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00000292B1 - 편향 파형 교정신호 발생기 - Google Patents

편향 파형 교정신호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292B1
KR800000292B1 KR7502084A KR750002084A KR800000292B1 KR 800000292 B1 KR800000292 B1 KR 800000292B1 KR 7502084 A KR7502084 A KR 7502084A KR 750002084 A KR750002084 A KR 750002084A KR 800000292 B1 KR800000292 B1 KR 800000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waveform
coupled
terminal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50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랜 스택클러 스테븐
루벤 바라반 알빈
Original Assignee
죤 부이 리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부이 리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죤 부이 리간
Priority to KR750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96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 H01J2229/964Circuit elements other than coils, reactors or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tube associated with the deflection system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 파형 교정신호 발생기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를 활용한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도시한 개요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요도
본 발명은 편향 교정파형을 키네스코우프(kinescope)에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결합된 증배기는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변하는 편향 타형의 형태를 변형하기 위하여 키네스코우프 편향파형의 S교정을 제공하도록 사용된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편향파형의 S형은 평판형 키네스코우프의 표시면상에 충돌하는 전자비임의 편향 주사율을 교정하는네 필요하다. 이러한, S보정파형은 통상적으로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변화하는 편향 톱니파 파형의 "제3전력" 파형이다.
때때로, 편향 파형교정의 다른 형태는 전자비임 내에 함유된 정보를 케네스코우프면상에 정확히 표시되도록 선형변화 편향 파형에 제공된다. 예를 들자면, 키네스코우프에노우드 가속 전압에서의 변화에서 변화하지 않는 편향 달성하기 위하여, 편향 전류 파형은 키네스코우프의 가속 에노우드에 인가된 고전압의 평방근과 직접적으로 변화해야 한다.(1962년 필립스 기술 편람에서의 모에크홀스트. 에이. 씨 및 스톨크제이씨의 "텔레비죤 편향시스템" 을 참조하시오)
통상적으로, 가속 에노우드 전압에서의 변화에 변하지 않는 편향을 달성하는 데에 필요한 교정은 가속 에노우드 전압에 관한 전압 및 일정 전압의 합과 같이 편향 파형을 직접적으로 변화함으로서 제공된다. 종종, 이것은 편향 파형 발생기에서 콕덴서를 두 전류원으로 충전함으로서 성취되어진다. 하나의 공급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류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의 공급원을 가속전압에서의 변화에 직접적으로 변하여 전류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콘덴서 양단에 제공된 전압은 가속전압에서의 변화에 대해 고정되어지므로 가속 전압관련 전압과 일정전압의 합이 가속 전압의 평방근의 테일러 급수 전개의 제12항에 비례한다.
그러나 S교정과 같은 다른 편향 파형교정이 가속 에노우드 전압 교정 및 편향권선의 중간에 위치하기로 최종 에노우드 전압 교정은 중재교정에 의하여 변화되므로 가속 에노우드 전압에서의 변화에 대한 과정에 필요한 평방근 관계를 더 이상 제공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향 파형 교정장치가 S교정 및 고전압 변화의 영향에 대한 편향 파형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편향 톱니파형 발생기는 고전압의 평방근에 관계되며, 그리고, 제1톱니파형에 전압변화를 전달하기 위하여 이에 응답하는 전압의 공급원에 접속된다. 제1장치는 톱니파형 발생기에 연결되고, 전압변화를 톱니파 파형으로부터 감결합하기 위하여 그리고 실질적으로 전압변화에 무관한 S교정된 제2톱니파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압원에 접속된다. 제2장치는 S고정되있으여 고전압의 평방근에 직접 비례하여 보상된 제3톱니파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압 변화를 포함하는 제1톱니파형과 S교정된 제2톱니파형을 합성하기 위하여 제1장치에 연결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도에 있어서, 2배의 수평 편향 주파수의 펄스가 예를 들어 수평 발진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카운트 다운(count-down) 수직동기 발생기 201에 결합된다. 카운트 다운 수직동기 발생기 201은 몇가지 공지된 것 중의 하나로서 파형 402로서 도시된 것과 유사한 수직 편향율로 출력신호를 제공한다. 수신된 수직동기 펄스는 동기분리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카운트 다운 장치 201의 입력단자 fV에 인가된다. 이러한장치에서 2fH에서의 2배와 수평 주파수 펄스는 수직동기율의 펄스를 제공하도록 분배되어지며, 이때에 이위상은 단자 fV에 인가되어 수신된 수직동기 펄스에 비교되어진다. 그러므로 단자 fV에서 수신된 수직동기는 단자 2fH에서 2배의 수평율 펄스를 분할함으로 얻어진 내부 발생 수직동기신호를 새롭게 하므로서, 이것에 의해 내부 발생 펄스는 수신된 수직동기와 동거된다.
수직편향율의 신호 402는 수직 카운트 다운장치 201로부터 수직 톱니파 방전스윗치 트랜지스터 203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203의 콜렉터는 두 개의 다이오드들 205와 207을 거쳐 수직 톱니파 콘덴서 209의 한 단자에 결합된다. 콘덴서 209의 다른족 단자는 접지된다.
콘덴서 209는 저항 210을 통해 전압공급단자 HV에 결합되고, 저항 211을 통해 전압공급단자 B에 결합된다. 콘덴서 209는 또한 증폭기 212의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증폭기 212의 출력단자는 저항 215를 통해 증폭기 212의 입력단자로 귀환 결합된다. 단자 HV의 전압원은 수신 키네스코우프의 최종 에노우드 전위에 관계되며, 이와 함께 변한다.
증폭기 212의 출력단자는 또한 결합회로 216을 통해 증폭기 217의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증폭기 217의 출력단자는 파형 교정 발생기 230의 입력단자 S에 결합된다.
전압원 B는 저항 133을 통해 파형 교정 발생기 230의 단자 K에 인가된다. 단자 HV의 전압원은 저항131을 통해 단자 HV에 결합된다. 증폭기 217의 출력단자는 또한 신호 합성회로 241의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파형 교정 발생기 230의 출력단자는 또한 합성회로 241의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합성회로 241의 출력단자는 수직편향 구동증폭기 243에 결합된다. 증폭기 243의 출력신호는 트랜지스터들 245,247,248 및 249를 포함하는 준 콤프리멘터리 대칭형 트랜지스터 출력단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247의 베이스는 베이스 에미터 전압 갱신 다이오드 246을 통해 구동기 243의 출력단자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들 247과 245의 베이스들은 저항 270을 통해 다이오드 246에 B공급원을 인가함으로서 바이어스된다.
트랜지스터 248의 에미터와 트랜지스터 249의 콜렉터의 접합점은 수직편향 증폭기의 출력단자를 형성한다. 편향권선 251은 블록킹(blocking) 콘덴서 250을 통해 이 출력단자에 결합되고 또 귀환저항 252를 통해 접지에 연결된다. 두 저항들 254와 255를 포함하는 직렬 저항성 분배기는 또한 출력단자와 접지에 걸쳐 결합된다. 귀환저항 252의 양단에 걸린 교류전압 신호는 콘덴서 260에 의하여 전위차계 258의 한 부분을 통하여 구동기단 243의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저항 254와 255의 접합점으로부터 얻어진 직류귀환은 전위차계 258을 통해 구동기 243의 입력단있에 공급된다.
증폭기 243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출력증폭기를 구동한다. 수직편향의 제1부분 동안 트랜지스터들 245와 247의 베이스의 신호 레벨이 조금 정극성일 패 편향전류는 편향권선 251과 귀환저항 252를 통하는 제1방향에서 방전 콘덴서 250에 흐르게 되며 트랜지스터들 245와 249를 도전시킨다.
구동 중폭기 243의 출력파형이 더욱 정극성으로 될 때, 트랜지스터들 247과 248은 더욱 도전되어지고, 콘덴서 250이 트랜지스터 248의 콜렉터-에미터 통로를 통해 충전될 때 귀환저항 252와 편향권선 251을 통하는 제2방향에 전류가 흐른다.
이 장치의 소자들 201, 203, 205, 207, 212, 217, 230, 241 및 243은 직접회로칩의 배열로 설계되어질 수도 있다.
작동 동안 수직 카운트 다운 발생기 201의 출력단자에 발생된 신호 402는 트랜지스터 203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신호 402는 트랜지스터 203의 콜렉터 에미터 사이의 전압강하와 다이오드 205와 207의 전압 강하의 합과 같은 최소전압으로 톱니파 발생 콘덴서 209를 방전시키면서, 수직편향 귀선 구간동안 트랜지스터 203을 포화시킨다. 증폭기 212의 최소 입력 전압 감응성이 검출될 때, 다이오드들 205와 207은 사용하여도, 또는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파형 402의 정극성 펄스 부분이 끝날 때, 트랜지스터 203은 오프되고 콘덴서 209는 B와 HV에서 전압원으로부터 저항들 210과 211을 통해 충전되기 시작한다. 또는 귀환전압은 귀환저항 215를 통해 증폭기 212의 출력단자로부터 공급되어진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증폭기 212의 전압이득은 같은 치가 되도록 선택되어진다. 전압이득을 A라고 가정한다면, 증폭기 212의 출력전압 eo는 증폭기 212의 입력 전압 ei의 A배, 즉 eo=Aei이다. 전류 I210(저항 210을 통하는 전류), I211(저항 211을 통하는 전류), I209(콘덴서 209의 층전전류), I215(저항 215를 통하는 귀환전류)는 증폭기 212의 입력전류를 무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여기에서 R210, R211, R215는 제각기 저항들 210, 211, 215의 저항값들이다.
그러나 I209는 또한 다음과 같이 쓰여질 수 있다.
Figure kpo00004
여기에서 C209는 콘덴서 209의 용량이다.
이와 같이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따라서
Figure kpo00007
(4)식의 양쪽을 적분하여 증폭기 212의 출력전압을 나타내면
Figure kpo00008
B를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고전압 연관전압 HV상에서, 식(5)는 파형 402의 정극성 방전 펄스의 종단후에 시간 t에 선형적으로 따른다.
이 출력 전압 eO는 회로 216을 통해 결합되며 증폭기 217에서 증폭되고, 또한 최종 에노우드 전위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선형적 충전으로부터 실질적 변화를 가정하면, 파형 404와 같이 나타난다. 파형 교정발생기 230은 단자 S에서 파형 404의 선형 요소를 세제급하기 위한 한쌍의 직렬 증배기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편향권선 251에서 S형 편향 파형이 성취된다. 그러나 파형 404의 고전압 관련성분이 또한 세제곱이라면, 그때에 권선 251의 전류인 편향장치의 출력은 최종 에노우드 전압에서 세제곱의 변화로서 변할것이다. 물론 이것은 편향에 바람직하지 않게 영향을 줄 것이며, 편향전류가 고전압 불변 편향을 성춰하기 위하여, 고전압의 평방근으로 직접 변화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권선 251에서의 전류가 세제곱으로 가속 에노우드 전압 변화를 초래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파형 교정발생기 230의 직렬결합 증배기가 부가하여 교정하도록 선정되어진다.
결국 톱니파 콘덴서 209용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동일 전압원 B와 HV는 파형 교정발생기 230의 입력단자 K에 결합된다.
다음의 계산으로부터 단자 HV에 인가된 전압에 관계되는 가변 고전압은 대략 가변 고전압과 고전압의 공칭치의 항에 비례한다.
설명을 위하여 H0는 키네스코우프의 에노우드에 결합된 공칭 고전압과 같은 정수로 하고, h는 키네스코우프의 에노우드에 결합된 실제적 고전압과 같다고 한다.
실제적 고전압의 평방근 h1/2는 H0에 대하여 테일러 급수 전개에 의하여 표현된다.
또한, f(h)로서 정의된 h함수는 테일러 급수에 의하여 표현된다.
Figure kpo00009
여기에서 f(n)(H0)는 전압 H0에서 h에 관한 함수 f(h)의 n차 도함수를 나타내고,(h-H0)n는 물론 (h-H0)의 n차 제곱이다. 그러므로
(7) f(h) =f(0)(H0)(h-H0)0f(1)(H0)(h-H0)' f(2)(H0)(h-H0)2+…
이와 같이 표현된 함수 f(h)는 대략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간략화 하면
(9)
H0가 일정하므로, 실제적인 고전압의 평방근(예 : h1/2)는 대략 일정한 공칭 고전압 H0와 가변 고전압 h의 합에 직접 비례한다. 유사한 방법으로 실제적인 고전압의 평방근은 H0와 h의 합의 어떤 배수에 직접 비례한다. 전압공급 B+와 H0는 일정한 공칭 고전압 H0와 가변고전압 h 제각기의 배수를 공급하도록 선정되어 있다.
방정식(5)로 부터, 증폭기 212에서의 출력신호, 즉 단자 S에 신호는 저항 210과 211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서 전압 HV와 B+에 비례하도록 할수 있다.
이와같이 단자 S에 신호는 (H0+h) 2H0 1/2에 비례하여 h1/2에 대략적으로 비례한다. 단자S에 파형 404에 의하여 도시된 신호는 다음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10) eS=FeO=FV(H0+h)t
여기에서 F와 V는 고유의 정수이고, eo는 증폭기 212의 출력전압이다.
전압원 HV와 B+는 제1도의 파형 교정 발생기 230의 단자 K에 결합되고 그 내에 전류 2a를 발생시키는 전류발생기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파형 교정회로의 증배기에 입력전류(2a)는 저항들 131과 133의 적절한 조절에 의하여 H0+h에 비례하도록 되어질 수 있다. 이 전류는 M(H0+h)와 같게되고, 여기에서 M은 고유 정수이다. 파형 교정 발생기 230의 출력단자 0은 -X3/a2에 비례하는 신호 506을 공급하고, 여기에서 X는 단자 S에 결합된 신호에 비례한다. 합성회로 241은 파형 506을 단자 S의 파형 404에 부가하여 합성회로 241의 출력단자에서 파형 410을 형성시킨다.
이와같이 파형 410은
Figure kpo00012
에 비례한다. 그러나 단자 S에 결합된 신호에 비례하고, 단자 S로부터 증배기의 입력전류인 X는 X=Les 또는 X=LFeO로서 표시된다. 여기에서 L은 특정 정수이다.
이와같이 제1도의 파형 410에 의하여 도시된 신호 e410은 다음과 같이 쓰여진다.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편향 요오크 251를 통한 전류는 e410에 직접 비례하므로, 이것은 (H0+h)에 직접 비례한다. 그러나 (H0+h)는 방정식 (9)가 표시하는 것처럼 h1/2에 직접 비례한다. 이와 같이 요오크 전류는 실질적으로 고전압의 평방근에 직접 비례하고, 그러므로 수직주사는 실질적으로 고전압의 변화에 의존한다.
이와같이 제1도의 장치는 결합회로 241의 출력에서 단자 S에서의 입력신호의 세제곱에 직접 비례하는 S교정과, 키네스코우프 에노우드에 인가된 고전압의 변화에 무관한 수직편향용 장치를 제공한다.
방정식 (10)과 (11)로 부터, 성취된 백분율 S교정은
Figure kpo00016
Figure kpo00017
이므로 고전압의 변화에 무관하다.
파형 교정 발생기 230의 단자 0에 바라는
Figure kpo00018
교정신호를 성취하기 위하여 제2도의 회로가 사용된다.
제1도의 파형 교정 발생기 230의 전술한 실시예의 제2도를 참조하면 제1전원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는 제2트랜지스터 Q7의 에미터에 결합된다.
Q7의 콜렉터는 공급전압 B에 결합된다. 이 베이스는 공급전압 B2에 결합된다. Q1의 베이스는 공급전압 B3에 결합된다.
전압 B2와 B3는 B전압원과 접지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 저항들 101, 102, 103, 104, 105 및 107과 다이오드 106을 포함하는 직렬 전압 분배기에 의하여 제공된다.
Q1의 에미터는 또 다른 전류원 Q41의 콜렉터에 결합된다. 이 구성은 트랜지스터 Q4와 트랜지스터 Q10에 의하여 체배되어지며, 그 주전류 도전통로는 전류원 Q42의 콜렉터와 B간에 직렬로 결합된다.
두 트랜지스터들 Q2와 Q5의 베이스들은 Q1의 에미터에 결합된다. 두 트랜지스터들 Q3와 Q6의 베이스들은 Q4의 에미터에 결합된다. Q2와 Q3의 에미터는 Q5와 Q6의 에미터에서와 같이 결합되어 있다. Q2와 Q6의 콜렉터는 Q3와 Q5의 콜렉터에서와 같이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Q1에서 Q6는 제1증배기 M1을 구성한다.
이 증배기 구조는 트랜지스터 Q8, Q9, Q11, Q12에 의하여 구성되며, Q8과 Q11의 베이스들은 Q7의 에미터에 결합되고, Q9과 Q12의 베이스들은 Q10의 에미터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들 Q7내지 Q12는 제2증배기 M2를 구성한다. Q2와 Q6결합 콜렉터는 Q8과 Q9의 결합에미터에 결합된다. Q3와 Q5의 결합콜렉터는 Q11과 Q12의 결합 에미터에 결합된다.
증배기들 M1과 M2는 이와 같이 직렬 결합되어 있다.
Q2와 Q3의 결합 에미터는 한쌍의 차동 트랜지스터 Q43와 Q44중 트랜지스터 Q43의 콜렉터에 결합된다.
Q44의 콜렉터는 Q5와 Q6의 결합 에미터에 결합된다. Q43과 Q44의 에미터는 한쌍의 저항들 125와 126을 통해 결합된다. 저항들 125와 126의 접합은 전류원 트랜지스터 Q51의 콜렉트에 결합되며 그 에미터는 저항 128을 통해 접지에 결합된다. Q51의 베이스는 다이으드 106과 저항 107의 직렬 결합 양단의 전압 강하에 의하여 바이어스된다.
Q41과 Q42의 에미터는 한쌍의 저항들 121과 122을 통해 차동구동기에 결합된다. 저항들 121과 122의 접합은 블록킹 다이오드 108의 에노우드에 결합되고 이 캐소드는 트랜지스터들 Q52, Q53및 Q60과 다이오드 109를 포함하는 전류원에 결합된다. 이 전류원은 Q60의 베이스인 단자 V에 결합한 수직율 블랭킹 펄스파형 401의 부극성 부분 동안 키오프된다. 이 파형은 단자 K에 정극성 귀선소거 펄스 401로서 유용하다.
Q41과 Q42의 베이스인 단자는 직렬저항들 115와 123을 통해 결합된다. Q41의 베이스는 Q43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Q42의 베이스는 Q44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저항들 115와 123의 접합은 저항 124를 통해 접지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70의 에미터는 저항들 115,123 및 124에 결합된다. Q70의 콜렉터는 B공급에 결합되고 그 베이스는 저항들 104와 105의 접합에 설립된 전압에 바이어스된다.
한쌍의 트랜지스터들 Q71과 Q72의 베이스들은 저항들 101과 102의 접합에 설립된 공급전위 B1에 결합된다. Q71과 Q72의 콜렉터는 B공급 전압에 결합된다.
Q71의 에미터는 Q8과 Q12의 연합콜렉터와 트랜지스터 Q73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Q72의 에미터는 Q9과 Q11의 연합콜렉터와 트랜지스터 Q74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Q73과 Q74의 에미터는 차동 구조에 결합되고 부하저항 111을 통해 B공급원에 결합된다. Q73과 Q74의 콜렉터들은 트랜지스터 Q76의 콜렉터들과 제각기 0'와 0점에서 결합된다. Q76과 Q77의 베이스는 서로 결합되고, 트랜지스터 Q75의 에미터는 그 결합된 베이스에 결합된다. Q75의 베이스는 점 0'에, 콜렉터는 B공급원에 결합된다.
제2도에서 Q1에서 Q6를 참조하면, 이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미터간 전압에 관한 표시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14) B3-VBEQ1-VBEQ2+VBEQ3+VBEQ4=B3
B3-VBEQ1-VBEQ5+VBEQ6+VBEQ4= B3
이와같이
(15) VBEQ1-VBEQ4=VBEQ3-VBEQ2
VBEQ1-VBEQ4=VBEQ6-VBBEQ5
다이오드 방정식으로부터
Figure kpo00019
여기에서 VBE는 베이스 에미터간 전압이고 C는 온도, IC는 콜렉터 전류, IS는 포화전이류다. 이들 소자 모두(예로서 집적회로 칩상에서) 동일온도, 동일포화 전류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지므로, 방정식 15는 다음과 같이 쓰여진다.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트랜지스터 베이스전류는 콜렉터 전류에 비교하여 무시할 수 있으며, 여기의 해석에서는 무시한다.
Figure kpo00022
트랜지스터들 Q1과 Q4의 에미터 전류들인 제각기의 IE1과 IE4는 어떤 바라는 치 예를들면 IE1=a+x, IE4=a-x로 제어될 수 있다. 유사한 방법으로, Q2와 Q3의 에미터 전류들의 합 IEQ2+IES3, Q5와 Q6의 에미터 전류들의 합 IEQ5+IEQ6는 예를들면 IEQ2+IEQ3=b+x, IEQ5+IEQ6=b-x로 제어되어진다. 이와같이 Q3의 Q5의 콜렉터 전류들은 제각기 b+x-ICQ2와 b-x-ICQ6이다. 방정식 (18)을 다시쓰면
Figure kpo00023
ICQ2와 ICQ6에 대해 풀면
Figure kpo00024
유사한 방법으로
Figure kpo00025
이들은 제2도의 직렬결합된 증배기의 낮은 단 M1의 트랜지스터들 Q2,Q3,Q5,Q6의 콜렉터 전류에 대한 방정식이다. 직렬 결합된 증배기 M2의 입력전류는 상기 계산으로 부터 찾을 수 있다. 이들은 ICQ2+ICQ6와 ICQ3+ICQ5또는
Figure kpo00026
Figure kpo00027
직렬 결합된 증배기 M2에 동일 베이스-에미터사이의 전압해석은 다음 방정식에서 이루어진다.
(22) VEEQ7-VEEQ10=VBEQ9-VBEQ8
VBEQ7-VBEQ10=VBEQ12-VBEQ11
Q8과 Q12의 콜렉터 전류들을 제각기 ICQ8과 ICQ12라고 한다면 Q9과 Q11의 콜렉터 전류들은 제각기
Figure kpo00028
다시 다이오드 방정식을 사용함으로서
Figure kpo00029
다시 ICQ7과 ICQ10은 각각 a+x, a-x가 될 것이다.
방정식(23)을 방정식(24)로 대치하면
Figure kpo00030
ICQ8, ICQ12의 해는:
Figure kpo00031
Figure kpo00032
유사한 방법으로
Figure kpo00033
이와 같이 Q8과Q12의 콜렉터 전류의 화는
Figure kpo00034
Q9과 Q11의 콜렉터 전류화는
Figure kpo00035
직렬 접속된 증배기의 출력전류 ICQ8+ICQ12와 ICQ9+ICQ11사이의 차이는 X의 세제곱에 비례하고 a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러한 차이 신호는 ICQ8+ICQ12, ICQ9+ICQ11로부터 감하거나 또는 역으로 됨에 따라 부극성 또는 정극성으로 된다.
바라는 구동전류 IE1과 IE4는 Q52, Q53및 Q60을 포함하는 전류원과 그들과 관련된 요소와 Q41과 Q42를 포함하는 차동증폭기를 사용함으로 성취할 수 있다. 전류원은 IE1=a+x와 IE4=a-x이므로 전류 IE1과 IE4의 합인 2a와 같은 전류를 제공한다.
차동증폭기 구조는 Q41과 Q42의 콜렉터 전류의 x변조를 제공하고, 이들 양자는 x에 비례하는 신호가 입력단자 S에 인가되지 않을 때,
Figure kpo00036
가 된다. 전류원 Q51은 차동증폭기 트랜지스터 Q43과 Q44의 콜렉터 전류 b+x와 b-x의 합 2b를 제공한다. 단자 S에 공급되는 X비례 신호는 차동증폭기 트랜지스터들 Q43과 Q44의 콜렉터 전류들을 변조한다.
전류원 Q51은 2b 콜렉터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이오드 106과 저항 107에 걸친 전압에 의하여 바이어스 된다. Q52, Q53들 Q60과 이들에 관련된 소자들을 포함하는 전류원은 저항 133을 통해 B공급원으로부터 또 저항 131을 통해 단자 HV에 결합된 고전압에 비례하는 전압원으로부터 바이어스 된다.
편향 교정신호가 변화에 대한 교정을 하기 위하여 고전압의 평방근으로서 변해야 하기 때문에, 제2도의 회로는 톱니파의 S교정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고전압에 기인한 톱니파의 변화의 바라는 중화를 성취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도 회로의 출력전류(단자 0와 0')는 역으로 가변성인 a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이와 같이 2a 전류원(Q52, Q53, Q60과 연관소자들)은 단자 HV에 전압원과 전압원 B에 의하여 제어된다.
직렬 결합된 증배기의(Q8, Q12와 Q9, Q19의 콜렉터에 연결된) 출력단자에 흐르는 두 출력 전류 사이의 차동전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Q71에서 Q74를 포함하는 차동증폭기는 Q75와 Q77을 포함하는 전류원과, Q71과 Q72의 에미터에 직렬 결합된 증배기 M2의 출력전류에 의하여 구동된다. 단자 0과 0'에 나타나는 신호는 ±(ICQ9+ICQ11-ICQ8-ICQ12)에 제각기 비례한다. 방정식(26)으로부터, 단자 0에 출력신호는
Figure kpo00037
에 비례하고, 단자 0'에서는
Figure kpo00038
에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파형 404로 도시된 고전압 가변 톱니파가 제2도의 S와 고전압 교정회로의 입력신호이라면, 단자 0와 0'에 출력신호는 제각기 파형 506, 505와 같아진다.
단자 0에 신호보다 단자 0'에 신호는 제1도의 장치에 유용하다. 여기에서 단자 0'의 파형을 단자 S의 파형을 감하여, 바라는 S 및 고전압 교정을 성취하기 위하여 단자 0'의 파형을 단자 S의 파형으로부터 감산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합산회로 241은 감산기이어야 한다.

Claims (1)

  1. 도면에 도시하고 본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가속에노우드 전압(HV)의 평방근에 관련된 전압의 공급원(B+, HV, 210, 211)과, 진폭이 상기 가속 에노우드 전압의 평방근과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주기적 평향 톱니파 전압파형 404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압원에 결합되는 톱니파 발생장치(203, 209)를 포함하는 S교정 및 가속에노우드 전압변화 교정을 제공하기 위한 편향 파형교정 장치에 있어서, 주기적 톱니파 전압파형들의 상기 공급원에 그리고 상기 가속에노우드 전압의 평방근에 관하며, 상기 톱니파형으로부터 상기 가속에노우드 전압 변화를 감결합하기 위한 그리고 상기 가속에노우드 전압 변화에 무관한 S교정파형(56)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압의 상기 공급원에 연결되는 S교정 파형 발생장치(230)과, 상기 가속에노우드 전압의 평방근에 비례하는 S교정된 그리고 가속에노우드 전압 고정된 파형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가속에노우드 전압 가변 톱니파형(404)와 상기 S교정파형(506)을 합성하기 위하여 상기 S교정파형 발생장치(230)에 결합된 합성장치(241)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 파형 교정신호 발생기.
KR7502084A 1975-09-22 1975-09-22 편향 파형 교정신호 발생기 KR800000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084A KR800000292B1 (ko) 1975-09-22 1975-09-22 편향 파형 교정신호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084A KR800000292B1 (ko) 1975-09-22 1975-09-22 편향 파형 교정신호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292B1 true KR800000292B1 (ko) 1980-04-10

Family

ID=1920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084A KR800000292B1 (ko) 1975-09-22 1975-09-22 편향 파형 교정신호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29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5005B (fi) Signalprocessor foer ett omkopplat vertikalavboejningssystem
US4176300A (en) Deflection waveform generator
US3463962A (en) Remote control for deflection system of a television camera
US3984729A (en) Deflection waveform correction signal generator
US398863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 field deflection current
US3725726A (en) Crt geometry correction with zero offset
US3205377A (en) Raster linearity correction generator
KR800000292B1 (ko) 편향 파형 교정신호 발생기
US3488554A (en) Linearity corrected sweep circuit
US4752722A (en) Control circuit with compensation of the anode voltage variation for televisor vertical deflection stage
US4105933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EP0118142B1 (en) Circuit for generating a deflection current through the field deflection coil of a picture display device
US3890542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for television receivers
US374388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an amplitude-modulated sawtooth voltage
US3935507A (en) Correction circuit in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using differential amplifiers
US4965495A (en) Parabolic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4855651A (en) Timebase circuit
US3543081A (en) Low power electrostatic deflection system
US5526059A (en) White balance correction circuit of a color image receiving tube
US3911317A (en) Current bootstrap to reduce interelectrode capacitance effect in a vacuum tube
US6580232B2 (en) Dynamic focus voltage amplitude controller
US3956668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3835348A (en) Television receiver deflection circuitry
US3165666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with height control feedback
US4667135A (en) Z-axis orthogonality compensation system for an oscillosc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