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940A -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940A
KR20240048940A KR1020220128837A KR20220128837A KR20240048940A KR 20240048940 A KR20240048940 A KR 20240048940A KR 1020220128837 A KR1020220128837 A KR 1020220128837A KR 20220128837 A KR20220128837 A KR 20220128837A KR 20240048940 A KR20240048940 A KR 2024004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st
nft
history
exhibition
exhibition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민
전지홍
이안호
Original Assignee
(주)뉴다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다이브 filed Critical (주)뉴다이브
Priority to KR1020220128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940A/ko
Publication of KR2024004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9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G06Q2220/16Copy protection or prevention
    • G06Q2220/165Having origin or program 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 예들은, 작가 단말로부터 수신한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여 전시 이력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METHOD FOR RELIABLY MANAGING ARTIST'S EXHIBITION HISTORY USING NFT}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은 NFT(non-fungible token)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인증하고 신뢰성 있는 열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에 관련된다.
코로나19 이후 오프라인 현장이 빠르게 붕괴되며 전시 분야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었다. 전시에 대한 이력은 작가의 이력 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작가로서의 성장과 평생의 사업 소득 창출이라는 전반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전시 이력을 적합하게 관리하고, 보호하고, 활용한다는 것은 작가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다.
기존에는, 국내에서 네오룩이라는 서비스를 통해 전시/행사 정보를 아카이빙 하고 있으나, 이를 통해 작가의 길을 걸을 가능성이 있는 영유아, 학생 시절부터의 작품의 경우 별도로 도록을 제작하거나, 전시회를 하기 어려워 작가의 길을 걷고자 하는 작가(사용자)의 경우 작품에 대한 이력을 관리하기 어려우며, 정보가 분절되어 있고 체계적인 이력 관리가 어려워 실질적으로 이력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작가의 작품활동은 이력관리에 있어 중요한 정보이니만큼 이를 관리해야 한다는 논의 및 조치는 실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가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도록을 제작하더라도 기록이 날아간다거나 불완전하게 관리되어 온 현실이었다.
따라서, 따라서, 작가의 길을 걷거나, 걷고자 하는 자의 작품 활동/경험 이력을 보다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21-0145095호 (2021.12.01.)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은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이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작가 단말로부터 수신한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는, 발행 요청자의 작가 단말로부터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응한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작가의 계좌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은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는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항목 및 해당 이력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상기 전시 이력 항목은 작가의 영유아 작품 제작 이력, 작가의 초중고 작품 제작 이력, 작가 대학교 작품 제작 이력, 작가의 국내외 전시를 통한 작품 제작 이력, 작가의 국내 및 해외 연수 과정 이력, 작가의 공인 자격 이력, 작가의 사설 자격 이력 및 작가의 콜라보레이션 활동 이력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이력 항목에 대한 내용은 작가가 전시회에서 전시한 작품에 대한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전시 이력 항목에 매칭되는 작품 이미지가 전시 이력 NFT 에 포함되거나, 전시 이력 NFT 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품 이미지와 매칭되는 NFT가 발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하는 단계는, 발행 요청에 포함된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DB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시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메타데이터를 파일 DB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파일 DB 시스템에 저장된 전시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 가능한 경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는, NFT가 이미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포함한,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다른 작가가 상기 작가의 인증된 전시 이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람하기 위해, 발행된 전시 이력 NFT에 기초하여, NFT가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디지털 배지(badge)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배지는 해당 작가의 전시 이력의 일부를 디지털로 표현한 이미지 데이터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예서, 상기 NFT에 대응한 디지털 배지는 웹 페이지에 업로드되며, 상기 웹 페이지에 액세스한, 해당 NFT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매한 작가 또는 구매하지 않은 작가의 작가 단말에게 표시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는 거래소 서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다른 작가가 상기 작가의 인증된 전시 이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람하기 위해,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거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유한 작가 또는 다른 작가의 작가 단말만이 상기 전시 이력 NFT에 대응한 전시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작가의 특정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여러 번 수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하는 단계는, 일련의 작가의 특정 전시 이력 NFT를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일련의 작가의 특정 전시 이력 NFT는 각 NFT가 최초 발행 시에 발행 요청자인 작가의 계좌 주소에 지분 100%로 각각 전송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NFT를 발행하는 단계는, 발행 수수료로서 미리 지정된 수량의 암호화폐를 미리 지정한 계좌 주소로 전송한 것을 만족한 경우에 수행되며, 특정 전시 이력에 대한 일련의 NFT가 발행될 경우, 보다 후순위의 NFT를 발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발행 수수료의 금액이 점차 증가하도록 지정되는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연동된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지분증명 기반 합의 알고리즘으로 구성될 경우,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 NFT에 대해서, 다른 작가가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데이터에 저장된 해당 NFT에 잠금하는 동안 추가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해당 NFT에 네이티브 암호화페를 잠금한 작가의 작가 단말은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검증자로서 해당 NFT에 대한 트랜잭션 검증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되는,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시스템은, 작가의 전시 이력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생성하는 작가 단말 - 상기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은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포함함, 및 상기 작가 단말로부터 수신한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검증하여 해당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NFT를 통해 작가의 전시 이력 또는 관련 작품을 구매, 열람하여 NFT를 발행한 작가에게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기존의 작가 이력 관리 시장과 전혀 다른 사업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 또는 종래 기술의 실시 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필요한 도면이 아래에서 간단히 소개된다. 아래의 도면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목적일 뿐 한정의 목적이 아니라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아래의 도면들에서 과장, 생략 등 다양한 변형이 적용된 일부 요소들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작가 단말(110)을 통해 NFT 발행을 요청하는 작가는 발행 요청자로 지칭된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생성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전시 이력 정보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시 이력을 업데이트하고 NFT를 발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소 서버(140)가 제공하는 중개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시 이력 NFT에 대해서 스테이킹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FT 랭킹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화면을 도시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disclosure)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단계, 부품, 요소 및/또는 성분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이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 1”“제 2”“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하도록 변경된(adapted to),”“하도록 만들어진(made to),”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 따른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인증 및 거래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입력된 작가의 전시 이력을 검증하여 NFT로 발행하는 동작, 작가의 전시 이력을 NFT를 통해 인증하고 열람할 수 있는 동작, 작가의 전시 이력을 NFT로 구매하여 열람할 수 있는 동작, 개인의 동의 하에 NFT로 작가의 전시 이력을 제3자에게 제공하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은 작가 각각에 대해 전시 이력과 다른 정보(예컨대, 작가의 오프라인 작품 매매 기록, 작가의 NFT 작품 매매 기록) 간의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한 빅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체불가능 토큰(NFT)은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말한다. NFT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작가의 전시 이력 등의 관련 정보가 모두 블록체인에 저장되며, 따라서 원본성 증빙이 가능하고 소유자 정보(예컨대, 작가의 정보)와 거래 이력 등 데이터 위 변조가 불가능하여 무결성 확보가 가능하다.
디지털 자산의 메타 데이터와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참여 노드에 분산저장 되기 때문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저장된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최초 발행자부터 현재 소유자까지의 모든 거래 내역을 추적 가능하다. 그러나, 위변조 불가능한 것이 토큰의 데이터(예컨대, 메타데이터)의 변경 불가능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참가자들의 합의에 따라서 토큰의 데이터는 변경될 수도 있다. 그러면, 변경된 토큰의 데이터가 다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저장되고, 결국 변경된 토큰의 데이터의 위변조가 불가능한 것으로 업데이트된다.
이러한 디지털 자산의 메타 데이터, 정보를 사용하면, 최초 발행자부터 현재 소유자까지의 위변조되지 않은 모든 트랜잭션 내역을 추적 가능하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인증 및 거래하는 시스템(이하, “이력 NFT 관리 시스템”, 1)은 작가 단말(110), 서비스 서버(130)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은 파일 DB 시스템(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 1의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의 구성을 먼저 살펴보고, 연동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설명한다.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은 데이터 처리 능력이 구비된 하드웨어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운용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모듈(module)”“장치”,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가능한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에서 작가 단말(110)과 서비스 서버(130)는 소셜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된다.
소셜 네트워크(10)는 작가의 대상 재화(예컨대, 전시 이력)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위해 작가가 인터넷망 등 통신망으로 일반적으로 접속 가능한 공개된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10)는, 작가 단말(110)과 서버(130)가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전기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소셜 네트워크(10)는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현예에 따라 적절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기초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 소셜 네트워크(10)는 유선 및/또는 무선 인터넷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작가 단말(110), 서버(130)가 이동 통신 단말로서 구현되는 경우 소셜 네트워크(10)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작가 단말(110)은 시스템에 자신의 전시 이력을 업로드하거나, 또는 다른 작가의 전시 이력을 검색하기 위한 단말 장치로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작가 단말(110)은, 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 노트북, 기타 컴퓨팅 장치, 태블릿, 셀룰러 폰, 스마트 폰,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기타 모바일 장치, 기타 웨어러블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작가는 예술 계통 시장에서 전시 활동, 경험을 통해 이력을 쌓는 개인 또는 집단으로서, 개인 작가, 팀으로 이루어진 작가, 레이블, 기업 등을 포함한다. 상기 작가는 시스템 상에서 자신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고 이를 판매하는 공급자, 다른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구매하는 구매자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가 단말(11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2 등을 참조해 보다 상세히 서술한다.
서비스 서버(130)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는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이다. 여기서, 네트워크 서버란, 사설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하위 장치와 연결되어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네트워크 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네트워크 서버, 웹 서버, 파일 서버, 슈퍼컴퓨터,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컴퓨팅 장치들의 임의의 유형 또는 유형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작가의 전시 이력을 NFT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자에 의해 운영된다.
서비스 서버(130)는 하나 이상의 작가 단말(110)과 연결되며, 작가 단말(110)로부터 NFT 발급 요청을 수신하거나 NFT 구매 요청을 수신할 경우, 해당 요청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NFT 관련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20)와 연동된다.
특정 실시 예들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통해 전시 이력 데이터에 대한 블록체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 블록체인 정보의 등록, 검증, 조회, 소유권 정보의 거래, 양도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이력 NFT 관리 시스템(1)과 연동되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검증 가능한 방식으으로 시스템 또는 컴퓨터의 보안 그룹 간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추적하는 정보를 포함한, 분산된 블록 그룹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블록체인 구조의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는 P2P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컴퓨팅 장치(이하, '노드')들을 포함하는 피투피 네트워크로 이해될 수 있고, 각각의 노드는 하나 이 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 내 블록체인 데이터는 안전하고 신뢰하도록 취급된다. 이를 위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원장(ledger)을 공개적으로 배포하여, 네트워크의 적어도 일부의 작가가 각 블록 내의 모든 컨텐츠를 볼 수 있고, 작가는 변경 사항을 볼 수 있게 한다.
각 블록에는 이전 블록에 연결되는 해시 값(디지털 지문)이 있어, 변경 사항을 매우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해시 값에 기반하여 블록체인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기술은 블록체인의 원천기술로 취급되며, 이러한 블록체인(Block chain)의 원천기술은 바로 네트워크 참여자 간의 합의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합의 메커니즘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따라 그 특성이 분리되는데, 전자의 블록체인의 합의 메커니즘으로는 컴퓨팅 파워에 의존하는 작업증명(PoW : Proof of Work), 암호화폐 보유량에 의존하는 지분증명(PoS : Proof of Stake), 평판 및 투표에 의해 일종의 국회를 구성하는 방식인 위임지분방식(DPoS : Delegated Proof of Stake) 등을 포함하며, 프라이빗 블록체인 합의 방식으로 대표적인 것이 비잔틴장군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인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은 고유한 특성과 가치를 제공하는 BIX(Blue IndeX token)와 NFT(Non-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며, 신뢰성 확보 기술을 적용하는데, 신뢰성이란 상호 신뢰하지 않는 네트워크 참여자 간의 장부의 무결성(immutability)을 의미한다. 즉,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한다는 것이며, 비밀성, 인증, 무결성, 부인봉쇄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를 통해 작가 단말(110)에게 공개 키 및 공개 키가 발행된다. 공개 키는 블록체인 플랫폼(예컨대, 거래소)의 출처임을 확인시켜주는 특정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는 발신자에 대해서만 생성된다.
블록체인 계좌 정보는 비밀 키(private key)와 공개 키(public ke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에 참여한 작가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등록된 블록체인 계좌 정보를 가질 수도 있다.
비밀 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 내 모든 작가에게 공급되어 시스템 내의 모든 사람이 고유한 작가를 정확하게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비밀 키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서 트랜잭션(예: 제1 사 용자 계좌로부터 제2 작가 계좌로 '디지털 지급수단'이 이체되도록 하는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배포하는 트랜잭션,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시키는 트랙잭션 등)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작가의 디지털 서명으로 기능할 수 있다. 공개 키는 작가의 계좌 주소(account address, 이하, '계좌')로 기능할 수 있다.
NFT를 저장할 수 있는 지갑은 개인 키를 사용하여 동작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지갑은 사람이 인식할 수 있는 (human-readable) 문자열 또는 숫자열을 포함할 수 있다.
각 NFT에는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증명하고, 작가가 본질적으로 디지털 영수증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한 특정 블록 그룹을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자산은 전시 이력의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술한 예시에 기재된 '디지털 지급수단'은 암호화폐(crypto currency)를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 내에서 분산형 시스템 방식으로 기록되는 지급수단이며, 디지털 토큰(digital token, 이하 '토큰')을 포함하는 개념의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본 문서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암호화폐'와 '토큰'을 아래와 같이 구분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암호화폐는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20)가 탄생하는 순간부터 데이터 기록 및 신뢰 유지의 보상 수단으로 사용되는 지급수단을 지칭하며, 이러한 의미로 암호화폐를 지칭하는 경우에는 네이티브 암호화폐라는 명칭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문서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암호화폐'라는 용어가 반드시 '네이티브 암호화폐'의 개념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토큰'의 개념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토큰은 하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한 디지털 교환수단으로서 소정의 용도 또는 가치를 지닐 수 있다. 토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참여하는 노드가 자발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20) 내에서 분산형 시스템 방식으로 토큰의 발생, 이체, 사용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들에서, 상기 토큰은 NFT일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용어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예시로 사용할 경우, 암호화폐는 이더리움을 의미하고, 토큰은 ERC-20 규약에 따라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서 발행된 ERC-20 토큰을 의미할 수 있다.
트랜잭션은 블록체인 네트워크(20)를 이용하는 노드(예: 서비스 서버(130), 작가 단말(110))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될 수도 있다. 트랜잭션은 전시 이력과 관련된 정보, 또는 NFT/암호화폐의 이체에 관한 정보, 스마트 컨트랙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노드는 트랜잭션의 처리 결과를 블록체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상에서 발생되는 트랜잭션들은, 상기 트랜잭션들을 생성한 주체의 블록체인 계좌의 비밀 키에 의해 암호화 서명되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0)상에 위변조가 불가능한 암호학적 증명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트랜잭션이 발생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노드들은 발생한 트랜잭션의 무결성을 검증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구현된 합의 알고리즘(예: POW(Proof of Work), POS(Proof of Stake),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등)에 기초해 기 생성된 블록에 이어질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며, 새로이 생성된 블록은 다른 노드들에게 전파되면서 트랜잭션이 실행될 수 있다. 블록은 복수의 트랜잭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에 대한 정보는 노드들이 공유하는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는 복수 개의 노드들이 같은 정보를 공유하는 공공 원장(public ledger)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다양한 노드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 및 실행할 수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는 디지털 명령어로 기재된 규약으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서 규약의 조건을 따르는 이벤트가 발생 할 경우, 정해진 규약에 따라 특정 트랜잭션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처방전, 조부의 보관 동작이 보다 간편하게 수행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 예들에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20)는 이더리움(Ethereum) 네트워크 또는 기타 작업증명(POS, Proof of Stake)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노드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복수의 노드들 사이에 공유되는 블록체인 데이터에 전시 이력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기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시 이력 NFT 데이터는 스마트 컨트랙트와 함께 발행될 수도 있다. 해당 NFT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암호화폐 기반 매매 동작을 소유권 이전 동작의 수행 조건으로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130)의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의 도 2 등을 참조해 보다 상세히 서술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른,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의 상기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인증 및 거래하는 방법(이하, 이력 NFT 관리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도 1의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인증 및 거래하는 방법(이하, 이력 NFT 관리 방법)은, 작가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력 NFT 관리 방법은, 다른 작가가 전시 이력을 열람하기 위해, 단계(S100)의 NFT에 기초하여, NFT가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디지털 배지(badge)를 생성하는 단계(S200) 및/또는 단계(S100)에서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거래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력 NFT 관리 방법은, 단계(S100)에서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 NFT에 대해서, 작가가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데이터에 저장된 해당 NFT에 잠금하는 동안 추가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S4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이력 NFT 관리 방법은, NFT 랭킹을 제공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NFT 발행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작가 단말(110)을 통해 NFT 발행을 요청하는 작가는 발행 요청자로 지칭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NFT를 발행하는 단계(S100)는, 발행 요청자의 작가 단말(110)로부터 작가 자신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포함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서비스 서버(130)에서 수신하는 단계(S110), 및 서비스 서버(130)에 의해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응한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작가의 계좌 주소(또는 지갑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생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단계(S110)에서 발행 요청자의 작가 단말(110)은 작가의 전시 이력 정보를 입력받아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를 포함한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생성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4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전시 이력 정보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작가 단말(110)은 작가 입력에 따라 작가의 전시 경험/활동 이력을 서술한 전시 이력 정보를 입력받아 전시 이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작가의 전시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이력이 입력되어 전시 이력 데이터가 생성된다.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는 전시 이력 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이력 내용을 포함한다.
전시 이력 항목은 개별 전시 이력에 대응한다.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에는 아래의 표의 일부 또는 전부의 이력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No. 이력 항목 내용 비고
1 작가의 영유아 전시 과정 이력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등
2 작가의 초중고 전시 과정 이력 초, 중, 고 등
3 작가의 고등교육 전시 과정 이력 대학교, 대학원 등
4 작가의 국내외 전시 과정 이력 국내외 전시 경험
5 작가의 국내 및 해외 작가 연수 과정 이력 해당 시
6 작가의 공인 자격 이력 각종 공인 자격증
7 작가의 사설 자격 이력 각종 사설 자격증
8 작가의 콜라보레이션 활동 이력 콜라보레이션 작가들의 정보
상기 이력 내용은 다수의 내용 항목 및 내용 항목에 대한 세부 내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이력 내용은 다음의 일부 또는 전부의 내용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No. 내용 항목 세부내용 비고
1 전시회의 성격 공인전시/사설전시
2 주관기관 주관기관(문화체육관광부, 대기업 등)
3 주 전시자 여러 작가들의 협업 전시회
4 전시 기간 전시회 일자 및 기간
5 전시 횟수 4번 항목의 전시회 일자에서 해당 작가가 전시한 일자 및 횟수
6 전시된 작품 세부내용 전시된 작품 이미지, 작품 설명 등
7 결과/인증/자격 여부 작가가 보유한 인증 자격 등 정보
전시회의 성격에 따라 상기 전시 이력 정보는 국/내외 사설 전시 또는 공인 전시 이력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공인 전시 이력은, 예를 들어 국내 외 정부기관이 주관하는 전시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설 전시 이력은, 예를 들어 기업 등이 주관하는 전시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전시 이력은 각 이력 항목별 값 및 해당 이력 항목의 일자를 항목 내용으로서 포함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각 전시 이력 내 이력 항목별 내용에 대한 값은 작가가 직접 입력한 값에 따라 곧바로 지정되지 않는다. 상기 시스템(1)은 작가 단말(110)을 통해 전시 이력 내 이력 항목별 내용에 대한 값을 입력 받을 경우, 미리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하고, 인증 성공한 작가 입력에 대해서만 그 값이 전시 이력 내 이력 항목별 내용에 대한 값으로 최종 지정된다. 그 결과, 신뢰성 있는 정보만 보관되고 보호받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작가 동의를 미리 획득하고 인증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는 마이데이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시 이력 데이터는 미리 지정된 마이데이터 포맷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다. 작가의 작품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이력이 작가 동의 하에 마이데이터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는 자산 정보 및/또는 직업 이력(예컨대, 경력 사항)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작가 단말(110)은 도 4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포함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4의 화면을 통해 작가의 전시 이력 정보가 입력되면, 도 5의 전시 이력 정보를 포함한 전시 이력 데이터에 대해서 NFT가 생성되는 동작이 개시될 수도 있다(S110).
상기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은 NFT 발행 대상의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 및 해당 전시 이력 데이터의 소유권을 분할한 개수에 대응한 발행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발행량은 1개로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NFT 발급 요청에 기초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한다(S130). 서비스 서버(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미리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에 대응한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작가의 계좌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분할 개수의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는 토큰 ID와 매핑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제1 규약을 갖는 스마트 컨트랙트일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지정된 계좌에 정해진 수량의 NFT를 발행하는 제1 규약을 갖는 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규약을 갖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전파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를 전파하여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예시를 참조하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기반한 시스템(1)에서 스마트 컨트랙트는 ERC-1155 토큰 표준을 따라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규약의 발행량은 1개일 수도 있다. 즉, NFT 발급 요청 당 1개의 NFT가 발행될 수도 있다.
단계(S130)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생성된, 발행량만큼의 NFT 각각의 최초 소유자는 요청 작가로 지정된다.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에서 해당 작가의 NFT가 최초 발행되었을 경우, 최초 발행량만큼의 NFT는 작가의 계좌 주소로 곧바로 전송될 수도 있다(S130).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단계(S130)는, 발행 요청에 포함된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DB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시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메타데이터를 파일 DB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발행 요청에 포함된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DB 시스템(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전시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메타데이터를 파일 DB 시스템(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소스 정보의 전시 이력 데이터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특정 실시 예들에서, 상기 파일 DB 시스템(150)은 분산형 파일 시스템(IPFS, InterPlanetary File System)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은 작가 성명, 작가에 대한 설명, 및/또는 작가의 전자 서명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작가 단말(110)은 이들 정보를 입력받도록 더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작가 단말(110)은 파일 업로드를 통해 이들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130)는 발행량만큼의 NFT를 생성할 때, 발행 요청에 포함된 전시 이력 데이터는 파일 DB 시스템(15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에 대한 해시 값을 산출한 후 상기 작가의 성명, 작가에 대한 설명, 작가의 계좌 주소, 작가의 전자 서명, 상기 해시 값 및/또는 파일 DB 시스템(150)에 저장된 전시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 가능한 경로 데이터를 포함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파일 DB 시스템(15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전시 이력 데이터 및 해당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전시 이력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전시 이력에 대한 메타데이터는 해당 작가의 경로 데이터(예컨대, URL, 기타경로 주소)를 포함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작가의 NFT가 판매되어 상기 작가가 소유하는 NFT가 0개가 되는 경우에도, 전시 이력 데이터를 입력/등록한 사람은 이 작가라는 사실은 판매된 NFT에 연관된 메타데이터에 지속적으로 저장되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은 전시 이력 데이터와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DB 시스템(150)에 저장하고 상기 메타데이터에 액세스 가능한 경로 데이터와 NFT의 토큰 ID를 서로 연관시켜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저장하는 저장 구조를 가짐으로써, 전시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의 저장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시 이력 데이터 또는 메타데이터에 보다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나아가, 토큰 ID와 메타데이터의 연결 관계가 명확하게 보장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파일 DB 시스템(150)에 저장된 메타데이터의 내용이 변경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생성된, 전시 이력 NFT와 소스 데이터(즉, 전시 이력 데이터) 사이의 연결이 단절,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서비스 서버(13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추가로 저장할 수도 있다(S130).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13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전시 이력 데이터에 대한 경로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추가로 저장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전시 이력 NFT와 소스 데이터(전시 이력 데이터) 사이의 연결이 보다 강화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단계(S100)는, NFT가 이미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포함한,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50); 및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S150, S170)의 동작은 단계(S110, S130)의 동작과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서술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작가의 전시 이력에는 전혀 새로운 전시 이력 항목이 추가되거나, 또는 동일한 전시 이력 항목의 내용 값이 달라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작가의 전시 이력 역시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시 이력을 업데이트하고 NFT를 발행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4와 유사하게, 작가 단말(110)은 업데이트할 전시 이력 및 해당 내용을 포함한 업데이트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업데이트할 전시 이력은 새로운 전시 이력 항목 또는 기존의 전시 이력 항목일 수도 있다(S150). 상기 작가 단말(110)은 도 6의 화면을 통해 입력된 업데이트 정보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기 위한 요청을 생성할 수도 있다(S150).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은 업데이트 데이터, 상기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데이터의 소유권을 분할한 개수에 대응한 발행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발행량은 단계(S110)의 업데이트 이전의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에 포함된 발행량에 매칭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업데이트 데이터를 포함한,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한다(S170).
상기 단계(S170)는, NFT에 대한 발행 요청에 포함된 업데이트 데이터(즉, 업데이트 전시 이력 항목, 내용)에 기초하여 단계(S110)에서 미리 획득하고 저장한 작가의 기존 전시 이력을 업데이트한다(S170). 일부 실시 예들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파일 DB 시스템(150)에 저장된 기존 전시 이력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S170).
예를 들어, 도 4의 화면을 통해 입력되어 이미 저장된 전시 이력 국내-사설전시-청년 아트갤러리에 대한 내용에 추가하여, 각각 국내 A 전시회 전시이력 및 작품, 해외 B 전시회 전시이력 및 작품, 국내 C 전시회 전시이력 및 작품 등을 포함하도록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동일한 전시 이력 항목에 대한 업데이트는 기존 값을 유지하면서 업데이트 값을 추가하거나, 또는 기존 값을 업데이트 값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의 업데이트(S170)는 단계(S130)의 NFT 발행을 위한 저장 동작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NFT 발급 요청에 기초하여 작가의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한다(S170).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는 단계(S130)에서 발행된, 업데이트 이전의 전시 이력 NFT와 보증 대상이 다른 새로운 NFT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서비스 서버(1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미리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데이터에 대응한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작가의 계좌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분할 개수의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데이터는 단계(S170)의 새로운 토큰 ID와 매핑된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제2 규약을 갖는 스마트 컨트랙트일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지정된 계좌에 정해진 수량의 NFT를 발행하는 제2 규약을 갖는 스마트 컨트랙트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규약을 갖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전파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전파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스마트 컨트랙트는 제1 스마트 컨트랙트와 함께 배포되거나, 제1 스마트 컨트랙트가 배포된 이후에 추가로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배포될 수도 있다.
제2 규약에서 미리 지정된 계좌는 제1 규약에 따라 발행된 단계(S130)의 NFT를 소유한 계좌 주소일 수도 있다. 아래에서 서술할 것처럼, 발행 요청한 작가의 계좌에서 다른 작가의 계좌로 NFT가 전송되었을 경우, 상기 다른 작가의 계좌 주소로 단계(S170)의 NFT가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규약은 지정된 계좌에 이미 보유된 NFT(즉, 단계(S130)의 업데이트 이전의 전시 이력 NFT)를 시스템에서 제거하는 트랜잭션을 발생하는 규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NFT를 제거하는 트랜잭션은 미리 지정된 소각 주소로 소각될 대상 NFT를 전송하는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2 규약의 "u행량은, 제1 규약과 마찬가지로 1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작가의 전시 이력은 인증 절차를 거친 뒤 NFT로 시스템 상에서 관리되는 바, 해당 작가의 주요 자격 이력을 포함한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전시 이력 열람
상기 시스템(1)에서 NFT에 대한 발행 요청자를 제외한 다른 작가(예컨대, 제3자)는 디지털 배지 또는 NFT 거래를 통해 상기 작가의 인증된 전시 이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람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200)에서 단계(S100)의 NFT에 기초하여, NFT가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디지털 배지(badge)가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배지는 해당 작가의 전시 이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디지털로 표현한 이미지 데이터일 수도 있다. 상기 디지털 배지는 이미지 기반 데이터이므로, 텍스트 기반의 전시 이력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시성과 인식에 보다 효과적이다.
상기 이미지 형식의 디지털 배지는 전시 이력의 일부 또는 전부, 및/또는 이를 요약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1)은 작가에 대해서, 이미 NFT 발행으로 인증된 자신의 주요 전시이력, 연수 이력, 자격증 이력 등을 포함한 디지털 배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시스템(1)은 작가에 대해서, 현재 검증된 전시 활동 내역 정보만을 포함한 디지털 배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이미지 형식의 디지털 배지를 미리 지정된 웹 페이지 상에 업로드할 수도 있다. 그러면, 소셜 네트워크(10)를 통해 해당 웹 페이지에 액세스한 발행 요청자의 단말(110) 또는 다른 작가의 단말(110)에서 표시할 수도 있다(S200). 뷰어의 작가 단말(110)이 웹 상에서 배지를 클릭하면, 클릭된 배지에 대한 전시 이력의 세부 정보가 추가로 표시하게 하는 동작이 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형식의 디지털 배지는 상기 디지털 배지의 전시 이력에 대해 단계(S100)에서 발행된 NFT를 구매하지 않은 작가도 액세스 가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웹 페이지에 액세스한, 해당 NFT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매한 작가 또는 구매하지 않은 작가의 작가 단말110 모두에서 상기 디지털 배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1)은 NFT가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한해서 디지털 배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해당 배지는 모두 인증 받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에 기반하며, 전시 이력 등이 거짓으로 공유되거나 부풀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결국 웹을 통해 노출되는 정보의 신뢰성이 유지된다.
상기 디지털 배지는 웹 상을 통해 제공되므로, 웹 기반 각종 전시활동을 위한 서비스의 사이트를 통해 작가의 전시 이력을 노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종 전시활동을 돕는 서비스의 웹 사이트가 단계(S200)의 디지털 배지를 포함할 경우, 상기 웹 사이트에서 작가의 프로필을 조회하면 해당 작가의 전시 이력, 주요 자격 이력이 배지 형태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작가의 프로필을 조회하면 해당 학생의 전시 이력, 수상 이력이 배지 형태로 노출되거나, 디지털 배지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가상공간에 전시된 작가의 작품을 감상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3자는 NFT 구매 이전에 디지털 배지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시 이력을 열람할 수 있어, 상기 이미지 형식의 디지털 배지는 구매를 통한 상세한 열람을 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한다.
상기 단계(S300)에서,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은 단계(S100)에서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거래하여 열람 권한을 발행 요청자 이외의 다른 작가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NFT의 거래는 암호화폐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은 거래소 서버(1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NFT의 거래는 거래소 서버(140)를 통해 해당 거래소가 허용하는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거래하는 단계(S300)는, 서비스 서버(130)에서 작가 단말(110)로부터 전시 이력 NFT 상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발행량만큼의 NFT에 대한 자유로운 거래를 위해 해당 NFT를 거래소 서버(140)에 상장(going public)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거래소 서버(140)는 서비스 서버(130)의 운영자에 의해 운영될 수도 있다.
단계(S300)의 작가 단말(110)은 단계(S110)의 NFT에 대한 발행 요청자의 작가 단말(110)일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작가 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장 요청에 반응하여 이미 발행된 NFT를 거래소 서버(140)에 상장할 수도 있다.
상기 NFT가 거래소 서버(140)에 상장될 경우, 거래소 서버(140)는 하나 이상의 NFT를 소유하고 있는 작가 단말(110)로부터 해당 NFT에 대한 판매 가격을 수신하거나 판매 가격과 매도 개수의 조합을 수신할 수도 있다. NFT가 1개 발행될 경우, 거래소 서버(140)는 매도 개수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또한, 거래소 서버(140)는 하나 이상의 작가의 작가 단말(110)로부터 해당 NFT에 대한 구매 가격을 수신하거나 구매 가격 및 매수 개수의 조합을 수신할 수도 있다.
거래소 서버(140)는, 동일한 NFT에 대해서 판매 가격과 구매 가격이 매칭할 경우, 일치한 판매 가격을 전송한 작가 단말(110)의 작가를 매도자로 결정하고, 매칭하는 구매 가격을 전송한 작가 단말(110)의 작가를 구매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매도 개수 및 매수 개수 중 작거나 같은 개수가 거래 개수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거래소 서버(140)도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연동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20)의 노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그러면, 거래소 서버(140)는 거래 개수에 판매 가격을 곱한 거래 금액에 대응한 암호화폐(들)를 상기 구매자의 계좌 주소로부터 상기 판매자의 계좌 주소로 전송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20) 상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사용하여 체결량 만큼의 전시 이력 NFT를 판매자의 계좌 주소로부터 구매자의 계좌 주소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는 작가가 미리 지정된 계좌(예컨대, 소유자 계좌)로 거래 금액에 대응한 암호화폐를 이체할 경우, 거래 금액에 대응한 전시 이력 NFT를 이체자(즉, 구매자)의 계좌 주소로 이체시키는 이체 트랜잭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소 서버(140)가 제공하는 중개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작가 명칭, 현재 판매 가격 또는 최근 거래 가격, 최근 체결량을 중개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거래소 서버(140)는 체결량만큼의 NFT의 소유권이 상기 판매자의 계좌 주소에서 구매자의 계좌 주소로 변경된 트랜잭션 이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거래소 서버(140)는 암호화폐의 전송에 따른 체결량 만큼의 전시 이력 NFT의 소유권 이전의 트랜잭션, 및 변경된 이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20)에 저장하는 트랜잭션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거래소 서버(140)는 ERC-1155 토큰 표준에 따라 구현 가능한 트랜스퍼싱글 이벤트 또는 트랜스퍼배치 이벤트를 사용하여 상기 소유권 이전의 트랜잭션 및 저장 트랜잭션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거래소 서버(140)는 판매자 정보, 구매자 정보, 판매 가격, 체결량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서비스 서버(130)에 공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소유권 이전의 트랜잭션 및 저장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시스템(1)에서 거래소 서버(140)가 판매자, 구매자를 결정하는 동작을 주로 수행하고, 실제 블록체인 데이터의 소유권 이전은 서비스 서버(130)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1)에서 특정 작가(예컨대, 판매자)의 NFT 중 적어도 하나를 구매한 구매자는 자신의 작가 단말(110)을 통해 구매한 NFT의 전시 이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열람할 수도 있다. NFT는 소스 데이터로서 전시 이력에 액세스하기 위한 경로 데이터를 포함하므로, 열람 권한으로 취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유한 작가 또는 다른 작가의 작가 단말만이 상기 전시 이력 NFT에 대응한 전시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 가능하다.
구매자의 작가 단말(110)은 서비스 서버(130)에 미리 저장된 전시 이력 데이터의 열람 요청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열람 요청은 해당 전시 이력 NFT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열람 요청은 열람 범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상기 NFT에 포함된 경로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일 DB 시스템(150)에 이미 저장된 전시 이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요청한 작가 단말(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에서는 작가는 자신이 열람하고 싶은 작가의 전시 이력을 NFT로 구매할 경우 가상공간에서 해당 작가가 진행한 전시회의 작품을 전시회 별로 가상공간에서 열람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작가가 과거에 어떤 작품 활동을 진행하였고 이력을 가지고 있는 지를 가상공간 상에서 열람할 수 있게 되며, 작가도 열람을 위한 NFT 구매를 위해 생긴 수익을 쉐어하여 추후 작품 활동에 도움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단계(S300) 이후, 상기 NFT의 거래 및 소유에 대해서는 소유권 이전 트랜잭션 및/또는 저장 트랜잭션 시에 거래 수수료가 발생할 경우, 상기 거래 수수료에 기초하여 노출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거래 수수료는 거래 금액에 대해 미리 지정된 비율일 수도 있다.
상기 거래 수수료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연관된 NFT를 통해 자신의 전시 이력을 노출한 당사자에게 금전적인 보상으로서 노출 보상을 지급할 수도 있다. 상기 노출 보상은 암호화폐로 지급될 수도 있다.
특정 작품 분야의 유명한 작가와 같이, NFT가 발행된 작가의 인기가 많을수록 인기있는 작가의 전시 이력을 열람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할 것이다. 열람 수요의 증가는 해당 NFT의 가격 상승을 야기한다. 거래 수수료가 거래 금액에 대한 비율일 경우, 자신의 전시 이력을 노출한 당사자에게 지급되는 거래 회수당 금전적인 보상의 금액 역시 증가한다.
동일한 대상에 대해 NFT의 거래회수는 인기의 척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유명인의 NFT를 구매한 작가 역시 유명인의 인기가 증가할수록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인기가 올라갈수록 NFT의 다음 판매 가격이 증가하기 때문에, 자신의 구매가격과 판매 가격 사이의 차액을 수익으로 얻을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은 오프라인 행사와 연관될 수도 있다. 유명한 작가의 오프라인 행사가 있을 경우, 상기 오프라인 행사에 대한 우선 참가 권한이 상기 유명한 작가의 전시 이력 NFT의 소유권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는 작가(예컨대, 구매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서비스 서버(130)는 오프라인 행사를 주최하는 웹 사이트에 행사 유명인의 전시 이력 NFT의 소유권을 갖는 작가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작가의 정보는 NFT 소유권을 갖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작가의 정보의 제공은 해당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 요청을 수신한 것에 반응하여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110)는, 작가의 특정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여러 번 수신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면, 동일한 전시 이력 데이터에 연관된 일련의 NFT가 발행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30)는 작가의 제1 전시 이력 데이터에 대해서 제1-1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고(S110), 제1-1 NFT를 발행한다(S130). 이어서 서비스 서버(130)는 작가의 제1 전시 이력 데이터에 대해서 제1-2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고(S110), 제1-2 NFT를 발행할 수도 있다(S130). 마치 동일한 사람이 동일한 내용의 다수 이력서를 작성하는 것처럼, 동일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일련의 NFT를 발행할 수도 있다. 만약 발행량이 각각 1개로 지정될 경우, 이들 NFT를 소유한 작가는 각각의 NFT의 지분100%를 각각 소유하게 된다.
그러면, 최초 생성된 제1-1 내지 제1-n NFT는 모두 발행 요청자의 계좌 주소에 저장되었다가, 단계(S300)의 거래에 의해 다수의 작가에게 판매될 수도 있다.
동일한 대상에 대해 많은 NFT가 발행되는 것은 인기의 척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NFT를 발행하는 단계(S130)는, 미리 지정된 수량의 암호화폐를 발행 수수료로서 서비스 서버(130)에서 미리 지정한 계좌 주소로 전송한 것을 만족한 경우에 수행될 수도 있다. NFT 발행을 희망하는 작가는 소정의 금액을 암호화폐로 지불해야 할 수도 있다. 상기 암호화폐는 거래소 서버(140)에서 허용하는 암호화폐일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특정 전시 이력에 대한 일련의 NFT가 발행될 경우, 보다 후순위의 NFT를 발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발행 수수료의 금액이 점차 증가하도록 지정될 수도 있다. 상기 예시에서, 제1 전시 이력에 대한 제1-1 NFT를 발행하는데 요구되는 발행 수수료가 상기 제1 전시 이력에 대한 제1-n NFT를 발행하는데 요구되는 발행되는 발행 수수료 보다 적은 금액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소규모 아파트 대비 대단지 아파트에서 보다 많은 거래량이 발생하는 것처럼, 동일한 작가에 대한 NFT를 많이 발행하면 해당 작가의 전시 이력 NFT의 거래 빈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거래 회수가 증가할수록 자신의 전시 이력을 노출한 작가에게 보다 많은 보상이 지급될 수도 있다. 상기 전시 이력을 순수하게 열람하고자 하는, 순수한 수요자가 많아져서 거래 회수가 증가하는 것은 시장 논리에 따라 자연스러운 것이다. 이러한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여 NFT를 많이 발행하는 것 역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반면, 시장의 수요 보다 훨씬 많은 수량의 NFT를 인위적으로 발행하여 NFT의 거래 빈도를 강제로 증가하려는 시도가 있을 수도 있다. 후순위 NFT를 발행하는데 보다 많은 발행 수수료가 요구될 경우, 인위적인 NFT의 발행을 억제할 수 있어, 거짓 보상이 지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연동된 블록체인 네트워크(20)가 지분증명(PoS : Proof of Stake), 평판 및 투표에 의해 일종의 국회를 구성하는 방식인 위임지분방식(DPoS : Delegated Proof of Stake)과 같은 지분증명 기반 합의 알고리즘으로 구성된 경우, 상기 이력 NFT 관리 방법은, 단계(S100)에서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 NFT에 대해서, 다른 작가가 네트워크의 네이티브 암호화폐를 블록체인 데이터에 저장된 해당 NFT에 잠금하는 동안 추가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 보상을 위한 암호화폐 잠금 동작은 스태이킹 동작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상기 추가 보상을 위한 암호화폐 잠금 동작은, 다양한 잠금 매커니즘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대상 NFT에 대해 네이티브 암호화폐를 잠금한 작가는 해제 스크립트 등을 통해 잠금 해제될 때까지 추가 보상을 지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단계(S400)는, 작가 단말(110)에 의해, 자신의 전시 이력 NFT를 스테이킹 상품으로 등록할 것을 희망하는 상품 등록 요청을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품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해당 전시 이력 NFT를 스테이킹 상품으로 등록하는 단계; 및 작가 단말(110)에 표시되도록 등록된 예치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상품 등록 요청은 NFT의 명칭, 최소 스테이킹 금액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시 이력 NFT에 대해서 스테이킹하기 위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은 작가 단말(110)에서 스테이킹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최소 스테이킹 금액은 네이티브 암호화폐(예컨대, 도 8의 뉴다이브 코인(DiveN))로 설정될 수도 있다.
도 8의 화면을 통해 스테이킹 상품으로 등록된 NFT에 대해 암호화폐를 잠금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S400)는, 작가 단말(110)로부터 스테이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스테이킹 요청에 기초하여 NFT에 대해 암호화폐를 잠금하는 단계; 및 잠금된 작가의 계좌 주소로 추가 보상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작가 단말(110)이 도 8의 입금 버튼을 선택할 경우, 스테이킹 요청이 생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테이킹 요청은 스테이킹 대상 NFT, 및 스테이킹 금액을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30)는 스테이킹 금액이 최소 스테이킹 금액 이상인 경우 상기 스테이킹 대상 NFT에 대해 스테이킹 금액을 잠금할 수도 있다. 도 8의 입금 버튼을 통해 스테이킹 금액을 입금한 다른 작가는 스테이킹 상품의 NFT의 거래 및 가격 등락에 관계 없이 스테이킹 금액에 따라서 스테이킹 기간 동안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지분증명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20)와 연동된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에서 해당 NFT에 대한 트랜잭션 검증 동작은 상기 NFT에 암호화폐를 잠금한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한 노드는 다른 작가 단말(1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해 일정 금액을 잠금하여 네트워크의 전체 트랜잭션에 대해 예측 불가능한 검증 부담을 가졌던 기존의 지분증명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20)와 달리,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에서 NFT에 대해 스테이킹한 작가는 자신의 노드(예컨대, 작가 단말(110))의 검증 동작이 처리해야 할 NFT 범위를 사전에 보다 쉽게 확인하고 검증자로 참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테이킹 동작을 통해, 해당 작가 또는 그의 전시 이력이 얼마나 가치 있고 사람들이 이를 선호하는지에 대한 인기도와 희소성을 보다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력 NFT 관리 방법은, NFT 랭킹을 제공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상기 NFT 랭킹은 단계(S400)의 스테이킹 요청에 기초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NFT 랭킹은 스테이킹 측면의 인기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FT 랭킹을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화면은, 일정 기간 내에 랭킹 변화가 가장 급격한 수준에 기초한 제1 유형의 NFT 랭킹 및/또는 일정 기간을 통틀어서 스테이킹 요청의 수에 기초한 제2 유형의 NFT 랭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유형의 NFT 랭킹은 가장 급격한 인기가 있는 경우 보다 높은 순위의 랭킹이 부여된다.
제2 유형의 NFT 랭킹은 전체 기간 동안 인기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순위의 랭킹이 부여된다.
상기 일정 기간은 도 9에 도시된 처럼 30일(days)일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타 시(hour)/일/월 단위의 기간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인 실시 예들에서, 상기 NFT가 가리키는 소스 데이터는 다른 이력 데이터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력 NFT 관리 시스템(1)은 예술품 경매 분야의 이력 예컨대, 작가의 작품이 매매된 이력, 기타 평론가들이 작품을 평가한 이력 데이터일 수도 있다.
상기 시스템(1)이 본 명세서에 서술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장치, 디스플레이 및/또는 인쇄와 같은 출력장치, 네트워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출원의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본 출원의 구성요소에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의 실시 예들에 따른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구성되는 프로그램 제품과 함께 구현되고, 이는 기술된 임의의 또는 모든 단계, 동작, 또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 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동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가 단말로부터 수신한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는,
    발행 요청자의 작가 단말로부터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응한 고유한 토큰 ID를 갖고 상기 작가의 계좌 주소를 소유자 주소로 갖는,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은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시 이력 데이터는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항목 및 해당 이력 항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상기 전시 이력 항목은 작가의 영유아 작품 제작 이력, 작가의 초중고 작품 제작 이력, 작가의 대학교 작품 제작 이력, 작가의 국내외 전시를 통한 작품 제작 이력, 작가의 국내 및 해외 연수 과정 이력, 작가의 공인 자격 이력, 작가의 사설 자격 이력 및 작가의 콜라보레이션 활동 이력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하는 단계는,
    발행 요청에 포함된 작가의 전시 이력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외부에 존재하는 파일 DB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시 이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한 후, 상기 메타데이터를 파일 DB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파일 DB 시스템에 저장된 전시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 가능한 경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는,
    NFT가 이미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업데이트 데이터를 포함한,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전시 이력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다른 작가가 상기 작가의 인증된 전시 이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람하기 위해, 발행된 전시 이력 NFT에 기초하여, NFT가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디지털 배지(badge)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배지는 해당 작가의 전시 이력의 일부를 디지털로 표현한 이미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FT에 대응한 디지털 배지는 웹 페이지에 업로드되며,
    상기 웹 페이지에 액세스한, 해당 NFT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매한 작가 또는 구매하지 않은 작가의 작가 단말에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는 거래소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다른 작가가 상기 작가의 인증된 전시 이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람하기 위해,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거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유한 단말만이 상기 전시 이력 NFT에 대응한 전시 이력 데이터에 액세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작가의 특정 전시 이력 NFT에 대한 발행 요청을 여러 번 수신하는 것이고,
    상기 작가의 전시 이력 NFT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생성하는 단계는,
    일련의 작가의 특정 전시 이력 NFT를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일련의 작가의 특정 전시 이력 NFT는 최초 발행 시 발행 요청자인 작가의 계좌 주소에 지분 100%로 각각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NFT를 발행하는 단계는,
    발행 수수료로서 미리 지정된 수량의 암호화폐를 미리 지정한 계좌 주소로 전송한 것을 만족한 경우에 수행되며,
    특정 전시 이력에 대한 일련의 NFT가 발행될 경우, 보다 후순위의 NFT를 발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발행 수수료의 금액이 점차 증가하도록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행된 전시 이력 NFT에 기초하여, NFT가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가상공간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상공간은 NFT가 발행된 작가의 전시 이력에 대한 가상공간으로서, 상기 발행된 NFT의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작품 이미지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0128837A 2022-10-07 2022-10-07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 KR20240048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837A KR20240048940A (ko) 2022-10-07 2022-10-07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837A KR20240048940A (ko) 2022-10-07 2022-10-07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940A true KR20240048940A (ko) 2024-04-16

Family

ID=9088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837A KR20240048940A (ko) 2022-10-07 2022-10-07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9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095A (ko) 2019-09-16 2021-12-01 장현주 중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활동 인증방법 및 그 학교생활기록부db의 인증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5095A (ko) 2019-09-16 2021-12-01 장현주 중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활동 인증방법 및 그 학교생활기록부db의 인증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iiche A study of blockchain oracles
Rashideh Blockchain technology framework: Current and future perspectives for the tourism industry
Swan Blockchain for business: Next-generation enterpris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TWI822653B (zh) 以令牌化來進行以區塊鏈為基礎的匯兌
US202103905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uilding blockchains for verifying assets for smart contracts
Pärssinen et al. Is blockchain ready to revolutionize online advertising?
US20190340607A1 (en) System for central authority-permissioned transfer of blockchain tokens
EP3574464B1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JP2021524956A (ja) ブロックチェーン確率的タイマー・トランザクション同期化
Vos Blockchain-based land registry: Panacea, illusion or something in between
JP2022550223A (ja) 分散データレコード
Schueffel et al. The Crypto Encyclopedia: Coins, tokens and digital assets from A to Z
US20220311611A1 (en) Reputation profile propagation on blockchain networks
WO2019162753A1 (en) Asset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Xu et al. An efficient supply chain architecture based on blockchain for high-value commodities
Garg Ethereum based smart contracts for trade and finance
Dash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for blockchain-based intelligent networks systems: Concepts, methodologies, tools, and applications
Khairi et al.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zakat collection blockchain system
Khudnev Blockchain: foundational technology to change the world
Girasa Technology Underlying Cryptocurrencies and Types of Cryptocurrencies
Kaur et al. Introduction to Smart Contracts and DeFi
KR20240048940A (ko) Nft를 이용하여 작가의 전시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방법
KR20240048941A (ko) Nft를 이용하여 물리 공간에 전시를 진행하는 방법
Goundar et al. A literature review in support of blockchain technologies
KR20230166762A (ko) Nft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교육 이력을 신뢰성 있게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