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979B1 - 전력 증폭 회로 - Google Patents

전력 증폭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979B1
KR830001979B1 KR1019800001551A KR800001551A KR830001979B1 KR 830001979 B1 KR830001979 B1 KR 830001979B1 KR 1019800001551 A KR1019800001551 A KR 1019800001551A KR 800001551 A KR800001551 A KR 800001551A KR 830001979 B1 KR830001979 B1 KR 830001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ircuit
transistors
curren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973A (ko
Inventor
히로야스 야마구찌
다까시 이시이
Original Assignee
도오꾜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다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오꾜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이와다 가즈오 filed Critical 도오꾜오 시바우라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979B1/ko
Publication of KR83000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6Push-pull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력 증폭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증폭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 구성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구성도.
본 발명은 전력 증폭회로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증폭회로는 집적회로(IC)화 될 경우, 그 출력단에 준콤플리멘타리(Comple-mentary)형 싱글엔디드 푸시풀(Single-ended-push-pull)(SEPP) 증폭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집적회로(IC)화에 있어서 대전류용의 PNP형 트랜지스터는 그 제조가 곤란하고, 특히 래터럴(lateral)형(멀티콜렉터) PNP트랜지스터는 전류용량이 적고 전류증폭률이 작은 동시에, 이득대역폭적(fr)가 낮기 때문에 발진이 쉬운 등의 문제가 있었고, 대출력을 얻기 힘드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보다 전력증폭회로의 출력단을 콤플리멘타리형으로 하지 않고, 동극성, 즉 NPN형의 트랜지스터만을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와같이 하면, AB급 동작을 행할 경우, 출력단 트랜지스터의 아이들 전류의 설정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서, 아이들 전류의 설정이 용이하고 대출력을 얻을 수 있고 또 안정하고 확실하게 동작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집적회로화에 적합한 극히 양호한 전력증폭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1)은 피전력증폭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단자이고, 예를들면 잭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바깥쪽단자(111)은 접지되고, 안쪽단자(112)는 콘덴서(C1)을 개재하여 PNP형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어있다.
이 콘덴서(C1)과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와의 접속점은 저항(R1)을 개재하여 접지되어있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다른 PNP형의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와 접속되고, 그 접속점은 저항(R2)를 개재하여 직류전압+Vcc가 인가된 전원단자(12)에 접속되었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1), (Q2)의 콜렉터는 저항(R3), (R4)를 특별히 개재하여 공통 접속되고, 그 접속점은 저항(R5)를 개재하여 직류전압-Vee가 인가된 전원단자(1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저항(R1) 내지 (R5), 콘덴서(C1) 및 트랜지스터(Q1), (Q2)로 구성된 회로가 전력 증폭회로의 전치증폭회로(14)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1), (Q2)의 각 콜렉터와 저항(R3), (R4)와의 각 접속점은, NPN형의 트랜지스터(Q3), (Q4)의 각 베이스에 각각 접속되어있다. 이 트랜지스터(Q3), (Q4)의 각 에미터는 공통 접속되고, 그 접속점은 저항(R6)을 개재하여 전원단자(13)에 접속되어있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3), (Q4)의 각 콜렉터는 저항(R7), (R8)을 각가 개재하여, 후술하는 부전원 라인(1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R6) 내지 (R8) 및 트랜지스터(Q3), (Q4)로 구성되는 회로가 전력증폭회로의 드라이브회로(16)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저항(R7)와의 접속점은 NPN형의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부전원라인(15)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다른 출력용의 NPN형의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는 전원단자(12)에 접속되어 그 접속점은 저항(R9)을 개재하여 부전원라인(15)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와 저항(R8)와의 접속점은 NPN형의 트랜지스터(Q7)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는 저항(R10)을 개재하여 전원단자(12)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다른 출력용의 NPN형의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8)의 에미터는 전원단자(13)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와의 접속점은 저항(R11)을 개재하여 상기 전치증폭회로(14)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저항(R11)과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의 접속점은 저항(R12)를 개재하여 접지되어 있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와의 접속점은 콘덴서(C2)를 개재하여 부전원라인(15)에 접속됨과 동시에, 예를들면 잭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단자(17)의 안쪽단자(17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출력단자(17)의 바깥쪽단자(172)는 저항(R13)을 개재하여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5) 내지 (Q8) 및 저항(R10)으로 구성된 회로가, 전력증폭회로의 출력회로(18)을 구성하는 것이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는 저항(R14)를 개재하여 NPN형의 트랜지스터(Q9)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9)의 에미터는 저항(R15)를 개재하여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Q8)의 콜렉터와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는 저항(R16)을 개재하여 NPN형의 트랜지스터(Q10)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10)의 에미터는 저항(R17)을 개재하여 전원단자(1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저항(R14) 내지 (R17) 및 트랜지스터(Q9), (Q10)으로 구성되는 회로가 상기 출력회로(18)의 각 트랜지스터(Q6), (Q8)의 동작 전류를 특별히 검출하는 검출회로(19)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는 PNP형의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에 접선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는 부전원라인(15)에 접속되고, 베이스는 이 트랜지스터(Q1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와의 접속점에 접속됨과 동시에 NPN형의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는 부전원라인(15)에 접속되고, 에미터는 상기 검출회로(19)의 트랜지스터(Q10)의 콜렉터에 접속됨과 동시에 PNP형의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Q13)의 에미터는 NPN형의 트랜지스터(Q14)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상기 전치 증폭회로(14)를 구성하는 저항(R3) 내지 (R5)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트랜지스터(Q14)의 콜렉터 및 베이스는 다같이 부전원라인(15)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11) 내지 (Q14)로 구성되는 회로가 상기 검출회로(19)의 트랜지스터(Q9)과 (Q10)으로부터의 출력을 합성하여 후술하는 관계를 이루고, 상기 전치증폭회로(14)에 귀환하는 연산궤환 회로(20)을 구성로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이된 전력증폭회하에 있어서, 그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겠다. 우선, 입력단자(11)에, 예를들면 접지전위를 기준으로 하여 정의 반 사이클 및 부의 반 사이클을 교대교대로 반복하는 정현파상의 피전력증폭신호가 공급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이 피전력증폭신호는 콘덴서(C1) 및 (R1)으로 구성될때 정수회로를 개재하여 전치증폭회로(14)의 트랜지스터(Q1)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트랜지스터(Q1), (Q2)는 에미터 공통이기 때문에 차동증폭기로서 동작하고, 그 각 콜렉터로부터는 상기 피전력증폭신호의 부의 반 사이클 및 정의 반 사이클이 각각 증폭되어 드라이브회로(16)의 트랜지스터(Q3), (Q4)에 출력된다. 그렇게되면 트랜지스터(Q3), (Q4)의 콜렉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Q1), (Q2)의 콜렉터 출력에 적합한 전류, 즉 상기 피전력증폭신호의 부의 반 사이클 및 정의 반 사이클에 대응한 증폭전류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드라이브회로(16)의 각 트랜지스터(Q3), (Q4)의 콜렉터 출력은 출력회로(18)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5), (Q7)에 각각 공급된다. 이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Q5), (Q7)과 각각 다아링톤(darlington) 접속되는 트랜지스터(Q6), (Q8)의 콜렉터에는 상기 피전력 증폭신호의 부의 반 사이클 및 정의 반 사이클에 대응한 증폭전류가 흘러, 출력단자(17)에서 출력된다. 즉 출력회로(18)은 피전력증폭신호의 정 및 부의 반 사이클을 각각 증폭하는 푸시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출력회로(18)의 트랜지스터(Q6), (Q8)의 베이스전류, 즉 동작전류는 검출회로(19)의 트랜지스터(Q9), (Q10)의 베이스에 각각 공급된다.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Q9), (Q10)의 콜렉 전류는 연산궤환회로(20)에서 합성되어 그 합성전류가 트랜지스터(Q13)의 콜렉터에서 출력되어 상기 전치증폭회로(14)에 귀환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연산궤환회로(20)의 상세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트랜지스터(Q6)와 (Q9) 및 트랜지스터(Q8)과 (Q10)와의 에미터 면적비를 N:1, 트랜지스터(Q6)의 동작전류를 IVPNP형의 트랜지스터(Q11)의 포화전류를 ISP, 로 하면 다이오드 접속된 트랜지스터(Q11)의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VBE(Q11)]은 다음의 식이 된다.
Figure kpo00001
단 K : 볼쯔만 정수 T : 절대 온도 q : 전자의 전하
또, 트랜지스터(Q8)의 동작전류 IL, NPN형의 트랜지스터(Q12)의 포화전류를 ISN, 으로 하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미터간 전압(VBE(Q)]는 다음식과 같다.
Figure kpo00002
한편, 트랜지스터(Q13), (Q14)를 흐르는 전률를 IF로 하면 트랜지스터(Q13), (Q14)의 각 베이스 에미터간전압[VBE(Q13)], [VBE(Q14)]의 합은 모놀리틱 IC에서는 트랜지스터 Q13, Q14의 포화전류는 각각 같은 형식의 트랜지스터 Q11, Q12의 포화전류와 대략 같으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된다.
Figure kpo00003
여기서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상기(3)식은 상기[VBE(Q11)]과 [VBE(Q12)]와의 합과 같기 때문에, 결국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그래서 상기 트랜지스터(Q9), (Q10)을 흐르는 전류I3, I4
I3=1 NIv, I4=1 NIL……(5)
가 되기 때문에 상기(4)식은
IF=√I3×I4……(6)
가 된다.
그리고 상기 IF는 상기 전치증폭회로(14)의 저항(R5)에 궤환됨으로,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VBE(Q4), VBE(Q3) : 트랜지스터(Q4), (Q3)의 각 베이스에미터간 전압.
IQ, IQ2, IQ3, IQ4: 트랜지스터 (Q1), (Q2) (Q3), (Q4)의 콜렉터전류
β : 전류증폭율로 주어지는 대략 일정한 값이 되고, 무신호에는
Iv≒IL
임의로, 트랜지스터(Q6), (Q8)의 아이들전류(IC idle)는
IC idle=N×IF
로 정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입력단(11)에 피전력 증폭신호가 공급되면, 이 피전력증폭신호의 예를들어 부의 반 사이클로 트랜지스터(Q6)의 전류 IV가 증가하면 트랜지스터(Q8)의 전류 IL는 감소하고, 정의 반 사이클에서는 상기 IL의 증가와 함께 IV가 감소하여 결국 제2도에서 실선(實線)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은 특성을 얻을 수 있고, AB급 푸시풀 동작을 행한다.
또, 제2도에 있어서 횡축은 출력전압 V-접쇄선(點鎖線)으로 나타내는 것은 트랜지스터(Q6), (Q8)의 아이들 전류(Ic-idle)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력증폭 회로에 의하면, 집적회로화에 있어서 종래와 같이 그 싱글 엔디드푸시풀(SEPP)형의 출력단에 래터럴형(멀티콜렉터) PNP 트랜지스터와 같은 이득대역폭적(fr)이 낮고 불안정한 소자는 사용할 필요도 없고, 고출력으로 안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AB급 동작에서 출력단 트랜지스터(Q6), (Q8)의 아이들전류도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특징이 되는 부전원 라인(15)는 전원단자(12)의 인가전압+Vccc 보다도 저항(R9)에 의해 약간 낮은 기준전위로 되고, 또 출력회로(18)의 출력이 콘덴서(C2)를 개재하여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부전원라인(15)로부터의 공급전력에 의해 드라이브회로(16) 및 연산궤환회로(20)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들면 상기 피전력증폭신호의 정의 반 사이클에서 트랜지스터(Q6)가 포화에 들러가도, 검출용의 트랜지스터(Q9)는 포화에는 들지않고 상기(6)식
Figure kpo00010
의 조건이 무너지는 일 없이 아이들전류(Ic-idle)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점에 관하여 저항(R9), 콘덴서(C2) 및 부전원라인(15)를 설치하지 않고, 저항(R7), (R8)의 일단, 트랜지스터(Q5), (Q12), (Q14)의 콜렉터 및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 등을 직접 전원단자(12)에 접속하는 것으로는 피전력증폭신호의 부의 반 사이클 트랜지스터(Q6)이 포화에 들러가면 트랜지스터(Q9)도 포화에 들어가게 되어, I3≒0가 되기 때문에 IF≒0에서 트랜지스터(Q6)에 흐르는 아이들전류가 급증하여 발진등의 이상현상에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과 같이 전원단자(12)의 인가전압+Vcc 보다 약간 낮은 기준전위로 하고, 또 출력회로(18)의 출력이 공급되는 부전원라인(15)를 설치하여 이 부전원라인(15)의 공급전력으로 연산궤환회로(20)을 구동시킴으로서 트랜지스터(Q6) 또는 (Q8)이 포화에 들어가도 아이들전류(Icidle)를 언제나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안정하고 확실한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앞에서 말한 바와같이 출력회로(18)의 각 트랜지스터(Q6), (Q8)의 동작전류 IV, IL와 검출회로(19)의 각 트랜지스터(Q9), (Q10)의 출력전류 I3, I4와의 관계는 이상적인 상태로는 상기(4)식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되겠으나, 실제로는 대전류 영역에서 트랜지스터(Q6)가 가지는 기생(奇生)베이스 저항이나 에미터저항 등의 기생저항치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검출회로(19)의 저항(R14), (R15) 및 (R16), (R17)은 상기 기생저항치의 N배(N : 트랜지스터(Q6)과 (Q9)및 트랜지스터(Q8)과 (Q10)와의 에미터면적비)의 저항치를 가지는 것이다.
또, 상기저항(R14), (R15) 및 (R16), (R17)의 저항치를 상기 기생저항치의 N배 이상의 값으로 하면, 전류감소측의 출력용 트랜지스터(Q6) 또는 (Q8)의 동작전류 IV, IL를 제2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증가시킬 수가 있고, 크로스 오우버 변형이나 노칭(nothing) 변형 등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즉 입력단자(21)에 예를들면 정현차상의 피전력증폭신호가 공급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이 피전력증폭신호는 트랜지스터(Q21)과 (Q22)를 에미터 공통으로 연속하여 차동증폭회로 구성이된 전치증폭회로(22)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21), (Q22)의 콜렉터에는 피전력증폭신호의 정의 반 사이클 및 부의 반 사이클에 대응한 증폭전류가 흐른다.
여기에서 상기 트랜지스터(Q21), (Q22)의 각 콜렉터 출력은 드라이브회로(23)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23), (Q24)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본 트랜지스터(Q23), (Q24)의 각 콜렉터출력은 푸시풀 구성된 출력회로(24)의 트랜지스터(Q25), (Q28)의 각 베이스에 각각 공급된다.
이때문에 트랜지스터(Q25), (Q26)에는 상기 피전력증폭신호의 정의 반 사이클 및 부의 반 사이클에 대응한 증폭전류가 흐르고, 출력단자(25)에서 출력된다.
여기에 있어서, 상기 출력회로(24)의 트랜지스터(Q25), (Q26)에 대한 베이스 전류, 즉 동작전류는 검출회로(26)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27), (Q28)로 검출된다. 그리고 이 트랜지스터(Q27), (Q28)의 검출 출력전류는 트랜지스터(Q29), (Q30) 및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되는 연산궤환회로(27)에 공급되고, 그 트랜지스터(Q30)의 콜렉터에서 정전류회로(28)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Q31)의 에미터가 귀환된다.
여기에서, 트랜지스터(Q30)의 콜렉터전류 IF와 트랜지스터(Q28), (Q27)의 전류 I5, I6와는 앞에서 말한 바와같이 다음식의 관계를 만족하고 있다.
Figure kpo00011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예를들어 트랜지스터(Q25), (Q26)의 아이들 전류가 증가하면, 트랜지스터(Q30)의 의 콜렉터전류 IF도 증가하여 정전류회로(28)에 의하여 전치증폭회로(28)이 제어되어 트랜지스터(Q25), (Q26)의 아이들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이고, 언제나 아이들전류는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출력회로(24)의 트랜지스터(Q25), (Q26)은 주전원단자(29)로부터의 직규전압+Vcc1으로 구동되고, 전치증폭회로(22), 드라이브회로(23) 및 연산궤환회로(27)은 상기 직류전압+Vcc1보다도 높은 직류전압+Vcc2가 인가된 부전단원자(30)에 접속되어 이 직류전압+Vcc2로 구동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밖의 그 요지에서 일탈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들전류의 실정이 용이하고 대출력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안정하고 확실하게 동작할 수 있는 동시에, 집적회로(IC)화에 적합한 극히 양호한 전력증폭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정전압을 공급하는 주전원과, 이 주전원의 공급전압으로 구동되는 푸시풀 구성된 출력용의 제1 및 제2의 트랜지스터와, 이 제1 및 제2의 트랜지스터의 동작전류를 특별히 검출하는 제3 및 제4의 트랜지스터와 이 제 3및 제4의 트랜지스터의 검출전류(I3), (I4)에 의해
    Figure kpo00012
    가 되는 전류(IF)를 출력하는 연산회로와, 이 연산회로의 출력전류(IF)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기능하는 수환회로를 구비한 전력증폭회로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의 공급전압과는 다른 기준전위를 지니고, 상기 제1 및 제2의 트랜지스터의 출력에 따라 공급전압이 변화하는 부전원을 구비하고, 상기 부전원의 공급전압으로 전기한 연산회로 및 궤환회로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력증폭회로.
KR1019800001551A 1980-04-15 1980-04-15 전력 증폭 회로 KR830001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551A KR830001979B1 (ko) 1980-04-15 1980-04-15 전력 증폭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551A KR830001979B1 (ko) 1980-04-15 1980-04-15 전력 증폭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73A KR830003973A (ko) 1983-06-30
KR830001979B1 true KR830001979B1 (ko) 1983-09-29

Family

ID=1921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551A KR830001979B1 (ko) 1980-04-15 1980-04-15 전력 증폭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97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973A (ko) 1983-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7262A (en) Folded-cascode amplifier stage
US4586000A (en) Transformerless current balanced amplifier
JPS6245724B2 (ko)
US4240040A (en) Operational amplifier
US4333059A (en) Power amplifying circuit
JPS6212692B2 (ko)
JPH08237054A (ja) 利得可変回路
US3946325A (en) Transistor amplifier
US4217555A (en) Amplifier circuit arrangement with stabilized power-supply current
KR830001979B1 (ko) 전력 증폭 회로
US6734720B2 (en) Operational amplifier in which the idle current of its output push-pull transistors is substantially zero
JPH0626287B2 (ja) 増幅装置
JP3080488B2 (ja) 差動増幅器
US4167708A (en) Transistor amplifier
US5122759A (en) Class-A differential amplifier and method
JPH0362042B2 (ko)
US4330755A (en) Power-amplifying circuit
JPH06276037A (ja) オーディオ用パワーアンプ
JP3414454B2 (ja) アンプのバイアス回路
JP3140107B2 (ja) 差動増幅器
KR830001980B1 (ko) 전력 증폭 회로
KR830001978B1 (ko) 전력 증폭회로
JPH0113453Y2 (ko)
JPH0716138B2 (ja) 増幅回路装置
JP3309878B2 (ja) アン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