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9955A -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9955A
KR20240069955A KR1020220151175A KR20220151175A KR20240069955A KR 20240069955 A KR20240069955 A KR 20240069955A KR 1020220151175 A KR1020220151175 A KR 1020220151175A KR 20220151175 A KR20220151175 A KR 20220151175A KR 20240069955 A KR20240069955 A KR 20240069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afety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life jacket
typ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준
조현기
Original Assignee
로텍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텍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텍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1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9955A/ko
Publication of KR2024006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995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20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signalling means, e.g.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08B21/08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by monitoring a device worn by the person, e.g. a bracelet attached to the swimm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와,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인적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디바이스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해수이차전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해수이차전지 모듈이 물에 접촉함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황을 외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LIFE JACKET TYPE SAFETY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놀이장 또는 해수욕장 등에서 사용가능하며 위험상황시 구조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놀이장 또는 해수욕장 등의 해양레저 시설에서는 다양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라 사고예방 및 조치를 위한 여러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안전관리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해양레저 시설에 배치된 관리자 또는 감시자는 소형모터보트나 제트스키를 타고 다니면서 익수자, 또는 안전구역을 이탈한 사람을 감시하고 구조한다. 통상 한 개의 해수욕장에는 1기의 보트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많은 인파에 빈해 상대적으로 적은 관리자 또는 감시자가 배치되어 안전 사각지대가 늘어난고 있고, 따라서 안전관리에 미흡한 부분이 많다.
기존 해수욕장의 안전관리 방안은 여러 명의 육상 안전요원이 망루에 올라 해상의 위험상황을 육안으로 감시하고, 이를 모터보트 또는 수상스키를 타고 있는 수상의 구명요원에게 전달하여 익수자를 구명하는 방식이다. 이는 구명요원보다 많은 육상 안전요원을 필요로 하며, 익수자 발생시 신속한 대응에도 어려움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해양레저 시설의 이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안전용품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한 안전용품으로 대표적인 것이 위치발신기인데, 이는 대부분 와이파이나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거리가 길지 않고, 특정한 사람의 스마트폰과 일대일 통신을 하는 방식이므로, 물놀이 사고 발생시 전문적인 안전관리 및 구명조치를 취하기가 어렵다.
한편, 해수이차전지 모듈은 바닷물을 통해 전기를 저장하는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다. 해수이차전지는 해수에 녹아있는 나트륨 이온과 물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리튬 기반의 이차전지와 달리, 해수이차전지는 해수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경제성을 갖춘 차세대 에너지저장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따라서 해수이차전지 모듈을 이용한 안전관리 장치의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5658호 (2012.02.22. 공개) 특허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2385호 (2021.02.03.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놀이장 또는 해수욕장 등에서 사용가능하며 위험상황시 구조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해수이차전지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을 가짐은 물론 침수에도 안전하고, 해수를 자원화하는 기술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와,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인적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디바이스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해수이차전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해수이차전지 모듈이 물에 접촉함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황을 외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통신부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상 상황을 외부의 보호자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통신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는 로라(LoRa)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위험 상황을 입력받거나 또는 센서에 의해 위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또는 사용자 주변의 사람에게 사용자의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음성, 소리, 이미지, 조명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놀이장 또는 해수욕장 등에서 사용가능하며 위험상황시 구조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수이차전지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을 가짐은 물론 침수에도 안전하고, 해수를 자원화하는 기술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에 구비되는 해수이차전지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해수이차전지 모듈의 BMS 모듈의 기능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해수이차전지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의 통신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1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에 연결된 서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컨대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모듈은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에 구비되는 해수이차전지 모듈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해수이차전지 모듈의 BMS 모듈의 기능 구조도, 도 3은 도 1의 해수이차전지 모듈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1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의 통신 개념도, 도 6은 도 1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도 1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의 연결된 서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10)는 위치인식부(11), 정보저장부(12), 디바이스통신부(13), 및 전원부(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원부(17)는 해수이차전지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안전관리 장치(10)는 구명조끼형으로, 사용자, 예컨대 해양레저 활동을 하는 유아, 어린이, 청소년, 노약자를 비롯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나 사용대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게이트웨이(20)는 안전관리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안전관리 장치(10)와 연결되어, GPS에 의한 위치 정보나 비상구조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게이트웨이(20)를 이용하여 다수의 안전관리 장치(1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20)를 통해 특정 안전관리 장치(10)로 위험 상황을 알리는 신호, 예컨대 음성이나 LED 조명 등을 가동시키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안전관리 장치(10)와 게이트웨이(20)는 로라(LoRa)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로라는 사물끼리 서로 통신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방식으로, 저전력으로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여 사물인터넷 전용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서버(30)는 게이트웨이(20)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서버(30)는 사용자 안전관리 장치(10)를 통해 수집한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위치의 위험 등급에 따라 위험상황 또는 구명요청상황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와 서버(30) 사이에는 LTE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서버(30)에서 접수된 위험상황은 해당 사용자에 인접 위치한 구조요원이나 감시요원에게 신호로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특정 사람, 예컨대 자녀가 사용자 안전관리 장치(10)를 착용하고 있을 경우 해당 자녀의 부모가 등록한 스마트폰으로 위험상황에 대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위험상황에 대한 신호에는 해당 사용자 안전관리 장치(1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관리 장치(10)는 구명조끼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착용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또는 센서 감지에 의해 사용자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여, 이를 게이트웨이(20)를 통해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사용자 위치의 위험등급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황을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해수욕장의 경우 익사사고나 미아방지를 위해 안전관리요원이 태블릿 피씨를 비롯한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많은 수의 유아, 어린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위험지역 진입시 경고 알람을 통해 신속한 구명조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로라 통신을 활용함으로써 소수의 안전관리자가 다수의 유아 및 어린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최대 10 Km에 이르는 넓은 반경 내에서의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해수욕장 전지역의 위험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 위치의 위험 등급은 해당 해양레저 시설의 지리적 요인이나 기존 위험사고 발생율 등을 근거로 산정될 수 있다. 위치별 위험 등급은 예컨대 3등급으로 부여될 수 있으며, 예컨대 녹색 구역은 안전구역으로, 황색 구역은 경고구역으로, 적색 구역은 위험구역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색상별 구역 구획을 이용할 경우 색상에 따른 위험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어, 구명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색상별 위험 등급은 사용자 안전관리 장치(1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안전관리 장치(10)에 점멸된 LED의 색상을 보고 현재 자신이 경고구역이나 위험구역에 놓여져 있음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전원부(17)인 해수이차전지 모듈이 물에 접촉할 경우,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황을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해수이차전지는 가격경쟁력은 물론 침수에도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스마트 등부표, 스마트 구명조끼, 수중 로봇 및 소형 선박 등 해상에서 운용되는 다양한 장비와 이동체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해수이차전지를 기반으로 한 해수담수화, 해수살균, CO2 포집 및 해수수소생산 기술 등 해수를 자원화하는 기술로의 확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세계 고부가가치 기술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수이차전지의 유지보수 및 편의성 향상을 위해 단위 셀의 탈장착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저전력 MCU 기반의 해수이차전지용 BMS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통합 관리시스템과의 연동을 고려항 마스터/슬레이브 구조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버스 토폴로지의 통신 인터페이스 설계를 가질 수 있으며, 상태확인 및 진단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는 다양한 형태의 해수이차전지 모듈이 도시되어 있다. 해수이차전지, BMS 모듈, 충전부,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기능이 포함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위해 이 중 일부를 생략하거나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의 (a)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의 (b)에는 위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를 실착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구명조끼에 접목가능한 IoT 통신 기술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추적기능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IoT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분석이 가능하며, 또한 해양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급 상황을 분류하여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안전관리 장치(10)는 해양레저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1)에 사용가능한 것으로, 위치인식부(11), 정보저장부(12), 및 디바이스통신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전관리 장치(10)는 입력부(14), 출력부(15), 결합부(16), 및 전원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인식부(11)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것으로, GPS감지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감지 및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위치인식부(11)로 사용될 수 있다.
정보저장부(12)는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정보저장부(12)는 메모리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적 정보로서 사용자의 이름이나 나이, 인상착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외에 해당 안전관리 장치(10)의 제품번호나 고유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통신부(13)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인적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디바이스통신부(13)를 이용하여 안전관리 장치(10)와 게이트웨이(20)가 로라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관리 장치(10)에 의할 경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인적 정보를 이용하여 구역별 위험도에 따라 사용자의 이상 상황을 외부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라 함은, 게이트웨이(20) 또는 서버(30)일 수 있으며, 또한 감시요원, 안전요원, 구조요원, 구명요원 또는 사용자나 관련자가 미리 지정해 놓은 특정한 사람(예컨대, 부모)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관리 장치(10)는 입력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는 사용자에 의해 위험 상황을 입력받거나 또는 센서에 의해 위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의해 곧바로 사용자 입력과 관계없이 위험 상황 또는 이상 상황을 외부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러한 경우가 아니라도 사용자 스스로 위험 상황이라고 느낄 경우 입력부(14)를 통해 위험 상황을 외부로 전파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사용자의 바이오 신호를 감지하여 위험 상황이나 이상 상황을 외부로 전파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안전관리 장치(10)는 출력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는 사용자에게 또는 사용자 주변의 사람에게 사용자의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음성, 소리, 이미지, 조명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15)는 스피커, 마이크, 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부(16)는 안전관리 장치(10)를 사용자의 신체나 옷, 튜브 등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클립, 집게, 끈, 벨크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17)는 각종 센서, 메모리, 프로세서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히 그 형태나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안전관리 장치(10)의 각 구성요소는 방수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에 연결된 서버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나타나 있다. 안전관리 장치의 게이트웨이간의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놀이장 또는 해수욕장 등에서 사용가능하며 위험상황시 구조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해수이차전지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을 가짐은 물론 침수에도 안전하고, 해수를 자원화하는 기술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자기테이프 등의 자기기록 매체, CD-ROM, DVD 등의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디스크 등의 자기-광 매체,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계어 코드, 인터프리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처리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전자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등의 휴대용 통신 장치,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가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요소, 예컨대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서브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브 구성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부 구성요소들(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부와,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인적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는 디바이스통신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해수이차전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해수이차전지 모듈이 물에 접촉함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이상 상황을 외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통신부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사용자의 이상 상황을 외부의 보호자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통신부와 상기 게이트웨이는 로라(LoRa)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위험 상황을 입력받거나 또는 센서에 의해 위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또는 사용자 주변의 사람에게 사용자의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음성, 소리, 이미지, 조명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KR1020220151175A 2022-11-14 2022-11-14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KR20240069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175A KR20240069955A (ko) 2022-11-14 2022-11-14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175A KR20240069955A (ko) 2022-11-14 2022-11-14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9955A true KR20240069955A (ko) 2024-05-21

Family

ID=9132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175A KR20240069955A (ko) 2022-11-14 2022-11-14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995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658A (ko) 2010-08-12 2012-02-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수로부터 리튬, 탄산리튬 및 수산화 리튬을 고순도로 회수하는 방법과, 리튬 2차전지 양극재 및 리튬 2차전지용 LiFePO₄양극재의 제조 방법
KR20210012385A (ko)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커브로 스마트 안전구명조끼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5658A (ko) 2010-08-12 2012-02-22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해수로부터 리튬, 탄산리튬 및 수산화 리튬을 고순도로 회수하는 방법과, 리튬 2차전지 양극재 및 리튬 2차전지용 LiFePO₄양극재의 제조 방법
KR20210012385A (ko) 2019-07-25 2021-02-03 주식회사 커브로 스마트 안전구명조끼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4401B2 (en) Safety device utilizing a beacon
KR101804129B1 (ko) 안전 부표
KR101687457B1 (ko) 라우터를 갖는 인명구조함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인명구조 시스템
KR101998521B1 (ko) 구조신호 발생기를 이용한 수중활동 참여자 관리방법
KR101205411B1 (ko) 초음파와 무선신호 기반 해상 위치추적 시스템 및 방법
CN107845239A (zh) 一种海上作业人员安全状态监测和预警***
WO2018225984A1 (ko) 해상 위험상황을 판단하는 방법 및 서버
CN102230966A (zh) 声波感应监控及定位装置与方法
CN104183086A (zh) 一种人身安全防护方式及***
KR20180042655A (ko) 선박 응급상황 대응 시스템
US10093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an overboard situation
JP2015176418A (ja) 捜索システム
KR102406660B1 (ko) 수난구조대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19204B1 (ko) 조난자에게 구조요청신호 전달결과를 알려주는 부이형 스마트포인트 기반 해양 인명구조시스템
CN110738824A (zh) 基于同伴同行的水域报警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40069955A (ko) 구명조끼형 안전관리 장치
KR102170351B1 (ko) 선상에서 추락한 조난자를 위한 해상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0637A (ko) 단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재난상황 관제시스템
KR20180041915A (ko) 밀물 사전예고 경보시스템
KR20210012385A (ko) 스마트 안전구명조끼를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230085452A (ko) 해양레저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CN212484552U (zh) 弱势群体人员的协助保护***
CN203773689U (zh) 轮机员巡检报警器
CN210518296U (zh) 携有***的智能救生衣
KR102192784B1 (ko) 지오펜스와 인공 지능을 활용한 해상 인명 구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