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449B1 - 유체 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유체 조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449B1
KR890000449B1 KR8204651A KR820004651A KR890000449B1 KR 890000449 B1 KR890000449 B1 KR 890000449B1 KR 8204651 A KR8204651 A KR 8204651A KR 820004651 A KR820004651 A KR 820004651A KR 890000449 B1 KR890000449 B1 KR 890000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member
chamber
actuato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2081A (ko
Inventor
에이. 플레이쉬맨 개리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콜러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콜러 컴퍼니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840002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and linearly movabl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 조절 밸브
제1도는 주방용 수도꼭지에 설치한 본 발명에 의한 밸브의 부분 단면도.
제2a도는 바깥쪽 중심으로 설치된 주둥이를 제거하고 제1도의 레버 핸들을 푸쉬-풀 형태의 핸들로 대치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수도꼭지를 나타낸 것인데 이때 핸들은 그것의 왼쪽에 밸브가 있도록 설치한 제1도의 수도꼭지를 세로로 자른 부분 단면도.
제2b도는 밸브가 핸들의 오른쪽에 위치한 제2a도와 유사한 도면.
제3a도는 밸브 핸들을 45
Figure kpo00001
로 회전시키고 수도꼭지의 바깥쪽 통을 제거하여 밸브의 카트리지 부위만이 나타나도록한 제2a의 3A-3A선에서 따른 부분 단면도.
제3b도는 수도꼭지의 바깥쪽 통을 제거한 제2a의 3B-3B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스프링들, 시일들, 및 그 외의 내부 성분들을 제거하여 밸브의 카트리지 하우징만이 나타나도록한 제3b도의 4-4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5a도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이동 디스크 밸브 부재의 저면도.
제5b도는 이동 디스크의 상면도.
제5c도는 이동 디스크의 측면도.
제5d도는 이동 디스크의 배면도.
제6a도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수동 작동 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6b도는 제6A도의 6B-6B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
제7a도는 본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베어링 부재의 측면도.
제7b도는 베어링 부재의 정면도.
제7c도는 베어링 부재의 상면도.
제8a도는 본 구조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핸들 스톱의 상면도.
제8b도는 핸들 스톱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와 냉수 수도꼭지들을 통하여 흐르는 흐름의 비율과 양을 조절하기 위한 유체 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한개의 조절 핸들을 조작하여 분리된 온수 유입구와 냉수 유입구에서 흐르는 흐름의 양과 온도를 조절하는 혼합 밸브들이 여러 형태의 새로운 모양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어떤 형태에서는 조절 핸들을 작동하여 온도와 전후 방향을 조절하고 흐름의 양까지도 조절한다. 또다른 형태의 밸브에서는 조절 핸들을 회전시켜 온도를 조절하고 푸쉬-풀을 이동시켜서 흐름의 양을 조절한다. 밸브 구조는 이동 및 회전 실린더에 의하여 또는 슬리이브 형태로 된 고정 밸브가 입구로부터 진동 운동을 하거나 원통형 볼이 회전하거나 적절하게 틈새가 있는 디스크가 측면 운동과 회전 운동을 하면서 입구를 가로질러 이동하므로써 온수구와 냉수구가 개폐될 수 있다. 약간 호평을 얻은 이동 디스크 밸브의 형태는 레버 작동 메카니즘에 의존하는 것인데, 이 레버는 일반적으로 이동 디스크 상단의 베어링 부재에서 이것의 단부가 중간정도로 장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 레버의 한쪽 단부는 사용자가 잡고 사용하는 베어링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다른쪽 단부는 밸브 디스크의 상부와 접속하는 베어링에서 안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레버 상부의 요동 운동은 베어링상에 있는 레버의 하부를 선회시키므로 그것에 의하여 온수 유입구와 냉수 유입구 위의 이동 디스크를 이동시킨다. 이 레버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가끔 밸브들을 레버 아암과 베어링 사이의 접속부 위에 핀을 사용하거나 또는 레버 아암상에 있는 구형 볼과 볼을 위한 구면 시이트를 사용한다.
이러한 형태의 밸브의 실예는 미국 특허 제 3,854,493호와 제Re.27,036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밸브는 기계적으로 복잡하고 또한 베어링들이 느슨한 경향이 있어서 작동시에 정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형태중 몇종류의 밸브에는 밸브가 갑자기 열리거나 닫힘으로써 소음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고 또 다른 종류의 밸브들은 유체의 온도를 조절할때 온도가 갑자기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때때로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사용자가 점차적으로 정확하게 흐름의 양과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유체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챔버와 이 챔버 저부에 하나의 밸브 시이트가 있고 이 밸브 시이트를 통하여 챔버와 통해 있는 하나의 유입구와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고 있는 하우징이 있으며 ; 챔버내에 있는 밸브 부재에는 위의 밸브 시이트와 이동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는 저부 밀봉 표면과 밸브 부재 상단에 개구가 있고 축 보어를 갖는 상기 밸브 부재위에 장착된 베어링 부재가 설치되고 ; 작동기에서 위의 축 보어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축 부위와 위의 캠 수용 개구로 연장되어 있는 캠 부위가 있어서 작동기 상부의 축 운동이 실질적으로 유입구 위의 측면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유체 흐름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절 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점차적으로 정확하게 부피와 비율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밸브는 또한 유체가 새지 않으며 마모 저항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카트리지형의 구조로 만들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작동기와 그외의 카트리지 부위가 제조될 수 있으며 카트리지 유닛을 제거하거나 처리 또는 새로운 카트리지로 대치하므로써 배관공의 도움 없이도 밸브에 결합되어 있는 수도꼭지를 수선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예로서, 본 밸브를 주방용 수도꼭지의 일부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실예에 있어서, 카트리지 형태로된 플라스틱 하우징에 있는 4개의 유입구들은 아아치형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4개의 밸브 시이트를 통과하여 혼합 챔버와 통해 있다. 배출구는 밸브 시이트에 인접해 있는 챔버에서 배출되며, 분류가 감기는 정상의 작동시에는 첫번째 배출 통로를 통하여, 그리고 주방용 분무 유닛의 작동시에는 두번째 배출 통로를 통하여 직접 수분용 배출구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모든 포트는 이동 디스크 밑에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도면에서 온수 유입도관(10)과 냉수 유입도관(11)을 도시하였는데 이 두 도관은 공급도관(도시하지 않았음)을 납으로 봉하여 붙일 수 있다. 이러한 도관들은 본 발명에 의한 유체조절 밸브로 급송된다. 또한 이 도면에는 통상의 주방용 분무 유니트(도시하지 않았음)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밸브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된 분무 배출도관(12)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세가지 도관들은 주방용 카운터상부(14)에 있는 구멍(13)과 적절하게 중심이 맞추어서 밀폐된 가스킷(15,16)을 통과한다.
가스킷(16)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부착용 방패형 물건(17)과 장식용 방패형 물건(18)이다. 이 부착용 방패형 물건(17)은 나사 한개(도시하지 않았음)을 싱크 상부의 밑으로 부착용 방패형 물건(17)에 통과시키므로써 싱크 상부(14)에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이 나사 연접부를 장식용 방패형 물건(18)으로 덮을 수도 있다.
또한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중공 주둥이 허브(20)를 갖고 있는 통상의 금속수도꼭지 주둥이(19)가 있다. 이 주둥이 허브(20)는 허브 내부(23)와 주둥이(19) 사이에서 연통되는 하나의 개구(21)를 갖는다. 이 주둥이 허브(20)는 플라스틱 회전 링(22)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회전 링은 주둥이 허브(20)의 저부와 장식용 방패형 물건(18)의 상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서 주둥이(19)가 회전할 때 이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주둥이 허브(20)의 안쪽에 있는 내부 오어(23)에 황동 밸브의 몸체(24)가 위치하고 있다. 이 황동 밸브 몸체(24)는 세개의 나사를 사용하여 방패형 물건(17,18)의 밑에서 황동 밸브 몸체(24)의 저부에 있는 나사용 구멍(26)으로 나사를 조이므로써 방패형 물건(17,18)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황동 밸브 몸체의 바닥에는 온수 통로(27)(제2b도), 냉수 통로(도시하지 않았음) 및 분무 통로(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세종류 도관(10,11,12)이 용접될 수 있다. 이러한 통로들은 밸브 몸체(24)의 기부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황동 밸브 몸체(24)의 측면에는 유체가 주둥이 허브의 개구(21)을 흐르도록 여러개의 주둥이 배출 통로(30)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황동 밸브 몸체(24)의 주변에는 "0"링(32,36) 및 플라스틱제, 미끄럼 링(33,38)이 있는 리세스(31,34,37,39)가 있다. 이러한 링들을 사용하므로써 황동 밸브 몸체(24)와 주둥이 허브(20)간의 내부면에서 누출이 일어나지 않는 동시에 주둥이(19)와 허브(20)가 황동 밸브 몸체(24)의 바깥쪽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황동 밸브 몸체(24)의 상부에는 주변 나사(40)와 장방형 배열 주머니(41)가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서만 도시한 플라스틱 카트리지 하우징(46)은 황동 밸브 몸체(24)에 있는 원통형 챔버(42)의 내부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플라스틱 카트리지 하우징(46)이 내부 원통 챔버(42)에 설치되어 밸브 몸체가 카트리지 하우징(46)의 기저에서 카트리지 유입구(43,44)와 배출구(45)를 통해 연통된다.
유입구(43,44) 및 배출구(45)에 인접한 카트리지의 저부에 홈(47,48,50)이 형성되어 있다. 세개의 시일(49,51, 하나는 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지지되므로 황동 밸브 몸체(24)의 통로와 플라스틱 카트리지 저부의 정렬된 통로(43,44,45)사이의 접촉 부분이 밀봉된다.
하우징(46)의 상부 주변에는 밸브 몸체(24)의 상부 주변에 있는 주머니(41)에 설치된 장방형 배열 돌출부(52)가 있다. 또한 하우징(46)의 저부 주변에는 "0"링(54)을 받아들이는 "0"링 리세스(53)가 있어서 플라스틱 밸브 하우징(46)과 황동 밸브 몸체(24) 사이의 접촉 부위가 밀폐된다.
또한 하우징(46)은 중심 혼합 챔버(56)와 측면으로 정확하게 일정한 간격을 이루고 있는 네개의 밸브 시이트들을 가지고 있다. 이 혼합 챔버(56)의 저부를 따라 두개의 냉수 밸브 시이트(57)와 두개의 온수 시이트(58)(제3b도)가 있다. 또한 카트리지 하우징의 상부중 반대편 외부에는 슬롯(59)이 있는데 이 슬롯들은 장방형이나 상부가 약간 좁은 사다리꼴을 이룰 수 있다.
카트리지 유입구(43,44)는 각각 두개의 유입통로로 나누어지므로 혼합 챔버와 통하는 4개의 밸브 시이트 유입구(60,61,62,63)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입구들은 스프링(65)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환상 시일(64)에 의하여 밀폐되는데, 이 스프링에 설치된 시일들은 밸브 시이트(57,58,제2b도)의 밑에 있는 구멍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밸브 시이트 근처에는 분류 가감기(69)가 있는 원통형 배출 공동부(68)가 있다. 0-링(70)은 분류가감기(69)와 공동부(68)의 저부벽 사이의 접촉면을 밀봉한다.
분류 가감기(69)를 작동하는 방법은 미국 특허 제3,376,884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밸브를 통상의 작동 방법으로 작동시키면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부합된다. 화살표(71)(제2b도의 저부에 도시됨)의 방향으로 혼합 챔버에서 배출된 물은 분류 가감기를 통과한 다음 황동 밸브 몸체(24)내에 있는 배출 통로(30)를 통과한 후, 마지막으로 주둥이 허브구(21)를 따라 주둥이(19)로 배출된다. 분무 배출 도관(12)에 부착되어 있는 분무 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분류 가감기(69)는 물을 분무관(12)을 통하여 통로(73)로 흘려보내어 결국 분무 유닛에 들어가게 한다.
이제 제3a도와 제5a도 내지 제5d도를 살펴보면, 플라스틱 재질로된 이동 디스크 형태의 밸브 유닛(74)이 혼합 챔버(56)에 적절히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밸브 부재는 밸브 시이트(57,58)와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는 저부 밀봉 표면(75)이 있으며 저부에는 지지 브레이스(77)에 의하여 반으로 나누어지는 신장 형태의 구멍(76)이 있다. 네개의 유입구(60,61,62,63)중 어떠한 것으로부터 유입되는 물도 개구가 유입구와 일렬로 배열되어 있을 때 신장형의 개구(76)를 통하여 통과될 것이며 이들은 플라스틱 카트리지 하우징(46)의 내측면과 플라스틱 밸브부재(74)내에 있는 오목한 벽(74) 사이에서 모두 혼합될 것이다. 물은 혼합된 후 밸브부재(74)내에 있는 횡단 통로(79)를 통과하거나 디스크 주위를 통과할 수도 있다.
제5a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밸브 부재의 후방 바닥 모서리를 따라 절단되는 두개의 리세스(80)들이 있다. 횡단통로(79) 또는 디스크 축면을 통과한 물은 바닥의 이 리세스를 통과하여 배출 공동부(68)에 도달한다.
그러므로 신장 형태의 개구(76)가 네개의 유입구(60,61,62,63)를 초과할 경우, 밸브가 완전히 개방되어 물이 밸브 부재를 통하여 배출 공동부(68)로 흐를 것이다. 만일 밸브 부재(74)가 밸브 시이트(57),(58)를 가로질러 이동하므로서 밸브 부재가 횡축으로 이동될 경우, 밸브를 통하여 흐르는 물의 양은 조절될 수 있거나 또는 제2b도에서와 같이 완전히 차단될 수도 있다. 밸브 부재(74)를 회전시키어 신장형 개구를 한개 또는 두개의 온수 유입구(60,61) 또는 한개나 두개의 냉수 유입구(62,63, 제3a도)위에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제 제5b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밸브 부재(74)의 상부에는 "0"링을 놓을 수 있는 환상 홈(81)이 있다.
이 홈(81)(그리고 이 홈내에 있는 0링)은 "t"형태로된 캠 수용 개구(82)를 에워싸고 있는데, 이 개구는 캠 수용 길이 자체를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t-형태의 단면 구조를 갖는 비스듬히 연장된 보어(83)(제2a도)와 통해 있다.
연장된 축과 같은 작동(84)(제6a도와 제6b도)에 의하여 사용자가 밸브 부재(74)의 운동을 조절하고 밸브를 흐르는 유체의 양과 비율을 점진적으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작동기(84)는 챔버(56)의 저부로 축선이 있는 하나의 축 부위(85)와 축 부위에서 밸브 부재 개구(82)와 밸브 부재 보어(83)로 비스듬히 돌출되어 있는 하나의 캠 부위(86)를 가지고 있다. 작동기의 양쪽면을 따라 캠면(87,88)이 있으며, 이중 한개의 캠면을 따라 일렬로 배열된 키이(89)가 돌출되어 있다. 캠 부위(86)의 단면은 t-형태로써 개구(82)와 보어(83)의 단면적보다 약간 적으므로 미끄럼 끼워맞춤법으로 여기에 고정시켰다.
작동기(84)의 회전 운동은 비스듬한 캠 부위(86)를 작동기축을 중심으로 호를 그리며 흔들리게 만들고 따라서 캠면(87,88) 및 키이(89)가 캠 수용 개구(82)와 보어(83)의 벽에 접촉하여 밸브 부재(74)가 이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반면에 축 부위(85)의 축방향 운동은 캠 부위(86)를 보어(83)를 향해 또는 보어로부터 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밸브 부재가 밸브 시이트(57,58)를 가로질러 측면으로 이동하여 밸브 부재내에 있는 신장 형태의 구멍(76)을 유입구들과 일렬로 배치시켜서 유입구들을 덮거나 덮지 않게 한다. 그러므로 작동기(84)는 사용자가 두 종류의 기본 방향의 운동, 즉 회전 운동과 직선 운동으로 밸브 부재의 운동을 조절할 수 있게 해준다.
제2a도, 제2b도, 및 제7a도 내지 제7c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도면에는 베어링이나 베어링 부재(90)가 도시되어 있다. 베어링의 주변상에는 "0"링(92)을 받아들이기 위한 "0"링 요홈(91)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90)의 측면을 따라 일렬로 돌출부(93)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또한 이 부재에는 축 보어(94)가 있는데, 이 보어는 베어링의 표면(95) 평저면 가까이에 있는 가장 넓은 점(96)이다. 이 보어(49)는 점점 가늘어져서 작동기(84)의 축 부위(85)의 직경보다 단지 약간만 더 큰 좁은 직경을 갖게 되며 이것의 상부는 좁아져서 가롯대(97)와 같은 형태로 된다.
작동기의 상향 운동이 작동기 축부위 윗단면(100)과 가롯대(97)가 인접하므로써 제한되도록 작동기를 베어링의 상부를 통하여 돌출되어 있는 한쪽 단부와 함께 보어(94)내에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할 수도 있다. 작동기의 하향 운동은 제2a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위(84)의 저부와 밸브 부재(74)의 상부를 접촉시키므로써 또는 핸들(115)의 저부와 베어링 부재(90)의 상부를 접하게 하므로써 제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작동기(84)는 베어링 부재(90)내에서 정해진 간격으로 상향 및 하향운동을 할 수 있다.
밸브 카트리지 ; 분류 가감기(69), 스프링(65) 및 시일(64,70)을 하우징(46)내에 설치한 다음 플라스틱 밸브 부재(74)를 혼합 챔버(56)내에 설치한다. 플라스틱 작동기(84)의 캠 부위(86)를 캠 수용 개구(82)와 보어(83)로 이동시킨 다음 베어링 부재(90)를 밸브 부재(74)에 설치하여 완전한 카트리지 유닛을 만들었다.
환상 홈(81)내에 있는 "0"링이 밸브 부재(74)의 상부와 베어링 표면(95) 사이의 접한 면을 밀봉하여 "0"링(92)이 플라스틱 하우징(46)과 베어링 부재(90)의 측면사이의 접촉 부위를 밀봉한다. 베어링 부재(90)의 측면상에 있는 베어링 돌출부(93)는 베어링 부재(90)를 일렬로 배열시킨 하우징상에 요홈(59)이 있으며 밸브 부재에 따라 높이가 결정된다.
베어링 부재(90)상에 있는 위의, 돌출부(93)에는 금속나사가 있는 보닛(105)이 위치할 수 있는 가롯대(104)가 형성되어 있다. 보닛(105)상에 있는 나사들(106)은 황동 밸브 몸체(24)의 외부면에 있는 주변 나사들(40)로 죄어진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보닛(105)과 회전링(22) 사이에 주둥이 허브(20)가 끼워져 있게하는 동시에 보닛(105)은 황동 밸브 몸체(24)내에 밸브 카트리지를 지지한다. 그러므로 만일 보닛(105)이 죄어 있지 않다면, 카트리지 조립체는 밸브 몸체(24)의 상향으로 카트리지 하우징(46)을 밀면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카트리지 조립체를 이 부위에 쉽게 설치할 수도 있다.
제1도, 제2a도,제2b도 및 제8a도 내지 제8b도에서는 두 종류의 바람직한 핸들 조립체를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베어링 부재(90)의 외부상에 두번째 가롯대(108)를 형성하였다. 제2a도,제2b도 및 제8a도 내지 제8b도의 실시예에서 정지 링(109)이 이 가롯대에 위치한다. 정지 링(109)은 장방형 탭과 같은 2개의 피이트(110)를 가지고 있는 원통형 공동의 링이다. 이때 피이트는 베어링 부재(90)의 주변상에 있는 가롯대(108) 밑에 형성된 피이트 수용 웰(11)내로 잠긴다.
정지 링(109)이 베어링 부재(90)의 상부에 한번 위치되면 이것은 피이트(110)가 피이트 수용 웰(111)의 벽면에 접하게 되면서 베어링 부재(9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다. 더우기 정지 링(109)의 하향 축방향 운동은 정지 링(109)과 가롯대(108) 및 피이트 수용 웰(111) 사이가 접하게 되어 방해를 받는다. 또한 정지 링(109)에는 정지 돌출부(112)가 있는데, 이것은 링 주변부의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작동기(84)에는 축상의 나사구멍(114)이 있는 홈 단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통상의 푸쉬-풀 핸들(115)이 작동기(90)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 핸들에는 작동기의 홈 단부(113)와 짝을 지어서 수용하기 위한 홈 소켓(116)이 있다. 핸들과 작동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핸들(115)의 상부 벽을 통하여 나사구멍(114)으로 부착 나사(117)를 죈다. 장식용 스냅 캡(119)으로 이 연결부를 덮었다.
작동기(84)의 홈단부(113)와 홈소켓(116)이 짝을 이루므로 작동기(84)는 핸들(115)과 함께 회전될 것임을 알 것이다. 그러므로 베어링 부재(90)와 정지 돌출부(112)는 회전하지 않는다. 핸들(115)의 내부상에 있는 수직 정지벽(118)이 베어링 부재(90) 주위에 있는 핸들(115)의 회전을 제한하므로 온도가 최종적으로 변환된다. 왜냐하면 정지 돌출부(112)의 회전시에 고정된 부위에서 벽(118)에 인접하게 되기 때문이다.
핸들(118)은 제2b도의 위치에서 제2a도의 위치로 상향으로 밀면 작동기(84)는 나사 연접에 의하여 축방향의 위쪽으로 밀어질 것이다. 작동기(84)의 캠 부위(86)를 밸브 부재 보어(83)쪽으로 밀기 시작하면 이 캠 부위는 캠 수용 개구(82)나 보어(83)의 벽면과 접하게 되므로 밸브 부재(74)가 측면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힘을 받으면, 밸브 부재는 베어링 부재(90)상의 베어링 표면(95)과 밸브시이트(57)와 (58) 사이에서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핸들을 하향으로 밀면 이러한 과정이 반대로 일어난다.
다른 바람직한 핸들의 실예를 제1도에 도시하였다. 이 도면에서는 정지 링(109) 대신에 레버 칼라(120)를 사용하였다. 이 칼라에는 정지 링(109)의 부위와 유사한 원통형 링 부위가 있으며, 정지 돌출부(112) 대신에 원통 횡단 축받이통(121)이 있다. 레버 칼라(120)는 가롯대(108) 위에 있고 이것은 베어링 부재(90) 주변에 있는 요홈(123)에 고정되어 있는 얇은 금속 스냅 링(122)에 의한 상향 운동에 대하여 정위치에 지지된다. 그러므로 레버 칼라(120)는 베어링 부재(90)상에 회전하기는 자유롭지만 스냅 링(122)과 가롯대(108)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수직 방향에 대해서는 고정된다.
원통형 부싱(124)은 부싱 축받이 통(121)에 고정되는데, 이 부싱에는 금속의 레버 아암(128)에서 정방형 돌출부(126)가 설치되어 있는 입방체 내부 보어(125)를 갖는다. 금속의 레버 아암(128)에는 굽은 부위(127)가 있는데 이 부위는 베어링 부재(90)의 바깥쪽 주위로 연장되고 핸들(130)내에 있는 구멍(129)을 통하여 부싱(124)으로 외측 아암과 연결된다. 또한 구멍(129)에는 그로밋 지렛대(131)가 만들어져 있으며 핸들(130)은 제2a도에서 도시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기의 상부에 부착된다.
핸들(130)을 단순히 상향으로 밀거나 또는 제2a도에서 도시한 핸들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핸들(130)을 회전시키므로써 이 핸들 조립체를 작동시킬 수 있는 한편 사용자가 레버 아암(128)을 올리므로써 핸들(130)이 상향으로 밀릴 수도 있다. 레버 아암(128)을 회전시켜 핸들이 회전될 수도 있다.
요약을 보면, 본 발명은 하나의 카트리지 구조를 갖는 흐름 조절 밸브를 제공하는데, 이 밸브는 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수도꼭지 구조에 쉽게 삽입할 수도 있으며 카트리지 부품이 마모된 경우 대치될 수 있다. 고무시일, 스프링 및 금속 분류 가감기 외의 카트리지 성분들은 플라스틱으로 쉽게 만들어지므로 카트리지를 싼 값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어(83,94)의 축 길이가 비교적 길고 밸브를 축방향으로 푸쉬-풀 작동시키고 (96)지점에서 베어링 보어(94)가 점점 가늘어지고, 측면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어 네개의 유입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부피를 점진적으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경험이 없어도 밸브를 돌려서 물을 갑자기 나오게 할 수 있거나 또는 도관에 충격을 가하여 물을 갑자기 나오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밸브 부재(74)를 많이 회전시킬 수도 있고 적절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온수용 유입구 2개와 냉수용 유입구 2개를 설치하였으므로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밸브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온도가 갑자기 변환되는 경우를 경험하는 적이 적을 것이다.
이동 디스크 구조, 하나의 핸들을 사용하여 두 종류의 주방향으로 움직이는 디스크 운동을 조절하는 것 및 핸들과 디스크 사이의 중간 조절 부위들은 독특한 장력이 있는 디스크와 접촉하는 경사단부와 장부 구멍이 있는 단일 로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한쪽 부위에서 다른 부위로 병진 운동을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그밖의 다른 실시형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본 밸브를 주방용 수도꼭지에만 사용하기보다는 여러종류의 유체들이 흐르는 여러개의 도선 또는 한개의 도선을 통하여 흐르는 흐름을 조절하는데 본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분류 가감기와 분무 배출 구조를 합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형태지만 모든 형태에 이러한 것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분류 가감기가 없는 카트리지는 전반적으로 길이가 짧으며, 특히 분무기가 필요하지 않다면, 이것은 목욕탕용 수도꼭지 밸브나 주방용 수도꼭지 밸브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하나의 혼합 챔버(56), 이 챔버와 연통되는 유입구 구멍을 제공하기 위해 챔버 저부에 있는 서로 각각 옆방향으로 떨어진 제1 및 제2밸브 시트(57,58), 그리고 상기 챔버에서 나오는 배출 공동부(68)를 갖는 하우징과 ; 상기 밸브 시트(57,58)와 이동 접촉하는 저부 밀봉면(75), 유입구 구멍에서 배출 공동부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포트 수단, 그리고 밸브 부재 상부면에서 개방되는 캠 수용 개구(82)를 갖는 상기 챔버(56)내의 밸브 부재(74) ; 상기 밸브 부재(74)에 장착된 베어링 부재(90) ; 그리고 상기 캠 수용 개구(82)로 연장되는 바닥 단부를 갖는 작동기(84)를 구비한 유체 조절 밸브에 있어서, 상기 포트 수단은 밸브 부재기저에 있는 신장 형태의 구멍(76), 밸브 부재(74)를 지나는 횡단 통로(79), 밸브 부재 모서리와 인접한 요홈(80)을 구비하고 그것에 의해 밸브 부재를 적절히 위치시켜 유체가 신장 형태의 구멍, 횡단 통로를 통하여 상기 횡단 통로 출구(80)를 지나 배출구에 이르며, 상기 베어링 부재(90)는 보어(94)를 갖고, 상기 작동기(84)는 보어(94)에서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상부 축부위(85)와 밸브 부재 캠 수용 개구(82)로 이동가능하게 연장되는 캠 부위(86)를 가지며, 축 부위(85)의 이동이 캠 부위(86)가 캠 수용 개구(82)벽과 접촉하도록 하며, 그것에 의해 밸브 부재가 밸브 시트(57,58)위를 옆으로 이동하여 유체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축부위(85)의 회전이 밸브 부재(74)를 회전하도록 하여 각 유입구 구멍으로 들어가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절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 부재(90)와 밸브 부재(74) 사이의 환상 홈(81)과 각각의 유입구를 밀봉하는 환상 시일(64)이 각 유입구 구멍을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절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캠 부위(86)는 각을 지어 연장된 평행한 캠면(87,88)을 갖고 캠 수용 개구(82)는 상기 면과 짝지워지는 대향 사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절 밸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기(84)의 축 부위(85)에 핸들(115,130)이 부착되어 작동기(84)가 상기 핸들의 회전 및 축방향 이동에 따라 회전 및 축방향 이동이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절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30)이 레버 아암(12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절 밸브.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밸브 부재 바닥에 있는 신장 형태의 구멍이 신장형이며 상기 횡단 통로 출구가 밸브 부재의 후방 바닥 모서리를 따라 절단된 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조절 밸브.
KR8204651A 1981-10-15 1982-10-15 유체 조절 밸브 KR8900004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151981A 1981-10-15 1981-10-15
US311519 1981-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2081A KR840002081A (ko) 1984-06-11
KR890000449B1 true KR890000449B1 (ko) 1989-03-17

Family

ID=2320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651A KR890000449B1 (ko) 1981-10-15 1982-10-15 유체 조절 밸브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077506B1 (ko)
JP (1) JPS58109781A (ko)
KR (1) KR890000449B1 (ko)
AR (1) AR227756A1 (ko)
BR (1) BR8206011A (ko)
CA (1) CA1185501A (ko)
DE (1) DE3271031D1 (ko)
ES (1) ES516510A0 (ko)
GB (1) GB2107437B (ko)
HK (1) HK18886A (ko)
MX (1) MX155413A (ko)
MY (1) MY8600307A (ko)
PH (1) PH18799A (ko)
SG (1) SG76985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6377A (ja) * 1989-10-05 1990-06-05 Kitamura Gokin Seisakusho:Kk 混合水栓用板弁の構造
ES2121507B1 (es) * 1995-03-23 1999-06-16 Supergrif S L Mecanismo portacartuchos multiposicional para griferias monomando.
US20040074543A1 (en) * 2000-11-02 2004-04-22 Dickson Robert Alan Valving and mixing unit
ITTO20020164A1 (it) * 2002-02-27 2002-05-28 Iurop Srl Rubinetto modulare.
AU2003296581A1 (en) * 2002-12-03 2004-06-23 Iurop S.R.L. Modular cock
GB2477449B (en) * 2008-10-02 2015-04-29 Kohler Mira Ltd Ablutionary appliance having a retractable manually operable actuator
CN114151972A (zh) * 2020-08-18 2022-03-08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热水器控制方法、装置、热水器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76840A (en) * 1935-11-07 1937-04-13 Ed D Ligon Valve
US2980130A (en) * 1958-10-06 1961-04-18 Harke Otto Mixing valve
USRE27036E (en) * 1969-09-19 1971-01-19 Miller single handle faucet valve
US3854493A (en) * 1972-12-11 1974-12-17 Elkay Mfg Co Valve cartridge
JPS5523093U (ko) * 1978-08-03 1980-02-1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206011A (pt) 1983-09-13
ES8308985A1 (es) 1983-10-01
JPH0531719B2 (ko) 1993-05-13
PH18799A (en) 1985-09-27
CA1185501A (en) 1985-04-16
MY8600307A (en) 1986-12-31
ES516510A0 (es) 1983-10-01
GB2107437B (en) 1985-08-07
HK18886A (en) 1986-03-27
MX155413A (es) 1988-02-29
SG76985G (en) 1986-11-21
KR840002081A (ko) 1984-06-11
GB2107437A (en) 1983-04-27
EP0077506B1 (en) 1986-05-07
JPS58109781A (ja) 1983-06-30
DE3271031D1 (en) 1986-06-12
EP0077506A1 (en) 1983-04-27
AR227756A1 (es) 198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74478B2 (en) Temperature and volume control valve assembly
US4337795A (en) Single lever mixing faucet
US4633906A (en) Mixing cartridge for hot and cold water faucets
US7182100B2 (en) Retrofittable mixing valve and method of assembly
US5507314A (en) Mixer valve having a ball valve element
US5615709A (en) Mixer valve having a ball valve element housed in a cartridge
JPH06221448A (ja) 冷・温水混合水栓
US4738393A (en) Mixing valve assembly
US5613521A (en) Mixing valve having a ball valve cartridge and a lower insert member
US4346735A (en) Water faucet and attachment therefor
RU2158867C2 (ru) Съемный патрон шарового клапана смесительного крана
US7066204B2 (en) Multi-port diverter valve assembly with integral detent
KR890000449B1 (ko) 유체 조절 밸브
EP0593489A1 (en) Mixer valve having a ball valve element
HU224595B1 (hu) Kialakítás csak forgatással működtetett egykaros keverőcsaptelephez
RU2099620C1 (ru) Смесительный водопроводный кран с шаровым клапаном
US5740836A (en) Ball valve faucet
JPH0456192B2 (ko)
RU2128797C1 (ru) Смес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имеющий патрон шарового клапана и элемент нижнего вкладыша
RU2137000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водопроводный кран с шаровым клапаном
GB2040021A (en) Mixer valve assembly
EP0748426B1 (en) A ball valve cartridge for a mixer valve and a faucet mixer valve
JPH03140675A (ja) 閉止兼調節弁
CA2255210A1 (en) Improved replaceable ceramic disc valve
US3710827A (en) Fluid flow control va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