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7949A -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7949A
KR20240077949A KR1020220160378A KR20220160378A KR20240077949A KR 20240077949 A KR20240077949 A KR 20240077949A KR 1020220160378 A KR1020220160378 A KR 1020220160378A KR 20220160378 A KR20220160378 A KR 20220160378A KR 20240077949 A KR20240077949 A KR 20240077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value
interpolation
area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3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보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PCT/KR2023/01841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111992A1/en
Publication of KR20240077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79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를 개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로컬 영역 별 휘도 특성을 추출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출력되는 시점에 휘도 특성을 반영하여 픽셀 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픽셀 별 휘도를 개선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isplay driving device, which extracts luminance characteristics for each local area and corrects the display data for each pixel by reflecting the luminance characteristics at the time the display data is output, thereby adjusting the luminance for each pixel to improve visibilit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의 시인성 개선 장치{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Display driving device and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의 시인성 개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riv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driving device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images and a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한 영상 신호로써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display driving device is configured to convert display data into image signals and output them to a display panel. The display panel can display images using the above-described image signals.

영상에서 밝은 영역, 중간 밝기 영역 및 어두운 영역은 서로 다른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은 중간 밝기 영역보다 시인성이 떨어진다.Bright areas, mid-bright areas, and dark areas in an image may have different visibility. In particular, bright and dark areas have lower visibility than medium brightness areas.

상기한 이유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For the above reasons, display driving devices are required to have a function for improving image visibility.

영상의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영상의 프레임을 복수의 로컬 영역으로 구분하고, 로컬 영역 별로 휘도 정보를 추출하며, 로컬 영역 별로 픽셀의 휘도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an image, a display driv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divide an image frame into a plurality of local areas, extract luminance information for each local area, and correct the luminance of a pixel for each local area.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를 설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로컬 영역의 휘도 정보를 추출하는 프레임과 휘도를 보정하는 프레임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When designing a display driving device to improve visibility, the display driving device may be designed with different frames for extracting luminance information of a local area and frames for correcting luminance.

즉, 이전 프레임의 휘도 정보가 현재 디스플레이를 위한 프레임의 휘도 보정에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추출된 로컬 영역의 휘도 정보는 한 프레임 지연된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휘도 보정에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luminance information of the previous frame can be applied to luminance correction of the frame for the current display. As a result, the luminance information of the local area extracted to improve visibility can be applied to luminance correction of display data delayed by one frame.

따라서,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휘도 정보를 추출하는 프레임과 추출된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 보정을 하는 프레임이 미스매칭되는 문제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프레임의 영상이 왜곡될 수 있다.Therefore, due to a mismatch between the frame from which luminance information is extracted to improve visibility and the frame from which luminance correction is performed using the extracted luminance information, the image of the displayed frame may be distorted.

본 발명은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의 시인성 개선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riv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images and a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로컬 영역의 휘도 정보를 추출한 프레임과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를 보정하는 프레임을 일치시킴으로써 프레임 왜곡없이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그의 시인성 개선 장치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riv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an image without frame distortion by matching a frame from which luminance information of a local area is extracted and a frame for correcting luminance using the luminance information, and a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The purpose.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휘도를 보정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함으로써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시인성 개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인성 개선부는,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입력될 때, 상기 대상 프레임을 분할한 복수의 로컬 영역 별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휘도값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출력할 때, 픽셀 별로 인접한 복수의 로컬 영역들의 상기 대표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보정값을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픽셀 별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하며, 상기 대상 프레임의 보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sibility improvement unit that improves visibility of a displayed image by correcting display data to correct luminance, wherein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includes, when the display data of a target frame is input,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is gener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ocal areas into which the target frame is divided, and when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is output for display,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of the plurality of local areas adjacent to each pixel is generated. A correction value is generated using values, the display data for each pixel is corrected with the correction value, and the corrected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is output.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의 시인성 개선 장치는,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프레임 메모리;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의 복수의 로컬 영역 별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을 생성하는 대표 휘도값 생성부; 상기 평균 휘도값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픽셀 별로 인접한 상기 로컬 영역들의 상기 평균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보정값을 생성하며,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픽셀 별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하는 휘도 보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of the display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memory for storing display data of a target frame;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that receives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and generates an average luminance value of pixels for each of a plurality of local areas of the target frame;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and generating a correction value using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of the local areas adjacent to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and correcting the display data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output from the frame memory to improve visibility.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luminance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the value.

본 발명은 로컬 영역의 휘도 정보를 추출한 프레임과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를 보정하는 프레임을 일치시킴으로써 시인성 개선을 위한 휘도 보정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perform luminance correction to improve visibility by matching a frame from which luminance information of a local area is extracted with a frame for correcting luminance using the luminance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왜곡없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visibility without distortion of the displayed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시인성 개선부를 예시한 블럭도.
도 3은 도 2의 휘도 보정부를 예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3의 보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play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of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luminance correction unit of Figure 2.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nterpolation unit of FIG. 3.

본 발명은 휘도 보정을 통하여 시인성을 개선하는 도 1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10)를 실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display driving device 10 of FIG. 1, which improves visibility through luminance correction.

실시예로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도시되지 않음)에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The display driving device 10 configured as an embodiment is for outputting an image signal to a display panel (not shown) using display data.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부품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10)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도시되지 않음),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복원 및 처리하는 복원부(도시되지 않음) 및 신호 처리부(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아날로그의 영상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는 출력 회로(도시되지 않음)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수신부, 복원부, 신호 처리부 및 출력 회로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10)의 통상적인 구성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The display driving device 10 may include components for receiving display data and outputting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Exemplarily, the display driving device 10 includes a receiver (not shown) that receives display data, a restoration unit (not shown) that restores and processes display data, and a signal processor (not shown), and display data. An output circuit (not shown) that generates and outputs a corresponding analog video signal may be provided. Since the above-mentioned receiver, restoration unit, signal processing unit, and output circuit correspond to the typical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driving device 10, specific examples an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10)의 실시예는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영상의 한 프레임을 복수의 로컬 영역으로 구분하고, 프레임의 로컬 영역 별 휘도 정보를 추출하고, 로컬 영역들의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픽셀 별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image, the embodiment of the display driv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one frame of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local areas, extracts luminance information for each local area of the frame, and extracts luminance information for each local area. It can be configured to correct display data for each pixel using .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실시예는 상기한 로컬 영역들의 휘도 정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보정을 통하여 픽셀들의 휘도를 보정함으로써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display dri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images by correcting the luminance of pixels through correction of display data using the luminance information of the above-mentioned local areas.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10)는 도 1과 같이 시인성 개선부(12)를 포함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splay driving device 1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as shown in FIG. 1 .

상기한 시인성 개선부(12)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10) 내에 집적되는 부품으로 이해도리 수 있다.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as a component integrated into the display driving device 10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시인성 개선부(12)는 영상의 프레임을 복수의 로컬 영역들로 구분하고, 로컬 영역 별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픽셀 별 휘도를 보정함으로써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may be configured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image by dividing the frame of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local areas and correcting the luminance of each pixel using luminance information for each local area.

시인성 개선부(12)는 각 컬러(레드, 그린, 블루)에 해당하는 프레임 별로 시인성을 개선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컬러 별 프레임의 로컬 영역들의 휘도 정보에 의해 해당 컬러의 픽셀 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인성 개선부(1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컬러에 해당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보정을 통하여 휘도를 보정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컬러들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다.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may be implemented to improve visibility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each color (red, green, blue). In this case, the display data for each pixel of the corresponding color may be corrected based on the luminance information of the local areas of the frame for each colo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exemplifies a case in which luminance is corrected through correction of display data corresponding to one col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equally implemented on display data of other colors.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에서 상기한 신호 처리부는 복원부에서 복원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display driving device,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be understood as performing digital processing on display data restored by the restoration unit.

신호 처리부는 화질 개선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상하는 디지털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도 2와 같이 시인성 개선부(12)와 색상값 변환부(2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ignal processing unit may perform digital processing to compensate for display data to improve image quality, and may illustratively include a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and a color value conversion unit 28 as shown in FIG. 2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인성 개선부(12)는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픽셀 별로 휘도값을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색상값 변환부(28)는 보정된 픽셀의 휘도값을 이용하여 예시적으로 색상(Hue), 채도(Saturation) 및 휘도(Luminance)로 표현되는 색공간의 값을 RGB 값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luminance value for each pixel to improve visibility, and the color value conversion unit 28 may exemplarily use the luminance value of the corrected pixel. It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color space values expressed in hue, saturation, and luminance into RGB values.

보다 구체적으로, 시인성 개선부(12)는 동일 프레임에 대하여 로컬 영역들의 시인성 개선을 위한 휘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한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픽셀 별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시인성 개선부(12)는 시인성 개선에 의해 프레임의 영상이 왜곡되는 것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may be configured to extract luminance information for improving visibility of local areas for the same frame and correct display data for each pixel using the luminance information. As a result,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can prevent the image of the frame from being distorted by improving visibi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휘도 정보를 추출하는 프레임과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는 프레임이 동일한 것임을 명확히 표시하기 위하여, 휘도 정보를 추출하고 픽셀이 보정되는 프레임을 대상 프레임으로 호칭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early indicate that the frame from which luminanc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the frame from which display data is corrected to improve visibility are the same, the frame from which luminance information is extracted and pixels are corrected is called a target frame.

따라서, 시인성 개선부(12)는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가 입력될 때, 대상 프레임을 분할한 복수의 로컬 영역 별로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대표 휘도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대표 휘도값이 로컬 영역의 휘도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is input,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ocal regions into which the target frame is divided. Here,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can be understood as luminance information of the local area.

그리고, 시인성 개선부(12)는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출력할 때, 복수의 로컬 영역들의 대표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 보정값을 생성하고, 보정값으로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d, when outputting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for display,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generates a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using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s of a plurality of local areas, and uses the correction value to determine the target frame's display data. It can be configured to correct display data for each pixel.

상기한 시인성 개선부(12)는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시인성 개선부(12)는 프레임 메모리(20) 및 휘도 개선부(1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may be illustrated as including a frame memory 20 and a luminance improvement unit 100.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D는 프레임 메모리(20)와 휘도 개선부(100)에 제공될 수 있다.Display data DAT_D may be provided to the frame memory 20 and the brightness improvement unit 100.

프레임 메모리(20)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D를 수신하여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F를 출력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레임 메모리(20)에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D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F를 구분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한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하여 휘도 정보 추출 및 휘도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frame memory 20 may receive and store display data DAT_D and output display data DAT_F for displa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splay data DAT_D received in the frame memory 20 and the display data DAT_F output are distinguished. Howev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luminance information and performs luminance correction on the display data of the same target frame. It can be understood as doing so.

휘도 개선부(100)는 프레임 메모리(20)에 수신되는 것과 동일한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D를 수신하고, 프레임 메모리(20)에서 출력되는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F를 보정하도록 구성된다.The luminance improvement unit 100 is configured to receive display data DAT_D of the target frame that is the same as that received in the frame memory 20 and correct display data DAT_F of the target frame output from the frame memory 20.

휘도 개선부(100)는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D를 이용하여 대상 프레임을 분할한 복수의 로컬 영역 별 대표 휘도 값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The luminance improvement unit 100 may use the display data DAT_D of the target frame to generate and stor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ocal areas into which the target frame is divided.

그리고, 휘도 개선부(100)는 픽셀이 속한 로컬 영역의 대표 휘도값과 픽셀에 인접한 로컬 영역들의 대표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픽셀 별 보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보정값의 생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Additionally, the luminance improvement unit 100 may generate a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using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of the local area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s of local areas adjacent to the pixe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eneration of the correction value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그리고, 휘도 개선부(100)는 픽셀 별 보정값을 이용하여 프레임 메모리(20)에서 출력되는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F를 보정할 수 있다. 도 2에서,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픽셀 별로 보정된 휘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데이터는 DAT_C로 표시된다.Additionally, the luminance improvement unit 100 may correct the display data DAT_F of the target frame output from the frame memory 20 using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In FIG. 2, display data with luminance corrected for each pixel to improve visibility is indicated as DAT_C.

상기한 휘도 개선부(100)는 대표 휘도값으로서 로컬 영역 별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 또는 로컬 영역 별로 가장 자주 발생하는 휘도값을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평균 휘도값은 후술하는 연산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상기한 가장 자주 발생하는 휘도값은 휘도 별 발생 회수를 카운트함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 luminance improving unit 100 may generate the average luminance value of pixels in each local area or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luminance value in each local area as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Exemplarily, the above-mentioned average luminance value may be generated by an operation described later, and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luminance value may be gener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each luminance.

휘도 개선부(100)는 상기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대표 휘도값 생성부(22), 저장부(24) 및 휘도 보정부(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luminance improvement unit 100 may include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22, a storage unit 24, and a luminance correction unit 26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s.

참고로, 영상의 프레임은 수평 주기들에 해당하는 복수의 수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평 라인에는 해상도에 해당하는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For reference, a frame of an image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corresponding to horizontal periods.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may be understood as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corresponding to resolution.

대표 휘도값 생성부(22)에 의하여 한 프레임은 복수의 로컬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One frame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ocal areas by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22.

각 로컬 영역은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수평 라인을 포함할 수 있고, 각 수평 라인은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Each local area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rizontal lin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ach horizontal lin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대표 휘도값 생성부(22)는 예시적으로 평균 휘도값 BA를 대표 휘도값으로서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22 may be described as generating an average luminance value BA as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여기에서, 평균 휘도값 BA는 로컬 영역 별로 생성될 수 있으며, 로컬 영역에 포함된 전체 픽셀들의 휘도값을 전체 픽셀 수로 나눈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각 픽셀들의 휘도값은 각 픽셀들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average luminance value BA can be generated for each local area, and can be understood as the luminance value of all pixels included in the local area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pixels. The luminance value of each pixel is the display data applied to each pixel. It can be understood as the value of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표 휘도값 생성부(22)는 프레임 메모리(20)와 입력을 공유하며 프레임 메모리(20)에 입력되는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D를 수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22 shares input with the frame memory 20 and may receive display data DAT_D of the target frame input to the frame memory 20.

그리고, 대표 휘도값 생성부(22)는 로컬 영역들에 해당하는 대표 휘도값으로서 대상 프레임의 로컬 영역 별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 BA를 생성하며, 평균 휘도값들 BA를 저장부(24)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22 generates the average luminance value BA of pixels for each local area of the target frame as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local areas, and provides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BA to the storage unit 24.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대표 휘도값 생성부(22)가 로컬 영역 별 평균 휘도값 BA을 생성하는 동작은 아래와 같이 단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ing unit 22 to generate the average luminance value BA for each local area can be explained step by step as follows.

먼저, 대표 휘도값 생성부(22)는 로컬 영역 별로, 수평 라인 단위로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D를 이용하여 픽셀들의 휘도값들을 합산한 라인 휘도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라인 휘도값은 로컬 영역의 수평 라인에 포함된 픽셀들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D의 값을 합산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First,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22 may generate a line luminance value by adding up the luminance values of pixels using display data DAT_D for each local area and horizontal line unit. Here, the line luminance value can be understood as the sum of the display data DAT_D values of pixels included in the horizontal line of the local area.

그리고, 대표 휘도값 생성부(22)는 로컬 영역 별로 라인 휘도값들을 누적하여 합산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로컬 영역 별로, 전체 픽셀들의 전체 휘도값을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22 can accumulate and add the line luminance values for each local area, and as a result, can generate the total luminance value of all pixels for each local area.

그 후, 대표 휘도값 생성부(22)는 로컬 영역 별로, 전체 휘도값을 해당 로컬 영역의 전체 픽셀 수로 나눈 평균 휘도값 BA를 생성할 수 잇다.Thereafter,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22 may generate an average luminance value BA for each local area by dividing the total luminance value by the total number of pixels in the local area.

대표 휘도값 생성부(22)는 대표 휘도값으로서 구해진 평균 휘도값 BA를 저장부(24)에 저장할 수 있다.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22 may store the average luminance value BA obtained as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in the storage unit 24 .

저장부(24)는 대상 프레임의 로컬 영역 별 평균 휘도값 BA를 로컬 영역 별 대표 휘도값 BA로서 저장할 수 있으며, 휘도 보정부(26)에 로컬 영역 별 평균 휘도값 Cref을 대표 휘도값으로서 제공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4 may store the average luminance value BA for each local area of the target frame as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BA for each local area, and may provide the average luminance value Cref for each local area to the luminance correction unit 26 as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You can.

휘도 보정부(26)는 프레임 메모리(20)에서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를 위한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F와 저장부(24)에서 제공되는 대상 프레임의 로컬 영역들에 대한 평균 휘도값 Cref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uminance correction unit 26 will be configured to receive display data DAT_F of the target frame for display provided from the frame memory 20 and the average luminance value Cref for local areas of the target frame provided from the storage unit 24. You can.

휘도 보정부(26)는 픽셀이 속한 로컬 영역과 픽셀에 인접한 로컬 영역들의 평균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픽셀 별 보정값 IV을 생성하며, 픽셀 별 보정값 IV을 이용하여 프레임 메모리(20)에서 출력되는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F를 보정하고, 그 결과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픽셀 별 휘도값을 보정할 수 있다.The luminance correction unit 26 generates a correction value IV for each pixel using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of the local area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the local areas adjacent to the pixel, and outputs the correction value IV from the frame memory 20 using the correction value IV for each pixel. The display data DAT_F of the target frame can be corrected, and as a result, the luminance value of each pixel can be corrected to improve visibility.

이를 위하여, 도 3과 같이 휘도 보정부(26)는 픽셀 정보 생성부(30), 영역 정보 생성부(32), 보간부(34) 및 보정부(36)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3 , the luminance correction unit 26 may include a pixel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0, a reg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32, an interpolation unit 34, and a correction unit 36.

픽셀 정보 생성부(30)는 프레임 메모리(20)에서 출력되는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F를 수신하고,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로 픽셀 휘도값 PX와 픽셀 위치 정보 PP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ixel information generator 30 may receive display data DAT_F of the target frame output from the frame memory 20 and provide a pixel luminance value PX and pixel position information PP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이 중, 픽셀 위치 정보 PP는 프레임 상의 평면 좌표로 이해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F의 픽셀들을 카운트함으로써 구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픽셀의 평면 좌표는 픽셀의 컬럼 위치와 로우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픽셀 휘도값 PX는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F의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Among these, pixel position information PP can be understood as plane coordinates on a frame, and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counting pixels of display data DAT_F. By way of example, the plane coordinates of a pixel may be defined by the column position and row position of the pixel. And, the pixel luminance value PX can be understood as the value of display data DAT_F.

그리고, 영역 정보 생성부(32)는 저장부(24)에서 대상 프레임의 로컬 영역 별 평균 휘도값들 Cref를 수신하고, 평균 휘도값들 Cref를 카운트함으로써 영역 위치 정보 BP를 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영역 정보 생성부(32)는 로컬 영역 별로 평균 휘도값 Cref과 영역 위치 정보 BP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ea information generator 32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Cref for each local area of the target frame from the storage unit 24 and obtain the area location information BP by counting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Cref. . As a result, the area information generator 32 can provide an average luminance value Cref and area location information BP for each local area.

이때, 영역 위치 정보 BP는 프레임 상의 평면 좌표로 이해할 수 있으며, 영역 정보 생성부(32)는 로컬 영역들의 영역 위치 정보 BP로서 로컬 영역 별 중심 픽셀의 위치 정보 즉 평면 좌표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rea location information BP can be understood as a plane coordinate on a frame, and the area information generator 32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nter pixel for each local area, that is, a plane coordinate, as area location information BP of local areas. .

도 4를 참조하면, 픽셀(Px)에 인접한 로컬 영역들(Rdc, Rec, Rdd, Red)이 예시되며, 로컬 영역들(Rdc, Rec, Rdd, Red)의 영역 위치 정보 BP는 Pdc, Pec, Pdd, Ped로 표시되며, 각 영역 위치 정보 Pdc, Pec, Pdd, Ped는 로컬 영역들(Rdc, Rec, Rdd, Red)의 중심 픽셀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local areas (Rdc, Rec, Rdd, Red) adjacent to the pixel (Px) are illustrated, and area location information BP of the local areas (Rdc, Rec, Rdd, Red) is Pdc, Pec, It is expressed as Pdd and Ped, and each area location information Pdc, Pec, Pdd, and Ped can be understood as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nter pixel of the local areas (Rdc, Rec, Rdd, Red).

보간부(34)는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로, 픽셀 위치 정보 PP, 픽셀(Px)을 포함하는 보간 영역(CA)을 형성하는 로컬 영역들(Rdc, Rec, Rdd, Red)의 영역 위치 정보들 Pdc, Pec, Pdd, Ped 및 로컬 영역들(Rdc, Rec, Rdd, Red)의 평균 휘도값 Cref를 이용하여 보간값을 생성하고, 보간값에 대응하는 보정값 IV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로컬 영역들(Rdc, Rec, Rdd, Red)은 픽셀(PX)이 속한 로컬 영역(Rdc)과 인접한 로컬 영역들(Rec, Rdd, Red)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interpolation unit 34 provides pixel position information PP and area position information Pdc of local areas (Rdc, Rec, Rdd, Red) forming an interpolation area (CA) including the pixel (Px)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 Pec, Pdd, Ped, and the average luminance value Cref of the local areas (Rdc, Rec, Rdd, Red) can be used to generate an interpolation value and provide a correction value IV corresponding to the interpolation value. Here, the local areas (Rdc, Rec, Rdd, Red) may be understood as including local areas (Rec, Rdd, Red) adjacent to the local area (Rdc) to which the pixel (PX) belongs.

상기한 보간 영역(CA)은 로컬 영역들(Rdc, Rec, Rdd, Red)의 영역 위치 정보들 Pdc, Pec, Pdd, Ped을 꼭지점으로 하는 장방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간 영역(CA)에서, 영역 위치 정보들 Pdc 및 Pdd 사이와 영역 위치 정보들 Pec 및 Ped 사이는 길이 W의 보간 영역(CA)의 변들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영역 위치 정보들 Pdc 및 Pec 사이와 영역 위치 정보들 Pdd 및 Ped 사이는 높이 H의 보간 영역(CA)의 변들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interpolation area (CA) may be set to a rectangular shape with the area location information Pdc, Pec, Pdd, and Ped of the local areas (Rdc, Rec, Rdd, and Red) as vertices. In the interpolation area (CA), between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Pdc and Pdd and between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Pec and Ped can be understood as corresponding to the sides of the interpolation area (CA) of length W, and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Pdc and Ped Between and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Pdd and Ped can be understood as corresponding to the sides of the interpolation area (CA) of height H.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휘도를 보정할 픽셀(Px)은 상기한 보간 영역(CA) 내에 위치할 수 있다.To improve visibility, the pixel (Px) whose luminance is to be corrected may be located within the interpolation area (CA).

보간부(34)는 픽셀(Px)를 기준으로 보간 영역(CA)을 분할한 보간 분면들을 설정하고, 보간 분면들에 대한 분할 보간값들을 생성하며, 분할 보간값들을 이용하여 보간값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interpolation unit 34 sets interpolation quadrants that divide the interpolation area (CA) based on the pixel (Px), generates split interpolation values for the interpolation quadrants, and generates interpolation values using the split interpolation values. It can be configured.

이를 위하여, 보간부(34)는 픽셀(Px)을 기준으로 보간 영역(CA)을 수직과 수평으로 분할한 보간 분면들을 설정한다. 즉, 보간 영역(CA)은 픽셀(Px)을 기준으로 분할된 사분면들 즉 4개의 보간 분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interpolation unit 34 sets interpolation quadrants that divide the interpolation area CA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the pixel Px. That is, the interpolation area CA can be understood as including quadrants divided based on the pixel Px, that is, four interpolation quadrants.

도4에서, 영역 위치 정보 Pdc가 위치한 제1 보간 분면은 높이 h1과 길이 w1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영역 위치 정보 Pdc의 픽셀(Px)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평면 좌표는 (w1, h1)로 이해할 수 있다. 영역 위치 정보 Pdd가 위치한 제2 보간 분면은 높이 h1과 길이 w2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영역 위치 정보 Pdd의 픽셀(Px)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평면 좌표는 (w2, h1)로 이해할 수 있다. 영역 위치 정보 Ped가 위치한 제3 보간 분면은 높이 h2와 길이 w2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영역 위치 정보 Ped의 픽셀(Px)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평면 좌표는 (w2, h2)로 이해할 수 있다. 영역 위치 정보 Pec가 위치한 제4 보간 분면은 높이 h2와 길이 w1을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영역 위치 정보 Pec의 픽셀(Px)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평면 좌표는 (w1, h2)로 이해할 수 있다.In Figure 4, the first interpolation quadrant where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Pdc is located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 height h1 and a length w1. At this time, the relative plane coordinates based on the pixel (Px) of the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dc can be understood as (w1, h1). The second interpolation quadrant where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Pdd is located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 height h1 and a length w2. At this time, the relative plane coordinates based on the pixel (Px) of the region position information Pdd can be understood as (w2, h1). The third interpolation quadrant where the area location information Ped is located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 height h2 and a length w2. At this time, the relative plane coordinates based on the pixel (Px) of the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ed can be understood as (w2, h2). The fourth interpolation quadrant where the area location information Pec is located can be understood as having a height h2 and a length w1. At this time, the relative plane coordinates based on the pixel (Px) of the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ec can be understood as (w1, h2).

여기에서, 길이 w1과 길이 w2의 합은 보간 영역(CA)의 길이 W로 이해될 수 있으며, 높이 h1과 높이 h2의 합은 보간 영역(CA)의 높이 H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sum of the length w1 and the length w2 can be understood as the length W of the interpolation area (CA), and the sum of the height h1 and the height h2 can be understood as the height H of the interpolation area (CA).

영역 위치 정보 Pdc, Pec, Pdd, Ped 별 평균 휘도값은 로컬 영역들(Rdc, Rec, Rdd, Red)의 평균 휘도값 Cref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average luminance value for each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dc, Pec, Pdd, and Ped can be understood as the average luminance value Cref of local regions (Rdc, Rec, Rdd, Red).

보간부(34)는 영역 위치 정보 Pdc, Pec, Pdd, Ped 별로, 해당하는 평균 휘도값 Cref와 픽셀(Px)을 기준으로 반대에 위치한 보간 분면의 면적을 곱한 분할 보간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보간 분면의 면적은 각각 해당하는 길이와 높이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지는 분할 보간값은 픽셀(Px)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중치로 이해될 수 있다.The interpolation unit 34 may generate a split interpolation value for each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dc, Pec, Pdd, and Ped by multiplying the corresponding average luminance value Cref by the area of the interpolation quadrant located opposite the pixel (Px). At this time, the area of each interpolation quadrant can be calculated as the product of the corresponding length and height. The split interpolation value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can be understood a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ixel (Px).

보다 구체적으로, 영역 위치 정보 Pdc에 대한 분할 보간값은 “로컬 영역(Rdc)의 평균 휘도값 5 제3 보간 분면의 면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영역 위치 정보 Pdd에 대한 분할 보간값은 “로컬 영역(Rdd)의 평균 휘도값 5 제4 보간 분면의 면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영역 위치 정보 Ped에 대한 분할 보간값은 “로컬 영역(Red)의 평균 휘도값 5 제1 보간 분면의 면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영역 위치 정보 Pec에 대한 분할 보간값은 “로컬 영역(Rec)의 평균 휘도값 5 제2 보간 분면의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visional interpolation value for the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dc may be generated as “the average luminance value of the local region (Rdc) 5 and the area of the third interpolation quadrant”, and the divisional interpolation value for the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dd may be generated as “the area of the third interpolation quadrant of the local region (Rdc)”. It can be generated as “average luminance value of the region (Rdd) 5 area of the fourth interpolation quadrant”, and the segmented interpolation value for the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ed is “average luminance value of the local region (Red) 5 area of the first interpolation quadrant” It can be generated as, and the divisional interpolation value for the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ec can be defined as “the average luminance value of the local region (Rec) 5 and the area of the second interpolation quadrant.”

보간부(34)는 상기와 같이 영역 위치 정보 Pdc, Pec, Pdd, Ped 별로 분할 보간값을 생성하면, 보간 영역(CA)에 대한 분할 보간값들의 합을 보간 영역(CA)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픽셀(Px)의 보간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보간 영역(CA)의 면적은 길이 W와 높이 H의 곱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the interpolation unit 34 generates divided interpolation values for each region location information Pdc, Pec, Pdd, and Ped as described above, the sum of the divided interpolation values for the interpolation area CA is divided by the area of the interpolation area CA. can be created as an interpolation value of the pixel (Px). At this time, the area of the interpolation area (CA) can be understood as the product of the length W and the height H.

보간부(34)는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로 생성된 보간값에 대응하는 보정값 IV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interpolation unit 34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correction value IV corresponding to the interpolation value generated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예시적으로, 보간부(34)는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 픽셀 휘도값과 상기한 보간값을 연산한 보정값 IV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xemplarily, the interpolation unit 34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pixel luminance value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and a correction value IV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interpolation value.

또한,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보간부(34)는 보간값을 그대로 보정값 IV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s intention, the interpolation unit 34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interpolation value as the correction value IV.

한편, 보정부(36)는 보정값 IV를 수신하고, 보정값 IV를 미리 설정된 보정식의 계수값으로 이용하여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픽셀 별 휘도를 보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rrection unit 36 may receive the correction value IV and use the correction value IV as a coefficient value of a preset correction equation to correct the luminance of each pixel of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보정부(36)는 시인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차식 또는 이차식과 같이 미리 설정된 보정식을 계산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보정값 IV이 보정식의 계수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보정부(36)는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값 즉 휘도값을 보정값 IV가 계수값으로 설정된 보정식을 이용하여 연산한 결과를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로 출력할 수 있다.The correction unit 36 may be set to calculate a preset correction equation, such as a linear equation or a quadratic equation, to improve visibility, and the correction value IV may be used as a coefficient value of the correction equation. Therefore, the correction unit 36 can output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display data value, that is, the luminance value,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using a correction equation in which the correction value IV is set as a coefficient value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또한,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보정부(36)는 보정값 IV를 게인으로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정부(36)는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값을 게인인 보정값 IV에 비례하는 값으로 연산할 수 있으며, 연산한 결과를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로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s intention, the correction unit 36 may be configured to use the correction value IV as a gain. In this case, the correction unit 36 may calculate the display data value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as a value proportional to the correction value IV, which is the gain, and output the calculation result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보정부(36)는 상기와 같이 픽셀 별 휘도를 보정한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C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rrection unit 36 may output display data DAT_C in which the luminance of each pixel is correct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휘도 보정부(26)의 보정부(36)에서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픽셀 별로 휘도가 보정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C가 출력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isplay data DAT_C with luminance corrected for each pixel may be output from the correction unit 36 of the luminance correction unit 26 to improve visibility.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휘도 개선부(100)가 대상 프레임의 보정된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C를 출력하고, 색상값 변환부(28)가 디스플레이 데이터 DAT_C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uminance improvement unit 100 outputs the corrected display data DAT_C of the target frame, and the color value conversion unit 28 receives the display data DAT_C.

색상값 변환부(28)는 픽셀의 보정된 휘도값에 대응하는 색공간의 값을 RGB 값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The color value conversion unit 28 is configured to convert a color spa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rrected luminance value of the pixel into an RGB valu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인성 개선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컬러(레드, 그린, 블루)에 해당하는 프레임 별로 시인성을 개선하도록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픽셀 별 휘도를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12 may be configured to correct the luminance of each pixel of display data to improve visibility for each frame corresponding to each color (red, green, blue),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색상값 변환부(28)는 각 컬러 별로 시인성을 개선한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각 컬러 별로 픽셀의 보정된 휘도값에 대응하는 색공간의 값을 RGB 값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lor value conversion unit 28 can receive display data with improved visibility for each color, and can be configured to convert the color spa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rrected luminance value of the pixel for each color into an RGB value. there is.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해, 입력 시점에서 로컬 영역 별 휘도 정보를 추출 및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한 출력 시점에서 저장된 로컬 영역 별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픽셀 별 휘도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display data is corrected to improve visibility,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and stores luminance information for each local area at the time of input for display data of the same frame, and extracts and stores luminance information for each local area stored at the time of output for display. Brightness correction for each pixel can be performed using brightness informa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은 휘도 정보가 해당하는 대상 프레임에 정확히 반영될 수 있으므로 영상의 프레임 왜곡없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visibility without distorting the frame of the image because luminance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reflected in the corresponding target frame.

Claims (17)

영상의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는 시인성 개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인성 개선부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을 분할한 복수의 로컬 영역 별 대표 휘도값들을 생성하고,
상기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로, 상기 픽셀이 속한 제1 로컬 영역과 상기 픽셀이 인접한 복수의 제2 로컬 영역들의 상기 대표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보정값을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 별 휘도를 보정한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It includes a visibility improvement unit that corrects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of the image,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Stor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Generat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ocal regions into which the target frame is divided,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a correction value is generated using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s of a first local area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a plurality of second local areas adjacent to the pixel, and
A display dri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in which the luminance of each pixel is corrected using the correction value is outpu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성 개선부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그리고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는 휘도 개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휘도 개선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대상 프레임을 분할한 상기 복수의 로컬 영역 별로 상기 대표 휘도값을 생성하고,
상기 픽셀이 속한 상기 제1 로컬 영역과 상기 픽셀에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2 로컬 영역들의 상기 대표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 별 상기 보정값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상기 픽셀 별로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보정하고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sibility improvement unit,
a frame memory that stores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and
It includes a luminance improvement unit that corrects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output from the frame memory,
The luminance improvement unit,
Receiving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stored in the frame memory,
Generating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ocal regions into which the target frame is divided,
Generate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using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s of the first local area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ocal areas adjacent to the pixel, and
A display driving device that corrects and outputs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in the frame memory using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개선부는 상기 로컬 영역 별로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을 상기 대표 휘도값으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A display driving device wherein the luminance improvement unit generates an average luminance value of pixels for each local area as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개선부는 상기 로컬 영역 별로 픽셀들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휘도값을 상기 대표 휘도값으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A display driving device wherein the luminance improvement unit generates a luminance value that occurs most frequently in pixels for each local area as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개선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대상 프레임을 분할한 상기 복수의 로컬 영역 별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대표 휘도값을 생성하는 대표 휘도값 생성부;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로컬 영역 별 상기 대표 휘도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픽셀이 속한 상기 제1 로컬 영역과 상기 픽셀이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2 로컬 영역들의 영역 위치 정보들 및 상기 대표 휘도값들과 상기 픽셀의 위치 정보 및 휘도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값을 생성하며, 상기 픽셀 별로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휘도 보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rightness improving unit,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that receives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stored in the frame memory and generates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ocal regions into which the target frame is divided;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ocal areas of the target frame; and
Generating the correction value using area location information and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s of the first local area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ocal areas adjacent to the pixe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luminance value of the pixel; , a luminance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and outputs the display data in the frame memory using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휘도값 생성부는,
상기 로컬 영역 별로, 수평 라인 단위로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픽셀들의 휘도값을 합산한 라인 휘도값을 생성하고,
상기 로컬 영역 별로, 상기 라인 휘도값들을 합산한 전체 휘도값을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로컬 영역 별로, 상기 전체 휘도값을 상기 로컬 영역의 전체 픽셀 수로 나눈 상기 평균 휘도값을 상기 대표 휘도값으로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For each local area, a line luminance value is generated by summing the luminance values of pixels using the display data on a horizontal line basis,
For each local area, a total luminance value is generated by summing the line luminance values, and
A display driving device that generates, for each local area, the average luminance value divided by the total luminance value divided by the total number of pixels in the local area as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픽셀 별로 픽셀 휘도값과 픽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픽셀 정보 생성부;
상기 저장부의 상기 대표 휘도값들에 대응하여, 상기 픽셀이 속한 상기 제1 로컬 영역과 상기 픽셀이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2 로컬 영역들의 상기 대표 휘도값들과 영역 위치 정보들을 제공하는 영역 정보 생성부;
상기 대상 프레임의 픽셀 별로, 상기 픽셀의 상기 픽셀 휘도값과 상기 픽셀 위치 정보, 상기 픽셀이 속한 상기 제1로컬 영역과 상기 픽셀이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2 로컬 영역들의 상기 영역 위치 정보들 및 상기 평균 휘도값을 이용하여 보간값을 생성하고, 상기 보간값에 대응하는 상기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간부; 및
상기 픽셀 별로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uminance correction unit,
a pixel information generator providing pixel luminance value and pixel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pixel in response to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in the frame memory;
A region information generator providing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s and reg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local region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ocal regions adjacent to the pixel, in response to the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s of the storage unit. ;
For each pixel of the target frame, the pixel luminance value and the pixe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ixel,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local area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ocal areas adjacent to the pixel, and the average an interpolation unit that generates an interpolation value using a luminance value and provides the corre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terpolation value; and
A display driving device comprising: a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and outputs the display data in the frame memory using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로컬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 로컬 영역 별로 중심 픽셀의 위치 정보들을 상기 영역 위치 정보로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The area information generator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a center pixel for each of the first local are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ocal areas as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부는 상기 픽셀 별로 상기 보간값과 상기 픽셀 휘도값을 연산한 상기 보정값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A display driving device wherein the interpolation unit provides the correction valu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interpolation value and the pixel luminance value for each pixe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부는 상기 영역 위치 정보들을 꼭지점으로 하는 장방형의 보간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픽셀의 위치와 상기 보간 영역 상의 상기 픽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보간값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The interpolation unit sets a rectangular interpolation area using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as vertices, and generates the interpolation value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pixel and the position of the pixel on the interpolation are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부는,
인접한 상기 로컬 영역들의 상기 영역 위치 정보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보간 영역을 상기 픽셀을 기준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분할한 보간 분면들을 설정하고,
상기 영역 위치 정보 별로, 해당하는 상기 평균 휘도값과 픽셀을 기준으로 반대에 위치한 보간 분면의 면적을 곱한 분할 보간값을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보간 영역에 대한 상기 분할 보간값들의 합을 상기 보간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상기 보간값으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terpolation unit,
Setting interpolation quadrants that divide the interpolation area defined by the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adjacent local area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the pixel,
For each region location information, a segmented interpolation value is generated by multiplying the corresponding average luminance value by the area of an interpolation quadrant located opposite to the pixel, and
A display driving device that generates the interpolation value as the sum of the divided interpolation values for the interpolation area divided by the area of the interpolation area.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보정값을 미리 설정된 보정식의 계수값으로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상기 휘도를 보정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A display driving device wherein the correction unit correc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data by using the correction value as a coefficient value of a preset correction equation.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보정값을 게인으로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의 상기 휘도를 보정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A display driving device wherein the correction unit correc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data by using the correction value as a gain.
대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수신하고, 대표 휘도값으로서 상기 대상 프레임을 분할한 상기 복수의 로컬 영역 별로 픽셀들의 평균 휘도값을 생성하는 대표 휘도값 생성부;
상기 평균 휘도값들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픽셀이 속한 제1 로컬 영역과 상기 픽셀이 인접한 복수의 제2 로컬 영역들의 상기 평균 휘도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픽셀의 보정값을 생성하며, 상기 픽셀 별로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는 휘도 보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시인성 개선 장치.
a frame memory that stores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and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generator that receives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stored in the frame memory and generates an average luminance value of pixel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ocal regions into which the target frame is divided as a representative luminance value;
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and
A correction value for the pixel is generated using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of a first local area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a plurality of second local areas adjacent to the pixel, and output from the frame memory using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A luminance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휘도 보정부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상기 대상 프레임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픽셀 별로 픽셀 휘도값과 픽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픽셀 정보 생성부;
상기 저장부의 상기 평균 휘도값들에 대응하여, 상기 픽셀이 속한 상기 제1 로컬 영역과 상기 픽셀이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2 로컬 영역들의 상기 평균 휘도값들과 영역 위치 정보들을 제공하는 영역 정보 생성부;
상기 픽셀의 상기 픽셀 휘도값과 상기 픽셀 위치 정보, 상기 픽셀이 속한 상기 제1로컬 영역과 상기 픽셀이 인접한 상기 복수의 제2 로컬 영역들의 상기 영역 위치 정보들 및 상기 평균 휘도값을 이용하여 보간값을 생성하고, 상기 보간값에 대응하는 상기 보정값을 제공하는 보간부; 및
상기 픽셀 별로 상기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터를 보정하여 출력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시인성 개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luminance correction unit,
a pixel information generator providing pixel luminance value and pixel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pixel in response to the display data of the target frame in the frame memory;
A region information generator providing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and region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local region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ocal regions adjacent to the pixel, in response to the average luminance values of the storage unit. ;
An interpolation value using the pixel luminance value and the pixe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ixel, the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local area to which the pixel belongs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ocal areas adjacent to the pixel, and the average luminance value. an interpolation unit that generates and provides the corre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interpolation value; and
A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for a display driving device comprising: a correction unit that corrects and outputs the display data in the frame memory using the correction value for each pixel.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정보 생성부는 상기 제1 로컬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 로컬 영역 별로 중심 픽셀의 위치 정보들을 상기 영역 위치 정보로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시인성 개선 장치.
According to claim 15,
The area information generator generates location information of a center pixel for each of the first local are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local areas as the area position information.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간부는,
상기 영역 위치 정보들을 꼭지점으로 하는 장방형의 상기 보간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보간 영역을 상기 픽셀을 기준으로 수직과 수평으로 분할한 보간 분면들을 설정하며,
상기 영역 위치 정보 별로, 해당하는 상기 평균 휘도값과 픽셀을 기준으로 반대에 위치한 보간 분면의 면적을 곱한 분할 보간값을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보간 영역에 대한 상기 분할 보간값들의 합을 상기 보간 영역의 면적으로 나눈 값을 상기 보간값으로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의 시인성 개선 장치.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interpolation unit,
Set the area location information as the rectangular interpolation area with vertices,
Set interpolation quadrants that divide the interpolation area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ased on the pixel,
For each region location information, a segmented interpolation value is generated by multiplying the corresponding average luminance value by the area of an interpolation quadrant located opposite to the pixel, and
A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for a display driving device that generates the interpolation value as the sum of the divided interpolation values for the interpolation area divided by the area of the interpolation area.
KR1020220160378A 2022-11-25 2022-11-25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KR202400779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8418 WO2024111992A1 (en) 2022-11-25 2023-11-16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7949A true KR20240077949A (en) 2024-06-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5681B1 (en) Interpolator providing for high resolution by interpolation with adaptive filtering for Bayer pattern color signal, digital image signal processor comprising it, and method thereof
US7719597B2 (e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and image sensing device provided therewith
US6266102B1 (en) Image display method, gradation conversion circuit, and image signal conversion apparatus
US7432966B2 (en) Image data correcting method and imaging device
US5734427A (en) High resolution electronic still camera with an electronic viewfinder for displaying a reduced image
USRE44717E1 (en) Edge detecting method
KR1003632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colors using two-dimensional chrominance division
US8154563B2 (en) Color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US5321500A (en) Non-real-time film scanning system
US80591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color, and image processor, digital process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using it
KR20080113950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mputing image correction curve and method thereof
EP0982934A2 (en) CRT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500426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local luminance of imag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US51555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are correction
CN112863446B (en) Display compensation module, display compens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JPWO200609326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camera for correcting color misregistration
US201703248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image display based on metadata,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180118790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program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US846762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coloring of digital images
US7317482B2 (en) Distance calculating method and imaging device
KR100956228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correctting distortion of image
US2009020809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WO201720394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40077949A (en) Display driving apparatus and visibility improvement device thereof
KR101105350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aimed at compensating for the defects of display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