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2708Y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2708Y1
KR840002708Y1 KR2019830002510U KR830002510U KR840002708Y1 KR 840002708 Y1 KR840002708 Y1 KR 840002708Y1 KR 2019830002510 U KR2019830002510 U KR 2019830002510U KR 830002510 U KR830002510 U KR 830002510U KR 840002708 Y1 KR840002708 Y1 KR 840002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elt
buckle
portions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25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989U (ko
Inventor
가즈미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닛뽕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뽕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요시다 다다히로 filed Critical 닛뽕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4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2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2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메일 또는 플러그 부재의 평면도.
제2도는 상기 메일 부재의 단부도.
제3도는 버클의 다른 부분을 구성하는 피메일 또는 소켓트 부재의 부분 단면 평면도.
제4도는 상기 피메일 부재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5도는 피메일 부재의 개방 단부도.
제6도 및 7도는 결합 또는 연결되어 도시된 버클의 메일 및 피메일 부재의 평면도.
제8도는 메일 부재의 개조된 형태의 평면도.
제9도는 피메일 부재의 개조된 형태의 평면도.
제10도는 결합 또는 연결되어 도시된 버클의 개조된 메일 및 피메일 부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클 11 : 플러그부재
12 : 소켓트부재 13 : 벨트단부보유기
14 : 플러그부분 15 : T형스템
16 : 수평지역 17 : 돌출부
18, 18' : 결합부분 19, 19' : 직립부
20, 20' : 절곡부 21, 21' : 슬리트
22, 22' : 파지돌출부 23, 23' : 요홈부
28 : 벨트단부보유기 29 : 소켓트부분
30 : 개구부 31, 31' : 러그
32, 32' : 측부슬리트 33, 33' : 플렌지
34, 34' : 접합부 35, 35' : 러그
본 고안은 의복, 가방 등에 부착되는 벨트 또는 스트랩의 단부들을 체결하기 위한 버클에 관한 것이다.
벨트, 스트랩 등의 단부들을 이탈가능하게 연결하도록 설계된 각종 형태의 버클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한 공지의 버클의 대표적인 예는 메일또는 플러그 부재와 피메일 또는 소켓트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메일 부재는 피메일 부재의 개구부내에 탄력적으로 삽입 가능한 록킹(locking) 부분을 가지고 있고, 그리하여 두 부재들이 서로 결합되거나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맞물림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개 플라스틱 또는 다른 탄력성 물질로 만들어진 메일 부재가 몸체와 록킹 부분사이에 형성된 슬리트 또는 절제부를 가지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55-20939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버클 구조의 전술한 슬리트 또는 절제부는 버클부재들이 서로 결합된 때 외부로 노출되고 그 결과 실, 먼지 또는 다른 외잡물이 슬리트를 통해 피메일 부재내로 들어 가거나, 또는 슬리트가 의복 또는 그와 같은 것에 걸리어 버클을 손상시킬 수 있다. 그러한 종래 기술의 구조는 보기가 싫을 뿐만 아니라, 피메일 부재를 성형하는데 특별한 성형 기술이 요구되는 결점을 가진다.
본 고안의 버클에서, 피메일 부재의 소켓트와 이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일부재의 플러그 부분은 T형 스템, 그 스템의 저부의 양 모서리로 부터 연장하는 1쌍의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절곡부분 및 그 절곡부분의 상단부 부분들의 외측에 배치되고 그 부분에 1쌍의 연결부분들에 의해 연결된 1쌍의 파지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연결부분은 스템, 절곡부분 및 파지 돌출부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진다. 소켓트 부분은 플러그 부분을 수용하는 개구부, 및 그러한 개방단부의 각 측부에 1쌍씩 배치되는 2쌍의 플렌지를 가지고 있으며, 그 플렌지들의 각 쌍 사이에는 제한된 측부슬리트가 제공되어 있다.
제한된 측부 슬리트는 연결부분의 두께와 사실상 동일한 폭을 가지며, 그리하여 플러그와 소켓트 부분들이 서로 결합된 때 연결부분들 각각이 제한된 측부 슬리트를 통해 수용된다. 각 플랜지는 그의 하측부에 접합부를 가지고 있고, 그 접합부는 소켓트와 플러그 부분이 서로 결합된 때 절곡부분들 각각의 상단부와 접촉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피메일 부재를 가진 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일 부재의 결합 부분이 높은 강도를 가진 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먼지와 같은 외잡물이 들어가지 않는 독특한 구조를 가진 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된 때 메일 및 피메일 부재들이 이동하지 못하게 제위치에 안정되게 보유되는 버클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 하기 설명으로 부터 상세히 이해될 것이다. 제6도는 제7도에 본 고안의 버클(10)의 도시되어 있고, 그 버클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대체로 메일 또는 플러그 부재(11) 및 피메일 또는 소켓트 부재(12)로 이루어져 있다. 그 두 부재들은 이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부재(11)은 공지의 방식으로 벨트와 같은 물체의 일단을 보유하는 벨트 단부 보유기(13)과, 그 보유기(13)과 일체로 되어 있고 소케트부재(12)내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14)를 포함한다. 플러그(14)는 T형의 스템(15)를 가지고 있고, 그 스템은 보유기(13)의 저단부에 인접한 수평지역(16)과, 그 지역 중앙에서 그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돌출부(17)로 포함한다. 플러그(14)는 또한 1쌍의 T형 결합부(18,18')를 가지고 있으며, 그 결합부는 수평 지역(16)으로 부터 연장하고 돌출부(17)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직립부(19,19')를 가지고 있고, 또한 모서리(20a,20b)를 거쳐 직립부(19,19')로 부터 벌어지도록 상방으로 연장하고 수평 지역(16)이 양단부바로 인접히까지 달하여 있어 직립부(19,19')와 함께 3각형 슬리트(21,21')를 형성하는 절곡부(20,20')를 가지고 있다. 메일 부재(11)을 피메일 부재(12)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조작을 위해, 1쌍의 파지 돌출부(22,22')가 절곡부(20,20')의 쌍단부들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에 1쌍의 연결부분(25,25')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 연결부분은 파지돌출부(22,22')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L3)(제2도)를 가지고 있다. 각 절곡부(20,20')는 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하는 외측 표면을 가지고 있고, 그 표면상에서 그 표면을 따라 소켓트 부분(29)가 안내되어 플러그와 소켓트 부분(14,29)가 서로 결합된다. 그때 압압력이 절곡부(20,20')의 외측 표면에 발휘되어 절곡부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변형되게 한다. 1쌍의 요홈부(23,23')가 돌출부(17)와 직립부(19,19')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1쌍의 긴 홈(24,24')가 상기 요홈부(23,23')와 통하도록 직립부(19,19')의 상하표면들에 돌출부(17)와 평행히 형성되어 있으며 T형 스템(15)의 수평지역(16)에 인접히 까지 달하여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스템(15) 및 결합부(18,18')의 두께(L2)는 사실상 동일하고, 파지 돌출부(22,22')와 보유기(13)은 두께(L2)보다 약간 큰 두께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분(25,25')는 두께(L2)보다 작은 두께(L3)를 가지고 있고 파지돌출부(22,22')와 결합부분(18,18')의 중앙에서 그들의 표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연결부분(25,25')의 상부 표면은 단계져 있고 따라서 절곡부(20,20')의 각각의 상단부(22a,22b)에 인접한 제1 표면부분과, 그 제1표면 부분으로 부터 상승되어 있고 절곡부(20,20')의 상단부(26,26')에 인접하여 있는 제2표면 부분을 가지고 있다. 절곡부(20,20')의 상단부(26,26')는 보유기(13)의 저단부(13a)에 밀접히 배치되어 있다. 절곡부(20,20'), 연결부분(25,25') 및 파지돌출부(22,22')의 상단부 표면들이 보유기(13)의 저단부(13a)와 T형 스템(15)의 수평지역(16)과 함께 형성한다.
제3도에, 피메일 또는 소켓트 부재(12)가 도시되어 있고, 그 피메일 부재는 벨트와 같은 물체의 타단을 보유하기 위한 벨트 단부 보유기(28)과, 메일 부재(11)의 플러그(14)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30)을 가진 소켓트(29)로 이루어져 있다. 1쌍의 결합 러그(lug)(31,31')가 소켓트(29)의 상하 내벽들로 부터 연장하여 있고 개구부(30)의 개방 단부(30a)쪽으로 향하여 있다. 결합 러그(31,31')들은 메일 부재(11)의 홈(24,24')과 일치하도록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다. 소켓트(29)는 각 측부에 하나씩 1쌍의 측부 슬리트(32,32')를 가지고 있다. 그 슬리트들은 플렌지(33,33')의 배치에 의해 개방 단부(30a)에서 폭이 좁게되어 있다. 플렌지(33,33')는 각각 그의 하측부에 접합부(34,34')를 가지고 있다. 그 접합부는 메일 부재(10)의 절곡부(20,20')의 상단부(22a,22b)와 접촉 결합된다. 소켓트(29)의 각 측부의 플렌지(33,33')들 사이의 간격(ℓ1)은 메일 부재(11)의 결합부분(18,18')의 두께(L2)보다 작고 메일부재(11)의 연결부분(25,25')의 두께(L3)보다 크다.
개구부(30)의 폭(ℓ2)는 절곡부(20,20')의 외측 상연부(20c)의 (20d)사이 간격(L4)보다 작으나, 절곡부(20,20')의 외측 하연부(20e)와 (20f)사이 간격(L5)보다 크다. 플렌지(33,33')의 횡폭(ℓ3)는 연결부분(25,25')의 폭(L6)보다 작다.
이러한 구조에서, 버클(10)은 메일부재(11)의 플러그(14)를 피메일 부재(12)의 소켓트(29)내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전술한 각종 부분들의 칫수 관계 때문에, 피메일부재(12)의 플렌지(33,33')의 내벽들이 먼저, 메일부재(11)의 절곡부(20,20')가 압압되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20a,20b)를 중심으로 돌출부(17)쪽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휘게 된다. 메일부재(11)를 더 전진시키면 연결부분(25,25')가 소켓트(29)의 폭(ℓ2)가 절곡부(20,20')의 간격(L4)보다 작기 때문에, 메일 부재(11)의 절곡부(20,20')이 상단부(22a,22b)가 피메일 부재(12)의 플랜지(33,33')의 접합부(34,34')와 부분적으로 접촉 결합되고, 그리하여 메일 부재(11)와 피메일 부재(12)와 결합된 상태로 고정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때의 메일 부재(11)과 피메일 부재(12)사이의 간격은 사실상 폐쇄되거나 또는 최소로 되어 외잡물이 슬리트(27,27')를 통해 들어가 그에 퇴적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파지돌출부가 손가락으로 압박된때 각 파지돌출부가 압박되는 범위가 파지 돌출부의 내측연부와 플렌지의 외측 연부들이 서로 결합되는 위치에서 제한되기 때문에, 결합부분 및 절곡부가 변형되는 정도를 최소로하여 절곡부가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것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플러그의 양호한 재구성이 보증된다. 또한 소켓트는 극히 용이하게 간단한 주형에서 제조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제8-10도는 본 발명의 버클의 개조 형태를 나타낸다. 이 개조에는, 버클(10)의 결합 작동중 피메일부재(12)의 플렌지(33,33')를 수용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된 요홈부(36,36')를 연결부분(25,25')와 함께 형성하도록 메일 부재(11)의 절곡부(20,20')의 상단부(22a,22b)로 부터 그리고 그 상단부위에서 연장하는 상향 돌출 러그(35,3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러그(35,35')는 절곡부(20,20')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각 러그는 절곡부(20,20')의 상단부(22a,22b)의 내측부분(스텝 (15)에 인접한)로 부터 연장한다. 이러한 배치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부재(11)와 피메일 부재(12)의 보다 확고한 결합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메일부재와 피메일부재는 그들 부재에 부당한 응력이 가해질 때라도 측방으로 변위함이 없이 결합된채 유지된다. 제8-10도에 도시된 예는 본 발명의 기본 형태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개조 몇 변경예이다.

Claims (3)

  1. 플러그 부분과 벨트형의 제품의 일단에 연결되는데 접합하게 된 벨트 단부 보유기를 포함하는 메일 부재와, 상기 플러그 부분과 이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벨트형 제품의 타단부에 연결되는데 적합하게 된 벨트 단부 보유기를 포함하는 피메일 부재로 이루어진 벨트형 제품의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버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분이 상기 첫번째 언급한 보유기와 일체로 된 T형 스템과, 그 스템의 저부모서리들로 부터 연장하는 1쌍의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절곡부와, 그 절곡부의 상단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그에 1쌍의 연결부분에 의해 연결된 1쌍의 파지 돌출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연결부분이 상기 스템, 절곡부 및 파지 돌출부의 두께부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소켓트 부분은 상기 플러그 부분을 수용하는 개구부와, 상기 연결부분의 두께와 사실상 동일한 폭을 가지며 그 연결부분들 각각을 수용하는 제한된 측부슬리트를 각쌍의 플렌지들사이에 제공하도록 상기 소케트 부분의 개방단부의 각 측부에 한쌍씩 배치된 2쌍의 플렌지를 가지고 있고, 각 플렌지가 그의 하측부에 상기 절곡부들중 하나의 상단부와 결합가능한 접합물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절곡부가 그의 상단에 상향 돌출 러그를 가지고 있어 상기 파지돌출부를 각각과 함께, 상기 각쌍의 쌍렌지를 수용하는 요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절곡부가 상기 T형 스템의 수평 지역 바로 앞까지 달하여 있어, 상기 메일 부재와 피메일 부재사이의 간격이 그들이 서로 결합된 때 사실상 폐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2019830002510U 1982-03-23 1983-03-22 버클 KR8400027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0577 1982-03-23
JP1982040577U JPS58141911U (ja) 1982-03-23 1982-03-23 バツ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989U KR840004989U (ko) 1984-10-10
KR840002708Y1 true KR840002708Y1 (ko) 1984-12-17

Family

ID=1258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2510U KR840002708Y1 (ko) 1982-03-23 1983-03-22 버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58141911U (ko)
KR (1) KR8400027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974U (ja) * 1983-11-22 1985-06-17 西部フアスナー販売株式会社 かばん類の錠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42806Y2 (ko) 1988-11-09
JPS58141911U (ja) 1983-09-24
KR840004989U (ko) 198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9982A (en) Releasable buckle
US6052875A (en) Buckle assembly
US4672725A (en) Snap buckle
US5465472A (en) Buckle
US5671508A (en) Cord fastener
US5551131A (en) Buckle which is releasable by depression of a hinged member and having improved locking capability
US4577377A (en) Buckle for straps
US4866819A (en) Buckle assembly
CA1290554C (en) Buckle assembly
US4987661A (en) Snap Buckle
KR950001602Y1 (ko) 스냅식 버클
US5027481A (en) Shell buckle
JPH0228324B2 (ko)
US4408375A (en) Releasable connector
US5584105A (en) Quick disconnect buckle
KR20060043754A (ko) 삼각 버클 어셈블리
US4631787A (en) Buckle having manually releasable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ortions
US6351876B1 (en) Side release buckle
US5586370A (en)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for slide fastener
KR840002708Y1 (ko) 버클
EP0245877B1 (en) Buckle
US4999886A (en) Plug and socket buckle assembly
KR950003342Y1 (ko) 버클 조립체
KR950003346Y1 (ko) 버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1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