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615B1 -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615B1
KR820001615B1 KR7902880A KR790002880A KR820001615B1 KR 820001615 B1 KR820001615 B1 KR 820001615B1 KR 7902880 A KR7902880 A KR 7902880A KR 790002880 A KR790002880 A KR 790002880A KR 820001615 B1 KR820001615 B1 KR 820001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acetamide
mixture
dimethoxyphen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사꾸 미끼
아끼히데 아사노
Original Assignee
미야다께 가즈오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야다께 가즈오,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야다께 가즈오
Priority to KR790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615B1/ko

Links

Landscapes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인체 및 동물에 대해 위궤양 억제제로 유용한 다음 일반식(I)의 N-펜에틸아세트 아미드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 또는 수화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X1은 저급알콕시 그룹이고 X2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콕시 그룹이고 R은 페닐그룹, 피리딜그룹, 피리미디닐그룹 또는 벤조일 그룹이고, 이들 각각은 할로겐원자, 카바모일그룹, 저급알콕시그룹, 설파모일그룹, 아미노그룹, 저급알킬아미노그룹, 저급알킬티오 그룹, 하이드록시 그룹 및 저급알콕시카보닐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체 가질 수 있다.
현재까지, 본 발명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공지 화합물, 3,4-디하이드록시펜에틸아민(도파민으로 약기함)이 다음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참조 : L.S.Goodman 및 A. Gilmam,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Fourth Edition), P, 234,1970]
그러나, 이 화합물은, 부작용이 크며, 활성이 충분치 못하여 임상적 용도에는 부적합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궤양 억제효과가 탁월하며 해로운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임상학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일반식(I)의 화합물 및 이의 수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무독한 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이외의 목적은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은 다음 반응도식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2
상기 일반식에서 -COY는 카복실 그룹 또는 이의 작용성그룹(예 : 에스테르, 카복실산 무수물등)을 나타내며, X1, X2및 R은 상술한 바와 같다. X1, X2및 R에 기술된 "저급"이란 말은 탄소수 1내지 6의 부위를 나타낸다.
일반식(II)의 펜에틸아민을 용매존재 또는 부재하에 카복실산 또는 이의 작용성 유도체(III)와 반응시켜 본 발명 화합물을 제조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식(II)의 펜에틸아민을 카복실산 또는 이의 저급알킬 에스테르(III)와 함께 110℃내지 190℃에서 1내지 10시간동안 가열시킨다. 일반식(III)화합물중 치환체 -COY가 카복실산 무수물일 경우, 일반식(II)의 펜에틸아민을 적합한 용매중에서 냉각하에 또는 실온(예 : 20℃내지 30℃)에서 약 1시간내지 수시간동안 카복실산 무수물과 반응시킴으로써 반응을 수행한다. 이 반응에 가장 적합한 용매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이며 이 반응은 트리에틸아민 같은 산수용체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이 유익하다.
본 발명 화합물은 또한, 다음 일반식(VI)의 암모늄염을 약 110℃내지 190℃에서 약 1내지 10시간 동안 가열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Figure kpo00003
상기 일반식에서 X1, X2및 R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일반식(VI)의 암모늄 염은 일반식(II)의 화합물과 일반식(II)화합물의 동몰량을 실온에서 혼합함으로써 쉽게 얻어진다.
목적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추출, 크로마토그라피, 재결정등의 통상적 방법에 의해 분리, 정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방법에 따라, 본 발명 화합물은 보통 유리 염기로 수득되나, 필요한 경우 공지의 방법에 따라 이의 약학적으로 무독한 산부가염 형태로 수득할 수도 있다.
출발물질 중에서 일반식(III)의 화합물은 신규의 화합물이며 공지의 반응, 예를 들면 일반식(V)의 아민을 다음 일반식(VII)의 화합물과 반응시켜(후술한 실시예에 기술하였음)제조할 수 있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여기에서 Z는 할로겐원자이고 - COY는 상술한 바와 같다.)
특히 관심을 끄는 본 발명 화합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페에틸) 아세트아미드, 2-(2-카바모일-5-클로로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및 2-(페닐아미노)-N- (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틸펜에틸) 아세트아미드의 약학적 제법을 더 조사하면, 이 화합물의 유리염기 및/ 또는 산부가염을 물로 처리하여 3분자의 결정수를 갖는 신규의 수화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알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수화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유리 염기 및/또는 산부가염을 물에 현탁 또는 용해시키고 실온 또는 상승된 온도(현탁액이나 용액의 비점이하)에서 약 10분 내지 20시간 교반한 다음, 같은 온도 또는 냉각하에 방치하여 수화물의 결정을 침전시킨다. 생성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으고 실온에서 공기 건조시켜 소기의 수화물을 수득한다. 유리염기 및/또는 산부가염을 물에 용해시킬 때에, 적합한 친수성용매 예를 들면 저급알콜, 아세톤, 디옥산 등을 첨가하면 화합물의 용해도가 증가한다.
수득된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 아세트아미드는 3분자의 결정수를 갖는 신규의 화합물이며, 결정수의 존재는 원소분석, 융점, 시차열부석, 적외석 흡수 분광법, X-레이 분석 등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화물은 캅셀, 정제, 산제, 입제등과 같은 약학적 제제를 만드는데 중요한 인자인, 안정한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을 가지므로, 본 발명 화합물중 하나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 수화물의 안정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등온흡수 곡선 측정의 결과로서, 본 발명의 수화물은 상승된 온도에서 고습도하에 서로 매우 안정하다는 것을 알수 있는데 상대임계 습도를 가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박층크로마토그라피로 조사하면, 수화물은 실온의 메탄올 중에서 48시간동안 안정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 사실은 약학적 제제를 만드는데, 용매로서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수화물과 여러가지 첨가제(예 ; 담체, 희석제등)위의 혼합물을 가속 조건하에, 즉 상승된 온도에서 한달간 고습도하에, 또는 한달동안 2,500룩스의 광조사(光照射)하에 방치시켜도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수화물과 여러종류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의 안정성을 다음 표 1에 기술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6
참조 1. ―, +, +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 색의 변화가 없음 ± : 색의 변화가 약간 있음 + : 색의 변화가 뚜렷함
참조 2. 100mg의 수화물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활석을 제외한 첨가제 100mg과 잘 혼합하여 시료를 제조한다. 첨가제로써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활석을 사용할 경우, 수화물 10mg을 사용한다.
본 발명 화합물은, 공지의 약물에서 기대할 수 없는 우수하고 특색 있는 위궤양 억제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 화합물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해, 본 발명 화합물중 몇 가지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약학적 성질을, 대표적인 위궤양억제제중 하나인 설피라이드 [N-[(1-에틸-2-피롤리디닐)메틸]-2-메톡시-5-설파모 일벤즈아미드]의 성질과 비교하였다. 이 실험에서 시험화합물을 유리염기, 염산염 또는 수화물 형태로써 투여하였다.
표 2내지 4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N-펜에틸아세트아미드 유도체는 위궤양 특히 신경성 궤양에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수 있다.
[표 2]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표 3]
Figure kpo00009
[표 4]
Figure kpo00010
참조 1. *는 "대조군과의 차이가 유의성(P<0.05)을 가짐"을 의미한다.
**는 "대조군과의 차이가 유의성(P<0.01) 을 가짐"을 의미한다.
참조 2. 신경성 궤양에 대한 억제 효과는 Japanese Journal of Pharmacoogy, Vol. 18, 9(1968)에 기술된 수침 제한법
(Water Immersion Restraint Method)에 따라 측정함.
참조 3. 시험 동물로서, 무게가 약 300g인 7마리의 쥐를 각 투여량 단위마다 사용함.
참조 4. 수침 제한시키기 30분전에 시험 화합물을 복강내 주사하거나 경구투여함.
참조 5. 시험동물을 21℃에서 20시간동안 물에 수침, 제한시키고(표 2및 3), 21℃에서 7시간 수침, 제한시킴(표 4)
참조 6. 상기 표와 후술한 표에 기술된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다.
화합물 1 : 2-(2-카바모일-5-클로로페닐아미노)-N- (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화합물 2 :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 (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염산염
화합물 3 : 2-(페닐아미노)-N- (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염산염
화합물 4 :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 (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ㆍ3H2O
더욱이, 본 발명 화합물의 궤양 억제작용 기전은 매우 특징적이다. 즉 본 발명 화합물의 우수한 궤양억제 효과는 근본적으로 중추작용에 의한 것인데 반하여 통상적인 궤양 억제제의 궤양억제 효과는 말초작용에 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화합물은 독특한 형태의 궤양 억제제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 화합물의 중추작용은 다음 참조문헌[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Vol 13,54(1958)]에 기술된 "Shield's Method" 의 변형된 방법을 사용한, 쥐에 대한 위산분비의 억제효과 실험으로써 확인될 수 있다. 이 실험에서, 본 발명 화합물은, 인슐린 투여로 유발된 중추조절성 위산 분비는 현저하게 억제시키거나, 국소적으로 위에 작용하는 염화 카프로늄 투여로 유발된 위산 분비는 억제하지 못한다. 이 실험의 결과는 하기의 표 5 및 6과 같다.
[표 5]
Figure kpo00011
[표 6]
Figure kpo00012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화합물과 구조적으로 유사한 도파민이 궤양억제 효력을 갖는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참조 :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4th Edition, 234(1970)].
그런데 도파민은 혈액뇌관문 (blood brain barrier 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그의 궤양억제효과는 중추작용에 인한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도파민의 궤양억제작용의 기전은, 본 발명 화합물의 궤양억제작용의 기전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또한 도파민이 심장혈관계에 강력하게 작용하므로 쇼크 증후군(shock syndromes)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는 사실은 공지되어 있다. [참조 : Pharmacometrics, Vol. 8, 835 846(1974)]따라서 위궤양을 치료하는데 도파민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 화합물을 생쥐에 체중 kg당 2g (LD50)을 경구투여 했을때도 급성 독성이 적으므로, 본 발명 화합물은 인간과 동물에게 있어서 저독성 궤양억제제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 화합물을 투여할때, 통상적인 기술로 제조될 수 있는 소기의 약학적 제형, 예를 들면 캅셀, 정제, 산제, 주사액 또는 좌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적합한 투여량은, 약학적으로 무독한 적합한 담체와 희석제 예를 들면 락토오즈, 슈크로즈, 솔비톨, 전분, 젤라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함께, 성인에 있어서, 50내지 450mg정도이며, 이를 하루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한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고자 함이며,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모든 %, 비율 및 부는 중량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0.36g의 3,4-디메톡시펜에틸 아민에 0.46g의 N-(2-카바모일-5-클로로페닐)글리신을 가하고 혼합물을 질소 대기하에 175내지 185℃에서 6시간 교반한다. 냉각시킨후 혼합물을 50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클로로포름 용액을 여과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한다. 여액을 5%염산, 5%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용매를 진공하에서 증발시키고 잔사를 실리카겔 (15g)컬럼 크로마토그라피하여 클로로포름과 메탄올과의 혼합물(50 : 1 용적비)로 용출시킨다. 용출물을 농축시켜 무색 침상의 2-(2-카바모일-5-클로로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0.44g을 수득한다.
융점 : 167.5내지 169℃
[실시예 2]
2.3g의 N-(2-카바모일-5-클로로페닐)-글리신을 60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교반하면서 용해시키고, 여기에 1.8g의 3,4-디메톡시펜에틸아민을 20ml의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인 용액을 교반하면서 적가하여, 3,4-디메톡시-펜에틸아민 N-(2-카바모일-5-클로로페닐)글리신 염을 결정으로써 생성시킨다. 이 결정을 여과하여 모으고 건조시켜 융점이 181 내지 185℃인 염 3.9g의 염을 수득한다.
원소분석 : C19H24O5N3Cl
계산치 : C 55.68% H 5.90% N 10.25%
실측치 : C 55.70% H 5.92% N 10.26%
질소대기하에 상기 수득한 2.0g의 염을 190내지 200℃에서 1시간에 걸쳐 용융시킨다. 냉각시킨후 생성된 혼합물을 100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다. 불용성 물질을 여과한후, 여액을 5%염산, 50%탄산나트륨 수용액 및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사를 실리카겔(30g) 컬럼크로마토그라피하여 클로로포름과 메탄올과의 혼합물(50 : 1 용적비)로 용출시킨다. 용축물을 농축시켜 2-(2-카바모일-5-클로로페닐 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를 조결정으로써 수득한다. 수득된 조결정을 메탄올과 디에틸-에테르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이 167내지 168℃인 순수한 결정 1.2g을 수득한다.
[실시예 3]
3.6g의 3,4-디메톡시펜에틸아민과 4.2g의 N-(3-카바모일페닐)글리신 메틸 에스테르를 혼합하고, 이를 질소대기하에 110 내지 120℃에서 용융 시킨다음 같은 온도에서 6시간 방치한다. 냉각시킨후 반응 용액을 메탄올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5% 염화수소(중량부)를 함유한 메탄올 20ml를 가한다.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하에 증발, 건조시키고 잔사를 메탄올과 디에틸에테르와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이 140내지 155℃(분해)인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염산염 5.0g 을 수득한다.
원소분석 : C19H24O4N3Cl
계산치 : C 57.94% H 6.14% N 10.67%
실측치 : C 57.64% H 6.08% N 10.77%
3.0g의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염산염에 20ml의 5%탄산나트륨 수용액과 125ml의 클로로-포름을 가하고 혼합물을 상기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결정이 완전히 용해될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한다. 클로로포름층을 분리시키고 물로 세척한다음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 건조시킨다. 그 잔사를 메탄올과 디메틸 에테르의 혼합물로 부터 재결정시켜 융점이 133내지 135℃인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2.3g을 수득한다.
원소분석 : C19H23O4N3
계산치 : C 63.85% H 6.48% N 11.76%
실측치 : C 63.59% H 6.40% N 11.71%
[실시예 4]
5.0g의 N-(3-카바모일페닐) 글리신을 65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에 녹인 용액에 2.3ml의 트리클로로메틸클로로포르메이트와 10ml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의 혼합물을 환류하에 적가한다. 3시간 더 환류시킨 후 반응용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냉각, 교반시키면서 30ml의 석유에테르를 적가한다. 침전물을 여과하여 모으고 석유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융점이 160 내지 170℃(분해)인 N-(3-카바모일페닐)-N-카복시글리신 무수물 5.3g을 무색 결정으로서 수득한다. 수득한 화합물 5.3g을, 4.4g의 3,4-디메톡시펜에틸아민, 4.9g의 트리에틸아민 및 3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와의 혼합물에 빙냉하에 조금씩 가하고, 반응용액을 점차 가온하고 1.5시간 교반한다. 먼저 25ml의 10% 염산을 가하여 반응용액을 산성화 시키고, 이어서 5.3g의 탄산나트륨을 가하여 알칼리성화 시킨다. 알칼리성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시킨다. 그 잔사를 70ml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소량의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용매를 진공에서 증발건시킨다. 잔사를 실리카겔(40g)컬럼크로마토그라피하고 클로로포름과 메탄올과의 혼합물(100 : 1용적비)로 용출시킨다. 용출물을 농축시켜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를 수득한다. 실시예 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유리염기를 염화수소의 5% 메탄올 용액과 반응시켜 유리염기를 상응하는 염산염으로 전환시킨다. 이 염을 메탄올과 디에틸에테르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이 140 내지 155℃(분해)인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염산염 3.1g을 수득한다.
[실시예 5]
1.0g의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를 50ml의 메탄올에 녹인 용액에, 0.96g의 피크르산을 20ml의 에탄올에 녹인 용액을 가한다. 혼합물을 감압하에 적당히 농축시키고 방치하여 융점이 115 내지 120℃(분해)인 피크레이트 1.0g을 수득한다.
원소분석 : C25H26O11N6
계산치 : C 51.20% H 4.47% N 14.33%
실측치 : C 51.23% H 4.51% N 14.63%
[실시예 6 내지 33]
실시예 1 내지 4중 어느 하나에 기술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다른 여러가지의 N-펜에틸아민 유도체를 제조한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7에 요약하였다.
[표 7]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실시예 34]
5.0g의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염산염에, 55 내지 60℃로 가열한 물 50ml를 가하고 염산염이 완전히 녹을때까지 혼합물을 같은 온도에서 가열, 교반한다. 혼합물을 철야 방치한 후, 침전된 결정을 여과하여 모으고 물로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10동안 방치함으로써 공기 건조시켜 융점이 53.5내지 55.5℃인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3수화물 4.2g을 무색 침상으로서 수득한다.
수득된 3수화물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KBr)은 결정수로 인하여 3100내지 3600cm-1 부근에서 흡수대를 나타낸다.
원소분석 : C19H29O7N3
계산치 : C 55.46% H 7.10% N 10.21%
실측치 : C 55.29% H 7.15% N 10.32%
시차열분석에 의한 결정수의 측정 : C19H23O4N3ㆍ3H2O
계산치 : H2O, 13.1%
실측치 : H2O, 13.0%
[실시예 35]
1g의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틸펜에틸)아세트아미드 염산염을 20ml의 물에 현탁시킨 용액을 격렬히 교반하면 혼합물은 곧 점성액체가 되고 이어서 결정이 형성된다. 이를 30분간 교반한 후 결정을 여과하여 모으고 물로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10일동안 방치하으로써 공기 건조시켜, 융점이 51내지 56℃인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3수화물 0.88g을 결정성 분말형태로서 수득한다.
[실시예 36]
3.0g의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염산염에 20ml의 50% 탄산나트륨 수용액과 125ml의 클로로포름을 가하고, 염산염이 완전히 녹을때까지 이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한다. 클로로포름층을 분리시키고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하에 농축 건조시킨다. 잔사를 메탄올과 디에틸에테르의 혼합물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이 133내지 135℃인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2.3g을 수득한다.
원소분석 : C19H23O4N
계산치 : C 63.85% H 6.48% N 11.76%
실측치 : C 63.59% H 6.40% N 11.71%
0.2g의 분말상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에 100ml의 물을 가하고, 이 혼합물을 60내지 65℃에서 30분간 교반하여 분말을 완전히 용해시킨다. 잔류 액체가 40ml로 될때까지, 혼합물을 60℃에서 감압하에 농축시키고 실온에서 철야 방치한다. 침전된 무색 침상을 여과하여 모으고 물로 세척한 다음 실온에서 방치함으로써 공기 건조시켜, 융점이 54내지 57℃인 2-(3-카바모일페닐아미노)-N-(3,4-디메톡시펜에틸)아세트아미드 0.13g을 수득한다.
[실시예 A]
0.34g의 2-아미노-4-클로로벤즈아미드, 0.57g의 모노클로로아세트산, 0.90g의 요드화나트륨 및 0.24의 산화마그네슘의 혼합물에 2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가하고 이를 90내지 100℃에서 2.5시간 교반한다. 냉각시킨 후 반응혼합물을 50ml의 2.6%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붓는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50ml의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수성층에 농염산을 가하여 산성화시키면 결정이 침전된다. 이 결정을 여과하여 모으고 수성메탄올로부터 재결정시켜 융점이 217내지 222℃(분해(인 N-(2-카바모일-5-클로로페닐)글리신 0.20g을 침상으로서 수득한다.
원소분석 : C9H9O3N2Cl
계산치 : C 47.28% H 3.97% N 12.25%
실측치 : C 47.11% H 3.74% N 12.32%
본 발명을 실시예로써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가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 전문가에게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다음 일반식(II)의 펜에틸아민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음 일반식(I)의 N-펜에틸아세트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상기 일반식에서, X1은 저급알콕시 그룹이고, X2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알콕시 그룹이고, R은 페닐그룹, 피리딜그룹, 피리미디닐그룹 또는 벤조일그룹이고, 이들 각각은 할로겐원자, 카바모일그룹, 저급알콕시그룹, 설파모일그룹, 아미노그룹, 저급알킬아미노그룹, 저급알킬티오그룹, 하이드록시그룹 및 저급알콕시카보닐 그룹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환체를 가질 수 있으며, -COY는 카복실그룹 또는 그의 작용성 그룹이다.
KR7902880A 1979-08-23 1979-08-23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KR820001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880A KR820001615B1 (ko) 1979-08-23 1979-08-23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880A KR820001615B1 (ko) 1979-08-23 1979-08-23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250A Division KR820001614B1 (ko) 1982-05-22 1982-05-22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615B1 true KR820001615B1 (ko) 1982-09-11

Family

ID=1921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880A KR820001615B1 (ko) 1979-08-23 1979-08-23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61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9300452A (en) Substituted thiazolidinedione derivates
IE54896B1 (en) Pyrrolacetic amides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EP0009608B1 (en) N-phenethylacetamide compound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rapeu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JPS5989671A (ja) 2,5−ピペラジンジオン誘導体
JPS62252780A (ja) 新規なインデノチアゾ−ル誘導体及びその製造法
KR820001615B1 (ko)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US4440787A (en) Compounds with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activit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from
PL128998B1 (en) Process for preparing novel 2-amino-3-benzoylphenylacetamides and their derivatives
IE52289B1 (en) 2-amino-3(halobenzoyl)-methylphenylacetic acids,esters and salts thereof
US4507308A (en) Analgesically or anti-inflammatory effective 4-quinolyl anthranilic acid derivatives
US4143143A (en) Substituted imidazo[5,1-a]isoquinolines
KR820001614B1 (ko) N-펜에틸 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방법
US3957785A (en) Bβ-Pyrimidino-aminomethyl-10α-ergoline and 10α-methoxyergoline derivatives
US3426017A (en) Sulfonylurea compounds
US4348403A (en) 2-Amino-4-(4-benzyloxyphenyl)thiazoles, and their use in hyperlipemia
EP0039919B1 (en) Benzoxazole and benzothiazole derivatives with anti-allergic activity
KR880001715B1 (ko) 1-푸릴-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의 제조방법
Morozowich et al. Prostaglandin prodrugs I: Stabilization of dinoprostone (prostaglandin E2) in solid state through formation of crystalline C1‐phenyl esters
EP0058009A1 (en) Novel benzanilid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3354156A (en) Nu, nu'-disubstituted dithiooxamid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5098919A (en) Pyrrolo(2,1-b)thiazole derivatives
US4161532A (en) N-(1'-ethyl-2'-oxo-5'-pyrrolidinylmethyl) benzamide compounds and derivatives, method of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GB2057446A (en) 1,2,4-triazole-3-thiols
JPS6112692A (ja) 抗炎症性オキシカムの製法
AU781283B2 (en) New crystalline polymorphic form of 1-methyl-5-p-toluoylpyrrole-2-acetamidoacetic acid guaiacyl ester (MED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