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474A -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474A
KR20240058474A KR1020220139235A KR20220139235A KR20240058474A KR 20240058474 A KR20240058474 A KR 20240058474A KR 1020220139235 A KR1020220139235 A KR 1020220139235A KR 20220139235 A KR20220139235 A KR 20220139235A KR 20240058474 A KR20240058474 A KR 20240058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ot
pillar
home applian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석
Original Assignee
조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석 filed Critical 조현석
Priority to KR102022013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474A/ko
Publication of KR2024005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47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Iot 가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Iot 구축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가정에 구비되는 Iot 가전기기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Iot 가전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Iot 가전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Iot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Iot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Iot 가전기기가 주변을 센싱하여 생성한 센싱 정보를 수신받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Iot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Iot 가전기기의 구동 요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Home appliance Iot construction system using infrared}
본 발명은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Iot 가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모든 것이 편리해지는 스마트 시대가 보편화되면서 가정 또는 건물 내에 가전기기들(예를 들어,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 홈 내에 있는 인테리어 제품들(블라인드, 조명 등)과 환풍기, 창문 등 비가전제품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 디지털 가전기기들과 디지털 제품들로 진화됨에 따라 가전기기, 비가전기기들 간에 네트워크가 구축되고 그 네트워크를 통합 관리 제어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개발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건물 내 구축된 네트워크로 다수의 가전기기와 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서버를 연결함으로써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각각의 가전기기와 비가전기기들 간에 고유 IP가 부여되어, 각 기기는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 가능해짐에 따라, 기기를 편리하게 활용하기 위한 스마트홈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4091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Iot 가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은, Iot 구축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가정에 구비되는 Iot 가전기기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Iot 가전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Iot 가전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Iot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Iot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Iot 가전기기가 주변을 센싱하여 생성한 센싱 정보를 수신받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Iot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Iot 가전기기의 구동 요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Iot 가전기기는, 천장을 따라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는,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하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딩홈이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 하단에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휠;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 하단에 안착되며, 상기 제1 구동휠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휠;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Iot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단 설치홈; 상기 상단 설치홈에 안착되는 지지 블록; 상기 상단 설치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설치홈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 및 상기 지지 블록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단 설치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에 배치되는 곡선형 하부 블록;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하강되는 상기 안착 블록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는 곡선형 실린더;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지지하며,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 상기 지지 유체가 전달됨에 따라 상기 곡선형 실린더로부터 노출되면서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전단을 밀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을 회전시켜 주는 곡선형 피스톤; 및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과 상기 제1 완충부 배치홈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하부 블록의 후단을 지지하는 진동 완충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지지 원통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Iot 가전을 제어함으로써, 가정에서 손쉽게 Iot 생태계를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3의 상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블록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도 5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기(100), 제어 모듈(200) 및 제어 서버(3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Iot 구축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스크탑 컴퓨터(PC)는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그리고, 네트워크(N)는,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00)은, 가정에 구비되는 Iot 가전기기(P)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Iot 가전기기(P)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Iot 가전기기(P)로 전송하며, Iot 가전기기(P)로부터 Iot 가전기기(P)의 상태 정보 또는 Iot 가전기기(P)가 주변을 센싱하여 생성한 센싱 정보를 수신받는다.
여기서, Iot 가전기기(P)는, 스마트 TV, 에어컨, CCTV 등과 같이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장치로서, 이에 관련된 장치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Iot 가전기기(P)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을 따라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 모듈(200)로 전송하는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서버(300)는, 제어 모듈(200)로부터 Iot 가전기기(P)의 상태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Iot 가전기기(P)의 구동 요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제어 모듈(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10)은, 적외선 통신을 이용하여 Iot 가전을 제어함으로써, 가정에서 손쉽게 Iot 생태계를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400)는, 슬라이딩 레일(410), 슬라이더(420), 상단 지지부(430), 제1 구동휠(440), 제2 구동휠(450) 및 Iot 카메라(46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레일(410)은,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슬라이더(420)가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딩홈(411)이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슬라이더(420)는, 슬라이딩홈(411)에 안착되어 Iot 카메라(460)를 이동시켜 준다.
상단 지지부(430)는, 슬라이더(420)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슬라이딩홈(411)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슬라이더(420)의 상측을 지지한다.
제1 구동휠(440)은, 슬라이더(42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411)의 일측 하단에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411)을 따라 슬라이더(420)를 이동시켜 준다.
제2 구동휠(450)은, 슬라이더(420)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홈(411)의 타측 하단에 안착되며, 제1 구동휠(440)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슬라이딩홈(411)을 따라 슬라이더(420)를 이동시켜 준다.
Iot 카메라(460)는, 슬라이딩 레일(410)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슬라이더(420)의 하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제어 모듈(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Iot 카메라(460)는, 슬라이딩 이동을 위한 제1 구동휠(440)과 제2 구동휠(450)의 구동은 제어 모듈(200)로부터 수신되는 적외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구동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Iot 카메라(46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전송의 경우 보다 원활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와이파이 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상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단 지지부(430)는, 상단 설치홈(431), 지지 블록(432), 블록 지지부(433) 및 지지 휠(434)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단 설치홈(431)은, 지지 블록(432)이 안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더(420)의 상측에 형성된다.
지지 블록(432)은, 블록 지지부(433)에 의해 지지되어 상단 설치홈(431)에 안착된다.
블록 지지부(433)은, 상단 설치홈(431)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단 설치홈(431)에 안착되는 지지 블록(432)의 하측을 지지한다.
지지 휠(434)은, 지지 블록(432)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단 지지부(430)는, 슬라이더(420)의 상측을 지지함은 물론, 슬라이더(420)의 이동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블록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지지부(500)는, 상단 지지부(510), 하단 지지부(520), 회전 지지부(530) 및 중단 지지부(540)를 포함한다.
상단 지지부(510)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 지지부(530)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 블록(432)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단 지지부(5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 시 마찰력을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회전 유도 구체(512)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하단 지지부(520)는, 상측에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에 의해 상단 지지부(510)와 이격 설치되며, 상단 설치홈(431)의 하측면에 안착되어 지지한다.
회전 지지부(530)는,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단 지지부(510)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한다.
중단 지지부(540)는, 상부가 회전 지지부(530)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하단 지지부(5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블록 지지부(500)는, 고정 설치되는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530)와 상하 방향으로 노출과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중단 지지부(540)의 회전 또는 수직 이동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회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회전 지지부(530)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 회전 체결 돌기(532), 제1 나사산(533), 제1 회전형 완충부(534) 및 제2 회전형 완충부(535)를 포함한다.
회전형 지지 원통(531)은, 내주면을 따라 제1 나사산(533)을 형성하면서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단 지지부(510)를 지지하며, 상측을 따라 회전 체결 돌기(532)가 형성된다.
회전 체결 돌기(532)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상단 지지부(5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단 지지부(510)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511)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나사산(533)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제2 나사산(542)에 맞물려 연결 설치된다.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안착되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즉,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하방 압력을 받음에 따라 제1 나사산(533)과 제2 나사산(542) 간의 결합에 의해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것이다.
이때,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는,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을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제2 회전형 완충부(535)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1 완충부 배치홈(543)에 배치되며, 전단 하측에 곡선형 실린더(5342)가 설치된다.
곡선형 실린더(5342)는,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전단에 설치되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하강되는 안착 블록(52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전달받아 내측에 설치되는 곡선형 피스톤(5343)을 내측으로부터 노출시켜 준다.
곡선형 피스톤(5343)은,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형상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곡선형 실린더(5342)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지지하며, 곡선형 실린더(5342)로 지지 유체(523)가 전달됨에 따라 곡선형 실린더(5342)로부터 노출되면서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전단을 밀어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을 회전시켜 준다.
진동 완충 스프링(5344)은,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과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의 후단 사이에 설치되어 곡선형 하부 블록(5341)의 후단을 지지한다.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대향하면서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중단 지지부(540)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함께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여기서, 제2 회전형 완충부(535)는, 상술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회전형 완충부(534)의 곡선형 하부 블록(5341), 곡선형 실린더(5342), 곡선형 피스톤(5343) 및 진동 완충 스프링(534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전 지지부(530)는, 상단 지지부(510)와 중단 지지부(540) 사이에서 각각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회전 운동으로 변형시켜 주는 동시에 회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단 지지부(5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5의 중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단 지지부(540)는, 중단 지지 기둥(541),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를 포함한다.
중단 지지 기둥(541)은, 회전형 지지 원통(53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안착되어 지지 유체(523)에 의해 지지되며, 제2 나사산(542), 제1 완충부 배치홈(543), 제2 완충부 배치홈(544) 및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2 나사산(54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산(533)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단 지지부(510)로부터 회전형 지지 원통(531)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회전형 지지 원통(531)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된다.
제1 완충부 배치홈(543)은, 제1 회전형 완충부(534)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일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완충부 배치홈(544)은, 제2 회전형 완충부(535)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부 타측에서 곡선형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는,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중단 지지 기둥(541)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중단 지지부(540)는, 회전 지지부(530)와 하단 지지부(520)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 지지부(530)를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에서 지지 유체(523)를 가압하면서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도 5의 하단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하단 지지부(520)는, 안착 블록(521),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를 포함한다.
안착 블록(521)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기둥 안착홈(522), 지지 유체(523),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 및 보조 완충부(52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기둥 안착홈(522)은, 중단 지지 기둥(541)이 안착될 수 있도록 중단 지지 기둥(541)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안착 블록(521)의 상부에 형성되고,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하측 공간에 지지 유체(523)가 수용된다.
이때, 지지 유체(523)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밀폐되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단에 수용되는 것이며, 중단 지지 기둥(541)의 기둥 안착홈(522)에서의 상하 이동에 상관 없이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유출되지 아니하여야 할 것이다.
지지 유체(523)는, 물 또는 오일 등과 같이 그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고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물체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중단 지지 기둥(541)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기둥 안착홈(522)에 삽입되어 있는 중단 지지 기둥(541)을 지지한다.
수직 이동 가이드홈(524)은,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545)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단 지지 기둥(541)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기둥 안착홈(522)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보조 완충부(525)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지지 유체(523)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중단 지지 기둥(54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완충부(525)는, 이너 하우징(5251), 지지 파티션(5252) 및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하우징(5251)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블록(521)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회전 지지부(5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기둥 안착홈(522)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중단 지지 기둥(541)에 의해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를 기둥 안착홈(522)으로부터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한다.
여기서, 기둥 안착홈(522)과 이너 하우징(5251) 사이에는, 지지 유체(523)의 이동을 중계하기 위한 유체 이동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파티션(5252)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을 지지 유체(523)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이 설치되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이너 하우징(5251)의 중단에 설치된다.
파티션 지지 스프링(5253)은, 이너 하우징(5251)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지 파티션(5252)의 하측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단 지지부(52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중단 지지부(540)를 지지하는 동시에, 중단 지지부(540)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중단 지지부(540)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 시 압축되는 지지 유체(523)의 배출 또는 유입 과정에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제어 모듈
300: 제어 서버
400: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

Claims (9)

  1. Iot 구축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가정에 구비되는 Iot 가전기기와 적외선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상기 Iot 가전기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Iot 가전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Iot 가전기기로부터 상기 Iot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 또는 상기 Iot 가전기기가 주변을 센싱하여 생성한 센싱 정보를 수신받는 제어 모듈; 및
    상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Iot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 및 센싱 정보를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Iot 가전기기의 구동 요청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가전기기는,
    천장을 따라 이동하면서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영상 촬영 장치는,
    천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하방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는 슬라이딩홈이 내측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일측 하단에 안착되며,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주는 제1 구동휠;
    상기 슬라이더의 타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의 타측 하단에 안착되며, 상기 제1 구동휠과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주는 제2 구동휠;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에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 뒤 상기 제어 모듈로 전송하는 Iot 카메라;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단 설치홈;
    상기 상단 설치홈에 안착되는 지지 블록;
    상기 상단 설치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설치홈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 블록의 하측을 지지하는 블록 지지부; 및
    상기 지지 블록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 휠;을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지지부는,
    원형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블록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와 이격 설치되어 상기 상단 설치홈의 하측에 안착되는 하단 지지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부가 상기 회전 지지부에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부를 지지하는 중단 지지부;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는,
    하측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에 밀착 배치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를 지지하는 회전형 지지 원통;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상기 상단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회전 체결홈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회전 체결 돌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제1 나사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1 회전형 완충부; 및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부 공간의 상측면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단 지지부의 상부 타측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와 함께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회전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회전형 완충부;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단 지지부는,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중단 지지 기둥;
    상기 제1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상단 지지부로부터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으로 진동 또는 충격이 전달됨에 따라 상기 회전형 지지 원통이 회전하면서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외측을 따라 형성되는 제2 나사산;
    상기 제1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완충부 배치홈;
    상기 제2 회전형 완충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완충부 배치홈; 및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상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하부 외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다수 개의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블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형성하면서 상기 안착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기둥 안착홈;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이 삽입되고 남아 있는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기둥 안착홈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지지 유체;
    상기 수직 이동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기둥 안착홈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수직 이동 가이드홈; 및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지지 유체를 공급받거나 공급받았던 상기 지지 유체를 상기 기둥 안착홈의 하부 공간으로 배출시켜 주면서 상기 중단 지지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보조 완충부;를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완충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블록의 하부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 지지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기둥 안착홈을 따라 수직 하강되는 상기 중단 지지 기둥에 의해 압축되는 상기 지지 유체를 전달받아 상측으로부터 수용하는 이너 하우징;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상기 지지 유체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 공간으로 구획시키면서 상기 이너 하우징의 중단에 설치되는 지지 파티션; 및
    상기 이너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파티션의 하측을 지지하는 파티션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KR1020220139235A 2022-10-26 2022-10-26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KR20240058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235A KR20240058474A (ko) 2022-10-26 2022-10-26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235A KR20240058474A (ko) 2022-10-26 2022-10-26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474A true KR20240058474A (ko) 2024-05-03

Family

ID=9107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235A KR20240058474A (ko) 2022-10-26 2022-10-26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47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10B1 (ko) 2018-02-05 2019-11-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부착형 모듈을 이용한 IoT 환경 구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10B1 (ko) 2018-02-05 2019-11-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탈부착형 모듈을 이용한 IoT 환경 구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9076B2 (en) Mobile surveillance system using a prioritized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US20190077312A1 (en) Video transmission for road safety applications
US20140141725A1 (en) Wireless presentation system allowing automatic association and connection
KR102056510B1 (ko) 동적 기능 분할
US2010027812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 piconet coordinat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 mobile apparatu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ing the method
KR20240058474A (ko) 적외선을 이용한 가전 Iot 구축 시스템
KR102478591B1 (ko) 온라인 상담 기능을 제공하는 유지 관리 보수 시스템
CN1599457A (zh) 用于在视频***中实现数据通信的***和方法
KR101904050B1 (ko) 프록시 ap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1679287B1 (ko) 무선 영상 전송 기능을 구비한 전자 교탁 시스템
US20060055790A1 (en) Video camera remote fine-tuning installation
US9629186B2 (en) Device and a method of an emergency handl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6096515A (ja) 監視システム、監視サーバ及び監視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090797B1 (ko) 전자 장치, 게이트웨이 장치,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홈 네트워크에서 마스터 게이트웨이 결정 방법
KR10075705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모바일 서버 장치와, 이를 적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및 원격 감시 방법
KR101438645B1 (ko) 통합형 무선영상전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상처리시스템
KR102170688B1 (ko) 네트워크 카메라 및 게이트웨이
KR101555252B1 (ko) 차량 영상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5372B1 (ko) 통신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598501B1 (ko) Ai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한 홈 네트워킹 시스템
EP2754318B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disparate devices
KR100889600B1 (ko) 홈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카메라
KR102608624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헬스케어 유닛 기반 시뮬레이션 시스템
JP5026159B2 (ja) 操作対象機器、操作機器、遠隔操作システム、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571525B1 (ko) 복수 통신망 연결상태에 있는 무선 단말기의 통신망 사용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