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1134Y1 - 공중 곡예 강아지 완구 - Google Patents

공중 곡예 강아지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1134Y1
KR880001134Y1 KR2019840013528U KR840013528U KR880001134Y1 KR 880001134 Y1 KR880001134 Y1 KR 880001134Y1 KR 2019840013528 U KR2019840013528 U KR 2019840013528U KR 840013528 U KR840013528 U KR 840013528U KR 880001134 Y1 KR880001134 Y1 KR 880001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ing
protrusion
clutch
shaf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3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386U (ko
Inventor
안경철
Original Assignee
대진상역 주식회사
안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상역 주식회사, 안경철 filed Critical 대진상역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40013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80001134Y1/ko
Priority to JP1985097710U priority patent/JPH0344234Y2/ja
Publication of KR860007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3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1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63H13/04Mechanical figures imitating the movement of players or workers
    • A63H13/12Gymnastic or acrobatic toy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 A63H11/18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 A63H11/20Figure toys which perform a realistic walking motion with pairs of legs, e.g.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63H3/31Bellows, cylinders or the like for sound production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중 곡예 강아지 완구
제1도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타측면 내부 구성도.
제3도 및 제4도는 원동 박스의 사시도.
제5도는 원동 박스내의 기어블럭의 종단면 구성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제7도는 앉은 모습과 도약 상태의 내부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몸통 12 : 원동 박스
13, 14 : 횡봉 15 : 진동판
16 : 발음구 17 : 두부
18 : 축수 19 : 언동간
20 : 앞다리 21 : 보행축
22 : 보행크랭크 23 : 장공
24 : 뒷다리 25 : 도약크탱크
26 : 연동간 27 : 도약스프링
28 : 도약레버 29 : 도약연동판
30 : 장공 31 : 제어캠
32 : 캠축 33 : 쾌지턱
34 : 도약돌기 35 : 돌봉
36 : 원주면 36' : 절취부
37 : 돌봉 38 : 구동기어
39 : 진동크랭커 40 : 진동스프링
41 : 클러치조 42 : 클러치축
43 : 글러치스프링 44 : 클로치기어
45 : 돌기 46, 46' : 감속기어
47 : 캠기어 48 : 보행기어
본 고안은 잔걸음으로 걷다가 뒷다리를 굽혀 앉고 앉은 자세에서 뒷다리로 바닥을 박차고 뛰어올라 공중 회전한 후 바로 서고 짖어대는 5개 연속동작을 반복 할 수 있게된 공중곡예 강아지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동물 작동 완구들은 꼬리를 흔들며 전후로 걷는 동작 또는 머리를 상하 및 좌우로 흔들고, 입을 움직이며 소리를 내는 동작 등 기타의 단조로운 일상 동작의 연기를 지속 하도록 된 것들로써 좀더 재미있고 새로운 특히 곡예적인 흥미를 자아낼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완구들의 기구적 공통점으로는 정전식모되거나 기모직물로 포피된 동물의 몸통을 구성하고, 몸통내의 작동 장치로서는 태엽이나 건전지 구동 소형모터를 동력원으로 하고, 기어 블럭을 통해 감속한 후 다리나 머리 꼬리등 몸통의 일부분을 회전 크랭커등 동작 기구에 연동시킴으로써 완구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작동 완구와는 달리 특히 공중 곡예하는 연기용 강아지 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 공중 회전의 준비동작으로서 잔걸음치다가 뒷다리를 움추려 앉은 다음 튀어올라 뒤로 한 바퀴 돌아서는 공중곡예 후에는 자세를 정비하여 짖어 대는 동작들이 연속됨으로써 이러한 연속된 연기 동작이 강아지의 곡예를 보여주어 흥미를 크게 자아 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좌우로 분할 되는 몸통(11)이 원동박스(12)를 관통한 앞뒤의 두 횡봉(13)(14)끝에 고정되고, 인후부(11')에 상부가 고정된 풀무식 발읍구(16)를 탑재한 진동판(15)이 횡봉(13)에 편심 유착되며, 두부(17)가 인후부(11')의 축수(18)에 유착됨과 동시에 연동간(19)으로 진동판(15)에 연동 된다.
앞다리(20)는 보행 크랭크(22)에 연동됨과 동시에 상부의 장공(23)이 횡봉(13)에 삽설 유착되며, 뒷다리(24)는 도약크탱크(25)양단에 유착 됨과 동시에 상단에 연동간(26)이 연결되어 앞다리(20)과 함께 연동 된다. 도약크탱크(25)는 상부에 도약스프링(27)이 인장되고, 횡봉(28')에 유착된 도약 레버(28)저부의 절개부(28')와 유감됨과 동시에 도약 연동판(29)에 연동되고, 도약 연동판(29)은 선단의 장공(30)이 제어캠(31)의 캠축(32)단부에 의지됨과 동시에 괘저턱(33)이 제어 캠(31)상의 반원형편심도약돌기(42)에 접속된다. 상기한 진동판(15)의 저부 일면 돌봉(35)은 제어캠(41)의 원주면(36) 및 절취부(36')에 접속되고 그의 타면 돌봉(37)은 진동크랭크(39)와 접속되어 진동스프링(40)으로 앞다리(20)에 인장된다. 제5도 및 제6도에서, 제어캠(31)내축 주면의 클러치돌조(41)에는 측면에 스프링(43)이 탄설되어 클러지축(42)상에 유착된 클러치기어(44)측단의 돌기(45)가 접속되고, 원동모터로 부터 감속기어군(50)을 통해 회전 되는 횡장의 구동기어(38)가 클러치기어(44)에 치합 된다. 제어캠(31)측단의 캠기어(47)는 일단이 진동크랭크(39)인 구동기어(38)의 축(38')상에 유착된 감속기어(46)(46')를 거쳐 클러치기어 측면의 소기어(44')에 치합되고, 클러치기어(44)는 양단이 보행크탱크(22)인 보행축(21)상의 보행기어(48)와 접리 되는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49는 모터, 51은 건전지수장실, 52는 몸통의 기모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모터(49)를 전원에 접속시켜 구동기어(38)가 회동되면 클러치축(42)상의 클러치기어(44) 및 소기어(44') 감속기어(46)(46')로 연동되는 제어캠축(32)상의 캠기어(47)는 계속 회전되어 제어캠(31)에 접속된 모든 연동기구가 작동되며 보행축(21)상의 보행기어(48)는 클러치기어(44)와 접속된 때에만 일정시간 동안 회전된다.
그리하여 제어캠(31)내면의 클러치돌조(41)가 돌기(45)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제어캠상의 도약돌기(41)가 돌기(45)를 가압한 상태에서는 제어캠 상의 도약돌기(34)의 진행이 미소한 상태이어서 뒷다리(24)의 자세는 큰 변화가 없는 상태이고 한편 보행기어(48)가 보행축(21)을 통하여 보행크탱크(22)를 회전시키므로 상부 장공(23)이 횡봉(13)에 의지 되어 있는 앞다리(20)는 그 저단부가 장원의 궤도를 그리는 동작이 되어 앞다리가 마치 걷는 모양이 되고 이와 동시에 연동간(26)으로 도약크랭크(25)에 유착된 뒷다리(24)의 상단부를 연동시키므로 뒷다리(24)는 앞다리의 반대방향으로 운동하되 그 저단부가 유착부를 중심으로 원호의 궤도를 따라 동작되므로 강아지 완구는 잔 걸음으로 걷는다.
제어캠(31)의 회전이 더 진행되어 클러치돌조(41)가 돌기(45)에서 벗어나게되면 앞축 되었던 스프링(43)의 탈력으로 클러치기어(44)는 클러치축(42)상에서 수평이동 보행기어(48)는 클러치기어(44)와 계합이 해탈되고 이와 동시에 앞뒷다리(20)(24)는 동작을 멈춰 완구는 서 있는 자세가 된다.
상면 도약돌기(34)의 반원호부가 도약연동판(29)의 괘지턱(339)을 잡아 당기고 이러한 동작은 작동을 멈춘 연동간(26)에 상부가 의지 된 뒷다리(24)를 도약크탱크(25)의 원호를 따라 앞으로 당겨서 뒷다리(24)를 안으로 크게 굽히므로 강아지의 앉는 동작이 진행되고 동시에 도약크탱크(25)에 저단의 장공이 유감된 도약레버(28)를 횡봉(28')을 중심으로 잡아당겨 상부의 강력한 도약스프링(27)을 인장하게 된다.
따라서 도약돌기(34)의 회전이 더 진행되어 뒷다리(24)가 완전히 굽혀져서 앉은 자세가 완료되면 도약레버(28)도 도약스프링(27)을 최대 인장 상태로 당겨 장전상태가 되며 도약돌기(34)의 회전이 더 진행하면 도약연동판(29)의 괘지턱(33)은 반원형 도약돌기(34)의 원호면의 최첨단부에서 직선 복부쪽으로 이탈하게 됨에 따라 인장 되었던 강력한 도약스프링(27)의 순간적인 복귀탄력으로 도약레버(28)의 저단부가 빠른 속도로 횡봉(28')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며 원위치로 이동되고 동시에 도약연동판(29)도 원위치로 복귀되고, 뒷다리(24)의 선단부가 연동간(26)말단의 유착부를 중심으로 원호의 궤도를 따라 순간적으로 이동되므로 이동작은 마치 강아지가 바닥을 박차고 뛰어오르는 동작이 되고 이때의 몸통(11)은 바닥에서 공중으로 뛰어올라 뒤로 1회 공중회전하며 착지시에는 바른 자세가 되어 앞뒤다리로 바닥을 디딘상태와 자세가 된다.
이때 도약 스프링이 너무 강력하거나 약하면 일회 이상의 공중 회전이 되거나 공중회전이 완료되지 못하여 바르게 착지 하지 못하므로 알맞게 조절하여 둔다.
제어캠(31)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뒤로 뻗친 상태의 뒷다리(24)는 도약돌기(34)가 도약 연동판(29)을 당김에 따라 바른 자세가 되면서 진동판(13)의 일측돌봉(35)이 제어캠의 원추면(36)에서 절취부(36')내로 수용 되고 진동스프링(40)의 당김이 횡봉(13)을 편심축으로 진동판(15)을 하향시키므로 진동판 타면의 돌봉(37)은 구동기어축단의 진동크랭커(39)에 접속되므로써 진동판(15)은 횡봉(13)을 편심축으로 상하진동되어 그 상부에 탑제된 풀부식발음구(19)를 신축시켜 강아지는 짖어대는 발성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진동판(15)과 연동간(19)으로 링크된 두부(17)는 축수(18)의 유착부를 중심으로 머리를 흔들어 강아지는 몸을 털며 자세의 재정비하는 모습이 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강아지 완구가 공중곡예 동작을 중심으로 그 준비 동작과 자세의 재정비 동작을 모두 나타내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잔 걸음으로 걷다가 뒷다리를 굽혀 앉고 앉은 자세에서 뒷다리로 바닥을 박차고 뛰어올라 뒤로 공중 회전한 후 바른 자세로 착지되고 뒷다리를 바르게 세우면서 머리를 흔들고 짖어대는 동작을 연속하는 강아지 완구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Claims (1)

  1. 몸통(11)내에 감속기어군(50)이 내설된 원통박스(12)를 장착하고 인후부(11') 풀무식발음구(16)가 설치되며, 앞뒷다리(20)(24)가 연동간(26)으로 연결되어 소리를 내고, 머리를 움직이고, 걸음동작을 행하게 된 공지의 작동완구에 있어서, 원동박스(12)좌우의 횡봉(28')양단에 유착되어 상부가 도약스프링(27)으로 인장된 도약레버(28)저부의 절개부(28')를 뒷다리(24)가 유착된 도약크랭크(25) 양단에 유감시키고, 도약크랭크(25)일단에는 장공(30)과 괘지턱(33)이 형성된 도약 연동판(29)이 유착되어 갬축(32)이 장공(30)내에 끼워지고, 캠축(32)상에는 반원형편심도약돌기(34)와 원주면(36) 및 절취부(36'), 클러치돌조(41)등이 형성된 제어캠(31)이 축착되어 반원형 편심 도약돌기(43)는 도약연동판(29)의 괘지턱(33)에 접속되고, 원주면(36) 및 절취부(36')에는 타면돌봉(37)이 구동기어(38)축(38')일단의 잔동크랭크(39)에 접속되는 진동판(15)의 저부일면돌봉(35)이 접속되며, 클러치돌조(41)에는 클러치축(42)상에 스프링(43)으로 탄설유착된 클러치기어(44)측단의 돌기(45)가 접속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 곡예 강아지 완구.
KR2019840013528U 1984-12-19 1984-12-19 공중 곡예 강아지 완구 KR880001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528U KR880001134Y1 (ko) 1984-12-19 1984-12-19 공중 곡예 강아지 완구
JP1985097710U JPH0344234Y2 (ko) 1984-12-19 1985-06-2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13528U KR880001134Y1 (ko) 1984-12-19 1984-12-19 공중 곡예 강아지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386U KR860007386U (ko) 1986-07-12
KR880001134Y1 true KR880001134Y1 (ko) 1988-03-25

Family

ID=1923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3528U KR880001134Y1 (ko) 1984-12-19 1984-12-19 공중 곡예 강아지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344234Y2 (ko)
KR (1) KR8800011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164A1 (ja) 2016-11-29 2018-06-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防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386U (ko) 1986-07-12
JPS61106296U (ko) 1986-07-05
JPH0344234Y2 (ko) 199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29098T2 (de) Gehendes, tierförmiges spielzeug mit kontrollierender leine
KR880001134Y1 (ko) 공중 곡예 강아지 완구
US9675896B2 (en) Walking toy and walking toy set
US5273479A (en) Moving and dancing doll
US2065337A (en) Self propelled toy fish
US5100362A (en) Propellable articulating animal toy
US5203559A (en) Bowling apparatus having spring driven wind-up striker
CA1041302A (en) Toy simulating a walking animal
US3659379A (en) Toy robots
US2566141A (en) Mechanical ski toy
US2251006A (en) Wheeled figure toy
GB2063691A (en) Drummer doll
US5378189A (en) Walking toy animal with extending leg members and oscillating tail
US4245425A (en) Toy horse with mechanism to produce trotting sound
US1959493A (en) Toy
KR200179498Y1 (ko) 공중곡예 강아지완구의 도약스프링 장력조절장치
US1538140A (en) Walking animal
US4291489A (en) Push toy
KR880004188Y1 (ko) 강아지 동작 완구
CN2039989U (zh) 仿四足动物行走玩具机构
US1561374A (en) Animal toy
KR910000832Y1 (ko) 동물 작동 완구
CN108126346A (zh) 一种集运动、娱乐于一体的健身器
KR930002943Y1 (ko) 완구 비행기
JPH0746316Y2 (ja) 玩具及び玩具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2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