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1426Y1 - 자기기록 재생장치(磁氣記錄 再生裝置)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磁氣記錄 再生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1426Y1
KR800001426Y1 KR760004083U KR760004083U KR800001426Y1 KR 800001426 Y1 KR800001426 Y1 KR 800001426Y1 KR 760004083 U KR760004083 U KR 760004083U KR 760004083 U KR760004083 U KR 760004083U KR 800001426 Y1 KR800001426 Y1 KR 800001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arrow
head substrate
record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60004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지 다까마시
Original Assignee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마 가즈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와마 가즈오
Priority to KR760004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1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1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1426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ing Of Heads In Record-Carri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磁氣記錄 再生裝置)
제 1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헤드기판 41만을 도시한 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III-III선을 따라서 절취한 부분의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IV-IV선을 따라서 절취한 부분의 확대단면도.
제 5 도는 제 2 도의 V-V선을 따라서 절취한 부분의 확대단면도.
제 6 도는 헤드기판 41과 그 이동 방향으로의 힘의 전날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제 7 도는 스톱레버, 재생레버, 녹음레버와 록크판으로 형성된 록키크기구를 도시한 평면도.
본 고안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그 헤드 기판의 구동 기구를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자기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예를들면 카세트형에 있어서는, 기록재생용의 자기헤드 및 소거헤드등이 취부된 헤드기판을 전진 및 후퇴하도록하여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로부터 보내오는 자기테이프에 대하여 헤드의 진퇴를 행하게 하고있다. 이 경우 헤드기판을 이동시키는 조작력의 작동은 거의 헤드기판의 중심부에서 이루어지도록하고 이동방향과 다른 방향성분의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의 힘은 가이드등의 마모를 초래할뿐만 아니라, 특히 전진위치에서의 헤드와 테이프와의 접촉관계를 변화시키게되므로, 기록 재생특성을 바꾸어 버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헤드 기판은 재생 및 녹음시에 전진시키고 다른 경우, 즉, 조속송출(F.F.) 그리고 되감기(REW)시에는 후퇴시켜 두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재생 버튼과 녹음 버튼을 눌렀을 때에 전진하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이 헤드기판에 가하는 힘의 작용점과 그 방향에는 제약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종래의 것들은 재생버튼을 조작했을 때에만 헤드기판을 전진시키는 구성과 녹음시에는 녹음버튼과 재생버튼과 양쪽을 조작하지 않으면 안될 구성으로 하고있다. 이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손상되고 있다. 편리함을 얻기 위하여 녹음시에는 녹음버튼만으로 조작되는 형태의 것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것들중 녹음 버튼과 재생버튼을 옆으로 나란히 배치한 것은 오동작의 원인이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또 이들 두 개의 버튼을 떼어 놓는데 있어서는 상술된 제약때문에 기구가 복잡해지기도 하고 소형화가 곤란하기도 하는 등 어느쪽으로 하여도 문제를 갖고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헤드기판의 구동기구를 개량하여 헤드기판에 가하는 힘의 작용점의 자유도를 얻고 이것으로서 설계의 용이함, 기구의 간단함, 소형화의 가능성을 실현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카세트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제 1 도에 있어서 금속판등으로 형성되는 샤시기판 11에는 두개의 릴축들 12 및 캡스턴 13, 및 장착할 테이프 카세트의 위치 결정을 하기위한 위치 결정핀들 14가 비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핀들 14에 의하여 테이프 카세트의 수평 및 수직위치(이 제 1 도에서는 테이프 카세트는 수평으로 장착된 것으로 하고 있다)가 결정되도록하여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하고, 이때 릴축들 12가 테이프 카세트의 릴 하부를 받아들이도록 하고 있다. 샤시기판 11의 한쪽단부에는 축 25에 회동 자재로 지지되는 다섯개의 압압버튼들 15-19가 비치되어 있다.
이 압압버튼들 15-19는 테이프 레코-더의 제각기 조작 모오드를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압버튼 15는 스톱버튼, 압압버튼 16은 F.F. 버튼, 압압버튼 17은 재생버튼, 압압버튼 18은 REW버튼, 압압버튼 19는 녹음 버튼등과 같이하여 사용한다. 제각기 압압버튼들에는 레버들 20-24가 제각기 계합하고 압압버튼 조작에 따라 제각기의 레버가 이동하고 제각기 작동을 행하도록 되어있다. 재생버튼 17 또는 녹음 버튼 19를 누른 경우에 녹음 재생헤드 31이 테이프에 대하여 전진하는 방향(제 1 도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같이 녹음 재생 헤드 31은 테이프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화살표 A와 반대방향)하도록 지지된다.
이 녹음 재생 헤드 31은 2개의 헤드 보호지주 33, 테이프 가이드 34, 및 소거헤드 35의 암의 축 36등과 같이 합성수지로 일체성형된 헤드취부체 32에 두 개의 비스(한개는 제 1 도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38에 의하여 헤드기판 41에 취부되어있다. 이 헤드기판 41은 제 1 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자유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취부되어있다. 코일 스프링 42는 이 헤드기판 41을 압압단추 15-19측(화살표 A와 반대방향)으로 편기(偏奇) 시키기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두개의 보호지주들 33은 녹음 재생헤드 31을 사이에 끼우듯이하여 설치되어있고 헤드 31이 전진하고 있을 때 잘못하여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하고 저할 경우는 테이프 카세트가 보호지주 33의 선단에 닿고, 헤드 31에는 닿지 않도록하여 장착되는 테이프 카세트에 의하여 녹음 재생헤드가 충격을 받거나 힘이 가해져서 주행 테이프에 대한 위치가 변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헤드 보호 지주 33과 테이프 가이드 34와 소거헤드 35의 암 39의 축 36과 이 소거헤드의 암 39를 편기시키는 코일 용수철 37의 계지부동의 여러가지 기능을 가지는 부재가 플라스틱등 합성 수지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이 일체성형된 헤드 취부체 32를 헤드기판 41에 취부한 것만으로 상기 각종 부재의 조립이 완료하므로 극히 편리하다는데 착안해야할 것이다.
또 회동 자유로 보지되어있는 핀치로울러 26은 헤드기판 41의 전진 또는 후퇴에 대응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된 기구(도시않음)로 되어있고 헤드기판 41이 전진하였을 때에 캡스턴 13에 핀치 로울러 26이 압압되도록 되어있다.
헤드기판 41은 판금등으로 제 1 도 또는 제 2 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형성되어있고 샤시기판 11에 대하여 제 1 도 및 제 2 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제 2 도, 제 3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가이드 51, 52, 53을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들 51, 52, 53은 제 3 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금속공등의 공들 54, 55, 56을 가지고 있고 이 공들을 샤시기판 11과 헤드기판 41과의 사이에 끼워서 샤시기판 11위에서 헤드기판 41을 떠있는듯이 평행으로 보지하고, 그리고 소정방향의 자유 이동성을 얻는 것이다. 제각기의 가이드들 51-53은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조로 되어있다. 즉 헤드기판 41에는 화살표 A 방향으로 평행한 가늘고 긴 돌출부(헤드 기판 41의 위에서 본 경우) 61이 홀치기 가공등에 의하여 형성되어있고 이것을 헤드기판 41의, 하면에서 보면, 가늘고 긴 凹부 62가 형성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샤시기판 11에는 가늘고 긴 돌출부들 63, 64(기판 11의 상면에서 본 경우)가 화살표 A방향과 평행으로 두줄기로 병렬되듯이 형성되어있다. 이 가공은 예를들면 홀치기 가공등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두개의 가늘고 긴 돌출부들 63, 64에 의하여 그 중간에 가늘고 긴 凹부 65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기판 41하면에 형성된 가늘고 긴 凹부 62와 샤시기판 11의 상면에 형성된 가늘고 긴 凹부 64를 일치시키도록 하고, 이들 가운데에 회전 자유로운 금속공 55를 배치한다. 이렇게하여 헤드기판 41은 화살표 A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샤시기판 11에서 떠있는 형태로 지지되는 것이다. 또 세개의 가이드들 51, 52, 53이 비치되어있는 것은 3점에 의하여 샤시기판 11에 대한 헤드기판 41의 평면을 지지하고저 함이다. 또 가이드 53에 대하여는 샤시기판 11에 형성되는 돌부가 한개밖에 설치되어있지 않으나(제 3 도 참조) 이것은 평면은 세개의 지지점에서 규정되므로, 헤드기판 41의 평면을 규정하는데는 금속공은 세개 있어야만 하나 이동방향(화살표 A방향)을 규정하는데는 적어도 두개의 가이드들 51, 52로 충분하다. 한개의 가이드의 경우에는 헤드기판 41의 비틀림이 생긴다. 따라서 가이드 53은 단지 금속공 56을 지지하여 헤드기판 41의 평면을 규정하는 것만의 역할을 가지게하고 화살표 A 방향으로의 규제를 행하는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가지게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샤시기판 11에 설치되는 돌출부가 한개로 되어있는 것이다. 또 이 결과 샤시기판 11 및 헤드기판 41에 설치하는 凹부 내지 凹부의 가공때의 각 위치 마춤의 정도를 엄밀히 할 필요성을 피할 수 있는 공작상의 이점이 있다.
이렇게하여 샤시기판 11에 대하여 일정의 거리를 보지하면서 평행으로 보지된 헤드기판 41은 상기의 구성만으로는 떨어지는 방향(상방)으로 벗어져 버린다. 따라서 샤시기판 11에 그 양단이 고정된 판나사 43에 의하여 이것을 막고 있다. 즉 헤드기판 41은 한쪽(상방)면에서 금속공 44에 압압되고 또 다른쪽(하방)면에서 세개의 금속공들 54-56에 의하여 지지되어있고 합계 네개의 금속공들에 의하여 상면, 하면을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샤시기판 11위에 보지되어있는 것이다. 상방에서 누르는 금속공 44의 탈출을 방지하고 또 헤드기판 41의 화살표 방향(및 그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화살표 A 방향과 평행한 금속공 44를 받치는 긴홈 45가 헤드기판 41에 형성되어있다.
헤드기판 41은 코일 용수철 42에 의하여 제 6 도의 화살표 A와는 반대방향으로 편기되어 있고, 이 스프링 42의 작용에 의하여 통상적으로 제 6 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다. 헤드기판 41은 지점부 73에 그 중앙이 계지된 비트림용수철로 형성되는 제한용수철 72가 배치되었고 이 제한용수철 72의 단부는 각각 계지부 74, 75에 계지되어 있다. 제한 용수철 72는 지점부 73을 중심으로하여 그 선단부가 각각 화살표 B방향으로 편기하듯이 에너지가 축적되어있고 따라서 각 화살표 B방향으로 계지부들 74, 75를 압압ㅎ고 있다. 이렇게하여 지점부 73과 계지부들 74, 75에 계합되므로서 제한 용수철 72가 헤드기판 41에 보지되어진다. 또 지점부 73, 계지부들 74, 75는 헤드기판 41에 설치된 돌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판금으로되는 헤드기판 41의 일부를 끌어 일으키듯이하여 형성하여 둔다.
이 헤드기판 41은 재생 버튼 17, 또는 녹음버튼 19가 조작되었을 때에 전진(제 6 도 화살표 A 방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 6 도 및 제 7 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재생버튼 17이 조작되면 재생레버 22가 제 7 도 화살표 E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진행된다. 녹음버튼 19를 압압한 경우에는 녹음 레버 24가 제 7 도의 화살표 E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어느 한개의 버튼을 조작한 경우에는 재생레버 22 또는 녹음레버 24의 작동부 82 또는 84가 화살표 C방향으로 진행된다(제 6 도 참조).
상기와 같이 재생레버 22 또는 녹음 레버 24가 진행되고 작동부 82 또는 84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제한용수철 72의 선단부를 누르고 따라서 제한 용수철 72를 통하여 지점부 73이 압압된 결과 헤드기판 41이 화살표 방향으로 제 6 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실선위치로 이동하여간다. 이렇게하여 헤드기판 41이 스톱퍼 71에 부딪쳐서 정지한다. 이 스톱퍼 71은 상기 위치 결정핀 14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하여 헤드기판 41의 이동이 정지되었을 경우에 다시금 압압버튼 16 또는 19를 압압하면 각각의 작동부들 82 또는 84는 또 다시 화살표 C방향으로 압압되게 된다. 이때 헤드기판 41은 화살표 A 방향으로 더이상 움직일 수 없다. 따라서 제한 스프링 72의 선단부는 작동부 82 또는 84에 의하여 화살표 C방향으로 즉 축적된 탄성편기력(화살표 B로 표시함)에 항거하여 눌리워서 변위된 결과, 그 선단부가 계지부 74 또는 75에서 이탈하게된다. 이와같이 하여 제한스프링 72는 제한작용 즉 헤드기판 41이 소정위치에 도달한 후 다시금 조작력을 가해진 경우 그 나머지 조작력의 완충흡수의 작용을 하게되는 것이다. 또 이 경우 제한스프링 72의 지점부 73이 헤드기판 41의 거의 중앙부에 있으므로 임의의 위치 예를들면 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는 작동부 82 또는 84에서 받는 힘은 항상 중앙부에 전해진다. 그 때문에 헤드기판 41은 화살표 A 방향에서 벗어난 힘의 성분을 받음이 없으므로 헤드기판 41의 이동이 부드러워지고 또 마모나 동요등이 적다. 이 때문에 각 레버들 22, 24 및 각 작동부들 82, 84의 위치를 자유롭게 설계할수 있으므로 공간효율을 향상시킨 설계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의 구조가 극히 간단한 구조이고 특히 소형화한 카세트형 자기 기록재생 장치에 적당하다. 또한 녹음버튼 19만의 조작으로 녹음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에서도 착안하여야 할 것이다.
녹음 버튼 17 또는 재생 버튼 19를 압압 조작하여 녹음 레버 24 또는 재생 레버 22를 작동시켜 헤드기판 41을 이동시킨 경우에 재생레버 22 또는 녹음 레버 24에 록크가 걸리고 헤드기판 41이 소정위치에서 보지되도록 되어있으나 이 록크 기구에 대하여 제 7 도를 참조하여 다시금 상세하게 설명한다. 녹음 레버 24 및 재생레버 22는 소정의 표시하지 않은 나사등에 의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편기 되어있으나 이를 레버들 22, 24의 위에 접하도록 하여 각 레버들 22, 24에 직각으로 록크판 89가 배치된다.
이 록크판 89는 록크편들 92, 94를 가지고 있고 이 록크편들 92, 94는 하측(제 7 도에서는 지면의 뒤쪽편)에 돌출하고 있다. 상기 재생레버 22의 작동부 82 및 녹음 레버 24의 작동부 84는 제각기 위측에 즉 제 7 도에서는 지면의 표면축에 돌출되어 있다. 록크편 92는 재생레버 22에 설치된 경사부 221에 계합하여 접동하도록 되어있는 재생레버 22가 화살표 E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 록크편 24가 경사부 221을 따라 접동하기 때문에 록크판 89가 화살표 D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이 록크판 89는 화살표 D 방향으로 도시않은 소정의 나사등에 의하여 편기되어 있고 따라서 경사부 221에 접동하여 이동하여가는 록크편 92는 최종적으로 재생레버 22에 설치된 凹부인 감합부 222에 감입하게 된다. 녹음 레버 24에 대하여도 동일하게 록크판 89에 설치된 록크편 94는 녹음 레버 24의 경사부 241을 따라 접동하도록 되어있고 또 凹부로 형성되는 감합부 242에 감합하도록 되어있다. 이렇게하여 록크편 92 또는 94가 제각기 레버의 감합부 222, 또는 242에 감합하므로써 제각기의 레버들 22, 24는 화살표 E 방향으로 돌아가지 않고 록크된다. 이 록크판 89의 한쪽단부에는 접동부 90이 설치되어있다. 이 접동부 90은 제 7 도의 경우 종이표면의 후면으로 돌출되어있고 록크판 89와 평행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스톱레버 20의 경사부 201과 접동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된 록크의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서는 스톱레버를 화살표 E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그 경사부 201과 록크판의 접동부 90과의 접동에 기인하여 록크판 89를 화살표 E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때문에 록크편 92, 94와 접합부 222, 242의 감합을 풀고 그 결과 화살표 E 방향으로 편기되어있는 재생레버 22 또는 녹음 레버 24를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이상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헤드기판의 구동 기구가 개선되어있으므로 기구의 간단함과 설계의 자유도가 실현되어 진다.

Claims (1)

  1. 샤시기판(11)과 평행한 평면상에 있어서, 소정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헤드기판(41)과, 이 헤드기판(41)의 대략중앙부에 설치된 지점부분(73)에 삽입되는 제한용수철(72)을 갖으며, 이러한 제한용수철(72)의 소정단부에 가해진 조작력을 그 제한용수철(72)을 거쳐서 상기 지점부분(73)에 전달하므로서 상기 헤드기판(41)을 소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한 자기기록 재생장치.
KR760004083U 1976-06-29 1976-06-29 자기기록 재생장치(磁氣記錄 再生裝置) KR800001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4083U KR800001426Y1 (ko) 1976-06-29 1976-06-29 자기기록 재생장치(磁氣記錄 再生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60004083U KR800001426Y1 (ko) 1976-06-29 1976-06-29 자기기록 재생장치(磁氣記錄 再生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1426Y1 true KR800001426Y1 (ko) 1980-09-08

Family

ID=1920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60004083U KR800001426Y1 (ko) 1976-06-29 1976-06-29 자기기록 재생장치(磁氣記錄 再生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14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451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장치
KR910001651B1 (ko) 정보기록매체의 드라이브장치
KR900003835A (ko) 겸용식 기록 및 재생 장치
GB2084785A (en) Cassette tape player with cassette loading mechanism
US4287542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KR940005106B1 (ko) 카세트 로딩 장치
JP3033225B2 (ja) テーププレーヤ
KR800001426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磁氣記錄 再生裝置)
KR940004008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SE8401760L (sv) Utkastarmekanism for bandspelare
CA1070829A (en) Locking and drive mechanism for magnetic tape cartridge
JP2758304B2 (ja) 異種カセットテープ対応カセットテープ装置
EP0166602B1 (en) Auto revers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EP0509793B1 (en) Cassette loading device
JPS5939826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880001867Y1 (ko) 초소형 카세트 테이프용 테이프 레코더
EP0087290B1 (en) Tape recorder
JPS6215894Y2 (ko)
JPS5919963Y2 (ja) テ−プレコ−ダの切換装置
JPS6215874Y2 (ko)
JPS6220910Y2 (ko)
KR840001729Y1 (ko) 테이프 레코오더
KR830003073Y1 (ko) 기록재생장치의 조작기구
KR840000424Y1 (ko) 누름 버턴
KR790002080Y1 (ko) 카세트 압압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