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4924A -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 - Google Patents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924A
KR20240084924A KR1020220169789A KR20220169789A KR20240084924A KR 20240084924 A KR20240084924 A KR 20240084924A KR 1020220169789 A KR1020220169789 A KR 1020220169789A KR 20220169789 A KR20220169789 A KR 20220169789A KR 20240084924 A KR20240084924 A KR 2024008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crown
temporary
dental implan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채헌
Original Assignee
허채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채헌 filed Critical 허채헌
Priority to KR1020220169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4924A/ko
Publication of KR2024008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9Composite teeth, e.g. front and back section; Multilay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2008/0084Provisional implants or abut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 임시 치아를 일반적인 치아 모양으로 미리 성형되어 제공하되, 임시치아의 크라운이 미리 경화된 상태로 제공되는 내부 코어부와 시술 과정에서 물리적 변형이 가능한 비경화 상태로 제공되는 외주부로 이루어진 임시치아를 제공하여, 시술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의 개인별 시술 환경 조건에 맞추어 비경화 상태로 제공된 외부영역을 시술 중에 물리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고 이후 경화가 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시술자는 환자의 구강 조건에 보다 잘 맞는 인공치아를 쉽고 빠르게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dental temporary prosthesis structure with moldable and preformed crown using double polymeriza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임시 치아 보철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와 치조골의 골유착이 안정화되는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임시 임플란트 치아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크라운은 내부의 코어영역과 코어영역을 감싸는 외부영역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어영역은 중합과정을 통해 미리 경화되어 제조되는 부분이며, 상기 외부영역은 시술과정에서 물리적으로 쉽게 변형되어 경화가 가능하게 제공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외부영역은 시술 중에 변형 가능한 부분으로, 환자 구강의 개별 시술 환경 조건(주변 치아, 교합, 잇몸 상태 등)에 맞추어 시술자가 시술 중에 물리적으로 쉽게 변형 및 경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시술 현장에서 맞춤형 인공치아로 완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치아의 부분 또는 전부의 결손이 발생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포셀린 또는 지르코니아 등의 도기 재질, 레진 혼합물 또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지는 인공치아를 사용하여 결손 부위를 치료하게 된다. 이때, 자연치아가 손상된 경우, 자연치아의 외부를 삭제하고 그 위에 인공치아를 씌워 그 자연치아를 보호한다. 한편, 자연치아가 없는 경우, 지대치 역할을 하게 되는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그 위에 인공치아를 부착하게 된다.
임플란트 식립 후 임플란트와 치조골의 골유착이 안정화되는데 환자에 따라 3~6개월에 가까운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그 기간 동안 환자가 생활이 불편하지 않고, 어느 정도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임시로 사용되는 임시 인공치아를 부착해 주고, 그 이후에 최종 인공치아를 부착해 준다.
이러한 임시 치아를 만드는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05976호의 「베니어쉘판을 이용한 임시 가의치」등이 있다. 종래기술은, 치과에서 지대치를 깎기 며칠 전에 환자의 보철을 해야 할 치아의 본을 떠서 석고 모형을 만든다. 그런 후, 이 석고 모형 상에서 결손 지대치를 구강 내와 비슷하게 깎은 다음, 결손된 치아 부분과 깎은 지대치를 덮도록 치과용 즉시 경화성 수지 혼합물(레진)을 덮는다. 혼합물이 굳으면 지대치에서 빼내어 실제 치아 모양에 가깝게 잘 다듬고 연마 해서 임시 가의치를 완성한다. 완성된 임시 가의치는 실제 환자의 뾰쪽하게 깎은 지대치에 옮겨 끼운 후 구강내에서 환자의 구강 상황에 맞추어 임시치아를 최종 수정하여 보철물이 완성될 때까지 임시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라 제작되는 임시 인공치아는 치아의 본을 뜨고 석고 모형을 만드는 번거로운 과정들이 있고, 임시치아를 제작하는 술자나 기공사의 손기술에 따라 완성도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고 정교해서 치아당 20~30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실제 시술과정에서 환자의 구강 상황에 정확하게 맞게 제작되기가 어렵고, 또한 시술 현장에서 환자의 구강 상황에 맞추어 임시 인공치아를 수정을 하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울 뿐 아니라 시술을 받는 환자에게도 매우 불편한 힘든 과정이었다.
공개특허 10-2022-0072370 :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치아 모양의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공개일: 2022. 06. 02.)
본 발명은 임플란트 임시 치아를 일반적인 치아 모양으로 미리 성형되어 제공하되, 임시치아의 크라운이 제조과정에서 미리 경화된 상태로 제공되는 내부 코어영역과 시술 과정에서 물리적 변형이 가능한 외부영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환자의 개인별 구강 상황에 맞추어 쉽고 빠르게 시술이 가능한 임플란트 임시치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는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치아 모양의 크라운을 포함하는데, 상기 크라운은 미리 경화되어 제작되는 내부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감싸면서 비경화 상태의 합성수지 재료로 제작되는 외주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크라운의 외주부는 시술 과정에서 환자 구강의 개인별 시술 환경 조건에 맞추어 시술 중에 물리적으로 변형된 후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라운은 상하 높이를 기준으로, 잇몸 속으로 삽입되는 구간인 매립영역과, 상기 코어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교합영역과, 상기 매립영역과 교합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영역으로 나눌 수 있고, 상기 매립영역에 존재하는 코어부의 비율은, 코어부와 외주부를 포함하는 매립영역 전체 부피의 70% 이상으로 형성하여, 잇몸의 형상이 크라운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코어부의 비율이 너무 작을 경우 변형이 크게 일어날 수 있고, 코어부의 비율이 너무 클 경우 주변의 뼈나 치아에 닿아 지대주가 완전히 임플란트에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교합영역에서는, 상기 크라운의 상부 표면에서 아래쪽으로 1~5mm 범위에서 비경화 상태인 외주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고, 상기 중심영역에서는, 상기 크라운의 측방 표면에서 수평방향 내측으로 1~5mm 범위에서 비경화 상태인 외주부가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상기 크라운이 결합되는 지대주와, 상기 지대주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나사와, 상기 크라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대주의 상부로 삽입되는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스트의 하단은, 상기 연결나사의 상단에 접하여 상기 연결나사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포스트 외주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크기의 힘이 가해질 때 포스트가 파절되도록 하는 노치부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서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는 포스트 내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포스트의 하단이 상기 연결나사의 상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크라운의 관통공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포스트 내부홈은 상기 노치부가 형성된 위치 보다 더 아래쪽 깊이까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포스트의 다른 형태로는, 제1포스트부재와 제2포스트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포스트부재의 하단과 제2포스트부재의 상단은 서로 교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포스트부재가 상기 크라운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포스트부재의 상단은 상기 크라운의 관통공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치아 모양의 크라운(보철물)이 미리 성형되기 때문에 시술 과정에서는 작업 공정이 쉬워지고 작업 시간이 줄어들고, 시술자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보철물의 외부영역 형상이 쉽게 변형되기 때문에, 환자의 구강 조건에 보다 잘 맞는 인공치아를 쉽고 빠르게 완성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종류에 맞게 지대주가 크라운에 연결되어 있어 시술 중에 간단히 선택하여 시술할 수 있어서 시술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는 유리한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로서,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고 변형 가능한 크라운을 구비한 모습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에서 크라운 부분을 제외한 구성들이 분리된 모습과 결합된 모습이며,
도 4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의 종단면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가 환자에게 시술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임시 보철 구조체의 응용예로서 지대주를 두개로 구성한 예시적인 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임시 보철 구조체의 포스트의 응용형태로 일정한 힘이 가해질 때 포스트 위주면에서 파절이 일어나도록 하는 노치부와 함께 포스트 내부에 일정 깊이의 내부홈을 구비한 모습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임시 보철 구조체의 포스트의 또 다른 응용형태로 포스트가 몇 부분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모습이며,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임시 보철 구조체의 예시적인 모습으로서 구치(어금니)의 형태이며,
도 13과 도 14는 본 발명의 임시 보철 구조체의 예시적인 모습으로서 전치(앞니)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 과정에서 임시로 시술되는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보철물(크라운)은 일정한 형상(일반적인 치아 형상)으로 미리 성형되어(preformed) 제공되는 점과, 시술과정에서 환자의 개별 상황에 맞추어 미리 성형된 형상이 변형 가능한(moldable) 것이 특징이며(그리고, 변형된 형상에서 경화시킴), 상기 크라운을 보관/운송이 편리하고 시술과정에서도 편리하도록 포스트 구조를 형성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먼저, 내부에 중공부가 상하로 형성되고, 치아 모양의 크라운(보철물, 130)이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 110)를 갖는다. 여기서 지대주(110)은 임시 지대주(temporary abutment)로서 임시 치아를 유지하는 동안 환자에게 시술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대주(110)를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fixture)에 결합시키는 연결나사(120)를 포함한다. 픽스쳐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환자의 잇몸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나사(120)의 외주면에는 픽스쳐(fixture)에와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픽스쳐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연결나사의 상부는 상기 지대주(110) 중공부의 하부를 통해 삽입된다. 도 2에서 미설명부호 115는 지대주와 크라운의 결합을 위한 돌기이다.
그리고, 연결나사(120)의 상단면에는 다각형 결합홈이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육각형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다각형 홈은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가 삽입되어 연결나사를 돌려서 픽스쳐와 결합하기 위한 홈인데, 본 발명에서는 드리이버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요하지 않고 이하 설명할 포스트(150)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연결나사를 체결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임시 보철 구조체의 크라운(130)은 미리 경화되에 제조되는 영역과 미리 경화되지 않는 영역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이다. 다시 말해 상기 크라운(130)은 미리 경화되어 제작되는 내부의 코어부(132)와, 상기 코어부를 감싸면서 비경화 상태의 합성수지 재료로 제작되는 외주부(1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부의 코어부(132)는 제조과정에서 완전히 경화시킨 상태로 제작되며, 상기 외주부(134)는 상기 코어부를 감싸는 외부에 존재하는 부분으로 경화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된다. 상기 코어부는 제조과정에서 광경화 등의 경화 과정을 거쳐서 미리 경화시키고, 외주부는 비경화 상태의 합성수지재료로 제작되어 제공된다. 이것은 상기 외부영역은 시술 과정에서 시술자에 의해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때 외부 형상의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며, 이렇게 변형이 이루어진 후에 광경화 등의 수단에 의해 경화된다.
이렇게 크라운을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이유는, 보철물을 잇몸 속에 있는 임플란트 픽스쳐에 연결할 때, 잇몸의 형상에 의해 크라운의 하부의 형상이 눌려서 심하게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강 내 삽입시 기본적인 형태가 잇몸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크라운의 하부측 잇몸과 접촉하는 부위는 완전경화된 부분이 밖으로 노출 될 수도 있고, 어느 정도 기존 잇몸 형태와 어우러지도록 외부는 비경화 수지로 감싸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의 코어부(132)가 미리 경화되어 있어야 하는 이유는, 미리 경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시술과정에서 광경화를 시도하게 되면 크라운이 상기 지대주(abutment, 110)와 접하는 부위는 크라운 표면에서 깊은 곳에 위치하는 관계로 광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데, 미리 내부영역을 경화시켜 둠으로써 이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크라운 내부 일정 범위를 미리 경화시켜서 제공하는 경우 경화시키는 범위를 특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그 하나의 예로서 아래와 같이 규정하였다.
상기 크라운(130)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높이를 기준으로, 잇몸 속으로 삽입되는 구간인 매립영역(A1)과, 상기 매립영역의 위쪽에서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는 중심영역(A2)과, 상기 내부 코어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교합영역(A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교합영역(A3)은 크라운에서 코어부(132)의 상측에 위치하는 외주부(134)가 된다. 그리고, 중심영역(A2)은 상기 매립영역과 교합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운데영역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립영역(A1)에서는 미리 경화되는 코어부(132)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구성하였다. 즉, 매립영역(A1)에서는 코어부와 외주부를 포함하는 매립영역 전체 부피의 70% 이상이 코어부(132)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 이유는, 매립영역은 잇몸 속으로 삽입되는 구간인데, 이러한 삽입되어 매립되는 구간에서는 환자의 기존 잇몸 구멍의 크기나 모양에 맞추어 크라운이 변형되는 것 보다는 오히려 이상적으로 형성된 크라운의 모양대로 잇몸이 그 이상적인 형상을 따라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전체 볼륨의 70% 이상이 미리 광중합되어 경화된 상태로 제조하여, 잇몸의 형상이 크라운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크라운의 상기 교합영역(A3)에서는, 상기 크라운의 상부 표면에서 아래쪽으로 1~5mm 범위에서 비경화 상태인 외주부가 형성되는 것이 좋고, 상기 중심영역(A2)에서는, 상기 크라운의 측방 표면에서 수평방향 내측으로 1~5mm 범위에서 비경화 상태인 외주부가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이렇게 범위를 형성한 것은, 이미 형성된 크라운이 내부 코어부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 구강내 환경에 맞게 적절히 변형되기 위한 수치범위이다. 크라운이 짧으면 작은 범위를, 크라운이 길면 큰 범위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잇몸 하부는 최소한의 변형으로 형태를 유지하며 그 상부는 변형시 하단과 분리되지 않으면서 변형될 수 있도록 미중합 부위인 외주부 영역을 줌으로서 가장 많이 변형시키는 부위를 허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크라운(130)에는 중앙부에서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13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대주의 중공부의 상부까지 삽입되는 포스트(150)가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155)은 상기 연결나사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다각형상(바람직하게는 육각형상)의 돌기부를 구비하여서, 상기 포스트의 하단 돌기부가 상기 연결나사의 결합홈에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포스트의 한쪽 끝은 스크루 헤드 연결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스크루에 결합되어 있으며 픽스쳐에 연결나사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임시 스크루 드라이버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다만, 연결나사 상단과 포스트 하단은 마찰력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으므로 돌기와 결합홈 구조가 아니어도 무방할 것이다.
포스트의 외주면은 크라운의 관통공 내주면과 부착력이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부착력은 포스트 외주면과 크라운 관통공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마찰 체결될 수도 있고, 크라운이 레진으로 제조되고 본 발명의 포스트 역시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는 레진의 성질상 끈적한 부착력이 존재하게 된다. 한 예로, 상기 포스트(150)를 플라스틱 재질로 하고,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과 상기 크라운 관통공이 접하는 면에서는 포스트와 크라운 사이에 일정한 접착력이 존재하게 된다. 이를 통해, 포스트(150)를 집어 들게 되면 임시 보철 구조체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포스트(150) 구조를 통해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를 시술하는 과정을 보면, 시술자는 상기 포스트(150)의 상단을 잡고서 임시 보철물을 환자의 잇몸에 미리 식립된 픽스쳐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스트(150)의 상단을 잡고서 돌리게 되면 상기 연결나사(120)가 회전하면서 환자의 잇몸에 미리 심어져 있는 픽스쳐에 연결나사가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결나사를 돌리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 없게 되는데, 이것은 연결나사 회전동작을 위한 도구(드라이버 등)를 교체하기 위한 시술자의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시술과정이 간편하게 되고 또한 별도의 도구 사용에 따른 위생상 위험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유리하게 된다.
상기 크라운은 치아 모양을 이루기에 적합한 정도의 단단함(상온에서 적당한 물리적인 외력을 가하기 전에는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단단함)을 갖되,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때 외주부의 변형이 쉽고, 빠르게 경화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료로 만들어진다. 기존의 완성된 보철물은 구강내에서 미세한 조절을 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지만 본 발명은 구강내 픽스쳐에 연결 후 옆 치아 접촉면을 쉽고 빠르게 조절하고 대합치와 교합 및 저작 운동을 통하여 교합면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경화는 광경화, 열경화, 또는 화학적 활성 반응에 의한 경화 등이 가능하나, 제한된 시술현장에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광경화장비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짧은 시간에 구강 안 또는 밖에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광경화가 바람직하다.
합성수지재료는 비스페놀 A 글리세롤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비아페놀 A 에톡실산디메타크릴레이트, 캠포퀴논, 에틸 4-디메틸아미노 벤조에이트, 2,6-디터트-부틸-4-메틸페놀, 폴리비닐피롤리돈, 지르코늄디옥사이드, 바륨글라스, 이산화규소 등의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포스트(150)는 시술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크라운(130)이 변형하는 경우에도 상기 크라운 관통공(135)은 변형되지 않고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관통공은 임시 보철물 제거시에 중요하다. 즉, 임시 보철물 시술후 추후 제거 과정에서는 연결나사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관통공(135)의 형상이 유지되고 있어야 연결나사 회전을 위한 도구를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환자의 턱뼈에 식립되어 있는 픽스쳐(F)에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를 부착되는 모습을 도 6과 도 7에서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포스트(150)를 손가락으로 잡고 지대주(110)를 도시하지 않은 턱뼈에 식립되어 있는 픽스쳐(임플란트, F)에 끼운다. 이때, 지대주(110)는 대부분 방향성을 갖고 있지 않은 넌인게이지드 어버트먼트(nonengaged abutment)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픽스쳐(임플란트)의 내부 다각형 방향에 상관 없이 보철물이 주변 치아와 잘 맞게만 위치시키면 된다. 그 다음 포스트를 돌려 스크류(연결나사)를 픽스쳐에 1차 체결시킨다.
이 상태에서 시술자는 전용 도구 또는 일반 도구를 사용하여 주변 치아와 잇몸 행태, 인접치아 접촉면, 교합면 등의 구강내 환경에 맞게 크라운(130)의 외주부에 순차적으로 힘을 가하여 조금씩 변형시키면서 최종적으로 원하는 모양의 인공치아 모양을 만들게 된다. 교합면을 조절할 때는 상기 포스트를 제거하고 환자로 하여금 다물거나 좌우전후로 저작 활동을 하게 하여 자연적으로 환자에 맞는 이상적인 교합면이 형성되게 한다. 이후, 원하는 모양의 인공치아를 구강 안 또는 밖에서 광경화시켜 단단하게 경화시킨다.
이렇게 경화된 인공치아를 포스트(150) 또는 일반 드라이버를 끼워 회전시켜서 상기 연결나사(120)를 픽스쳐(F)와 나사 결합하게 한 후 최종적으로 일반 스크루 드라이버로 단단하게 연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작업하는 동안 별도 도구를 요하지 않고 상기 포스트(150)를 손가락으로 잡고 돌려서 연결나사(120)를 턱뼈에 식립되어 있는 픽스쳐(F)와 간편하게 일차 결합시킨 후 구강내 조절하는 동안 보철물의 안정을 유지하여 중앙 스크루홀이 변형되지 않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임시 보철 구조체의 다른 응용예로서 지대주(abutment)를 두 개하여 이중으로 구성한 예시적인 모습이다. 지대주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점과 그 상측에 다수 개의 크라운은 배치하는 점이 위에서 기 설명한 구조와 차이점일 뿐이며, 크라운의 재질과 지대주와 연결나사의 구조 및 이들이 임플란트 픽스쳐에 결합되는 원리 등등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설명 편의를 위해 별도의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임시 보철 구조체는, 내부에 중공부가 상하로 형성되고 치아 모양의 크라운(보철물, 230)이 결합되는 지대주(210-1,210-2)가 이중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대주를 임플란트 픽스쳐(F)에 결합시키는 연결나사(S)를 포함한다. 픽스쳐는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환자의 잇몸에 미리 구비되어 있는 부분이다. 연결나사(S)의 상면에는 포스트(250)가 결합되어 연결나사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지대주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크라운 내부에 중공부가 상하로 형성되고, 크라운 중공부로 포스트(150)가 삽입되어 연결나사를 회전시켜서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에 결합시키는 등의 내용은 위에서 기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임시 보철 구조체의 포스트의 응용형태 중 하나로 일정한 힘이 포스트에 가해질 때 포스트 위주면에서 파절이 일어나도록 하는 노치부(255)를 구비한 것이며, 동시에 포스트 내부에 일정 깊이의 내부홈(258)을 구비한 것이다. 포스트(250)의 외주면에 노치부(255)가 형성되는데, 상기 노치부는 포스트 외주면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고, 포스트 외주면 둘레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노치부(255)의 역할은, 포스트(250)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면 파절이 일어나도록 미리 노치 홈을 형성한 것이다. 포스트(25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고, 시술 과정에서 포스트 하단이 연결나사의 홈과 서로 맞물려서 회전하면서 연결나사가 채워진다.
그런데, 연결나사와 포스트 하단 맞물림 부분은 크라운으로 가려진 곳이기 때문에 시술자가 이곳을 볼 수가 없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포스트에 힘이 과하게 작용하게 되면 포스트의 하단부(도 9에서 P로 표시된 부분)와 연결나사가 서로 결합된 부분 또는 이곳의 상부 어느 지점에서 포스트가 파절될 수 있다. 이렇게 포스트가 연결나사(스크루)와 결합된 상태에서 크라운 내부에서 파절되면, 크라운 내부 중공부 하부에 포스트의 파절된 부분만 잔존하게 되므로 더 이상 연결나사(스크루)를 풀거나 체결할 수 없는 곤란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포스트가 파절되는 부위를 미리 규정해 둠으로써 이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즉, 포스트의 일정 지점(바람직하게는 크라운 내부 중공부 상측 일정 지점)에 파절되는 부위를 미리 정하여 노치부(255)를 형성하여 둔 것이다.
그리고, 포스트가 이 노치부(255)에서 파절된 후 포스트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포스트 내부에 일정 깊이로 내부홈(258)을 구비한 것이다. 파절 후 포스트 회전 및 제거를 위해 내부홈(258)은 노치부(255) 위치 보다 더 아래쪽 까지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노치부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의도하지 않은 부위에서 파절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리 의도한 지점에서 파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시술과정 중에 구강 내에서 치아의 교합 상태를 확인하는 고정을 거치게 되는데, 포스트(250)의 길이(상하 높이)가 길어서 환자가 완전히 상하악을 다물 수 없게 될 수 있다. 길이가 길어 교합을 조절할 수 없을 때에는 포스트를 제거하거나 크라운 내부에서 부러뜨려야 한다. 그런데, 이때에도 포스트 아래쪽 부분은 크라운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상기 노치부(255)에서 절단(파절)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포스트가 절단되는 부위(노치부)는 크라운의 내부 관통공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고, 구체적으로는 크라운 관통공(135)의 상단에서 1~1.5mm 정도 아래쪽에 노치부가 위치하는 것이 치아 교합 과정을 방해하지 않아서 좋다.
그리고, 이렇게 포스트가 절단(파절)된 후에도 포스트 제거와 회전을 용이하도록 내부홈(258)을 형성한 것이다. 치아 교합을 확인하고 난 후 상기 내부홈(258)에 다각형 구조의 도구(드라이버 등)를 투입하여 포스트를 돌리거나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포스트의 내부홈은 사각이나 육각 등 다각형 홀의 구조를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임시 보철 구조체의 포스트의 또 다른 응용형태로 포스트가 몇 부분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모습이다. 도 9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노치부(255)를 형성함으로써, 시술 과정에서 필요시 이 지점에서 포스트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노치부를 형성하는 대신으로 미리 포스트(250)를 두 부분으로 제작한 것이며 상하로 배치되는 두 부분이 맞닿는 부분에서 접하도록 하여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포스트(250)는 위쪽에 위치하는 제1포스트부재(250-1)와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포스트부재(250-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포스트부재(250-1)의 하단과 제2포스트부재(250-2)의 상단은 적절한 모양으로 서로 교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여, 각각의 상단과 하단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어서, 상측의 제1포스트부재(250-1)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력이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포스트부재(250-2)로 전달되어서 제2포스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서로 교합되는 상기 제1포스트부재(250-1)의 하단과 제2포스트부재(250-2)의 상단의 구조는 비교적 큰 양음형의 돌기와 홈의 구조로서 사각형상 또는 육각형상 등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타 적절한 구조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포스트부재(250-1)를 위로 들어올려서 제거함으로써,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포스트부재(250-2)만을 남겨지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노치부 지점에서 포스트를 파절시키는 것과 같이 치아의 교합 등을 확인하는 목적을 위해서이다. 제2포스트부재(250-2)의 길이는, 그 상단부가 상기 크라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고, 구체적으로는 제2포스트부재(250-2)가 크라운 관통공(135)에 투입된 상태에서 제2포스트부재의 상단이 크라운 관통공의 상단에서 1~1.5mm 정도 아래쪽에 노치부가 위치하는 것이 치아 교합 과정을 방해하지 않아서 좋다.
이렇게 포스트를 두 부분으로 구성하고 상부부재를 회전하여 하부부재를 회전하게 하고 또한 상부부재만을 제거할 수 있게 하여, 도 9에서의 노치부(255)와 내부홈(258) 구조를 대체한 것이다. 그리고, 이상 설명에서는 포스트가 두 부분으로 분할된 모습을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더 많은 부분으로 분할된 부분들이 상하로 결합된 구조일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1에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 가능한 다양한 임시 보철 구조체의 예시적인 모습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과 도 12는 구치(어금니)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3과 도 14는 전치(앞니)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중앙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구비하는 치아 모양의 크라운을 포함하고,
    상기 크라운은, 미리 경화되어 제작되는 내부의 코어부와, 상기 코어부를 감싸면서 비경화 상태의 합성수지 재료로 제작되는 외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크라운의 외주부는 시술 과정에서 환자 구강의 개인별 시술 환경 조건에 맞추어 시술 중에 물리적으로 변형된 후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은 상하 높이를 기준으로,
    잇몸 속으로 삽입되는 구간인 매립영역과,
    상기 코어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교합영역과,
    상기 매립영역과 교합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립영역에 존재하는 코어부의 비율은, 코어부와 외주부를 포함하는 매립영역 전체 부피의 70% 이상으로 형성하여, 잇몸의 형상이 크라운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합영역에서는, 상기 크라운의 상부 표면에서 아래쪽으로 1~5mm 범위에서 비경화 상태인 외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영역에서는, 상기 크라운의 측방 표면에서 수평방향 내측으로 1~5mm 범위에서 비경화 상태인 외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이 결합되는 지대주와, 상기 지대주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연결나사와, 상기 크라운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대주의 상부로 삽입되는 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단은, 상기 연결나사의 상단에 접하여 상기 연결나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외주면에 형성되어 소정의 크기의 힘이 가해질 때 포스트가 파절되도록 하는 노치부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서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는 포스트 내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노치부는, 상기 포스트의 하단이 상기 연결나사의 상단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크라운의 관통공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내부홈은 상기 노치부가 형성된 위치 보다 더 아래쪽 깊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제1포스트부재와 제2포스트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포스트부재의 하단과 제2포스트부재의 상단은 서로 교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포스트부재가 상기 크라운의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포스트부재의 상단은 상기 크라운의 관통공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임시 보철 구조체.
KR1020220169789A 2022-12-07 2022-12-07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 KR20240084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789A KR20240084924A (ko) 2022-12-07 2022-12-07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789A KR20240084924A (ko) 2022-12-07 2022-12-07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924A true KR20240084924A (ko) 2024-06-14

Family

ID=9148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789A KR20240084924A (ko) 2022-12-07 2022-12-07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492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370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임솔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치아 모양의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370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임솔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치아 모양의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4073A (en) Impression coping
US5915962A (en) Dental implant and prosthesis positioning
US6666684B1 (en) Impression and foundation system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is
US7798812B2 (en) Temporary dental prosthesis
CA2424736C (en) Implants and modular components for assembly of dentures and bridges
US20120052463A1 (e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Dental Records
US8419429B2 (en) Implant prosthetic part s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plication plaster model including abutment using the same
US20150173864A1 (en) Abutment assembly for dental implants
JP2000506037A (ja) 単一の歯の歯修復システム
US20110311941A1 (en) Stent including elastic part using for surgical operation of implant
WO1997031585A9 (en) Single tooth dental restoration system
KR20080025696A (ko) 제거가능하고 조정가능한 영구적인 의치 및 치교를 위한구성부품의 개선
US11571283B2 (en) Bonding of soft gingival tissues with dental prostheses
US6986661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KR20240084924A (ko) 미리 성형되어 제공되는 변형 가능한 크라운을 갖는 치과용 임시 보철 구조체
KR102198248B1 (ko) 레진광중합힐링부가 구비된 힐링 어버트먼트
JP2002035013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義歯の固定基盤
KR20050090651A (ko) 즉시 고정 가능한 임플란트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US20230053661A1 (en) Dental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a restoration
WO2023111609A1 (en) Bridge restoration as dental implant and cutting guide
Ozkan et al. Stud Attachments Used in Tooth-Supported Overdenture
KR20240056533A (ko) 치과용 브릿지와 그 제조 및 설치 방법
KR20200016124A (ko) 차폐시트 일체형 치경부 보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