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211B1 - 왕복엔진이나 펌프용 제어 가능한 유압밸브 기어 - Google Patents

왕복엔진이나 펌프용 제어 가능한 유압밸브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211B1
KR830000211B1 KR1019790001889A KR790001889A KR830000211B1 KR 830000211 B1 KR830000211 B1 KR 830000211B1 KR 1019790001889 A KR1019790001889 A KR 1019790001889A KR 790001889 A KR790001889 A KR 790001889A KR 830000211 B1 KR830000211 B1 KR 83000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cylinder
input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쥘겐 쥘넬 한스
푸훌만 월프강그
Original Assignee
리칼드 바우얼 쿠르트 쿠클라
마쉬넨파브릭 아우그스부르크-뉘른베르크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칼드 바우얼 쿠르트 쿠클라, 마쉬넨파브릭 아우그스부르크-뉘른베르크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리칼드 바우얼 쿠르트 쿠클라
Priority to KR101979000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1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F01L9/11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 in which the action of a cam is being transmitted to a valve by a liquid 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왕복엔진이나 펌프용 제어 가능한 유압밸브 기어
제1도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밸브기어의 단면도.
제2도는 출력 피스톤의 상부 확대도.
본 발명은 왕복 엔진이나 펌프용 제어 가능한유압밸브 기어에 관한 것으로, 이는 캠에 의해 작동가는하고 제어 모서리를 마련하고 입력 실린더안에 삽입된 입력 피스톤과, 밸브를 직접 구동하고 출력실린더안에 안내되는출력피스톤과, 두 실린더를 상호 연결하는제어 도관과, 제어유체용 저장조와, 저장조와 입력 실린더를 상호 연결하고 펌프를 마련한 재충전 도관과, 릴리이프 밸브를 마련한 귀환 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밸브기어는 독일 연방공화국 특허출원 제1264857호에서 기술되어 있다. 이는 실질적인 페쇄회로를 형성하고 재충전도관안에 애콤레이터와 압력편차에 의해 압력을 발생하는 펌프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는 일정한계치안에서 제어가능한 압력 편차에 의하여 밸브 개폐시간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밸브 개폐 시간의 변화는 배기 방출에 중대한 영향을주기 때문에 밸브 개폐시간의 일정화 및 재작동에 대한 정확한 값을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작동이 부정확하다.
이러한 이유는 두 실린더 사이의 오일컬럼(oil column)의 탄성 특성이 서로 간섭을 받을 때 여러 인자가 변화되는 사실에 기인한다. 즉 개방 초기에는 밸브 밀폐시간과 양정이 동시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어 유체, 일반적으로 오일이 작동중에 공기 함유량이 변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공기함유량의 변화는 오일 컬럼의 탄성 특성에 상당히 큰 변화를 일으킨다. 만일 공기가 제거된 오일을 사용하면 해결점을 찾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앞에서 언급한 세인자를 조합하므로써 좋은 결과로 이끌어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공기가 제거된 오일은 없다.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진공 처리된 오일조차도 제거후 짧은 시간동안 공기에 정적으로 노출되고 펌프와 밸브, 귀환도관 그리고 저장조를 통화할 때 더욱 많이 공기를 흡수하여 일부는 용해되고 일부는 혼합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 이에 관한 세 인자는아주 짧은시간에 변화되고 원하는 목적에 따라 완전히 조화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제어 유체의 공기 함유량을 고려함과 동시에 온도에 따라 탄성 특성이 증가되는 예견하기 어려운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기술된 밸브기어와 다른 모든 형태의 밸브기어는엔진의 경우에 피할수 없는 온도 변화에 의해 그 제어에 실패하기 쉽다.
미국 특허 제2602434호에는제어 가능한 유체 밸브기어가 설명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밸브의 개폐는 피스톤이 회전할 때 입력피스톤상에 마련된 경사단면에 의한 제한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개방 행정은 출력시스템에서도 같은 형태로 변화된다. 제어유체의 배출 또는 연속배출을 고려하지 않아 인자의 변화와 바람지하지 않은 상태가 짧은 시간후에 발생되기 쉽다. 또한 여기서는 온도 변화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
설명된 형태의 두 밸브기어에서 입력 실린더와 출력실린더사이의 도관에서 거의 영구적인 진동을 일으키는 같은 오일 컬럼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오일 컬럼이 장기간 진동하는 경우에 특히 연속적으로 압력이 변화하는 상태에서는 오일이 재생될지라도 오일의 탄성특성이 변화되기 쉬워서 오일의 특성이 저하된다.
끝으로 내연기관용 유압 밸브기어가 독일연방 공화국 특허 제476440호에 도시되어 있는바, 이에는 상당량의 제어 유체는 각 제어 행정동안 입력 실린더에 의하여 밸브를 개방시키는 데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이 이동된다. 잉여 유체는 출력 피스톤에 연결된 배출 밸브에 의하여 배출되고 기포를 동반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일정량의 배출되므로써 과열의 방지와 제어 유체의 재생을꾀하였지만 밸브 개폐 시기 및 밸브 양정의 제어를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장치의 전수명동안 일정하게 유지되고 엔진의 정지 및 제시동후 재실시할 수 있는 밸브개폐시기의 제어를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앞에서 언급한 모든 단점을 제거한 형태의 제어 가능한 유압밸브기어에 관한것으로 밸브의 개방시기 및 밀폐시기 그리고 밸브양정을 서로 독립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고 적절한 배출, 일정냉각 및 제어유체의 연속적인 재생등을 자동적으로 하여 정확한 제어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목적들은 다음의 구성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캠의 양정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흡수하는 애콤레이터와 입력 실린더 사이에 연속회로를 마련하고 애콤레이터가 저장조로 연결된 배출 회로에 제한장치를 갖는 구멍을 그 최상단에 갖고 있다. 또한 입력 실린더는 입력실린더의 외부의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 가능하여 입력 피스톤을 감싼 그 축방향안에 그 끝단에서 끝단까지 배치된 두 회전가능한 제어 슬리브를 갖고 있으며 각 제어 슬리브는 입력 피스톤안에 마련된 제어 모서리(드릴 구멍통로)와 상호 작동되는제어링홈을 형성하고 있다. 하나의 제어 슬리브의 제어링홈은 밸브 개방시간의 일정 가변적 제어를 위해 출력 실린더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제어슬리브의 제어링홈은 밸브 밀폐시기의 일정가변적제어를 위해 제한 장치를통해 저장조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어 슬리브는 출력 실린더 안에도 마련되어 있어 이 제어 슬리브는 경사진 표면을 갖는 출력 실린더를 감싸도록 되어 있으며 출력 실린더의외 부로부터 작동가능한 작동장치에 의해 작동되어지며 밸브 양정을 변화시킬목적으로 제어링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입력실린더 내부는 저장조까지 연결된 배출도관과 연결되어 진다. 이러한 연결구성에서, 경사단면과 제어 링홈은 밸브 양정을 제어하는 동안에 저장조안으로 소량의 제어 유체가 흘러들어가도록 한다. 냉각기는 재충전 도관안에 마련되어 있다.
다시말해 여기에서 상호 작동되는 상호 보완적인 장치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입력실린더 내부와 연결된 애콤레이터가 밸브 양정에 의해 발생되는에너지의 대부분을 받아들어며 이 에너지는 필요한 시간에 재사용되도록 출력 실린더에 공급된다. 소량의 제어 유체는 제한장치를 통해 연속적으로 팽창되어 저장조로 귀환된다. 이에 의해 제어유체와 공기를 효과적으로 분리시킨다. 공기는 거품 형태로 배출도관의 끝에서 제거되고 동시에 제어유체는 저장조로 귀환된다. 따라서 연속적인 배출(venting)이 가능하다.
입력 실린더의 외부에 마련된 장치에 의해서 입력 실린더를 감싸고 있으며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두 제어 슬리브를 사용하므로써 밸브 개방시기와 밸브밀폐 시기를 큰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제한가능하다. 저장조앞의 제한장치는 배출을 개시하므로써 발생되는 압력 강화와 피스톤이 상방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할 때 발생되는압력증가 사이의 평형을 이루도록 밸브 밀폐시 출력 실린더로 부터 귀환되는 제어유체의 귀환량을 트로틀링(throttling) 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평형을 밀폐시기의 제어와 함께 밸브양정의 감소에 상호 작용한다.
출력 피스톤을 감싸고 있는 제어 슬리브 또한 3번째 인자, 즉 밸브 양정을 제어하는데 이는 다른 인자들과 독립적으로 제어되며, 제어 링홈과 경사 단면은 상대적으로 배치되어 밸브가 닫히기 전에 제어 슬리브에 어떤 위치에서 제어 유체의 일부가 직접 저장조로 흘로 들어가서 입력 실린더와 출력 실린더 사이에서 이리저리 진동하는 제어 유체를 점진적으로 되풀이하여 재생된다. 이것은 제어 유체의 특성 저하를 방지한다.
냉각기는 제어 유체가 입력 실린더안으로 들어가기 전의 온도와 거의 같도록 유지시켜 준다. 따라서 모든 조건이 완결되어 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애콤레이터는 입력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의 내부와 드릴 구멍통로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유압 애콤레이터로써 사용된다. 그러나 이것은 스프링 부하피스톤 애콤레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입력 피스톤안에 마련된 제어 모서리는 횡단 드릴 구멍으로 형성되고 입력 실린더 내부에 있는 길이방향의 구멍 통로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입력 실린더와 출력 실린더안의 제어 슬리브를 위한 작동장치는 본발명에서는 제어 슬리브와 각각 일체로 형성된 워엄 기어와 각 실린더를 통해 연장된 워엄으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출력피스톤의 경사 단면이 연속적으로 재생하기 위해 배출되어 지는 소량의 제어유체가 메터링(meterering; 유체의 일부가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로 흘러들어가서 윤활작용을 하도록 약간의 누수를 시키는 것)을 위해 적은 쐐기형 홈을마련하고 있다. 그 양은 제어 도관의 길이에 따라 매 행정마다 재생되는 제어 도관의 체적의 1/5 내지 1/50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 실시에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의하면, 켐(1)은 입력피스톤(2)를 작동시키는데 입력 피스톤(2)은 두 개의 측면으로 횡단된 드릴 구멍통로(4, 5)와 연통관 세로축의 드릴 구멍통로(3)을 갖고 있다. 입력 피스톤(2)은 두 회전 가능한 제어 슬리브(6, 7)안에 유일끼워맞춤(oiltight ground fit)되어 있으며 제어 슬리브는 입력 실린더(8)안에 지지되고 시일(9, 10, 11)에 의해서 서로 그리고 입력 실린더(8)에 대하여 밀봉되어 있다. 제어 슬리브(6, 7)은 워엄 (14, 15)과 맞물리며 그 외주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 워엄미어(12, 13)을갖고 있으며, 워엄은 입력실린더(8)안에 지지되고 외부 로부터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원하는 위치로 제어 슬리브(6, 7)을 회전시킨다. 제어 슬리브(6, 7)은 제어링홈(16, 17)을 각각 갖고 있다. 제어링 홈의 상부 모서리는 세로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고 그 하부모서리는 세로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만약 제어 슬리브(16, 17)이 도면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는, 입력 피스톤(2)안에 횡단드릴구멍 통로(4, 5)는 단지 그 상부 위치로 비교적 멀리 이동되어야만 제어 링홈(16, 17) 모두와 겹치게 된다. 그러나 ,제어 슬리브(16, 17)이 180°회전 되었을 때는 이러한 입력 피스톤(2)이 비교적 낮은 원치에서 일어날 것이다.
연결통로(18, 19)는 제어 링홈(16, 17)로 부터 입력 실린더(8)안의 환상홈 (2 0, 21)에 형성되어 있다.
홈(20, 21)은 드릴 구멍 통로(22, 23)과 연통되어서 이를 통해 다른 기구안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유체 회로를 통해 제어유체를 이송한다.
드릴 구멍 통로(23)은 제한장치(24)가 형성되어 저수조(31)에 연결된 배출도관 배출도관(25)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 실린더(8)의 내부(25)는 입력 피스톤(2)의 끝단에 형성되어 애콤레이터(accumulator, 27)에 드릴구멍 통로(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애콤레이터(27)는 제한장치(29)를 갖는 드릴 구멍통로(28)을 통해서 그 상단에 있는 배출도관(30)를 지나 저장조(31)에 연결된다. 상기 애콜레이터는 유압 애콜레이터이나이는 스프링 부하식 애콤레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입력 실린더(8)는 밸브(32)를 작동시키는 출력실린더(37)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32)는 출력피스톤(33)과 같이 설계된 스템(stem)이 있다. 출력피스톤(33)은 끝단면(33)을 갖고 있는데 이는 세로축(y)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제어링홈(35)와 상호작동되며 제어링홈(35) 역시 제어 슬리브(36) 안에 경사져 있다. 제어 슬리브(36)은 출력 실린더(37) 안에 안내되어 있으며 시일(38, 39)에 의해 실린더안에 밀봉되어 있다.
제어링홈(35)는 드릴구멍통로(40)을 통하여 실린더(37) 안의 링홈(41)과 연통되어 있으며 이는 드릴구멍통로(42)를 통하여 도관(43)을 지나 저장조(31)로 연결되어 있다.
워엄기어(440는 제어 슬리브(360의 외주변에 일체로 형성되어 출력 실린더(3 7) 안에 지지되어 있고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는 워엄(45)에 의해서 필요한각도 위치로 제어 슬리브(3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출력 실린더(37)의 내부(46)은 출력피스톤 (33)의 끝단면에 위치하여 드릴 구멍통로(47)을 통해서 제어 도관(48)과 연통되어 제어도관(50)을 통해 입력 실린더(8)의 드릴 구멍통로(22)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는 스프링(49)에 의하여 닫히게 된다.
최종적으로 재충진 도간(56)은저장조(31)로 부터 펌프(52), 냉각기(55) 그리고 역지 밸브(check valve, 57)을 통하여 제어도관(50)으로 연결되며 분기도관( branch circuit, 58, 60)은 역지밸브(59)를 가지며 역지밸브(57)의 앞에 애콤레이터 (27)가 연결되어 있다. 재충진 도관(56)은 또한 보상 애콤레이터(54)와 릴리이프밸브 (53)과 연결되어 있다. 본발명의 작동방법은 다음과 같다.
캠이 출력 피스톤 (2)를 상방으로 밀면초기에는 드릴 횡단 구멍통로(4)와 제어링 홈(16) 사이와 드릴횡단 구멍통로(5)와 제어링홈(17) 사이는 연결되지 않는다. 입력 실린더(8) 내의 제어유체, 양호하게는 오일은 애콤레이터(27)로 송출되어 압축된다. 소량의 오일은 제한장치(29)에서 감합되어 배출도관(30)을 통해 저장조(31)로 귀환한다. 제한장치(29)에서 감합되는 동안에 오일 및 공기는 효과적으로 분리된다. 공기는 거품 형태로 배출도관(30)을 통해 배출되고 공기 함유량이 낮은 오일은 재 상용을 위해 저장조(31)로 귀환된다. 이러한 오일 부터의 공기의 연속적인 제거는 오일 컬럼 (culumn)의 탄성적 성질을 계속 유지하게 한다.
밸브(32)의 조속 개방이 필요하면 제어 슬리브(6)는 도시된 위치로 부터 약 18 0°회전시킨다. 그러면 횡단 구멍통로(4)와 제어링홈(16)이 빨리 겹치게 된다. 제어도관(48, 50)에 의해서 제어링홈(16)과 연결된 출력실린더(37)의 내부(32)을 갖고 있는 밸브(2)가 개방되고 입력 피스톤(2)이 더 올려지면 더 큰 힘을 받아 올려지게 된다.
밸브(32)의 늦은 개방이 필요하면 제어 슬리브(6)는도시된 위치로 된다.
밸브(32)의 개방은 횡단 구멍통로(4)와 제어링홈(16)이 서로 겹치기전에 캠(1)의 회전에 상당회 진행되어야 하므로 늦게 일어난다. 그러나, 출력 피스톤(2)에 의해 제거된 오일이 종래의 기술처럼 흘러나가지 않고 압축되어서 애콤레이터(27)안에 남아 있으므로 전에너지를 밸브(32)를 개방시키기 위해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횡단구멍통로(4)와 제어링홈(16)이 겹치는 순간에 오일은 드릴구멍 통로(26)와 세로축의 드릴구멍 통로(3), 횡단구멍 통로(4), 연결통로(18)과 드릴구멍통로(22)를 통해서 저장조(27)로 부터 제어 도관(50)안으로 흘러들어 가서 밸브(32)를 전 양정으로 개방시킨다.
다시 말해 개방시간의 제어는 밸브 양정의 변화에 관계하는 것이 아니라 밸브 양정을 필요한 방법으로 계속 유지시킨다.
밸브 양정의 감소가 필요하면제어슬리브(36)를 회전시킨다. 출력 피스톤(33)의 경사면 (34)의 최하단이 조정링 홈(41)의 조정가능한 상부모서리에 도달하면오일은 드릴구멍 통로(40)과 링홈(41)을 통해서 배출도관(43)으로 들어가서 부압의 저장조(31)로 들어간다. 이것은 밸브(32)의 양정의 더 커지는것을 방지한다.
장치는 각 밸브 양정말기에 소량의 오일이 출력 피스톤(33)이나 경사단면(34)를 지나서 통로(42)를 통해 링홈(41), 드릴 구멍 통로(42)를 지나 배출도관(43)을 통과하여 저장조(31)로 들어가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는제어도관(48, 50)안의 오일 컬럼의 연속적인 진동을 방지한다.
밸브(32)의 폐쇄 시각을 변화시키려 할 때는 제어 슬리브(7)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출력 실린더의 내부(46)는 드릴횡단구멍 통로(5)와 제어링홈(17)의 겹침시기에 따라빠르게 또는 늦게 감압된다. 이러한 관계에서 밸브(32)가 매우 빨리 폐쇄되면 밀폐 단계가 이미 개시되었을때 전양정이 이루어 지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제한장치(24)는 보상효과를 갖는다. 입력피스톤이 입력 실린더(8)의 내부( 25)로 부터 제한장치(24)를 통해서 오일을 계속적으로 배출시키는 상호작용에 의해서 밸브밀폐시기가 앞당겨 졌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전밸브 양정이 이루어진다.
오일로 부터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는 다음에 의한다.
펌프(32)는 전 장치의 오일 압력이 과도한 분기점이나 협소하게 제한 위치되는 점에서 조차도 부압(negative pressure)이 발생되지 않는 충분히 높은 압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어 모서리등에서의 부압점은 유체 밀봉이지 진공밀봉인 아닌 연결부분을 통해서 장치내로 공기가 유입되기 쉬우며 오일과 친밀하게 혼합된다. 따라서 릴리이프 밸브(53)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이다.
초기 압력에서의 오일은 온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냉각기(55)를 통과해 지나간다. 애콤레이터(54)는 펌프 진동을제어한다. 역지밸브(57)는 공지의 펌프(52)에 유체의 귀환을 방지한다. 입력 피스톤(2)의 귀환 행정시 애콤래이터(27) 안에서 부압이 발생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의 안전대책으로써 분기도관(58)이 역지밸브(59)와 분기도관(60)과 함께 애콤레이터(27)를 마련하여 펌프(53)의 초기압력에 따른최소압력을 연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 의하면, 출력피스톤(33)의 경사끝단(34)는 작은 쐐기형의 노치 또는 홈(61)을 갖고 있어서 각밸브 양정동안에 배출되어 질적은양의 오일이 메터링(me tering) 되어 윤활을 원만히 하도록 되어 있다.
끝으로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애콤레이터(27)을 설계하여 그 강도의 계산을 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링(49) 력과 밸브디스크의 관성력 및 가스력을 극복할수 있는 밸브(32)의 작동력을 최대 3000N로 가정한다 이렇게 하도록 하려면 1200N/㎠의 제어도돤(48)의 압력이면 충분하다. 출력 피스톤(33)은 (직경 18mm의) 면적 2.5㎠으로 형성한다. 밸브 행정을 14mm으로 하려면 압력 오일은 매 행정당 2.52㎤이 필요하다. 제어도관(48,50)과 출력 실린더 내부(46) 그리고 드릴 구멍 통로(47)안의 오일의 불가피한 압축을 계산하여 매행정당 약 0.5㎤의 양을 부가하여 적정 기능을 하도록 총용적을 매행정당 3㎤으로 마련한다.
극단적인 조건하에서 이 3㎤이 애콤레이터(27)에 적응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애콤레이터의 압력은 3000N/㎤까지 상승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압력차 3000-12 00=1800N/㎠의 저장된다. 만일 오일의 압축성을 고려하면 공기 제거된오일에 적응되는 값이 0.7%/1000N/㎡이므로 애콤레이터의 응적은 238㎤으로 되며 직경 55mm 길이 100mm의 실린더이면 된다.
대형 기관의 경우에는 에콤레이터(27)는 그 체적의 한계 때문에 가스완충장치나 스프링 부하피스톤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자동 디젤기관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형태를 기초로하여 이러한 칫수로 취할 필요는 없다. 어떤 경우에는 간편한 칫수의 직송오일 애콤레이터가 적당하다.

Claims (1)

  1. 캠에 의해 작동되며 제어 드릴구멍통로가 마련되어 입력 실린더안에 삽입된 입력 피스톤과, 밸브 직접 가동하고 출력실린더 안에서 안내되는 출력피스톤과, 두 실린더를 연결하는 제어도관과, 제어유체용 저장조와, 펌프를 성치하고 저장조와 입력실린더를 연결하는 제충전도관과, 릴리이프 밸브를 설치한 귀환도관으로 구성되는 왕복 엔진이나 펌프응 제어 가능한 유압 밸브 기어에 있어서, 입력 실린더의 내부(25)가 그 최상단에 제한장치(29)를 갖고 있는 드릴구멍통로(28)를 갖고 있는 애콤레이터(27)에 지속적으로 그 최상단에서 배출도관(30)을 통해 저장조(31)에 연결되고, 입력실린더(8)안에서 입력피스톤(2)을 축방향으로 감싸는각 제어 슬리브(6,7)가 워엄(14, 15) 및 워엄기어(12, 13)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작동되어지고, 상기 각 제어 슬리브(6, 7)이 입력피스톤(2) 안에 마련된 드릴구멍통로(4, 5)와 상호 작동하는제어링홈(16, 17)을 형성하고, 입력 실린더 내부(25)가 밸브 개방시기의 제어를 위해 제어 슬리브(6)의 제어 링홈(16)을 통해 출력 실린더의 내부(46)와 연통되며 동시에 입력실린더 내부(25)가 밸브밀폐시기의 제어를 위해 제어 슬리브(7)의 제어링홈(17) 및 제한장치( 24)를 통해 저정조와 연통되고, 경사단면(34)를 형성한 출력피스톤(33)을 감싸는 제어 슬리브(36)가 출력 실린더안에 마련되어 워엄(45) 및 워엄기어(44)에 의해 회전가능하며 밸브양정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링홈(35)를 마련하여 출력실린더의 내부(46)가 저장조(31)과 연결된 배출도관(43)과 연결되어지고, 경사단면(34)와 제어링홈(35)가 소량의 제어유체를 각 밸브양정행정 동안 저장조(31)로 배출하도록 조화결합되고, 냉가기(55)가 재충전 도관(56)안에 설치되는 것을 톡징으로 하는 왕복엔진이나 펌프용 제어가능한 유압 밸브 기어.
KR1019790001889A 1979-06-09 1979-06-09 왕복엔진이나 펌프용 제어 가능한 유압밸브 기어 KR83000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889A KR830000211B1 (ko) 1979-06-09 1979-06-09 왕복엔진이나 펌프용 제어 가능한 유압밸브 기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790001889A KR830000211B1 (ko) 1979-06-09 1979-06-09 왕복엔진이나 펌프용 제어 가능한 유압밸브 기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211B1 true KR830000211B1 (ko) 1983-02-23

Family

ID=19211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1889A KR830000211B1 (ko) 1979-06-09 1979-06-09 왕복엔진이나 펌프용 제어 가능한 유압밸브 기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21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997614A3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привод клапанов газораспределени
US7467889B2 (en) Hydraulic driving device for concrete agitating drum responsive to engine speed
JP5469060B2 (ja) 潤滑装置およびシリンダ潤滑油を補給する方法
US4231543A (en) Controllable hydraulic valve mechanism for reciprocating engines or pumps
CN101245719B (zh) 改良的液压间隙调节器
JP2011196549A (ja) 切換弁及びこの種の切換弁を備える内燃機関
KR20170041902A (ko) 액압 기기
KR20180071261A (ko) 유체 제어 밸브
US6148789A (en) Engine-pressurized prestart oiler
US6929098B2 (en) Arrangement for lubricating bearing surfaces of a tool of a hydraulic impact hammer
US20180119611A1 (en) Length-adjustable connecting rod with a cylinder-piston assembly with an oil filter
JPH03505B2 (ko)
JPS6153454A (ja) 燃料ポンプ装置
JP2010534788A (ja) エンジン・シリンダの潤滑のための潤滑装置および油圧ピストン
CN101680461A (zh) 用于消减液压***中的压力波动的衰减器
NO170236B (no) Lineaermotor
JP2009097505A (ja) 燃料ポンプ
CN108019278B (zh) 具有用于进行长度调节的密闭的构件组的连杆
KR830000211B1 (ko) 왕복엔진이나 펌프용 제어 가능한 유압밸브 기어
KR930003541B1 (ko) 왕복운동 펌프장치
JP4887421B2 (ja) 高圧ガソリン燃料噴射用供給ポンプ
US9988952B2 (en) Combustion engine
JP2584569B2 (ja) 内燃機関用液圧弁すき間補償装置
KR20030017632A (ko) 연료 분사 장치
US5173035A (en) Reciprocating pu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