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4911A -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911A
KR20240084911A KR1020220169745A KR20220169745A KR20240084911A KR 20240084911 A KR20240084911 A KR 20240084911A KR 1020220169745 A KR1020220169745 A KR 1020220169745A KR 20220169745 A KR20220169745 A KR 20220169745A KR 20240084911 A KR20240084911 A KR 20240084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filter member
claus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7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수혜
김종필
이진현
이상덕
최유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6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4911A/en
Publication of KR20240084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9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8Made of at least two different materials, e.g. metal and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4Seals or gask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정수하여 상기 유출구로 공급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모듈은,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1필터부재와,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부재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제2필터부재, 및 상기 제1필터부재의 중공에 배치되고, 제1필터부재 및 제2필터부재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제3필터부재를 포함한다. A water purification filter and a water dispen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lter housing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filter module provided in the filter housing to purify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and supply it to the outlet. However, the filter modul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a first filter member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with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first filter. It includes a second filter member made of a member and a different material, and a third filter member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ma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the second filter member, and a different material.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the same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filter and a water dispen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지하수와 같은 원수를 정수하는 장치를 말한다. 즉, 다양한 정수방법을 통하여 원수를 음용수로 전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purifies raw water such as tap water or groundwater. In other words, it refers to a device that converts raw water into drinking water through various water purification methods.

정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침전, 여과 그리고 살균 등의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 등을 통해 유해 물질이 제거됨이 일반적이다.To produce purified water, processes such as precipitation, filtration, and sterilization may be performed, and harmful substances are generally removed through these processes.

일반적으로, 정수기에는 원수를 정수하기 위하여 다양한 필터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들은 그 기능에 따라 세디먼트 필터, 활성탄 필터, UF 중공사막 필터, RO 멤브레인 필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Generally, a water purifier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filters to purify raw water. These filters can be classified into sediment filters, activated carbon filters,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s, RO membrane filters, etc. depending on their functions.

상기 세디먼트 필터는 원수 내의 입자가 큰 오염물이나 부유물을 침전시키기 위한 필터라 할 수 있으며, 활성탄 필터는 입자가 작은 오염물, 잔류 염소,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나 냄새 발생 인자들을 흡착하여 제거하기 위한 필터라 할 수 있다.The sediment filter can be said to be a filter for settling large-particle contaminants or suspended solids in raw water, and the activated carbon filter can be said to be a filter for adsorbing and removing small-particle contaminants, residual chlori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r odor-generating factors. You can.

또한, 상기 활성탄 필터는 일반적으로 두 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원수 측에 구비되는 프리 활성탄 필터(pre carbon filter)와 정수 측에 구비되는 포스트 활성탄 필터(post carbon filte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 활성탄 필터는 주로 정수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냄새 유발 물질을 제거하여 물맛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wo activated carbon filters may generally be provided. That is, it may be equipped with a pre-activated carbon filter provided on the raw water side and a post-activated carbon filter provided on the purified water side. The post activated carbon filter may be mainly provided to improve the taste of water by removing odor-causing substances that affect the taste of purified water.

또한, UF 중공사막 필터와 RO 멤브레인 필터는 양자가 선택적으로 사용됨이 일반적이다.Additionally, it is common for both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s and RO membrane filters to be used selectively.

최근 정수기의 수요가 현저히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 조건이 발생되고 이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water purifier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various requirements arise and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m simultaneously.

일례로, RO 멤브레인 필터를 적용하는 중금속의 제거가 가능하나, 정수 유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원하는 만큼의 정수량을 얻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emove heavy metals by applying an RO membrane filter, but there is a problem in securing a purified water flow rate. 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obtain the desired amount of purified water.

반면, UF 중공사막 필터의 경우, 고유량 확보는 가능하나, 수중의 중금속 제거가 어렵기 때문에 지하수 또는 오염 지역의 수돗물을 원수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s, it is possible to secure a high flow rate, but it is difficult to remove heavy metals in water, making it difficult to use groundwater or tap water in contaminated areas as raw water.

따라서, 중금속 제거와 고유량 확보는 서로 모순되는 문제로 인식될 수밖에 없었다. 왜냐하면, 중금속 제거를 위해 RO 멤브레인 필터 사용 시 고유량의 확보가 어렵고, 고유량 확보를 위해 UF 중공사막 필터 사용 시 중금속 제거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Therefore, removing heavy metals and securing high flow rates were inevitably perceived as contradictory problems.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high flow rates when using an RO membrane filter to remove heavy metals,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heavy metals when using a UF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to secure high flow rates.

정수기에 적용되는 필터는 크게 프리필터와 포스트필터로 나뉘며, 포스트필터는 주로 포스트카본블록, UF, 정전흡착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 구성은 포스트카본블록, UF, 정전흡착 소재를 각각 단일 소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복합구성일 경우는 포스트카본블록와 UF의 조합 또는 포스트카본블록과 정전흡착의 조합을 사용하기도 한다. Filters applied to water purifiers are largely divided into pre-filters and post-filters, and post-filters are generally constructed using post-carbon block, UF, and electrostatic adsorption materials. This configuration most often uses post-carbon block, UF, and electrostatic adsorption as a single material, and in the case of a composite configuration, a combination of post-carbon block and UF or a combination of post-carbon block and electrostatic adsorption may be used.

각각의 필터를 단일로 사용할 경우 카본블록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제거 성능이 떨어지며, UF는 박테리아 제거는 가능하지만 바이러스 제거 성능이 떨어진다. 또한, 정전흡착(양전하)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제거가 동시에 가능하지만, 흡착 용량 초과 등의 필터 과부하가 생길 경우 흡착되어 있던 박테리아가 떨어져 나올 수도 있고, 기공이 UF에 비해 크기 때문에 제거 효율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When each filter is used individually, carbon block has poor bacteria and virus removal performance, and UF can remove bacteria, but has poor virus removal performance. In addition, electrostatic adsorption (positive charge) can remove bacteria and viruses at the same time, but if the filter overloads, such as exceeding the adsorption capacity, the adsorbed bacteria may fall off, and the removal efficiency may not be consistent because the pores are larger than UF. You can.

본 발명은 고유량 처리 및 고효율 여과 성능 구현이 가능한 양전하 정전흡착소재와, 카본블록과, UF 소재를 결합한 횡방향 유로구조를 가진 정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ater purification filter with a horizontal flow path structure that combines a positively charged electrostatic adsorption material capable of processing high flow rates and high-efficiency filtration performance, carbon blocks, and UF materials, and a water dispen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또한, 복잡한 유로구조를 개선하여, 유로 구조가 단순화되고, 사출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소재의 체적을 향상시킴으로 기존대비 고유량 처리가 가능하고, 바이러스, 박테리아, VOCs, 입자성 유기물 제거 성능이 강화된 횡방향 유로구조를 가진 정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안한다.In addition, by improving the complex flow path structure, the flow path structure is simplified, and the volume of the material is improved by minimizing the injection space, enabling high flow rate treatment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and enhancing the removal performance of viruses, bacteria, VOCs,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We propose a water purification filter with a directional flow path structure and a water dispen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기에 적용된 필터의 형상이나 배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정수기에 곧바로 적용 가능한 정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ater purification filter and a water dispen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that can be directly applied to an existing water purifier without changing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filter applied to the 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이종의 필터를 하나의 필터하우징에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필터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정수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ater purification filter and a water dispens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increase space utilization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filter by arranging heterogeneous filters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one filter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정수하여 상기 유출구로 공급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한다. The wate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housing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nd a filter module provided in the filter housing to purify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and supply it to the outlet.

상기 필터모듈은,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1필터부재,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부재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제2필터부재, 및 상기 제1필터부재의 중공에 배치되고, 제1필터부재 및 제2필터부재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제3필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module includes a first filter member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with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a heterogeneous member from the first filter member. It may include a second filter member made of a material, and a third filter member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filter member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상기 제1필터부재, 제2필터부재, 제3필터부재는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member, second filter member, and third filter member may b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필터부재는 중공 형상의 카본블럭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filter member may be formed of a hollow carbon block.

상기 제2필터부재는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정전흡착 부직포로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filter member may be made of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disposed outside the first filter member.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측을 두루마리 형태로 여러 겹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in several layers in a roll shape.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상기 제1필터부재의 둘레를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를 포함하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have wrinkles including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상기 제3필터부재는, UF멤브레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third filter member may be provided as a UF membrane.

상기 제3필터부재는, 상기 제1필터부재의 중공에 삽입된 중공관 형태의 필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filter member may be disposed inside a filter cover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member.

상기 필터 커버의 측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on a side of the filter cover.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캡과, 상기 상부 캡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획하는 내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housing may include a housing body with an open upper side, an upper cap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housing body, and an inner member disposed inside the upper cap and dividing the inlet and the outlet. .

상기 필터 커버의 상단은 상기 내측부재에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top of the filter cover may be coupled to the inner member by ultrasonic fusion.

상기 내측부재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중공 형태의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커버의 상단은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며, 상기 필터커버의 외측면과 상기 연결관이 내측면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이 삽입될 수 있다. A hollow connector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on the inner member, the upper end of the filter cov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and an O-ring for sealing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or. can be inserted.

상기 연결관의 내측에는 제4필터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A fourth filter member may be insert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상기 제4필터부재는, 입상 활성탄 파우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ourth filter member may be provided as a granular activated carbon pouch.

상기 제4필터부재는, 입상 활성탄 블록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fourth filter member may be provided as a granular activated carbon block.

본 발명의 필터는 정수기, 냉장고, 음료제조기, 정수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The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a water purifier, refrigerator, beverage maker,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상기된 정수용 필터를 포함한다.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bove-described water purification filter.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유로구조를 개선하여, 유로 구조가 단순화되어, 고유량 처리, 즉 정수 유량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mproving the complex flow path structure, the flow path structure is simplified, which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high flow rate treatment, that is, purified water flow rate.

또한, 사출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소재의 체적을 향상시킴으로 기존대비 고유량 처리가 가능하고, 바이러스, 박테리아, VOCs, 입자성 유기물 제거 성능이 강화된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injection space and improving the volume of the material, high flow rate treatment is possible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and the removal performance of viruses, bacteria, VOCs, and particulate organic matter is enhanced.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의 소재만을 변경하고, 정수기에 적용된 필터의 형상이나 배치 구조를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정수기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material of the filter is changed and the shape or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lter applied to the water purifier is not chang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can be directly applied to an existing water purifier.

본 발명에 따르면, 이종의 필터를 하나의 필터하우징에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필터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나아가 정수기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filter by arranging heterogeneous filters in one filter hou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achieve a slimmer water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수배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용 필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횡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필터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용 필터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water piping diagram of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filter cov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water purification filte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nd adding components, etc. Although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it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examples of the same inventive idea, but in order to ensure that the inventive idea is easily understood, the expression of fine parts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in each drawing. And, depending on the drawing, certain parts may not be displayed or may be exaggerated according to the draw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수배관도이다.1 is a water piping diagram of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로, 본 발명의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정수기, 정수기능을 갖는 냉장고, 음료수 제조기, 커피머신 등을 비롯하여, 정수 기능을 갖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water dispen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various devices having a water purifying function, including water purifiers, refrigerators with a water purifying function, beverage makers, coffee machines, etc.

이하,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정수기로 구비됨을 일 예로 설명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it will be explained as an example that the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as a water purifier,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물을 정수한 후 냉각 또는 가열시켜 취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례로, 직수형 냉온 정수기일 수 있다.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urify water directly supplied from an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and then cool or heat it to discharge it. For example, it may be a direct water type cold/hot water purifier.

여기서, 직수형 정수기란 정수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조가 없이 사용자의 정수 추출 동작시에 정수된 물이 추출되는 형태의 정수기를 말한다. Here, a direct water purifier refers to a type of water purifier that extracts purified water during the user's purified water extraction operation without a water tank storing the purified w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냉장고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데스크탑 방식의 정수기요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 desktop type water purifi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본체는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고, 출수구는 싱크대 외측에 설치되는 언더싱크형 정수기로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n under-sink type water purifier in which the main body is installed below the sink and the water outlet is installed outside the sink.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급수원으로부터 정수기의 출수구에 이르기까지 급수 라인(L)이 형성되며, 상기 급수 라인(L)에는 각종 밸브와 정수 부품이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in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supply line (L) is form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to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purifier, and various valves and water purification components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line (L). there is.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급수 라인(L)은, 상기 급수원, 예컨대 가정의 수도꼭지 등에 연결되고, 상기 급수 라인(L)의 어느 지점에는 필터(17)가 배치되어, 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음용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된다.More 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line (L)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home faucet, and a filter 17 is disposed at a certain point of the water supply line (L), so that drink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source is provide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are filtered out.

또한, 상기 필터(17)의 출구단에 연결되는 급수 라인(L)에는 급수 밸브(61)와 유량 센서(70)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량 센서(70)에 의하여 감지되는 공급량이 설정 유량에 도달하면 상기 급수 밸브(61)가 폐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Additionally, a water supply valve 61 and a flow rate sensor 70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water supply line (L) connected to the outlet end of the filter 17. Accordingly, when the supply amount detected by the flow rate sensor 70 reaches the set flow rate, the water supply valve 61 can be controlled to close.

또한, 상기 유량 센서(7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의 어느 지점에서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과,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 및 냉각수 공급용 급수 라인(L2)이 분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t some point of the water supply line (L) extending from the outlet end of the flow sensor 70, a water supply line (L1) for hot water supply, a water supply line (L3) for cold water supply, and a water supply line (L2) for cooling water supply. This can be branched.

또한, 상기 유량 센서(70)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L)의 단부에는 정수 출수 밸브(66)가 장착되고, 상기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의 단부에는 온수 출수 밸브(64)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의 단부에는 냉수 출수 밸브(65)가 장착될 수 있고, 상기 냉각수 공급용 급수라인(L2)의 어느 지점에는 냉각수 밸브(6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밸브(63)는 냉수 생성 유닛(2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조절한다.In addition, a purified water outlet valve 66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L) extending from the outlet end of the flow sensor 70, and a hot water outlet valve 64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L1) for hot water supply. can be installed. Additionally, a cold water outlet valve 65 may 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water supply line L3 for cold water supply, and a cooling water valve 63 may be installed at any point of the water supply line L2 for cooling water supply. The cooling water valve 63 controls the amount of cooling water supplied to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20.

또한, 상기 온수 출수 밸브(64)와, 상기 냉수 출수 밸브(65) 및 상기 정수 출수 밸브(66)의 출구단에서 연장되는 급수 라인은 모두 상기 출수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 냉수 및 온수가 단일의 취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립된 취출구들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ater supply lines extending from the outlet ends of the hot water outlet valve 64, the cold water outlet valve 65, and the purified water outlet valve 66 are all connected to the outlet. And, as shown, the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single outlet, or in some cases,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independent outlets.

이하, 냉수 및 온수 공급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supply process will be described.

먼저, 냉수의 경우, 냉각수 밸브(63)가 열려 냉수 생성 유닛(20)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면, 냉수 생성 유닛(20)을 통과하는 냉수 공급용 급수 라인(L3)의 물이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면서 냉수가 생성된다.First, in the case of cold water, when the cooling water valve 63 is opened and cooling water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20, the water in the cold water supply line L3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generating unit 20 is cooled by the cooling water. Cold water is produced.

이때, 상기 냉각수 공급용 급수라인(L2)에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매 사이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매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변, 증발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line (L2) for supplying cooling water may be provided with a refrigerant cycle that cools the cooling water. The refrigerant cycle may include a compressor, condenser, expansion valve, evaporator, etc.

이후, 조작표시부의 냉수선택 버튼을 눌러 상기 냉수 출수 밸브(65)가 개방되면 상기 출수구를 통하여 냉수가 취출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cold water outlet valve 65 is opened by pressing the cold water selection button on the operation display, cold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한편, 온수의 경우, 온수 공급용 급수 라인(L1)을 따라 흐르는 물이 온수 히터(30)에 의해 가열되면서 온수가 생성되고, 상기 조작표시부의 온수선택 버튼을 눌러 상기 온수 출수 밸브(64)가 개방되면 상기 출수구를 통하여 온수가 취출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hot water, hot water is generated as the water flowing along the water supply line (L1) for hot water supply is heated by the hot water heater 30, and the hot water outlet valve 64 is opened by pressing the hot water selection button on the operation display. When opened, hot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outlet.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수기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기 필터에 대해서는 후술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ncludes at least one water purifier filter to generate purified water from raw water. For the water purifier filter, refer to the description described lat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용 필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ater purification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용 필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a water fil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17)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water purification filter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one filter or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상기 정수용 필터(17)는 유입구(101)와 유출구(102)가 구비된 필터 하우징(110)과, 상기 필터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정수하여 상기 유출구(102)로 공급하는 필터모듈(120,130,140)을 포함한다. The water purification filter 17 includes a filter housing 110 having an inlet 101 and an outlet 102, and is provided within the filter housing 110 to purify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101. It includes filter modules (120, 130, 140) supplied to the outlet (102).

상기 필터모듈(120,130,140)은,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1필터부재(120)와,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부재(120)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제2필터부재(140), 및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중공에 배치되고, 제1필터부재(120) 및 제2필터부재(130)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제3필터부재(140)를 포함한다. The filter modules 120, 130, and 140 include a first filter member 120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with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and a first filter member 120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nd a second filter member 140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and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nd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nd It includes a second filter member 130 and a third filter member 140 made of different materials.

즉,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필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최소 3종류의 필터부재(120,130,140)을 내장한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ree types of filter members 120, 130, and 140 are built into one filter housing 110.

그리고, 필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물은, 횡방향, 즉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제2필터부재(130), 제1필터부재(120), 제3필터부재(140)를 차례대로 통과한 후, 정화된 상태로, 필터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ousing 110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130,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nd the third filter member 140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t is, the radial direction, in that order. Afterwards,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110 in a purified state.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중공 형상의 카본블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formed of a hollow carbon block.

일 예로,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활성탄, 바인더, 수산화철, 티타늄산화물을 혼합하고, 중공의 블럭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manufactured by mixing activated carbon, binder, iron hydroxide, and titanium oxide and molding them into a hollow block shape.

다른 예로, 상기 제1필터부재(120)는, 활성탄, 바인더, 수산화철, 티타늄산화물, 0가철을 혼합하고, 중공의 블럭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manufactured by mixing activated carbon, binder, iron hydroxide, titanium oxide, and valent iron and molding them into a hollow block shape.

상기 티타늄 산화물은, Titanium dioxide(TiO2) 또는 Titanate(Na4TiO4)로 구비될 수 있다. The titanium oxide may be titanium dioxide (TiO2) or titanate (Na4TiO4).

상기 활성탄, 바인더, 수산화철, 티타늄산화물은 다양한 조성비로 혼합될 수 있다. The activated carbon, binder, iron hydroxide, and titanium oxide can be mixed in various composition ratios.

또한, 상기 활성탄, 바인더, 수산화철, 티타늄산화물, 0가철(zero valent iron)은 다양한 조성비로 혼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ctivated carbon, binder, iron hydroxide, titanium oxide, and zero valent iron may be mixed in various composition ratios.

상기 필터하우징(110)은 유입구(101)와 유출구(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유입구(101)를 통해 정수가 필요한 물이 유입되고, 유출구(102)를 통해 정수가 완료된 물이 토출된다. 따라서, 물은 유입구(101)와 유출구(102) 사이를 유동하면서 그 사이에 배치된 필터모듈(120,130,140)에 의해 정수된다.The filter housing 110 includes an inlet 101 and an outlet 102. That is, water requiring purification flows in through the inlet 101, and water that has been purified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02. Accordingly, water flows between the inlet 101 and the outlet 102 and is purified by the filter modules 120, 130, and 140 dis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110)은 내부에 필터모듈(120,130,140)이 수용되는 공간부를 형성하고,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가 형성된 상부캡(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공간부는 상기 상부캡(112)의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를 통해 외부와 연통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filter housing 110 may form a space inside which filter modules 120, 130, and 140 are accommodated, and may include an upper cap 112 having an inlet 101 and an outlet 102. At this time, the space portion of the filter housing 110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101 and outlet 102 of the upper cap 112.

상기와 같이 상부캡(112)이 구비되면, 상부캡(112)을 열고, 필터 하우징(110)의 공간부에 필터모듈(120,130,140)을 손쉽게 장착할 수 있고, 필터 하우징(110)에 수용된 필터모듈(120,130,140)을 손쉽게 교체할 수도 있다.When the upper cap 112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ap 112 can be opened, the filter modules 120, 130, and 14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space of the filter housing 110, and the filter modules accommodated in the filter housing 110 can be easily installed. (120,130,140) can also be easily replaced.

상기 유입구(101)를 통해서 필터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은 필터모듈(120,130,140)을 거치면서 정화될 수 있다. 즉, 수돗물 등의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예를 들어, 중금속) 등이 상기 필터모듈(120,130,140)을 통과하면서 제거될 수 있다.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ousing 110 through the inlet 101 may be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modules 120, 130, and 140. That is, foreign substances (eg, heavy metals) contained in raw water such as tap water can be re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modules (120, 130, and 14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횡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필터커버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의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filter cove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필터부재(130)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정전흡착 부직포로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to 5, the second filter member 130 may be made of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disposed outside the first filter member 120.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외측을 두루마리 형태로 여러 겹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n several layers in a roll shape.

또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둘레를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를 포함하는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have wrinkles including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정전흡착 부직포는 중공부를 형성한다.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forms a hollow portion.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전체적으로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필터 하우징(1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have an overall hollow pipe shape.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housing 110.

따라서, 필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를 제일 먼저 통과한다. Therefor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ousing 110 first passes throug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또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둘레방향을 따라 주름이 형성된다. Additionally,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has wrinkle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 사이에 구비된 오목부를 포함한다. Additionally,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formed to be convex outward, and concave portions provided between the convex portions.

또한,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중공부의 반경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vex portion or the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llow portion.

또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분말 형태의 활성탄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include activated carbon particles in powder form.

또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장방형의 부직포를 주름 가공하고, 양측 단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열융착하여,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n form a closed curve by wrinkle-processing a rectangular nonwoven fabric and heat-sealing it with both ends in contact.

이때, 정전흡착 부직포에는 양측 단부를 열융착시키면서, 열융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heat-seal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by heat-sealing both ends.

또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의 외측 둘레는 감싸도록 형성된 제2정전흡착 부직포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form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에 주름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주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wrinkles are formed i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not have wrinkles formed.

또한, 정전흡착 부직포는 두루마리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정전흡착 부직포는 제1필터부재(120)의 외주면에 권취된 타입(Rolling type)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have a roll shape. That is,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be formed as a rolling typ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또한, 정전흡착 부직포는 한겹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또한, 정전흡착 부직포는 여러겹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be formed in multiple layers.

상기와 같이, 정전흡착 부직포가 주름지게 형성되면, 정전흡착 부직포의 표면적이 증가되고, 수중의 중금속이 보다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is wrinkled, the surface area of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increases, and heavy metals in water can be more reliably removed.

또한, 정전흡착 부직포가 여러겹으로 형성되면, 수중의 중금속이 보다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is formed in multiple layers, heavy metals in water can be more reliably removed.

일 예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음이온 정전흡착 부직포로 구비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be provided as an anion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다른 예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양이온 정전흡착 부직포로 구비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may be provided as a cationic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또한, 상기 제3필터부재(140)는, UF멤브레인으로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hird filter member 140 may be provided as a UF membrane.

또한, 상기 제3필터부재(140)는 상기 제1필터부재(120)의 중공에 삽입된 중공관 형태의 필터 커버(1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third filter member 140 may be disposed inside a filter cover 150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그리고, 상기 필터 커버(150)의 측면에는 복수의 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holes 151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filter cover 150.

따라서, 필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물은, 1차적으로 정전흡착 부직포를 통과한다. 그리고, 2차적으로 카본블럭을 통과한다. 그리고, 필터커버(150)의 홀(151)을 통과한 뒤, 필터커버(150)의 내측에 배치된 UF멤브레인(ultra filtration membrane), 즉 중공사막을 3차적으로 통과한 뒤, 필터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된다.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ousing 110 primarily passes throug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Then, it secondarily passes through the carbon block. Then, after passing through the hole 151 of the filter cover 150, and thirdly passing through the UF membrane (ultra filtration membrane), that is, the hollow fiber membrane,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filter cover 150, the filter housing 110 )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따라서, 필터 하우징(110)으로 유입된 물은 최소 3개의 필터부재(120,130,140)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housing 110 may be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at least three filter members 120, 130, and 140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서는 물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을 순서대로 배치하였고,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은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are arranged in order based on the direction of water flow, and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are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본 발명은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을 하나의 필터하우징에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수돗물 내 존재 가능성이 있는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동시에 흡착 및 제거할 뿐만 아니라 정전흡착 부직포의 지지체인 내측 코어를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별도의 코어를 사용하지 않고, 카본블록을 사용함으로써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 친환경적이다. 또한,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을 통과한 물이 크기배제 방식인 물리적 여과기능을 갖는 UF멤브레인을 통과하도록 카본블럭의 내측에 UF멤브레인을 배치함으로써 카본 입자 및 입자성 물질에 대한 확실한 제거가 가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one filter housing to simultaneously adsorb and remove bacteria and viruses that may be present in tap water, as well as to attach the inner core, which is the support of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It is eco-friendly by reducing the amount of plastic used by using carbon blocks rather than using a separate core made of polypropylene (PP). In addition, by placing the UF membrane inside the carbon block so that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and carbon block passes through the UF membrane with a size-exclusion physical filtration func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remove carbon particles and particulate matter. there is.

또한, 이러한 횡방향 배치구조는 아래와 같은 이유로 고유량 , 고성능 구현에 보다 유리하다. In addition, this horizontal arrangement structure is more advantageous for realizing high flow and high performance for the following reasons.

먼저, 필터하우징(110)으로 유입된 후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던 물은 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을 차례대로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상측으로 유동하여 필터하우징(110)을 빠져나간다. First, the water flow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fter flowing into the filter housing 110 moves laterally and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Then, it flows upward again and exits the filter housing 110.

즉, 본 발명의 경우,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입된 물이 횡방향으로 유동한 뒤,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flow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flows laterally and then flow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따라서, 물이 유동하는 유로구조가 단순화될 수 있으며, 복잡한 유로구조에서 발생하는 유량 감소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low path structure through which water flows can be simplified, and the flow rate reduction phenomenon that occurs in complex flow path structures can be improved.

또한,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복수의 필터부재를 종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필터부재 사이에 배치된 구조물을 삭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이 삭제되면, 물을 여과하는 필터소재의 체적이 증가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order to arrange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filter housing, the structur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member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deleted. If the structure is removed as described above, the volume of the filter material that filters water can be increased.

그리고, 필터소재의 체적이 증가되면서,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의 체적이 증가되어, 여과력이 향상될 수 있다. Additionally, as the volume of the filter material increases, the volume of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increases, thereby improving filtration power.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크기의 필터에서 보다 고유량, 고성능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ossible to achieve higher flow rate and higher performance with a filter of the same size.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용 필터의 종단면도이다. 6 to 9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of water purification filter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110)은,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 본체(111)와,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캡(112)과, 상기 상부 캡(112)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101)와 유출구(102)를 구획하는 내측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6 to 9, the filter housing 110 includes a housing body 111 with an open upper side, an upper cap 112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housing body 111, and the upper It may include an inner member 113 that is disposed inside the cap 112 and partitions the inlet 101 and the outlet 102.

상기 하우징 본체(111)는 상측이 개방된 용기의 형상을 갖는다. The housing body 111 has the shape of a container with an open top.

상기 상부캡(112)은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한다. The upper cap 112 covers the open upper side of the housing body 111.

상기 상부캡(112)은 상단으로 연장된 출입구(112a)를 형성한다.The upper cap 112 forms an entrance 112a extending to the top.

상기 출입구(112a)를 통해 필터 하우징(110) 내부로 물이 유입되고, 필터 하우징(110)에서 정화된 물은 필터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된다. Water flows into the filter housing 110 through the entrance 112a, and water purified in the filter housing 1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110.

상기 내측부재(113)는 상기 출입구(112a)를 유입구(101)와 유출구(102)로 구획하는 구획부(113a)를 포함한다. The inner member 113 includes a partition portion 113a that divides the entrance 112a into an inlet 101 and an outlet 102.

그리고, 상기 내측부재(113)는 상기 구획부(113a)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113b)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nner member 113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113b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ttom of the partition 113a.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은 상기 내측부재(113)에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top 152 of the filter cover 15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member 113 by ultrasonic fusion.

상기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은 수평부(113b)에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top 152 of the filter cover 150 may be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113b using an ultrasonic fusion method.

상기 수평부(113b)는 상기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이 수용되게 상측으로 오목한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은 상기 홈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은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상기 내측부재(113)에 고정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portion 113b forms a groove concave upward to accommodate the top 152 of the filter cover 150, and the top 152 of the filter cover 150 can be accommodated in the groove. Additionally, the upper end 152 of the filter cover 150 may be fixed to the inner member 113 by ultrasonic fusio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groove.

상기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은 상기 유출구(102)과 연통하게 형성된다. 반면,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은 유입구(101)와는 연통하지 않도록 차단된다. The top 152 of the filter cover 150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102. On the other hand, the top 152 of the filter cover 150 is blocked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101.

따라서, 유입구(101)로 유입된 물은, 수평부(113b)의 상단을 통과하다가, 하우징 본체(111)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을 통과한다. 이후,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을 통과한 뒤, 유출구(102)를 통해, 필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토출된다.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01 passes through the top of the horizontal portion 113b and flows downwar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1. Then, while flow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passes throug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Thereafter, after passing through the top 152 of the filter cover 150,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110 through the outlet 102.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부재(113)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중공 형태의 연결관(113c)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inner member 113 may include a hollow connection pipe 113c extending downward.

상기 연결관(113c)은 상기 유출구(102)과 연통하게 형성된다. 반면, 연결관(113c)은 유입구(101)와는 연통하지 않도록 차단된다. The connection pipe 113c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let 102.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pipe 113c is blocked so as not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101.

그리고, 상기 필터커버(150)의 상단은 상기 연결관(113c)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Also, the top of the filter cover 150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ipe 113c.

또한, 상기 필터커버(150)의 외측면과 상기 연결관(113c)이 내측면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16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오링(160)은 상하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an O-ring 160 for sealing may be inser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15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113c. The O-rings 16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유입구(101)로 유입된 물은, 수평부(113b)의 상단을 통과하다가, 하우징 본체(111)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을 통과한다. 이후, 연결관(113c)에 끼워진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을 통과한 뒤, 유출구(102)를 통해, 필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토출된다.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01 passes through the top of the horizontal portion 113b and flows downwar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1. Then, while flow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passes throug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Afterwards, it passes through the top 152 of the filter cover 15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113c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housing 110 through the outlet 102.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관(113a)의 내측에는 제4필터부재(170,170’)가 삽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8 and 9, fourth filter members 170 and 170'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113a.

일 예로, 상기 제4필터부재(170)는, 입상 활성탄 파우치로 구비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ourth filter member 170 may be provided as a granular activated carbon pouch.

즉, 제4필터부재(170)는 활성탄 입자를 메쉬 소재의 파우치에 넣어 구비될 수 있으며, 파우치 형태로, 연결관(113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fourth filter member 170 may be provided by putting activated carbon particles in a pouch made of mesh material, and may be plac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113a in the form of a pouch.

다른 예로, 상기 제4필터부재(170’)는, 입상 활성탄 블록으로 구비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ourth filter member 170' may be provided as a granular activated carbon block.

즉, 제4필터부재(170’)는 활성탄 입자를 블록 형태로 성형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작은 블럭의 형태로, 연결관(113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fourth filter member 170' may be provided by molding activated carbon particles into a block shape, and may be plac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113a in the form of a small block.

따라서, 유입구(101)로 유입된 물은, 수평부(113b)의 상단을 통과하다가, 하우징 본체(111)의 내측면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횡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을 통과한다. 이후, 연결관(113c)에 끼워진 필터 커버(150)의 상단(152)을 통과한 뒤, 제4필터부재(170,170’)를 마지막으로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유출구(102)를 통해, 필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토출된다.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101 passes through the top of the horizontal portion 113b and flows downwar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ain body 111. Then, while flow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passes throug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Afterwards, it passes through the top 152 of the filter cover 150 inserted into the connector 113c, is filtered by finally passing through the fourth filter members 170 and 170', and then flows through the outlet 102 into the filter housing.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110).

상기와 같이,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을 통과한 물이, 활성탄 소재의 제4필터부재(170,170’)를 최종적으로 통과하면, 물맛이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finally passes through the fourth filter member (170, 170') made of activated carb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aste of the water is improv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경우, 제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을 하나의 필터하우징 내부에 배치하여, 박테리아, 바이러스 제거가 가능하고, 정전흡착 부직포, 카본블럭, UF멤브레인을 횡방향으로 배치하여, 유동성이 개선되어, 유효정수량이 향상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are placed inside one filter housing, enabling removal of bacteria and viruses, and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carbon block, and UF membrane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us, fluidity may be improved and effective water purification amount may be improved.

즉, 최대 4종의 필터부재를 하나의 필터 하우징에 수용하여, 여과력을 높이고, 필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복수의 필터부재의 횡방향 배치로 인해, 유로구조가 개선되어, 고유량, 고성능 구현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other words, by housing up to four types of filter members in one filter housing, filtration power can be increased and the filter can be miniaturized, and the horizontal arrangement of multiple filter members has improved the flow path structure, realizing high flow and high performance. There are possible benefits to this.

Claims (16)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정수하여 상기 유출구로 공급하는 필터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필터모듈은,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중공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제1필터부재;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필터부재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제2필터부재; 및
상기 제1필터부재의 중공에 배치되고, 제1필터부재 및 제2필터부재와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제3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정수용 필터.
a filter housing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A filter module provided in the filter housing to purify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and supply it to the outlet,
The filter module is,
A first filter member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with a hollow formed in the center;
a second filter memb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filter member; and
A wate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member and including a first filter member, a second filter member, and a third filter member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재는 중공 형상의 카본블럭으로 형성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filter member is a water purifying filter formed of a hollow carbon block.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재는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측에 배치되는 정전흡착 부직포로 구비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1,
A water purifying filter wherein the second filter member is made of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disposed outside the first filter memb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상기 제1필터부재의 외측을 두루마리 형태로 여러 겹 감싸도록 구비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3,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is a water purifying filter provided to cover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in several layers in a roll shap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흡착 부직포는 상기 제1필터부재의 둘레를 따라 오목부와 볼록부를 포함하는 주름이 형성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3,
The electrostatic adsorption nonwoven fabric is a water purifying filter in which wrinkles including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필터부재는, UF멤브레인으로 구비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1,
The third filter member is a water purification filter provided with a UF membra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필터부재는,
상기 제1필터부재의 중공에 삽입된 중공관 형태의 필터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6,
The third filter member,
A wate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side a filter cover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inserted into the hollow of the first filter memb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의 측면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7,
A water purifying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on a side of the filter cov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은,
상측이 개방된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는 상부 캡과,
상기 상부 캡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를 구획하는 내측부재를 포함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7,
The filter housing is,
A housing body with an open upper side,
an upper cap covering the open upper side of the housing body;
A water purifying filter disposed inside the upper cap and including an inner member that partitions the inlet and outle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커버의 상단은 상기 내측부재에 초음파 융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9,
A water purification filter in which the top of the filter cover is coupled to the inner member by ultrasonic fus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재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중공 형태의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커버의 상단은 상기 연결관에 삽입되며,
상기 필터커버의 외측면과 상기 연결관이 내측면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이 삽입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9,
A hollow connector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in the inner member,
The top of the filter cov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ipe,
A water purification filter in which an O-ring for sealing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cov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ip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내측에는 제4필터부재가 삽입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11,
A water purification filter in which a fourth filter member is inserted inside the connection pip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필터부재는, 입상 활성탄 파우치로 구비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12,
The fourth filter member is a water purification filter provided as a granular activated carbon pouch.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4필터부재는, 입상 활성탄 블록으로 구비되는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clause 12,
The fourth filter member is a water purification filter provided with a granular activated carbon block.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수기, 냉장고, 음료제조기, 정수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용된 정수용 필터.
According to any one selected from claims 1 to 14,
A water purification filter applied to at least one of a water purifier, refrigerator, beverage maker,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원수로부터 정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수기 필터를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필터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정수용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In the water dispensing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water purifier filter for generating purified water from raw water,
The water dispens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purifier filter is made of any one of claims 1 to 14 for water purification.
KR1020220169745A 2022-12-07 2022-12-07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202400849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745A KR20240084911A (en) 2022-12-07 2022-12-07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745A KR20240084911A (en) 2022-12-07 2022-12-07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911A true KR20240084911A (en) 2024-06-14

Family

ID=91482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745A KR20240084911A (en) 2022-12-07 2022-12-07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49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10836B (en) Water purifier
EP3552680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filter module
US8167141B2 (en) Gravity flow filter
KR20180064841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102304266B1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1006619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age liquid filtration
KR20230145970A (en) filter module for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230145967A (en) filter module for water dispensing apparatus
US10099942B2 (en) Systems and methods of eliminating filter air locks
KR20160058064A (en) Filter device for water purifier
US20230191363A1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KR20240084911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20070018151A (en) Filter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KR100516197B1 (en) water main direct connection in water clean machine
KR20210011320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20090116438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KR20210144408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KR20160053897A (en) Filter system
WO2010111692A2 (en) Filter modules for improved media utilization and use generally cylindrical housing
CN108025225B (en) Domestic water treatment device
KR20240100119A (en) water filtration device
KR20210144407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
CN207259262U (en) A kind of water purifier
KR200402257Y1 (en) Filter apparatus for water purifier
KR20210135816A (en) filter for water purifier and water purifier using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