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1796Y1 -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 선곡장치(選曲裝置)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 선곡장치(選曲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1796Y1
KR840001796Y1 KR2019810002097U KR810002097U KR840001796Y1 KR 840001796 Y1 KR840001796 Y1 KR 840001796Y1 KR 2019810002097 U KR2019810002097 U KR 2019810002097U KR 810002097 U KR810002097 U KR 810002097U KR 840001796 Y1 KR840001796 Y1 KR 8400017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top
tape
selection
hea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2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끼 가이샤
이시즈까 요오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끼 가이샤, 이시즈까 요오조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2019810002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17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17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7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 선곡장치(選曲裝置)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자동선곡 장치를 적용한 테이프 레코오더의 개략 구성도.
제2도는 동요부의 스톱상태를 표시한 작동설명도.
제3도는 동플레이(play) 상태의 작동설명도.
제4도는 동선곡상태의 작동설명도.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오더, 특히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선곡 또는 자동두출(頭出)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선곡 또는 자동두출장치는 테이프의 녹음위치를 검지하는 수단으로써 검지 전용의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와 녹음재생용의 헤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검지전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코스트가 높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녹음재생용헤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선곡구조는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의 조작스위치를 플레이(play)에서 선곡으로 전환하면 녹음재생용 헤드를 탑재한 헤드베이스가 1㎜에서 1.5㎜ 정도만큼 후퇴하고 아직 테이프에 접촉상태로 있는 헤드에 의해서 녹음위치를 검지하는 동시에 헤드베이스의 후퇴에 연동하여 테이프의 정속구동기구와 리일구동기구, 브레이크기구 등의 제기구를 해제하고 동시에 빨리보내기, 되돌려감기기구를 동작하여 테이프를 빨리보내기 또는 되돌려감기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조에서는 헤드베이스의 1㎜에서 1.5㎜ 정도의 후퇴량에 의해서 상기 제기구를 직접 제어하기는 곤란하므로 헤드베이스를 플레이상태로 이동시키든 플레이용 플런저와는 별도로 이 플런저와 같은 구동 토오크를 가진 대형의 플런저를 사용하여 상기 제기구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었다.
따라서 구조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많은 전력을 소비하여 코스트가 상승한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 전동조작의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에는 상기 종래예와 같이 대형의 플레이용 플런저를 사용하지 않는 파워 보조기구(機構)를 채용한 것이 있다. 이것은 절전형의 소형 플런저를 사용하여 작은 구동 토오크로 플레이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서 상기 소형 플런저에 대한 통전에 의해 회전상태로 된 결치부(缺齒部)를 가진 감속기어를 플라이 휘일(fly wheel)과 동축에 고정시킨 구동기어와 맞물려서 감속 회전하여 큰 구동 토오크를 얻으며, 감속기어와 동축에 고정시킨 캠에 의해 녹음 재생용헤드를 탑재한 헤드베이스를 플레이 위치에 전진시켜 소형플런저에 대한 통전을 정지하면 캠이 복원하여 헤드베이스가 스톱위치에 후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구동기어를 사용하여 헤드베이스를 구동하기 때문에 플레이 상태에서 스톱 상태로 하던가 스톱상태에서 플레이 상태로 하던가의 2형태 밖에 동작할수 없으며 이 동작중 플라이휘일은 항상 회전하고 있으므로 스톱상태와 플레이상태 사이에 있는 선곡상태로 헤드베이스를 정지시키는 것은 불가능 하였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상기 파워 보조기구를 채용한 테이프레코오더를 개량하여 플레이에서 스톱에 되돌아오는 시점에서 감속기어가 구동기어에서 결치부에 의해 맞물리지 않는 동안을 이용하여 헤드베이스를 선곡위치 정지기구에 의해 선곡위치로 정지시키며 테이프에 녹음재생 헤드가 접촉하고, 브레이크기구 기타의 기구를 해제하는 동시에, 테이프의 빨리보내기, 되돌려감기를 가능케한 테이프레코오더의 자동 선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을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자동 선곡장치를 적용한 테이프레코오더의 개략 구성도이며, 제2도는 동요부의 작동 설명도를 표시하며 도면중 (1)은 권취리일대(reel***)(2)는 공급리일때, (3)은 모우터, (4)는 이 모우터(3)의 회전축에 고정시킨 모우터 풀리, (5)는 상기 권취리일대(1)에 상시 접촉하는 중간 아이들러(idler), (6)은 구동 풀리로서 이 풀리(6)에는 동축에 소풀리(7)가 고정되어 있으며 구동풀리(6)와 상기 모우터풀리(4) 사이에는 벨트(8)를 걸어서 모우터(3)의 회전력을 구동풀리(6)에 전달하고 있다. 상기 구동풀리(6)는 축(9)을 지점으로 회동하는 아암(10)의 자유단에 회전자재로 되게 부착되어 있으며 아암(10)에 연결한 빨리보내기용 플런저(11)와 되돌려감기용 플런저(12)에 의해서 중간 아이들러(5)와 공급리일대(2)에 교호로 접촉한다. 또한 상술한 중간 아이들러(5)와 구동풀리(6), 빨리보내기용 플런저(11), 되돌력감기용플런저(12)에 의해서 테이프(13)의 빨리보내기, 되돌려감기기구(機構)(14)를 구성하고 있다. (15)는 권취 아이들러로서 이 권취 아이들러(15)는 권취리일대(1)와 소풀리(7)의 양자에 접속이탈자재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3자 1, 7, 15에 의해서 리일구동기구(17)를 구성하고 있다.
(17)은 플라이휘일로서 이 플라이휘일(17)은 모우터풀리(4)와의 사이에 걸쳐진 벨트(49)에 의해 모우터(3)의 회전력이 전달되지만 플라이휘일(17)의 구동방식으로서는 아이들러 구동방식, 기타의 구동방식으로도 좋고 (18)은 이 플라이휘일(17)에 고정시킨 캡스턴이다.
(19)는 상기 플라이휘일(17)과 동축에 고정시킨 소경의 구동기어이며 (20)은 대경의 감속기어로서 이 감속기어(20)는 상기 구동기어(19)와 맞물리도록 회전자재로 배치되지만 그 1부는 톱니가 없는 결치부(20a)로 되어 있다. 또 감속기어(20)의 표면에는 핀(21)이 직립되어 있는 동시에 동축상에 계란형의 캠(22)이 고정되어 있다.
(23)은 상기 감속기어(20)의 회전제어기구로서 이 기구(23)는 스토퍼레버(24)와 절전형이며 소형의 플레이용 플런저(25)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레버(24)는 중앙을 지축(26)에 의해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며 이 지축(26)에서 우측은 2갈래상으로 분기하여 2개의 스토퍼아암(28), (29)을 설치하고 한쪽의 스토퍼아암(28)의 선단에는 저지구(2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토퍼레버(24)의 좌측단은 플레이용 플런저(25)에 연결되어 있으며 (30)은 상기 스토퍼레버(24)를 상기 시계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31a), (31b)는 각각 스토퍼레버(24)의 스토퍼핀이다.
(32)는 헤드베이스로서 이 헤드베이스(32)는 가이드홈(33)과 핀(3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평행이동하도록 구성되고, (35)는 헤드베이스(32)를 상시 후방으로 부세하는 스프링이다. 상기 헤드베이스(32) 상에는 녹음재생용 헤드(36)(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용도 겸하고 있다)와 소거헤드(37)와 핀치로울러(38)가 탑재되어 있으며 (39)는 이 핀치로울러(38)를 회전자재로 하는 지지아암으로서 이 아암(39)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서 축(40)을 지점으로 하여 핀치로울러(38)를 상기 전방향으로 회동하는 탄발력이 부여 되어 있으며, (41)은 아암(39)의 스토퍼핀이다. 또한 핀치로울러(38)와 상기 캡스턴(18)으로 테이프(13)의 정속구동기구(42)를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감속기어(20)의 동축의 캠(22)은 헤드베이스(32)의 후연(緣)(32a)과 접하고 있다.
그리하여 여기서 기술한 감속기어(20), 캠(22), 회전제어기구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톱상태에 있어서는 제2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스톱레버(24)는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토퍼핀(31b)에 의해서 정지되고 한쪽의 스토퍼아암(28)의 저지구(28a)는 핀(21)과 결합하여 감속기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시키고 있다. 이때 감속기어(20)는 그의 결치부(20a)가 구동기어(19)와 대향하고 있으며 캠(22)은 수평축(X 보다만큼 경사진 위치에서 스프링(35)의 탄성에 애향하여 헤드베이스(32)의 후연(32a)을 압접하고 있다. 또 스프링(30)의 탄성력은 스프링(35)의 탄성력보다 강력하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플레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3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용 플런저(35)의 작동에 의해 스토퍼레버(24)는 스토퍼핀(31a)에 의해서 정지하고 핀(21)은 타방의 스토퍼아암(29)에 의해서 회전불능하게 정지되고 감속기어(20)는 그 결치부(20a)가 구동기어(19)와 대향하고있다. 그리하여 이 상태일 때 캠(22)은 수직축(Y) 보다 조금 우방향에 경사된 상태에서 헤드베이스(32)를 플레이 위치에 정지시키고 있는 것이다. 또한 스톱, 플레이 어느 경우에나 캠(22)은 상기와 같이 수평축(X)과 수직축(Y) 사이에서 우방향으로 경사지고 있는 것이 필요하며 이것에 의해서 스톱에서 플레이로 하는 경우 감속기어(2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43)은 상기 헤드베이스(32)의 선곡위치 정지기구로서 이 정지기구(43)는 축(44)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자재한 스토퍼레버(45)와 이 레버(45)의 1단에 연결한 소형의 선곡용 플런저(46)와 스토퍼레버(45)를 상시 시계방향으로 부세하는 스프링(47)으로 구성되고 스토퍼레버(45)가 스토퍼핀(48)에 의해서 정지된 상태일 때, 이 레버(45)의 자유단(45a)에 헤드베이스(32)의 후연(32a)이 접하게 되면 이 베이스(32)는 선곡 위치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도의 스톱상태에서 제3도의 플레이 상태로 전환하였을 때에는 플레이용 플런저(25)가 작동하여 스토퍼레버(24)는 축(26)을 지점으로 하여 스프링(30)의 탄성에 버티면서 반시경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토퍼핀(31a)과 접하면서 정지하는 동시에 스토퍼 아암(28)의 저지구(28a)가 핀(21)에서 벗어나서 감속기어는 회전자재로 된다. 한편 감속기어(20)와 동축의 캠(22)은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서 후퇴하는 헤드베이스(32)에 의해 압동되어서도 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캠(22)의 회전에 의해서 감속기어(20)의 유치부(有齒部)가, 플라이휘일(17)과 동축의 구동기어(19)와 맞물려서 감속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거의 1회전 하게되면 캠(22)은 헤드베이스(32)의 후연(32a)과 접촉하면서 스프링(35)의 탄성에 대항하여 헤드베이스(32)를 전진시킨다. 그리하여 캠(22)의 선단이 수직축(Y) 보다 조금 우경한 위치에 이르게되면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캠(22)을 하방으로 압동되므로 감속기어(20)의 유치부가 구동기어(19)에서 이간하여 결치부(20a)가 구동기어(19)와 대향하게 되는 동시에 핀(21)이 스토퍼아암(29)의 선단과 접해지는 동시에 감속기어(20)의 회전을 저지시킨다. 이렇게 해서 헤드베이스(32)는 스톱위치에서 정지하고 ; 녹음재생용 헤드(36)와 소거(消去) 헤드(37)는 테이프(13)와 접촉하고 핀치로울러(38)는 캡스턴(18)과 접촉하여 테이프(13)를 정속 주행시키고 권취 아이들러(15)가 권취리일대(1)와 소플리(7)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접촉하므로써 테이프(13)를 감는다.
다음에 제4도를 참조하여 선곡상태의 작동상을 설명한다.
선곡상태로 전환하면 플레이용 플런지(25)가 작동하여 상술과 같이 플레이상태로 된후 즉기 회전제어기구(23)가 해제되어 스톱상태로 이행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선곡위치 정지기구(43)가 작동하여 헤드베이스(32)를 선곡위치에서 저지시킨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상태로 된 직후 회전제어기구(23)의 플레이용 플런저(25)가 비작동으로 되기 때문에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서 스토퍼레버(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토퍼핀(31b)에 의해서 정지되는 동시에 핀(21)의 스토퍼아암(29)의 선단에서 이탈하여 감속기어(20)는 회전자재로 된다. 따라서 스톱위치에 있었던 캠(22)은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서 후퇴하는 헤드베이스(32)에 압동되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게 이캠(22)의 회전에 의해 핀(21)은 스토퍼레버(28)의 저지구(28a)로 향하여 이동한다. 한편 상기 플레이용 플런저(25)의 통전정지와 동시에 선곡위치 정지지구(43)의 선곡용 플런저(46)가 작동하여 스프링(47)의 탄성에 대향하여 스토퍼레버(45)를 스토퍼핀(48)에 의해서 정지할 때까지 회전한다.
그리하여 상기 스톱위치에 향하여 후퇴하는 헤드베이스(32)는 그 후연(32a)이 스토퍼레버(45)의 자유단(45a)과 접하여서 선곡위치에 정지한다. 그리하여 플레이위치에서 선곡위치까지는 1㎜에서 1.5㎜ 정도의 후퇴로서 녹음재생용 헤드(36)가 아직 테이프(13)와 접촉상태이며 핀치로울러(38)는 캡스턴(18)에서 이탈되어 있다. 또 이때 리일구동기구(16), 브레이크기구 등은 해제되어 있다.
이어서 빨리보내기용 플런저(11), 되돌려감기용플런저(12)에 의해서 빨리보내기, 되돌려감기기구(14)를 작동시켜 테이프(13)를 빨리보내기, 되돌려감기를 하면 테이프(13)에 녹음된 신호를 녹음재생용헤드(36)가 검지하여 그 신호에 의해서 선곡용 플런저(46)의 통전이 차단되고 스토퍼레버(45)는 스프링(47)의 탄성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자유단(45)이 헤드베이스(32)로 부터 이탈하기 때문에 헤드베이스(32)는 스프링(35)에 의해서 스톱위치까지 후퇴하는 동시에 테이프(13)는 곡간의 무신호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하여 재차 플레이용 플런저(25)에 통전하여 전술한 플레이상태로 되며 상기 테이프(13)는 재생을 개시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플라이휘일(17)과 동축에 고정시킨 구동기어(19)와 이 구동기어(19)와 맞물려서 동축에 테이프(13)의 녹음신호를 검지할 수 있는 녹음재생용헤드(36)를 탑재한 헤드베이스(32)를 스톱상태와 플레이상태로 이동하는 캠(22)을 연결한 결치부(21)를 가진 감속기어(20)와 이 감속기어(2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기구(23)로 이루어진 파워 보조기구의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선곡용플런저(46)와 이 플런저(46)에 연결한 스토퍼레버(45)로 이루어진 선곡위치 정지기구(43)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스토퍼레버(45)에 의해 상기 헤드베이스(32)를 선곡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파워보조기구의 테이프레코오더(13)에 의해서 테이프의 자동선곡을 할수가 있는 동시에 선곡용플런저(46)는 헤드베이스(32)를 정지시킬 수 있는 구동토오크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이고 전력소비도 적은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플라이휘일(17)과 동축에 고정시킨 구동기어(19)와, 구동기어(19)와 요합자재로 동축에 테이프(13)의 녹음신호를 검지할 수 있는 녹음재생용 헤드(36)를 탑재한 헤드베이스(32)를 스톱상태와 플레이(play) 상태로 이동시키는 캠(22)을 연결한 결치부(缺齒部)(20a)를 가진 감속기어(20)와, 감속기어(20)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기구(23)로 이루어진 파워보조기구(機構)를 채용한 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 선곡플런저(46)와, 선곡플런저(46)에 연결한 스토퍼레버(45)로 이루어진 선곡위치정지기구(機構)(43)를 설치하는 동시에 스토퍼레버(45)에 의해 헤드베이스(32)를 선곡위치 정지시키도록 한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선곡장치.
KR2019810002097U 1981-03-24 1981-03-24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 선곡장치(選曲裝置) KR8400017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097U KR840001796Y1 (ko) 1981-03-24 1981-03-24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 선곡장치(選曲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2097U KR840001796Y1 (ko) 1981-03-24 1981-03-24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 선곡장치(選曲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796Y1 true KR840001796Y1 (ko) 1984-09-18

Family

ID=1922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2097U KR840001796Y1 (ko) 1981-03-24 1981-03-24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 선곡장치(選曲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400017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1935A (en) Idler drive mechanism with positional control
JPS6232360Y2 (ko)
JPH0535461Y2 (ko)
JPH01298557A (ja) カセットテープ駆動装置
JPS6138103Y2 (ko)
KR840001796Y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 선곡장치(選曲裝置)
US4061292A (en) Bi-directional rotary drive mechanism
US4602302A (en) Automatic reversing mechanism for cassett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S534719A0 (es) Un aparato grabador y-o reproductor de cinta de casete
CA1334770C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with single drive source
US4085698A (en) Device for detecting rotational speed of a tape reel
JPH05174453A (ja)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ープテンション機構
JPS6338428Y2 (ko)
KR910000148Y1 (ko) 브이씨알의 고속서치를 위한 테이프 로딩장치
JPH0626984Y2 (ja) ハ−フロ−デイング装置
JPH0514343Y2 (ko)
JPH075559Y2 (ja) 画面検索機能を有す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233311Y2 (ko)
US4089489A (en) Braking apparatus for a web transport system
JPS5939321Y2 (ja) テ−プレコ−ダの駆動伝達機構
JPH0210499B2 (ko)
JP2727338B2 (ja) テープレコーダの駆動装置
JPH0521711Y2 (ko)
JPS5914908Y2 (ja) 磁気録音再生装置
JPH05217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