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370A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370A
KR20240042370A KR1020240037737A KR20240037737A KR20240042370A KR 20240042370 A KR20240042370 A KR 20240042370A KR 1020240037737 A KR1020240037737 A KR 1020240037737A KR 20240037737 A KR20240037737 A KR 20240037737A KR 20240042370 A KR20240042370 A KR 2024004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optimal
indoor
section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24003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370A/ko
Publication of KR2024004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환경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습도를 유지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습도의 높낮이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의 습도구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환경 상태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최적의 실내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동되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공기조화기에 제습, 가습, 냉방, 난방, 공기 정화, 환기 등의 다양한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절의 변화에 맞추어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2838호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공기조화기는 제습모드와 가습모드로 각각 가동되도록 되어 있어 실내의 습도조절이 가능하나, 제습모드와 가습모드 각각에 대한 시작과 종료에 대해서만 기재되어 있고, 어떤 조건에서 제습과 가습모드가 가동되는지에 대한 아무런 기재가 없어 최적의 실내습도 환경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적의 실내습도는 실내환경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그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에 곰팡이가 잘 발생하는 경우에는 실내를 낮은 습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고, 사용자가 감기에 걸리거나 사용자의 피부가 건성피부인 경우에는 실내를 다소 높은 습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실내환경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 최적의 실내습도 환경은 달라지게 되고, 이러한 상황들을 고려하여 최적의 습도 상태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환경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습도를 유지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최적의 실내습도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절별로 서로 다른 최적제어영역을 이용함으로써 계절에 상관없이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습도 조절시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실내공기의 오염물질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실내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습도의 높낮이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의 습도구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습도구간은 일정 범위의 온도와 일정 범위의 습도에 의해 정의되는 습도영역 이내이고, 상기 습도영역이 상기 습도구간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일정 범위의 온도와 일정 범위의 습도에 의해 정의되는 최적제어영역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실내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적제어영역 내에서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1최적습도구간이 설정된 비율로 분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이 저장된 저장부에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을 분할하기 위한 상기 비율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동일한 비율로 분할되거나, 서로 다른 비율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상기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최고온도에 가까울수록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이 낮게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최저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이 높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이 서로 다른 계절에 적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은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부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습도구간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를 포함하고; 실내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에서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2최적습도구간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상기 가습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부를 포함하고; 실내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에서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2최적습도구간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습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에 대응되도록 습도의 높낮이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a) 실내습도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습도의 높낮이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의 습도구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습도구간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고 일정 범위의 온도와 일정 범위의 습도에 의해 정의되는 습도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습도구간은 상기 습도영역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계절을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이 서로 다른 계절에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일정 범위의 온도와 일정 범위의 습도에 의해 정의되는 최적제어영역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제어영역 내에서 실내온도에 대응하도록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1최적습도구간을 구하고,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을 설정된 비율로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상기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최저온도에 가까울수록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이 높은 습도구간이 되도록 설정되고; 가습모드 가동시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최저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가습모드의 가동시간이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상기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최고온도에 가까울수록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이 낮은 습도구간이 되도록 설정되고; 제습모드 가동시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최고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습모드의 가동시간이 길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에서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2최적습도구간을 구하고,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가습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에서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2최적습도구간을 구하고,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제습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은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선택신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으로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로 진입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환기모드로 가동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을 벗어난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벗어난 정도가 설정범위 이내이면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으로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로 진입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습도조절모드시 실내환경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습도로 유지되어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최적의 실내습도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계절별로 서로 다른 최적제어영역을 이용함으로써 계절에 상관없이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를 이용하여 습도를 조절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실내공기에 포함된 CO2와 VOC의 농도를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실내공기의 오염물질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온도별 최적제어영역에서 제습과 가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별 최적제어영역이 계절별로 다르게 설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온도별 최적제어영역에서 계절별 제습과 가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모드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모드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모드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실내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52), 습도의 높낮이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의 습도구간이 선택된 경우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1)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제1송풍기(2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송풍기(21)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제2송풍기(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송풍기(22)는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습도조절모드는, 실내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모드와, 실내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모드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공기조화기(1)는 제습부(23)와 가습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부(23)는 제습모드시 상기 제1송풍기(21)에 의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일례로 히트펌프의 증발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부(23)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여 실외공기에 방출하는 제습로터와 상기 제습로터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제습로터로 유동하는 실외공기를 가열하여 제습로터를 재생시키는 열을 제공하는 가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습부(24)는 가습모드시 상기 제1송풍기(21)에 의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례로 히트펌프의 응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모드는 상기 제습모드와 가습모드 이외에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습도차가 있는 경우 환기모드로 가동하게 되면 실외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이용하여 실내를 가습하거나 제습할 수 있다.
상기 습도구간은 사용자의 건강상태 또는 실내환경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습도조건을 구현하기 위하여 복수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1)는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쾌적하게 느끼는 습도조건은 실내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사용자의 건강상태 또는 실내환경 상태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는 상기 온도센서(51)에서 감지된 현재 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최적의 습도구간을 구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이 설정되어 저장되는 저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0)에는 일정 범위의 온도와 일정 범위의 습도에 의해 정의되는 최적제어영역이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부(31)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31)를 통해 실내습도의 높고 낮음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감기에 걸렸거나 건성피부인 경우에는 높은 습도구간을 원할 수 있고, 실내에 곰팡이가 잘 생기는 경우에는 낮은 습도구간을 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선택을 위해 상기 입력부(31)는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버튼에는 "감기모드", "건성피부모드", "곰팡이제거모드"와 같이 사용자에게 건강상태 및 실내환경상태를 고려한 습도제어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버튼에는 "고습모드", "중간모드", "저습모드"와 같이 습도의 높고 낮음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습도구간을 선택하고,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게 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는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공기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로는 CO2, VOC, 미세먼지, 온도, 습도가 있고, 이 중에서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는 오염물질인 먼지, CO2, VOC의 농도가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운전모드 중 어느 운전모드로 가동하는지에 따라 공기조화의 효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CO2와 VOC 및 미세먼지의 농도가 낮아지는 정도가 달라지고, 실내공기의 온도/습도가 가변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CO2는 필터에 의해 여과되지 않으므로 환기모드로 가동하여 실내공기에 포함된 CO2의 농도를 가장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상기 VOC는 공기청정모드로 가동하는 경우에도 약간의 효과는 있으나, 환기모드로 가동하면 공기청정모드보다 더 효과적으로 실내공기의 VOC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먼지는 환기모드로 가동하여 실외로 배출함으로써 일부 제거할 수도 있지만, 공기청정모드로 가동하여 필터에서 여과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농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습도의 경우 제습모드를 가동함으로써 가장 효과적으로 실내 습도를 쾌적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물론, 제습모드로 가동하는 대신 환기모드로 가동하여 실외공기를 이용하여 실내 습도를 제한된 범위 내에서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결국 실내공기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를 변화시키기 위한 운전모드는 각 요소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운전모드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CO2와 VOC와 같이 필터에서 여과가 되지 않는 요소의 경우에는 환기모드를 가동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먼지와 같이 필터에서 여과가 되는 요소의 경우에는 공기청정모드로 가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경우 CO2와 VOC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실내 환경의 쾌적성을 판단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복수의 습도영역과 습도구간과 최적습도구간 및 최적제어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가로축을 실내온도(T)로 하고 세로축을 실내습도(RH;상대습도)로 하는 그래프에서 실내온도에 따라 습도구간이 달라지는 복수의 습도영역(H1, H2, H3)이 나타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습도영역(H1, H2, H3)이 합쳐진 전체 영역을 최적제어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최적제어영역인 복수의 습도영역(H1, H2, H3) 내에서 현재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습도의 범위인 최적습도구간(제1최적습도구간)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현재 실내온도가 T1인 경우 현재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제1최적습도구간은 최저습도인 RH3으로부터 최고습도인 RH9 사이의 범위가 된다.
또한, 상기 최적의 습도영역(H1, H2, H3)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습도구간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제1습도구간(RH3 - RH5)과 제2습도구간(RH5 - RH7) 및 제3습도구간(RH7 - RH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습도구간 중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을 제2최적습도구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습도구간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2최적습도구간은 최저습도인 RH5에서 최고습도인 RH7 사이가 된다.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실내온도에 따라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습도영역을 정의한 것으로서, 현재 실내온도에 대한 최적의 실내습도를 구하기 위해 테이블값으로 저장부(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상기 최적제어영역의 범위 이내에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습도구간은 실내환경 상태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환경이 곰팡이가 잘 생기는 경우에는 실내를 건조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고, 사용자가 감기에 걸린 경우 또는 사용자의 피부가 건성피부인 경우에는 실내를 다소 습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이유로 실내 습도를 상기 최적습도구간의 중간값보다 낮게 유지하거나 높게 유지할 필요성이 생기게 된다.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실내환경 상태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일반인의 평균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므로, 최적제어영역에 의해 설정되는 제1최적습도구간은 습도범위가 넓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을 복수의 습도구간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 중에서 사용자가 제2최적습도구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사용자는 실내환경 상태 및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최적제어영역이 저장부(60)에 저장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최적제어영역이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임의의 습도구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최적제어영역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에 따라 습도구간이 달라지지 않고, 일정한 습도구간을 복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영역(H1, H2, H3)은 현재 실내온도에 대한 최적의 실내습도영역을 나타낸 것으로, 각각의 실내온도에 대한 최적의 실내습도가 일정 범위의 습도에 대한 테이블값으로 저장부(6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습도영역(H1, H2, H3)은, 낮은 습도영역을 나타내는 저습영역(H1), 높은 습도영역을 나타내는 고습영역(H3), 상기 저습영역(H1)과 고습영역(H3)의 사이의 중간 습도영역을 나타내는 중간영역(H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3개의 영역이 나타난 실시예를 예시하였으나, 저습영역(H1)과 고습영역(H3) 2개의 영역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3개 이상의 영역으로 더 세분화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상기 저습영역(H1)과 고습영역(H3) 및 중간영역(H2)의 경계가 연결되어 복수의 이웃하는 습도구간이 연속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3개의 영역 중 적어도 2개의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웃하는 습도구간이 서로 연속하지 않고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센서(51)에서 감지된 실내온도가 T1이고, 습도센서(52)에서 감지된 실내습도가 RH1인 경우 도 2의 그래프에서 현재 실내환경조건은 P1의 위치가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은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현재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적의 습도구간으로서, 비교적 넓은 범위의 습도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실내습도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 내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실내환경에 보다 더 적합한 습도구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실내습도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 보다 작은 습도구간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습도구간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상기 최적의 습도영역(H1, H2, H3)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습도구간으로서, 상기 제1습도구간(RH3 - RH5)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 내에서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저습영역(H1)에 대응하고, 상기 제3습도구간(RH7 - RH9)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 내에서 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고습영역(H3)에 대응하고, 상기 제2습도구간(RH5 - RH7)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 내에서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영역(H2)에 대응한다.
상기 제1습도구간(RH3 - RH5)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 내에서 낮은 습도구간으로서 입력버튼의 저습모드에 대응되는 습도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실내환경이 곰팡이가 잘 발생하는 경우에는 제1습도구간(RH3 - RH5)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습도구간(RH7 - RH9)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 내에서 높은 습도구간으로서 입력버튼의 고습모드에 대응되는 습도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감기에 걸린 상태이거나, 건성피부인 경우에는 제3습도구간(RH7 - RH9)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습도구간(RH5 - RH7)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의 중간부에 위치하는 습도구간으로서 입력버튼의 중간모드에 대응되는 습도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평균적인 습도조건을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습도구간(RH5 - RH7)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습도구간(RH3 - RH5)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은 최저습도(RH3)와 최고습도(RH5) 사이로 정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습도구간(RH5 - RH7) 또는 제3습도구간(RH7 - RH9)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은 최저습도(RH5)와 최고습도(RH7) 사이 또는 최저습도(RH7)와 최고습도(RH9) 사이로 정의된다. 상기 온도센서(51)로부터 실내온도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0)에 수신되고, 사용자로부터 습도구간에 대한 선택신호가 제어부(10)에 수신되면,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이 제어부(10)에 설정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습도구간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을 일정 비율로 분할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60)에 상기 제1 내지 제3습도구간에 대한 비율이 1:1:1로 저장되어 있고, 현재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을 동일한 비율로 3등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습도구간을 구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습도구간 중에서 원하는 습도구간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을 유지하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습도구간을 분할하는 상기 비율은 동일한 비율로 분할될 수도 있고, 구간별로 상이한 비율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실내환경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습도구간은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 내에서도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3 - RH9)을 습도의 높낮이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습도구간으로 나누고, 제어부(10)는 현재 실내습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실내환경 및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최적의 습도조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31)에서 저습모드와 중간모드 및 고습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현재 실내온도(T1)에 대한 최적의 습도구간으로서 제1 내지 제3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이 경우 현재 실내환경조건이 P1의 위치가 되면, 현재 실내습도는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보다 낮아 가습이 필요한 상태이므로, 제어부(10)는 가습부(24)를 가동하여 실내습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 내에 들어가도록 가습모드로 가동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실내습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각의 습도구간에 들어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제어방법의 일례로, 상기 제어부(10)는 가습부(24)를 가동하여 실내습도가 각각의 습도구간의 최고습도(제1습도구간의 경우 RH5, 제2습도구간의 경우 RH7, 제3습도구간의 경우 RH9)가 될 때까지 가습모드로 가동할 수도 있고, 각각의 습도구간의 최저습도(제1습도구간의 경우 RH3, 제2습도구간의 경우 RH5, 제3습도구간의 경우 RH7)와 최고습도(RH5,RH7,RH59) 사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가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실내온도가 T2이고, 실내습도가 RH10인 경우 도 2의 그래프에서 현재 실내환경조건은 P2의 위치가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습도영역(H1, H2, H3) 내에서 현재 실내온도(T2)에 대응하는 최적의 습도의 범위인 최적습도구간(제1최적습도구간)은 최저습도인 RH2로부터 최고습도인 RH8 사이의 범위가 된다.
이 경우 최적의 습도구간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상기 최적의 습도영역(H1, H2, H3)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습도구간은,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2 - RH8) 내에서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저습영역(H1)에 대응하는 제1습도구간(RH2 - RH4),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2 - RH8) 내에서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고습영역(H3)에 대응하는 제3습도구간(RH6 - RH8),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RH2 - RH8) 내에서 중간에 위치하고 중간영역(H2)에 대응하는 제2습도구간(RH4 - RH6)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제1 내지 제3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의 습도구간을 선택하고, 현재 실내습도가 RH10이면, 제1 내지 제3습도구간 중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의 최고습도보다 높아 제습이 필요한 상태이다.
상기 제어부(10)는 제습부(23)를 가동하여 실내습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에 들어가 유지되도록 제습모드로 가동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의 최저습도가 될 때까지 제습모드로 가동할 수도 있고, 각 습도구간의 최저습도가 될 때까지 가동하지 않고 각각의 습도구간의 최저습도(RH2, RH4, RH6)에서 최고습도(RH4, RH6, RH8) 사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가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최적제어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최적제어영역(A,B)은 일정 범위의 온도와 일정 범위의 습도로 정의되는 일정 영역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최적제어영역(A,B)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적어도 2개의 영역(A,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A,B)은 계절별로 다른 영역이 적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에서 동절기에는 온도가 낮은 영역인 최적제어영역(A)이 적용될 수 있고, 하절기에는 온도가 높은 영역인 최적제어영역(B)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간절기에는 A영역과 B영역이 중첩되는 C영역이 적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C영역은 A영역과 B영역과 구별되는 별도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최적제어영역이 C영역을 포함하는 A영역과 C영역을 포함하는 B영역 2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계절별 최적제어영역이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최적제어영역이 A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현재 실내환경조건이 P3의 위치가 되면, 제1최적습도구간은 최저습도(a1)와 최고습도(a2) 사이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 내에서 사용자가 고습모드인 제3습도구간을 선택하게 되면 최저습도(a4)와 최고습도(a2) 사이의 제2최적습도구간이 정의된다. 이와 같이 제1최적습도구간과 제2최적습도구간은 범위가 작고 높은 습도 구간이 된다.
이러한 상황은 동절기와 같이 실내가 건조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습모드로 가동되는데, P3에서 실내습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제2최적습도구간(a4 - a2)에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가습모드의 가동시간을 길게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가습모드 가동은 실내습도가 최저습도(a4)와 최고습도(a2) 사이의 설정된 습도가 되면 종료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실내습도가 최고습도(a2)보다 낮은 습도에서 가습을 종료하게 되면 실내습도가 제2최적습도구간을 빨리 이탈하게 되어 가습모드의 잦은 가동 및 정지가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습도가 최고습도(a2)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모드를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적제어영역이 B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현재 실내환경조건이 P4의 위치가 되면, 제1최적습도구간은 최저습도(b1)와 최고습도(b2) 사이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 내에서 사용자가 저습모드인 제1습도구간을 선택하게 되면 최저습도(b1)와 최고습도(b3) 사이의 제2최적습도구간이 정의된다. 이와 같이 제1최적습도구간과 제2최적습도구간은 범위가 작고 낮은 습도 구간이 된다.
이러한 상황은 장마철과 같이 실내가 습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습모드로 가동되는데, P4에서 실내습도가 제2최적습도구간의 최저습도(b1)까지 도달하기 위해 제습모드의 가동시간을 길게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제습모드 가동은 실내습도가 최저습도(b1)와 최고습도(b3) 사이의 설정된 습도가 되면 종료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실내습도가 최저습도(b1)보다 높은 습도에서 제습을 종료하게 되면 장마철과 같이 습도가 높은 경우 실내습도가 제2최적습도구간을 빨리 이탈하게 되어 제습모드의 잦은 가동 및 정지가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습도가 최저습도(b1)에 도달할 때까지 제습모드를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적제어영역이 A 또는 B영역으로 설정된 경우, 현재 실내환경조건이 P5의 위치가 되면, 제1최적습도구간은 C영역 내로서 최저습도(c1)와 최고습도(c2) 사이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 내에서 사용자가 중간모드인 제2습도구간을 선택하게 되면 최저습도(c3)와 최고습도(c4) 사이의 제2최적습도구간이 정의된다. 이와 같이 현재 실내환경조건이 P3 또는 P4인 경우에 비하여 제1최적습도구간과 제2최적습도구간의 범위가 크다.
이 경우 가습모드의 가동은 최고습도(c4)에 도달할 때까지 가동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최저습도(c3)와 최고습도(c4) 사이의 설정된 습도에 도달할 때까지 가습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습모드의 종료시점을 최저습도(c3)와 최고습도(c4) 사이로 하더라도 제2최적습도구간의 범위가 크고, 간절기에는 실내습도의 변동이 크지 않으므로, 제2최적습도구간을 벗어날 때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려 가습모드의 잦은 가동 및 정지가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내환경조건이 P6의 위치인 경우에는 P5인 경우와 비교하여 제습모드로 가동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최고온도(TH1 또는 TH2)에 가까울수록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적습도구간의 범위가 작고 습도가 낮게 되도록 설정되고, 최저온도(TL1 또는 TL2)에 가까울수록 실내온도에 대응되는 최적습도구간의 범위가 작고 습도가 높게 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최고온도(TH1 또는 TH2)와 최저온도(TL1 또는 TL2) 사이의 중간부에서 최적습도구간의 범위가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과 제2최적습도구간은 온도에 따라 상이한 범위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모드시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복수의 습도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다. 사용자가 입력부(31)를 통해 고습모드와 중간모드 및 저습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신호가 제어부(10)에 수신된다. 상기 제어부(10)는 복수의 습도영역(H1, H2, H3)중 상기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습도영역을 선택하게 된다.
단계 S102에서 온도센서(51)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정보와 습도센서(52)에서 감지된 실내습도정보가 제어부(10)에 수신된다.
단계 S103에서 제어부(10)는 제2최적습도구간을 산출한다.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은 상기 선택된 습도영역에서 상기 온도센서(51)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이루어진다.
단계 S104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수신된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제2최적습도구간 이내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서 제어부(10)는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여 실내습도가 제2최적습도구간 이내가 되도록 한다.
단계 S106에서 제어부(10)는 습도조절모드 종료조건을 충족하였는지 판단한다. 이 경우 습도조절모드 종료조건은 실내습도가 제2최적습도구간의 최고습도에 도달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고, 제2최적습도구간의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설정된 습도에 도달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판단결과 습도조절모드 종료조건을 충족한 경우에는 습도조절모드의 가동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습도조절모드의 가동을 유지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모드시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서 단계 S103과 S104의 순서가 뒤바뀐 경우에 대한 것이다.
단계 S201과 S202는 도 5에서 설명한 단계 S101과 S102와 동일하다.
단계 S203에서 제어부(10)는 현재 실내환경조건이 선택된 습도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현재 실내환경조건이 선택된 습도영역 이내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단계 S204에서 제어부(10)는 제2최적습도구간을 산출하고, 단계 S205에서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여 실내습도가 제2최적습도구간 이내가 되도록 한다.
단계 S206에서 제어부(10)는 습도조절모드 종료조건을 충족하였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습도조절모드 종료조건을 충족한 경우에는 습도조절모드의 가동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습도조절모드의 가동을 유지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모드시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301은 도 5에서 설명한 단계 S101과 동일하다.
단계 S302에서 제어부(10)는 저장부(60)에 저장된 복수의 최적제어영역(A,B) 중 어느 영역을 적용할 것인지 선택한다. 이 경우 계절을 판단하여 계절에 대응하는 최적제어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303에서 온도센서(51)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정보와 습도센서(52)에서 감지된 실내습도정보가 제어부(10)에 수신된다.
단계 S304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수신된 실내온도정보와 상기 선택된 최적제어영역으로부터 제1최적습도구간을 산출한다.
단계 S305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인 제2최적습도구간을 산출한다.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은 입력부(31)에 구비된 복수의 모드에 대응하는 개수의 습도구간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습도구간은 미리 설정된 일정비율로 분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할된 복수의 습도구간 중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구간이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이 된다.
단계 S306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수신된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제2최적습도구간 이내이면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307로 진행한다.
단계 S307에서 제어부(10)는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여 실내습도가 제2최적습도구간 이내가 되도록 한다.
단계 S308에서 제어부(10)는 습도조절모드 종료조건을 충족하였는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습도조절모드 종료조건을 충족한 경우에는 습도조절모드의 가동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습도조절모드의 가동을 유지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단계 S102, S202, S303에서 온도 및 습도정보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온도센서(51) 및 습도센서(52)에서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의 감지는 공기조화기(1)의 전원이 온(On)된 경우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단계 S102, S202, S303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습도구간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최적제어영역 범위 내에서 습도가 유지되도록 습도조절모드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 실내습도가 사용자가 선택한 습도영역을 벗어나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 가동조건을 충족한 경우에도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 대신 환기모드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실외공기의 습도가 실내공기의 습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실외공기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 있고, 실외공기의 습도가 실내공기의 습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실외공기를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서 현재 실내환경조건이 P1의 위치인 경우 환기모드로 가동하면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켜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공기의 습도가 제2최적습도구간의 범위 내로 들어오면 환기모드의 가동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환기모드만으로 원하는 정도까지 가습을 하기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실내공기의 습도가 제2최적습도구간의 하단인 최저습도까지는 환기모드로 가동하고, 최저습도에서 최고습도까지는 가습모드로 가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실내환경조건이 P2의 위치인 경우에도 이와 동일하게 환기모드만으로 제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실내환경조건인 P1 또는 P2의 위치가 제2최적습도구간으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벗어난 정도가 설정범위 이내이면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로 먼저 가동하지 않고 환기모드로 우선하여 가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내습도와 실외습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환기모드로 가동시 목표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지 미리 판단한 후 환기모드로 가동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목표로 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한지 여부는 일정시간 동안 환기모드의 가동에 의해 변화되는 실내습도로부터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습모드 또는 제습모드로 먼저 가동하지 않고 환기모드로 우선하여 가동하게 되면 실내공기의 CO2/VOC의 농도를 줄임과 동시에 제습부(23)와 가습부(24)를 가동할 필요가 없어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 : 공기조화기 10 : 제어부
21 : 제1송풍기 22 : 제2송풍기
23 : 제습부 24 : 가습부
31 : 타이머 51 : 온도센서
52 : 습도센서 60 : 저장부

Claims (21)

  1. 실내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습도의 높낮이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의 습도구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습도구간은 일정 범위의 온도와 일정 범위의 습도에 의해 정의되는 습도영역 이내이고, 상기 습도영역이 상기 습도구간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고,
    현재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입력부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습도구간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복수의 습도영역이 합쳐진 전체 영역으로 이루어진 최적제어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상기 최적제어영역의 범위 이내이고;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이 서로 다른 계절에 적용되도록 설정된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실내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최적제어영역 내에서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1최적습도구간이 설정된 비율로 분할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이 저장된 저장부에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을 분할하기 위한 상기 비율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동일한 비율로 분할되거나, 서로 다른 비율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상기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최고온도에 가까울수록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이 낮게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최저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이 높게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은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를 포함하고;
    실내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에서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2최적습도구간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상기 가습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는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에서 가장 높은 최고습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습부를 포함하고;
    실내온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에서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2최적습도구간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상기 제습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는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에서 가장 낮은 최저습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에 대응되도록 습도의 높낮이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3. a) 실내습도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에 수신되는 단계;
    b) 습도의 높낮이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의 습도구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을 벗어났는지 여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습도구간에 대응하도록 복수로 이루어지고 일정 범위의 온도와 일정 범위의 습도에 의해 정의되는 습도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습도구간은 상기 습도영역 이내이고;
    현재 실내온도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으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복수의 습도구간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입력부를 통해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의 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습도조절모드로 가동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복수의 습도영역이 합쳐진 전체 영역으로 이루어진 최적제어영역이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은 상기 최적제어영역의 범위 이내이고;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적어도 2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계절을 판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영역이 서로 다른 계절에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적제어영역 내에서 실내온도에 대응하도록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1최적습도구간을 구하고,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을 설정된 비율로 분할하여 상기 복수의 습도구간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상기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최저온도에 가까울수록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이 높은 습도구간이 되도록 설정되고;
    가습모드 가동시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최저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가습모드의 가동시간이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제어영역은 상기 일정 범위의 온도에서 최고온도에 가까울수록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상기 제1최적습도구간이 낮은 습도구간이 되도록 설정되고;
    제습모드 가동시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최고온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제습모드의 가동시간이 길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에서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2최적습도구간을 구하고,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가습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에서 실내온도에 대응하는 최저습도와 최고습도 사이의 범위로 정의되는 제2최적습도구간을 구하고,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2최적습도구간 내의 설정된 습도가 될 때까지 제습모드로 가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조절모드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환기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으로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로 진입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환기모드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을 벗어난 정도를 판단하고, 상기 벗어난 정도가 설정범위 이내이면 상기 환기모드의 가동으로 실내습도가 상기 선택된 습도구간 내로 진입할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240037737A 2018-03-26 2024-03-1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240042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7737A KR20240042370A (ko) 2018-03-26 2024-03-1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302A KR20190112386A (ko) 2018-03-26 2018-03-26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240037737A KR20240042370A (ko) 2018-03-26 2024-03-1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302A Division KR20190112386A (ko) 2018-03-26 2018-03-26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370A true KR20240042370A (ko) 2024-04-02

Family

ID=684223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302A KR20190112386A (ko) 2018-03-26 2018-03-26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240037737A KR20240042370A (ko) 2018-03-26 2024-03-19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302A KR20190112386A (ko) 2018-03-26 2018-03-26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9011238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386A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18246B (zh) 用于温湿度调节的***及方法、设备
CN106705383B (zh) 除湿控制方法、装置及具有除湿功能的设备
KR20230002164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110260482A (zh) 空调制冷模式运行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
CN107477785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装置
KR102426199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42566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280316A (ja) 多機能型換気装置
KR20240042370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20190119820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426194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45951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23042655A1 (ja) 空気調和機の換気制御方法、換気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325788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1355900A (ja) 空気調和機
JP4217738B2 (ja) 空気調和機
CN113418258A (zh) 用于除甲醛的调湿机控制方法及装置、调湿机
KR20160096897A (ko) 다단 히터를 구비한 에어워셔
KR102554531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습 운전시 실내 습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
KR102448713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205037471U (zh) 抗菌除湿型空气处理机组
KR102322117B1 (ko) 습도 조절과 공기 정화 기능을 갖는 냉난방 겸용 보일러 시스템
CN113390169B (zh) 用于调湿机的控制方法及装置、调湿机
US11994305B2 (en) Ceiling cassette smart combined air conditioner
JPH037378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