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9833A -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 Google Patents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9833A
KR20240059833A KR1020220140802A KR20220140802A KR20240059833A KR 20240059833 A KR20240059833 A KR 20240059833A KR 1020220140802 A KR1020220140802 A KR 1020220140802A KR 20220140802 A KR20220140802 A KR 20220140802A KR 20240059833 A KR20240059833 A KR 20240059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waterer
beekeeping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글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글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글라스
Priority to KR102022014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9833A/en
Publication of KR20240059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83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기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본체부는 저장부와 연결되어 물을 본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부, 본체부에 배치되며 본체부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수위 이하로 유지되도록 동작하는 수위조절부와 본체부의 어느 일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물이 노출되는 급수부를 포함한다. A waterer for beek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art and a storage part that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part and stores water, and the main body part is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and supplies water to the main body part, which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part, It includes a water level control unit that operates to maintain the water level in the main body below a preset water level, and a water supply unit that extends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s an open upper surface to expose water.

Description

양봉용 급수기{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Waterer for beekeeping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본 발명은 벌통에 설치되어 벌이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기 내부의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물이 부족하거나 넘치지 않게 공급하는 양봉용 급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er for beekeeping that is installed in a beehive to allow bees to drink water.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waterer for beekeeping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water level inside the waterer to prevent water from running out or overflowing.

일반적으로 2월경 초봄에는 벌의 산란과 육아 과정이 진행되면서, 벌은 충분한 양의 물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때, 벌통 내부에 물이 부족하면, 벌은 물을 확보하기 위해서 벌통 외부로 나가게 된다. 그러나, 기온이 낮은 날에 외부로 나간 벌 대부분은 동사하여 귀소하지 못한다. 또한, 외부로 나간 벌이 오염된 물을 길어오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벌에게 깨끗한 물을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급수기를 설치해야 한다.Typically, in early spring around February, bees require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as the egg laying and rearing process progresses. At this time, if there is insufficient water inside the hive, the bees go outside the hive to secure water. However, most bees that go outside on days with low temperatures freeze and cannot return home. Additionally, there are cases where bees that go outside bring in contaminated water.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sufficient clean water to bees, a separate waterer must be installed.

그러나, 종래의 급수기는 설치와 제거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며, 저장된 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동 급수기의 경우, 물을 수시로 보충하기에는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매 보충 시, 훈연을 통해 소문에 몰려있는 벌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급수기가 공급하는 물의 양이 일정치 않아 물이 넘치거나, 수위가 너무 낮아 벌이 섭취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process of the conventional water dispenser is very complicated, and the stored wa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it is easily contaminated. Additionally, manual waterers have a structure that makes it difficult to regularly replenish water. Therefore,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move the bees gathered in the rumor through smoking at each replenishmen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by the waterer is not constant, so the water overflows or the water level is too low for bees to drink.

이에, 종래의 급수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설치 간편성, 사용 편리성 등을 향상한 양봉용 급수기를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we would like to propose a waterer for beekeeping that complements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waterers and improves ease of installation and convenience of us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1708호 벌통용 꿀벌 급수기{Bee drinker for beehive}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971708 Bee drinker for beehive {Bee drinker for beehiv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6339호 벌통용 급수기 {Water Feeder for Beehive}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6339 Waterer for beehives {Water Feeder for Beehiv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전자제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벌통용 급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re intended to provide a waterer for beehives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without using separate electronic products.

또한, 벌통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벌통용 급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we would like to provide a waterer for beehives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beehive.

또한, 물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오염을 방지하고, 쉽게 보충할 수 있는 벌통용 급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we aim to prevent contamination by blocking water from the outside and provide a waterer for beehives that can be easily replenish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물을 상기 본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수위 이하로 유지되도록 동작하는 수위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물이 노출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양봉용 급수기를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cluding a main body; and a storage unit coupl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unit and storing water, wherein the main body unit includes a supply pipe part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and supplying water to the main body unit. a water level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operating to maintain the water level in the main body below a preset water level; and a water supply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to expose water.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어느 일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일부 차단하는 차단편을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의 하면에는 상기 공급관부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하면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unit extends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and includes a blocking piece that partially block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a lower surface hole into which one end of the supply pipe unit is inserted is preferab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do.

상기 공급관부는 상기 저장부에 밀폐 결합되며, 중력에 의해 물이 연직 하측으로 유입되는 유입관부; 상기 유입관부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에 결합되어 연직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로 물을 공급하는 유출관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ly pipe portion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storage portion, and an inlet pipe portion through which water flows vertically downward by gravity; A connection pipe part vert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ipe part; and an outlet pipe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and extends vertically upward, and supplies water to the main body portion.

상기 수위조절부는 부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 내의 수위에 따라 힌지 회동되는 부유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부유부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level control unit includes a floating unit hinged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main body unit by buoyancy; and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o which the floating portion is hinged.

상기 부유부는 미리 설정되는 무게로 형성되는 부력함; 상기 부력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에 끼움 결합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는 균형바; 및 상기 균형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마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ating portion is buoyant and is formed with a preset weight; a balance bar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buoyancy box and including a hinge protrusion fitted into the support portion; and a stopper made of elastic material coupled to one end of the balance bar.

상기 부력함이 상승하면 상기 균형바의 일 단부는 하강하여, 상기 공급관부를 통한 물의 공급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when the buoyancy rises, one end of the balance bar descends, thereby blocking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supply pipe.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부의 내부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는 구획돌기부; 및 상기 구획돌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구획돌기부 사이에 배치되어 물의 분산을 증가시키는 분산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partition protrusion divi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supply unit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a dispersion groove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protrus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rotrusions to increase dispersion of wat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iscuss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to be achie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기는 별도의 전자제품 없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벌의 익사와 벌통 내부로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waterer for beek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without the use of separate electronic products.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bees from drowning and water from overflowing into the beehive.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생산성이 우수하여 양봉업자로 하여금 가격 절감의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s relatively simple structure provides excellent productivity, helping beekeepers reduce costs.

또한, 본 발명은 물을 쉽게 보충할 수 있고, 물의 공급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convenient to use because water can be easily replenished and the water supply status can be checked.

이외에도, 본 발명은 벌통에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교체하기에도 간단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simply by inserting it into the beehive, and it is simple to re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기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양봉용 급수기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공급관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4는 도 1의 수위조절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도 1의 수위조절부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동작예시도.
도 6은 도 1의 급수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7은 도 1의 양봉용 급수기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er for beek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eekeeping waterer of Figure 1 seen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supply pipe portion of Figure 1 in an enlarged manner.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of Figure 1.
Figure 5 is an operation example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of Figure 1.
Figure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part of Figure 1 in an enlarged manner.
Figure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eekeeping waterer of Figure 1 is installed in a beehive.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various changes may be made.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func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기가 분해된 형태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본 나타낸 도면이다. 양봉용 급수기는 전체적으로 예를들어, 사각기둥, 원기둥, 삼각기둥, 타원기둥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이외에도 양봉용 급수기의 형상은 본 발명의 용도, 기능 및 전술한 효과 등을 달성할 수 있다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설계 변경 가능한 범위에서 달리 형성될 수 있다.Figures 1 and 2 are views showing the disassembled form of a waterer for beekeep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The waterer for beekeeping may have an overall shape of, for example, a square pillar, a cylinder, a triangular pillar, or an elliptical pillar.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waterer for beekeeping can be formed differently within the scope of design change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s long as it can achieve the purpose, function, and above-mentione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부(1),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부(2)는 본체부(1)의 상단에 결합되며, 물을 저장한다. 한편, 본체부(1)는 저장부(2)에 저장된 물을 벌이 섭취할 수 있도록 공급한다. 이때, 본체부(1)는 공급관부(11), 수위조절부(12), 급수부(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 a storage portion (2) for storing water, and the like. Here, the storage part 2 is coupl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part 1 and stores water. Meanwhile, the main body portion (1) supplies water stored in the storage portion (2) so that the bees can consume it. At this time, the main body part 1 may include a supply pipe part 11, a water level control part 12, a water supply part 13, etc.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2)는 물을 저장 및 보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통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저장부(2)의 개방된 상면에는 커버(21)가 결합될 수 있다. 커버(21)는 저장부(2)에 오염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저장부(2)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물의 공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orage portion 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rrel with an open top so that water can be stored and replenished. At this time, the cover 21 may be coupled to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 The cover 21 prevents contaminants from entering the storage unit 2.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2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water supply status can be checked.

한편, 저장부(2)는 차단편(22), 하면홀(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편(22)은 저장부(2)의 어느 일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본체부(1)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일부 차단한다. 일 실시예에서, 차단편(22)의 하단부에는 다소 길이가 짧은 빗살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와 저장부(2)가 결합되면, 차단편(22)의 하단은 본체부(1)의 바닥면과 맞닿아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단편(22)은 외부로부터 본체부(1)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본체부(1)로부터 미소량의 물이 급수부(13)로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한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2 may include a blocking piece 22, a lower surface hole 23, etc. Here, the blocking piece 22 extends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2 and partially blocks the opening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In one embodiment, a somewhat short comb-tooth shap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piece 22. In one embodiment, when the main body portion 1 and the storage portion 2 are coupled, the lower end of the blocking piece 22 may b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 Through this, the blocking piece 22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main body 1 from the outside. Additionally, this ensures that a small amount of water is constantly discharged from the main body portion (1) to the water supply portion (13).

한편, 하면홀(23)은 저장부(2)의 하면에 형성되며, 공급관부(11)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공급관부(11)의 일단에는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O링이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surface hole 23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2, and allows one end of the supply pipe unit 11 to be inserted and coupled. At this time, an O-ring made of rubber or silicone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supply pipe portion 11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도 3은 본체부(1)의 공급관부(11)를 확대해서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공급관부(11)는 저장부(2)와 연결되어 물을 본체부(1)로 공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급관부(11)는 유입관부(111), 연결관부(112), 유출관부(1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Figure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supply pipe portion 11 of the main body portion 1. The supply pipe part 11 is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2 and supplies water to the main body part 1. Referring to FIG. 3, the supply pipe portion 11 may include an inlet pipe portion 111, a connection pipe portion 112, an outlet pipe portion 113, etc.

유입관부(111)는 저장부(2)에 밀폐 결합되며, 중력에 의해 물이 연직 하측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관부(111)의 일단은 하면홀(23)에 삽입 결합된다. 여기서, 유입관부(111)의 일단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다. 유입관부(111)는 유입홀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여, 물이 유입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유입관부(111)의 내부 유로는 유입홀과 연통되며 연직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let pipe portion 111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storage portion 2 and may be formed to allow water to flow vertically downward by gravity. In one embodiment, one end of the inlet pipe portion 111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hole 23. Here, an inlet hole through which water flows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let pipe portion 111. The inlet pipe portion 111 can control the speed at which water flows in by adjusting the diameter size of the inlet hole.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inlet pipe portion 111 communicates with the inlet hole and may be formed vertically downward.

한편, 연결관부(112)는 유입관부(111)와 수직으로 연통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관부(112)의 내부 유로는 유입관부(111)의 내부 유로와 수직으로 연통된다. 즉, 연결관부(112)의 내부 유로는 본체부(1)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연결관부(112)의 내부 유로는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관부(112)의 일단에는 본체부(1)의 일 측면과 연통되어, 저장부(2)의 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공급관부(11) 내의 고인 물을 배출하거나 어느 일부가 이물질 등으로 막힐 경우 이를 배출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배출홀에는 배출홀캡이 결합되어, 평상시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Meanwhile,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2 communicates vertically with the inlet pipe portion 111. In one embodiment,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connection pipe part 112 communicates vertically with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inlet pipe part 111. That is,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connector part 112 is formed horizont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 Additionally,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connecting pipe portion 112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In one embodiment, a discharge hole that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and discharges water from the storage portion 2 may be further form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portion 112. This discharges stagnant water in the supply pipe part 11 or discharges it when any part is clogged with foreign substances. In one embodiment, a discharge hole cap is coupled to the discharge hole to prevent water from normally flowing out.

유출관부(113)는 연결관부(112)에 결합되어 연직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본체부(1)로 물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출관부(113)의 상면에는 물이 상방으로 배출되거나, 후술할 부유부(121)가 부력에 의해 힌지 회동될 때, 이를 차단시키면서 스토퍼 역할을 하는 노즐관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노즐관부(114)는 일정 두께를 갖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런, 노즐관부(114)는 유출관부(113)와 연통된다. 또한, 노출관부(114)의 상면에는 유출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유출홀의 직경 크기는 유입홀의 직경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유출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outlet pipe portion 113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112 and extends vertically upward, and supplies water to the main body portion (1). In one embodiment, a nozzle pipe portion 1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flow pipe portion 113 to block water when it is discharged upward or when the floating portion 1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hinged and rotated by buoyancy, and serves as a stopper. It can be. In one embodiment, the nozzle pipe portion 11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a certain thickness. As such, the nozzle pipe portion 114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pipe portion 113. Additionally, an outflow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posed pipe portion 114.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outlet hol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hole, so that the speed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outlet hole can be increased.

도 4는 수위조절부(12)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위조절부(12)는 본체부(1)에 배치되며, 본체부(1)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수위 이하로 유지되도록 동작한다.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 Referring to FIG. 4,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1 and operates to maintain the water level in the main body 1 below a preset water level.

일 실시예에서, 수위조절부(12)는 부유부(121), 지지부(1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 may include a floating part 121, a support part 122, etc.

부유부(121)는 부력에 의해 본체부(1) 내의 수위에 따라 힌지 회동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유부(121)는 본체부(1) 내부의 미세한 수위 변화를 감지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이를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이를 위해, 부유부(121)의 회동 각도는 특정 각도 범위 이내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부유부(121)의 회동 각도는 0도(degree) 내지 3도(degree)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부유부(121)의 회동 각도는 0도(degree) 내지 2도(degree)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부유부(121)의 회동 각도는 0도(degree) 내지 1도(degree)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부유부(121)의 회동 각도는 0도(degree) 내지 0.5도(degree)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ating part 121 is hinged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main body 1 by buoyancy. In one embodiment, the floating part 121 detects a slight change in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1 and operates to supply or block water.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floating part 121 is limited to within a specific angle range. 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floating part 121 is preferably within 0 degrees to 3 degrees. 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floating part 121 is preferably within 0 degrees to 2 degrees. 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floating part 121 is preferably within 0 degrees to 1 degree. In one embodiment, the rotation angle of the floating part 121 is preferably within 0 degrees to 0.5 degrees.

또한, 이를 위해, 부유부(121)는 부력함(1211), 균형바(1212), 마개부(1213) 등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for this purpose, the floating part 121 may include a buoyancy box 1211, a balance bar 1212, a stopper 1213, etc.

부력함(1211)은 부유부(121)에 부력을 제공한다. 부력함(1211)은 부유부(121)의 회동 각도를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력함(1211)의 횡단면적은 부력함(1211)이 수용 배치되는 본체부(1)의 내부 어느 일 공간에 대한 횡단면적 대비 80% 이상일 수 있다. 이는 부력함(1211)의 하면이 물과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부력함(1211)은 내부가 빈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부력함(1211)은 미리 설정되는 무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력함(1211)은 부유부(121)의 회동 각도를 특정 각도 범위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The buoyancy box 1211 provides buoyancy to the floating unit 121. The buoyancy box 1211 is preferably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 angle of the floating unit 121.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uoyancy box 1211 may be 80% or mor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any space inside the main body 1 where the buoyancy box 1211 is accommodated and arranged. This increases the area where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cy box 1211 is in contact with water. In one embodiment, the buoyancy box 1211 is shown as a rectangular plate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t this time, the buoyancy box 1211 may be formed with a preset weight. Through this, the buoyancy box 1211 can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floating unit 121 within a specific angle range.

또한, 부력함(1211)의 횡단면은 부력함(1211)이 수용 배치되는 본체부(1)의 내부 어느 일 공간에 대한 횡단면과 닮은 꼴일 수 있다. 또한, 부력함(1211)의 하면은 평탄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력함(1211)의 두께(t)는 부력함(1211)의 일 측면과 본체부(1)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d)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부력함(1211)은 본체부(1) 내의 물이 급수부(13)로 더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Additionally, the cross-section of the buoyancy box 1211 may resemble the cross-section of a space inside the main body 1 where the buoyancy box 1211 is accommodated and disposed. 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cy box 1211 is a flat surface. In addition, the thickness (t) of the buoyancy box (1211) is preferably greater than the distance (d) between one side of the buoyancy box (12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Through this, the buoyancy box 1211 allows the water in the main body unit 1 to be more smoothly supplied to the water supply unit 13.

또한, 부력함(1211)은 물이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buoyancy box 1211 is preferably sealed to prevent water from leaking.

균형바(1212)는 부력함(121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지지부(122)에 끼움 결합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한다. 이때, 균형바(1212)의 길이는 부력함(1211)의 무게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개부(1213)는 균형바(1212)의 일단에 결합된다. 따라서, 부유부(121)는 전체적으로 힌지돌기를 기준으로 일 측에는 부력함(1211)이 형성되고, 타 측에는 균형바(1212)가 형성되는 형상일 수 있다.The balance bar 1212 extends to one side from the buoyancy box 1211 and includes a hinge protrusion fitted into the support portion 122.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balance bar 1212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buoyancy box 1211. In one embodiment, the stopper portion 1213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balance bar 1212. Accordingly, the floating part 121 may have a shape in which a buoyancy box 1211 is formed on one side and a balance bar 121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based on the hinge protrusion.

여기서 마개부(1213)는 탄성 재질로 제작된다. 일 실시예에서, 마개부(1213)의 하면은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부(1213)는 부유부(121)의 힌지 회동에 의해, 유출홀과 접촉될 수 있다. 마개부(1213)는 부유부(121)의 하면이 본체부(1)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배치될 때 노즐관부(114)의 상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마개부(1213)는 유출홀을 전부 차단하면서, 공급관부(11)를 통한 물의 공급을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다. 마개부(1213)의 하면의 면적은 유출홀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topper 1213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In on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1213 is preferably flat. The stopper portion 1213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let hole by rotating the hinge of the floating portion 121. The stopper portion 1213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pipe portion 114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ating portion 121 is disposed horizont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 At this time, the stopper portion 1213 can completely block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supply pipe portion 11 while blocking all outflow ho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1213 i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utflow hole.

일 실시예에서, 수위조절부(12)는 시소 운동과 유사하게 동작한다. 지지부(122)는 부유부(121)가 거치되고, 힌지 회동되기 위한 받침대 역할을 한다. 지지부(122)는 본체부(1)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된다. 지지부(122)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끼움홈이 형성되어 부유부(121)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 operates similar to a seesaw movement. The support portion 122 serves as a base on which the floating portion 121 is mounted and hinged to rotate. The support portion 122 is form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 A downward fitting groov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support part 122 so that the floating part 121 can be hinged.

도 5는 수위조절부(12)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는 동작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위조절부(12)는 본체부(1) 내부의 수위에 따라 시소 운동을 하여 물의 공급을 조절한다.Figure 5 is an operation example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 Referring to Figure 5,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 controls the supply of water by performing a seesaw movement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1.

먼저, 본체부(1)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보다 낮으면, 유출관부(113)는 개방된 상태가 되어 본체부(1)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이때, 부유부(121)는 일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이며, 마개부(1213)는 유출관부(113)를 전부 또는 일부 오픈(open)시킨다. 여기서, 물의 과공급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부(1) 내의 최고 수위는 급수부(13)의 측면 높이보다 낮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1 is lower than the preset water level, the outlet pipe 113 is opened and supplies water into the main body 1. At this time, the floating part 121 is tilted to one side, and the stopper part 1213 opens the outflow pipe part 113 in whole or in part. Here, in order to prevent oversupply of wa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highest water level in the main body 1 is set lower than the side height of the water supply 13.

이후, 본체부(1) 내부의 수위가 상승하면, 부유부(121)의 일 단부는 상승하고, 이와 정반대 방향에 배치되는 균형바(1212)의 일 단부는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1) 내부의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즉, 부력함(1211)의 하면이 지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면, 마개부(1213)는 노즐관부(114)의 상면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접촉하게 되고 유출홀을 전부 클로우즈(close)시키게 된다. 이때, 마개부(1213)는 노즐관부(114)의 상면을 완전 밀폐하여 공급관부(11)를 통한 물의 공급을 완전 차단한다.Thereafter,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1 rises, one end of the floating part 121 rises, and one end of the balance bar 1212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falls. And,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portion 1 reaches a preset water level, that is,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cy box 1211 is placed horizontally with the ground, the stopper portion 1213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pipe portion 114. is brought into contact while being pressed at a certain pressure, and all outlet holes are closed. At this time, the stopper portion 1213 completely seals the upper surface of the nozzle pipe portion 114 to completely block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supply pipe portion 11.

그리고, 본체부(1) 내부의 수위가 하강하면, 부력함(1211)의 일 단부는 다시 하강하게 된다. 즉, 부유부(121)가 다시 일 측으로 기울어져, 마개부(1213)는 유출관부(113)를 오픈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수위조절부(12)는 상기의 과정들을 반복하면서, 본체부(1) 내부의 수위가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And,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1 falls, one end of the buoyancy box 1211 falls again. That is, the floating part 121 is tilted to one side again, and the stopper part 1213 opens the outflow pipe part 113. In this way,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12 repeats the above processes so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1 is automatically maintained constant.

도 6은 급수부(13)를 확대해서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급수부(13)는 본체부(1)의 어느 일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급수부(13)는 본체부(1)의 개구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다. 이때, 급수부(13)의 바닥면 높이는 본체부(1)의 바닥면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부(1)의 바닥면은 물이 고이지 않도록 급수부(13)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급수부(13)는 벌이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물이 노출되도록 한다. 또한, 급수부(13) 내의 수위는 미리 설정된 수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ure 6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showing the water supply unit 13. Referring to FIG. 6, the water supply portion 13 extends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The water supply unit 13 receives water through an opening in the main body unit 1.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13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unit 1. In another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 may be inclined toward the water supply portion 13 to prevent water from accumulating. Mean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unit 13 is opened to expose water so that bees can consume water. 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level in the water supply unit 13 is maintained at a preset water level.

일 실시예에서, 급수부(13)는 구획돌기부(131), 분산홈부(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supply unit 13 may include a partition protrusion 131, a distribution groove 132, etc.

구획돌기부(131)는 급수부(13)의 내부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한다. 구획돌기부(131)는 물이 닿는 표면적을 증가시켜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복수 개의 구획돌기부(131)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획돌기부(131)는 일정 간격으로 절단되어, 레인(lane)(133)의 일부가 막힐 경우, 이웃하는 레인(133)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e partition protrusion 131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supply unit 13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e partition protrusion 131 prevents water from overflowing by increasing the surface area in contact with water.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artition protrusions 13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partition protrusions 131 are cut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when part of the lane 133 is block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neighboring lane 133.

또한, 일 실시예에서, 구획돌기부(131)는 본체부(1)로부터 급수부(13)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선형 돌기로 형성된다. 한편, 구획돌기부(131)는 벌이 물을 섭취하는 동안 지지발판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구획돌기부(131)의 높이는 미리 설정되는 수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in one embodiment, the partition protrusion 131 is formed as a straight protrusion that is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supply unit 13 extends from the main body 1. Meanwhile, the compartment protrusion 131 serves as a support platform while the bee consumes wat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partition protrusion 131 is higher than the preset water level.

한편, 분산홈부(132)는 구획돌기부(131)의 길이 방향으로 구획돌기부(131) 사이에 배치되어 물의 분산을 증가시킨다. 급수부(13)에는 물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인(1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인(133)의 일부가 이물질로 인하여 막힐 경우, 물은 분산홈부(132)를 통해 우회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산홈부(132)의 길이는 레인(133)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dispersion groove 132 is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protrusions 13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rotrusions 131 to increase dispersion of water. At least one lane 133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may be formed in the water supply unit 13. At this time, if part of the lane 133 is blocked by foreign matter, water may be supplied by being bypassed through the dispersion groove 132. In on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distribution groove 132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lane 133.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급수기가 벌통(B)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급수부(13)가 벌통(B)의 소문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1)의 저면에는 경사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돌기는 급수부(13)에 가까워질수록 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체부(1)의 저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 소재가 부착될 수 있다.Figure 7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er for beekeeping is installed in a beehive (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unit 13 is installed by inserting it into the lower chamber of the beehive (B). In one embodiment, an inclined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 At this time, the inclined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as it approaches the water supply unit 13. In another embodiment, an anti-slip material may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 to prevent slipp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y way of example,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within the scope stated in the claims.

1: 본체부
11: 공급관부
111: 유입관부 112: 연결관부
113: 유출관부 114: 노즐관부
12: 수위조절부
121: 부유부 122: 지지부
1211: 부력함 1212: 균형바
1213: 마개부
13: 급수부
131: 구획돌기부 132: 분산홈부
133: 레인
2: 저장부
21: 커버 22: 차단편
23: 하면홀
B: 벌통
1: Main body
11: Supply pipe department
111: Inlet pipe part 112: Connection pipe part
113: outlet pipe 114: nozzle pipe
12: Water level control unit
121: floating part 122: supporting part
1211: Buoyancy 1212: Balance bar
1213: Stopper
13: Water supply unit
131: compartment protrusion 132: distribution groove
133: Lane
2: storage unit
21: cover 22: blocking piece
23: Bottom hole
B: beehive

Claims (7)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어 물을 상기 본체부로 공급하는 공급관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되는 수위 이하로 유지되도록 동작하는 수위조절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어느 일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물이 노출되는 급수부;를 포함하는 양봉용 급수기.
main body; and
It includes a storage portion coupled to the top of the main body and storing water,
The main body part,
A supply pipe part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to supply water to the main body part;
a water level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and operating to maintain the water level in the main body below a preset water level; and
A waterer for beekeeping, comprising: a water supply portion extending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ving an open upper surface to expose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부의 어느 일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부의 개구를 일부 차단하는 차단편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의 하면에는 상기 공급관부의 일단이 삽입 결합되는 하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급수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orage portion includes a blocking piece that extends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partially blocks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portion,
A waterer for beekeeping, characterized in that a lower hol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rage part into which one end of the supply pipe part is inserted and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부는,
상기 저장부에 밀폐 결합되며, 중력에 의해 물이 연직 하측으로 유입되는 유입관부;
상기 유입관부와 수직으로 연통되는 연결관부; 및
상기 연결관부에 결합되어 연직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로 물을 공급하는 유출관부;을 포함하는 양봉용 급수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pply pipe department,
an inflow pipe portion that is hermetically coupled to the storage portion and allows water to flow vertically downward by gravity;
A connection pipe part vert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ipe part; and
A waterer for beekeeping including a discharge pipe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ipe portion and extends vertically upward, and supplies water to the main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는,
부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 내의 수위에 따라 힌지 회동되는 부유부; 및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부유부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양봉용 급수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a floating portion hinged and rota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 the main body portion by buoyancy; and
A waterer for beekeeping including a support portion form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o which the floating portion is hing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부는,
미리 설정되는 무게로 형성되는 부력함;
상기 부력함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에 끼움 결합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는 균형바; 및
상기 균형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마개부;를 포함하는 양봉용 급수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loating part,
Buoyancy created by a preset weight;
a balance bar extending to one side from the buoyancy box and including a hinge protrusion fitted into the support portion; and
A waterer for beekeeping including a stopp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oupled to one end of the balance ba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함이 상승하면 상기 균형바의 일 단부는 하강하여, 상기 공급관부를 통한 물의 공급이 차단되는 양봉용 급수기.
According to clause 5,
A waterer for beekeeping in which when the buoyancy box rises, one end of the balance bar descends, thereby blocking the supply of water through the supply pip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급수부의 내부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는 구획돌기부; 및
상기 구획돌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구획돌기부 사이에 배치되어 물의 분산을 증가시키는 분산홈부;를 포함하는 양봉용 급수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ater supply unit,
a partition protrusion divi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water supply unit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A waterer for beekeeping including; dispersion grooves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protrus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rotrusions to increase dispersion of water.
KR1020220140802A 2022-10-28 2022-10-28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KR2024005983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802A KR20240059833A (en) 2022-10-28 2022-10-28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802A KR20240059833A (en) 2022-10-28 2022-10-28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833A true KR20240059833A (en) 2024-05-08

Family

ID=9107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802A KR20240059833A (en) 2022-10-28 2022-10-28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9833A (e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6339호 벌통용 급수기 {Water Feeder for Beehiv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1708호 벌통용 꿀벌 급수기{Bee drinker for beeh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5427B2 (en) Top-fill hummingbird feeder with float valve base closure mechanism
US8863691B2 (en) Nectar feeder with float and valve
US11147245B2 (en) Top-fill hummingbird feeder with float valve base closure mechanism
US8863692B2 (en) Nectar feeder having a float with flush stopper
US8011323B2 (en) Top-fill hummingbird feeder with twist bottle valve
KR200487694Y1 (en) Bee-breeding apparatus
US5730082A (en) Insect resistant pet dish with automatic water level maintenance
US5924382A (en) Multiple hummingbird feeder
KR101667628B1 (en) Bee feed contalner
KR101348832B1 (en) Honeybee rearing machine
US8826859B1 (en) Animal drinker
KR101117134B1 (en) Separate feeding device for honey comb
US20200045940A1 (en) Animal drinker
KR20180104365A (en) Beehive for improve living environment and good quality honey picking
KR20240059833A (en) Water dispenser for beekeeping
KR102266914B1 (en) Automatic bee feeder for bee keeping with wasp trap
KR20200141216A (en) Automatic bee feeder for bee keeping
KR102223432B1 (en) feeding device having elevating boat structure linked to adjustable buoyancy body for bees
CA2778025C (en) Top-fill hummingbird feeder with float valve base closure mechanism
WO2023214203A1 (en) Sanitary self-leveling water dispenser for bees
KR200317686Y1 (en) An automatic nourishing device for beekeeping
KR200254922Y1 (en) Bee feed contal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