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592B1 - 전자악기 - Google Patents

전자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592B1
KR830000592B1 KR1019790001313A KR790001313A KR830000592B1 KR 830000592 B1 KR830000592 B1 KR 830000592B1 KR 1019790001313 A KR1019790001313 A KR 1019790001313A KR 790001313 A KR790001313 A KR 790001313A KR 830000592 B1 KR830000592 B1 KR 830000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one
memory
sound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오 가시오
Original Assignee
도시오 가시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오 가시오, 가시오 게이상기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오 가시오
Priority to KR1019790001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악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자악기에 있어서의 악음기억장치 일실시예시도.
제2도는 제1도 조작 제어회로의 상세도.
제3도는 같은 제1도에서의 악음설정 콘트롤부의 상세도,
제4도 제7도는 본 발명에서의 악음 기억장치의 타실시예시도.
제8도는 제1도의 조작 제어회로의 타실시예시도.
제9도 제11도는 초기 설정 스위치를 사용했을 경우의 악음 설정 방식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수 악음증에서 임의의 복수 악음을 설정할 수 있는 전자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자는 곡 연주기술이 숙련할정도, 즉, 음량의 증멸음질의 경연, 음색의 변경등으로 자기의 감정을 자유로이 표현하고져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다수의 음색을 1대의 악기로 임의 음출할 수 있는 전자 올겐등의 전자악기는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 어떤 연주증 음색을 변경할 수 있는 전자악기를 보면, 먼저 한 개의 타잎(Type)으로서, 드롭퍼 혹은 다브렛의 조합으로 소망의 음색을 얻도록 된 것이 있었으나, 이 경우에는 음색설정을 위한 조작이 복수조작임으로서, 곡 연주도증 곧 바로 새로운 음색으로 바꾸는 설정조작이 대체로 불가능하며, 혹시 그음색설정 조작이 될 수 있다 할지라도 그것은 상당한 시간을 끄는 롱톤(Long Tone)의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다.
또 복수스톱스위치를 구유, 각기스톱스위치는 미리 푸리 셋트 되어 있는 대응 음색을 선택하는 타잎에 있어서는, 음색 설정은 1회 조작임으로 곡 도증에 음색을 변경할 수 있으나, 음색 종류가 많아지면 그 만큼 스톱 스위치의 수도 많아져, 그 배치 구성이 복잡화 하거나, 음색 선택조작에 불편을 가져오는 것이었다.
다시, 통상 연주시에 사용되는 음색 설정스위치류의타의 것으로, 곡 도증에 음색을 변경하기위하여 미리 음색을 푸리셋트하여 두는 푸리셋트 보오드(Board)를 갖고 있는 타잎에 있어서는, 그 성성이 복잡하고 또 대형화되는 것이 전적으로 음색 설정 스위치류를 푸리셋트 보오드 위에 갖는 것은 사용 효율 및 단가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올겐등의 전자악기에서는 연주중 음색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나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있고 연주중에 무리없이 자연 음색 변경을 할 수 있는 소형으로 간단한 기능을 갖는 전자악기는 아직 존재하지 않은 것이현 실정이다.
또 이와 같은 현 실정에 감하여 연주 도증에도 용이하게 음색변경을 할수 있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전자악기를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즉, 다수(N)조의 악음을 미리설정하는 수단과, 다시 이 N조의 악음증에서 임의의 복수(M)조 (N>M>1)의 악음을 선택하여 서입할 수 있는 M개의 기억수단을 형성, 연주자가 연주 개시전에 미리 소망한 악음을 M개 기억수단을 기억하여 두고, 연주시에 이 M개의 기억 수단을 독출하고 지정하는 것으로 절환(切換) 연주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M개 기억수단은 1도 전원을 차단하면 기억내용은 파괴되고 말며, 재차 전원을 투입하여 연주함에는 그 때 M개의 기억수단에 악음을 서입하지 않으면 안되며, 악음설정이 번거로웠다. 또 M개의 기억수단에는 M회의 악음 서입 조작을 필요로하며 그 서입조작도 번거로운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각기 악음을 구성하는 다수 요소를 코오드화하여 디지탈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복수조의 기억부를 구유, 연주자가 연주중에 소망악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극히 간단한 전자악기를 제공코저 하는 것이다.
또, 하나의 초기설정스위치의 조작에 응답하여, 다수 악음중에서 미리 정해진 M개의 악음을 자동적으로 M개 기억 수단에 설정하도록 된 전자악기를 제공코져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제1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다수 악음중에서 임의복수(본예에서는 4개)의 악음을 선택하여 복수(본예에서는 4개)의 기억에리어(Area)에 기억토록하고, 연주중에 소망악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자악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연주키군(群)으로, 예 : 48개연주키(12음계×4옥타브에 상당한 음고키)가 배치되어 있으며 2는 샘프링회로(Sampling 回路)로 예 : 소정주기 클록신호를 계수하는 48진(전술한 연주키수의 대응)의 순환 계수동작을 하는 6빗트로된 바이나리 카운터(Binary)로 구성되어 있고, 각빗트출력에 의한 코오드화 신호는 입력게이트군 3및 전술한 연주키군 1에 공급된다. 따라서 연주키군 1의 각 연주키에는 순차, 키샘프링회로 2의 계수 상태에 맞춘 상이한 타이밍 신호가 공급되여, 조작된 연주기에 대응한 타이밍 신호가 전술한 입력게이트군 3에 인가하게된다.
입력게이트 군3에서 출력되는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한 키샘프링회로 2의 빗트 코오드화 신호는 기억장치 4의 복수기억에리어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게이트군 5에 공급된다. 기억장치 4는 본예에서는 제1-제4의 4개 기억에리어를 갖는 서입 및 독출 가능한 4본 레지스터로 되며, 각 기억에리어는 각각 임의로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한 6빗트로 표시되는 전술한 코오드신호를 서입기억되는 것이다. 이 기억장치 4의 제1~제4 기억에리어는 지시스위치부6의 Ⅰ, Ⅱ, Ⅲ, Ⅳ의 각 스위치에 대응부되어 있고, 이들 스위치 Ⅰ~Ⅳ 조작지시 신호는 후술하는 조작 제어회로 7를 통하여 전술한 선택게이트군 5에 공급된다.
한편, 선택게이트군 5에는 연주상태로 되거나, 악음 설정상태로 될 것인가(기억장치 4에 대한 서입지시는 독출지시 등에 해당한다)를 지령하는 절환 스위치 8조작시 반전 동작하는 반전 플립플롭(Flip Flop)(이하 F/F라 함)의 Q 측 출력이 인가되어 있다. 즉 F / F 9의 Q측 출력신회는 악음설정상태의 지령신호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악음설정상태의 지령신호는 전술한 선택게이트군 5에 인가되어 있을 때에는, 스위치 Ⅰ~Ⅳ 중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한 기억 에리어를 지정하고, 그 후에 소정연주키를 조작하고, 키 샘프링회로 2에서의 대응한 코오드화 신호를 당해 기억에리어로 서입하게 된다.
이리하여 전술한 각연주키는 전술한 절환스위치 8조작에 의한 F/F 9의
Figure kpo00001
측 출력 발생시인 연주 상태에 있어서는 곡연주용으로 사용하게 되나, F/F 9의 Q축 출력으로 악음설정 상태에서는 악음지정키로 되는 것이다. 때문에 각 연주키의 코오드화 신호는 후술되나, 미리상이한 각 소정 악음 설정 요소에 대응하여져 있는 것이다.
전술한 기억장치 4의 각 기억에리어에 기억 되어 있는 코오드화 신호는 출력게이트군 10에 공급된다. 이 출력게이트군 10은 전술한 F/F 9의
Figure kpo00002
측에서의 연주상태를 지령하는 신호가 공급되어 있을때에, 전술한 스위치 Ⅰ~Ⅳ중의 조작으로 지정된 기억장치 4의 기억 에리어의 6빗트로 표시되는 코오드화 신호를 출력하고 코오드 콘버어터(Code Converter) 11에 공급하게 된다. 코오드 콘버어터 11은 ROM(Read Only Memory) 등의 고정 기억장치로 되며, 출력게이트군 10에서 6빗트로 표시되는 각 코오드화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정해져 있다.
이보다 큰 N의 빗트 수에 변환하여 악음설정 콘트롤 부(Control 部) 12에 출력하는 것이다. 즉, 이 코오드 콘버어터 11의 각 n빗트는 악음설정요소로서 대응부되어 악음설정 콘트롤 부 12의 후술하는 각제어부에 소정 악음 설정 신호로서 인가하게 된다.
이리하여 악음설정콘트롤 부 12에는 다시 전술한 입력게이트군 3에서 발생하는 연주키 조작에 대응한 코오드화 신호 및 F/F 9의
Figure kpo00003
측에서의 연주상태 지령신호가 입력하게 되고, 연주시에는 기억 장치 4중에서 미리 스위치 Ⅰ~Ⅳ의 하나로 지정된 기억 에리어에의 기억코오드화 신호에 대응한 코오드 콘버어터 11의 빗트의 악음설정요소에 따른 소정 악음을 따라서 연주곡이 발음부 13에서 발음되는 것이다.
또, 전술한 조작제어회로 7의 상세는 제2도시와 같이, 스위치 Ⅰ~Ⅳ의 조작지시 신호는 각기 대응한 S-R플립플롭(이하 S-R F/F 라함) 7-1~7-4의 셋트 입력측에 인가되여 그 Q측 출력으로 기억에리어의 선택신호로서 전술한 선택게이트군 5에 공급된다.
또 각 S-R F/F 7-1 7-4의 리셋트측에는 자기의 스위치 조작지시신호 이외의 스위치 조작 지시신호가 오아게이트 7-5~7-8을 개하여 리셋트 신호로서 인가하게 되며, 따라서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한 S-R F/F만이 셋트되며 그외의 S-R F/F는 전부 리셋트되는 것이다.
한편, 악음설정 콘트롤부 12의 상세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코오드 콘버어터 11의 n 빗트 출력증 n1, 빗트 n2빗트, n3빗트는 각각 음량 콘트롤부 12-1, 음색발생부 12-2, 각종 효과음 제어부 12-3에 공급되어 전술한 입력게이트군 3에서 출력되는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한 코오드화신호는 입력키코오드 기억부 12-4에, 다시 F/F 9Q의
Figure kpo00004
에서의 연주상태의 지령신호는 음색발생부 12-2에 공급된다.
그리고, 입력키 코오드 기억부 12-4에 기억된 코오드화 신호는 음고 클록 발생부 12-5에 인가되여 조작된 음고키의 음고클록 주파수 신호를 음색발생부 12-2에 인가하게 된다. 또 음량콘트롤 부 12-1 및 각종효과음 제어부 12-3은 전술한 음색발생부에 공급됨으로, 악음설정 요소로 결정되는 음색을 동반한 악음이 연주키에 대응한 음고에 따라서, 전술한 연주 상태 지령시만에 발음부 13으로 발음되는 것이다.
전술한 음량콘트롤부 12-1은 예 : ADSR(Attack, Decay, Searstin, Release)로 표시되는 음량 엔베로우브 음량제어치의 상이한 복수종, A, D, S, R의 각 시간장(時間長)이 상이한 복수종 혹은 음량 엔베로우브 곡선 형식의 상이한 복수종등의 제어종류가 악음 설정요소의 n1빗트로 임의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전술한 음색 발생부 12-2는 예 : 삼각파, 구형파, 거치상파 등의 복수종 악음파형, 기억회로 혹은 ft, 율(4휘이트, 8휘이트, 16휘이트 등)을 지시하는 훨터를 제어하는 복수종의 음색 형성 회로등 각 종류가 악음 설정 요소의 n2빗트로 임의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각종 효과음 제어부 12-3은 예 : 트레몰로(Tremolo) 비브라이토(Vibrato)의 깊이의 복수종, 씬세사이저(Synthesizer)에 볼 수 있는 레조넌스(Resonance)효과, 전자올겐에 볼 수 있는 앙상블(ensemble)효과 오케스트라 효과, 리피이트효과, 하스키보이스 효과 등의 소위효과음 종류를 악음 설정 요소의 n3빗트로 임의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오드 콘버어터 11에서의 n 빗트 코오드에 의한 악음설정요소에 따라서 악음 콘트롤부 12로 하나의 효과적인 악음이 제어되는 것이고, 미리 각 연주키에 대응하여 피아노, 첸발로, 오보에등 각종 악음을 각각 상이한 악음 설정요소로서 정해 놓으면 좋다. 물론, 음색 발생부 12-2는 음량콘트롤부 12-1, 각종 효과음 제어부 12-3에서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합성제어되는 것이다.
한편, 14, 15는 지시표시부이며 절환스위치 8조작으로 악음설정상태, 스위치 Ⅰ~Ⅳ중 하나의 지정상태를 연주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연주에 앞서, 절환스위치 8조작으로 F/F 9를 악음 설정상태에 둔다.
그리고 연주곡에 의하여 복수 악음을 필요로 할 경우 연주자는 스위치 1을 조작하고, 그 후에 미리 악음 설정 요소가 각각 대응부 되어 있는 연주키의 소망한 하나를 조작하여 대응한 코오드화 신호를 기억장치 4의 제1기억 에리어에 서입한다.
이어서, 스위치 Ⅱ를 조작한 후에 소망한 연주키를 조작하여 대응한 코오드화 신호를 제2기억 에리어에 서입한다. 이와 같이 필요에 맞추어 스위치 Ⅲ, 스위치 Ⅳ에 의하여 지정되는 기억 에리어에 소망 코오드화 신호를 서입 기억하여 두는 것이다.
즉, 하나의 곡을 연주할 경우에 연주 도중으로 음색이 상이한 악음에 절환하여 효과적인 다이너믹한 연주를 할 경우 등을 위하여 미리 소망한 악음 설정 요소를 선택적으로 서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기억장치 4에 서입이 완료되면 스위치 8을 조작하고, F/F 9를 반전 동작시켜 연주 상태를 지령하여 연주가능 상태로 하여 둔다. 그리고 연주 초기의 악음에 대응한 Ⅰ~Ⅳ의 스위치중 하나, 즉 스위치 1을 지정하여 둠에 따라, 코오트 콘버어터 11출력에는 그지정된 스위치 1에 대응한 기억장치 4의 제1기억 에리어에 미리 기하여둔 코오드화신호에 대응한 n 빗트로 표시되는 악음 설정요소가 취출되어져 있음으로, 연주자는 연주키군 1을 연주 조작함에 따라, 그 악음설정 요소에 의하여 지정된 하나의 악음에 따라서 곡을 울리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부언하면, 즉,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 8을 조작하여 플립플롭 9에서 Q출력이 나오도록 설정하면, 연주키군 1은 악음설정용으로 사용되며,
Figure kpo00005
출력이 나오도록 설정하면 본래의 연주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지금, 플립플롭 9에서 Q출력이 나오게 되면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하는 키 샘플링회로 2에서의 6빗트의 코오드화 신호와, 입력게이트 3을 통하여 선택게이트 5에 공급된다. 이 선택 케이트 5는 플립플롭 9에서 Q출력이 공급되었을 때만 동작하도록 설정되여 있다.
기억장치 4는 제1~제4의 4개의 기억 에리어를 갖는 서입, 독출 가능한 레지스터이며, 선택게이트 5는 지시스위치부 6의 출력에 맞추어 4개의 기억 에리어중 한 개에 상기 코오드화 신호를 음색지정신호로서 서입한다. 따라서 지시 스위치부 6의 Ⅰ~Ⅳ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4개의 상이한 음색지정의 코오드화 신호는 기억장치 4중에 기억되며, 상기 기억장치 4에 기억된 음색지정신호를 사용하여, 이 지정음색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주를 할 경우에는 먼저 스위치 8을 1회조작하여 플립플롭 9를 반전시켜
Figure kpo00006
출력을 출력시킨다. 이 결과 선택게이트 5는 부동작상태가 되며 출력게이트 10은 동작상태가 된다. 여기서 스위치 Ⅰ~Ⅳ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기억장치 4의 4개의 기억에리어 중 하나의 기억에리어에 기억된 코오드화 신호가 코오드 콘버터 11에 공급된다. 코오드 콘버터 11은 입력된 코오드화신호에 대응한 음색등의 악음설정 요소신호를 악음설정 콘트롤 부 12에 출력한다.
한편, 입력게이트 3에서, 이 악음설정 콘트롤부에는,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한 코오드 신호가 공급되므로, 결국,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한 음고의 악음이 코오드 콘버터 11의 출력에 대응한 음색, 앤베로프로서 발음부 13에서 발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주키를 본래의 연주용에 사용하여, 예 : 스위치 Ⅰ를 사용하여 독출한 기억장치 4의 제1기억에리어중의 코오드화 신호에 대응한 음색등으로 연주하고 있을 때에 스위치 Ⅱ를 조작하면 출력 게이트 10에서 코오드 콘버터 11에는 제2 기억 에리어 중의 코오드신호가 공급됨으로 이번에는 이 제2 에리어안의 코오드화 신호에 대응한 음색등에 의한연주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도의 실시예에서, 기억장치 4에 기억되는 것은 조작키에 대응하여 얻어진 코오드화 신호이며, 음색등을 결정하는 실제의 악음설정요소 신호를 코오드 콘버터 11에서 얻기 위한 메모리 색숀 지정정보이다.
하편, 후술하는, 제11도에 표시한 실시예와 같이 악음코드메모리(106)에서 독출한 음색정보를 직접적으로 제2메모리 수단인 기억장치(108)의 메모리 에리어 M1~M4중 어느 한 스위치(S1~S4)의 출력을 사용하여 서입하도록 하여도 같은 실시가 된다.
또 그 연주 도중에 연주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이한 악음을 절환코져 할 때에는 그 직전에 스위치 1이외의 소망스위치(예 : 스위치 Ⅲ)를 순간적으로 조작하면 다음 연주키의 조작에서는 스위치 Ⅲ에 의하여 지정된 제3기억 에리어의 기억코오드화 신호에 대응한 악음설정 요소에 따른 악음으로 곡이울리게 되는 것이다.
제4도 내지 제7도는 타 실시예시도로서, 제1도와 동일 개소는 동일부호를 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에서의 제1도와 동일 개소는 동일부호를 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에서의 제1도와 상이한 점은 제1도의 코오드 콘버어터 11이 입력게이트군 3과 선택게이트군 5사이에 코오드 콘버어터 16으로서 설정한 것이다. 즉, 이에 따라 기억장치 4의 각 기억에리어에는 n 빗트의 코오드로 표시되는 악음 설정요소를 다이렉트(Direct)로 기억시키는 것이다.
제5도는 제1도의 기억장치 4를 RAM(Randum Access Memory)으로 구성하여 있고, 따라서 조작제어회로 7에서의 조작지시신호를 RAM의 어드레스 지령신호로 함과 동시에 F/F 9의 Q측 출력이 「0」일때에서입(Light) 지령을, 「1」일때에 독출(Read) 지령을 RAM에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입력게이트군 3출력에 발생하는 코오드화 신호를 버퍼(Buffer) 메모리 18에 조작된 연주키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일단 기억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5도의 경우에는, RAM 17에 라이트 지령이 발생되여 있는 상태로서 연주키를 조작하여 대응한 코오드화 신호를 버퍼 메모리 18에 기억한 후에 스위치 Ⅰ~Ⅳ의 하나를 조작하여 RAM 17의 대응한 기억 에리어에 서입하게 되는 것이다.
또, 제6도는 제1도에서의 스위치부 6의 Ⅰ~Ⅳ의 스위치를 기억장치 4의 각 기억에리어에 대한 코오드화 신호의서입, 독출을 위하여 각각전용화(專用化)하고, 스위치부 6'의 Ⅰ'~Ⅳ'의 스위치를 선택게이트군 5의 게이트 선택으로 스위치부 6"의 Ⅰ"~Ⅳ"의 스위치를 출력게이트 군 10의 게이트 선택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스위치부 6'의 Ⅰ'~Ⅳ'의 조작지령신호는 오아게이트 19를 개하여 선택게이트군 5에 게이트 개방 지령으로서 인가 한다.
따라서, 버퍼 메모리 18(제5도시와 같음)에 기억된 코오드화 신호는 스위치 Ⅰ'~Ⅳ' 중 하나의 스위치 조작에 동기하여 대응한 기억 에리어에 서입하게 된다. 또 조작제어회로 7' 및 7" 출력신호는 지시표시부 20에 공급되여, 스위치부 6'의 Ⅰ'~Ⅳ" 및 스위치부 6"의 Ⅰ'~Ⅳ"지시 표시를 하는 것이다.
다시, 제1도에서는 연주키군 1은 본래의 연주용키와악음 설정을 위한 키로 겸용 사용하여져 있으나, 이들을 독립하여 형성한 예는 제7도에 표시되어 있다. 즉, 제7도에 있어서, 연주키군 21은 연주용으로서 악음설정 콘트롤부 12에 공급되며, 악음 설정키군 22와는 독립으도 되어 있고, 악음 설정키군 22는 RAM 17(제5도와 같음)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악음설정키는 하나의 키에 대응한 코오드화 신호 혹은 보수키에 의하여 대응한 코오드화 신호 혹은 복수키에 의하여 정해지는 코오드화 신호를 지정된 기억 에리어에 서입되는 것이다. 또 각도면에 있어서, 악음 설정키군 22에서의 조작키에 대응한 코오드화 신호 및 스위치부 6의 Ⅰ~Ⅳ의 스위치에 응답하는 조작 제어회로 7에서의 출력신호는 지시표시부 23에 공급되어서 연주자에 당해 지시 상태를 확인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부 6의 각 스위치 Ⅰ~Ⅳ는 제8도시와 같이 예 : 스위치 1이 그 조작중만 악음 절환을 위하여 출력게이트 10을 개하여 대응하는 제1기억에리어의 코오드화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그 스위치 1을 해리하면 자동적으로 스위치 Ⅱ~Ⅳ하나로 미리 지정되여 있는, 예 : 스위치 Ⅱ에 의한 악음에 절환토록 구성할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도, 제4도, 제7도에서의 악음설정 상태에서는, 스위치 1의 조작상태로 연주키 혹은 악음 설정키를 조작하는 것이다.
즉, 제8도에서는 스위치 1은 조작중에 응답하도록 출력되며, S-R F/F 7-2~7-4 출력은 각각 앤드 게이트 7-9~7-11을 개하여 취출한다. 또 이를 앤드게이트 7-9~7-11에는 스위치 1조작중의 신호들 인버어터 7-12로 반전한 게이트 금지신호로 인가되어져 있고, 이 스위치 1조작중에서는 출력이 금지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제1도 내지 제8도에 있어서, 악음설정 요소와는 악음 설정 콘트롤부 12에 대한 직접적인 n 빗트 코오드 뿐만 아니라, 당연히 n 빗트 코오드에 코오드 변환되기 이전의 간접적인 연주키의 코오드화 신호도 의미하는 것으로서 요는 기억장치 4에 기억된 코오드화 신호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응답하는 것인 적어도 그 기억장치에 기억되어져 있는 것을 말한다.
또 전술한 각 실시예에 형성된 코오드 콘버어터는 반듯이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악음 설정 요소로서 n 빗트도 필요치 않을 경우에는 키 샘프링 회로에서의 6빗트 그대로를 악음 설정요소에 대응부하는 것도, 6빗트 보다 적게 역으로 변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 스위치 6의 Ⅰ~Ⅳ에 상당한 스위치류는 4개의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2개 이상 임의로 형성할 수 있고 조작도 손으로만 하는 것이 아니고 발로 조작할 수도 있다.
또 스위치 6의 Ⅰ~Ⅳ는 압보턴 스위치, 텃치스위치등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또 악음 설정 콘트롤 부 12의 악음 설정수단은 전술한 음량콘트롤부 12-1 음색 발생부 12-2, 각종효과음 제어부 12-3의 각 선택 종류의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외의 종류를 형성하여도, 또 역으로 극히 적은 종류로 설정하도록 하여 좋은 것은 물론이고 요는 한개의 악음을 발생함에 지정되는 일령의 요고를 설정하면 좋은 것이다.
다음에 하나의 초기 설정 스위치의 조작에 응답하여, 다수의 악음중에서 미리 정해진 M개의 악음을 자동적으로 M개의 기억수단으로 설정하는 방식에 대하여 제9도~제11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9도에 있어서, 101은 연주키 입력부로, 예 : 48개의 연주키 102(12음계×4옥타브에 상상당하는 음고키)가 배치되며, 다시 각 음고키가 공급될 키 코오드 발생회로 103을 구유, 키 코오드 발생회로 103은 각음고키에 대응하여 각각 상이한 코오드화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제9도에서는 각 음고키는 6빗트의 코오드 상태로 표현되며, 이 키코오드 발생회로 103은 악음 설정 콘트롤부 104(제1도의 12에 상당) 및 오아회로 105를 통하여 후술하는 악음 코오드 메모리 106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회로 107에 접속된다.
악음코오드 메모리 106은 다수(N) 조의 악음은 2차코오드로서 미리 기억된다. 예 ROM로 된 기억장치이다. 예 : 이 N조의 각악음은 n 빗트로 악음의 각종 요소의 지시정보를 표현하여져 있고, 이에 의하여 악음 설정 콘트롤부 104로 각종 악음 제어가 이루어 진다.
여기서, 연주키 각 10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예 : 피아노계, 키타계, 올겐계, 관현계의 악음을 지정가능하게 각각 12개의 연주키군에 분할되여 있다. 또 각 연주키는 도면 좌순으로 10진수의 「0」,「1」,「2」‥‥‥「48」번호에 대응부되여, 다시 이들이 악음코오드 메모리 106어드레스 번호에도 대응부 되여 있다. 따라서 악음코오드 메모리 106N조의 악음은 전술한 연주키의 각기에 대응하여 어드레스 지정된다.
기억장치 108은 복수(M)조 (N>M>1) 악음이 기억할 수 있는 M개 기억 에리어를 구유, 서환 가능한 예 : RAM로 구성되여져 있다. 즉, 이 기억장치 108은 전술한 악음코오드 메모리 106에 기억되여 있는 N조의 악음 보다도 적은 M조의 악음을, 그 N조 악음중에서 임의로 선택적으로 기억하는 것으로, 제9도에서는 제1~제4의 4개 기억에리어 M1~M4에 4개의 각각 상이한 악음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기억장치 108의 제1~제4의 기억에리어는 지시스위치부 109의 S1, S2, S3, S4의 각 스위치(제1도 스위치 S1~S4의 조작신호는 조작 제어회로 10(제1도 7에 대응)을 개하여 각각 오아게이트 111, 112, 113, 114에 공급된다.
그리고, 오아게이트 111~114의 각출력은 어드레스회로 115에 공급되며, 기억 에리어 M1~M4에 각각 지정하는 것이다.
한편, 116은 연주상태로 하거나, 악음 설정상태로 할 것인가를 지령하는 절환 스위치로, 그 조작신호는 그 조작때 반전 동작하는 반전 플립플롭 117에 인가되어져 있다. 그리고 F/F 117Q측 출력신호는 전술한 기억장치 108에 리이드 지령으로서, 또 악음설정 콘트롤부 104에 연주가능한 이네이블(Enable) 신호로서 인가된다.
또 F/F 117의
Figure kpo00007
측 출력신호는 전술한 악음코오드메모리 106 및 전술한 기억장치 108에 각각 리이드지령 및 라이트 지령으로서 인가된다.
따라서 절환스위치 116에 의하여, F/F 117의 Q측 출력신호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위치 S1~S4로 기억장치 108의 대응한 기억 에리어를 지정하고, 그후에 전술한 연주키를 조작하고, 그 지정된 기억에리어에 있는 악음으로 연주하는 것이다.
F/F 117의
Figure kpo00008
측 출력신호의 발생시에는, 스위치 109로 기억장치 108의 기억에리어 M1~M4를 지정함과 동시에 연주키 102를 조작하여 연주키에 대응한 악음코오드 메모리 106에서 독출하여 지정된 기억장치 108의 기억에리어 M1~M4에 서입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각 연주키 102는 전술한 절환스위치 116의 조작에 의한 F/F 117Q측 출력 발생시인 연주상태에서는 곡 연주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나, F/F 117의
Figure kpo00009
측 출력에 의한 악음 설정상태에서는 악음 지정키가 되는 것이다.
또, F/F 117
Figure kpo00010
측 출력신호는 표시기 118에 공급되여 악음 설정상태를 지시표시함과 동시에 앤드게이트 119의 일방 입력측에도 공급된다.
이 앤드게이트 119의 타방입력 측에도 초기설정 스위치 120의 조작신호가 인가되며 그 조작신호는 앤드게이트 119를 개하여 4빗트의 시프트 레지스터 121에 입력신호로서 공급된다.
시프트레지스터 121 각 빗트 단출력 a~b는 전술한 오아게이트 111~114에 공급되여 기억장치 108의 각 기억에리어 M1~M4를 순차 지정함과 동시에 오아게이트 122를 개하여 출력 게이트회로 123에 게이트 개방 신호로서 인가된다.
또 시프트 레지스터 121의 출력 a에서의 신호는 코오드레지스터 124에 리셋트 지령신호를, 출력 b~d에서의 출력은 오아게이트 125를 개하여 「+12」가산회로 126에 「+12」지령신호를 공급한다.
다시 코오드 레지스터 124는 「+12」가산회호 126에 입력되도록 되어져 있으며, 따라서 시프트 레지스터 121의 각 빗트출력 a~d가 출력될때마다 10진수 「0」,「12」,「24」,「36」에 대응한 6빗트의 코오드가 출력게이트회로 123에서 출력되며, 오아회로 105를 통하여 어드레스회로 107에 공급된다.
즉 「0」,「12」,「24」,「36」에 대응한 6빗트의 코오드는 악음코오드 메모리 106의 N조 악음을 순차 지정하는 어드레스가 된다.
그리고 이 「0」,「12」,「24」,「36」을 연주키 102위에 도시한
Figure kpo00011
☆"표에 대응한 음고키의 키코오드와 대응하여져 있음으로 따라서, 초기한정 스위치 120이 조작된 경우에는 피아노계, 기타계, 올겐계, 관현계중 대표적인 4개의 악음에 대응한 어드레스 지정이 순차 이루어져, 기억장치 108의 각기억 에리어 M1~M4에, 그 악음의 빗트지시정보가 순차 서입되는 것이다.
악음 설정 콘트롤부 104는 기억장치 108의 기억에리어 M1~M4중 지정된 하나의 기억에리어에 있는 악음지시 정보에 의거하여 악음 발생제어가 이루어지며, 절환스위치 116에 의한 연주상태시에 연주키 102의 연주 조작으로 음향 출력부 27을 개하여 그 악음을 발생시킨다.
또 악음 설정 콘트롤부 103의 상세는 전술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전술한 기억장치 108의 지정된 기억에리어에 서입되여 있는 n빗트로 된 악음요소의 지시정보중 n1, (n>n1)빗트, n2(n>n2)빗트, n3(n>n3)빗트의 각 출력은 각각 음량 콘트롤부 12-1, 음색발생부 12-2, 각종효과음 제어부 12-3에 공급되여 전술한 키 코오드 발생회로 103에서 출력되는 조작된 연주키에 대응한 코오드화신호는 입력 키코오드 기억부 12-4에, 다시 F/F 117의 Q측에서의 연주상태 이네이블 신호는 음색발생부 12-2에 공급된다.
상술한 구성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연주에 앞서 절환 스위치 116의 조작으로 F/F 117을 악음설정 상태에 둔다. 그리고, 초기 설정스위치 120을 조작한 경우에는 시프트레지스터 121출력 a~d에서 순차 출력신호가 발생 기억장치 108의 기억에리어 M1~M4가 순차 지정된다.
또 이와 동시에 코오드 레지스터 124에서의 「0」,「12」,「24」,「36」에 대응한 6빗트의 코오드가 순차 출력게이트회로 123에서 발생함으로, 순차 악음코오드 메모리 106의 대응한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따라서 기억 에리어 M1~M4에는 초기 설정 스위치 120의 1회 조작만으로 순차 악음 코오드 메모리 106에서 출력되는 악음요소의 n빗트 지시정보가 서입된다.
즉, 이 경우에는 제9도시의 연주키 102중 "☆"표가 부가된 연주키에 대응한 악음이 기억장치 108에 설정되는 것이다.
일방, 초기 설정스위치 120으로 미리 결정된 악음 이외의 악음을 연주자가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예 : 연주자가 소망한 스위치 S1을 조작하고, 그후 미리 악음 설정요소가 각각 대응부 되여 있는 연주키의 소망하나를 조작하여 전술한 악음 코오드 메모리 106에 있는 대응 악음을 기억장치 108의 제1기억 에리어 M1에 서입한다.
다시 필요에 맞추어 스위치 S2를 조작하고 그후 소망연주키를 조작하여 대응한 악음을 전술한 악음코오드 메모리 106에서 기억장치 108의 제2기억 에리어에 서입한다.
이와 같이 필요 맞추어 스위치 S3, 스위치 S4에 의하여 지정되는 기억메모리 M3, M4에 소망 악음을 서입, 기억하여 두는 것이다.
즉, 하나의 곡을 연주할 경우에 연주도중 음색이 상이한 악음으로 절환하여 효과적이고 다이너믹한 연주를 하고저 할 경우를 위하여 미리 소망한 악음을 선택적으로 서입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기억장치 108에서 서입이 완료하면, 절환스위치 116을 조작하고 F/F 117을 반전 동장시켜 연주상태를 지령하고 연주 가능상태로 하여 둔다.
그리고 연주 초기의 악음으로서 예 : 스위치 S1을 지정하여 둠에 따라, 기억장치 108의 제1기억 에리어 M1에 미리 기억하여 둔 n빗트로 표시된 악음 요소의 지시정보가 악음 설정 콘트롤부 104에 공급되어져 있음으로, 연주자는 연주키 102를 연주 조작함으로서, 그 악음에 따라서 곡을 울리게 된다.
또 그 연주 도중에 연주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이한 악음으로 절환하고져 할때에는 그 직전에 스위치 S1이외의 소망스위치(예 : 스위치 S3)을 순간적으로 조작하면 다음 연주키의 조작으로 부터는 스위치 S3으로 지정된 제3기억 에리어 M3에 있는 악음을 따라서 곡이 울리게 되는 것이다.
제10도는 타의 실시예시도로서, 제9도와 동일 개소와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10도에 있어서 기억장치 108에는 오아회로 105를 개하여, 연주키 102의 키코오드가 직접 서입토록 하고, 전술한 n빗트로 된 악음 요소 지시 정보는 코오드 콘버어터 128을 개하여 악음 설정 콘트롤 부 104에 공급된다. 이 코오드 콘버어터 128은 기억장치 108에서 출력되는 6빗트로 된 키코오드를 대응한 n빗트에 코오드 변환하는 것으로 예 : ROM으로 구성된다.
또 129는 이니셜(Initial) 코오드 메모리 이며, 초기설정 스위치 120의 1회 조작으로 전술한 대표적인 악음에 대응한 4개의 키코오드가 기억되어져 있다.
그리고 시프트 레지스터 121에서의 출력 a~d에 대응하여 순차 어드레스 회로 130으로 어드레스 지정됨으로서, 출력게이트회로 122, 오아회로 105를 개하여 자동적으로 기억장치 108의 각 기억에리어 M1~M4에 서입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11도는 다시 타 실시예시도로서, 제9도와 동일개소는 동일부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1도는 기본적으로는 초기설정스위치 120을 전원스우치 131로 하고, 전원 온시에 자동적으로 기억장치 108에 악음 코오드 메모리 106에서의 n빗트 악음요소의 지시정보를 서입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132는 전원회로를 표시한 것으로, 통상의 강압회로(降壓回路) 133, 정류회로 134, 정전압회로 135로되며, 전원 스위치 131의온상태로 DC전압을 얻는다.
이 전원회로 132의 출력은 도시한 각부에 공급됨과 동시에 파워온(Power on) 검출회로 136에도 공급된다.
따라서 전원스위치 131이 온시에 파워온 검출회로 136에서 출력신호가 취출되며 그 출력신호는 전술한 F/F 117에 리셋트신호, 시프트 레지스터 121에 입력신호, 코오드레지스터 124에 리셋트 신호로서 인가된다.
이와 같이 제9도~제11도에서는, 전원스위치 131을 포함한 초기 설정 스위치 120으로, 1회 스위치조작으로, N조 악음중 특정의 M조 악음을 자동적으로 기억장치 108에 선정토록 하였음으로, 그 선정 동작이 간소화되는 것이다.
또, 전술한 제9도~제11도로 설명한 초기 설정스위치로 기억장치 108에 서입되는 악음은 피아노계, 기타계, 올겐계, 관현계의 악음은 임의 악음으로 양호하고, 또 타의 악음계에도 좋다.
다시, 기억장치 108 기억 에리어는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개 보다도 적은 M개이면 좋다. 뿐만 아니라 초기 설정 스위치는 하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각 스위치마다 복수의 악음을 미리 대응부하여 두는 것이 좋다.
다시 N조의 악음은 연주키의 수에 반듯이 대응하는 것은 아니고, 연주키의 겸용상태를 절환하는 별도스위치를 설치, 그 절환으로 각 연주키를 복수의 악음 지정이 될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은 것이다.
또 N조의 악음은 연주키 수 보다도 적어도 좋은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각 실시예 구성은 본 발명 일예를 거시한 것에 불과한 것이나,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은 범위에서 여러가지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이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악음 설정을 위한 각 요소를 전자적으로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복수로 형성, 또 각 기억수단에 맞추어 이를 지시하는 스위치 수단을 설치, 스위치수단에 대응한 기억수단에 대하여, 다수의 악음설정 요소중 하나를 임의 선택하여 서입할 수가 있도록 되었음으로, 연주자가 연주 개시전에 미리 소망한 악음 설정 요소를 복수개기억시켜 둠으로서 연주도중에 음색 변경을 시키고져 할때에 미리 설정되여 있는 복수중의 타악음 설정요소로 절환 연주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악음 설정을 위한 종래와 같이 스위치를 극히 간소화 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가 가능한 전자악기가 되며 연주자는 복잡한 악음 설정 조작함이 있어 간단히 1회 조작으로 악음 설정을 할 수 있는 극히 간단하고 실용적인 악음 기억장치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초기 설정 스위치를 형설, 1회 조작으로, N조 악음중의 M조를 선정할 수 있음으로서 악음 선택동작이 극히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한 전자악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음색 정보를 각기 디지탈적으로 기억가능한 복수의 메모리 색숀을 갖는 제1메모리수단(11,106)과 이제 1메모리 수단(11,106)보다도 적은 수의 메모리색숀을 갖는 제2메모리 수단(4,108)과, 상기 제1메모리수단(11,106)의 적어도 한 개의 메모리 섹숀의 음색정보를 독출(讀出)하거나, 혹은 이 메모리섹숀을 지정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이 정보를 상기 제2메모리 수단의 소망한 한개의 메모리섹숀에 서입(書
    Figure kpo00012
    )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2메모리수단(4,108)에 접속되여 소망한 1개의 메모리섹숀에 지정하여 기억되어져 있는 정보를 독출하는 지정수단(6,7,10,109)과, 이 지정수단의 지정에 맞추어 독출된 정보에 의거한 음색의 악음을 생성하는 악음성수단(12,104)등을 구비하여서 된 전자악기.
KR1019790001313A 1979-04-25 1979-04-25 전자악기 KR830000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313A KR830000592B1 (ko) 1979-04-25 1979-04-25 전자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313A KR830000592B1 (ko) 1979-04-25 1979-04-25 전자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592B1 true KR830000592B1 (ko) 1983-03-15

Family

ID=1921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313A KR830000592B1 (ko) 1979-04-25 1979-04-25 전자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59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1322A (en) Ton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for generating sounds
JPS61176991A (ja) 電子楽器
JPS6226477B2 (ko)
JPS58134692A (ja) 音色設定装置
JPS6326869Y2 (ko)
JPS6230635B2 (ko)
US4624170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automatic accompaniment function
US4327622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realizing automatic performance by memorized progression
JPS6157640B2 (ko)
US4283983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134679B2 (ko)
US4481853A (e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inputting rhythmic patterns
JPH0149958B2 (ko)
KR830000592B1 (ko) 전자악기
JPS6028359B2 (ja) 電子楽器
JPS6331789B2 (ko)
JPS628797B2 (ko)
JP2660456B2 (ja) 自動演奏装置
US5260509A (en) Auto-accompaniment instrument with switched generation of various phrase tones
US5418324A (en) Auto-play apparatus for generation of accompaniment tones with a controllable tone-up level
JPS6029958B2 (ja) 電子楽器
JPH06259070A (ja) 電子楽器
JPS6336345Y2 (ko)
JPH0313994A (ja) 電子楽器
JPS6318200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