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050Y1 -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050Y1
KR890000050Y1 KR2019820006912U KR820006912U KR890000050Y1 KR 890000050 Y1 KR890000050 Y1 KR 890000050Y1 KR 2019820006912 U KR2019820006912 U KR 2019820006912U KR 820006912 U KR820006912 U KR 820006912U KR 890000050 Y1 KR890000050 Y1 KR 890000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projection
mounting hole
oper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6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467U (ko
Inventor
히로야끼 사사기
도모히사 도미나가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14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4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0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의 조작축과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조작축에 손잡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3도 이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4도는 손잡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제6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조작축 11a, 11b : 외축면
12a, 12b, 12c : 돌기 13 : 손잡이
13a : 취부구멍
본 고안은 스위치나 기타 전기부품등의 조작축에 손잡이를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기구를 제1도(사시도)및 제2도(평면도)에 나타낸다. 도면중 부호(1)는 플라스틱제의 조작축이다.
이 조작축(1)은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면의 곡면부분(1a), (1b)에 돌기(2a), (2b)및 (2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2a), (2b), (2c)는 단면이 3각형의 톱날 형상으로 곡면부분(1a), (1b)의 폭 전장에 걸쳐 성형되는 한편 손잡이(3)의 삽입방향으로 복수단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한편 손잡이(3)도 플라스틱제로 그 내부에는 단면에 타원형상인 취부구멍(3a)이 개구되어 있다.
이 치부구멍(3a)의 도면중 상하방향의 내경칫수는 조작축(1)의 상하방향의 돌기(2a), (2b), (2c)의 정부(頂部)사이의 거리(h)보다도 약간 작게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3)의 취부구멍(3a)을 조작축(1)에 삽입시키면 각 돌기(2a), (2b), (2c)는 취부구멍(3a)내에 강제적으로 압입되어 돌기(2a), (2b), (2c)와 취부구멍(3a)의 내면과의 탄압력에 의하여 손잡이(3)가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손잡이 취부기구에서는 각돌기(2a), (2b), (2c)가 조작축(1)의 폭방향 전장에 걸쳐 성형되어 있으므로 손잡이(3)를 장착할때의 돌기(2a), (2b), (2c)의 정부(頂部)가 순서적으로 취부구멍(3a)의 내면을 깍아내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돌기(2b)는 돌기(2a)에 의하여 깍아낸 취부구멍(3a)의 내면에 압접하고, 또 돌기(2c)는 돌기(2a)와 (2b)에 의하여 2회 깍아내진 내면에 압접하게 되어 축의 기부측의 돌기(2c)와 취부구멍(3a)의 내면의 탄압력은 약해진다.
따라서 조작축(1)에 있어서의 손잡이(3)의 지지력이 약해져 사용중에 손잡이(3)이 탈락하는 사고가 일어나기 쉽게 되어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써, 종래의 것과 기본적인 구조를 바꾸지 않고 손잡이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조작축의 외측면에 복수단으로 설치한 돌기의 폭 칫수를 축의 기부기부(基部)로 진행함에 따라 크게하고, 손잡이를 장착할때 취부구멍의 내면이 깍아지는 부분을 가급적으로 작게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3도 이하의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조작축의 사시도, 제4도는 손잡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중 부호(11)는 전기부품의 조작축으로서, 플라스틱제로 단면이 타원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축(11)의 외측면의 곡면부분(11a), (11b)에 돌기(12a), (12b), 및 (12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 (12a), (12b), (12c)는 제1도의 것과 마찬가지로 단면이 3각형인 톱날 형상으로 손잡이의 삽입 방향으로 복수단 배열되어 있다.
또 각 돌기의 폭칫수는 축의 기부측에 위치하는 것이 축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것보다도 크게되어 있다. 즉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부측에 가장 가깝고 위치하고 있는 돌기(12c)는 조작축(11)의 폭칫수(W)와 같은 길이이며, 돌기(12b)의 폭칫수는 돌기(12c)보다도 작은 2/3W이고, 선단측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돌기(12a)의 폭칫수는 더욱 작은 1/3W로 되어 있다.
또 조작축(11)에 장착되는 손잡이(13)는 제1도에 나타낸 손잡이(3)와 같고 플라스틱제로 단면이 타원형상인 취부구멍(13a)이 개구되어 있다. 또 취부구멍(13a)의 내경칫수는 조작축(11)의 상하돌기의 정부(頂部)간의 거리(h)보다도 약간 작게 성형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에 의한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기구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손잡이(13)을 장착할 때에는 취부구멍(13a)을 조작축(11)의 각 돌기(12a), (12b), (12c)의 외측으로 강제적으로 삽입한다.
각 돌기 (12a), (12b), (12c)는 손잡이 삽입 작업시에 취부구멍(13a)의 내면으로 탄압하여 접접(摺接)하고 취부구멍(13a)의 내면을 깍아내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축의 선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돌기(12a)의 폭칫수는 1/3W이기 때문에 이 돌기(12a)에 의하여 깍아내지는 내면의 폭 칫수는 1/3W이다.
따라서 다음의 돌기(12b)의 반분측(半分側)부분 (1/3W의 폭의 부분)은 돌기 (12a)에 의하여 깍아내져 있지 않은 장소로 압접한다.
마찬가지로 축의 기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돌기(12c)의 우측 1/3부분 (1/3W의 폭의부분)은 돌기(12a)및 돌기(12b)에 의하여 깍아내져 있지 않은 부분으로 압접한다. 따라서 손잡이 (13)를 조작축(11)에 완전하게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돌기(12a)는 물론이려니와, 다른 돌기(12b),(12c)의 일부분은 전혀 깍아내져 있지 않은 취부구멍(13a)의 내면에 압접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도에 나타낸 종래의 구조에서는 취부구멍(3a)의 내면이 조작축(11)의 폭칫수 전장에 걸쳐 돌기 (2a), (2b), (2c)로서 3회 깍아내지게 되지만 제3도의 실시예에서는 취부구멍(13a)의 내면중 3회는 깍아내지는 범위가 1/3W의 폭으로, 2회 깍아내지는 범위도 1/3W의 폭으로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13)의 장착후는 각 동기 (12a), (12b), (12c)는 각각 취부구멍(13a)의 내면에 대한 압접 유지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손잡이(13)의 조작축(11)에 대한 취부강도는 종래의 것보다도 대폭적으로 증강된다.
다음에 제5도 및 제6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돌기(14a), (14b), (14c)및 (15a), (15b), (15c)는 제3도의 돌기 (12a), (12b), (12c)와 같이 단면이 3각형인 톱날형상이다. 그리고 각 돌기의 폭칫수는 축의 기부측의 것이 선단측의 것보다도 크게 되도록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의 지지력은 제3도의 것과 마찬가지로 강하게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각 돌기의 폭 칫수를 축 기부측이 크게 되도록 성형했기 때문에 손잡이의 취부구멍의 내면에 있어서 돌기에 의해 깍아내지는 범위가 좁게 되어 각 돌기에 의한 손잡이의 지지력이 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중에 손잡이가 탈락하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 제3도,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축선단의 측연부의 편측, 또는 양측에 돌기(12a), (15a)의 양단이 없어지므로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돌기(2a)가 축 전체에 뻗혀 있는 것과 비교하여 손잡이를 삽입하기 쉽게되어 장착 작업이 용이하여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손잡이의 취부구멍을 장착하는 축 선단부의 외측면에 3각형 모양의 단면을 가진 돌기를 손잡이 삽입방향으로 복수단 형상하여 된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 기구에 있어서, 상기 돌기의 손잡이(13)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 칫수는 축의 기부측에 위치하는 것이 축의 선단부측에 위치하는 것보다도 크게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기구.
KR2019820006912U 1981-10-02 1982-08-28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구조 KR89000005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47417 1981-10-02
JP1981147417U JPS5853420U (ja) 1981-10-02 1981-10-02 操作軸のツマミ取付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467U KR840001467U (ko) 1984-04-30
KR890000050Y1 true KR890000050Y1 (ko) 1989-03-02

Family

ID=2994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912U KR890000050Y1 (ko) 1981-10-02 1982-08-28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53420U (ko)
KR (1) KR8900000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9857B2 (ja) * 2010-10-20 2015-12-09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における操作レ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40498Y2 (ko) 1987-10-16
JPS5853420U (ja) 1983-04-11
KR840001467U (ko) 198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17246A (ko) 케이블용 접속기
KR970704946A (ko) 디이프 리브 복합 열절연 패널
KR900702599A (ko) 전기 콘넥터
KR890000050Y1 (ko) 조작축의 손잡이 취부구조
KR890007947A (ko) 와이퍼블레이드용 코넥터
KR960005915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US4701067A (en) Device for snap fitting an electric apparatus onto a support bar
KR970014955A (ko) 코너컷터
JPS63297147A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ブレード装着帯用ヨークもしくはレバー
KR0115265Y1 (ko) 클립탈거용 공구
KR19980023376U (ko) 크립의 체결력 강화구조
JPS5918822Y2 (ja) 配線用ダクト
KR890007035Y1 (ko) 원격조정기의 건전지 수납장치
KR200147194Y1 (ko) 자동차의 릴레이 장착용 홀더
KR200205567Y1 (ko) 차단기의 전력선 지지구조
KR820000049Y1 (ko) 콘트롤 놉(knob)
JPH0520295Y2 (ko)
JPS6053636B2 (ja) 往復式電気カミソリ
KR870004026Y1 (ko) 전기 전자제품용 코오드 호울더
KR960000494Y1 (ko) 호일 케이스
KR830002420Y1 (ko) 브러시 지지장치
KR870002246Y1 (ko) 연필 깎기
KR940005955Y1 (ko) 문구용 칼
JPH08150085A (ja) 野菜調理器及び野菜調理器による切削方法
KR0124867Y1 (ko) 폐종이 컷팅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