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6816A -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6816A
KR20240066816A KR1020220148058A KR20220148058A KR20240066816A KR 20240066816 A KR20240066816 A KR 20240066816A KR 1020220148058 A KR1020220148058 A KR 1020220148058A KR 20220148058 A KR20220148058 A KR 20220148058A KR 20240066816 A KR20240066816 A KR 20240066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ller
cable
undergroun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김영재
Original Assignee
김인호
김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호, 김영재 filed Critical 김인호
Priority to KR1020220148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6816A/ko
Publication of KR2024006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681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 전력구 등과 같은 지하구에 전력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 등을 포설하기 위하여, 포설작업 시 지하구 내에 설치하였다가 포설작업이 끝나면 철거할 수 있는 지중선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설장치는, 상단은 지하구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은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동바리를 사용하는 구동 지주와 롤러 지주가 포함되는데, 구동 지주에는 케이블을 끌어당기는 구동 모듈이 장착되며, 롤러 지주에는 케이블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롤러 모듈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설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풀링작업이 끝난 뒤에 바닥에 있는 케이블을 행거 위에 올려 놓기 위해 여러 사람이 투입되어 들어 올리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높낮이 조절이 자유로워서 한 번 설치한 후 높이를 조절해가며 여러 층의 행거에 케이블을 포설할 수도 있고, 방향을 회전해가며 양쪽 모두의 행거에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시간 및 비용과 케이블을 행거 위에 올려놓기 위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아무리 무겁고 굵어도 직선 구간은 물론 코너 구간에서도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직경이 큰 345kv급 전력케이블도 넉넉히 포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Underground cable pulling apparatus using supporting post}
본 발명은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 전력구 등과 같은 지하구나 조선 등 산업체에 전력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 등을 포설하기 위하여, 포설작업 시 지하구 내에 설치하였다가 포설작업이 끝나면 철거할 수 있는 지중선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설장치는, 상단은 지하구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은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동바리를 사용하는 구동 지주와 롤러 지주가 포함되는데, 구동 지주에는 케이블을 끌어당기는 구동 모듈이 장착되며, 롤러 지주에는 케이블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롤러 모듈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설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풀링작업이 끝난 뒤에 바닥에 있는 케이블을 행거 위에 올려 놓기 위해 여러 사람이 투입되어 들어 올리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높낮이 조절이 자유로워서 한 번 설치한 후 높이를 조절해가며 여러 층의 행거에 케이블을 포설할 수도 있고, 방향을 회전해가며 양쪽 모두의 행거에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으며, 설치 및 해체에 따른 시간 및 비용과 케이블을 행거 위에 올려놓기 위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이 아무리 무겁고 굵어도 직선 구간은 물론 코너 구간에서도 케이블이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중량이 무겁고 직경이 큰 345kv급, 154kv급 전력케이블도 넉넉히 포설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하 전력구, 지하 통신구 또는 지하 공동구 등과 같은 지하구에는 전력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 등이 포설되는데, 이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10)의 벽에 단단하게 부착된 앵글 등과 같은 지지 금구류(20)에 결합된 케이블행거(30) 위에 올려놓게 된다. 케이블행거(30)는 지하구(10)의 벽에 지하구의 높이에 따라 여러 층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지 금구류(20) 및 케이블행거(30)는 지하구(10)의 양쪽 벽에 설치되며, 케이블(40)은 케이블행거(30) 위에 장착된 크리트(31) 위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지하구(10)에 케이블(40)을 새로 포설하거나 교체 등을 하게 되는 경우, 먼저 맨홀 입구에 케이블 드럼을 설치한 후 지하구(10)의 바닥에는 케이블(40)을 잡아 당겨주는 풀링머신(pulling machine) 또는 풀러(puller)라고도 불리는 풀링장치(45)를 지하구(10) 내 바닥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십 대를 설치하고 케이블 드럼에 있는 케이블(40)을 풀링장치(45)들이 잡아당겨 풀링작업을 하게 되는데, 케이블(40)의 진전에 따라 풀링장치(45)들이 동시에 케이블을 잡아당겨 케이블을 풀링하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40)이 풀링장치(45)에 의하여 당겨질 때 바닥에 닿아서 마찰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각각의 풀링장치(45) 사이에는 케이블이 바닥에 쳐지거나 닿지 않게 지지롤러(46)가 설치된다. 원하는 위치까지 케이블(40)이 잡아 당겨지는 풀링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풀링장치(45)에 있던 케이블(40)을 케이블행거(30) 높이로 들어 올려서 케이블행거(30)의 크리트(31) 위에 안착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포설방식은 케이블(40)에 대한 풀링작업이 끝나고 난 후에 케이블(40)를 들어 올려서 케이블행거(30) 위에 장착된 상기 크리트(31) 위에 놓아야 하기 때문에, 이 작업을 위해서는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동원되어 동시에 케이블(40)을 들어 올려서 크리트(31) 위에 안착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높은 층에 위치한 케이블행거(30) 위에 올려놓기 위해서는 가설작업대 등의 설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올려놓는 것 조차도 쉽지 않은 일이어서 케이블 포설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특히 직경이 굵고 중량이 무거운 345kv급은 물론 154kv급 전력케이블도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종래의 케이블 포설기술로서 레일을 이용하는 기술이 있다(선행기술문헌 1, 2). 이 기술은 각각의 케이블행거(30) 들을 연결하는 레일을 설치한 후 레일 위로 견인차가 케이블(40)을 끌고 나아가면서 케이블을 당겨서 풀링작업을 한 뒤, 풀링되어 레일 위에 있는 케이블을 케이블행거(30) 위로 이동 및 안착시키는 방식의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레일의 설치와 해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되어 있는 케이블행거(30)에서 각각의 층에 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 아래층의 행거나 위층의 행거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또는 양쪽에 위치한 케이블행거(30) 중 건너편의 케이블행거(30)에도 케이블을 포설해야 하는 경우에는, 설치된 레일을 해체한 후 다시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케이블의 무게로 인한 수직 방향 하중과 케이블을 당기는 힘에 의한 수평 방향 장력이 케이블행거(30)에 고스란히 전달되기 때문에, 케이블행거(30)나 지지 금구류(20)에 가해지는 무리한 힘에 의하여 케이블행거(30) 등의 변형이나 파손의 위험성 등이 있어 왔다. 이뿐만 아니라 견인차가 케이블을 끌고 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커브가 있는 코너 구간에서는 케이블이 이탈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사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또한 최근에는 케이블행거(30)의 단부에 풀링장치를 직접 장착한 후 케이블을 당겨서 풀링작업을 한 뒤, 풀링된 케이블을 옆에 있는 케이블행거(30) 위로 이동 및 안착시키는 방식의 기술이 개발되었다(선행기술문헌 3, 4). 그러나 이 방식 역시 설치 및 해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되어 있는 케이블행거(30)에서 위쪽 행거나 아래쪽 행거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건너편의 케이블행거(30)에도 케이블을 포설해야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장치(크레인)를 상부에 설치하거나 풀링장치를 해체 후 다시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여전히 있고, 커브가 있는 코너에서는 케이블이 이탈하는 문제점 또한 여전하다. 이뿐만 아니라, 케이블을 당기는 힘에 의한 수평 방향 장력이 케이블행거(30)에 고스란히 전달되기 때문에, 케이블행거(30)나 지지 금구류(2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 또한 여전하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462842호(2014년 11월 19일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447509호(2014년 10월 13일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2416616호(2022년 07월 04일 공고) 한국 등록특허 제10-2416617호(2022년 07월 04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지하구 내 지중선 포설작업 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지중선 포설에 따른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단으로 되어 있는 케이블행거 모두에 대하여 지중선을 포설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케이블행거의 높이에 맞추어 해체 및 재설치할 필요 없이 한 번의 설치로 모든 층의 케이블행거에 케이블 포설을 할 수 있는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구 양쪽 벽면의 케이블행거 모두에 대하여 지중선을 포설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케이블행거의 높이에 맞추어 해체 및 재설치할 필요 없이 한 번의 설치로 양쪽에 있는 케이블행거 모두에 지중선을 포설할 수 있는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 풀링작업이 완료된 케이블을 케이블행거 위로 이동시켜 안착시킬 때, 바닥에서부터 들어 올리지 않아도 용이하게 옮겨서 안착시킬 수 있는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45kv급 케이블 등과 같이 직경이 크고 무거운 전력케이블이라 할지라도 하중 및 장력을 충분하게 견딜 수 있고, 풀링과정에서 케이블이 이탈하지 않는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풀링작업 시 코너 구간이나 곡선 구간에서도 케이블이 이탈하지 않는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동 모듈을 케이블행거 안쪽에 위치하게 장착하여 풀링작업을 할 수도 있고, 설치된 구동 모듈의 높이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풀링작업이 끝난 후 구동 모듈의 높이를 낮추기만 하면 케이블이 자동으로 케이블행거 위에 안착될 수 있는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러 모듈을 여닫는 구조로 하고, 설치된 롤러 모듈의 높이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풀링작업이 끝난 후 롤러 모듈의 높이를 낮추고 롤러 모듈을 개방하면 케이블을 원활하게 케이블행거 위로 안착시킬 수 있는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선 포설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 중 중량이 많이 나가는 구성요소에 대한 해체 및 조립을 용이한 구조로 함으로써. 지하구 내 반입 및 운반이 용이한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블 풀링작업 시 케이블의 제일 앞단이 처지지 않은 상태에서 다음 포설장치 및 롤러 위로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지중선 포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 전력구, 지하 통신구 및 지하 공동구를 포함하는 지하구(10)에 케이블(40)을 포설하기 위하여 상기 지하구(10)에 설치하는 케이블 포설장치로서, 상단은 상기 지하구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지하구의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동바리(50)에, 상기 케이블(40)을 끌어당기는 구동 모듈(101)이 장착되는 구동 지주(100); 및 상기 구동 지주(100)에 사용된 것과 같은 동바리(50)에, 상기 케이블(40)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롤러 모듈(201)이 장착되는 롤러 지주(2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지주(100)는 상기 지하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롤러 지주(200)는 상기 구동 지주(1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은,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은,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은,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바리(50)를 중심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 상기 케이블(40)의 양쪽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블(40)을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각각에 대하여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두 개의 모터(111); - 상기 두 개의 모터(111)가 고정되는 모터프레임(113); - 상기 두 개의 모터(1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12); 및 -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상태로 고정되거나 수평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프레임(113)을 90도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회전수단(120)은, - 상기 모터프레임(113) 중, 상기 두 개의 모터(111)가 고정되는 면의 반대 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회전바퀴(121); - C자 모양의 회전프레임(122); -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C자 모양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C자 모양의 바깥쪽을 향하여 각각 돌출된 상단스토퍼(123b) 및 하단스토퍼(123a); -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가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C자 모양 외주면과 내주면에 U자 모양 홈으로 형성되는 회전레일(124); - 상기 회전프레임(122) 상의 일정 위치에 상기 모터프레임(113)을 고정할 수 있는 각도고정부(125);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고정부(12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들어 올려지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가 상기 회전레일(124)을 따라 위를 향해 굴러 올라가다가 상기 상단스토퍼(123b)에 바퀴가 닿아 멈추게 되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각도고정부(125)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고정부(12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아래로 내려지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가 상기 회전레일(124)을 따라 아래를 향해 굴러 내려가다가 상기 하단스토퍼(123a)에 바퀴가 닿아 멈추게 되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각도고정부(125)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 및 하면에 수평레일(134)이 형성되어 그 횡단면이 H자 모양으로서 일 측면에 상기 회전수단(120)이 결합되는 이동프레임(130); - 그 횡단면이 ㄷ자 모양으로서 상기 ㄷ자 모양의 양 끝단이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돌기(133a)를 가져서 모양이며, 상기 이동프레임(130)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모양의 개방된 측면이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일 측면에 아래위로 끼워지며, 그 길이는 상기 이동프레임(130)보다 짧으며, 상기 모양의 닫힌 측면은 상기 동바리(5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33); -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ㄷ자 모양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30)을 임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수평고정부(135);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고정부(13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프레임(130)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에서 슬라이딩하며 움직여서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수평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횡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단면을 가지되,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확장프레임(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확장프레임(131)은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일 단부에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132)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고정부(13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상기 확장프레임(131)의 반대쪽으로 수평방향 힘이 가해져서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단부에 닿아 상기 확장프레임(131)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수평상태로 펴지면서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결합돌기(133a) 사이로 들어오게 되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에 대한 수평위치가 상기 확장프레임(131)의 길이만큼 더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고정부(13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상기 확장프레임(131)쪽으로 수평방향 힘이 가해져서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결합돌기(133a) 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수직 상태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동 모듈(101)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33)과 결합되는 수직이동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상기 수직이동부(140)에는, - 상기 동바리(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동바리(50)를 감싸면서 상기 동바리(5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151)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샤프트(150); -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감싸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 결합되되,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141b)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웜휠 기어(141c)가 형성되는 기어원통(141); - 상기 기어원통(1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 기어(141c)와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어원통(14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웜기어(142); - 상기 기어원통(141) 및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며, 외부에서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142b)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33)이 결합되는 하우징(143);을 포함하며,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142b)를 회전시키면, 상기 웜기어(142)가 돌아가면서 상기 웜휠 기어(141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원통(141)이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외주면 나사산(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모듈(101)이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롤러 모듈(201)은,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롤러 모듈(201)은,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거나 이에 더하여 상기 롤러 모듈(201)은,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바리(50)를 중심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 ㄴ자 모양으로서 상기 ㄴ자 모양의 수직 부분이 상기 동바리(50) 쪽에 위치하는 롤러프레임(210); -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 내부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동바리(50)에 결합되는 삽입프레임(220); -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에 결합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동바리(50)와 직각인 하부롤러(230); -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직부분에 결합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동바리(50)와 평행인 제1측면롤러(270); 및 -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 종단에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면롤러(250);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프레임(220)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수직으로 세워져서 그 하단이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종단부 상면에 닿아 고정되며, 상기 삽입프레임(220)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에서 빠져나와 상기 제2측면롤러(250)의 하단에 위치하던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종단부 상면이 없어지면,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롤러 모듈(201)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일단과 결합되는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에는, - 상기 동바리(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동바리(50)를 감싸면서 상기 동바리(5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샤프트(150); -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감싸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 결합되되,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141b)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웜휠 기어(141c)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원통(141); - 상기 기어원통(1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 기어(141c)와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어원통(14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웜기어(142); - 상기 기어원통(141) 및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며, 외부에서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142b)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는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일단이 결합되는 하우징(243);을 포함하며,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웜기어(142)가 돌아가면서 상기 웜휠 기어(141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원통(141)이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외주면 나사산(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롤러 모듈(201)이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상기 롤러프레임(210)을 지지하는 지지대(2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260)는 - 일단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 아래에서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262)에 의하여 결합되며, - 타단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 고정되는 결합부재(26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하강시키면, 상기 지지대(260)의 타단과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서 상기 지지대(260)의 일단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을 밀게 되어, 상기 롤러프레임(210)이 상기 삽입프레임(220)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상기 동바리(50)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눕혀지며,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상승시키면, 상기 지지대(260)의 타단과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 사이의 간격이 커지면서 상기 지지대(260)의 일단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을 잡아당기게 되어, 상기 롤러프레임(210)이 상기 삽입프레임(220)과 결합되며 상기 동바리(50) 쪽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동바리(50)에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높이를 변경해가며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위치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53)을 가지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는, 고정핀(154)을 상기 제1결합홈(53)에 삽입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상기 동바리(50)의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2결합홈(15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케이블(40)이 상기 구동 지주(100) 또는 상기 롤러 지주(200)를 지나서 다음에 위치한 구동 지주(100) 또는 롤러 지주(200)까지 이동할 때, 상기 케이블(40)의 앞단이 처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40)의 앞단에 끼우는 가이드 콘(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콘(300)은, -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상기 케이블(40)의 앞단과 끼워지며, 외주면에 나사산(311)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310); - 일 단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상기 홀더부(31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 단부는 막혀있고 끝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된 바디부(320); 및 - 상기 바디부(320)에 결합되는 봉 형상으로서, 둘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가이드부(330);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부(310)는, 상기 바디부(320)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절단홈(312)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끝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구조를 가져서, 상기 홀더부(310)에 상기 케이블(40)의 앞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310)가 상기 바디부(320)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홀더부(310)가 상기 케이블(40)을 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단이 지하구(10)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은 지하구(10)의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동바리(50)에 구동 모듈(101)과 롤러 모듈(201)을 설치하기 때문에 지하구(10) 내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여 지중선 포설에 따른 시간 및 인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동 모듈(101)과 롤러 모듈(201)이 모두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해체 및 재설치 없이도 케이블행거(30)의 층을 바꾸어 가면서 포설작업을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인건비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동 모듈(101)과 롤러 모듈(201)이 모두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동 모듈(101)과 롤러 모듈(201)을 케이블행거(30) 사이의 안쪽으로 깊숙이 밀어 넣은 상태에서 풀링작업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풀링작업이 완료된 후 케이블(40)을 케이블행거(30) 위에 편리하고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건비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동 모듈(101)과 롤러 모듈(201)이 모두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동바리(50)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하구(10)의 양쪽 케이블행거(30)에 포설작업이 필요한 경우, 한 쪽 케이블행거(30)에 포설작업이 완료된 후 해체 및 재설치 없이도 구동 모듈(101)과 롤러 모듈(201)을 반대쪽으로 돌려놓기만 하면, 반대쪽 케이블행거(30)에 대한 포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포설대상 변경을 위한 해체 및 재설치에 따른 인건비 및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상태로 고정되거나 수평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모터프레임(113)을 90도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120)을 가지고 있고,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의 수평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133)에 끼워져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130)과 수평고정부(135)를 가지기 때문에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를 케이블행거(30) 사이의 안쪽으로 깊숙이 밀어 넣은 상태에서 풀링작업을 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풀링작업이 끝나면, 구동 모듈(101)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케이블(40)이 케이블행거(30) 위에 자동으로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C자 모양의 회전프레임(122)상에서 모터프레임(113)이 회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터프레임(113)이 회전하여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방향으로 되면,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가 앞쪽으로 진전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를 케이블행거(30) 사이의 안쪽으로 깊숙이 밀어 넣은 상태에서 풀링작업을 할 수 있는 구조가 되고,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방향이므로 풀링작업이 끝나면, 구동 모듈(101)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케이블(40)이 케이블행거(30) 위에 자동으로 안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동프레임(130)에는, 이동프레임(130)의 횡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단면을 가지되, 고정프레임(133)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확장프레임(131)을 더 포함하고, 확장프레임(131)은 이동프레임(130)의 일 단부에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필요 시,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수평 위치가 확장프레임(131) 길이만큼 더 이동될 수 있으며, 필요가 없는 경우 확장프레임(131)이 아래로 접혀지기 때문에 좁은 지하구 내에서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동 모듈(101) 및 롤러 모듈(201)에 포함되는 수직이동부(140, 240)에는 스크류 샤프트(150)가 있고, 기어원통(141)이 웜기어(142)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스크류 샤프트(1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일 뿐만 아니라, 동바리(50)에는 스크류 샤프트(150)의 높이를 변경해가며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위치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53)을 가지며, 스크류 샤프트(150)에는 고정핀(154)을 제1결합홈(53)에 삽입하여 스크류 샤프트(150)를 동바리(50)의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2결합홈(15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핀(154)을 이용하여 동바리(50)에서의 스크류 샤프트(15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크게 움직여야 할 때는 고정핀(154)을 이용하여 동바리(50)에서의 스크류 샤프트(150)의 수직 위치를 변경하고, 미세하거나 일정 범위 내의 높이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동드릴에 복스나 너트 드라이버 비트를 장착한 후 웜기어(142)의 단부(142b)에 끼워서 웜기어(142)를 돌리면 기어원통(141)이 회전하면서 스크류 샤프트(150)를 따라 수직이동부(140)의 하우징(143)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 구동 모듈(101) 및 롤러 모듈(201)을 수직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시키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동바리(50)의 상단은 지하구(10)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은 지하구(10)의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345kv급 케이블이라 하더라도 케이블(40)의 무게로 인한 수직 부분 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바리(50)의 외주면에는 동바리(50)를 감싸면서 동바리에 결합되는 스크류 샤프트(150)가 포함되어 있고, 구동 모듈(101) 또는 롤러 모듈(201)이 장착되는 수직이동부(140, 240)는 스크류 샤프트(150)에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40)을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동바리(50)에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는 장력에 대하여 동바리(50)와 동바리(50)를 감싸는 스크류 샤프트(150)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탱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롤러 모듈(201) 중 제2측면롤러(250)는 수평으로 눕혀지는 특징과, 제2측면롤러(250)가 수평으로 눕혀질 때는 롤러프레임(210)이 동바리(50)로부터 멀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롤러 수직이동부(240)의 웜기어(142)를 돌려서 기어원통(141)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제2측면롤러(250)가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동바리(50)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풀링작업이 완료된 뒤에 수직이동부(240)의 웜기어(142)를 돌려서 기어원통(141)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기만 하면, 케이블(40)이 자동적으로 케이블행거(30)쪽으로 이동하게 되며, 측면을 막고 있던 제2측면롤러(250)가 수평으로 눕혀지게 된다. 따라서 풀링작업이 끝난 후 케이블(40)을 케이블행거(30) 위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케이블(40)의 앞단에 끼우는 가이드 콘(300)을 포함하기 때문에, 구동 지주(100) 또는 롤러 지주(200)를 통과한 케이블(40)의 앞단이 다음에 위치한 구동 지주(100) 또는 롤러 지주(200)까지 밀려서 이동할 때, 케이블(40)의 앞단이 처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음에 위치한 구동 지주(100) 또는 롤러 지주(200)까지 이동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이드 콘(300)이 케이블(40)과 결합되는 부분에는 홀더부(310)가 있고, 홀더부(310)에는, 바디부(320)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절단홈(312)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끝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구조를 가져서, 홀더부(310)에 케이블(40)의 앞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홀더부(310)가 바디부(320)에 나사결합되면 홀더부(310)가 케이블(40)을 조일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콘(300)과 케이블(40)의 결합이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이드 콘(300)에 포함된 가이드부(330)는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좁은 지하구(10) 내에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상태로 고정되거나 수평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모터프레임(113)을 90도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을 수직인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코너부나 곡선부에서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을 수직 상태로 만들어 설치해 놓으면 아무리 코너지고 곡률이 크더라도 케이블(40)이 이탈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직이동부(140)로부터 회전프레임(122) 및 모터프레임(113)을 분리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프레임(113)에서 하나의 모터(111)와 가압회전부(110)를 분리해 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좁은 지하구 내에서 포설장치를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지하구에서 종래기술에 의하여 지중선을 포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동 지주 및 롤러 지주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동 지주(a) 및 롤러 지주(b)가 지하구 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동바리 및 스크류 샤프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동 지주에 구동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구동 지주에 구동 모듈이 장착되어 90도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수직이동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스크류 샤프트를 이동하여 고정하는 모습과 상세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구동 지주에서 구동 모듈을 수평이동 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구동 지주에서 가압회전부를 90도 회전하여 사용하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구동 지주에서 구동 모듈을 수직 이동시켜 사용하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구동 지주에서 구동 모듈을 회전시켜 사용하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롤러 지주에 롤러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롤러 수직이동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9는 롤러 지주에서 롤러 모듈이 수평이동하며 제2측면롤러가 눕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롤러 모듈이 수평이동하며 제2측면롤러가 눕는 상태를 이용하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이드 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가이드 콘에 대한 상세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동 지주(100) 및 롤러 지주(200)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케이블 포설작업을 하기 위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동 지주(100) 및 롤러 지주(200)를 지하구(10) 내에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지하 전력구, 지하 통신구 및 지하 공동구를 포함하는 지하구(10)에 케이블(40)을 포설하기 위하여 지하구(10)에 설치하는 케이블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포설장치에는 동바리(50)가 사용된다. 상기 동바리(50)는, 상단이 상기 지하구(10)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지하구(10)의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견고하게 세워질 수 있는 동바리(50)이다. 본 발명에서 케이블(40)을 끌어당기는 구동 모듈(101)이 장착된 동바리(50)에 대하여 구동 지주(100)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 케이블(40)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롤러 모듈(201)이 장착된 동바리(50)에 대하여는 롤러 지주(200)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는 상기 구동 지주(100)와 상기 롤러 지주(2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지주(100)에 사용되는 동바리(50)는 롤러 지주(200)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동바리(50)이다.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50)을 포설할 상기 지하구(50)를 따라서 복수로 설치하게 되는데,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은 상기 구동 지주(100)를 상기 지하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30미터 간격)으로 세워서, 상기 구동 지주(100)에 장착된 구동 모듈(101)로 케이블(40)을 당기도록 하며, 상기 구동 지주(100) 사이에는 상기 롤러 지주(200)을 설치함으로써, 케이블(40)이 처지지 않도록 롤러 모듈(201)로 하여금 지지하면서 가이드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롤러 지주(200)는 상기 구동 지주(100) 사이에 상대적으로 좁은 간격(예를 들어 3미터 간격)으로 여러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듈(101) 및 상기 롤러 모듈(201)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동바리(50)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V)이 가능한 구조로 하고, 이와 더불어서 상기 구동 모듈(101) 및 상기 롤러 모듈(201)은, 상기 동바리(50)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H)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 모듈(101) 및 상기 롤러 모듈(201)은, 상기 동바리(50)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바리(50)를 중심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같이 하는 경우, 케이블(40)을 포설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 및 상기 롤러 모듈(201)을 상기 지하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해 놓고 풀링작업을 마친 후, 상기 구동 모듈(101) 및 상기 롤러 모듈(201)을 케이블행거(30) 사이의 안쪽으로 수평 이동시켜서(H방향) 케이블행거(30) 위에 케이블을 편리하게 안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도 12 참조), 한 층의 케이블행거(30)에 대한 케이블포설이 끝나면, 수직 방향으로 상기 구동 모듈(101) 및 상기 롤러 모듈(201)의 높이를 조절하여(V방향), 다른 층의 케이블행거(30)에 대한 포설작업을 할 수도 있으며(도 14 참조), 한쪽 벽면의 케이블행거(30)에 대한 포설작업이 끝나면 상기 구동 모듈(101) 및 상기 롤러 모듈(201)을 180도 회전하여(T방향) 반대쪽 벽면의 케이블행거(30)에 대한 포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도 15 참조).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동바리(50) 및 이에 결합되는 스크류 샤프트(150)에 대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동바리(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는 다단(55, 56)으로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다단(55, 56)의 결합을 통하여 전체적인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하구(10)의 높이에 따라 결합핀(57)을 이용하여 상부에 있는 다단(55, 56) 분리 부분을 적절한 길이가 되게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바리(50)의 하부에 있는 베이스(51) 위에는 좌우 회전에 의하여 높낮이가 조절되는 잭(jack, 54)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다단(55, 56) 분리 부분으로 상기 지하구(10)의 높이에 맞추어 대략적인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잭(54)으로 미세높이를 조절해가면서 상기 동바리(50)가 상기 지하구(10)의 천정과 바닥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때까지 상기 잭(54)으로 상기 동바리(50)의 높이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동바리(50)는, 상기 동바리(50) 중 일정 길이를 감싸는 금속제의 스크류 샤프트(150)와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 모듈(101) 또는 상기 롤러 모듈(201)이 결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동바리(50)는 외주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가 감싸는 구조이고, 상기 구동 모듈(101) 또는 상기 롤러 모듈(201)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동바리(50)에 가해지는 수직 하중에 대한 보강은 물론 케이블(40)의 풀링과정에서 수평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장력에도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로 인하여 상기 동바리(50)가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된다.
도 5 내지 7에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동 지주(100)에 상기 구동 모듈(101)이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케이블(40)의 양쪽에서 회전하면서 케이블(40)을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각각에 대하여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두 개의 모터(111) 및 상기 두 개의 모터가 고정되는 모터프레임(113)과 상기 두 개의 모터(1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12)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에 끼워지는 가압수단은 타이어 또는 롤러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는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상기 두 개의 모터(111)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타이어 또는 롤러가 케이블(40)을 가압하면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간격조절부(112)는 케이블(40)의 굵기에 따라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두 개의 모터(111) 중 하나는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간격조절부(112)의 회전에 의하여 나머지 하나의 모터(111)가 상기 모터프레임(113) 상에서 슬라이딩하며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두 개의 모터(1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간격조절부(112)는 리드스크류 방식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일정 길이의 나사봉을 포함하도록 하고, 나사봉의 일단은 상기 두 개의 모터(111) 중 고정되어 있는 모터(11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나사봉의 중간 부분은 상기 두 개의 모터(111) 중 이동 가능한 모터(111)에 고정된 암나사에 결합되고, 상기 나사봉의 종단은 복스나 너트드라이버 또는 핸들 등을 결합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회전부(11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동바리(50)에 고정된 상태로 90도 회전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은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상태로 고정되거나 수평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프레임(113)을 90도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수단(120)은, 상기 모터프레임(113) 중 상기 두 개의 모터(111)가 고정되는 면의 반대 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회전바퀴(121) 및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와 결합될 수 있는 C자 모양의 회전프레임(122)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C자 모양의 안쪽 종단은 도 5 내지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바깥쪽을 향하여 완만하게 굴곡진 모양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케이블(40)에 대한 풀링작업이 끝난 후 케이블(40)을 케이블행거(30)위에 안착시킬 때 케이블(40)이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C자 모양의 안쪽 종단의 굴곡부를 따라서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122)에는 상단스토퍼(123b), 하단스토퍼(123a), 회전레일(124) 및 각도고정부(125)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 상기 상단스토퍼(123b) 및 상기 하단스토퍼(123a)는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C자 모양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C자 모양의 바깥쪽을 향하여 각각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 중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외주면에 있는 바퀴가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아래쪽 종단이나 위쪽 종단에 다가오게 되면 닿아 멈출 수 있게 하는 수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일(124)은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가 상기 회전프레임(122)에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C자 모양 외주면과 내주면에 형성되는 U자 모양의 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고정부(125)는 상기 회전프레임(122) 상의 일정 위치에 상기 모터프레임(113)을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각도고정부(125)는 상기 회전프레임(122)에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홀(126a, 126b)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고정시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 내지 7과 같은 경우 상기 각도고정부(125)는 고정홀 126b와 결합되어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고정시키며, 도 8 및 도 9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각도고정부(125)는 고정홀 126a와 결합되어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듈(101)은, 상기 각도고정부(12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들어 올려지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가 상기 회전레일(124)을 따라 위를 향해 굴러 올라가다가 상기 상단스토퍼(123b)에 바퀴가 닿아 멈추게 되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각도고정부(125)를 고정홀 126b와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으며(도 5 내지 도 8의 상태), 이와 반대로 상기 각도고정부(125)가 해지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아래로 내려지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가 상기 회전레일(124)을 따라 아래를 향해 굴러 내려가다가 상기 하단스토퍼(123a)에 바퀴가 닿아 멈추게 되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각도고정부(125)를 고정홀 126a와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도 8 및 도 9의 상태).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구동 모듈(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H)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이동프레임(130), 고정프레임(133) 및 수평고정부(135)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 상기 이동프레임(130)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 및 하면에 수평레일(134)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 횡단면이 H자 모양이 되게 하고, 그 일 측면은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28)을 통하여 상기 회전수단(1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128)은 상기 이동프레임(13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33)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ㄷ자 모양으로서 상기 ㄷ자 모양의 양 끝단이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돌기(133a)를 가져서 모양이며, 상기 이동프레임(130)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모양의 개방된 측면이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일 측면에 아래위로 끼워지며, 그 길이는 상기 이동프레임(130)보다 짧으며, 상기 모양의 닫힌 측면은 상기 동바리(5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 도 7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고정부(135)는,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ㄷ자 모양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30)을 임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수평고정부(135)를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ㄷ자 모양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렇게 하는 경우, 상기 고정프레임(133)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하며 왕복 이동을 하는 상기 이동프레임(130)을 임의의 위치에 고정하고 싶을 때 상기 수평고정부(135)를 돌려서 조여주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수평고정부(13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프레임(130)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에서 슬라이딩하며 움직여서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수평 위치가 변경될 수 있게 된다(도 12b 참조).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지중선 포설장치는 폭이 협소한 지하구(10)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상기 이동프레임(130)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에서 슬라이딩하며 움직이는 구조이지만, 그 슬라이딩에 따른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길이가 사람들의 통행에 최대한 방해가 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상기 이동프레임(130)에 연결되는 확장프레임(131)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프레임(131)은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횡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단면을 가지되,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도록 하고, 상기 확장프레임(131)은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일 단부에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132)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수평고정부(13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상기 확장프레임(131)의 반대쪽으로 수평방향 힘이 가해져서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단부에 닿아 상기 확장프레임(131)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수평상태로 펴지면서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결합돌기(133a) 사이로 들어오게 되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에 대한 수평위치가 상기 확장프레임(131)의 길이만큼 더 이동될 수 있으며(도 9 참조),
상기 수평고정부(13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상기 확장프레임(131)쪽으로 수평방향 힘이 가해져서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결합돌기(133a) 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수직 상태로 접히게 된다(도 8 참조). 따라서 상기 가압회전부(110)의 반대쪽에는 항상 사람들의 통행을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가압회전부(110) 및 상기 모터(111)가 앞쪽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아래쪽으로 접혀서 사람들의 통행을 보장하며, 상기 가압회전부(110) 및 상기 모터(111)가 앞쪽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130) 및 상기 확장프레임(131)도 같이 이동된 상태이므로 사람들의 통행을 더욱 원활하게 보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구동 모듈(101)은 상기 동바리(5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직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동 모듈(101)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33)과 결합되는 수직이동부(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에는 상기 수직이동부(140)의 상세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0a에는 하우징(143)을 포함하는 외관을 도시하였고, 도 10b는 하우징(143)을 제거한 모습이며, 도 10c는 하우징(143)을 제거한 후 스크류 샤프트(150)에서 빼어낸 모습을 아래쪽에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a는 스크류 샤프트(150)를 동바리(50) 아래쪽에 고정하거나 위쪽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구동 모듈(101)을 상기 동바리(50) 상에서 수직 이동시키는 모습이 비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b에는 스크류 샤프트(150)를 상기 동바리(50)에 고정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이동부(140)에는 스크류 샤프트(150), 기어원통(141), 웜기어(142) 및 하우징(143)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동바리(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동바리(50)를 감싸면서 상기 동바리(50)에 결합되도록 하며, 외주면에 나사산(15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동바리(50)에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높이를 변경해가며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위치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53)을 가지도록 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는, 고정핀(154)을 상기 제1결합홈(53)에 삽입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상기 동바리(50)의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2결합홈(153)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어원통(141)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감싸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 결합되되,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141b)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웜휠 기어(141c)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웜기어(142)는 상기 기어원통(1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 기어(141c)와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어원통(14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142a)이 형성되고 그 양단은 베어링(142c)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43)은, 상기 기어원통(141) 및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며, 외부에서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142b)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33)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기어원통(141)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하우징(143)과 베어링(141d)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142b)를 회전시키면, 상기 웜기어(142)가 돌아가면서 상기 웜휠 기어(141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원통(141)이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외주면 나사산(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모듈(101)이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구동 지주(100)는,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다양한 특징들로 인하여 여러 형태로 변형시켜 사용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데, 도 12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구동 지주(100) 및 상기 구동 모듈(101)의 다양한 사용형태와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90도 회전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4에는 상기 구동 모듈(101)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하는 사례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상기 구동 모듈(101)을 회전시켜 사용하는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능들로 인하여 지중선 포설작업의 능률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고 인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도 12a는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앞쪽으로 나오지 않은 모습이며, 도 12b는 상기 고정프레임(133)으로부터 상기 이동프레임(130)을 이동시켜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앞쪽으로 진전시킨 모습이며, 도 12c는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수평상태로 펴져서 상기 고정프레임(133) 안으로 끼워질 때까지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앞쪽으로 진전시킨 모습이다.
도 13a는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90도 회전시켜 회전축이 수직방향이 되게 한 뒤,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상기 고정프레임(133) 안으로 끼워질 때까지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앞쪽으로 진전시킨 모습이다. 본 발명은 이같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를 90도 회전시켜 케이블행거(30) 사이 안쪽으로 깊숙이 넣은 상태로 만들수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풀링작업을 하게 되면 풀링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간격조절부(112)를 조절하여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사이를 벌린 후 상기 수직이동부(140)를 작동하여 상기 구동 모듈(101)을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케이블(40)이 자동적으로 상기 크리트(31) 위에 안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크리트(31) 위에 두 개의 케이블(40)을 풀링하여 안착시킨 후, 두 개의 케이블 위에 올려서 포설할 케이블의 풀링작업은 도 13b와 같은 상태에서 수행하면 되는데, 도 13b와 같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을 수평상태로 하여 풀링작업을 완료한 뒤에 상기 간격조절부(112)를 조절하여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사이를 벌린 후 케이블(40)을 안쪽으로 밀면 케이블(40)이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C자 모양 종단의 굴곡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두 개의 케이블(40) 위로 이동하여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40)에 대한 풀링작업이 완료된 후 케이블(40)을 들어 올려서 케이블행거(30) 위에 올려놓는 수고를 크게 줄일 수 있어서 지중선 포설작업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지하구(10)의 코너 구간이나 굴곡진 구간에서 도 13a 또는 도 8과 같이 상기 가압회전부(110)를 90도 회전시켜 회전축이 수직방향이 되게 하는 경우 케이블(40)이 풀링작업 도중 코너 구간이나 굴곡진 구간에서 케이블(4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다단으로 되어있는 케이블행거(30)의 여러 층에 케이블(40)을 포설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듈(101)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는 하단의 케이블행거(30)에 대한 케이블(40)을 포설하는 모습이며, 도 14b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상기 동바리(50) 위쪽으로 올려서 높이를 대략 조절한 후 상기 수직이동부의 웜기어(142)를 돌려서 정확한 높이를 맞춘 후 케이블(40)을 포설하는 모습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다단으로 되어있는 케이블행거(30)의 여러 층에 케이블(40)을 포설하는 경우에도 포설장치를 해체하여 재설치할 필요 없이 상기 구동 모듈(101)에 대한 수직높이만 조절하기만 하면 되므로 지중선 포설작업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5는 양쪽 벽면에 있는 케이블행거(30) 모두에 케이블(40)을 포설하는 경우 상기 구동 모듈(101)을 회전시키는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a는 왼쪽 케이블행거(30)에 대한 케이블(40)을 포설하는 모습이며, 도 15b는 왼쪽 케이블행거(30)에 대한 케이블(40) 포설이 완료된 후 오른 쪽 케이블행거(30)에 대한 케이블(40)을 포설하는 모습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양쪽에 있는 케이블행거(30) 모두에 케이블(40)을 포설하는 경우에도 포설장치를 해체하여 재설치할 필요 없이 상기 구동 모듈(101)을 회전하기만 하면 되므로 지중선 포설작업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 구동 모듈(101)을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고정시켰던 고정핀(154)을 뺀 후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180도 회전시킨 후 다시 고정핀(154)으로 고정하기만 하면 된다.
한편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롤러 지주(200)와 상기 롤러 지주(200)에 장착된 롤러 모듈(201)에 대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은 상기 롤러 모듈(201) 중 제2측면롤러(250)가 세워진 모습이며, 도 17은 제2측면롤러(250)가 눕혀진 모습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롤러프레임(210), 삽입프레임(220), 하부롤러(230), 제1측면롤러(270) 및 제2측면롤러(25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 상기 롤러프레임(210)은 ㄴ자 모양으로서 상기 ㄴ자 모양의 수직 부분이 상기 동바리(50) 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삽입프레임(220)은,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 내부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동바리(5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230)는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에 결합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동바리(50)와 직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측면롤러(270)는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직부분에 결합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동바리(50)와 평행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측면롤러(250)는,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 종단에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삽입프레임(220)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수직으로 세워져서 그 하단이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종단부 상면에 닿아 고정되며, 상기 삽입프레임(220)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에서 빠져나와 상기 제2측면롤러(250)의 하단에 위치하던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종단부 상면이 없어지면,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롤러 모듈(201)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일단과 결합되는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에는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에 대한 상세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하우징(243)에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일단이 결합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수직이동부(240)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웜기어(142)가 돌아가면서 상기 웜휠 기어(141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원통(141)이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외주면 나사산(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롤러 모듈(201)이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상기 롤러프레임(210)을 지지하는 지지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지지대(260)는 그 일단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 아래에서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262)에 의하여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 고정되는 결합부재(26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세워진 상태에서(도 19a)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하강시키면, 상기 지지대(260)의 타단과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서(도 19b) 상기 지지대(260)의 일단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을 밀게 되어, 상기 롤러프레임(210)이 상기 삽입프레임(220)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상기 동바리(50)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눕혀지며(도 19c),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상승시키면, 상기 지지대(260)의 타단과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 사이의 간격이 커지면서 상기 지지대(260)의 일단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을 잡아당기게 되어, 상기 롤러프레임(210)이 상기 삽입프레임(220)과 결합되며 상기 동바리(50) 쪽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세워지게 된다.
본 발명에 포함된 상기 롤러 모듈(201)은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20a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세워진 상태에서 케이블(40) 풀링작업을 하여 케이블이 풀링작업 도중 이탈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케이블(40) 풀링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아래로 내리면 상기 롤러프레임(210)이 케이블행거(30) 쪽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눕혀지므로 풀링작업이 끝난 케이블(40)을 케이블행거(30) 쪽으로 쉽게 이동시켜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도 14에서 상기 구동 모듈(101)의 수직높이를 이동시키는 것처럼 상기 롤러 모듈(201)의 높이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도 15에서 상기 구동 모듈(101)을 회전시켜 반대편에 있는 케이블행거(30)에 대한 풀링작업을 하는 것처럼 상기 롤러 모듈(201)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된 롤러 모듈(201)의 기술적 특징들로 인하여 지중선 포설작업의 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상기 구동 지주(100) 및 상기 롤러 지주(200)에 더하여 가이드 콘(300)을 더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콘(300)은 케이블(40)이 상기 구동 지주(100) 또는 상기 롤러 지주(200)를 지나서 다음에 위치한 구동 지주(100) 또는 롤러 지주(200)까지 이동할 때, 케이블(40)의 앞단이 처지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 콘(300)은,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케이블(40)의 앞단과 끼워지며, 외주면에 나사산(311)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310), 일 단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홀더부(31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 단부는 막혀있고 끝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된 바디부(320) 및 상기 바디부(320)에 결합되는 봉 형상으로서, 둘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가이드부(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310)는, 상기 바디부(320)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절단홈(312)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끝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구조를 가져서, 상기 홀더부(310)에 케이블(40)의 앞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310)가 상기 바디부(320)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홀더부(310)가 케이블(40)을 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본 발명은 케이블(40)의 앞단에 끼우는 가이드 콘(300)을 포함하기 때문에, 구동 지주(100) 또는 롤러 지주(200)를 통과한 케이블(40)의 앞단이 다음에 위치한 구동 지주(100) 또는 롤러 지주(200)까지 밀려서 이동할 때, 케이블(40)의 앞단이 처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음에 위치한 구동 지주(100) 또는 롤러 지주(200)까지 이동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310)에 케이블(40)의 앞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310)가 상기 바디부(320)에 나사결합되면 홀더부(310)가 케이블(40)을 조일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콘(300)과 케이블(40)의 결합이 단단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330)는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좁은 지하구(10) 내에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지하구 20 지지 금구류
30 케이블행거 31 크리트
40 케이블 45 풀링장치
46 지지롤러
50 동바리
51 베이스 53 제1결합홈
54 잭 55,56 다단
57 결합핀
100 구동 지주
101 구동모듈 110 가압회전부
111 모터 112 간격조절부
113 모터프레임 120 회전수단
121 회전바퀴 122 회전프레임
123a 하단스토퍼 123b 상단스토퍼
124 회전레일 125 각도고정부
126 고정홀 128 고정브라켓
130 이동프레임 131 확장프레임
132 회동축 133 고정프레임
133a 결합돌기 134 수평레일
135 수평고정부 140 수직이동부
141 기어원통
141a 원통 141b 나사산
141c 웜휠기어 141d 베어링
142 웜기어 142a 나사산
142b 단부 142c 베어링
143 하우징 150 스크류 샤프트
151 나사산 153 제2결합홈
154 고정핀
200 롤러 지주
201 롤러 모듈 210 롤러프레임
220 삽입프레임 230 하부롤러
240 롤러 수직이동부 243 하우징
250 제2측면롤러 260 지지대
261 결합부재 262 회동축
270 제1측면롤러
300 가이드 콘
310 홀더부 311 나사산
312 절단홈 320 바디부
330 가이드부

Claims (16)

  1. 지하 전력구, 지하 통신구 및 지하 공동구를 포함하는 지하구(10)에 케이블(40)을 포설하기 위하여 상기 지하구(10)에 설치하는 케이블 포설장치로서,
    상단은 상기 지하구의 천장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지하구의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동바리(50)에, 상기 케이블(40)을 끌어당기는 구동 모듈(101)이 장착되는 구동 지주(100); 및
    상기 구동 지주(100)에 사용된 것과 같은 동바리(50)에, 상기 케이블(40)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롤러 모듈(201)이 장착되는 롤러 지주(200);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지주(100)는 상기 지하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설치되며, 상기 롤러 지주(200)는 상기 구동 지주(1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101) 또는 상기 롤러 모듈(201)은,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101) 또는 상기 롤러 모듈(201)은,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101) 또는 상기 롤러 모듈(201)은, 상기 동바리(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동바리(50)를 중심축으로 하여 360도 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 상기 케이블(40)의 양쪽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케이블(40)을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각각에 대하여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두 개의 모터(111);
    - 상기 두 개의 모터(111)가 고정되는 모터프레임(113);
    - 상기 두 개의 모터(1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12); 및
    -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상태로 고정되거나 수평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프레임(113)을 90도 회전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120)은,
    - 상기 모터프레임(113) 중, 상기 두 개의 모터(111)가 고정되는 면의 반대 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회전바퀴(121);
    - C자 모양의 회전프레임(122);
    -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C자 모양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C자 모양의 바깥쪽을 향하여 각각 돌출된 상단스토퍼(123b) 및 하단스토퍼(123a);
    -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가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22)의 C자 모양 외주면과 내주면에 U자 모양 홈으로 형성되는 회전레일(124);
    - 상기 회전프레임(122) 상의 일정 위치에 상기 모터프레임(113)을 고정할 수 있는 각도고정부(125);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고정부(12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들어 올려지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가 상기 회전레일(124)을 따라 위를 향해 굴러 올라가다가 상기 상단스토퍼(123b)에 바퀴가 닿아 멈추게 되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각도고정부(125)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각도고정부(12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아래로 내려지는 힘이 가해지면, 상기 복수의 회전바퀴(121)가 상기 회전레일(124)을 따라 아래를 향해 굴러 내려가다가 상기 하단스토퍼(123a)에 바퀴가 닿아 멈추게 되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회전축이 수직 상태가 되도록 상기 각도고정부(125)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 길이 방향을 따라 상면 및 하면에 수평레일(134)이 형성되어 그 횡단면이 H자 모양으로서 일 측면에 상기 회전수단(120)이 결합되는 이동프레임(130);
    - 그 횡단면이 ㄷ자 모양으로서 상기 ㄷ자 모양의 양 끝단이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결합돌기(133a)를 가져서 모양이며, 상기 이동프레임(130)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상기 모양의 개방된 측면이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일 측면에 아래위로 끼워지며, 그 길이는 상기 이동프레임(130)보다 짧으며, 상기 모양의 닫힌 측면은 상기 동바리(5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33);
    -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ㄷ자 모양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프레임(130)을 임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수평고정부(135);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고정부(13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이동프레임(130)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에서 슬라이딩하며 움직여서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 수평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횡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단면을 가지되,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확장프레임(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확장프레임(131)은 상기 이동프레임(130)의 일 단부에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132)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고정부(13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상기 확장프레임(131)의 반대쪽으로 수평방향 힘이 가해져서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단부에 닿아 상기 확장프레임(131)에 힘이 가해지면,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수평상태로 펴지면서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결합돌기(133a) 사이로 들어오게 되어, 상기 두 개의 가압회전부(110)에 대한 수평위치가 상기 확장프레임(131)의 길이만큼 더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고정부(135)가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프레임(113)에 대하여 상기 확장프레임(131)쪽으로 수평방향 힘이 가해져서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상기 고정프레임(133)의 결합돌기(133a) 사이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확장프레임(131)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수직 상태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듈(101)에는,
    -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구동 모듈(101)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33)과 결합되는 수직이동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부(140)에는,
    - 상기 동바리(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동바리(50)를 감싸면서 상기 동바리(5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151)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샤프트(150);
    -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감싸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 결합되되,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141b)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웜휠 기어(141c)가 형성되는 기어원통(141);
    - 상기 기어원통(1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 기어(141c)와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어원통(14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웜기어(142);
    - 상기 기어원통(141) 및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며, 외부에서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142b)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33)이 결합되는 하우징(143);을 포함하며,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142b)를 회전시키면, 상기 웜기어(142)가 돌아가면서 상기 웜휠 기어(141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원통(141)이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외주면 나사산(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구동 모듈(101)이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 ㄴ자 모양으로서 상기 ㄴ자 모양의 수직 부분이 상기 동바리(50) 쪽에 위치하는 롤러프레임(210);
    -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 내부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동바리(50)에 결합되는 삽입프레임(220);
    -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에 결합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동바리(50)와 직각인 하부롤러(230);
    -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직부분에 결합되되, 그 회전축이 상기 동바리(50)와 평행인 제1측면롤러(270); 및
    -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 종단에 수평 또는 수직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측면롤러(250);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프레임(220)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수직으로 세워져서 그 하단이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종단부 상면에 닿아 고정되며,
    상기 삽입프레임(220)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에서 빠져나와 상기 제2측면롤러(250)의 하단에 위치하던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종단부 상면이 없어지면,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롤러 모듈(201)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일단과 결합되는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에는,
    - 상기 동바리(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동바리(50)를 감싸면서 상기 동바리(5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샤프트(150);
    -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감싸면서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 결합되되,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141b)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웜휠 기어(141c)가 형성되어 있는 기어원통(141);
    - 상기 기어원통(1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웜휠 기어(141c)와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어원통(14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웜기어(142);
    - 상기 기어원통(141) 및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 가능하게 수납하며, 외부에서 상기 웜기어(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142b)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는 상기 삽입프레임(220)의 일단이 결합되는 하우징(243);을 포함하며,
    상기 웜기어(142)의 단부를 회전시키면, 상기 웜기어(142)가 돌아가면서 상기 웜휠 기어(141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기어원통(141)이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외주면 나사산(15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롤러 모듈(201)이 상기 동바리(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모듈(201)에는
    상기 롤러프레임(210)을 지지하는 지지대(26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260)는
    - 일단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의 수평부분 아래에서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262)에 의하여 결합되며,
    - 타단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 고정되는 결합부재(26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하강시키면, 상기 지지대(260)의 타단과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면서 상기 지지대(260)의 일단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을 밀게 되어, 상기 롤러프레임(210)이 상기 삽입프레임(220)으로부터 빠져나오며 상기 동바리(50)로부터 멀어지면서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눕혀지며,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눕혀진 상태에서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를 상승시키면, 상기 지지대(260)의 타단과 상기 롤러 수직이동부(240) 사이의 간격이 커지면서 상기 지지대(260)의 일단이 상기 롤러프레임(210)을 잡아당기게 되어, 상기 롤러프레임(210)이 상기 삽입프레임(220)과 결합되며 상기 동바리(50) 쪽으로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2측면롤러(250)가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15.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바리(50)에는,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의 높이를 변경해가며 고정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위치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제1결합홈(53)을 가지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에는, 고정핀(154)을 상기 제1결합홈(53)에 삽입하여 상기 스크류 샤프트(150)를 상기 동바리(50)의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2결합홈(15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40)이 상기 구동 지주(100) 또는 상기 롤러 지주(200)를 지나서 다음에 위치한 구동 지주(100) 또는 롤러 지주(200)까지 이동할 때, 상기 케이블(40)의 앞단이 처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40)의 앞단에 끼우는 가이드 콘(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콘(300)은,
    -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상기 케이블(40)의 앞단과 끼워지며, 외주면에 나사산(311)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310);
    - 일 단부는 속이 빈 원통형으로서 상기 홀더부(31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 단부는 막혀있고 끝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된 바디부(320); 및
    - 상기 바디부(320)에 결합되는 봉 형상으로서, 둘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가이드부(330);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부(310)는, 상기 바디부(320)와 결합되는 쪽의 반대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절단홈(312)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끝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구조를 가져서, 상기 홀더부(310)에 상기 케이블(40)의 앞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홀더부(310)가 상기 바디부(320)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홀더부(310)가 상기 케이블(40)을 조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KR1020220148058A 2022-11-08 2022-11-08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KR20240066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58A KR20240066816A (ko) 2022-11-08 2022-11-08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058A KR20240066816A (ko) 2022-11-08 2022-11-08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6816A true KR20240066816A (ko) 2024-05-16

Family

ID=9127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058A KR20240066816A (ko) 2022-11-08 2022-11-08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6816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09B1 (ko) 2014-03-24 2014-10-13 일진파워텍(주)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에 이용되는 케이블 포설장비
KR101462842B1 (ko) 2014-07-01 2014-11-19 일진파워텍(주)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
KR102416617B1 (ko) 2022-02-08 2022-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6616B1 (ko) 2022-02-08 2022-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이 가능한 멀티 풀링 머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509B1 (ko) 2014-03-24 2014-10-13 일진파워텍(주)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에 이용되는 케이블 포설장비
KR101462842B1 (ko) 2014-07-01 2014-11-19 일진파워텍(주) 지중 케이블의 기계화 포설장비 및 공법
KR102416617B1 (ko) 2022-02-08 2022-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6616B1 (ko) 2022-02-08 2022-07-0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이 가능한 멀티 풀링 머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812684U (zh) 一种电力施工用放线架
CN111779252B (zh) 一种建筑工程墙面设计用多功能吊篮平台
KR100923919B1 (ko) 천정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2197842U (zh) 便于装卸电缆盘的放线支架
CN208345451U (zh) 液压顶升式便调节放线架
CN112260143B (zh) 一种跨路电缆敷设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416617B1 (ko) 케이블 양방향 지중 포설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093824B (zh) 一种电缆支撑装置
KR20240066816A (ko) 동바리 방식의 지중선 포설장치
CN116913651B (zh) 变压器台架
KR100923921B1 (ko) 천정 포설용 지중 캐터필라
CN210224793U (zh) 一种电力施工牵引装置
CN217626811U (zh) 抱夹式线缆牵引机
CN211670545U (zh) 一种电缆敷设架线辅助装置
CN210339899U (zh) 一种电缆敷设拉线设备
CN111064115B (zh) 一种棒瓷绝缘子更换装置
CN221552680U (zh) 电缆支架用滑车
CN220388451U (zh) 一种用于型钢焊接的固定夹具
CN219193996U (zh) 一种折叠式手提放线架
CN221370292U (zh) 一种支撑机构及龙门架起吊装置
CN220131846U (zh) 分体电动三维吊篮
CN220209845U (zh) 一种管线防护装置
CN219136295U (zh) 一种建筑机电安装用升降装置
CN210736072U (zh) 一种可调深沟电缆升降装置
CN221587977U (zh) 一种简易升降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