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20001135B1 - 건축용 골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골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135B1
KR820001135B1 KR7902705A KR790002705A KR820001135B1 KR 820001135 B1 KR820001135 B1 KR 820001135B1 KR 7902705 A KR7902705 A KR 7902705A KR 790002705 A KR790002705 A KR 790002705A KR 820001135 B1 KR820001135 B1 KR 820001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ams
building
materials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90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더슨 레이프
Original Assignee
안더슨 레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더슨 레이프 filed Critical 안더슨 레이프
Priority to KR790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용 골조
제1도는 골조의 사시도.
제2도는 골조를 부분적으로 잘라낸 정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의 중심 단면도.
제4도는 제5도의 선(Ⅳ-Ⅳ)에 따른 골조를 형성하는 비임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선(Ⅴ-Ⅴ)에 따른 비임의 단면도.
제6도 및 7도는 각각 결합장치를 다른 두 위치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 및 제3도의 선(Ⅶ-Ⅶ)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부분적으로 잘라낸 결합장치의 분해도.
제9도 및 10도는 두 설치 위치에서 본 골조의 상세한 사시도.
본 발명은 기초대, 각 분리된 기본 소재를 종방향으로 서로 끝끼리 연결시킴으로서 각각의 완전한 하나가 이루어지게끔 하여 제작한 여러개의 수직기둥, 서로 상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건축물의 층을 형성시키는 한편 마루 구조 소재와 같은 표면 덮개 소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끝은 각각 수직기둥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된 여러개의 수평비임, 및 상술한 각 수직기둥의 기본 소재를 서로 끝끼리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 소재 및 비임을 결합장치에 연결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소재를 내포하고 있는 결합장치로 구성된 건축용 골조에 관한 것이다.
여러가지 크기의 기성자재(prefabrication)를 이용하여 집을 지을 수가 있다. 그러한 기성자재를 이용하면 건축물을 건조하는 장소 대신, 에컨대 공장에서 바로 건축물의 완성작업의 일부를 이룩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을 건립하는데 드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으며, 또한 낮은 비용을 들여 재료를 더욱 자유롭게 선택하여 더욱 정확하게 건조를 할 수 있다. 상술한 것은 기성자재로 얻을 수 있는 변화된 조건과 잇점에 관한 작은 예에 불과하며, 여러가지 형태와 크기를 갖는 기성자재를 원하는 목적과 잇점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얻는 잇점은 건축물의 배치 및 크기에 관계없이 최대로 기성자재를 얼마든지 조합하여 건축물의 여러부분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다양한 용도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단위로 구성된 건축 골조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가지 기능을 만족시킴으로서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 목적들은 수직의 기본 소재들 사이의 각 연결점에서 밑부분을 이루는 기본 소재의 상부 끝에는 그 끝에서 옆으로 바람직하기로는 서로 직교하는 네개의 비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소재가 설치되어 있는 한편 수직의 기본 소재들을 서로 끝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 소재의 제일 부분이 설비되어 있어서 수직의 두 기본 소재 사이의 연결점에서 상부를 이루는 기본 소재의 하부끝에 설비된 상술한 결합소재의 제이부분과 결합되게끔 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보면 골조의 주된 구조는 판(2)에 의해서 기초대(3)에 지지된 여러개의 수직 기둥(1)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초대는 맨땅으로 할 수 있으며, 그 위에 직접 판(2)을 안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수한 기초대, 예컨대 기초판, 기둥 또는 건축기술에서 공지된 어떤 다른 기초도 만들어서 이용할 수 있다. 여러개의 비임(4)이 수직 기둥(1) 사이에 뻗어 있다. 수평의 비임(4)은 기둥으로부터 내방향으로 뻗어서 서로 각각 90℃ 및 180°의 각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기둥으로 부터 뻗어나온 비임의 수는 건축물의 설계에서 기둥의 위치에 의존한다. 따라서 서로 직각을 이루는 건축물의 모퉁이에 위치한 기둥으로 부터는 두 개의 비임만이 뻗어 있는 반면에, 건축물의 바깥벽을 따라서 그 모퉁이 사이에 위치한 기둥은 서로 180°의 각도를 이루는 두 개의 비임을 지지하거나 서로 90°의 각도를 이루는 세개의 비임을 지지하는데 이들중 한 개의 비임은 건축물의 중심을 향하여 안쪽으로 뻗어 있다. 건축물의 중심에 위치한 기둥은 네 개의 비임을 지지할 수 있으나 두 개 혹은 세 개의 비임만이 있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비임(4)은 마루 또는 천정과 같은 건축물의 수평면을 지지하거나 또는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된 소재(5)를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소재(5)를 마루 구조 소재하고 부른다. 그러나 건축물의 꼭대기에서는 그들이 지붕을 형성한다. 마루 구조 소재(5)는 언급한대로 비임(4)에 의해 지지되며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비임위의 그들의 지지점들 사이에서 직선으로 뻗어 있다. 그러나 지붕 소재의 경우에 경사진 지붕을 형성키 위해서 소재의 모양이 삼각형이 되거나 경사진 천정과 마찬가지로 경사진 지붕을 형성하기 위해 각이진 형상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본 기술에 숙달된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단순화를 위하여 소재(5)를 단지 마루 구조 소재로서만 서술할 것이다.
제1도에서 더욱 명백한 바와 같이 기둥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여러개의 마루를 통하여 기둥들이 뻗어있으며 그러한 연결로서 기둥들은 한 층의 높이 간격을 두고 위치한 비임들의 두개 이상의 충을 지지한다. 또한 명백한 바대로 어떤 기둥은 일층 마루 구조에서 이미 끝남으로서 판(2) 및 제일층 비임(4) 사이에서만 뻗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둥의 길이는 건축의 형태 및 기둥의 위치에 따라서 틀리게 된다. 그러나 제조 및 취급의 관점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잇점을 얻기 위하여 조립체의 부분을 형성하는 여러 소재들의 수를 제한하기 위하여 기둥을 종방향의 소재들로서 분리한다. 지붕의 높이를 표준대로 일정하게 할 경우에는 두 가지 형태의 기둥 소재, 즉 판에서 제일층 비임(4)까지 뻗어있는 하부의 기초 기둥소재 및 두 층 사이에 뻗어있는 층 기둥소재 (7)로서 대부분의 필요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각 기둥 소재(6 및 7)는 그 상부끝에서 비임(4)의 끝을 동시에 하나, 둘, 셋 또는 네 개 부착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결합장치 (8)를 지지하며, 또한 다음의 둥기소재의 하부끝을 상술한 상부 끝에 연결시킬 수 있게끔 한다. 비임(4)의 끝은 결합장치(8)와 결합되게끔 배치된 장치들을 지지하고 있다. 이하에서 기둥 소재들에 대하여 그들의 결합장치 및 비임과 마찬가지로 더욱 상세하게 서술할 것이다.
제4 및 5도에 의하면 비임(4)이 웨브(9), 상부 플랜지(10) 및 하부 플랜지 (11)를 지니고 있는 Z-형의 모양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10)의 아래측에는 판(12)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은 첨단부를 지니고서 (제6도) 비임끝의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구멍(16)이 설비되어 있다. 판(12)은 한편으로는 용접된 플랜지(13)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끝판(14)에 의해 지지되어 비임(4)의 끝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며 밑바닥에는 홈(15)이 있다.
결합장치(8)가 제3도에 상세히 도시되었다. 각 결합장치는 두부분으로 분리되어서 그중의 하나는 기둥소재(6 및 7)의 상부 끝에 위치되어 있고 다른 하나는 기둥 소재의 밑바닥 부위에 위치 되어 있다. 기둥 소재의 상부 끝에 위치한 결합부분들은 기둥의 사각형 수직 측면의 끝에서 약간 아래로 삽입되어 용접 연결된 판(17)을 포함하고 있으며, 네개의 핀(18)이 상술한 판(17)으로 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각각에는 홈(19)이 설비되어 있다. 봉(20)이 그 판으로 부터 상하 양쪽으로 뻗어 있으며, 그 봉의 하부끝은 지지판(21)을 지지하고 있어서 그 속에 네개의 Z-형 지지구(22)가 측 연결되어 있는데, 이것은 지지판(21)에 연결된 둥근 측(23)에 측 연결될 수도 있다. 각 지지구(22)는 사각형 측면들 중 하나의 바로 앞 및 상술한 측면의 구멍(24) 바로 앞에 있다. 제6도에 의하면 지지구(22)는 한편으로는 도면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밖으로 벗어난 위치를 점유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도면에 바로 도시된 안쪽으로 들어온 위치를 점유함으로서 지지구가 수직 측면의 안쪽에 있을 수 있다.
기둥의 하부끝에 있는 결합장치(8)의 부위에는 제7도에서와 같이 열쇠 구멍 형상의 구멍(26)을 지닌 판(25)이 포함되어 기둥에 용접되어 있는데, 상술한 구멍은 좁고 길다란 부위와 넓고 원형인 부위로 되어 있다. 원형의 넓은 부위는 핀(18)위로 미끄러질 수 있는 반면 좁고 길다란 부위는 홈(19)에 의해 형성된 허리에 끼워지게 되고 핀(18)의 바깥 부위에는 들어 맞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판(25)에는 봉(20)을 위한 중심 구멍(27)이 나있다. 판(25)의 꼭대기에는 판(25)과 틀리는 제이판(28)이 기둥 소재의 하부끝에 용접되어 있는데 완전히 느슨하며 그 자신의 중량으로 판(25)상에 안치한다. 이 느슨한 판(28)은 네개의 구멍(29)(제8도)을 지니고 있는데 매우 커서 핀(18)의 바깥부분을 넘어서 지나갈 수 있다. 이들 구멍은 구멍(26)의 좁은 부위의 단부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어서 그 구멍과 동심적으로 구멍 단부를 이루고 있다. 판(28)은 형상이 사각형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안내된 위치에 있어서 기둥의 사각형 측면에 안에서 맞추어진다. 판(28)은 기둥소재 안에서 구멍(30)을 통하여 밖으로 부터 접근할 수 있다. 도면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히 제8도에서, 판(17)은 기둥 소재의 상부 끝의 움푹한 위치를 점유하고 있으며 홈(31)(제8도)은 기둥 소재의 측면에 설비되어 있는데 매우 깊어서 비임(4)상의 판(12)은 나머지 모퉁이(32)의 약간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데, 모퉁이(32)는 기둥의 최단부를 표시한다. 판(12)과 모퉁이 부위(32)의 끝사이의 짧은 거리는 판(25)이 하부 끝 밑으로 돌출하는 (제3도) 거리와 같아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판(25)은 홈(19)의 넓이 보다 어느 정도 약간 두껍다.
골조의 주요부 및 기둥과 비임의 결합장치를 서술하였으나, 완전한 골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부가적인 소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둥(6)은 그 하부끝에 스크루(33)가 있어서 보강부(34)를 통하여 기초판(2)으로 뻗게끔 되어 있다. 기초판(2)은 콘크리트를 보강부(34) 주위로 주조 성형시켜 만든다. 기초판(2)에 대한 스크루(33)의 높이는 너트(35)에 의해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서로 어느 정도 높이가 다른 기초판에 상관없이 골조를 수평으로 맞출 수가 있다.
더욱이 비임(4)(제2도)는 마루 구조 소재(5)를 지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여러개의 브라케트(36)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비임(4)의 하부 플랜지에는 여러개의 구멍(37)이 나있다. 마루 구조 소재는 웨브(38)를 지닌 찬넬 비임으로서 설계 되어있는데 모서리 플랜지(41)에 닿아 있는 세개의 슈트형(chuteshaped) 벤드(bend)로 설비되어 있다. 슈트형 벤드(39)는 브라케트(36)에 대하여 안착되어 있으며, 모서리 플랜지(41) 구멍(37)에 맞는 구멍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모서리 플랜지(41) 및 비임(4)의 플랜지(11)는 볼트(42)에 의해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비임(4)은 도관 안내용으로 여러개의 구멍(43)을 적당히 지니고 있다. 더욱이 골조에는 여러개의 덮개 소재가 있다. 이와 같이 제2도에 의하면 Z-형의 덮개판(44)은 비임(4)의 바로 밑 위치를 점유하고서 볼트(45)에 의해서 비임(4)의 하부 플랜지(11)에 부착되어 있다. 덮개판(44)에는 하부 플랜지(46)가 있어서 건축물의 주된 면 라이닝에 연결 고정된다. 최상부 기둥(7)은 그 상부끝에 지붕의 기초용 판(47)을 지지할 수 있다. 이 판은 상부로 돌출한 봉(2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열결 스크루(48)가 고정되는 내부의 나라로 설비된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골조의 기둥 및 비임은 개방된 여러개의 사각 개구부를 형성한다. 이들 개구부는 창문과 문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더 작은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 작업은 수직의 지주(47)(제10도) 및 수평의 중간 비임(48)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소개들은 튜브형으로 만들어진다. 이 배치에서 수직의 지주는 그 상부 끝에서 한쪽으로 구멍(46)과 유사한 열쇠 구멍 형상으로된 한쌍의 구멍(49)을 지니고 있는데, 각 구멍은 중심 중심 구멍(50)의 측면에 있다. 홈을 지닌 핀(51)이 비임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핀은 핀(18)과 비슷하며 쌓을 이루는 배열로 중심 핀(52)을 둘러싸고 있다. 핀(51 및 52)은 비임(4)의 웨브(9)에 부착되어 있는 반면에 상부 플랜지(10)에는 여러개의 구멍(53)이 있어서 비임이 설치될 때 핀(51 및 52)의 바로 앞에 위치한다. 지주(47)는 상술한 구멍(49 및 50)에 부가하여 그 반대쪽 끝에 핀(54)을 지니고 있다. 쌓으로 배열된 여러개의 구멍(55)이 지주를 따라서 설비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중간 비임에 당김 자물쇠(56)가 설비되어 비임 측면의 구멍(57)을 통하여 움직일 수 있다.
골조 설치시에 기초판(2)을 먼저 기초(3)에 위치시킨다. 언급한 대로 그들이 견고한 구조일 때는 기초때 위에 바로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그와 달리 얕게 혹은 깊게 판 구멍속에 위치될 수 있다. 지주의 최저부 또는 기둥위에 판을 안치시킬 수 있으며, 판은 주형콘크리트의 완전한 건조로 대치될 수 있다.
기초 건조가 완성되면 기둥 소재(6)가 볼트(33)에 의해 보강 부재(34)의 구멍속에 위치되어 놓여지게 되고, 너트(35)에 의해서 수평조절을 시행함으로써 모든 기둥 소재는 상부 끝이 거의 똑같은 수준에 위치하게 된다. 사실상 하부 비임(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골조는 지지대인 기둥 소재(6)로 이루어진다.
비임(4)은 핀(18)위로 미끄러져 지나치는 구멍(16)을 지닌 판에 의해서 단순히 설치되어 있어서 기둥의 모퉁이 부위(32) 사이에서 움푹들어간 상태로 안착한다. 비임을 설치할 때 대대용하는 지지구(22)는 밖으로 벗어나서 존재함으로서 판(14)의 홈(15)이 제3도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지지구에 조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임(4)은 그 끝에서 견고한 지지를 받게 되고 위치의 결정과 마찬가지로 비임 자체를 지지함으로서 요동을 할 수 없다. 지금 형성된 골조는 너트(35)에 의해서 더욱 정확하게 수평으로 위치 될 수 있다.
골조의 제일층이 형성되고, 또한 골조가 하나 또는 여러개의 마루를 지니게 되면 기둥 소재(7)가 고정된다. 그러나 제1도에 암시된 바와 같이 골조의 일정한 부위가 제일 마루를 포함토로 되어 있으며, 이들 지점에서 예컨대 지붕 발코니가 지어진다. 상부 기둥 소재(7)를 연결하기 전에 기둥 소재(6)의 상부끝 모양을 보면 제6도와 같다. 이와 같이 비임(4)의 판(12)은 핀(18)에 매달려 있으며, 비임은 기둥 측면으로부터 바로 돌출하고 있다. 핀(18) 및 봉(20)은 판(12)위로 상방으로 뻗어 있다.
제6도에는 기둥 소재와 연결된 네개의 비임이 도시되어 있으나, 또한 하나, 둘 또는 세개의 비임을 대신 연결시킬 수도 있다. 비임을 네개 미만으로 연결시키면 핀(18)상에 와샤를 사용하지 않는다. 와샤는 판(12)과 동일한 두께를 지닌다. 상부 기둥(7)은 제7도에 의하면 구멍(26)의 더 원형 부위가 핀(18)을 넘어 아래로 미끄러져 있는 데 똑같은 기둥 측면이 서로 약 45°로 변위되어 있다. 상부 기둥의 판(25)은 판(12) 및 언급한 각각의 와샤에 대하여 안치된다. 판(25)은 모퉁이를 도시하고 있는데 모퉁이 부위(13)의 내측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절단되어 있다. 언급한 대로 이들 모퉁이 부위는 상부 기둥의 끝위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둥 소재는 움직일 수 있으며 움직임은 기둥 소재의 측면이 서로 일렬로 있는 각도로 이루어진다. 또한 구멍(26)의 보다 좁은 부위의 끝은 홈(19)속에 핀(18)의 허리에 대하여 마주치게 된다.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25)의 상부면은 홈(19)이 끝나는 플랜지 뒤에 있으며 기둥은 이 배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회동시에 봉(20)은 안내장치로서 작용한다.
상부 기둥 소재(7)가 먼저 핀을 넘어서 하부 기둥 소재에 대하여 각 변위를 보이는 자신의 위치로 미끄러져가게 되면 핀의 끝이 그 구멍의 측면에서 판(28)의 바로 앞에 있게 된다. (제8도 참조) 이것은 판(28) 핀에 의해서 들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둥 소재가 잠긴 위치로 되면 핀은 구멍(29)의 바로 앞에 있게 될 것이며 판(28)은 핀을 넘어 아래로 떨어질 것이다. 그렇게 하여 기둥 소재가 잠겨짐으로써 돌 수 없게 되고 다시 하부 기둥소재로 부터 해방된다. 그러나 해체할 목적으로 기둥 소재를 다시 돌리기를 원한다면 뾰족한 포크 형태의 공구를 구멍(30)속에 삽입하여 판(28)을 들어 올리면 된다. 지금까지 상술한 기능은 제6, 7 및 8도를 보면 명확히 알 수 있다. 제8도는 비임을 지닌 두개의 기둥의 끝과 현제 상술한 설치작업 바로전의 결합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지주(47)를 연결시에 그들은 제10도에 도시된 위치로 축회동됨으로서 열쇠 구멍 형태의 구멍(49)은 자신의 보다 넓은 부위를 갖고서 핀(51)위로 미끄러져서 갈 수 있다. 따라서 구멍(50)속으로 삽입된 핀(52)은 안내 장치의 기능을 하게 된다. 지주를 수직 위치로 회동시키면 구멍(49)의 보다 좁은 부위는 홈으로 설비된 핀(51)에 대하여 잠길 것이다. 움직임이 끝날 때 돌출핀(54)은 상부 비임(4)을 결합한다. 그러나 이 비임은 일정한 항복성을 갖도록 계산되었기 때문에 지주는 핀(54)이 구멍(53)속에 꼭 들어갈 때 까지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핀(51)은 구멍(49)의 좁은 끝에서 잠긴 위치에 있게 된다.
길이에 관하여 본다면 중간 비임(48)은 두개의 지주(470 사이의 거리에 적합토록 되어 있으며, 자물쇠의 볼트를 뒤로 당겨서 이들 두 지주 사이로 비임을 집어 넣는다. 중간 비임(48)을 쌍으로 배열된 구멍(55)의 바로 앞에 위치시켜 고정한 다음 볼트를 밀어 부치면 구멍(55)속에 삽입된 돌출 볼트상에 중간 비임이 매달리게 된다.
비임(4)상의 브라케트(36)에 대한 상술한 바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마루 구조 소재는 비임(4)상에 안치되어 모서리 플랜지(41)에 의해 하부 플랜지(11)에 연결되어 있다.
구멍(37) 및 모서리 플랜지(41)를 통하여 볼트 및 너트(42)를 박음으로서 고정 작업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브라케트(36)는 마루 구조 소재의 나사 연결용 구멍으로 설비되어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요구하는 골조를 원하는 크기와 형태로 지을 수 있다. 더 많은 기둥 소재(7)를 결합 장치(8)에 대하여 사용된 상술한 방법으로 하부 기둥의 상부 끝에 부착시킴으로서 여러개의 마루가 설치될 수 있다. 지주(47) 및 중간 비임(48)의 수는 빌딩의 주요면과 분리된 벽의 개구부의 수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창문의 경우에는 창문의 상하 모서리로 하나씩 두 개의 중간 비임이 필요한 반면에, 문 개구부는 그 상부 모서리에 단 한 개의 중간 비임만을 필요로 한다. 골조를 완성한 후에 표면 덮개 소재를 배치시킨다. 마루 및 천정 소재 사이에 절연물을 삽입할 수 있다. 비임(4) 및 기둥 소재(7)을 형성된 표면에 건축물을 주요면 소재 및 창문 및 문을 각각 삽입한다. 문을 지닌 케이스내에서 분리된 벽 소재를 사각형 안쪽으로 삽입한다. 이들 벽소재는 전체로 완성된 블록의 형태로 완성되거나 패널로 구성된 여러층의 형태로 삽입되기도 한다. 패널의 특징은 건축물 외부의 주요면을 형성하는 기능에 따라서 틀릴 수도 있다. 창문 및 문은 새쉬를 포함하고서 적절히 완성된 소재의 형태로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새쉬는 다깥쪽 면에 당김 억제 장치로 적절히 설치될 수 있어서 이것이 직접 소재를 개구부의 주변 모서리상에 조여 놓는다. 지붕은 상부 구조 소재상에 지붕 소재를 적절히 안치시킴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절한 조임 연결장치로 설비될 수 있다. 그러나 완성 건축물의 골조를 완성하기 위한 상술한 보조 장치를 본 출원의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더 이상 설명하지 않겠다.
본 발명의 상술한 골조는 첫째로 강철로 만들기를 의도하는 반면에, 건축물 완성에 필요한 부수적인 소재는 나무 또는 프라스틱에 기초한 패널 형상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예로서 지붕 및 건물의 주요면에는 강판 또는 알루미늄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강철 이외에도 경금속과 같은 다른 금속을 골조의 소재 전부 또는 일부에 특수한 경우로 사용할 수 있다. 재료에 따라서 조재들을 건립하는 방식이 상술한 것에 부가적으로 어느 정도 변화될 수 있는데 비임 및 기둥을 결합 장치로서 형성 작업시 필수적으로 용접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떤 경우에도 특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필수적으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건조 및 필요에 따라 해체 작업을 할 수 있는 골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도로 느슨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서, 소재들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기둥 소재, 비임, 지주 및 중간비임을 연결하는데 볼트나 그와 유사한 형태의 어떤 느슨한 부품들은 필요하지가 않다. 이러한 배열로 인하여 골조를 극히 단시간 내에 어떤 부품도 잃어버리지 않으나, 볼트 또는 그와 유사한 작은 소재들은 잃어버리기 쉽다. 여러 소재들은 콘테이니 속에 채워 넣기에 극히 고도로 적절하게 되어 있어서, 이 목적을 위한 기둥은 그들의 측면을 따라 어떤 돌출 부분도 보이지 않는다. 측면에 설비된 고리(22)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안쪽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작업 하기 힘든 먼 장소에서 건조하기에 적합한 골조를 만드는 데 있다. 골조가 완전 분해 될 수 있으며 짐을 꾸리는데 용이한 소재들이라는 사실 때문에 수송시에 최소 필요 용적을 점유함으로서 비교적 거대한 건물일지라도 표준 크기의 한개 또는 소수의 콘테이너로 수송할 수 있다. 작은 부품이 최대로 생략되었기 때문에 수송거리가 먼 어떤 경우에 일어날지도 모르는 볼트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의 분실로 인하여 불완전한 건물이 될 위험이 완전히 제거된다는 사실은 대단히 중요하다. 골조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히 건물의 외각을 지을 수 있어서 건물 내부의 지붕 밑에서 완성작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기후가 바람직 하지 못한 지역에서 건물을 건조시에 대단히 중요하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의 기본 소재들 사이의 각 연결점에서 밑부분을 이루는 기본 소재(6)의 상부끝에는 그 끝에서 옆으로 바람직하기로는 서로 직교하는 네개의 비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소재(18,22)가 영구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한편 수직의 기본 소재들을 서로 끝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 소재의 제일부분(19)이 설비되어 있어서 수직의 두 기본 소재 사이의 연결점에서 상부를 이루는 기본 소재(7)의 하부끝에 설비된 상술한 결합 소재의 제이부분(25)과 결합되게끔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대(2,3), 각 분리된 기본 소재(6,7)를 종방향으로 서로 끝끼리 연결시킴으로서 각각의 완전한 하나가 이루어지게끔 하여 제작한 여러개의 수직 기둥(1), 서로 상하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건축물의 층을 형성시키는 한편 마루 구조 소재(5)와 같은 표면 덮개 소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그 끝은 각각 수직 기둥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된 여러개의 수평비임(4), 및 상술한 각 수직 기둥의 기본 소재(6,7)를 서로 끝끼리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 소재(19,25) 및 비임(4)을 결합 장치(8)에 연결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 소재(18,22)를 내포하고 있는 결합 장치(8)로 구성된 건축용 골조.
KR7902705A 1979-08-08 1979-08-08 건축용 골조 KR820001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705A KR820001135B1 (ko) 1979-08-08 1979-08-08 건축용 골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902705A KR820001135B1 (ko) 1979-08-08 1979-08-08 건축용 골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135B1 true KR820001135B1 (ko) 1982-06-26

Family

ID=1921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902705A KR820001135B1 (ko) 1979-08-08 1979-08-08 건축용 골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13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0002C1 (ru) Каркас здания
US3827203A (en)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US4346540A (en) Device relating to building frameworks
SK16092000A3 (sk) Spôsob výstavby budovy
US1821015A (en) Fireproof building construction
US3845592A (en) System for modular construction
US3992828A (en) Collapsible prefabricated house
US20100251630A1 (en) Constructive Disposition Used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EP0485317B1 (en) Prefabricated modular construction
WO2002066757A9 (en) A load bearing building panel
JP2020527202A (ja) バルコニー装置
KR820001135B1 (ko) 건축용 골조
US1924414A (en) Building structure
JP2969415B2 (ja) 木造建築物の軸組通しパネル
JP3269936B2 (ja) ユニット建物
JPH09125524A (ja) 建物ユニット
JP2003049484A (ja) 木造住宅の建築方法
JP7421890B2 (ja) 建物
JP3255496B2 (ja) 上下階用建物ユニットの連結方法
KR830002140B1 (ko) 건물의 조립방법
JP3796298B2 (ja) バルコニ付きユニット式建物
JPH0326804Y2 (ko)
JP2002081137A (ja) 建物ユニットおよびユニット式建物
JPH0752246Y2 (ja) プレファブルームの側壁構造
KR20240055334A (ko) 트러스 구조에 외장재를 부착한 사전제작 기둥 및 그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