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539A -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제어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제어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539A
KR20240048539A KR1020247009299A KR20247009299A KR20240048539A KR 20240048539 A KR20240048539 A KR 20240048539A KR 1020247009299 A KR1020247009299 A KR 1020247009299A KR 20247009299 A KR20247009299 A KR 20247009299A KR 20240048539 A KR20240048539 A KR 20240048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ode
state
unit
base station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9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씬 왕
짜오화 루
용 리
이찌엔 천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4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5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13Intelligent reflective su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제어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을 개시하였으며,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 가능한 제어방법은 기지국에서 송출된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지국에 적용 가능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제어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8월 23일자로 중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제202110970661.7호의 중국 특허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모든 내용은 참조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제어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통신 과정에서, 신호 경로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통신 안정성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5G 기술에서, 밀리파(millimeter wave) 5G 통신을 이용할 경우, 전파 손실이 크고 신호 투과력이 약한 밀리파의 특성으로 인해 5G 신호가 장애물에 의해 차단되기 쉬우므로 통신 안정성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통신 과정에 장애물로 인한 통신 안정성 약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기술에서는 통신 신호 송신단의 신호 송신 전력을 높여 정보가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통과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력 증가 방식에는 일정한 결함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전력 증가는 신호 송신단의 전력 소모 증가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신호 송신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력 소모 증가로 인해 휴대폰의 전기 소모가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전력 증가로 인해 신호 송신단의 전자 소자의 마모가 더 빨라 전자 장치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킨다.
지능형 반사 표면(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IRS)은 특별히 설계된 대량의 산란 요소로 구성된 2차원 인공 재료이므로 입사 신호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할 수 있으며, 각 IRS의 산란 소자를 소프트웨어 정의 방식으로 제어함으로써 산란 소자에서 입사 신호의 반사 전자기 특성을 변경하여 신호의 투과력과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관련 기술 및 학술 연구에 의하면 네트워크 노드에 설치된 IRS가 수동 유닛으로 구성되므로 통신망은 네트워크 노드를 쉽게 식별할 수 없으며, 또한 네트워크 노드가 통신망에 접속된 후 통신망에서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IRS을 통신에 적용하면 통신망이 네트워크 노드를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 그리고 네트워크 노드가 통신망으로 어떤 콘텐츠를 피드백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상기 기술문제들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상세히 기재된 발명에 대해 개략적으로 기술한다. 이는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목적은 아니다.
본 출원은 관련된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안정성을 개선하고, 전력 소모를 줄이거나 적응력을 향상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제어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 가능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였으며, 이 제어방법은 기지국에서 송출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기지국에서 송출된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개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각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의 고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하향 제어 정보(DCI) 중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블록(block)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지국의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에서 고층 RRC를 통해 송출된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에너지 절약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power amplifier unit)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1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A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고;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2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B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지국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기지국에서 송출된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개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각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의 고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하향 제어 정보(DCI) 중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블록(block)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지국의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에서 고층 RRC 를 통해 송출된 시그널링, 예를 들면 비트맵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에너지 절약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1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A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고,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2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B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기지국에서 송출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모듈;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도록 구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에 적용되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모듈;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도록 구성된 제4 모듈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울 제공한다.
본 출원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출원을 트워크 노드에 적용한 경우, 기지국에서 송출된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여 필요에 따라 네트워크 노드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네트워크 노드가 통신망에 의해 식별되는 문제와, 통신망이 노드를 어떻게 네트워킹할 것인가, 네트워크 노드가 통신망으로 어떤 콘텐츠를 피드백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였다.
본 출원의 기타 특징 및 장점은 후속 명세서에서 기술되며, 명세서를 통해 부분적으로 자명하게 되거나 본 출원의 구현을 통해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의 목적 및 기타 장점은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에 특별히 언급된 구조에 의해 구현되고 얻어진다.
첨부 도면은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제공되며,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와 함께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을 해석하나 본 출원의 기술적 방안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장치의 동작 원리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출원의 목적, 기술적 방안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출원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 본 출원을 제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의 여러 위치에서 문구가 발견한다고 해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와 상호 배타적인 별도의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도 아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음을 명시적 및 암시적으로 모두 이해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복수(또는 다항)는 2개 이상을 의미하며, 크다, 작다, 초과하다 등은 그 수 자체를 포함하지 않고, 이상, 이하, 이내 등은 그 수 자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 "제2 " 등이 기술된 경우, 이는 기술특징을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거나 암시하고; 또는 표시된 기술특징의 수를 암시하고; 또는 표시된 기술특징의 선후관계를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통신 과정에서, 신호 경로에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통신 안정성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5G 기술에서, 밀리파(millimeter wave) 5G 통신을 이용할 경우(주파수 범위가 24.25 내지 52.6GHz), 전파 손실이 크고 신호 투과력이 약한 밀리파의 특성으로 인해 5G 신호가 장애물에 의해 차단되기 쉬우므로 통신 안정성 약화로 이어질 수 있다. 통신 과정에 장애물로 인한 통신 안정성 약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기술에서는 통신 신호 송신단의 신호 송신 전력을 높여 정보가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통과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력 증가 방식에는 일정한 결함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전력 증가는 신호 송신단의 전력 소모 증가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휴대폰을 신호 송신단으로 사용하는 경우 전력 소모 증가로 인해 휴대폰의 전기 소모가 증가하게 된다. 게다가, 전력 증가로 인해 신호 송신단의 전자 소자의 마모가 더 빨라 전자 장치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킨다.
지능형 반사 표면(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IRS)은 특별히 설계된 대량의 산란 요소로 구성된 2차원 인공 재료이므로 입사 신호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각 IRS의 산란 소자를 소프트웨어 정의 방식으로 제어함으로써 산란 소자에서 입사 신호의 반사 전자기 특성을 변경하여 신호의 투과력과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러나 관련 기술 및 학술 연구에 의하면 통신 보조용 지능형 반사 표면은 수동 유닛으로 구성되므로, IRS은 통신망에 의해 쉽게 인식될 수 없으며 통신망에 접속된 후 통신망에서 네트워크 노드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IRS을 통신에 적용하면 통신망이 네트워크 노드를 어떻게 제어할 것인가, 그리고 네트워크 노드가 통신망으로 어떤 콘텐츠를 피드백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하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S101: 기지국에서 송출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S102: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은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며, 네트워크 노드에 지능형 반사 표면(Intelligent Reflecting Surface, IRS)이 설치된다. IRS는 복수의 수동 유닛들로 구성되고, 제어 유닛을 통해 각 수동 유닛의 반사 위상 및 동작 모드를 제어하므로 수동 유닛에서 입사 신호의 반사 전자기적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IRS이 설치된 네트워크 노드는 동작 모드에 따라 입사 신호를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위상 상태마다 각각 다른 빔포밍(beamforming) 또는 프리 코드 또는 빔방향 또는 다른 전송 설정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또는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 또는 공간 도메인 관련 정보(spatialRelationInfo) 또는 SRS 자원 지시(SRS resource indicator)에 대응한다.
여기서, 동작 모드마다 각각 다른 위상, 또는 다른 빔포밍 또는 프리 코드 또는 빔방향 또는 다른 전송 설정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또는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 또는 공간 도메인 관련 정보(spatialRelationInfo) 또는 SRS 자원 지시(SRS resource indicator)에 대응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는 것은, 소프트웨어 정의 방식으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해야 할 경우, 기지국을 통해 시그널링을 전송할 필요가 있으며, 여기서 시그널링은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는 것은,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개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각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를 지시하여 신호를 임의 각도로 조정하여 이상적인 다중 경로 효과를 달성하고자 하는데 있다. 여기서, 다중 경로 효과란 전자파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파된 후, 각 자기장 성분이 수신단에 도착하는 시간이 서로 다르며, 각각의 위상에 따라 서로 겹쳐서 간섭이 발생하므로 원 신호가 변형되거나 또는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널을 통해, 필요에 따라 반사 패널의 반사 특성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중 경로 효과를 조정하므로 다중 경로 효과에 의한 신호 변형, 신호 세기 약화 등 요인들이 최저로 낮아지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기지국에서 송출된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개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각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의 고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하향 제어 정보(DCI) 중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블록(block)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기지국의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는 무선 자원 관리(RRM) 또는 무선 자원 할당(RRA)으로도 불리며, 무선 자원 제어란 일정한 정책 및 수단을 통해 무선 자원을 관리, 제어 및 스케줄링하는 것을 의미하며, 서비스 품질을 만족하는 전제하에 한정된 무선 네트워크 자원을 가능한 충분히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신호가 계획된 커버리지 영역에 도달하게 하고 서비스 용량 및 자원 이용율을 가능한 높이는 것을 가리킨다.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이란,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적재하는 시그널링을 의미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 송신 유닛 및 상기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시그널링은 무선 제어 시그널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선 자원 제어 정보를 적재하는 기타 시그널링 유형들도 본 실시예의 상기 신호 송신 유닛 및 상기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시그널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노드는 소프트웨어 정의 방식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 노드의 반사 패널의 유닛 개수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 각 유닛에 대해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제어 유닛의 로드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의 반사 패널에 대해 네트워크 노드 블록 분할하고, 네트워크 노드에 대해 영역별 관리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써 관리 부담을 줄이고, 멀티빔 커버리지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빔의 메인 로브 넓이를 증가한다. 구체적인 분할 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기지국의 고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하향 제어 정보(DCI) 중 서브 블록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블록 (block)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고; 기지국의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서브 블록의 동작 상태 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에서 고층 RRC를 통해 송출된 bitmap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관련 기술에서 능동 유닛을 포함하지 않는 IRS는 전 이중(full duplex)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능동 유닛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신호 증폭 기능을 구현할 수 없다. 본 실시예의 네트워크 노드의 IRS에는 능동 유닛을 더 포함하므로 전 이중(full duplex) 통신 및 신호 증폭 기능을 동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능동 유닛은 에너지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고, 또한 반사 패널의 전력 소모를 높이므로 반사 패널의 정상 동작에 불리하다. 따라서, 신호 송신 유닛 및 전력 증폭 유닛이 일부 특정 경우에서만 온 상태를 유지하고, 기타 경우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수동 유닛으로 퇴화되도록 신호 송신 유닛 및 전력 증폭 유닛의 On/Off 표준화 방안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에서, 능동 유닛에 대해 On/Off하는 표준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즉, 기지국에서 고층 RRC를 통해 송출된 bitmap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한다. 기지국의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능동 유닛의 On/Off을 제어하므로, 다양한 경우의 수요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수시로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본 실시예는 능동 유닛에 대해 On/Off하는 다른 일 표준화 방안을 추가 제시하였으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본 실시예는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능동 유닛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인공 조작이 필요 없이 능동 유닛의 온-오프를 전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 및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각 서브 블록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지시하여 각 서브 블록이 에너지 절약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각 서브 블록 상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이 온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본 실시예는 능동 유닛에 대해 On/Off하는 다른 일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가 상향 전송인지 아니면 하향 전송인지를 판단하여 능동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인공 조작이 필요 없이 능동 유닛의 온-오프를 전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본 실시예는 능동 유닛에 대해 On/Off하는 다른 일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즉,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은 온 상태이고,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은 오프 상태이다. 본 실시예는 접속 사용자의 존재 여부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는 접속 사용자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 수요량이 크고, 데이터 전송 속도에 대한 요구가 높으므로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ON시켜야 하며, 미리 설정된 제어 로직을 통해, 인공 조작이 필요 없이 능동 유닛의 온-오프를 전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를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으로 미리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1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A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고;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2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B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된다.
여기서, 동작 모드마다 각각 다른 위상, 또는 다른 빔포밍 또는 프리 코드 또는 빔방향 또는 다른 전송 설정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또는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 또는 공간 도메인 관련 정보(spatialRelationInfo) 또는 SRS 자원 지시(SRS resource indicator)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반사 패널의 빔반사 방향을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하며, 다양한 타임슬롯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현재 시각이 어느 타임슬롯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통해 상기 반사 패널의 빔반사 방향을 제어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제어 유닛은 현재 시각이 어느 타임슬롯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통해 상기 반사 패널의 빔반사 방향을 제어해야 하므로 제1 예정 타임슬롯 범위는 제2 예정 타임슬롯 범위와 중첩되지 말아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의 오판을 초래할 수 있다.
추가 설명할 것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널은 다양한 위치 및 영역에 설치하여 다양한 기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널을 건축물 벽면에 공중 플랫폼에 의해 갖춘 환경에 배치하면, 라디오 환경을 정보 센싱, 시뮬레이션 계산 및 무선통신에 도움이 되는 지능 공간으로 변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반사 패널을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장치에 배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반사 패널은 매크로 셀의 기지국, 스몰 셀(Small cell)의 기지국 또는 전송 노드, 고주파 통신 시스템의 전송 노드, 사물 인터넷(IoT) 시스템의 전송 노드, 위성 노드 등에 배치할 수 있으며, 단말기(UE), 휴대폰, 휴대용 장치, 자동차, 위성 노드 등의 통신 시스템의 노드에 배치하여 다양한 사용자 요구 사항을 지원할 수 있는 바, 사용자 요구 사항은 데이터 전송률 향상, 신호 커버리지 확장, 데이터 전송 및 신호 전송의 전력 소비 감소, 데이터 전송의 보안 및 안정성 향상 등을 포함한다.
추가 설명해야 할 것은, 통신 노드로도 불리는 본 출원에서 기술된 네트워크 노드는, RIS/IRS가 될 수 있으며, 또한 relay, repeater, smart repeater가 될 수 있고, UE가 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기지국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S201: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한다.
S202: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기지국에서 송출된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개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각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의 고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하향 제어 정보(DCI) 중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블록(block)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기지국의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반사 패널의 서브 블록 분할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되 증폭된 신호로부터 분할 목표 개수 정보를 추출하여 목표 개수 정보에 따라 서브 블록을 분할한다. 예를 들어, 패널 1을 2 개의 서브 블록으로, 패널 2를 하나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해야 한다면, 기지국은 시그널링을 통해 패널 1 및 패널 2를 동시 통지하되, 패널 1 및 패널 2의 각각 분할될 서브 블록의 개수는 위치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되며, 위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신호는 패널 1이 2 개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되도록 통지되고, 패널 2이 하나의 서브 블록으로 분할되도록 통지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서브 블록이 분할된 후, 제어 유닛은 서브 블록을 다시 합병할 수 있다. 서브 블록의 합병은 합병된 서브 블록 중의 수동 유닛의 개수를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널을 통해 반사된 신호의 커버리지 거리를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를 좁은 빔으로 강화해야 할 경우, 제어 유닛은 서브 블록을 합병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에서 고층 RRC를 통해 송출된 bitmap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여기서, 동작 모드마다 각각 다른 위상, 또는 다른 빔포밍 또는 프리 코드 또는 빔방향 또는 다른 전송 설정 지시(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또는 공간 도메인 전송 필터(Spatial domain transmission filter) 또는 공간 도메인 관련 정보(spatialRelationInfo) 또는 SRS 자원 지시(SRS resource indicator)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는 신호 송신 유닛 및 상기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또 다른 표준화 방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 유형이 상향 데이터 전송인지 하향 데이터 전송인지를 판단하여 신호 송신 유닛 및 상기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향 데이터 전송이란, 데이터가 터미널 노드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하고, 하향 데이터 전송이란, 데이터가 기지국에서 터미널 노드로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향 데이터 전송할 때, 터미널 노드의 신호 송신 전력은 보편적으로 낮으며, 기타 신호 및 장애물에 의해 쉽게 간섭되므로 신호 전력 및 전송 속도를 높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상향 데이터 전송할 때 상기 신호 송신 유닛 및 상기 전력 증폭 유닛을 작동시켜 상향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신호를 증폭시키고 기타 신호 및 장애물로 인한 간섭을 낮출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는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된다.
본 실시예는 신호 송신 유닛 및 상기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또 다른 표준화 방안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는 반사 패널이 데이터 전송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신호 송신 유닛 및 상기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여기서, 반사 패널이 데이터 전송 상태에 있을 경우, 터미널 또는 기지국 등의 설비가 반사 패널을 사용중임을 의미하므로 상기 신호 송신 유닛 및 상기 전력 증폭 유닛을 작동시켜 데이터 전송 과정에 신호를 증폭하고 기타 신호 및 장애물로 인한 간섭을 줄여야 한다.
선택적으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1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A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고;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2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B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된다.
본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의 빔방향을 제어하는 또 다른 방법을 제공하며, 다양한 타임슬롯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현재 시각이 어느 타임슬롯 범위에 속하지를 판단하여 상기 반사 패널의 빔반사 방향을 제어한다. 유의해야 할 것은, 제어 유닛은 현재 시각이 어느 타임슬롯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반사 패널의 빔반사 방향을 제어해야 하므로 제1 예정 타임슬롯 범위는 제2 예정 타임슬롯 범위와 겹치지 말아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의 오판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타임슬롯 범위는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량이 크고, 설비 로드가 많을 경우, 업무량에 의해 타임슬롯 범위를 설정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전송 대기 데이터의 데이터 량을 측정하되, 데이터 량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크면, 제1 예정 타임슬롯 범위를 더 크게 설정하여 대량 데이터의 전송 임무가 신속하게 끝나도록 하며; 데이터 량이 미리 설정된 한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제2 예정 타임슬롯 범위를 더 크게 설정하여 데이터 량이 작고 시간 소모가 적은 데이터 전송 임무가 적절한 시간범위 내에서 끝나도록 하고, 동시에 데이터 전송의 품질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는 데이터 전송의 우선순위에 따라 타임슬롯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전송 대기 데이터의 우선순위에 대해 측정하되, 전송 대기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높을 경우, 제1 예정 타임슬롯 범위를 더 크게 설정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전송 임무가 가능한 신속하게 끝나도록 하며; 전송 대기 데이터의 우선순위가 낮을 경우, 제2 예정 타임슬롯 범위를 더 크게 설정하여 우선순위 높은 데이터 전송 임무에게 편리한 전송 채널을 제공하며, 우선순위 높은 데이터에 대한 전송 임무가 끝난 후 우선순위가 낮은 데이터에 대한 전송 임무를 수행하여, 전송 대역폭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의 전송 임무를 우선적으로 끝내므로 중요 데이터의 전송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는 제어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기지국에서 송출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모듈;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도록 구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일 실시예는 기지국에 적용되는 제어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 모듈;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도록 구성된 제4 모듈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보조 터미널 및 기지국에 적용되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을 더 제공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반사 패널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501)와 기지국(504) 사이에 장애물(503)이 존재하며, 장애물의 상측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널(502)이 설치된다. 터미널(501)과 기지국(504)이 데이터 전송하는 과정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널(502)이 존재하지 않으면, 터미널(501)에서 송출된 데이터 전송 신호는 장애물(503)을 투과한 후 기지국(504)에 도착해야 하며, 마찬가지로 기지국(504)에서 송출된 데이터 전송 신호도 장애물(503)을 투과한 후 터미널(501)에 도착해야 한다. 그러나, 데이터 전송 신호가 장애물을 투과하는 과정에, 투과력이 약한 일부 신호(예를 들어, 5G 밀리파 신호)들은 장애물(503)을 투과하는 과정에 신호 세기 약화 및 신호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터미널(501)과 기지국(504)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불 안정하게 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패널(502)을 설치한 후, 터미널(501)에서 송출된 데이터 전송 신호는 반사 패널(502)에 의해 반사되어 기지국(504)으로 전송하며, 마찬가지로, 기지국(504)에서 송출된 데이터 전송 신호는 반사 패널(502)에 의해 반사되어 터미널(501)로 전송되므로 장애물(503)의 존재로 인해 터미널(501)과 기지국(504) 사이의 데이터 전송에 미치는 불리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 패널(502)은 일반 반사 기능을 갖는 패널과 달리, 다양한 방식으로 입사 신호를 변환하며, 또한 각 반사 패널(502) 상의 수동 소자를 소프트웨어 정의 방식으로 제어함으로써, 산란 소자에서 입사 신호의 반사 전자기 특성을 변경하여 신호가 더 강한 투과력 및 안정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반사 패널을 다양한 위치에 복수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패널(502)이 데이터 전송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반사 패널(502)의 빔반사 방향을 제어한다. 여기서, 반사 패널(502)이 데이터 전송 상태에 있을 때, 터미널(501) 또는 기지국(504)이 반사 패널(502)을 사용중임을 의미하므로 현재 상기 반사 패널(502)의 빔반사 방향을 터미널(501)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 상기 반사 패널(502)이 데이터 전송 상태에 있지 않을 경우, 반사 패널(502)을 사용하는 터미널(501) 또는 기지국(504) 등의 설비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현재 상기 반사 패널(502)의 빔반사 방향을 기타 상기 반사 패널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어하여 반사 거리를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반사 신호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다양한 타임슬롯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현재 시각이 어느 타임슬롯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반사 패널(502)의 빔반사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시각을 획득하되, 상기 현재 시각이 제1 예정 타임슬롯 범위 내에 속하면, 현재 상기 반사 패널(502)의 빔반사 방향을 터미널(501)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현재 시작이 제2 예정 타임슬롯 범위 내에 위치하면, 현재 상기 반사 패널(502)의 빔반사 방향을 기타 반사 패널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제어하여 반사 거리를 증가하고, 신호의 커버리지 범위를 확장한다. 여기서, 상기 기타 반사 패널은 현재 상기 반사 패널 이외의 반사 패널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출원은 전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어장치를 더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며, 도 6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버스 또는 다른 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으며, 도 6은 버스를 통해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메모리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비일시적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제어방법이 바로 그 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제어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설명된 제어방법에 필요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일시적 솔리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비일시적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프로세서에 대하여 원격으로 설정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원격 메모리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터미널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의 예로는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 네트워크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비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수행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의 일부 또는 전부 단계, 시스템들이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및 이들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어셈블리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중앙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소프트웨어로서, 또는 하드웨어로서,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와 같은 집적 회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저장 매체(또는 비일시적 매체) 및 통신 매체(또는 일시적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분포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용어 "컴퓨터 저장 매체"는 정보(예컨대,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데이터)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착탈식 및 비착탈식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다른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DVD) 또는 다른 광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저장 장치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정보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도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통신 매체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 또는 다른 전송 메커니즘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상, 본 출원의 일부 구현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기 구현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출원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은 범주에서 다양하고 균등한 변형 또는 교체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균등한 변형과 교체는 모두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출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기지국에서 송출된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개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각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의 고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하향 제어 정보(DCI) 중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블록(block)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지국의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에서 고층 RRC를 통해 송출된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에너지 절약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power amplifier unit)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1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A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고;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2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B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9. 기지국에 적용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가 기지국에서 송출된 네트워크 노드의 블록 분할 개수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의 각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는,
    기지국의 고층 RRC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하향 제어 정보(DCI) 중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블록(block)의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기지국의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서브 블록의 동작 모드 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에서 고층 RRC를 통해 송출된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네트워크 노드가 에너지 절약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거나, 또는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의 온-오프 상태를 결정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적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니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상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상기 넨트워크 노드의 전송이 하향 전송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는 네트워크 노드의 에너지 절약 상태를 포함하며,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비-에너지-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온 상태로 결정하며; 그렇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에너지 절약 상태로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능동 유닛 및/또는 송신 유닛 및/또는 전력 증폭 유닛을 오프 상태로 결정하도록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네트워크 노드에 접속 사용자가 존재하거나, 또는 활성화되어 데이터 전송하는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9에 있어서,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1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A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고,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는, 타임슬롯 그룹 2에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가 미리 정의된 빔 또는 위상 또는 동작 모드의 집합 B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어느 서브 집합인 것으로 미리 정의되는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17. 네트워크 노드에 적용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송출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모듈;
    상기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조정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도록 구성된 제2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장치.
  18. 기지국에 적용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3 모듈;
    상기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지시하는 시그널링을 상기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하거나, 또는, 기지국과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 상태 및/또는 위상 상태를 미리 정의하도록 구성된 제4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장치.
  19. 청구항 17에 따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0. 청구항 18에 따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KR1020247009299A 2021-08-23 2022-08-11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제어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 KR20240048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970661.7A CN115941138A (zh) 2021-08-23 2021-08-23 一种网络节点的控制方法、控制装置、网络节点和基站
CN202110970661.7 2021-08-23
PCT/CN2022/111794 WO2023024923A1 (zh) 2021-08-23 2022-08-11 一种网络节点的控制方法、控制装置、网络节点和基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539A true KR20240048539A (ko) 2024-04-15

Family

ID=8532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9299A KR20240048539A (ko) 2021-08-23 2022-08-11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제어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95424A1 (ko)
KR (1) KR20240048539A (ko)
CN (1) CN115941138A (ko)
WO (1) WO20230249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2234B1 (ko) * 2019-10-28 2020-12-17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반사 평면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163511A (zh) * 2019-12-20 2020-05-15 北京邮电大学 智能反射表面辅助的毫米波通信中延迟受限的上行功率分配方法
CN112564758B (zh) * 2020-11-25 2022-07-05 东南大学 一种采用分布式智能反射面辅助的宽带无线传输方法
CN112838884B (zh) * 2021-01-04 2022-02-18 华中科技大学 一种智能超表面的反射系数计算方法及***
CN114727312B (zh) * 2021-01-05 2024-04-09 ***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节点设备的配置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CN112929302B (zh) * 2021-01-12 2022-03-15 浙江大学 一种半无源反射元协助的智能反射面***的信道估计方法
CN113225758B (zh) * 2021-05-10 2023-09-01 中国科学院微小卫星创新研究院 一种基于协作关系的智能反射面通信增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95424A1 (en) 2024-07-03
CN115941138A (zh) 2023-04-07
WO2023024923A1 (zh)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9956B2 (en) Base station in cellular network system and sleep control method for base station
KR102009743B1 (ko) 빔포밍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020417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relay terminals
US9820172B2 (en) Joint optimization of a radio access network and a distributed antenna system
RU2628952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вязи, и устройство
US9161307B2 (en) Upper-layer base station, lower-layer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04480B1 (ko) 통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12053240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低電力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5537424A (ja) 分散アンテナアレイシステムによる通信方法およびアレイシステム
CN114126062A (zh) 一种无线通信***节点波束指示方法和设备
US90371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level of a femtocell
KR20220056352A (ko) 고밀집 무선 네트워크에서 액세스 노드의 전송 모드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40048539A (ko) 네트워크 노드의 제어방법, 제어장치, 네트워크 노드 및 기지국
KR10189292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소형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에 따른 소형 기지국
CN100525158C (zh) 时分双工码分多址***中使用交叉时隙资源的方法及装置
CN113348712B (zh) Mimo层数自适应调整方法及相关产品
CN116193587A (zh) 室分***控制方法、芯片、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373802B (zh) 通信方法和通信设备
CN107205283B (zh) 一种回程通道的建立方法及装置
WO2023072250A1 (zh) 无线信号的处理方法、受控设备、终端、中继设备、控制设备、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5474265B (zh) 一种数据传输的调度方法和设备
WO2024040971A1 (zh) 用户终端的通信管理方法、网管设备及存储介质
KR102377559B1 (ko) 주파수접속제어장치 및 주파수 접속 제어 방법
US20240205801A1 (en) Discovery resource selection based on rsrp value of a uu link
CN116546517A (zh) 通信方法、设备和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