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8397A - 주름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름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8397A
KR20240058397A KR1020220139091A KR20220139091A KR20240058397A KR 20240058397 A KR20240058397 A KR 20240058397A KR 1020220139091 A KR1020220139091 A KR 1020220139091A KR 20220139091 A KR20220139091 A KR 20220139091A KR 20240058397 A KR20240058397 A KR 2024005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level
unit
electrode sheet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현
손재형
장영철
김태연
최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13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8397A/ko
Publication of KR2024005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8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09Adjustment for highlighting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검사 시스템은, 전극 시트의 주행 경로에 설치되어, 슬러리가 도포된 전극 시트로 열풍을 제공하는 건조부; 건조부를 통과한 전극 시트의 무지부를 촬영하고, 무지부의 주름 두께를 측정하여,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의 주름을 모니터링하고, 주름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의 주름 레벨을 분류하여, 무지부의 주름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 및 무지부의 주름 상태에 기초하여,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주름 검사 시스템{A system for inspecting wrinkles on an electrode sheet}
본 발명은 주름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건조부를 통과한 전극 시트를 촬영하여, 무지부의 주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주름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저장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휴대폰, 캠코더 및 노트북 PC, 나아가서는 전기 자동차의 에너지까지 적용분야가 확대되면서 전기화학소자의 연구와 개발에 대한 노력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전기화학소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분야이고, 그 중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개발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 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대기오염은 주요 원인의 하나인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을 대체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는 주로 니켈 수소 금속(Ni-H2)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지만,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방전 전압 및 출력 안정성의 리튬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상용화 되어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전류 전극 시트 상에 각각 활물질이 도포되어 있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이 개재된 전극조립체에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계 전해질이 함침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의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 등을 용매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제조한 다음, 전극 전극 시트에 직접 도포 및 건조시켜 형성하거나 또는 슬러리를 별도의 지지제 상부에 도포 및 건조시킨 다음, 이 지지체로부터 박리한 필름을 전극 시트 상에 라미네이션 하는 방법으로 형성한다.
도 1은 전극 시트에 슬러리를 코팅하는 공정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면 코팅부와 후면 코팅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무지부에 주름이 생긴 전극 시트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이차전지용 전극은 전극 시트(10)가 전면 코팅 공정과 후면 코팅 공정을 거치면서 양면 코팅된 후, 슬리팅 공정을 거치면서 생산된다. 전면 코팅 공정은 전면 코팅부(20)에서 수행된다. 후면 코팅 공정은 후면 코팅부(30)에서 수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면 코팅부(20)는 제1 다이 코터(21)와 제1 오븐(22)을 포함한다. 후면 코팅부(30)는 제2 다이 코터(31)와 제2 오븐(32)을 포함한다. 제1 다이 코터(21), 제1 오븐(22), 제2 다이 코터(31)와 제2 오븐(32)은 전극 시트(10)의 주행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1 다이 코터(21)는 전극 시트(10)의 전면으로 슬러리를 도포하는 다이 코터를 지칭한다. 제1 오븐(22)은 제1 다이 코터(21)를 통과한 전극 시트(10)로 열을 제공한다.
전극 시트(10)의 전면에 도포된 슬러리는 제1 오븐(22)에서 제공된 열에 의해 건조되면서, 전극 시트(10)의 전면에 코팅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전극 시트(10)는 코팅부(11)를 가진다.
코팅부(11)는 슬러리에 함유된 성분이 전극 시트(10)의 전면에 코팅된 부분이다. 그리고, 무지부(12)는 슬러리에 의해 코팅되지 않은 부분이다.
제2 다이 코터(31)는 전면 시트의 후면으로 슬러리를 도포하는 다이 코터를 지칭한다. 제2 오븐(32)은 제2 다이 코터(31)를 통과한 전극 시트(10)로 열을 제공한다. 전극 시트(10)의 후면에 도포된 슬러리는 제2 오븐(32)에서 제공된 열에 의해 건조되면서, 전극 시트(10)의 후면에 코팅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시트(10)는 제1 오븐(22)을 거치면서, 슬러리와 전극 시트(10) 간의 온도에 의해 무지부(12)에 주름(13)이 발생하기도 한다.
무지부(12)에 주름(13)이 생긴 상태로 전극 시트(10)의 후면 코팅 공정이 진행되면, 전극 시트(10)가 제2 다이 코터(31)를 통과하면서 주름(13)이 제2 다이 코터(31)와 충돌되면서 전극 시트(10)가 파단되는 문제가 유발된다.
아울러, 후면 코팅 공정 후에 전극 시트(10)의 슬리팅(slitting) 공정시, 무지부(12)의 주름(13)으로 인해 컷팅 불량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용 전극의 생산량이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전극 시트(10)의 코팅 중에 발생하는 주름(13)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없어, 전극 시트(10)가 파단되는 문제가 빈번이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번호 제10-1422429호에는 건조 장치 및 열처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조부를 통과한 전극 시트를 촬영하여, 무지부의 주름을 검사할 수 있는 주름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지부의 주름 상태에 따라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극 시트에 도포된 슬러리의 건조시 제공된 열풍으로 인한 무지부의 주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주름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무지부의 주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무지부의 주름으로 인한 전극 시트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는 주름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검사 시스템은, 전극 시트의 주행 경로에 설치되어, 슬러리가 도포된 전극 시트로 열풍을 제공하는 건조부; 건조부를 통과한 전극 시트의 무지부를 촬영하고, 무지부의 주름 두께를 측정하여,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의 주름을 모니터링하고, 주름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의 주름 레벨을 분류하여, 무지부의 주름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 및 무지부의 주름 상태에 기초하여,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검사부는 주름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주름 레벨을 무지부의 주름 두께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의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레벨은 제1 레벨 내지 제4 레벨을 포함하고, 제1 레벨은 0㎛이상 내지 1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제2 레벨은 10㎛이상 내지 3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제3 레벨은 30㎛이상 내지 7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제4 레벨은 70㎛이상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주름 레벨이 제1 레벨 또는 제2 레벨에 해당되면, 전극 시트가 파단되지 않은 정도의 주름이라 판단하여, 무지부의 상태를 "정상"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주름 레벨이 제3 레벨 또는 제4 레벨에 해당되면, 전극 시트가 파단될 정도의 주름이라 판단하여, 무지부의 상태를 "이상"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주름 레벨이 제2 레벨 내지 제4 레벨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주름 레벨이 제3 레벨에 해당되면, 건조부의 건조 온도가 설정 온도의 93% 내지 97%에 도달하게,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주름 레벨이 제4 레벨에 해당되면, 건조부의 건조 온도가 설정 온도의 88% 내지 92%에 도달하게,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극 시트의 이송을 안내하는 복수의 이송롤을 포함하는 주행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주름 레벨이 제4 레벨에 해당되면, 전극 시트의 주행이 정지되게, 주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검사부는, 건조부를 통과한 전극 시트의 무지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부의 촬영 위치에서, 무지부의 주름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주름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의 주름 두께에 따른 주름 레벨을 분류하는 레벨분류부; 및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의 상태가 모니터링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레벨분류부는 주름 레벨을 무지부의 주름 두께에 따라 기설정된 제1 레벨 내지 제4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제1 레벨은 0㎛이상 내지 1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제2 레벨은 10㎛이상 내지 3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제3 레벨은 30㎛이상 내지 7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제4 레벨은 70㎛이상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모니터링부는 주름 레벨이 제2 레벨 내지 제4 레벨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각 레벨에 따른 경고 알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건조부를 통과한 전극 시트를 촬영하여, 무지부의 주름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지부의 주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무지부의 주름으로 인한 전극 시트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지부의 주름 두께에 따른 주름 레벨을 통해, 주름 레벨이 전극 시트를 파단할 정도의 레벨에 도달하면, 알람 경고와 동시에 주행부의 작동을 정지하여, 주름 불량을 가진 전극 시트의 유출을 방지하고, 전극 시트의 파단에 따른 제품 손실 및 가동 로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지부의 주름 상태에 따라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극 시트에 도포된 슬러리의 건조시 제공된 열풍으로 인한 무지부의 주름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무지부의 주름을 확인하지 않고도, 주름 레벨을 통해 무지부의 주름 정도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어, 공정의 정확도 및 공정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극 시트에 슬러리를 코팅하는 공정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면 코팅부와 후면 코팅부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무지부에 주름이 생긴 전극 시트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의 주행 경로에 따른 구성요소별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의 테스트 영상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촬영부의 촬영 이미지로서,
도 8은 제1 레벨의 주름을 가진 무지부의 촬영 이미지이고,
도 9는 제2 레벨의 주름을 가진 무지부의 촬영 이미지이고,
도 10은 제3 레벨의 주름을 가진 무지부의 촬영 이미지이고,
도 11은 제4 레벨의 주름을 가진 무지부의 촬영 이미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출원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출원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름 검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시트의 주행 경로에 따른 구성요소별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검사 시스템은 주행부(110), 전면 코팅부(120), 후면 코팅부(130), 검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주행부(110)는 전극 시트(10)의 주행을 안내하는 이송롤(111)을 포함한다. 주행부(110)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전극 시트(10)는 이송롤(111)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시, 주행 경로(F)를 따라 주행된다. 주행 경로(F)에는, 전면 코팅부(120), 촬영부(141), 측정부(143), 후면 코팅부(130)가 설치된다.
전면 코팅부(120)는 전극 시트(10)의 전면을 슬러리로 코팅하는 장치로서, 제1 도포부(121)와 제1 건조부(123)를 포함한다. 후면 코팅부(130)는 전극 시트(10)의 후면을 슬러리로 코팅하는 장치로서, 제2 도포부(131)와 제2 건조부(133)를 포함한다. 전면 코팅부(120)와 후면 코팅부(130)는 공지된 기술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극 시트(10)에 슬러리에 함유된 성분으로 코팅된 부분에 대해서는 "코팅부(11)"로 지칭하고, 슬러리에 의해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무지부(12)"로 구분지어 지칭한다.
배경기술에서 설명했듯이, 전극 시트(10)는 제1 건조부(123)를 통과하면서, 슬러리와 전극 시트(10) 간의 온도에 의해 무지부(12)에 주름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무지부(12)에 주름이 생긴 상태로, 전극 시트(10)가 후면 코팅부(130)의 제2 도포부(131)로 진입되면, 주름(13)이 제2 도포부(131)와 부딪히면서, 전극 시트(10)가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건조부(123)을 통과한 전극 시트의 무지부(12)를 촬영하고 무지부(12)의 주름 두께를 측정하여, 무지부(12)의 주름 상태에 따라 제1 건조부(123)의 건조 온도 및 주행부(110)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극 시트(10)의 파단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검사부(140) 및 제어부(150)는 다음과 같은 구성 및 기능을 수행한다.
검사부(140)는 제1 건조부(123)를 통과한 전극 시트(10)의 무지부(12)를 촬영하고, 무지부(12)의 주름 두께를 측정하여,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12)의 주름을 모니터링하고, 주름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12)의 주름 레벨을 분류하여, 무지부(12)의 주름 상태를 검사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무지부(12)의 주름 상태에 기초하여, 제1 건조부(123)의 작동 및 주행부(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검사부(140)는 촬영부(141), 측정부(143), 레벨분류부(145) 및 모니터링부(147)를 포함한다. 도 4는 주름 검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전극 시트의 주행 경로에 따른 구성요소별 배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141) 및 측정부(143)는 제1 건조부(123)의 출구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촬영부(141) 및 측정부(143)는 전극 시트의 전면과 마주보게, 전극 시트(10)의 상부로 이격 설치된다.
촬영부(141)는 제1 건조부(123)의 출구측에서 주행 경로에 설치되어, 전극 시트(10)의 무지부(12)를 촬영한다. 촬영 정보는 모니터링부(147)로 제공된다. 촬영 정보는 전극 시트의 무지부(12)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측정부(143)는 촬영부(14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촬영부(141)가 촬영하는 지점에서의 무지부(12)의 주름 두께를 측정한다. 주름 두께 정보는 레벨분류부(145)로 제공된다. 주름 두께 정보는 무지부(12)의 주름 두께이다.
도 7은 측정부(143)의 테스트 이미지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대상물의 표면에 이물질이 존재하면, 이물질이 존재하는 부분이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부분과 두께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의 테스트 이미지는 30㎛의 이물이 측정대상물에 존재하는 경우에, 측정부가 측정 대상물의 두께를 측정한 이미지이다.
레벨분류부(145)는 측정부(143)의 주름 두께 정보를 받아, 주름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의 주름(13)에 대한 주름 레벨을 분류한다. 레벨분류부(145)는 주름 두께 범위에 따른 레벨이 기설정되고, 주름 레벨을 무지부(12)의 주름 두께에 따라 제1 레벨 내지 제4 레벨 중 어느 하나의 레벨로 분류한다.
제1 레벨은 0㎛이상 내지 1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진다. 제2 레벨은 10㎛이상 내지 3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진다. 제3 레벨은 30㎛이상 내지 7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진다. 제4 레벨은 70㎛이상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진다.
모니터링부(147)는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무지부(12)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부(147)는 주름 레벨이 제2 레벨 내지 제4 레벨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각 레벨에 따른 경고 알람을 표시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각 레벨에 따른 무지부의 촬영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제1 레벨의 주름을 가진 무지부의 촬영 이미지이다. 제1 레벨의 주름(13)은 0㎛이상 내지 10㎛ 이하의 주름 두께를 가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지부(12)의 접힘이 미세함을 알 수 있다.
도 9는 제2 레벨의 주름을 가진 무지부의 촬영 이미지이다. 제2 레벨의 주름(13)은 10㎛이상 내지 30㎛ 이하의 주름 두께를 가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13)이 무지부(12)에 간헐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10은 제3 레벨의 주름을 가진 무지부의 촬영 이미지이다. 제3 레벨을 주름(13)은 30㎛이상 내지 70㎛ 이하의 주름 두께를 가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13)이 제3 레벨의 두께로 무지부(12)에 연속하여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11은 제4 레벨의 주름을 가진 무지부의 촬영 이미지이다. 제4 레벨을 가진 주름(13)은 70㎛이상의 주름 두께를 가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13)이 제4 레벨의 두께로 연속하여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비교하면, 제4 레벨의 주름은 제3 레벨의 주름보다 시각적으로도 두꺼운 두께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작업자는 모니터링부(147)에 표시되는 촬영 이미지를 기초하여, 육안으로 무지부의 주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모니터링부(147)에 표시되는 주름 레벨과 경고 알람을 통해, 전극 시트(10)의 파단 가능성을 인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주름 레벨이 제1 레벨 또는 제2 레벨에 해당되면, 전극 시트(10)가 파단되지 않은 정도의 주름이라 판단하여, 무지부(12)의 상태를 "정상"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주름 레벨이 제3 레벨 또는 제4 레벨에 해당되면, 전극 시트(10)가 파단될 정도의 주름이라 판단하여, 무지부(12)의 상태를 "이상"으로 판정한다.
제어부(150)는 주름 레벨이 제3 레벨에 해당되면, 제1 건조부(123)의 건조 온도가 설정 온도의 93% 내지 97%에 도달하게, 제1 건조부(123)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3 레벨을 가진 주름(13)은 30㎛이상 내지 70㎛ 이하의 주름 두께를 가진다.
제어부(150)는 주름 레벨이 제4 레벨에 해당되면, 제1 건조부(123)의 건조 온도가 설정 온도의 88% 내지 92%에 도달하게, 제1 건조부(123)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제1 건조부(123)의 건조 온도를 설정 온도보다 낮춰, 무지부(12)의 주름(12)이 두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주름 레벨이 제4 레벨에 해당되면, 전극 시트(10)의 주행이 정지되게, 주행부(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4 레벨을 가진 주름(13)은 70㎛이상의 주름 두께를 가진다.
제4 레벨을 가진 주름(13)은 제2 도포부(131)에 부딪힐 가능성이 매우 높아, 전극 시트(10)가 제2 도포부(13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전극 시트(10)가 파단될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본 발명은 주름 레벨이 제4 레벨에 해당되면, 주행부(110)의 작동을 정지하여, 전극 시트(10)가 파단되고, 제2 도포부(13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지부(12)의 주름 두께에 따른 주름 레벨을 통해, 주름 레벨이 전극 시트(10)를 파단할 정도의 레벨에 도달하면, 경고 알람과 동시에 주행부(110)의 작동을 정지하여, 주름 불량을 가진 전극 시트(10)의 유출을 방지하고, 전극 시트(10)의 파단에 따른 제품 손실 및 가동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지부(12)의 주름(13) 상태에 따라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전극 시트(10)에 도포된 슬러리의 건조시 제공된 열풍으로 인한 무지부(12)의 주름(13)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율을 감소시켜, 제품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무지부(12)의 주름(13)을 확인하지 않고도, 주름 레벨을 통해 무지부(12)의 주름(13) 정도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되어, 공정의 정확도 및 공정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주름 검사 시스템
110: 주행부 111: 이송롤
120: 전면 코팅부 121: 제1 도포부
123: 제1 건조부 130: 후면 코팅부
131: 제2 도포부 133: 제2 건조부
140: 검사부 141: 촬영부
143: 측정부 145: 레벨분류부
147: 모니터링부 150: 제어부
10: 전극 시트 11: 코팅부
12: 무지부 13: 주름

Claims (12)

  1. 전극 시트의 주행 경로에 설치되어, 슬러리가 도포된 전극 시트로 열풍을 제공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를 통과한 전극 시트의 무지부를 촬영하고, 상기 무지부의 주름 두께를 측정하여, 상기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지부의 주름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주름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지부의 주름 레벨을 분류하여, 상기 무지부의 주름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부; 및
    상기 무지부의 주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주름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주름 레벨을 상기 무지부의 주름 두께에 따라 기설정된 복수의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벨은 제1 레벨 내지 제4 레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레벨은 0㎛이상 내지 1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2 레벨은 10㎛이상 내지 3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3 레벨은 30㎛이상 내지 7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4 레벨은 70㎛이상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는, 주름 검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 레벨이 상기 제1 레벨 또는 상기 제2 레벨에 해당되면, 상기 전극 시트가 파단되지 않은 정도의 주름이라 판단하여, 상기 무지부의 상태를 "정상"으로 판정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 레벨이 상기 제3 레벨 또는 상기 제4 레벨에 해당되면, 상기 전극 시트가 파단될 정도의 주름이라 판단하여, 상기 무지부의 상태를 "이상"으로 판정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 레벨이 상기 제2 레벨 내지 상기 제4 레벨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 레벨이 상기 제3 레벨에 해당되면, 상기 건조부의 건조 온도가 설정 온도의 93% 내지 97%에 도달하게, 상기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 레벨이 상기 제4 레벨에 해당되면, 상기 건조부의 건조 온도가 설정 온도의 88% 내지 92%에 도달하게, 상기 건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시트의 이송을 안내하는 복수의 이송롤을 포함하는 주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름 레벨이 상기 제4 레벨에 해당되면, 상기 전극 시트의 주행이 정지되게, 상기 주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부는,
    상기 건조부를 통과한 전극 시트의 무지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 위치에서, 상기 무지부의 주름 두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주름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지부의 주름 두께에 따른 주름 레벨을 분류하는 레벨분류부; 및
    상기 촬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지부의 상태가 모니터링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분류부는 상기 주름 레벨을 상기 무지부의 주름 두께에 따라 기설정된 제1 레벨 내지 제4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제1 레벨은 0㎛이상 내지 1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2 레벨은 10㎛이상 내지 3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3 레벨은 30㎛이상 내지 70㎛ 이하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고,
    상기 제4 레벨은 70㎛이상의 주름 두께 범위를 가지는, 주름 검사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주름 레벨이 상기 제2 레벨 내지 상기 제4 레벨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각 레벨에 따른 경고 알람을 표시하는, 주름 검사 시스템.
KR1020220139091A 2022-10-26 2022-10-26 주름 검사 시스템 KR20240058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091A KR20240058397A (ko) 2022-10-26 2022-10-26 주름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091A KR20240058397A (ko) 2022-10-26 2022-10-26 주름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8397A true KR20240058397A (ko) 2024-05-07

Family

ID=9107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091A KR20240058397A (ko) 2022-10-26 2022-10-26 주름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83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429B1 (ko) 2011-02-24 2014-07-22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건조 장치 및 열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429B1 (ko) 2011-02-24 2014-07-22 다이니폰 스크린 세이조우 가부시키가이샤 건조 장치 및 열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201B1 (ko) 전극조립체의 얼라인 검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극조립체의 얼라인 검사 방법
US112874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amage of battery separator
US11757139B2 (en) Battery electrode inspection system
KR101676407B1 (ko) 써멀패드 검사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전지모듈 제조방법
JP5246525B2 (ja) 異物検出装置及び異物検出方法
US11835468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air void at lead film of battery
McGovern et al. A review of research needs in nondestructive evaluation for quality verification in electric vehicle lithium-ion battery cell manufacturing
KR20220057713A (ko) 전극 슬라이딩 영역의 관리 방법
US20190265305A1 (en) Method for evaluating insulating performance of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KR101222218B1 (ko) 전극 집전체의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20240058397A (ko) 주름 검사 시스템
KR101182956B1 (ko) 전극 집전체의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20210158055A (ko) 금속 호일 피로 시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방법
US20200341069A1 (en) Method for producing separator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parator
KR100601567B1 (ko) 전극 집전체의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1106335B1 (ko) 전극 집전체의 검사장치
KR100601568B1 (ko) 전극 집전체의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EP4249904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internal defect of battery cell by using tdr
EP4257964A1 (en) Detection apparatus for position of foreign material in low-voltage battery cell, and analysis method using same
KR102307296B1 (ko) 결함 검사 장치
Pettinger Production test procedures
KR20180108268A (ko) 결함 검사 장치
JP2024509463A (ja) ボンディング状態検査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ボンディング状態検査方法
KR20230000877A (ko) 분리막 통기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통기도 검사방법
KR20220020493A (ko) 다수의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분리막 손상 검출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분리막 손상 검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