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930B1 - 가스분사(噴射)에 의한 폐열 회수장치의 작동법 - Google Patents

가스분사(噴射)에 의한 폐열 회수장치의 작동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930B1
KR850001930B1 KR8204026A KR820004026A KR850001930B1 KR 850001930 B1 KR850001930 B1 KR 850001930B1 KR 8204026 A KR8204026 A KR 8204026A KR 820004026 A KR820004026 A KR 820004026A KR 850001930 B1 KR850001930 B1 KR 850001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space
gas
stack
waste heat
heat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4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523A (ko
Inventor
이-완챠이
Original Assignee
로오스 엠 페코라
피이피이지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오스 엠 페코라, 피이피이지이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로오스 엠 페코라
Publication of KR84000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7/00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a stationary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contacted successively by each heat-exchange medium, e.g. using granular particles
    • F28D17/04Distributing arrangements for the heat-exchange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5Heating the glass
    • C03B5/237Regenerators or recuperator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6Arrangements of heat-exchang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Supply (AREA)
  • Glass Melting And Manufactur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분사(噴射)에 의한 폐열 회수장치의 작동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조절 공기분사기(噴射機)배치의 일예를 나타낸 횡방향 연소, 축열식 유리용융노의 수직 횡단면도임.
제2도는 본 발명의 흐름조절 수단이 없는 폐열 회수장치의 배출상태 동안의 전형적인 유동양상(流動樣狀)을 나타내는 제1도의 선 X-X를 따라 취해진 폐열 회수장치의 수직 종단면도임.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조절 수단이 없는 연소상태 동안의 전형적인 유동양상을 나타낸 제1도의 선 X-X를 따라 취해진 동일 폐열 회수장치의 수직 종단면도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작동되는 흐름조절 공기분사기가 있는 배출상태 동안의 유동양상을 나타내는 제2도 폐열 회수장치의 수직 종단면도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작동되는 흐름조절 공기분사기가 있는 연소상태동안의 유동양상을 나타낸 제3도 폐열 회수장치의 수직 종단면도임.
제6도는 본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공기분사기의 바람직한 구조를 나타낸 부분적으로 절단된, 확대 입면도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을 따라 취해진 공기분사기 구조의 횡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융된유리 11 : 용융기
12, 13 : 폐열회수장치 14, 15 : 버너포오트
16, 17 : 연료라인(line) 22 : 플리넘(plenum)
23 : 분배공간 25 : 아아치
24 : 연돌 35, 36 : 공기 분사파이프
40 : 외부도관 41 : 내부도관
42 : 단부플레이트(plate) 43 : 고리
44, 45 : 환상절반부 46, 47 : 격벽
48, 49 : 구멍 50, 51 : 커플링
52 : 관 20, 21 : 체커패킹
본 발명은 축열노(蓄熱爐)와 그 작동법, 특히 판유리 제조에 보통 이용되는 축열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노에 사용되는 폐열 회수장치는 보통, 고온 배출가스가 패킹을 가열하기 위해서 연소주기의 한 단계 동안 통과하는 소위 "체커패킹"이라 불리우는 쌓여진 벽돌같은 가스 침투성상(床)인 내화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주기의 다른 한 단계에서, 흐름은 역전되고, 패킹에 저장된 열은 폐열 회수장치를 통하는 연소 공기를 예열하는 작용을 한다.
폐열 회수장치는 일반적으로 노의 연소실 양쪽벽에서 하나씩 서로 짝을 지은 쌍들도 이용된다. 한 폐열 회수장치가 배출가스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있는동안, 다른 하나는 도입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판유리노는 전형적으로 서로로부터 일렬로 수피트 떨어진 비교적 많은 버너 포오트(보통 한쪽에 4-8개)를 포함하기 때문에, 폐열 회수장치 상(床)의 길이는 그 높이 또는 폭보다 보통 7,8배나 크다.
구조의 편의상, 각 폐열 회수장치로 가스를 보내고 각 폐열 회수장치로 부터 가스를 빼내는 주 연돌은 보통 폐열 회수장치의 한쪽 단부에 위치하여 있다. 이러한 배열은, 불행하게도, 가스가 폐열 회수장치의 일부분에서 종적으로 흘러 패킹의 일부분을 우회하는 경향이 있다.
고온 배출가스는 연돌근처의 패킹부분을 통해 더 많이 흐르는 경향이 있으며, 그 부분은 패킹의 다른 부분보다 더 뜨겁게 된다.
이와같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조건은, 연소상태동안 차가운 도입연소 공기가 연돌입구로부터 패킹의 반대편 단부쪽을 치우치는 경향때문에 악화된다. 결국, 패킹의 연돌 단부부분은 더 높은 절정온도에 도달한 뿐만 아니라 연소 주기에서 더 높은 평균온도를 유지한다. 고온때문에 패킹의 연돌 단부부분은 다른 것보다 더 빨리 손상되어 노수명이 짧아지고 노의 작동에 지장을 초래한다. 더우기, 저장된 열은 패킹의 한 부분에 집중되기 때문에, 연소상태동안 공기가 예열되는 효율은 감소된다. 이로 인해 노의 총열효율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미국특허 제1,836,412 및 제2,813,708호는 개량된 폐열 회수장치의 유동양상에 관한 것이다. 상기 두 특허에서는, 연소상태동안 체커패킹을 통한 공기흐름을 더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고안된 조절판을 이용한다. 그러나, 그러한 배열이 어떻게해서 배출상태동안 패킹을 통한 반대방향의 흐름에 충분히 영향을 미쳐 패킹의 연돌 단부에서 열집중현상을 막을 수 있는지는 알 수 없다. 더우기, 이러한 배플 배열에서는 배출 상태동안 패킹 아래 공간에서 가스흐름 형태를 변경하므로써, 패킹위 공간을 따라, 다음에는 연돌단부에서 패킹으로의 배출가스의 측방향 흐름을 증진시킬 수 있다.
폐열 회수장치를 통해 가스흐름을 분산시키기 위해 다수의 연돌이 제공된 배열은 미국특허 제4,174,948 4,256,173 및 4,257,476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들 각 배열에서는 기존 노에 사용할 수 없고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노에는 부적합한 폐열 회수장치 구조를 실질적으로 다시 건설할 필요가 있다. 더우기, 이들 배열에서 필요한 부가 구조물없이 유동분포(流動分布)를 달성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미국특허 제4,047,560 및 4,088,180호에서는 폐열 회수장치의 연소반응동안 공기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이동성 배플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내구성이 문제가 되는 가혹한 조건에서, 이동성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것이 바람직하다.
각 버너 포오트가 상응하는 폐열 회수장치 패킹부분과 연결되도록 폐열 회수장치에 격벽을 제공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배열은 유동분포를 긍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반면, 폐열 회수장치 패킹부분이 막히거나 파괴되면 필연적으로 버너 포오트를 작동하지 못하게 하여 노의 작동을 심하게 저해하기 때문에, 상기 배열은 사용하기를 꺼리고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다수의 버어너 포오트와 일반적으로 소통되는 패킹의 격벽없는 단일상(床)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폐열 회수장치의 가스흐름은, 연돌을 패킹상(床)에 연결하는 가스분배 공간에서 종적흐름을 상쇄하기 위해서, 공기 분사수단 등을 이용하므로써, 보다 균일하게 만들어진다.
공기분사기는 연돌로부터 패킹의 반대편 단부 근처에 위치하며 패킹의 인접측부와 평행인 폐열 회수장치의 길이를 따라서 향하고 있다.
분사기로부터 나오는 공기 또는 기타 차가운 가스는 연소주기중의 연소상태동안 분배공간을 통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종적흐름과 역방향으로 흐름으로써 연소공기가 패킹을 통해 더 균일하게 통과하도록 상기 종적흐름을 직접 방해한다. 배출상태 동안, 공기분사가 분배공간의 연돌단부 반대편 부분에서 가스를 포획함으로써 패킹의 인접부분을 통해 들어오는 배출가스량을 더 많이 유도하고 상대적으로 플리넘(plenum)을 따라 패킹의 연돌단부로 종적으로 통과하는 배출가스량을 감소시키는 저압지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흐름조절 수단은, 작동을 방해하지 않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기존 작동노에 쉽게 이용될 수 있다. 흐름조절 분사의 작동비용은 본 발명에서 얻어질 수 있는 연장된 노의 수명과 증진된 폐열 회수장치 효율에 비하여 극소하다. 동시에, 공기 등의 비교적 차가운 분사를 이용하면 분배공간의 온도를 내리므로써 직접 패킹지지 구조물의 과열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첨부도면에 나타낸 축열노는 판유리 공업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용융노이다. 이러한 노는 예증적인 실시예로서 기술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다른 형태의 축열 노에 이용할 수 있다.
제1도에서, 완전 용융되거나 부분적으로 용융된 유리(10)의 푸울이 용융기(11)에 담겨져 있는데, 그 내부는 노의 주연소실이다.
또한, 노는 각각 다수의 버너포오트(14) 및 (15)에 의해 용기와 소통되며 용융기와 접하고 있는 한쌍의 폐열 회수장치(12) 및 (13)을 포함한다. 연소용 연료는 연료라인(16) 및 (17)에 의해 제각기, 각 포오트 내의 버너로 공급된다.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폐열 회수장치(12)는 연소주기의 배출상태에 있고, 폐열 회수장치(13)은 연소주기의 연소상태에 있다. 연소용 공기는 폐열 회수장치(13)를 통하여 위로 흐르는데, 여기서 공기는 내화물질로 구성된 예열된, 가스침투성 벽돌로 된 체커패킹(20)을 지나므로써 예열되고, 다시 포오트(15)로 도입되어, 각 포오트의 입구에서 연료라인(17)로부터의 연료와 혼합된다. 불꽃은 용융기(11)의 내부까지 상당히 멀리 분출되며, 고온 배출가스는 포오트(14)를 통해 반대편 폐열 회수장치(12)로 도입되어, 또 다른 벽돌 체커패킹(21)을 가열한다. 연료라인(16)은 이러한 연소주기중 작동하지 않는다. 작동한지 수분후, 흐름은 역전되고, 연료는 라인(16)을 통하여 공급되며 연료라인(17)은 작동을 안한다. 이러한 제2단계 연소주기중, 폐열 회수장치(12)는 도입되는 연소공기를 예열하는 작용을 하며, 폐열 회수장치(13)은 그곳을 지나는 배출가스로부터의 폐열을 회수하는 작용을 한다. 작동한지 또 수분후, 흐름의 방향은 다시 역전되고 이와같이 계속 반복한다.
폐열 회수장치(12)와 (13)은 구조적으로 반드시 서로 대칭상이므로, 폐열회수장치(12)에 대한 부가적인 구조설명은 폐열 회수장치(13)에도 적용됨은 물론이다. 전형적인 유리용융노 폐열 회수장치는, 제1도에서 나타낸 패킹상(床)의 폭이 제2도-제5도도에 나타난 길이보다 훨씬 적은 구조를 갖는다.
그 이유는 각 폐열 회수장치가 일련의 연장된 포오트, 전형적으로는 노의 각 면에 4-8개의 포오트와 소통되기 때문이다. 패킹(21)위에는 플리넘(plenum)(22)가 연장되어 있는데, 이 플리넘을 따라서 각 포오트(14)는 패킹(21)과 공동으로 소통되어 있다. 패킹 반대쪽에는 한 단부에서 연돌(24)(제2도-제5도 참조)로 개방되어 있는 가스 분배공간(23)이 있다. 패킹은 일련의 아아치(arch)(25)에 의해 지지된다.
제2도-제5도는 용융기(11)에 대한 공급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용융기의 유입구 연장부(30), 유리뱃치 공급기관(31)과 유입구구멍(32)를 포함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은 연소주기의 배출상태에서 유동양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배출가스의 일부분은 폐열 회수장치의 연돌 단부를 향해 플리넘(22)를 따라 수직으로 떨어져서 연돌 단부근처 패킹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패킹의 연돌 단부를 따라 흐르는 배출가스의 양이 많아지면, 패킹부분과 하부 아아치(25)는 폐열 회수장치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뜨거워진다.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연소상태에서 흐름이 역전될때, 패킹을 통해 도입되는 공기의 흐름과 이에 따른 냉각효과는 연돌로부터 패킹의 반대편 단부쪽으로 약간 치우친다. 그 결과, 연돌 단부근처에 있는 패킹은 나머지 패킹보다 온도가 더 높게 유지된다.
이와같이 비효과적이며, 때로는 해로운 열의 집중부분은 분리되지 않고, 폐열 회수장치의 특정구조에 따라 달라지나, 그 부분은 일반적으로, 연돌 단부로부터 패킹의 첫번째 1/3 지점까지 형성된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폐열 회수장치내의 열적 불균형의 예를 나타낸내는 특정자료가 미국특허 제4,047,560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이를 참고로 한다.
제4도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폐열 회수장치(12)의 분배공간(23)속으로 삽입된 흐름조절공기 분사파이프(35)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는 배출상태동안 패킹(21)을 통한 배출가스 유동양상에 미치는 흐름조절 공기분사의 효과를 예증하며, 이는 제2도와 비교된다. 파이프(35)로부터의 공기분사는 연돌단부를 향한 분배공간의 길이와 평행으로 향하게 된다.
분사기는 바람직하게는, 연돌(24)로부터 가장 먼 분배공간(23)의 절반지점, 임의로는 가장 먼 1/3 지점에 위치한다. 파아프(35)로 부터 나오는 분사는 주위가스를 끌어들이는 효과를 냄으로써 패킹의 인접부분에서 저압대를 형성한다. 이와같은 저압대는 연돌의 반대단부에서 패킹을 통해 아래로 흐르는 배출가스의 흐름속도를 크게하므로써,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배출가스가 패킹의 연돌단부를 향해 플리넘(22)를 따라 흐르게 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제5도에서는 연소 상태동안 폐열 회수장치를 통해 도입되는 연소공기의 분배에 미치는 흐름 조절분사의 작용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데, 이는 제3도에 나타낸 유동양상과 비교될 수있다. 연돌(24)로 부터 도입되는 연소공기가 분배공간(23)의 극단으로 불균형하게 흐르는 경향은, 분배공간을 따라 도입되는 연소공기의 흐름과 역방향으로 흐르는 파이프(35)로부터의 공기분사에 의해서 상쇄된다. 분사에 의해서 형성되는 유동저항으로 인해 폐열 회수장치의 연돌 단부에서 패킹부분을 통해 다량의 연소공기가 흐름으로써, 모든 부분의 패킹을 통해 공기가 더 균일하게 분산되며, 폐열회수 장치의 연돌 단부와 반대편 단부사이의 온도차가 감소된다.
공기분사는 패킹의 연돌단부를 통한 배출가스의 과잉유량(流量)을 방지하고, 패킹의 연돌단부를 통한 차가운 도입공기의 유량을 더 크게하는 2중의 효과를 가지며, 상기 2가지 작용으로 인해 연돌단부 패킹이 과열되는 경향이 감소된다. 더우기, 패킹의 더 뜨거운 부분은 통해 도입공기의 양을 더 많이 흐르게 하므로써, 폐열 회수장치에 의한 열회수 효율은 증진된다. 이러한 2가지 장점으로 인해 바람직하게는 전체 공정동안, 혹은 대체적으로 전공정, 연소주기에 공기분사기를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배출상태 및 연소상태에 유리하게 미치는 효과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필요한 경우 공기분사는 본 발명의 장점 일부를 얻을 수 있도록 그 공정중 하나에서만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흐름 조절장치는 패킹지지 아아치(25) 및 관련된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유리하게 영향을 주어서, 공기 분사기로부터의 공기유체가 아아치를 냉각하로므 그 수명을 연장시킨다.
대부분의 경우에, 다른 폐열 회수장치(13)에서 제2의 흐름조절 공기분사 파이프(36)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이 2개의 폐열 회수장치 모두에 적용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각 폐열 회수장치의 분배공간에서 단일 공기분사 파이프 대신에, 더 넓은 부분에 역류효과를 확산하기 위하여 각각 2개이상의 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가 있다. 하나이상의 분사 오리피스가 각 파이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면, 하기 기술될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3개의 오리피스는, 더 넓은 분배공간에 공기분사기의 효과를 확산하는데 만족스러운 것으로 밝혀졌다.
분배공간의 바닥과 지지아아치(25)사이의 중간부근에 공기분사 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분배공간의 길이를 따라 공기분사 파이프는, 분배공간의 가장 먼 중간지점내 바람직하게는 가장 먼 1/3 지점에, 연돌입구로부터 반대편 단부에 설치되어야 한다. 예를들면, 첨부도면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6개의 포오트가 달린 폐열회수 장치에서 파이프는 마지막 2포오트와 일렬로 정렬된 부분에 바람직하게 설치된다.
공기 분사파이프(35)의 구체적인 예는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나 있다. 공기 분배공간은 뜨겁기 때문에, 공기 분사파이프는 냉각되어야 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것은 이중자켓의 수냉식 배열로 되어있다. 조립체는 외부 원통형도관(40)과 내부 원통형도관(41)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도관은 단부 플레이트(42)에서 끝난다. 외부도관(40)은 내부도관(41)보다 짧으며, 도관(40)의 다른쪽 단부는 고리(43)에 의해서 폐쇄되므로 내부도관과 외부도관 사이에서 환상공간을 형성한다. 환상공간은 격벽(46) 및 (47)에 의해 2개의 절반부(44)와 (45)로 분리된다. 격벽(46)과 (47)은 구멍(48)과 (49)를 만들기 위하여 단부 플레이트(42)에 못미쳐서 끝이나고, 상기 구멍을 통해 환상절반부(44) 및 (45)는 서로 연결된다. 커플링(50)에 의해, 환상절반부(44)는, 공간(44)의 길이를 따라 구멍(48)과 (49)를 통해 공간(45)로 흐른다음 커플링(51)에 의해 공간(45)로부터 배수될 수 있는, 물의 공급원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같이, 외부도관(40)은 공기분사를 위한 압축공기를 운반하는 내부도관(41)을보호하는 물자켓으로 작용한다. 도시된 배열에서, 3개의 노즐관(52)는 외부도관(40)을통해 내부도관(41)의 내부와 소통되도록 연장된다. 도관(41)의 내부로부터 관(52)를 통해 나가는 압축공기는 흐름조절 공기분사를 형성한다.
수냉으로 충분하다면, 공기분사 파이프는 탄소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스텐레스강 또는 기타 내열성합금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에, 수냉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금속은 세라믹 절연물질의 피복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또 다른 수냉식 배열에서, 하나의 환상부에서는 한쪽 단부로 흐르게 하고 다른 환상부에서는 되돌아오게 하도록하여 냉각수를 흐르게 하기 위한 2개의 환상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공기 분사노즐 직경, 공기압력, 체적유량 및 속도는 상호 관련이 있다. 일반적으로 속도가 크면 부피가 클때보다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주어진 압력에서는 직경이 작은 노즐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직경이 너무 작은 노즐은, 공기의 체적유량을 지나치게 제한하므로써 공기분사를 비효과적으로 만든다. 예를들면, 내경이 0.375 인치(9.5mm)인 노즐은 80-100psi(14000-17500 뉴톤/㎡)의 공기 압력에서 공기를 충분히 흐르게 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조공정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전형적인 압축공기 압력인 80-100psi에 있어서, 내경이 0.4-1.0인치(10-25mm)이 적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는 내경이 0.5인치(12.7mm)인 노즐이다. 지나치게 큰 노즐이 이용된다면, 체적유량은 증가되지만, 속도는 감소되므로, 공기분사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노즐직경이 클때 공기압력이 더 크면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그로인해 증가된 체적유량은 필요이상으로 클수가 있다. 전체적인 노작동에 대한 방해현상을 줄이고 다량의 압축공기 필요성을 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나치게 큰 체적유량은 피해야 한다. 적당한 흐름조절은, 노가 처리할 수 있는 총 연소공기 체적의 1% 이하의 압축공기로 얻어질 수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0.2%, 보통 0.2-0.7% 정도로 적게 필요할때도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상기 조건에 있어서, 공기분사 속도는 전형적으로 약 100ft/sec(30m/sec) 이상이 되며 바람직하게는 300ft/sec(90m/sec) 이상이 된다. 원하는 체적유량을 얻기 위해서, 노즐의 공기압력은, 공기공급 라인에서 밸브에 의해 80psi 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특정 바람직한 형태는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구조의 파이프에 3개의 노즐을 이용하는 것이다. 각각의 노즐은, 약 400ft/sec(120m/sec)의 속도에서 7,000-8,000ft3/hr(200-230㎥/hr)로 공기가 흐르는 0.5인치(12.7mm)의 내경을 갖는다. 이 경우에 3개분사의 총 유량은, 노가 처리할 수 있는 연소공기량의 약 0.5%를 형성한다.
공기분사의 총 체적유량이 11,500-13,000ft3/hr(325-370㎥/hr)인 것을 제외하고, 다음 표는 상기 특정 바람직한 형태의 배개변수를 갖는 공기분사 장치가 폐열회수장치 온도에 미치는 효과를 나타낸다. 노는 첨부도면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6개의 포오트를 갖고, 패킹온도는 패킹지지 아아치(25) 약간 위에 설치된 열전대에 의해 측정되었다. 표에서는 연돌 단부로부터 제2, 제4 및 6포오트와 수직배열로 위치한 패킹의 길이를 따라 3위치에서 각각 측정한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온도는 공기분사를 전개하기 전, 공기분사를 개시한지 1시간 20분후와 공기분사를 개시한지 2시간 50분후, 각 위치에서의 벽돌의 평균 절정 온도이다. 이 경우에, 폐열회수장치 패킹온도 분배에 미치는 보상과잉(補償過剩) 효과때문에 공기분사는 약 7시간후에 정지되었다.
Figure kpo00001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해서 특정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다음 청구범위에 규정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기술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을 변형 및 개량할 수 있다.

Claims (14)

  1. 내화물질의 가스침투성 상(床), 그 길이를 따라 한쪽에서 상과 소통하는 가스분배공간, 그 한쪽 단부에서 가스분배 공간과 소통하는 연돌, 분배공간으로부터 상의 반대편에서 상의 길이를 따라 상과 소통하는 플리넘 및 플리넘의 길이를 따라 간격을 두어 플리넘으로 구멍이 나있고 연소로와 소통하는 다수의 포오트로 구성되고; 고온 배출가스가 노로부터 포오트를 통해 플리넘으로 통과한 다음 상을 통해 분배공간으로 통과한 후 연돌을 통하여 폐열회수장치 밖으로 나오는 배출상태와 도입되는 연소공기가 연돌을 통해 폐열회수장치로 들어간 후 분배공간을 지나 상(床)을 통해 플리넘으로 통과한 다음 포오트를 지나 노로 도입되는 연소상태를 포함하는 정기적으로 역전되는 연소주기에 참여하며 ; 상(床)을 통한 흐름을 보다 일정하게 분산하기 위해서 가스분사를 분배공간을 따라 분배공간의 연돌 단부방향으로 향하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의 폐열회수장치 작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분사기가 배출상태에서 작동하고, 연돌로부터 폐열회수장치의 반대편 단부에서 상(床)의 부분으로부터 통과하는 배출가스를 포획할 수 있도록, 분배공간을 통해 배출가스와 병류하게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분사가 연소상태에서 작동되고, 연돌로부터 폐열회수장치의 반대편 단부에서 연소 공기가 상(床)의 부분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배공간을 통과하는 연소공기와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분사가 연돌로부터 반대편에 분배공간 길이로 절반부내에 위치한 노즐로부터 분배공간으로 배출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분사가 연돌로부터 반대편 단부에 분배공간의 1/3 지점내에 위치한 노즐로부터 분배공간으로 방출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분사기가 노로 도입되는 연소공기 총 부피의 1%이하의 가스의 부피를 방출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분사기에 의해 방출된 가스의 부피가 노를 통해 도입되는 연소공기의 체적유량의 0.2-0.7%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床)을 통한 가스의 흐름을 좀더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하여 다수의 분사기를, 분배공간의 연돌단부 방향으로 분배공간을 따라 향하게 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분사기로부터 방출되는 가스가 공기인 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분사기가 배출상태에서 부가적으로 작동하고, 연돌로부터 폐열회수 장치의 반대편 단부에서 상(床)의 부분으로부터 통과하는 배출가스를 포획할 수 있도록, 분배공간을 통해 배출가스와 병류하게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분사기들로부터 분출되는 가스의 총 부피가 노를 통과하는 연소공기의 체적유량(體積流量)의 1% 이하인 방법.
  12.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분사속도가 적어도 100ft/sec(30m/sec)인 방법.
  13.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분사가 내경이 0.4-1.0인치(10-25mm)인 노즐로부터 분출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분사기들로부터 방출된 가스의 총 부피가 노를 통과하는 연소공기의 체적유량의 0.2-0.7%인 방법.
KR8204026A 1981-09-24 1982-09-06 가스분사(噴射)에 의한 폐열 회수장치의 작동법 KR850001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5242 1981-09-24
US06/305,242 US4375236A (en) 1981-09-24 1981-09-24 Regenerator flow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j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523A KR840001523A (ko) 1984-05-07
KR850001930B1 true KR850001930B1 (ko) 1985-12-31

Family

ID=2317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4026A KR850001930B1 (ko) 1981-09-24 1982-09-06 가스분사(噴射)에 의한 폐열 회수장치의 작동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375236A (ko)
JP (1) JPS6047211B2 (ko)
KR (1) KR850001930B1 (ko)
AU (1) AU534389B2 (ko)
BE (1) BE894472A (ko)
BR (1) BR8205171A (ko)
CA (1) CA1171660A (ko)
DE (1) DE3234707C2 (ko)
ES (1) ES514153A0 (ko)
FR (1) FR2513366B1 (ko)
GB (1) GB2106227B (ko)
IT (1) IT11522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726A (en) * 1981-09-24 1985-03-26 Ppg Industries, Inc. Regenerator flow distribution by means of upstream and downstream air jets
US4496315A (en) * 1983-07-05 1985-01-29 Ppg Industries, Inc. Port wall air jet for controlling combustion air
US4496316A (en) * 1983-07-05 1985-01-29 Ppg Industries, Inc. Target wall air jet for controlling combustion air
US4540361A (en) * 1984-01-30 1985-09-10 Ppg Industries, Inc. Enhanced pneumatic regenerator flow control
US4678491A (en) * 1985-11-18 1987-07-07 Ppg Industries, Inc. Reduction of material buildup by means of gas jet
US4675041A (en) * 1985-12-19 1987-06-23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urnace lid purging
DE3833457A1 (de) * 1988-10-01 1990-04-05 Gutehoffnungshuette Ma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thermischen behandlung von abfallstoffen
GB9224852D0 (en) * 1992-11-27 1993-01-13 Pilkington Glass Ltd Flat glass furnaces
DE19543743C2 (de) * 1995-11-24 1998-06-18 Sorg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von Menge und Vorwärmung der Verbrennungsluft an seitenbeheizten Regenerativwannen
KR100525061B1 (ko) * 2003-12-05 2005-11-01 강경중 재귀반사 합성섬유 필라멘트사 및 그 제조 방법
GB201500703D0 (en) * 2014-11-14 2015-03-04 Fosbel Inc Monolithic refractory crown and rider arches for glass furnace regenerators and glass furnace regenerators including the same
FI3416920T3 (fi) * 2016-02-18 2024-06-28 Fosbel Inc Yksiosaisista kantavista seinälohkoista muodostettuja lasiuunin regeneraattoreita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6243C (ko) *
US296174A (en) * 1884-04-01 Assig
US1836412A (en) * 1930-03-26 1931-12-15 Libbey Owensford Glass Company Regenerator
US1914956A (en) * 1931-05-26 1933-06-20 Donald M Naismith Furnace
US2061376A (en) * 1931-06-12 1936-11-17 Amco Inc Recuperator structure
US2491705A (en) * 1949-02-24 1949-12-20 Frederick S Bloom Open-hearth furnace
US2813708A (en) * 1951-10-08 1957-11-19 Frey Kurt Paul Hermann Devices to improve flow pattern and heat transfer in heat exchange zones of brick-lined furnaces
US4047560A (en) * 1975-07-08 1977-09-13 Ppg Industries, Inc. Regenerator flow control
US4174948A (en) * 1978-03-06 1979-11-20 Toledo Engineering Company Manifold inputs and outputs for furnace regenerators
US4257476A (en) * 1979-03-29 1981-03-24 Ppg Industries, Inc. Manifold regeneration flues for regenerative furnaces
US4256173A (en) * 1979-03-29 1981-03-17 Ppg Industries, Inc. Two regenerator-flue system for regenerative furnaces
GB2056040B (en) * 1979-08-15 1984-05-23 Toledo Eng Co Furnace regenerator system
US4298372A (en) * 1980-02-22 1981-11-03 Libbey-Owens-Ford Company Combustion air flow control for regener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523A (ko) 1984-05-07
AU8858482A (en) 1983-03-31
IT1152294B (it) 1986-12-31
AU534389B2 (en) 1984-01-26
DE3234707A1 (de) 1983-04-07
GB2106227B (en) 1984-12-12
ES8400367A1 (es) 1983-10-16
DE3234707C2 (de) 1985-01-10
BE894472A (fr) 1983-03-23
IT8222541A0 (it) 1982-07-22
CA1171660A (en) 1984-07-31
GB2106227A (en) 1983-04-07
FR2513366A1 (fr) 1983-03-25
BR8205171A (pt) 1983-08-16
ES514153A0 (es) 1983-10-16
JPS6047211B2 (ja) 1985-10-21
US4375236A (en) 1983-03-01
FR2513366B1 (fr) 1989-02-17
JPS5864227A (ja) 198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930B1 (ko) 가스분사(噴射)에 의한 폐열 회수장치의 작동법
US6264466B1 (en) Method for increas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a furnace
EP0164872B1 (en) Low load burning burner
KR910001834B1 (ko) 버어너 및 그 버어너에 의한 물질 가열방법
US4304549A (en) Recuperator burner for industrial furnaces
US4540361A (en) Enhanced pneumatic regenerator flow control
KR101456515B1 (ko) 고온 공기 연소 기술을 이용한 반응로
GB1591573A (en) Burner arrangement in a regenerative blast stove
CN100552292C (zh) 交替燃烧式蓄热型辐射管燃烧装置
US4506726A (en) Regenerator flow distribution by means of upstream and downstream air jets
US4375235A (en) Regenerator flow distribution by means of a burner
US4312302A (en) Combustion chamber for fluid-bed combustion
US4403951A (en) Shaft furnace for burning or firing and sintering material in lump form or pellet form and with an internal burner
US4496316A (en) Target wall air jet for controlling combustion air
US4691898A (en)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for metallic strip
CA1224709A (en) Port wall air jet for controlling combustion air
US4289482A (en) Fuel lance structure for a uniflow regenerative shaft furnace
US4391581A (en) Fluid cooled burner structure
US4747772A (en) Burner design for melting glass batch and the like
JP3153019B2 (ja) 燃焼式溶解炉
KR100424812B1 (ko) 열손실 방지를 위한 턴디쉬 가열장치
KR940015358A (ko) 파이프열교환식 가열로의 연소방법 및 장치
JP2975245B2 (ja) 竪型炉
JPS6242861B2 (ko)
US3895906A (en) Heating process and apparatus using oxyg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