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017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017A
KR20240040017A KR1020230078890A KR20230078890A KR20240040017A KR 20240040017 A KR20240040017 A KR 20240040017A KR 1020230078890 A KR1020230078890 A KR 1020230078890A KR 20230078890 A KR20230078890 A KR 20230078890A KR 20240040017 A KR20240040017 A KR 20240040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se layer
display device
paragraph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88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민성
박상일
안성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8/451,68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99100A1/en
Priority to CN202311183308.XA priority patent/CN117729812A/en
Publication of KR20240040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01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보호층은 제1 베이스층, 제1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제2 베이스층, 및 제1 베이스층과 제2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되고, 실리콘계 접착체를 포함하는 기재 접착층, 제2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단일막 구조를 가지며, 하드 코팅 물질 및 지문 방지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내충격성 및 폴딩 특성을 가질 수 있다.A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a window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and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window,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 first base layer, a second bas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base layer, and a substrate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nd comprising a silicone-based adhesive, a surface disposed on the second base layer,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and comprising a hard coating material and an anti-fingerprint material. By including a coating layer, it can have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folding characteristics.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rotective layer.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사용자에게 우수한 품질의 컬러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Various display devices used in multimedia devices such as televisions, mobile phones, tablet computers, game consoles, etc. are being developed.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various functional layers to provide a high-quality color image to a user.

한편, 최근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 또는 폴더블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를 구현 하기 위해, 얇은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기능층들의 개수를 줄이고, 다양한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층을 포함하여 두께가 얇은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Meanwhile, research on thin display devices has recently been conducted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including curved surfaces, rollable display devices, or foldable display devices. Meanwhile, a thin display device can be implemented by reducing the number of functional layers and including functional layers containing various functions.

한편, 두께가 얇은 표시 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동시에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내충격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의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Meanwhile, when implementing a thin display devic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display device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the structure of display devices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optical properties.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시인성이 개선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visibility.

일 실시예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과 상기 제2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되고, 실리콘계 접착체를 포함하는 기재 접착층, 상기 제2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단일막 구조를 가지며, 하드 코팅 물질 및 지문 방지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On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a window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and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window,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includes a first base layer and a second base disposed on the first base layer. layer, and a substrate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comprising a silicone-based adhesive, disposed on the second base layer,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a hard coating material, and an anti-fingerprint material.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urface coating layer containing a material is provided.

상기 기재 접착층은 인장 모듈러스가 0.1GPa 이상 4.5GPa 이하일 수 있다.The substrate adhesive layer may have a tensile modulus of 0.1 GPa or more and 4.5 GPa or less.

상기 기재 접착층의 두께는 3㎛ 이상 4.5㎛ 이하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may be 3 ㎛ or more and 4.5 ㎛ or less.

상기 기재 접착층의 엣지부는 상기 제1 베이스층의 엣지부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엣지부 각각보다 내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The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may be disposed inside each of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base layer.

상기 기재 접착층의 엣지부는 상기 제1 베이스층의 엣지부보다 제1 폭만큼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엣지부보다 제2 폭만큼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폭 및 상기 제2 폭은 각각 독립적으로 450㎛ 이상 600㎛ 이하인 것일 수 있다.The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is disposed inside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base layer by a first width, and is disposed inside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base layer by a second width, and the first width and the second width The width may be independently 450 ㎛ or more and 600 ㎛ or less.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기재 접착층의 면적은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면적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면적 각각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When viewed in plan, the area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may be smaller than each of the area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모듈러스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3.5GPa 이상 5.0GPa 이하인 것일 수 있다.The modulu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modulus of the second base layer may each independently be 3.5 GPa or more and 5.0 GPa or less.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두께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35㎛ 이상 50㎛ 이하인 것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may each independently be 35 ㎛ or more and 50 ㎛ or less.

상기 제1 베이스층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may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상기 제2 베이스층은 상기 제1 베이스층과 다른 재료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The second base layer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base layer.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베이스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25㎛ 이상 70㎛ 이하일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window,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25 μm or more and 70 μm or less.

상기 보호층,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 모듈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the window, and the display module may be folded and unfolded based on a folding axis.

상기 윈도우는 박막 글라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window may include thin film glass.

상기 윈도우의 두께는 80㎛ 이하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window may be 80 μm or less.

상기 표면 코팅층의 두께는 3㎛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3㎛ or more and 10㎛ or less.

상기 표면 코팅층의 표면 접촉각은 110도 이상 120도 이하일 수 있다.The surfac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110 degrees or more and 120 degrees or less.

상기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각각은 광축이 제어된 연신 필름이고, 상기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각각의 제1 연신축 상의 인장 모듈러스와 제2 연신축 상의 인장 모듈러스의 차이는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1.1 Gpa 이하일 수 있다.Each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is a stretched film with a controlled optical axis, and the tensile modulus on the first stretched axis and the tensile modulus on the second stretched axis of each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re The differences may each independently be between 0 and 1.1 Gpa.

상기 표면 코팅층의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는 40 이상일 수 있다.The Vickers hard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40 or more.

상기 표면 코팅층은 상기 표면 코팅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지문 방지 물질을 0 wt% 이상 10 wt% 이하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surface coating layer may include 0 wt% to 10 wt% of the anti-fingerprint materia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상기 제1 베이스층의 상면 및 하면,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된 하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hard coating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base layer.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두 개의 베이스층, 및 접착층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포함함으로써, 내충격성이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includes two base layers and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n adhesive layer, thereby providing a display device with excellent impact resistance.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하드 코팅 물질 및 지문 방지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포함함으로써, 개선된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may have improved visibility by including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surface coating layer including a hard coating material and an anti-fingerprint materi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1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의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의 일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d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f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diagram show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an in-folding state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IG. 2B is a diagram show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an out-folded state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IG. 3A is a diagram show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an in-folded state along the second folding axis.
FIG.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an out-folded state along the second folding axis.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 shown in Figure 4.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display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e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f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or region, layer, portion, etc.)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directly placed/on th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they can be connected/combined or a third component can be placed between them.

한편, 본 출원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application, “directly disposed” may mean that there is no layer, film, region, plate, etc. added between a part of the layer, film, region, plate, etc. and another part. For example, “directly placed” may mean placed without using an additional member, such as an adhesive member, between two layers or two members.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proportions, and dimensions of component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And/or” includes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that the associated configurations may define.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부재의 상부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below,” “on the lower side,” “above,” and “on the upper side” are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 terms are relative concepts and are explained based on the direction indicated in 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disposed on” may refer to not only the upper part of a member but also the lower part.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너무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dditionally,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too idealistic or overly formal meanings. is not allowed.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include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단변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과 나란한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D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표시 장치(DD)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DR1)과 나란한 장변을 갖고,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거나,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변과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변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display device D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a short sid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a long side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DR2 that intersects the first direction DR1. . However,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DD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t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long sid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a short side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DR2, or a rectangular shape with a sid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R1 and a side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DR2. It can have a square shape with the same length.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전자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폴딩축(FX1, FX2)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이하, 폴딩축(FX1, FX2)을 기준으로 폴딩된 상태를 폴딩 상태로 정의하고, 폴딩되지 않은 상태를 비-폴딩 상태로 정의한다. 폴딩축(FX1, FX2)은 표시 장치(DD)가 폴딩될 때 발생하는 가상의 선인 회전축이다. 예를 들어, 폴딩축(FX1, FX2)는 표시 장치(DD)에 포함된 기구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D may be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lded based on the folding axes FX1 and FX2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Hereinafter, a state that is folded based on the folding axes (FX1, FX2) is defined as a folded state, and a state that is not folded is defined as a non-folded state. The folding axes FX1 and FX2 are rotation axes that are virtual lines that occur when the display device DD is folded. For example, the folding axes FX1 and FX2 may be formed by mechanical structure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DD.

폴딩축(FX1, FX2)은 제1 방향(DR1) 또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폴딩축을 제1 폴딩축(FX1)으로 정의하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폴딩축을 제2 폴딩축(FX2)으로 정의한다. 표시 장치(DD)는 제1 및 제2 폴딩축(FX1, FX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The folding axes FX1 and FX2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DR1 or the second direction DR2. In one embodiment, the folding axi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s defined as the first folding axis FX1, and the folding axis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is defined as the second folding axis FX2.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fold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olding axes FX1 and FX2.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태블릿, 자동차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중소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D in one embodiment may be a large display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r monitor, as well as a small or medium-sized display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tablet, car navigation system, or game consol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can be appli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as long as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각각에 평행한 표시면(IS)에 제3 방향(DR3)을 향해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면(IS)은 표시 장치(DD)의 전면(front surface)과 대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DD displays an image IM in the third direction DR3 on the display surface IS parallel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R1 and DR2. It can be displayed. The display surface IS on which the image IM is displayed may correspon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DD.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표시면(IS)은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IM)이 표시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 영역(DA)을 통해 영상(IM)을 시인한다. 표시 영역(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에워쌀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영역(DA)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have a display area DA and a non-display area NDA defined. The display area (DA) may be an area where the image (IM) is displayed, and the user recognizes the image (IM) through the display area (DA). The display area D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non-display area (NDA) may surround the display area (DA).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display area DA may be substantially defined by the non-display area NDA. However, this is an exemplary illustration, and the non-display area ND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only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DA or may be omitted.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various embodiments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영역으로, 영상(IM)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DA)에 의해 표시 장치(DD)의 베젤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The non-display area NDA is an area adjacent to the display area DA and is an area where the image IM is not displayed. The bezel area of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defined by the non-display area NDA.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TC)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 광, 열, 또는 압력 등 다양한 형태의 외부 입력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TC)은 전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손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TC)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표시 장치(DD)는 표시 장치(DD)의 구조에 따라 표시 장치(DD)의 측면이나 배면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a user's input (TC)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user's input (TC) includes various types of external inputs, such as parts of the user's body, light, heat, or pressure. In this embodiment, the user's input (TC) is shown as the user's hand being applied to the front. However, this is shown as an example, and as described above, the user's input TC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nd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device DD. ) may detect a user's input (TC) applied to the side or back of the device,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표시 장치(DD)는 표시면(IS)을 활성화시켜 영상(IM)을 표시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하는 영역은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사용자의 입력(TC)을 감지하는 영역은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되거나, 표시면(IS)의 모든 영역에 제공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DD can activate the display surface IS to display the image IM and at the same time detect the user's input TC. In this embodiment, the area that detects the user's input (TC) is shown as being provided in the display area (DA) where the image (IM) is displayed. However, this is shown as an example, and the area for detecting the user's input (TC) may be provided in the non-display area (NDA) or may be provided in all areas of the display surface (IS).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가 제1 폴딩축(FX1)에 따라 인-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가 제1 폴딩축(FX1)에 따라 아웃-폴딩(Out-Folding)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A is a diagram showing the display device DD shown in FIG. 1 in an in-folding state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and FIG. 2B is a diagram showing the display device DD shown in FIG. 1 (In-Folding). This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D) is out-folded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된 폴딩축(예를 들어, 제1 폴딩축(FX1),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2a에서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폴딩된 표시 장치(DD)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Referring to FIGS. 1 and 2A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a foldable display device.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folded based on a folding axis (eg, a first folding axis FX1 and a second folding axis FX2)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IG. 2A exemplarily shows the display device DD fold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olding axis FX1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표시 장치(DD)에는 동작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역들은 폴딩 영역(FA1) 및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1)은 두 비폴딩 영역들(NFA1, NFA2) 사이에 정의된다. A plurality of areas may be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ype. The plurality of areas may be divided into a folding area (FA1) and at least one non-folding area (NFA1, NFA2). A folding area (FA1) is defined between two non-folding areas (NFA1, NFA2).

폴딩 영역(FA1)은 제1 폴딩축(FX1)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제1 폴딩축(FX1)은 제2 방향(DR2), 즉 표시 장치(DD)의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1)은 제1 폴딩축(FX1)을 따라 폴딩되고,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된다.The folding area FA1 is an area that is 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ing axis FX1 and is an area that substantially forms a curvature. Here, the first folding axis FX1 may extend along the second direction DR2, that is,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DD. The folding area FA1 is defined as an area folded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and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DR2.

일 실시예에서 비폴딩 영역들(NFA1, NFA2)은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1)의 일 측과 인접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1 방향(DR1)에서 폴딩 영역(FA1)의 타 측과 인접하다.In one embodiment, the unfolded areas NFA1 and NFA2 may include a first unfolded area NFA1 and a second unfolded area NFA2.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i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olding area FA1 in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is adjacent to the folding area FA1 in the first direction DR1. adjacent to the other side.

표시 장치(DD)는 인-폴딩(In-Folding) 또는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인-폴딩은 표시면(IS)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지칭하고, 아웃-폴딩은 표시 장치(DD)의 후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표시면들이 마주보도록 폴딩되는 것을 인-폴딩이라 정의하고, 서로 다른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표시면들이 외부를 향하도록 폴딩되는 것을 아웃-폴딩이라 정의한다.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in-folded or out-folded. In-folding refers to folding the display surfaces IS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and out-folding refers to folding the display devices DD so that the rear surfaces face each other. Specifically, folding so that the display surfaces of different non-folding areas (NFA1, NFA2) are folded to face each other is defined as in-folding, and folding so that the display surfaces of different non-folding areas (NFA1, NFA2) face outward is defined as in-folding. It is defined as out-folding.

도 2a에 도시된 표시 장치(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IS)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IS)이 마주하도록 인-폴딩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제1 폴딩축(FX1)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표시 장치(DD)가 인-폴딩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정렬되도록 표시 장치(DD)를 인-폴딩시키기 위해서, 제1 폴딩축(FX1)은 제1 방향(DR1)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중심에 정의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D shown in FIG. 2A may be in-folded so that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face each other. As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is rotated clockwise along the first folding axis FX1,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in-folded. In order to in-fold the display device DD so that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are aligned, the first folding axis FX1 is aligned with the display device DD in the first direction DR1. It can be defined at the center of (DD).

도 2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1 폴딩축(FX1)을 기준으로 아웃-폴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IS)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IS)이 외부에 노출될 때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된 폴딩 영역(FA1)의 표시면(IS)도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 장치(DD)는 펼쳐진 상태에서 영상(IM)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1)은 서로 독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들을 각각 표시하거나,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이미지의 부분들을 각각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out-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ing axis FX1. The display device DD may display the image IM when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are exposed to the outside. . In addition, the display surface (IS) of the folding area (FA1) exposed to the outside can also display an image (IM). 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DD can display an image IM in an unfolded state.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and the folding area (FA1) each display images that provide independent information or portions of one image that provide one piece of information. Each can be displayed.

표시 장치(DD)는 인-폴딩 상태 및 아웃-폴딩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되거나 인-폴딩과 아웃-폴딩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D may be manufactured to have both an in-folding state and an out-folding state, or may be manufactured to have either an in-folding state or an out-folding state.

한편, 도 2a 및 도 2b에서는 표시 장치(DD)에 하나의 폴딩 영역(FA1)이 정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는 복수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Meanwhile, in FIGS. 2A and 2B, one folding area FA1 is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a plurality of folding areas may be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인-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제2 폴딩축에 따라 아웃-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A is a diagram show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an in-folded state along the second folding axis, and FIG. 3B is a diagram showing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in an out-folded state along the second folding axis. This is a drawing showing.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인-폴딩 또는 아웃-폴딩될 수 있다. 제2 폴딩축(FX2)은 제1 방향(DR1), 즉 표시 장치(DD)의 단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A and 3B , the display device DD may be in-folded or out-folded based on the second folding axis FX2. The second folding axis FX2 may extend along the first direction DR1, that is, the minor 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DD.

표시 장치(DD)에는 동작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영역들은 폴딩 영역(FA2) 및 적어도 하나의 비폴딩 영역(NFA3, NFA4)으로 구분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2)은 두 비폴딩 영역들(NFA3, NFA4) 사이에 정의된다. A plurality of areas may be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the operation type. The plurality of areas may be divided into a folding area (FA2) and at least one non-folding area (NFA3, NFA4). The folding area (FA2) is defined between the two non-folding areas (NFA3 and NFA4).

폴딩 영역(FA2)은 제2 폴딩축(FX2)에 기초하여 폴딩되는 영역으로 실질적으로 곡률을 형성하는 영역이다. 폴딩 영역(FA2)은 제2 폴딩축(FX2)을 따라 폴딩되고,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영역으로 정의된다.The folding area FA2 is an area that is folded based on the second folding axis FX2 and is an area that substantially forms a curvature. The folding area FA2 is defined as an area folded along the second folding axis FX2 and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R1.

일 실시예에서 비폴딩 영역들(NFA3, NFA3)은 제3 비폴딩 영역(NFA3) 및 제4 비폴딩 영역(NF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비폴딩 영역(NFA3)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2)의 일 측과 인접하고, 제4 비폴딩 영역(NFA4)은 제2 방향(DR2)에서 폴딩 영역(FA2)의 타 측과 인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nfolded areas NFA3 and NFA3 may include a third unfolded area NFA3 and a fourth unfolded area NFA3. The third non-folding area NFA3 i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olding area FA2 in the second direction DR2, and the fourth non-folding area NFA4 is adjacent to the folding area FA2 in the second direction DR2. It can be adjacent to the other side.

도 3a 및 도 3b에서는 표시 장치(DD)에 하나의 폴딩 영역(FA2)이 정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는 복수의 폴딩 영역들이 정의될 수 있다3A and 3B illustrate that one folding area FA2 is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plurality of folding areas may be defined in th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절단선 I-I`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일 수 있다.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may be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II′ shown in FIG. 4.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M) 및 윈도우(WM) 상에 배치된 보호층(PL)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일 부분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4 to 6, the display device D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 display module DM that displays an image, a window WM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DM, and a window WM on the window WM. It may include a protective layer (PL) disposed. The display module DM may constitute a part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

표시 모듈(DM)은 표시 패널(DP) 및 입력감지유닛(ISP)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DP)은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또는 퀀텀닷(quantum dot)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유기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의 발광층은 퀀텀닷, 및 퀀텀로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설명된다.The display module (DM) may include a display panel (DP) and an input detection unit (ISP). The display panel D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an emissive display panel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DP may b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r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 The light emitting layer of the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may include quantum dots, quantum rods, etc. Hereinafter, the display panel DP will be described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표시 패널(DP)은 플렉서블한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DP)은 전체적으로 말리거나 폴딩축(FX2)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The display panel DP may be a flexible display panel. 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DP may be rolled as a whole, or may be folded or unfolded around the folding axis FX2.

입력감지유닛(ISP)은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감지유닛(ISP)은 연속공정에 의해 표시 패널(DP)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입력감지유닛(ISP)이 표시 패널(DP) 상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 접착필름이 입력감지유닛(IS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배치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감지유닛(ISP)과 표시 패널(DP) 사이에 접착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감지유닛(ISP)은 표시 패널(DP)과 연속 공정에 의해 제조되지 않으며, 표시 패널(DP)과 별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접착필름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put detection unit (ISP) may be placed directly on the display panel (D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put detection unit (ISP)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DP) through a continuous process. That is, when the input sensing unit (ISP) is placed directly on the display panel (DP), the adhesive film is not disposed between the input sensing unit (ISP) and the display panel (DP).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 adhesive fil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put sensing unit (ISP) and the display panel (DP). In this case, the input sensing unit (ISP) is not manufactured through a continuous process with the display panel (DP), but is manufactured through a separate process from the display panel (DP) and then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DP) with an adhesive film. can be fixed to

표시 패널(DP)은 영상을 생성하고, 입력감지유닛(ISP)은 사용자의 입력(예컨대, 터치 이벤트)에 대한 좌표정보를 획득한다.The display panel (DP) generates an image, and the input detection unit (ISP) acquires coordinat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input (eg, touch event).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M)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모듈(DM)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WM)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The window WM may be placed on the display module DM. The window WM may include an optically transparent insulating material. Accordingly, the image generated in the display module DM can penetrate the window WM and be easily recognized by the user.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유리 기판 또는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가 박막 글라스인 경우, 윈도우(WM)의 두께는 80㎛ 이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일 수 있으나, 윈도우(WM)의 두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or example, the window WM may include a glass substrate or a synthetic resin film. When the window WM is thin film glass, the thickness of the window WM may be 80 μm or less, for example, 30 μm, but the thickness of the window WM is not limited thereto.

윈도우(WM)가 합성수지필름인 경우, 윈도우(WM)는 폴리이미드(polyimide, Pl)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window WM is a synthetic resin film, the window WM may include a polyimide (Pl) film or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film.

윈도우(WM)는 다층구조 또는 단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M)는 접착제로 결합된 복수 개의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 유리 기판과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M)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WM)는 폴딩축(FX2)을 중심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즉,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의 형상 변형시 함께 그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The window WM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r a single-layer structure. For example, the window WM may include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films bonded with an adhesive, or may include a glass substrate and a synthetic resin film bonded with an adhesive. The window WM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ccordingly, the window WM may be folded or unfolded around the folding axis FX2. That is, the shape of the window WM may be changed when the shape of the display module DM is changed.

윈도우(WM)는 표시 모듈(DM)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표시 모듈(DM)이 파손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 함은 압력, 스트레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힘으로써 표시 모듈(DM)에 결함을 야기하는 힘을 의미한다.The window WM transmits images from the display module DM and alleviates external shocks,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module DM from being damaged or malfunctioning due to external shocks. Shock from the outside refers to a force from the outside that can be expressed as pressure, stress, etc. that causes a defect in the display module (DM).

윈도우(WM) 상에는 보호층(PL)이 배치된다. 보호층(PL)은 윈도우(WM)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윈도우(WM)의 파손 시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보호층(PL)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protective layer (PL) is disposed on the window (WM). The protective layer PL may be a layer to protect the window WM from external shock and prevent scattering when the window WM is damaged. The structure of the protective layer P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M)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층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M) 사이에 외광 반사를 차단하는 반사방지층(RPL)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을 통해 입사되는 외광에 의해 표시 모듈(DM)을 구성하는 소자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은 위상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는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고, _/2 위상지연자 및/또는 _/4 위상지연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 역시 필름타입 또는 액정 코팅타입일 수 있다. 필름타입은 연신형 합성수지 필름을 포함하고, 액정 코팅타입은 소정의 배열로 배열된 액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지연자 및 편광자는 하나의 편광필름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반사방지층(RPL)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e or more functional layer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window (WM). For example, th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include an anti-reflection layer (RPL) between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window (WM) that blocks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can prevent the problem of elements constituting the display module (DM) being visible from the outside due to external light incident through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D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include a phase retarder and a polarizer. The phase retarder may be a film type or a liquid crystal coating type, and may include a _/2 phase retarder and/or a _/4 phase retarder. The polarizer may also be a film type or a liquid crystal coating type. The film type may include a stretched synthetic resin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oating type may include liquid crystal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The phase retarder and polarizer can be implemented as one polarizing film. Meanwhile, the display device DD of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or below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반사방지층(RPL)은 입력감지유닛(IS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반사방지층(RPL)은 입력감지유닛(ISP)과 윈도우(WM)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방지층(RPL) 및 윈도우(WM)는 접착필름(ADL)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입력감지유닛(ISP)과 반사방지층(RPL) 사이에는 반사방지층(RPL)을 입력감지유닛(ISP)에 고정하는 접착필름이 더 배치될 수 있다.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disposed on the input sensing unit (ISP). That is,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put sensing unit (ISP) and the window (WM).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and window (WM)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n adhesive film (ADL).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adhesive film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input sensing unit (ISP) and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to secure the anti-reflection layer (RPL) to the input sensing unit (ISP).

일 예로, 상기한 접착필름(ADL)은 광학투명접착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접착필름(ADL)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필름(ADL)은 광학투명접착수지(OCR, Optically Clear Resin) 또는 감압접착필름(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dhesive film (ADL) may include an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However, the adhesive film (ADL)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include conventional adhesives or adhesives. For example, the adhesive film (ADL) may include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OCR) o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ilm (PSA).

표시 모듈(DM)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고, 외부 입력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표시 모듈(DM)은 액티브 영역(AA) 및 주변 영역(NAA)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모듈(DM)에서 제공되는 영상을 출사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DM) can display images according to electrical signals and transmit/receive information about external input. The display module (DM) may be defined by an active area (AA) and a peripheral area (NAA). The active area (AA) can be defined as an area that emits an image provided from the display module (DM).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에 인접한다. 예를 들어, 주변 영역(NAA)은 액티브 영역(AA)을 에워쌀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주변 영역(NAA)은 다양한 형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모듈(DM)의 액티브 영역(AA)은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될 수 있다.The peripheral area (NAA) is adjacent to the active area (AA). For example, the surrounding area (NAA) may surround the active area (AA). However, this is shown as an example, and the peripheral area (NAA) may be defined in various shapes and is not limited to an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ctive area AA of the display module DM may correspon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DA.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모듈(DM)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SP)를 더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SP)는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는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SP)의 강도는 표시 모듈(DM)의 강도보다 클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display device DD further includes a support plate SP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module DM to support the display module DM. The support plate SP may be a metal plate. The support plate (SP) may be a stainless steel plate. The strength of the support plate SP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display module DM.

지지 플레이트(SP)는 비폴딩 영역들(NFA3, NFA4)에 대응하는 개수의 지지 플레이트(SP1, SP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지지 플레이트(SP1) 및 제1 지지 플레이트(SP1)와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지지 플레이트(S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들(SP1, SP2)은 각각 비폴딩 영역들(NFA3, NFA4)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 플레이트(SP1)는 표시 모듈(DM)의 제3 비폴딩 영역(NFA3)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2 지지 플레이트(SP2)는 표시 모듈(DM)의 제4 비폴딩 영역(NFA4)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표시 모듈(DM)이 제2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경우,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제2 방향(DR2)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SP may include a number of support plates SP1 and SP2 corresponding to the non-folding areas NFA3 and NFA4. For example, the support plate SP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late SP1 and a second support plate SP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plate SP1.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SP1 and SP2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non-folding areas NFA3 and NFA4,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support plate SP1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non-folding area NFA3 of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econd support plate SP2 is disposed in the fourth non-folding area NFA3 of the display module DM. It is deployed in response to NFA4). When the display module DM is folded based on the second folding axis FX2,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SP1 and SP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econd direction DR2.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폴딩 영역(FA2)에 대응하여 이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는 폴딩 영역(FA2)과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즉, 제2 방향(DR2) 상에서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의 이격 거리는 폴딩 영역(FA2)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SP1 and SP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orresponding to the folding area FA2.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SP1 and SP2 may partially overlap the folding area FA2.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SP1 and SP2 in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olding area FA2.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모듈은 힌지 모듈 또는 다관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SP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odule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SP1 and SP2. The connection module may include a hinge module or an articulated module.

지지 플레이트(SP)가 두 개의 지지 플레이트(SP1, SP2)를 구비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폴딩축(FX2)의 개수가 증가하면, 지지 플레이트(SP)는 폴딩축(FX2)을 기준으로 분리되는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Although the case where the support plate SP includes two support plates SP1 and SP2 i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when the number of folding axes FX2 increases, the support plate SP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separated based on the folding axis FX2.

도 4에서는 지지 플레이트(SP)가 제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SP1, SP2)로 분리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지지 플레이트(SP)는 제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3, NFA4) 및 폴딩 영역(FA2)에 대응하여 배치된 하나의 통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SP)는 폴딩 영역(FA2) 내에 형성된 지지 플레이트(SP)를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FIG. 4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support plate SP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support plates SP1 and SP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support plate SP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ingle plat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non-folding areas NFA3 and NFA4 and the folding area FA2. Here, the support plate SP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formed through the support plate SP formed in the folding area FA2.

표시 모듈(DM)과 지지 플레이트(SP) 사이에는 완충 필름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완충 필름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필름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완충 필름은 접착필름을 통해 표시 모듈(DM) 및 지지 플레이트(SP)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A buffer film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plate SP. The buffer film may include a polymer material. The buffer film may be a layer for absorbing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buffer film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display module (DM) and the support plate (SP) through an adhesive film.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도우(WM)의 측벽(WS1)은 보호층(PL)의 측벽(WS2)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다른 비교 대상보다 액티브 영역(AA)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윈도우(WM)의 측벽(WS1)이 보호층(PL)의 측벽(WS2)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보호층(PL)은 윈도우(WM)의 측벽(WS1)으로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윈도우(WM)에 크랙이 발생될 확률이 감소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to 6 , the sidewall WS1 of the window WM may be disposed inside the sidewall WS2 of the protective layer PL. Being placed medially may mean that it is closer to the active area (AA) than other comparison objects. That is, the sidewall WS1 of the window WM may not protrude more than the sidewall WS2 of the protective layer PL. Accordingly, the protective layer PL can block external shocks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side wall WS1 of the window WM, and as a result, the probability of cracks occurring in the window WM can be reduced.

여기서, 윈도우(WM)의 측벽(WS1)은 보호층(PL)의 측벽(WS2)보다 제1 폭(W1)만큼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폭(W1)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 상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폭(W1)은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윈도우(WM)의 측벽(WS1)과 보호층(PL)의 측벽(WS2) 사이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Here, the sidewall WS1 of the window WM may be disposed inside the sidewall WS2 of the protective layer PL by the first width W1. Here, the first width W1 may mean a wid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DR2. Additionally, the first width W1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wall WS1 of the window WM and the sidewall WS2 of the protective layer PL when viewed in a plan view.

제1 폭(W1)이 커지면 커질수록 보호층(PL)의 측벽(WS2)은 윈도우(WM)의 측벽(WS1)보다 더 돌출되고, 그 결과 윈도우(WM)에 크랙이 발생할 확률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As the first width W1 increases, the side wall WS2 of the protective layer PL protrudes more than the side wall WS1 of the window WM, which further reduces the probability of cracks occurring in the window WM. You can.

또한, 윈도우(WM)의 배면에는 접착필름(ADL)이 배치된다. 접착필름(ADL)의 측벽(WS3)은 보호층(PL)의 측벽(WS2)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다른 비교 대상보다 액티브 영역(AA)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접착필름(ADL)의 측벽(WS3)은 윈도우(WM)의 측벽(WS1)보다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Additionally, an adhesive film (ADL) is disposed on the back of the window (WM). The side wall WS3 of the adhesive film ADL may be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WS2 of the protective layer PL. Being placed medially may mean that it is closer to the active area (AA) than other comparison objects. In particular, the side wall WS3 of the adhesive film ADL may not protrude more than the side wall WS1 of the window WM.

여기서, 접착필름(ADL)의 측벽(WS3)은 보호층(PL)의 측벽(WS2)보다 제2 폭(W2)만큼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폭(W2)은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보호층(PL)의 측벽(WS2)과 접착필름(ADL)의 측벽(WS3) 사이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폭(W2)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 상의 폭을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side wall WS3 of the adhesive film ADL may be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WS2 of the protective layer PL by the second width W2. The second width W2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wall WS2 of the protective layer PL and the sidewall WS3 of the adhesive film ADL when viewed in plan. Here, the second width W2 may mean a wid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DR2.

또한,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큰 경우, 접착필름(ADL)의 측벽(WS3)은 윈도우(WM)의 측벽(WS1)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폭(W2)은 제1 폭(W1)이 같은 경우, 접착필름(ADL)의 측벽(WS3)과 윈도우(WM)의 측벽(WS1)은 동일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width W2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width W1. That is, when the second width W2 is greater than the first width W1, the side wall WS3 of the adhesive film ADL may be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WS1 of the window WM. When the second width W2 is the same as the first width W1, the side wall WS3 of the adhesive film ADL and the side wall WS1 of the window WM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표면 코팅층 및 베이스층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urface coating layer and base layer shown in Figure 7. Figure 9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보호층(PL)은 제1 베이스층(BS1), 기재 접착층(P-ADL), 제2 베이스층(BS2), 및 표면 코팅층(SCL)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보호층(PL)은 점착층(AL)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8, the protective layer (PL) may include a first base layer (BS1), a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a second base layer (BS2), and a surface coating layer (SCL). there is. The protective layer (PL) in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AL).

제1 베이스층(BS1) 및 제2 베이스층(BS2)은 각각 기재 물질(BL)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2 베이스층(BS2)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 베이스층(BS2)에 대한 설명은 제1 베이스층(BS1)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기재 물질(BL)은 페닐렌(phen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 이미드(polyimide, PI), 폴리 아마이드(polyamide, PA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 plastic polyurethane, TPU)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베이스층(BS1)에 포함된 기재 물질(BL)과 제2 베이스층(BS2)에 포함된 기재 물질(BL)은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층(BS1)의 기재 물질(BL)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고, 제2 베이스층(BS2)의 기재 물질(BL)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 이미드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베이스층(BS1)과 제2 베이스층(BS2)에 포함된 기재 물질(BL)은 모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동일한 것일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each include a base material BL. Although only the second base layer BS2 is shown in FIG. 8 as an exampl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first base layer BS1. The base material (BL) is phenylene, 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polyimide (PI), polyamide (PAI),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carbonate (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PC), and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Meanwhile, the base material BL included in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base material BL included in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base material BL of the first base layer BS1 may b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the base material BL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be thermoplastic polyurethane or polyimid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ase material BL included in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be the same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베이스층(BS1, BS2)은 기재 물질(BL)에 첨가된 자외선 차단 물질(UVC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외선 차단 물질(UVCL)은 징크 옥사이드(ZnO) 또는 티타늄 디옥사이드(TiO2) 등의 무기 화학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 물질(UVCL)은 자외선을 반사 또는 산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베이스층(BS1, BS2)에 자외선 차단 물질(UVCL)이 포함됨으로써, 보호층(PL)은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보호층(PL)은 38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20% 미만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특히, 윈도우(WM)가 박막 글라스를 포함하는 경우, 윈도우의 자외선 차단 기능이 취약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 차단 물질이 베이스층(BS1, BS2)에 포함됨으로써, 보호층(PL)을 통해 자외선 차단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The base layers (BS1, BS2) may further include an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UVCL) added to the base material (BL). In one embodiment, the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UVCL) may include inorganic chemicals such as zinc oxide (ZnO) or titanium dioxide (TiO2).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UVCL) can perform the function of reflecting or scattering ultraviolet rays. In this way, by including the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UVCL) in the base layers BS1 and BS2, the protective layer PL can have an ultraviolet ray blocking function. For example, the protective layer PL may transmit less than 20% of ultraviolet rays with a wavelength of 380 nm or less. In particular, when the window WM includes thin film glass, the ultraviolet ray blocking function of the window may be weak. In this case, the ultraviolet ray blocking material is included in the base layers BS1 and BS2, so that the ultraviolet ray blocking func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protective layer PL.

제1 베이스층(BS1)의 두께(T1) 및 제2 베이스층(BS2)의 두께(T3)는 각각 독립적으로 35㎛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S1)의 두께(T1)와 제2 베이스층(BS2)의 두께(T3)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S1)의 두께(T1) 또는 제2 베이스층(BS2)의 두께(T3)가 35㎛ 미만인 경우 보호층(PL)이 충분한 내충격성을 가질 수 없다. 또한, 제1 베이스층(BS1)의 두께(T1) 또는 제2 베이스층(BS2)의 두께(T3)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보호층(PL)의 두께가 두꺼워져 보호층(PL)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thickness T3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each independently be 35 μm or more and 50 μm or less.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thickness T3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base layer BS1 or the thickness T3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is less than 35 μm, the protective layer PL may not have sufficient impact resistance.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T1 of the first base layer BS1 or the thickness T3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exceeds 50㎛,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PL increases and the protective layer PL becomes thicker. The f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 including a may be deteriorated.

제1 베이스층(BS1)의 인장 모듈러스 및 제2 베이스층(BS2)의 인장 모듈러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3.5GPa 이상 5.0GPa 이하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S1)의 인장 모듈러스 및 제2 베이스층(BS2)의 인장 모듈러스는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S1)의 인장 모듈러스 또는 제2 베이스층(BS2)의 인장 모듈러스가 3.5GPa 미만인 경우 보호층(PL)이 충분한 내충격성을 가지지 못한다. 제1 베이스층(BS1)의 인장 모듈러스 또는 제2 베이스층(BS2)의 인장 모듈러스가 5.0GPa을 초과하는 경우, 보호층(PL)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tensile modulus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tensile modulus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each independently be 3.5 GPa or more and 5.0 GPa or less. The tensile modulus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tensile modulus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the tensile modulus of the first base layer (BS1) or the tensile modulus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is less than 3.5 GPa, the protective layer (PL) does not have sufficient impact resistance. When the tensile modulus of the first base layer BS1 or the tensile modulus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exceeds 5.0 GPa, the f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 including the protective layer PL are may deteriorate.

제1 베이스층(BS1) 및 제2 베이스층(BS2)은 각각 광축이 제어된 연신 필름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S1) 및 제2 베이스층(BS2)은 각각 제1 연신축 상의 탄성 모듈러스와 제2 연신축 상의 탄성 모듈러스의 차이가 1.1GPa이하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S1) 및 제2 베이스층(BS2)은 각각의 제1 연신축 상의 탄성 모듈러스와 제2 연신축 상의 탄성 모듈러스의 차이가 1.1Gpa보다 클 경우, 제1 베이스층(BS1) 및 제2 베이스층(BS2)은 수축 변형이 증가할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each be a stretched film with a controlled optical axis.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each have a difference between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stretching axis and the elastic modulus of the second stretching axis of 1.1 GPa or les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astic modulus on each first stretching axis and the elastic modulus on the second stretching axis is greater than 1.1 Gpa,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are The shrinkage strain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increase.

기재 접착층(P-ADL)은 제1 베이스층(BS1)과 제2 베이스층(BS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기재 접착층(P-ADL)은 제1 베이스층(BS1)과 제2 베이스층(BS2)을 접착하는 것일 수 있다. 기재 접착층(P-ADL)은 실리콘계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기재 접착층(P-ADL)의 재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adhere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include a silicone-based adhesiv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material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is not limited thereto.

기재 접착층(P-ADL)은 인장 모듈러스가 0.1GPa 이상 4.5GPa 이하일 수 있다. 기재 접착층(P-ADL)의 인장 모듈러스가 0.1GPa 이하일 경우, 기재 접착층(P-ADL)이 제1 베이스층(BS1)과 제2 베이스층(BS2)을 접착할 수 없다. 기재 접착층(P-ADL)의 인장 모듈러스가 4.5GPa를 초과하는 경우 보호층(PL)의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have a tensile modulus of 0.1 GPa or more and 4.5 GPa or less. When the tensile modulus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is 0.1 GPa or less,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cannot adhere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If the tensile modulus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exceeds 4.5 GPa, the f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ive layer (PL) may be deteriorated.

기재 접착층 두께(㎛)Substrate adhesive layer thickness (㎛) 1One 22 33 44 4.54.5 55 접착력 (gf/inch)Adhesion (gf/inch) 3333 400400 570570 648648 722722 397397

기재 접착층(P-ADL)의 두께(T2)는 3㎛ 이상 4.5㎛ 이하일 수 있다. 기재 접착층(P-ADL)의 두께(T2)는 아래와 같이 기재 접착층(P-ADL)의 접착력, 보호층(PL)의 내충격성, 및 폴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기재 접착층(P-ADL)의 접착력은, 기재 접착층(P-ADL) 두께(T2)가 2㎛ 이상일 때 기재 접착층(P-ADL) 두께(T2)가 1㎛ 일 때의 10배 이상에 해당하는 현저한 값을 갖고, 기재 접착층(P-ADL)이 두꺼워 질수록 접착력이 강해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기재 접착층(P-ADL)의 두께(T2)가 4.5㎛를 초과하면 접착력은 오히려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즉, 기재 접착층(P-ADL)의 접착력은 기재 접착층(P-ADL)의 두께(T2)가 2㎛ 이상 5㎛ 이하인 범위에서 현저하나, 4.5㎛ 이상의 범위에서 오히려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재 접착층(P-ADL)의 접착력을 고려한 기재 접착층(P-ADL) 두께(T2)의 적정 범위는 2㎛ 이상 4.5㎛ 이하에 해당한다.The thickness (T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be 3 μm or more and 4.5 μm or less. The thickness T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rotective layer (PL), and the folding characteristics, etc. as follows. Referring to Table 1,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is when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thickness (T2) is 2 μm or more and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thickness (T2) is 1 μm. It has a remarkable value of more than 10 times that of , and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ve strength tends to become stronger as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becomes thicker. However,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thickness (T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exceeds 4.5 ㎛, the adhesive strength actually decrease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is significant when the thickness (T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is in the range of 2 ㎛ to 5 ㎛, but rather decreases in the range of 4.5 ㎛ or more. Therefore, the appropriate range of the thickness (T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considering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is 2 ㎛ or more and 4.5 ㎛ or less.

기재 접착층(P-ADL)의 두께(T2)가 3㎛ 미만일 경우, 보호층(PL)이 충분한 내충격성을 가지지 못한다. 기재 접착층(P-ADL)의 두께(T2)가 5㎛를 초과할 경우, 보호층(PL)의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When the thickness (T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is less than 3 μm, the protective layer (PL) does not have sufficient impact resistance. If the thickness (T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exceeds 5 μm, the f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ive layer (PL) may deteriorate.

따라서, 기재 접착층(P-ADL)의 두께(T2)가 3㎛ 이상 4.5㎛ 이하이면, 기재 접착층(P-ADL)의 접착력, 보호층(PL)의 내충격성 및 폴딩 특성 면에서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if the thickness (T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is 3㎛ or more and 4.5㎛ or less,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in terms of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and the impact resistance and f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protective layer (PL). can be seen.

기재 접착층(P-ADL)의 엣지부(E2)는 제1 베이스층(BS1)의 엣지부(E1) 및 제2 베이스층(BS2)의 엣지부(E2)에 비해 내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내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액티브 영역(AA, 도 1 참조)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의미한다. 기재 접착층(P-ADL)의 엣지부(E2)는 제1 베이스층(BS1)의 엣지부(E1)보다 제1 폭(W4)만큼 내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기재 접착층(P-ADL)의 엣지부(E2)는 제2 베이스층(BS2)의 엣지부(E3)보다 제2 폭(W5)만큼 내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The edge portion (E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be disposed inside compared to the edge portion (E1)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edge portion (E2)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 Here, being placed inside means being placed relatively adjacent to the active area (AA, see FIG. 1). The edge portion E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be disposed inside the edge portion E1 of the first base layer BS1 by the first width W4. The edge portion E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be disposed inside the edge portion E3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by the second width W5.

기재 접착층(P-ADL)의 엣지부(E2)의 엣지부가 제1 베이스층(BS1)의 엣지부(E1) 및 제2 베이스층(BS2)의 엣지부(E3)보다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보호층(PL)의 내충격성이 증가할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S1) 및 제2 베이스층(BS2)은 각각 기재 접착층(P-ADL)과 비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베이스층(BS1) 및 제2 베이스층(BS2) 각각이 기재 접착층(P-ADL)과 비중첩하는 부분은 외부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베이스층(BS1) 및 제2 베이스층(BS2) 각각이 기재 접착층(P-ADL)과 비중첩하는 부분은 외부 충격으로 발생한 에너지를 진동으로 소모시켜, 다른 층으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edge portion of the edge portion E2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is disposed inside the edge portion E1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edge portion E3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thereby providing protection.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layer (PL) may increase.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may each include a por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The portions of each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that do not overlap with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function to absorb external shock. Specifically, the portion where each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econd base layer (BS2) does not overlap with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consumes energy generated by external impact as vibration, which is transmitted to other layers. The amount of shock can be reduced.

제1 폭(W4) 및 제2 폭(W5)은 각각 독립적으로 450㎛ 이상 600㎛ 이하일 수 있다. 제1 폭(W4) 및 제2 폭(W5)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것일 수 있다. 제1 폭(W4) 또는 제2 폭(W5)이 450㎛ 미만인 경우,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폴딩 동작 중 기재 접착층(P-ADL)이 흘러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제1 폭(W4) 또는 제2 폭(W5)이 600㎛ 초과하는 경우 제1 베이스층(BS1), 제2 베이스층(BS2), 및 기재 접착층(P-ADL) 사이의 공간에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어,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The first width W4 and the second width W5 may each independently be 450 μm or more and 600 μm or less. The first width W4 and the second width W5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f the first width W4 or the second width W5 is less than 45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flow out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 If the first width (W4) or the second width (W5) exceeds 600㎛, foreign substances may enter the space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BS1), the second base layer (BS2), and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This may adversely affect the reliability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

일 실시예의 보호층(PL)은 기재 접착층(P-ADL)에 의해 접착된 제1 베이스층(BS1) 및 제2 베이스층(BS2)을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베이스층을 포함한 경우에 비해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개선된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전달된 충격은 제2 베이스층(BS2), 제1 베이스층(BS1), 및 윈도우(WM) 순으로 전달되고, 보호층(PL)의 두 개의 베이스층(BS1, BS2)을 지나면서 충격이 분산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윈도우(WM)로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할 수 있다.The protective layer (PL)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ase layer (BS1) and a second base layer (BS2) bonded by a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thereby controlling the thickness compared to the case where it includes one base layer. This is easy and can have improved impact resistance. Specifically,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is transmitt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window (WM), and the two base layers (BS1, BS2) of the protective layer (PL) As it passes through, the shock is dispersed. Accordingly, the shock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o the window WM may be reduced.

한편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봤을 때 기재 접착층(P-ADL)의 면적은 제1 베이스층(BS1)의 면적보다 좁고, 제2 베이스층(BS2)의 면적보다 좁은 것일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9A and 9B, when viewed in plan view, the area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may be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

표면 코팅층(SCL)은 하드 코팅 물질(HC) 및 하드 코팅 물질(HC)에 첨가된 지문 방지 물질(AF)을 포함할 수 있다. 표면 코팅층(SCL)은 단일막 구조를 갖는다. 즉, 표면 코팅층(SCL)은 하드 코팅 물질(HC) 및 지문 방지 물질(AF)을 포함하는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하드 코팅 물질(HC)은 연필 경도 F 이상의 고강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드 코팅 물질(HC)은 실록산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면 코팅층(SCL)의 비커스 경도(vickers hardness)는 40 이상일 수 있다.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include a hard coating material (HC) and an anti-fingerprint material (AF) added to the hard coating material (HC).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has a single-layer structure. That is,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includes one layer including a hard coating material (HC) and an anti-fingerprint material (AF). The hard coating material (HC) may include a high strength material of pencil hardness F or higher. As an example, the hard coating material (HC)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loxane resin, an epoxy resin, or an acrylic resin. Meanwhile, the Vickers hard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be 40 or more.

실론산 수지는 실세스퀴옥산, 실록산 화합물, 및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사다리형(ladder type) 실세스퀴옥산일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은 하드 코팅 물질(HC)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wt% 이상 60wt%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실세스퀴옥산이 30wt% 보다 적게 포함되는 경우 일 실시예의 표면 코팅층(SCL)의 유연성이 개선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세스퀴옥산이 60wt% 보다 많이 포함되는 경우 일 실시예의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Silonic acid resin may include silsesquioxane, siloxane compounds, and inorganic particles surface-treated with silane. Silsesquioxane may be a ladder type silsesquioxane. Silsesquioxane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30 wt% or more and 60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ard coating material (HC). If silsesquioxane is contained in less than 30 wt%, the flexibility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of one embodiment may not be improved, and if silsesquioxane is contained in more than 60 wt%, the flexibility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of one embodiment may not be improved. Surface hardness may decrease.

실록산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아크릴레이트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록산 화합물은 아크릴레이트기를 말단기로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록산 화합물은 말단기로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실록산 고분자 또는 실록산 올리고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록산 화합물은 실세스퀴옥산과 일체로 형성된 중합체로 제공될 수 있다.The siloxane compound may have at least one acrylate functional group. For example, the siloxane compound may have an acrylate group as a terminal group. For example, the siloxane compound may be a siloxane polymer or siloxane oligomer having an acrylate group as a terminal group. In one embodiment, the siloxane compound may be provided as a polymer formed integrally with silsesquioxane.

실록산 화합물은 하드 코팅 물질(HC)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wt% 이상 40wt% 이하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실록산 화합물의 함량이 10wt% 미만인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와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실록산 화합물의 함량이 40wt%를 초과하는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취성(brittleness)이 커져 유연성이 저하되고 벤딩시 크랙 발생이 늘어날 수 있다.The siloxane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0 wt% or more and 40 w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hard coating material (HC). If the content of the siloxane compound is less than 10wt%, the surface hardness and strength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decrease, and if the content of the siloxane compound exceeds 40wt%, the brittle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increases, reducing flexibility. This may decrease and the occurrence of cracks may increase during bending.

일 실시예의 하드 코팅 물질(HC)은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는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 입자의 평균 크기는 10nm 이상 50nm 이하일 수 있다. 무기 입자의 평균 크기는 무기 입자의 평균 직경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기 입자의 평균 직경은 10nm 이상 30nm 이하일 수 있다. The hard coating material (HC) of one embodiment may include surface-treated inorganic particles. The surface-treated inorganic particles may be inorganic particles surface-treated with silane. In one embodiment, the inorganic particles surface-treated with silane may be inorganic particles surface-treated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For example, the averag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10 nm or more and 50 nm or less. The averag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may represent the averag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For example, the averag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10 nm or more and 30 nm or less.

일 실시예에서, 무기 입자의 평균 크기가 50nm 초과할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광학적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무기 입자의 평균 크기가 10nm 미만일 경우에는 표면 코팅층(SCL)에서 표면 경도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averag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exceeds 50 nm, the optical transparency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be reduced. Additionally, if the averag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ess than 10 nm, the effect of improving surface hardness in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be reduced.

무기 입자는 SiO2, TiO2, Al2O3, ZrO2, ZnO, AlN, Si3N4, 또는 이들의 조합일수 있다. 즉, 무기 입자는 SiO2, TiO2, Al2O3, ZrO2, ZnO, AlN 및 Si3N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하드 코팅 물질(HC)은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SiO2,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TiO2,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Al2O3,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ZrO2,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ZnO,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AlN, 또는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Si3N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SiO2, TiO2, Al2O3, ZrO2, ZnO, AlN, Si3N4, or a combination thereof. That is, the inorganic particle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iO2, TiO2, Al2O3, ZrO2, ZnO, AlN, and Si3N4. The hard coating material (HC) of one embodiment includes SiO2 surface treated with silane, TiO2 surface treated with silane, Al2O3 surface treated with silane, ZrO2 surface treated with silane, ZnO surface treated with silane, It may include AlN, Si3N4 surface-treated with silane, or mixtures thereof.

일 실시예의 하드 코팅 물질(HC)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실란으로 표면 처리된 무기 입자를 10wt% 이상 30wt%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무기 입자의 함량이 10wt% 미만인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와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무기 입자의 함량이 30wt%를 초과하는 경우 무기 입자의 상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hard coating material (HC) of one embodiment may include 10 wt% or more and 30 wt% or less of inorganic particles surface-treated with silane based on the total weight. 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less than 10 wt%, the surface hardness and strength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decrease, and i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exceeds 30 wt%, the compatibility of the inorganic particles may decrease.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에폭시기, 옥세탄기,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기 및 에틸렌옥사이드(EO) 부가형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이며,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폭시 수지는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및 옥세탄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Epoxy resin or acrylic resin is a monomer or oligomer containing at least one epoxy group, oxetane group, acrylate group, methacrylate group, urethane acrylate group, and ethylene oxide (EO) addition type acrylate group, and may have flexibility. there is. More specifically, the epoxy res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idyl-type epoxy resin, alicyclic epoxy resin, and oxetane-based resin.

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수소 첨가물, 디시클로펜타디엔 골격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 트리글리시딜이소시아누레이트 골격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 카르도 골격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 및 폴리실록산 구조를 가지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Glycidyl-type epoxy resins include bisphenol A-type epoxy resins, bisphenol F-type epoxy resins, bisphenol S-type epoxy resins, naphthalene-type epoxy resins or hydrogenated products thereof, epoxy resins with a dicyclopentadiene skeleton, and triglycidyl isocyanurate. It may be an epoxy resin having a late skeleton, an epoxy resin having a cardo skeleton, and an epoxy resin having a polysiloxane structure.

지환식 에폭시 수지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 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1,2,8,9-디에폭시리모넨, ε-카프로락톤 올리고머의 양단에 각각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탄올과 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시산이 에스테르 결합된 것 및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골격을 가지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The alicyclic epoxy resin is 3,4-epoxycyclohexylmethyl-3', 4'-epoxycyclohexanecarboxylate, 1,2,8,9-diepoxylimonene, and ε-caprolactone oligomer, respectively, at both ends of 3, It may be an epoxy resin made by ester bonding 4-epoxycyclohexylmethanol and 3,4-epoxycyclohexanecarboxylic acid and having a hydrogenated bisphenol A skeleton.

옥세탄계 수지는 하이드록시 구조를 가지는 옥세탄 수지 및 메톡시 메틸 벤젠 구조를 가지는 옥세탄 수지일 수 있다.The oxetane-based resin may be an oxetane resin having a hydroxy structure and an oxetane resin having a methoxy methyl benzene structure.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기 및 에틸렌옥사이드(EO), 부가형 아크릴레이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이다.Acrylic resin is a monomer or oligomer contain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crylate group, methacrylate group, urethane acrylate group, ethylene oxide (EO), and addition-type acrylate group.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는 비스페놀-A 에틸렌옥사이드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에틸렌옥사이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에톡시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에톡시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폴리에톡시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디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S 디아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디메타크릴레이트, 비스페놀-S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디에닐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For example, acrylic resins include bisphenol-A ethylene oxide diacrylate, bisphenol-A ethylene oxide dimethacrylate, bisphenol-A ethoxylate diacrylate, bisphenol-A ethoxylate diacrylate, and bisphenol-A poly. Ethoxylate diacrylate, bisphenol-A diacrylate, bisphenol-S diacrylate, dicyclopentadienyl diacrylate, pentaerythritol triacrylate, tris(2-hydroxyethyl)isocyanurate tri.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bisphenol-A dimethacrylate, bisphenol-S dimethacrylate, dicyclopentadieny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tris (2-hydroxy These include ethyl)isocyanurate trimethacrylate and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지문 방지 물질(AF)은 발수성 물질 또는 발유성 물질을 포함하여, 표면 코팅층(SCL)의 내오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지문 방지 물질(AF)은 불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무기 입자일 수 있다. 불소계 물질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olytetra fluoroethylene), 폴리비니리덴포르라이드(PVDF), 비결정질불소(Teflon AF, Cytop)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anti-fingerprint material (AF) may include a water-repellent material or an oil-repellent material to improve the contamination resistance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As an example, the anti-fingerprint material (AF) may be an inorganic particle containing a fluorine-based material. The fluorine-based material may include one of polytetra fluoroethylene (PTFE), polyvinylidene phoride (PVDF), and amorphous fluorine (Teflon AF, Cytop).

지문 방지 물질(AF)에 의해 표면 코팅층(SCL)은 110도 내지 120도의 표면 접촉각을 가질 수 있다. 표면 코팅층(SCL)에 대한 지문 방지 물질(AF)의 중량비에 따라 표면 접촉각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지문 방지 물질(AF)은 표면 코팅층(SCL)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 wt%보다 크고, 10 wt%이하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지문 방지 물질(AF)이 10 wt%보다 큰 중량비를 갖는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using the anti-fingerprint material (AF) may have a surface contact angle of 110 degrees to 120 degrees. The surface contact angle may vary depending on the weight ratio of the anti-fingerprint material (AF) to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As an example, the anti-fingerprint material (AF) may have a weight ratio greater than 0 wt% and less than or equal to 10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If the anti-fingerprint material (AF) has a weight ratio greater than 10 wt%, the surface hard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decrease.

표면 코팅층(SCL)은 3㎛ 내지 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표면 코팅층(SCL)은 4㎛ 내지 6㎛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면 코팅층(SCL)의 두께가 10㎛보다 클 경우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표면 코팅층(SCL)의 두께가 3㎛보다 작을 경우, 표면 코팅층(SCL)의 표면 경도가 저하될 수 있다.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have a thickness of 3㎛ to 10㎛. In particular,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have a thickness of 4㎛ to 6㎛,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is greater than 10㎛, flexibility may be reduced, and if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is less than 3㎛, the surface hardness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may be reduced.

점착층(AL)은 제1 베이스층(BS1) 하부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점착층(AL)은 제1 베이스층(BS1)과 윈도우(WM, 도 5 참조) 사이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점착층(AL)은 감압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점착층(AL)은 광학투명접착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점착층(AL)의 두께(T5)는 25㎛ 이상 70㎛ 이하일 수 있다. 점착층(AL)의 두께(T5)가 25㎛ 미만일 경우 보호층(PL)이 충분한 내충격성을 가질 수 없다. 점착층(AL)의 두께(T5)가 70㎛를 초과하는 경우 표시 장치(DD, 도 1 참조)의 폴딩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AL) may be disposed below the first base layer (BS1). The adhesive layer A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window WM (see FIG. 5). The adhesive layer (AL) may inclu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teri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adhesive layer (AL) may include an optically transparent adhesive resin. Meanwhile, the thickness T5 of the adhesive layer (AL) may be 25 μm or more and 70 μm or less. If the thickness (T5) of the adhesive layer (AL) is less than 25㎛, the protective layer (PL) may not have sufficient impact resistance. If the thickness T5 of the adhesive layer AL exceeds 70 μm, the folding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device DD (see FIG. 1) may deteriorate.

또한, 보호층(PL)의 전체 광 투과율은 90% 이상일 수 있으며, 1% 보다 작거나 같은 헤이즈값을 가질 수 있다. 헤이즈값이 1% 보다 클 경우 보호층(PL)의 광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of the protective layer PL may be 90% or more and may have a haze value of less than or equal to 1%. If the haze value is greater than 1%,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protective layer (PL) may decrease.

도 10a 내지 도 10f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보호층에 대해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10A to 10F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protective lay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respectively. Content tha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the protective lay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B will not be described again,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explained.

도 10a 내지 도 10f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PL-1~PL-6)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 코팅층(HC1~HC4)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층(PL-1~PL-6)은 하드 코팅층(HC1~HC4)은 보호층(PL-1~PL-6)의 내충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하드 코팅층(HC1~HC4)은 하드 코팅 물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하드 코팅 물질은 연필 경도 F 이상의 고강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드 코팅 물질은 실록산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하드 코팅 물질에 대한 설명은 표면 코팅층(SCL, 도 8 참조)에 포함된 하드 코팅 물질(HC, 도 8 참조)설명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A to 10F , the protective layers PL-1 to PL-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hard coating layer HC1 to HC4. Specifically, the hard coating layers (HC1 to HC4) of the protective layers (PL-1 to PL-6)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reas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rotective layers (PL-1 to PL-6). At least one hard coating layer (HC1 to HC4) may include a hard coating material. The hard coating material may include a high strength material of pencil hardness F or higher. As an example, the hard coating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iloxane resin, an epoxy resin, or an acrylic resin. The description of the hard coating material may be the same as the description of the hard coating material (HC, see FIG. 8) included in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see FIG. 8).

도 10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보호층(PL-1)은 제2 베이스층(BS2)과 기재 접착층(P-ADL) 사이에 배치된 제1 하드 코팅층(HC1)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보호층(PL-2)은 제2 베이스층(BS2)과 표면 코팅층(SCL) 사이에 배치된 제2 하드 코팅층(HC2)을 더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보호층(PL-3)은 제2 베이스층(BS2)과 기재 접착층(P-ADL) 사이에 배치된 제1 하드 코팅층(HC1) 및 제2 베이스층(BS2)과 표면 코팅층(SCL) 사이에 배치된 제2 하드 코팅층(HC2)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the protective layer (PL-1) of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ard coating layer (HC1)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layer (BS2) and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 Referring to FIG. 10B, the protective layer PL-2 of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ard coating layer HC2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layer BS2 and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Referring to FIG. 10C, the protective layer (PL-3)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hard coating layer (HC1) and a second base layer (BS2)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layer (BS2) and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 and a second hard coating layer (HC2) disposed between the surface coating layer (SCL).

도 10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보호층(PL-4)은 제1 베이스층(BS1)하부에 배치된 제3 하드 코팅층(HC3)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0e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보호층(PL-5)은 제1 베이스층(BS1)과 기재 접착층(P-ADL) 사이에 배치된 제4 하드 코팅층(HC4)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0f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보호층(PL-6)은 제1 베이스층(BS1) 하부에 배치된 제3 하드 코팅층(HC3) 및 제1 베이스층(BS1)과 기재 접착층(P-ADL) 사이에 배치된 제4 하드 코팅층(HC4)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D, the protective layer PL-4 of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hard coating layer HC3 disposed below the first base layer BS1. Referring to FIG. 10E, the protective layer (PL-5) of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hard coating layer (HC4)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 Referring to FIG. 10F, the protective layer (PL-6)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third hard coating layer (HC3) disposed below the first base layer (BS1),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P-ADL). )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hard coating layer (HC4) disposed between them.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베이스층(BS1)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고, 제2 베이스층(BS2)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hard coating layer is includ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layer (BS1), and a hard coating layer is includ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base layer (BS2). It may be.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제1 베이스층, 제1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제2 베이스층, 및 제1 베이스층과 제2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된 기재 접착층, 및 제2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단일막 구조를 가지며 하드 코팅 물질 및 지문 방지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개선된 내충격성 및 폴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두 개의 베이스층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포함하여 두께 조절이 용이하다. 또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하드 코팅 물질 및 지문 방지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보호층을 포함하여, 개선된 시인성을 가질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is disposed on a first base layer, a second bas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base layer, a substrate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It has a single-layer structure and includes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hard coating material and a surface coating layer containing an anti-fingerprint material.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may have improved impact resistance and folding characteristics. Th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includes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two base layers, so that thickness can be easily adjusted. Additionally, the display device of one embodiment may have improved visibility by including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 surface coating layer including a hard coating material and an anti-fingerprint material.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or have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should not deviate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what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M: 표시 모듈 WM: 윈도우
PL: 보호층 SCL: 표면 코팅층
BS1, BS2: 제1, 제2 베이스층
P-ADL: 기재 접착층 AL: 점착층
HC: 하드 코팅 물질 AF: 지문 방지 물질
BL: 기재 물질 UVCL: 자외선 차단 물질
DD: 표시 장치
DM: Display module WM: Windows
PL: Protective layer SCL: Surface coating layer
BS1, BS2: 1st, 2nd base layer
P-ADL: Base material adhesive layer AL: Adhesive layer
HC: Hard coating material AF: Anti-fingerprint material
BL: Base material UVCL: UV blocking material
DD: display device

Claims (20)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된 윈도우; 및
상기 윈도우 상에 배치된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제1 베이스층;
상기 제1 베이스층 상에 배치된 제2 베이스층; 및
상기 제1 베이스층과 상기 제2 베이스층 사이에 배치되고, 실리콘계 접착체를 포함하는 기재 접착층;
상기 제2 베이스층 상에 배치되고, 단일막 구조를 가지며, 하드 코팅 물질 및 지문 방지 물질을 포함하는 표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display module;
a window disposed on the display module; and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window,
The protective layer is,
first base layer;
a second bas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base layer; and
a substrate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and including a silicone-based adhesive;
A display device disposed on the second base layer,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and including a surface coating layer including a hard coating material and an anti-fingerpri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접착층은 인장 모듈러스가 0.1GPa 이상 4.5GPa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has a tensile modulus of 0.1 GPa or more and 4.5 GPa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접착층의 두께는 3㎛ 이상 4.5㎛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3 ㎛ or more and 4.5 ㎛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접착층의 엣지부는 상기 제1 베이스층의 엣지부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엣지부 각각보다 내측에 배치된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is disposed inside each of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base lay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접착층의 엣지부는 상기 제1 베이스층의 엣지부보다 제1 폭만큼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엣지부보다 제2 폭만큼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폭 및 상기 제2 폭은 각각 독립적으로 450㎛ 이상 600㎛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edge portion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is disposed inside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base layer by a first width, and is disposed inside the edge portion of the second base layer by a second width,
The first width and the second width are each independently 450 μm or more and 600 μ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평면상에서 봤을 때,
상기 기재 접착층의 면적은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면적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면적 각각보다 작은 표시 장치.
In paragraph 1
When viewed from a plane,
Th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rea of the substrate adhesive layer is smaller than each of the area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모듈러스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모듈러스는 각각 독립적으로 3.5GPa 이상 5.0GPa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dulu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modulus of the second base layer are each independently 3.5 GPa or more and 5.0 GPa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의 두께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35㎛ 이상 50㎛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are each independently 35 ㎛ or more and 50 ㎛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은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base layer includes polyethylene terephthal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스층은 상기 제1 베이스층과 다른 재료로 구성된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The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base layer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bas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상기 제1 베이스층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점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25㎛ 이상 70㎛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tective layer further includes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window,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adhesive layer has a thickness of 25 ㎛ or more and 70 ㎛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상기 윈도우, 및 상기 표시 모듈은 폴딩축을 기준으로 폴딩 및 언폴딩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in which the protective layer, the window, and the display module are folded and unfolded based on a folding axi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는 박막 글라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2,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window includes thin film glas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의 두께는 80㎛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window has a thickness of 80 μm or les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팅층의 두께는 3㎛ 이상 10㎛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4,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urface coating layer has a thickness of 3 ㎛ or more and 10 ㎛ or les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팅층의 표면 접촉각은 110도 이상 120도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use 15,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urface contact angle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is 110 degrees or more and 120 degrees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각각은 광축이 제어된 연신 필름이고,
상기 제1 베이스층 및 상기 제2 베이스층 각각의 제1 연신축 상의 인장 모듈러스와 제2 연신축 상의 인장 모듈러스의 차이는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 1.1 Gpa 이하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Each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is a stretched film with a controlled optical ax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nsile modulus on the first stretching axis and the tensile modulus on the second stretching axis of each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second base layer is independently 0 or more and 1.1 Gpa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팅층의 비커스 경도는 40 이상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urface coating layer has a Vickers hardness of 4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팅층은 상기 표면 코팅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지문 방지 물질을 0 wt% 이상 10 wt% 이하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rface coating layer includes 0 wt% to 10 wt% of the anti-fingerprint material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urface coat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층의 상면 및 하면, 및 상기 제2 베이스층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된 하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hard coating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base layer.

KR1020230078890A 2022-09-19 2023-06-20 Display device KR2024004001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451,682 US20240099100A1 (en) 2022-09-19 2023-08-17 Display device
CN202311183308.XA CN117729812A (en) 2022-09-19 2023-09-14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132 2022-09-19
KR20220118132 2022-09-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017A true KR20240040017A (en) 2024-03-27

Family

ID=9048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890A KR20240040017A (en) 2022-09-19 2023-06-20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01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6474A (en) Window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0782785B (en) Protective shee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P3764196B1 (en) Display device
US11522155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15116327A (en) Prot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KR20200090292A (en) Protection member for display,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Protection member for display
US1150167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EP4130807A1 (en) Anti-reflective film laminate and product provided with same
KR20210150626A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0017A (en) Display device
KR20230135214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ower module included therein
CN115966137A (en) Display device
US20220151082A1 (en) Display device
US20210257582A1 (en) Display device
US20240099100A1 (en) Display device
CN112397667A (en) Display device
KR20210104514A (en) Display device
KR20200098751A (en) Display device
KR20220125874A (en) Window manufactur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CN117729812A (en) Display device
KR20230134015A (en) Display device
US20230184998A1 (en) Window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10323287A1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18585532U (en) Window and display device
CN117935676A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