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7729A -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 Google Patents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7729A
KR20240067729A KR1020220149063A KR20220149063A KR20240067729A KR 20240067729 A KR20240067729 A KR 20240067729A KR 1020220149063 A KR1020220149063 A KR 1020220149063A KR 20220149063 A KR20220149063 A KR 20220149063A KR 20240067729 A KR20240067729 A KR 20240067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net
message delivery
message
delive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9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상균
Original Assignee
하상균
주식회사 드론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균, 주식회사 드론고 filed Critical 하상균
Priority to KR102022014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7729A/en
Publication of KR20240067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7729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6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 G09F21/08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arranged on the aircraft
    • G09F21/10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eroplanes, airships, balloons, or kites the advertising matter being arranged on the aircraft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2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드론 하부에 메시지 전달부를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바람으로 자동 펼쳐지고 필요에 따라 간단히 접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추진력 발생을 위한 프로펠러와 이/착륙시 몸체 보호를 위한 랜딩기어와 자세 제어 및 유지를 위한 다수 개의 센서와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와 GPS 정보의 수신을 위한 GPS 안테나 및 비행 제어부를 구비하여 수동비행 또는 자율비행하면서 권취릴의 정/역회전 및 메시지 전달부의 LED 표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1드론, 제1드론의 몸체 하판에 부착되고 제1드론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에 의해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권선되는 권취릴, 제1드론의 하부에 거치되고 몸체의 외면으로 메시지가 표출되며 권취릴에 권선되는 와이어에 의해 절첩되는 메시지 전달부를 포함하여, 드론 이동을 통해 위치 변경 또는 공간 확장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달 메시지의 가독성 또는 시인성 향상 및 드론의 안전한 비행을 도모하여 드론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and is intended to install a message delivery unit at the bottom of the drone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unfolded by the wind of the propeller and easily folded when necessary.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peller for generating propulsion, a landing gear for body protection during takeoff/lan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attitude control and maintenance,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GPS antenna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and a flight control unit. A first drone equipped with a manual or autonomous flight that controls the forward/reverse rotation of the winding reel and the LED display operation of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a wire attached to the lower body of the first drone and driven by the first drone. It includes a winding reel that is wound to be wound or unwound, a message transmission unit that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rone, a message is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is folded by a wire wound on the winding reel, and the location or space can be changed by moving the drone. By enabling expansion and movement, it improves the readability or visibility of the delivered message, promotes safe flight of the drone, and prevents the drone from falling.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 하부에 절첩, 부피의 확장과 축소, 및 위치 변경 가능한 메시지 전달부를 연직방향으로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바람으로 자동 펼쳐지고 필요에 따라 간단히 접을 수 있으며 드론 이동을 통해 위치 변경 또는 공간 확장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가독성 또는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메시지 전달부가 프로펠러에 휘감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드론의 안전한 비행을 도모하여 드론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More specifically, a message delivery unit that can be folded, expanded or reduced in volume, and changed in position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ron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utomatically unfolds with the wind of the propeller as needed. It can be easily folded and can be moved to change the location or expand and move the space by moving the drone, improving the readability or visibility of the message to be conveyed. Additionally, it promotes safe flight of the drone by preventing the message delivery part from being entangled in the propeller. This is about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that can prevent drone crashes.

무인 비행체(Unmanned Aerial Vehicle) 또는 드론(drone)(이하, 드론으로 통칭하기로 함)은 무선전파로 조종할 수 있는 무인 항공기로서, 카메라, 센서, 통신시스템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최근 전자 통신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군사용도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다양한 분야로 확대 보급되고 있다.An unmanned aerial vehicle or dron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drone) is an unmanned aircraft that can be controlled by radio waves and is equipped with cameras, sensors, communication systems, etc., and is equipped with the latest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 it is being expanded and distributed not only for military purposes but also to various other fields.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1975호(2018.02.23. 공고;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체공 비행이 가능한 드론의 하부에 광고내용을 담고 있는 현수막을 연결하여 상공에서 현수막 광고를 수행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현수막 광고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For example,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831975 (announced on February 23, 2018; hereinafter abbreviated as 'Patent Document 1'), a banner containing advertising conten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a drone capable of loitering flight, allowing the banner to be displayed in the sky. Technology regarding a banner advertising system using a drone capable of performing advertising is known.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6752호(2021.03.11. 공고;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함)에는 드론이 공중에서 비행중인 상태에서만 현수막의 좌우 대칭을 유지하면서 펼쳐지도록 하고, 풍향에 의한 현수막의 가독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현수막을 통해 제공되는 광고 메세지의 시인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현수막 광고장치가 구비된 드론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In addi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26752 (announced on March 11, 2021; hereinafter abbreviated as 'Patent Document 2') states that the banner is unfolded while maintaining left-right symmetry only when the drone is flying in the air, and is not affected by wind direction. There is known technology regarding a drone equipped with a banner advertising device that maximizes the visibility of the advertising message provided through the banner by minimizing the deterioration in the readability of the banner.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베어링 모듈에 의해 현수막 체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현수막이 펼쳐진 상태로만 장착되므로 드론의 프로펠러에서 발생되는 풍향에 따라 현수막이 뒤틀릴 우려가 있어 광고 메세지의 식별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레이저 조사기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서만 발광이 이루어지므로 추가로 레이저 조사기의 설치 비용이 소모될 수 밖에 없고, 레이저 조사기의 오작동시 광고 메세지의 시인성이 떨어져 투자 비용 대비 광고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even if the banner fastening part is rotatably installed by the bearing module, the banner is mounted only in an unfolded state, so there is a risk of the banner being distorted depending on the wind direction generated by the drone's propeller, which may reduce the distinguishability of the advertising message. Since the light is emitted only by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laser irradiator, additional installation costs for the laser irradiator are inevitable, and when the laser irradiator malfunctions, the visibility of the advertising message is low, resulting in low advertising efficiency compared to the investment cost. .

특허문헌 2의 경우, 드론의 하부에 평면 현수막을 부착시킨 후 권취롤러와 구동모터 및 구동 와이어에 의해 접거나 펼치도록 구성되므로 평면 현수막이 드론의 프로펠러에서 발생되는 바람을 전체적으로 직접 받는 구조로 되어 있어 드론 비행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프로펠러의 바람에 의해 평면 현수막이 펄럭이거나 흔들거릴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a flat banner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one and then folded or unfolded by a winding roller, a drive motor, and a drive wire, so the flat banner has a structure that directly receives the wind generated from the drone's propeller as a whole. There was a structural problem in that the flat banner could not help but flutter or shake due to the wind from the propeller that inevitably occurs when flying a drone.

KRKR 10-1831975 10-1831975 B1B1 2018.02.23.2018.02.23. 공고Announcement KRKR 10-2226752 10-2226752 B1B1 2021.03.11.2021.03.11. 공고Announcemen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드론 하부에 절첩, 부피의 확장과 축소, 및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메시지 전달부를 연직방향으로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바람으로 자동 펼쳐지고 필요에 따라 간단히 접을 수 있으며 드론 이동을 통해 위치 변경 또는 공간 확장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가독성 또는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메시지 전달부가 프로펠러에 휘감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드론의 안전한 비행을 도모하여 드론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message transmission unit made of mesh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drone so that it can be folded, expand and contract in volume, and change position. It automatically unfolds with the wind of the propeller and can be easily folded as needed. By moving the drone, it can change its location or expand and move the space, improving the readability or visibility of the message to be conveyed. It also prevents the message delivery part from being caught in the propeller. By doing so, the aim is to provide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that can prevent drones from crashing by promoting safe flight of dron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추진력 발생을 위한 프로펠러와 이/착륙시 몸체 보호를 위한 랜딩기어와, 자세 제어 및 유지를 위한 다수 개의 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와 GPS 정보의 수신을 위한 GPS 안테나 및 비행 제어부를 구비하여 원격제어장치 또는 자신과 짝을 이루는 타 드론과 무선 통신으로 원격제어장치의 원격제어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자신과 짝을 이루는 타 드론과 실시간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 원격 제어신호 또는 기설정된 비행 시나리오에 따라 프로펠러를 구동시켜 수동비행 또는 자율비행하면서 권취릴의 정/역회전 및 메시지 전달부의 LED 표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1드론; 제1드론의 몸체 하부 또는 하판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1드론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모터를 구비하여 모터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에 의해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권선되는 권취릴; 및 제1드론의 하부에 거치되고 몸체의 외면으로 메시지가 표출되며 권취릴에 권선되는 와이어에 의해 절첩되는 메시지 전달부;를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ropeller for generating propulsion, a landing gear for body protection during takeoff/lan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attitude control and maintenance,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GPS. Equipped with a GPS antenna and flight control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it transmits and receives remote control signals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or other drones paired with 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provid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with other drones paired with itself. A first drone that shares and drives the propeller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signal or a preset flight scenario to control the forward/reverse rotation of the winding reel and the LED display operation of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while flying manually or autonomously; It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or the lower plate of the first drone and has a motor that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first drone, and rotates forward or reverse by the motor, and the wire is wound or unwound by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motion. A winding reel that is wound as follows; and a message delivery unit that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rone, displays a messag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is folded by a wire wound on a winding reel. It is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메시지 전달부의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자세 제어 및 유지를 위한 다수 개의 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와 GPS 정보의 수신을 위한 GPS 안테나 및 비행 제어부를 구비하여 제1드론에 대해 종속 비행하도록 자신의 현재 비행위치를 조정하여 제1드론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2드론을 더 포함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a plurality of sensors for posture control and maintenance,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GPS antenna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It is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drone equipped with a flight control unit that adjusts its current flight position to fly dependently on the first drone and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drone.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론 하부에 절첩, 부피의 확장과 축소, 및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메시지 전달부를 연직방향으로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바람으로 자동 펼쳐지고 필요에 따라 간단히 접을 수 있으며 드론 이동을 통해 위치 변경 또는 공간 확장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가독성 또는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transmission unit made of mesh is installed vertically at the bottom of the drone to enable fold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volume, and change of position, so that it automatically unfolds with the wind of the propeller, can be simply folded as needed, and is positioned by moving the drone. By making it possible to change, expand or move space, the readability or visibility of the message to be conveyed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드론에서 메시지 전달부를 감아올려 접거나 또는 반대로 풀어내려 펼칠 수 있도록 하여 드론 이/착륙에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공간 또는 상황에 따른 유연한 게시를 통해 메시지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sage delivery part of the drone can be rolled up and folded or, conversely, unwound and unfolded as needed, so that the message promotion effect can be maximized through flexible posting according to space or situa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rone takeoff/landing. It provides advantag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시지 전달부가 프로펠러에 휘감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드론의 안전한 비행을 도모하여 드론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is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in the propeller, thereby promoting safe flight of the drone and providing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drone from fall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2c는 도 1의 메시지 전달부를 그물형 몸체로 구현한 각 실시형태를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드론을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reference diagrams illustrating each embodiment in which the message delivery unit of FIG. 1 is implemented in a mesh-shaped body.
Figure 3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the second drone of Figure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peration, and effects of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sh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의 메시지 전달부를 그물형 몸체로 구현한 각 실시형태를 예시한 참고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2드론을 발췌하여 예시한 상세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드론(10), 권취릴(20), 및 메시지 전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드론(40)을 더 포함하여 다른 실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et-type message transmission device using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2A to 2C are reference diagrams illustrating each embodiment in which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of Figure 1 is implemented in a net-type body. , FIG. 3 is a detailed diagram illustrating the second drone of FIG. 1. The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drone 10 and a winding reel, as illustrated in FIG. 1. (20) and a message delivery unit (30), and may be implemented in another embodiment by further including a second drone (40).

제1드론(10)은 상부 공기를 하부로 밀어내 부양력 및/또는 추진력 발생시키는 프로펠러(11)와 이/착륙시 몸체 보호를 위한 랜딩기어(12), 자세 제어 및 유지를 위한 다수 개의 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와 GPS 정보의 수신을 위한 GPS 안테나, 및 비행 제어부를 구비하고 원격제어장치 또는 자신과 짝을 이루는 타 드론과 무선 통신으로 원격제어장치의 원격제어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자신과 짝을 이루는 타 드론과 실시간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 원격 제어신호 또는 기설정된 비행 시나리오에 따라 프로펠러를 구동시켜 수동비행 또는 자율비행하면서 권취릴(20)의 정/역회전 및 메시지 전달부(30)의 LED 구동 등을 통해 메시지 표출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1드론(10)의 랜딩기어(12)는 메시지 전달부(30)의 거치를 위하여 드론 몸체에 직접 수직하게 부착되는 적어도 2쌍의 수직 거치대(12a) 및 적어도 한 쌍의 수평 거치대(1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수직 거치대(12a)는 제1드론(10)의 몸체를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시켜 지지하도록 드론 몸체의 하부에 수직하게 직접 설치되고, 각 수평 거치대(12b)는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직 거치대(12a)를 수평으로 연결하여 지지하며 메시지 전달부(30)의 용이한 거치와 분리 및 드론의 용이한 이/착륙을 위하여 수직 거치대(12a)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수직 거치대(12b)에는 후술될 권취릴(20) 및 메시지 전달부(40)의 거치 및 지지를 위한 하판(13)이 수평하게 거치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판(13)은 드론(10)의 몸체와 수평 거치대(12b)의 사이 공간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drone (10) includes a propeller (11) that pushes upper air downward to generate lift and/or propulsion, a landing gear (12) to protect the body during takeoff/lan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attitude control and maintenance, It is equipped with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GPS antenna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and a flight control unit, and transmits and receives remote control signals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or another drone that is paired with the drone. It shar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with other drones and drives the propeller according to a remote control signal or a preset flight scenario to fly manually or autonomously, while rotating the winding reel 20 forward/reversely and the LED of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30. Controls the message display operation through driving, etc. The landing gear 12 of the first drone 10 includes at least two pairs of vertical stands 12a and at least one pair of horizontal stands 12b that are directly attached perpendicularly to the drone body for mounting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each vertical stand (12a) is installed vertically directly at the lower part of the drone body to support the body of the first drone (10) spaced upward from the ground, and each horizontal stand (12b) ) supports a pair of adjacent vertical stands (12a) by connecting them horizontally and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stand (12a) for easy mounting and separation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nd easy takeoff/landing of the drone. do. In addition, a lower plate 13 for mounting and supporting the winding reel 20 and the message delivery unit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talled horizontally on this vertical stand 12b, and this lower plate 13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drone ( It is desirable to install it horizontally in the space between the body of 10) and the horizontal holder (12b).

권취릴(20)은 제1드론(10)의 몸체 하부 또는 별도로 거치된 하판(1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되 볼트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탈착가능하게 부착되고, 와이어(22)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권선되며 제1드론(1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모터를 내장하여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와이어(22)가 감기거나 풀린다.The winding reel 20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drone 10 or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ely mounted lower plate 13, and is detachably attached using a separate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and the wire 22 ) is wound to be wound or unwound, and a motor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first drone 10 is built in, so that the wire 22 is wound or unwound by forward or reverse rotation by the rotational power of the motor.

메시지 전달부(30)는 제1드론(10)의 랜딩기어(12) 또는 별도로 거치된 하판(13)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 흐름의 통로를 형성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외면을 통해 메시지가 표출되는 그물형 몸체로서, 몸체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공기의 유입 및 유입 공기의 배출을 위해 각각 개방되고 권취릴(20)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22)가 하단부에 연결되어 그물형 몸체가 전체적으로 상하 절첩되도록 구성된다.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landing gear 12 of the first drone 10 or a separately mounted lower plate 13, has an internal space forming an air flow passage, and displays a message through the outer surface. It is a net-shaped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are open for the inflow of air and the discharge of the inflow air, respectively, and the wire 22, which is wound or unwound by the winding reel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so that the net-shaped body as a whole is raised and lowered. It is configured to be folded.

이를 위하여 메시지 전달부(30)는 제1드론(10)의 이동시 발생되는 측방향 바람저항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제1드론(10)의 프로펠러(11)에 의해 발생되는 하방향 바람의 유입을 통해 부피 확장이 가능하도록 한 미세한 크기의 메쉬로 이루어지는 그물 구조로서, 절첩이 용이하도록 신축성 및 유연성(예를 들면 스타킹 등)을 갖는 그물형 몸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그물형 몸체는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사각지지대(31a)에 의해 사각형으로 개방되고 사각형 상부에서 중부로 갈수록 깔대기의 형태로 폭이 감소되며 하부는 원통 몸체를 갖는 사각 깔대기형, 또는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원 또는 타원형 지지대(31b)에 의해 원 또는 타원형으로 개방되고 원 또는 타원 상부에서 중부로 갈수록 깔대기의 형태로 폭이 감소되며 하부는 원통 몸체를 갖는 원통 깔대기형, 또는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까지 원통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물형 몸체의 상,하단부에는 상부 지지대(31)와 하부 지지대(32)가 각각 설치되어 그물형 몸체의 상,하부 단면을 사각 또는 원 또는 타원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이러한 그물형 몸체는 그 측면의 형태 유지를 위해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단일 또는 복수의 나선형 와이어(35)가 그물형 몸체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을 따라 설치될 수도 있고,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물형 몸체의 길이방향에 등간격마다 복수 개의 중간 지지대(36)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간 지지대(36)가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이웃하는 중간 지지대들을 서로 연결하여 그물형 몸체의 길이방향 신축을 제한하는 연결끈(37)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끈(37)은 그물형 몸체의 외부 표면에 서로 대향하게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can reduce the influence of lateral wind resistance generated when the first drone 10 moves and prevents the inflow of downward wind generated by the propeller 11 of the first drone 10. It is a net structure made of a fine-sized mesh that allows for volume expansion, and is made up of a net-shaped body with elasticity and flexibility (for example, stockings, etc.) to facilitate folding. As illustrated in Figure 2a, this net-shaped body is open in a square shape at the top by a square support 31a, the width decreases in the shape of a funnel from the top of the square to the middle, and the bottom is a square funnel shape with a cylindrical body, or As illustrated in Figure 2b, the upper part is opened in a circular or oval shape by a circular or oval support 31b, the width decreases in the shape of a funnel from the upper part of the circular or oval to the middle, and the lower part is a cylindrical funnel shape with a cylindrical body, Alternatively, as illustrated in FIG. 2C, it can be made of either a cylindrical shape made of a cylinder from top to bottom, and an upper support 31 and a lower support 32 are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net-shaped body, respectively, to support the net-shaped body. The upper and lower cross sections are maintained as squares, circles, or ellipses.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ide of this net-shaped body, a single or plural spiral wire 35 with elasticity may be installed along the inner o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t-shaped body, as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As illustrated in FIG. 2C, a plurality of intermediate supports 36 may b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sh-shaped body. When this intermediate support 36 is installed, a connecting string 37 may be further provided to connect each neighboring intermediate support to each other to limit the longitudi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net-shaped body, and this connecting string 37 is a net They may be installed in pairs opposite each oth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ld body.

사각지지대(31a) 또는 타원형 지지대(31b) 또는 상부 지지대(31)는 복수 개의 수직거치대(12a) 또는 별도로 부착된 하판(13)에 의해 거치(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하판(13)에 거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함)되고, 하부 지지대(32)에는 그물형 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로 몸체 전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와이어(22)가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22)는 당기는 힘의 균등 분포를 위하여 도 2a 내지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대(32)의 균등 이격된 적어도 3개 이상의 개소에 분산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그물형 몸체의 상단부는 제1드론(10)의 프로펠러(11)에 의해 하강하는 공기가 상부에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면 전체가 개방되고 사각지지대(31a) 또는 타원형 지지대(31b) 또는 상부 지지대(31)에 의해 복수 개의 수직 거치대(12a)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된다. 또한 이러한 그물형 몸체의 하단부는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하부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 전체가 개방될 수도 있고, 또는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만이 하부의 부분 개방부(38)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 중 일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그물형 몸체의 외주면에는 인쇄방식 또는 스티커 부착방식 또는 형광체 부착방식 또는 LED 발광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한 메시지가 표출된다.The square support (31a), oval support (31b), or upper support (31) is mounted on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12a) or a separately attached lower plate (13)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below, it is mounted on the lower plate (13)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a wire 22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32, which penetrates the entir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mesh-shaped body. At this time, the wires 22 are distributed and connected to at least three equally spaced locations of the lower support 32, as illustrated in FIGS. 2A to 2C, for equal distribution of pulling force. In additi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is net-shaped body is open so that the air descending by the propeller 11 of the first drone 10 can easily flow in from the top, and a square support 31a, an oval support 31b, or an upper support is provided. It is detachably mounted on a plurality of vertical stands (12a) by (31).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is net-shaped body may be entirely open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part, as illustrated in FIGS. 2A and 2B, or as illustrated in FIG. 2C. If only a par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partial opening 38, some of the air may be partially opened. Additionally, a message is display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is net-shaped body using any one of a printing method, a sticker attachment method, a phosphor attachment method, or an LED light emitting method.

또한 메시지 전달부(30)는 제1드론(10)의 프로펠러(11)에 의해 하강하는 공기 흐름을 그물형 몸체의 상부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상부 유도 날개(33)가 그물형 몸체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그물형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드론(10)의 프로펠러(11)에 의해 하강하는 공기 흐름을 그물형 몸체의 하단부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하부 유도 날개(34)가 그물형 몸체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그물형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부 유도 날개(33) 또는 하부 유도 날개(34)는 그물형 몸체의 상부 표면 또는 하부 표면 둘레에 등간격으로 적어도 2개 내지 4개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has a plurality of upper guide wings 33 that guide the air flow descending by the propeller 11 of the first dron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sh-shaped body. It is formed longitudinally at the upper end of the net-shaped body, but may be further formed radially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t-shaped body, and directs the air flow descending by the propeller 11 of the first drone 10 to the net-shaped body. A plurality of lower guide vanes 34 that guide the low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longitudinally at the lower end of the mesh-shaped body, and may be further formed radially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sh-shaped body. At least two to four such upper guide vanes 33 or lower guide vanes 34 may b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mesh-shaped body.

제2드론(40)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전달부(30)의 하단부에 별도의 결착 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자세 제어 및 유지를 위한 다수 개의 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와 GPS 정보의 수신을 위한 GPS 안테나 및 비행 제어부를 구비하여 제1드론(1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달하거나 제1드론(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제1드론(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제1드론(10)에 대해 종속 비행하도록 자신의 현재 비행위치를 조정하여 제1드론(10)과의 이격 거리(예를 들면 메시지 전달부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러한 제2드론(40)은 경량화 및 소형화된 드론으로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몸체가 보호망에 의해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진 형태로 구성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몸체가 보호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제2드론(40)은 예를 들어 제1드론(10)과 짝을 이루어 제1드론(10)으로부터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로 유닛 비행할 수 있도록 초기 설정 또는 프로그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드론(40)은 예를 들면 제1드론(10)의 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신의 현재 비행위치를 조정하여 메시지 전달부(30) 내부의 공기 흐름을 원할하게 하거나 외부의 바람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메시지 전달부(30)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비행 프로그램이 초기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second drone 40 is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by a separate attachment means,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for attitude control and maintenance, and a wireless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t is equipped with a transceiver, a GPS antenna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and a flight control unit to transmit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rone 10 or receiv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rone 10 in real tim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rone 10, adjust your current flight position to fly dependently on the first drone 10, so tha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drone 10 (for example, the message delivery unit is tight) Adjust the length when unfolded. This second drone 40 is a lightweight and miniaturized drone, and as illustrated in FIG. 3, it is preferable that the body is entirely surrounded by a protective net to protect the body from external shock. In addition, the second drone 40 may be initially set or programmed, for example, to pair with the first drone 10 and fly as a unit while maintaining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first drone 10. You can. Here, the second drone 40 adjusts its current flight posi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first drone 10, for example, to smooth the air flow inside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or to smooth the air flow from the outside. The flight program may be initially set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so as not to be shaken.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의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1드론(10)의 몸체 하부에 수직 거치대(12a)와 수평 거치대(12b)로 이루어지는 랜딩기어(12)를 설치하되, 수평 거치대(12b)는 지면과 맞닿도록 수직 거치대(12a)의 하단부에 설치한다.First, in order to implement the net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the dr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nding gear 12 consisting of a vertical stand 12a and a horizontal stand 12b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of the first drone 10, The stand (12b)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tand (12a) so as to contact the ground.

다음으로 제1드론(10)의 랜딩기어(12)에는 수직 거치대(12a)에 의해 거치되도록 하판(13)을 수평하게 설치한 후 하판(13)의 하부 중심부측에 모터의 동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권취릴(20)을 설치하고, 이러한 권취릴(20)에 와이어(22)를 연결하여 권취릴(20)의 정/역회전 동작에 의해 와이어(22)가 자유롭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다.Next, the lower plate 13 is installed horizontally on the landing gear 12 of the first drone 10 to be mounted on the vertical stand 12a, and then rotated forward or forward by the power of the motor on the lower center side of the lower plate 13. A counter-rotating winding reel 20 is installed, and the wire 22 is connected to this winding reel 20 so that the wire 22 is freely wound or unwound by the forward/reverse rotation of the winding reel 20. .

한편, 메시지 전달부(30)는 메쉬 구조이면서 신축성 및 유연성 재질의 그물형 몸체를 준비하여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사각지지대(31a) 또는 타원형 지지대(31b) 또는 상부 지지대(31)와 하부 지지대(32)로 지지시키고, 아울러 이러한 그물형 몸체는 그 형태 유지를 위해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단일 또는 복수의 나선형 와이어(35)를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물형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마다 복수 개의 중간 지지대(36)를 설치하되 이러한 각각의 이웃하는 중간 지지대(36)를 별도의 연결끈(37)에 의해 연결하여 복수 개의 중간 지지대가 순차적으로 간격이 유지되면서 그물형 몸체의 신축 한도를 제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그물형 몸체의 외면 또는 외주면에는 인쇄방식 또는 스티커 부착방식 또는 형광체 부착방식 또는 LED 발광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한 메시지가 표출되도록 구현한다. 이때 메시지 전달부(30) 상단부의 사각지지대(31a) 또는 타원형 지지대(31b) 또는 상부지지대(31) 측은 제1드론(10)의 프로펠러에 의해 하강하는 공기가 상부에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면 전체를 개방하되 상단부 외주면에는 상단부 표면의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상부 유도 날개(33)를 형성하고, 하단부는 유입 공기 중 일부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 일부를 부분적으로 개방하되 하단부 외주면에는 하단부 표면의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하부 유도 날개(34)를 형성한다. 또한 사각지지대(31a) 또는 타원형 지지대(31b) 또는 상부 지지대(31)를 이용하여 메시지 전달부(30)의 상단부를 랜딩기어(12)의 각 쌍의 수직 거치대(12a) 또는 하판(13)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시킨다. 이때 권취릴(20)의 와이어(22)는 메시지 전달부(30)의 몸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풀어서 메시지 전달부(30)의 몸체 상부에서 하부로 몸체 전체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게 한 후 그 단부를 하부 지지대(32)에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사각지지대(31a) 또는 타원형 지지대(31b) 또는 상부 지지대(31)를 이용하여 랜딩기어(12)의 수직 거치대(12a) 또는 하판(13)에 거치된 메시지 전달부(30)는 각 쌍의 수직 거치대(12a) 양단부에 의해 그 측면으로의 이탈 또는 분리가 방지된다.Meanwhile,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30 prepares a mesh-shaped body made of a mesh structure and elastic and flexible material,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formed into a square support 31a or an oval support 31b, or an upper support 31 and a lower support ( 32), and in order to maintain the shape of this net-shaped body, a single or plural spiral wire 35 having elasticity is installed on the inner or outer peripheral surface as shown in FIGS. 2A and 2B, or FIG. 2C As illustrated, a plurality of intermediate supports 36 are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t-shaped body, and each of these neighboring intermediate supports 36 is connected by a separate connecting string 37 to form a plurality of intermediate supports 36. The supports are sequentially spaced to limit the stretching limit of the mesh-shaped body. On the outer surface or peripheral surface of this net-shaped body, a message is displayed by any one of a printing method, a sticker attachment method, a phosphor attachment method, or an LED lighting method. At this time, the square support (31a), oval support (31b), or upper support (31) at the upp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has its entire upper surface so that the air descending by the propeller of the first drone (10) can easily flow in from the top. It is open, but an upper guide vane (33)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art to guide the air flow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part is partially opened so that only a part of the incoming air can be discharged, bu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art is formed to allow the air flow on the lower surface. It forms a lower guiding vane (34) for guidance. 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s attached to each pair of vertical supports 12a or the lower plate 13 of the landing gear 12 using the square support 31a, oval support 31b, or upper support 31. It is mounted removably. At this time, the wire 22 of the winding reel 20 is unwoun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body length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nd passes through the entire body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body. Connect the end to the lower support (32). As described above,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30 is mounted on the vertical support 12a or the lower plate 13 of the landing gear 12 using the square support 31a, the oval support 31b, or the upper support 31. Separation or separation to the side is prevented by both ends of the pair of vertical holders 12a.

이와 같은 연결이 완료되면 메시지 전달부(30)는 하부 지지대(32)에 연결되는 와이어(22)에 의해 그 하단부가 승강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된다.When this connection is completed, the lower end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wire 22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32, and can be folded or unfolded as needed.

따라서 메시지 전달부(30)를 사용하지 않을 때(예를 들면 드론 이/착륙시나 광고 또는 홍보 메시지를 비표출시)에는 권취릴(20)이 와이어(22)를 감아 올리는 방향으로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22)를 메시지 전달부(30) 상단부에서 감아올려 메시지 전달부(30)의 하단부가 상부측으로 말려 올려질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메시지 전달부(30)를 사용할 때(예를 들면 드론 비행시나 광고 또는 홍보 메시지를 표출시)에는 권취릴(20)이 와이어(22)를 풀어 내리는 방향으로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메시지 전달부(30)의 하단부 측이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s not used (for example, when taking off/landing a drone or not displaying an advertising or promotional message), the winding reel 20 rotates the moto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22 is wound up. (22) is rolled up from the upp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can be rolled up to the upper side. Conversely, when using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for example, when flying a drone or advertising (or when displaying a promotional message), the winding reel 20 rotates the motor in the direction of unwinding the wire 22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can be unfolded.

마지막으로 메시지 전달부(30)의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드론(40)은 제1드론(10)과 짝을 이루어 제1드론(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로 유닛 비행할 수 있도록 초기 설정 또는 프로그램한다.Lastly, the second drone 40, which is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s paired with the first drone 10 and maintains a position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first drone 10. Initialize or program the unit to fly.

이후 제1드론(10)을 원격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하여 수동 비행시키거나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자율비행시키게 되면 제1드론(10)의 비행 제어부가 무선 송수신기를 통해 제2드론(40)과 무선 통신하면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공유시키게 되고, 제2드론(40)은 제1드론(1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제1드론(10)으로 전달하거나 제1드론(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제1드론(10)과 자신과의 이격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신의 현재 비행위치를 조정하면서 제1드론(10)과 짝을 이루어 종속적으로 유닛 비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드론(40)이 예를 들면 제1드론(10)의 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신의 현재 비행위치를 조정하게 되면 메시지 전달부(30)의 그물형 몸체가 팽팽하게 펼쳐질 수 있게 되므로 몸체 내부의 공기 흐름이 원할해지거나 외부의 바람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되며, 또한 제2드론(40)이 예를 들어 제1드론(1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그 양측 방향(예를 들면 제1드론의 연직 방향에서 그 양측 방향)으로 자신의 현재 비행위치를 조정하게 되면 메시지 전달부(30)의 위치를 세로 형태에서 가로 형태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Afterwards, when the first drone (10) is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signal and made to fly manually or fly autonomously according to a preset scenario, the flight control unit of the first drone (10) connects the second drone (40) to the second drone (40) through a wireless transceiver. While communicating, their own location information is shared, and the second drone 40 transmits i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drone 1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drone 10. )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adjusts its current flight posi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itself and the first drone (10) is maintained constant, while pairing with the first drone (10) allows the unit to fly dependently. It becomes possible.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drone 40 adjusts its current flight posi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first drone 10, for example, the net-shaped body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can be stretched tightly. Therefore, the air flow inside the body becomes smooth or is not shaken by external wind, and the second drone 40 moves in both directions (e.g., 1If you adjust your current flight position (from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rone to both directions), you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from vertical to horizontal.

상기와 같이 유닛 비행이 이루어지면, 제1드론(10)의 프로펠러(11)에 의해 메시지 전달부(30) 상단부 측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공기 흐름은 메시지 전달부(30)의 상단부 개구부를 통해 그물형 몸체 내부로 유입되어 메시지 전달부(30)를 펼칠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시지 전달부(30)의 상단부는 전체적으로 개방되어 있지만 메시지 전달부(30)의 하단부는 유입된 공기 중 일부만 배출될 수 있도록 일부분만 개방되어 있게 되므로 상단부를 통해 메시지 전달부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하단부를 통해 배출되지만 그 나머지의 일부는 그물 구조의 측면 몸체를 통해 방사상으로 배출되면서 그물형 몸체의 부피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메시지 전달부(30)는 제1드론(10)의 비행 중에 프로펠러(11)의 하방으로 공기 흐름이 발생하는 상태에서는 항상 그물형 몸체가 팽팽하게 부푼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메시지 표출을 통해 광고 또는 홍보 메시지가 외부에 효과적으로 표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메시지 전달부(3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부 유도 날개(33)는 메시지 전달부(30)의 상단부 표면에서 공기 흐름을 안내하게 되며, 메시지 전달부(30)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하부 유도 날개(34)는 메시지 전달부(30)의 하단부 표면에서 공기 흐름을 안내하게 되어 메시지 전달부(30)가 안정적으로 펼쳐질 수 있게 하므로, 메시지 전달부(30)를 통해 표출되는 메시지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unit flies as described above, an air flow is generated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by the propeller 11 of the first drone 10, and this air flow flows through the upper opening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t flows into the net-shaped body through and allows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to unfold. At this time, the upp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s entirely open, but the low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s only partially open so that only a portion of the inflow air can be discharged, so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message delivery unit through the upper part is Some of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part, but the remaining part is discharged radially through the side body of the net structure, thereby expanding the volume of the net-shaped body. As a result,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s able to maintain its net-shaped body in a tightly swollen form at all times in a state where an air flow occurs downward of the propeller 11 during the flight of the first drone 10, thereby enabling message expression. Through this, advertising or promotional messages can be effectively displayed externally. At this time, the upper guide vane 33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message transmitting unit 30 guides the air flow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essage transmitting unit 30, and the lower guiding vane formed on the lower edge of the message transmitting unit 30 (34) guides the air flow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llowing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to unfold stably, thereby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message expressed through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It becomes possible.

따라서 제1드론(10)은 관제센터의 주제어장치 또는 원격제어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 결과로 수신한 원격 제어신호 또는 기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제2드론과 짝을 이루어 수동비행 또는 자율비행이 이루어지도록 프로펠러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동시에 모터(21)의 회전 동작 및 메시지 전달부(30)의 절첩 및 LED 표출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first drone 10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 device or remote control device of the control center and is paired with the second drone according to the remote control signal received as a result of wireless communication or a preset scenario to perform manual flight or autonomous flight. To achieve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propeller and at the same time control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motor 21 and the folding and LED display operation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드론 하부에 절첩, 부피의 확장과 축소, 및 위치 변경 가능한 그물형으로 이루어진 메시지 전달부를 연직방향으로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바람으로 자동 펼쳐지고 필요에 따라 간단히 접을 수 있으며 드론 이동을 통해 위치 변경 또는 공간 확장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가독성 또는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ssage transmission unit composed of a net that can be folded, expanded and reduced in volume, and changed in position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drone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unfolded by the wind of the propeller and simply folded as needed, and can be easily folded when necessary.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readability or visibility of the message to be conveyed by enabling location change or space expansion and move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드론에서 그물형 메시지 전달부를 드록 측으로 감아올려 접거나 또는 반대로 드론의 연직방향으로 풀어내려 펼칠 수 있게 되므로, 드론 이/착륙에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공간 또는 상황에 따른 유연한 게시를 통해 메시지의 홍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oll up and fold the net-shaped message transmission part of the drone toward the drone side or, conversely, unfold it by unwinding i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rone as needed, so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rone takeoff/landing 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pace or situation. Flexible posting provide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promotional effect of messag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형 메시지 전달부가 프로펠러에 휘감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드론의 안전한 비행을 도모하여 드론의 추락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type message transmission unit is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in the propeller, thereby promoting safe flight of the drone and providing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drone from fall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Transformation is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sha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제1드론 11 : 프로펠러
12 : 랜딩기어 12a : 수직 거치대
12b : 수평 거치대 13 : 하판
20 : 권취릴 22 : 와이어
30 : 메시지 전달부 31 : 상부 지지대
31a : 사각 지지대 31b : 타원형 지지대
32 : 하부 지지대 33 : 상부 유도 날개
34 : 하부 유도 날개 35 : 나선형 와이어
36 : 중간 지지대 37 : 연결끈
38 : 부분 개방부 40 : 제2드론
10: 1st drone 11: Propeller
12: Landing gear 12a: Vertical stand
12b: horizontal stand 13: lower plate
20: winding reel 22: wire
30: message transmission unit 31: upper support
31a: square support 31b: oval support
32: lower support 33: upper guidance wing
34: lower guide wing 35: spiral wire
36: middle support 37: connection string
38: Partial opening 40: Second drone

Claims (14)

추진력 발생을 위한 프로펠러(11)와 이/착륙시 몸체 보호를 위한 랜딩기어(12), 자세 제어 및 유지를 위한 다수 개의 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와 GPS 정보의 수신을 위한 GPS 안테나, 및 비행 제어부를 구비하여 원격제어장치 또는 자신과 짝을 이루는 타 드론과 무선 통신으로 원격제어장치의 원격제어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자신과 짝을 이루는 타 드론과 실시간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 원격 제어신호 또는 기설정된 비행 시나리오에 따라 프로펠러를 구동시켜 수동비행 또는 자율비행하면서 권취릴(20)의 정/역회전 및 메시지 전달부(30)의 LED 표출 동작을 제어하는 제1드론(10);
상기 제1드론(10)의 몸체 하부 또는 하판(1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1드론(1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모터를 내장하며 모터에 의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 동작으로 와이어(22)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권선되는 권취릴(20); 및
상기 제1드론(10)의 하부에 거치되고 몸체의 내부에 공기흐름 통로가 형성되며 몸체의 외면으로 메시지가 표출되고 상기 권취릴(20)에 권선되는 와이어(22)에 의해 절첩되는 메시지 전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A propeller (11) for generating propulsion, a landing gear (12) for body protection during takeoff/landing, a plurality of sensors for attitude control and maintenance,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GPS antenna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and Equipped with a flight control unit, it transmits and receives remote control signals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or other drones paired with it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shares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with other drones paired with it, and sends and receives remote control signals or preset drones. A first drone (10) that controls the forward/reverse rotation of the winding reel (20) and the LED display operation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while operating a propeller in manual or autonomous flight according to the flight scenario;
It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or the lower plate 13 of the first drone 10 and has a built-in motor that is driven and controlled by the first drone 10, and is operated in forward or reverse rotation by the motor. a winding reel (20) on which (22) is wound so as to be wound or unwound; and
A message transmission unit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drone 10, an air flow passage is formed inside the body, a message is expres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and the message is folded by the wire 22 wound on the take-up reel 20. (30);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의 하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자세 제어 및 유지를 위한 다수 개의 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기와 GPS 정보의 수신을 위한 GPS 안테나 및 비행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드론(10)과의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전달하거나 제1드론(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고 제1드론(1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제1드론(10)에 대해 종속 비행하도록 자신의 현재 비행위치를 조정하여 제1드론(10)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2드론(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t is detachably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nd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ensors for attitude control and maintenance, a wireless transceiver for wireless communication, a GPS antenna for receiving GPS information, and a flight control unit, so that the first Transmit your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rone 10 or receiv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rone 10 in real time and use the first drone 10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drone 10. ) A net-type messag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drone (40) that adjust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first drone (10) by adjusting its current flight position to fly dependently on Transmiss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드론(40)은,
제1드론(10)의 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자신의 현재 비행위치를 조정하여 메시지 전달부(30) 내부의 공기 흐름을 원할하게 하거나 외부의 바람에 의해 흔들리지 않게 메시지 전달부(30)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cond drone (40) is:
Adjust the current flight position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light direction of the first drone 10 to smooth the air flow inside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or to prevent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from being shaken by external wind.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that is characterized by changing lo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제1드론(10)의 이동시 발생되는 바람저항의 저감 및 절첩이 용이하도록 유연성 및 신축성을 갖고 공기의 유입 및 유입 공기의 배출을 위해 몸체의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사각 깔대기형 또는 원통 깔대기형 또는 원통형 중의 어느 하나의 그물형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 square funnel type or cylindrical funnel type with flexibility and elasticity to reduce wind resistance generated when moving the first drone 10 and to facilitate folding, and with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ody open for the inflow of air and the discharge of incoming air. A net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net-shaped body of one of the cylindrical shap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사각지지대(31a) 또는 타원형 지지대(31b) 또는 상부 지지대(31)와 하부 지지대(32)가 상,하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그물형 몸체의 상,하부 단면 형태를 각각 유지하며,
권취릴(20)에 권선되는 와이어(22)가 하부 지지대(32)에 연결되어 와이어(22)의 신축에 의해 몸체의 하단부가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 square support (31a) or an oval support (31b) or an upper support (31) and a lower support (32) are install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to maintain the upper and lower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net-shaped body, respectively.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22 wound on the winding reel 2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 32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is raised and lowered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wire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상기 와이어(22)가 당기는 힘의 균등 분포를 위하여 하부 지지대(32)의 균등 이격된 적어도 3개 이상의 개소에 분산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s (22) are distributed and connected to at least three equally spaced locations on the lower support (32) for equal distribution of pulling for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그물형 몸체의 형태 유지를 위해 탄성을 갖는 단일 또는 복수의 나선형 와이어(35)가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 net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a single or plural spiral wire (35) having elasticity is installed on the outer o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net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그물형 몸체의 형태 유지를 위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중간 지지대(3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termediate supports (36)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net-type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측면의 형태 유지를 위해 중간 지지대(36)가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이웃하는 중간 지지대들을 서로 연결하여 몸체의 길이방향 신축을 제한하는 연결끈(37)이 몸체의 외부 표면에 서로 대향하게 쌍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When intermediate supports 36 are install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ide, connecting straps 37 that connect each neighboring intermediate supports to each other to limit longitudinal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ody are installed in pai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facing each other. A net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그물형 몸체의 외면을 통해 인쇄방식 또는 스티커 부착방식 또는 형광체 부착방식 또는 LED 발광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한 메시지가 표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a message is displayed through any one of the printing method, sticker attachment method, phosphor attachment method, or LED lighting metho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net-type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제1드론(10)의 랜딩기어(12) 또는 랜딩기어(12)에 별도로 거치된 하판(13)에 사각지지대(31a) 또는 타원형 지지대(31b) 또는 상부 지지대(31)가 거치되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 square support (31a), an oval support (31b), or an upper support (31) is mounted on the landing gear (12) of the first drone (10) or the lower plate (13) mounted separately on the landing gear (12) and is removable. A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상부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그물형 몸체의 상면 전체가 개방되고, 그물형 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만 하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그물형 몸체의 하면 일부가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net-shaped body is open to facilitate the inflow of upper ai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net-shaped body is partially opened to allow only a portion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net-shaped body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part. A net message transmiss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제1드론(10)의 프로펠러(11)에 의해 하강하는 공기 흐름을 그물형 몸체의 상부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상부 유도 날개(33)가 그물형 몸체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그물형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 plurality of upper guide vanes 33 that guide the air flow descending by the propeller 11 of the first dron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t-shaped body are formed longitudinally at the upper end of the net-shaped body. A net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radially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t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30)는,
제1드론(10)의 프로펠러(11)에 의해 하강하는 공기 흐름을 그물형 몸체의 하단부 표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 개의 하부 유도 날개(34)가 그물형 몸체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그물형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그물형 메시지 전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message delivery unit 30,
A plurality of lower guide wings 34 that guide the air flow descending by the propeller 11 of the first drone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net-shaped body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net-shaped body. A net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a dro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radially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t body.
KR1020220149063A 2022-11-09 2022-11-09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KR202400677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063A KR20240067729A (en) 2022-11-09 2022-11-09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9063A KR20240067729A (en) 2022-11-09 2022-11-09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7729A true KR20240067729A (en) 2024-05-17

Family

ID=91331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9063A KR20240067729A (en) 2022-11-09 2022-11-09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7729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975B1 (en) 2016-08-18 2018-02-23 (주)더프리즘 Placard advertisement system using drone
KR102226752B1 (en) 2019-06-05 2021-03-11 주식회사 아소아 Dron with a banner advertis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975B1 (en) 2016-08-18 2018-02-23 (주)더프리즘 Placard advertisement system using drone
KR102226752B1 (en) 2019-06-05 2021-03-11 주식회사 아소아 Dron with a banner advertis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07626A1 (en) Airborne Surveillance Kite
US10640233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improving safety and functionality of craft having one or more rotors
US10370101B2 (en) Drone, method and systems for airborne visualization
KR101830880B1 (en) Capture drone for unlicensed drone
US10710716B2 (en) Inhibiting cable entanglement in tethered drones
WO2017117291A9 (en) Tethered unmanned aerial system
CN106061838A (en) Multicopters with variable flight characteristics
KR101644529B1 (en) Multicopter
US3683530A (en) Aerial display sign
KR102226752B1 (en) Dron with a banner advertising device
JP6085520B2 (en) Remotely controlled unmanned air vehicle
US20160167775A1 (en) High-altitude drone
JP2017154595A (en) Captive balloon system
US8256487B2 (en) Portable curtain retraction device and system
US8100367B1 (en) Variable geometry wing using a roll-up device
KR20240067729A (en) Net-type message delivery device using drones
US20110174932A1 (en) Kite based platform
US12007206B2 (en) Modular man-portable drone barrier
KR102040409B1 (en) Umbrella using drone
KR102187961B1 (en) Mooring type flight apparatus
JP7024985B1 (en) Floating advertising device
US11518509B2 (en) Tethered aerial vehicle with gimbaled coaxial propellers
KR20200059513A (en) A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plane including wings of variable area
KR20230071341A (en) Drone system for performances capable of realizing a LED cube-shaped stereoscopic images
KR20220137227A (en) Drone for advertisement using light-emitting diode persistence of 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