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518B1 -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의 구조 - Google Patents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518B1
KR900000518B1 KR1019870000225A KR870000225A KR900000518B1 KR 900000518 B1 KR900000518 B1 KR 900000518B1 KR 1019870000225 A KR1019870000225 A KR 1019870000225A KR 870000225 A KR870000225 A KR 870000225A KR 900000518 B1 KR900000518 B1 KR 90000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efroster
duct
cowl box
fron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017A (ko
Inventor
도시노리 사까모도
유우조 사토오
히로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켕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08322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6614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00832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166144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모도 켕이찌 filed Critical 마쯔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7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2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fro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의 구조
제1도는 종래예와 비교해서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부 종단면도.
제2도는 그 서리제거장치덕트로부터 뿜어나오는 공조바람(空調風 : 공기조화기의 바람)의 분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그 서리제거장치덕트의 평면도.
제4도는 그 서리제거장치덕트의 종단면도.
제5도는 그 서리제거장치덕트의 내장하는 계기판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서리제거장치덕트로부터 뿜어나오는 공조바람의 분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그 서리제거장치덕트의 평면도.
제8도는 그 서리제거장치덕트의 종단면도.
제9도는 그 서리제거장치덕트의 정면도.
제10도는 그 서리제거장치를 내장하는 계기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차실내 14 : 카울박스
15 : 트론트윈도우 20 : 서리제거장치덕트
21 : 분출구 40 : 서리제거장치덕트
41 : 서리제거장치덕트의 상벽 42 : 정면분출구
43 : 측면분출구
본 발명은 프론트윈도우의 경사를 크게한 차량에 있어서, 카울박스내의 스페이스를 환기나 와이퍼장치등의 설치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프론트윈도우의 차폭방향 양단부 내지 사이드윈도우에서의 흐려지는 것 까지도 제거하거나 방지를 할 수 있는 충분한 서리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등의 차량에 있어서는 프론트윈도우의 흐려지는 것을 제거하거나 방지를 하기 위해서, 공조장치로부터 인도되는 공조바람을 프론트윈도우에 뿜어대는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를 착설하는 것이 통례이다.
종래의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7-12561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실내의 앞쪽에 착설된 카울박스의 뒤쪽에 배치되고, 상면에 공조바람을 내뿜는 분출구를 가지고 있는 서리제거장치덕트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에 있어서는, 제1도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리제거장치덕트(1)의 분출구(2)로부터 내뿜는 공조바람의 풍향은 카울박스(3)의 후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서리제거장치덕트(1)의 보조주로(4)의 방향에 의해서 제어되며, 통상, 필요한 시계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범위에 걸쳐서 공조바람이 프론트윈도우에 따라서 흐르도록, 파선화살표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윈도우(5)의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각도방향으로부터 공조바람이 불어대도록 제어된다.
그런데, 자동차의 기본스타일 혹은 프로포오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프론트윈도우(15)의 하연부를 종래보다도 차실내 앞쪽으로 위치시켜, 프론트윈도우의 경사를 크게하는 일이 있다. 여기서, 상기 카울박스(3)의 내부스페이스를 환기통로나 도시하지 않는 와이퍼장치의 설치스페이스로서 이용하기 위해서는, 프론트윈도우(15)의 하연부를 카울박스(3)의 앞부분의 위쪽에 고정하고, 카울박스(3)가 프론트윈도우(15)의 하연부보다도 크게 차실내 쪽으로 나오도록 설치되는 것이 통례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분출구(2)가 카울박스(3)의 뒤쪽에 위치하는 종래의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에서는, 프론트윈도우(15)의 소정의 높이로 향해서 소정의 방향으로부터 공조바람을 뿜어댈 수가 없으며, 프론트윈도우(15)의 하부의 흐려지는 것을 제거할 수가 없었다.
그리하여, 카울박스(3)의 후면을 프론트윈도우(15)의 하연부에 대응시켜서 차실내의 앞쪽으로 치우치게 하는 일이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엔진실(12)을 좁게 할 수는 없으므로, 카울박스(3)의 전후폭이 좁혀지게 된다. 이 결과, 정면충돌시에 카울박스(3)의 변형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는 프론트패널(14a)의 변위량이 작아져서, 프론트윈도우(5)의 탈락방지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불리하게 되는 외에, 카울박스(3) 내부의 공간이 작아지므로, 카울박스(3) 내부의 공간을 환기의 통로나 도시하지 않는 와이퍼장치의 수납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또, 종래의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는, 냉각시동시등에, 먼저 운전석과 조수석의 앞쪽의 비교적 중요한 개소의 흐려진 것을 제거하도록, 운전석과 조수석의 앞쪽으로 집중적으로 공조바람을 내뿜도록 되어 있으므로, 프론트윈도우의 차폭방향양단부의 청명성능의 속효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냉간시동시등에 사이드윈도우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하여, 사이드 윈도우에 공조바람을 내뿜어대는 사이드윈도우 서리제거장치 또는 사이드데미스터를 구비하는 것도 적지 않다.
이와 같이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와 사이드데미스터를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는,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와 사이드데미스터의 공조바람을 내뿜는 분출구는 서로 독립해서 형성되며, 각각의 분출구가 서로 독립한 덕트 혹은 도중에서 분기한 덕트를 개재해서 공조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조바람을 분배하는 덕트의 구조가 복잡하고, 덕트의 장착작업성이 비교적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의 분출구로부터 내뿜는 공조바람의 방향과 사이드데미스터의 분출구로부터 내뿜는 공조바람의 방향이 연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프론트윈도우의 차폭방향의 외연부로부터 사이드윈도우의 앞가장자리부에 걸치는 범위에 이들분출구로부터 내뿜는 공조바람이 도달하기 어려워, 청명성능의 속효성이 낮아지는 개소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론트윈도우의 경사각을 크게한 차량에 있어서, 정면충돌시의 프론트윈도우의 탈락방지를 충분히 도모할 수 있고, 또, 카울박스내의 스페이스를 환기나 와이퍼장치등의 설치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프론트윈도의 차폭방향의 외연부로부터 사이드윈도우에 걸친 범위에도 청명성능의 속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서리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조바람을 프론트윈도우의 아래쪽으로부터 상기 프론트윈도우를 향해서 내뿜는 서리제거장치덕트를 가진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윈도우의 하연부가 차실내 앞쪽으로 배치된 카울박스의 앞부분의 위쪽에 고정되고,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는 카울박스의 위쪽에서 카울박스의 뒤쪽으로부터 프론트윈도우의 하연부의 근처까지 연설되는 한편,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는 차폭 방향으로 뻗고, 이 서리제거장치덕트의 앞가장자리부에 차폭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된 정면분출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서리제거장치덕트의 차폭방향의 외연부에 사이드윈도우 차길이 방향으로 뻗는 측면분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실내(11)의 앞면에는 차실내(11)와 엔진실(12)을 구획하는 대시하부(13)가 설치되며, 그 위쪽으로 카울박스(14)가 설치된다. 이 카울박스(140는 대시하부(13)와 하나의 면형상으로 입설된 카울프론트패널(14a0과, 이 카울프론트패널(14a) 하연에 연결되고, 차실내(11)쪽으로 L자형상으로 나온 카울패널하부(14b)와, 이 카울패널하부(14b)의 후부상연에 뒤가장자리부가 접합된 카울패널상부(14c)와, 이 카울패널상부(14c)의 앞부분의 상면에 고정된 보강부(14d)로 이루어진다. 상기 카울박스(14)의 앞부분의 위쪽에는 공지의 수법을 사용해서 프론트윈도우(15)의 하연부가 고정된다. 상기 카울프론트패널(14a)의 상연부와 보닛(16)의 뒤가장자리부와의 사이는 봉지부재(17)에 의해서 봉지되며, 상기 보닛(16)의 뒤가장자리부와 상기 카울패널상부(14c)의 앞가장자리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는 와이퍼아암의 통과공간을 겸하는 환기에어취입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카울박스(14)의 뒤쪽에는 도시하지 않는 공조장치에 접속된 좌우 1쌍의 중간덕트(19)가 배치되며, 각 중간덕트(19)의 상단에 각각 카울박스(14)의 뒤쪽으로부터 그 위쪽앞으로 뻗는 서리제거장치덕트(20)가 접속된다. 각 서리제거장치덕트(2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앞가장자리가 상기 프론트윈도우(15)의 하연부에 따라서 반궁형(半弓形)으로 만곡하는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앞가장자리부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분출구(21)가 개구되고 있다. 분출구(21)의 방향은 여기서부터 내뿜은 공조바람이 프론트윈도우(15)의 내면을 따라 후경사상향으로 향하도록 개구시키면 된다. 여기서는 분출구(21)는 서리제거장치덕트(20)의 상벽(22)의 앞가장자리부에 상향으로, 또한, 그 앞가장자리를 따라서 차폭방향으로 뻗도록 개구된다. 또, 이 분출구(21)로부터 내뿜는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을 규제하기 위하여,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서리제거장치덕트(20)의 내부에 그 분출구(21)로부터 적당한 거리 d를 두고서 서리제거장치덕트(20)의 상벽(22)으로부터 하향을 높이 h에 걸쳐서 돌출시킨 풍향제어벽(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20)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출구(21)로부터 내뿜는 공조바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통풍구(24)를 가진 커버(25)로 씌워진다. 이 커버(25)는 계기판(26)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계기판(26)의 본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계기판(26)에는, 상기 공조장치로부터 도입된 공조바람을 차실내(11)에 내뿜는 중앙과 좌우양쪽의 각 배풍그릴(27)(28) 및 사이드윈도우(29)의 흐려진 것을 제거하는 좌우 1쌍의 사이드서리제거장치(3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공조바람은 중간덕트(19)를 개재해서 서리제거장치(20)에 도입되어, 그 앞가장자리부의 분출구(21)로부터 그 위쪽의 프론트윈도우(15)를 향해서 분출된다. 중간덕트(19)로부터 서리제거장치덕트내에 공급된 공조바람의 동압은 유로단면적의 확대와 공조바람이 풍향제어벽(23)에서 막아내게 됨으로써 대폭적으로 해소되며, 공조바람은 주로 정압에 의해서 분출구(21)로부터 분출된다. 그 결과, 분출구(21)로부터의 분출압력은 차폭방향으로 한결같이 되고, 풍량분포는 분출구(21)의 앞뒤방향의 폭에 비례해서 증감시킬 수 있다.
이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은 상기 풍향제어벽(23)의 높이 및 분출구(21)로부터의 거리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제2도의 가는선 화살표시로 표시한 하연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 에어커어튼형상으로 해서 뿜어대어, 프론트윈도우(15)를 따라서 후경사상향으로 뿜어올릴 수 있어, 강력한 서리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20)가 카울박스(14)의 위쪽에 배치되어, 그 앞가장자리부에 분출구(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리제거장치덕트(20)의 후단부에 접속된 중간덕트(19) 및 서리제거장치덕트(20)에 의해서 카울박스(14)의 앞뒤방향의 치수가 제한되지 않고, 카울박스(14)의 앞뒤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크게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면충돌시에 카울박스(1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는 대시하부(13)의 변위량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정면충돌시의 프론트윈도우(15)의 탈락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카울박스(14)의 앞뒤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크게할 수 있으므로, 카울박스(14)내에 환기에어통로나 오이퍼장치를 수납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20)를 편평하게 형성할 경우에는, 카울박스(14)의 높이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정면충돌시의 프론트윈도우(15)의 탈락방지를 기하는 데 있어서 한층 유리하게 되는 동시에, 카울박스(14)내의 공간을 한층 크게해서, 환기에어통로로서의 통풍성능을 높일 수 있고, 또, 와이퍼장치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서리제거장치덕트(20)내에 서리제거장치덕트(20)의 상벽(22)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설시킨 풍향제어벽(23)의 위치 및 서리제거장치덕트(20)내에의 돌출량에 의해서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이 제어되고 있으나, 이 풍향제어벽(23)에 의한 풍향제어와 동시에, 혹은 이 풍향제어벽(23)을 생략하고, 분출구(21) 혹은 계기판(26)의 통풍구(24)에 루우버를 가진 장식부재를 착설, 이 루우버에 의해서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6도 내지 제10도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부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조장치로부터의 덕트에 접속된 좌우 1쌍의 각 서리제거장치덕트(40)는, 앞가장자리가 상기 프론트윈도우(35)의 하연부를 따라서 반궁형으로 만곡하는 편평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벽(41)의 앞가장자리부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정면분출구(42)가 개구된다. 또, 이 정면분출구(42에 연속해서 서리제거장치덕트(40)의 상면의 차폭방향의 외연부에 차길이방향으로 뻗는 측면분출구(43)가 개구되고 있다. 정면분출구(42)의 방향은, 여기서부터 분출된 공조바람이 프론트윈도우(35)의 내면을 따라서 후경사상향으로 향하도록 개구시키면 된다.
여기서는, 정면분출구(42)는 서리제거장치덕트(40)의 상벽(41)의 앞가장자리부에 상향으로, 또한, 그 앞가장자리를 따라서 차폭방향으로 뻗도록 개구된다. 또, 상기 정면분출구(42)로부터, 분출되는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을 규제하기 위하여,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서리제거장치덕트(40)의 내부에 상기 정면분출구(42)로부터 적당한 거리 d를 두고 서리제거장치덕트(4))의 상벽(4)으로부터 하향으로 높이 h에 걸쳐서 돌출시킨 정면풍향제어벽(44)이 형성된다. 또, 상기 측면분출구(43)로부터 분출되는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을 규제하기 위하여, 이 정면풍향제어벽(44)에 연속해서, 각 서리제어장치덕트(40)의 내부에 상기 측면분출구(43)로부터 적당한 거리 d를 두고서 서리제거장치덕트(40)의 상벽(41)으로부터 하향으로 높이 h에 걸쳐서 돌출시킨 측면풍향제어벽(45)이 형성된다.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40)는 그 차폭방향의 내연부에서 중간덕트(19)(제1실시예 제1도 참조)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거기서부터의 조주거리(助走距離)가 비교적 긴 서리제거장치덕트(40)의 차폭방향의 외연부에서는 분출압력의 저하와 이에 의한 분출풍량의 저하가 발생하는 염려가 있다. 이와 같은 서리제거장치덕트(40)의 외연부에서의 풍량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서리제거장치덕트(40)의 저벽(46)을,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리제거장치덕트(40)의 차폭방향의 외연부에 접근할수록 상벽에 점점 가까워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40)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하는 상기 정면분출구(42) 및 측면분출구(43)로부터 분출되는 공조바람의 프론트윈도우(35)에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게 하는 1쌍의 반궁형의 통풍구(47)를 가진 커버(48)로 씌워진다. 이 커버(48)는 계기판(49)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계기판(49)의 본체(50)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계기판(49)에는, 상기 공조장치로부터 도입된 공조바람을 차실내에 내뿜는 중앙과 좌우양쪽의 각 배풍그릴(51)(52)이 배설된다. 여기서는 시행적으로 계기판(49)에 사이드윈도우(53)의 흐려진 것을 제거하는 좌우 1쌍의 사이드데미스터(54)가 종래와 마찬가지의 수법으로 착설된다.
상기 수성에 있어서, 공조바람은 중간덕트(19)를 개재해서 서리제거장치덕트(40)에 도입되며, 그 정면분출구(42)와 측면분출구(43)로부터 이들의 위쪽의 프론트윈도우(35)를 향해서 분출된다. 중간덕트(19)로부터 서리제거장치덕트(40)내에 공급된 공조바람의 동압은, 유로단면적의 확대와 공조바람이 정면풍향제어벽(44) 또는 측면풍향제어벽에서 막아내게 됨으로써, 대폭적으로 해소되고, 공조바람은 주로 정압에 의해서 정면분출구(42) 및 측면분출구(43)로부터 분출된다. 그 결과, 정면분출구(42)로부터의 분출압력은 차폭방향으로 한결같이 되고, 풍량분포는 정면분출구(42)의 앞뒤방향의 폭에 비례해서 증감시킬 수가 있다.
측면분출구(43)로부터 분출되는 공조바람의 분출압력 및 풍량도 마찬가지로 해서 제어된다. 정면으로의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은 상기 정면풍향제어벽(44)의 높이 및 정면분출구(42)로부터 거리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그 결과, 제6도의 화살표시 A로 표시한 바와 같이, 공조바람을 프론트윈도우(35)의 하연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 커어튼형상으로 뿜어대어, 프론트윈도우(35)를 따라서 후경사상방향으로 뿜어 올릴 수 있다. 측면으로의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은, 상기 측면제어벽(45)의 높이 및 측면분출구(43)로부터의 거리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그 결과, 제6도의 화살표시 B로 표시한 바와 같이, 프론트윈도우(35)의 차폭방향 양단부로부터 사이드윈도우(53)의 앞가장자리부에 걸쳐서 공조바람을 뿜어댈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데미스터(54)로부터의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은, 제6도의 화살표시 C로 표시된다.
또,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40)가 카울박스(14)(제1실시예 제1도 참조)의 위쪽에 배치되고, 그 앞가장자리부 및 차폭방향외연부에 정면분출구(42) 및 이에 연속하는 측면분출구(4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리제거장치덕트(40) 및 이의 차폭방향내연쪽이며 그 후단부에 접속된 중간덕트(19)에 의해서 카울박스(14)의 앞뒤방향의 치수가 제한되지 않고, 카울박스(14)의 앞뒤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크게할 수 있다.
그 결과, 정면충돌시에 카울박사(14)의 변형에 의해 흡수할 수 있는 대시하부(13)의 변위량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어 정면충돌시의 프론트윈도우(35)의 탈락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카울박스(14)의 앞뒤방향의 치수를 충분히 크게할 수 있으므로, 카울박스(14)내에 환기통로나 와이퍼장치를 수납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40)를 편평하게 형성할 경우에는, 카울박스(14)의 높이를 크게할 수 있으므로, 정면충돌시의 프론트윈도우(35)의 탈락방지를 기하는데 있어서 한층 유리하게 되는 동시에, 카울박스(14)내의 공간을 한층 크게해서, 환기에어통로로서의 통풍성능을 높일 수 있고, 또, 와이퍼장치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특히,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40)를 편평하게 형성했을 경우에는, 카울박스(14)와 계기판(49)와의 사이에 서리제거장치덕트(40)를 수납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공간의 높이를 낮게할 수 있으므로, 계기판(49)의 설치높이를 낮게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서리제거장치덕트(40)내에 서리제거장치덕트(40)의 상벽(41)에서부터 하향으로 돌설시킨 정면풍향제어벽(44) 혹은 측면풍향제어벽(45)의 위치 및 서리제거장치덕트(40)내에의 돌출량에 의해서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이 제어되고 있으나, 이들 풍향제어벽(44)(45)에 의한 풍향제어와 동시에 혹은 이들 풍향제어벽(44)(45)을 생략하고, 정면분출구(42)나 측면분출구(43) 혹은 계기판(49)의 통풍구(47)에 루우버를 가진 장식부재를 착설하여, 이 루우버에 의해서 공조바람의 분출방향을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면분출구(42)와 측면분출구(43)가 연속하고 있으나, 이것들을 서로 분리해서 개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종래와 마찬가지의 사이드데미스터(54)가 배설되어 있으나, 이것을 생략하여 부품점수를 감소시키고, 조립작업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는 이상과 같이, 서리제거장치덕트가 카울박스의 뒤쪽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설되고, 이 서리제거장치덕트의 앞부분에 공조바람을 내뿜는 정면분출구를 상향으로 개구시킴과 동시에 이 서리제거장치덕트의 축방향의 외연부에 측면분출구를 개구시켜 놓았기 때문에, 프론트윈도우의 하연부가 종래보다도 앞쪽으로 위치시킨 차량에 있어서, 정면분출구로부터 공조바람을 충분히 프론트윈도우의 아래쪽에 뿜어댈 수 있어, 프론트윈도우 정면의 청명성능의 속효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측면분출구로부터 공조바람을 프론트윈도우의 차폭방향의 외연부로부터 사이드윈도우에 걸친 범위의 청명성능의 속효성도 얻을 수 있어, 충분한 서리제거효과를 프론트윈도우 전체면 및 사이드윈도우에 걸쳐서 얻을 수 있다. 또, 프론트윈도우의 하연부가 카울박스의 위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서리제거장치덕트가 카울박스위쪽에 카울박스의 뒤쪽으로부터 앞쪽을 향해서 연설되어 있으므로, 카울박스를 충분히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정면충돌시의 프론트윈도우 탈락방지를 충분히 기할 수 있고, 또, 카울박스내의 스페이스를 환기에어통로나 와이퍼장치등의 설치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2)

  1. 공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조바람을 프론트윈도우(15)의 아래쪽으로부터 이 프론트윈도우(15)를 향해서 내뿜는 서리제거장치덕트(20)를 가진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윈도우(15)의 하연부가 차실내 앞쪽에 배치된 카울박스(14)의 앞부분의 위쪽에 고정되고,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20)는 카울박스(14)의 위쪽에서 카울박스(14)의 뒤쪽으로부터 프론트윈도우(15)의 하연부의 근처까지 연설되고, 이 서리제거장치덕트(20)의 앞가장자리부에 공조바람을 내뿜는 분출구(21)를 개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에는 상기 서리제거장치덕트의 차폭방향의 외연부에 사이드윈도우 차길이 방향으로 뻗는 측면분출구(4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구조.
KR1019870000225A 1986-01-17 1987-01-14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의 구조 KR900000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8322 1986-01-17
JP61008322A JPS62166145A (ja) 1986-01-17 1986-01-17 ウインドシ−ルドデフロスタ−構造
JP61008321A JPS62166144A (ja) 1986-01-17 1986-01-17 ウインドシ−ルドデフロスタ−構造
JP8322 1986-01-17
JP8321 1986-01-17
JP61-8321 1986-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017A KR870007017A (ko) 1987-08-14
KR900000518B1 true KR900000518B1 (ko) 1990-01-31

Family

ID=2634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225A KR900000518B1 (ko) 1986-01-17 1987-01-14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의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66805A (ko)
KR (1) KR900000518B1 (ko)
DE (1) DE37010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2951A1 (en) * 2019-11-29 2021-06-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efroster structur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5668A (en) * 1991-12-02 1993-11-30 Four Winds International Corporation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vehicles
JP3483986B2 (ja) * 1995-06-15 2004-01-0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自動車の空調ダクト構造
DE19952158A1 (de) * 1999-10-29 2001-05-03 Volkswagen Ag Belüftungsanordnung für eine Scheibe eines Kraftfahrzeugs
FR2872741B1 (fr) * 2004-07-07 2008-09-19 Valeo Climatisation Sa Module d'acheminement et de distribution d'air en provenance d'un ensemble thermique d'une installation de chauffage, de ventilation et/ou de climatisation pour habitacle de vehicule
US8821225B2 (en) * 2010-03-19 2014-09-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instrument panel
JP2016088188A (ja) * 2014-10-31 2016-05-23 豊和化成株式会社 空気吹出装置
JP6144742B2 (ja) * 2015-09-30 2017-06-07 株式会社Subaru 車両の風切音低減構造
US10787154B2 (en) * 2016-09-07 2020-09-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dshield defroster with secondary ducted outlet
DE102017223436B4 (de) * 2017-12-20 2023-01-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einem in der Instrumententafel integrierten Head-Up-Display
CN112848838B (zh) * 2021-01-18 2022-10-28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用低温高速工况防起雾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73077A (en) * 1965-10-14 1967-06-21 Ford Motor Co Motor vehicle heating and ventilating system
US3359881A (en) * 1965-10-22 1967-12-26 Terrence R Lamb Windshield defrosting unit for automobile
DE1939434A1 (de) * 1969-08-02 1971-02-11 Daimler Benz Ag Einrichtung zur Klimatisierung von Fahrzeuginnenraeumen
DE2636640A1 (de) * 1976-08-13 1978-02-1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inrichtung zum zufuehren von frischer und/oder erwaermter luft in den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JPS5516747Y2 (ko) * 1977-04-01 1980-04-18
JPS5675273A (en) * 1979-11-19 1981-06-22 Nissan Motor Co Ltd Cowl structure for car
DE3023236A1 (de) * 1980-06-21 1982-01-1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Zwischen dem motor- bzw. kofferraum und der spritzwand eines kraftwagens angeordneter aggregateraum
JPS57125619A (en) * 1981-01-30 1982-08-05 Kanji Sano Warming apparatus of greenhouse
JPS58178084A (ja) * 1982-04-12 1983-10-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アダクト
DE3339892A1 (de) * 1983-11-04 1985-05-23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Defrosteranlage fuer ein kraftfahrzeug
US4588351A (en) * 1984-09-21 1986-05-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Centrifugal-type air blower bleed-off arrange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62951A1 (en) * 2019-11-29 2021-06-0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efroster structure
US11766994B2 (en) * 2019-11-29 2023-09-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Defroste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66805A (en) 1988-08-30
DE3701081C2 (ko) 1992-05-21
DE3701081A1 (de) 1987-08-06
KR870007017A (ko) 198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9899A (en) Interior ventilation system with side view mirror de-icing
KR900000518B1 (ko) 방풍유리 서리제거장치의 구조
US2172939A (en) Vehicle ventilation apparatus
US6257975B1 (en)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s
US4805522A (en) Cross member structure for automobile
JP4387719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6431977B1 (en) Air inlet for a heating or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in an motor vehicle
US4459901A (en) Rear side window demister
CN107042742B (zh) 用于将通风空气供应给车辆内部的通风装置的装置和方法,以及机动车辆
JPH11348602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デフロスタ構造
KR100543758B1 (ko) 자동차의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의 구조
JP4232126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EP3828021B1 (en) Vehicle defroster structure
KR100543760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터 덕트 구조
JP3251891B2 (ja) 自動車用デフロスタダクト構造
JPH07196054A (ja) オ−プンカ−の車体構造
JPS62166144A (ja) ウインドシ−ルドデフロスタ−構造
KR10055061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디프로스트 덕트 구조
US20230294773A1 (en) Vehicle cowl structure
JPH0437008Y2 (ko)
JPH0569858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116687Y2 (ko)
KR0126603Y1 (ko) 자동차의 워터디플랙터 일체식 까울 구조
KR100309037B1 (ko) 자동차의카울에어박스
JPH035640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