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4772A -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4772A
KR20240104772A KR1020220187346A KR20220187346A KR20240104772A KR 20240104772 A KR20240104772 A KR 20240104772A KR 1020220187346 A KR1020220187346 A KR 1020220187346A KR 20220187346 A KR20220187346 A KR 20220187346A KR 20240104772 A KR20240104772 A KR 20240104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refrigerant
control
orifice
val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홍
이근우
김수영
김현진
김병선
Original Assignee
그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7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4772A/ko
Publication of KR2024010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4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밸브장치에서 제어되는 냉매 유량을 상대적으로 미세 유량, 중간 유량 및 큰 유량 등의 설정 유량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뛰어난 동작 신뢰성을 가져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텝모터 구동부;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의 하부에 구성되고, 냉매가 유출입되는 냉매 유입구와 냉매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냉매 유입구와 냉매 유출구 간을 연통시키는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밸브 본체부;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의 구동력으로 구동하여 상기 오리피스의 입구 측에 대하여 선형 구동되는 구동운동 변환 수단;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에서 선형 구동하는 구성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니들 부재; 및 상기 니들 부재와 오리피스 간에 구성되며,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의 스트로크)에 따른 상기 니들 부재의 이동으로 상기 오리피스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매 유량을 다단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다단 유량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ELECTRIC VALVE DEVICE FOR REFRIGERANT CONTROL CAPABLE OF CONTROLLING MICRO FLOW RATE AND RELATIVE LARGE FLOW RATE}
본 발명은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밸브장치에서 제어되는 냉매 유량을 상대적으로 미세 유량, 중간 유량 및 큰 유량의 설정 유량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뛰어난 동작 신뢰성을 가져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지원하는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으로 수행된 연구결과이다.
[과제고유번호] S3089558
[부처명] 중소벤처기업부
[연구사업명]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
[연구과제명] 전기구동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냉매 유량 제어와 Bypass 기능을 가지는 Refrigerant Multi-Control Valve(RMCV) 개발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여율] 100%
[주관연구기관] 그린산업(주)
[연구기간] 2021. 4. 1 ~ 2022. 12. 31 (21개월)
국내외 산업분야 및 생활하는 모든 측면에서 쾌적한 주위환경에 대한 욕구가 강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냉동공조기술의 발전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냉방 장치는 냉동사이클의 원리를 이용, 찬 바람을 차 실내로 보내어 실내 온도를 대기 온도보다 낮게 냉방하는 냉방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냉방 장치는 냉방 사이클 구현을 위한 필수 구성요소로서 팽창밸브(전자 팽창밸브)를 채택하고 있다. 팽창밸브는 일반적으로 냉동기나 열 펌프의 사이클 중에서 수액기에서 오는 저온 고압 상태의 냉매를 감압시켜 증발기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 냉동사이클에 채택되고 있는 팽창밸브는 그 구조가 아주 다양하며, 그중에서도 냉매 흐름 제어를 위해 스테핑 모터를 적용한 전자팽창밸브가 잘 알려져 있다.
전자팽창밸브는 컴팩트한 구성이면서도 정확한 냉매 흐름의 단속이 가능하고, 또한 에너지 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자동차용 냉방 장치뿐만 아니라, 소형 냉장고, 냉동고 등과 같이 냉동사이클을 채택하는 분야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스테핑 모터를 채택한 전자팽창밸브는, 마그네트(로터)가 회전함에 따라 냉매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포트를 개폐함으로써 냉매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냉방 장치는 크게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의 4가지 주요 부품으로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냉방 장치의 팽창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용 냉방 장치의 팽창 밸브는, 내부에 냉매 유로가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밸브 본체(10)는 고압의 냉매가 팽창 밸브 안으로 유입되도록 팽창 밸브 하부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2)와, 상기 유입구(12)로부터 유입되는 고압의 냉매가 증발기로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구(12)와 인접하는 상부 타측에 형성된 증발기 유입구(14)와, 증발기에서 흡열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보내지도록 팽창 밸브의 상부를 관통하는 증발기 유출구(16)와, 항압통 본체(20)를 장착하기 위해 상부에 형성된 항압통 장착부(19)와, 상기 유입구(12)와 상기 증발기 유입구(14) 사이를 연통하는 오리피스부(18)와, 이 오리피스부(18)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증발기 유출구(16)로의 유출압력을 제어하도록 하부에 형성된 압력제어부(17)로 구성된다.
상기 항압통 장착부(19)에는 금속 다이어프램(22)에 의해 그 상부에서 소정의 설정압력으로 봉입된 항압통(24)으로 구성되는 항압통 본체(20)가 장착된다.
금속 다이어프램(22)과 접합되고 금속 다이어프램(22)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운동을 하는 핀(30)이 밸브 본체(10)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 내장되며, 상기 핀(30)의 상단에 형성된 핀 가이드(32)는 증발기로부터의 유출압력에 따라 항압통 본체(20)내를 슬라이딩하고, 핀(30)의 하단부는 오리피스부(18)를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핀(30)의 중간에는 증발기 유출부(16)와 증발기 유입구(14)부를 구분하기 위한 시일(34)이 부착되고, 상기 핀(30)의 하단 끝에는 오리피스부(18)에 인접하여 오리피스를 개폐하는 볼(35)이 부착되며, 상기 볼(35)은 코일 스프링(37)과 코일 스프링(37) 상측에 고정된 볼 베이스(36)에 의해 탄성 지지가 되고, 코일 스프링(37)의 하측에는 코일 스프링(37)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장력 조절나사(38)가 설치되어 증발기 유출구(16)의 압력을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 팽창 밸브의 경우, 냉방에 사용되는 냉매 유로의 개폐수단은 냉매 유량을 선택된 유량만큼 선택하여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팽창 밸브는, 냉매 유로의 개폐수단이 고정되지 않는 볼로 구성되어 냉매의 흐름에 의해 볼이 진동하게 되고, 이는 노이즈의 발생원인이 되며, 개폐구 열림시 핀의 상하 행정거리에 따른 정확하고 선형적인 유량조정이 불가능하여, 볼에 의한 냉매 유입량이 급격히 증가함으로써 증발기 온도의 급격한 변화 현상을 유발하고, 증발기 내부의 과도한 냉매가 유입됨으로써 팽창 밸브가 다시 냉매유입량을 과도하게 축소시키는 헌팅(huntting)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67956(2012.07.2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68878(2013.05.2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375454(2003.03.1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73394(2016.11.22.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의 밸브장치에서 제어되는 냉매 유량을 상대적으로 미세 유량, 중간 유량 및 큰 유량의 설정 유량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뛰어난 동작 신뢰성을 가져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단일의 밸브장치에서 제어되는 냉매 유량을 상대적으로 미세 유량, 중간 유량 및 큰 유량의 설정 유량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간단한 구조로 구현하여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뛰어난 동작 신뢰성을 가져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미세 유량, 중간 유량 및 큰 유량의 제어 유량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미세 유량 제어 시 급격한 유량 변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완만한 구배를 가지면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단일의 밸브장치에서 니들과 오리피스 간의 구조를 통해 구현할 수 있어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뛰어난 동작 신뢰성을 가져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냉방 장치의 팽창 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포함되는 니들 부재 및 이의 주변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서 행해지는 단계별 유량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서 니들 부재에 의한 유량 제어 동작을 나타낸는 도면으로서, 폐쇄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서 니들 부재에 의한 유량 제어 동작을 나타낸는 도면으로서, 상대적인 저 유량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서 니들 부재에 의한 유량 제어 동작을 나타낸는 도면으로서, 상대적으로 고 유량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서 니들 부재에 의한 유량 제어 동작을 나타낸는 도면으로서, 완전 개방 제어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의한 유량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포함되는 니들 부재 및 이의 주변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서 행해지는 단계별 유량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서 니들 부재에 의한 유량 제어 동작을 나타낸는 도면으로서, 도 7은 폐쇄 제어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은 상대적인 저 유량 제어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상대적으로 고 유량 제어 상태를 나타내며, 도 10은 완전 개방 제어 상태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의한 유량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는, 도 2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 모터 구동부(100)와, 밸브 본체부(200)와,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 및 다단유량제어 니들수단(4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는, 도 2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을 선형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텝모터 구동부(100);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냉매가 유출입되는 냉매 유입구(210)와 냉매 유출구(220)가 형성되며, 냉매 유입구(210)와 냉매 유출구(220) 간을 연통시키는 오리피스(230)가 형성되는 밸브 본체부(200);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고, 회전 구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오리피스(230)의 입구 측에 대하여 선형 구동되는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 및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로 전달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의 스트로크(storke)에 따른 유량 개도(open degree)를 조절하여 오리피스(230)를 통하여 흐르는 유량을 미세 유량과 미세 유량보다 상대적으로 고유량, 및 오리피스(230)를 완전 개방시키는 대유량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다단유량제어 니들수단(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는 기본적으로 공지의 스텝 모터의 구성을 채용하여 구동운동 변환수단(300)에 포함되는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는 모터 하우징(110), 및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원통형의 코일(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텝모터 구동부(100)는 원통형의 코일(120)와 그 원통형의 코일(120)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의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에 구비되는 마그넷(320) 간에 발생되는 전자기력으로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 본체부(200)는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냉매가 유출입되는 냉매 유입구(210)와 냉매 유출구(220)(도 11 참조)가 형성되며, 냉매 유입구(210)와 냉매 유출구(220) 간을 연통시키는 오리피스(230)가 형성되는 구성부이다.
예를 들면, 상기 밸브 본체부(200)는 고압의 작동 유체인 냉매가 밸브 바디(201) 안으로 유입되도록 일측에 형성된 냉매 유입구(210)와, 상기 냉매 유입구(210)와 인접하여 그 냉매 유입구(210))와 평행하게 밸브 바디(201)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냉매 유입구(21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가 증발기 등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매 유출구(220), 및 상기 냉매 유입구(210)와 냉매 유출구(220) 사이를 연통시키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에 구성되는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와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오리피스(230)를 포함한다.
상기 오리피스(230)의 상부 측에는 다단유량제어 니들수단(400)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은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고, 회전 구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오리피스(230)의 입구 측에 대하여 선형 구동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은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내부(즉,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원통형의 코일(120) 내측)에 구비되며, 외면 일부에 나사산 형성부(311)가 형성되는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와, 상기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단부가 그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마그넷(320)과,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내측에서 상기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의 하부를 지지하는 포지셔너 홀더(330), 및 상기 포지셔너 홀더(310) 내측에 구비되고, 내면에 상기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의 나사산 형성부(311)와 나사산 결합되는 포지셔너(또는 샤프트 부싱)(3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은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코일(120)과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의 마그넷(320) 간의 (전)자기력 작용에 의해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와 포지셔너(340) 간은 나사산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는 그 스텝모터 구동부(100)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에 따른 방향(정역 회전 방향 및 이에 따른 상하 선형 구동 방향)으로 소정 스트로크만큼 구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그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다단유량제어 니들수단(400)도 이에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다단유량제어 니들수단(400)은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로 전달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의 스트로크(storke)에 따른 유량 개도(open degree)를 조절하여 오리피스(230)를 통하여 흐르는 유량을 미세 유량과 미세 유량보다 상대적으로 고유량, 및 오리피스(230)를 완전 개방시키는 대유량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단유량제어 니들수단(400)은 상기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니들 부재(410)와, 측벽에 냉매 유입구(210)로부터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냉매 유입로(401)가 형성되고, 중앙부를 관통하여 오리피스(230)와 연통되는 냉매 유출로(402)가 형성되며, 상기 냉매 유출로(402)에 상기 제1 니들 부재(410)가 인입 및 인출되어 그 냉매 유출로(402)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제2 니들 부재(420), 및 상기 제2 니들 부재(4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니들 부재(420)를 하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구비되는 탄성 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니들 부재(410)는 상기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31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부로서,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의 스트로크(storke)에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 니들 부재(420)의 냉매 유출로(402) 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그 냉매 유출로(402)를 통해 흐르는 유량을 미세 저유량 또는 상대적으로 미세 고유량으로 흐르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니들 부재(410)는 냉매 유출로(40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선형 니들부(411), 및 상기 선형 니들부(411)의 하단에서 연장되되 하방으로 갈수록 수렴(축소)되는(즉, 연장선이 첨단이 되는) 직경을 갖고 형성되는 수렴 니들부(41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니들 부재(410)의 선형 니들부(411)의 직경은 1.7 ~ 1.9mm, 바람직하게는 1.8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니들 부재(420)의 냉매 유출로(402)는 그 관경이 1.7 ~ 1.9mm, 바람직하게는 1.8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선형 니들부(411)와 수렴 니들부(412)의 길이는 5.19mm:1.5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412는 오링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니들 부재(420)는 측벽에 냉매 유입구(210)로부터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냉매 유입로(401)가 형성되고, 중앙부를 관통하여 오리피스(230)와 연통되는 냉매 유출로(402)가 형성되며, 상기 냉매 유출로(402)에 상기 제1 니들 부재(410)가 인입 및 인출되어 그 냉매 유출로(402)가 개폐되도록 이루어지는 구성부이다.
상기 제2 니들 부재(420)는 폐쇄된 상면 중앙부에 상기 제1 니들 부재(410)가 이동가능한 이통로가 형성되며, 측벽에 상기 냉매 유입로(401)가 형성되는 하부 개방의 원통부(421), 및 상기 원통부(421)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부에 상기 냉매 유출로(402)가 형성되는 니들부(4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니들부(422)에서 냉매 유출로(402)의 상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냉매 유출로(402)는 상단부는 그 냉매 유출로(40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니들부(422)는 냉매 유출로(402)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화살표와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니들부(422)는 그 하면이 연장되는 가상선의 경사 각도가 125°~ 145°, 바람직하게는 1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도는 본 발명의 발명자가 유량 제어 측면을 고려한 실험으로부터 설계적 유량 제어에서 미세 저유량과 미세 고유량 및 대유량으로 제어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430)는 상기 제2 니들 부재(420)의 원통부(421)의 상면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 또는 리프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단유량제어 니들 수단(400)은 9파이(φ) 직경을 갖는 오리피스(230)를 통과하는 냉매유량이 최종적으로 0~1000lpm(liter per minute)(1MPa Air 조건)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리피스(230)를 폐쇄한 상태에서, 3.125mm의 스트로크(개방 방향으로의 이동)로 제1 니들 부재(410)가 이동하게 되면, 냉매 유입로(401)에서 유입되는 냉매는 제1 니들 부재(410)의 선형 니들부(411)의 끝단에서부터 0~20lpm으로 유량 제어되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4.485mm의 스트로크(개방 방향으로의 이동)로 제1 니들 부재(410)가 더 이동하게 되면, 냉매 유입로(401)로부터 유입되는 냉매는 제1 니들 부재(410)는 완전 개방되어 20~60lpm으로 유량 제어된다.
여기에서, 제2 니들 부재(420)는 탄성 부재(430)에 의해 오피리스(230)를 폐쇄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니들 부재(410)가 7.81mm의 스트로크(개방 방향으로의 이동)로 제1 니들 부재(410)가 추가로 더 이동하게 되면, 탄성 부재(430)는 압축되면서 제2 니들 부재(420)가 개방되면서 오리피스를 완전 개방시키게 되어, 유량은 60~1000lpm까지 제어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미세 유량, 중간 유량 및 큰 유량의 제어 유량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미세 유량 제어 시 급격한 유량 변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완만한 구배를 가지면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의 밸브장치에서 니들과 오리피스 간의 구조를 통해 구현할 수 있어 경제성을 가지면서도 뛰어난 동작 신뢰성을 가져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스텝모터 구동부
110: 모터 하우징
120: 코일
200: 밸브 본체부
201: 밸브 바디
210: 냉매 유입구
220: 냉매 유출구
230: 오리피스
300: 구동운동 변환 수단
310: 구동변환 샤프트 부재
311: 나사산 형성부
320: 마그넷
330: 포지셔너 홀더
340: 포지셔너(또는 샤프트 부싱)
400: 다단유량제어 니들수단

Claims (1)

  1.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을 선형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텝모터 구동부(100);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냉매가 유출입되는 냉매 유입구(210)와 냉매 유출구(220)가 형성되며, 냉매 유입구(210)와 냉매 유출구(220) 간을 연통시키는 오리피스(230)가 형성되는 밸브 본체부(200);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의 구동력으로 회전하고, 회전 구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오리피스(230)의 입구 측에 대하여 선형 구동되는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 및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스텝모터 구동부(100)로 전달된 제어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구동운동 변환 수단(300)의 스트로크(storke)에 따른 유량 개도(open degree)를 조절하여 오리피스(230)를 통하여 흐르는 유량을 미세 유량과 미세 유량보다 상대적으로 고유량, 및 오리피스(230)를 완전 개방시키는 대유량으로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다단유량제어 니들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KR1020220187346A 2022-12-28 2022-12-28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KR20240104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346A KR20240104772A (ko) 2022-12-28 2022-12-28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7346A KR20240104772A (ko) 2022-12-28 2022-12-28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4772A true KR20240104772A (ko) 2024-07-05

Family

ID=9194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7346A KR20240104772A (ko) 2022-12-28 2022-12-28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047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4157B2 (ja) 電動弁
US7854390B2 (en) Expansion valve, heat pump typ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nd air handling unit
JP5022120B2 (ja) 冷暖房システム用の電動弁
US8763419B2 (en) Motor-operated valve and refrigeration cycle using the same
KR101342780B1 (ko) 파일럿형 제어 밸브
US8157183B2 (en) Expansion valve, heat pump type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nd air handling unit
CN108474493B (zh) 电动阀
JP2008064301A (ja) パイロット型制御弁
JP2006514732A (ja) 空調装置のための膨張機構
KR100339072B1 (ko) 자동차용 냉방 장치의 팽창 밸브
JP4331653B2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CN110836270B (zh) 电子膨胀阀
JP2971745B2 (ja) 電磁弁
KR20240104772A (ko) 미세 유량 제어와 대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EP4390197A1 (en) Electromagnetic valv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same
CN106482402B (zh) 制冷剂控制装置、换热***及该制冷剂控制装置的控制方法
KR101609384B1 (ko) 가변 용량 압축기용 전자제어밸브
KR20230091413A (ko) 다단 유량 제어가 가능한 냉매제어용 전자밸브 장치
JP2010249247A (ja) 電動弁及びそれが用いられた冷凍サイクル
JPH0587746B2 (ko)
KR101128396B1 (ko) 가변용량압축기의 용량제어밸브
CN111396599B (zh) 一种流量控制阀
CN111365911B (zh) 一种膨胀阀及汽车空调***
JP2017044347A (ja) 電動弁
EP3438513A1 (en) Control val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