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482B1 - Tooth brush - Google Patents

Tooth 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482B1
KR860000482B1 KR8203992A KR820003992A KR860000482B1 KR 860000482 B1 KR860000482 B1 KR 860000482B1 KR 8203992 A KR8203992 A KR 8203992A KR 820003992 A KR820003992 A KR 820003992A KR 860000482 B1 KR860000482 B1 KR 860000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s
toothbrush
bristle
head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9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40001267A (en
Inventor
시이 콜리스 죠오지
Original Assignee
시이 콜리스 죠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이 콜리스 죠오지 filed Critical 시이 콜리스 죠오지
Priority to KR8203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482B1/en
Publication of KR84000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2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4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Tooth-brush for cleaning sulcular areas of teeth comprises a pair of V-type or curved bristles. One part of bristles is used for cleaning one face of teeth, the other for the opposite side. The handle is curved along its length to provide the bristles with improved access to the gingival areas of the teeth, to allow them to penetrate up to the sulcular areas. The bristles are grouped in tufts which are planted in a row on the bristel support part.

Description

치솔Toothbrush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의 일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치아주위 세척위치에 있는 제1도 치솔의 수직단면도.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brush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에 따른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제4도는 전기치솔에 적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의 치솔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a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or application to an electric toothbrush.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을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method of manufacturing a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예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7도는 강모다발이 구부러진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와 유사한 예의 사시도.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similar to FIG. 5 except that the bristle bundle is bent.

제8도는 제6도의 선 8-8에 따른 측면도.8 is a side view taken along line 8-8 of FIG.

제9도는 치아를 세척하는, 제7도예와 유사한 다른 예의 정면도.FIG. 9 is a front view of another example similar to FIG. 7 washing a tooth. FIG.

제10도는 제1도 치솔의 변형예의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dification of the first toothbrush.

제11도는 제6도예와 관련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the sixth embodiment.

제12도는 제11도 치솔을 제조하는 주형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ld for manufacturing the eleventh toothbrush.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3 : 강모부착헤드 15 : 손잡이13: bristle attachment head 15: handle

17 : 강모 71 : 주형17: bristle 71: template

72 : 스페이서 부재72: spacer memb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솔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1회의 솔질 작동으로 치아의 볼쪽 표면과 혀쪽 표면을 동시에 세척하는데 특히 적합한 치솔 및 그러한 치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toothbrushes, and more particularly to toothbrushes and methods of making such toothbrushes which are particularly suitable for simultaneously cleaning the cheek and tongue surfaces of a tooth in one brushing operation.

치아의 볼쪽 표면과 혀쪽 표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치솔은 본 기술에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치솔은 보다 효과적인 세척작업을 제공하는 잇점을 갖는다.Toothbrushes capable of simultaneously cleaning the cheek and tongue surfaces of teeth are well known in the art. Such toothbrushes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more efficient cleaning operations.

미국 특허 제741,722호에, 일회 동작으로 볼쪽 표면과 혀쪽 표면을 솔질할 수 있는 치솔이 기술되어 있고, 그 치솔은, 내측표면에 다수의 강모(bristle)가 부착되고, 분기되어 있는 2개의 강모지지헤드와, 그 헤드들의 단부들에 자유단부가 부착된 V형의 탄성적인 손잡이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 손잡이 부재의 2개의 생크(Shank)들은 서로의 쪽으로 잡아당김에 의해 두 헤드상의 강모가 치아의 전방 및 후방에 동시에 접촉하게 된다.U.S. Patent 741,722 describes a toothbrush capable of brushing the cheek and tongue surfaces in a single operation, the toothbrush having two bristle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with a number of bristle attachments. And a V-shaped elastic handle member having a free end attached to the ends of the heads. The two shanks of the handle member are pulled toward each other so that the bristles on the two heads simultaneously contact the front and rear of the tooth.

미국 특허 제3,903,906호에는 일회 동작으로 볼쪽 표면과 혀쪽 표면을 솔질할 수 있는 또 다른 치솔이 기술되어 있고, 이 치솔은 중앙 허브(hub) 부재에 1쌍의 강모 뱅크(bank)가 부착되어 이루어져 있다.U.S. Patent No. 3,903,906 describes another toothbrush that can brush the cheek and tongue surfaces in a single motion, which consists of a pair of bristle banks attached to a central hub member. .

각 강모뱅크는 다수의 동심링들을 포함하고, 그 링들내에서 강모들이 중앙허브부재로부터 외측으로 "거미다리" 모양으로 연장하는 반경방향 연장 핑거(finger) 형태로 서로 구룹을 이루고 있다. 각 핑거는 강모타래로 이루어져 있다.Each bristle bank comprises a plurality of concentric rings, in which the bristles are grouped together in the form of radially extending finger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entral hub member in a "spider" shape. Each finger consists of a bristle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다수의 강모들이 중앙허브부재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여, 치솔이 회전운동으로 치아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하 운동으로 작동될때 치아의 볼쪽표면 및 혀쪽표면은 물론 치아의 상부표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중앙허브부재는 치아의 대하여 압력이 가해질때 핑거와 같은 강모들을 볼쪽표면 및 혀쪽표면에 접촉시키는데 충분한 굴곡가능한 압축성물질로 만들어진다. 치아의 크라운 부분과 볼쪽표면 또는 혀쪽표면중 어느 한 표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치솔 역시 잘 알려져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ristles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hub member, such that the tooth surface and the tongue surface of the tooth as well as when the toothbrush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tooth in a rotary motion or operated in an up and down mo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oth can be cleaned simultaneously. In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hub member is made of a compressible compressible material sufficient to contact bristles, such as fingers, to the cheek and tongue surfaces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teeth. Toothbrushes that are capable of simultaneously cleaning either the crown portion of the tooth and either the cheek surface or the tongue surface are well known.

미국 특허 제2,292,707호에 강모들이 2개의 별도의 구룹들로 배치된 치솔이 기술되어 있다. 그 두 구룹의 강모들은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치아에 대한 강모의 특정위치에 따라 치아의 볼쪽표면과및 혀쪽표면중 어느 한 표면과 치아의 크라운 부분을 동시에 솔질할 수 있다.U.S. Patent No. 2,292,707 describes a toothbrush with bristles arranged in two separate groups. The bristles of the two groups are arrang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so that either the cheek surface and the tongue surface of the tooth and the crown portion of the tooth can be brushed simultaneously, depending on the specific position of the bristles relative to the tooth.

마지막으로, 다수의 치아표면들을 동시에 솔질하고, 다수의 강모다발이 부착된 1쌍의 브러시 장착 헤드들이 단일의 호울더에 장착되어 이루어진 치솔들의 본 기술에 잘 알려져 있다. 그러한 치솔의 일예가 미국 특허 제1,668,385호에 기술되어 있다.Finally, it is well known in the art of toothbrushes, in which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are brushed at the same time and a pair of brush mounting heads attached with a plurality of bristle bundles are mounted in a single holder. One example of such a toothbrush is described in US Pat. No. 1,668,385.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하고 개량된 치솔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and improved toothbrush.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의 볼쪽표면과 혀쪽표면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솔질할 수 있는 치솔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which can effectively brush the cheek surface and the tongue surface of the tooth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의 볼쪽표면과 혀쪽표면을 동시에 솔질할 수 있고 다수의 브러시 지지헤드를 사용하지 않는 치솔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which can brush the cheek surface and the tongue surface of a tooth at the same time and does not use multiple brush support hea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의 볼쪽표면과 혀쪽표면을 동시에 솔질할 수 있고 제조가 용이하고 저렴하며 대량 생산될 수 있는 치솔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thbrush which can brush the cheek surface and the tongue surface of a tooth at the same time,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inexpensive, and which can be mass produc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솔헤드에 다수의 세척강모를 부착하는 신규한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structure for attaching a plurality of bristles to the toothbrush hea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솔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vel method of manufacturing a toothbrush.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한쪽 강모다발은 앞쪽 표면을, 그리고 다른 한쪽 강모다발이 뒤쪽 표면을 솔질하도록 강모들이 1쌍의 강모다발들로서 궁형으로 또는 각을 가지고 구룹을 이루어 배치되는 치솔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한 신규한 헤드 및 브러시 구조는 "수동식" 치솔이나 "전기"치솔에 적용가능하다.These and other objects are achieved by providing a toothbrush in which one bristle is arranged in an arch or angled grouping as a pair of bristle bundles so that the other bristle brushes the posterior surface. do. Such novel head and brush structures are applicable to "manual" toothbrushes or "electrical" toothbrushes.

일실시예에서, 강모다발은 나일론 필라멘트를 맨드렐(mardrel)상에 적당한 횟수만큼 권취하고 그 권취부를 원통형으로 셋트하고, 그 원통형의 권취부들을 서로 융합시키고, 그 원통체를 맨드렐로부터 제거한 다음, 만곡된 부분을 남기고 그 원통체의 작은 부분을 제거함에 의해 형성된다. 또 다르게는, 2개의 궁형다발들이 다수의 모노필라멘트를 긴 장방형의 스트립으로 직조하고 그 스트립을 만곡된 형태로 구부리고, 그 모노필라멘트를 서로 융합시켜 비교적 강직한 형태를 형성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2개의 다발들이 일단부에서 단일다발로 접속되고 그 다음, 그 단일다발이 그의 길이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중간위치에서 브러시 지지헤드에 부착된다.In one embodiment, the bristle bundle winds the nylon filament on the mandrel a suitable number of times, sets the winding into a cylinder, fuses the cylindrical windings together, and removes the cylinder from the mandrel. It is formed by removing a small portion of the cylinder, leaving a curved portion. Alternatively, two arch bundles may be formed by weaving a plurality of monofilaments into long rectangular strips, bending the strips in a curved form, and fusion of the monofilaments together to form a relatively rigid form, The two bundles are connected in a single bundle at one end and then the single bundle is attached to the brush support head along its length, preferably at an intermediate position.

치아의 전면과 후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치솔의 주요잇점은 치아세척작업에 적은 시간을 요한다는 것이다.The main advantage of the toothbrush, which can clean the front and back of the tooth at the same time, is that it takes less time to clean your teeth.

상기 및 기타 목적 및 잇점은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그 설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특정예들을 예사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구체예가 이용될 수 있고, 구조변경이 행해질 수 있음을 이해하기 바란다. 따라서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Thes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has exemplified specific examples of practicing the invention, and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structural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일회 작동으로 치아의 볼쪽표면과 혀쪽표면을 동시에 솔질할 수 있는 단일헤드의 치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호울더, 강모부착헤드 및 다수의 강모를 가지고 있고, 그 강모들이, 하나의 강모다발은 치아의 볼쪽표면을, 그리고 다른쪽 강모다발은 치아의 혀쪽표면을 솔질할 수 있도록 강모부착헤드로부터 연장하는 하나이상의 강모타래를 가진 각이진 또는 궁형의 다발형태로 배치된 치솔을 제공함에 의해 전술한 치솔 작용을 달성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gle head toothbrush capable of simultaneously brushing the cheek and tongue surfaces of a tooth in a single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der, a bristle attachment head and a plurality of bristles, the bristles of which one bristle bundle can brush the cheek surface of the tooth, and the other bristle bundle can brush the tongue surface of the tooth. The toothbrush action described above is achieved by providing toothbrushes arranged in an angled or arched bundle with one or more bristles extending from the head.

제1도~제3도, 특히 제1도에, 본 발명에 따른 치솔 11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치솔 11은 강모부착헤드 13, 그 헤드 13을 지지하고 그 헤드와 일체로형성된 손잡이 15, 및 강모부착헤드 13에 부착되어 있는 다수의 강모 17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 13과 손잡이 15는 열가소성물질과 같은 어떤 적당한 물질로 만들어진다. 강모 17은 궁형다발 16 형태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지역 19에서 강모부착헤드 13에 아교 10과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궁형다발 16은 치아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는 개구를 갖는 원통형의 부분을 형성한다. 강모 17은 나일론 필라멘트와 같은 어떤 적당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열 또는 적당한 용제의 적용에 의한 것과 같은 어떤 적당한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In figures 1 to 3, in particular in figure 1, an example of toothbrush 11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In this example, the toothbrush 11 consists of a bristle attachment head 13, a handle 15 supporting the head 13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and a plurality of bristles 17 attached to the bristle attachment head 13. Head 13 and handle 15 are made of any suitable material such as thermoplastic. Bristles 17 are joined together in the form of arch bundles 16 and are attached to bristle attachment heads 13 by suitable means such as glue 10 in zone 19. As shown, the arch bundle 16 forms a cylindrical portion with an opening approximately matching the thickness of the tooth. Bristles 17 may be formed of any suitable material, such as nylon filaments, and bonded to each other by any suitable means, such as by heat or application of a suitable solvent.

제2도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강모 17의 다발 16이 치아 T주위에 배치될때, 단부 17-1과 17-2는 치아 T의 전후표면들에 접촉한다.As can be seen in the second book, when the bundle 16 of the bristles 17 is placed around the tooth T, the ends 17-1 and 17-2 contact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tooth T.

이러한 신규한 브러시 구조는 수동치솔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치솔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솔 21은 강모 17을 가진 헤드 23과, 전기치솔(도시안됨)의 기부에 연결되는 생크 25로 구성되어 있다. 2개의 강모다발들이 서로 접하여 단일의 다발을 형성한다.This novel brush structure is not limited to manual toothbrushes but can also be applied to electric toothbrushes. Thus, as shown in FIG. 4, the toothbrush 21 consists of a head 23 with bristles 17 and a shank 25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electric toothbrush (not shown). Two bristle bundles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single bundle.

궁형의 단일강모다발은 나일론 모노필라멘트를 적당한 회수(5 또는 6회)만틈 맨드렐에 권취하고, 권취부들을 열 또는 적당한 접척제에 의해 접합하여 그 권취부들을 원통형으로 셋트하고, 그 권취되고 접합된 모노필라멘트를 맨드렐로부터 제거한 다음, 치아의 폭과 대략 동일한 크기의 부분을 절제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arched single bristle bundle winds up the nylon monofilament into the mandrel in a proper number of times (5 or 6 times), joins the windings with heat or a suitable binder, sets the windings in a cylindrical shape, and wounds and joins them. Formed monofilament from the mandrel, and then excised a portion approximately the same size as the width of the tooth.

다음, 그렇게 하여 형성된 다발을 접착제와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치솔의 강모부착 헤드에 부착한다(제2도 구조 참조).The bundle thus formed is then attached to the bristle attachment head of the toothbrush by suitable means such as an adhesive (see FIG. 2 structure).

제5도에 헤드 33에 강모 17의 모노필라멘트 다발을 부착하는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 다발은 주형내에 배치되고 그에 플라스틱이 사출된다. 그 플라스틱은 강모주위에서 경화되어 강모들을 그 안에 고착하여 헤드 33을 형성한다. 플라스틱 사출성형은 잘 알려진 기술이다. 제1도~제5도에, 단일의 다발을 갖는 치솔이 기술되어 있다.Another example of attaching a bundle of monofilaments of bristles 17 to head 33 is shown in FIG. The bundle is placed in a mold and plastic is injected into it. The plastic cures around the bristles, fixing the bristles therein to form head 33. Plastic injection molding is a well known technique. 1 to 5, toothbrushes having a single bundle are described.

여기서 사용되는 "단일다발"이란 용어는 강모들의 일단이 반대측 강모의 단부와 접속된 하나 이상의 강모타래를 가진 2개의 강모다발을 갖는 브러시 헤드를 포함한다. 타래는 하단에서는 서로 밀접히 접근하여 있고 상단에서는 헐겁게된 다수의 강모들로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예에서, 단일다발을 형성하는 2개의 다발의 각각은 오직 하나의 타래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도~제5도에 도시된 예의 다수의 타래구조의 사용은 예측되고, 단부끼리 서로 인접된 2개이상의 맨드렐 권취부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그 권취부는 순수한 코일현상이 아니고, 타래와 같은 구조를 제공하도록 일지점에서 서로 중첩되어 있다. 제10도는 그러한 권취방식을 나타내기 위해 그러한 치솔을 분해사시도로 나타낸다.The term "single bundle" as used herein includes a brush head having two bristle bundles with one or more bristles having one end of the bristles connected to an end of the opposite bristle. The skein is composed of a number of bristles that are close to each other at the bottom and loosened at the top. In the above example, each of the two bundles forming a single bundle consists of only one tuft. The use of multiple skein structures of the example shown in FIGS. 1 to 5 is foreseen and consists of two or more mandrel windings that are adjacent to one another. However, the windings are not pure coil phenomenon, but overlap each other at one point to provide a skein-like structure. 10 shows such a toothbrush in an exploded perspective to illustrate such a winding method.

제7도는 제5도의 것과 유사한 예를 나타내고 있고, 그 도면에 헤드 53과 그 헤드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 55를 가진 브러시 51이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강모 57로 이루어진 강모다발 56이 헤드 53의 각축부로 부터 연장하여 있다. 각 강모 57은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1부분 57A,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2부분 57B 및 내측으로 연장하는 제3부분 57C를 가지고 있다. 부분 57C는 그의 상응하는 반대측 부재로부터 대향되어 떨어져 있어 치아의 혀쪽부분과 볼쪽부분이 동시에 세척될 수 있다. 제7도의 예는, 제5도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될 수 있으나, 각 필라멘트 또는 강모 57에 2개의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해 강모다발 56이 계속 더 처리되는 것이 다르다. 그 처리는 적절한 형상의 주형내에서 강모를 증기로 변형시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IG. 7 shows an example similar to that of FIG. 5, in which there is shown a brush 51 with a head 53 and a handle 55 integrally formed with the head. A bristle bundle 56 consisting of a number of bristles 57 extends from the angular axis of the head 53. Each bristle 57 has a first portion 57A extending outward, a second portion 57B extending downward and a third portion 57C extending inward. Portion 57C is opposed away from its corresponding opposite member so that the tongue and cheek portions of the tooth can be cleaned simultaneously. The example of FIG. 7 can be made in a similar manner to that of FIG. 5 except that bristle bundle 56 is still further processed to form two bends in each filament or bristles 57. The treatment can be carried out by transforming the bristles into steam in a mold of the appropriate shape.

제9도에, 본 발명의 치솔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어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치아의 양표면이 동시에 세척될 수 있다. 이 예는, 강모 97이 다수의 타래로 집속되어 있다는 점에서만 제7도의 것과 다르다. 그 타래들중 하나 98이 정면에서 볼때 헤드 93의 각 축부에 도시되어 있다.9, another example of 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is example, as described above, both surfaces of the tooth may be simultaneously washed. This example differs from that of FIG. 7 only in that the bristles 97 are concentrated in a number of skeins. One of the skeins 98 is shown in each shaft of the head 93 when viewed from the front.

제6도에서, 각이진 강모들이 다수의 타래 68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치솔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2개의 강모다발 66이 헤드 63의 그들의 기점에서 평행하고 각 강모 67C의 말단부에는 떨어져 대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다발들을 형성하는 2열의 타래들 사이에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하부 수직강모들(도시안됨)이 대향된 강모 67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치아의 혀쪽면과 볼쪽면이 세척되는 동안 치아의 씹는 표면을 세척하도록 한다. 그 강모 67은 제6도 브러시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제8도에서 볼 수 있다.In figure 6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the invention is shown in which the angled bristles are made of a plurality of tufts 68. Two bristle bundles 66 are shown parallel at their origin of the head 63 and facing apart at the distal end of each bristle 67C. A gap is maintained between the two rows of skeins forming the bundles. However, lower vertical bristles (not shown) may be placed between the opposite bristles 67, thereby allowing the toothy and cheek surfaces of the tooth to be cleaned while the toothy and cheek surfaces are being cleaned. The bristles 67 can be seen in FIG. 8, which shows a side view of the brush of FIG. 6.

제10도에, 제1도의 것과 유사한 브러시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점은, 다수의 단일다발 16들이 타래를 이룬 형태로 이용된다는 것이다.In FIG. 10, a brush similar to that of FIG. 1 is shown. The difference is that a number of single bundles 16 are used in a skeined form.

가짜타래의 단일다발을 형성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맨드렐상의권취부는 그의 연장부와 일부를 따라 중첩되어 다수의 강모 17이 공통의 시발지점을 가질 수 있게 하여야 한다.To form a single bundle of fake tufts, the windings on the mandrel as described above should overlap along some of their extensions so that multiple bristles 17 have a common starting point.

제11도에, 다수의 타래 118의 강모 117이 수직으로 배치된 표준브러시헤드 113을 사용하는, 제6도의 것과 유사한 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강모 117은 궁형구조로 되어 있고 대칭으로 떨어져 있다. 주타래들 사이의 임의의 타래로서 작은 수직의 타래 114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은 궁형강모 117의 특징을 가지며 타래 118로부터 동일간격으로 떨어져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In FIG. 11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similar to that of FIG. 6 is shown, using a standard brushhead 113 with a plurality of tufts 118 bristle 117 vertically disposed. As shown, bristles 117 are arched and symmetrically apart. Small vertical skein 114 is shown as any skein between main skeins.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rch bristles 117 and are arranged in a line apart from the tuft 118 at equal intervals.

제12도에, 고온에 저항할 수 있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제의 주형 71이 주형내 삽입 및 처리전 수직의 강모들을 갖는 브러시 70에 중첩배치되어 도시되어 있다. 주형 71은 외측궁형부분 73과,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고 스페이서부재 72에 의해 서로 보유된 내측의 궁형부재 77을 가지고 있다. 부재 77과 부분 73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cavity) 76은 최종적으로 요구되는 강모현상(즉, 궁형)에 맞도록 되어 있다. 부재 77은 2개의 돌출되고 떨어져 있는 보스(boss) 74를 가지고 있고, 그들 사이 간격은 타래 114의 배치를 위한 공간 75이다. 공간 75는 타래 114가 이용되지 않을 때는 생략될 수 있다.In FIG. 12, a mold 71 of metal or plastic, which is resistant to high temperatures, is shown superimposed on a brush 70 having vertical bristles before insertion and processing within the mold. The mold 71 has an outer arch portion 73 and an inner arch member 77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held by each other by the spacer member 72. The cavity 76 formed between the member 77 and the portion 73 is adapted to finally meet the required bristle phenomenon (ie, arch). The member 77 has two protruding and spaced bosses 74, with the spacing between them being space 75 for the placement of the tufts 114. Space 75 may be omitted when skein 114 is not used.

주형이 제위치에 부착되고 타래가 변형된 후, 약 300°F의 증기가 주형내에 주입되어 강모를 소망의 형성(여기서는, 궁형)으로 영구적으로 성형한다. 주형 71은 제6도의 브러시를 형성하는데에도 사용된다. 강모들을 특정현상으로 융합시키는 다른 기술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After the mold is attached in place and the tufts are deformed, about 300 ° F. steam is injected into the mold to permanently mold the bristles to the desired formation (here arches). Mold 71 is also used to form the brush of FIG. Other techniques may be used to fuse the bristles to specific phenomena.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잇몸을 마사지 하고 플라크를 제거하기 위한 것과 같은 특수한 첨단부가 손잡이의 말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본 기술에 알려져 있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음.Although not shown, a special tip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handle, such as to massage the gums and remove plaque. It is not shown because it is known in the art.

본 발명은 설명하기 위해 상기에 설명되고 도시된 부분들의 세부, 재료 및 배치의 각종 변경이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in details, materials, and arrangements of the parts described and shown above for illustrative purpos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긴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평면연장부로 형성된 강모부착헤드, 말단부 및 기부단부들을 갖는 다수의 세척강모들로 이루어지고 한번의 솔질로 치아의 혀쪽 및 볼쪽 표면을 동시에 솔질하는 치솔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세척강모들이 손잡이의 길이에 평행하는 3개의 평행한 종열로 배치되고, 상기 모든 강모의 기부단부들은 상기 헤드내에 배치되어 헤드의 일측으로부터 각 열을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위로 신장하며, 강모 외측열의 말단부들은 상기 윗방향에서 강모의 내측열을 향해 횡방향으로 내향되며, 강모의 내측열은 직선이며 균일한 높이의 강모외측열보다 더 낮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A toothbrush comprising a long handle, a bristle attachment head formed by a planar extension of the handle,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a distal end and a proximal end, and simultaneously brushing the tongue and cheek surfaces of the tooth with a single brush, wherein the plurality of washes The bristles are arranged in three parallel columns parallel to the length of the handle, and the proximal ends of all the bristles are disposed in the head and extend up in the same direction along each row from one side of the head, the distal ends of the outer bristles of the bristles Toothbrus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ward the inner row of the bristle in the upper direction, the inner row of the bristle is straight and lower than the outer row of the bristle of uniform height. 제1항에 있어서, 강모들이 상기 평행한 열내에 타래로 배치되는 치솔.2. The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bristles are skeined within said parallel rows. 제1항에 있어서, 외측열의 강모들이 기부단부에서 말단부로 궁형을 이루는 치솔.2. The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the bristles in the outer row are arched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제2항에 있어서, 외측열의 강모들이 기부단부에서 말단부로 궁형을 이루는 치솔.3. The toothbrush of claim 2 wherein the bristles of the outer row are arched from the proximal end to the distal end. 제1항에 있어서, 외측열의 강모들이 그 열들 사이의 공간을 향해 안쪽으로 거의 직각으로 배치되는 치솔.The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the bristles of the outer rows are disposed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inward toward the spaces between the rows. 긴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평면 연장부로 형성된 강모부착헤드, 말단부, 기부단부 및 중간부를 갖는 다수의 세척강모로 이루어지고 한 번의 솔질로 치아의 혀쪽 및 볼쪽 표면을 동시에 솔질하는 치솔에 있어서, 상기 강모들이 손잡이의 길이에 평행하는 2개의 종간격진 평행열로 배치되고, 상기 강모의 기부단부들이 헤드내에 설치되어 상기 강모가 헤드로부터 신장되며, 강모의 기부단부들은 헤드에서 외각으로 연장하고 강모의 중간부는 수직으로 배치되며, 헤드의 말단부들은 그 사이의 공간을 향해 내각으로 향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A toothbrush comprising a long handle, a bristle attachment head formed of a planar extension of the handle, a plurality of bristles having a distal end, a proximal end, and an intermediate part, which simultaneously brush the tongue and cheek surfaces of the tooth with a single brush. Arranged in two longitudinally parallel rows parallel to the length of the handle, the proximal ends of the bristles are installed in the head so that the bristles extend from the head, the proximal ends of the bristles extend outwardly from the head and the middle of the bristles is vertical. And a distal end of the head is directed towards the cabinet towards the space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강모 외측열의 말단부들이 안쪽으로 휘어진 치솔.The toothbrush of claim 1 wherein the distal ends of the bristle outer row are curved inward.
KR8203992A 1982-09-03 1982-09-03 Tooth brush KR8600004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992A KR860000482B1 (en) 1982-09-03 1982-09-03 Tooth 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203992A KR860000482B1 (en) 1982-09-03 1982-09-03 Tooth 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67A KR840001267A (en) 1984-04-30
KR860000482B1 true KR860000482B1 (en) 1986-04-30

Family

ID=1922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992A KR860000482B1 (en) 1982-09-03 1982-09-03 Tooth 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482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267A (en) 198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5064A (en) Toothbrush
CA1220310A (en) Toothbrush with curved bristles
US6276021B1 (en) Toothbrush having a bristle pattern providing enhanced cleaning
US4033008A (en) Toothbrush
JPH09502110A (en) Bristle array for toothbrush
HU221908B1 (en) A toothbrush with flexibly mounted bristles
JPH08214947A (en) Brush to take care of tooth and body
US5622502A (en) Tooth brush with helical bristles and method
CA2251753A1 (en) Brush for gum massage and tooth clean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bristles of such a brush
CA2546350A1 (en) Small-diameter resin twisted brush
JP2000000117A (en) Tooth brush
KR860000482B1 (en) Tooth brush
JP2004089469A (en) Toothbrush
JP5401162B2 (en) Toothbrush bristle and toothbrush
KR970032546A (en) toothbrush
CN2188305Y (en) Tooth-brush
US3731336A (en) Toothbrush
JP2000300347A (en) Toothbrush
JPS6110495Y2 (en)
JP4656775B2 (en) toothbrush
JPH026821Y2 (en)
JPS5934209A (en) Toothbrush
JPH0975135A (en) Tooth brush
JPS6212326Y2 (en)
KR200314968Y1 (en) Toothbrush having bristle stufts of ellipsoidal cross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