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796A -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gled impla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 Google Patents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gled impla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796A
KR20240040796A KR1020247006759A KR20247006759A KR20240040796A KR 20240040796 A KR20240040796 A KR 20240040796A KR 1020247006759 A KR1020247006759 A KR 1020247006759A KR 20247006759 A KR20247006759 A KR 20247006759A KR 20240040796 A KR20240040796 A KR 20240040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abutment member
abutment
assembly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67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스티븐 펠로트
마이클 슐츠키
톰 스트래톤
맥스웰 맥키넌
엘러 토레스
Original Assignee
제스트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7/394,275 external-priority patent/US20230038580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7/478,320 external-priority patent/US11779438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7/499,671 external-priority patent/US20230039996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7/499,683 external-priority patent/US20230044939A1/en
Priority claimed from US17/499,665 external-priority patent/US11596504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7/703,512 external-priority patent/US20230038772A1/en
Application filed by 제스트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제스트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4004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79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3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gular adjustment means, e.g. ball and socket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61C13/2656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2Catch or snap type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환자의 구강을 위한 치과용 부착 조립체가 제공된다. 고려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는 지대치 부재, 및 지대치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부재는 상부 단부, 및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고정된 맞물림을 위한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부재는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도록 PEEK와 같은 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지대치 부재는 지대치의 나사식 리세스 내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부분을 포함하는 상부 부분, 및 각형성된 플랫폼 및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는 하부 부분을 갖는 임플란트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dental attachment assembly for a patient's oral cavity is provided. A contemplated dental attachment assembly may include an abutment member and a retention member for attaching to the abutment member. The retention member may include an upper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for fixed, non-patient-removable, fixed engagement over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The retention member may be constructed of a rigid material such as PEEK to provide a retention force of approximately 10 to 75 pounds. The abutment member may b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n implant having an upper portion comprising a threaded portion configured to screw into a threaded recess of the abutment tooth, and a lower portion including an angled platform and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platform. .

Description

치과용 부착 조립체, 각형성된 임플란트 조립체, 및 사용 방법Dental attachment assembly, angled impla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22년 3월 2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703,512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은 2021년 10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499,683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고, 이 출원은 2021년 9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478,320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은 2021년 8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394,275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다. 본 출원은 또한 2021년 10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499,665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은 2021년 9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478,320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은 2021년 8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394,275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다. 본 출원은 또한 2021년 10월 12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499,671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은 2021년 9월 1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478,320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며, 이 출원은 2021년 8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394,275호의 일부 연속 출원이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간행물, 특허 출원, 및 특허를 포함한 모든 참조 문헌은 각각의 참조 문헌이 참조로 포함되도록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표시되고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703,512, filed on March 24, 2022, and this application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499,683, filed on October 12, 2021; This application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478,320, filed on September 17, 2021, and this application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394,275, filed on August 4, 2021. This application is also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499,665, filed on October 12, 2021, which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478,320, filed on September 17, 2021 , This application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394,275, filed on August 4, 2021. This application is also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499,671, filed on October 12, 2021, which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478,320, filed on September 17, 2021 , This application is a continuation-in-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7/394,275, filed on August 4, 2021. All references, including publications, patent applications, and patents, cited herein are individually and specifically indicated to be incorporated by reference and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to the same extent as if set forth in their entirety herein. do.

기술 분야technology field

본 명세서에 제공된 디바이스 및 방법은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조립체, 및 각형성된 임플란트를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를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devices and methods provided herein relate to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including fixed, non-patient removable assemblies, and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with angled implants.

표준 의치는 모든 치아를 제거한 후 구강 내에 배치되는 완전히 제거 가능한 의치이다. 구강 조직이 치유되면, 의치를 배치한다. 이러한 의치는 흡입 접촉 또는 의치 접착제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표준 의치를 배치하기 위해서는, 임의의 남은 치아를 발치해야 하며 환자에게 디바이스를 끼워야 한다. 발치된 치아의 이전 지지부가 없으면, 잇몸 능선이 붕괴되기 시작하고 구강이 움푹 들어간 외관으로 된다. 시간 경과에 따라 잇몸 능선이 편평해지고 혀가 표준 의치를 느슨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디바이스는 기껏해야 귀찮은 일이 될 수 있거나 심지어 먹고 말하는 것과 같은 기본적인 기능에 심각한 방해가 될 수 있다. 구강 내 이러한 미소한 장애는 개인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Standard dentures are fully removable dentures that are placed in the mouth after all teeth have been removed. Once the oral tissues have healed, the denture is placed. These dentures are held in place by suction contact or denture adhesive. To place a standard denture, any remaining teeth must be extracted and the device fitted to the patient. Without the previous support of the extracted tooth, the gum ridge begins to collapse, giving the mouth a sunken appearance. Because gum ridges flatten over time and the tongue tends to loosen standard dentures, these devices can be a nuisance at best, or even a serious interference with basic functions like eating and speaking. These minor disorders in the oral cavity can greatly reduce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일반적으로, 대체 의치에는 고정식 의치 또는 탈착식 의치라는 2가지 유형이 있으며, 종종 중첩 의치라고도 지칭된다. 중첩 의치는 탈착식 의치를 배치할 수 있는 잇몸 지지 베이스를 형성하고; 중첩 의치 임플란트는 통상적으로 하단 치아에 수행된다. 임플란트는 중첩 치아 자체를 위한 앵커 역할을 하기 위해 턱뼈에 배치된다. 전통적인 의치는 하부 능선의 U자형, 삼투압 부족, 혀 움직임,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해 위쪽보다 아래쪽 구개에서 덜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하단 치아에 중첩 의치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 임플란트를 배치한 후, 복원 치과 의사는 LOCATOR® 부착 시스템을 사용하여 탈착식 보철 의치를 임플란트에 부착할 수 있다. LOCATOR 부착물은 의치가 비의도적으로 이탈되지 않고 구강 내에서 활주되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에게 불편을 끼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중첩 의치는 매일의 위생 유지 보수를 위해 환자에 의해 제거 가능하도록 설계된다.Generally, there are two types of replacement dentures: fixed dentures or removable dentures, often referred to as overlapping dentures. An overlapping denture forms a gum-supported base upon which a removable denture can be placed; Overlapping denture implants are typically performed on the lower teeth. The implant is placed into the jawbone to act as an anchor for the overlapping teeth themselves. Because traditional dentures remain less stable on the lower palate than on the upper due to the U-shape of the lower ridge, lack of osmotic pressure, tongue movement, and other factors, overlapping dentures are often made on the lower teeth. After placing the implant, the restorative dentist can attach a removable prosthetic denture to the implant using the LOCATOR® attachment system. The LOCATOR attachment ensures that the denture does not come off unintentionally and does not cause discomfort to the patient by preventing it from sliding or moving within the oral cavity. Overlapping dentures are designed to be removable by the patient for daily hygiene maintenance.

중첩 의치의 이점은 다양하다. 임플란트는 무치악 환자에게 유지력, 안정성 및 편안함을 추가하는 보수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종래의 의치보다 임플란트 중첩 의치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의치는 잇몸 영역 둘레에서 자유롭게 활주되는 대신에, 임플란트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구강 내의 제자리에 꼭 맞게 유지된다. 이것이 환자에게 이점이 되는 한 가지 방식은 환자가 식이 건강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의치를 사용하는 사람은 의치가 빠질까 봐 질기거나 딱딱한 음식을 피해야 하지만, 임플란트 고정형 의치를 사용하는 사람은 규칙적인 식사를 고수하며, 음식을 완전히 씹고, 필수 영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The benefits of overlapping dentures are numerous. People often choose implant overlapping dentures over conventional dentures because implants offer a conservative way to add retention, stability, and comfort to edentulous patients. Instead of sliding freely around the gum area, dentures are anchored to the implants and thus remain snugly in place within the mouth. One way this benefits patients is by allowing them to maintain a healthy diet. While people with traditional dentures must avoid tough or hard foods for fear of the dentures falling out, people with implant-retained dentures can stick to regular meals, chew their food thoroughly, and maintain the ability to absorb essential nutrients.

더욱이, 임플란트 자체가 안면 윤곽의 열화를 막는 데 도움이 되어, 임플란트 중첩 의치 착용자의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도 개선시킨다. 일반 의치는 안면골 손실, 계속되는 턱뼈 붕괴 및 조기 노화를 유발한다. 이러한 안면골 붕괴는, 치아를 발치하고 의치를 착용하기 시작한 후, 의치가 배치된 뼈의 능선을 열화시켜 의치가 뼈의 손실을 가속화시키기 때문에 발생한다. 더욱이, 치아가 발치된 영역에서는 자극 부족으로 인해 턱 영역이 점점 더 재흡수된다. 중첩 의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가 실제 잇몸 및 뼈와 자연스럽게 일체화되어, 턱선을 보강하고 뼈 재흡수 및 안면골 손실을 방지하므로 턱과 잇몸 영역을 지지한다. 이러한 골유착은 안면골을 생리학적으로 건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말하고, 먹고, 웃을 수 있게 하고, 자신감을 증가시켜 자연스러운 외모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심리적 건강을 개선시킨다.Moreover, the implant itself helps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facial contour, improving not only the physical but also the mental health of implant denture wearers. Regular dentures cause facial bone loss, continued jaw bone breakdown, and premature aging. This facial bone collapse occurs after teeth are extracted and dentures are worn because dentures accelerate bone loss by deteriorating the ridges of bone where the dentures are placed. Furthermore, in areas where teeth have been extracted, the jaw area becomes increasingly resorbed due to lack of stimulation. Overlapping denture implants support the jaw and gum area as the implant naturally integrates with the actual gums and bone, reinforcing the jawline and preventing bone resorption and facial bone loss. This osseointegration not only keeps the facial bones physiologically healthy, but also improves the wearer's psychological health by allowing the wearer to speak, eat, smile, increase self-confidence, and maintain a natural appearance.

전반적으로, 임플란트 중첩 의치는 표준 의치보다 더 편안하고, 건강하며, 내구성이 있는 옵션을 제공한다. 임플란트는 의치를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환자가 자신감 있게 대화하고, 정상적인 사회적 상호 작용에 참여하고, 심지어 최적의 영양 건강을 위해 다양한 식단을 즐기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안면 윤곽과 턱선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치악 환자가 뼈 유지를 유지하게 하고 실제로 턱선을 보강시킨다.Overall, implant overlapping dentures offer a more comfortable, healthier, and more durable option than standard dentures. Implants can keep dentures securely in place, allowing patients to speak confidently, engage in normal social interactions, and even enjoy a varied diet for optimal nutritional health. Additionally, implants prevent the facial contour and jawline from collapsing, allowing edentulous patients to maintain bone retention and actually strengthen the jawline.

그러나, 중첩 의치에도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치과용 고정 또는 부착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개선된 맞음새와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2개 이상의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요소를 함께 끼워맞춤하여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아 근부에 중첩 의치 기기를 고정하는 데 이용된다. 일부 조립체에서, 수형 부분과 암형 부분은 수형 부분을 암형 부분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정합식, 스냅 맞물림 가능한 모양을 갖는다. 예를 들어, 치과용 임플란트 또는 치아 근부에 고정되는 암형 부분은 소켓을 갖고, 기기 또는 보철물에 있는 수형 부분은 소켓에 스냅 맞물림하기 위한 헤드를 갖는다. 그러나, 보철물을 제거했다가 다시 부착할 때 소켓과 헤드에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수형 부분의 유지 헤드가 손상될 수 있고 구성요소가 움직일 때 그 마찰로 인해 마모가 야기될 수 있다. 마찰력을 흡수하고 소켓과 헤드 사이의 쿠션으로서 작용하도록 압축 가능한 환형 링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링조차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마모되어 교체해야 할 수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불편하고 귀찮은 치과용 고정 조립체의 정기적인 유지 관리를 필요로 한다. 더욱이, 압축 가능한 환형 링을 쉽게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게 하도록, 링에는 소켓(예컨대, 나사식 부분)과 정합하는 표면에 고정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치과용 앵커 조립체의 비용과 복잡성을 더욱 추가시킨다.However, overlapping dentures are not without drawbacks. Dental fixation or attachment assemblies are typically used to secure dental implants or overlapping denture appliances to tooth roots by fitting two or more partially movable components together to provide improved fit and comfort. In some assemblies, the male portion and the female portion have a registration, snap-engageable shape to releasably secure the male portion to the female portion. For example, a female part that is fixed to a dental implant or tooth root has a socket, and the male part in an appliance or prosthesis has a head for snap-engaging into the socket. However, repeated impacts to the socket and head when removing and reattaching the prosthesis can damage the male retaining head and cause wear due to friction as the components move. A compressible annular ring may be provided to absorb friction forces and act as a cushion between the socket and the head. However, even the rings may wear out over a period of time and require replacement, requiring regular maintenance of the dental retaining assembly, which is inconvenient and cumbersome for the patient. Moreover, to enable easy removal and replacement of the compressible annular ring, the ring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mechanism on a surface that mates with the socket (e.g., threaded portion), which further reduces the cost and complexity of the dental anchor assembly. Add it.

도 15a 및 도 15b는 탈착식 중첩 의치 조립체를 예시한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철물(1900)은 잇몸(1908)을 덮고 잇몸에 의해 지지되는 치은 플랜지(1910)를 포함한다. 수형 캡(1902a, b, c, d)은 보철물(1900) 내에 배치되고 암형 지대치(1904a, b, c, d)와 정합되어 보철물(1900)을 고정한다. 지대치(1904a, b, c, d)는 통상적으로 임플란트(1906a, b, c, d)에 나사 결합된다. 캡(1902a, b, c, d)은 보철물을 제자리에 유지하는 지대치(1904a, b, c, d)와 유지력을 형성한다. 그러나, 유지력은, 매일 세정을 위해 보철물이 제거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반드시 극복될 수 있도록 된다. 4개의 임플란트 조립체가 도 15a에 예시되어 있지만, 제거 가능한 중첩 의치에 2개의 임플란트 조립체만 사용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15A and 15B illustrate a removable overlapping denture assembly. As can be seen, prosthesis 1900 includes a gingival flange 1910 that covers and is supported by gum 1908. The male caps 1902a, b, c, and d are disposed within the prosthesis 1900 and mate with the female abutments 1904a, b, c, and d to secure the prosthesis 1900. Abutment teeth 1904a, b, c, d are typically screwed to implants 1906a, b, c, d. The caps 1902a, b, c, and d form a retention force with the abutment teeth 1904a, b, c, and d that hold the prosthesis in place. However, retention forces must be overcome to enable the prosthesis to be removed for daily cleaning. Although four implant assemblies are illustrated in Figure 15A, it is not uncommon for only two implant assemblies to be used in removable overlapping dentures.

도 15b는 임플란트-지지 탈착식 의치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바아(1914)를 사용하는 탈착식 의치 조립체의 또 다른 예이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아는 임플란트(1906a, b, c, d)를 포함하거나 임플란트와 결합하며 지대치(1904a, b, c, d)를 수용할 수 있다. 플랜지(1910)를 갖는 보철물(1900)은 지대치(1904a, b, c, d) 상에 "스냅"될 수 있다. 도 15a의 조립체는 임플란트-유지 의치 조립체로 지칭되는 반면, 도 15b의 조립체는 임플란트-지지 의치 조립체이다.Figure 15B is another example of a removable denture assembly using bars 1914 to form an implant-supported removable denture assembly. As can be seen, the bar may include or couple to an implant 1906a, b, c, d and receive an abutment tooth 1904a, b, c, d. Prosthesis 1900 with flange 1910 may be “snapped” onto abutments 1904a, b, c, d. The assembly of Figure 15A is referred to as an implant-retained denture assembly, while the assembly of Figure 15B is an implant-supported denture assembly.

전술한 바와 같이, 환형 링(도시되지 않음), 또는 도 6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유지 헤드가 캡(1902a, b, c 및 d)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된 바와 같이 문제가 계속 지속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n annular ring (not shown), or a retaining head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FIGS. 6-10 may be included within the cap 1902a, b, c, and d. However, as explained, the problem may still persist.

탈착식 의치 조립체의 또 다른 문제점은 시간 경과에 따라 조직이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Another problem with removable denture assemblies is that the tissue may weaken over time.

이러한 문제는 영구적 또는 고정식 의치로 해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의치는 기본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고 임상의에 의해서만 제거 가능한(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틀에 연결된 일렬의 보철 치아로 구성된 의치 디바이스이다. 영구 의치의 배치를 위한 통상적인 절차에는 환자의 치열을 경구 검사한 후 턱뼈를 스캐닝하여 임플란트 배치를 위한 정확한 위치 - 최소한 두 군데는 전방 영역에, 두 군데는 턱뼈 후방에 - 를 결정하는 것이 수반된다. 영구 의치는 치유 기간 이후 임플란트에 고정되는데, 이 기간 동안 임플란트는 골유착을 통해 생물학적으로 턱뼈에 융합되게 된다.These problems can be addressed with permanent or fixed dentures, which essentially consist of a row of prosthetic teeth held in place by dental implants and attached to a framework that is removable only by the clinician (not removable by the patient). It is a denture device. The routine procedure for placing permanent dentures involves oral examination of the patient's dentition and scanning the jawbone to determine the correct locations for implant placement - at least two in the anterior region and two in the posterior jawbone. . Permanent dentures are fixed to the implant after a healing period, during which the implant becomes biologically fused to the jawbone through osseointegration.

도 16a 및 도 16b는 다양한 예시적인 고정식 의치 조립체를 예시한다. 도 16a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철물(2000)은 보철물(1900)과 유사하지만 치은 플랜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는, 보철물(2000)이 나오지 않고, 보철물(2000) 아래 및 잇몸(2008) 위까지 세정할 공간이 다소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철물(1900)과 마찬가지로, 보철물(2000)은 지대치(2004a, b, c, d)에 부착될 수 있으며, 지대부는 차례로 임플란트(2006a, b, c, d)와 나사 결합되거나 달리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다시, 도 15a 및 도 15b의 조립체와 달리, 보철물(2000)은 통상적으로 보철물(2000)의 상단을 형성하는 지대치(2004a, b, c, d)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2012)를 통해 지대치(2004a, b, c, d)에 고정된다.16A and 16B illustrate various exemplary fixed denture assemblies. As can be seen in Figure 16A, prosthesis 2000 is similar to prosthesis 1900 but does not include a gingival flange. This is because the prosthesis 2000 does not come out, and there must be some space for cleaning below the prosthesis 2000 and above the gums 2008. However, like prosthesis 1900, prosthesis 2000 may be attached to abutments 2004a, b, c, and d, which in turn may be screwed or otherwise coupled to implants 2006a, b, c, and d. You can. However, again, unlike the assemblies of FIGS. 15A and 15B, the prosthesis 2000 is typically threaded through screws 2012 to the abutment teeth 2004a, b, c, d that form the top of the prosthesis 2000. It is fixed to the abutment tooth (2004a, b, c, d).

도 16b는 일반적인 바아(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는 고정식 의치 조립체의 또 다른 예이다.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바아는 임플란트(2006a, b, c, d)를 포함하거나 임플란트와 결합하며 지대치(2004a, b, c, d)를 수용할 수 있다.Figure 16b is another example of a fixed denture assembly using a conventional bar (not shown). As can be seen, the bar may include or be coupled to an implant (2006a, b, c, d) and receive an abutment tooth (2004a, b, c, d).

나사(2012), 지대치(2004a, b, c, d), 및 임플란트(2006a, b, c, d)는 금속이어서, 비용이 상승되지만 정렬 및 안착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여러 금속 대 금속 계면이 초래된다. 고정식 기기(2000)가 베이스 조립체, 즉, 지대치(2004, b, c, d)와 임플란트(2006, b, c, d)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기기(2000)가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개념이지만, 항상, 예를 들어 기기(2000)에 작용하는 캔틸레버 및 기타 힘이 존재한다. 더욱이, 때때로 고정식 치과용 기기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는 데, 이는 금속 대 금속 계면에 마모를 야기할 수 있다. 금속 대 금속 계면은 매우 강성이고 탈착식의 경우처럼 기기가 연조직에 의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 힘은 더 약한 기기(2000)를 통해 소산되고, 이는 결국 기기(2000)의 균열을 초래할 수 있다.Screws (2012), abutments (2004a, b, c, d), and implants (2006a, b, c, d) are metal, resulting in multiple metal-to-metal interfaces that increase cost but can lead to alignment and seating problems. do. The concept is that the fixed device 2000 is rigidly coupled to the base assembly, i.e., the abutment 2004, b, c, d) and the implant 2006, b, c, d so that the device 2000 cannot move, but always , for example, there are cantilevers and other forces acting on the device 2000. Furthermore,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remove fixed dental appliances, which can cause wear to the metal-to-metal interface. Because the metal-to-metal interface is very rigid and the device is not supported by soft tissue as in the case of a removable version, these forces are dissipated through the weaker device 2000, which can ultimately lead to cracking of the device 2000.

도 16b는 추가 금속 나사 유지 부분(2005)을 포함하는 다른 예시적인 고정식 의치 조립체를 예시하는데, 이러한 추가 금속 나사 유지 부분은 비용을 더욱 더 증가시키고 설명된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16B illustrates another exemplary fixed denture assembly that includes additional metal screw retention portions 2005, which can further increase costs and further exacerbate the problems described.

종래의 고정식 의치 조립체의 또 다른 문제는 적층된 구성요소를 수용하고 보철물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최대 15 mm의 수직 뼈 높이를 제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with conventional fixed denture assemblies is that up to 15 mm of vertical bone height must be removed to accommodate the stacked components and make space for the prosthesis.

종래의 고정식 의치 조립체의 또 다른 문제는 위생을 위한 노동 집약적인 임상의 약속과 관련이 있다. 세정을 위해 기기를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유지 나사를 찾아서 덮개를 벗기고 제거해야 한다. 그 후, 기기를 다시 부착하기 위해서는 이 프로세스를 역순으로 반복해야 한다. 이 절차는 나사 접근에 필요한 관통 구멍으로 인해 기기가 파괴될 위험이 있어, 다른 문제로 필요로 하지 않는 한 회피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환자와 전반적인 경구 위생에 불리하다.Another problem with conventional fixed denture assemblies is related to labor-intensive clinical commitments to hygiene. To free the device for cleaning, you will need to locate the retaining screw, unscrew the cover, and remove it. You will then need to repeat this process in reverse order to reattach the device. This procedure risks destroying the device due to the through holes required to access the screws, so it is often avoided unless required for other reasons. This is detrimental to the patient and overall oral hygiene.

일 양태에 따르면, 환자의 구강을 위한 치과용 조립체가 제공된다. 치과용 조립체는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갖는 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부분은 지대치의 나사식 리세스 내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부분을 포함하고, 하부 부분은 각형성된 플랫폼 및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고,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구강 내 뼈 또는 조직과 나사식 맞물림을 위해 구성되며, 각형성된 플랫폼은 각도에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각형성된다. 나사식 포스트는 상부 부분의 나사식 부분에 대해, 예를 들어 약 15도, 약 20도, 약 30도, 5 내지 35도, 10 내지 35도, 10 내지 30도, 또는 15 내지 30도 각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일부 양태에서, 각형성된 플랫폼은, 예를 들어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약 15도, 약 20도, 약 30도, 5 내지 35도, 10 내지 35도, 10 내지 30도, 또는 15 내지 30도 각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단일 리드 나사부 또는 다중 리드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self-tapping)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7 mm, 약 1.5 mm 내지 약 6 mm, 약 2.4 mm 내지 약 4.9 mm, 또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이한 피치의 2개의 연속적인 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조립체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유지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는 약 10 내지 75 파운드(예를 들어, PEEK)의 유지력을 제공하도록 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치과용 조립체는 치아 기기에 고정하고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a dental assembly for a patient's oral cavity is provided. The dental assembly can include an implant hav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comprising a threaded portion configured to screw into a threaded recess of an abutment tooth, and the lower portion comprising an angled platform and extending from the platform. Comprising a threaded post, the threaded post configured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within a patient's oral cavity, the angled platform being angled with respect to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at an angle. The threaded post may be angled at, for example, about 15 degrees, about 20 degrees, about 30 degrees, 5 to 35 degrees, 10 to 35 degrees, 10 to 30 degrees, or 15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t is considered possible. In some embodiments, the angled platform has an angle, for example, about 15 degrees, about 20 degrees, about 30 degrees, 5 to 35 degrees, 10 to 35 degrees, 10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Alternatively, it may be angled at 15 to 30 degrees.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may include single lead threads or multiple lead threads.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may include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for self-tapping to bone or tissue. In some embodiments, the implant may include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7 mm, about 1.5 mm to about 6 mm, about 2.4 mm to about 4.9 mm, or about 1.5 mm to about 4.0 mm. In some embodiments, a threaded post may include two consecutive threads of different pitches. The dental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defining an interio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an exterio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tooth. In some embodiments, the retention member may include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defining a fixed, non-patient-removable interio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the exterio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tooth. You can. The retention member may be constructed of any suitable material(s), and in some embodiments may be constructed of a rigid material to provide a retention force of approximately 10 to 75 pounds (e.g., PEEK). The dental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cap configured to secure to the dental appliance and engage the retaining member.

일 양태에 따르면, 치과용 부착 조립체는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지대치 부재, 지대치 부재에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부착을 위한 유지 부재, 및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한다.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와, 상부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치아 근부 또는 임플란트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유지 부재는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있는 캡 내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부 단부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가질 수 있고, 스커트는 둥근, 볼록한 외부 표면을 갖고, 유지 부재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PEEK) 재료 또는 기타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한다. 지대치 부재와 유지 부재는 유지 부재가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캡은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동은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다. 공동의 오목한 내부 표면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허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includes an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chored to the abutment member, a retention member for attachment that is not removable by the patient, and secured to a recess of a dental appliance. It includes a cap configured to. The abutment member may have an upper end and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being positioned to project above a tissue level when the abutment member is secured to a tooth root or implant. The retention member may have an upper end configured to engage within a cap in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ention member for engagement over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 the skirt has a round, convex outer surface, and the retention member is comprised of a polyetheretherketone (PEEK) material or other rigid material to provide a retention force of approximately 10 to 75 pounds.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ention member may have a matable snap engagement shap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hen the reten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abutment member. The cap may include a cavity for receiving an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the cavity having a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The concave interior surface of the cavity may allow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over the rounded exterior surface of the skirt.

몇몇 실시예에서,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에 있는 헤드 부분 및 헤드 부분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샤프트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는 헤드 부분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하향 직선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에 대해 10도, 하향 직선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에 대해 20도, 하향 직선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에 대해 30도, 하향 직선으로 연장되는 샤프트에 대해 10 내지 30도, 또는 헤드 부분과 정렬되고 헤드 부분으로부터 직선으로 하향으로 연장됨). 몇몇 실시예에서, 지대치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소켓을 가질 수 있고 유지 헤드는 소켓에서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유지 헤드는 하부 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스커트는 유지 헤드의 하부 단부를 넘어 하향으로 연장되고, 그에 의해 스커트는 유지 헤드의 하부 단부가 지대치 부재로의 유지 부재의 재삽입 시 소켓에 도달하기 전에 지대치 부재와 접촉하게 된다. 지대치 부재는 소켓을 지대치 부재의 외부에 연결하여 타액이 빠져나가게 하는 배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의 외향 팽윤 부분 및 유지 부재의 스커트의 내부 표면의 대응하는 오목한 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캡은 중심 길이방향 축, 상단 벽 및 상단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환형 측벽을 갖는 대체로 컵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단 벽 및 측벽은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갖고, 공동은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된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선회 불가 맞물림을 위해 구성된 유지 부재와 선회 맞물림을 위해 구성된다. 상단 벽은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환형 주변 부분을 따라 환형 경로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갖는 내부 상단 표면을 가질 수 있고, 오목한 리세스는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을 형성한다. 오목한 리세스의 곡선은 공동의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개방 단부를 향해 측벽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계속될 수 있다. 곡선은 유지 부재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축방향 정렬된 선회 불가 위치와 공동의 중심 길이방향 축이 유지 부재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각도를 이루는 완전 선회 위치 사이에서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지 부재 위에서 캡의 선회 범위는 10 내지 30도, 15 내지 20도, 약 30도, 또는 적어도 30도일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butment member may have a head portion at an upper end and a shaft suspending downwardly from the head portion. The shaft may be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e.g., 10 degrees for the shaft extending straight down, 20 degrees for the shaft extending straight down, 30 degrees for the shaft extending straight down). , 10 to 30 degrees relative to the shaft extending straight downward, or aligned with the head portion and extending straight downward from the head portion). In some embodiments, the abutment member may have a socket project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ention head may project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ention member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in the socket. The retaining head may have a lower end, with a skirt extending downwardly beyond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head, whereby the skirt is positioned on the abutment tooth before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head reaches the socket upon reinsertion of the retaining member into the abutment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something. The abutment member may have a drainage hole that connects the socket to the outside of the abutment member and allows saliva to drain. In some embodiments, the registerable snap engagement shape may include an outwardly swollen portion of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and a corresponding concave ring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a skirt of the retention member. In some embodiments, the cap may include a generally cup-shaped member having a central longitudinal axis, a top wall, and annular side walls extending away from the top wall, the top wall and side walls being shaped to engage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The cavity is configured for pivotable engagement with a retaining member configured for non-pivotable engagement over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an abutment member attached to a tooth root, implant, or adjacent tooth. The top wall can have an inner top surface with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in an annular path along an outer annula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top surface, the concave recess forming a curve with a first radius of curvature. The curve of the concave recess may continue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ior surface of the side wall toward an open end of the rounded, concave interior surface of the cavity. The curve is such that it provides pivot engagement with the retaining member between a no pivot position axially aligned with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taining member and a fully pivoted position where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cavity is at an angle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taining member. It can be configured.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cap over the retaining member may be 10 to 30 degrees, 15 to 20 degrees, about 30 degrees, or at least 30 degrees.

일 양태에 따르면, 치과용 부착 조립체는,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지대치 부재로서,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와, 상부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을 갖고,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치아 근부 또는 임플란트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지대치 부재; 지대치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수형 부재(본 명세서에서는 유지 부재라고도 지칭됨)로서, 수형 부재는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있는 캡 내에 선회 맞물림을 위한 선회 조인트를 포함하는 상부 단부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해 수형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스커트는 둥근, 볼록한 외부 표면을 갖고, 수형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며; 지대치 부재와 수형 부재는 수형 부재가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는, 수형 부재; 및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고정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며, 캡은 상기 선회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고, 공동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가지며, 선회 조인트 및 캡 공동은 치과용 기기에 대해 수형 유지 부재 위에서 캡의 선회를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함께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부재들이 함께 고정될 때 수형 부재를 지대치 부재 위에 센터링하기 위해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에 적어도 인접하여 외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강성 재료는 PEEK이다. 일부 양태에서, 수형 부재는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도록 강성 재료로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is an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the abutment member having an upper end and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portion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portion an abutment member, the surface portion being positioned so that it protrudes above the tissue level when the abutment member is secured to a tooth root or implant; A male member (also referred to herein as a retaining member) for attachment to an abutment member, the male member having an upper end including a pivot joint for pivot engagement within a cap in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and an outer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having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projecting from an upper end of the male member for engagement over a positioning surface, the skirt having a round, convex outer surface, the male member being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The abutment member and the male member include a male member having a matable snap engagement shap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hen the male member is attached to the abutment member; and a cap for securing to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the cap having a cavity for receiving the pivot joint, the cavity having a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over the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skirt. , the pivot joint and the cap cavity together comprise means for permitting pivoting of the cap on the male retaining member relative to the dental instrument. In some aspects,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may be tapered outwardly at least adjacent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to center the male member over the abutment member when the members are secured together. In some embodiments, the rigid material is PEEK. In some embodiments, the male member is constructed of a rigid material to provide a hold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치과용 부착 조립체는,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상화된 제1 단부, 및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을 갖는 제2 단부를 갖는 지대치 부재로서,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2개의 대체로 둥근,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부분을 갖는, 지대치 부재;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예를 들어, PEEK)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유지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각각의 유지 부분과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스커트의 내부 표면에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스커트의 내부 표면 상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지대치 부재의 환형 돌출부 위에 스냅 맞물리기 위한 2개의 이격된, 환형 홈을 포함하는, 유지 부재; 및 유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캡을 포함하며, 캡은 치과용 기기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동은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은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대치 부재의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부분은 2개의 이격된, 환형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스커트의 내부 표면 상의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은 2개의 대체로 둥근, 환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공동 내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내부 상단 표면의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유지 부재는 중심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목한 리세스의 곡선은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측벽을 따라 계속된다. 오목한 리세스는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과 측벽을 따라 복수의 다양한 각도로 만곡될 수 있다. 오목한 리세스는 캡의 내부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부분까지 크기가 하나 이상 증가할 수 있는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캡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캡의 하단 부분까지 크기가 증가하는 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목한 리세스는 최대, 예를 들어 약 30도의 각도 교정을 갖는 유지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캡은, 예를 들어 약 5.4 mm의 외경과, 약 2.3 mm의 높이를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직경 및 높이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comprises an abutment member having a first end configured to attach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end having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an abutment membe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retaining portions comprising two generally round, annular protrusions;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a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being made of a rigid material (e.g., PEEK). ), providing a retention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the retention members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snap-engaging shap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ith respective retention portions of the abutment members. a retaining member having two spaced apart, annular groov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the axially spaced snap-engaging shape for snap-engaging onto the annular protrusions of the abutment member; and a cap having a rounde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a cavity for receiving the retaining member, the cap being configured to be secured to a dental appliance. In some embodiments, the cavity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ivot engagement with a retaining member, for example,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may have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along the outer perimeter of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Includes. In some embodiments, the at least two axially spaced retaining portions of the abutment member may include two spaced apart, annular grooves, and the at least two axially spaced, snap engaging featur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may include: It may include two generally round, annular protrusions. In some embodiments, the assembly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of the interior top surface protruding vertically into the cavity, and the retaining member may directly contact the central portion. In some embodiments, the curve of the concave recess continues along the sidewalls of the rounde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the cavity. The concave recess may be curv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angles along the interior top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cavity. The concave recess may consist of a series of successive tangential arcs that may increase in size by one or more from the inner top surface of the cap to the bottom portion, and may consist of circles that increase in size from the top portion of the cap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cap. It can be. The concave recess may provide the retaining member with angular correction of up to, for example, about 30 degrees. The cap may have any suitable diameter and height, including, for example, an outer diameter of about 5.4 mm and a height of about 2.3 mm.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치과용 조립체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i)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으로서, 제1 단부 부분은: (1) 지대치 부재와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돌출부로서, 지대치 부재는 하부 부분을 갖는, 외부 돌출부; 및 (2) 환형 시트를 정의하는 환형 커프 부분을 포함하고; 지대치 부재의 하부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외부 돌출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때 연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환형 시트에 접촉하고 안착되며, 임플란트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연결 라인은 환자의 잇몸 라인 약간 아래에 위치되는, 제1 단부 부분; 및 (ii)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직접 맞물리기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b)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강성 재료는 PEEK를 포함하는, 유지 부재; 및 c) 치과용 기기에 고정하고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 외부 돌출부, 및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형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환형 시트에 대해 각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dental assembly is: an intraosseous dental implant, comprising: (i) a first end portion having an upper and lower end, the first end portion comprising: (1) a first end portion f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an abutment member; an external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end portion, the abutment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and (2) an annular cuff portion defining an annular sheet; The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contacts and seats against the annular sheet to form a connection line when the abutment member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external projection, the connection line being slightly below the patient's gum line when the implant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a first end portion located at; and (ii)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direct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of the patient; b)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that is fixed on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and is not removable by the patient, The member is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and provides a retention force of 10 to 75 pounds, the rigid material comprising PEEK; and c) a cap configured to secure to the dental appliance and engage with the retaining member. In some aspects, the threaded post can be angled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the external protrusion, and the abutment member. In some aspects, the threaded post may be angled relative to the annular seat.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치과용 조립체는: a)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i)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으로서, 제1 단부 부분은: (1) 지대치 부재와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돌출부로서, 지대치 부재는 외부 하부 베벨 부분을 갖는, 외부 돌출부; 및 (2) 오목한, 내향 테이퍼진 베벨 표면을 갖는 환형 시트를 정의하는 환형 커프 부분을 포함하고, 테이퍼진 베벨 표면은 외부 돌출부를 둘러싸며; 지대치 부재의 하부 베벨은 지대치 부재가 외부 돌출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때 연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환형 시트의 테이퍼진 베벨 표면에 접촉하고 안착되며, 임플란트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연결 라인은 환자의 잇몸 라인 약간 아래에 위치되는, 제1 단부 부분; 및 (ii)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직접 맞물리기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b)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예를 들어, PEEK)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유지 부재; 및 c) 치과용 기기에 고정하고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한다. 나사식 포스트는 직선형일 수 있거나,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10 내지 20도, 약 15도, 25 내지 35도, 또는 약 30도 각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단일 리드 나사부 또는 다중 리드 나사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이한 피치의 2개의 연속적인 나사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환형 커프 부분은 다양한 조직 깊이를 수용하도록 다양한 높이로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돌출부는 돌출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연장되는 도구 수용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dental assembly is: a) an endosseous dental implant, comprising: (i) a first end portion having an upper and lower end, wherein the first end portion is: (1) f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an abutment member; an external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irst end portion, the abutment member having an external lower beveled portion; and (2) an annular cuff portion defining an annular sheet having a concave, inwardly tapered beveled surface, the tapered beveled surface surrounding the outward protrusion; The lower bevel of the abutment member contacts and seats against the tapered beveled surface of the annular sheet to form a connecting line when the abutment member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external protrusion, and when the implant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the connecting line is aligned with the patient's oral cavity. a first end portion located slightly below the gum line of; and (ii)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direct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of the patient; b)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being made of a rigid material (e.g. , PEEK), providing a retention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and c) a cap configured to secure to the dental appliance and engage with the retaining member. It is contemplated that the threaded post may be straight or may be angled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For example, the threaded post may be angled 10 to 20 degrees, about 15 degrees, 25 to 35 degrees, or about 30 degree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includes single lead threads or multiple lead threads.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includes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to self-tap into bone or tissue of a patient. In some embodiments, the dental implant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4.0 mm.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includes two consecutive threads of different pitches. In some embodiments, the annular cuff portion can be of various heights to accommodate various tissue depths. In some embodiments, the external protrusion may include a tool receiving bore extend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protrusion.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치과용 조립체는: 제1 리세스 및 제2 리세스를 포함하는 치과용 기기; 제1 리세스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캡 및 제2 리세스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캡;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제1 지대치 부재와, 제2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제2 지대치 부재; 제1 캡 내에서 맞물리도록 크기 설정된 제1 유지 부재로서, 제1 유지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예를 들어,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고정된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예를 들어, PEEK)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제1 유지 부재; 및 제2 캡 내에 맞물리도록 크기 설정된 제2 유지 부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유지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예를 들어, PEEK)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한다. 상기 또는 상세한 설명에 설명된 지대치 부재, 캡 및 유지 부재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하여 모든 적절한 지대치 부재, 캡 및 유지 부재가 고려된다. 일부 양태에서, 제1 부착 조립체는 제2 부착 조립체의 구성요소와는 상이한 유형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착 조립체의 유지 부재는 제2 부착 조립체의 유지 부재와 상이한 유형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제1 부착 조립체는 제2 부착 조립체와 동일한 구성요소 유형을 모두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dental assembly includes: a dental appliance comprising a first recess and a second recess; a first cap for securing to the first recess and a second cap for securing to the second recess; a first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first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second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 first retention member sized to engage within the first cap, the first retention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to engage over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e.g., removable by the patient). having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defining an interior surface for fixed engagement), wherein the retaining member is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e.g., PEEK) to provide a retain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a first holding member; and a second retaining member sized to engage within the second cap. In some embodiments, the second retention member includes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defining an interio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an exterior positioning surface of the second abutment member, The member is constructed of a rigid material (e.g., PEEK) to provide a holding force of approximately 10 to 75 pounds. All suitable abutment members, caps and retention members are contemplated, including any or all of the abutment members, caps and retention members described above or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 some aspects, the first attachment assembly can have at least one component of a different type than the component of the second attachment assembly. For example, the retaining member of the first attachment assembly may be of a different type than the retaining member of the second attachment assembly. In some aspects, the first attachment assembly can have all of the same component types as the second attachment assembly.

치과용 기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일부 양태에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지대치 부재가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둘레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되며, 제1 유지 부재는 제1 캡 내에서 맞물리기 위한 상부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지대치 부재와 제1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부재가 제1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제1 캡은 선회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공동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가지며, 선회 조인트 및 캡 공동은 치과용 기기에 대해 제1 유지 부재 위에서 제1 캡의 선회를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함께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부재들이 함께 고정될 때 제1 유지 부재를 제1 지대치 부재 위에 센터링하기 위해 제1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에 적어도 인접하여 외향으로 테이퍼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소켓을 가질 수 있고 유지 헤드는 소켓에서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제1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제1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외향 테이퍼를 가질 수 있고, 제1 지대치 부재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종결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제1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 아래에 이격된 하부 단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제1 유지 부재의 스커트는, 오목하고, 제1 유지 부재와 제1 지대치 부재가 함께 고정될 때 내부 표면의 높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을 따라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미리 결정된 높이의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제1 캡은 중심 길이방향 축, 상단 벽 및 상단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환형 측벽을 갖는 대체로 컵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단 벽 및 측벽은 치과용 기기의 제1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갖는다.In some aspects of embodiments comprising a dental appliance, the first abutment member includes an upper end, and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is formed when the abutment member is secured to a first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Positioned to protrude about the tissue level, the first retention member including an upper end for engaging within the first cap, the first abutment member and the first retention member being attached to the first abutment member. a first cap comprising a cavity for receiving a pivot joint, the cavity having a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over a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skirt; wherein the pivot joint and the cap cavity together include means for permitting pivoting of the first cap on the first retaining member relative to the dental instrument. In some aspects,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may be tapered outwardly at least adjacent an upper end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to center the first retention member over the first abutment member when the members are secured together. . In some aspects, the first abutment member can have a socket project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ention head can project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tention member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in the socket. In some aspects,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can have an outward taper from an upper end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and can termina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a tissue level when the first abutment member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In some aspects, the first abutment member may include a generally cylindrical head having a lower end spaced below an upper end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In some embodiments, the skirt of the first retention member is concave and includes a portion of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along at least a major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when the first retention member and the first abutment member are secured together. It may have an interior surface of a predetermined height that is not in contact. 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cap can include a generally cup-shaped member having a central longitudinal axis, a top wall, and annular side walls extending away from the top wall, the top wall and side walls being located in the first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It has an outer surface shaped to engage with the swivel.

치과용 기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일부 양태에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상화된 제1 단부, 및 제1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을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지대치 부재의 제1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2개의 대체로 둥근,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부분을 갖고, 제1 유지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각각의 유지 부분과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스커트의 내부 표면에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스커트의 내부 표면 상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제1 지대치 부재의 환형 돌출부 위에 스냅 맞물리기 위한 2개의 이격된, 환형 홈을 포함하며, 제1 캡은 제1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은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포함한다. 내부 상단 표면의 중심부는 공동 내로 수직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1 유지 부재는 중심부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오목한 리세스의 곡선은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측벽을 따라 계속될 수 있다. 오목한 리세스는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과 측벽을 따라 복수의 다양한 각도로 만곡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오목한 리세스는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로 구성될 수 있다.In some aspects of embodiments comprising a dental appliance, the first abutment member may include a first end configured to attach to a first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end having a first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wherein the first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has at least two axially spaced apart retaining portions comprising two generally round, annular protrusions, the first retaining member having each retaining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snap engaging featur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ith the annular protrusions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comprising two spaced apart, annular grooves for snap engagement thereon, the first cap comprising a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a cavity for receiving pivot engagement with the first retaining member;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includes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along an outer perimeter of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top surface may protrude vertically into the cavity, and the first retaining member may directly contact the central portion. In some aspects, the curve of the concave recess may continue along the sidewalls of the rounde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the cavity. The concave recess may be curv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angles along the interior top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cavit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concave recess may consist of a series of continuous tangential arcs.

치과용 기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일부 양태에서, 조립체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를 더 포함한다. 임플란트는, (i)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으로서, 제1 단부 부분은: (1) 제1 지대치 부재와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돌출부로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외부 하부 베벨 부분을 갖는, 외부 돌출부; 및 (2) 오목한, 내향 테이퍼진 베벨 표면을 갖는 환형 시트를 정의하는 환형 커프 부분을 포함하고, 테이퍼진 베벨 표면은 외부 돌출부를 둘러싸며; 제1 지대치 부재의 하부 베벨은 지대치 부재가 외부 돌출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때 연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환형 시트의 테이퍼진 베벨 표면에 접촉하고 안착되며, 임플란트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연결 라인은 환자의 잇몸 라인 약간 아래에 위치되는, 제1 단부 부분; 및 (ii)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직접 맞물리기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한다.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제1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예를 들어, 10 내지 20도, 약 15도, 25 내지 35도, 약 30도) 각형성될 수 있다.In some aspects of embodiments comprising a dental appliance, the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intraosseous dental implant. The implant comprises: (i) a first end portion having an upper and lower end, the first end portion comprising: (1) an external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a first abutment member; The first abutment member includes an external projection having an external lower beveled portion; and (2) an annular cuff portion defining an annular sheet having a concave, inwardly tapered beveled surface, the tapered beveled surface surrounding the outward protrusion; The lower bevel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contacts and seats against the tapered beveled surface of the annular seat to form a connection line when the abutment member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external protrusion, a connection line when the implant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a first end portion positioned slightly below the patient's gum line; and (ii)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direct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of the patient. The threaded post may be angled (eg, 10 to 20 degrees, about 15 degrees, 25 to 35 degrees, about 30 degree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first abutment member.

치과용 기기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일부 양태에서, 조립체는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더 포함하고; 상부 부분은 제1 지대치 부재의 나사식 리세스 내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부분을 포함하며; 하부 부분은 각형성된 플랫폼 및 각형성된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며,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구강 내 뼈 또는 조직과 나사식 맞물림을 위해 구성되고, 각형성된 플랫폼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각형성된다.In some aspects of embodiments comprising a dental appliance, the assembly further comprises an implant compris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includes a threaded portion configured to be threaded into a threaded recess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The lower portion includes an angled platform and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angled platform, the threaded post configured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within the patient's mouth, the angled platform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It is angled with respect to orthogonal lines.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에 관한 세부 사항은 유사한 참조 번호가 유사한 부분을 지칭하는 첨부 도면을 연구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뼈 또는 치아 근부와 같은 다른 베이스 구조에 고정될 수 있는 임플란트에 부착되거나 달리 결합될 수 있는 치과용 고정 또는 부착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유지 부재 헤드의 외부 표면을 예시하며;
도 3은 도 2의 유지 부재 헤드의 외부 표면의 또 다른 도면을 예시하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각형성된, 제거된 구성의 치과용 부착 조립체를 예시하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도 배향의 치과용 부착 조립체를 예시하지만, 유지 부재는 이제 지대치의 소켓에 스냅 체결되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기기를 임플란트에 부착하기 위한 탈착식 치과용 부착 조립체의 지대치 부재를 예시하며;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유지 부재가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도 6의 라인 7-7을 따라 취한 단면도를 예시하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지대치 부재와 정렬되는 도 7의 유지 부재를 도시하고 있는, 도 7과 유사한 도면이며;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캡을 포함하고 도 6의 지대치 부재에 결합된 도 7의 유지 부재를 도시하는 도 7 및 도 8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지대치 부재의 단축된 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치과용 조립체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하고;
도 11b는 도 11a의 치과용 조립체의 캡의 등각도이며;
도 11c는 도 11b의 치과용 조립체의 캡의 등각 절취도이고;
도 11d는 도 11a의 치과용 조립체의 캡과 유지 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11e는 캡의 내부 벽에 오목한 리세스의 각도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연속적인 접선 원호를 예시하는 도 11a의 치과용 조립체의 캡의 단면도이고;
도 11f는 오목한 리세스의 각도를 예시하는 도 11a의 치과용 조립체의 캡의 단면도이며;
도 11g는 완전 선회 위치에서 도 11a의 치과용 부착 조립체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약간의 탄력성을 허용하기 위해 유지 부재에 절취된 간극 또는 슬롯을 포함하는 종래의 PEEK 유지 부재를 예시하며;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고정 또는 부착 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고;
도 14a는 하부 부분이 직선이 되도록 구성된 치과용 고정 또는 부착 조립체를 예시하며;
도 14b는 각형성되도록 구성된 하부 부분을 갖는 도 14a의 조립체를 예시하고;
도 14c는 각형성되도록 구성된 다른 하부 부분을 갖는 도 14a의 조립체를 예시하며;
도 15a는 실시예에 따른, 탈착식 중첩 의치 조립체를 예시하고;
도 15b는 실시예에 따른, 바아를 사용하는 탈착식 의치 조립체를 예시하며;
도 16a는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의치 조립체를 예시하고;
도 16b는 실시예에 따른, 다른 고정식 의치 조립체를 예시하며;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하이브리드 치과용 부착 조립체를 예시한다.
Details regard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gathered in part by study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parts.
1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dental anchorage or attachment assembly that can be attached to or otherwise coupled to an implant that can be anchored to bone or another base structure, such as a tooth ro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llustrates the outer surface of a retaining member h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llustrates another view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taining member head of Figure 2;
4 illustrates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in a angled, removed configu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5 illustrates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in the angular orientation shown in Figure 4, but with the retaining member now snapping into the socket of the abutment tooth;
6 illustrates an abutment member of a removable dental attachment assembly for attaching a dental instrument to an im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in Figure 6 with the retaining member shown in a separat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view similar to Figure 7, showing the retaining member of Figure 7 aligned with the abutment member of Figure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9 is a view similar to Figures 7 and 8 showing the retaining member of Figure 7 coupled to the abutment member of Figure 6 and including a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ortened form of the abutment member of Figure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11A illustrates another example embodiment of a removable dental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1B is an isometric view of the cap of the dental assembly of Figure 11A;
Figure 11C is an isometric cut away view of the cap of the dental assembly of Figure 11B;
Figure 11D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and retaining member of the dental assembly of Figure 11A;
Figure 11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of the dental assembly of Figure 11A illustrating a continuous tangential arc used to create the angle of a concave recess in the interior wall of the cap;
Figure 11F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of the dental assembly of Figure 11A illustrating the angle of the concave recess;
Figure 11G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Figure 11A in a fully pivoted position;
Figure 12 illustrates a conventional PEEK retaining member including gaps or slots cut into the retaining member to allow for some elasticity;
13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dental fixation or attachmen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4A illustrates a dental fixation or attachment assembly configured to have a straight lower portion;
Figure 14B illustrates the assembly of Figure 14A with the lower portion configured to be angled;
Figure 14C illustrates the assembly of Figure 14A with another lower portion configured to be angled;
15A illustrates a removable overlapping den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15B illustrates a removable denture assembly using a b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A illustrates a fixed den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16B illustrates another fixed dentur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17 illustrates a stationary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의도되며, 본 개시내용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예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실시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경우에, 설명의 간결성을 위해 잘 알려진 구조와 구성요소가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된다.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as a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disclosure may be practiced. The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well-known structures and components are shown in simplified form for brevity of explanation.

전체 내용이 기재된 것처럼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9,931,181호('181 특허)에 설명된 치과용 부착 조립체는 전술한 고정식 치과용 부착 시스템과 유사하게 기능하지만, 특수 도구를 사용하여 치과 전문의에 의해 더 쉽게 제거될 수 있고 종래의 고정식 치과용 부착 조립체의 많은 문제를 극복한다. '181 특허에 설명된 치과용 부착 조립체는 의치와 같이 환자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의도되지 않은 치과용 기기를 임플란트와 부착하는 데 유용하며 약 8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된 재료의 압축 가능한 특성 및 조립체 내에 포함된 볼 및 소켓 구성요소의 마찰 유지 스냅 체결로 인해 지대치와 유지 부재의 용이한 맞물림을 또한 제공한다.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described in U.S. Patent No. 9,931,181 (the '181 patent),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s if set forth in its entirety, functions similarly to the fixed dental attachment system described above, but uses special tools to provide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It can be more easily removed and overcomes many of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fixed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described in the '181 patent is useful for attaching a dental device not intended to be removed by the patient, such as a denture, to an implant and provides a retention force of approximately 8 to 75 pounds, while also providing a retention force of approximately 8 to 75 pounds. It also provides for easy engagement of the abutment and retaining member due to the compressible nature of the abutment and the friction retaining snap fastening of the ball and socket components included within the assembly.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는 폴리머 또는 연질 금속과 같은 압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유지 부재가 임플란트에 고정된 지대치에 부착되거나 지대치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압축 및 굴곡되게 한다. 압축 가능한 가요성 유지 부재는 다양한 각도에서 지대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사람의 상부 또는 하부 하악골에 걸쳐 다양한 각도로 연장되는 복수의 임플란트에 치과용 기기를 고정할 때 흔히 필요하다. 추가로, 압축 가능한 볼은 유지 부재와 내부 지대치 벽 사이의 지대치 소켓에 위치 설정될 별개의 압축 가능한 환형 링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환형 링을 지대치 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메커니즘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치과용 부착 조립체는 제조가 더 용이하고 일단 삽입되면 유지 보수가 덜 필요하다.A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retention member may be formed of a compressible material such as a polymer or soft metal to allow compression and flexing while the retention member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n abutment tooth secured to an implant. The compressible flexible retaining member can be secured to an abutment tooth at various angles, which is often necessary when securing dental appliances to multiple implants extending at various angles across a person's upper or lower mandible. Additionally, the compressible ball does not require a separate compressible annular ring to be positioned in the abutment socket between the retaining member and the internal abutment wall, nor does it require a securing mechanism to secure the annular ring to the abutment wall. Accordingly,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is easier to manufacture and requires less maintenance once inserted.

본 명세서의 도 1 내지 도 5는 '181특허의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하다. 도 1은 뼈 또는 치아 근부와 같은 다른 베이스 구조(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는 임플란트(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될 수 있는 치과용 고정 또는 부착 조립체(100)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다. 조립체는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지대치(102) 및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고정되는 캡 또는 의치 부착 하우징(denture attachment housing)(DAH)(104)을 포함한다. 유지 부재(106)는 캡(104)과 지대치(102) 사이의 마찰 유지 연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유지 부재(106)는, 예를 들어 캡(104)의 대응 나사식 보어(111)와 나사식 연결되는 나사식 단부 부분(110)을 갖는 샤프트(108)를 포함한다. 지대치(102)와 접경하는 샤프트의 제2 단부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구형이고 지대치(102)의 상부 개구(116)에서 발견되는 소켓(114)의 내향 돌출부 또는 미늘(120)과 마찰 끼워맞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헤드(112)를 포함한다.Figures 1 to 5 of this specification are the same as Figures 1 to 5 of the '181 patent. 1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dental fixation or attachment assembly 100 that can be attached to an implant (not shown) which can be secured to another base structure (not shown) such as bone or a tooth root. The assembly includes an abutment 102 secured to the implant and a cap or denture attachment housing (DAH) 104 secured to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Retention member 106 serves to provide a friction-retaining connection between cap 104 and abutment tooth 102. For this purpose, the retaining member 106 comprises, for example, a shaft 108 with a threaded end portion 110 in threaded connection with a corresponding threaded bore 111 of the cap 104 . The second end of the shaft, which abuts the abutment 102, is substantially spherical in shape and is in friction fit with an inward projection or barb 120 of the socket 114 found in the upper opening 116 of the abutment 102. It includes a head 112 configured to generate.

헤드(112)는 소켓(114)의 환형 내향 돌출부(120)와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만곡 표면(118), 및 유지 부재(106)가 캡(104)의 보어(111)에 나사 결합식으로 맞물릴 때 적절한 도구와 맞물리도록, 예를 들어 내향 육각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리세스(121)를 갖는 평탄한 하부 단부면(119)을 포함한다. 내향 돌출부(120)는 헤드(112)와 맞물리는 언더컷(123)을 갖는다. 소켓(114)은 헤드(112)의 만곡 표면(118)과 합치하도록 반드시 만곡될 필요는 없다. 대신에, 헤드(112)는 대부분의 또는 모든 부착 배향에서 돌출부(120)에서만 소켓(114)과 접촉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헤드(112)의 외부 표면은 볼록한 반면, 헤드의 외부 단부면(119)은 헤드(112)와 지대치(102)의 더 긴밀한 끼워맞춤을 제공하도록 평탄하다. 내향 돌출부(120)는 소켓(114)의 입구에서 헤드(112)의 대응 직경과 마찰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다.The head 112 has a curved surface 118 configured to frictionally engage with the annular inward protrusion 120 of the socket 114, and a retaining member 106 screwably engaged with the bore 111 of the cap 104. It has a flat lower end surface 119 with a recess 121, for example of an inward hexagonal or polygonal shape, to engage a suitable tool when engaged. The inward protrusion 120 has an undercut 123 that engages the head 112 . Socket 114 need not necessarily be curved to conform to curved surface 118 of head 112. Instead, head 112 contacts socket 114 only at protrusion 120 in most or all attachment orientations. 1 ,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112 is convex, while the outer end surface 119 of the head is flat to provide a closer fit of the head 112 and the abutment 102. The inward protrusion 120 is configured to friction fit with a corresponding diameter of the head 112 at the entrance of the socket 114.

유지 부재(106)를 위한 압축 가능한 재료의 한 가지 이점은, 환형 돌출부(120)의 언더컷 미늘(123)과 맞물리는 헤드(112)의 마찰 끼워맞춤 또는 압축에 의해 제공되는 유지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헤드(112)의 직경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다. 헤드(112)의 최대 직경이 클수록, 내향 돌출부(120)가 완전히 맞물렸을 때 헤드 내로 더 깊게 파고들기 때문에 유지력이 더 커진다. 더 작은 직경의 헤드(112)는 더 적은 유지력을 제공한다. 유지력은 또한 도 31 내지 도 35c의 수정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181 특허에 더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112)에 대해 상이한, 더 연질의 또는 더 경질의 압축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One advantage of a compressible material for the retaining member 106 is that it increases or decreases the retaining force provided by compression or friction fit of the head 112 engaging the undercut barbs 123 of the annular protrusion 120. In order to do this, the diameter of the head 112 can be changed. The larger the maximum diameter of the head 112, the greater the retention force because the inward protrusions 120 dig deeper into the head when fully engaged. The smaller diameter head 112 provides less holding force. The retention force can also be varied by using a different, softer or harder compressible material for the head 112, a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181 patent with respect to the modified embodiment of FIGS. 31-35C. there is.

도 2 및 도 3은 유지 부재(106)의 일 실시예의 헤드(112)의 외부 표면을 예시한다. 외부 볼 형상 또는 볼록한 만곡 표면(118)은 헤드의 만곡 표면(118)과 소켓의 대응 만곡 표면 또는 돌출부(120) 사이의 마찰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표면(118)의 원주 둘레에 일련의 평탄부 또는 평탄화 부분(119)을 가질 수 있다. 대안 실시예에서, 평탄부가 제공되지 않고 헤드는 매끄러운 외부 볼록한 표면을 갖는다. 매끈러운 볼록한 표면은 헤드(112)와 돌출부(120) 사이의 마찰량을 증가시키는데, 그 이유는 돌출부가 도 1의 부착 구성에서 헤드의 압축 가능한 표면으로 더 깊이 파고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 파라미터 중 하나, 둘 또는 모두를 사용하여 지대치 소켓에서 헤드의 유지력을 변경할 수 있다: 헤드 직경, 헤드 형상, 및 헤드의 선택된 압축 가능한 재료. 유지력은 약 10 내지 약 75 파운드 사이의 어디에서든 다양할 수 있지만, 몇몇 실시예에서는 치과용 기기 및 치과용 고정 디바이스의 초기 위치 설정에 사용하기 위해 약 1 파운드만큼 작은 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2 and 3 illustrate the outer surface of the head 112 of one embodiment of the retaining member 106. The outer ball-shaped or convex curved surface 118 has a series of plateaus or protrusions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surface 118 to reduce the amount of friction between the curved surface 118 of the head and the corresponding curved surface or protrusion 120 of the socket. It may have a flattening portion (119).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no flat portion is provided and the head has a smooth outer convex surface. The smooth convex surface increases the amount of friction between head 112 and protrusion 120 because the protrusion digs deeper into the compressible surface of the head in the attachment configuration of FIG. 1 . Accordingly, one, two or both of the following parameters can be used to vary the retention force of the head in the abutment socket: head diameter, head geometry, and selected compressible material of the head. The retention force may vary anywhere between about 10 and about 75 pounds, although some embodiments may provide retention forces as small as about 1 pound for use in initial positioning of dental appliances and dental fixation devices.

캡(104)은 지대치의 대응 만곡된 외부 표면(124)과 맞물리도록 만곡될 수 있는 환형 내부 표면(122)을 갖게 구성되어, 치과용 부착 조립체에 추가적인 마찰 끼워맞춤을 제공한다.The cap 104 is configured to have an annular inner surface 122 that can be curved to engage a corresponding curved outer surface 124 of the abutment tooth, thereby providing an additional friction fit to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일 실시예에서, 볼 플랜지(126)는 나사식 부분(110) 아래의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샤프트(108)에 제공된다. 플랜지(126)는 샤프트(108)의 축방향에 직교하여 연장되고 나사식 스템(110)이 보어(111)에 나사 결합될 때 캡(104)의 공동의 대향 표면(127)과 맞물림으로써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볼 플랜지(126)는 소켓(114)과 캡(104) 내에 볼(112)을 위치 결정하는 것을 돕고 조립체의 수직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one embodiment, ball flanges 126 are provided on shaft 108 at predetermined intervals below threaded portion 110. The flange 126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108 and engages the cavity opposing surface 127 of the cap 104 when the threaded stem 110 is screwed into the bore 111, thereby forming a stop. It acts as Ball flange 126 helps position ball 112 within socket 114 and cap 104 and serves to prevent vertical movement of the assembly.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유지 부재(106)는 폴리머 또는 연질 금속과 같은 압축 가능한 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과 같은 폴리머, Delrin®과 같은 폴리옥시메틸렌 또는 아세탈 폴리머, 및 니켈 티타늄(니티놀), 핑크 TiCN(티타늄 탄질화물) 또는 티타늄과 같은 연질 금속을 포함한다. 연질 금속은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 부분의 표면 상의 코팅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면은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질화금 코팅으로 코팅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the retaining member 106 may be formed from a compressible or elastomeric material, such as a polymer or soft meta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polymer such as polyether ether ketone (PEEK), Delrin polyoxymethylene or acetal polymers such as ®, and soft metals such as nickel titanium (nitinol), pink TiCN (titanium carbonitride) or titanium. The soft metal may be a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in some embodiments. In one embodiment, the surface may be coated with a gold nitride coating to reduce friction.

도 4는 헤드(118)를 소켓(116, 114)에 완전히 삽입하기 전의 각형성된, 부착되지 않은 구성의 치과용 부착 조립체를 예시하며, 유지 부재(106)가 지대치에 스냅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각도를 예시한다. 실제 용례에서는, 뼈의 구조나 수술 중 임플란트의 배치로 인해 임플란트가 이상적인 수직 각도로부터 다양한 각도로 뼈 또는 치아 근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치과용 고정 또는 부착 조립체는 소켓(114)에서 헤드(112)의 회전에 의해 임의의 각도 변위를 교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대치에 대한 헤드의 접근 각도는 도 1에 도시된 수직 정렬 배향으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최대 약 20도까지 다양할 수 있다. 유사한 각도로 또한 오프셋된 또 다른 임플란트와 조합하여, 치과용 고정 디바이스는 따라서 약 40도 정도의 각도 교정을 제공할 수 있다.4 illustrates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in an angled, unattached configuration prior to full insertion of the head 118 into the socket 116, 114, showing the various angles at which the retaining member 106 may be snapped onto the abutment tooth. exemplifies. In actual applications, the structure of the bone or the placement of the implant during surgery may cause the implant to protrude from the bone or tooth root at various angles from the ideal vertical angle. Accordingly, the dental fixation or attachment assembly corrects any angular displacement by rotation of the head 112 in the socket 114. In one embodiment, the angle of approach of the head relative to the abutment can vary up to about 20 degrees in any direction from the vertical alignment orientation shown in Figure 1. In combination with another implant also offset at a similar angle, the dental fixation device can thus provide angular correction of the order of 40 degrees.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도 배향의 치과용 부착 조립체를 예시하지만, 유지 부재(106)는 이제 지대치(102)의 소켓(114)에 스냅 체결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헤드(112)는 차동 각도에도 불구하고 소켓(114)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캡(104)의 환형 표면(122)은 또한 도 5에 나타낸 오프셋으로 지대치의 외부 만곡 표면(124) 둘레에 여전히 마찰식으로 맞물려 있고, 환형 돌출부(120)는 헤드(118)의 대향하는 캡의 환형 표면 부분 둘레에 각지게 마찰식으로 맞물려 있다.FIG. 5 illustrates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in the angular orientation shown in FIG. 4 , but retaining member 106 is now snapped into socket 114 of abutment 102 . As illustrated in FIG. 5 , head 112 may be secured within socket 114 despite differential angles. Moreover, the annular surface 122 of the cap 104 is still frictionally engaged around the outer curved surface 124 of the abutment tooth at the offset shown in FIG. It is angled and frictionally engaged around the annular surface portion of the cap.

치과용 부착 조립체는, 기기의 구멍을 통한 약화를 제거하고 함께 나사 결합된 계면을 폴리머 또는 연질 금속과 같은 압축 가능한 또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된 유지 부재(106)로 대체한다는 점에서 고정식 치과용 조립체에 있어서 큰 진전이 있었고, 그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과 같은 폴리머, Delrin®과 같은 폴리옥시메틸렌 또는 아세탈 폴리머, 및 니켈 티타늄(니티놀), 핑크 TiCN(티타늄 탄질화물) 또는 티타늄과 같은 연질 금속을 포함하지만, 탈착식 또는 고정식 기기와 교환 가능하지 않고, 한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전환하려면 고가의 구성요소 교체가 필요하며, 복원 높이가 15 내지 18 mm일 수 있다.A dental attachment assembly is similar to a fixed dental assembly in that it eliminates weakening through the orifice of the instrument and replaces the interfaces that are screwed together with a retaining member (106) made of a compressible or elastomeric material, such as a polymer or soft metal.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polymers such as polyether ether ketone (PEEK), polyoxymethylene or acetal polymers such as Delrin®, and nickel titanium (nitinol), pink TiCN (titanium carbonitride) or titanium. However, they are not interchangeable with removable or fixed devices, switching from one device to another requires expensive component replacement, and restoration heights can be 15 to 18 mm.

도 6 내지 도 10은 미국 특허 제6,030,219호('219 특허)의 도 1 내지 도 5를 재현한 것으로, 이 특허는 그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고 치과용 기기를 임플란트(12)에 부착하기 위한 탈착식 치과용 부착 조립체(10)를 예시하고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 예시된 설계는 전술한 탈착식 조립체의 결함을 극복하는 개선 사항을 제시한다. 조립체는 암형 소켓 부재 또는 지대치 요소(14) 및 치과용 기기 또는 보철물에 고정된 캡(18)에 선회 맞물림을 갖는 수형 유지 부재 또는 요소(16)를 포함한다. 암형 요소(14)는 티타늄 질화물이 코팅된 티타늄, 핑크 TiCN(티타늄 탄질화물), DLC(diamond like coating)(다이아몬드 유사 코팅) 또는 유사한 재료와 같은 상대적으로 강한 재료로 구성된다. 요소(14)는 상향을 향하는 소켓(26)을 갖는 확대된 상부 단부 부분(20)과, 상부 또는 하부 치열궁의 뼈에 고정된 임플란트 고정구(12)에 부착하기 위한 하향 나사식 샤프트 또는 스템(22)을 갖는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스템(22)은 임플란트 고정구(12)의 나사식 공동에 맞물리도록 나사식이다. 암형 요소는 현재 시중에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다양한 임플란트 고정구에 맞물리기 위한 다중 나사 구성 및 직경으로 제공될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6-10 are reproductions of FIGS. 1-5 of U.S. Pat. No. 6,030,219 (the '219 patent), which patent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and relates to Attaching a Dental Appliance to an Implant 12 A detachable dental attachment assembly 10 for the following is illustrated. The designs illustrated in Figures 6-10 present improvements that overcome the deficiencies of the removable assembly described above. The assembly includes a female socket member or abutment element 14 and a male retaining member or element 16 in pivotable engagement with a cap 18 secured to the dental appliance or prosthesis. The female element 14 is made of a relatively strong material such as titanium with titanium nitride coating, pink TiCN (titanium carbonitride), diamond like coating (DLC) or similar material. Element 14 has an enlarged upper end portion 20 with an upwardly facing socket 26 and a downwardly threaded shaft or stem 22 for attachment to an implant fixture 12 fixed to the bone of the upper or lower dental arch. ) has. 6-10, the stem 22 is threaded to engage a threaded cavity of the implant fixture 12.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female element will be available in multiple thread configurations and diameters for engagement with any of the various implant fixtures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상향을 향하는 소켓(26)은 수형 요소(16) 상의 하향 현수된 유지 헤드(28)와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적절한 형상과 치수를 갖는다. 소켓(26)과 헤드(28)의 정합 형상은 미국 특허 제5,417,570호('570 특허)에 설명된 것과 유사하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며 유사한 작용을 할 것이다. 도 9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암형 요소가 임플란트 또는 치아 근부에 고정될 때 상부 단부 부분(20)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30)은 조직 레벨(32) 위로 상향 돌출한다. 위치 결정 표면(30)은 바람직하게는 조직 레벨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단부 부분(20)의 상부 단부까지 약간 내향 테이퍼를 갖는다. 잇몸 레벨 아래의 표면 부분(34)은 원통형일 수 있거나 약간 내향 테이퍼를 가질 수 있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단부 부분(14)의 하부 단부(35)에서의 직경은 임플란트(12)의 직경과 일치하게 된다.The upwardly facing socket 26 has an appropriate shape and dimension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ith the downwardly suspended retaining head 28 on the male element 16. The mating configuration of socket 26 and head 28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U.S. Pat. No. 5,417,570 (the '570 patent),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nd will perform similar functions. As best illustrated in Figure 9,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30 of the upper end portion 20 projects upwardly above the tissue level 32 when the female element is secured to the implant or tooth root. Positioning surface 30 preferably has a slight inward taper from a position just above the tissue level to the upper end of end portion 20. The surface portion 34 below the gum level may be cylindrical or may have a slight inward taper such that the diameter at the lower end 35 of the upper end portion 14 is that of the implant 12, as shown in FIG. 9 . It matches the diameter.

정반대이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노치(36)가 위치 결정 표면(3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노치는 임플란트 또는 암형 요소(14)를 유지하고 이를 임플란트 고정구(12)의 합치하는 소켓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삽입 도구(예시되지 않음)와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암형 요소 또는 지대치(14)는 또한 도 6 및 도 7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소켓(26)을 요소(14)의 외부 표면에 연결하는 배수 구멍(38)을 가질 수 있다.A pair of diametrically opposed and axially extending notches 36 may be provided on the positioning surface 30 . These notches are designed to engage an insertion tool (not shown) to retain the implant or female element 14 and screw it into a mating socket of the implant fixture 12. The female element or abutment 14 may also have a drain hole 38 connecting the socket 26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lement 14, as best illustrated in FIGS. 6 and 7.

고정식 조립체에 필요한 유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당히 비탄성이어야 하는 전술한 유지 부재(106)와는 달리, 수형 요소(16)는 다소 탄력성을 갖는 재료, 바람직하게는 의치를 제거하고 다시 부착할 때 일정 레벨의 탄성 재형성을 제공하는 나일론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Unlike the previously described retaining member 106, which must be fairly inelastic to provide the necessary retention force for the stationary assembly, the male element 16 is made of a somewhat resilient material, preferably a certain level of elasticity when removing and reattaching the denture. It is formed from nylon plastic that provides reshaping.

상부 표면(40)은 대체로 평탄하고, 스커트(42)가 상부 표면(40)으로부터 하향 돌출하여 유지 헤드(28)를 둘러싼다. 유지 헤드(28)는 소켓(26)의 외부 형상과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외부 형상을 갖는다. 소켓(26)은 테이퍼진 선단 에지 또는 림(44), 감소된 직경 부분(45), 확대된 링 홈 부분(46), 및 하부 챔퍼링 에지 부분(48)을 갖는다. 수형 요소의 헤드(28)는 하부 단부의 챔퍼링(50), 홈 부분(46)에 스냅 맞물리기 위한 확대된 직경의 환형 링 부분(52), 감소된 직경 부분(53), 및 외향으로 테이퍼진 상부 단부 부분(54)과 합치하는 형상을 갖는다.The upper surface 40 is generally flat and a skirt 42 projects dow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40 and surrounds the retaining head 28. Retention head 28 has an external shape that substantially conforms to the external shape of socket 26. Socket 26 has a tapered leading edge or rim 44, a reduced diameter portion 45, an enlarged ring groove portion 46, and a lower chamfered edge portion 48. The head 28 of the male element has a chamfering 50 at the lower end, an enlarged diameter annular ring portion 52 for snap-engagement into the groove portion 46, a reduced diameter portion 53, and an outwardly tapering portion. It has a shape that matches the true upper end portion 54.

스커트(42)는 헤드(28)의 하부 단부 아래로 돌출하는 하부 단부(56)와, 바람직하게는 약 10°의 각도로 테이퍼지고 또한 도 9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내부 표면(60)을 갖는다. 스커트와 헤드의 치수는 도 8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헤드의 하부 단부가 암형 요소와 접촉하기 전에 스커트의 하부 단부(56)가 위치 결정 표면(30)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스커트(42)의 외부 표면(62)은 도 9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캡(18)의 대응 형상의 공동(64)에 스냅 체결, 선회 맞물림을 위해 볼록하거나 둥글게 되어 있다. 이는 '570 특허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부착물이 의치 또는 기기에 고정되어 마모를 감소시키는 선회, 회전 운동 또는 힌지 동작을 캡에 제공한다. 금속 의치 캡(18)에 있는 나일론 또는 탄력적인 수형의 피봇은 비-평행 지대치에 대한 약간의 교정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더 오래 지속되고 탄력적인 연결을 제공한다.The skirt 42 has a lower end 56 that projects below the lower end of the head 28 and a concave interior surface 60 that is preferably tapered at an angle of about 10° and is concave as best illustrated in Figure 9. has The dimensions of the skirt and head are such that the lower end 56 of the skirt contacts the positioning surface 30 before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tacts the female element, as best illustrated in Figure 8. The outer surface 62 of the skirt 42 is convex or rounded for snap-locking, pivot engagement into a correspondingly shaped cavity 64 of the cap 18, as best shown in Figure 9. This provides the cap with a pivoting, rotational movement or hinged motion that secures the attachment to the denture or appliance in a manner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the '570 patent, thereby reducing wear. Nylon or resilient male pivots on the metal denture cap 18 not only allow for slight correction for non-parallel abutments, but also provide a longer lasting, more resilient connection.

의치 또는 기기는 단순히 소켓(26)으로부터 수형 헤드(28)를 스냅함으로써 세정을 위해 반복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그 후, 다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의 화살표(65) 방향으로 다시 삽입할 때, 사용자는 헤드(28)를 소켓(26)과 동축으로 정렬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커트(42)의 하부 단부는 헤드(28)가 소켓에 도달하기 전에 위치 결정 표면(30)의 일 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화살표(65) 방향으로 더 하향 이동하면 수형 요소가 화살표(66) 방향에서 일 측면으로 압박되어 헤드(28)를 소켓과 적절하게 정렬하게 된다. 따라서, 스커트(42)의 내부 위치 결정 표면과 함께 암형 요소의 위치 결정 표면 부분(30)은 소켓에 스냅 삽입되기 전에 헤드(28)를 소켓과 적절하게 정렬하도록 압박하도록 작용한다. 이는 오정렬된 경우 나일론 헤드가 소켓의 테이퍼진 림(44)에 잠재적으로 부딪혀, 결국 더 연질의 헤드에 손상을 유발하고 유지 능력을 감소시키는 문제를 회피한다. 스커트와 위치 결정 표면은 또한 환자에 의한 치과용 보철물의 위치 결정 및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The denture or appliance can be repeatedly removed for cleaning by simply snapping the male head 28 from the socket 26 and then reinserted. For example, when reinserting in the direction of arrow 65 in FIG. 8, the user may not be able to align the head 28 coaxially with the socket 26.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skirt 42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ositioning surface 30 before the head 28 reaches the socket. Further downward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arrow 65 forces the male element to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arrow 66 to properly align the head 28 with the socket. Accordingly, the positioning surface portion 30 of the female element together with the inn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skirt 42 act to press the head 28 into proper alignment with the socket prior to snap insertion into the socket. This avoids the problem of the nylon head potentially hitting the tapered rim 44 of the socket if misaligned, ultimately causing damage to the softer head and reducing its retention capacity. The skirt and positioning surface also make positioning and insertion of the dental prosthesis easier by the patient.

암형 요소(14)는 주변 치은 레벨(32)과 합치하도록 여러 조직 커프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전체 부착 조립체의 최소 높이는 '570 특허에 설명된 배열의 높이 및 도 1 내지 도 5에 대해 설명된 것과 같은 고정식 조립체의 높이보다 훨씬 낮다. 육각형이 아닌 임플란트 지대치의 최소 높이는 1.75 mm 정도인 반면, 육각형 임플란트 지대치의 최소 높이는 약 2.75 mm로 임플란트가 조직 레벨에 있는 경우에 도움이 된다. 이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모든 부착물의 높이보다 더 낮으며, 훨씬 더 낮은 프로파일과 증가된 환자 편안함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조직의 깊이에 따라 다른 높이가 또한 제공된다. 부착물 위의 낮은 프로파일은 치아 배치에도 더 좋다.Female element 14 may be provided in various tissue cuff heights to match the surrounding gingival level 32. The minimum height of the entire attachment assembly is much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arrangement described in the '570 patent and the height of the stationary assembly as described for FIGS. 1-5. The minimum height of a non-hexagonal implant abutment is about 1.75 mm, while the minimum height of a hexagonal implant abutment is about 2.75 mm, which is helpful when the implant is at the tissue level. This is lower than the height of all attachments currently available on the market an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much lower profile and increased patient comfort. Different heights are also provided depending on the depth of tissue. A lower profile over the attachment also provides better tooth placement.

'570 특허에서와 같이 내부 육각형 만입부 등이 아닌 삽입 도구와의 맞물림을 위한 외부 노치(36)를 제공함으로써, 암형 요소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노치는 임플란트 고정구(12)에 나사 결합하기 위해 암형 요소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한다.By providing an external notch 36 for engagement with the insertion tool rather than an internal hexagonal indent, etc. as in the '570 patent, the height of the female element can be reduced. The notch ensures that the female element remains rigid for screwing into the implant fixture 12.

배수 구멍(38)은 조직 레벨 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타액이 소켓(26)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더 쉽게 만들고, 수형 헤드가 소켓에 맞물림으로써 유압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를 통해 수형 요소와 암형 요소를 더 쉽게 연결할 수 있다. 헤드(28)가 도 9에서와 같이 소켓에 스냅 맞물림되면, 스커트는 하부 단부에서 위치 결정 표면 부분(30)에만 접촉하게 되고, 오목한 내부 표면(60)은 도 9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부착물의 나머지를 따라 표면 부분(30)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는 또한 부분들이 적절하게 정렬되면 헤드(28)를 소켓에 더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Drain holes 38 may be located above the tissue level, making it easier for saliva to drain from the socket 26 and reducing hydraulic pressure as the male head engages the socket. Additionally, this makes it easier to connect male and female elements. When the head 28 is snap-engaged into the socket as in Figure 9, the skirt will only contact the positioning surface portion 30 at its lower end, with the concave inner surface 60 providing the attachment point as best illustrated in Figure 9. It is spaced apart from the surface portion 30 along the remainder of . This also makes it easier to insert the head 28 into the socket once the parts are properly aligned.

도 10은 육각형이 아닌 임플란트(예시되지 않음)에 부착하기 위한 수정된 암형 요소 또는 지대치(70)를 예시한다. 요소(70)는 육각형 임플란트 지대치(14)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 6 내지 도 9의 수형 요소(16)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유사한 부분에는 적절하게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도 10의 헤드 부분은 이전 실시예보다 짧고, 도 6 내지 도 9의 육각형 만입부(72)는 제거되며, 대신에 헤드 부분(20)은 임플란트의 평탄한 상부면에 끼워지는 평탄한 하부 환형면(74)을 갖는다.Figure 10 illustrates a modified female element or abutment 70 for attachment to a non-hexagonal implant (not shown). Element 70 may be used with male element 16 of FIGS. 6-9 in a manner similar to hexagonal implant abutment 14, with like reference numbers used for like parts where appropriate. In this embodiment, the head portion of FIG. 10 is shorter tha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hexagonal indentation 72 of FIGS. 6-9 is eliminated, and instead the head portion 20 is a flat top portion that fits into the flat upper surface of the implant. It has a lower annular surface (74).

미국 특허 제10,687,920호('920 특허)의 도 1 내지 도 5(전체 내용이 기재된 것처럼 전문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여기서 도 11a 내지 도 11g로서 재현됨)는 도 6 내지 도 10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219 특허에 설명된 바와 같은 탈착식 조립체의 이점을 갖는 탈착식 치과용 조립체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예시한다. 그러나, '920 특허에 설명된 조립체는 또한 증가된 선회 조절을 허용한다. 도 11a에 도시되고 도 11b 및 도 11c의 등각도에서 더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캡(1108)의 내부 상단 표면은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1110)를 갖게 구성된다. 오목한 리세스(1110)는 캡(1108)이 유지 부재(1106) 및 지대치(1104)에 대해 훨씬 더 큰 각도로 선회하게 하며, 이는 사람이 지대치(1104) 상에 치과용 기기를 고정하는 것을 더 쉽게 만든다. 캡(1108)의 내부 상단 표면의 중심부(1112)는 캡 공동 내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중심부(1112)가 존재하지 않았다면 발생되었을 유지 부재(1106)와 캡(1108) 사이의 수직 변위를 최소화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캡의 높이는 약 1.9 mm이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캡의 치수가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Figures 1-5 of U.S. Pat. No. 10,687,920 (the '920 patent) (which are herein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and reproduced herein as Figures 11A-11G) are shown in conjunction with Figures 6-10. Illustrates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a removable dental assembly having the advantages of a removable assembly as described in the '219 patent. However, the assembly described in the '920 patent also allows for increased pivot control. As shown in FIG. 11A and more clearly in the isometric views of FIGS. 11B and 11C , in one embodiment, the inner top surface of the cap 1108 extends radially along the outer perimeter of the inner top surface of the cavity. It is configured to have a concave recess (1110). The concave recess 1110 allows the cap 1108 to pivot at a much greater angle relative to the retaining member 1106 and the abutment 1104, which makes it easier for a person to secure a dental instrument on the abutment 1104. Make it easy. The central portion 1112 of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p 1108 protrudes vertically into the cap cavity to minimize vertical displacement between the retaining member 1106 and the cap 1108 that would occur if the central portion 1112 were not present.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cap is approximately 1.9 mm, althoug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cap dimensions may vary.

도 11a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유지 부재(1106)는,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6,981,8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캡(1108)과 유지 부재(1106)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캡(1108)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스커트(또는 측벽)에 의해 유지된다. 지대치(1104)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지대치(1104)와 유지 부재(1106) 사이에 적층된 외부 유지를 제공하기 위해 유지 부재(1106)의 내부 표면의 대응하는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과의 정합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표면을 갖는다.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1A , the retaining member 1106 is configured to provide releasable engagement of the cap 1108 and the retaining member 1106 as disclosed in U.S. Pat. No. 6,981,871,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It is retained by a skirt (or side wall) projecting from one end of the cap 1108.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1104 snaps into registration with the corresponding spaced snap engagement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taining member 1106 to provide laminated outer retention between the abutment 1104 and the retaining member 1106. It has at least two axially spaced retaining surfaces for engagement.

도 11d는 선회 불가 위치에 있는 캡(1108)과 유지 부재(1106)의 측면 절단도를 예시하는데, 이는 선회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 유지 부재(1106)가 캡(1108)의 공동 내에 어떻게 끼워지는 지를 더 명확하게 예시한다. 유지 부재(1106)는 캡(1108)의 내부 상단 표면의 중심부(1112)와 접촉되어 있다. 유지 부재(1106)의 외부 측벽은 캡(1108)의 내부 측벽의 만곡 표면과 합치하도록 대체로 만곡되어 있으며, 과도한 마찰량 없이 쉽게 선회하게 하도록 임의의 한 위치에서 측벽의 일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11D illustrates a side cutaway view of the cap 1108 and the retaining member 1106 in the no-swivel position, showing how the retaining member 1106 fits within the cavity of the cap 1108 when no pivoting has occurred. Illustrate more clearly. Retention member 1106 is in contact with a central portion 1112 of the inner top surface of cap 1108. The outer sidewall of the retaining member 1106 is generally curved to conform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inner sidewall of the cap 1108 and can be directly contacted with a portion of the sidewall at any one location to allow for easy pivoting without excessive amounts of friction.

일 실시예에서, 오목한 리세스(1110)는, 도 11e 및 도 11f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반경의 다수의 원으로부터 형성된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는 곡률(114)을 갖게 특별히 설계된다. 본 명세서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원 A, B 및 C는 곡선(1114)을 유도하는 데 사용된 접선 원호의 부분을 나타내지만, 임의의 복수의 원이 사용될 수 있다. 원 A, B, C는 캡의 하단 부분(1108B)으로부터 캡의 상단 부분(1108A)까지 큰 직경에서 작은 직경으로 배열되어 곡선(1114)의 다양한 각도를 형성한다. 도 11g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곡선(1114)은 캡(1108) 내에서 유지 부재(1106)의 맞물림을 유지하면서 유지 부재(1106) 둘레에서 캡(1108)의 선회를 최적화하도록 설계된다. 직경이 캡의 내부 측벽을 따라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큰 직경에서 작은 직경으로 배열되는 한, 각각의 원의 다양한 직경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e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오목한 리세스(1110)는 각각 0.067, 0.083 및 0.186 인치의 직경(즉, 각각 0.034, 0.042 및 0.093 인치의 곡률 반경)을 갖는 원 A, B 및 C로 형성된다. 원 C는 캡의 대향 측면에서 오목한 리세스(1110)와 교차하는 직경을 가지며, 따라서 캡 공동의 직경을 정의한다.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원의 각각의 곡률은 오목한 리세스(1110)의 상이한 부분과 교차하여 다양한 곡률의 만곡 표면(1114)을 형성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cave recess 1110 has a curvature 114 that can be formed using a series of continuous tangential arcs formed from multiple circles of various radii, as illustrated in FIGS. 11E and 11F. It is specially designed to have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herein, circles A, B, and C represent portions of the tangential arc used to derive curve 1114, but any plurality of circles may be used. Circles A, B, and C are arranged from large to small diameters from the bottom portion 1108B of the cap to the top portion 1108A of the cap to form various angles of the curve 1114. As illustrated in FIG. 11G , curve 1114 is designed to optimize pivoting of cap 1108 around retaining member 1106 while maintaining engagement of retaining member 1106 within cap 1108. Various diameters of each circle may be used, as long as the diameters are arranged from larger to smaller diameter along the inner side wall of the cap from bottom to top.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ure 11E, concave recesses 1110 are formed by circles A, B, and C having diameters of 0.067, 0.083, and 0.186 inches, respectively (i.e., radii of curvature of 0.034, 0.042, and 0.093 inches, respectively). . Circle C has a diameter that intersects the concave recess 1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p, thus defining the diameter of the cap cavity. As shown in Figure 11F, each curvature of each circle intersects a different portion of the concave recess 1110 to form a curved surface 1114 of varying curvature.

도 11g는 캡(1108) 내의 완전 선회 위치에 있는 유지 부재(1106) 및 지대치(1104)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며, 여기서 유지 부재(1106)의 일부는 캡(1108)의 오목한 리세스(1110) 내로 선회되었다. 유지 부재(106)의 대향 측면은 캡(1108) 내에 여전히 유지되는 지점까지 하향 선회되었으며, 이는 한 방향으로 캡(1108)의 완전 선회 범위를 예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선회 범위(S)는 약 5.4 mm의 직경(D)과 약 2.3 mm의 높이(H)를 갖는 캡에서 약 30도이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이러한 치수가 변경될 수 있고 여전히 동일한 회전 각도를 달성할 수 있을 이해할 것이다. 회전 범위는 합리적으로 약 32도(예를 들어, 15 내지 20도)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캡, 유지 부재 및 지대치의 치수가 더 큰 회전을 허용하도록 변경되는 경우 - 예를 들어, 캡의 높이를 증가시키고 지대치의 직경을 감소시킴으로써 - 최대 약 40도까지 연장될 수 있다.11G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retaining member 1106 and abutment 1104 in a fully pivoted position within cap 1108, where a portion of retaining member 1106 is positioned in a concave recess 1110 of cap 1108. ) was turned inside. The opposing side of the retaining member 106 has been pivoted downward to a point where it still remains within the cap 1108, illustrating the full range of pivot of the cap 1108 in on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range of swiveling (S) is about 30 degrees in a cap with a diameter (D) of about 5.4 mm and a height (H) of about 2.3 mm, althoug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se dimensions may vary.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will still be able to achieve the same rotation angle. The range of rotation can reasonably be extended to about 32 degrees (e.g., 15 to 20 degrees) if the dimensions of the cap, retaining member and abutment are changed to allow for greater rotation - for example,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cap. By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diameter of the abutment - it can be extended up to about 40 degrees.

도 6 내지 도 10의 조립체와 마찬가지로, 유지 부재(1106)는 나일론과 같은 탄력적인 재료로 제조된다.Similar to the assembly of Figures 6-10, retention member 1106 is made of a resilient material such as nylon.

일반적으로, PEEK와 같이 더 경질의, 덜 탄력적인 재료는 탈착식 의치 조립체의 유지 부재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왜냐하면 어떤 재료를 사용하든 의치를 제거하고 그 후 다시 설치할 때 재료가 반복적으로 변형되고 그 후 개질해야 하기 때문이다. PEEK는 충분히 탄력적이지 않다. 특정 제조업자는 Straumann® Novaloc® 유지 시스템과 같은 유지 부재에 PEEK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PEEK 유지 부재는 탄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지 부재에 절취된 간극 또는 슬롯을 포함해야 한다.In general, it is understood that harder, less elastic materials, such as PEEK, will not act as retaining members in a removable denture assembly because, whatever material is used, the material will repeatedly deform and deform when the denture is removed and subsequently reinstalled. This is because it needs to be reformed afterwards. PEEK is not elastic enough. Certain manufacturers have used PEEK in retaining members, such as the Straumann® Novaloc® retaining system. However, as illustrated in Figure 12, these PEEK retaining members should include gaps or slots cut into the retaining member to increase resilience.

탈착식 조립체에 고체 PEEK 유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은 직관적이지 않고, 탈착식 조립체에 적합하지 않지만, 테스트 결과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1g, 도 13, 도 14a 내지 도 14c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예시된 바와 같이 캡 및 지대치가 있는 고체 PEEK 유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은 실제로 이러한 탈착식 조립체의 이점, 즉 더 낮은 비용, 수술 계획 및 그로 인한 장기적인 결과 없음, 더 낮은 복원 높이, 더 적은 구성요소, 나사 및 금속 대 금속 계면의 제거, 및 더 큰 정렬 여유를 고정식 조립체에 제공할 수 있다고 나타났다. 달리 말하면, 전술한 조립체(예를 들어, 16, 1106, 1706을 대신하고 임의로 16, 1106, 1706의 동일한 피처 및 형상을 가짐)를 갖는 PEEK 유지 부재가 고정식 용례에 필요한 유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use of solid PEEK retaining members in removable assemblies is counterintuitive and not suitable for removable assemblies, but testing has shown, for example, Figures 6-10, 11A-11G, 13, and 14A-14. The use of solid PEEK retention members with caps and abutments, as illustrated in connection with embodiment 14c, actually provides the advantages of such removable assemblies, namely lower cost, no surgical planning and its long-term consequences, lower restoration height; It has been shown that fewer components, elimination of screws and metal-to-metal interfaces, and greater alignment margins can be provided in fixed assemblies. In other words, it has been shown that a PEEK retention member having the assembly described above (e.g., replacing 16, 1106, 1706 and optionally having the same features and geometry of 16, 1106, 1706) provides the necessary retention for stationary applications.

이는 탈착식 조립체의 이점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복원 계획에 큰 가요성을 제공하므로 고정식 조립체의 큰 도약을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환자는 탈착식으로 시작하여 고정식으로 천이할 수 있지만(또는 그 반대), 아래에 언급한 바와 같이 개조가 필요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더 중요한 것은, 고정식 복원이 실패한 경우 최소한의 절차와 비용으로 성공적인 탈착식 복원으로 천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패한 종래의 고정식 복원 실패는 현재 천이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감정적으로나 재정적으로 파괴적일 수 있다. 복원 계획은 수술 결과에 따라 즉석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is represents a major leap forward for fixed assemblies as it not only allows for the benefits of removable assemblies but also provides great flexibility in restoration planning. In other words, a patient may start with removable and transition to fixed (or vice versa), but will likely require modifications as noted below. However, more importantly, if a fixed restoration fails, it is possible to transition to a successful removable restoration with minimal procedures and costs. A failed conventional fixed restoration can be emotionally and financially devastating as there is no ability to transition now. The restoration plan may change on the fly depending on the results of the surgery.

사용자가 탈착식 조립체를 가지고 있는 경우, 고정식 구현예로 전환하면 추가 임플란트(예를 들어, 1904)가 필요할 수 있다. 플랜지(1910)는 단기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고정식 보철물을 제조하는 동안 동일한 탈착식 보철물(1900)을 적어도 단기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If the user has a removable assembly, converting to a fixed embodiment may require an additional implant (e.g., 1904). The flange 1910 can be remov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same removable prosthesis 1900 can be used for at least a short period of time while the fixed prosthesis is being manufactured.

전술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배치는 중요한데, 배치 및 기타 요인으로 인해 보철물이 균열되게 할 수 있는 캔틸레버 힘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경우에, 환자의 턱으로 인해 임플란트가 환자의 턱 후방에 충분히 멀리 위치 설정되지 않아 이러한 힘의 가능성을 충분히 처리할 수 없다. 도 11a 내지 도 11g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의 유지 부재(1106)는 최대 32도 선회 맞물림(예를 들어, 15 내지 20도 선회 맞물림)으로 인해 각도 변위를 허용할 수 있지만, 이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는 지대치가 심지어 턱의 더 후방에 위치 설정되도록 각형성되어야 할 수도 있다.As previously mentioned, placement of the implant is important because placement and other factors can result in cantilever forces that can cause the prosthesis to crack. In some cases, the patient's jaw may not allow the implant to be positioned far enough behind the patient's jaw to sufficiently handle the possibility of these forces. The retaining member 1106 of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1A-11G may allow for angular displacement due to up to 32 degrees of pivot engagement (e.g., 15 to 20 degrees of pivot engagement), but this may not be sufficient. there is. Accordingly, the implant may have to be angulated so that the abutment tooth is positioned even further posteriorly in the jaw.

예를 들어, 도 13은 조립체(1700)를 예시하는데, 임플란트(1702)는 임플란트(1702)의 플랫폼 위로 연장되는 나사식 부분(1710)(및 지대치(1704)의 하단 부분의 리세스에 있는 상보적인 나사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지대치(1704)에 나사 결합되고, 유지 부재(1706)는 지대치(1704)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캡(1708)은 유지 부재(1706)와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도 14a 내지 도 1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1702)의 하부 부분(1802)은,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치로부터 아래로 직선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하부 부분에 대해, 직선형(도 14a) 또는 다양한 각도, 예컨대, 10 내지 30도, 5 내지 35도, 15 내지 30도, 10 내지 35도, 15도(도 14b), 또는 30도(도 14c), 약 15도(13.5 내지 16.5도), 또는 약 30도(27 내지 33도)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볼 때, 플랫폼(1803)의 중심부로부터 팁(1805)의 중심부까지 연장되는 라인은 지대치(1804)의 중앙 상단 부분으로부터 지대치(1804)의 중앙 하단까지 연장되는 라인과 정렬되어 그 아래에 위치 설정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직선을 이루거나), 플랫폼(1803)의 중심부로부터 팁(1805)의 중심부까지 연장되는 라인은 지대치(1804)의 중앙 상단 부분으로부터 지대치(1804)의 중앙 하단까지 연장되는 라인과 각도(예를 들어, 145 내지 175도, 145 내지 170도, 160 내지 170도, 165도, 145 내지 155도, 150도)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Figure 13 illustrates assembly 1700, wherein implant 1702 includes a threaded portion 1710 extending above the platform of implant 1702 (and a complementary portion in a recess of the lower portion of abutment 1704). is screwed to the abutment tooth 1704 via a threaded portion (not shown), the retention member 1706 is configured to be removably engaged with the abutment tooth 1704, and the cap 1708 is removable with the retention member 1706. It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being combined. However, as illustrated in FIGS. 14A-14C, the lower portion 1802 of the implant 1702 is straight (FIG. 14A) with the lower portion configured to extend straight down from the abutment as shown in FIG. 14A. ) or various angles, such as 10 to 30 degrees, 5 to 35 degrees, 15 to 30 degrees, 10 to 35 degrees, 15 degrees (Figure 14b), or 30 degrees (Figure 14c), about 15 degrees (13.5 to 16.5 degrees) ), or about 30 degrees (27 to 33 degrees).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platform 1803 to the center of the tip 1805 is aligned with and below the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top portion of the abutment 1804 to the center bottom of the abutment 1804. A line that can be positioned (e.g., forming a straight line) or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platform 1803 to the center of the tip 1805 extends from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1804 to the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1804. Lines and angles extending up to (e.g., 145 to 175 degrees, 145 to 170 degrees, 160 to 170 degrees, 165 degrees, 145 to 155 degrees, 150 degrees) may be formed.

몇몇 실시예에서, 조립체(1700)는, 예를 들어 전체 내용이 기재된 것처럼 참조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9,314,318호의 도 27 내지 도 49에 설명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임플란트(1702)의 상부 부분은 도 14a 내지 도 14c에서는 보이지 않는 나사식 부분(1710)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1702)의 하부 부분(예를 들어, 1802)은 플랫폼(1803) 및 환자의 뼈 또는 조직과의 나사식 맞물림을 위해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임플란트(1702)는 각형성된 플랫폼(1803)을 포함하는 하부 부분(180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식 부분(1710)은 도 14b 내지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803) 위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지대치(예를 들어, 1704 또는 180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4a의 직선 실시예에서, 플랫폼은 하부 부분의 길이(플랫폼(1803)의 중심으로부터 팁(1805)까지)에 직교하거나 대략(예를 들어, 10% 이내) 직교한다. 도 14b 및 도 14c의 실시예에서, 플랫폼(1803)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예를 들어 약 15도, 약 20도, 약 30도, 5 내지 35도, 10 내지 35도, 10 내지 30도, 또는 15 내지 30도 각형성되거나, 또는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각도(들)로 각형성된다. 각형성된 플랫폼은 유리하게는 나사식 부분(예를 들어, 1710)이 위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면서 임플란트(1702)의 나사식 포스트 또는 하부 부분(예를 들어, 1802)이 각형성되게 할 수 있다(도 1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른 관점에서 볼 때, 각형성된 플랫폼은 유리하게는 임플란트(1702)의 나사식 포스트 또는 하부 부분이 나사식 부분(1710)에 대해 각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45 내지 175도, 145 내지 170도, 160 내지 170도, 165도, 145 내지 155도, 또는 150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대치(1704)는 임플란트(1702)의 나사식 포스트 또는 하부 부분(1802)이 지대치(1704)에 대해 각형성된 경우에도 임플란트(1702)의 상향 직선으로 연장되는 나사식 부분(17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지대치, 유지 부재 또는 다른 구성요소가 각형성된 임플란트 위에 더 잘 안착되게 한다. 일부 양태에서, 유지 부재는 예를 들어 PEEK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ssembly 1700 may be similar to that described, for example, in FIGS. 27-49 of U.S. Pat. No. 9,314,318,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s if set forth in its entirety. The upper portion of implant 1702 may include a threaded portion 1710 that is not visible in FIGS. 14A-14C. The lower portion (e.g., 1802) of implant 1702 may include a platform 1803 and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platform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the patient's bone or tissue. In some aspects, implant 1702 may include a lower portion 1802 that includes an angled platform 1803. Threaded portion 1710 may be positioned on platform 1803 and threaded to an abutment (e.g., 1704 or 1804) as shown in FIGS. 14B-14C. In the straight embodiment of Figure 14A, the platform is orthogonal or approximately (e.g., within 10%)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lower portion (from the center of the platform 1803 to the tip 1805). 14B and 14C, the platform 1803 is positioned at an angl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for example about 15 degrees, about 20 degrees, about 30 degrees, 5 to 35 degrees, 10 to 35 degrees. degrees, 10 to 30 degrees, or 15 to 30 degrees, or angled at any other suitable angle(s) with respect to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The angled platform may advantageously cause the threaded post or lower portion (e.g., 1802) of the implant 1702 to be angled with the threaded portion (e.g., 1710) extending substantially straight up. (as in the example of Figure 13).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angled platform may advantageously cause the threaded post or lower portion of implant 1702 to be angled relative to threaded portion 1710, e.g., 145 to 175 degrees, 145 to 175 degrees. An angle can be formed of 170 degrees, 160 to 170 degrees, 165 degrees, 145 to 155 degrees, or 150 degrees. Accordingly, abutment 1704 engages threaded portion 1710 extending straight upward of implant 1702 even when threaded post or lower portion 1802 of implant 1702 is angled relative to abutment 1704. This may allow the abutment, retaining member, or other component to better seat on the angled implant. In some aspects, the retaining member may be made of any suitable material, including, for example, PEEK.

도 17은 고정식 하이브리드 치과용 부착 조립체(2100)를 예시한다. 조립체(2100)는 캡(2108), 유지 부재(2106), 및 지대치 부재(2104)를 포함한다. 지대치 부재(2104)는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유지 부재(2106)는 지대치 부재에 대한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부착을 위해 제공된다. 캡(2108)은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지대치 부재(2104)는 상부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치아 근부 또는 임플란트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된다. 지대치 부재(2104)는 상부 단부에 있는 헤드 부분 및 헤드 부분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샤프트를 가질 수 있다. 샤프트는 헤드 부분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예를 들어, 10도, 20도, 30도, 10 내지 30도)로 있거나 헤드 부분과 정렬될 수 있다. 지대치 부재(2104)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지대치 부재를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지대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서, 지대치 부재는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상화된 제1 단부, 및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을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2개의 대체로 둥근, 환형 돌출부 또는 2개의 환형 홈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부분을 갖는다.17 illustrates a stationary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2100. Assembly 2100 includes a cap 2108, a retaining member 2106, and an abutment member 2104. Abutment member 2104 is configured to attach to a tooth root, implant, or adjacent tooth. Retention member 2106 is provided for fixed, non-patient removable attachment to the abutment member. Cap 2108 is configured to be secured to a recess of a dental appliance. Abutment member 2104 can have an upper end, with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portion positioned so that it protrudes above a tissue level when the abutment member is secured to a tooth root or implant. Abutment member 2104 may have a head portion at an upper end and a shaft suspending downwardly from the head portion. The shaft may be at a predetermined angle (e.g., 10 degrees, 20 degrees, 30 degrees, 10 to 30 degrees)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or may be aligned with the head portion. It is contemplated that abutment member 2104 may include any suitable abutment member, including any abutment member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other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an abutment member may include a first end configured to attach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end having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positioning the abutment member externally. The crystal surface has at least two axially spaced retaining portions comprising two generally round, annular protrusions or two annular grooves.

유지 부재(2106)는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있는 캡 내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부 단부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가질 수 있고, 스커트는 둥근, 볼록한 외부 표면을 갖고, 유지 부재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PEEK 재료 또는 기타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 예를 들어 약 25 내지 75 파운드 또는 약 5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한다. 지대치 부재(2104)와 유지 부재(2106)는 유지 부재가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대치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소켓을 가질 수 있고 유지 헤드는 소켓에서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유지 헤드는 하부 단부를 가질 수 있으며, 스커트는 유지 헤드의 하부 단부를 넘어 하향으로 연장되고, 그에 의해 스커트는 유지 헤드의 하부 단부가 지대치 부재로의 유지 부재의 재삽입 시 소켓에 도달하기 전에 지대치 부재와 접촉하게 된다. 지대치 부재는 소켓을 지대치 부재의 외부에 연결하여 타액이 빠져나가게 하는 배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는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내부 표면에는 하향으로 현수된 유지 헤드(예를 들어, 28)가 없을 수 있다.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의 외향 팽윤 부분 및 유지 부재의 스커트의 내부 표면의 대응하는 오목한 링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지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각각의 유지 부분과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스커트의 내부 표면에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스커트 내부 표면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지대치 부재 상의 환형 돌출부 위에 스냅 맞물림을 위한 2개의 이격된, 환형 홈, 또는 대응하는 지대치 부재 상의 환형 홈과 스냅 맞물림을 위한 2개의 환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Retention member 2106 has an upper end configured to engage within a cap in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ention member for engagement over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The skirt may have a rounded, convex outer surface, and the retaining member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constructed of a PEEK material or other rigid material to weigh about 10 to 75 pounds, for example about 25 to 75 pounds or about 50 to 75 pounds. Provides holding power. Abutment member 2104 and retention member 2106 may have a matable snap engagement shap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hen the reten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abutment member. In some embodiments, the abutment member may have a socket project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ention head may project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ention member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in the socket. The retaining head may have a lower end, with a skirt extending downwardly beyond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head, whereby the skirt is positioned on the abutment tooth before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head reaches the socket upon reinsertion of the retaining member into the abutment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something. The abutment member may have a drainage hole that connects the socket to the outside of the abutment member and allows saliva to drain. As shown in Figure 17,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includes an outer surface and an inner surface, the inner surface may be devoid of a downwardly pendant retaining head (eg, 28). The registerable snap engagement shape may include an outwardly swollen portion of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and a corresponding concave ring portion of an inner surface of the skirt of the retention member. In some embodiments, the retention member may have at least two axially spaced, snap-engaging features on the interior surface of the skirt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ith respective retention portions of the abutment member. The axially spaced, snap-engaging featur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may have two spaced apart, annular grooves for snap-engagement over annular protrusions on the abutment member, or two annular protrusions for snap-engagement with annular grooves on the corresponding abutment member. It can be included.

캡(2108)은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공동의 오목한 내부 표면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캡은 중심 길이방향 축, 상단 벽 및 상단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환형 측벽을 갖는 대체로 컵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단 벽 및 측벽은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갖는다. 공동은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 또는 선회 불가 맞물림을 위해 구성될 수 있고, 유지 부재는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된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선회 맞물림 또는 선회 불가 맞물림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상단 벽은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환형 주변 부분을 따라 환형 경로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갖는 내부 상단 표면을 가질 수 있고, 오목한 리세스는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을 형성한다. 오목한 리세스의 곡선은 공동의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개방 단부를 향해 측벽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계속될 수 있다. 곡선은 유지 부재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축방향 정렬된 선회 불가 위치와 공동의 중심 길이방향 축이 유지 부재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각도를 이루는 완전 선회 위치 사이에서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지 부재 위에서 캡의 선회 범위는 10 내지 30도, 15 내지 20도, 약 30도, 또는 적어도 30도일 수 있다. 오목한 리세스는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과 측벽을 따라 복수의 다양한 각도로 만곡될 수 있다. 오목한 리세스는 캡의 내부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부분까지 크기가 하나 이상 증가할 수 있는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캡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캡의 하단 부분까지 크기가 증가하는 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목한 리세스는 최대, 예를 들어 약 30도의 각도 교정을 갖는 유지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캡은, 예를 들어 약 5.4 mm의 외경과, 약 2.3 mm의 높이를 포함하여 임의의 적절한 직경 및 높이를 가질 수 있다.Cap 2108 may include a cavity having a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to receive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The concave interior surface of the cavity may allow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over the rounded exterior surface of the skirt. In some embodiments, the cap may include a generally cup-shaped member having a central longitudinal axis, a top wall, and annular side walls extending away from the top wall, the top wall and side walls being shaped to engage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It has an outer surface. The cavity may be configured for pivotable engagement or non-pivotable engagement with a retaining member, and the retaining member may be configured for pivoting or non-pivoting engagement over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an abutment member attached to a tooth root, implant, or adjacent tooth. You can. In some contemplated embodiments, the top wall may have an inner top surface with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in an annular path along an outer annula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top surface, the concave recess having a first radius of curvature. forms a curve with The curve of the concave recess may continue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ior surface of the side wall toward an open end of the rounded, concave interior surface of the cavity. The curve is such that it provides pivot engagement with the retaining member between a no pivot position axially aligned with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taining member and a fully pivoted position where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cavity is at an angle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taining member. It can be configured.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cap over the retaining member may be 10 to 30 degrees, 15 to 20 degrees, about 30 degrees, or at least 30 degrees. The concave recess may be curved to a plurality of different angles along the interior top surface and sidewalls of the cavity. The concave recess may consist of a series of successive tangential arcs that may increase in size by one or more from the inner top surface of the cap to the bottom portion, and may consist of circles that increase in size from the top portion of the cap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cap. It can be. The concave recess may provide the retaining member with angular correction of up to, for example, about 30 degrees. The cap may have any suitable diameter and height, including, for example, an outer diameter of about 5.4 mm and a height of about 2.3 mm.

조립체(2100)는 또한 임플란트(2102)를 포함할 수 있고, 조립체(1700)와 유사하게, 임플란트(2102)의 하부 부분의 나사식 포스트(2101)는 직선으로 또는 직선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각도, 예컨대 15 내지 32도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임플란트는 지대치 부재와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상단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돌출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2102)는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부 부분은 지대치의 나사식 리세스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부분(2105)을 포함하고, 하부 부분은 각형성된 플랫폼일 수 있는 플랫폼(2103), 및 플랫폼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2101)를 포함하며,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구강 내 뼈 또는 조직과 나사식 맞물림을 위해 구성된다. 임플란트(2102)의 나사식 포스트(2101)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대치로부터 아래로 직선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포스트에 대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또는 다양한 각도, 예컨대, 10 내지 30도, 5 내지 35도, 15 내지 30도, 10 내지 35도, 15도, 또는 30도, 약 15도(13.5 내지 16.5도), 또는 약 30도(27 내지 33도)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볼 때, 플랫폼(2103)의 중심부로부터 나사식 포스트의 팁의 중심부까지 연장되는 라인은 지대치(2104)의 중앙 상단 부분으로부터 지대치(2104)의 중앙 하단까지 연장되는 라인과 정렬되어 그 아래에 위치 설정될 수 있거나(예를 들어, 직선을 이루거나), 플랫폼(2103)의 중심부로부터 나사식 포스트의 팁의 중심부까지 연장되는 라인은 지대치(2104)의 중앙 상단 부분으로부터 지대치(2104)의 중앙 하단까지 연장되는 라인과 각도(예를 들어, 145 내지 175도, 145 내지 170도, 160 내지 170도, 165도, 145 내지 155도, 150도)를 형성할 수 있다.Assembly 2100 may also include an implant 2102 and, similar to assembly 1700, the threaded post 2101 of the lower portion of implant 2102 may be straight or in various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for a straight line. It can be configured at an angle, for example between 15 and 32 degrees, and in particular, the implant comprises an external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f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abutment member. For example, the implant 2102 may include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including a threaded portion 2105 configured to screw into a threaded recess of an abutment tooth, and the lower portion comprising an angled platform. a platform 2103, and a threaded post 210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latform, the threaded post configured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in the patient's oral cavity. The threaded post 2101 of the implant 2102 may be straight as shown in Figure 17 or at various angles, e.g. to 30 degrees, 5 to 35 degrees, 15 to 30 degrees, 10 to 35 degrees, 15 degrees, or 30 degrees, about 15 degrees (13.5 to 16.5 degrees), or about 30 degrees (27 to 33 degrees). there is.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platform 2103 to the center of the tip of the threaded post is aligned with and below the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top portion of abutment 2104 to the center bottom of abutment 2104. A lin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platform 2103 to the center of the tip of the threaded post may be positioned in (e.g., forming a straight line) a line extending from the central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2104 to the center of the abutment 2104. Lines and angles (e.g., 145 to 175 degrees, 145 to 170 degrees, 160 to 170 degrees, 165 degrees, 145 to 155 degrees, 150 degrees) extending to the bottom center may be formed.

임플란트(2102)의 하부 부분은 플랫폼(2103) 및 환자의 뼈 또는 조직과의 나사식 맞물림을 위해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2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임플란트(2101)는 각형성된 플랫폼을 포함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식 부분(2105)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2103) 위에 위치 설정될 수 있고 지대치(예를 들어, 2104)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의 직선형 실시예에서, 플랫폼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플랫폼(2193)의 중심으로부터 나사식 포스트의 팁의 중심까지)에 직교하거나 대략(예를 들어, 10% 이내) 직교한다. 일부 고려된 실시예에서, 플랫폼(2103)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예를 들어 약 15도, 약 20도, 약 30도, 5 내지 35도, 10 내지 35도, 10 내지 30도, 또는 15 내지 30도 각형성되거나, 또는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임의의 다른 적절한 각도(들)로 각형성될 수 있다. 각형성된 플랫폼은 유리하게는 나사식 부분(예를 들어, 2105)이 위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되면서 임플란트(2102)의 나사식 포스트(2101)가 각형성되게 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볼 때, 각형성된 플랫폼은 유리하게는 임플란트(2102)의 나사식 포스트가 나사식 부분(2105)에 대해 각형성되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45 내지 175도, 145 내지 170도, 160 내지 170도, 165도, 145 내지 155도, 또는 150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이한 피치의 2개의 연속적인 나사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환형 커프 부분은 다양한 조직 깊이를 수용하도록 다양한 높이로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돌출부는 돌출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연장되는 도구 수용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portion of implant 2102 may include a platform 2103 and a threaded post 2101 extending from the platform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the patient's bone or tissue. In some aspects, implant 2101 may include a lower portion that includes an angled platform. Threaded portion 2105 may be positioned on platform 2103 and threaded to an abutment (e.g., 2104) as shown in FIG. 17. In the straight embodiment of Figure 17, the platform is perpendicular or approximately (e.g., within 10%)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from the center of the platform 2193 to the center of the tip of the threaded post). In some contemplated embodiments, platform 2103 is positioned at an angle about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for example about 15 degrees, about 20 degrees, about 30 degrees, 5 to 35 degrees, 10 to 35 degrees, 10 degrees. It may be angled between 30 and 30 degrees, or between 15 and 30 degrees, or at any other suitable angle(s) with respect to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The angled platform may advantageously cause the threaded post 2101 of the implant 2102 to be angled with the threaded portion (e.g., 2105) extending substantially straight up. From another perspective, the angled platform may advantageously cause the threaded post of the implant 2102 to be angled relative to the threaded portion 2105, for example, at an angle of 145 to 175 degrees, 145 to 170 degrees, An angle of 160 to 170 degrees, 165 degrees, 145 to 155 degrees, or 150 degrees can be formed.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includes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to self-tap into bone or tissue of a patient. In some embodiments, the dental implant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4.0 mm.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includes two consecutive threads of different pitches. In some embodiments, the annular cuff portion can be of various heights to accommodate various tissue depths. In some embodiments, the external protrusion may include a tool receiving bore extend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protrusion.

다른 양태에 따르면, 고려되는 임플란트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고,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는: (i)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으로서, 제1 단부 부분은: (1) 지대치 부재와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돌출부로서, 지대치 부재는 외부 하부 베벨 부분을 갖는, 외부 돌출부; 및 (2) 오목한, 내향 테이퍼진 베벨 표면을 갖는 환형 시트를 정의하는 환형 커프 부분을 포함하고, 테이퍼진 베벨 표면은 외부 돌출부를 둘러싸며; 지대치 부재의 하부 베벨은 지대치 부재가 외부 돌출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때 연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환형 시트의 테이퍼진 베벨 표면에 접촉하고 안착되며, 임플란트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연결 라인은 환자의 잇몸 라인 약간 아래에 위치되는, 제1 단부 부분; 및 (ii)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직접 맞물리기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한다. 나사식 포스트는 직선형일 수 있거나,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10 내지 20도, 약 15도, 25 내지 35도, 또는 약 30도 각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단일 리드 나사부 또는 다중 리드 나사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치과용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이한 피치의 2개의 연속적인 나사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환형 커프 부분은 다양한 조직 깊이를 수용하도록 다양한 높이로 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돌출부는 돌출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연장되는 도구 수용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contemplated implants may include an intraosseous dental implant, wherein the intraosseous dental implant comprises: (i) a first end portion having an upper and lower end, wherein the first end portion is: (1) abutment-free; an external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the abutment member having an external lower bevel portion; and (2) an annular cuff portion defining an annular sheet having a concave, inwardly tapered beveled surface, the tapered beveled surface surrounding the outward protrusion; The lower bevel of the abutment member contacts and seats against the tapered beveled surface of the annular sheet to form a connecting line when the abutment member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external protrusion, and when the implant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the connecting line is connected to the patient's mouth. a first end portion located slightly below the gum line of; and (ii)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direct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of the patient. It is contemplated that the threaded post may be straight or may be angled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For example, the threaded post may be angled 10 to 20 degrees, about 15 degrees, 25 to 35 degrees, or about 30 degree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includes single lead threads or multiple lead threads.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includes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to self-tap into bone or tissue of a patient. In some embodiments, the dental implant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4.0 mm. In some embodiments, the threaded post includes two consecutive threads of different pitches. In some embodiments, the annular cuff portion can be of various heights to accommodate various tissue depths. In some embodiments, the external protrusion may include a tool receiving bore extend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protrusion.

그러나, 조립체(2100) 또는 그 구성요소/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캡(2108), 유지 부재(2106))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조립체 및 치과용 기기의 임의의 구성요소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However, assembly 2100 or its components/components (e.g., cap 2108, retaining member 2106) are not related to any assembly and any component of a dental appliance described herein. You must understand that it can be used.

일부 양태에서, 치과용 조립체는 치과용 기기 및 임의의 적절한 수의 부착 조립체(예를 들어, 1, 2, 3, 4, 5개)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기기는 적어도 치과용 조립체에 포함된 부착 조립체의 수만큼 많은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부착 조립체는 캡, 유지 부재, 및 지대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부착 조립체는 임의로 임플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치과용 조립체의 부착 조립체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부착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 조립체는 도 1 내지 도 5, 도 6 내지 도 10, 11a 내지 도 11g, 도 13, 도 14a 내지 도 14c, 및 도 17에 설명되고 도시된 치과용 조립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치과용 조립체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부착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예를 들어, PEEK)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한다.In some aspects, a dental assembly may include a dental instrument and any suitable number of attachment assemblies (e.g., 1, 2, 3, 4, 5). A dental appliance may have at least as many recesses as there are attachment assemblies included in the dental assembly. Each attachment assembly can include a cap, a retaining member, and an abutment. Each attachment assembly may optionally include an implant. The attachment assemblies of the dental assembly may include the same or different attachment assemblies. For example, attachment assemblies include the dental assemblies described and shown in FIGS. 1-5, 6-10, 11A-11G, 13, 14A-14C, and 17, as described herein. and wherein at least one of the attachment assemblies includes a first end and a retai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to engage over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is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e.g., PEEK) and provides a retaining force of approximately 10 to 75 pounds.

비제한적 실시예.Non-limiting examples.

실시예 1. 환자 구강을 위한 치과용 조립체이며,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상부 부분은 지대치의 나사식 리세스 내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부분을 포함하며, 하부 부분은 각형성된 플랫폼 및 각형성된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며,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구강 내 뼈 또는 조직과 나사식 맞물림을 위해 구성되고, 각형성된 플랫폼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 A dental assembly for a patient's mouth, comprising an implant compris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includes a threaded portion configured to be screwed into a threaded recess of the abutment tooth, and the lower portion includes an angled platform and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angled platform, the threaded post being connected to a bone within the patient's mouth. or a dental assembly configured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tissue, wherein the angled platform is angled about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2. The method of Example 1, further comprising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a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tooth. , dental assembly.

실시예 3.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유지 부재는 강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3.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 or Example 2, wherein the retention member is comprised of a rigid polyetheretherketone (PEEK) material and provides a retention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실시예 4. 실시예 1, 실시예 2 또는 실시예 3에 있어서, 치과용 기기 기구에 고정하고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캡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4.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 Example 2 or Example 3, further comprising a cap configured to secure to the dental appliance instrument and engage the retaining member.

실시예 5. 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부 부분의 나사식 부분에 대해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5. The dental assembly of any one of Examples 1 to 4,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relative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실시예 6.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부 부분의 나사식 부분에 대해 약 15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6. The dental assembly of any of Examples 1-5,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bout 15 degrees relative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실시예 7.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부 부분의 나사식 부분에 대해 약 30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7. The dental assembly of any of Examples 1-5,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bout 30 degrees relative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실시예 8.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부 부분의 나사식 부분에 대해 약 20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 The dental assembly of any of Examples 1-5,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bout 2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실시예 9. 실시예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형성된 플랫폼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10 내지 35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9. The dental assembly of any of Examples 1-5, wherein the angled platform is angled 10 to 35 degrees with respect to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실시예 10. 실시예 1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단일 리드 나사부 또는 다중 리드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 wherein the threaded post comprises a single lead thread or multiple lead threads.

실시예 11. 실시예 1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1.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 wherein the threaded post includes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for self-tapping into bone or tissue.

실시예 12. 실시예 9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단일 리드 나사부 또는 다중 리드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2.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9, wherein the threaded post comprises a single lead thread or multiple lead threads.

실시예 13. 실시예 9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3.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9, wherein the threaded post includes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for self-tapping into bone or tissue.

실시예 14. 실시예 1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4.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 wherein the implant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4.0 mm.

실시예 15. 실시예 9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5.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9, wherein the implant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4.0 mm.

실시예 16. 실시예 6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단일 리드 나사부 또는 다중 리드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6.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6, wherein the threaded post comprises a single lead thread or multiple lead threads.

실시예 17. 실시예 7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단일 리드 나사부 또는 다중 리드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7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 wherein the threaded post comprises a single lead thread or multiple lead threads.

실시예 18. 실시예 6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8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6, wherein the threaded post includes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for self-tapping into bone or tissue.

실시예 19. 실시예 7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9.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 wherein the threaded post includes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for self-tapping into bone or tissue.

실시예 20. 실시예 6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20.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6, wherein the implant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4.0 mm.

실시예 21. 실시예 7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21.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 wherein the implant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4.0 mm.

실시예 22. 치과용 부착 조립체이며,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지대치 부재로서,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와, 상부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을 갖고,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지대치 부재; 지대치 부재에 대한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부착을 위한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있는 캡 내에 선회 맞물림을 위한 선회 조인트를 포함하는 상부 단부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스커트는 둥근, 볼록한 외부 표면을 가지며,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지대치 부재와 유지 부재는 유지 부재가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는, 유지 부재; 및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고정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며, 캡은 상기 선회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고, 공동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가지며, 선회 조인트 및 캡 공동은 치과용 기기에 대해 유지 부재 위에서 캡의 선회를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함께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22.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comprising: an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the abutment member having an upper end and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portion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The portion is positioned such that the abutment member protrudes above a tissue level when the abutment member is secured to a tooth root, implant, or adjacent tooth; A retaining member for fixed, non-removable attachment by the patient to an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mprising a pivot joint for pivot engagement within a cap in a recess of a dental appliance, and an external position of the abutment member. It has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for engagement over the crystal surface, the skirt having a rounded, convex outer surface, and the retaining member being constructed of a rigid material to provide a retain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provides;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ention member include a retention member having a materable snap engagement shap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hen the reten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abutment member; and a cap for securing to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the cap having a cavity for receiving the pivot joint, the cavity having a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over the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skirt. ,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wherein the pivot joint and the cap cavity together include means for permitting pivoting of the cap over the retaining member relative to the dental appliance.

실시예 23. 실시예 22에 있어서,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부재들이 함께 고정될 때 유지 부재를 지대치 부재 위에 센터링하기 위해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에 적어도 인접하여 외향으로 테이퍼지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23.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22, wherein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is tapered outwardly at least adjacent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for centering the retention member over the abutment member when the members are secured together.

실시예 24. 실시예 22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PEEK인,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24.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22, wherein the rigid material is PEEK.

실시예 25. 실시예 22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소켓을 갖고 유지 헤드는 소켓에서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mbodiment 25.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mbodiment 22,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 socket project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aining head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in the socket. .

실시예 26. 실시예 25에 있어서, 유지 헤드는 하부 단부를 갖고, 스커트는 유지 헤드의 하부 단부를 넘어 하향으로 연장되며, 그에 의해 스커트는 유지 헤드의 하부 단부가 지대치 부재로의 유지 부재의 재삽입 시 소켓에 도달하기 전에 지대치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26. The method of Example 25, wherein the retaining head has a lower end and a skirt extends downwardly beyond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head, whereby the skirt allows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head to contact the material of the retaining member to the abutment member.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that, upon inse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butment member before reaching the socket.

실시예 27. 실시예 25에 있어서, 유지 헤드는 스커트의 하부 단부를 넘어 하향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그에 의해 스커트의 하부 단부는 부착 조립체의 임의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지대치 부재와 접촉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27. The dental attachment of Example 25, wherein the retaining head does not project downwardly beyond the lower end of the skirt, whereby the lower end of the skirt contacts the abutment member before any other portion of the attachment assembly. assembly.

실시예 28. 실시예 25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소켓을 지대치 부재의 외부에 연결하여 타액이 빠져나가게 하는 배수 구멍을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28.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25,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 drain hole connecting the socket to the exterior of the abutment member to allow saliva to drain.

실시예 29. 실시예 22에 있어서,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상기 상부 단부로부터 외향 테이퍼를 갖고, 지대치 부재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종결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29.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22, wherein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portion has an outward taper from the upper end and terminate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the tissue level when the abutment member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

실시예 30. 실시예 22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상기 상부 단부 아래에 이격된 하부 단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헤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0.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22, wherein the abutment member includes a generally cylindrical head having a lower end spaced below the upper end.

실시예 31. 실시예 22에 있어서, 스커트는, 오목하고, 수형 부재와 지대치 부재가 함께 고정될 때 내부 표면의 높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을 따라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미리 결정된 높이의 내부 표면을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1. The skirt of Example 22, wherein the skirt is concave and does not contact a portion of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along at least a major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inner surface when the male member and the abutment member are secured together.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having a high interior surface.

실시예 32. 실시예 22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지대치 부재를 임플란트와 맞물리기 위한 삽입 도구와 맞물리기 위해 한쌍의 정반대 세장형 노치를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2.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22, wherein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has a pair of diametrically opposed elongated notches for engaging an insertion tool for engaging the abutment member with the implant.

실시예 33. 실시예 22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육각형이 아닌 임플란트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지대치 부재는 1.75 mm의 최소 높이를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3.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22, wherein the abutment member includes means for attaching to a non-hexagonal implant, and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 minimum height of 1.75 mm.

실시예 34. 실시예 22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육각형 임플란트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지대치 부재는 2.75 mm의 최소 높이를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4.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22, wherein the abutment member includes means for attaching to a hexagonal implant, and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 minimum height of 2.75 mm.

실시예 35. 실시예 22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상기 상부 단부에 인접한 볼록한 외부 표면 부분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헤드(40)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는 상기 헤드 위에 끼워지기 위한 내부 공동을 갖는 대체로 컵 형상이며, 스커트는 부재들을 함께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볼록한 외부 표면 위에 스냅 맞물림을 위한 오목한 내부 표면 부분을 갖고, 상기 볼록한 표면 부분 및 오목한 표면 부분은 상기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5. The method of Example 22, wherein the abutment member includes a generally cylindrical head 40 having a convex outer surface portion adjacent the upper end, and the retention member is a generally cup having an internal cavity for fitting over the head. wherein the skirt has a concave interior surface portion for snap engagement over the convex exterior surface to releasably secure the members together, the convex surface portion and the concave surface portion comprising the matable snap engagement shape. Attachment assembly.

실시예 36. 실시예 22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에 있는 헤드 부분 및 헤드 부분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샤프트를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6.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22,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 head portion at an upper end and a shaft suspending downwardly from the head portion.

실시예 37. 실시예 36에 있어서, 샤프트는 헤드 부분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되어 있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7.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36, wherein the shaft is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실시예 38. 실시예 37에 있어서, 치아 근부 또는 임플란트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복수의 지대치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의 지대치 부재는 상기 헤드 부분과 정렬된 샤프트를 갖는 제1 지대치 부재,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해 10°각도의 샤프트를 갖는 제2, 각형성된 지대치 부재, 및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해 20°각도의 샤프트를 갖는 제3, 각형성된 지대치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8 The method of Example 37, comprising a plurality of abutment members for selectively engaging a tooth root or an implant, the plurality of abutment members comprising: a first abutment member having a shaft aligned with the head portion, the head portion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angled abutment member having a shaft at a 10° angle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and a third, angled abutment member having a shaft at a 20° angle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실시예 39.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부분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볼록한,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39.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38, wherein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convex.

실시예 40.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통 보어를 갖고, 유지 부재는 상기 관통 보어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유지 헤드를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40. The method of Example 38,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 through bore extending from an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retaining member has a retaining head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ith the through bore. , dental attachment assembly.

실시예 41. 실시예 40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는 상기 유지 헤드가 상기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지대치 부재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유지 헤드를 넘어 연장되는 하부 단부를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41.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40, wherein the skirt has a lower end extending beyond the retention head to contact the abutment member before the retention head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

실시예 42.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와 상기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수형 부재와 지대치 부재가 함께 고정될 때 상기 유지 헤드를 상기 관통 보어와 정렬하기 위한 정렬 수단을 함께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mbodiment 42. The dental apparatus of embodiment 41, wherein the skirt and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together include alignment means for aligning the retaining head with the through bore when the male member and abutment member are secured together. Attachment assembly.

실시예 43. 실시예 22에 있어서, 캡은 중심 길이방향 축, 상단 벽 및 상단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환형 측벽을 갖는 대체로 컵 형상의 부재 - 상단 벽 및 측벽은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가짐 - 및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된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선회 불가 맞물림을 위해 구성된 유지 부재와 선회 맞물림을 위해 구성된 공동을 정의하고 중심 길이방향 축을 갖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단 벽은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환형 주변 부분을 따라 환형 경로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갖는 내부 상단 표면을 갖고, 오목한 리세스는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을 형성하며; 오목한 리세스의 곡선은 공동의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개방 단부를 향해 측벽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계속되고; 곡선은 유지 부재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축방향 정렬된 선회 불가 위치와 공동의 중심 길이방향 축이 유지 부재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각도를 이루는 완전 선회 위치 사이에서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43. The cap of Example 22, wherein the cap is a generally cup-shaped member having a central longitudinal axis, a top wall, and annular side walls extending away from the top wall, the top wall and side walls engaging a recess in the dental appliance. having a shaped outer surface - and defining a cavity configured for pivotable engagement with a retaining member configured for non-pivotable engagement over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an abutment member attached to a tooth root, implant, or adjacent tooth, and having a central longitudinal axis. Comprising a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The top wall has an inner top surface with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in an annular path along an outer annula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top surface, the concave recess forming a curve with a first radius of curvature; The curve of the concave recess continues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toward the open end of the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The curve is such that it provides pivot engagement with the retaining member between a no pivot position axially aligned with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taining member and a fully pivoted position where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cavity is at an angle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taining member.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comprising:

실시예 44. 실시예 43에 있어서, 공동 내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상단 표면의 중심부를 더 포함하고, 돌출 중심부는 선회 불가 위치에서 유지 부재의 대향 표면의 중심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mbodiment 44.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mbodiment 43,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portion of the top surface projecting vertically into the cavity, the protruding central portion being configured to contact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posing surface of the retaining member in a non-pivot position.

실시예 45. 실시예 43에 있어서, 오목한 리세스의 곡선과 공동의 측벽의 내부 표면은 측벽을 따라 상단 벽으로부터 곡선의 길이를 따라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갖는 복수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를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45. The dental device of Example 43, wherein the curve of the concave recess and the interio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cavity comprise a plurality of continuous tangential arcs with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long the length of the curve from the top wall along the side wall. For attachment assembly.

실시예 46. 실시예 45에 있어서,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의 곡률 반경은 내부 상단 표면으로부터 공동의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개방 단부를 향해 크기가 증가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46.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45, wherei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ries of successive tangential arcs increases in size from the inner top surface toward the open end of the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실시예 47. 실시예 46에 있어서,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의 곡률 반경은 내부 상단 표면으로부터 공동의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개방 단부를 향해 크기가 증가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47.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46, wherei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series of continuous tangential arcs increases in size from the inner top surface toward the open end of the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실시예 48. 실시예 47에 있어서, 공동의 오목한 내부 표면의 곡선을 따라 3개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가 있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48.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47, wherein there are three consecutive tangential arcs following the curve of the concave interior surface of the cavity.

실시예 49. 실시예 48에 있어서, 연속적인 접선 원호는 각각 0.034, 0.042 및 0.093 인치의 반경을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49.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48, wherein the continuous tangential arcs have radii of 0.034, 0.042, and 0.093 inches, respectively.

실시예 50. 실시예 43에 있어서, 캡의 외경은 약 5.4 밀리미터(mm)이고, 캡의 높이는 약 2.3 mm인,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50.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43,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 is about 5.4 millimeters (mm) and the height of the cap is about 2.3 mm.

실시예 51. 실시예 43에 있어서, 선회 불가 위치와 완전 선회 위치 사이에서 유지 부재에 대한 캡의 오목한 리세스의 선회 맞물림은 최대 약 30도인,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51.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43, wherein the pivot engagement of the concave recess of the cap relative to the retaining member between the no-pivot position and the fully pivot position is at most about 30 degrees.

실시예 52. 실시예 43에 있어서, 캡의 내부 상단 표면에 있는 오목한 리세스는 선회 불가 위치에서 내부 상단 표면과 유지 부재의 대향하는 제1 단부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고 완전 선회 위치에서 유지 부재의 대향하는 외부 표면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52 The method of Example 43, wherein the concave recess in the inner top surface of the cap provides space between the inner top surface and the opposing first end of the retaining member in the non-pivot position and provides space for the retaining member to be positioned in the fully pivoted position.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configured to engage an opposing outer surface portion.

실시예 53. 치과용 부착 조립체이며,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지대치 부재로서,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와, 상부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을 갖고,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지대치 부재; 지대치 부재에 대한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부착을 위한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는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있는 캡 내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부 단부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스커트는 둥근, 볼록한 외부 표면을 가지며, 유지 부재는 PEEK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지대치 부재와 유지 부재는 유지 부재가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캡은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유지 부재의 상기 상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공동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53.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comprising: an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the abutment member having an upper end and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portion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The portion is positioned to protrude above a tissue level when the abutment member is secured to a tooth root, implant, or adjacent tooth; a retaining member for fixed, non-removable attachment by the patient to the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nfigured to engage within a cap in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and fitting over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having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for engagement, the skirt having a rounded, convex outer surface, the retaining member being constructed of a PEEK material and providing a retaining force of approximately 10 to 75 pounds;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ention member have a materable snap engagement shap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hen the reten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abutment member; The cap is configured to be secured to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and includes a cavity for receiving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the cavity having a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over the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skirt. , dental attachment assembly.

실시예 54. 실시예 53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에 있는 헤드 부분 및 헤드 부분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샤프트는 헤드 부분과 정렬되지 않은 헤드 부분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되어 있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54 The abutment member of Example 53, wherein the abutment member includes a head portion at an upper end and a shaft downwardly suspending from the head portion, the shaft being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that is not aligned with the head portion. Dental attachment assembly.

실시예 55. 실시예 53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소켓을 갖고 유지 헤드는 소켓에서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mbodiment 55.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mbodiment 53,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 socket project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aining head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in the socket. .

실시예 56. 실시예 55에 있어서, 유지 헤드는 하부 단부를 갖고, 스커트는 유지 헤드의 하부 단부를 넘어 하향으로 연장되며, 그에 의해 스커트는 유지 헤드의 하부 단부가 지대치 부재로의 유지 부재의 재삽입 시 소켓에 도달하기 전에 지대치 부재와 접촉하게 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56. The method of Example 55, wherein the retaining head has a lower end and a skirt extends downwardly beyond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head, whereby the skirt allows the lower end of the retaining head to contact the material of the retaining member to the abutment member.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that, upon inser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butment member before reaching the socket.

실시예 57. 실시예 55에 있어서, 유지 헤드는 스커트의 하부 단부를 넘어 하향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그에 의해 스커트의 하부 단부는 부착 조립체의 임의의 다른 부분보다 먼저 지대치 부재와 접촉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57. The dental attachment of Example 55, wherein the retaining head does not project downwardly beyond the lower end of the skirt, whereby the lower end of the skirt contacts the abutment member before any other portion of the attachment assembly. assembly.

실시예 58. 실시예 53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으로 돌출된 소켓을 지대치 부재의 외부에 연결하여 타액이 빠져나가게 하는 배수 구멍을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58.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53,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 drain hole connecting a socket project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to the exterior of the abutment member to allow saliva to drain.

실시예 59. 실시예 53에 있어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의 외향 팽윤 부분 및 유지 부재의 스커트의 내부 표면의 대응하는 오목한 링 부분을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59.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53, wherein the registerable snap engagement shape includes an outwardly swollen portion of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and a corresponding concave ring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of the retention member. .

실시예 60. 실시예 53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상기 상부 단부에 인접한 볼록한 외부 표면 부분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헤드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는 상기 헤드 위에 끼워지기 위한 내부 공동을 갖는 대체로 컵 형상이며, 스커트는 부재들을 함께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볼록한 외부 표면 위에 스냅 맞물림을 위한 오목한 내부 표면 부분을 갖고, 상기 볼록한 표면 부분 및 오목한 표면 부분은 상기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0. The method of Example 53, wherein the abutment member includes a generally cylindrical head having a convex outer surface portion adjacent the upper end, and the retaining member is generally cup-shaped with an internal cavity for fitting over the head, The skirt has a concave interior surface portion for snap engagement over the convex exterior surface to releasably secure the members together, the convex surface portion and the concave surface portion comprising the matable snap engagement shape.

실시예 61. 실시예 54에 있어서, 제2 지대치 부재 및 제3 지대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지대치 부재는 상기 헤드 부분과 정렬된 샤프트를 갖고, 제2 지대치 부재는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해 10°각도의 샤프트를 갖고, 제3 지대치 부재는 상기 헤드 부분에 대해 20°각도의 샤프트를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1 The method of example 54,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butment member and a third abutment member,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 shaft aligned with the head portion, and the second abutment member is at a 10° angle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having a shaft, wherein the third abutment member has a shaft at a 20° angle with respect to the head portion.

실시예 62.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헤드 부분은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을 포함하고,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볼록한,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2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54, wherein the head portion includes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and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is convex.

실시예 63. 실시예 53에 있어서, 캡은 중심 길이방향 축, 상단 벽 및 상단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환형 측벽을 갖는 대체로 컵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상단 벽 및 측벽은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갖고, 공동은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된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선회 불가 맞물림을 위해 구성된 유지 부재와 선회 맞물림을 위해 구성되며; 상단 벽은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환형 주변 부분을 따라 환형 경로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갖는 내부 상단 표면을 갖고, 오목한 리세스는 제1 곡률 반경을 갖는 곡선을 형성하며; 오목한 리세스의 곡선은 공동의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개방 단부를 향해 측벽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계속되고; 곡선은 유지 부재의 중심 길이방향 축과 축방향 정렬된 선회 불가 위치와 공동의 중심 길이방향 축이 유지 부재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각도를 이루는 완전 선회 위치 사이에서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3 The cap of Example 53 comprises a generally cup-shaped member having a central longitudinal axis, a top wall, and annular side walls extending away from the top wall, the top wall and side walls recessed in a dental appliance. The cavity is configured for pivotable engagement with a retaining member configured for non-pivotable engagement over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an abutment member attached to a tooth root, implant, or adjacent tooth; The top wall has an inner top surface with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in an annular path along an outer annular peripheral portion of the inner top surface, the concave recess forming a curve with a first radius of curvature; The curve of the concave recess continues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toward the open end of the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The curve is such that it provides pivot engagement with the retaining member between a no pivot position axially aligned with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taining member and a fully pivoted position where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cavity is at an angle to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retaining member.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comprising:

실시예 64. 실시예 53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는 선회 조인트를 포함하고, 선회 조인트와 캡 공동은 함께 유지 부재 위에서 캡의 선회를 허용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4.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53,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includes a pivot joint, and the pivot joint and cap cavity together allow pivoting of the cap over the retaining member.

실시예 65. 실시예 64에 있어서, 유지 부재 위에서 캡의 선회 범위는 15 내지 20도인,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5.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64, wherein the rotation range of the cap over the retaining member is 15 to 20 degrees.

실시예 66. 실시예 64에 있어서, 유지 부재 위에서 캡의 선회 범위는 약 30도인,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6.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64, wherein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cap over the retaining member is about 30 degrees.

실시예 67. 치과용 부착 조립체이며,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상화된 제1 단부, 및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을 갖는 제2 단부를 갖는 지대치 부재로서,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2개의 대체로 둥근,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부분을 갖는, 지대치 부재;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유지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각각의 유지 부분과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스커트의 내부 표면에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스커트의 내부 표면 상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지대치 부재의 환형 돌출부 위에 스냅 맞물리기 위한 2개의 이격된, 환형 홈을 포함하는, 유지 부재; 및 유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캡을 포함하며; 캡은 치과용 기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7.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comprising: an abutment member having a first end configured to attach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end having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comprising: An abutment membe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retaining portions comprising two generally round, annular protrusions; 1.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a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being constructed of a rigid material and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to 10 m. Providing a retention force of 75 pounds, the retention membe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snap-engaging features on the interior surface of the skirt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ith respective retention portions of the abutment member, the interior surface of the skirt a retaining member, the upper axially spaced, snap-engaging feature comprising two spaced apart, annular grooves for snap-engaging onto the annular protrusions of the abutment member; and a cap having a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a cavity for receiving the retaining member;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wherein the cap is configured to be secured to a dental appliance.

실시예 68. 실시예 67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PEEK인,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8.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67, wherein the rigid material is PEEK.

실시예 69. 실시예 67에 있어서,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은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69.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67, wherein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comprises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along an outer perimeter of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실시예 70. 실시예 69에 있어서, 공동 내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내부 상단 표면의 중심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70.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69,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portion of the interior top surface protruding vertically into the cavity.

실시예 71. 실시예 70에 있어서, 유지 부재는 내부 상단 표면의 중심부와 직접 접촉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71.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70, wherein the retaining member is in direct contact with a central portion of the interior top surface.

실시예 72. 실시예 68에 있어서, 오목한 리세스의 곡선은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측벽을 따라 계속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72.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68, wherein the curve of the concave recess continues along the sidewall of the rounde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the cavity.

실시예 73. 실시예 72에 있어서, 오목한 리세스는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과 측벽을 따라 복수의 다양한 각도로 만곡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73.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72, wherein the concave recess is curved at a plurality of different angles along the interior top surface and side walls of the cavity.

실시예 74. 실시예 72에 있어서, 오목한 리세스는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로 구성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74.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72, wherein the concave recess is comprised of a series of continuous tangential arcs.

실시예 75. 실시예 74에 있어서,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는 캡의 내부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부분까지 크기가 증가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75.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74, wherein the series of continuous tangential arcs increase in size from the inner top surface of the cap to the bottom portion.

실시예 76. 실시예 73에 있어서,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는 캡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캡의 하단 부분까지 크기가 증가하는 원으로 구성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76.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73, wherein the series of continuous tangential arcs consists of circles increasing in size from the top portion of the cap to the bottom portion of the cap.

실시예 77. 실시예 67에 있어서, 캡의 외경은 약 5.4 밀리미터(mm)이고, 캡의 높이는 약 2.3 mm인,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77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67,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cap is about 5.4 millimeters (mm) and the height of the cap is about 2.3 mm.

실시예 78. 실시예 68에 있어서, 오목한 리세스는 최대 약 30도의 각도 교정을 갖는 유지 부재를 제공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Example 78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Example 68, wherein the concave recess provides a retaining member with an angular correction of up to about 30 degrees.

실시예 79. 치과용 조립체이며, (a)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i)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으로서, 제1 단부 부분은: (1) 지대치 부재와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돌출부로서, 지대치 부재는 하부 부분을 갖는, 외부 돌출부; 및 (2) 환형 시트를 정의하는 환형 커프 부분을 포함하고; 지대치 부재의 하부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외부 돌출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때 연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환형 시트에 접촉하고 안착되며, 임플란트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연결 라인은 환자의 잇몸 라인 약간 아래에 위치되는, 제1 단부 부분; 및 (ii)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직접 맞물리기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b)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강성 재료는 PEEK를 포함하는, 유지 부재; 및 c) 치과용 기기에 고정하고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79. A dental assembly comprising (a) an intraosseous dental implant, comprising: (i) a first end portion having an upper and lower end, the first end portion comprising: (1) releasable engagement with an abutment member; an external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irst end portion, the abutment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and (2) an annular cuff portion defining an annular sheet; The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contacts and seats against the annular sheet to form a connection line when the abutment member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external projection, the connection line being slightly below the patient's gum line when the implant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a first end portion located at; and (ii)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direct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of the patient; (b)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that is stationary, non-removable by the patient, over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The retention member is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and provides a retention force of 10 to 75 pounds, the rigid material comprising PEEK; and c) a cap configured to secure to the dental device and engage with the retaining member.

실시예 80. 치과용 조립체이며, (a)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i)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으로서, 제1 단부 부분은: (1) 지대치 부재와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돌출부로서, 지대치 부재는 외부 하부 부분을 갖는, 외부 돌출부; 및 (2) 오목한, 내향 테이퍼진 베벨 표면을 갖는 환형 시트를 정의하는 환형 커프 부분을 포함하고, 테이퍼진 베벨 표면은 외부 돌출부를 둘러싸며; 지대치 부재의 하부 베벨은 지대치 부재가 외부 돌출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때 연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환형 시트의 테이퍼진 베벨 표면에 접촉하고 안착되며, 임플란트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연결 라인은 환자의 잇몸 라인 약간 아래에 위치되는, 제1 단부 부분; 및 (ii)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직접 맞물리기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b)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유지 부재; 및 c) 치과용 기기에 고정하고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0. A dental assembly comprising: (a) an intraosseous dental implant, comprising: (i) a first end portion having an upper and lower end, the first end portion comprising: (1) releasable engagement with an abutment member; an external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irst end portion, wherein the abutment member has an external lower portion; and (2) an annular cuff portion defining an annular sheet having a concave, inwardly tapered beveled surface, the tapered beveled surface surrounding the outward protrusion; The lower bevel of the abutment member contacts and seats against the tapered beveled surface of the annular sheet to form a connecting line when the abutment member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external protrusion, and when the implant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the connecting line is aligned with the patient's oral cavity. a first end portion located slightly below the gum line of; and (ii)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direct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of the patient; (b)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a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being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a retaining member providing a retain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and c) a cap configured to secure to the dental device and engage with the retaining member.

실시예 81. 실시예 79 또는 실시예 80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외부 돌출부, 제1 단부 부분, 및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1.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9 or 80,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projection,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82. 실시예 81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10 내지 20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2.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81,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10 to 20 degree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83. 실시예 82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약 15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3.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82,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bout 15 degree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84. 실시예 81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25 내지 35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4.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81,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between 25 and 35 degree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85. 실시예 84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약 30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5.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84,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bout 30 degree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86. 실시예 79 또는 실시예 80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인, 치과용 조립체.Example 86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9 or Example 80, wherein the rigid material is polyetheretherketone (PEEK).

실시예 87. 실시예 79 또는 실시예 80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단일 리드 나사부 또는 다중 리드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7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9 or Example 80, wherein the threaded post comprises a single lead thread or multiple lead threads.

실시예 88. 실시예 79 또는 실시예 80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8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9 or Example 80, wherein the threaded post includes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to self-tap into bone or tissue of a patient.

실시예 89. 실시예 79 또는 실시예 80에 있어서, 치과용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89.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9 or Example 80, wherein the dental implant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4.0 mm.

실시예 90. 실시예 79 또는 실시예 80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이한 피치의 2개의 연속적인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90.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9 or Example 80, wherein the threaded post comprises two consecutive threads of different pitches.

실시예 91. 실시예 79 또는 실시예 80에 있어서, 환형 커프 부분은 다양한 조직 깊이를 수용하도록 다양한 높이로 될 수 있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91.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9 or Example 80, wherein the annular cuff portion can be of various heights to accommodate various tissue depths.

실시예 92. 실시예 79 또는 실시예 80에 있어서, 외부 돌출부는 돌출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연장되는 도구 수용 보어를 갖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92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79 or Example 80, wherein the external protrusion has an instrument receiving bore extend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protrusion.

실시예 93. 치과용 조립체이며, 제1 리세스 및 제2 리세스를 포함하는 치과용 기기; 제1 리세스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캡 및 제2 리세스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캡;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제1 지대치 부재와, 제2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제2 지대치 부재; 제1 캡 내에서 맞물리도록 크기 설정된 제1 유지 부재로서, 제1 유지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제1 유지 부재; 및 제2 캡 내에서 맞물리도록 크기 설정된 제2 유지 부재로서, 제2 유지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제2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93. A dental assembly, comprising: a dental appliance comprising a first recess and a second recess; a first cap for securing to the first recess and a second cap for securing to the second recess; a first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first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second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 first retaining member sized to engage within the first cap, the first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strip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to define an inner surface for engaging over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 a first retaining member having an uninterrupted skirt, the retaining member being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and providing a retain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and a second retaining member sized to engage within the second cap, the second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to define an inner surface for engaging over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second abutment member. A dental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retaining member having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wherein the retaining member is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and provides a retain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실시예 94. 실시예 93에 있어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지대치 부재가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둘레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되며, 제1 유지 부재는 제1 캡 내에서 선회 맞물림을 위한 선회 조인트를 포함하는 상부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지대치 부재와 제1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부재가 제1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제1 캡은 선회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공동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가지며, 선회 조인트 및 캡 공동은 치과용 기기에 대해 제1 유지 부재 위에서 제1 캡의 선회를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함께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94. The method of Example 93, wherein the first abutment member includes an upper end, and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is at a tissue level when the abutment member is secured to a first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positioned to protrude circumferentially, the first retention member including an upper end including a pivot joint for pivot engagement within the first cap, the first abutment member and the first retention member having the first retention member The first cap has a mateable snap-engaging shape for releasable snap-engagement when attached to the abutment member, the first cap comprising a cavity for receiving a pivot joint, the cavity being round for releasable snap-engagement over the round outer surface of the skirt. , a dental assembly having a concave inner surface, wherein the pivot joint and the cap cavity together include means for permitting pivoting of the first cap over the first retaining member relative to the dental instrument.

실시예 95. 실시예 94에 있어서,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부재들이 함께 고정될 때 제1 유지 부재를 제1 지대치 부재 위에 센터링하기 위해 제1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에 적어도 인접하여 외향으로 테이퍼지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95. The method of Example 94, wherein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is at least adjacent an upper end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for centering the first retention member over the first abutment member when the members are secured together. Outwardly tapering, dental assembly.

실시예 96. 실시예 93에 있어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상화된 제1 단부, 및 제1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을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지대치 부재의 제1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2개의 대체로 둥근,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부분을 갖고, 제1 유지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각각의 유지 부분과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스커트의 내부 표면에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스커트의 내부 표면 상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제1 지대치 부재의 환형 돌출부 위에 스냅 맞물리기 위한 2개의 이격된, 환형 홈을 포함하며, 제1 캡은 제1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은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96 The method of Example 93, wherein the first abutment member includes a first end configured to attach to a first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end having a first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1 The first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has at least two axially spaced retaining portions comprising two generally round, annular protrusions, the first retaining member being releasable with each retaining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snap engaging featur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for snap engagement, wherein the axially spaced, snap engaging featur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snap engage over the annular protrusions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The first cap includes a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a cavity for receiving pivot engagement with the first retaining member; A dental assembly, wherein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includes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along an outer perimeter of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실시예 97. 실시예 93에 있어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더 포함하고; 상부 부분은 제1 지대치 부재의 나사식 리세스 내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부분을 포함하며; 하부 부분은 각형성된 플랫폼 및 각형성된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며,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구강 내 뼈 또는 조직과 나사식 맞물림을 위해 구성되고, 각형성된 플랫폼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97 The method of Example 93, further comprising an implant compris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includes a threaded portion configured to be threaded into a threaded recess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The lower portion includes an angled platform and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angled platform, the threaded post configured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within the patient's mouth, the angled platform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A dental assembly, angled about orthogonal lines.

실시예 98. 실시예 93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PEEK인, 치과용 조립체.Example 98.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93, wherein the rigid material is PEEK.

실시예 99. 실시예 94 또는 실시예 95에 있어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소켓을 갖고 유지 헤드는 소켓에서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제1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치과용 조립체.Embodiment 99 The method of embodiment 94 or 95, wherein the first abutment member has a socket projecting inwardly from an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ention head is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retention member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in the socket. A dental assembly protruding from.

실시예 100. 실시예 94 또는 실시예 95에 있어서,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제1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외향 테이퍼를 갖고, 제1 지대치 부재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의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종결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0 The method of example 94 or example 95, wherein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has an outward taper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and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a tissue level when the first abutment member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A dental assembly, terminated in position.

실시예 101. 실시예 94 또는 실시예 95에 있어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제1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 아래에 이격된 하부 단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헤드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1.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94 or Example 95, wherein the first abutment member includes a generally cylindrical head having a lower end spac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실시예 102. 실시예 94 또는 실시예 95에 있어서, 제1 유지 부재의 스커트는, 오목하고, 제1 유지 부재와 제1 지대치 부재가 함께 고정될 때 내부 표면의 높이의 적어도 주요 부분을 따라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과 접촉하지 않는 미리 결정된 높이의 내부 표면을 갖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2 The skirt of Example 94 or Example 95, wherein the skirt of the first retention member is concave and has a length along at least a major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interior surface when the first retention member and the first abutment member are secured together. 1 A dental assembly having an inner surface of a predetermined height that is not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103. 실시예 94 또는 실시예 95에 있어서, 제1 캡은 중심 길이방향 축, 상단 벽 및 상단 벽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환형 측벽을 갖는 대체로 컵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며, 상단 벽 및 측벽은 치과용 기기의 제1 리세스와 맞물리도록 형상화된 외부 표면을 갖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3 The method of example 94 or 95, wherein the first cap includes a generally cup-shaped member having a central longitudinal axis, a top wall, and an annular side wall extending away from the top wall, the top wall and the side wall A dental assembly having an outer surface shaped to engage a first recess of a dental appliance.

실시예 104. 실시예 93에 있어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상화된 제1 단부, 및 제1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을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지대치 부재의 제1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2개의 대체로 둥근,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부분을 갖고, 제1 유지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각각의 유지 부분과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스커트의 내부 표면에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스커트의 내부 표면 상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제1 지대치 부재의 환형 돌출부 위에 스냅 맞물리기 위한 2개의 이격된, 환형 홈을 포함하며, 제1 캡은 제1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은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4 The method of Example 93, wherein the first abutment member includes a first end configured to attach to a first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end having a first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1 The first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has at least two axially spaced retaining portions comprising two generally round, annular protrusions, the first retaining member being releasable with each retaining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snap engaging featur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for snap engagement, wherein the axially spaced, snap engaging featur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snap engage over the annular protrusions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The first cap includes a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a cavity for receiving pivot engagement with the first retaining member; A dental assembly, wherein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includes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along an outer perimeter of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실시예 105. 실시예 104에 있어서, 공동 내로 수직으로 돌출하는 내부 상단 표면의 중심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5.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04,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portion of the interior top surface protruding vertically into the cavity.

실시예 106. 실시예 105에 있어서, 제1 유지 부재는 내부 상단 표면의 중심부와 직접 접촉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6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05, wherein the first retaining member is in direct contact with a central portion of the interior top surface.

실시예 107. 실시예 104에 있어서, 오목한 리세스의 곡선은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의 측벽을 따라 계속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7.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04, wherein the curve of the concave recess continues along the sidewall of the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the cavity.

실시예 108. 실시예 107에 있어서, 오목한 리세스는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과 측벽을 따라 복수의 다양한 각도로 만곡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8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07, wherein the concave recess is curved at a plurality of different angles along the interior top surface and side walls of the cavity.

실시예 109. 실시예 108에 있어서, 오목한 리세스는 일련의 연속적인 접선 원호로 구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09.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08, wherein the concave recess is comprised of a series of continuous tangential arcs.

실시예 110. 실시예 93에 있어서,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를 더 포함하고,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는: (i)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으로서, 제1 단부 부분은: (1) 지대치 부재와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돌출부로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외부 하부 베벨 부분을 갖는, 외부 돌출부; 및 (2) 오목한, 내향 테이퍼진 베벨 표면을 갖는 환형 시트를 정의하는 환형 커프 부분을 포함하고, 테이퍼진 베벨 표면은 외부 돌출부를 둘러싸며; 제1 지대치 부재의 하부 베벨은 지대치 부재가 외부 돌출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때 연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환형 시트의 테이퍼진 베벨 표면에 접촉하고 안착되며, 임플란트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연결 라인은 환자의 잇몸 라인 약간 아래에 위치되는, 제1 단부 부분; 및 (ii)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직접 맞물리기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10 The method of Example 93, further comprising an intraosseous dental implant, wherein the intraosseous dental implant comprises: (i) a first end portion having an upper and lower end, wherein the first end portion comprises: (1) an abutment member; an external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wherein the first abutment member has an external lower bevel portion; and (2) an annular cuff portion defining an annular sheet having a concave, inwardly tapered beveled surface, the tapered beveled surface surrounding the outward protrusion; The lower bevel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contacts and seats against the tapered beveled surface of the annular seat to form a connection line when the abutment member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external protrusion, a connection line when the implant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a first end portion positioned slightly below the patient's gum line; and (ii)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direct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of a patient.

실시예 111. 실시예 110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제1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11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10,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first abutment member.

실시예 112. 실시예 111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10 내지 20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12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11,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10 to 20 degrees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113. 실시예 112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약 15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13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12,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bout 15 degree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114. 실시예 111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25 내지 35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14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11,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25 to 35 degrees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115. 실시예 114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제1 단부 부분과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약 30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Example 115.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114,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bout 30 degrees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실시예 116. 실시예 93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인, 치과용 조립체.Example 116. The dental assembly of Example 93, wherein the rigid material is polyetheretherketone (PEEK).

따라서, 치과용 부착 조립체의 구체적인 예가 개시되었다.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위의 설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본 발명을 제조하거나 사용할 수 있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제시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광범위하게 고려되는 주제를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완전히 포함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된다.Accordingly, specific examples of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have been disclosed.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scrib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presented herein represent the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us represent the subject matter broadly contemplated by the invention. Additionally, it is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ully includes other embodiments that may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ccordingly.

앞서 설명된 이익 및 이점은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될 수 있거나 여러 실시예와 관련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양태는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의도된다.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된 임의의 설명은 다른 실시예의 유사한 특징에 적용되며, 다수의 실시예의 요소는 다른 실시예를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는 언급된 문제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실시예 또는 언급된 이익 및 이점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갖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benefits and advantages described above may relate to one embodiment or may relate to multiple embodiments. Aspect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are intended to be used with another embodiment. Any description relating to one embodiment applies to similar features in other embodiments, and elements of multipl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to form other embodiments.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embodiments that solve any or all of the stated problems or to embodiments that have any or all of the stated benefits and advantages.

앞서 상세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일 뿐이고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용례 및 용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설명된 실시예는 치아 근부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은 베이스 구조에 치과용 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특정 유형의 치과용 부착 조립체와 관련된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치아 근부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은 베이스 구조에 치과용 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치과용 부착 조립체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치아 근부 또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같은 베이스 구조에 치과용 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다른 유형의 치과용 부착 조립체에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임의의 이전 섹션에 제시된 임의의 이론에 얽매이려는 의도는 없다. 또한, 예시는 도시된 참조 물품을 더 잘 예시하기 위해 과장된 치수 및 그래픽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제한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것도 이해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in nature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or its applications and uses.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use in connection with a particular type of dental attachment assembly for securing a dental appliance to a tooth root or to a base structure such as a dental implant. Accordingly, although this embodiment is shown and described, for ease of explanation, as being implemented in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for securing a dental appliance to a tooth root or to a base structure such as a dental impla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other types of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may be implemented for securing a dental device to a base structure, such as an implant. Moreover, there is no intention to be bound by any theory presented in any of the previous sections. It is also understood that examples may include exaggerated dimensions and graphical representations to better illustrate the reference articles shown and are not to be considered limiting unless explicitly stated.

더욱이, 명세서와 청구범위 모두를 해석함에 있어서, 모든 용어는 문맥과 일치하는 최대한 넓은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포함한다" 및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비배타적인 방식으로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참조된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존재하거나 이용되거나 명시적으로 참조되지 않은 다른 요소, 구성요소, 또는 단계와 조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Moreover, in interpreting both the specification and the claims, all terms should be construed in the broadest manner consistent with the context. In particular, the terms "comprise" and "comprising" shall be construed as referring to an element, component, or step in a non-exclusive manner, and shall be construed as referring to an element, component, or step where the referenced element, component, or step is Indicates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other elements, components, or steps not referenced.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는 문맥이 달리 명확하게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대상을 포함한다. 청구범위는 임의의 임의적인 요소를 제외하도록 작성될 수 있음을 추가로 유의한다. 따라서, 이 진술은 청구항 요소의 인용 또는 "부정적" 제한의 사용과 관련하여 "단독", "오직" 등과 같은 배타적 용어 사용에 대한 선행 근거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된다.A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the singular forms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t is further noted that claims may be written to exclude any optional element. Accordingly, this statement is intended to serve as a precedent for the use of exclusive terms such as "solely," "only," etc. in connection with the recitation of claim elements or the use of "negative" limitations.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 대한 언급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 또는 단일의 배타적인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Reference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o “an embodiment” or “an implementation” means that a particular feature, structure or characteristic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embodiment is included in at least one embodiment or implementation. Accordingly, the appearances of the phrase “in an embodiment” in various place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are not necessarily all referring to the same embodiment or to a single exclusive embodiment. Moreover, specific features, structures or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combined in any suitable way in one or more embodiments or one or more implementations.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예, 사례 또는 예시의 역할을 하는"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양태는 반드시 다른 양태에 비교하여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일부"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을 의미한다.The word “exemplary” is used herein to mean “serving as an example, instance, or illustration.” Any embodiment described herein as “exemplary” should not necessarily be constru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over another embodim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the term “some” means one or more.

문맥상 반대로 지시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범위는 종점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개방형 범위는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값만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유사하게, 모든 값 목록은 문맥상 반대로 지시하지 않는 한 중간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상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제공된 임의의 및 모든 예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를 들어, "~와 같은")의 사용은 단지 본 발명을 더 잘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달리 청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을 제기하지 않는다. 명세서의 어떤 언어도 임의의 청구되지 않은 요소를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Unless the context dictates otherwise, all ranges recited herei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end points and open ranges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only commercially practical values. Similarly, all lists of values should be considered to include intermediate values unless the context dictates otherwise. All methods described herein can be performed in any suitable order 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or otherwise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The use of any and all examples or exemplary language (e.g., “such as”) provid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herein is solely for the purpose of better illuminating the invention and, unless otherwise claimed, It does not pose any limitation 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No language in the specifica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dicating that any non-claimed element is essential to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특정 수치 값 및 범위는 용어 "약"이 선행되는 수치 값으로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다. "약"이라는 용어는 선행하는 정확한 숫자 뿐만 아니라 용어가 선행하는 숫자에 가깝거나 대략적인 숫자에 대한 문자 그대로의 뒷받침을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숫자가 구체적으로 인용된 숫자에 가깝거나 대략적인 지의 여부를 결정할 때, 가깝거나 대략적인 인용되지 않은 숫자는 제시된 문맥에서 구체적으로 인용된 숫자와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을 제공하는 숫자일 수 있다.Certain numerical values and ranges are presented herein as numerical values preceded by the term “about.” The term “about” is used herein to provide literal support for the exact number that precedes it as well as a number that is close to or approximate the number that the term precedes. When determining whether a number is close to or approximate a specifically cited number, an unquoted number that is close or approximate may be a number that, in the context in which it is presented, provides a substantial equivalent to the specifically cited number.

본 명세서에 설명된 조합, 예컨대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 하나 이상",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하나 이상" 및 "A, B, C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은 A, B 및/또는 C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고, A의 배수, B의 배수 또는 C의 배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중 하나 이상",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A, B 및 C 중 하나 이상" 및 "A, B, C 또는 그 임의의 조합"과 같은 조합은 A만, B만, C만,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일 수 있고, 임의의 이러한 조합은 구성요소 A, B 및/또는 C 중 하나 이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와 B의 조합은 하나의 A와 다수의 B, 다수의 A와 하나의 B, 또는 다수의 A와 다수의 B를 포함할 수 있다.Combinations described herein, such as “at least one of A, B or C”, “one or more of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one or more of A, B and C” "and "A, B, C or any combination thereof"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B and/or C and may include multiples of A, multiples of B or multiples of C. Specifically, “at least one of A, B, or C,” “one or more of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one or more of A, B, and C,” and “A, B.” A combination such as “, C, or any combination thereof” may be A only, B only, C only, A and B, A and C, B and C, or A and B and C, and any such combination may be a component. It may include one or more members of A, B and/or C.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A and B may include one A and multiple B's, multiple A's and one B's, or multiple A's and multiple B's.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알려졌거나 나중에 알려지게 될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양태의 구성요소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은 참조로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포함되고 청구범위에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떤 것도 이러한 개시가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인용되어 있는 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대중에게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All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to the elements of the various aspects described throughout this disclosure, known or later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expressly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nd are intended to be encompassed by the claims. . Moreover, nothing disclosed herein is intended to be dedicated to the public regardless of whether such disclosure is explicitly recited in the claims.

Claims (26)

환자의 구강을 위한 치과용 조립체이며,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포함하고;
상부 부분은 지대치의 나사식 리세스 내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부분을 포함하며,
하부 부분은 각형성된 플랫폼 및 각형성된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며,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구강 내 뼈 또는 조직과 나사식 맞물림을 위해 구성되고, 각형성된 플랫폼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
It is a dental assembly for the patient's oral cavity,
comprising an implant compris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includes a threaded portion configured to be screwed into a threaded recess of the abutment tooth,
The lower portion includes an angled platform and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angled platform, the threaded post configured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within the patient's mouth, the angled platform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A dental assembly, angled about orthogonal lines.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1,
A dental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a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tooth.
제2항에 있어서, 유지 부재는 강성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치과용 조립체.3. The dental assembly of claim 2, wherein the retaining member is comprised of a rigid polyetheretherketone (PEEK) material to provide a retain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제2항에 있어서,
치과용 기기에 고정하고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캡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
According to paragraph 2,
A dental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cap configured to secure to the dental device and engage with the retain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부 부분의 나사식 부분에 대해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2. Dental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relative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부 부분의 나사식 부분에 대해 약 15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6. The dental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t about 15 degrees relative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부 부분의 나사식 부분에 대해 약 30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6. The dental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bout 30 degrees relative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상부 부분의 나사식 부분에 대해 약 20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6. The dental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about 20 degrees relative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각형성된 플랫폼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10 내지 35도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The dental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angled platform is angled between 10 and 35 degrees with respect to a line perpendicular to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제1항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단일 리드 나사부 또는 다중 리드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The dental assembly of claim 1 , wherein the threaded post comprises a single lead thread or multiple lead threads. 제1항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뼈 또는 조직에 셀프 태핑하도록 구성된 대향 축방향 절단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The dental assembly of claim 1 , wherein the threaded post includes opposing axial cuts configured for self-tapping into bone or tissue. 제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는 약 1.5 mm 내지 약 4.0 mm의 최대 외경을 갖는, 치과용 조립체.The dental assembly of claim 1 , wherein the implant has a maximum outer diameter of about 1.5 mm to about 4.0 mm. 치과용 부착 조립체이며,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지대치 부재로서,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와, 상부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을 갖고,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지대치 부재;
지대치 부재에 대한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부착을 위한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있는 캡 내에 선회 맞물림을 위한 선회 조인트를 포함하는 상부 단부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스커트는 둥근, 볼록한 외부 표면을 가지며,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지대치 부재와 유지 부재는 유지 부재가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는, 유지 부재; 및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고정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며, 캡은 상기 선회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갖고, 공동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가지며, 선회 조인트 및 캡 공동은 치과용 기기에 대해 유지 부재 위에서 캡의 선회를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함께 포함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
It is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the abutment member having an upper end and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portion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allowing the abutment member to attach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or an abutment member positioned so that it protrudes above the tissue level when secured to an adjacent tooth;
A retaining member for fixed, non-removable attachment by the patient to an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mprising a pivot joint for pivot engagement within a cap in a recess of a dental appliance and an external position of the abutment member. It has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for engagement over the crystal surface, the skirt having a rounded, convex outer surface, and the retaining member being constructed of a rigid material to provide a retain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provides;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ention member include a retention member having a materable snap engagement shap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hen the reten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abutment member; and
a cap for securing to a recess of a dental appliance, the cap having a cavity for receiving the pivot joint, the cavity having a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over a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skirt;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wherein the pivot joint and the cap cavity together include means for permitting pivoting of the cap over the retaining member relative to the dental instrument.
제13항에 있어서,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부재들이 함께 고정될 때 유지 부재를 지대치 부재 위에 센터링하기 위해 지대치 부재의 상부 단부에 적어도 인접하여 외향으로 테이퍼지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14.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claim 13, wherein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tapers outwardly at least adjacent the upper end of the abutment member for centering the retention member over the abutment member when the members are secured together. 제13항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PEEK인, 치과용 부착 조립체.14.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claim 13, wherein the rigid material is PEEK. 치과용 부착 조립체이며,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지대치 부재로서,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와, 상부 단부로부터 하향 돌출하는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을 갖고, 외부 위치 결정 표면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위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되는, 지대치 부재;
지대치 부재에 대한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부착을 위한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는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있는 캡 내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부 단부와,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해 유지 부재의 상부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스커트는 둥근, 볼록한 외부 표면을 가지며, 유지 부재는 PEEK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지대치 부재와 유지 부재는 유지 부재가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캡은 치과용 기기의 리세스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유지 부재의 상기 상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공동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
It is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the abutment member having an upper end and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portion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upper end,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portion allowing the abutment member to attach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or an abutment member positioned so that it protrudes above the tissue level when secured to an adjacent tooth;
a retaining member for fixed, non-removable attachment by the patient to the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having an upper end configured to engage within a cap in a recess of the dental appliance, and fitting over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having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project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for engagement, the skirt having a rounded, convex outer surface, the retaining member being constructed of a PEEK material and providing a retaining force of approximately 10 to 75 pounds;
The abutment member and the retention member have a materable snap engagement shap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hen the reten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abutment member;
The cap is configured to be secured to a recess of a dental appliance and includes a cavity for receiving the upper end of the retaining member, the cavity having a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over the rounded outer surface of the skirt. , dental attachment assembly.
제16항에 있어서,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에 있는 헤드 부분 및 헤드 부분으로부터 하향 현수된 샤프트를 포함하고, 샤프트는 헤드 부분과 정렬되지 않은 헤드 부분에 대해 미리 결정된 각도로 되어 있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17.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claim 16, wherein the abutment member includes a head portion at an upper end and a shaft suspended downwardly from the head portion, the shaft being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that is not aligned with the head portion. . 치과용 부착 조립체이며,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상화된 제1 단부, 및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을 갖는 제2 단부를 갖는 지대치 부재로서,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2개의 대체로 둥근,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부분을 갖는, 지대치 부재;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유지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각각의 유지 부분과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스커트의 내부 표면에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스커트의 내부 표면 상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지대치 부재의 환형 돌출부 위에 스냅 맞물리기 위한 2개의 이격된, 환형 홈을 포함하는, 유지 부재; 및
유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갖는 캡을 포함하며; 캡은 치과용 기기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부착 조립체.
It is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 abutment member having a first end configured to attach to a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end having an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comprising two generally round, annular protrusions. An abutment membe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retaining portions;
1.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a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over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the retaining member being constructed of a rigid material and having a thickness of about 10 to 10 m. Providing a retention force of 75 pounds, the retention membe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snap-engaging features on the interior surface of the skirt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ith respective retention portions of the abutment member, the interior surface of the skirt a retaining member, the upper axially spaced, snap-engaging feature comprising two spaced apart, annular grooves for snap-engaging onto the annular protrusions of the abutment member; and
comprising a cap having a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a cavity for receiving the retaining member; A dental attachment assembly, wherein the cap is configured to be secured to a dental appliance.
제18항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PEEK인, 치과용 부착 조립체.19. The dental attachment assembly of claim 18, wherein the rigid material is PEEK. 치과용 조립체이며,
a)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i) 상단과 하단을 갖는 제1 단부 부분으로서, 제1 단부 부분은:
(1) 지대치 부재와의 해제 가능한 맞물림을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외부 돌출부로서, 지대치 부재는 하부 부분을 갖는, 외부 돌출부;
(2) 환형 시트를 정의하는 환형 커프 부분을 포함하고; 지대치 부재의 하부 부분은 지대치 부재가 외부 돌출부와 해제 가능하게 맞물릴 때 연결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환형 시트에 접촉하고 안착되며, 임플란트가 환자의 구강에 고정될 때 연결 라인은 환자의 잇몸 라인 약간 아래에 위치되는, 제1 단부 부분; 및
(ii) 환자의 뼈 또는 조직에 직접 맞물리기 위해 제1 단부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는, 골내 치과용 임플란트;
b)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고정식, 환자가 제거 가능하지 않은 맞물림을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는 유지 부재로서,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며, 강성 재료는 PEEK를 포함하는, 유지 부재; 및
c) 치과용 기기에 고정하고 유지 부재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캡을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
It is a dental assembly,
a) An endosseous dental implant, comprising:
(i) a first end portion having a top and a bottom, wherein the first end portion:
(1) an external projection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releasable engagement with an abutment member, the abutment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2) comprising an annular cuff portion defining an annular sheet; The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contacts and seats against the annular sheet to form a connection line when the abutment member is releasably engaged with the external projection, the connection line being slightly below the patient's gum line when the implant is secured in the patient's mouth. a first end portion located at; and
(ii) an endosseous dental implant comprising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end portion for direct engagement with the patient's bone or tissue;
b) a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defining an inner surface for engagement that is not removable by the patient and is stationary over the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abutment member, The member is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and provides a retention force of 10 to 75 pounds, the rigid material comprising PEEK; and
c) A dental assembly comprising a cap configured to secure to a dental appliance and engage with a retaining member.
제20항에 있어서, 나사식 포스트는 외부 돌출부 및 지대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21. A dental assembly according to claim 20, wherein the threaded post is angled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projection and the abutment member. 치과용 조립체이며,
제1 리세스 및 제2 리세스를 포함하는 치과용 기기;
제1 리세스에 고정하기 위한 제1 캡 및 제2 리세스에 고정하기 위한 제2 캡;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제1 지대치 부재와, 제2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하기 위한 제2 지대치 부재;
제1 캡 내에서 맞물리도록 크기 설정된 제1 유지 부재로서, 제1 유지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제1 유지 부재; 및
제2 캡 내에서 맞물리도록 크기 설정된 제2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제2 유지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 위에 맞물리기 위한 내부 표면을 정의하는 연속적인, 단절되지 않은 스커트를 갖고, 유지 부재는 강성 재료로 구성되어 약 10 내지 75 파운드의 유지력을 제공하는, 치과용 조립체.
It is a dental assembly,
A dental device comprising a first recess and a second recess;
a first cap for securing to the first recess and a second cap for securing to the second recess;
a first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first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abutment member for attachment to a second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 first retaining member sized to engage within the first cap, the first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a continuous strip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to define an inner surface for engaging over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 a first retaining member having an uninterrupted skirt, the retaining member being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and providing a retain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and
a second retaining member sized to engage within the second cap, the second retaining member having a first end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to define an inner surface for engaging over an outer positioning surface of the second abutment member; A dental assembly having a continuous, uninterrupted skirt, wherein the retaining member is comprised of a rigid material and provides a retaining force of about 10 to 75 pounds.
제22항에 있어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상부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지대치 부재의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지대치 부재가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고정될 때 조직 레벨 둘레로 돌출하도록 위치 설정되며, 제1 유지 부재는 제1 캡 내에서 선회 맞물림을 위한 선회 조인트를 포함하는 상부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지대치 부재와 제1 유지 부재는 제1 유지 부재가 제1 지대치 부재에 부착될 때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정합 가능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제1 캡은 선회 조인트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포함하며, 공동은 스커트의 둥근 외부 표면 위에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한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가지며, 선회 조인트 및 캡 공동은 치과용 기기에 대해 제1 유지 부재 위에서 제1 캡의 선회를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함께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first abutment member includes an upper end, and the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is such that the abutment member protrudes about a tissue level when the abutment member is secured to the first tooth root, implant, or adjacent tooth. Positioned, the first retention member comprising an upper end including a pivot joint for pivot engagement within the first cap, the first abutment member and the first retention member having the first retention member attached to the first abutment member. having a matchable snap engagement shap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hen
The first cap includes a cavity for receiving a pivot joint, the cavity having a rounded, concave inner surface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over the round outer surface of the skirt, the pivot joint and the cap cavity having a first cap for the dental appliance. A dental assembly, together with means for allowing pivoting of the first cap over the retaining member.
제22항에 있어서, 제1 지대치 부재는 제1 치아 근부, 임플란트 또는 인접한 치아에 부착되도록 형상화된 제1 단부, 및 제1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을 갖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지대치 부재의 제1 외부 위치 결정 표면은 2개의 대체로 둥근,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유지 부분을 갖고, 제1 유지 부재는 지대치 부재의 각각의 유지 부분과의 해제 가능한 스냅 맞물림을 위해 스커트의 내부 표면에 적어도 2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을 갖고, 스커트의 내부 표면 상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스냅 맞물림 모양은 제1 지대치 부재의 환형 돌출부 위에 스냅 맞물리기 위한 2개의 이격된, 환형 홈을 포함하며, 제1 캡은 제1 유지 부재와의 선회 맞물림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는 둥근, 오목한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은 공동의 내부 상단 표면의 외부 주연부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한 리세스를 포함하는, 치과용 조립체.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first abutment member includes a first end configured to attach to a first tooth root, an implant or an adjacent tooth, and a second end having a first external positioning surface. The first outer positioning surface has at least two axially spaced retaining portions comprising two generally round, annular protrusions, the first retaining member for releasable snap engagement with each retaining portion of the abutment member. having at least two axially spaced, snap-engaging featur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wherein the axially spaced, snap-engaging featur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kirt include two spaced apart snap-engaging features on the annular protrusions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and an annular groove, wherein the first cap includes a round, concave interior surface defining a cavity for receiving pivot engagement with the first retaining member; A dental assembly, wherein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includes a concave recess extending radially along an outer perimeter of the interior top surface of the cavity. 제22항에 있어서,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더 포함하고;
상부 부분은 제1 지대치 부재의 나사식 리세스 내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식 부분을 포함하며;
하부 부분은 각형성된 플랫폼 및 각형성된 플랫폼으로부터 연장되는 나사식 포스트를 포함하며, 나사식 포스트는 환자의 구강 내 뼈 또는 조직과 나사식 맞물림을 위해 구성되고, 각형성된 플랫폼은 나사식 포스트의 길이에 직교하는 라인에 대해 각형성되는, 치과용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22,
further comprising an implant compris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The upper portion includes a threaded portion configured to be threaded into a threaded recess of the first abutment member;
The lower portion includes an angled platform and a threaded post extending from the angled platform, the threaded post configured for threaded engagement with bone or tissue within the patient's mouth, the angled platform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threaded post. A dental assembly, angled about orthogonal lines.
제22항에 있어서, 강성 재료는 PEEK인, 치과용 조립체.23. The dental assembly of claim 22, wherein the rigid material is PEEK.
KR1020247006759A 2021-08-04 2022-08-03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gled impla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24004079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94,275 US20230038580A1 (en) 2021-08-04 2021-08-04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7/394,275 2021-08-04
US17/478,320 US11779438B2 (en) 2021-08-04 2021-09-17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7/478,320 2021-09-17
US17/499,671 US20230039996A1 (en) 2021-08-04 2021-10-12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7/499,683 2021-10-12
US17/499,665 2021-10-12
US17/499,683 US20230044939A1 (en) 2021-08-04 2021-10-12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7/499,665 US11596504B2 (en) 2021-08-04 2021-10-12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7/499,671 2021-10-12
US17/703,512 2022-03-24
US17/703,512 US20230038772A1 (en) 2021-08-04 2022-03-24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angled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PCT/US2022/039293 WO2023014804A1 (en) 2021-08-04 2022-08-03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angled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796A true KR20240040796A (en) 2024-03-28

Family

ID=8515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6759A KR20240040796A (en) 2021-08-04 2022-08-03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gled impla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0796A (en)
WO (1) WO2023014804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63759C (en) * 2006-10-02 2015-07-21 Adrian Auderset Anchor for securing a tooth replacement
US9033709B1 (en) * 2014-06-06 2015-05-19 Zest Ip Holdings, Llc Dental attachment assembly cap and method of use
ES2961575T3 (en) * 2016-01-28 2024-03-12 Zest Ip Holdings Llc Dental Fixation Set
WO2018039066A1 (en) * 2016-08-20 2018-03-01 Lamar Frank R Digital full arch apparatus and method for immediate definitive dental prostheses
CN206603828U (en) * 2016-12-23 2017-11-03 大连三生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implant system with Angled abu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4804A1 (en)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1176B1 (en)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KR102171584B1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device
EP0967931B1 (e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for posterior and anterior teeth
KR101777144B1 (en) Fixed detachable dental attachment device, assembly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20220104921A1 (en) Dental implant system having enhanced soft-tissue growth features
WO2001085050A2 (en) Heal in-place abutment system
KR20130097036A (en) Fixture for implantation having elastic adaptor for combining abutment
KR102369161B1 (en) Abutments to prevent rotation of implant crowns
WO2019078818A1 (en) Convertible dental assembly
US9700388B2 (en) One-part or multi-part implant system comprising a mounting element having one or more outer rings
KR20240040796A (en)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gled impla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11779438B2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11596504B2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30172695A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angled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20230039996A1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30044939A1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US20230038772A1 (en) Dental attachment assemblies, angled implant assemblies, and methods of use
US20230038580A1 (en) Fixed hybrid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CN117915856A (en)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gled implant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210071682A (en)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AU2015203455A1 (en)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