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706A -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706A
KR20240048706A KR1020220128358A KR20220128358A KR20240048706A KR 20240048706 A KR20240048706 A KR 20240048706A KR 1020220128358 A KR1020220128358 A KR 1020220128358A KR 20220128358 A KR20220128358 A KR 20220128358A KR 20240048706 A KR20240048706 A KR 2024004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section
coil
width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비이
오수경
최용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706A/en
Priority to PCT/KR2023/015404 priority patent/WO2024076195A1/en
Publication of KR2024004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706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켜 코일 분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랜스포머는 내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공간이 형성되는 보빈; 및 다수의 권선 공간에 적층되며 권선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보빈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외경 바향으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권선 공간을 다수의 권선 공간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section)을 구비하며, 섹션을 이용하여 권선 공간을 분리하여 코일 권선을 이격시켜 기생 커패시턴스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고, 섹션을 이용하여 권선을 이격시킴으로써 결선부에서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절연 안정성이 증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that can maximize the coil separation effect by reducing parasitic capacitance and a power supply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The transformer has a plurality of winding spac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ular body with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inner center. bobbin; and a plurality of coils that are stacked and wound in a plurality of winding spaces, wherein the bobbin protrudes parallel to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n an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and at least one bobbin separates the winding space into a plurality of winding spaces. It is equipped with a section, and the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effectively lowered by separating the coil windings by separating the winding space using the section, and by separating the windings using the section, the contact area at the wiring can be reduced, providing insulation. Stability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 및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켜 코일 분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and a power suppl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ransformer that can maximize the coil separation effect by reducing parasitic capacitance and a power supply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가 구동하기 위해서는 구동 전원이 필요하고, 이러한 구동 전원을 전자 장치에 공급하기 위해서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 Unit: PSU)이 필수적으로 채용된다.Generally, an electronic device requires a driving power to operate, and a power supply unit (PSU) is essentially employed to supply this driving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특히, 평판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슬림화가 디스플레이 사이즈의 대형화와 함께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대형화된 디스플레이의 증가된 소비전력을 만족하면서도 두께를 줄여야 하는 과제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slimming is required in display devices such as flat TVs along with larger display sizes, there is a challenge of reducing thickness while satisfying the increased power consumption of larger displays.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다른 구성요소 대비 상대적으로 트랜스포머가 큰 부피를 차지하므로, 슬림화를 위해서는 트랜스포머 내에서 두께를 크게 차지하는 요소를 생략하거나 수량 조절 방안이 고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a power supply device, the transformer occupies a relatively large volume compared to other components, so for slimming, it is common to omit elements that occupy a large thickness within the transformer or consider adjusting the quantity.

트랜스포머를 슬림화하면 권선되는 코일 사이의 간격이 줄어든다. 이에 따라 코일 사이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하게 된다.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면, 무부하 동작시 동작 주파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Slimming the transformer reduces the gap between winding coils. Accordingly, the parasitic capacitance between coils increases. As the parasitic capacitance increases, the problem of increased operating frequency during no-load operation occurs.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기생 커패시턴스가 상승하면 무부하 조건에서 출력 전압이 변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power supplies, an increase in parasitic capacitance can cause output voltage fluctuations under no-load conditions.

본 발명은 기생 커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ormer capable of reducing parasitic capacitance and a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권선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ormer capable of effectively separating windings and a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공간이 형성되는 보빈; 및 상기 다수의 권선 공간에 적층되며 권선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권선 공간을 다수의 권선 공간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section)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purpose includes a bobbin having a plurality of winding spac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tubular body with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inner center; and a plurality of coils that are stacked and wound in the plurality of winding spaces, wherein the bobbin protrudes from the body in parallel to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at least one that separates the winding space into a plurality of winding spaces.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동일한 크기의 다수의 권선 공간을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may be multiple winding spaces of the same siz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섹션은 권선 공간을 하부 권선 공간과 상부 권선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tion may separate the winding space into a lower winding space and an upper winding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섹션은 권선 공간을 동일한 폭을 갖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권선 공간으로 분리하는 복수의 섹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ctions that separate the winding space into at least three or more winding spaces having the same width.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관통공은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의 폭은 관통공의 가까이 마주하는 내주면 사이의 폭과 동일하거나 좁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may be the same or narrow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facing each other closely of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의 폭은 관통공의 가까이 마주하는 내주면 사이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may be wider than the width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facing each other closely of the through ho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다수의 코일은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고, 1차 코일 및 2차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절연 코일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coils include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and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may be a multiple insulated coil.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다수의 코일의 일부분은 섹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권선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ils may be woun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섹션은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tion may have a thicknes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섹션은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의 두께의 0.4 내지 0.7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tion may have a thickness of 0.4 to 0.7 times the thickness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섹션의 폭은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의 폭의 0.2 내지 0.4배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section may be 0.2 to 0.4 times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섹션의 폭은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의 폭의 0.6 내지 0.8배일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section may be 0.6 to 0.8 times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섹션은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ection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upper and lower flang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있어서, 코일의 권선 폭은 섹션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ding width of the coil may be narrower than the section width.

본 발명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내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 외주면에 다수의 권선 공간이 형성되는 보빈과 상기 다수의 권선 공간에 적층되면 권선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상기 권선 공간을 다수의 권선 공간으로 분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섹션(section)을 구비하는 트랜스포머; 및 트랜스포머가 실장되는 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bbin in which a plurality of winding space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 tubular body with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inner center, and a plurality of coils that are wound when stacked in the plurality of winding spaces, the bobbin a transformer having at least one section that protrudes from the body in parallel to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dividing the winding space into a plurality of winding spaces; and a board on which the transformer is mounted.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장치는 슬림화에 따라 권선 간의 분리 효과를 증가시켜 권선 간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can increase the separation effect between windings as they are slimmed,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parasitic capacitance occurring between wind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보빈의 실시 예이다.
도 3a는 일반적 트랜스포머의 단면도이다.
도 3b 내지 도 3d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적용 여부에 기생 트랜스포머의 감소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b 내지 도 3d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보빈의 실시 예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가 실장된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bobbin of Figure 1.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transformer.
3B to 3D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decrease in parasitic transformers depending on whe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or not.
Figures 5A to 5C are front views of Figures 3B to 3D.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mbodiment of the bobbin of Figure 6.
Figures 8A to 8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in Figure 6.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device equipped with a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included in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개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s”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a disclos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and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indicat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한편, 어떤 실시 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 블록 내에 명기된 기능 또는 동작이 흐름도에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두 블록이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관련된 기능 또는 동작에 따라서는 상기 블록들이 거꾸로 수행될 수도 있다.Meanwhile, if an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functions or operations specified within a specific block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order specified in the flowchart. For example, two consecutive blocks may actuall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blocks may be performed in reverse depending on the functions or operations involv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ransformer and a power supply devic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아울러, 실시예와 관련된 트랜스포머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로기판에 실장됨을 고려할 때, 디스플레이 장치의 슬림화에 기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두께(수직 높이)는 회로기판의 상면으로부터 14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2mm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transformer related to the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of the display device, the thickness (vertical height) of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ibute to slimming of the display device is 14 mm or less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preferably It may be 12 mm or less, more preferably 10 mm or l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코일을 제거한 제1보빈의 실시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의 제1 보빈(10)은 섹션(13)에 의해 2개의 분할된 권선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권선 공간에 코일(20)이 적층되며 권선된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ample of the first bobbin with the coil of Figure 1 removed. As shown, the first bobbin 10 of the transformer forms two divided winding spaces by the section 13, and the coils 20 are stacked and wound in the winding spaces.

제1 보빈(10)은 내부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공(11)과,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5)의 외주면(16)으로부터 외경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확장되어 권선 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플랜지(12)와 하부 플랜지(14) 및 상기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4) 사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권선 공간을 다수의 권선 공간으로 분리하는 섹션(section)(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섹션(13)은 상기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4)에 평행하게 상기 외주면(16)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bobbin 10 extends from the through hole 11 formed at the inner cente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6 of the body portion 15, which is formed in a tube shape,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to provide a winding space. An upper flange 12 and a lower flange 14 and a section that protrudes in the first direction between the upper flange 12 and the lower flange 14 to separate the winding space into a plurality of winding spaces. )(13). At this time, the section 13 may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6 parallel to the upper flange 12 and the lower flange 14.

코일(20)은 상기 섹션(13)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리되는 상부 권선 공간(S1) 및 하부 권선 공간(S2)에 권선될 수 있다. 제1 보빈(10)에 배치되는 코일(20)은 1차 코일 또는 2차 코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때, 제1 보빈(10)의 제1 방향의 외측으로 상기 1차 코일 및 2차 코일 중 나머지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제2 보빈(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즉,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제1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이때, 1차 코일과 2차 코일간 제1 방향으로의 중첩을 통해 트랜스포머의 슬림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동시에 디스플레이에서 요구하는 리키지 인덕턴스 값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제2 보빈은 제1 보빈(10)과 유사한 형태로 섹션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il 20 may be wound in an upper winding space S1 and a lower winding space S2 that ar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the section 13. The coil 20 disposed on the first bobbin 10 may be either a primary coil or a secondary coil. In this case,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r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bbin 10 in the first direction. A second bobbin (not shown) on which the remaining one of the coils is disposed may be provided. That is,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may overlap at least partially in the first direction. At this time, the overlap between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in the first direction can contribute to slimming the transformer, and at the same time, the leakage inductance value required by the display can be additionally secured. The second bobbin may have section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bobbin 10.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4)는 권선 공간에 권선되는 코일(2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져 외부와 코일(2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upper flange 12 and the lower flange 14 serve to support the coil 20 wound in the winding space on both sides, and ar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ensure insula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coil 20. do.

본 실시 예에서 상부 플랜지(12)의 두께(t1)는 하부 플랜지(14)의 두께(t2)와 서로 동일한 두께(t1=t2)를 가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서로 다른 두께(t1≠t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섹션(13)의 두께(t3)는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4)의 두께(t1, t2)와 동일하거나 얇을 수 있다 (t1≥t3 또는 t2≥t3). 섹션(13)의 두께는 0.4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최소 두께인 0.4mm는 보빈 사출 공정의 해상력(resolution)과 권선 공정에서 발생하는 장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고려할 때 최소 0.4mm 이상의 두께로 설계 및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최대 두께인 1.0mm는 동일한 공간 안에서 섹션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코일 권선에 활용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의 유효 창면적 및 코일 단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섹션을 필요 이상의 두께로 제작하면 트랜스포머의 발열이 증가하여 코일 손실 가능성이 높아져 트랜스포머의 성능 열화로 이어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ckness t1 of the upper flange 12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t2 of the lower flange 14 (t1=t2), but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t1≠t2). there is. The thickness t3 of the section 13 may be equal to or thinner than the thicknesses t1 and t2 of the upper flange 12 and the lower flange 14 (t1 ≥ t3 or t2 ≥ t3). The thickness of section 13 may be between 0.4 mm and 1.0 mm. Considering the resolution of the bobbin injection process and the stress caused by tension generated in the winding process,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manufacture the minimum thickness of 0.4mm or more. Meanwhile, as the maximum thickness of 1.0mm increases, the effective window area and coil cross-sectional area of the transformer that can be used for coil winding decreases as the thickness of the section becomes thicker in the same space. Therefore, if the section is manufactured to a thickness that is thicker than necessary, the heat generation of the transformer increase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il loss, which may lead to deterioration of the transformer's performance.

섹션(13)의 두께(t3)는 각 플랜지(12, 14)의 두께(t1, t2)의 0.4배 내지 0.7배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각 플랜지(12, 14) 및 섹션(13)은 외경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아질 수도 있다.The thickness t3 of the section 13 may be 0.4 to 0.7 times the thickness t1 and t2 of each flange 12 and 14. The thickness of each flange 12, 14 and section 13 may become thinner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diameter.

도 3a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1)은 코어의 일부인 중족(도시하지 않음)이 삽입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관통공(11)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한다. 이는 관통공(11)에 삽입되는 코어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보빈(1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공(11)에 삽입되는 중족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관통공(11)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일(20)은 관통공(11)의 외주면을 따라 권선되는데 이러한 코일의 굴곡 및 불균일한 권선은 누설 인덕턴스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ypical transformer. As shown, the through hole 11 formed inside the bobbin body is used as a passage into which the middle leg (not shown), which is part of the core, is inserted.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through hole 1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s taken as an example. This is a configuration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The first bobb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has various shap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idfoo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through hole (11). The coil 20 is wou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 and the bending and uneven winding of the coil may result in an increase in leakage inductance.

도 3b 내지 도 3d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제1 보빈과 코일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부 플랜지(12)의 폭(W2) 및 상기 하부 플랜지(14)의 폭(W2)은 상기 관통공(11)의 서로 마주하는 두 쌍의 내주면(17)들 중 간격이 좁은 두 내주면 사이의 폭(W1)과 동일하거나 좁을 수 있다 (W1≥W2). 간격이 좁은 두 내주면 사이의 폭(W1)에 해당하는 관통공(11)에는 코어의 중족이 삽입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12)의 하부 플랜지(14)의 폭(W2)에 해당되는 공간에 코일이 권선되는 유효 창면적에 관한 것이며, 사용 환경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3B to 3D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of the first bobbin and coil of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The width W2 of the upper flange 12 and the width W2 of the lower flange 14 are the widths between two inner peripheral surfaces with narrow spacing among the two pairs of inner peripheral surfaces 17 facing each other of the through hole 11. It can be the same as (W1) or narrower (W1≥W2). The middle foot of the core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corresponding to the width W1 between the two narrow inner peripheral surfaces, and the coil is inserted into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W2 of the lower flange 14 of the upper flange 12. This relates to the effective window area of the winding, and can be designed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여기에서 플랜지의 폭(W2)은 몸체부(15)의 관통공(11) 내주면 중 간격이 좁은 두 내주면 중 어느 한 내주면으로부터 각 플랜지(12, 14)의 외주면에 이르는 수평 거리를 의미한다.Here, the width (W2) of the flange means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one of the two narrowly spaced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hrough hole 11 of the body portion 15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each flange 12 and 14.

상부 플랜지(12), 몸체부(15)의 외주면(16) 및 섹션(13)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코일(20)의 일부가 권선되는 제1 권선 공간(상부 권선 공간: S1)을 형성한다. 섹션(13), 몸체부(15)의 외주면(16) 및 하부 플랜지(1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코일(20)의 일부가 권선되는 제2 권선 공간(하부 권선 공간: S2)을 형성한다. 코일(20)은 몸체부(15)의 외주면(16)에 다양한 순서 및 형태로 배치되도록 권선될 수 있다. 즉, 1차 코일 또는 2차 코일 중 어느 하나는 제1 권선 공간(S1)에 권선된 후 제2 권선 공간(S2)에 권선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코일은 제2 권선 공간(S2)에 권선된 후 제1 권선 공간(S1)에 권선될 수 있다.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flange 12,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6 of the body 15, and the section 13 forms a first winding space (upper winding space: S1) in which a part of the coil 20 is wound. d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ection 13,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6 of the body 15, and the lower flange 14 forms a second winding space (lower winding space: S2) in which a part of the coil 20 is wound. . The coil 20 may be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6 of the body 15 to be arranged in various orders and shapes. That is, either the primary coil or the secondary coil may be wound in the first winding space (S1) and then in the second winding space (S2). If necessary, the coil may be wound in the second winding space (S2) and then in the first winding space (S1).

섹션(13)은 그 형태를 유지하여 권선간 분리를 통한 기생 커패시턴스 감소에 기여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두께 및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섹션(14)이 제1 보빈(10)의 몸체부(15)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독립적인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제1 보빈(10)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외부로부터 코일(20)을 보호하고 코일(2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Section 13 may be formed of various thicknesses and various materials as long as it maintains its shape and contributes to reducing parasitic capacitance through separation between windings.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tion 1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15 of the first bobbin 1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s formed as an independent separate member. 1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such as configuring it to be coupled to the bobbin (10).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coil 20 from the outside and ensure insulation between the coils 20.

도 3b 내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섹션(13a, 13b, 13c)의 폭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섹션의 폭은 몸체부(15)의 관통공(11) 내주면 중 간격이 좁은 두 내주면 중 어느 한 내주면으로부터에서 외경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거리를 의미한다. As shown in FIGS. 3B to 3D, the width of each section 13a, 13b, and 13c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section refers to the horizontal distance extending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one of the two narrowly space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hrough hole 11 of the body portion 15.

도 3b의 실시 예에서는 보빈(10A)에 권선되는 코일(20)은 상부 권선 공간(S1)에 권선되는 코일(21)과 하부 권선 공간(S2)에 권선되는 코일(22) 및 섹션(13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권선되는 코일(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부 권선 공간(S1) 및 하부 권선 공간(S2)에 각각 배치되는 코일(20)의 폭은 섹션(13a)의 폭보다 크므로, 일부는 분리되고 일부는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권선간 분리 효과에 의한 기생 커패시턴스의 감소는 미미하다. In the embodiment of Figure 3b, the coil 20 wound on the bobbin 10A includes a coil 21 wound in the upper winding space S1, a coil 22 wound in the lower winding space S2, and a section 13a. It may include a coil 23 woun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coil 20 disposed in the upper winding space S1 and the lower winding space S2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tion 13a, so some are separated and some are not separated. Therefore, the reduction in parasitic capacitance due to the separation effect between windings is minimal.

한편, 도 3c의 실시 예는 보빈(10B)의 각 권선 공간(S1, S2)에 권선되는 코일의 권선 폭이 섹션(13b)의 폭(W4) 보다 좁은 경우로서, 섹션(13b)의 폭(W4)이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4)의 폭(W2)에 대하여 0.3 배 내지 0.9배, 바람직하게는 0.4배 내지 0.7배의 폭의 경우, 보빈(10A)에 권선되는 코일(20) 중 상부 권선 공간(S1)에 권선되는 코일(21)과 하부 권선 공간(S2)에 권선되는 코일(22)은 서로 명확히 분리된다. 따라서, 기생 커패시턴스는 도 4에 도시한 그래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인 수준으로 개선 (평균의 감소)되고, 산포의 개선 (표준편차 감소)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래프에서 “개선 전”은 섹션의 형성 이전을 의미하고, “개선 후”는 섹션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며, 모두 5개의 샘플 트랜스포머에서 기생 커패시턴스를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입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선 후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전체적 수준으로 감소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Meanwhile, the embodiment of Figure 3c is a case where the winding width of the coil wound in each winding space (S1, S2) of the bobbin (10B) is narrower than the width (W4) of the section (13b), and the width of the section (13b) ( When W4) is 0.3 to 0.9 times, preferably 0.4 to 0.7 times the width (W2) of the upper flange 12 and lower flange 14, the coil 20 wound on the bobbin 10A ), the coil 21 wound in the upper winding space (S1) and the coil 22 wound in the lower winding space (S2) are clear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fore, as shown in the graph shown in FIG. 4, the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improved at the overall level (reduced average) and can also help improve dispersion (reduced standard deviation). In the graph, “before improvement” refers to before the section is formed, and “after improvement” refers to the case where the section is formed, and all show the parasitic capacitance measured on five sample transformers. As shown, it can be seen that the parasitic capacitance after improvement has been reduced to the overall level.

평균 개선 즉, 기생 커패시턴스의 절대값 감소의 효과는 트랜스포머 부품 기생 커패시턴스 상승에 의한 모듈의 오동작 예를 들어, 무부하 전압 레귤레이션 오류 등을 해소할 수 있다. 산포의 개선의 효과는 트랜스포머 부품 단에서 보았을 때 부품의 단가 경쟁력이 개선되어 트랜스포머 생산 업체의 양산 수율이 좋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verage, that is, reducing the absolute value of parasitic capacitance, can eliminate malfunction of the module due to an increase in parasitic capacitance of transformer components, such as no-load voltage regulation error. The effect of improving distribution can be seen as improving the unit cost competitiveness of transformer components, thereby improving the mass production yield of transformer manufacturers.

또한, 각 권선 공간(S1, S2)에 코일(20)의 각 말단 즉, 시작 지점 및 끝 지점을 분리 배치하도록 하여 절연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nsulation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separately arranging each end of the coil 20, that is,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ing point, in each winding space S1 and S2.

도 3d의 실시 예에서는 섹션(13c)의 폭(W5)이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4)의 폭(W2)의 0.9배를 초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보빈(10A)에 권선되는 코일(20) 중 상부 권선 공간(S1)에 권선되는 코일(21)과 하부 권선 공간(S2)에 권선되는 코일(22)은 서로 더욱 명확히 분리되어 기생 커패시턴스는 더욱 감소할 수 있으나, 섹션 폭의 증가에 따른 상부 권선 공간(S1)과 하부 권선 공간(S2)의 지나친 부피의 상승으로 인해 트랜스포머의 구동 시 코어 및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이 오히려 각 권선 공간에 체류되어 오히려 트랜스포머의 온도 상승이 야기되며, 코일(20)의 권선 공정에서 섹션의 꺾임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3D, the width W5 of the section 13c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0.9 times the width W2 of the upper flange 12 and the lower flange 14. At this time, among the coils 20 wound on the bobbin 10A, the coil 21 wound in the upper winding space S1 and the coil 22 wound in the lower winding space S2 are more clear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parasitic capacitance is reduced. It can be further reduced, but due to an excessive increase in the volume of the upper winding space (S1) and lower winding space (S2) due to the increase in section width,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re and coil when the transformer is driven rather stays in each winding space. This causes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transformer, and damage such as bending of the section may occur during the winding process of the coil 20.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b 내지 도 3d의 정면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은 제1 권선 공간(S1)에 권선된 후 섹션(13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권선된 후 제2 권선 공간(S2)에 권선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권선 공간(S2)에 권선된 후 섹션(13a)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권선된 후 제1 권선 공간(S1)에 권선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빈의 외주면에 1차 코일을 권선하고, 그 외곽에 2차 코일을 권선할 수 있다. 이때, 1차 코일 또는 2차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중 절연 코일일 수 있다.Figures 5A to 5C are front views of Figures 3B to 3D. As shown in FIG. 5A, the coil is wound in the first winding space (S1), then woun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tion (13a), and then wound in the second winding space (S2). As mentioned above, after being wound in the second winding space (S2), it may be woun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tion (13a) and then wound in the first winding space (S1).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the primary coil may be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secondary coil may be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il or the secondary coil may be a multi-insulated coil.

도 5b 및 도 5c에서와 같이, 섹션(13a, 13b)의 폭(W3, W4)을 플랜지(12, 14) 폭(W2)의 0.4배 내지 0.7배로 구성하거나, 섹션(13c)의 폭(W5)이 플랜지(12, 14)의 폭(W2)의 0.9배를 초과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5B and 5C, the widths W3 and W4 of the sections 13a and 13b are configured to be 0.4 to 0.7 times the width W2 of the flanges 12 and 14, or the width W5 of the sections 13c is 0.4 to 0.7 times the width W2 of the flanges 12 and 14. ) can be formed to exceed 0.9 times the width (W2) of the flanges (12, 14).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 및 코일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보빈의 실시 예이다. 부품의 높이가 높아 공간에 여유가 있고, 감아야 할 코일의 권선 수가 많은 경우,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보빈의 몸체부에 섹션을 더 추가하여 권선을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실시 예를 나타내면, 섹션을 더 추가하여 권선 공간을 더 분리할 수도 있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bbin and coil of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n example of the bobbin of Figure 6. When the height of the part is high, there is ample space, and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to be wound is large, the windings can be separated more effectively by adding more sections to the body of the bobbin,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is represents one embodiment; additional sections may be added to further separate the winding space.

도 1의 실시 예와 달리, 두 개의 섹션(13-1, 13-2)이 형성된 트랜스포머의 보빈(100B)을 나타낸다. 본 예시도에서 두 섹션(13-1, 13-2)은 권선 공간을 동일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세 개의 권선 공간(S1, S2, S3)으로 분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몸체부(15)의 외주면(16)에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각 권선 공간(S1, S2, S3)이 서로 다른 크기의 공간을 가질 수도 있다.Unlike the embodiment of FIG. 1, the bobbin 100B of the transformer is formed with two sections 13-1 and 13-2. In this illustration, the two sections (13-1, 13-2) show that the winding space is separated into three winding spaces (S1, S2, S3) with the same size, but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body part Depending on the posi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6 of (15), each winding space (S1, S2, S3) may have a space of different size.

또한, 본 예시도에서 두 개의 섹션(13-1, 13-2)이 동일한 두께 및 동일한 폭을 가진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필요에 따라 두 개의 섹션 두께 또는 폭을 서로 달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is example, the two sections 13-1 and 13-2 are shown to have the same thickness and the same width, but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thickness or width of the two sections may be different as needed. .

도 1 내지 도 2를 통해 도시한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100B)는 두 개의 섹션(13-1, 13-2)에 의해 3개의 분할된 권선 공간(S1, S2, S3)을 형성하는 제1 보빈(10)과 각 권선 공간에 적층되며 권선되는 코일(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The bobbin 100B of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bobbin (100B) forming three divided winding spaces (S1, S2, and S3) by two sections (13-1, 13-2). 10) and a coil 20 that is stacked and wound in each winding space.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섹션(13-1a, 13-2a)에 의해 분리되는 코일(20)은 각 권선 공간(S1, S2, S3)에 각각 권선된다. 이때, 각 권선 공간에 배치되는 코일(20)의 폭은 섹션(13-1a, 13-2a)의 폭보다 크므로 일부는 분리되고, 일부는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권선간 분리효과에 의한 기생 커패시턴스의 감소는 미미하다.Figures 8A to 8C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in Figure 6. As shown in FIG. 8A, the coils 20 separated by each section 13-1a and 13-2a are each wound in each winding space S1, S2, and S3. 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coil 20 disposed in each winding space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tions 13-1a and 13-2a, so some are separated and some are not separated. Therefore, the reduction in parasitic capacitance due to the separation effect between windings is minimal.

제1 실시 예에서와 유사하게 제2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B)에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0E)에 형성된 섹션(13-1b, 13-2b)의 폭(W4)은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4)의 폭(W2)에 대하여 0.3배 내지 0.9배, 바람직하게는 0.4배 내지 0.7배의 폭의 경우, 보빈(10B)의 권선 공간(S1, S2, S3)에 권선되는 코일(20)은 서로 명확히 분리될 수 있다.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transformer 100B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8B, the width W4 of the sections 13-1b and 13-2b formed on the bobbin 10E is the upper flange (12) and in the case of a width of 0.3 to 0.9 times, preferably 0.4 to 0.7 times the width (W2) of the lower flange (14), in the winding space (S1, S2, S3) of the bobbin (10B) The wound coils 20 can be clearly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10F)에 형성된 섹션(13-1c, 13-2c)의 폭(W5)은 상부 플랜지(12) 및 하부 플랜지(14)의 폭(W2)의 0.9배를 초과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빈(10B)에 권선되는 코일(20)은 서로 더욱 명확히 분리되어 기생 커패시턴스는 더욱 감소할 수 있으나, 섹션 폭의 증가에 따른 지나친 부피의 상승으로 인해 트랜스포머의 구동 시 코어 및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이 오히려 각 권선 공간에 체류되어 오히려 트랜스포머의 온도 상승이 야기되며, 코일(20)의 권선 공정에서 섹션의 꺾임 등의 손상이 발생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C, the width W5 of the sections 13-1c and 13-2c formed in the bobbin 10F is 0.9 times the width W2 of the upper flange 12 and the lower flange 14. It can be formed with a width exceeding . At this time, the coils 20 wound on the bobbin 10B are more clearly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e parasitic capacitance can be further reduced. However, due to an excessive increase in volume due to an increase in the section width, Heat stays in each winding space, causing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transformer, and damage such as bending of the section may occur during the winding process of the coil 2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트랜스포머(100A, 100B)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200)에 실장되어 전원 공급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The various types of transformers 100A and 100B as described above can be mounted on the board 200 as shown in FIG. 9 and used in a power suppl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섹션을 이용하여 권선 공간을 분리하여 코일 권선을 이격시켜 기생 커패시턴스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생 커패시턴스를 낮추어 보드에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duce parasitic capacitance by separating the winding space using sections and spacing the coil windings apart. In this way, by lowering the parasitic capacitance, malfunctions on the board can be prevented.

또한, 권선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결선부에서의 쇼트 위험성이 높아지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섹션을 이용하여 권선을 이격시킴으로써 결선부에서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절연 안정성이 증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windings is, the higher the risk of short circuit in the wiring section. However, by spacing the windings apart using section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in the wiring section can be reduced and insulation stability can be increased.

더불어, 섹션에 의해 분리된 권선 공간에 일정하게 권선을 배열하여 인덕턴스 산포 개선에 도움을 주어 불량율을 낮출 수 있다.In addition, arranging the windings consistently in the winding space separated by sections helps improve inductance distribution and lowers the defect rat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patent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A, 100B: 트랜스포머 10A ~ 10F: 보빈
11: 관통공 12: 상부 플랜지
13a, 13b, 13c: 섹션 14: 하부 플랜지
15: 몸체부 16: 외주면
20, 21, 22, 23: 코일
100A, 100B: Transformer 10A ~ 10F: Bobbin
11: Through hole 12: Upper flange
13a, 13b, 13c: Section 14: Lower flange
15: body 16: outer peripheral surface
20, 21, 22, 23: coil

Claims (11)

상부 코어 및 하부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부;
상기 코어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내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보빈; 및
상기 코어부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며, 상기 관통공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관통공의 상기 외주면 일측 말단으로부터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상부 플랜지,
상기 관통공의 상기 외주면 타측 말단으로부터 상기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경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섹션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A core portion including an upper core and a lower core;
A bobbi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inner center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core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core portion, is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includes a coil portion including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The bobbin is,
An upper flange protruding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 lower flange protruding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A transform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nd including at least one sect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섹션 사이에 형성된 상부 권선 공간 및 상기 하부 플랜지와 상기 섹션 사이에 형성된 하부 권선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상부 권선 공간 및 상기 하부 권선 공간에 배치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paragraph 1,
A transformer comprising an upper winding space formed between the upper flange and the section and a lower winding space formed between the lower flange and the section, wherein the coil unit is disposed in the upper winding space and the lower wind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은 상기 외경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are transformers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each other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은 복수인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paragraph 3,
Transformers where the above section is plur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의 폭은 상기 관통공의 서로 가까이 마주하는 내주면 사이의 폭 이하인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paragraph 3,
A transformer wherein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between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hrough hole that face each other close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의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갖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paragraph 3,
A transformer wherein the section has a thicknes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의 두께의 0.4 내지 0.7배의 두께를 갖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6,
The transformer wherein the section has a thickness of 0.4 to 0.7 times the thickness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의 폭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의 폭의 0.3 내지 0.9배인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paragraph 3,
A transformer wherein the width of the section is 0.3 to 0.9 times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섹션의 폭은 상기 상부 플랜지 및 상기 하부 플랜지의 폭의 0.4 내지 0.7배인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paragraph 3,
A transformer wherein the width of the section is 0.4 to 0.7 times the width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권선 폭은 상기 섹션의 폭보다 좁은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8,
A transformer wherein the winding width of the coil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section.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트랜스포머; 및
상기 트랜스포머가 실장되는 기판;
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A board on which the transformer is mounted;
Power supply including.
KR1020220128358A 2022-10-07 2022-10-07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KR2024004870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358A KR20240048706A (en) 2022-10-07 2022-10-07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PCT/KR2023/015404 WO2024076195A1 (en) 2022-10-07 2023-10-06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358A KR20240048706A (en) 2022-10-07 2022-10-07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706A true KR20240048706A (en) 2024-04-16

Family

ID=9088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358A KR20240048706A (en) 2022-10-07 2022-10-07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70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4152B2 (en) Transformer
US8049590B2 (en) Inverter transformer
US7724115B2 (en) Circuit carrier and transformer assembly
JP5151431B2 (en) Isolation transformer
JP5565779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30002390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133379A1 (en) Magnetic element and bobbin assembly thereof
JP4149435B2 (en) High voltage transformer
KR100724139B1 (en) Inverter transformer
KR20230038159A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090108977A1 (en) Transformer
KR20060136016A (en) Inverter transformer
US8410885B2 (en) Combined transformer
KR200386286Y1 (en) High-voltage Transformer
KR20240048706A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KR20240048707A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the same
KR20130106570A (en) Transformer and power module using the same
KR102444844B1 (en) Magnetic coupl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345564B2 (en) Transformer structure
KR100695709B1 (en) High-voltage transformer
US20140191836A1 (en) Magnetic element
WO2024076195A1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using same
KR100631124B1 (en) Inverter transformer
KR102553809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8239A (en) Transfor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