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162B1 -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용 내충격성 강화제 - Google Patents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용 내충격성 강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162B1
KR900000162B1 KR1019870000729A KR870000729A KR900000162B1 KR 900000162 B1 KR900000162 B1 KR 900000162B1 KR 1019870000729 A KR1019870000729 A KR 1019870000729A KR 870000729 A KR870000729 A KR 870000729A KR 900000162 B1 KR900000162 B1 KR 900000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impact modifier
graft
polyvinyl chlorid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217A (ko
Inventor
동 웬-홍
Original Assignee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리챠드 지. 워터맨 filed Critical 더 다우 케미칼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7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6Vinyl aromatic monomers and methacrylat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용 내충격성 강화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대표적인 내충격성 강화제 분자량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에 사용하기 위한 내충격성 강화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에 혼합시킬 경우에,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개선된 충격 및 파열강도를 제공하는 개선된 내충격성 강화제에 관한 것이다. 내충격성 강화제, 특히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투명한 내충격성 강화제는 문헌에 이미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히 제3,287,443호에는, 비닐방향족,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인터폴리머가 그라프트된 고무상 중합체의 기질을 함유하는 고무상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기술되어 있다. 참조문헌에는 그 문헌에 기술된 특정 선행기술인 내충격성 강화제의 바람직한 특징 뿐만아니라 그들을 제조하는 데에 적합한 기술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내충격성 강화제의 바람직한 일반적인 특징은 공지되어 있고 문헌에 잘 기술되어 있지만, 그들의 제조에 수반되는 다수의 변수때문에 본 분야의 숙련가가 내충격성 수지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그들의 각종 특징을 변화시키기는 대단히 어려웠다.
본 발명에 이르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와 각종 내충격성 강화제와의 혼합물은 불가해하게도 정상적인 분석기술(예를 들어, 아이조드 충격등)로 시험한 경우에 유시한 값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러한 혼합물은 물체로 성형한 경우에 실제적인 경도 및 내구성에 현저하게 다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대규모적으로 시험한 후에, 본 발명자들은 제품으로 성형된 경우, 특히 용기로 성형된 경우에 개선된 특성을 갖는 내충격성이 강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독특한 내충격성 강화제를 밝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는 내충격성 혼합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내충격성 강화제가 제공되는데, 상기의 내충격성 강화제는 그라프트 인터폴리머의 굴절율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의 굴절율과 거의 대등하게 되도록하는 비율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인터폴리머가 그라프트된 고무상 부타디엔 중합체 기질의 입자를 함유하고, 상기의 입자는 용적 평균 입자크기가 0.1 내지 0.15μm이며, 상기 입자중의 고무상 부타디엔 기질에 대한 그라프트 인터폴리머의 비율(G/R)은 0.12미만이고, 겔의 중량%로서 측정한 내충격성 강화제의 겔함량은 95%미만이며, 그라프트 인터폴리머는 그중 적어도 75중량%가 약 5,000 내지 1,000,000분자량 단위의 분자량을 가지며 25중량%미만은 5,000분자량 단위 미만의 분자량을 갖도록 두가지 형태의 분자량 분포를 갖는 사실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공정은 (a)공중합체를 제조하며; (b)단계 (a)의 생성물을 용융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혼합하여 잘 섞여진 혼합물을 형성시키고; (c)단계 (b)의 생성물을 압출시켜 성형품을 형성하며; (d)성형품을 냉각시키고 수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여, 투명도가 높고 내충격성이 큰 성형품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제1도는 겔투과 크로마토그라피로 측정한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내충격성 강화제의 분자량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고무상 부타디엔 기질은 본 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다. 적절한 중합체에는 그의 굴절율이 충격완화제를 혼입시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굴절율과 거의 대등하게 되도록 하는 비율로 중합된 1,3-부타디엔과 공중합가능한 공단량체와의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부타디엔의 바람직한 공중합체는 스티렌과 부타디엔, 및 임의로는 0.3중량% 이하의 가교결합체(예를 들어, 유화중합기술로 제조한 디비닐 벤젠)를 함유하는 임의의 공중합체이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공중합체의 스티렌 함량은 20 내지 40%이다. 바람직한 조성물은 약 30%의 스티렌을 함유한다.
유화중합법은 비교적 협소한 크기 분포를 갖는 종전에 이미 제조된 시이드(seed) 라텍스를 사용하여 유화중합 동안에 중합화 중심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이드라텍스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드, 또는 부타디엔과 중합가능한 공단량체(예; 스티렌,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와의 공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입자크기가 수백 내지 1000Å 인 시이트 라텍스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전형적으로, 그라프트 인터폴리머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그라프트 인터폴리머의 굴절율이 충격완화제가 혼입될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굴절율과 거의 대등하게 되도록 하는 비율로 중합시켜 제조한다. 그라프트화 반응은 부타디엔 기질 중합체의 존재하에서, 적절하게는 유화중합기술로 수행한다. 생성된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응고, 탈수 및 건조 또는 기타의 적절한 회수방법으로 회수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라프트 인터폴리머중에 존재하는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충격 탄성중합체를 혼입시킬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굴절율과 거의 대등한 굴절율을 갖는 그라프트 상을 제조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넓은 제한범위내에서, 인터폴리머는 40 내지 60%의 스티렌, 15 내지 30%의 아크릴로니트릴 및 20 내지 40%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한다. 모든부는 중량부로서 측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의 양은 40 내지 50중량%이고, 아크릴로니트릴의 양은 20 내지 25중량%이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양은 30 내지 35중량%이다.
그라프트된 고무입자의 입자크기 범위는 0.11 내지 0.13μm가 바람직하다. 또한, 입자가 협소한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이 대단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입자의 85%가 0.25μm, 바람직하게는 0.1μm이내의 크기분포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G/R비율은 0.01 내지 0.10이 바람직하며, 0.03 내지 0.08이 가장 바람직하다.
겔 함량은 90 내지 93%가 바람직하다. 겔%를 계산함에 있어서, 톨루엔 불용성 단편의 중량을 수지의 총중량으로 나눈다.
최종적으로, 바람직한 양태로, 그라프트 상의 분자량은, 적어도 90%이상이 5,000 내지 1,000,000분자량 단위의 분자량을 가지며, 10%미만은 5,000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정도이다. 그라프트 인터폴리머의 분자량 분포는 톨루엔중에 용해시킨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그라프트 인터폴리머를 겔투와 크로마토그램함으로써 프린트한 제1도의 분포와 거의 상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라프트된 내충격성 강화제는 공지된 기술에 따라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에 혼입시킴으로써 사용한다. 내충격성 강화제 수지는 균일하게 보이는 용융혼합물이 수득될때까지, 압출기, 분쇄기, 혼합기 또는 기타의 적절한 장치중에서 용융혼합시킴으로써 혼합하는 것이 적합하다. 내충격성 강화제는 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의 양으로 혼입시킨다. 생성된 강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를 사용하여 공지된 기술에 따라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적절한 물체 및 제품은 주입성형, 취입성형, 압출, 캐스팅, 회전성형 또는 기타의 적절한 기술로 제조한다. 또한, 산화방지제, 자외선 안정화제, 염료, 착색제, 취입성형제 또는 기타의 적절한 첨가제와 같은 첨가제도 혼입시킬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와 부는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라텍스의 제조]
임의의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를 하기의 기술로 제조한다. 반응기에 초기 반응기 투입물을 가한다음, 단량체 혼합물을 수성 혼합물과 함께 반응시간 동안에 걸쳐 서서히 가한다. 초기 반응기 투입물은 하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
Figure kpo00001
반응기를 밀폐시킨 다음, 70℃로 가열한다. 단량체 혼합물은 하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
Figure kpo00002
단량체 혼합물의 약 15%를 반응기에 가한다. 남은 혼합물을 약 6시간 동안에 걸쳐 가하면서 반응기를 70℃로 유지시킨다. 단량체를 첨가하는 6시간동안, 수성 혼합물을 가한다. 수성 혼합물중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3
단량체 혼합물과 수성혼합물을 완전히 가한 후, 반응기를 4시간 동안 더 70℃로 유지시킨다. 라텍스를 증기증발시켜 잔류하는 단량제를 제거한다. 이어서, 반응기를 냉각시킨 다음, 고체함량이 36.8%인 생성된 라텍스를 회수한다. 라텍스의 입자크기는 약 0.1141μm이고, 그의 부타디엔 함량은 약 70%이며, 스티렌 함량은 약 30%이다.
[실시예 2]
[그라프트화 반응]
미리 제조한 실시예 1의 고무상 라텍스 813부를 반응기에 가한다. 반응기를 밀폐시킨 다음, 70℃의 온도로 가열한다.
2시간의 반응시간 동안에 걸쳐, 90부의 그라프트화 단량체 혼합물 및 90부의 그라프트화 수성 혼합물을 반응기에 가한다. 그라프트화 단량체 혼합물은 하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
Figure kpo00004
그라프트화 수성 혼합물은 하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
Figure kpo00005
그라프트화 단량체 혼합물과 그라프트화 수성 혼합물을 가한 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70℃로 유지시키면서 1시간동안 더 교반한다. 라텍스를 증기증발시켜 잔류하는 단량체를 제거한다. 라텍스를 냉각, 배기, 동결응고, 원심분리, 세척 및 건조시킨다. 생성된 그라프트 라텍스의 입자크기는 약 0.119μm이다.
[실시예 3]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의 혼합]
실시예 2의 그라프트된 내충격성 강화제를 12중량% 함유하는 기본 혼합물을 제조한다. 유사하게 일반 시판용 내충격성 강화제인, 카네카 텍사스 컴퍼니(Kaneka Texas Co.)로부터 판매되는 Kane Ace
Figure kpo00006
B 22를 12중량 % 혼입시켜 비교용 수지를 제조한다. Kane Ace
Figure kpo00007
B 22 내충격성 강화제는 (1) 입자의 크기 및 분포, (2) 고무에 대한 그라프트 비율, 및 (3) 겔 함량에 있어서 본 발명의 내충격성 강화제와 상이한 특징을 지닌다. 16온스의 투명한 병샘플을 상기의 두가지 수지로부터 압출 성형한다. 물을 채운 다음 밀봉한 병을 각 높이에서 낙하시킴으로써 병의 충격강도를 측정한다. 비교용 내충격성 강화제로부터 제조한 병의 평균 파손 높이(병의 50%가 파손되고 나머지 50%는 안전한 높이)는 12.8피이트이다. 파손의 병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의미하며, 가장 전형적으로는 캐토스토로픽(catostrophic)파열로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내충격성 강화제를 함유하는 수지로부터 제조한 병은 내용물을 채운 다음 15피이트의 높이에서 낙하시킬 때에 100%의 안전율을 나타낸다. 이 결과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내충격성 강화제가 상당히 개선된 내충격성 강화제임을 입증한다.

Claims (8)

  1. 스티렌, 아크릴로 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인터폴리머가 그라프트된, 스티렌과 부타디엔과의 고무상 랜덤(random) 공중합체를 함유하며, 이때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비율은 그라프트 인터폴리머의 굴절율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굴절율과 거의 대등하게 되도록 하는 비율이고,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비율은 공중합체의 굴절율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의 굴절율과 거의 대등하게 되도록 하는 비율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용 내충격성 강화제에 있어서, (a) 그라프트된 내충격성 강화제의 입자크기는 0.1 내지 0.15μm이고, (b) 그라프트된 내충격성 강화제 고무에 대한 그라프트의 비율은 0.12미만이며, (c) 그라프트된 내충격성 강화제 겔 함량은 90 내지 95%이고, (d) 그라프트 인터폴리머는 그중 적어도 75%가 5,000 내지 1,000,000분자량 단위의 분자량을 가지며 25%미만은 5,000분자량 단위 미만의 분자량을 갖도록 두가지 형태의 분자량 분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 강화제.
  2. 제1항에 있어서, 입자의 크기가 0.11 내지 0.13μm인 내충격성 강화제.
  3. 제1항에 있어서, 고무에 대한 그라프트의 비율이 0.11 내지 0.08인 내충격성 강화제.
  4. 제3항에 있어서, 고무에 대한 그라프트의 비율이 0.03 내지 0.08인 내충격성 강화제.
  5. 제1항에 있어서, 겔 함량이 90 내지 93%인 내충격성 강화제.
  6. 제1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상의 적어도 90%가 5,000 내지 1,000,000분자량 단위의 분자량을 갖고, 10%미만은 5,000분자량 단위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내충격성 강화제.
  7. 제1항에 있어서, 그라프트 인터폴리머의 분자량 분포가 제1도의 분포와 거의 일치하는 내충격성 강화제.
  8. (a) 제1항에 정의한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b) 단계 (a)의 생성물을 용융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혼합하여 잘 섞인 혼합물을 형성시키며; (c) 단계 (b)의 생성물을 압출시켜 성형품을 형성시키고; (d) 성형품을 냉각 및 수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도가 높고 내충격성이 큰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9870000729A 1986-01-30 1987-01-30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용 내충격성 강화제 KR900000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433086A 1986-01-30 1986-01-30
US824,330 1986-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217A KR870007217A (ko) 1987-08-17
KR900000162B1 true KR900000162B1 (ko) 1990-01-23

Family

ID=2524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729A KR900000162B1 (ko) 1986-01-30 1987-01-30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용 내충격성 강화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232139A3 (ko)
JP (1) JPS62190243A (ko)
KR (1) KR900000162B1 (ko)
AU (1) AU6815287A (ko)
BR (1) BR87005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12602C (en) * 1989-03-24 1999-09-21 Toshiyuki Mori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N1155652C (zh) * 2000-11-03 2004-06-30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增韧塑料及其制备方法
JP5547909B2 (ja) * 2009-05-29 2014-07-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塩化ビニル樹脂三層管
MX2015010336A (es) * 2013-02-11 2016-07-07 Vestolit Gmbh Articulo transparente hecho de copolimeros de injerto de pvc.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70866B2 (de) * 1962-12-24 1971-01-21 Kanegafuchi Chemical Industry Co, Ltd, Osaka (Japan) Thermoplastische Formmass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32139A2 (en) 1987-08-12
AU6815287A (en) 1987-08-06
EP0232139A3 (en) 1989-04-12
BR8700523A (pt) 1987-12-15
KR870007217A (ko) 1987-08-17
JPS62190243A (ja) 1987-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6842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of rubber-reinforced styrene/maleic anhydride resins and polycarbonate resins
AU678054B2 (en) Maleimide-modified high heat ABS resins
KR960000567B1 (ko) 고무-강화된 모노비닐리덴 방향족 중합체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900006041B1 (ko) 분산다성분 겔함유 공중합체
US4195136A (en) Impact-resistant styrene resin composition
CA1049189A (en) Method for producing polystyrene composition
US3284542A (en) Preparation of high impact compositions from vinyl aromatic monomers and rubbery diolefin polymers
KR900000162B1 (ko)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용 내충격성 강화제
JP2868523B2 (ja) 高い衝撃強度を有するポリマー組成物
JP2993338B2 (ja) ゴム変性ポリスチレン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射出成形品
US3330786A (en) Polymeric compositions
US4267283A (en) Styrenic impact polymers
US3499059A (en) Method of making toughened polymers from emulsions of immiscible solutions of elastomers,thermoplastic polymers and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s stabilized by the addition of block or graft copolymers
US4082820A (en) High softening maleic anhydride copolymers
JPH075789B2 (ja) ポリブタジエンゴム組成物
US3794697A (en) Modified styrene polymers providing impact-resistant molded articles
US3309422A (en) Process for preparing interpolymers of styrene and rubbery diolefin polymers
US3600467A (en) Process of preparing graft interpolymers
US4302555A (en) Compatibilization of polystyrene and PVC
JP2003532767A (ja) アニオン重合により形成された耐衝撃性改良ポリスチレン
US3959411A (en) Process for improvement of impact strength in rubber-modified nitrile thermoplastics
US6420483B1 (en) Preparation of impact-modified plastics
EP0796895A1 (en) Rubber-modified aromatic vinyl resin composition
US357415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ransparent impact-resistant polymer compositions
JP3364844B2 (ja) 共役ジエン系ゴム状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ゴム変性芳香族ビニル系共重合体樹脂とそ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