사바 쇼오이찌, 도오시바 마이크로-컴퓨터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또 히로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오시바
Publication of KR86000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4Word line organisation; Word line lay-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8Address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7Bit-line organisation, e.g. bit-line layout, folded bit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a, b도는 종형 캐패시터 셀을 포함하는 종래 반도체기억장치의 일부 평면패턴과 단면을 나타낸 도면.
제2a, b도는 주름형 비트선 구성에 적합한 종래 반도체기억장치의 평면패턴과 단면을 나타낸 도면.
제3a, b도는 주름형 캐패시터 셀을 포함하는 종래 반도체 기억장치의 평면패턴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
제4a∼d도는 제3a, b도에 도시된 반도체기억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3a, b도에 도시된 반도체기억장치에 일부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제6a, b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종형 캐패시터 셀을 포함하는 반도체기억장치의 평면패턴 및 단면을 나타낸 도면.
제7도 및 제8도는 제6a, b도에 도시된 반도체기억장치의 회로결속도.
제9도는 종래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간의 점유면적비를 나타낸 그래프.
제10a, b도는 주름형 메모리 셀을 구비하여서 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평면패턴과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제10a, b도에 도시된 실시예중 메모리셀과 비트선 및 감지증폭기의 상호 배치관계를 나타낸 회로접속도.
제12도는 제10b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
제13도는 제11도에 도시된 결속도의 변형예.
제14도는 제7도에 도시된 결속도의 변형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31 : 반도체기판 2 : 도량
3, 10 : 소자분리영역 4, 23 : 반도체영역
5, 24 : 절열막 6, 25 : 워드선
7 : 다결정실리콘층 8, 27 : 비트선
9 : 접속영역 26, 39 : 캐패시터전극
28 : 접속부 34 : 접속공
33 : 캐패시터영역 35 : P+형 불순물영역
36, 38 : 산화막 37 : n-형 불순물영역
40, 41 : 층간절연막 61 : 교차영역
본 발명은 고밀도로 집적시킬 수 있도록 된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
1개의 MOS트랜지스터와 1개의 캐패시터로 형성되는 소위 1트랜지스터형 메모리셀은 그 점유면적이 작기 때문에 고밀도(고집적화)의 반도체기억장치를 제조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되고 있는 바, 구체적으로는 다이내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DRAM)을
상기 캐패시터 셀중에서 종형 캐패시터 셀은 1984년 VLSI기술 심포지움의 기술요약집 16페이지에서 T.후루야마씨와 J.프레이씨에 의해 "VLSI DRAM을 위한 종형 캐패시터"로서 발표된 바 있고, 주름형 캐패시터 셀은 1984년 IDEM에서 와다씨 등에 의해 "장래의 메가비트급 DRAM을 위한 주름형 캐패시터"로서 발표된 바 있으며, 도랑형 캐패시터 셀은 1984년의 국제 고체회로회의에서 발표된 바 있다. 여기서 도랑형 캐패시터 셀은 캐패시터영역의 중앙부에다 웨이퍼에 대해 수직적으로 폭이 좁은 도랑을 파고, 이 도랑의 서로 대향되는 측면부위를 이용하여 형성시킨 캐패시터에 전하를 축적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신호전하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인데 반하여, 종형 캐패시터 셀은 웨이퍼의 소자분리영역에 상당하는 위치에다가 도랑을 파고, 이 도랑의 바닥부분에 절연영역을 형성시켜서 서로 대향되는 측벽을 상호 분리시키되, 서로 대향되는 측벽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형성시킨 캐패시터에 전하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세가지 종류의 캐패시터 셀은 작은 셀 점유면적으로 큰 용량의 캐패시터를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므로 고집적화에 적합하다 하겠다.
제1a도는 상기와 같은 종형 캐패시터를 구비한 종래 기억장치의 평면패턴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제1b도는 제1a도에 도시된 평면도의 A-AT선 절단 단면도로서, 이 기억장치는 P형의 반도체기판(1)과, 반도체기판(1)내에 형성된 도랑(2), 이+
또한, 상기 도랑(2)내에는 다결정실리콘층(7)이 형성되어있고, 절연막(5)상에는 워드선(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비트선(8)이 형성되는데 그 일부는 접속영역(9)에 의해서 n형 반도체영역(4)중 MOS트랜지스터의 일단(드레인)이 되는 부분에 접속된다.
상기한 비트선(8)의 재료로는 실리사이드나 폴리사이드, 고용점금속 및 알루미늄같은 것이 이용되고, 소자분리영역(10)은 2산화실리콘을 매립하여서 형성된다. 한편, 도면중의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여 사선쳐진 영역은 1개의 메모리셀영역을 나타낸다.
제1a도와 제1b도로 알 수 있는 것처럼, 종래의 종형 캐패시터 셀의 평면형상 및 구조는 비트선(8)을 개방시켜서 구성되는 기억장치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있는데, 여기서 개방형 비트선을 구성한다는 것은 쌍을 이루는 비트선이 감지증폭기(sense amp.)을 매개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반해서 주름형 비트선(folded bit line)을 구성한다는 것은 쌍을 이루는 비트선을 인접시키거나 근접시켜서 병행배치하고, 이 비트선쌍의 일단에 감지증폭기를 결합시킨다는 것을 뜻한다.
제2a도는 상기한 주름형 비트선으로 구성되어 현재 시판되고 있는 다이내믹 랜덤 억세스 메모리(DRAM)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메로리셀의 평면패턴을 나타낸 도면으
또한, 제2b도에는 제2a도의 B-B선 절단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메모리셀은 p형 반도체기판(21)과, 기판(21)의 표면영역에 형성된 n형 반도체영역(23), 기판(21)의 표면상에 형성된 절연막(24), 이 절연막(24)속에 형성된 MOS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 겸용 워드선(25)과 캐패시터전극(26), 절연막(24)상에서 상기 워드선(25)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비트선(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비트선(27)은 그 일부가 접속부(28)에 의해 n형 반도체영역(23)중 MOS트랜지스터의 일단이 되는 부분에 접속되고, 또한 캐패시터전극(26)은 제2a도중 사선쳐진 캐패시터영역에 있어서 기판(21)의 표면영역에 형성된 n형 영역(도시되지 않았음)과 공동으로 캐패시터를 구성한다.
이상의 제2a, b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종래의 주름형 비트선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메모리셀 1개당 2개의 워드선(25)을 동일한 절연막(24)내에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선해야만 하였고, 이점에서 비트선 방향으로 메모리셀의 핏치가 작은 종형 캐패시터 셀을 주름형 비트선이 채택된 기억장치에 채용한다는 것은 적합치 않다고 여겨져 왔다.
제3a도는 주름형 캐패시터 셀을 구비한 DRAM의 일부 평면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제3b도는 제3a도의 C-C선 절단 단면도인데, 이러한 DRAM에 있어서는 예컨데 p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기판(31)상에다가 워드선(WL1,WL2,…WL8)이 세로로 배열되고 또한 비트선(BL1∼BL4)이 가로로 배열되어져 있다. 이들 워드선(WL1∼WL8)과 비트선(BL1∼BL4)의 교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2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영역(32)에 형성되는 MOS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사선영역(33)에는 MOS
상기 MOS트랜지스터의 소오스영역은 데이터선의 방향에 인접하는 MOS캐패시터에 접속되고, MOS트랜지스터의 드레인영역은 접속공(34)을 통해서 비트선(BL1∼BL4)중의 하나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제3b도에서 알 수 있듯이, 반도체기판(31)상의 각 비트선(BL1∼BL4)의 사이에 있는 메모리셀 분리영역에는 도랑(GV1∼GV3)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도랑(GV1∼GV3)의 바닥에는 P+형 불순물영역(35)이 퇴적되어 있는 바, 이러한 도랑(GV1∼GV3)에 의해서 제3a도의 굵은선으로 둘러싸인 메모리셀 영역이 다른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Figure kpo00002
형상으로 되어있다. 한편, 캐패시터영역(33)에 있어서는 반도체기판(31)의
Figure kpo00003
부상면 및 측면에는 n-형 불순물영역(3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n-형 불순물영역(37)상에는 산호막(38)을 매개하여 다결정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캐패시터전극(39)이 형성되어 MOS캐패시터를 구성한다.
다음에는 상기한 구조로 된 DRAM의 제조방법을 제4a도∼제4d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저항치가 약 10Ω/Cm인 p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기판(31)에 반응성 이온엣칭법으로 제4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랑(GV1∼GV3)을 형성시키고, 이 도랑(GV1∼GV3)의 바닥에 이온주입법으로 붕소이온을 주입해서 P+형 불순물 영역(35)
다음에는 전면적으로 산화막(36)을 퇴적시켜서 도랑내부를 매립한 후 산화막(36)에 대한 엣칭을 실시해서, 제4b도에 도시된 것처럼, 도랑(GV1∼GV3)의 사이사이에 있는 반도체기판(31)의
Figure kpo00004
부 상면을 노출시킨다. 그 다음에는 사진식각공정(PEP)으로 캐패시터영역(33)에 대한 패턴닝을 행한 후 반응성 이온엣칭법으로 제4c도처럼 캐패시터영역(33)에 관한 도랑(GV1∼GV3)의 산화막(36)을 선택적으로 엣칭해서 제거한다. 이로써 캐패시터영역(33)에 관한 반도체기판(31)의
Figure kpo00005
부영역중 일부 상면과 측면이 노출된다. 이렇게 노출된
Figure kpo00006
부의 상면과 측면에는 이온주입법으로 비소이온(As)을 주입해서 n-형 불순물영역(37)을 형성시킨 후에, 제4d도처럼 상기 n-형 불순물영역(37)의 표면에 열산화법으로 산화막(38)을 형성시키는 한편, 산화막(38)의 위에는 다결정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캐패시터전극(39)을 형성시킨다.
캐패시터영역(33)의 일부분이 도랑(GV1∼GV3)의 내부에 매립되어진 MOS캐패시터가 형성되어 진다.
한편, 캐패시터전극(39)상에는 제3b도처럼 층간절연막(40)을 형성시키고, 캐패시터영역(33)을 제외한 메모리셀 영역의
Figure kpo00007
부영역에는 게이트 산화물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층간절연막(40) 및 게이크산화막상에는 다결정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워드선(WL1∼WL8)을 형성시키고 메모리셀영역(32)에 이온주입법으로 소오스, 드레인영역을 형성시키므로써 MOS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그후 전면적으로 층간절연막(41)을 형성시킨 다음에 소정의 장소에 접속공(34)을 마련하고,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비트1 4
제5도에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DRAM중 1개의 메모리셀에 관한 일부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반도체기판(31)에 형성시킨 도랑(GV)의 폭은 도랑(GV)내에 매립된 캐패시터전극(39)의 두께(a)와 도량(GV)내에 퇴적된 산화물막(36)상에 연장된 캐패시터전극(39)의 길이(b) 및 캐패시터전극(39)와 MOS트랜지스터(TR)가 형성되어 있는 메모리셀 영역간의 간격(C)의 합으로 되어있다. 만약 0.8㎛규칙을 이용해서 DRAM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a=0.4㎛
b=0.3㎛
c=0.3㎛
이 각각 필요하게 되므로, 도랑(GV)의 폭 a+b+c는 1.0㎛이 된다. 이때 도랑(GV)내에 매립된 캐패시터전극(39)과 MOS트랜지스터(TR)가 형성된 메모리셀영역(32)간에 있는 산화막(36)의 두께 b+c는 0.6㎛이 된다.
그런데, 0.6㎛정도인 두께에서는 캐패시터전극(39)의 전위에 의해 메모리셀 영역(32)의 도랑(GV)에 접하는 측면부(B)가 반전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즉 도랑(GV)내의 캐패시터전극(39)을 게이크전극으로 하고, 도랑(GV)내의 산화막(38)을 게이트 산화막으로 하며, 메모리셀 영역의 MOS트랜지스터(TR)의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SR)(DR)을 각각 소오스 및 드레인영역으로 하는 기생 트랜지스터(奇生 transistor)가 형성되게되고, 이렇게 되면 기생 트랜지스터의 도통에 의해서 MOS트랜지스터(TR)의 소오스(SR) 및 드레인(DR)간에 신호누설경로가 형성되므로 메모리셀의 데이터가 파괴되어 버린다.
위에서 설명한 기생 트랜지스터에 의한 누설경로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산화막이 되는 산화막(36)의 두께 b+c를 1.2㎛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랑(GV)의 전체폭 a+b+c는 1.6㎛이상이 되어 기본구조에서 그 폭이 최소한 0.6㎛증가되게 된다. 따라서 2048개×2048개의 메모리셀을 포함하여서 된 DRAM에 있어서는 전체 칩의 폭이 약 1.2mm(=0.6㎛×2048개)만큼 증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도체기판에 형성시킨 도랑내에 기억 캐패시터(CAP)의 일부를 매립시켜서 된 DRAM에 있어서는 기생트랜지스터에 의한 신호누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칩 면적을 증대시켜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는 바, 이런 칩 면적의 증대는 DRAM 의 집적도에 반비례하기 때문에 고집적화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일반적으로 주름형 비트선 구성의 기억장치는 쌍을 이루는 비트선이 근접되어 평형으로 배치되므로, 비트선간의 캐패시턴스 불균형이나 비트선이 끼쳐지는 갖가지 요인에 의한 노이즈의 유도등이 개방형 비트선 구성으로 되는 기억장치에 비해서 대폭적으로 억제된다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감지증폭기를 배치하기 위해 비트선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핏치로서 통상적으로는 메모리셀 2개분에 상당하는 핏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패턴설계가 용이하게 된다는 잇점도 있다.
따라서 주름형 캐패시터 셀과 종형 캐패시터 셀 및 도랑형 캐패시터 셀을 주름형 비트선 구성으로 배열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갖가지 문제점이 있어서 실현되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메모리셀을 주름형 비트선 구성으로 배치하여 고집적화에 적당하도록 된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메모리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메모리셀과, 제1,제2입력단자에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영역에 형성된 감지증폭기, 상기 감지영역에 관해서 제1메모리셀 영역과 같은 쪽에 형성되어진 제2메모리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메모리셀, 상기 제1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행상의 메모리셀에 공통으로 결합되는 한편 대응되는 감지증폭기의 제1입력단자에 결합된 복수의 비트선 및, 상기 제2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행상의 메모리셀에 결합되는 한편 대응되는 감지증폭기의 제2입력단자에 결합된 복수의 비트선등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6a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DRAM의 일부 평면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6b도는 제6a도의 D-D선 단면도로서, 이 메모리셀 어레이의 각 구성부분간 결속관계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 실시예에 따른 DRAM에서는 종형 캐패시터 셀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주름형으로 비트선이 구성되고 있다. 즉, 제6a, b도에 도시된 DRAM과 제1a,b도에 도시된 DRAM의 차잇점은, 1) 메모리셀 1개분의 핏치로 쌍을 이루는 2본의 워드선이 제조공정상 다른 공정에 의해 2층구조로 형성되있다는 점(예컨대, 비트선(BLA)의 아랫쪽 및 윗쪽에 2본의 워드선(WL1, WL0)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 2) 워드선의 길이방향에 8개단위의 메모리셀로 이루어진 메모리셀의 블록중 인접한 교차영역(61)이 설치되어 있고, 메모리셀 블록에 대한 상·하층 워드선간 메모리셀 블록의 하·상층 워드선이 상기 교차영역(61)에 별도로 형성된 접속부(62)에 의해서 각기 접속되어 있다는 점, 3) 각
이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메모리셀의 블록이 동일한 워드선에 의해서 선택되는 일은 없으므로, 어떤 메모리셀 블록내에 있는 1본의 비트선과 인접한 메모리셀 블록내의 1본의 비트선으로 비트선의 쌍을 구성할 수 있고, 이렇게 구성되는 비트선의 쌍은 제7도와 제8도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감지증폭기에 결합된다. 예컨데 제6a도와 제7도 또는 제8도에 있어서, 메모리셀 블록(MB1)에 대한 하층 워드선(WL1)에 의해서 선택되는 메모리셀(MC1)에 비트선(BL11∼BL18)이 접속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인접한 메모리셀 블록(MB2)에 대한 하층 워드선(WL0)에 의해서 선택되는 메모리셀(MC2)에는 비트선(BL21∼BL28)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열된 메모리셀 블록(MB1)에 대한 비트선(BL11∼BL18)중의 한 비트선과 메모리셀 블록(MB2)에 대한 비트선(BL21∼BL28)중의 한 비트선으로 비트선의 쌍을 구성해서 한 개의 감지증폭기(SA)에 결합시킬 수 있는 바, 예컨데 비트선(BL11)(BL21)의 쌍을 한 감지증폭기(SA)에 결합시키고 비트선(BL12)(BL22)의 쌍을 다른 감지증폭기(SA)에 결합시키므로써 제7도에 도시된 결속도와 같이 주름형 비트선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게된다.
또한 제7도와는 달리, 비트선(BL11)(BL22)의 쌍과 비트선(BL12)(BL21)의 쌍에 대
한편, 상층 워드선(제6b도의 WL0)의 재질로서는 비트선(제1a도8)과 마찬가지로 실리사이드나 플리사이드, 고융점 금속, 알루미늄등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하층워드선(제6b도의 WL1)으로 메모리셀내의 트랜지스터 게이트전극을 형성시키지 않고, 각 게이트전극과 하층 워드선을 별도로 형성시켜서 양자를 접속공으로 접속시켜도 좋은 바, 요는 양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만 하면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트선의 윗쪽에 상층 워드선을 형성시켰지만, 양자의 상하관계를 역으로 구성해도 좋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DRAM에 있어서는 주름형 비트선의 구성을 실현해야 할 메모리셀 1개분의 핏치에 2본의 워드선을 배선하는 것인 바, 이 2본의 워드선을 동일층내에 형성시키는 것은 아니고 제조공정상 다른 공정에서 2층구조를 입체적으로 적층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아랫쪽의 워드선은 메모리셀의 게이트전극으로 사용하던가 또는 별도의 게이트전극에 접속시키고, 윗쪽의 워드선은 간단한 배선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워드선에 연한 방향에 있어서 적당수(예컨데 8개)의 메모리셀마다 상하의 워드선위치를 바꿈으로써, 제1의 워드선에 의해 하나 걸러씩 배치된 메모리셀 블록(MB1)중의 동일 행(row)상에 있어서의 메모리셀을 선택하고, 제2의 워드선에 의해 남겨진 메모리셀 블록(MB2)중의 동일 행상에 있어서의 메모리셀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따라 제1,제2워드선에 의해 접속되는 각각의 메모리셀 블록으로부터 쌍을 이루는 비트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면적으로 대용량을 이루는 메모리셀의 고집적화에 적합한 종형 캐패시터셀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랑형 캐패시터 셀을 이용한 DRAM에도 본 발명에 따른 주름형 비트선을 구성할 수 있다.
제9도에는 제2a, b도에 도시된 종래의 메모리셀과 상기 실시예에 따른 종형 캐패시터 셀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해서, 어떤 일정한 캐패시터 용량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셀의 점유면적과 패턴설계 최소칫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도면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종형 캐패시터 셀의 점유면적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특히 최소칫수가 1㎛보다 작은 경우에 종래(점선)의 점유면적 변화도에 비해 대폭적으로 작게 되므로, 이 종형 캐패시터 셀은 고밀도화에 적합하다 할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0a도는 다른실시예의 평면패턴도이고, 제10b도는 제10a의 E-E선 절단 단면도로서, 이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기억장치는 p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반도체기판(100)상에 워드선(WL1∼WL8)이 종방향으로 배열되고, 비트선(BL1∼BL8)이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이중 워드선(WL1 ,WL4 ,WL5 ,WL8)과 비트선(BL1,BL2,BL3,BL4)의 각 교점 및 워드선(WL2,WL3,WL6,WL7)과 비트선(BL5,BL6,BL7,BL8)의 각 교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0a도의 굵은 선으로 표시된 메모리셀 영역(102)에 형성되어진 MOS트랜지스터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워드선(WL2,WL3,WL6,WL7)과 비트선(BL1,BL2,BL3,BL4)의 각 교점 및 워드선(WL1,WL4,WL5,WL8)과 비트선(BL5,BL6,BL7,BL8)의 각 교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1점쇄선으로 둘러싸여 빗금쳐진 캐패시터영역(103)에 형성되어진 MOS캐패시터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캐패시터영역(103)은 캐패시터전극(104)으로 피복되어 있고, 또한 각 MOS트랜지스터 소오스 영역은 인접한 MOS캐패시터에 접속되며, 각 MOS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영역은 접속공(105)을 매개해서 비트선(BL1∼BL8)중 대응되는한 비트선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반도체기판(100)에는 도랑(GR1∼GR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랑(GR1∼GR3)의 바닥에는 P+형 불순물영역(10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이들 도랑(GR1∼GR3)내에는 산화막(108)이 매립되어 있고, 각 도랑(GR1∼GR3)의 사이에 형성되어진
Figure kpo00008
부 영역은 제10a도에서 굵은 선으로 둘러싸인 메모리셀영역(102)에 대응되는 것이다.
예컨대 이 메모리셀 영역(102)의 워드선(WL8)과 비트선(BL3)(BL4)의 교점에 대응되는 위치의
Figure kpo00009
부 영역 상면에는 각각 워드선(WL8)을 게이트전극으로 하는 MOS트랜지스터(도시되어 있지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워드선(WL8)과 비트선(BL5)(BL6)의 교점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10a도중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여 빗금쳐진 캐패시터 영역(103)이 대응되어 있다. 이 캐패시터영역(103)내의
Figure kpo00010
부영역 상면 및 측면에는 각각
Figure kpo00011
부 영역 상면 및 측면에는 n-형 불순물영역(109)과 산화막(110) 및 다결정실리콘의 캐패시터전극(104)으로 이루어진 MOS캐패시터가 구성되어 있는 바, 캐패시터영역(103)내의 도랑(GR3)내에는 다결정실리콘이 퇴적되어 상기 캐패시터전극(1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캐패시터전극(104)과 워드선(WL1∼WL8)의 사이 및 워드선(WL1∼WL8)과 비트선(BL1∼BL8)의 사이에는 각각 층간 절연막(111)(1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컨대 비트선(BL4)(BL5)사이의 메모리셀 분리영역에 형성된 도랑(GR2)에 있어서, 캐패시터영역(103)측에는 캐패시터전극(104)의 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비트선(BL3)(BL4)간의 도랑(GR1)이나 비트선(BL5)(BL6)간의 도랑(GR3)의 폭이 각각 0.8㎛인것임에 대해, 메모리셀 분리영역의 도랑(GR2)은 1.6㎛의 넓은 폭을 갖추고 있다.
다음에는 비트선(BL1∼BL8)과 감지증폭기(SA1∼SA4)의 접속관계가 제11도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 이도면에서 ○표시는 MOS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위치를 나타내고, ×표는 MOS 캐패시터가 배치된 위치를 나타낸다. 메모리셀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비트선(BL1-BL8)은 도시된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고, 워드선(WL1,WL4,WL5,WL8)의 각각과 비트선(BL1-BL4)의 교점 및 워드선(WL2,WL3,WL6,WL7)의 각각의 비트선(BL5-BL8)의 교점에 있어서, MOS캐패시터의 전하를 충방전시키기위한 MOS 트랜지스터가 비트선(BL1-BL8) 중 대응되는 한비트선에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워드선(WL4)을 선택한다면, 비트선(BL1-BL4)에 각각 결합된 4개의 메모리셀의 정보가 독출된다. 이 정보는 쌍을 이루는 비트선(BL1 과 BL8)(BL2와BL7)(BL3과BL6)(BL1-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8열의 비트선(BL1-BL8)을 포함하는 메모리셀 그룹에 관해 제1열로부터 제4열까지의 비트선(BL1-BL4) 아래에 형성된 메모리셀의 MOS 트랜지스터와 MOS캐패시터는 각각 실질적으로 1라인상에 배열되도록 상호 위치가 맞추어져 있고, 또한 제5열로부터 제8열까지의 비트선(BL5-BL8)아래에 형성된 메모리셀의 MOS 트랜지스터와 MOS 캐패시터도 각각 실질적으로 1라인상에 배열 되도록 상호 위치가 맞추어져 있다. 제4열의 비트선(BL4)의 하측에 있는 메모리셀의 MOS 트랜지스터와 MOS 캐패시터는 제5열의 비트선(BL5)의 하측에 있는 메모리셀의 MOS 트랜지스터와 MOS 캐패시터에 대해서 비트선이 연장되는 방향에 관하여 그 위치가 어긋나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한 비트선간의 메모리셀 분리영역에 형성된 도랑중 비트선(BL4)(BL5)간의 도랑(GR2)에 있어서 제5도로 설명한 기생 트랜지스터에 의한 누설경로가 형성될 위험이 있게 된다. 이러한 기생 트랜지스터로 말미암은 누설 경로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비트선(BL4)(BL5)간의 도랑(GR2)만을 폭이 넓게 형성시키면 된다. 다른도랑의 폭은 패터닝에 관한 한계까지 좁게할 수 있는데, 즉 0.8㎛규칙을 이용해서 반도체기억장치를 제조하는 경우, 비트선(BL1-BL8) 중 인접한 2열의 비트선간의 도랑은 1.6㎛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 비트선(BL4)(BL5)간의 도랑 (GR2)을 제외하고 모두 0.8㎛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진다. 인접한 메모리셀 그룹간의 도랑폭이 0.8㎛인 것을 고려한다면, 8열 비트선(BL1-BL8)으로 이루어진 1개의 메모리셀 그룹에 관한 도랑폭의 총합은
0.8㎛ × 7 +1.6㎛ = 7.2㎛
이 된다. 이것은 메모리셀 1개당 평균 도랑의 폭이
7.2㎛/8=0.9㎛
이라는 것을 뜻하는 바, 종래의 도랑폭이 1.6㎛인 것과 비교해 볼때 메모리셀 1개당 0.7㎛ 감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048개×2048개의 메모리셀로 이루어진 4K 비트의 DRAM을 고려한다면,
0.7㎛ ×2048개 ≒1.4mm
만틈 칩침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칩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집적도를 높힐 수 있게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르면, 캐패시터전극(104)상에 층간절연막(111)을 형성시킨 후 캐패시터영역(103)을 제외한 메모리셀 영역(102)의
Figure kpo00012
부 영역 상면을 노출시키는 PEP공정에 있어서, 패터닝을 위한 마스크구성이 간단하게 됨과 아울러, 마스크구성의 최대허용오차의 2배인 구성여유를 필요로 하는 장소가 감소되어진다. 즉,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는 모든 도랑에 대해 마스크를 맞출 필요가 있었기 때문에 각 도랑마다 구성 여유가 필요했으며 이로 말미암아 그 부분만큼 메모리셀의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런 구성 여유를 필요로 하는 장소가 각 메모리셀의 그룹당 1곳뿐이므로 칩전체에 대한 여유폭은 1/8 감소되어 지고, 그만큼 칩의 폭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이리하여 칩의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집적도 및 원료 대 제품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각 메모리셀 그룹에 속하는 비트선의 열의 수효가 많아질 수 있고, 또한 집적도도 현저하게 높아지게 된다.
더우기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증폭기(SA)의 설계가 용이해지는 바, 즉 종래의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도 쌍을 이루는 비트선을 일직선상에 형성시키고 그 중앙부에 감지증폭기를 형성시키므로써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메모리셀을 배치할 수 있지만,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도 제10b도에 나타낸 것처럼 기생 트랜지스터에 의한 신호누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비트선(BL4)(BL5)간에 1.6㎛정도를 충분히 넓은 폭을 가지는 도랑(GR2)을 형성시켰지만, 이 도랑 (GR2)대신 제12도에 도시한 것처럼 비트선(BL4)(BL5)간에 복수열의 도랑, 예컨대 도랑(GRx1)(GRx2)을 형성시켜도 된다. 이때 상기 도랑(GRx1)(GRx2)은 도랑(GR2)에 비해 그 폭이 좁게 된다. 전술한 도랑(GR2)은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산화막(108)을 이 도랑(GR2) 내부 전체에 매립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적당한 폭의 도랑 (GRx1)(GRx2)을 사용하면 상기한 문제가 해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한 것처럼 비트선(BL1-BL8)과 감지증폭기(SA1-SA4)가 결선되게 되어 있지만, 양자간의 결선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트선(BL1-BL4)중 선택된 1본과 비트선(BL5-BL8)중 선택된 1본으로 비트선의 쌍을 구성하고, 이러한 쌍을 감지증폭기(SA1-SA4)에 결합시켜도 좋다. 예컨대 제13도에 도시한 것처럼 비트선(BL1과 BL5)(BL2와 BL6)(BL3과 BL7)(BL4와BL8)을 각각 쌍으로 하여 감지증폭기(SA1-SA4)에 결속시켜도 좋다.
더우기,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메모리셀 그룹에 대해 4쌍의 비트선(BL1-BL8)을 설치하였지만, 이 비트선의 수는 4쌍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쌍이상이면 된다. 일반적으로 각 메모리셀 그룹의 비트선 수효가 증가되면 될수록 본 발명의 효과는 더 커지
이상에서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를 구현하기 위한 몇몇예인 바, 본 발명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모리셀 블록(MB1)(MB2)으로 부터의 4쌍의 비트선에 결합되는 4개의 감지증폭기(SA)가 플립플롭 트랜지스터를 주된 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이 플립플롭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방향이 각 비트선(BL11, BL12, BL21, BL22)등이 연장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4개의 감지증폭기를 제14도에 나타낸 것처런 비트선(Bl11)(BL21)등이 연장된 방향으로 배열하거나, 4개의 감지증폭기를 포함하는 감지증폭기 그룹을 비트선(BL11)(BL12)등이 연장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메모리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메모리셀과 감지영역에 형성된 감지증폭기, 이 감지영역에 관하여 상기 제1메모리셀영역과 같은쪽에 배치된 제2메모리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메모리셀등으로 구성된 반도체기억장치가 제공되는 바,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종형 캐패시터셀이나 주름형 캐패시터셀등의 고집적화에 적합한 메모리셀을 주름형 비트선 구성으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6)

1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캐패시터로 형성된 메모리셀 복수개를 행렬배치해서 이루어진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제1메모리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메모리셀과, 제1, 제2입력단자로 수신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영역에 형성된 N 개의 감지증폭기, 상기 감지영역에 관해서 상기 제1메모리셀 영역과 같은 폭에 형성되어진 제2메모리셀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매모리셀, 상기 제1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 행열상의 메모리셀에 공통으로 결합되는 한편, 대응되는 감지증폭기의 제1입력단자에 결합된 사분의 비트선, 상기 제2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 행열상의 메모리셀에 공통으로 결합되는 한편 대응되는 감지증폭기의 제2입력단자에 결합된 N본의 비트선, 상기 제1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 열상의 메모리셀에 결합된 복수의 워드선 및, 상기 제2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 열상의 메모리셀에 결합된 복수의 워드선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은 MOS 트랜지스터와 종형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종형 캐패시터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2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중 제1메로리셀 영역내의 메모리셀에 결합되는 각 워드선은 제1메모리셀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1도전층과, 제2메모리셀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도전층에 결합되는 제2도전층으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제2메모리셀 영역에 형성되어진 메모리셀에 결합되는 각 워드선은 제1도전층의 상층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도전층에 결합되는 제4도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3항에 있어서, 제1, 제4도전층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는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은 인접한 2본의 비트선간에 걸쳐있는 분리영역에 형성되어진 도랑내에 전극의 일부가 형성된 캐패시터와, 이 캐패시터에 결합된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는 주름형 캐패시터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5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에 관한 제1, 제2메모리셀 영역간에는 비트선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제1, 제2메모리셀 영역내에 형성된 도랑보다도 폭이 더 넓은 1개의 도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5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에 관한 제1, 제2메모리셀 영역간에는 비트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도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이 도랑형 메모리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항에 있어서, 감지증폭기가 비트선이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1개의 트랜지스터와 1개의 캐패시터로 형성된 메모리셀 복수개를 행렬배치해서 이루어진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1라인 상에 교대로 배열되며 복수의 메모리셀이 형성되어 있는 제1, 제2메모리셀 영역과, 제1, 제2입력단자에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영역에 형성되어진 감지증폭기, 제1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한 열상의 메모리셀에 결합되고 또한 대응되는 감지증폭기의 제1입력 단자에 결합된 복수의 비트선, 제2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한 행열상의 메모리셀에 결합되고 또한 대응되는 감지증폭기의 제2입력단자에 결합된 복수의 비트선, 상기 제1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한 열상의 메모리셀에 결합된 복수의 워드선 및, 상기 제2메모리셀 영역내의 동일한 열상의 메모리셀에 결합된 복수의 워드선등을 구비하여서 이루어진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0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을 MOS 트랜지스터와 종형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종형 캐패시터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1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중 제1메모리셀 영역내의 메모리셀에 결합되는 각 워드선은 제1메모리셀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제1도전층과 제2메모리셀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제1도전층에 결합되는 제2도전층으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제2메모리셀 영역에 형성되어진 메모리셀에 결합되는 각 워드선은 제1도전층의 상측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3도전층과, 제2도전층의 하측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도전층에 결합되는 제4도전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2항에 있어서, 제1 제4도전층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고, 제2, 제3도전층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되는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0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은 인접한 2본의 비트선간에 걸쳐있는 분리영역에 형성되어진 도랑내에 전극의 일부가 형성된 캐패시터와, 이 캐패시터에 결합된 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있는 주름형 캐패시터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4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에 관한 제1, 제2메모리셀 영역간에는 비트선과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제1, 제2메모리셀 영역내에 형성된 도랑보다도 폭이 더 넓은 1개의 도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제14항에 있어서, 각 메모리셀에 관한 제1, 제2메모리셀 영역간에는 비트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도랑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KR1019860002358A 1985-03-30 1986-03-28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KR900001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66757A JPS61227292A (ja) 1985-03-30 1985-03-30 ダイナミツク型半導体メモリ
JP60-66757 1985-03-30
JP60-194695 1985-09-03
JP60194695A JPS6254461A (ja) 1985-09-03 1985-09-03 半導体記憶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747A KR860007747A (ko) 1986-10-17
KR900001226B1 true KR900001226B1 (ko) 1990-03-05

Family

ID=2640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358A KR900001226B1 (ko) 1985-03-30 1986-03-28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733374A (ko)
KR (1) KR9000012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7188B2 (en) 2003-02-12 2007-02-13 Sharp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0860A (en) * 1986-06-27 1990-12-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ross-coupled complementary bit lines for a semiconductor memory with pull-up circuitry
US5214601A (en) * 1986-12-11 1993-05-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Bit line structure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cross-points and multiple interconnect layers
JPS63183691A (ja) * 1987-01-26 1988-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S63239674A (ja) * 1987-03-27 1988-10-05 Hitachi Ltd ダイナミツク型ram
JPH0713864B2 (ja) * 1989-09-27 1995-02-15 東芝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930001737B1 (ko) * 1989-12-29 1993-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어레이의 워드라인 배열방법
KR920010344B1 (ko) * 1989-12-29 1992-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어레이의 구성방법
US5214600A (en) * 1989-12-30 1993-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array having interdigitated bit-line structure
KR920005150A (ko) * 1990-08-31 1992-03-28 김광호 씨모오스디램의 센스 앰프 구성방법
FR2668640A1 (fr) * 1990-10-30 1992-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ire a semi-conducteurs possedant des lignes de bit et des lignes de mot qui se croisent.
DE4034693A1 (de) * 1990-10-31 1992-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lbleiterspeichervorrichtung
US5276641A (en) * 1991-12-12 1994-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ybrid open folded sense amplifier architecture for a memory device
US5303196A (en) * 1992-05-22 1994-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en bit line memory devices and operational method
JP3086757B2 (ja) * 1992-09-28 2000-09-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ティック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
US8411479B2 (en) * 2009-07-23 2013-04-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mory circuits, systems, and methods for routing the memory circuits
JP6070526B2 (ja) * 2013-12-11 2017-02-01 豊田合成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5907A (en) * 1975-07-10 1977-05-24 Burroughs Corporation Interlaced memory matrix array having single transistor cells
US4045783A (en) * 1976-04-12 1977-08-30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Mos one transistor cell ram having divided and balanced bit lines, coupled by regenerative flip-flop sense amplifiers, and balanced access circuitry
JPS57111061A (en) * 1980-12-26 1982-07-10 Fujitsu Ltd Semiconductor memory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7188B2 (en) 2003-02-12 2007-02-13 Sharp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display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33374A (en) 1988-03-22
KR860007747A (ko) 1986-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226B1 (ko) 다이내믹형 반도체기억장치
US530525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memory cell matrix obliquely arranged with respect to bit lines
US5578847A (en)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higher density bit line/word line layout
JP2974252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950010393B1 (ko) 반도체 기억장치
KR940005889B1 (ko)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005296A (en) Layout for SRAM structure
KR940005888B1 (ko) 반도체기억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0055572B1 (e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250831A (en) DRAM device having a memory cell array of a divided bit line type
US501230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omprising capacitor portions having stacked structures
EP0176254A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859805A (en)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improved sense amplifier layout arrangement
US4855953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stacked memory capacito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30041817A (ko) 반도체기억장치
US583803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a minimum memory cell area approximate to a theoretical value
JP2638487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940010833B1 (ko) 다이나믹형 반도체메모리
JP2852735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273779B1 (ko) 소형 반도체 스토리지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315591B1 (ko) 스태틱형반도체기억장치
KR100352766B1 (ko)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컬럼 경로 레이아웃 구조 및방법
JP3247573B2 (ja) ダイナミック型半導体記憶装置
EP0817269B1 (en) Wordline layou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414253A (ja) ダイナミックram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