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160B1 - 원심 분리기용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원심 분리기용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1160B1
KR830001160B1 KR1019800002660A KR800002660A KR830001160B1 KR 830001160 B1 KR830001160 B1 KR 830001160B1 KR 1019800002660 A KR1019800002660 A KR 1019800002660A KR 800002660 A KR800002660 A KR 800002660A KR 830001160 B1 KR830001160 B1 KR 83000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liquid
compartment
passage
rotor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3245A (ko
Inventor
한스 디이터 슈트로우켄 클라우스
Original Assignee
알파-라발 악티에 볼락
잉게마르 클리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파-라발 악티에 볼락, 잉게마르 클리베모 filed Critical 알파-라발 악티에 볼락
Priority to KR1019800002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1160B1/ko
Publication of KR83000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1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discharging outlets in the plane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owl
    • B04B1/14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discharging outlets in the plane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owl with periodical discharge
    • B04B1/16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discharging outlets in the plane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owl with periodical discharge with discharging outlets controlled b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owl
    • B04B1/18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with discharging outlets in the plane of the maximum diameter of the bowl with periodical discharge with discharging outlets controlled b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owl controlled by the centrifugal force of an auxiliary liquid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심 분리기용 작동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예의 다른 개량 예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원심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의 회전자가 2종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된 액체 혼합물용의 중심 유입구와 분리된 성분용의 중심 배출구 및 또 다른 분리된 성분용인 회전자의 주변부에 분포된 주변 배출구를 가진 분리실을 형성하고, 주변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작동중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환상 슬라이드 부재가 회전자 본체와 함께 이른바 폐쇄실을 형성하며, 이 폐쇄실은 작동 액체를 수용하도록 배치되고 작동 중에 슬라이드 부재를 수압에 의해 폐쇄위치로 작동시키는 작동 액체를 폐쇄실과 함께 충진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배치된 회전자 내의 1개 이상의 통로와 연통되고, 회전자는 또 슬라이드 부재를 분리실의 주변 배출구의 개구부쪽으로 압압시키도록 폐쇄실로부터 작동 액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를 포함하는 원심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원심 분리기는 오랫동안 공지되어 왔으며 침전물을 함유한 액체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환상 슬라이드 부재가 침전물 배출 동작시에(개방 상태 뿐만 아니라 페쇄 상태시에) 가능한한 신속하게 이동되어 침전물에 대한 최대의 유효 유출 면적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해야하는 것이다. 점착성을 갖거나 분리실의 벽상에 이미 점착된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키고 보다 큰 유출면적을 얻는 것은 침전물과 액체의 이동 중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침전물 배출구를 개방시킬 때에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종류의 종래의 공지된 원심 분리기의 결점은 작동 액체의 공급을 위해 폐쇄실과 연통되는 통로의 크기를 환상 슬라이드 부재의 신속한 개방 운동이 가능하도록 결정한다면, 결과는 슬라이드 부재의 상당한 저속 폐쇄 운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며, 반대의 경우도 또한 마찬가지로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로를 좁게 만들어서 신속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고, 따라서 액면이 반경 방향외측으로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면, 폐쇄실로 부터의 작동 액체 배출구가 개방될 때 슬라이드 부재의 신속한 개방 운동은 이루어지나 환상 슬라이드 부재가 침전물 배출구를 다시 폐쇄시켜야 할 때(통로가 너무 좁은 것으로 인해), 폐쇄실로부터 배출된 작동액체의 양은 바라는 만큼 신속하게 보충될 수 없다는 결점이 동시에 발생한다. 따라서 이 경우 슬라이드 부재의 개방 이동은 신속하게 이루어지나, 그 폐쇄이동은 상당히 지연된다 반면에 상기 통로가 유출 면적을 통하여 비교적 크게 주어진다면 슬라이드 부재의 개방운동은 느려지고 그 폐쇄운동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속도가 허용되는 것보다는 신속하지 않기 때문에 통로는 회전자의 중심부를 통해 새로운 작동 액체로 채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전물 배출 동작시에 주변 침전물 배출구의 유출 면적을 크게할 수 있는 가능성에 관련하여 전술한 종류의 원심 분리기를 개량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심 분리기는 작동 액체가 상기 밸브 작용의 결과로 폐쇄실로부터 배출될 때 작동액체를 통로 내에 보유시키고 따라서 통로내의 작동액체 압력을 실질적으로 불변상태로 유지시켜, 통로 내에 보유된 작동 액체에 의해 발생한 슬라이드 부재상의 수압을 감소시키는 장치에 의해 전술한 목적을 충족시키는 것이 그 특징이다. 통로내에 보유된 작동액체가 슬라이드 부재 상에서 작동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하도록 상기 장치를 배치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동 액체가 상기 밸브를 통해 폐쇄실로부터 배출됨과 동시에 통로 내에 존재하는 작동 액체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상에 작용하는 힘이 감소 또는 제거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의 개방 동작은 극도로 신속해진다. 또한 폐쇄실로부터 작동 액체를 배출시키는 밸브가 다시 폐쇄될 때 폐쇄실로부터 배출된 작동 액체의 신속한 교체를 위한 작동 액체가 통로내에 이미 존재하게 된다. 비교적 다량의 작동 액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통로의 크기를 정함으로써 폐쇄실로부터 배출되는 작동 액체를 회전자의 중심부를 통해 신속히 교체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항상 존재하는 제한을 피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부재에 작용하는 폐쇄력의 증가가 가장 신속하게 얻어질 수 있고, 그 결과 슬라이드 부재의 폐쇄 동작도 가장 빠르게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독특한 장점은 상기 밸브가 제 위치에서는 폐쇄실을 통로와 연통시켜서 유지시키고, 제2위치에서는 이러한 연통을 폐쇄시키지만, 폐쇄실로부터의 배출구는 폐쇄하지 않도록 배치시킨 조합 밸브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조합 밸브는 폐쇄실 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부재 쪽으로 축방향으로 향한 밀봉실의 벽과 밀봉 접촉하는 환상 밸브로 구성하는 것이 적합하며, 이 밸브는 회전자의 축 둘레에서 연장하는 작동 액체용 배출구 슬로트를 개방시키도록 회전자의 동작시에 슬라이드 부재 쪽으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침전물 배출구를 폐쇄하는 슬라이드 부재의 극히 신속한 개방 동작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면에 도시한 원심 분리기 회전자는 구동 축(2)과 견고하게 연결된 저부 회전자 부분(1)과, 상부 회전자 부분(3)으로 구성된다. 상부 회전자 부분(3)은 회전자의 주변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보울트(4)에 의해 저부 회전자 부분(1)에 고정된다. 보울트(4)는 슬리이브(5)를 통해 연장되어 있는데, 슬리이브는 간격 부재로서 회전자 부분(1) 및 (3) 사이에 배치된다. 슬리이브(5)는 대향하여 뒤집힌 회전자 부분(1) 및 (3) 내의 요홈 내에 위치하며, 이러한 관계로써 슬리이브(5)는 반경 방향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슬리이브(5) 사이에는 회전자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유출공이 형성된다.
회전자 부분(1) 및 (3)에 의해 형성된 격실 내에는 회전자 부분에 대하여 부동체인 벽(6)과 전술한 부재 전체에 대하여 가동체인 슬라이드 부재(7)가 있다. 슬라이드 부재(7)는 가스켓(8) 및 (9)에 의해 회전자 부분(1)과 벽(6)에 대하여 각각 밀봉되고, 슬리이브(5) 바로 내부에서 회전 부분(3)과 접촉 및 분리되도록 배치된다. 환상 가스켓(10)은 슬라이드 부재(7)와 회전자 부분(3) 사이를 밀봉시킨다.
벽(6)에는 분배기(11)가 안치되는데, 이것은 원심 분리될 혼합물용 주입관(12)을 둘러싼다. 회전자 부분(3), 슬라이드 부재 (7) 및 분배기(11) 사이에는 회전자의 분리실(13)이 형성되는데, 그 내부에는 1조의 원추형 분리판(14)이 있다. 분리격실(13)로부터의 과도 흐름의 출구를(14a)로 도시하였다.
벽(6)과 회전자 부분(1) 사이에는 또 다른 벽(15)이 배치되는데, 이 벽과 회전자 부분(1) 사이에는 통로(16)가 형성된다. 벽(6) 및(15) 사이에는 격실(17)이 형성된다. (격실(17) 내에는 벽(6)에 연결되고 격실(17)내에 존재하는 액체를 배출시키도록 연장된 복수개의 방사상 날개가 있다. 대응하는 날개들이 통로(16) 내에 존재한다).
격실(17)에는 이른바 작동 액체용 주입구(18)가 있는데, 이 주입구는 복수개의 통로(19)를 통해 구동샤프트(2)내의 중심공)20)과 연통된다. 통로(16)도 작동 액체용 주입구(21)를 갖는데 이 주입구는 회전자 부분(1)의 외측 상의 돌출부(23)에 의해 형성된 요홈(22)으로부터 시작된다. 작동 액체 공급용 정지관(24)이 요홈까지 연장된다.
벽(15)과 링(25) 사이에는 환상의 가요성 부재(26)가 고정된다. 이 가요성 부재(26)의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는 플랜지 또는 연부는 벽(6)의 반경 방향의 최외각 원주와 밀봉 접촉 및 분리되도록 축방향 운동이 가능한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의 수단에 의해 배치된다.
회전자 부분(1)과 슬라이드 부재(7) 사이의 공간에는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는 플랜지(28)가 있는데, 이 플랜지의 반경 방향 최내부에는 가요성 부재(26)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접할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7)와 플랜지(28) 사이에는 격실(29)이 형성되고, 또 다른 격실(30)이 플랜지 (28)와 회전자 부분(1) 사이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슬라이드 부재(27)의 위치에서 격실(17) 및 (29) 사이의 연통이 유지되고 반면에 격실(30)은 이들 2개의 격실로부터 분리 상태를 유지한다. 벽(6)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부재(27)의 이동에 의해 격실(17) 및 (29) 사이의 연통이 폐쇄되고 그 반면에 격실(29) 및 (30) 사이가 개방되어 연통
벽(6) 및 (15)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드 부재(27)의 저부 측면에는 방사상 날개가 마련되어 있어서 슬라이드 부재(27)와 회전자 부분(1) 사이에 격실(31)을 형성한다. 격실(31)은 그 반경 방향 최내부에서 통로(16)와 연통되고, 그 반경 방향 최외부는 환상 부재(32)에 의해 제한된다. 격실(30) 및 (31) 사이에서 환상 부재(32)를 통해 스로를 통로(33)가 연장되고 회전자 부분(1)을 통해서는 약간 좁은 또 다른 통로(34)가 격실(31)로부터 회전자의 외부까지 연장된다. 통로(34)가 격실(31)의 반경 방향 최외부에 위치되면 통로(33)는 필요한다.
도면 번호(35)는 플랜지(28)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방사상 날개 중의 하나를 나타낸다.
격실(30)로부터 과도 흐름의 유출구가 노즐(36)을 통해 통로의 형태로 연장되고 그 반경 방향 위치는 다양하게 조정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한 원심 분리기 회전자는 다음의 방법으로 작동한다.
통로(20) 및 (19)를 통해서 격실(17) 및 (29)가 작동 액체로 충만 상태를 유지하여 슬라이드 부재(7)가 도면에 도시한 위치로 압압되어 회전자 부분(3)과 밀봉 접촉된다. 통로(16)와 격실(30) 및 (31) 내는 대기압으로 된다. 즉 정상적인 대기압으로 된다. 원심 분리된 혼합물은 주입구(12)를 통해 공급되어 분배기(11) 및 벽(6) 사이의 격실을 통해 분리실(13)로 들어간다. 분리된 액체는 과도 흐름의 유출구(14a)를 통해 분리실에서 배출된다.
분리실(13) 내에서 분리된 침전물이 제거될 때, 작동액체가 짧은 기간 동안에 관(24)을 통해 요홈(22)에 공급된다. 그로부터 작동 액체가 통로(21) 및 (16)을 통해 격실(31)로 흘러서 그곳에서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를 도면에 관하여 축방향 상방으로 압압시킨다. 따라서 가요성 부재(26)가 격실(17) 및 (29) 사이의 연통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격실(29) 및 (30) 사이를 개방시켜서 연통시킨다. 이는 원심 분리기 회전자의 중심으로 연장하는 액주(液柱)로부터 압력을 받던 슬라이드 부재(27)가 갑자기 격실(17) 및(29) 사이의 폐쇄된 연통로의 반경 방향 외부에 남아 있는 액주로부터의 압력만 받게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7)가 하향으로 신속하게 이동되고 작동 액체가 격실(29)로부터 격실(30)로 흐르게 되며 회전자 부분(1) 및 (3) 사이의 주변 개구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분리된 침전물은 분리실(13)에서 배출된다
격실(29)에서 유출된(슬라이드 부재(7)에 의해 이동된) 액체는 격실(30)을 신속하게 채워,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를 도면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 때에 이미 통로(21) 및 (16)을 통한 작동 액체의 공급은 차단되고, 격실 (31) 및 통로 (16) 내의 액체는 통로(34)를 통해 완전히 배출되어 있다. 작동 액체가 노즐(36)을 통해 언제라도 격실(30)을 떠날 수 있으나 격실(29)로부터의 작동 액체의 공급량이 노즐(36)을 통한 유출량 보다 실질적으로 많기 때문에 격실(30)이 신속하게 채워진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 격실(30)이 채워질 때 그 내부의 액체 압력은 분리실(13) 내의 액면 높이에 의해 측정되며, 분리실(13) 내의 액주는 (그 역학적인 저단부 위치에 도달되지 않은 슬라이드 부재(7)를 통해) 격실(29) 및 (30)내의 액체 압력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격실(31) 및 통로 (16)내에 잔류하는 작동 액체로부터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상에 가해지는 상방 압력은 격실(30)이 채워질 때 격실(30) 내의 압력에 의해 극복된다.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가 격실(29) 및 (30) 사이의 연통을 차단하는 위치인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압압될 때 격실 (29)로부터 유출된 작동 액체는 격실(17)로부터 공급되는 새로운 액체로 교체된다. 슬라이드 주부재(7)가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신속히 복귀하여 분리실의 주변 배출구를 폐쇄시킨다.
격실(17)은 비교적 대용량을 가지므로 보다 많은 양의 작동 액체를 수용한다. 이는 격실(17)내의 액주로부터의 압력이 약간의 작동 액체가 격실(29)로부터 배출된 작동 액체와 교체되도록 그곳에 유입 된다는 사실에 의해 근소한 정도까지만 변하거나 전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가 하향으로 이동 될 때, 슬라이드 주부재(7)도 따라서 분리실(13)의 주변 배출구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그의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순간적으로 상기 주변 배출구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게되며, 이 압력은 격실(17) 내의 액주에 의해 결정된다. 슬라이드 부재(7)는 그에 따라 도면에 도시된 그의 위치로 매우 신속하게 복귀될 것이다.
격실(26) 및 (30) 사이의 통로 개방 시간으로부터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슬라이드 부재(7)의 복귀를 위한 시간 간격은 격실(30)이 채워지기 전에 격실(29)로부터 유출되는 작동 액체의 양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 작동 액체의 양은 노즐(36)의 반경 방향으로 조정에 의해 좌우될 수 있으므로, 그곳에 남아 있는 작동 액체의 표면은 소망하는 수준에서 유지된다. 노즐(36)은 반경 방향으로 외향 이동시킴으로써 격실(30)의 통상적으로 채워지지 않은 부분이 그에 따라 증가되므로 시간 간격은 분리실(13)의 주변 배출구가 개방상태로 유지되는 동안 증가된다.
필요할 경우에는 매우 좁은 축방향 구멍(도시되지 않았음)을 플랜지(28)를 통해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 액체는 격실(30)에 일정하게 공급되고 그 내부의 액면은 노즐(36)의 반경 방향 내부 통로 공에서 확실히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멍은 노즐(36)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액체를 격실(13) 내에 유입시키지는 않는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작동장치의 또다른 개선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제2도에 있어서 제1도와 대응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였으나, 여기에 영문자 a를 부기하였다.
제2도의 실시예에서는 플랜지(28a)와 회전자 부분(1a)의 최저부 사이에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링(37)이 끼워진다. 복수개의 나선 스프링(38)에 의해서 링(37)이 하향으로 압압되므로 링(37)의 하향 돌출부(39)는 가스켓(40)과 밀봉 접촉된다. 링(37)과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 a) 사이에는 또 다른 가스켓(41)이 배치되므로, 격실(31 a)은 그 반경 방향 최외부에서 폐쇄될 수 있다. 가스켓(40)에 돌출부(39)가 접한 지점에는 배출구(43)을 가진 격실(42)이 링(37)과 회전자 부분(1) 사이에 형성된다. 스로틀 통로(44)는 링(37)을 통해 격실(42)로부터 격실(45)까지 연장되는데 격실(45)은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a), 링(37), 플랜지(28 a) 및 가요성 부재(26 a)에 의해 형성된다.
제2도의 작동 장치는 다음의 방법으로 작동된다.
시동 위치에서 격실(17 a) 및 (29 a)는 작동 액체로 채워지고, 반면에 공간 (26 a), (13 a), (42) 및 (45)는 비워지며 대기압을 받게 된다. 분리실의 주변 배출구가 개방될 때에는 짧은 기간 동안 작동액체가 관(24 a)을 통해 통로(16 a) 및 격실(31 a)에 공급된다. 그리하여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 a)가 상향으로 압압되며, 격실(29 a) 및 (45) 사이의 연통로를 개방시키고 격실(17 a) 및 (29 a) 사이의 연통로를 폐쇄시키도록 부재(26 a)를 작동시킨다.
슬라이드 주부재(7a)의 하향 이동시에 액체가 격실(29a)로부터 격실(45)로 흘러서 격실(45)이 신속하게 채워진다. 격실(45)이 액체로 채워지고 액체 압력이 분리실(13a) 내의 액주에 좌우될 때(제1도와 관련한 앞에서의 설명 참조), 제2의 슬라이드 부재 (27a)가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 하향 압압되고 동시에 링(37)이 상향 압압되어 격실(31a)을 배출구(43)에 대해 개방시킨다. 격실(31a)과 통로(16a)내에 남아 있는 작동 액체는 그에 따라 신속하게 배출되어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a)로의 상향 압력이 해소된다.
물론 나선 스프링(38)의 강도는 격실(45)이 액체로 채워지기 전에 링(37)을 이미 상향으로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격실(45)의 크기는 격실(29 a) 및 (45) 사이의 연통로가 개방된 후에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 a)를 예정된 시점에서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제3도에 있어서 제1도와 대응되는 부분을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였으나 영문자 b를 덧붙였다.
제3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격실(17b)및 (29b) 사이는 격벽 (6b)내의 항상 개방된 복수개의 구멍(46)에 의해 연결된다. 기요성 부재(26b) 및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b)는 여기에서 단지 격실(29b) 및 (30b)사이의 연통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기능만 갖는다. 점선(47)은 슬라이드 주부재(7b)의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위치에서 이 슬라이드 부재는 격벽(6b)내의 구멍(46)을 부분적으로 폐쇄한다.
제3도의 작동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시동 위치에서 격실(17b)및 (29b)는 작동 액체로 채워지는 반면에 공간(16b), (31b) 및 (30b)는 비워져 대기압을 받게 된다. 분리실의 주변 배출구가 개방될 때 짧은 기간동안 작동 액체가 관(24b)과 통로(21b) 및 (16b)를 통해 격실(31b)에 공급된다. 이어서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b)가 상향 이동되어, 격실(29b) 및 (30b) 사이의 연통로가 개방된다. 회전자의 축 주위에서 연장하는 슬로트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연통로는 구멍(46)에 의해 형성된 격실(17b)및 (29b) 사이의 연통로 보다 더 크다. 따라서 격실(17b)로부터 격실(29b)로 이동하는 액체보다 더 많은 액체가 격실(29b)로부터 격실(30b)로 이동한다. 슬라이드 주부재(7b)에 교차하여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부재(26b)의 수준에서 격실(29b)이 대기압을 받는 격실(30b)과 연통될 때, 슬라이드 주부재(7b)는 신속하게 하향 이동된다. 이어서 격실(30)이 채워질 때까지 액체가 격실(29b)로부터 격실(30b)로 이동한다. 이 시간 동안에 새로운 작동 액체가 구멍(46)을 통해 격실(29b)로 흐르지만 격실(29b) 및 (30b) 사이의 연통로가 개방되어 있는 한 격실(29b)은 채워지지 않는다.
격실(30b)이 채워질 때,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 b)는 면도에 도시한 위치로 신속하게 다시 압압되어 격실(29b) 및 (30b) 사이의 연통로를 폐쇄시킨다. 관(24b)을 통해 채널 (16b) 및 격실(31b)에 공급된 작동액체의 양에 따라서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b)는 격실(30b) 및 격실(29b)이 전부 채워질 때에만 도면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압압된다. 이 단계에서 격실(30b)내의 액체 압력은 분리실(13b)내의 액주에 의해서 결정된다.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b)가 하향 압압되고 격실(29b) 및 (30b) 사이의 연통로가 폐쇄되면, 곧 격실(29b)내의 가능한 빈 공간이 격실(17b)로부터 이동된 액체로 채워져서 슬라이드 주부재(7b)의 저면에 작용하는 액체 압력이 회전자의 중심축까지 실질적으로 연장된 액주에 일치하게 즉시 증가한다. 대체로 슬라이드 주부재(7b) 상의 신속한 압력 증가는 이 경우에 격실(29b) 및 (30b)가 액체로 채워졌을 때 제2의 슬라이드 부재(27b)가 하향 압압됨과 동시에 일어난다.
제3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구멍(46) 즉 격실(17b) 및 (29b)사이의 연통로는 슬라이드 주부재(7b)가 저부 위치에 있을 때 그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격실(17b)로부터 격실(29b)로의 액체의 흐름은 구멍(46)이 비교적 큼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드 주부재 부분의 이동에 따라 제한된다.

Claims (1)

  1.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으면서 2종 이상의 성분으로 구성된 혼합 액체용 중심 유입구 및 분리된 가벼운 물질용 중심 배출구와 회전자 주위에 위치하는 분리된 무거운 물질용 주변 배출구를 포함하는 분리실을 형성하는 회전자와, 회전자의 회전 이동중에 그 주변 배출구를 폐쇄할 수 있도록 회전자 내에서 축상 이동을 하면서 회전자와 함께 다른 폐쇄실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된 통로와 연통되는 폐쇄실을 형성하는 환상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통로 및 폐쇄실을 작동액체로 충진시켜 슬라이드부재를 상기주변 배출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유압으로 압압하도록 상기통로에 작동액체를 충진시키는 장치와, 폐쇄실로부터 작동액체를 배출시켜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주변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압압되도록 하는 회전자내에 위치한 밸브로 구성된 원심 분리기에 있어서, 보다 큰 주변 배출구의 유체통과 면적을 얻기 위해 폐쇄실로부터 작동액체를 배출시킬 때 상기통로 내에 작동액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통로(17-19)와 폐쇄실(29) 사이의 연통을 폐쇄할 수 있는 밸브 장치(26-27)로 원심 분리기를 구성하여, 상기 통로(17-19) 내의 작동 액체 압력을 실질적으로 변화없이 유지하고, 통로(17-19)내에 유지되는 작동액체로 슬라이드 부재(7)상에 작용하는 압력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기.
KR1019800002660A 1980-07-04 1980-07-04 원심 분리기용 작동 장치 KR83000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660A KR830001160B1 (ko) 1980-07-04 1980-07-04 원심 분리기용 작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660A KR830001160B1 (ko) 1980-07-04 1980-07-04 원심 분리기용 작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245A KR830003245A (ko) 1983-06-18
KR830001160B1 true KR830001160B1 (ko) 1983-06-20

Family

ID=1921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660A KR830001160B1 (ko) 1980-07-04 1980-07-04 원심 분리기용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11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3245A (ko) 198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593B1 (ko) 원심분리기 및 그 작동 방법
US3550843A (en) Sludge centrifuge
US3825177A (en) Self-dumping drum centrifuge for the clarification of liquids,equipped with a paring disk for removing the clarified liquid under pressure
EP0332639B1 (en) Operating system for centrifugal separator
US2286354A (en) Centrifugal separator
EP0197063B1 (en) Centrifugal separator
US4103822A (en) Centrifugal separator
KR100449135B1 (ko) 출구장치및그러한출구장치를구비한원심분리기
US4354632A (en) Operating system for centrifuges
US3494545A (en) Sludge level indicating device for centrifugal separators
US2178547A (en) Centrifugal separator
SU1175351A3 (ru) Центробежный сепаратор
SE465019B (sv) Centrifug med sjaelvtoemmande centrifugtrumma
US2723799A (en) Centrifugal separation
US2873910A (en) Sludge-discharging centrifugal separators
SE455838B (sv) Sjelvtommande centrifugtrumma
US3494546A (en) Centrifuge with variable discharge
GB1506628A (en) Centrifugal separators
KR830001160B1 (ko) 원심 분리기용 작동 장치
KR920010883B1 (ko) 원심분리기의 유체 수위 유지 시스템
US4643708A (en) Centrifuge operating system
GB2129715A (en) Centrifuge with a self-emptying centrifuging drum
SE451677B (sv) Centrifug med sjelvtommande centrifugaltrumma
US4758216A (en) Bowl for a centrifuge for clarifying or separating mixtures of liquids
US3985292A (en) Self-cleaning centrifuge drum with a piston valve defining one side of the sludge cha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