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287A -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 Google Patents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287A
KR20240038287A KR1020220116886A KR20220116886A KR20240038287A KR 20240038287 A KR20240038287 A KR 20240038287A KR 1020220116886 A KR1020220116886 A KR 1020220116886A KR 20220116886 A KR20220116886 A KR 20220116886A KR 20240038287 A KR20240038287 A KR 20240038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sal
case
expander
nasal cavity
adjus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220116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287A/ko
Publication of KR2024003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에 관한 것으로, 비강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어 비강 내부를 확장시키는 한 쌍의 비강확장구와, 상기 비강확장구에 결합되어 연결시키고, 상기 비강확장구의 비강 내부 삽입시 코기둥에 걸림을 통한 삽입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위치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비강 형상, 크기, 비강 간 거리 그리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비강 압박 구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상태로 조절이 가능하며, 비강 내 깊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신축됨과 동시에 신축에 따른 코기둥에 지지받는 지지체의 위치변화가 가능함에 따라 지정된 비강 압박 위치의 변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Adjustable snoring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비강확장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비강 위치, 크기 및 형상 등의 신체구조에 대응되도록 사용자의 조절이 가능한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 또는 스포츠 활동시 비강 공동 확장을 통하여 호흡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강확장기를 착용한다. 이와 같잉 호흡을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비강의 내부로 인입시킨 뒤 비강 내부를 가압하여 비강을 확장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신체 특징에 따라 비강의 형상, 크기가 다 다르며, 비강 간의 거리 또한 다르다. 또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비강 내부를 압박하는 힘의 강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신체 구조에 맞춰 조절이 가능한 비강확장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17008호 (2021.09.2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21842호 (2017.02.28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비강 형상, 크기, 비강 간 거리 그리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비강 압박 구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상태로 조절이 가능한 비강확장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비강 내 깊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신축됨과 동시에 신축에 따른 코기둥에 지지받는 지지체의 위치변화가 가능함에 따라 지정된 비강 압박 위치의 변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도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강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어 비강 내부를 확장시키는 한 쌍의 비강확장구와, 상기 비강확장구에 결합되어 연결시키고, 상기 비강확장구의 비강 내부 삽입시 코기둥에 걸림을 통한 삽입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위치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강확장구는, 상기 위치조절구에 연결되며,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비강 내부에 밀착되어 가압 확장시키는 비강압박유닛과, 상기 비강압박유닛을 가로질러 대향지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비강압박유닛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력보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조절구는, 상기 비강확장구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바와, 상기 삽입바의 단부에 연결되어 일체화시키며, 코기둥에 걸림되는 수평연결바와, 상기 삽입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1주름부 및, 상기 수평연결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폭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상기 삽입바에 대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바의 수축을 조절하는 수축조절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강확장구와 상기 위치조절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비강확장구의 회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조절구는,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비강확장구의 단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구의 단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용케이스와, 상기 수용케이스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삽입방향을 향하여 쐐기형태의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비강확장구와 상기 위치조절구의 둘레면에 가압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와,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며 대향 단면에 상호 삽착가능한 원통형의 삽입체결구와, 상기 제1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타원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구 및, 상기 제2케이스의 내주면에 타원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구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회전구를 가압하여 회전되는 가압회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사용자의 비강 형상, 크기, 비강 간 거리 그리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비강 압박 구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상태로 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강 내 깊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신축됨과 동시에 신축에 따른 코기둥에 지지받는 지지체의 위치변화가 가능함에 따라 지정된 비강 압박 위치의 변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회전조절구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회전조절구의 분해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비강 형상에 따른 비강확장구의 회전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삽입홈 상에 수축조절바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비강확장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비강 위치, 크기 및 형상 등 신체구조에 대응되도록 조절이 가능한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용자의 비강 형상, 크기, 비강 간 거리 그리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비강 압박 구조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니즈에 적합한 상태로 조절이 가능하며, 비강 내 깊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신축됨과 동시에 신축에 따른 코기둥에 지지받는 지지체의 위치변화가 가능함에 따라 지정된 비강 압박 위치의 변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회전조절구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회전조절구의 분해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결합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의 비강 형상에 따른 비강확장구의 회전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삽입홈 상에 수축조절바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는 크게 비강확장구(100)와 위치조절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비강확장구(100)는 비강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어 비강 내부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져 비강 내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복원력을 통하여 비강을 확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강확장구(100)는 비강압박유닛(110)과 탄력보강유닛(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강압박유닛(110)은 상기 위치조절구(200)에 연결되며,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비강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가압 확장시킨다. 타원형상은 비강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원형이 아닌 코높이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탄력보강유닛(120)은 상기 비강압박유닛(110)을 가로질러 대향지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비강압박유닛(110)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가령, 일실시예에서는 탄력보강유닛(120)은 타원형의 비강압박유닛(110)과 비강압박유닛(110)의 테두리에 +자 형태로 형성되되 코 내부를 향하여 볼록한 형태로 결합된다. 이로써 탄력보강유닛(120)이 비강 내부를 가압시 탄력복원력이 너무 약하여 비강의 압박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탄력보강유닛(120)을 통한 탄력성을 보강할 수 있어 비강압박유닛(110)의 탄력복원성이 떨어지는 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력보강유닛(120)의 +자 형태의 결합 외에도 탄력복원력을 위하여 추가하여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위치조절구(200)는 상기 비강확장구(100)에 결합되어 한 쌍의 비강확장구(100)를 연결시키고, 상기 비강확장구(100)의 비강 내부 삽입시 코기둥(H)에 걸림을 통한 삽입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고 계속하여 비강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조절구(200)는 삽입바(210), 수평연결바(220), 제1주름부(230), 제2주름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바(210)는 상기 비강확장구(100)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비강 각각에 대한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연결바(220)는 상기 삽입바(210)의 단부에 결합 연결되어 일체화시키며, 코기둥(H)에 걸림되어 비강 내부에 비강압박유닛(110)의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비강압박유닛(110)의 비강 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주름부(230)가 형성된다.
제1주름부(230)는 상기 삽입바(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다수의 주름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주름부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비강압박유닛(110)의 깊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비강 간의 거리는 사용자 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2주름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주름부(240)는 상기 수평연결바(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폭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제1주름부(230)와 같이 다수의 주름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주름부의 접힘과 펼침에 따라 비강압박유닛(110)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사용자의 비강 간 거리에 대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주름부(240)의 조절을 통하여 비강 내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가령, 제2주름부(240)를 신장시키면 비강확장구(100) 간의 거리가 멀어져 비강 내 연골을 밀어주는 힘도 강해져 비강 확장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비강 내부 압박 강도의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비강압박유닛(110)을 통한 비강 내부 압박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삽입홈(300)과 수축조절바(4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00)은 한 쌍의 상기 삽입바(210)에 대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수축조절바(400)는 상기 삽입홈(300)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바(210)의 수축을 조절한다.
즉, 수축조절바(400)가 비강압박유닛(11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록 비강압박유닛(110)과 먼 위치에 설치되는 것보다 압축되는 정도가 낮아지게 됨에 따라 비강압박유닛(110)이 비강 내부를 밀어 가압하는 힘이 강해지게 된다.
가령, 수평연결바(220)와 가장 인접한 삽입홈(300)을 제1삽입홈, 두번째 삽입홈(300)을 제2삽입홈, 제3삽입홈으로 설정하여 제n삽입홈까지 형성된 경우 제1삽입홈에 수축조절바(400)가 형성될 경우 가장 약한 비강 압박이 될 것이며 제n삽입홈으로 향할 수록 강한 비강 압박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제1주름부(230)의 신축을 통하여 비강압박유닛(110)의 비강 내부에 위치되는 깊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신장을 한 뒤 수축조절바(400)를 설치를 하게 되면 수축조절바(400)가 코기둥(H)에 걸림되어 비강 내 설치 위치를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비강의 형상이 수직의 타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일정정도 기울어진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 이에 대한 대응을 필요로 한다.
즉, 비강의 형상이 일정정도 틀어진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타원형의 비강압박유닛(110)을 회전을 시켜 사용자의 비강의 형상에 맞춘 상태로 삽입이 됨에 따라 편안한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비강의 틀어짐 정도에 따라 타원 형상의 비강압박유닛(110)의 회전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하여 회전조절구(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회전조절구(500)는 상기 비강확장구(100)와 상기 위치조절구(2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비강확장구(100)의 회전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조절구(500)는 수용케이스(510), 고정구(520), 삽입체결구(530), 탄성구(540) 및 가압회전구(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케이스(510)는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비강확장구(100)의 단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1케이스(511)와, 상기 제1케이스(511)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구(200)의 단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2케이스(5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구(520)는 상기 수용케이스(510)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삽입방향을 향하여 쐐기형태의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비강확장구(100)와 상기 위치조절구(200)의 둘레면에 가압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삽입체결구(530)는 상기 제1케이스(511)와 제2케이스(512)의 사이에 형성되며 대향 단면에 상호 삽착가능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케이스(511)와 제2케이스(512)의 결합시 먼저 제1케이스(511)와 제2케이스(512)는 나사 결합을 통하여 일부 체결이 되고, 이후 억지 끼움을 통하여 압축 후 일정 깊이까지 삽입이 되면 압축이 해제되어 복원되어 걸림을 통하여 빠짐이 차단됨과 동시에 회전은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케이스(511)와 제2케이스(512)가 완전 결합된 상태일 경우 탄성구(540)와 가압회전구(550)는 동일 단면에 위치하고, 가압회전구(550)는 탄성구(540)의 사이에 위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구(540)는 상기 제1케이스(511)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압회전구(550)는 상기 제2케이스(512)의 내주면에 타원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구(540)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회전구를 가압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제1케이스(511)와 제2케이스(512)를 잡고 돌리면 가압회전구(550)가 회전하면 탄성구(540)를 가압하여 압축시켜 지나간 뒤 탄성구(54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압축되었던 탄성구(540)는 다시 복원이 됨과 동시에 비강확장구(100)의 회전이 완료되어 사용자의 비강 형상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H : 코기둥
100 : 비강확장구
110 : 비강압박유닛
120 : 탄력보강유닛
200 : 위치조절구
210 : 삽입바
220 : 수평연결바
230 : 제1주름부
240 : 제2주름부
300 : 삽입홈
400 : 수축조절바
500 : 회전조절구
510 : 수용케이스
511 : 제1케이스
512 : 제2케이스
520 : 고정구
530 : 삽입체결구
540 : 탄성구
550 : 가압회전구

Claims (6)

  1. 비강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어 비강 내부를 확장시키는 한 쌍의 비강확장구;
    상기 비강확장구에 결합되어 연결시키고, 상기 비강확장구의 비강 내부 삽입시 코기둥에 걸림을 통한 삽입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위치조절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강확장구는,
    상기 위치조절구에 연결되며,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비강 내부에 밀착되어 가압 확장시키는 비강압박유닛;
    상기 비강압박유닛을 가로질러 대향지점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비강압박유닛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력보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구는,
    상기 비강확장구에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바;
    상기 삽입바의 단부에 연결되어 일체화시키며, 코기둥에 걸림되는 수평연결바;
    상기 삽입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1주름부;
    상기 수평연결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폭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2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4.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삽입바에 대향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바의 수축을 조절하는 수축조절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강확장구와 상기 위치조절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비강확장구의 회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구는,
    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비강확장구의 단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조절구의 단부가 삽입 수용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용케이스;
    상기 수용케이스 내측 둘레면을 따라 삽입방향을 향하여 쐐기형태의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비강확장구와 상기 위치조절구의 둘레면에 가압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사이에 형성되며 대향 단면에 상호 삽착가능한 원통형의 삽입체결구;
    상기 제1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구;
    상기 제2케이스의 내주면에 타원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구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회전구를 가압하여 회전되는 가압회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KR1020220116886A 2022-09-16 2022-09-16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KR20240038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86A KR20240038287A (ko) 2022-09-16 2022-09-16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886A KR20240038287A (ko) 2022-09-16 2022-09-16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287A true KR20240038287A (ko) 2024-03-25

Family

ID=9047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886A KR20240038287A (ko) 2022-09-16 2022-09-16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28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842A (ko) 2014-06-20 2017-02-28 에이에스에이피 브리드어시씨스트 피티와이 엘티디 비강 확장기 장치
KR20210117008A (ko) 2020-03-18 2021-09-28 김두곤 분리 가능한 비강 확장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842A (ko) 2014-06-20 2017-02-28 에이에스에이피 브리드어시씨스트 피티와이 엘티디 비강 확장기 장치
KR20210117008A (ko) 2020-03-18 2021-09-28 김두곤 분리 가능한 비강 확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1270A (en) Orthotic apparatus for providing abduction a pateint's legs
JP2004097815A (ja) 大腿部圧迫装置
US6370714B1 (en) Lounge chair
DE202005022090U1 (de) Atemmaskenanordnung
US20060231220A1 (en) Clip for collapsible auto shade
US20170065108A1 (en) Pillow
DE102007000199A1 (de) Seitenairbag
KR20240038287A (ko) 맞춤 조절형 비강확장기
WO2005030529A3 (en) Inflatable lap belt safety bag
PT1494627E (pt) Tala para articulação e procedimento de fabricação duma tal tala
US6390553B1 (en) Back-support device
EP2833853B1 (en) A therapy device
US7624786B2 (en) Collapsible auto shade
CN209972252U (zh) 新型乳胶车枕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CN109330756B (zh) 一种用于腰椎固定的支具装置
KR102421333B1 (ko) 분리 가능한 비강 확장기
US6637059B1 (en) Inflatable pillow for use with a halo restraint
WO2019117271A1 (ja) エアー加圧装具
JP3096776B2 (ja) 膨張式頸部牽引/伸張装置
JPH0798045B2 (ja) 脊椎牽引装置
CN112168275A (zh) 止血压迫器
CN207136300U (zh) 膝关节固定带
KR200283787Y1 (ko) 허리보호대
CN211131604U (zh) 自主式助膝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