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713B1 - 오디오 증폭기 - Google Patents

오디오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713B1
KR850000713B1 KR1019810000486A KR810000486A KR850000713B1 KR 850000713 B1 KR850000713 B1 KR 850000713B1 KR 1019810000486 A KR1019810000486 A KR 1019810000486A KR 810000486 A KR810000486 A KR 810000486A KR 850000713 B1 KR850000713 B1 KR 85000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ignal
voltage
amplifier
ton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756A (ko
Inventor
가즈오 야마구찌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와마 가즈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10000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713B1/ko
Publication of KR83000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4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디오 증폭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류 전달 증폭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계통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각각 전압 전류 변환기를 도시하는 접속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본 발명에 사용된 전류 증폭형 톤 제어회로를 도시하는 접속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계통도.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류 전달 증폭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스위치에 의한 비선형 왜곡을 제거시키는 전류 전달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오디오 증폭기는 포노 카트릿지, 테이트 레코더, 튜너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다양한 신호전원을 사용하고 전압형태로 스피커를 구동시키는 소위 정전압 전달형의 것이고, 따라서 신호의 스윗칭 및 전달은 모두 전압모드로 실행된다.
신호스윗칭(처리)및 신호전달이 전압 모드로 실행되는 정전압형의 오디오 증폭기는 다음의 여러 문제점으로부터 탈피할 수 없다. 즉, 신호가 전력증폭기에 전송되거나 또는 전달되기전에 스위치등과 같은 많은 비선형 소자를 통해 통과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경우 모든 비선형 소자들은 직렬 임피던스로 간주되므로, 전력증폭기에 대한 입력신호는 임피던스의 분압비로서 결정된다.
반면에, 전력증폭기의 입력단자로부터 관측될때, 출력 임피던스에서 끝나는 폐쇄루프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루프지역을 통해 통과하는 자속에 의해 기전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스피커의 출력단에서 생긴 험(hum)및 자속이 쉽게 픽업된다. 더우기, 부하단자로부터 관측될 때 폐쇄루프가 형성되므로, 접지 임피던스는 직렬 임피던스로로서 삽입된다. 그러므로, 순환전류는 정전압원으로 순환되어야 한다. 순환전류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치 증폭기단 및 전력 증폭기단에서 접지전위를 일치시키는 것은 더 어렵다. 이로인해, 다양한 대응수단이 필요하다. 예를들면, 접지를 위한 모선이 직렬 임피던스의 감소를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동일목적을 위해 시일드선이 사용되는 것등이다. 또한, 정전압형에서 볼륨조정용 가변저항은 저항치분할형이므로, 예를들면 볼륨이 1/2즉, -6dB에 의해 감소되는 것과 같이 볼륨조정용 가변저항이 조정될때 잡음은 최대가 된다. 즉 S/N비가 가장 나쁘게 된다. 또한, 볼륨조정용 가변저항이 1/2보다 더 감소되는 상태를 사용한 정상상태에서도, S/N비는 10내지 20dB로 저하된다. 따라서, 청취에 매우 불쾌한 문제점이 생긴다.
상술된 바와같이, 정전압형 오디오 증폭기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사실상 오디오 증폭기의 특성개량 점으로는, 도선재질 또는 순환스위치등에 의한 비선형 왜곡이 문제시된다. 요즈음은 예를들면, 약 0.003%의 왜곡비 또는 고정밀 특성이 요구되고 따라서, 전환스위치 또는 도선 재질(또는 릴레이 등등)에 의한 비선형 왜곡은 무시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결함을 없앤 전류 전달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선형 스윗칭소자가 전류로 구동되는 전류전달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예에 의해 제공되는 전류전달 증폭기는, 증폭된 전압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전압신호원 장치와, 상기 전원장치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전압신호에 비례하는 동일한 전류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전압신호가 공급되는 전압, 전류 변환장치와, 상기전압, 전류 변환장치로 부터의 전류신호로 공급된 전류증폭형톤 제어회로와, 상기 전압, 전류변환장치의 출력과 상기 전류신호를 전송시키는 상기 톤 제어회로의 입력사이에 설치된 비선형 스윗칭 소자 및, 상기 톤 제어회로의 출력과 상기 톤 제어 회로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시키는 기준점간에 접속된 한쌍의 단자를 가진 가변저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정 및 장점은 동일한 소자 및 부품들이 같은 참조번호로 지정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류전달증폭기의 한 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계통도이다. 제1도에서, 참조번호(1)내지 (5)는 각각 도시되지 않은 신호원으로 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단자이다. 본 경우에서 예를들면 입력단자(1)에는 포노 카트릿지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공급되고, 입력단자(2)에는 튜너회로(도시안됨)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며, 입력단자(3)에는 보조 입력신호가 공급되고, 입력단자(4)에는 제1테이프 레코더(도시안됨)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되며, 입력단자(5)에는 제2테이프 레코더(도시안됨)로부터의 출력신호가 공급된다.
입단력자(1)에 공급된 포노출력은 나중에 설명된 전류증폭형 등화증폭기(6)에 인가되어 전압신호로부터 상응하는 전류신호로 변환된 후 비선형 스위치장치(8)의 기능스위치(9)로 이송된다. 단자(2)및 (3)에 인가된 튜너 출력 및 보조 입력은 각각 나중에 설명될 전류증폭형 편평 증폭기(10)및 (11)에 인가되어 전압신호로부터 상응하는 전류신호로 변환된 후 기능스위치(9)로 이송된다. 입력단자(4)및 (5)에 인가된 제1및 제2테이프 레코더 출력은 각각 전류증폭형 편평증폭기(14)및 (15)에 인가되어 전압신호로부터 상응하는 전류신호로 변환된 후기능스위치(9)의 출력과 함께 스위치장치(8)내에 설치된 테이프모니터 스위치(18)로 이송된다.
입력단자(1)내지 (3)로 이송된 입력신호는 기능스위치(9)에 의해 선택되고, 테이프 레코더로부터의 소정의 한 출력은 테이프 모니터 스위치(18)를 턴온시켜 선택된 후 처리된다. 스위치(9)및 (18)를 통해 처리된 신호는 각각 테이프 복사 스위치(19)의 온과 스위치(18)의 다음단에 설치된 모드스위치(20)의 온에 의해 바람직하게 전환된다. 모드스위치(20)를 통해 통과된 신호는, 입력 및 출력측에 설치된 톤 제어 스위치(22)및 (23)와 스위치(22)와 (23) 사이에 설치된 궤환회로(21b)와 함께 전류 증폭형 톤 제어증폭기(21a)및 스위치(22)및 (23)를 직접 접속시키는 신호전송로(26)를 포함하는 톤 제어회로(21)에 인가된다.
톤제어가 실행될때, 전류신호는 전류증폭형 증폭기(21a)에 이것의 이득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1KHz를 전후하여 인가된다. 반면에, 톤 제어가 실행되지 않을 때 스위치(22)및 (23)는 톤제어증폭기(21a)가 신호 전송로(26)에 의해 단락되거나 또는 톤제거되도록 전환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증폭기(6), (10), (11), (14)및 (15)에서 전압신호로부터 전류신호로 변환된 각각의 신호들은 전류모드로 처리되어 스위치장치(8)에 인가된 후 톤 제어회로(21)에 공급된다.
톤 제어회로(21)는 역시 전류증폭기이며, 그 출력은 출력측에 설치된 가변저항(27)에 인가된다. 이 가변저항은(27)은 구조와 정상적인 저항분할형의 가변저항과 유사하지만, 이것의 작동은 톤 제어회로(21)로부터의 출력이 전류신호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가변저항의 동작과는 전혀 다르다. 즉, 정상적인 분압형 가변저항은 이것의 가동편과 접지 사이에서 발생된 전위를 다음단에 대한 입력신호(전압신호)로서 전달시킨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발명의 실예에 있어서, 가변저항(27)의 가동편(27b)의 출력단자는 이것의 저항부주(27a)의 한 단부(신호입력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가동편(27b)은 가변저항(27)의 다음단에 설치된 궤환회로(28a)와 함께 통상의 전력증폭기(28)에 인가될 전압신호를 변환시켜 저항치가 그것으로 변화되도록 저항부재(27a)상에서 슬라이드 된다. 다시 말하면, 자체 변화되는 저항치를 가진 저항(27)은 전력증폭기(28)의 입력레벨을제어하도록 이것의 입력측에 설치된다. 전력증폭기(28)에 인가된 전압신호는 큰 전압신호로서 출력단자(29)에 전달되도록 증폭된다. 만약, 예를들어, 스피커(도시안됨)가 출력단자(29)에 접속된다면, 전력 증폭기(28)로부터의 출력은 음성화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전압, 전류 변화기의 실예를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전류증폭형 편평증폭기(10)로 사용된 전압, 전류 변호기의 실예를 도시한다. 제2도에서, 제1도의 소자 및 부품에 상응하는 것은 같은 번호로 표시된다.
제2도의 실예에 있어서, 서로 다른 도전형의 트랜지스터(31) 및 (32)와 저항(33)및 (34)으로 이루어진 브릿지 회로(30)가 연산증폭기(10a)의 출력측에 설치된다. 트랜지스터(31)및 (32)의 베이스는 연산증폭기(10a)의 출력단계에 함께 접속되고, 트랜지스터(31) 및 (32)는 입력단자(2)에 인가된 전압신호에 반응하여 교대로 작동된다. 트랜지스터(31)및 (32)의 에미터는 공통접점(35)이 제공되도록 공통 접속된다. 이 공통접점(35)은 제1동에 도시된 궤환회로(10b)의 부분을 형성하는 저항(10b')을 통해 연산증폭기(10a)의 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또한 궤환회로(10b)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궤환 임피던스(10b'')를 통해 접지된다. 이 궤환임피던스(10b'')는 단지 저항이거나 또는 다른 부품들로 제조된 임피던스 회로일 수도 있다˙ 즉, 이들저항(10b') 및 궤환 임티던스(10b'')는 이른바 궤환비(β)의 궤환회로(10b)를 형성한다. 만약 공통접점(35) 및 접지간에 발생된 전압이 V'일 경우, 이 전압 V'는 저항(10b')및 궤환 임피던스(10b'')에 의해 분할되고 궤환 임피던스(10b'') 양단 전압은 연산증폭기(10a)의 반전 입력단자에 궤환신호로서 인가된다.
트랜지스터(31)의 콜렉터는 정전류원(10c')을 통해 전극성 전원단자(+B)에 접속되고 저항(33)의 한 단부에 직접 접속되는 반면, 트랜지스터(32)의 콜렉터는 정전류원(10c'')을 통해 부극성전원단자(-B)에 접속되고 저항(33)과 같은 저항치를 가진 저항(34)의 한 단부에 직접 접속된다. 저항(33)및 (34)의 다른 단부들은 부하회로(36)를 통해 함께 접지된다.
만약 입력단자(2)에서의 전압을 V라 하고 저항(10b')의 저항치를 R궤환 임피던스(10b'')의 임피던스를 Z라고 가정하면, 공통접점(35)및 접지간의 전압 V'는 다음식(1)로 표시된다.
Figure kpo00001
……………………………………………………(1)
다음에 저항(10b')를 통하여 흐르는 궤환 전류를 IN이라 가정하면, 전압 V'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v = (R+Z)IN……………………………………………………(2)
(1)식과 (2)식으로부터 다음의 (3)식이 유도된다.
Figure kpo00002
반면에, 트랜지스터(31)및 (32)의 전류증폭계수(hfc)가 서로 동일하다면, 정전류원(10c')및 (10c")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I=I1+I1'=I2+I'2……………………………………………………(4)
여기에서 I1및 I2는 저항(31)및 (32)을 통해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나타내며, I1'및 I2'는 저항(33)및 (34)를 통해 흐르는 각각의 전류를 나타낸다.
더우기, 궤환전류 IN및 부하전류 I0는 각각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IN=I1-I2……………………………………………………(5)
I0=I1'-I2'……………………………………………………(6)
(4)식에서 I1-I2=I2'-I1'이므로, 상기(5)식 및(6)식에서 다음의 (7)식이 얻어진다.
IN=-I0……………………………………………………(7)
만약 (7)식이 (3)식으로 대치된다면, 다음 (8)식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03
(8)식으로 표시된 전류신호 즉, 부하전류 I0는 전원전압 ±B에 관계없이 궤환임피던스(10b")의 임피던스치 Z및 입력전압 V에만 좌우된다. 즉, 유도된 전류 신호는 궤환비 β를 가진 궤환회로(10b)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대한 보조 전류이고 따라서, 전압의 정확한 전류 변환이 양호해진다.
또한, 제2도에 도시된 변환기의 출력단은 정전류원을 사용한 브릿지 회로이므로, 전원측으로부터 관측될때 출력단에는 전류변화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변환기는 전원전압의 동요에 의한 어떠한 영향도 받지 않으며 양호한 효율을 가진 제1도에 도시된 편평증폭기 (10)내지 (15)와 전류증폭형 등화증폭기(6)로 사용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전압, 전류 변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3도에서, 제2도에 상응하는 소자 및 부품들은 같은 번호로 표시되고 간단히 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 및 제3도간의 차이점은 제3도의 실시예 에서, 제2도의 브릿지회로(30)의 부품을 형성하는 저항 33)및 (34)대신 베이스접지형인 트랜지스터(33') 및 (34')가 브릿지회로(30')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사용된 점이다. 상세히 말하면, 트랜지스터(33') 및 (34')는 각각 트랜지스터(31)및 (32)의 콜렉터에 접속된 에미터와 부하회로(36)에 함께 접속된 콜렉터와 바이어스원(37)및 (38)을 통해 전력원 단자 +B및 -B에 접속된 베이스를 가지며, 정전류원(39)은 트랜지스터(33') 및 (34')의 베이스 사이에 삽입된다.
제3도에 도시된 실예에 있어서, 트랜지스터(33') 및(34')는 모두 베이스 접지형이므로, 전류이득은 모두이고 예를들면, 트랜지스터(31)및 (32)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변화는 사실상 동 일해진다.
제3도와 관련되어 상술된 바와같은 변환기 구조에 의하여, 이 변환기는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수행하며 또한 출력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키도록 이러한 효과를 수행한다.
제4도는 역시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전압, 전류 변환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제2도에 상응하는 소자 및 부품들은 같은 숫자로 표시되신 그 설명은 생략된다.
제2도 및 제4도의 차이점은 제4도의 실예에 있어서 제2도에 도시된 브릿지회로(30)의 부품을 형성하는 저항(33)및 (34)대신 제너 다이오드(33")및 (34")와 같은 정전압 소자가 브릿지회로(30")의 상응하는 부품형성에 사용된 점이다. 즉, 제4도의 실예에 있어서, 제너 다이오드(33")의 음극 및 제너 다이오드(34')의 양극은 각각 트랜지스터(31)및 (32)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제너 다이오드(33")의 양극 및 제너 다이오드(34")의 양극 및 제너 다이오드(34")의 음극은 부하회로(36)에 함께 접속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변환기 구조에 의해, 이 변환기는 제2도와 사실상 동일한 효과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제너 다이오드(33")및 (34")의 내전압에 좌우되는 출력을 발생시키고, 제너 다이오드(33")및 (34")의 내전압을 적절히 선택하는데 의해 제2도에 도시된 실예의 것 보다 더 좋은 효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전류 변환기의 실예는 모두 제1도에 도시된 등화증폭기 (6)로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전류증폭형 톤 제어회로의 기본구조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5도에서, 41은 예를들면, 변환 입력단자인 제1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삽입된 제1임피던스회로(42)와 예를들면, 비변환 입력단자인 제2입력단자와 출력단자(45)사이에 삽입된 제2임피던스회로 (43)를 포함하는 증폭기를 나타낸다. 증폭기(41)의 변환입력단자와 제1임피던스회로(42) 사이의 공통접점은 입력단자(40)에 접속되고, 출력단자(45)는 부하(44)에 직렬로 접속된다.
만약 증폭기(41)의 차동 입력 임피던스가 충분히 크고 그것의 증폭계수를 A라고 가정하면, 다음의 식(9)및 (10)이 각각 설정된다.
V"=V'-Z1·i1=(V0-V')A……………………………………………………(9)
V"=V0=Z2·i2………………………………………………………………(10)
여기에서 V"는 증폭기(41)의 출력전압이고, V'는 증폭기(41)의 반전 입력단자에 대한 입력전압이며, Z1및 Z2는 각각 임피던스회로(42)및 (43)의 임피던스이고, V0는 부하(44) 양단에서 발생된 전압이며, i1및i2는 각각 임피던스 회로(42)및 (43)를 통해 흐르는 전류이다.
(9)식의 우측항에서 다음식(11)이 유도된다.
V'=(A·V0+Z1·i1) / (1+A)……………………………………………(11)
또한, 상기(9)식이 (10)식에 대입되면 다음의 식(12)이 얻어진다.
Z2·i2=(V0-V')A-V0=(A-1)V0-A·V'………………………………(12)
또한, (11)식을 (12)식에 대입하여 (13)식이 얻어진다.
Figure kpo00004
만약 (13)식에서 A가 ∝이면, (14)식이 얻어진다.
Z2·i2=-Z1·i1……………………………………………(14)
상기 (14)식으로부터, 제5도에 도시된 회로의 전류전달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kpo00005
즉, 제5도의 회로가 전류증폭기로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동시에, 제1도의 실예에서 가변저항(27)에 상응하는 부하(27) 양단에서 발생하는 전압 V0는 다음과 같다
V0=i2·ZL……………………………………………(11)
여기에서 ZL은 부하(44)의 임피던스 값이다.
(16)식으로부터, 제5도의 회로에 따라 임피던스회로(42)및 (43), 다이오드등과 같은 비선형 소자들이 부하(44)측에 사용되더라도, 그 회로는 비선형 왜곡등으며부터 탈피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회로가 제1도에 도시된 톤 제어회로(21)에 적용된 실예를 도시한다. 제6도에서 설명을 돕기 위해, 각각의 회로 소자들은 그들의 저항치 및 용량치로 표시되고, 참고문자 L 및 H는 각각 저주파 대역 보상부분 및 고주파 대역보상 부분을 나타낸다.
제6도의 실예에 있어서, 임피던스값 Z1및 Z2가 제5도의 실예와 상응하여 계산된다면,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kpo00006
동시에, 전류전달함수는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Figure kpo00007
저주파 대역 보상에 따라, 저주파 부상부분 L의 가변저항의 가동편(46)은 임피던스값 Z2가 작아지도록 우측으로 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전류전달이 양호해지고, 따라서 전류는 저주파 특성을 상승시키도록 증가한다. 반면에, 가동편(46)이 좌측으로 이동될때, 임피던스값 Z2가 증가한다. 따라서, 전류전달이 나빠지고 전류는 감소하며 저주파 특성이 차단된다.
반면에, 고주파 대역 보상에 따라, 가동편(47)은 임피던스 Z2가 작아지도록 우측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전류전달이 양호해지며, 전류가 증가하여 고주파 대역특성이 증가된다. 가동편(47)이 좌측으로 이동될때, 임피던스 Z2는 커지고, 전류전달은 나빠진다. 따라서, 전류는 감소하고 고주파특성이 차단된다.
그러므로, 제6도의 회로는 톤제어에 대한 저주파 및 고주파 대역이 보상되고 전류증폭형의 톤제어회로가 되는 소정의 전체 특성을 쉽게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류 전달 증폭기의 또 다른 실예를 도시하며, 제1도에 상응하는 소자 및 부품들은 같은 번호로 표시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8)대신 스위치 (S11)내지 (S13),(S21)내지 (S23),(S31)내지 (S33),(S41)내지 (S43)및 (S51)내지 (S53)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8')가 사용되고, 이들 스위치는 소정의 기능모드를 나타내도록 바람직하게 개방 및 폐쇄된다. 제7도의 실예에 있어서, 스위치(S11)내지 (S53)는 각각의 정전류원(6C), (10C), (11C), (14C)및 (15C)의 출력측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본 경우에 있어서 상술된 바와같이, 예를들면, 스피커(도시안됨)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는 스위치(S11)를 통해 출력단자(29)로 유도되고, 제1및 제2테이프 레코더 출력은 각각 스위치(S52) 및 (S53)를 통해 유도된 후 변환된 후변환형 궤환증폭기(48) 및 (49)를 통해출력단자(50)및 (51)로 유도된다. 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각각의 신호는 전류이므로, 각각의 스위치(S11)내지 (S53)의 비선형 왜곡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스위치(S11)내지 (S53)가 바람직하게 개방 및 폐쇄될때, 각각의 신호들이 혼합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라, 내부신호의 전환 및 전달은 정전류 시스템의 형태로 실행되고, 따라서 부하저항 즉 가변저항(27)내로 흐르는 전류는 직렬로 삽입된 임피던스에 의해 떠한 영향도 받지 않는다. 그러므로, 스위치나 접지 임피던스등에 의한 비선형 왜곡은 무시될 수 있고, 시일드선에 비해 매우 싼 솔리드선을 도선화하여도 충분하다.
더우기, 정전류 전달 시스템으로, 단지 전류만 정확하게 전달되는 경우, 신호는 정확한 전압모드로 부하로 사용되는 가변저항(27)에서 재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전압 전달 시스템에서와 같이 순환전류가 흐르는 접지임피던스에 대한 고찰이 필요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술된 바와같이, 전치증폭기 부분의 접지전위는 일반적으로 전력증폭기 부분에서의 전위와 다르므로, 순환전류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응수단이 정전압 전달 시스템에 요구된다. 그러나 정전류 전달시스템에 있어서, 순환전류가 통과하는 접지 임피던스 자체는 상술된 바와 같이 참작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순환전류의 효과는 고려될 필요가 없고 신호는 정확하게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예에 있어서 전류신호를 결국 전압신호로 변환시키도록 제공된 전력증폭기(28)의 입력 단자에서 비교적 낮은 10kΩ정도의 저항치를 가진 가변저항(27)이 설치되고 따라서, 이 실예는 잡음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더우기, 가변저항(27)에 의한 음성볼륨이 낮아지므로, 이것의 저항치는 낮아지고 잡음이 감소된다. (열 잡음은 저항치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음향 감지 관점에서 원음의 음성볼륨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우기, 음성볼륨이 상술된 바와같이 정전압 전달시스템에서 약 1/2로 낮아질때, 저항의 저항치는 최대가 된다. 따라서, S/N비는 정상 상태에서 저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정전류 전달 시스템에 따라, 가변저항(27)의 저항치는 음성볼륨의 저하에 상응하여 감소되고, 열잡음 역시 감소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S/N비는 음성볼륨이 낮아지는 통상의 상태에서 특별히 저하되지 않으며 음향감지관점에서 원음이 재생된다.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신호의 전환 및 전달은 전류모드로 실행되고 따라서, 신호는 다수의 스위치를 적절히 개방 및 폐쇄시켜 자유롭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실예들은 포모카트릿지, 튜너 또는 그와 유사한 것들이 전류변환전에 각각의 신호원으로 사용되는 경우이나, 본 발명은 동일한 효과를 가진 다른 신호원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더우기, 스위치장치(8)로 사용된 각각의 스위치가 상기 언급된 한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기능모드의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톤 제어회로(21)의 변환형 정전류 증폭기(21a)는 동일한 위상형정전류 증폭기일 수도 있다. 더우기, 상기 실예에서, 동일한 위상형 증폭기는 전치증폭기(28)로 사용되나, 사실상 가변저항(27)의 배면단에 위치된 증폭기는 동일한 위상형 또는 변환형의 것일 수도 있고 이 증폭기는 전력증폭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증폭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개념의 범주 또는 정신으로 부터 벗어남 없이 본 기술상 숙련된 자에 의해 많은 수정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백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정신또는 부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

  1. 증폭될 전암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전압신호원 장치와.
    상기 전원장치로부터의 전압신호를 전압신호에 비례하는 동일한 전류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전압신호가 공급되는 전압, 전류 변환장치와.
    상기 전압/전류 변환장치로부터의 전류신호가 공급되는 전류증폭형의 톤 제어회로와, 상기 전압, 전류 변환장치의 충력과 상기 전류신호를 전송시키는 상기 톤제어회로의 입력간에 설치된 비선형 스위치 소자 및.
    상기 톤제어회로의 출력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해 상기 톤제어회로의 출력과 기준점간에 접속된 한쌍의 단자를 가지는 가변 저항으로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증폭기.
KR1019810000486A 1981-02-17 1981-02-17 오디오 증폭기 KR850000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486A KR850000713B1 (ko) 1981-02-17 1981-02-17 오디오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486A KR850000713B1 (ko) 1981-02-17 1981-02-17 오디오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56A KR830005756A (ko) 1983-09-09
KR850000713B1 true KR850000713B1 (ko) 1985-05-15

Family

ID=1922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486A KR850000713B1 (ko) 1981-02-17 1981-02-17 오디오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7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756A (ko) 1983-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4433A (en) Microphone output transmission circuit
EP0664605B1 (en) Amplifier device
US4439743A (en) Biasing circuit for power amplifier
US4249136A (en) PWM Signal power amplifier
NL193076C (nl) Versterkerregelketen.
US4335360A (en) Class AB push-pull amplifiers
US4659981A (en) Input transformer circuit
US4096443A (en) Balanced source follower amplifier
US3986134A (en) Push-pull amplifier circuitry
US4000474A (en) Signal amplifier circuit using a field effect transistor having current unsaturated triode vacuum tube characteristics
US5097223A (en) Current feedback audio power amplifier
US4255716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4929908A (en) Gain controllable amplifier circuit
US4241314A (en) Transistor amplifier circuits
KR850000713B1 (ko) 오디오 증폭기
US5235288A (en) Amplifier stage for low-resistance ac voltage sources
EP0846367B1 (en) Bridge amplifier with feedback over the load
US4389620A (en) Current transfer amplifier
EP0031182A1 (en) Amplifier arrangement with parallel-operated amplifier sections
EP0449104B1 (en) Amplifier having maximum summed power output from a plurality of devices having limited current sinking capability
US6747513B1 (en) High fidelity floating bridge amplifier
KR900002089B1 (ko) 증폭회로
US3675142A (en) Transistor power amplifier with dc output voltage stabilization
US5166983A (en) Mute circuit for audio amplifiers
CA1146474A (en) Current transfer amplif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