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83119A - 음료 용기 및 뚜껑부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및 뚜껑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3119A
KR20240083119A KR1020227041583A KR20227041583A KR20240083119A KR 20240083119 A KR20240083119 A KR 20240083119A KR 1020227041583 A KR1020227041583 A KR 1020227041583A KR 20227041583 A KR20227041583 A KR 20227041583A KR 20240083119 A KR20240083119 A KR 20240083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opening
closing
li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1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사 야마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노피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노피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노피크
Publication of KR2024008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311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47J41/0016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remaining in the opening and clearing a passage way between stopper and vessel for dispensing
    • A47J41/0022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the stopper remaining in the opening and clearing a passage way between stopper and vessel for dispensing the stopper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movable relatively to each other for opening or closing the dispensing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8Upper closure of the 43-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81Lower closure of the 43-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료를 토출하거나 토출할 수 없게 하는 음료 용기 및 뚜껑부를 제공하는 것.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부 및 본체부의 상부에 제공된 뚜껑부를 포함하고, 뚜껑부는 본체부(101)에 수용된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개방부(312) 및 음료 개방부(312)의 하측으로부터 음료 개방부(312)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를 포함하고, 뚜껑부는 음료 개방부(312)와 별도로 제공되고 본체부에 수용된 음료가 토출되는 경우 본체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가스 개방부(313) 및 가스 개방부(313)의 하측으로부터 가스 개방부(313)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를 더 포함하고, 음료 개방부측 밀봉재(324)는 음료 개방 부재측 제 1 위치 및 음료 개방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 및 뚜껑부
본 발명은 음료 용기 및 뚜껑부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수용하는 음료 용기는 선행 기술(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에 공지되어 있다.
[인용 목록]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출원 공보 제 2021-106863호
그런데, 음료 용기에 수용된 음료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토출할 수 있거나 토출할 수 없게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의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토출할 수 있거나 토출할 수 없게 하는 음료 용기 및 뚜껑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제 1 항의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제공된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개방부; 및 상기 음료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음료 개방부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 1항의 음료 용기에 따른 청구범위 제 2항의 음료 용기에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음료 개방부로부터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음료가 토출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가스 개방부; 및 상기 가스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가스 개방부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 2항의 음료 용기에 따른 청구범위 제 3항의 음료 용기에서, 상기 음료 개폐 부재는 상기 음료 개방부를 차단 및 패쇄하는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 및 상기 음료 개방부의 차단을 해제하고 개방하는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가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스 개폐 부재는 상기 가스 개방부를 차단 및 패쇄하는 가스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 및 상기 가스 개방부의 차단을 해제하고 개방하는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음료 개폐 부재 및 가스 개폐 부재를 서로 동기화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음료 개폐 부재를 상기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스 개폐부재를 상기 가스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는 상기 음료 개폐 부재를 상기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스 개폐 부재를 상기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음료 용기에 따른 청구범위 제 4 항의 음료 용기에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용부 내 입력을 감소시키는 압력 감소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의 음료 용기에 따른 청구범위 제 5항의 음료 용기에서, 상기 음료는 발포성 음료다.
또한,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제공된 뚜껑부를 포함하는 청구범위 제 6 항의 음료용기의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개방부; 및 상기 음료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음료 개방부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
청구범위 제 1 항의 음료 용기 및 청구범위 제 6 항의 뚜껑부에 따르면, 음료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음료 개방부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료가 토출될 수 있거나 토출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가스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가스 개방부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가스 개방부를 통한 음료 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3 항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음료 개폐 부재를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스 개폐부재를 가스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는 음료 개폐부를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가스 개폐부재를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음료가 토출될 때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따라서 음료가 부드럽게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두 개방부가 닫힐 수 있고, 따라서 음료 토출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4 항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압력 감소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수용부 내 압력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이 유지될 수 있다.
청구범위 제 5 항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음료가 발포성(effervescent) 음료이기 때문에, 발포성 음료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토출될 수 있거나 토출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음료가 발포되어 수용부 내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음료 개폐 부재가 압력에 기반하여 음료 개폐부가 이탈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음료가 확실하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토출될 수 있거나 또는 토출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음료 용기의 투시도이다.
도 2는 음료 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음료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음료 용기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5는 음료 용기의 한 파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음료 용기의 한 파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위에서 본 뚜껑부의 투시도이다.
도 8은 아래에서 본 뚜껑부의 투시도이다.
도 9는 뚜껑부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뚜껑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뚜껑부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뚜껑부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뚜껑부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14는 위에서 본 제 1 파트의 투시도이다.
도 15는 아래에서 본 제 1 파트의 투시도이다.
도 16은 제 1 파트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위에서 본 제 1 파트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18은 아래에서 본 제 1 파트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19는 위에서 본 본체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20은 아래에서 본 본체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21은 본체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22는 위에서 본 동작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23은 아래에서 본 동작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24는 동작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위에서 본 조정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26은 아래에서 본 조정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27은 조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28은 위에서 본 가이드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29는 아래에서 본 가이드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30은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아래에서 본 연결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32는 위에서 본 제 2 파트의 투시도이다.
도 33는 아래에서 본 제 2 파트의 투시도이다.
도 34는 제 2 파트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위에서 본 제 2 파트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36은 아래에서 본 제 2 파트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37은 위에서 본 분리(partition)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38은 아래에서 본 분리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39는 위에서 본 이동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40는 아래에서 본 이동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41은 이동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42는 음료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3은 음료 용기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용기 및 뚜껑부의 일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실시예의 기본 개념]
먼저, 실시예의 기본 개념이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는 개략적으로 음료 용기 및 뚜껑부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이다. “음료”는 음용을 위한 것으로, 특히 음용을 위한 액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임의의 음료가 음료 용기에 수용된다. 음료는, 예를 들어, 발포성 음료 또는 (비발포성 음료를 포함한) 다른 음료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례로서, 음료는 (맥주 등을 포함한) 탄산 드링크, 차, 물, 온수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다음의 실시예에서, “음료”가 탄산 드링크(즉, 발포성 음료)인 경우가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의 상세한 내용]
다음으로, 실시예의 상세한 내용이 설명될 것이다.
(구성)
먼저, 본 실시예의 음료 용기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음료 용기의 투시도, 도 2는 음료 용기의 평면도, 도 3은 음료 용기의 측면도, 도 4는 음료 용기의 분해 투시도, 및 도 5 및 6은 음료 용기의 한 파트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6은 도 2의 A-A 단면에 대한 단면도들이고, 도 5는 (후술되는) 음료 개방부(312) 및 (후술되는) 가스 개방부(313)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각 개방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5 및 6에서 (후술되는) 이동 부재에 대해 해칭(hatching)이 부분적으로 생략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 5 및 6에서, 도 1의 핸들(13)은 도시되지 않았다.
각 도면에서, 구성에서 서로 동일한 복수의 요소들은 그 요소들의 일부에 참조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과 설명에서, X, Y, 및 Z축은 서로 직교하고, Z 축은 수직 방향을 나타내고, X축 및 Y 축은 수평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Z 방향은 상측(상부, 평면)으로 지칭되고, -Z 방향은 하측(하부, 하면)으로 지칭된다. 또한, +X 방향은 전면으로 지칭되고, -X 방향은 배면으로 지칭된다. 또한, Y 축 방향은 측면으로 지칭된다.
(구성)
도 1에서 음료 용기(100)는 내부에 음료(본 실시예에서 탄산 드링크)를 수용하는 용기이고, 예를 들어, 도 4에서 본체부(101) 및 뚜껑부(102)를 포함한다.
(구성-본체부)
본체부(101)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이고, 특히 음료 용기(100)의 본체인 파트다. 전체적으로 본체부(101)는,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원형이고,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음속으로 만들어진 진공 절연 구조를 갖는 파트를 포함한다. 진공 절연 구조는, 예를 들어, 내외부를 분리하는 장벽이 열기 보유 또는 냉기 보유 향상을 위해 이중으로 된 구조를 포함하는 개념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체부(101)는, 예를 들어, 도 5의 중공부(hollow portion), 도 1의 주둥이(spout, 12) 및 핸들(13), 본체부측 개방부(14), 및 본체부측 체결부(15)를 포함한다.
도 5의 중공부(11)는 본체부(101)에 형성된 공간으로 음료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도 1의 주둥이(12)는 음료를 따르는 파트다. 도 3에 도시된 대로, 주둥이(12)는, 예를 들어, 핸들(13)에 대향하는 전방측(+X 방향)에 제공된 파트다.
도 1의 핸들(13)은 사용자가 음료 용기(100)를 잡는 핸들로 동작하는 파트다. 도 3에 도시된 대로, 핸들(13)은, 예를 들어, 주둥이(12)에 대향하는 후방측(-X 방향)에 제공된 파트다.
도 1의 본체부측 개방부(14)는 본체부(101)에 음료를 넣는 개방부이다. 본체부측 개방부(14)는,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원형인 개방부로 상측(+Z 방향)으로 개방되고, 도 1의 중공부(11)과 연통한다. 뚜껑부(102)는 본체부측 개방부(14)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도 1의 본체부측 체결부(15)는 뚜껑부(102)를 본체부(101)에 부착하는 구조이고,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측 개방부(14)의 내부면에 제공된 나사 홈(screw groove)이다.
(구성-뚜껑부)
도 7은 위에서 본 뚜껑부의 투시도, 도 8은 아래에서 본 뚜껑부의 투시도, 도 9는 뚜껑부의 정면도, 도 10은 뚜껑부의 평면도, 도 11은 뚜껑부의 저면도, 도 12는 뚜껑부의 측면도, 및 도 13은 뚜껑부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4의 뚜껑부(102)는 본체부(101)의 상부(+Z 방향)에 제공되고, 예를 들어, 본체부(101)에 수용된 음료를 토출할 수 있거나 토출할 수 없게 하는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즉, 뚜껑부(102)는, 예를 들어, 뚜껑부(102)의 하부(-Z 방향)에 제공된 음료 개방부(312, 도 6)를 개방함으로써, 본체부(101)에 수용된 음료가 토출 포트(215, 도 6 및 8)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가스 개방부(313, 도 5)가 개방되고 외부 공기가 가스 개방부(313)를 통해 본체부(101)로 유입된다.
또한, 뚜껑부(102)는, 예를 들어, 뚜껑부(102)의 하부(-Z 방향)로 제공된 음료 개방부(312, 도 6)를 폐쇄함으로써 본체부(101)에 수용된 음료가 토출될 수 없게 한다. 이 경우, 가스 개방부(313, 도 5) 역시 폐쇄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7 내지 12에서 뚜껑부(102)는,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원형이고 수지, 금속 등으로 형성된다. 뚜껑부(102)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파트(102A) 및 제 2 파트(102B)를 포함한다.
(구성-제 1 파트)
도 14는 위에서 본 제 1 파트의 투시도, 도 15는 아래에서 본 제 1 파트의 투시도, 도 16은 제 1 파트의 저면도, 도 17은 위에서 본 제 1 파트의 분해 투시도, 및 도 18은 아래에서 본 제 1 파트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13의 제 1 파트(102A)는 뚜껑부(102)의 상측(+X 방향)의 한 파트를 형성하는 파트고, 예를 들어, 제 2 파트(102B)와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는 파트다. 제 1 파트(102A)는, 예를 들어,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재(21), 동작 부재(22), 조정 부재(23), 가이드 부재(24), 및 연결 부재(25)를 포함한다.
(구성-제 1 파트-본체 부재)
도 19는 위에서 본 본체 부재의 투시도, 도 20은 아래에서 본 본체 부재의 투시도, 및 도 21은 본체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7 내지 21의 본체 부재(21)는 뚜껑부(102)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재이고, 뚜껑부(1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수용하는 부재이다. 본체 부재(21)는,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원형이고 전체적으로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본체 부재(21)는, 예를 들어, 도 19의 상부 핸들(210), 및 도 20의 개방부(212), 위치 확인 오목부(213), 흐름 경로부(214), 토출 포트(215), 및 본체부측 밀봉재(sealing material, 216)를 포함한다.
(구성-제 1 파트-본체 부재-상부 핸들)
도 19의 상부 핸들(210)은 사용자가 뚜껑부(102)를 잡는 금속 핸들이고, 예를 들어, 임의의 방법(예를 들어, 나사죄기(screwing) 방법으로 본체 부재(21)의 사전 결정된 위치에 부착된다.
(구성-제 1 파트-본체 부재-뚜껑부측 채결부)
도 19 및 20의 뚜껑부측 체결부(211)는 뚜껑부(102)를 본체부(101)에 부착하는 구조이고, 예를 들어, 도 4의 본체부측 체결부(15)와 체결되는 구조이다. 뚜껑부측 체결부(211)는, 예를 들어, 본체 부재(21)의 외면 상에 제공된 나사 날(screw thread)이다.
(구성-제 1 파트-본체 부재-개방부)
도 19 내지 21 개방부(212)는, 동작 부재(22, 도 17)의 한 파트를 노출하는 개방부이고, 예를 들어, 본체 부재(21)의 중간 근처에 제공된 원형 개방부이다.
(구성-제 1 파트-본체 부재-위치확인 오목부)
도 20의 위치확인 오목부(213)는 본체 부재(21)에 대해 동작 부재(22, 도 7)의 회전 위치를 확인하는 오목부이고,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재(21)의 내벽의 한 파트에 제공된 오목부이다. 두 위치확인 오목부들(213)이 도 20에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두 위치확인 오목부들은 또한 수평 방향의 본체 부재(21)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 20의 두 위치확인 오목부들(213)에 대향하는 측의 위치에 제공되고, 총 4 개의 위치확인 오목부들이 제공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동작 부재(22)의 회전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예를 들어, 동작 부재(22)가 회전한 각도에 대한 위치확인을 나타내는 개념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90도로 회전한 위치에서 동작 부재(22)의 위치확인을 나타낸다.
(구성-제 1 파트-본체 부재-흐름 경로부)
도 20의 흐름 경로부(214)는 음료 토출을 위한 흐름 경로로 동작하는 공간이고, 예를 들어, 토출 포트(215)로 연결된다.
(구성-제 1 파트-본체 부재-도출 포트)
도 20의 토출 포트(215)는 음료 토출용 쓰루 홀(through hole)이고, 예를 들어, 본체 부재(21) 내 뚜껑부측 체결부(211)의 상측(+Z 방향)에 제공된다.
(구성-제 1 파트-본체 부재-본체 부재측 밀봉재)
도 20의 체 부재측 밀봉재(216)는 수밀성(watertightness) 및 기밀성(airtightnes)을 위한 포장 또는 밀봉이다. 본체 부재측 밀봉재(216)는, 예를 들어, 토출 포트(215)로부터 토출된 음료가 하측(-Z 방향)의 본체부측(101, 도 4)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 부재측 체결부(216)는, 예를 들어, 본체 부재(21)의 외면을 따라 제공된 원형 링 형상의 재료이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각 밀봉재는, 재료가 음료 용기(100)에서 예기치 않은 음료 또는 가스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재료, 형상, 크기, 또는 개수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밀봉재는 고무를 사용하거나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성-제 1 파트-동작 부재)
도 22는 위에서 본 동작 부재의 투시도, 도 23은 아래에서 본 동작 부재의 투시도, 및 도 24는 동작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7 및 18, 및 도 22 내지 24의 동작 부재(22)는 사용자 동작의 결과로 회전이 된 경우에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 도 6)를 개폐하여 음료를 토출하거나 토출할 수 없게 하는 부재이다. 동작 부재(22)는, 예를 들어, 본체 부재(21)에 수용된 부재이고,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동작 부재(22)는, 예를 들어, 도 22의 놉(knob)부(221) 및 도 23의 중앙측 돌출부(222) 및 위치확인 동출부(223)을 포함한다.
(구성-제 1 파트-동작 부재-놉부)
도 22 내지 24의 놉부(221)는, 사용자가 잡는 파트다. 회전을 위한 외력이 사용자로부터 놉부(221)에 가해진다. 놉부(221)는, 예를 들어, 도 19의 본체 부재(21)의 개방부(212)를 통해 상측(+Z 방향)을 향해 노출된 파트다.
(구성-제 1 파트-동작 부재-중간측 돌출부)
도 23의 중간측 돌출부(222)는 하측(-Z 방향)을 형해 돌출된 파트고, 예를 들어, 나사 날(222A)이 구비된 외면을 갖는다. 나사 날(222A)은 나선형으로 제공되어, 동작 부재(22)가 회전되는 경우, 동작 부재(22)의 중앙측 돌출부(222)와 함께 나사조임된(secrewed) (후술되는) 조정 부재(23)를 상측(+Z 방향) 또는 하측(-Z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성-제 1 파트-동작 부재-위치확인 돌출부)
도 22 내지 24의 위치확인 돌출부(223)는 본체 부재(21, 도 20)에 대해 동작 부재(22)의 회전 위치를 확인하는 파트다.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확인 돌출부(223)는 사전 결정된 가압 유닛(urging unit)(예를 들어, 압축된 경우 압축에 기반하여 가압력을 발생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동작 부재(22)의 외부를 향해 가압되는 파트다. 위치확인 돌출부(223)는 동작 부재(22)가 본체 부재(21)에 수용된 경우 위치확인 오목부(213, 도 20)를 구비한 본체 부재(21) 내 내부 주변 벽을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동작 부재(22)가 한 방향(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경우, 위치확인 돌출부(223)는 위치확인 오목부(213)를 마주해 돌출하고, 위치확인 돌출부(223)의 팁부(tip portion)는 위치확인 오목부(213)에 제공된다. 그 결과, 동작 부재(22)는 회전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동작 부재(22)가 다른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는 경우, 위치확인 돌출부(223)는 위치확인 오목부(213)(회전 전에 위치확인 돌출부(223)가 제공된 위치확인 오목부(213)의 다음에 제공된 위치확인 오목부(213))를 마주보고 돌출되고, 위치확인 돌출부(223)의 팁부가 위치확인 오목부(213)에 제공된다. 그 결과, 동작 부재(22)는 회전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방식으로, 동작 부재(22)는 본체 부재(21)에 대해 90도 회전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구성-제 1 파트-조정 부재)
도 25는 위에서 본 조정 부재의 투시도, 도 26은 아래에서 본 조정 부재의 투시도, 및 도 27는 조정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7 및 18, 및 도 25 내지 27의 조정 부재(23)는 동작 부재(22)가 회전하는 경우 상하로 이동하여 이동 부재(3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부재이다. 조정 부재(23)는, 예를 들어, 본체 부재(21)에 수용된 부재이고,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조정 부재(23)는, 예를 들어, 도 26의 개방부(231), 중앙측 돌출부(232), 및 가이드 돌출부(233)을 포함한다. “상하로 이동”은, 예를 들어, 상측(+Z 방향) 또는 하측(-Z 방향)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구성-제 1 파트-조정 부재-개방부)
도 25지 27의 개방부(231)는, 동작 부재(22)의 중앙측 돌출부(222, 도 23)가 통과되고, 예를 들어, 조정 부재(23)의 중앙측 돌출부(232)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개방부이다.
(구성-제 1 파트-조정 부재-중간측 돌출부)
도 26의 돌출부(232)는 하측(-Z 방향)을 향해 돌출한 파트다. 중간측 돌출부(232)는, 예를 들어, 중공부를 포함하고, 나사 홈(232A)은 중공부 내부면에 제공된다. 나사 홈(232A)은 나선형으로 제공되어 동작 부재(22, 도 23)의 중간측 돌출부(222)의 나사 날(222A)과 함께 나사조임된다.
(구성-제 1 파트-조정 부재-가이드 돌출부)
도 25 내지 27의 가이드 돌출부(233)는 조정 부재(23)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안 상하로 조정 부재(23)를 이동시키는 파트다. 예를 들어, 가이드 돌출부(233)는 조정 부재(23)의 중앙측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파트다.
(구성-제 1 파트-가이드 부재)
도 28는 위에서 본 가이드 부재의 투시도, 도 29는 아래에서 본 가이드 부재의 투시도, 및 도 30은 가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7, 18, 및 도 28 내지 20의 가이드 부재(24)는 동작 부재(22) 및 조정 부재(23)를 본체 부재(21)에 부착하는 부재이고, 조정 부재(23)의 상하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이다. 가이드 부재(24)는, 예를 들어, 본체 부재(21)에 수용된 부재이고,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가이드 부재(24)는, 예를 들어, 도 28의 개방부(241) 및 중앙측 돌출부(242), 및 도 29의 나사 홀(243)을 포함한다.
(구성-제 1 파트-가이드 부재-개방부)
도 28지 30의 개방부(241)는, 조정 부재(23)의 적어도 일부를 구비하는 개방부이고, 예를 들어, 중간측 가이드 부재(24) 근처에 제공된 원형 개방부이다.
(구성-제 1 파트-가이드 부재-중간측 돌출부)
도 28 및 29의 중간측 돌출부(242)는 하측(-Z 방향)을 향해 돌출한 파트고, 예를 들어, 중공부를 구비한다. 중간측 돌출부(242)의 중공부는, 예를 들어, 조정 부재(23)이 제공된 공간이고, 가이드 오목부(guide recess portion, 242A)가 그 내면에 제공된다. 가이드 오목부(242A)는 조정 부재(2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정 부재(23)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오목부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 오목부(242A)는 조정 부재(23)의 가이드 돌출부(233, 도 25)의 팁부를 구비한다.
(구성-제 1 파트-가이드 부재-나사 홀)
도 29 및 30의 나사 홀(243)은 가이드 부재(24)를 본체 부재(21)에 부착 및 고정하는 나사 홀이고, 예를 들어, 도 17 및 18의 고정 나사(901)가 조여지는 나사 홀이다
(구성-제 1 파트-연결 부재)
도 31은 아래에서 본 연결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17, 18, 및 도 31의 연결 부재(25)는 뚜껑부(102)의 제 1 파트(102A, 도 13)을 뚜껑부(102)의 제 2 파트(102B)에 탈착가능하게 부착 및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 부재(25)는,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원형이고 전체적으로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연결 부재(25)는, 예를 들어, 도 31의 제 1 개방부(251), 제 2 개방부(252), 연결 부재측 제 1 밀봉재(253) 및 연결 부재측 제 2 밀봉재(254)를 포함한다.
(구성-제 1 파트-연결 부재-제 1 개방부)
도 31의 제 1 개방부(251)는 연결 부재(25)의 중간 근처에 제공된 개방부이고, 예를 들어, 제 2 개방부 다음에 제공된 개방부(252)이다.
(구성-제 1 파트-연결 부재-제 2 개방부)
도 31의 제 2 개방부(252)는 음료 토출용 개방부이고, 예를 들어, 제 1 개방부(251)에 대해 수밀성이 유지되는 개방부이다.
(구성-제 1 파트-연결 부재-연결 부재측 제 1 밀봉재)
도 31의 연결 부재측 제 1 밀봉재(253)는 수밀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 또는 밀봉부이고, 예를 들어, 본체부(101)의 중공부(11, 도 5)에 수용된 음료 및 가스가 뚜껑부(102)와 본체부(101) 사이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 부재측 제 1 밀봉재(253)는, 예를 들어, 연결 부재(25)의 하측(-Z 방향)의 바깥쪽 주변 에지를 따라 제공된 원형 링 형상의 재료이다.
(구성-제 1 파트-연결 부재-연결 부재측 제 2 밀봉재)
도 31의 연결 부재측 제 2 밀봉재(254)는 수밀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 또는 밀봉제이고, 예를 들어, 본체부(101)의 중공부(11, 도 252)에 수용된 음료 및 가스가 뚜껑부(102)와 본체부(252) 사이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 부재측 제 2 밀봉재(254)는, 예를 들어, 제 1 개방부(251) 및 제 2 개방부(252)의 바깥쪽 주변 에지에서 하부(-Z 방향)에 제공된다.
(구성-제 2 파트)
도 32는 위에서 본 제 2 파트의 투시도, 도 33은 아래에서 본 제 2 파트의 투시도, 도 34는 제 2 파트의 정면도, 도 35는 위에서 본 제 2 파트의 분해 투시도, 및 도 36은 아래에서 본 제 2 파트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 13의 제 2 파트(102B)은 뚜껑부(102)의 하측(+X 방향)의 한 파트를 형성하는 파트고, 예를 들어, 제 1 파트(102A)과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는 파트다. 제 1 파트(102A)은, 예를 들어, 도 35 및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부재(31), 이동 부재(32), 가압 부재(urging member, 33), 및 부착 부재(34)를 포함한다.
(구성-제 2 파트-분리 부재)
도 37은 위에서 본 분리 부재의 투시도, 및 도 38은 아래에서 본 분리가이드 부재의 투시도이다.
도 37 및 38의 분리 부재(31)는 도 4의 본체부측 개방부(14) 내 본체부(101)의 내외부를 분리하는 부재이다. 분리 부재(31)는,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원형이고 전체적으로 수지 등으로 형성된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분리 부재(31)는, 예를 들어, 도 37의 중간측 개방부(311), 음료 개방부(312), 가스 개방부(313), 및 압축 감소 밸브(314), 및 도 38의 가이드부(315)를 포함한다.
(구성-제 2 파트-분리 부재-중간측 개방부)
도 37 및 38의 중간측 개방부(311)는 이동 부재(32)의 (후술되는) 중간측 돌출부(322)가 통과되고, 예를 들어, 분리 부재(31)의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제공된 개방부이다.
(구성-제 2 파트-분리 부재-음료 개방부)
도 37 및 38의 음료 개방부(312)는, 본체부(101)에서 음료 토출을 위한 개방부이고, 예를 들어, 사전 정의된 반경을 갖는 원형 개방부이다.
(구성-제 2 파트-분리 부재-가스 개방부)
도 37 및 38의 가스 개방부(313)는, 외부 공기를 본체부(101)로 유입하기 위한 개방부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37 및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개방부(313)는 분리 부재(31)의 중심(즉, 중간측 개방부(311))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음료 개방부(312)의 설치 위치에 대향하는 측의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가스 개방부(313)로서, 예를 들어, 음료 개방부(312)보다 직경이 큰 세 개의 원형 개방부들이 제공된다.
가스 개방부(313) 및 음료 개방부(312)의 구성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개방부들은 자유롭게, 크기, 개수, 설치 위치 등이 변경될 수 있다.
(구성-제 2 파트-분리 부재-압력 감소 밸브)
도 37 및 38의 압력 감소 밸브(314)는 본체부(101) 내 압력을 줄이기 위한 압력 감소 유닛이다. 수밀성 및 기밀성이 본체부(101)의 중공부(11, 도 5)에서 유지되고, 음료와 같은 탄산 드링크가 중공부(11)에 수용된 경우에 중공부(11) 내 압력은 탄산 드링크가 발포할 때 증가하지만, 압력 감소 밸브(314)가 제공되기 때문에 중공부(11) 내 압력이 사전 정의된 압력 이하로 유지되도록 감소될 수 있다.
압력 감소 밸브(314)는 임의의 형태 및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소 밸브(314)는, 개방 또는 갭이 개방된 후 닫히고, 중공부(11)의 내부 압력이 사전 결정된 압력을 초과한 경우에 압력이 감소되도록 공지의 압력 감소 밸브 기법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성-제 2 파트- 분리 부재-가이드부)
도 38의 가이드부(315)는 이동 부재(32)의 상하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부재이고, 예를 들어, 하측(-Z 방향)을 향해 중간측 개방부(311)의 양측에서 돌출한 파트다.
(구성-제 2 파트- 이동 부재)
도 39는 위에서 본 이동 부재의 투시도, 도 40은 아래에서 본 이동 부재의 투시도, 및 도 41은 이동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9 및 40의 이동 부재(32)는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 및 가스 개폐부측 밀봉채(325)를 상하로 이동시켜 도 6의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를 각 밀봉재와 함께 개폐하는 부재이다. 이동 부재(32)는,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수지 등으로 형성되는 부재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부재(32)의 일부는 뚜껑부(102)의 하측(-Z 방향) 상에서 노출된다. 이동 부재(32)는, 예를 들어, 도 39의 321), 중간측 돌출부(322), 고정 피스(323),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 및 돌출부측 밀봉재(326)를 포함한다.
(구성-제 2 파트-이동 부재-본체부)
도 39 내지 41의 본체부(21)는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파트다.
(구성-제 2파트-이동 부재-중간측 돌출부)
도 39 내지 41의 중간측 돌출부(322)는 본체부(321)의 중심으로부터 상측(+Z 방향)을 향해 방향으로 돌출한 파트다.
(구성-제 2 파트-이동 부재-고정 피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9 내지 41의 고정 피스(323)는 가압 부재(33)에 의해 상측(+Z 방향)을 향해 가압 및 푸싱된(pushed) 부착 부재(34)가 고정 및 부착된 파트다.
(구성-제 2 파트-이동 부재-음료 개폐부측 밀봉재)
도 39 내지 41의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는 음료 개방부(312)의 하측(-Z 방향)으로부터 도 6, 37 등의 음료 개방부(312)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 부재이다. 상세하게,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는 음료 개방부(312)를 차단 및 폐쇄하거나, 음료 개방부(312)의 차단 및 개방을 해제하는 부재이다.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는 수밀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는 패킹 및 밀봉부이다. 예를 들어,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는 본체부(321)의 전방측(+X 방향) 단부에서 상측(+Z 방향)을 향애 돌축하고, 평면상에서 직경이 음료 개방부(312)보다 크다.
(구성-제 2 파트-이동 부재-가스 개폐부측 밀봉재)
도 39 내지 41의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는 가스 개방부(313)의 하측(-Z 방향)으로부터 도 6, 37 등의 가스 개방부(313)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 부재이다. 상세하게,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는 가스 개방부(313)를 차단 및 폐쇄하거나, 가스 개방부(313)의 차단 및 개방을 해제하는 부재이다.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는 수밀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는 패킹 및 밀봉부이다. 예를 들어,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는 후방측(-X 방향)상에서 본체부(321)의 단부에서 상측(+Z 방향)을 향해 돌출한다. 또한,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는, 예를 들어, 매 가스 개방부(313, 도 37)이 차단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구성-제 2 파트-이동 부재- 돌출부측 밀봉재)
도 39 내지 41의 돌출부측 밀봉재(326)는 수밀성 및 기밀성을 유지하는 패킹 또는 밀봉부이다. 예를 들어, 돌출부측 밀봉재(326)는 본체부(101)의 중공부(11, 도 5)에 수용된 음료 및 가스가 도 37의 분리 부재(31)의 중간측 개방부(311)에서 이동 부재(32) 의 중간측 돌출부(322)와 분리 부재(31) 사이에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돌출부측 밀봉부(326)는, 예를 들어, 중간측 돌출부(322)의 하측(-Z 방향)에서 외면을 따라 제공된 원형 링 형상의 재료이다.
본체부(321) 및 이동 부재(32)의 중간측 돌출부(322)가 “이동 부재”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구성-제 2 파트-가압 부재)
도 35 및 36의 가압 부재(33)는 분리 부재(31)에 대해 부착 부재(34)를 통해 상측(+Z 방향)을 향해 이동 부재(32)를 가압 및 푸싱하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가압 부재(33)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요소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압 부재(33)는, 예를 들어, 도 32 및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Z축 방향)으로 분리 부재(31) 및 부착 부재(34) 사이에 제공된다.
(구성-제 2 파트- 부착 부재)
도 35 및 36의 부착 부재(34)는 가압 부재(33)을 이동 부재(32)에 부착하는 부재이고, 예를 들어 평면상에서 원형이며 수지 등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부착 부재(34)는, 예를 들어, 도 35의 개방부(341) 및 고정 오목부(342)를 포함한다.
(구성-제 2 파트- 부착 부재-개방부)
도 35 및 36의 개방부(341)는, 이동 부재(32)의 중간측 돌출부(322)의 상단부(+Z 방향)가 통과하는 개방부이고, 예를 들어, 부착 부재(34)의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제공된 개방부이다.
(구성 - 제 2 파트-부착 부재-고정 오목부)
도 35의 고정 오목부(342)는 이동 부재(32)의 고정 피스(323)이 상측(+Z 방향)으로 고정된 파트고, 예를 들어, 부착 부재(34)의 상면(+Z 방향)에서 개방부(341) 주위에 제공된 파트다.
(뚜껑부 조립 방법)
다음으로, 뚜껑부(102) 조립 방법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뚜껑부(102)의 조립 방법은 도 13의 제 1 파트(102A)을 조립하는 방법 및 도 13의 제 2 파트(102B)을 조립하는 방법을 설명한 후 설명된다.
(뚜껑부 조립 방법- 제 1 파트)
먼저, 도 13의 제 1 파트(102A)을 조립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후술되는 구성요소의 조립 순서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한다(동일 방법이 다른 파트의 조립에 적용된다).
먼저, 조정 부재(23)는 도 17 및 18의 동작 부재(22)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도 23의 동작 부재(22)의 중간측 돌출부(222)는 도 25의 조정 부재(23)의 개방부(231)를 통해 중간측 돌출부(232)에 제공된다. 이 경우, 도 23의 동작 부재(22)의 나사 날(222A)은 도 25의 조정 부재(23)의 나사 홈(232A)에 제공되고, 동작 부재(23)의 중간측 돌출부(222)는 조정 부재(23)안으로 나사조임된다.
다음으로, 동작 부재(22) 및 조정 부재(23)는 도 17 및 18의 가이드 부재(24)를 사용하여 본체 부재(21)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도 25의 조정 부재(23)의 가이드 돌출부(233)는 도 28의 가이드 부재(24)의 중간측 돌출부(242)에 조정 부재(23)를 제공하여 도 28의 가이드 부재(24)의 가이드 오목부(242A)에 제공된다. 다음으로, 도 17 및 18의 고정 나사(901)는 도 29의 가이드 부재(24)의 나사 홀(243) 및 도 17 및 18의 본체 부재(21)의 나사 홀에 연속하여 나사조임되어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17 및 18의 연결 부재(25)는 본체 부재(21)의 하단부(lower end portion, -Z 방향)에 부착된다. 이 부착은 임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은 부재들이 탈착형 방식으로 서로간에 부착되게 하는 체결 구조를 구비한 각 부재와 체결 구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그 결과, 도 14 내지 16의 뚜껑부(102)의 제 1 파트(102A)의 조립이 완료된다.
(뚜껑부 조립 방법- 제 2 파트)
다음으로, 도 13의 제 2 파트(102B)을 조립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먼저, 도 35 및 66의 이동 부재(32)는 분리 부재(31)상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39의 이동 부재(32)의 중간측 돌출부(322)는 도 38의 분리 부재(31)의 중간측 개방부(311)를 통해 제공된다.
다음으로, 도 35 및 36의 가압 부재(33)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35의 가압 부재(33)인 스프링이 도 38의 중간측 개방부(311)를 통해 상측(+Z 방향)으로 돌출된, 이동 부재(32)의 중간측 돌출부(322) 주위에서 상측(+Z 방향)으로부터 제공된다. 이 경우, 가압 부재(33)의 하단부(-Z 방향)는 분리 부재(31)의 중간측 개방부(311) 주위의 파트에 위치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다음으로, 도 35 및 36의 부착 부재(34)가 부착된다. 예를 들어, 이동 부재(32)의 중간측 돌출부(322) 주위에 제공된 가압 부재(33)가 압축된 상태에서, 이동 부재(32)의 중간측 돌출부(322)의 상부측(+Z 방향)이 부착 부재(34)의 개방부(341)를 통해 삽입되어 부착 부재(34)를 회전시키고, 그 결과 이동 부재(32)의 고정 피스(piece, 323)가 부착 부재(34)의 고정 오목부(342)에 제공된다. 이 경우, 도 32 및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33)인 스프링이 분리 부재(31) 및 부착 부재(34)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제공된다. 그 결과, 도 32 내지 34의 뚜껑부(102)의 제 2파트(102B)의 조립이 완료된다.
(뚜껑부 조립 방법-뚜껑부)
다음으로, 제 2 파트(102B)가 도 13의 제 1 파트(102A)에 부착된다. 이 부착은 임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은 파트들이 탈착형 방식으로 서로간에 부착되게 하는 체결 구조를 구비한 각 파트와 체결 구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그 결과, 도 7 내지 12의 뚜껑부(102)의 제 2파트(102B)의 조립이 완료된다.
(동작)
다음으로, 뚜껑부(102) 의 동작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뚜껑부(102)의 동작은 제 1 파트(102A)의 동작 및 제 2 파트(102B)의 동작을 설명한 후 설명된다.
(동작-제 1 파트)
먼저, 도 14 내지 16의 제 1 파트(102A)의 동작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도 14의 동작 부재(22)가 한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경우, 동작 부재(22)의 중간측 돌출부(222)도 한 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이 경우, 도 25의 가이드 돌출부(233)가 도 28의 가이드 부재(24)의 가이드 오목부(242A)에 제공되므로, 중간측 돌출부(222)로 나사조임된 조정 부재(23)가, 예를 들어, 하측(-Z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회전에 기반하여 돌출된다.
이어서, 도 14의 동작 부재(22)가 다른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경우, 동작 부재(22)의 중간측 돌출부(222)도 다른 방향으로 90도 회전한다. 이 경우, 도 25의 가이드 돌출부(233)가 도 28의 가이드 부재(24)의 가이드 오목부(242A)에 제공되므로, 중간측 돌출부(222)로 나사조임된 조정 부재(23)가, 예를 들어, 상측(+Z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술한 회전에 기반하여 수축된다.
(동작-제 2 파트)
먼저, 도 32 내지 34의 제 2 파트(102B)의 동작이 설명된다.
예를 들어, 제 2 파트(102B)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부착 부재(34)는 도 34의 가압 부재(33)의 가압력에 의해 분리 부재(31)에 대해 상측(+Z 방향)을 향해 이동된다. 이 경우, 이동 부재(32)의 고정 피스(323)가 부착 부재(34)(상세하게 도 35의 고정 오목부(342))의 상면에 제공되므로, 고정 피스(323)는 부착 부재(34)에 의해 상측(+Z 방향)을 향해 푸싱되고(pushed), 이동 부재(32)는 상측(+Z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이동 부재(32)의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 도 41)와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가 분리 부재(31)의 하측(-Z 방향)으로부터 분리 부재(31)내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에 해당하는 위치들로 눌리고(pressed), 개방부들이 각각 밀봉재들에 의해 차단된다. 즉,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가 동시에 차단 및 폐쇄된다.
또한, 이동 부재(32)의 중간측 돌출부(322)가 하측(-Z 방향)을 향해 푸싱되는 경우, 예를 들어, 이동 부재(32)는 도 34의 가압 부재(33)의 가압력에 대항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이동 부재(32)의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 도 41) 및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는 분리 부재(31)로부터 분리되어,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의 차단이 해제된다. 즉,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가 동시에 차단에서 해제되고 개방된다.
이동 부재(32)의 본체부(321)가 도 38의 분리 부재(31) 내 두 가이드부(315)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므로, 이동 부재(32)가 이동시 횡방향(가이드부(315)가 제공되는 방향) 이탈이 방지되고, 따라서 각 개방부는 적절히 개폐될 수 있다.
(동작-뚜껑부)
다음으로, 도 7 내지 12의 뚜껑부(102)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42 및 43은 음료 용기의 한 파트에 대한 단면도들이다. 도 42 및 43은 도 5 및 6과 유사한 단면도인 것에 유의해야 한다 .
예를 들어, 도 7의 동작 부재(22)가 한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경우, 조정 부재(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측(-Z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 경우, 도 43의 화살표 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부재는 조정 부재(23)에 의해 푸싱되어 하측(-Z 방향)으로 이동하고,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 및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는 분리 부재(31)와 분리되고, 따라서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가 차단에서 해제되고 개방된다.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 및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가 분리 부재(31)로부터 분리되고, 각각의 개방부들이 개방된 밀봉재들의 위치들(예를 들어 도 43의 위치들)은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 및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어서, 도 7의 동작 부재(22)가 다른 방향으로 90도 회전된 경우, 예를 들어, 조정 부재(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Z 방향)을 향해 이동한다. 이 경우, 도 42의 화살표 A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부재(33)는 가압 부재(23)의 가압력에 의해 상측(+ Z 방향)으로 이동하고,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 및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는 분리 부재(31)에 대해 눌리고, 따라서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가 차단 및 개방된다.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 및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가 분리 부재(31)에 대해 눌리고, 각각의 개방부들이 폐쇄된 밀봉재들의 위치들(예를 들어 도 42의 위치들)은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 및 “가스 개폐 부채측 제 1 위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사용 방법)
다음으로, 음료 용기(100) 의 사용 방법이 설명된다.
먼저, 도 4에 설명된 대로, 뚜껑부(102)가 본체부(101)에서 제거되고, 음료가 본체부측 개방부(14)를 통해 본체부(101)의 중공부(11)에 투입되어 수용된다. 다음으로, 뚜껑부(102)는 본체부(101)에 부착된다.
다음으로, 도 42에 도시된 대로, 동작 부재(22)는 다른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를 차단 및 폐쇄한다.
이 경우,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가 폐쇄되고 수밀성 및 기밀성이 유지되므로, 중공부(11)에 수용된 음료는 음료 용기(100)가 기울어져도 토출되지 않는다. 또한, 음료가 탄산 드링크여서 발포하고 중공부(11) 내 압력이 증가하더라도, 사전 정해진 압력이 초과되는 경우 압력 감소 밸브(314)를 통해 압력이 감소되고, 따라서 중공부(11) 내 압력이 사전 정해진 압력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 및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가 분리 부재(31)의 하측으로부터 각 개방부를 폐쇄하기 때문에, 중공부(11)의 압력이 증가해도 개방부들의 폐쇄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3에 도시된 대로, 동작 부재(22)는 한 방향으로 90도 회전되어 차단을 해제하고, 음료 개방부(312) 및 가스 개방부(313)를 개방한다.
이 경우, 본체부(101)의 중공부(11)는 음료 개방부(312) 및 흐름 경로부(214)를 통해 토출 포트(215)로 이어지고, 따라서, 중공부(11)에 수용된 음료는, 음료 용기(100)가 기울어진 경우에 음료 개방부(312), 흐름 경로부(214), 및 토출 포트(215)를 통해 도 1의 주둥이(12) 근처에서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개방부(313)가 개방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가 가스 개방부(313) 및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는 뚜껑부(102)의 내부 공간(21A, 도 43)을 통해 중공부(11)로 유입되고, 음료가 음료 개방부(213) 측으로부터 확실하게 토출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내부 공간(21A)에 대해,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는 구성요소들 사이(예를 들어, 본체 부재(21) 및 동작 부재(22) 또는 조정 부재(23) 사이의 갭)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료는 음료 용기(100)에 수용되어 보관될 수 있고, 음료 용기(100)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실시예의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료 개방부(312)의 하측으로부터 음료 개방부(312)의 개폐를 위한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를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료가 토출될 수 있거나 토출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가스 개방부(313)의 하측으로부터 가스 개방부(313)를 개폐하기 위한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를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가스 개방부(313)를 통한 음료 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를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스 개폐부 측 밀봉재(325)를 가스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를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325)를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음료가 토출될 때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따라서 음료가 부드럽게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두 개방부가 폐쇄될 수 있고, 따라서 음료 토출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소 밸브(314)를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본체부(101) 내 압력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이 유지된다.
또한, 음료가 발포성 음료이기 때문에, 발포성 음료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토출될 수 있거나 토출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음료가 발포되어 본체부(101) 내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324)가 압력에 기반하여 이탈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음료 개폐부를 개방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음료가 확실하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토출될 수 있거나 토출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실시예 관련 변경 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특정 구성 및 수단이 청구범위에 기술된 각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방식으로 변경 및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 그러한 변경 예가 설명된다.
(발명의 기술적 과제 및 효과에 관해)
먼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및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구현 환경 및 구성의 세부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상술한 과제는 부분적으로만 해결될 수 있거나 상술한 효과는 부분적으로만 달성될 수 있다.
(재료에 관해)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술된 재료는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지 또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것들로 변경될 수 있거나, 수지로 만들어진 것들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금속 또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것들로 변경될 수 있다.
(부착 방법에 관해)
또한, 본 실시예의 뚜껑부(102)의 구성요소들은 임의의 부착방법으로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들은 체결되어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나사조임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접착체 등으로 고정 및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 부재의 이동 매커니즘에 관해)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부재(32)가 동작 부재(22)를 회전시켜서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가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구성에서, 이동 부재(32)는 상하로 이동하여 제공되는 동작 레버(operation lever) 및 상하로 이동되는 동작 레버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각 부재에 관해)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술된 각 부재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본체 부재(21) 및 연결 부재(25)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특징에 관해)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 및 변경 예의 특징은 임의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주)
주 1의 음료 용기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상부에 제공된 뚜껑부를 포함하고, 뚜껑부는 수용부에 수용된 음료룰 토출하는 음료 개방부; 및 음료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음료 개방부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
주 1의 음료 용기에 따른 주 2의 음료 용기에서 뚜껑부는: 음료 개방부로부터 별도로 제공되고, 수용부에 수용된 음료가 토출되는 경우, 수용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가스 개방부; 및 가스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가스 개방부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주 2의 음료 용기에 따른 주 3의 음료 용기에서, 음료 개폐 부재는 음료 개방부를 차단 및 패쇄하는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 및 음료 개방부의 차단을 해제하고 개방하는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가 이동할 수 있고, 가스 개폐 부재는 가스 개방부를 차단 및 패쇄하는 가스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 및 가스 개방부의 차단을 해제하고 개방하는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뚜껑부는 음료 개폐 부재 및 가스 개폐 부재를 서로 동기화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이동 부재는 음료 개폐 부재를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스 개폐부재를 가스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는 음료 개폐 부재를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스 개폐 부재를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킨다.
주 1 내지 주 3중 어느 하나의 음료 용기에 따른 주 4의 음료 용기에서, 뚜껑부는 수용부 내 입력을 감소시키는 압력 감소 유닛를 더 포함한다.
주 1 내지 주 4 중 어느 하나의 음료 용기에 따른 주 5의 음료 용기에서, 상기 음료는 발포성 음료다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상부에 제공된 뚜껑부를 포함하는 주6항의 음료용기의 뚜껑부는: 수용부에 수용된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개방부; 및 음료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음료 개방부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 부재를 포함한다.
(주 들의 효과)
주 1의 음료 용기 및 주 6의 뚜껑부에 따르면, 음료 개방부의 하부로부터 음료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음료 개폐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료가 토출가능하게 또는 토출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주 2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가스 개방부의 하부로부터 가스 개방부를 개폐하기 위한 가스 개폐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가스 개방부를 통한 음료 토출이 방지될 수 있다.
주 3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음료 개폐부를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가스 개폐부재를 가스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음료 개폐부를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가스 개폐부재를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음료가 토출될 때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고, 따라서 음료가 부드럽게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두 개방부가 폐쇄될 수 있고, 따라서 음료 토출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주 4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압력 감소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수용부 내 압력이 계속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이 유지된다.
주 5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음료는 발포성 음료이기 때문에 발포성 음료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토출될 수 있거나 또는 토출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음료가 발포되어 수용부 내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음료 개폐 부재가 압력에 기반하여 음료 개폐부가 이탈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음료가 확실하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토출할 수 있거나 토출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11 중공부 12 주둥이 13 핸들
14 본체부측 개방부 15 본체부측 체결부
21 본체 부재 21A 내부 공간 22 동작 부재
23 조정 부재 24 가이드 부재 25 연결 부재
31 분리 부재 32 이동 부재 33 가압 부재
34 부착 부재 100 음료 용기 101 본체부
102 뚜껑부 102A 제 1 파트 102B 제 2 파트
210 상위 핸들 211 뚜껑부측 체결부 212 개방부
213 위치확인 홈부 214 흐름 경로부 215 토출부
216 본체 부재측 밀봉재 221 놉부
222 중간측 돌출부 222A 나사 날 223 위치확인 돌출부
231 개방부 232 중간측 돌출부 232A 나사 홈
233 가이드 돌출부 241 개방부 242 중간측 돌출부
242A 가이드 오목부 243 나사 홀 251 제 1 개방부
252 제 2 개방부 253 연결 부재측 제 1 밀봉재
254 연결 부재측 제 2 밀봉재 311 중간측 개방부
312 음료 개방부 313 가스 개방부 314 입력 감소 밸브
315 가이드부 321 본체부 322 중간측 돌출부
323 고정 피스 324 음료 개폐부측 밀봉재
325 가스 개폐부측 밀봉재 326 돌출부측 밀봉재
341 개방부 342 고정 오목부 901 고정 나사
A1 화살표 A2 화살표

Claims (6)

  1.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제공된 뚜껑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개방부; 및
    상기 음료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음료 개방부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
  2.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음료 개방부로부터 별도로 제공되고,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음료가 토출되는 경우 상기 수용부로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가스 개방부; 및
    상기 가스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가스 개방부를 개폐하는 가스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음료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개폐 부재는 상기 음료 개방부를 차단 및 패쇄하는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 및 상기 음료 개방부의 차단을 해제하고 개방하는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가 이동할 수 있고,
    상기 가스 개폐 부재는 상기 가스 개방부를 차단 및 패쇄하는 가스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 및 상기 가스 개방부의 차단을 해제하고 개방하는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뚜껑부는 상기 음료 개폐 부재 및 가스 개폐 부재를 서로 동기화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음료 개폐 부재를 상기 음료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스 개폐부재를 상기 가스 개폐 부재측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또는 상기 음료 개폐 부재를 상기 음료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스 개폐 부재를 상기 가스 개폐 부재측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음료 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용부 내 입력을 감소시키는 압력 감소 유닛을 더 포함하는, 음료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발포성 음료인, 음료 용기.
  6.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제공된 뚜껑부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상기 뚜껑부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음료를 토출하는 음료 개방부; 및
    상기 음료 개방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음료 개방부를 개폐하는 음료 개폐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용기의 뚜껑부.
KR1020227041583A 2021-10-21 2021-10-21 음료 용기 및 뚜껑부 KR202400831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38919 WO2023067756A1 (ja) 2021-10-21 2021-10-21 飲料容器、及び蓋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3119A true KR20240083119A (ko) 2024-06-11

Family

ID=8605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1583A KR20240083119A (ko) 2021-10-21 2021-10-21 음료 용기 및 뚜껑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28545A1 (ko)
KR (1) KR20240083119A (ko)
GB (1) GB2615265A (ko)
TW (1) TW202320673A (ko)
WO (1) WO20230677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343151B2 (en) * 2014-11-04 2019-12-12 Klean Kanteen, Inc. Container sealing assembly
EP3534757A4 (en) * 2016-11-01 2020-07-01 Igloo Products Corp. CONTAINER LID
JP7244750B2 (ja) * 2019-04-08 2023-03-23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液体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28545A1 (en) 2023-04-27
WO2023067756A1 (ja) 2023-04-27
GB202306616D0 (en) 2023-06-21
GB2615265A (en) 2023-08-02
TW202320673A (zh)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379B1 (en) Leak-free drinking cup
US8336724B2 (en) Beverage container
JP4726908B2 (ja) 容器から液体を分注するための注ぎ口
KR20070012341A (ko) 식품 용기를 밀봉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제공된식품 용기
JP2014177309A (ja) 流体用容器のための閉鎖装置
KR960703353A (ko) 일체식 수송용 밀봉부를 갖는 절첩식 펌프실을 구비한 펌프장치(Pump device with collapsible pump chamber having integral shipping seal)
US11390432B2 (en) Coaxial rotary lid and drinking cup thereof
EP3263512B1 (en) Container for liquids associated with a carbonator
CN108726017B (zh) 可携式气泡水瓶
WO2021091826A1 (en) Lid for a drinking vessel with integrated venting mechanism
JP6310838B2 (ja) スクイズ容器
KR20240083119A (ko) 음료 용기 및 뚜껑부
US20190119028A1 (en) Cartridge pump
KR20150112934A (ko) 체크 밸브 및 체크 밸브 부착 용기
US7127912B2 (en) Multi-chambered container with collared O-ring
WO2010004252A2 (en) Closure element a fluid container
CN118234667A (zh) 饮料容器和盖体
JP2006341916A (ja) 飲料注出装置
KR200315702Y1 (ko) 음료용기의 마개
JP7082412B2 (ja) 飲料用補助コック
KR20030027931A (ko) 음료용기의 마개
US11045774B2 (en) Container for liquids associated with a carbonator
WO2020021676A1 (ja) ディスペンサー及びコック
KR200379451Y1 (ko) 별도의 혼합수단이 없고 별도의 잠금수단을 갖는 음료혼합용기
JP2023170796A (ja) 飲料サー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