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277B1 -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 Google Patents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277B1
KR860000277B1 KR8203823A KR820003823A KR860000277B1 KR 860000277 B1 KR860000277 B1 KR 860000277B1 KR 8203823 A KR8203823 A KR 8203823A KR 820003823 A KR820003823 A KR 820003823A KR 860000277 B1 KR860000277 B1 KR 86000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liquid
dry
container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909A (ko
Inventor
칼빈 하리스 데일
월터 할그로브 윌리암
Original Assignee
도날드 알. 스튜어트
에리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알. 스튜어트, 에리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도날드 알. 스튜어트
Publication of KR840000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61M5/1409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in series, e.g. first substance passing through container holding second substance, e.g. reconstitu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제1도는 본 발명의 건조의약 정맥 투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팩케이지형 건조의약 카트릿지 및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팩케이지형 건조의약 카트릿지 및 용기와 시스템의 대응하는 용기형 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팩케이지형 건조의약 카트릿지 및 용기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카트릿지 및 용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용기형 부분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와 제5도의 카트릿지 및 용기형 부분을 구비한 IV투여 시스템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정맥투여 시스템 12 : 액체소오스
14 : IV투여 셋트 16 : 적하 챔버
18 : 접속장치 20 : 조정클램프
24 : 피하주입바늘 30 : 팩케이지 또는 카트릿지
32 : 천공도관 접속장치 34 : 용 기
36 : 제1셀 38 : 건조의약
40 : 제2셀 42 : 액체 투과 장벽
44 : 공기구멍 46 : 개 구
48 : 공기 투과 액체 장벽
본 발명은 건조의약의 정맥 투여시에 사용하기 위한 카트릿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건조형태로 의약품의 1회분 약용량을 저장하고 최종적으로 적당한 액체내의 용액으로 약용량의 정맥주입을 촉진하도록 사용중에 접속되는 액체 공급원 및 카트릿지와의 사이에 액체 연통 접속부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접속장치를 갖는 정맥 투여 셋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카트릿지를 제공하는데, 상기 카트릿지는 건조 의약품의 약용량을 보유 지지해주는 액체 밀봉용기와, 용기에 연통되며 정맥 투여 셋트와 용기 사이에 액체 연통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해 정맥 투여 셋트의 접속장치와 결합되기에 적합한 천공도관 접속장치 및, 잠재적으로 정맥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예정된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고상 입자가 용기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며 액체 및 용액을 투과시켜서 정맥 투여 셋트로부터의 액체가 의약품과 접촉하여 이 의약품을 용해시킬 수 있고 의약품의 최종 용액이 주입을 위해 장벽과 연통 접속부를 통해 정맥 투여 셋트로 통과할 수 있게 해주는 장벽 장치로 구성된다.
의학 치료법에서는 종종 유체 및 약물용액을 정맥에 투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유체는 신체화학내의 불균형을 조정하기 위해 염류 및 포도당 용액과 기타의 용액을 포함하고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용액을 포함할 수가 있다. 이러한 용액은 종종 액체 내용물이 제거되어 환자의 정맥속에 주입될 수 있도록 한 단부에 구멍이 뚫려 있고 다른 단부가 매달려 있도록 된 상업적인 무균용액 용기에 있어서 유효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치료를 행함에 있어서, 통상 IV셋트라고 불리우는 정맥 투여 셋트는 용액 용기의 덮개를 뚫고 환자의 정맥속에 주사하기 위해 피하주입바늘에 용액 용기로부터 액체 물질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IV셋트내에는 용액용기를 뚫고 들어가기 위해 한 단부에 도관형 스파이크를 갖는 투명한 적하챔버와, 적하 챔버의 다른 단부에 부착된 투명하고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튜브와, 플라스틱 튜브의 통로를 통해 액체가 흐르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를 갖춘 조정클램프와, 다른 의약 분배기를 부착시키기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한개 이상의 Y주입단 및, 피하주입 바늘이 들어가기에 적합한 말단부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IV 셋트는 펌프 작동 장치내에 삽입되어 작동하기에 적합한 진공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IV 셋트를 사용하면 무균기술이 필요하게 되며, IV셋트는 보호단부캡에 의해 용기와 피하 주입 바늘의 부착지점에서의 취급시에 오염물이 생기지 않게 한다. 용액 및 약물의 정맥 투여시에, 액체 흐름은 조정클램프(또는 사용될 수 있는 어떤 진공 펌프)를 조정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종종, Y주입단에 ; 양호하게는 사용될 수 있는 어떤 펌프의 상류측에 액체 약물의 공급원을 부착시킴으로써, 액체 약물이 다른 액체 용액에 추가될 수가 있다.
어떤 의약들은 그 안정성이 액체 용액내에서 손상되기 때문에 건조형태로 제조되어 포장된다. 항생제는 종종 액체용액내에서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건조형태로 저장 및 선적하기 위해 제조되고 포장된다.
과거에는 건조의약을 정맥에 투여시켜주는 경우에, 건조의약의 액체용액이 투여 개시바로 전에 조제되어져야 했었다. 병원치료에 있어서, 이것은 지금까지 액체용액이 투여할 책임이 있는 사람에게 전달하기 위해 병원 약국에서 건조의약으로부터 조제되어 왔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대부분의 건조의약의 액체용액은 환자의 정맥속에 작은 의약입자가 주입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조제를 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의약입자는 환자의 정맥을 화끈거리게 하거나 자극을 주어 불안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의약품이 사용시까지 안전하게 저장된 다음 약국보다는 오히려 환자의 침대옆에 용액으로 놓여질 수 있도록 건조의약품의 각각의 약용량을 포장하기 위한 경제적이고도 손쉽게 사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1도에 도시한 정맥투여 시스템(10)은 액체 희석제 소오스(12)와 표준 Y주입단과 같은 접속장치(18)가 인접하여 부착된 적하 챔버(16)를 포함하여 IV투여셋트(14) 및 조정 클램프(20)를 포함하여, 이들 모두는 시스템으로부터 환자에게 액체를 전달하기 위해 환자의 정맥속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피하주입바늘(24)과 적하 챔버(16)사이에 통로를 형성하는 튜브 장치(22a, 22b, 22c)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액체 소오스(12)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일리노이 60015, 디어휠드에 소재하는 트바베놀 래버러토리스, 인코포레이티드사에서 제조하여 일회용 용기로서 VI AFLEX라는 등록상표로 시판되고 있는 형태의 용재 용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용기들은 액체 소오스(12)가 환자위에 매달릴수 있도록 한 단부에 개구(12a)를 갖고 다른 단부에는 IV 투여셋트(14)와 관통 및 밀봉 결합하기에 적합한 도관형 덮개(12b)를 갖춘 투명하고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이다.
IV 투여 셋트(14)는 미합중국 캘리포니아 92121, 산디에고에 소재하는 아이백 코포레이션에 의해 배포된 대표적이 형태의 구성부품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셋트에 있어서, 적하 챔버(16)는 액체소오스(12)의 도관형 덮개(12b)를 그 의주가 관통하여 들어가 밀봉 결합상태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스파이크형 도관장치(16a)를 한 단부에 갖추고 있다. 적하챔버의 중앙부분(16b)은 액체 소오스(12)로부터 환자(26)의 정맥속으로 흐르는 액체의 속도를 눈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하챔버의 하단부(16C)는 적하 챔버로부터 액체를 이송하도록 투명하고 유연한 플라스틱 튜브(22a)에 부착된다. Y주입단, 즉 접속장치(18)는 시스템에 부수적인 의약 소오스를 부착하여 접속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 Y주입단은 표준 고무제 IV 스토퍼(18a)에 의해 폐쇄되는 시스템의 통로에 무균 입구를 제공한다.
액체 소오스(12)로부터의 액체흐름은 조정클램프(20)을 사용하므로써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는 유연성 플라스틱 튜브(22b)의 외면을 물어 변화가능한 정도까지 조여주기에 적합한 톱니형 롤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써, 튜브의 통로에 따라 수축을 가하여 액체소오스(12)로부터 조정클램프(20)에 의해 튜브(22b)내에 형성된 수축부를 통과하는 액체의 속도를 제어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도에 도시된 시스템은 건조의약(38)용의 카트릿지 또는 팩케이지(30)를 포함한다. 건조의약은 가루형태로 되거나, 또는 예를들어 압축된 입자의약 덩어리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단일 의약체로 될수 있다. 카트릿지(30)는 Y주입단에서 시스템(10)에 추가될 수 있으므로써, 용기(34)내에 담겨진 건조의 약이 다음에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같이 액체소오스(12)로 부터의 액체내에 용액으로 투여될 수 있게 해준다.
제2도는 카트릿지(2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시스템내에서의 이것의 작용은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카트릿지(30)는 표준피하주입바늘이나 또는 카트릿지(30)의 일부로서 특별히 제조된 기타 다른 예리한 관형 도관으로 될수 있는 천공도관 접속장치(32)를 포함한다. 또한, 카트릿지(30)는 건조의약(38)용의 용기(34)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는 건조의약을 함유하는 제1셀(36)과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2셀(40)로 구분되어진다. 액체투과 장벽(42)은 의약 입자가 IV투여셋트(14)로 들어가지 못하게 하기위해 건조 입자의약과 천공 도관 접속장치(32)사이의 용기(34)내에 배치된다. 장벽(42)은 제2셀(40)로 부터 제1셀(36)을 분리시키는 벽을 한정해 줄 것이다. 카트릿지(30)에는 천공도관 접속장치(32)에 대향하는 카트릿지의 단부에 공기구멍(44)이 제공되어 있다. 장벽(42)은 제2셀(40)내이 공기가 공기구멍(44)에 도달하여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카트릿지(30)내에서 액체뿐만 아니라 공기도 투과시킨다. 공기구멍(44)은 공기투과 액체장벽(48)에 의해 폐쇄된 용기(34)내의 개구(46)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투과 액체장벽의 한 실례로는 플루로 테크닉스 코포레이션에 의해 M8A 2000이란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는 플루오로 플라스틱 재료가 있다. 카트릿지(30)내의 의약이 오염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공기구멍(44)에는 카트릿지(30)를 취급할때 공기투과 액체장벽(48)과 접촉하기 못하도록 도시된 바와같은 홈이 파여지거나 부가의 공기투과 외부 차폐판이 제공될 수도 있다. 용기(34)는 양호하게 카트릿지(30)의 내부가 사용시에 시각으로 감시될 수 있도록 투명한 열가소성 재료로 성형된다.
용기내의 장벽(42)은 환자의 정맥에 도달하여 자극을 주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건조의약입자를 제외한 액체를 이송시켜줄 재료면 어느것이라도 될수가 있다. 통상의 실험용 여과지와 같은 단순한 재료들은 제지용 섬유가 환자에게 주입되지 못하게 하기 위해 하부 필터와 연합하여 장벽으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장벽 재질과 그 다공성의 선택은 상이한 의약 투여속도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다른 중요한 고려사항은 시스템의 액체내에서의 건조의약 용해속도이다. 건조의약이 시스템의 액체내에서 요액으로 신속하게 변할 경우, 비교적 비-다공성 장벽 재질을 선택하면 가용성 의약이 투여속도가 느려져 제어될 수 있게 된다. 건조의약이 매우 천천히 용액으로 변환되면(예를들어, 건조의약의 단일체가 액체내에서 비교적 불용성으로 되면), 다공성 장벽 재질은 단지 환자의 정맥을 화끈거리게 하거나 자극시켜줄 의약 입자의 통과를 방지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작은 크기의 미세구멍을 가진 것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카트릿지는 대부분의 가용성 건조의약과 용해속도가 제어될 수 없는 건조의약의 투여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트릿지는 그들의 용해속도에 의해 제어된 속도로 다른 건조의약의 임상 투여를 허용해 준다.
이러한 장벽 재질은 밀리포어 필터 코포레이션과 겔만 코포레이션에서 제조한 것과 같은 비-입자-형성 플라스틱 필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물질들은 여러가지 다공성에서 유용하다. 예를들어, 이러한 하나의 물질이 밀리포어 필터 코포레이션에 의해 GSWP 025 00 GS 0.45마이크론이란 명칭으로 시판되고 있고, 가용성 의약의 낮은 투여속도를 제공하도록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 어떤 시스템에서는, 이 장벽(42)은 매우 미세한 스크린으로 될 수도 있다.
용기(34)의 벽은 건조의약의 무균정맥 투여를 보장하기 위해 무균 처리가 가능한 유리나 그외의 다른 투명한 열가소성 재질로 될수 있다.
제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카트릿지(30)는 제1도에 도시한 형태의 IV시스템에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카트릿지(30)는 고무제 IV스토퍼(18a)를 통해 그 천공 도관접속장치(32)를 눌러주므로써 제1도의 시스템(10)에 부착된다. 액체소오스(12)내의 액체 레벨(12C)이 용기(34)보다 높기 때문에, 유압은 액체 소오스(12)로부터의 액체가 적하 챔버(16), 유연성 튜브(22a), 접속장치(18)을 통해 하방향으로 흐르고 천공 도관 접속장치(32)를 통해 용기(34)로 상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장벽(42)이 공기와 액체를 투과해 주기 때문에, 액체는 제2셀(36)로 흘러 건조의약(38)과 혼합된다. 제1셀(36)은 유압이 용기(34)내의 공기나 기타 다른 가스 물질을 용기내에 형성된 공기 투과 액체장벽(48)과 공기구멍 개구(46)를 통해 외향으로 배출시키기 때문에 완전히 충진된다. 그러므로, 건조의약(38)은 시스템의 액체에 접하게 되어 용액으로 놓여진다. 건조의약의 액체용액은 장벽(42)을 통해 흐르고 카트릿지의 천공도관 접속장치(32)를 통해 외향으로 흘러서 Y주입단과 유연성 튜브(22b)속으로 흘러들어가, 피하주입 바늘(24)을 통해 환자의 정맥속으로 흐르는 조절된 액체흐름에 합해진다. 용기(34)는 여전히 시스템내의 액체레벨(12C)아래에 있기 때문에 액체가 채워진채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제1도와 제2도의 시스템에 있어서, 천공도관 접속장치(32)는 두 방향의 액체흐름을 제공한다 투여 속도가 빠르면, 의약용액의 높은 비중은 중력의 영향을 받은 상태하에서 상당한 외향 흐름을 제공할수 있으며, 의약용액이 카트릿지(30)의 하향 및 외향으로 흐를때 액체 소오스(12)로부터의 농도가 낮은 액체의 상향유동에 의해 대체되므로, 카크릿지(30)는 시스템의 일부로서 액체를 충진한 상태로 유지된다. 카트릿지(30)로부터의 의약용액의 흐름속도는 가용성 의약에 대해 장벽(42)의 다공성과 천공도관 접속장치(32)내의 도관 직경의 선택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장벽(42)이 실험용 여과지의 다공성을 갖고 있고 천공도관 접속장치(32)의 도관이 최소한 16-게이지 피하주입 바늘의 것과 같은 크기로 되어 있으면, 가용성 의약의 용액은 약
Figure kpo00001
시간내에 1그램 약용량으로부터 투여될 수 있다.
장벽(42)의 다공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투여 간격이 더 길게 되고, 장벽의 다공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투여간격이 더 짧게 된다. 그러므로, 카트릿지로부터의 의약용액의 흐름속도는 카트릿지의 설계에 의해서 결정되고 제어된다. 또한, 카트릿지로부터의 의약용액의 흐름속도는 카트릿지의 하류측에 있는 어떤 조정 클램프나 또는 펌프에 의해 충분한 정도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카트릿지(30)는 양호하게 건조의약용 제1셀로부터 천공도관 접속장치의 도관까지 직접 인도되는 포켓레스(pocketless)벽을 제공한다. 예를들면, 제2도에 도시한 카트릿지(30)의 용기(34)는 천공도관 접속장치(32)의 구멍에 대해 예각(예를들어, 60°)으로 절두원추형 벽부분(34b)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용기(34)내에 형성된 의약용액은 실질적으로 용기(34)로부터 완정히 배출되어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어떤 상황하에서는 카트릿지(30)가 용기내의 의약을 완전히 사용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지지 또는 유지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제2도에 도시한 형태의 카트릿지는 용기(34)를 제1및 제2셀(또는 격실)의 벽을 형성하는 2개의 절두원추형 벽부분(34a 및 34b)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있다. 제2셀(40)을 갖고있는 카트릿지는 장벽(42)의 밀집 지역속으로 의약용액이 집중적으로 흐르지 않게 하고 불용성 의약으로 밀집지역이 차단되지 않게하여 최정적으로 의약의 흐름이 수축되지 않게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기 및 액체 투과 장벽(42)은 용기의 벽부분(34a와 34b)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용기(34)를 2부분으로 분산시키면, 제1셀(36)을 형성하는 벽부분(34a)은 제2셀(40)을 형성하며 접속장치(32)를 휴대하는 다른 벽부분(34b)에 대해 표준 형상을 유지하면서 여러가지 의약의 약용량을 위해 크기를 변화시킬 수가 있다. 접속장치(32)는 노출된 바늘형 말단부를 제공하도록 예리하게 되고 장벽에 대향한 벽부분(34b)의 단부속에 성형된 관형 강철도관으로 될수 있다. 이러한 카트릿지 시스템은 약 1그램의 의약 약용량에 대해 약 25.4mm (1인치) 정도의 최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트릿지(60)의 다른 실시예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의 카트릿지는 그 접속장치로서의 2개의 바늘과 2개의 공기구멍을 통합한 것이다. 이 실시예는 특별히 설계된 적하챔버(90)를 사용하도록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3도의 이중-바늘 시스템은 각각의 바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시에 시스템의 고무제 IV스토퍼에서 생긴 천공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천공도관 접속장치로서 18-게이지 또는 19-게이지 피하주입 바늘에 비교되는 크기를 가진 바늘을 통합시킬 수가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카트릿지(30)와 마찬가지로, 제3도에 도시한 카트릿지(60)도 천공 도관 접속장치 즉 바늘(62 및 64)과, 건조 가루 의약(70)용의 제1셀 또는 격실(68) 및 제2셀(74)로 분할된 용기(66)를 포함하고 있다. 액체투과장벽(72)은 제1셀(68)과, 제2셀(74)로부터 외부로 개방되는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사이에 삽입된다.
용기(66)는 무균처리될 수 있는 유리나 그외의 다른 투명한 열가소성 재질로 주형될 수 있고, 2개의 부분(66a와 6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66a)은 크기가 변할 수 있는 건조의약(70)용의 제1셀 또는 격실(68)을 형성한다. 제2부분(66b)은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를 휴대하며 카트릿지(60)내에 제2셀 또는 격실(74)을 형성한다. 제1부분(66a)과 제2부분(66b)은 그들사이에 장벽(72)을 보유지지하도록 그 의주부(66c)에서 돌기와 홈 맞물림 상태를 제공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카트릿지의 제1부분(66a)의 상부부분은 제1셀(68)용의 공기구멍 개구(76)를 제공하고 공기투과 액체 장벽(78)을 휴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카트릿지의 제2부분(66b)의 상부부분은 제2셀(74)용의 공기 구멍 개구(80)을 제공하고 공기 투과 액체장벽(83)을 휴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셀과 제2셀은 모두 공기구멍을 포함하기 때문에, 액체 투과 장벽(72)은 공기를 투과시킬 필요가 없다. 공기투과 액체 장벽(78 및 82)는 제2도의 카트릿지에 대해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용기(66)의 제2부분(66b)은 일정하게 떨어진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를 포함하는 표준 접속장치를 시스템의 기준요소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부분은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를 둘러싸고 차폐시키는 돌출슬리브(8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슬리브(84)는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가 오염되지 않게 하고 카트릿지의 취급시 천공도관 접속장치에 의해 사람이 부상당하지 않게 하기 위해 밀봉될 수 있는 개구(86)를 제공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적하 챔버(90)는 그 하부부분(92)에 표준 고무제 IV 스토퍼(98, 100)으로 밀봉된 2개의 돌출 개구(94, 96)로 구성되는 접속장치를 제공하기에 특히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시스템에서의 돌출개구(94, 96)는 카트릿지(60)의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슬리브(84)는 카트릿지(60)가 시스템에 부착될때 스토퍼(98, 100)와 맞물린 상태로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의 바늘을 안내할만한 크기로 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카트릿지(60)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체적으르 지지될 수 있다. 비록 제3도는 적하 챔버(90)의 하부부분(90)이 카트릿지(60)을 수용하기에 적합한것을 타나내고 있지만, 시스템에는 적하 챔버로부터 분리된 용기형 부분(92)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66)의 제1및 제2부분(66a와 66b)는 카트릿지내에 의약용액이 들어 오지 못하게 하고 실질적으로 의약을 모두 환자에게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제1셀(68)로부터 하부 천공도관 접속장치(64)의 구멍까지 인도되는 포켓레스벽을 형성한다.
약 1그램의 약용량의 경우에, 이러한 용기는 장벽(72)로부터 제1부분(66a)의 말단벽까지 약 22mm(7/8인치)정도의 깊이를 가진 제1셀(68)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66a)의 외부벽은 장벽(72)에 인접하여 약 25.4mm (1인치)의 평균직경을 갖고 있고 말단벽에서 약 22mm (7/8인치)까지 감소되는 절두원추형이 바람직하다. 표준 카트릿지 헤드를 구성할 수 있는 용기의 제2부분(66b)은 전형적으로 대략 16mm(5/8인치)이상을 떨어져서 약 1.016mm(0.040인치)의 외경을 각각 갖는 2개의 18-게이지 또는 19-게이지 바늘 즉,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바늘은 제2부분(66b)으로부터 외향으로 약 16mm(5/8인치)돌출하고 약 22mm (7/8인치) 길이로 돌출 슬리브(84)에 위해 둘러 싸인다. 외부슬리브(84)는 전형적으로 약 1.524mm(0.060인치)의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에 따라 중심이 맞춰지는 길이가 약 25.4mm(1인치)이고 폭이 약 9.5mm(3/8인치)보다 다소 적은 개구를 형성한다. 공기구멍 개구(76, 80)는 6.35mm(1/4인치)정도의 내경을 갖는다. 이러한 1그램 카트릿지의 전체길이는 약 50.8mm(2인치)이고 그 전체직경은 약 44.45mm
Figure kpo00002
이다. 상술한 설계 및 칫수는 다른 형상 및 약용량에 대해 변할 수 있다.
제3도의 실시예는 제2도의 실시예와 같이 일반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제1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시스템에서 동작하게 된다. 이것은 제1도의 적하 챔저(16)와 카트릿지(30)에 대해 제3도에 도시한 적하챔버(90)와 카트릿지(60)로 대체해 주므로서 상상할 수가 있다. 이러한 시스템내의 용기(60)는 액체 소오스(12)내의 액체 레벨(12C)밑에 있게 되므로, 카트릿지(60)를 시스템에 추가시키고 바늘로 스토퍼(98, 100)가 천공될때, 카트릿지(60)는 액체로 완전히 충진된다. 제1및 제2셀(68, 74)내부로부터의 공기는 각각 개구(76, 80)를 통해 배출된다. 제1셀(68)내의 건조의약(70)은 액체에 노출되어 액체 용액으로 놓여진다. 의약용액은 장벽(72)을 통해 그리고 저부 천공 도관 접속장치(64)와 개구(96)를 통해 외향으로 흘러 IV투여시스템으로 들어간다. 용기(66)는 시스템의 개구(94)와 상부 천공도관 접속장치(62)의 구멍을 통해 카트릿지의 내부로 흐르는 내향 유동에 의해 완전히 액체로 충진되어 유지되다. 이러한 흐름은 용기(66)내부로부터의 의약이 실질적으로 환자에게 완전히 전달될때까지 계속된다.
카트릿지용의 용기형 부분(92)은 여러가지 형상을 가질 수가 있다. 이것은 시스템내의 액체가 카트릿지(60)를 통한 흐름과 병렬로 용기형 부분(92)을 통해 하향으로 흐를수 있도록 돌출개구(94, 96)사이에 하향으로 개방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용기형 부분(92)은 시스템내의 액체의 흐름이 카트릿지(60)를 통해 완전히 유도되도록 돌출개구(94, 96)사이에서 폐쇄될 수 있다. 돌출개구(94, 96)사이의 용기형 부분(92)에 통로가 없다면, 예를들어 장벽(72)대신에 액체 불통 고상벽에 의햐 폐쇄되어진 카트릿지(60)의 제2부분(66b)을 포함하는 분로(Shunt)는 통상적으로 카트릿지가 없을 경우에 흐를수 있도록 용기형 부분상에 배치된다. 또한, 용기형 부분은 시스템의 상기 동작모우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돌출개구(94, 96)사이에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카트릿지(110)의 또다른 실시예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의 카트릿지는 그 천공도관 접속장치(112)로서 두개의 통로(114, 116)를 가진 단일 바늘을 통합하고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카트릿지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어댑터 및 용기형 부분(140)으로 이루어진 특별히 설계된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IV셋트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다중통로 천공도관 접속장치(112)를 가진 카트릿지(110)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형 부분(140)내에 삽입되면, 시스템내의 액체의 흐름은 완전히 카트릿지(110)를 통해 행해지게 된다. 천공도관 접속장치(112)와 용기형 부분(140)이 결합하면 용기형 부분의 통로(142)(제5도)가 폐쇄되고, 액체는 통로(114)를 통해 카트릿지(110)로 들어가 통로(116)를 거쳐 IV투여 시스템으로 다시 용해된 의약을 이송시킨다.
카트릿지(30, 60)와 마찬가지로, 카트릿지(110)는 천공도관 접속장치(112)를 포함하는 접속장치와, 건조의 약(120)과 천공도관 접속장치(112)사이에 삽입된 액체 투과 장벽(124)에 의해 건조가루 의약(122)용의 제1셀 또는 격실(120) 및 제2셀(126)로 나뉘어진 용기(118)로 이루어진다.
용기(118)는 무균처리될 수 있는 유리나 그외의 다른 투명한 열가소성 재질로 주형되고, 두 부분(118a, 118b)을 포함한다. 제1부분(118a)은 크기가 변할수 있는 건조의약(122)용의 제1셀 또는 격실(120)을 형성한다. 제1부분(118a)은 양호하게 유리로 되어 있다. 제2부분(118b)은 천공도관 접속장치(112)를 휴대하며 카트릿지(110)내에 제2셀 또는 격실(126)으로 형성한다. 제2부분(118b)은 ABS, 경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될수 있다.
제1부분(118a)과 제2부분(118b)은 그 외주부(118c)에 돌기 및 홈 결합상태를 제공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장벽(124)은 천연고무와 같은 탄성물질로 된 가스켓(128)내에 지지되어 있다. 가스켓(128)은 카트릿지(110)의 조립시에 제1부분(118a)과 제2부분(118b)사이에 보유지지 된다. 2개의 개구(128a, 128b)가 가스켓(128)내에 형성되어 공기나 액체가 아닌 건조의약(122)만을 장벽(124)에 의해 폐쇄시킨다. 카스켓(128)은 제2부분(118b)을 향해 결합하여 밀봉되는 개구(128a, 128b)사이의 밀봉표면(128c)을 포함하므로써, 제2부분(118b)과 장벽(124)사이에 제2셀(126)사이에 제2셀(126)을 한정해 준다.
용기의 제2부분(118b)의 상부부분은 카트릿지(110)의 내부에 대한 공기구멍 개구(130)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된다. 경화 주형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삽입체(132)는 공기구멍 개구(130)내에 공기투과 액체장벽(134) 갖추고 있다. 개구(130, 128a)는 제1및 제2셀(126, 120)내의 공기나 가스가 삽입체(132)의 개구(136)를 통해 카트릿지(110)내로부터 배출되게 하고, 제1셀(120)이 액체용액으로 완전히 충진되게 한다. 공기투과 장벽(134)은 액체를 투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액체는 카트릿지(110)을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공기투과 액체 장벽(134)은 제2도의 카트릿지에 대해 상술한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될수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용기형 부분(140)은 표준고무제 스토퍼(148)로 밀봉된 돌출개구(146)를 제공하기에 특히 적합한 반강성체의 저부부분(144)을 갖는다. 저부부분(144)은 카트릿지의 천공도관 접속장치(112)와 결합되기 위한 형태로된 소켓(150)을 형성하고 있다.
용기형 부분(140)은 표준 IV부품과 함께 건조의약 카트릿지(1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어댑터를 제공한다. 제6도는 용기형 부분-어댑터의 사용법과 그 단부가 이러한 표준 IV시스템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카트릿지(110)를 사용하기 위해 표준 IV시스템을 적응시킴에 있어서, 용기형 부분(140)은 우선 통로(142)의 저부부분속에 스파이크형 도관장치(16a)를 삽입시킴으로써,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준 IV투여 셋트의 적하 챔버(16)의 스파이크형 도관장치(16a)상에 배치된다. 용기형 부분(140)의 상부부분(152)은 단단하며 통로(142)에 대하여 예리한 스파이크(154)를 형성한다. 스파이크(154)는 액체 소오스(12)의 도관형 덮개(12b)를 뚫고 들어가 그 외주부가 도관형 덮개와 밀봉 결합상태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용기형부분의 상부부분(152)에는 사용자가 액체소오스(12)속에 용기형 부부을 삽입시키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연장표면(152a)이 제공되어 있다. 용기형 부분(140)이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면, 액체 소오스(12)로부터의 액체는 용기형 부분의 통로(142)를 통해 자유롭게 흐르게 된다.
카트릿지(110)와 그 건조의약은 천공도관 접속장치(112)가 스토퍼(148)을 천공하여 용기형 부분(140)의 소켓(150)내에 안착되므로서 IV시스템내에 배치된다. 카트리지(112)는 공기구멍 개구(130)에 인접한 제2부분(118b)에 의해 형성된 키이(131)를 갖고 있다. 카트리지(110)는 공기구멍 개구(130)에 인접한 제2부분(118b)에 의해 형성된 키이(131)를 갖고 있다. 상부부분(152)의 연장표면(152a)에는 카트릿지의 키어(131)를 삽입시키는 슬로트(152b)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카트릿지(110)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지될 수 있다. 천공도관 접속장치(112)는 소켓(150)내에 안착될때 폐쇄되어 통로(142)를 실질적으로 밀봉시킨다. 이때, 소켓(150)위의 액체는 중력에 의해서 천공 도관접속 장치(112)의 상부통로(114)로 들어가고 저부통로(116)를 떠남으로써 카트릿지(110)를 통과하여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콘테이너(110)는 액체 용액으로 완전히 충진되어 환자에게 건조의약을 용액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약 1그램의 약용량의 경우에, 이러한 카트릿지는 장벽(124)으로부터 제1부분(118a)의 말단벽까지 약 19.05mm(3/4인치)정도의 깊이를 가진 제1셀(120)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부분(118a)의 외부벽은 양호하게 장벽(124)부근에서 약 25.4mm(1인치)의 평균직경을 갖고 말단벽에서 약 22mm(7/8인치)까지 감소되는 절두원추형으로 되어 있다. 제2부분(118b)은 길이가 약 25.4mm(1인치)이고 외경이 약 4.286mm(0.190인치)인 천공도관 접속장치(112)를 갖고 있다. 이 접속장치(112)의 전방표면은 스토퍼(148)의 천공을 도와주기 위해 그 꼭지점에서
Figure kpo00003
의 입체각을 가진 원추를 형성한다. 통로(114, 116)는 접속장치(112)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원추형 전방단부의 기저부에 인접해서 종료된다. 통로(114, 116)용의 개구는 통로(114, 116)를 차단시키기에 충분한 깊이를 갖고 접속장치(112)를 가로지르는 2개의 솔로트에 의해 형성된다. 카트릿지는 제2부분(118b)에는 제1부분(118a)의 주위로 연장되어 제1부분(118a)을 접촉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원통형 스커트(118d)가 형성된다. 공기 구멍개구(130)는 6.35mm(1/4인치)정도의 내경을 갖고 있다. 이러한 1그램 카트릿지의 전체 길이는 약 50.8mm(2인치)이고 전체 직경은 약 38.1mm
Figure kpo00004
이다. 상기 설계 및 칫수는 다른 형상 및 약용량에 대해 변할 수 있다.
제4도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제2도 및 제3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스템내에서 작동할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내의 카트릿지(110)는 전체적으로 액체 소오스(12)내의 액체 레벨밑에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카트릿지(110)를 추가시키고 접속장치(112)로 스토퍼(148)를 천공함에 따라, 카트릿지(110)는 액체로 완전히 충전된다. 제1 및 제2셀(120, 126)내로부터의 공기는 각각 개구(128a, 136)를 통해 배출된다. 제1셀(120)내의 건조의약(122)은 액체에 노출되어 액체 용액으로 놓여진다. 의약용액은 장벽(124)을 통해 흐르고 저부통로(116)를 통해 외향으로 흘러 IV 투여 시스템으로 들어간다. 용기(118)는 액체가 상부통로(114)를 통해 카트릿지의 내부로 내향으로 흐름으로써 액체 충진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흐름은 카트릿지(110)내로부터의 의약이 실질적으로 환자에게 환전히 전달될때까지 지속된다.
본 발명은 예를들어 항생제의 주기적인 고혈중 농도를 필요로 하는 질병을 치료하고 계획된 주기적인 기간에 건조 항생제로부터 그러한 농도로 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항생 농도를 필요로 하는 박테리아를 죽이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특히 엘리 릴리 앤드컴패니에서 KEFLIN이란 상표로 시판하고 있는 것과 같은 세팔로틴 나트륨 항생제와 함께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고, 단기간 동안 용액내에 의약을 투여시킴으로써 항생제의 주기적인 고혈증 농고를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항생제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약용량으로 예를들어 심장약 등과 같은 다른 건조의약을 전달해주기 위한 장치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투여 속도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의약은 카트릿지로부터 직접 투여되기 때문에 병원 약제사에게 가지 않고 병원직원에 의해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의약품이 사용시까지 안전하게 저장되고 환자의 침대옆에 용액상태로 놓여져 주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도록 건조의약품의 각각의 약용량을 담기 위한 경제적이고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카트릿지는 다른 시간 주기 동안 다른 건조의약을 투여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예정된 간격으로 반복해서 투여할 수 있다. 건조의약은 병원 약국에서 정맥투여용으로 준비해서는 않되기 때문에, 병원에서 직원에 의해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양호한 실시예들은 여러가지로 수정될 수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설명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원리와 배경을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의 구조 및 배열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Claims (5)

  1. 건조 형태로 의약품의 약용량을 저장하고, 적당한 액체내의 용액으로 약용량의 정맥 주입을 촉진하도록 사용중에 접속되는 액체 공급원 및 카트릿지와의 사이에 액체 연통접속부를 형성하는데 사용하는 접속장치를 갖는 IV투여셋트와 함께 사용되며, 건조 의약의 약용량을 보유지지해주는 액체 밀봉 용기 및 상기 용기에 연통되며 IV투여셋트와 용기사이에 액체 연통 접속부를 형성하도록 IV투여셋트의 접속장치와 결합되기에 적합한 천공도관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카트릿지에 있어서, 잠재적으로 정맥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는 예정된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고상입자가 용기(34, 66, 118)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34, 66, 118)의 내부에 배치되며 액체 및 용액을 투과시켜서 IV투여셋트(14)로부터의 액체가 건조의약(38, 70, 122)과 접촉하여 이 건조의약을 용해시킬 수 있고 건조의약의 최종 용액이 주입을 위해 장벽(42, 72, 124)과 연통 접속부를 통해 IV투여 셋트(14)로 통과할 수 있게 해주는 액체투과 장벽(42, 72, 124)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34, 68, 118)에는 그곳을 통해 액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해주는 공기 투과 액체 장벽(48, 78, 82, 134)을 포함하며 IV투여 셋트로부터 용기속으로 액체가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해주는 공기구멍(44) 또는 공기구멍 개구(76, 80, 13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릿지(30, 60, 110)는 건조의약(38, 70, 122)의 약용량이 용기(34, 66, 118)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3.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중합제 스토퍼를 포함하는 접속장치(18, 98, 100, 140)를 가진 IV투여 셋트(14)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카트릿지(30, 60, 110)는 카트릿지의 천공도관 접속장치(32, 62, 64, 112)가 한 단부에서 용기에 연통하고 말단부에서 포트로 종료되는 내부 통로를 가진 도관으로 이루어지고,상기 도관의 말단부가 연통 접속부를 형성하기 위해 IV투여 셋트의 스토퍼를 관통시키기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4.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릿지(110)의 천공도관 접속장치(112)는 IV투여 셋트로부터 용기까지 액체를 이송하기 위해 한 단부에서 용기(118)에 연통하고 말단부에서 제1포트로 종료되는 제1내부 통로(114)와 용기(118)로부터 IV투여셋트까지 건조의약(122)의 용액을 이송하기 위해 한 단부에서 용기(118)에 연통하고 말단부에서 제2포트로 종료되는 분리된 제2내부 통로(116)를 갖는 도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트릿지(110)는 IV투여 셋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IV투여 셋트에서 제포트로 액체를 향하게 해주고 액체가 용기를 통과한 후 제2포트로부터 용액을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용기형부분(14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5.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릿지(60)의 천공도관 접속장치(62, 64)가 한 단부에서 용기(66)에 연통하고 말단부에서 포트로 종료되는 내부 통로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도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KR8203823A 1981-08-26 1982-08-25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KR860000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633581A 1981-08-26 1981-08-26
US296335 1981-08-26
US296,335 1981-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09A KR840000909A (ko) 1984-03-26
KR860000277B1 true KR860000277B1 (ko) 1986-03-26

Family

ID=2314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3823A KR860000277B1 (ko) 1981-08-26 1982-08-25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EP (1) EP0077604B1 (ko)
JP (1) JPS5841566A (ko)
KR (1) KR860000277B1 (ko)
AR (1) AR229701A1 (ko)
AT (1) ATE20189T1 (ko)
AU (1) AU556380B2 (ko)
CA (1) CA1187367A (ko)
DD (1) DD202390A5 (ko)
DE (1) DE3271558D1 (ko)
DK (1) DK380882A (ko)
ES (1) ES275292Y (ko)
FI (1) FI822949L (ko)
GB (1) GB2104862B (ko)
GR (1) GR76865B (ko)
HU (1) HU187406B (ko)
IE (1) IE53248B1 (ko)
IL (1) IL66631A (ko)
NZ (1) NZ201684A (ko)
PH (1) PH19329A (ko)
PL (1) PL133289B1 (ko)
PT (1) PT75456B (ko)
RO (1) RO85686B (ko)
SU (1) SU1184435A3 (ko)
ZA (1) ZA8262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667A (ja) * 1983-10-15 1985-05-11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弾性封止体および医療用点滴セツト
US4573967A (en) * 1983-12-06 1986-03-04 Eli Lilly And Company Vacuum vial infusion system
EP0151371B1 (de) * 1984-02-03 1987-05-06 Ciba-Geigy Ag Wirkstoffabgabevorrichtung für parenterales Applikationssystem und damit ausgestattetes parenterales Applikationssystem
US4581014A (en) * 1984-04-03 1986-04-08 Ivac Corporation Fluid infusion system
US4695272A (en) * 1984-10-26 1987-09-22 Aktiebolaget Hassle Drug release device
EP0246715A3 (en) * 1984-12-03 1988-02-03 BAXTER INTERNATIONAL INC. (a Delaware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safe delivery of a beneficial agent to a patient
EP0203162B1 (en) * 1984-12-03 1992-03-04 BAXTER INTERNATIONAL INC. (a Delaware corporation) Housing enabling passive mixing of a beneficial agent with a diluent
US4952210A (en) * 1985-12-13 1990-08-2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arenteral fluid administration set
EP0444761B1 (en) * 1986-05-29 1994-02-02 Baxter International Inc. Drug delivery apparatus having chamber with chimney
IL82675A (en) * 1986-05-29 1992-08-18 Baxter Int Drug delivery apparatus
EP0435860B1 (en) * 1986-05-29 1993-08-25 Baxter International Inc. Adapter for connecting with a drug vial to introduce a beneficial agent to a patient
EP0436504B1 (en) * 1986-05-29 1993-08-25 Baxter International Inc. Receptacle for use in adding a beneficial agent to fluid in an administration set
SE461765B (sv) 1986-07-10 1990-03-26 Haessle Ab Anordning foer frisaettning av substans
US4786279A (en) * 1986-07-31 1988-11-22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for mixture of materials
ES1002629Y (es) * 1987-06-05 1989-01-16 Badia Marcelo Segura Conexion para cateteres, equipos de perfusion y frascos de liquidos a perfundir
FR2705575B1 (fr) * 1993-05-27 1995-07-28 Soludia Procédé et dispositif permettant de réaliser une solution de concentration contrôlée à usage médical.
DE60230634D1 (de) 2001-06-29 2009-02-12 Coloplast As Eine katheteranordnung
US7311698B2 (en) 2001-09-24 2007-12-25 Coloplast A/S Urinary catheter assembly allowing for non-contaminated insertion of the catheter into a urinary canal
US7682353B2 (en) 2001-06-29 2010-03-23 Coloplast A/S Catheter device
AU2009260170B2 (en) * 2008-06-20 2014-10-23 Analytica Limited A flushable injection port
US9585784B2 (en) 2011-08-29 2017-03-07 Coloplast A/S Catheter activation by handle removal
US9731105B2 (en) 2015-02-20 2017-08-15 Carefusion 303, Inc. Micro infusion device for drug delivery
CN108403365B (zh) * 2018-03-19 2019-07-30 重庆良护科技有限公司 一种医疗用器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122616A (fr) * 1955-02-24 1956-09-11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dispositifs pour le transvasement d'une substance liquide ou pulvérulente, notamment d'une substance thérapeutique
US3857392A (en) * 1969-06-04 1974-12-31 Ims Ltd Intravenous container with dislodgeable septum and dislodging piercer
DE2364414A1 (de) * 1973-01-03 1974-07-11 Compaselect Gmbh Zusatzstoff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infusionsloesungen
US3976068A (en) * 1975-01-03 1976-08-24 Origo, Inc. Drug dispenser for use with intravenous feeding pump
EP0005606A1 (en) * 1978-05-12 1979-11-28 Vishnu Shanker Shukla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aratus for administering intravenous drugs
AU6249180A (en) * 1979-09-18 1981-04-09 Millipore Corp. Automatic dual rate i.v. adminis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909A (ko) 1984-03-26
IL66631A0 (en) 1982-12-31
PL238010A1 (en) 1983-02-28
RO85686A (ro) 1985-01-24
SU1184435A3 (ru) 1985-10-07
GR76865B (ko) 1984-09-04
JPS5841566A (ja) 1983-03-10
IL66631A (en) 1985-12-31
ES275292U (es) 1984-10-16
AU8756182A (en) 1983-03-03
DK380882A (da) 1983-02-27
IE822050L (en) 1983-02-26
PL133289B1 (en) 1985-05-31
AR229701A1 (es) 1983-10-31
RO85686B (ro) 1985-01-30
EP0077604A1 (en) 1983-04-27
CA1187367A (en) 1985-05-21
FI822949A0 (fi) 1982-08-25
DD202390A5 (de) 1983-09-14
FI822949L (fi) 1983-02-27
ATE20189T1 (de) 1986-06-15
EP0077604B1 (en) 1986-06-04
HU187406B (en) 1986-01-28
GB2104862A (en) 1983-03-16
NZ201684A (en) 1985-05-31
ZA826204B (en) 1983-07-27
ES275292Y (es) 1986-06-16
GB2104862B (en) 1985-01-16
PH19329A (en) 1986-03-18
PT75456B (en) 1985-12-03
AU556380B2 (en) 1986-10-30
DE3271558D1 (en) 1986-07-10
PT75456A (en) 1982-09-01
IE53248B1 (en) 198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0277B1 (ko) 건조의약 투여용 카트릿지
US4465471A (en) Intravenous administration system for dry medicine
JP2736510B2 (ja) 標準の静脈内投与セット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インライン薬物放出装置及び放出方法
JP2736509B2 (ja) 標準の静脈内投与セット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インライン薬物放出装置及び放出方法
JP2926440B2 (ja) 薬物放出用アダプター
US4832690A (en) Needle-pierceable cartridge for drug delivery
US5024657A (en) Drug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preventing local and systemic toxicity
KR960005819B1 (ko) 유익한 약품을 정맥내 수액 시스템내에 도입하기 위한 약품통과 연접기
KR100553698B1 (ko) 폐쇄 시스템에서 의약품 용기와 정맥용 백을 연결하는유체 이송 장치
KR960005820B1 (ko) 보호 덮개를 구비한 의약품 수액 약품통
JPH0796040A (ja) バイアルアダプター
SE463849B (sv) Medicinsk behaallare
JP2607192B2 (ja) 受動的薬剤放出ソケット
US20060058741A1 (en) Infusion apparatus for infusion bags
JPH0534990B2 (ko)
EP0435860B1 (en) Adapter for connecting with a drug vial to introduce a beneficial agent to a pat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