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560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560A
KR20240058560A KR1020220139429A KR20220139429A KR20240058560A KR 20240058560 A KR20240058560 A KR 20240058560A KR 1020220139429 A KR1020220139429 A KR 1020220139429A KR 20220139429 A KR20220139429 A KR 20220139429A KR 20240058560 A KR20240058560 A KR 20240058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surface
fixed guide
air condition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현은
최석호
정재혁
최진욱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560A/ko
Priority to PCT/KR2023/014998 priority patent/WO2024090823A1/ko
Publication of KR20240058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프론트 가이드; 및 상기 프론트 가이드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와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리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한 고정 가이드와, 무빙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가이드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한 무빙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연속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불연속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개시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실내 공간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에 실내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공기조화기라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2-0106389호에 개시된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측면에 형성된 토출구를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토출 가이드; 상기 토출구에 배치된 측면 베인; 및 상기 토출 가이드와 상기 전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구동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전방으로 인출되어 확산풍을 구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토출 가이드 사이로 삽입되어 전면풍을 구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상기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베인은 인출되어 확산풍을 구현하거나, 삽입되어 전방풍을 구현하는 두 가지 모드만을 구현하므로, 공기 유동을 보다 섬세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토출 가이드는 사선 방향으로 평탄한 경사면을 구비하므로,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상기 토출 가이드의 경사면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토출된다. 따라서, 전방풍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사선 방향의 토출 기류를 전방풍으로 전환하기 위한 측면 베인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구동 베인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토출 가이드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공간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어 풍향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 베인이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별도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고, 사용자의 신체나 실내 벽체 등과 같은 장애물에 부딪혀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고장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또, 측면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전방으로 송풍되기 위해서는 전면 패널의 측면 방향의 너비가 케이스의 측면 방향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다. 즉, 전면 패널의 측면 방향의 너비를 케이스의 측면 방향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06389 A호 (공개일자 2022.07.29.)
본 개시의 목적은, 풍향 제어 성능이 향상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은, 전방풍의 구현 성능이 개선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확산풍의 구현 성능이 개선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사선풍을 구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단순화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개수가 줄어든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오작동 또는 고장이 저감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 변경의 자유도가 향상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토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프론트 가이드; 및 상기 프론트 가이드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와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리어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한 고정 가이드와, 무빙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가이드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한 무빙 가이드를 구비한다.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연속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불연속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때,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상기 고정 가이드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면과 연속할 수 있다.
상기 고정 가이드는, 제1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제1 고정가이드와,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제2 고정 가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는,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와 상기 제2 고정 가이드 사이에는 바이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면의 연장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연속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된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바이패스는 개방되고,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과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불연속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무빙 가이드의 전단은 상기 리어 가이드의 전단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빙 가이드가 제1 위치, 제2 위치, 또는 제3 위치에 배치되어 전방풍, 사선풍, 또는 확산풍을 구현하므로, 풍향 제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빙 가이드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코안다 효과를 통해 공기가 무빙 가이드면을 따라 전방으로 토출되므로, 전방풍의 구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고정 가이드에 바이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바이패스를 통과한 기류는 프론트 패널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가이드되므로, 측면 방향의 운동성이 강해져 확산풍의 구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위치에서 무빙 가이드면은 제2 고정 가이드면과 불연속하므로, 송풍팬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사선으로 경사진 제2 고정 가이드면을 따라 토출되어, 사선풍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제2 고정 가이드면과 무빙 가이드면에 의해 토출 기류의 방향성이 결정되므로, 토출구에 배치되는 별도의 측면 베인을 필요로 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무빙 가이드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동하고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있는 장애물이나 사용자의 신체와 부딪혀 오작동 또는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볼록하게 형성된 무빙 가이드면을 구비한 무빙 가이드에 의해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된 토출구에서도 전방풍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공기조화기의 구조 변경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X1-X2선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풍 모드에서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S1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풍 모드에서의 토출 기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선풍 모드에서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8는 도 7에서 S2의 확대도이다.
도 9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선풍 모드에서의 토출 기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풍 모드에서의 절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S3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풍 모드에서의 토출 기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각종 부품들이 실장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하 방향은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폭은 케이스(10)의 좌우 방향의 길이일 수 있다. 즉, 케이스(10)는 전면이 넓고, 후면이 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의 횡단면은 사다리꼴의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은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의 좌우 방향의 폭은, 케이스(10)의 후면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은 공기조화기(1)가 배치되는 실내 공간을 마주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전면은, 공기조화기(1)가 실내 공간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일면일 수 있다. 케이스(10)의 전면은, 실내 공간의 벽체를 마주하는 상기 케이스(10)의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일 수 있다. 케이스(10)의 전면은, 실외기의 냉매관이 연결되는 상기 케이스(10)의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일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은 케이스(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제1 프론트 패널(1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은 케이스(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2 프론트 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론트 패널(12)은 제1 프론트 패널(11)에 형성된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론트 패널(12)은 제1 프론트 패널(11)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프론트 패널(11)과 상기 제2 프론트 패널(12) 사이에는 토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제2 프론트 패널(12)은 제1 프론트 패널(11)의 상부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론트 패널(11)과 상기 제2 프론트 패널(12) 사이에는 프론트 토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4)는 케이스(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4)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4)의 상하 방향의 높이는, 프론트 패널(11)의 상하 방향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4)는 프론트 패널(11)와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14)는 제1 프론트 패널(11)와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상기 케이스(10)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3)는 사이드 커버(14)와 제1 프론트 패널(11)에 연결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1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6)는 케이스(10)의 일부일 수 있다. 베이스(16)는 케이스(1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122,142)는 케이스(10)에 형성된다. 공조 공기는 토출구(122,142)를 통해 실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복수 개의 토출구(122,14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122,142)는 케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케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된 프론트 토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토출구(122)는 케이스(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면에 형성된 프론트 토출구(122)는 전방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프론트 토출구(122)는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프론트 토출구(122)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토출구(122)는 케이스(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는 케이스(10)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토출구(142)는 케이스(10)의 좌, 우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구(142)는 케이스(10)의 측면에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측면은 사이드 커버(14)일 수 있다. 사이드 토출구(142)는, 케이스(10)의 전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토출구(142)는 케이스(10)의 전면과 측면이 만나는 모서리를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토출구(142)는 일체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조화기(1)는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송풍팬은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고, 토출구(122,142)로 공기를 송풍한다.
송풍팬은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송풍팬은 프론트 토출구(122)에 대응되는 프론트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송풍팬은 케이스(10) 내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송풍팬은 프론트 토출구(12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프론트 송풍팬은 흡입구(도 2 참조, 152)로부터 공기를 유입시켜 프론트 토출구(122)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프론트 송풍팬은 프론트 토출구(122)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론트 송풍팬의 위치는 프론트 토출구(122)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론트 송풍팬의 개수는 프론트 토출구(122)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송풍팬은 사이드 토출구(142)에 대응되는 사이드 송풍팬(54)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사이드 토출구(142)로부터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프론트 송풍팬(54, 54b)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이드 송풍팬(54)은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사이드 송풍팬(54)은 사이드 토출구(142)가 연장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이드 송풍팬(54a), 제2 사이드 송풍팬(54b), 및 제3 사이드 송풍팬(54c)은 사이드 각각 사이드 토출구(142)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이드 송풍팬(54)은 프론트 송풍팬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2 사이드 송풍팬(54b)은 상기 제1 사이드 송풍팬(54a)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3 사이드 송풍팬(54c)은 상기 제2 사이드 송풍팬(54b)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52)는 케이스(10)에 형성된다. 흡입구(152)는 케이스(1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52)는 케이스(10)에 개구될 수 있다. 흡입구(152)는 케이스(10)의 후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커버(15)는 프론트 패널(11)에 대향될 수 있다. 리어 커버(15)는 실내 공간의 벽체를 마주할 수 있다. 흡입구(152)는 리어 커버(15)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52)는 리어 커버(15)에 개구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의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키고, 공조된 공기를 케이스(10)의 전면 및/또는 측면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15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54)는 흡입구(152)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154)는 흡입구(15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154)는 흡입구(152)에 대응될 수 있다. 필터(154)의 크기 및 위치는, 흡입구(152)의 크기 및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냉매관(미도시)은 리어 커버(15)를 관통할 수 있다. 냉매관은 리어 커버(15)를 관통하여 실내열교환기와 실외열교환기를 연결할 수 있다. 냉매는 냉매관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냉매관은 리어 커버(15)에 형성된 냉매관 홀(156)을 관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X1-X2선의 절개 단면도이다.
실내 공기는 흡입구(152)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송풍팬은 흡입구(152)를 통해 공기를 케이스(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7)는 실내열교환기일 수 있다. 열교환기(17)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7)는 흡입 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7)는 흡입구(152)를 마주할 수 있다.
열교환기(17)에는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흡입구(15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17)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17)는 응축기 또는 증발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 모드에서 열교환기(17)는 증발기의 역할을 하고, 열교환된 공기는 냉각될 수 있다. 또, 난방 모드에서 열교환기(17)는 응축기의 역할을 하고, 열교환된 공기의 온도는 상승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사이드 송풍팬(54)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송풍 가이드(51)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 가이드(51)는 흡입구(152)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오리피스(52, 52b)로 가이드할 수 있다. 송풍 가이드(51)는 오리피스(52, 52b)와 흡입구(1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송풍 가이드(51)는 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오리피스(52, 52b)를 포함할 수 있다. 오리피스(52, 52b)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오리피스(52, 52b)는 케이스(1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10)의 중심부를 향하여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오리피스(52, 52b)에는 흡입구(15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52, 52b)는 케이스(10)의 내부의 공기를 사이드 송풍팬(54)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오리피스(52, 52b)는 흡입구(15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사이드 송풍팬(54)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냉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오리피스(52, 52b)는 사이드 송풍팬(54)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 리브(53, 53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3, 53b)는 송풍팬(52, 52b)의 흡입 가이드(54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3, 53b)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3, 53b)는 림(rim) 형상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프론트 가이드(2)를 포함한다. 프론트 가이드(2)는 사이드 송풍팬(54)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사이드 토출구(142)로 가이드한다.
프론트 가이드(2)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2)는 열교환기(17)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2)는 오리피스(52, 52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2)는 사이드 송풍팬(54)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사이드 토출구(142)로 가이드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2)는 케이스(10)의 중심부로부터 사이드 토출구(14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프론트 가이드(2)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프론트 가이드(2)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2)에는 사이드 송풍팬(54)의 회전축(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의 회전축은 사이드 송풍팬(54)과 사이드 송풍 모터(545, 545b)를 연결할 수 있다.
송풍 모터(545, 545b)는 송풍팬(54, 54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송풍 모터(545, 545b)는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 모터(545, 545b)는 프론트 가이드(2)에 실장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 모터(545, 545b)는 프론트 가이드(2)의 내부에 배치되고, 사이드 송풍팬(54)은 프론트 가이드(2)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프론트 가이드(2)의 후방에 배치되고, 사이드 송풍 모터(545, 545b)는 프론트 가이드(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54, 54b)은 허브(544, 544b)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544, 544b)에는 송풍 모터(545, 545b)의 회전축이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54, 54b)은 허브(544, 544b)로부터 이격되는 쉬라우드(542, 542b)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544, 544b)와 쉬라우드(542, 542b)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54, 54b)은 허브(544, 544b)와 쉬라우드(542, 542b)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543, 543b)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543, 543b)는 송풍팬(54, 54b)이 회전되면서 공기를 밀어낼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2)는 사이드 송풍팬(54)의 허브(544, 544b)에 대응되는 팬 가이드면(41)을 구비할 수 있다. 팬 가이드면(41)의 형상은 사이드 송풍팬(54)의 허브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팬 가이드면(41)은 허브(544, 544b)에 나란할 수 있다. 팬 가이드면(41)의 내측에는 송풍 모터(545, 545b)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리어 가이드(6)를 포함한다. 리어 가이드(6)는 사이드 송풍팬(54)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를 사이드 토출구(142)로 가이드할 수 있다.
리어 가이드(6)는 프론트 가이드(2)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다. 리어 가이드(6)는 프론트 가이드(2)와 토출 유로(14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 유로(141)는 사이드 토출 유로(141)일 수 있다. 토출 유로(141)는 사이드 토출구(142)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리어 가이드(6)와 프론트 가이드(2) 사이의 거리는, 사이드 토출구(142)에 가까워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리어 가이드(6)와 프론트 가이드(2)는 사이드 토출구(142)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가이드(6)의 전단은 사이드 토출구(1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어 가이드(6)의 전단은 리어 가이드 엣지(64)일 수 있다. 리어 가이드(6)의 후단은 오리피스(52, 52b)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6)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리어 가이드면(62)을 구비할 수 있다. 리어 가이드면(6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면(62)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면(62)은 후방 및/또는 측면 방향의 외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면(62)은 전방으로 갈수록 프론트 가이드(2)와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면(62)은 공기 유동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프론트 가이드(2)와의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어 가이드면(62)의 경사와 전후 방향 사이의 각도는, 전방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리어 가이드(6)는 케이스(10)의 일부일 수 있다. 리어 가이드(6)는 사이드 커버(14)의 내측면일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리어 가이드(6)와 프론트 가이드(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양측에 배치된 리어 가이드(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프론트 가이드(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은 회전되면서 프론트 가이드(2)와 리어 가이드(6) 사이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팬(54, 54b)은 흡입 유로(153)와 토출 유로(1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2)는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가이드(20)를 포함한다. 고정 가이드(20)는 프론트 패널(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는 프론트 패널(1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는 리어 가이드(6)로부터 전방 및/또는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는 고정 가이드면(22)을 구비한다. 고정 가이드면(22)은 팬 가이드면(41)으로부터 사이드 토출구(14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고정 가이드면(22)은 사이드 송풍팬(54)으로부터 사이드 토출구(142)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프론트 가이드(2)는 이동 가능한 무빙 가이드(70)를 포함한다. 무빙 가이드(7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무빙 가이드면(72)을 구비한다. 무빙 가이드면(72)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면(72)은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고정 가이드(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측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프론트 패널(11)과 고정 가이드(2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1)은 제1 프론트 패널(11)일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는 프론트 패널(11)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고정 가이드(20)와 프론트 패널(11) 사이에는 무빙 가이드(70)가 이동하는 구동룸(79)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룸(79)은 프론트 패널(11)을 따라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룸(79)은 프론트 패널(11)의 좌우 방향의 폭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측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구동룸(79)을 따라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프론트 패널(11)의 측단보다 외측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70)의 전방 외측단의 위치는, 제1 프론트 패널(11)의 측단의 위치에 대응되거나 상기 제1 프론트 패널(11)의 측단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70)의 전방 외측단은 무빙 가이드 엣지(74)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론트 패널(11)의 측단은 패널 엣지(112)일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있는 장애물이나 사용자의 신체와 부딪혀 오작동 또는 고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소정 경로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무빙 가이드(70)는 구동룸(79)의 중심부 또는 프론트 패널(11)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이드 토출구(142)는 케이스(10)의 양 측면에 형성되고, 무빙 가이드(70)는 프론트 가이드(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내측으로 이동된 무빙 가이드(70)는,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되어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원 위치는 제1 위치일 수 있다.
제1 위치는 무빙 가이드면(72)과 고정 가이드면(22)이 연속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제1 위치는 무빙 가이드(70)의 전방 외측단과 제1 프론트 패널(11)의 측단이 연속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연속의 의미는,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70)의 전방 외측단은 무빙 가이드 엣지(74)일 수 있다. 상기 제1 프론트 패널(11)의 측단은 패널 엣지(112)일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는 무빙 가이드면(72)과 고정 가이드면(22)이 불연속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제2 위치는 무빙 가이드(70)의 전방 외측단이 제1 프론트 패널(11)의 측단과 동일선 상에 놓이지 않는 위치일 수 있다. 제2 위치는 제1 위치로부터 케이스(10)의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제1 프론트 패널(11)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무빙 가이드(70)의 전방 외측단은 제1 프론트 패널(11)의 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고정 가이드면(22)으로부터 사이드 토출구(142)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70)가 제1 위치에 위치된 때, 무빙 가이드면(72)은 고정 가이드면(22)으로부터 사이드 토출구(142)로 연장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고정 가이드면(22)으로부터 프론트 패널(11)의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고정 가이드면(22)과 프론트 패널(11)의 측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측면은 패널 엣지(112)일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 가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40)는 고정 가이드(20)의 일부일 수 있다. 사이드 송풍 모터(545, 545b)는 제1 고정 가이드(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과 사이드 송풍 모터(545, 545b)는 제1 고정 가이드(4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송풍 모터(545, 545b)의 회전축은 제1 고정 가이드(40)를 관통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40)는 팬 가이드면(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40)는 제1 고정 가이드면(42)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면(42)은 팬 가이드면(41)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면(42)은 고정 가이드면(22)의 일부일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면(42)은 토출 유로(141)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면(42)은 사이드 송풍팬(54)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를 사이드 토출구(142)로 유동시킬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가이드(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30)는 고정 가이드(20)의 일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 가이드(30)는 고정 가이드(20)의 외측단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30)는 고정 가이드(20)의 외측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30)는 제1 고정 가이드의 외측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30)는 제1 고정 가이드(40)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고정 가이드(30)는 제1 고정 가이드(40)의 측면 또는 외측단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30)는 제2 고정 가이드면(32)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고정 가이드면(22)의 일부일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제1 고정 가이드면(42)에 비해 공기 유동 경로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제1 고정 가이드면(42)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제1 고정 가이드면(42)보다 측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제1 고정 가이드면(42)보다 공기 유동의 하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면(42)은 제2 고정 가이드면(32)보다 공기 유동의 상류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30)는 제1 고정 가이드(40)로부터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2 고정 가이드(30)와 제1 고정 가이드(40) 사이에는 바이패스(35)가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35)는 무빙 가이드(7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고정 가이드면(22)이 연장된 길이는, 무빙 가이드면(72)이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연장된 길이는, 사이드 송풍팬(54)으로부터 불어온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경로는 횡방향 경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각각의 연장된 길이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일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라 함은, 횡단면상에서 연장된 길이일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이 연장된 길이는, 프론트 패널(11)의 측면이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연장된 길이는, 사이드 송풍팬(54)으로부터 불어온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의 길이일 수 있다. 상기 경로는 횡방향 경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각각의 연장된 길이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일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라 함은, 횡단면상에서 연장된 길이일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의 전단은 리어 가이드(6)의 전단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가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무빙 가이드(70)의 전단은 리어 가이드(6)의 전단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의 전방 외측단은 리어 가이드(6)의 전방 측단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리어 가이드(6)의 전방 측단은 사이드 토출구(1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전방 외측단은 사이드 토출구(14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엣지(112)는 리어 가이드 엣지(64)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L)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풍 모드를 도시한다.
사이드 송풍팬(54)은 흡입구(15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사이드 토출구(142)로 유동시킬 수 있다. 사이드 송풍팬(5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프론트 가이드(2)와 리어 가이드(6) 사이에 형성된 토출 유로(141)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 공기는 프론트 가이드(2)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송풍 공기는 고정 가이드(20)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40)와 제2 고정 가이드(30) 사이에는 바이패스(35)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풍 모드에서 바이패스(35)는 폐쇄될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폐쇄된 바이패스(35)로 유입되지 않고, 무빙 가이드면(72)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전방풍 모드에서 무빙 가이드(70)는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에 배치된 무빙 가이드(70)의 전방 외측단은 프론트 패널(11)의 측단과 연속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측단은 프론트 패널(11)의 측면일 수 있다. 제1 위치에 배치된 무빙 가이드(70)는 바이패스(35)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면(42) 및 제2 고정 가이드면(32)을 지난 공기는 무빙 가이드면(72)으로 유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일 수 있다. 고정 가이드(20)를 지난 공기는 무빙 가이드면(72)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경사는 전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할 수 있다. 즉, 무빙 가이드면(72)의 전방 외측단의 경사는, 전후 방향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는 무빙 가이드면(72)을 따라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 공기의 유동 방향은 사선 방향에서 점차 전방으로 전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의 측단은 무빙 가이드(70)의 전방 외측단에 대응될 수 있다. 즉, 패널 엣지(112)의 위치는 무빙 가이드 엣지(74)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 패널은 토출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서 S1의 확대도이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제1 고정 가이드면(42)의 연장면(E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좌우 방향에 대해 제2 고정 가이드면(32)이 이루는 각도(theta4)는, 좌우 방향에 대해 제1 고정 가이드면(42)이 이루는 각도(theta5)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 가이드면(32)이 경사진 각도(theta4)는 제1 고정 가이드면(42)이 경사진 각도(theta5)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 가이드면(42)을 따라 송풍된 공기는 제2 고정 가이드면(32)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또, 제2 고정 가이드면(32)이 제1 고정 가이드면(42)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바이패스(35)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35)는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바이패스(35)는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35)는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소정 각도(theta 1)로 경사질 수 있다.
바이패스(35)는 소정 간격(t1)의 폭으로 형성된 유로일 수 있다. 바이패스(35)는 연장된 방향으로 폭이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은 공기 유동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폭은 바이패스(35)가 연장된 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35)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바이패스(35)는 5mm 간격의 폭으로 형성된 유로일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40)는 바이패스(35)를 형성하는 제1 바이패스면(4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면(43)은 제1 고정 가이드(4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외측을 향하는 측면일 수 있다. 제1 바이패스면(43)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면(43)이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는, 바이패스(35)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theta 1)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면(43)은 제1 고정 가이드면(4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면(43)과 제1 고정 가이드면(42)은 소정 각도(theta 3)의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30)는 바이패스(35)를 형성하는 제2 바이패스면(34)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이패스면(34)은 제2 고정 가이드(3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은 내측을 향하는 측면일 수 있다. 제2 바이패스면(34)은 제1 바이패스면(43)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바이패스면(34)은 제2 고정 가이드면(32)으로부터 벤딩될 수 있다. 제2 바이패스면(34)과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소정 각도(theta 2)의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theta 2)의 예각은, 180도에서 상기 소정 각도(theta 3)의 둔각을 뺀 만큼의 차이일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바이패스(35)는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가이드면을 지난 공기는 바이패스로 유입되지 않고, 무빙 가이드면을 따라 토출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소정 두께(W)로 형성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의 전후 방향의 두께(W)는 프론트 패널(11)의 전후 방향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의 전후 방향의 두께(W)는 제2 고정 가이드(30)의 전후 방향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적어도 일부는 곡면일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평면부(722)와 곡면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면(72)은, 공기 유동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평면부(722)와, 공기 유동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곡면부(724)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722)는 제2 고정 가이드면(3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70)가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평면부(722)는 제2 고정 가이드면(3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곡면부(724)는 평면부(72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부는 곡면부(724)일 수 있다. 곡면부(724)는 볼록부(724)일 수 있다. 볼록부(724)는 토출 유로(141)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코안다면(72)을 구비하는 무빙 가이드(70)에 의해, 토출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무빙 가이드면을 따라 토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사선 방향에서 전방으로 유동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풍의 구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 전방풍을 형성하기 위해 토출구에 배치되는 별도의 베인을 필요치 않아, 구조가 단순화되고 부품의 개수가 줄어들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이 전후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전방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평면부(722)가 전후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일정할 수 있다. 볼록부(724)가 전후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사이드 토출구(142)에 가까워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볼록부(724)의 일단은 평면부(722)에 연결되고, 상기 볼록부(724)의 타단은 사이드 토출구(1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록부(724)의 타단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볼록부(724)의 타단이 전후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0일 수 있다. 또, 볼록부(724)의 타단의 경사는 전후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볼록부(724)는 소정 곡률(R1)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록부(724)의 곡률 반경(R1)은 30mm일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전방으로 갈수록 곡률이 증가할 수 있다. 볼록부(724)는 전방으로 갈수록 곡률이 증가할 수 있다. 볼록부(724)는 전방으로 갈수록 곡률 반경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가 고정 가이드면을 따라 유동하려는 성질이 증대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무빙 가이드면(72)은 제2 고정 가이드면(32)과 연속될 수 있다. 평면부(722)는 제2 고정 가이드면(3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평면부(722)는 제2 고정 가이드면(32)의 연장면(E1)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무빙 가이드면(72)은 프론트 패널(11)의 측면과 연속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측면은 패널 엣지(112)일 수 있다. 볼록부(724)는 프론트 패널(11)의 측면과 연속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의 측면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무빙 가이드면(72)은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측면과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빙 가이드면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프론트 패널의 측면을 따라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풍 모드에서의 토출 기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조 공기는 사이드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1 위치에 배치된 무빙 가이드(70)의 무빙 가이드면(72)을 따라 토출된 공기는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공기는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각도는 약 29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의 측면에 형성된 사이드 토출구(142)에도 불구하고, 공조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무빙 가이드면(72)을 따라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 공기조화기의 전방풍 구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선풍 모드에서의 절개 단면도이다.
무빙 가이드(70)가 제2 위치에 배치된 때, 공기조화기(1)의 사선풍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이 때, 토출되는 공기는 사선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제2 위치는 제1 위치로부터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케이스(10)의 양 측에 배치된 무빙 가이드(70)는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2 위치로 이동하면서 토출 유로(141)가 변경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2 위치에 배치되면, 제2 고정 가이드면(32)과 무빙 가이드면(72)은 불연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공기는 제2 고정 가이드면(32)을 따라 토출되고, 무빙 가이드면(72)을 따라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사선풍 모드에서, 무빙 가이드(70)는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이동하는 거리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의 간격(d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7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빙 가이드(70)는 프론트 패널(11)을 따라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10mm만큼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2 위치에 배치된 때, 바이패스(35)는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 가이드면으로부터 불어온 공기는 바이패스로 유입되지 않고, 제2 고정 가이드면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30)의 전방을 마주하는 면의 길이(m1)은,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의 간격(d1)보다 길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theta 1+theta 2)만큼 경사질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측면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theta 4)만큼 경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고정 가이드면을 따라 토출되는 공기는 제2 고정 가이드면의 경사진 각도에 가까운 각도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이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theta 1+theta 2)는, 바이패스(35)가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진 각도(theta 1)보다 클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2 위치에 배치된 때, 제2 고정 가이드면(32)과 무빙 가이드면(72)은 불연속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평면부와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불연속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후단은 제2 고정 가이드면(32)의 전단으로부터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2 위치에 배치된 때, 프론트 패널(11)의 측면과 무빙 가이드면(72)은 불연속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볼록부(724)와 프론트 패널(11)의 측면은 불연속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측면은 패널 엣지(112)일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전방 외측단은 프론트 패널(11)의 측단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선풍 모드에서의 토출 기류를 도시한다.
공조 공기는 사이드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면(32)을 따라 토출된 공기는 사선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 공기는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각도는 약 35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토출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무빙 가이드면을 따라 유동하지 않고, 제2 고정 가이드면을 따라 곧바로 토출되기 때문에, 사선풍이 구현될 수 있다.
사선풍은 전방풍보다 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방되는 실내 공간의 범위가 더 넓어질 수 있다. 또, 간접적으로 실내 공간을 냉방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무빙 가이드(70)는 제3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공기조화기(1)의 확산풍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제3 위치는 제2 위치로부터 케이스(10)의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3 위치로 이동할 때, 케이스(10)의 양 측에 배치된 무빙 가이드(70)는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3 위치로 이동하면서 토출 유로(141)가 변경될 수 있다. 토출 유로(141)는 제1 토출 유로와 제2 토출 유로로 분지될 수 있다. 분지된 제1 토출 유로와 제2 토출 유로는 토출구 부근에서 다시 합쳐질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제2 고정 가이드면(32)과 무빙 가이드면(72)은 불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고정 가이드면(32)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무빙 가이드면(72)을 따라 유동하지 않을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바이패스(35)는 개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확산풍 모드에서, 무빙 가이드(70)는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거리(d2)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d1)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거리는 17mm이고,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의 거리는 10mm이다.
무빙 가이드(70)는 제1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무빙 가이드(70)가 이동하는 거리는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간격(d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70)가 제1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빙 가이드는 프론트 패널(11)을 따라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17mm만큼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는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무빙 가이드가 이동하는 거리는 제2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의 간격(d2-d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빙 가이드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무빙 가이드는 프론트 패널(11)을 따라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7mm만큼 이동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바이패스(35)는 개방될 수 있다. 바이패스(35)가 개방되면서, 제2 토출 유로 및 상기 제2 토출 유로를 유동하는 제2 토출 기류(Fm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면(42)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바이패스(35)로 유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35)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바이패스(35)를 통과하여 무빙 가이드면(72)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무빙 가이드면(72)은 공기를 프론트 패널(11)로 가이드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을 따라 흐르는 공기는 측면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제2 고정 가이드면(32)과 무빙 가이드면(72)은 불연속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평면부(722)와 제2 고정 가이드면(32)은 불연속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후단은 제2 고정 가이드면(32)의 전단으로부터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소정 간격(d2)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고정 가이드(40)는 바이패스(35)를 형성하는 제1 바이패스면(43)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면(43)은 제1 고정 가이드(4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바이패스면(43)은 무빙 가이드면(72)과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패스를 통과한 공기는 무빙 가이드면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고정 가이드(30)는 바이패스(35)를 형성하는 제2 바이패스면(34)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바이패스면(34)은 무빙 가이드면(72)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이패스면(34)은 무빙 가이드면(72)의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무빙 가이드(70)가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프론트 패널(11)의 측면과 무빙 가이드면(72)은 불연속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볼록부(724)와 프론트 패널(11)의 측면부는 불연속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측면부는 패널 엣지(112)일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전방 외측단은 프론트 패널(11)의 측단으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소정 간격(d1)만큼 이격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은 프론트 패널(11)의 후면과 연속될 수 있다. 무빙 가이드면(72)의 볼록부(724)는 프론트 패널(11)의 후면과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빙 가이드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프론트 패널의 후면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즉, 무빙 가이드면은 유동 공기를 프론트 패널의 후면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은 바이패스(35)를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의 후면은 바이패스(35)를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1)의 후면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론트 패널(11)을 따라 유동하는 제2 토출 기류(Fm2)는 측면 방향으로 유동하여 토출될 수 있다.
제1 토출 유로는, 제1 고정 가이드면(42)과 제2 고정 가이드면(32)을 따라 공기가 토출되는 경로일 수 있다. 제2 토출 유로는, 제1 고정 가이드면(42)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바이패스(35)로 유입되고, 상기 바이패스(35)를 통과한 공기가 무빙 가이드면(72)과 프론트 패널(11)을 순차적으로 유동하여 토출되는 경로일 수 있다.
제2 토출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Fm2)는, 프론트 패널(11)을 따라 토출되어 측면 방향으로 유동하려는 성질이 강해질 수 있다. 바이패스(35)를 통과한 공기는 무빙 가이드면(72)으로 유동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면(72)을 따라 유동한 공기는 프론트 패널(11)의 후면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은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프론트 패널(11)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측면 방향으로 유동하려는 성질이 강해질 수 있다.
제2 토출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Fm2)는, 제1 토출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Fm1)보다 측면 방향의 유동 성질이 강할 수 있다. 제2 토출 유로를 유동하여 토출되는 공기(Fm2)는 제1 토출 유로를 유동하여 토출되는 공기(Fm1)를 측면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토출 유로를 유동하여 토출되는 공기(Fm1)는 제2 토출 유로를 유동하여 토출되는 공기(Fm2)와 합쳐지면서, 측면 방향으로 더욱 확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확산풍의 구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산풍 모드에서의 토출 기류를 도시한다.
공조 공기는 사이드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되는 공기는 제1 토출 기류와 제2 토출 기류가 합쳐진 상태일 수 있다. 제1 토출 기류는 제2 토출기류에 의해 측면 방향으로 더욱 밀려나게 되면서, 공기조화기는 확산풍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토출 공기는 전후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 각도는 약 45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2 토출 기류에 의해 더욱 측면 방향으로 치우쳐질 수 있기 때문에, 확산풍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프론트 가이드; 및 상기 프론트 가이드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와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리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한 고정 가이드와, 무빙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가이드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한 무빙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연속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불연속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때,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상기 고정 가이드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면이 전후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전방으로 갈수록 줄어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곡률이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면과 연속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 가이드는, 제1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제1 고정가이드와,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제2 고정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는,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와 상기 제2 고정 가이드 사이에는 바이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면의 연장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연속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바이패스는 폐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바이패스는 폐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된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바이패스는 개방되고,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과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불연속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는,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1 바이패스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바이패스면은,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연속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바이패스를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이패스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는,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1 바이패스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는, 상기 바이패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바이패스면에 마주하는 제2 바이패스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이패스면과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1 바이패스면과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면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무빙 가이드의 전단은 상기 리어 가이드의 전단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단은,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리어 가이드의 측단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무빙 가이드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무빙 가이드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공기조화기
2: 프론트 가이드
6: 리어 가이드
10: 케이스
11: 제1 프론트 패널
12: 제2 프론트 패널
20: 고정 가이드
22: 고정 가이드면
30: 제2 고정 가이드
32: 제2 고정 가이드면
35: 바이패스
40: 제1 고정 가이드
42: 제1 고정 가이드면
54: 사이드 송풍팬
70: 무빙 가이드
72: 무빙 가이드면
142: 사이드 토출구
152: 흡입구

Claims (23)

  1.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측면에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토출구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가이드하는 프론트 가이드; 및
    상기 프론트 가이드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와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리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고정되고,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한 고정 가이드와,
    무빙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가이드의 전방에서 이동 가능한 무빙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연속되는 제1 위치와,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불연속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되는,
    공기조화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된 때,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상기 고정 가이드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로 연장되는,
    공기조화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적어도 일부가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면이 전후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전방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공기조화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곡률이 증가하는 공기조화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면과 연속하는,
    공기조화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는,
    제1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제1 고정가이드와,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면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제2 고정 가이드면을 구비하는 제2 고정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는,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와 상기 제2 고정 가이드 사이에는 바이패스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면의 연장면 상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연속되는,
    공기조화기.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바이패스는 폐쇄되는,
    공기조화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바이패스는 폐쇄되는,
    공기조화기.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공기조화기.
  14.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는,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측면 방향의 내측으로 이격된 제3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3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바이패스는 개방되고,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과 상기 무빙 가이드면은 불연속되는,
    공기조화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는,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1 바이패스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바이패스면은, 상기 무빙 가이드면과 연속되는,
    공기조화기.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상기 바이패스를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
  18.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는,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는,
    공기조화기.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는, 상기 제1 고정 가이드의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이패스를 형성하는 제1 바이패스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는, 상기 바이패스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바이패스면에 마주하는 제2 바이패스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바이패스면과 상기 제2 고정 가이드면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1 바이패스면과 상기 제1 고정 가이드면은 둔각을 이루는,
    공기조화기.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된 때, 상기 무빙 가이드의 전단은 상기 리어 가이드의 전단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단은,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상기 리어 가이드의 측단보다 수평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무빙 가이드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2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가이드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측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20139429A 2022-10-26 2022-10-26 공기조화기 KR2024005856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429A KR20240058560A (ko) 2022-10-26 2022-10-26 공기조화기
PCT/KR2023/014998 WO2024090823A1 (ko) 2022-10-26 2023-09-27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429A KR20240058560A (ko) 2022-10-26 2022-10-26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560A true KR20240058560A (ko) 2024-05-03

Family

ID=9083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429A KR20240058560A (ko) 2022-10-26 2022-10-26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8560A (ko)
WO (1) WO202409082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389A (ko) 2021-01-22 2022-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004B1 (ko) * 2004-09-14 2006-03-3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벽걸이형 에어콘의 풍량조절장치
KR101444361B1 (ko) * 2008-11-04 2014-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19106A (ko) * 2012-08-0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64218B1 (ko) * 2013-01-02 2020-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33690B1 (ko) * 2013-01-04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389A (ko) 2021-01-22 2022-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90823A1 (ko)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2367B (zh) 空调
KR102590118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25425A (ko) 공기조화기
KR100838881B1 (ko) 공기조화기
KR20140028191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112333A (ko) 횡류팬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CN110662923A (zh) 吊顶式空气调节设备用空气引导件及具备其的吊顶式空气调节设备
US20230028921A1 (en) Window air conditioner
KR2014002819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05359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052388A (ko) 공기조화기
KR20240058560A (ko) 공기조화기
KR20190052387A (ko) 공기조화기
KR201400144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0431360B (zh) 空气调节机
KR102666143B1 (ko) 공기조화기
KR102584381B1 (ko) 전면풍 및 측면풍이 가능한 측면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N216744631U (zh) 壁挂式空调室内机
KR102666144B1 (ko) 공기조화기
US20230213213A1 (en) Air conditioner
US20230204227A1 (en) Air conditioner
KR1020588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364765B1 (ko) 공기조화기
CN210179878U (zh) 空调器
KR20130067936A (ko) 공기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