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602Y1 - 보행형 이앙기 - Google Patents

보행형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602Y1
KR890004602Y1 KR2019890007276U KR890007276U KR890004602Y1 KR 890004602 Y1 KR890004602 Y1 KR 890004602Y1 KR 2019890007276 U KR2019890007276 U KR 2019890007276U KR 890007276 U KR890007276 U KR 890007276U KR 890004602 Y1 KR890004602 Y1 KR 890004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ransmission
driven
rice transplanter
type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7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보시다
Original Assignee
구보다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게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09844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57106A/ja
Application filed by 구보다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미노 시게가스 filed Critical 구보다덱고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90007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행형 이앙기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에 관한 보행형 이앙기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전체의 개략평면도.
제2도는 전체의 측면도.
제3도는 주행 계(系)의 전동구조를 표시하는 전개 평면도.
제4(a)도, 제4(b)도는 모심는 장치에의 전동구조를 표시하는 전개평면도.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Ⅴ) - (Ⅴ)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Ⅵ) - (Ⅵ)선 단면도.
제7도는 모심는 상태를 표시하는 중요부분의 측면도.
제8(a)도, 제8(b)도, 제8(c)도는 종래의 전동구조의 개략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트렌스밋숀 케이스 3 : 모심는 장치
4a, 4b : 프레임 9 : 모재치대
10a, 10b : 모심는 조(爪) 33, 44, 45 : 전동축
50a : 크랭크축 52b : 크랭크 아암
54b : 요동아암 57 : 나선축
71 : 회동지축 73 : 베토(培土)용 아암
75 : 보조크랭크아암 77 : 링크
본 고안은 기체 앞부분에 위치하는 밋숀케이스와 기체 뒷부분에 위치하는 여러줄의 모심는 장치를 좌우1쌍의 중공(中空)형상 프레임으로서 연결하고 있는 보행형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은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엔진(1)으로부터 동력을 받은 트랜스밋숀 케이스(2) (이하, 밋숀케이스라 칭한다)와 모심는 장치(3)를 연결하는 좌우프레임(4a) (4b) 사이의 1개의 추진차륜(6)을 갖춘 1륜식 보행형 이앙기에 많이 볼 수 있는 것이다.
좌우중공형상 프레임(4a) (4b)의 최소한 한쪽이 밋숀케이스(2)에서 모심는 장치(3)로의 전동케이스에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의 동력전달형태로서 제8(a)도, 제8(b)도, 제8(c)도에 표시하는 3종류의 형태가 생각되고 있다.
제8(a)도의 형태는 한쪽의 프레임(4a)만 밋숀케이스(2)에서 모심는 장치(3)에 갖춘 모심는 전동케이스(80)로의 동력전달케이스에 이용한 것이다.
제8(b)도, 제8(c)도의 형태는 밋숀케이스(2)에서 분기(分岐)한 좌우 2개통의 분기된 동력을 좌우프레임(4a) (4b)내를 통하여 모심는 장치(3)로 인도되고 있다.
그리고, 각 분기된 동력으로서 복수의 모심는 조(10a) (10b)를 분담 구동함과 아울러, 한쪽의 분기된 동력 혹은 양쪽의 분기된 동력으로서 모재치대(9)의 횡방향 이송용 나선축(이하, 나사축이라고 칭한다)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제8(a)도의 형태인 것은 모심는 장치(3)에 전용의 모심는 전동케이스(80)가 필요하여서 모심는 장치(3) 전체의 중량이 증대함과 아울러 가격인상을 초래하기 쉽다.
또 한쪽의 프레임(4a)만 동력전달계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기구의 좌우의 중량균형이 무너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 제8(b)도의 형태인 것은 상기한 전용의 모심는 전동케이스(80)가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가벼운 중량으로서 싼값으로 제작하기가 쉽고, 좌우로 분기된 전동이기 때문에 전동기구의 중량의 좌우균형을 유지하기 쉬운 잇점이 있다.
그 반면에, 한쪽편의 분기전동계가 모심는 조(10b)만 구동하는 것에 대하여, 다른쪽의 분기전동계는 모심는 조(10a)와 나사축(57)을 구동하는 것으로 되어서 양쪽 분기전동제의 부하게 큰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각 분기전동계에 있어서의 마모진행에 차이가 발생하여 좌우 모심는 조(10a) (10b)의 구동시기가 불일치하게 되어서 좌우 분기전동계의 떨어진 간극의 차에 의한 기계적 진동이 크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제8(c)도의 형태인 것은 좌우 분기전동계의 부하가 균등화되기 때문에 제8(b)도 형태에 의한 결점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나사축(57)을 좌우 양쪽끝에서 구동하는 결과, 2조(組)의 나사축 구동수단(81)을 좌우로 중복하여 갖출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모심는 전동케이스(80)의 생략에 의한 경량화 효과나 가격 절감효과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모심는 작업을 적당하고 바르게 행하기 위한 보조기구를 부가함과 아울러, 이 보조기구의 구동을 합리적으로 행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일소할려고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기체 앞부분에 위치하는 밋숀케이스와 기체뒷부분에 위치하는 모심는 장치를 좌우 1쌍의 중공형상 프레임으로서 연결하고, 전기한 밋숀케이스로부터 꺼낸 동력을 2개통으로 분기하며, 각 분기된 동력을 전기한 양쪽 프레임내를 통하여 모심는 장치로 인도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그리고 한쪽의 분기된 동력으로서 모심는 조와 모재치대의 횡방향 왕복작동용 나사축을 구동함과 아울러, 다른쪽의 분기된 동력으로서 다른 모심는 조와 심는 모예의 배토용 아암을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밋숀케이스에서 분기 도출한 한쪽의 분기전동계에 모심는 조와 모재치대의 횡방향 이송기구의 부하가 작용하고, 다른쪽의 분기전동계에 모심는 조와 배토용 아암의 부하가 작용하여 양쪽 분기전동계의 부하가 대략 균형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좌우 분기전동계에 있어서의 마모진행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각 전동계에서 구동되는 모심는 조의 작동시기의 차질 및 양쪽 전동계의 떨어진 간극의 크기의 차에 따르는 기계적 진동의 발생도 적게 된다.
또한, 좌우 분기전동계의 부하균형을 유지하는 목적으로서, 모심는 상태를 향상하기 위한 보조기구인 배토용 아암의 구동구조를 합리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제8(c)도의 형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중복하는 구조의 도입도 없이 최소한도의 구조를 이용하여 부하균형을 유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모심는 장치의 경량화 및 가격저하를 도모하면서 부하균형의 양호한 전동을 행할 수 있도록 되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본 고안에 관한 보행형 이앙기의 전체의 개략평면도, 또 제2도에 전체의 측면도를 각각 표시한다.
이 이앙기는 1륜으로서 주행하는 것이며, 기체앞부분에 엔진(1) 및 여기에 직접 연한 밋숀케이스(2)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기체뒷부분에 2줄의 모심기를 행하는 모심는 장치(3)를 갖추고, 전기한 밋숀케이스(2)와 모심는 장치(3)를 좌우 1쌍의 파이프제 프레임(4a) (4b)로서 연결하여 기체를 구성하고 있다.
밋숀케이스(2)에 대하여 지점(P)을 중심으로 유압식으로 요동조절이 자유자재한 전동케이스(5)를 부착하고 있다.
이 전동케이스(5)의 뒷쪽끝에 축받이한 1개의 추진차륜(6)이 좌우프레임(4a) (4b) 사이에서 상하조절이 자유자재롭게 갖추어져 있다.
전기한 추진차륜(6)을 경작용 지반(G)에 접지시키고, 모심는 장치(3)의 아래부분에 갖춘 좌우 1쌍의 플로우투(7) (7)를 논바닥면(T)에 떠오르게 하는 것에 의해서, 기체를 전후 좌우 수평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경작용 지반(G)의 요철에 따라서 전동케이스(5)를 유압실린더(8)로서 상하고 작동시켜 논바닥면(T)에 대한 기체의 높이 및 자세를 안정유지하면서 주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모심는 장치(3)는 2줄분(分)의 매트형성 모(밀생된 모, 이하 매트형상 모라고 칭한다) (A)를 재치지지하여 매트형상 모의 옆쪽에 상당하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왕복으로 횡방향 이동하는 모재치대(9)를 갖추고 있다.
이 대(台)에 대향하여 좌우 1쌍의 모심는 조(10a) (10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조는 모재치대(9)의 아래쪽 끝부분과 논바닥면(T)에 걸치는 일정한 궤적(S)을 그려서 순환회동하도록 구동된다.
매트형상 모(A)의 아래쪽끝에서 한포기분씩의 모(a)를 모심는 조(10a) (10b)가 잘라내어 반출하여 플로우트(7) (7)로서 정지(整地)된 논바닥면(T) 위에 2줄씩 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3도에 주행계의 전동구조가 표시된다.
전기한 밋숀케이스(2)의 윗쪽끝 돌출부(2a)에 엔진(1)을 직접 연결함과 아울러, 엔진출력기어(11)와 맞물리는 2단(段) 기어(12a) (12b)를 장착한 중간전동축(13)을 지지하고 있다. 전기한 중간전동축(13)의 전동되는 아래쪽에는 제1전동축(14) 제2전동축(15) 및 전기한 전동케이스(5)에의 출력부를 보유하는 주행전동축(16)을 지지하고 있다.
전기한 제1전동축(14)에는 한끝쪽에 전기한 2단기어의 큰 지름기어(12a)에 항상 맞물리는 입력기어(17)를 끼워붙임과 아울러, 다른쪽끝에 뒤에서 기재하는 변속장치(18)용의 저속전동용 기어(19) 및 고속전동용기어(20)를 헐겁게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또 좌우방향의 변위에 의해서 양쪽 전동용 기어(19) (20)에 선택적으로 맞물림이 가능한 클러치 통체(21)를 양쪽 전동용 기어(19) (20)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서 전기한 제1전동축(14)에 스플라인 바깥쪽으로 끼워져 있다.
전기한 클러치통체(21)에 대한 시프트포오크축(22)을 밋숀케이스(2) 밖으로 미끄럼작동이 자유자재롭게 돌출설치하고, 또한 클러치 통체(21)가 고속전동용 기어(20)와 항상 맞물리는 상태로 되도록 시프트포오크축(22)을 밋숀케이스 바깥쪽으로 향하여 스프링(23)으로서 가하도록 하고 있다.
또 지속전동용 기어(19)의 측면에, 이 저속전동용 기어(19)를 클러치통체(21)쪽으로 가하는 스프링(24)을 설치하고 있다.
시프트포오크측(22)의 저속측으로의 작동에 의해서 클러치통체(21)와 저속전동용 기어(19)가 맞물릴때에 조클러치부의 회전위상이 일치할때까지 저속전동용 기어(19)를 후퇴시키기 위한 탄성적으로 누르는 힘이 전기한 스프링(24)으로서 부여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제2전동축(15)에는 전기한 저속전동용 기어(19)에 맞물리는 큰지름 수동(受動) 기어(25)와 전기한 고속전동용 기어(20)에 맞물리는 작은지름 수동기어(26)를 각각 스폴라인 바깥쪽으로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전기한 클러치통제(21)와 고속전동용 기어(20)의 맞물림에 의해서 고속전동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시프트포오크축(22)의 밀어넣는 작동에 의해서 클러치통체(21)와 저속회전용 기어(19)와의 맞물림에 변환하여 저속전동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변속장치(18)를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큰지름 수동기어(25)의 좌측부에는 제2전동축(15)에 헐겁게 끼워진 시프트기어(27)를 설치하고, 이 시프트기어(27)와 전기한 큰지름 수동기어(25)의 각각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맞물림이 가능한 톱니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재2전동축(15)에는 시프트기어(27)를 맞물리는 쪽으로 가하는 스프링(28)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한 시프트기어(27)를 전기한 스프링(28)의 힘에 저항하여 맞물리지 않는 쪽으로 변위시켜서 작은지름 수동기어(26)에의 동력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한 메인클러치 기구(29)를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주행전동축(16)에는 전기한 시프트기어(27)와 항상 맞물리는 출력기어(30)를 고정부착함과 아울러, 밋숀케이스(2)에서 돌출하는 돌출된 끝부분에 전기한 전동케이스(5)의 전동스프로켓(31)을 장착하고 있다.
이상에 의해서 명백한 바와 같이 전기한 엔진(1)으로부터 출력을 전기한 변속장치(18) 및 메인클러치기구(29)를 개재하여 전기한 추진차륜(6)에 체인 전동하도록 하고 있다.
제4(a)도, 제4(b)도는 편의상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으로서, ㈀ ㈁으로 연결되는 형태이며, 전기한 밋숀케이스(2)에서 모심는 장치(3)로의 전동구조가 표시된다.
전기한 중간전동축(13) (제3도 참조)의 근처에, 제3전동축(32) 및 제4전동축(33)을 설치하고, 전기한 2단기어의 작은지름기어(12b)와 맞물리는 시프트기어(34)를 전기한 제3전동축(32)에 헐겁게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시프트기어(34)와 제3전동축(32)은 모심는 클러치(35) 및 토르크제한기(36)를 개재하여 서로 연동연결하고 있다.
전기한 토르크제한기(36)는 다음의 각 부분 즉, 제3전동축(32)에 헐겁게 끼워진 구동축 디스크(37a), 제3전동축(32)에 스플라인으로서 끼워붙인 수동축 디스크(37b), 양쪽디스크(37a) (37b)에 걸쳐서 계합하는 전동볼(38) 및 수동축 디스크(37b)를 구동축 디스크(37a)로 누르는 스프링(39)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전기한 구동축 디스크(37a)의 조에 전기한 스프트기어(34)의 조를 맞물리는 것으로서 제3전동축(32)을 구동하고, 다른쪽 시프트기어(34)를 케이스 외부로부터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그 시프트기어(34)를 구동축 디스크(37a)에서 이탈시켜 양자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것으로서 제3전동축(32)에의 동력을 차단하도록 상기한 각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제3전동축(32)과 제4전동축(33)은 케이스 외부의 돌출된 끝부분에 있어서 지름이 다른 기어(40) (41)로서 연동연결하고 있다. 한편 제4전동축(33)의 좌우양쪽에 설치한 베벨기어(42) (43)을 전기한 프레임(4a) (4b)내에 삽입관통한 제5전동축(44) 및 제6전동축(45)의 베벨기어(46) (47)에 각각 맞물려서 모심는 장치(3)에 좌우 2계통의 분기된 전동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전기한 모심는 클러치(35)를 구성하는 시프트기어(34)의 클러치 단절축에의 이동경로와 전기한 제4전동축(33)의 둘레방향의 소정된 위상에 고정설치한 돌출편(48)의 회전궤적을 중복시키고 있다.
이것을 제4전동축(33)이 소정의 회전위상에 있을때(구체적으로는 모심는 조(10a) (10b)는 윗쪽에 있을때)만 모심는 장치(3)에의 전동을 차단하여 모심는 작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인 것이다.
전기한 양쪽 전동축(32) (33)의 축끝부분에 부착한 기어(40) (41)는 커버(49)를 떼어내는 것에 의해서 양쪽전동축(32) (33)에 변환가능하다.
이 기어의 변환 혹은 별도로 준비된 기어쌍의 교환에 의해서 모심는 장치(3)의 구동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그 속도를 주행속도에 대해서 변경하여 기체진행방향에 있어서의 모심는 간격을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전기한 좌우프레임(4a) (4b)에는 제5, 제6전동축(44) (45)가 각각 안쪽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전동축(44) (45)에 베벨기어로서 연동시킨 크랭크축(50a) (50b)는 브라켓(51a) (51b)를 개재하여 수평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브라켓(51a) (51b)에는 아래에 기재한 요동아암(54a) (54b)도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지지되어 있다.
각 크랭크축(50a) (50b)의 기체 안쪽편의 돌출된 끝부분에 크랭크 아암(52a) (52b)를 부착하고 있다.
각 크랭크 아암(52a) (52b)의 앞쪽끝을 모심는 아암(53a) (53b)의 중간에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연결함과 아울러, 한편 모심는 아암(53a) (53b)의 끝부분을 요동아암(54a) (54b)의 떨어진 끝부분에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크랭크 아암(52a) (52b)의 일정방향의 회전에 따라서 각 모심는 아암(53a) (53b)에 부착한 모심는 조(10a) (10b)의 앞쪽끝이 보재치대(9)의 아래쪽끝과 논 바닥면(T)과의 사이에 걸치는 일정한 순환회동궤적(S)을 그리게 된다.
전기한 프레임(4a) (4b)의 뒷쪽끝 부라켓(51a) (51b)에는 좌우의 조종핸들(55) (55)의 기단(基端)을 연결하고 있다.
각 조종핸들(55) (55)의 기부 윗면에 세워서 설치한 브라켓(56) (56) 사이에는 모재치대(9)를 횡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기 위한 나사축(57)의 한쪽끝과 전기한 제5전동축(44)에 연동연결된 크랭크축(50a)의 바깥쪽끝을 전동케이스(58)내의 체인(58a)으로서 연동연결하고 있다.
전기한 나사축(57)에는 일련의 왕복 나선홈(59)을 형성하고 있다. 나선홈(59)에 계합하는 종동부재(60)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것이 가동보스(61)이다.
그 가동보스(61)는 나사축(57)에 좌우 미끄럼작동이 자유자재롭게 바깥쪽으로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 가동보스(61)는 모재치대(9)의 아래부분 뒷면에도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한 나사축(57)의 1방향 회전에 수반하여 모재치대(9)는 매트형상 모(A)의 옆쪽에 상당하는 일정한 거리범위내에서 왕복으로 횡방향 이동한다.
모재치대(9)는 전기한 좌우에 브라켓(56) (56)에 걸쳐서 수평하게 건너질려 설치한 미끄럼작동 궤조(63) (제6도 참조)에 따라서 좌우 미끄럼작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으며, 전기한 모심는 조(10a) (10b)는 미끄럼작동용 궤조(63)의 좌우 2군데에 형성한 절결부(63a) (63b)를 통과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모재치대(9)의 아래부분 근처의 뒷부분에는 모이송용 회전조(64)…를 갖춘 6각(角)측으로서 이루어진 모이송축(65)을 수평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 모이송축(65)의 좌우 2군데에 1방향회전 클러치(66) (66)를 개재하여 수동아암(67a) (67b)를 부착하고 있다.
이 수동아암(67a) (67b)은 모재치대(9)가 왕복작동을 맨끝에 이른 시점에서 전기한 나사축(57)의 끝부분 근처에 고정설치한 회동아암(68a) (68b)에 맞닿도록 갖추고 있다.
모재치대(9)가 왕복동작의 맨끝에 이를때마다 모이송축(65)이 일정한 각도만큼 앞쪽으로 회전하여 모이송용 회전조(64)…로서 재치된 모(A)를 아래쪽으로 이송한다.
또한 회동아암(68a) (68b)와의 맞닿는 것을 해재된 수동아암(67a) (67b)은 스프링(69) (69)에 의하여 본래의 자세까지 복귀회동하여 다음의 왕복작동하는 맨끝에서의 모이송에 대비한다. 또 전기한 미끄럼작동을 궤조(63)는 모재치대(9)를 지지한 그대로 모재치대의 경사방향에의 위치조절을 가능하게 브라켓(56) (56)에 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모재치대(9) 아래쪽 끝과 모심는 조의 앞쪽끝 궤조(S)의 중복된 거리를 변경하여 모꺼내는 양이 조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기한 모심는 아암(53a) (53b)에는 모심는 조(10a) (10b)에 따라서 진출퇴거하는 모를 밀어내는 레버(70)를 각각 갖추고 있다.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조궤적(S)의 아래쪽끝에 있어서 전기한 모를 밀어내는 레버(70)를 조 앞쪽에 돌출시켜서 잘라내어 반출한 모(a)를 논 바닥속으로 밀어넣는다.
모심는 장치(3)는 이상과 같이 구성하고 있는 것인바, 또다시 모심는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보조기구를 갖추고 있다.
즉 좌우프레임(4a) (4b)의 뒷쪽끝 브라켓(51a) (51b)에 걸쳐서 회동지축(71)이 통편(筒片) (72) (72)를 개재하여 수평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회동지축(71)의 좌우 2군데에 각각 1쌍씩의 배토용 아암(73) (73)이 모심는 조(10a) (10b)의 양쪽에 고정설치하고 있다. 이 배토용 아암(73) (73)은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모심는 조(10a) (10b)의 논 바닥속으로의 돌입에 의해서 심어놓는 모(a)의 주위에 형성되는 구멍(B)을 좌우에서 진흙을 억눌러서 도로 그 자리를 메꾸어 놓는 것이다.
따라서 심은 모(a)는 적당하고 바른 세운자세로 유지된다. 배토용 아암(73)의 구동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모재치대 횡방향 이동용 나사축(57)의 구동에 관여하고 있지 않는 동력전달계로서 구동되는 크랭크아암(52b)의 앞쪽끝에 고정축(74)이 설치되고, 그 고정축(74)에는 보조 크랭크아암(75)이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지축(71)에 고정한 아암(76)과 상기한 보조크랭크아암(75)이 링크(77)로서 회전이 자유자재롭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모심는 작동과 동조하여 배토용 아암(73) (73)은 상하요동하게 되어서 상기한 배토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제7도중의 (S')는 기체전진을 가미한 조 앞쪽끝의 대지(對地)궤적이다.

Claims (5)

  1. 기체앞부분에 배치된 트렌스밋숀케이스(2)와, 기체뒷부분에 배치된 모심는 장치(3)와, 전기한 트렌스밋숀케이스를 모심는 장치에 연결하는 좌우 1쌍의 중공형상 프레임(4a) (4b)와, 이들 중공형상 프레임(4a) (4b)의 내부에 수납된 전동축(44) (45)를 갖추고 있어서, 전기한 트렌스밋숀케이스로부터 꺼낸 동력이 2계통으로 분할된후 전기한 전동축을 개재하여 전기한 모심는 장치로 인도하는 구성의 이앙기에 한쪽의 전동축(44)이 한쪽의 모심는 조(10a)와 나선축(57)을 구동하고 이 나선축(57)이 모재치대(9)를 횡방향으로 왕복작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다른쪽의 전동축(45)이 다른쪽의 모심는 조(10b)와 1쌍의 배토용 아암(73) (73)을 구동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이앙기.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배토용 아암(73) (73)이 각 모심는 조(10a) (10b)의 근처에 각각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1개의 회동지축(71)에 부착되어 있어서, 이 회동지축이 전기한 다른쪽의 전동축(45)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이아기.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한 회동지축(71)이 크랭크아암(52b)이 요동아암(54b)에 의해서 보조 크랭크아암(75)과 링크(77)를 개재하여 구동되는 구성이며, 또한 상기한 크랭크 아암과 요동아암이 전기한 다른쪽의 모심는 조(10b)를 구동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이앙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기한 한쪽의 모심는 조(10b)와 나선축(57)이 보통의 크랭크축(50a)에 의해서 구동됨과 아울러, 이 크랭크축이 전기한 한쪽의 전동축(44)에 의해서 구동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이앙기.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양쪽 전동축(44) (45)가 1개의 공통의 전동축(33)에 의해서 동기적(同期的)으로 구동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형 이앙기.
KR2019890007276U 1985-05-09 1989-05-30 보행형 이앙기 KR890004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7276U KR890004602Y1 (ko) 1985-05-09 1989-05-30 보행형 이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98443 1985-05-09
JP60098443A JPS61257106A (ja) 1985-05-09 1985-05-09 歩行型田植機
KR1019850006842A KR860008705A (ko) 1985-05-09 1985-09-19 보행형 이앙기
KR2019890007276U KR890004602Y1 (ko) 1985-05-09 1989-05-30 보행형 이앙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842A Division KR860008705A (ko) 1985-05-09 1985-09-19 보행형 이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602Y1 true KR890004602Y1 (ko) 1989-07-15

Family

ID=2730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7276U KR890004602Y1 (ko) 1985-05-09 1989-05-30 보행형 이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6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602Y1 (ko) 보행형 이앙기
JP3115871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2707727B2 (ja) 移植機の伝動ケース
JP3005959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2552075Y2 (ja) 歩行型農用移植機の伝動構造
JP4360042B2 (ja) 奇数条植え苗移植機
JPH0728807Y2 (ja) 田植機の植付装置
JPS591448Y2 (ja) 多条植田植機
JP2620733B2 (ja) 歩行型水田作業機における苗のせ台横送り装置
JP3106482B2 (ja) 施肥装置付き苗植機
JPS6331525Y2 (ko)
JP3163080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H0642422Y2 (ja) 苗載台における苗マット縦送りクラッチ装置
JP3163076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2530354Y2 (ja) 歩行型移植機における植付部動力の伝動構造
JPH0711545Y2 (ja) 苗載台における苗マット縦送りクラッチ装置
JP3115874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163082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163081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115872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3163083B2 (ja) 乗用田植機における植付部伝動構造
JP2538519Y2 (ja) 歩行型水田作業機におけるフレーム構造
JP2538504Y2 (ja) 歩行型水田作業機
JPH0536328Y2 (ko)
JPH03164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