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3993Y1 - 자동 멍키 스패너(Monkey Spanner) - Google Patents

자동 멍키 스패너(Monkey Span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3993Y1
KR870003993Y1 KR2019850001493U KR850001493U KR870003993Y1 KR 870003993 Y1 KR870003993 Y1 KR 870003993Y1 KR 2019850001493 U KR2019850001493 U KR 2019850001493U KR 850001493 U KR850001493 U KR 850001493U KR 870003993 Y1 KR870003993 Y1 KR 870003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hole
shaft
nu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1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555U (ko
Inventor
강병남
백남오
전상희
Original Assignee
강병남
백남오
전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남, 백남오, 전상희 filed Critical 강병남
Priority to KR2019850001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70003993Y1/ko
Publication of KR860010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5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3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3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25B13/12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 B25B13/14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the jaws being slidable by rack and pinion, worm or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 멍키 스패너(Monkey Spanner)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일부를 절개한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제3도는 워엄스크류와 축봉 및 이동편의 결합관계 상세도.
제4도 및 제5도는 전후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헤드 19 : 워엄스크류
31 : 워엄스크류집 32 : 해지간극
33 : 조임간극 34 : 원판형 홈
35 : 스프링 36 : 축봉
37, 37' : 축공 39 : 턱
40 : 미단부 41 : 스프링
42 : 나사마개 43 : 핀공
44 : 장공 45 : 판면
46 : 핸들 47, 47' : 상하판재
48 : 부채꼴구멍 49 : 축수
50, 50' : 굴절편 51 : 기점축핀
53 : 굴절축핀 54 : 핀공
55 : 핀공 56 : 수동축핀
58 : 미단부 턱 59 : 장공
60 : 쇄정핀 60' : 스프링
본 고안은 멍키스패너 헤드상의 너트의 협착 개구내에 다각형 너트를 협착한 후 너트의 협착 개구를 너트에서 이탈시킴이 없이 연속 반복적인 핸들의 왕복 조작에 의하여 너트를 조이거나 너트의 조임을 풀 수 있게끔 고안된 자동 멍키 스패너에 관한 고안이다.
이를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멍키 스패너는 다각형 너트의 주벽평면에 협착 개구를 구성하는 고정편과 이동편의 협착면을 워엄스크류의 회동 조작에 의하여 밀착시키고 핸들에 회전력을 가하여 너트를 회전 시킴으로써 너트의 주벽면에 치흔을 남기지 않고 너트를 회전시킬수 있는 점에서 파이프렌치(pipe wrench)와 구별된다.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멍키스패너의 기구적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멍키 스패너는 핸들과 헤드의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헤드상에 위치한 고정편상의 협착면은 이동편의 활접 베드상에서 직각으로 뻗쳐있다.
이동편은 베드와 평행하여 헤드를 관통하고 다시 베드 상면으로 열려 있는 랙기어 집내의 워엄랙기어상에 고정된다.
이동편의 협착면은 고정편의 협착면과 평행한 평활면을 갖게된다. 워엄랙기어의 치구는 헤드상의 워엄스크류 집내에 돌출되어 축봉상에서 자유로히 회전하는 워엄 스크류의 치구와 치함됨으로써 워엄 스크류의 회동조작에 따라 이동편은 베드상에서 평행 이동된다.
그리하여 고정편과 이동편의 협착면과의 거리 즉, 협착개구 폭은 너트의 크기에 따라서 또는 워엄 스크류의 조작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일단 베드상에서 위치가 정해진 이동편은 워엄랙기어의 역전불능 기능에 따라 그 배드상의 위치가 불변된다.
이러한 멍키스패너의 기구적 특성에 따라서 협작개구에 너트를 물린후 핸들을 잡고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여 너트를 조이거나 조임을 풀 수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멍키스패너는 핸들에 회전력을 가하는 제1차 동작은 제2차의 동작에 연속될 수가 없는 것이다.
예를들면 제1차 동작이 종료된 후에는 헤드상의 협착개구에서 너트를 이탈시킨 후 다시 작동전의 위치로 되돌아와서 협착 개구내에 너트를 재협착 한 후 제2차의 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에서 명백해진바와 같이 이러한 멍키스패너의 조작은 모든 작업을 비능률적으로 지연시킨다. 또다른 명백한 개선해야 할점은 너트의 협착 개구 폭은 반복되는 협착, 이탈의 과정에서 점점 미세하게 증가하여 너트는 협착개구내에서 겉돌게 되므로 다각너트의 모서리를 둥글게 변형시켜 너트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멍키 스패너에서 지적되는 위와 같은 불리점을 개선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첫째는 핸들에 가하는 제1차의 회전 동작후 동작전 위치에까지 반대방향으로 후퇴하는 단순한 핸들 역회전 동작만으로서 제2차 동작의 개시준비가 완료되게 함으로 연속동작에 의하여 너트를 조이거나 조임을 풀 수 있게하는 멍키스패너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후퇴동작에서는 헤드상의 협착 개구에서 너트를 이탈시키지 않게됨은 물론 너트는 정지해 있고 이동편이 작은 거리를 후퇴하여 다각형 너트는 협지 개구내에서 가볍게 겉돌며 제2차 동작의 개시 위치에는 회전력을 가하면 즉시 이동편과고정편의 협착면은 너트의 주벽평면을 협착하게 된다.
그리하여 멍키스패너의 조작시간은 크게 단축되는 것이다. 둘째로는 핸들에 회전력을 가하는 과정에서 회전력을 가하는 동작중의 초기동작은 이동편이 고정편쪽으로 이동하는 운동 성분을 갖게함으로써 헤드상의 협착면에 다각형너트의 주벽평면이 강력하게 밀착되어 다각형 너트의 모서리를 손상하거나 주벽평면에 치흔을 남기지 않게 함에 있다. 그리하여 너트의 수명은 더욱 길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헤드(11)는 핸들(46)과 분리되어 있다. 분리된 헤드(11)상의 고정편(12)은 이동편(13)과 대치되어 있으며 고정편의 협착면(14)과 베드(18)상의 이동편의 협착면( 15)은 평행면을 유지하는 협착개구(16)를 구성한다.
헤드(11)에는 관통구멍 형태의 랙기어집(17)이 베드(18)표면과 평행하여 설치되며 랙기어집(17)은 베드표면으로 열려 있고, 헤드상의 사각구멍 형태의 워엄 스크류 (19)집과도 통하게 된다. 이동편(13)은 랙기어집(17)내에 끼워져서 좌우로 자유로히 이동될 수 있는 워엄랙기어(21)에 고정되어 있어서 워엄 스크류(19)의 회전에 의해서 베드상에서 평행 이동되고 베드(18)상의 목부(22)에 의지되어 있다.
헤드의 구성중 위와같은 부분은 공지한 멍키스패너의 구성과 일치되고 다만 핸들(46)과 헤드가 분리된 점만 명백히 구별된다.
본 고안의 신규한 구성은 이하에서 더 명백히 설명되며 상기한 구성과 결합됨으로써 완전한 자동 멍키스패너의 기능을 갖게된다.
워엄스크류집(31)은 랙기어집(17)과 통하게 되어 워엄스크류(19)의 치구는 워엄 랙기어(21)의 치구와 계합될뿐 아니라 워엄 스크류집(31)의 가로폭은 워엄스크류( 19)의 양끝에서 좌, 우로 해지 간극(32)과 조임간극(33)을 두고 형성된다.
이 해지 간극(32)은 핸들(46)의 회전력을 가하는 제1차 동작의 종료 위치에서 원위치로 이동되는 반대동작의 개시점에서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다각형 너트(61)의 모서리(62)높이(63)만큼 이동편(13)이 밀려 후퇴할 수 있는 거리가 된다. 따라서 해지간극(32)의 거리는 멍키스패너를 사용할 수 있는 최대규격의 너트의 모서리 높이(63)보다 약간 크게 선택해야 하나 보통 규격의 멍키스패너인 경우 3-4mm 정도면 가능하다.
조임간극(33)은 회전력을 가하는 제1차 동작의 초기 동작 성분이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이동편(13)를 고정편(12) 쪽으로 이동시켜서 협착개구(16)내의 너트를 강력하게 또 안정감 있게 협착하기 위한간극이다.
즉, 협착개구(16)의 폭과 너트(61)의 협착면(14)(15)의 거리 차이에 의한 유동 간극을 제거하여 너트(61)의 주벽 평면에 고정편의 협착면(14)과 이동편의 협착면 (15)을 강력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간극이므로 1mm 전후의 간격이면 족하다.
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배려로서 위엄스크류(19)의 우측단부에 원판형홈 (34)이 형성되고 간격유지용 스프링(35)이 끼워진다.
위엄스크류의 축봉(36)은 헤드상의 워엄스크류집(31)을 관통하는 축공 (37) (37')에 끼워져서 워엄스크류(19)의 중심구멍(38)를 관통한다.
위엄스크류(19)는 이 축봉(36) 주면상에서 회전이 자유롭고 미단부의 턱(39)에 걸려 있어서 축봉(36)의 축방향의 우측방향 이동시에 턱(39)에 걸려 끌려간다.
축봉(36)의 턱(39)으로 부터 이어진 봉상의 미단부(40)는 축공(37)내에서 활접되어 위와같이 축봉(36)의 축방향 이동 동작을 돕게된다.
축공(37)내에는 해지간극 유지용 스프링(41)이 장입되고 다시 나사마개(42)가 덮히게 되므로 축봉(36)은 스프링에 떠밀려 위엄스크류(19) 좌측의 해지간극(32)이 유지되고 다른 쪽의 스프링(35)에 의하여 조임간극(33)이 유진된다.
축봉(36)의 선단부에는 핀공(4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핀공(43)은 축봉(36)의 축방향으로 형성된 헤드(11)상의 장공(44)으로 노출되며, 이 핀공(43)을 통해서 핸들 (46)의 선단부의 상하판재(47)(47')와 축봉(36)이 연동된다.
헤드(11)의 미단부 판면(45)은 헤드선단부에 비하여 두께가 얇고 상하판재 (47)(47')사이에 끼워진다.
판면(45)상의 부채꼴 구멍(48)의 하측일부에는 축수(49)가 구성되어 있어 여기 축수(49)의 양면에 굴절편(50)(50')의 저단부 구멍(52)을 기점축핀(51)으로 유착시키고 있으며 선단부구멍(52')은 부채꼴 구멍(48)내에 위치하는 굴절 축핀(53)에 의하여 상하판재(47)(47')의 핀공(54)에 유착된다.
또다시 축봉(36) 선단부의 핀공(43)에는 상하판재(47)(47') 상의 핀공(55)에 끼워 고정됨과 동시에 장공(44)내에 위치되는 수동축핀(56)이 끼워져서 축봉(36)은 수동축핀(56)의 진퇴동작에 따라 연동된다.
다시 위엄스크류(19)의 우측단부(19')가 워엄스크류집(31)의 우측내벽에 접촉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면 기점축핀(51)과 굴절축핀(53)과 수동축핀(56)은 일직선상에 모아진다.
이러한 자세에서 굴절핀(50)(50')의 좌변은 부체꼴 구멍(48)의 좌측내벽면 (48)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은 상태는 화살표 방향(57)으로 핸들(46)에 회전력을 가하여 협착개구 (16)내의 너트(61)의 주벽평면이 협착면(14)(15)에 강력히 밀착된 상태 또는 핸들 (46)에 가하는 회전력이 너트(61)에 전달되는 상태로 설명된다.
또한 이상태에서 핸들(46)에 화살표 방향(57)으로 가하는 회전력은 굴절축핀 (53)과 굴절편(50)(50')에 의하여 부체꼴 구멍(48)의 좌측내벽면(48')을 가압함과 동시에 수동축핀(56)에 의하여 축봉(36)을 장공(44)의 우측방향으로 당기게되므로 너트 (61)는 고정핀(12)과 이동편(13)사이에 강력하게 협착된 상태에서 핸들(46)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너트(61)를 조이거나 조임을 풀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핸들(46)에 어떠한 힘도 가하지 않은 상태라면 축봉(36)미단부의 해지간극 유지용 스프링(41)과 워엄스크류(19)의 우측단부 원판형홈(34)내의 조임간극 유지스프링(35)의 탄성 균형점에서 워엄스크류(19)의 위치가 결정되어 워엄스크류집 (31)의 좌우에는 해지간극(32)과 조임간극(33)이 유진된다.
이때에는 축봉(36)의 위치도 워엄 스크류의 위치에 지배되어 굴절축핀(53)은 축봉(36) 선단의 핀공(43)에 연동되는 수동축핀(56)과 기점축핀(51)을 잇는 직선상에서 이탈되어 우측으로 벗어나게 되고 굴절편 (50)(50')의 좌변도 부채꼴 구멍(48)의 좌측내벽면(48')에서 약간 격리된 자세가 된다.
이러한 자세는 워엄스크류(19)를 손가락으로 돌려서 너트(61)를 고정편(12)과 이동편(13)사이에 물리는 너트 조이기 또는 너트의 조임를 풀기 위한 준비 작업이 완료된 상태인 것이다.
그리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핸들(46)에 화살표 방향(57)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경우 이 회전력의 초기 성분으로 기점축핀(51)과 굴절축핀(53)과 수동축핀(56)은 일직선상에 모아져 축봉(36)의 턱에 걸린 위엄스크류(19)를 우측방향으로 미세한 간격을 이동시키고 이동편(13)은 위엄스크류(19)의 이동에 따라 고정편(12)을 향하여 이동되므로 화살표 방향(57)의 회전력의 초기 성분은 이동편(13)과 고정편(12)의 협착면(15)(14)을 다각형 너트(61)의 주벽 평면에 강력히 밀착시키는 힘으로 작용하므로 너트(61)가 협착개구(16)내에서 겉도는 사례를 방지하게 된 것이고 이 회전력의 초기 성분 외의 나머지 성분은 너트를 조이거나 조임을 푸는 회전력으로 너트에 전달된다.
이와 반대로 제1차 회전력을 가하는 동작이 종료된 자세에서 원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핸들(46)에 가하는 회전력을 화살료(57)의 역방향으로 가하면 이 운동의 초기성분은 수동축핀(56)을 장공(44)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굴절축핀(53)을 부채꼴구멍(48)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굴절편(50)(50')의 우변은 부채꼴 구멍( 48)의 우측 내벽면에 접촉된다.
이러한 수동축핀(56)의 작동은 축봉(36)을 좌측으로 밀게되어 턱(39)에 의해 위임 스크류(19)를 우측방향으로 밀던 가압력이 없어져서 이동편(13)의 협착력은 한순간해제된다. 그리하여 복귀동작을 더욱 진행시키면 다각형 너트(61)의 다각형 모서리 (62)는 이동편(13)을 가볍게 밀쳐 내어 협착개구(16)의 폭을 확대시키므로 너트( 61)에는 회전력이 가해지지도 않고 모서리(62)를 손상함이 전혀없이 핸들(46)을 작동전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차 조임동작과 복귀동작이 종료되고 제2차 조임동작이 개시되면 굴절축핀(53)은 기점축핀(51)과 수동축핀(56)을 잇는 직선상으로 다시 복귀되고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편(13)에 다시 협착력이 부여되어 회전력을 너트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므로 멍키스패너에 의한 너트의 조임 또는 조임의 해제 작업이 신속히 진행된다.
그러나 작업장에서는 이러한 자동장치의 작동을 폐쇄할 필요도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서의 이러한 배려는 헤드(11) 판면의 미단부에 턱(58)이 형성되어 있고 이턱은 핸들(46) 목부의 장공(59)에 끼워진 쇄정핀(60)과 접속되고 쇄정핀(60)은 스프링(60')을 끼우고 너트(60˝)를 채워둠으로써 장공(59)의 어느 위치에서도 안정된 위치를 지킬수 있게 되며 쇄정핀(60)을 장공(59)의 저단부에 밀어놓으면 헤드(11)와 핸들(46)의 동작이 자유롭게 되어 상기한 바와같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나, 쇄정핀(60)을 장공(59)의 상단부에 밀어놓으면 헤드(11) 판면(45)의 미단부턱(58)이 쇄정핀(60)에 걸려있게 되어 기점축핀(51)과 굴절축핀(53)과 수동축핀( 56)은 일직선상에서 고정되어 상기한 본 고안의 자동기능을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회전력을 가하는 핸들의 전진 동작시에만 협착개구에 너트가 물리고 후진동작에서는 협착력이 해제됨에 따라 협착 개구에서 너트를 이탈시킬의 없이 원위치로 핸들을 복귀 이동시킴 수 있어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시킬 수 있으며 회전력을 가하는 전진동작의 초기 성분이 협착 개구내에서 다각형 너트가 겉도는 불완전한 협착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멍키 스패너에 있어서, 핸들(46) 선단부의 상하판재(47)(47') 사이에 미단부의 판면(45)이 끼워진 헤드(11)의 구성과, 선단부에 핀공(43)를 갖고 미단부(40)에 턱(39)을 갖는 축봉(36)을 위엄스크류 집을 관통하는 축공(37)(37') 내에 삽입하여 워엄스크류(19)가 회전자재하고 선단부 핀공(43)이 판면(45)상의 장공(44) 상부로 노출되는 위엄스크류의 축설구성과, 위엄스크류(19)의 우단부 원판형 홈(34) 내에 간극유지스프링(35)을 개재하고 축봉미단부(40)를 가압하는 스프링(41)을 축공(37)내에 장입하고 나사 마개(42)를 덮어 위엄스크류(19)의 좌우의 위엄스크류 집 (31)상에 해지간극(32)과 조임간극(33)이 유지되게 한 위엄스크류의 자세유지 구성과, 판면( 45) 상의 부체꼴 구멍(48) 축수(49) 양면에 굴절편(50)(50')저단부를 기점축핀(51)으로 유착하고 굴절편(50)(50')의 상단부를 상하판재(47)(47')상의 핀공(54)에 굴절축핀(53)으로 유착하고, 상하판재(47)(47')상에 핀공(55)에 삽착한 수동축핀(56)이 축봉상의 핀공(43)에 유착된 이동편(13) 연동기구의 구성과, 헤드(11)의 미단부턱( 58)이 핸들(46) 상부 장공 (59)상의스프링(60')을 개재한 쇄정판(60)에 접리되는 쇄정기구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멍키스패너.
KR2019850001493U 1985-02-11 1985-02-11 자동 멍키 스패너(Monkey Spanner) KR870003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493U KR870003993Y1 (ko) 1985-02-11 1985-02-11 자동 멍키 스패너(Monkey Span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01493U KR870003993Y1 (ko) 1985-02-11 1985-02-11 자동 멍키 스패너(Monkey Span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555U KR860010555U (ko) 1986-09-08
KR870003993Y1 true KR870003993Y1 (ko) 1987-12-15

Family

ID=1924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1493U KR870003993Y1 (ko) 1985-02-11 1985-02-11 자동 멍키 스패너(Monkey Span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700039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555U (ko) 198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467B1 (ko) 급동 바 클램프
US5094131A (en) Hand tool or improved bar clamp
US6585243B1 (en) Quick-action bar clamp
US4874155A (en) Fast clamp
US5941142A (en) Ratcheting adjustable jaw wrench and method of use
DK0478680T3 (da) Pincet til fjernelse af blodmider
JPH0768472A (ja) 手工具または改良バークランプ
CA2504089A1 (en) Bar clamp
US4367971A (en) Socket retainers
US3178971A (en) Socket wrench
US6016723A (en) Ratcheting adjustable wrench
US5152198A (en) Snap lock adjustable wrench
US20050121842A1 (en) C-clamp having dual fastening mechanism
KR870003993Y1 (ko) 자동 멍키 스패너(Monkey Spanner)
US2600617A (en) Adjustable crowfoot wrench
US3306143A (en) Vise grip pliers having toggle release means
US2731994A (en) Reciprocating jaw nutcracker
US2765690A (en) Claw and lever actuated, slidable side jaw wrench
US3816010A (en) Joint assembly for a feeler gage blade holder
US4562999A (en) Vise
US4395171A (en) Chuck key
DE3771740D1 (de) Kupplung zum anschluss eines besens oder dergleichen an einen stiel.
US2648242A (en) Gripping device with pivoted actuator and having pawl and rack locking means
US3012594A (en) Screw-holding screw driver attachment
US2615358A (en) Cam actuated side jaw wren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