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264A - Bcl 억제제의 리포솜 제형 - Google Patents

Bcl 억제제의 리포솜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264A
KR20240037264A KR1020247004242A KR20247004242A KR20240037264A KR 20240037264 A KR20240037264 A KR 20240037264A KR 1020247004242 A KR1020247004242 A KR 1020247004242A KR 20247004242 A KR20247004242 A KR 20247004242A KR 20240037264 A KR20240037264 A KR 20240037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hibitor
bcl
lipid
liposomal
liposo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타디
레온 완
샴 마두수단 가그
준 가오
필립 레그로스
Original Assignee
셀라토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셀라토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셀라토 파마슈티칼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22/037371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288100A1/en
Publication of KR2024003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61K9/1272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with substantial amounts of non-phosphatidyl, i.e. non-acylglycerophosphate, surfactants as bilayer-forming substances, e.g. cationic 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496Non-condensed piper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rifampin, thiothix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3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 A61K31/635Compounds containing para-N-benzenesulfonyl-N-groups, e.g. sulfanilamide, p-nitrobenzenesulfonyl hydrazide having a heterocyclic ring, e.g. sulfadi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e.g. benzalkonium chloride or cetr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8Steroids, e.g. cholesterol, bile acids or glycyrrhet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Abstract

B세포 림프종 (Bel) 단백질 억제제를 포함하는 리포솜, 이러한 리포솜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과증식성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이러한 제형의 이용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BCL 억제제의 리포솜 제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7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번호 63/222,887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개시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B세포 림프종 (Bcl) 단백질 억제제를 포함하는 리포솜, 이러한 리포솜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과증식성 장애의 치료를 위한 이러한 제형의 이용 방법이 제공된다.
세포 사멸은 모든 살아있는 종의 조직 항상성에 필수적인 생물학적 과정으로 인식된다. 특히 포유류의 경우 초기 배아 발달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생물체에서, 세포 사멸은 잠재적으로 위험한 세포 (예를 들어, 암성 결함을 지닌 세포)가 제거되는 기본 메커니즘이다. 여러 가지 세포 사멸 경로가 밝혀졌으며, 가장 중요한 경로 중 하나는 미토콘드리아 ("내재적"이라고도 함) 세포 사멸 경로의 핵심 조절자인 B-세포 림프종 2 (Bcl-2) 단백질 계열을 수반한다. Danial, N. N. 및 Korsmeyer, S. J. Cell (2004) 116, 205-219를 참조한다.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의 핵심 조절자인 Bcl-2 단백질 계열의 구성원에 대한 표적 암 요법 연구가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세포 사멸을 촉진하는 (pro-apoptosis) 단백질 (Bax, Bad, Bid, Bim, Bik, Puma, Noxa 등)과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anti-apoptosis) 단백질 (Bcl-2 계열: Bcl-2, Bcl-XL, Mcl-1 등)의 상호작용은 세포 생존과 사멸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Bcl-2는 혈액암에 대한 탁월한 표적이고 Bcl-XL은 고형 종양에 대한 표적이라고 믿어져 왔다. 또한 관찰된 혈소판 감소증은 Bcl-XL을 억제함으로써 유발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 (Cell, 2007, 128, 1173-1186).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Bcl-2 계열 구성원은 암에서 과발현되어 종양 형성에 기여한다. Bcl-2 발현은 암 요법에 대한 내성 및 생존율 감소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Bcl-2 계열 단백질은 각 단백질에 함유된 상동 도메인의 수와 생물학적 활성(즉, 세포 사멸 촉진 또는 억제 기능 여부)에 따라 세 가지 하위 계열로 더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하위 그룹에는 4개의 상동 도메인, 즉 BH1, BH2, BH3 및 BH4를 모두 가진 단백질이 함유되어 있다. 이들의 일반적인 효과는 세포 사멸 과정을 시작하지 않도록 세포를 보존하는 세포 사멸 억제이다. 예를 들어 Bcl-2, Bcl-XL, Mcl-1과 같은 단백질이 이 첫 번째 하위 그룹의 구성원이다.
암 치료를 위해 단일제로서 또는 병용 요법 (예를 들어, 화학 요법 및/또는 방사선 요법과의 병용)의 일부로서 Bcl-2 계열 억제제 화합물 (예를 들어, Bcl-2 및 Bcl-XL 모두의 억제제)을 전달하는 요법의 개발이 여전히 필요하다. 특히, 용량 제한성 혈소판 감소증 (예를 들어, 대상체에게 투여 후 허용 가능한 높은 혈소판 수)을 유발하지 않고 종양 용해 증후군 또는 기타 허용되지 않는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Bcl-2 계열 억제제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리포솜은 수성 코어를 둘러싸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질 이중층을 가진 폐쇄형 소포이다. 리포솜 내부 공간과 지질층(들)에는 약물, 화장품, 진단 시약, 유전 물질, 및 생리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을 담을 수 있다. 무독성 지질이 리포솜의 기초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낮은 독성을 보인다. 제제의 혈장 순환 수명을 증가시키는 리포솜의 능력과 결합된 낮은 독성은 제약학적 활성제 전달에 특히 유용한 운반체로서 리포솜을 발생시킨다. 많은 경우, 리포좀으로 전달된 약물은 독성이 감소하면서 우수한 임상적 효능을 나타낸다.
친유성 및 낮은 정도의 양친매성 기능성 화합물의 수동 로딩은 지질 이중층과 리포솜 내 (내부) 수성 매질 모두에서 분할되기 때문에 친수성 기능성 화합물보다 다소 더 효율적이다. 그러나 수동 로딩을 사용하면 최종 기능성 화합물 대 지질 비율과 캡슐화 효율이 일반적으로 낮다. 리포솜 내 약물 농도는 주변 유체의 농도와 같으며, 캡슐화 후 내부 수성 매질에 포획되지 않은 약물은 씻겨 나간다. 또한 이중층에 로딩된 약물은 리포솜을 대상체에게 주입할 때 매우 빠르게 리포솜에서 방출된다. 환자에게 약물을 지속적으로 방출하려면 약물이 리포솜 내부에 캡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친수성 또는 양친매성 화합물은 막 통과 pH- 또는 이온-구배를 사용하여 사전 형성된 리포솜에 로딩될 수 있다 (D. Zucker 외,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009) 139:73-80). 이 기술은 활성 또는 원격 로딩이라고 한다. 활성 로딩이 가능한 화합물은 리포솜 막을 가로질러 확산될 수 있는 무전하 형태에서 그럴 수 없는 전하 형태로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능성 화합물은 내부가 낮고 외부가 높은 pH- 또는 이온-구배를 갖도록 준비된 리포솜 현탁액에 첨가하여 로딩된다. 활성 로딩을 통해 높은 기능성 화합물 대 지질 질량 비율과 높은 로딩 효율 (최대 100%)을 달성할 수 있다. 항암제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및 빈크리스틴의 활성 로딩을 예로 들 수 있다 (P. R. Cullis 외,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997) 1331:187-211, 및 이의 참고 문헌).
소수성 약물은 주로 수동 로딩/조립 메커니즘을 통한 막 상호 결합을 통해 리포솜에 로딩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Wasan 등은 미셀을 사용하여 난용성 (sparingly soluble) 제제를 리포솜 이중층으로 옮기는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소수성 특성을 갖는 제제는 지질 이중층에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이는 사전 형성된 리포솜에 제제를 첨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 (US 2009/0028931). 그러나 이러한 로딩은 지질 이중층과 회합되거나 지질 이중층에 갇힌 소수성 약물에 의존하며, 약물이 리포솜 밖으로 쉽게 누출되어 생체 내 체류가 떨어지고 바람직한 약동학보다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약물이 용해도 한계를 초과하고 침전물 형태인 조건에서 난용성 약물을 리포솜에 원격으로 로딩하는 것은 예기치 않은 사건이다. D. Zucker 외,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009) 139:73-80은 "소수성 분자는 응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집체는 리포솜 막을 가로질러 낮은 투과성을 갖는다. 따라서 비극성/극성 표면적 비율이 >2.31인 경우 (Zucker 외.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009) 139:73-80의 도 4 참조), 용해성 비전하 분자만 리포솜에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높은 로딩을 달성하려면 약물이 > 1.9 mM의 적절한 용해도를 가져야 한다."고 언급한다 (D. Zucker 등,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009) 139:73-80).
최근에야 리포솜의 수성 코어에 침전물로부터의 난수용성 제제를 능동적으로 로딩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Szoka 외. WO2014121211, 및 Li 외, Pharmaceutics (2019), 11, 465를 참조한다.
요약
본 개시내용은 상기 Bcl 억제제를 캡슐화한 리포솜을 사용하여 유효량의 Bcl 억제제를 투여하는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서,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다른 측면에서,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및
리포솜 외부에 있는 치료제.
다른 측면에서,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다른 측면에서, 과증식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다른 측면에서, 비리포솜 형태의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의 투여와 관련된 혈소판 감소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지질은 중합체-접합 지질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지질은 1,2-디스테아로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SG-PEG2000), 1,2-디미리스토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MG-PEG2000), 1,2-디팔미토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PG-PEG2000), 및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SPE-PEG2000)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지질은 DSG-PEG200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질 이중층은 제2 지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인지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 수소화 스핑고미엘린(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 또는 난황 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 또는 수소화 스핑고미엘린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수소화 스핑고미엘린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난황 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부 매질은 수성 내부 매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수성 내부 매질은 산성 수성 내부 매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부 매질은 추가 용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용매는 유기 용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이온성 로딩 보조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암모늄 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부 매질은 제2 로딩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이온성 로딩 보조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이고 제2 로딩 보조제는 나트륨 시트레이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스테롤은 콜레스테롤 또는 베타-시토스테롤이다.
도 1a는 유리 약물을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다양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2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2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종래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그리고 유리 약물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2a는 다양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9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9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종래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그리고 유리 약물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3a는 다양한 용량의 유리 약물, 또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량의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평균 혈소판 수의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3b는 다양한 용량의 유리 약물, 또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량의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4a는 다양한 용량의 유리 화합물 9를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4b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량의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5a는 다양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9 (Bcl-22B)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다양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9 (Bcl-22B)의 약물 대 지질 비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상이한 지질 조성의 리포솜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6b는 다양한 양의 PEG-DSG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6c는 다양한 양의 PEG-DMG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6d는 1% PEG-DMG 또는 1% PEG-DSG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6e는 0.5% PEG-DSG 또는 0.5% PEG-DMG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7a는 저용량의 황산 암모늄 (LAS) 또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1 mg/kg로 투여한 후, 또는 0.1 mg/kg의 유리 약물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7b는 저용량의 황산 암모늄 (LAS) 또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TEA-SOS)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2 mg/kg로 투여한 후, 또는 0.2 mg/kg의 유리 약물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7c는 저용량의 황산 암모늄 (LAS) 또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3 mg/kg로 투여한 후, 또는 0.3 mg/kg의 유리 약물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7d는 저용량의 황산 암모늄 (LAS) 또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2 mg/kg로 투여한 후, 또는 0.1 mg/kg의 유리 약물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7e는 DHSM: 콜레스테롤: PEG 53:45:2 및 화합물 9 ("22B") (0.1 약물: 지질 비율)를 포함하는 리포솜을 3 mg/kg으로 투여한 후, DSPC: 콜레스테롤: PEG 57:38:5.6 및 화합물 9 ("22B")(0.1 약물: 지질 비율)를 포함하는 리포솜을 3 mg/kg으로 투여한 후, 또는 유리 약물을 3 mg/kg으로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7f는 다양한 용량으로 투여된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7을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 또는 유리 약물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7g는 DSPC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2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 또는 유리 약물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산 세척 단계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제조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리포좀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7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 분야 용어, 표기법 및 기타 과학 용어 또는 용어는 본 개시내용이 관련된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부 경우,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 용어는 명확성 및/또는 즉시 참조할 수 있도록 본 문서에 정의되어 있으며, 본원에 그러한 정의가 포함되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당업에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실질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되거나 참조된 많은 기술 및 절차는 당업자가 통상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잘 이해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적절한 경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키트 및 시약의 사용과 관련된 절차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제조업체가 정의한 프로토콜 및/또는 매개변수에 따라 수행된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특허, 출원, 공개 출원 및 기타 간행물은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이 섹션에 명시된 정의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특허, 출원, 공개 출원 및 기타 간행물에 명시된 정의와 상반되거나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 섹션에 명시된 정의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 정의보다 우선한다.
정의
본원의 사용에서, 본원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a", "an" 등의 용어 사용은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값 또는 매개변수에 대해 "약"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해당 값 또는 매개변수 자체에 대한 실시양태를 포함 (및 설명)한다. 예를 들어, "약 X"를 참조하는 설명에는 "X"의 설명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료제" 또는 "약물"이라는 용어는 제약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치료 분야에 사용되는 화학적 모이어티를 지칭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라는 용어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제약 문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임의의 화합물의 염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생물학적 효과를 유지하며 생물학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예는 Berge et al., Pharmaceutical Salts, J. Pharmaceutical Sciences, January 1977, 66(1), 1-19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무기산에는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및 인산이 포함된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유기산에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옥살산, 말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틸설폰산, p-톨루엔 설폰산, 스테아르산 및 살리실산이 포함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은 무기 염기 및 유기 염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무기 염기에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구리, 망간, 및 알루미늄이 포함된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유기 염기에는 예를 들어, 1차, 2차, 및 3차 아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치환 아민을 포함한 치환 아민; 사이클릭 아민; 및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가 포함된다. 유기 염기의 예로는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에탄올아민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은 암모늄, 칼륨, 나트륨, 칼슘 및 마그네슘 염 중에서 선택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대상체"라는 용어는 포유류, 조류 또는 어류와 같은 동물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포유류이다. 포유류에는 예를 들어 마우스, 래트, 개, 고양이, 돼지, 양, 말, 소, 및 인간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으로, 예를 들어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이 되었거나 될 인간이다.
"치료적 유효량" 또는 "유효량"이라는 용어는 그러한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할 때 본원에 개시 및/또는 기술된 화합물의 양이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치료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한 양을 지칭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치료 대상체 및 질병 병태, 대상체의 체중 및 연령, 질병 병태의 중증도, 특정 화합물, 따라야 할 투여 레지멘, 투여 시기, 투여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치료적 유효량은 예를 들어 화학 물질의 혈중 농도를 검정하여 실험적으로 확인하거나 이론적으로 생체 이용률을 계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치료" (및 "치료하다", "치료된", "치료하는"과 같은 관련 용어)에는 질병 또는 장애 예방 (즉, 질병 또는 장애의 임상 증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 질병 또는 장애 억제; 및/또는 질병 또는 장애의 임상 증상 발생을 늦추거나 중단하는 것; 질병 또는 장애 완화 (즉, 임상 증상의 완화 또는 퇴행을 일으키는 것) 중 한 가지 이상이 포함된다. 이 용어는 대상체가 이미 질병 또는 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상황뿐만 아니라 현재 질병 또는 장애를 경험하고 있지는 않지만 발생이 예상되는 상황도 포함한다. 이 용어는 질병 또는 장애의 완전 및 부분적 감소 또는 예방, 질병 또는 장애의 임상 증상의 완전 및 부분적 감소를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 및/또는 개시된 화합물은 기존의 질병 또는 장애의 악화를 방지하고, 질병 또는 장애의 관리를 돕거나, 질병 또는 장애를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다. 예방적 방식으로 사용될 경우, 본원에 개시 및/또는 설명된 화합물은 질병 또는 장애의 발병을 예방하거나 발병할 수 있는 질병 또는 장애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다른 측면에서,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및
리포솜 외부에 있는 치료제.
다른 측면에서,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또 다른 측면에서, 과증식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또 다른 측면에서, 비리포솜 형태의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 투여와 관련된 혈소판 감소증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리포솜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함.
또 다른 측면에서,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상체에 투여되는 Bcl 억제제의 총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 동일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Bcl 억제제의 총량보다 적음.
또 다른 측면에서, 과증식성 장애를 치료하는 데 있어서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상체에 투여되는 Bcl 억제제의 총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 동일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Bcl 억제제의 총량보다 적음.
또 다른 측면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Bcl 억제제에 대한 노출의 대상체간 변동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투여된 Bcl 억제제에 대한 노출의 대상체간 변동성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 Bcl 억제제에 대한 노출의 대상체간 변동성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함.
또 다른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Bcl 억제제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투여될 때 Bcl 억제제의 반감기는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반감기보다 큼.
또 다른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Bcl 억제제의 투여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투여되는 Bcl 억제제의 투여 빈도는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투여 빈도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함.
또 다른 측면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 투여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부작용의 발생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작용의 발생 또는 심각성은 비리포솜 형태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작용의 발생 또는 심각성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함.
일 측면에서, 다음을 포함하는 리포솜이 제공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제1 용매, 및 제2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또 다른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리포좀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좀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또 다른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좀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및
하나 이상의 리포솜 외부에 있는 치료제.
또 다른 측면에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를 대상체에게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또 다른 측면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과증식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또 다른 측면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 투여와 관련된 혈소판 감소증의 발생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의 발생 또는 중증도는 비리포솜 형태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의 발생 또는 중증도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함.
또 다른 측면에서,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Bcl 억제제의 총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 동일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Bcl 억제제의 총량보다 적음.
또 다른 측면에서, 과증식성 장애를 치료하는 데 있어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Bcl 억제제의 총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 동일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Bcl 억제제의 총량보다 적음.
또 다른 측면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Bcl 억제제에 대한 노출의 대상체간 변동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투여된 Bcl 억제제에 대한 노출의 대상체간 변동성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 Bcl 억제제에 대한 노출의 대상체간 변동성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함.
또 다른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Bcl 억제제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투여될 때 Bcl 억제제의 반감기는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반감기보다 큼.
또 다른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Bcl 억제제의 투여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하고: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투여되는 Bcl 억제제의 투여 빈도는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투여 빈도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함.
또 다른 측면에서,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 투여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부작용의 발생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작용의 발생 또는 중증도는 비리포솜 형태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작용의 발생 또는 중증도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함.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지질은 중합체 접합 지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접합 지질은 1,2-디스테아로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SG­PEG2000), 1,2-디미리스토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MG­PEG2000), 1,2-디팔미토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PG­PEG2000), 및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SPE-PEG2000)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접합 지질은 1,2-디스테아로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1,2-디미리스토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접합 지질은 1,2-디스테아로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접합 지질은 DSG­PEG200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질 이중층은 제2 지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인지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지질, 및 수소화 스핑고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 수소화 스핑고미엘린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 또는 난황 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 또는 수소화 스핑고미엘린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수소화 스핑고미엘린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난황 스핑고미엘린이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지질은 제1 인지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지질, 및 수소화 스핑고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지질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지질은 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지질은 수소화 스핑고미엘린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질 이중층은 제2 지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제2 인지질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지질, 및 수소화 스핑고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DSPG)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지질은 수소화 스핑고미엘린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질 이중층은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 (DHSM), 콜레스테롤, 및 DSG-PEG200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질 이중층은 DHSM/콜레스테롤/DSG-PEG2000을 약 53:45:2의 몰비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질 이중층은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 콜레스테롤, 및 DSG-PEG2000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지질 이중층은 DSPC/콜레스테롤/DSG-PEG2000을 약 57:38:5.6의 몰비로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용매는 수성 용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수성 용매는 산성의 수성 용매이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부 매질은 제2 용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용매는 유기 용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유기 용매는 비양성자 유기 용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이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이온성 로딩 보조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염,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염, 또는 시트레이트 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암모늄 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암모늄 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나트륨 시트레이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내부 매질은 제2 로딩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이온성 로딩 보조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황산염,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염, 또는 시트레이트 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암모늄 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나트륨 시트레이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이고 제2 로딩 보조제는 나트륨 시트레이트이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스테롤은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또는 피토스테롤 (예컨대 베타-시토스테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스테롤은 콜레스테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스테롤은 베타-시토스테롤이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Bcl-2 억제제, Bcl-XL 억제제, 및 Bcl-2/Bcl-XL 이중 억제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Bcl-2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Bcl-XL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Bcl-2/Bcl-XL 이중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며, 여기서:
V는또는 이고;
W는 H 또는이고;
X는 또는이고;
Y는 -NO2 또는 SO2CF3이고;
Z는 , 및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베네토클락스 (ABT-199), 나비토클락스 (ABT-263), 오바토클락스 메실레이트 (GX15-070), 사부토클락스, TW-37, (R)-(-)-고시폴 아세트산, HA14-1, BH3-모방체, 및 오블리메르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
베네토클락스 (ABT-199), 및 나비토클락스 (ABT-263)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베네토클락스 (ABT-199), 및 나비토클락스 (ABT-263)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베네토클락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나비토클락스이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추가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소수성 치료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친수성 치료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리포솜에 캡슐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리포솜 외부에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2 초과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6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6에서 약 0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3에서 약 0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0에서 약 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1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3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6에서 약 -1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1에서 약 3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2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2에서 약 4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2에서 약 8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4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4에서 약 8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8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10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2 초과의 큰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11 사이의 pKa 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3에서 약 11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11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8에서 약 11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3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3에서 약 6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8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8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3에서 약 8 사이의 pKa 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6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2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2에서 약 8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2에서 약 4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4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4에서 약 8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8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10에서 12 약 사이의 pKa를 갖는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항종양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알킬화제, 항혈관신생제, 항대사제, 세포사멸 유도제, 세포주기 억제제, 세포주기 조절 억제제, 체크포인트 억제제,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세포독성제, DNA 손상제, DNA 복구 억제제, 미토콘드리아 독,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텔로머라제 억제제, 신호 전달 억제제, 전사 억제제, Bcl 억제제, PARP 억제제, PI3K 억제제, HSP90 억제제, JAK 억제제, ATR 억제제, HDAC 억제제,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BTK 억제제, 알킬화제, SMO 억제제, 항투불린제, MEK 억제제,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RAF 억제제, BRAF 억제제, 또는 프로테아좀 억제제 중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2 Bcl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HSP90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HSP90 억제제는 루미네스핍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알킬화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벤다무스틴과 클로람부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알킬화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항투불린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빈크리스틴, 비노렐빈, 및 도세탁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항투불린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ATR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RAF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AF 억제제는 다브라페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BRAF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RAF 억제제는 베무라페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BT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억제제는 이브루티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HDAC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HDAC 억제제는 파노비노스타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JA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JAK 억제제는 룩솔리티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ME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셀루메티닙 및 코비메티닙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ME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PARP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탈라조파립, 니라파립, 및 루카파립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PARP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PI3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PI3K 억제제는 이델라리십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프로테아좀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프로테아좀 억제제는 카르필조밉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SMO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소니데깁 및 비스모데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SMO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브리가티닙, 렌바티닙, 아파티닙, 악시티닙, 카보잔티닙, 포나티닙, 소라페닙, 오시머티닙, 레고라페닙, 보수티닙, 크리조티닙, 반데타닙, 닐로티닙, 알렉티닙, 세리티닙, 다사티닙, 파조파닙, 수니티닙, 에를로티닙, 이미티닙, 게피티닙, 라파티닙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토포이소머라제 I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는 이리노테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Bcl 억제제이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50 nm에서 약 25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50 nm에서 약 15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50 nm에서 약 12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50 nm에서 약 10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80 nm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80 nm에서 약 15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120 nm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담체 매질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은 담체 매질에 현탁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수용성 덱스트로스 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수용성 수크로오스 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식염수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완충액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충액은 HEPES 완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충액은 PBS 완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충액은 Tris 완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충액은 MES 완충액이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1에서 약 0.5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1 내지 약 0.3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1 내지 약 0.1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0.3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1 내지 약 0.5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3 내지 약 0.5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 외부에 있는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리포솜 및 리포솜 조성물
리포솜은 내부 구획을 둘러싸고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리포솜은 다중층, 이중층 또는 단층 소포일 수 있다. 단층 리포솜 (단층 소포 또는 "ULV"라고도 함)은 단일 내부 수성 구획을 둘러싸고 있으며 소형 단층 소포 (SUV) 또는 대형 단층 소포 (LUV)로 분류된다. LUV와 SUV의 크기는 각각 약 50 내지 500 nm 및 20 내지 50 nm이다. 이중층 리포솜은 두 개의 지질막을 갖고, 여기서 내부 막은 하나의 내부 수성 구획을 둘러싸고 있고, 제2 큰 외부 막은 내부 막을 둘러싸고 있어 제2 내부 수성 구획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20 nm에서 약 50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50 nm에서 약 25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80 nm에서 약 25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50 nm에서 약 15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80 nm에서 약 15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50 nm에서 약 12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80 nm에서 약 12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50 nm, 약 80 nm, 약 100 nm, 약 120 nm, 약 150 nm, 또는 약 250 nm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약 80 nm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리포솜 조성물에서 리포솜의 크기 분포를 유지하는 것은 입자 크기 프로파일을 얻음으로써 실험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준탄성 광 산란에 의해 결정된 크기 분포는 일반적으로 리포솜의 평균 직경을 보여주는 히스토그램으로 표시된다. 당업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의미한 크기 분포 측정값은 D10, D90, D99 또는 표준편차 또는 다분산 지수 (PDI)이다. "D99" 값은 리포솜의 99%가 기준 크기보다 작거나 기준 크기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어 상위 크기 또는 하위 크기를 제외하는 것이 중요한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양태에서는 평균 직경이 200 nm를 초과하는 리포솜이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에서 리포솜의 크기 분포는 다분산 지수 (PDI)를 사용하여 정량화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1에서 약 0.5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1에서 약 0.4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1에서 약 0.3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5에서 약 0.5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5에서 약 0.4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5에 서 약 0.3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1에서 약 0.2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1에서 약 0.1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5에서 약 0.2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05에서 약 0.1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1에서 약 0.5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1에서 약 0.4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1에서 약 0.2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01에서 약 0.1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1에서 약 0.5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1에서 약 0.3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약 0.3에서 약 0.5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 조성물은 담체 매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은 담체 매질에 현탁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수용성 덱스트로스 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수성 수크로오스 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식염수 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담체 매질은 완충액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충액은 HEPES 완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충액은 PBS 완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충액은 Tris 완충액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완충액은 MES 완충액이다.
치료제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공된 리포솜 및 리포솜 조성물은 리포솜에 캡슐화된 치료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공된 리포솜 및 리포솜 조성물은 리포솜에 캡슐화된 소수성 치료제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Bcl-2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Bcl-XL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Bcl-2/Bcl-XL 이중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며, 여기서:
V는 또는이고;
W는 H 또는이고;
X는 또는 이고;
Y는 -NO2 또는 -SO2CF3 이고;
Z는 , 및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V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V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W는 H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W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X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X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Y는 -NO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Y는 -SO2CF3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Z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Z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Z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Z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Z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Z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Z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Z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다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화합물 1, 화합물 2,
화합물 3, 화합물 4,
화합물 5, 화합물 6,
화합물 7, 화합물 8,
화합물 9, 화합물 10,
화합물 11, 화합물 12,
화합물 13, 화합물 14,
화합물 15, 화합물 16,
화합물 17, 화합물 18,
화합물 19, 화합물 20,
화합물 21, 화합물 22,
화합물 23, 화합물 24,
화합물 25, 화합물 26,
화합물 27, 화합물 28,
베네토클락스 (ABT-199), 나비토클락스 (ABT-263), ABT-737, 오바토클락스 메실레이트 (GX15-070), 사부토클락스, TW-37, (R)-(-)-고시폴 아세트산, HA14-1, BH3-모방체, 및 오블리메르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베네토클락스 (ABT-199), 나비토클락스 (ABT-263), 오바토클락스 메실레이트 (GX15-070), 사부토클락스, TW-37, (R)-(-)-고시폴 아세트산, HA14-1, BH3-모방체, 및 오블리메르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베네토클락스 (ABT-199), 나비토클락스 (ABT-263), 오바토클락스 메실레이트 (GX15-070), 사부토클락스, TW-37, (R)-(-)-고시폴 아세트산, HA14-1, BH3-모방체, 및 오블리메르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 베네토클락스 (ABT-199), 및 나비토클락스 (ABT-263)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베네토클락스 (ABT-199), 및 나비토클락스 (ABT-263)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베네토클락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cl 억제제는 나비토클락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공된 리포솜 조성물은 추가 치료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소수성 치료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친수성 치료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리포솜에 캡슐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리포솜 외부에 있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리포솜은 추가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리포솜에 캡슐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리포솜 외부에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2 초과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6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6에서 약 0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3에서 약 0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0에서 약 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1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3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6에서 약 -1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1에서 약 3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2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2에서 약 4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2에서 약 8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4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4에서 약 8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8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약 10에서 약 12 사이의 cLogP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2 초과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11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3에서 약 11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11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8에서 약 11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3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3에서 약 6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8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8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3에서 약 8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6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2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2에서 약 8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2에서 약 4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4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4에서 약 8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8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양성자화될 수 있으며,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10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다.
앞서 언급한 모든 측면의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항종양제이다. 추가 치료제는 알킬화제, 항혈관신생제, 항대사제, 세포사멸 유도제, 세포주기 억제제, 세포주기 조절 억제제, 체크포인트 억제제,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세포독성제, DNA 손상제, DNA 복구 억제제, 미토콘드리아 독,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텔로머라제 억제제, 신호 전달 억제제, 전사 억제제, Bcl 억제제, PARP 억제제, PI3K 억제제, HSP90 억제제, JAK 억제제, ATR 억제제, HDAC 억제제,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BTK 억제제, 알킬화제, SMO 억제제, 항투불린제, MEK 억제제,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RAF 억제제, BRAF 억제제, 또는 프로테아좀 억제제 중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2 Bcl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HSP90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HSP90 억제제는 루미네스핍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알킬화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벤다무스틴 및 클로람부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알킬화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항투불린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빈크리스틴, 비노렐빈, 및 도세탁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항투불린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ATR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RAF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AF 억제제는 다브라페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BRAF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RAF 억제제는 베무라페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BT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TK 억제제는 이브루티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HDAC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HDAC 억제제는 파노비노스타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JA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JAK 억제제는 룩솔리티닙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ME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셀루메티닙 및 코비메티닙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ME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PARP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탈라조파립, 니라파립, 및 루카파립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PARP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PI3K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PI3K 억제제는 이델라리십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프로테아좀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프로테아좀 억제제는 카르필조밉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SMO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소니데깁 및 비스모데깁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SMO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브리가티닙, 렌바티닙, 아파티닙, 악시티닙, 카보잔티닙, 포나티닙, 소라페닙, 오시머티닙, 레고라페닙, 보수티닙, 크리조티닙, 반데타닙, 닐로티닙, 알렉티닙, 세리티닙, 다사티닙, 파조파닙, 수니티닙, 에를로티닙, 이미티닙, 게피티닙, 라파티닙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토포이소머라제 I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는 이리노테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2 Bcl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추가 치료제는 항종양제이다. 적합한 항종양제는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다음과 같다:
암세포의 성장 또는 분열을 유발하는 신호를 방해하거나 방지하는 "신호전달 억제제";
"세포독성제";
세포의 기원이 되는 유사 분열에서부터 딸 세포로 분열하는 유사 분열 이후의 사건까지 세포의 수명인 정상적인 세포 주기를 통해 세포의 진행을 방해하는 "세포 주기 억제제" 또는 "세포 주기 조절 억제제";
세포 주기 체크포인트, 예를 들어, S/G2 체크포인트, G2/M 체크포인트 및 G1/S 체크포인트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체크포인트 억제제", 예컨대 블레오마이신, 도세탁셀, 독소루비신, 에토포사이드, 파클리탁셀,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및 비노렐빈과 같은 S/G2 또는 G2/M 체크포인트 억제제; G1/early-S 체크포인트 억제제; 및 G2/M 체크포인트 억제제;
캄프토테신, 이리노테칸, 및 토포테칸과 같이 DNA 복제 및 전사에 필요한 효소인 토포이소머라제 I 또는 II의 활성을 방해하는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제니스테인, 트라스투주맙, ZD1839와 같이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보유한 성장인자 수용체의 활성을 방해하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을 촉진하는 "세포 사멸 유도제";
필수 대사 산물과 매우 유사하여 이를 수반하는 생리적 반응을 방해하는, 시타라빈, 5-아자시티딘, 및 젬시타빈 (2',2'-디플루오로데옥시티딘)과 같은 시티딘 유사체, 또는 하이드록시우레아와 같은 "항대사물질";
텔로미어 길이를 연장하고 세포의 수명과 복제 능력을 연장하는 효소인 텔로머라제의 활성을 방해하는 "텔로머라제 억제제";
히스톤, 세포 골격 단백질, 전사 인자, 종양 억제 유전자 등과 같은 세포 단백질의 인산화를 통해 세포 주기의 상이한 단계 사이의 주요 단계를 제어하는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를 방해하는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카르보플라틴, 시스플라틴,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에피루비신, 미토마이신 C, 미톡산트론과 같은 "DNA 손상제";
5-플루오로우라실 (5-FU) 또는 FUDR, 젬시타빈 및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한 "DNA 복구 억제제";
면역 체계를 자극하거나 억제하여 신체가 암, 감염 또는 기타 질병과 싸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면역 조절제"로서, 예를 들어 단클론 항체, 사이토카인, 및 백신과 같은 특이적 면역 조절제는 면역 체계의 특정 부분에 영향을 미치고; BCG 및 레바미솔과 같은 비특이적 면역 조절제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면역 체계에 영향을 미침;
종양이 성장하는 동안 발생하는 새로운 혈관의 생성 또는 기존 혈관의 성장을 방해하는 "항혈관 신생제"; 및
미토콘드리아 호흡 사슬 기능을 직간접적으로 방해하는 "미토콘드리아 독".
하나 이상의 제제의 작용 메커니즘이 알려지지 않았거나 잘못 식별되었을 수 있다.
다른 항종양제에는 파클리탁셀, 에토포사이드 화합물, 캄프토테신 화합물, 이다루비신, 카르보플라틴, 옥살리플라틴, 아드리아마이신, 미토마이신, 안사미토신, 블레오마이신, 시토신 아라비노사이드, 아라비노실 아데닌, 메르카토폴리신, 빈크리스틴, 부설판, 클로람부실, 멜팔란, 메르카토푸린, 미토탄, 프로카르바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닥티노마이신, 미토마이신, 플리카마이신,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에스트라무스틴 인산염 나트륨, 플루타미드, 루프롤리드 아세테이트,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 타목시펜 시트레이트, 테스토락톤, 트릴로스탄, 암사크린, 아스파라기나제, 인터페론, 테니포사이드, 빈블라스틴 설페이트,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블레오마이신, 메토트렉세이트, 발루비신, 카르젤레신, 파클리탁셀, 탁소탄, 캄프토테신, 독소루비신, 다우노마이신, 시스플라틴, 5 플루오로우라실, 메토트렉세이트; 항염증제, 예컨대 인도메타신,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플루비프로펜, 디클로페낙, 피록시캄, 테녹시캄, 나프록센, 아스피린, 및 아세트아미노펜; 성 호르몬, 예컨대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톤, 에스트라디올; 항고혈압제, 예컨대 캅토프릴, 라미프릴, 테라조신, 미녹시딜, 및 파라조신; 항구토제, 예컨대 온단세트론 및 그라니세트론; 항생제, 메트로니다졸 및 푸시드산; 사이클로스포린; 프로스타글란딘; 바이페닐 디메틸 디카르복실산, 카르보플라틴; 항진균제, 예컨대 이트라코나졸, 케토코나졸, 및 암포테리신; 스테로이드, 예컨대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하이드로코르티손,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솔론, 및 베타메타손; 사이클로스포린 및 기능적으로 동일한 유사체,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다.
리포솜 및 리포솜 조성물 제조 공정
리포솜은 "Liposomes: Rational Design" (A.S. Janoff,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에 설명된 대로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추가 기술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적합한 리포솜에는 대형 단층 소포 (LUV), 다층 소포 (MLV), 소형 단층 소포 (SUV) 및 서로 맞물리는 융합 리포솜이 포함된다.
지질
리포솜은 치료용 지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에테르 지질, 포스파티딘산, 포스포네이트, 세라마이드 및 세라마이드 유사체, 스핑고신 및 스핑고신 유사체, 세린 함유 지질이 포함된다. 리포솜은 또한 포스파티딜콜린 지질,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지질, 포스파티딜세린 지질, 및 포스파티딜글리세롤 지질과 같은 인지질을 함유할 수 있다. 리포솜은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DSPC)과 같은 포스파티딜콜린 지질을 함유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지질 및 수소화 스핑고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질은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PC), 1-팔미토일 -2-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OPC),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PPC), 난황 스핑고미엘린,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DOPE),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DSPS),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나트륨 염 (DSPS-Na), 2-올레오일-1-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POPS), 및 2-올레오일-1-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나트륨 염 (POPS-Na)일 수 있다.
리포솜은 표면 안정화 친수성 중합체-지질 접합체로 제조할 수도 있다. 친수성 중합체-지질 접합체는 중합체성 모이어티와 지질 모이어티를 포함한다. 중합체성 모이어티는 PEG 모이어티일 수 있다. 지질 모이어티는 인지질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스핑고지질 및 수소화 스핑고지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지질은 난황 포스파티딜콜린 (난황 PC), 1-팔미토일-2-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POPC), 1,2-디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콜린 (DPPC), 난황 스핑고미엘린, 1,2-디올레오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 (DOPE),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DSPS),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나트륨 염 (DSPS-Na), 2-올레오일 -1-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POPS), 및 2-올레오일 -1­팔미토일-sn-글리세로-3-포스포-L-세린 나트륨 염 (POPS-Na)일 수 있다. 예시적인 중합체-지질 접합체는 1,2-디스테아로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 (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SG­PEG2000 또는 DSG-PEG1000), 1,2-디미리스토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 (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MG-PEG2000 또는 DMG-PEG1000), 1,2-디팔미토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 (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PG-PEG2000 또는 DPG-PEG1000),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폴리 (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DSPE-PEG2000 또는 DSPE­PEG1000), N-팔미토일-스핑고신-1-{석시닐[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예컨대 C16 PEG2000 세라마이드), PEG-유도체화 콜레스테롤 (예컨대 mPEG 콜레스테롤), 스핑고미엘린, 또는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일 수 있다. 중합체-지질 접합체의 중합체성 모이어티의 평균 분자량은 약 1000g/mol 내지 약 5000g/mol로 다양할 수 있다. 중합체-지질 접합체의 중합체성 모이어티의 평균 분자량은 약 1000g/mol 내지 약 2000g/mol로 다양할 수 있다. 중합체-지질 접합체의 중합체성 모이어티의 평균 분자량은 약 1000g/mol일 수 있다. 중합체-지질 접합체의 중합체성 모이어티의 평균 분자량은 약 2000g/mol일 수 있다. 중합체-지질 접합체의 중합체성 모이어티의 평균 분자량은 약 5000g/mol일 수 있다.
포스파티딜글리세롤 (PG)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 (PI)과 같은 음전하를 띤 지질을 리포솜 제형에 첨가하여 담체의 순환 수명을 늘릴 수도 있다. 이러한 지질은 표면 안정화제로서 친수성 중합체-지질 접합체를 대체하거나 친수성 중합체-지질 접합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스테롤
리포솜은 또한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유도체, 또는 피토스테롤 (예컨대 β-시토스테롤)과 같은 스테롤을 함유할 수 있다.
리포솜 로딩 공정
리포솜에 활성제를 캡슐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캡슐화"는 제제와 리포솜의 공유 또는 비공유 회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는 제제가 리포솜의 외부 층 또는 층들과 상호작용하거나 리포솜 내에 제제가 포획되어 리포솜의 다른 부분 간에 평형이 달성되는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제제의 캡슐화는 지질 성분과의 공유 또는 비공유 상호작용을 통해 리포솜의 이중층과 상호작용하거나 리포솜의 수성 내부에 포획되거나 내부 수성상과 이중층 사이의 평형 상태를 통해 제제와 회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딩"은 하나 이상의 제제를 전달 비히클에 캡슐화하는 행위를 지칭한다.
치료제의 조합이 모색될 때, 당업자에게는 원하는 조합의 캡슐화가 별도의 전달 비히클로 또는 동일한 전달 비히클 내의 캡슐화를 통해 달성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별도의 리포솜으로의 캡슐화가 바람직한 경우, 각 리포솜의 지질 조성은 조정된 약동학을 허용하기 위해 상당히 상이할 수 있다. 비히클 조성을 변경하여 캡슐화된 약물의 방출 속도를 일치시켜 원하는 비율의 약물이 종양 부위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방출 속도를 변경하는 방법에는 소포 형성 지질의 아실 사슬 길이를 늘려 약물 체류를 개선하고, 리포솜 막에서 PEG와 같은 표면 접목 친수성 중합체의 교환을 제어하고, 막에 스테롤과 같은 막 경화제를 통합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약물과 제2 약물이 특정 약물 비율로 투여되기를 원하고, 제2 약물이 제1 약물의 리포솜 조성물 내에서 잘 보유되지 않는 경우, 당업자에게는 제2 약물을 제2 리포솜 조성물에 캡슐화함으로써 개선된 약동학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는, 둘 이상의 약물이 동일한 리포솜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캡슐화 기술은 전달 수단의 특성과 캡슐화할 치료제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치료제는 수동적 및 능동적 로딩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리포솜에 로딩할 수 있다. 리포솜에 활성제를 캡슐화하는 수동적 방법에는 리포솜을 제조하는 동안 제제를 캡슐화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여기에는 Bangham 등 (J. Mol. Biol. (1965) 12:238)이 설명한 수동적 포획 방법이 포함된다. 이 기술은 압출 시 대형 단층 소포 (LUV) 또는 소형 단층 소포 (SUV)로 전환할 수 있는 다층 소포 (MLV)를 형성한다. 수동적 캡슐화의 또 다른 적합한 방법으로는 Deamer와 Bangham이 설명한 에테르 주입 기법 (Biochim. Biophys. Acta (1976) 443:629) 및 Szoka와 Paphadjopoulos가 설명한 역상 증발 기법 (P.N.A.S. (1978) 75:4194)이 포함된다. 또한, 수동적 캡슐화의 또 다른 적합한 방법은 리포솜 형성 후 수동적 평형화를 포함한다. 이 공정에는 변경된 또는 비주위(온도, 압력 등을 기반으로 함) 조건에서 사전 형성된 리포솜을 배양하고 리포솜 외부에 치료제를 추가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런 다음 치료제는 리포솜 막을 가로질러 리포솜 내부로 평형화된다. 그런 다음 리포솜을 주위 조건으로 되돌리고 캡슐화되지 않은 치료제가 있는 경우 투석 또는 다른 적절한 방법을 통해 제거한다.
능동적 캡슐화 방법에는 미국 특허 번호 5,616,341, 5,736,155 및 5,785,987에 설명된 pH 구배 로딩 기법 및 활성 금속 로딩이 포함된다. pH 구배 로딩의 한 가지 방법은 시트레이트를 pH 4.0의 내부 완충액 및 중성 외부 완충액으로 사용하는 시트레이트 기반 로딩 방법이다. 리포솜을 통해 pH 구배를 설정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방법으로는 리포솜 막에 삽입하여 양성자와 교환하여 막 사이로 이온을 운반할 수 있는 이온 운반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미국 특허 번호 5,837,282 참조). 전이 금속을 활용하여 이온 운반체가 없는 상태에서 착화를 통해 리포솜으로 약물의 흡수를 유도하는 또 다른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기법은 약물 흡수를 유도하기 위해 pH 구배를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약물-금속 착체의 형성에 의존한다.
난수용성 화합물의 바람직한 캡슐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번호 9,737,485, 10,507,182 및 10,722,467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캡슐화할 제제는 로딩 용매에 용해되고 그 결과 용액은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리포솜 현탁액에 첨가되어 비정질 고체로서 로딩될 제제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생성하거나, 비정질 고체 형태로 제공되어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리포솜 현탁액에 첨가된다. 난수용성 화합물의 다른 바람직한 캡슐화 방법은 Li 등, Pharmaceutics (2019), 11, 465에 기술되어 있다.
하나 초과의 캡슐화된 제제를 함유하는 리포솜 제형을 제조하기 위해 수동적 및 능동적 포획 방법을 결합할 수도 있다.
로딩 보조제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보조제는 이온성 로딩 보조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보조제는 황산염,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염, 또는 시트레이트 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암모늄 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암모늄 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나트륨 시트레이트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보조제는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보조제는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보조제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보조제는 나트륨 시트레이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가 사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이온성 로딩 보조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황산염,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염, 또는 시트레이트 염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암모늄 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나트륨 시트레이트 등,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황산 암모늄 (A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2 로딩 보조제는 나트륨 시트레이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1 로딩 보조제는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이고 제2 로딩 보조제는 나트륨 시트레이트이다.
로딩 용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용매는 유기 용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유기 용매는 비양성자성 유기 용매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로딩 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이다.
사용 방법
또한,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를 전달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또한 과증식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일부 실시양태에서, 과증식성 장애는 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과증식성 장애는 고형암 또는 혈액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과증식성 장애는 고형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형암은 대장암 또는 소세포 폐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형암은 대장직장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고형암은 소세포 폐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과증식성 장애는 혈액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다발성 골수종 (MM),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형질 전환성 수지상 세포 종양 (BPDCN), T 세포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골수 증식성 신생물 (MPN) 및 림프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다발성 골수종 (MM)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형질 전환성 수지상 세포 종양 (BPDCN)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T 세포 림프구성 백혈병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골수 증식성 신생물 (MPN)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혈액암은 림프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림프종은 비호지킨 림프종 (NH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호지킨 림프종 (NHL)은 피부 B세포 림프종 (CBCL), 소림프구 림프종 (SLL), 맨틀 세포 림프종 (MCL),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DLBCL), 및 여포성 림프종 (FL)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호지킨 림프종 (NHL)은 피부 B세포 림프종 (CBC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호지킨 림프종 (NHL)은 소림프구 림프종 (SL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호지킨 림프종 (NHL)은 맨틀세포 림프종 (MC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호지킨 림프종 (NHL)은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DLBCL)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비호지킨 림프종 (NHL)은 여포성 림프종 (FL)이다.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 투여와 관련된 혈소판 감소증의 발생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하고: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의 발생 또는 중증도는 비리포솜 형태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의 발생 또는 중증도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하다.
또한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Bcl 억제제의 총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하고: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 동일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Bcl 억제제의 총량보다 적다.
또한 과증식성 장애를 치료하는 데 있어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Bcl 억제제의 총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하고: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 동일한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Bcl 억제제의 총량보다 적다.
또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Bcl 억제제에 대한 노출의 대상체간 변동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하고: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투여된 Bcl 억제제에 대한 노출의 대상체간 변동성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 Bcl 억제제에 대한 노출의 대상체간 변동성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하다.
또한 대상체에서 Bcl 억제제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하고: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투여될 때 Bcl 억제제의 반감기는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반감기보다 크다.
또한 대상체에서 Bcl 억제제의 투여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하고: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투여되는 Bcl 억제제의 투여 빈도는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투여 빈도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하다.
또한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 투여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부작용의 발생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 각각은 다음을 포함하고: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 및 제1 용매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작용의 발생 또는 중증도는 비리포솜 형태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부작용의 발생 또는 중증도보다 적고; 여기서,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가축 및/또는 조류 종을 포함한 온혈 동물에 투여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 외에도, 수의학 용도에 적합한 제형이 대상체에 적합한 방식으로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수의학 대상체는 포유류 종, 예를 들어 비인간 영장류, 개, 고양이, 소, 말, 양 및 가축화된 가금류를 포함한다. 특히 래트, 토끼, 마우스, 및 기니피그와 같은 실험동물도 대상체에 포함될 수 있다. 인간 질병의 치료를 위해, 자격을 갖춘 의사는 확립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투여량, 투여 일정 및 경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달 비히클 조성물에 캡슐화된 제제가 대상체의 건강한 조직에 대한 독성을 감소시키는 경우, 이러한 용도는 용량 증량을 활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적으로, 즉 동맥 내,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또는 근육 내로 투여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맥 내 또는 복강 내로 볼러스 주사에 의해 투여된다. 예를 들어, Rahman, 등, 미국 특허 번호 3,993,754; Sears, 미국 특허 번호 4,145,410; Papahadjopoulos, 등, 미국 특허 번호 4,235,871; Schneider, 미국 특허 번호 4,224,179; Lenk, 등, 미국 특허 번호 4,522,803; 및 Fountain, 등, 미국 특허 번호 4,588,578를 참조한다.
다른 방법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제물은 조제물을 조직에 직접 적용함으로써 표적 조직과 접촉할 수 있다. 적용은 국소, "개방형" 또는 "폐쇄형" 절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국소적"이란 피부, 구인두, 외이도 등과 같이 환경에 노출된 조직에 약제학적 조성물을 직접 도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개방형" 시술은 환자의 피부를 절개하여 약제학적 조제물이 적용되는 기저 조직을 직접 눈으로 보는 것을 포함하는 시술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폐에 접근하기 위한 개흉술, 복부 내장에 접근하기 위한 복부 개복술, 또는 기타 표적 조직에 대한 직접적인 외과적 접근과 같은 외과적 절차를 통해 달성된다. "폐쇄형" 시술은 내부 표적 조직을 직접 눈으로 보지 않고 피부의 작은 상처를 통해 기구를 삽입하여 접근하는 침습적 시술이다. 예를 들어, 주사바늘 세척을 통해 복막에 조제물을 투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약제학적 조제물을 투여하여 척추 마취 또는 척수의 메트라자마이드 영상 촬영을 위해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바와 같이, 요추 천자 동안 주입에 의해 수막 또는 척수에 투여된 후 환자가 적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내시경 장치를 통해 조제물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달 비히클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표준 기술에 따라 제조되며, 알부민, 지단백질, 글로불린 등과 같은 안정성 향상을 위한 당단백질을 포함하여 물, 완충수, 0.9% 식염수, 0.3% 글리신, 5% 덱스트로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종래의 공지된 멸균 기술에 의해 멸균될 수 있다. 결과 수용액은 사용을 위해 포장되거나 무균 조건 하에서 여과되고 동결 건조될 수 있으며, 동결 건조된 조제물은 투여 전에 멸균 수용액과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pH 조절 및 완충제, 등장성 조절제 등과 같은 생리학적 조건에 근접하기 위해 필요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 물질, 예를 들어 아세트산 나트륨, 나트륨 락테이트,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전달 비히클 현탁액에는 보관 시 유리 라디칼 및 지질 과산화 손상으로부터 지질을 보호하는 지질 보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알파-토코페롤과 같은 친유성 자유 라디칼 소멸제와 페리옥사민과 같은 수용성 철 특이적 킬레이트가 적합하다.
약제학적 제형에서 전달 비히클의 농도는 약 0.05 중량% 미만, 일반적으로 2 내지 5 중량%, 또는 적어도 약 2 내지 5 중량% 내지 10 내지 30 중량% 만큼으로 매우 다양할 수 있으며, 주로 선택한 특정 투여 방식에 따라 유체 부피, 점도 등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어, 치료와 관련된 유체 부하를 낮추기 위해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자극성 지질로 구성된 전달 비히클은 저농도로 희석하여 투여 부위의 염증을 완화할 수 있다. 진단의 경우, 투여하는 전달 비히클의 양은 사용되는 특정 라벨, 진단 중인 질병 상태 및 임상의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정맥으로 투여된다. 전달 비히클 제형의 투여량은 지질에 대한 약물의 비율 및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병태에 따른 관리 의사의 의견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약제학적 조성물 외에도, 수의학에 적합한 제형은 대상체에 적합한 방식으로 제조 및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수의학 대상체는 포유류 종, 예를 들어 비인간 영장류, 개, 고양이, 소, 말, 양 및 가축화된 가금류를 포함한다. 대상체에는 특히 래트, 토끼, 마우스, 기니피그와 같은 실험 동물도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초과의 활성제를 함유하는 단일 조성물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절차는 그 자체로 따른다. 제제가 별도의 전달 비히클 조성물로 투여되는 경우, 원하는 비율이 유지되는 방식으로 투여 시간을 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계산된 비율로 조성물을 동시에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키트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치료제는 개별 조성물로 개별적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치료제는 적절한 전달 비히클과 안정적으로 회합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투여되는 치료제의 비율이 치료 표적에서 유지되도록 전달 비히클의 약동학이 조정되는 한, 대상체에게 개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제1 치료제와 안정적으로 회합된 전달 비히클을 포함하는 제1 조성물을 별도의 용기에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치료제와 안정적으로 회합된 전달 비히클을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제2 용기에 포함하는 키트를 구성하는 것이 유용하다. 그런 다음 용기는 키트로 포장될 수 있다.
또한 키트에는 적어도 투여할 각 조성물의 양 비율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는, 대상체에게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식에 대한 지침이 포함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키트는 각 용기에서 조성물의 양을 사전 측정하여 한 용기의 내용물과 다른 용기의 내용물이 정확한 비율을 나타내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용기에 눈에 보이는 눈금에 따라 적절한 양을 분배할 수 있는 계량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용기는 그 자체로 투여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키트에는 별도의 주사기에 적절한 양의 각 조성물이 포함될 수 있다. 사전 제형화된 정확한 비율의 치료제를 포함하는 제형은 키트에 미리 포장된 주사기로 직접 투여되도록 이러한 방식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양태를 예시한다. 이어지는 실시예 및 제조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양태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며, 단지 예시적이고 대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실시예 1. 리포솜 제형화의 일반 절차
약물 화합물을 함유한 리포솜은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또는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또는 로딩 보조제로서 암모늄 시트레이트를 함유하는 DSPC/콜레스테롤/PEG-DSG 리포솜에 약물 화합물을 원격으로 로딩하여 생성되었다.
A. 로딩 보조제의 제조
250 mM 황산 암모늄 로딩 보조 용액은 고체 황산 암모늄을 탈이온 (DI) 수에 용해하여 목표 농도인 250 mM에 도달하도록 제조했다. 이렇게 하면 pH 5.2의 용액이 만들어졌다. 이 용액을 0.2 μm 막을 통해 여과했다.
300 mM 암모늄 시트레이트 로딩 보조 용액은 고체 암모늄 이염기성 시트레이트를 DI 수에 용해하여 목표 농도인 300 mM에 도달하도록 제조했다. 이렇게 하면 pH 4.9의 용액이 만들어졌다. 용액을 0.2 μm 막을 통해 여과했다.
0.5-1.0 N 트리에틸아민-SOS 로딩 보조 용액을 칼륨 SOS로부터 제조했다. 소량 배치의 경우, 5 g의 칼륨 SOS를 65℃의 DI 물 12 mL에 용해시킨 후 유리 섬유막으로 여과했다. 그런 다음 따뜻한 용액을 3 M HCl로 전처리된 ~ 30 mL의 포장된 50W-X8 비드를 함유하는 Dowex 컬럼 상단에 로딩하고 DI 수로 완전히 세척했다. 용액이 고갈된 후, DI 수를 로딩하여 SOS 용액을 용출시켰다. 컬럼의 바닥에 연결된 유동 전도도 측정기를 통해 전도도가 150 mS/cm 초과인 용출 용액의 분획를 수집했다. 생성된 H-SOS 용액을 pH가 6.5 ± 0.5가 될 때까지 즉시 트리에틸아민으로 적정했다. 트리에틸아민-SOS 용액을 0.2 μm 막으로 여과했다. SOS 농도는 ICP-OES (5800 VDV, Agilent)를 사용한 유황 원소 분석으로 결정했다. 여과된 용액은 4℃에서 보관했다.
0.5-1.0 N 암모늄 SOS 로딩 보조 용액은 용출된 H-SOS 용액을 즉시 농축 암모니아로 적정하여 목표 pH인 6.5 ± 0.5에 도달하도록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했다.
0.5-1.0 N 트리에탄올아민 SOS 로딩 보조 용액은 용출된 H-SOS 용액을 즉시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적정하여 목표 pH 6.5 ± 0.5에 도달하도록 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했다.
모든 SOS 용액의 제조는 그에 비례하여 25 내지 100배까지 규모를 키울 수 있다.
B. 지질 포말 제조 및 리포솜 압출
DSPC, 콜레스테롤, 및 중합체 접합 지질을 칭량하고 밀폐된 유리 바이알 또는 병의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농축된 지질의 점성 클로로포름 용액을 형성한 후 진공을 적용하자 몇 초 만에 지질 포말이 생성됐다. 지질 포말을 Buchi 진공 펌프 시스템 (V-512, Buchi)에 넣고 가열하거나 주변 온도에서 밤새 방치하여 클로로포름을 완전히 제거했다. 건조된 포말은 즉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 -20℃에서 보관했다.
수조에서 65℃로 예열된 로딩 보조제 수용액을 첨가하여 지질 포말을 수화시켰다. 가열된 용액을 지질 포말에 첨가했다. 20 내지 30초의 사이클 동안 와류시킨 다음 2 내지 3분 동안 가열하여 다층 소포 (MLV)를 생성했다.
사용하는 로딩 보조제에 따라 250 mM 황산암모늄을 300 mM 암모늄 시트레이트, 또는 0.5-1 N 트리에틸아민-SOS, 또는 0.5-1 N 암모늄-SOS 또는 0.5-1 N 트리에탄올아민-SOS로 치환할 수 있다.
MLV는 65℃에서 유지된 10 mL 재킷형 리포솜 압출기 (LIPEX®)를 사용하여 20-100 psi에서 200 nm PCTE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랙 에칭됨) 막을 통해 한 번 압출했다. 그런 다음 65℃에서 유지된 10 mL 재킷형 리포솜 압출기를 사용하여 50-200 psi에서 100 nm PCTE 막을 통해 7회 압출했다. 리포솜 제형을 저온에서 취급 및 보관해야 하는 경우, 로딩 보조제와 수크로오스를 동결 보호제로 사용하여 리포솜을 압출할 수 있다.
소량 부피 (즉, < 20 ml)의 경우, 250 mM 황산암모늄 또는 300 mM 암모늄 시트레이트를 함유한 압출 리포솜을 1 mL/8.3 mL 베드 부피의 비율로 Sephadex G25 컬럼 (PD-10 컬럼, Cytiva)에 로딩하여 9% w/v 덱스트로스로 완충액 교환하고, 전도도가 < 50 μS/cm인 리포솜 용출 분획을 수집하여 임의의 캡슐화되지 않은 로딩 보조제를 제거했다.
소량 부피의 경우, 0.5-1 N 트리에틸아민-SOS, 또는 0.5-1 N 암모늄-SOS 또는 0.5-1 N 트리에탄올아민-SOS을 함유하는 압출 리포솜을 9-18% w/v 덱스트로스 (삼투압 균형을 맞추기 위한 로딩 보조제의 정상 여부에 따라 다름)로 교환하여 1 mL/10 mL 베드 부피의 비율로 Sepharose CL4B 컬럼에 로딩하고 전도도가 < 20 μS/cm인 리포솜 용출 분획을 수집하여 임의의 캡슐화되지 않은 로딩 보조제를 제거한다.
더 큰 부피의 경우, 250 mM 황산암모늄 또는 300 mM 암모늄 시트레이트, 또는 0.5-1 N 트리에틸아민-SOS. 또는 0.5-1 N 암모늄-SOS 또는 0.5-1 N 트리에탄올아민-SOS를 함유한 압출 리포솜은 100 kDa MWCO Hydrosart PES 막을 사용한 접선 흐름 여과 (Sartorius Slice 200)를 사용하여 9-18% w/v 덱스트로스로 18회 부피 교환하여 완충액를 교환했다.
C. 약물 화합물의 리포솜으로의 캡슐화
약물 화합물을 DMSO에 20-100 mg/mL 농도로 용해시킨 후 제조된 리포솜에 교반하면서 적가하고 65℃로 가열하여 용액 중 최종 약물 농도가 0.2 내지 6.0 mg/mL 범위가 되고 최종 D/L 비율이 0.1 내지 0.8 mol/mol 범위가 되도록 했다. 최종 유기 용매 농도는 2 내지 30% 사이였다.
시료를 65℃ 또는 실온에서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여 약물을 리포솜에 쉽게 로딩할 수 있도록 했다. 로딩 후 시료를 빙조에서 냉각했다.
D. 약물 로딩한 리포솜의 정제
제형의 정제는 100 내지 300k MWCO (Hydrosart, Sartorius) PES 막이 장착된 접선 흐름 여과 (Slice 200, Sartorius)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먼저 제형을 50 mL로 농축한 다음, 캡슐화되지 않은 약물을 제거하기 위해 로딩 절차 동안과 유사한 농도의 산성화 (0.01 M HCl 또는 MeSO3H) 덱스트로스를 12 내지 24회 부피 교환하여 정제했다. 그 후, 5% 덱스트로스를 12회 더 부피 교환하여 제형을 정제했다. 대안적으로, 리포솜 제형을 저온 보관해야 하는 경우, 덱스트로스 대신 수크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형을 10 내지 20 mg/ml 지질로 농축하고, 수집하고 0.22 μm PES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했다.
실시예 2. 화합물 9의 리포솜으로의 제형화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또는 로딩 보조제로서 암모늄 시트레이트를 함유하는 DSPC/콜레스테롤/PEG-DSG (3:2:0.3 몰비) 리포솜에 원격으로 로딩하여 화합물 9를 함유하는 리포솜을 생성하였다.
A. 로딩 보조제의 제조
로딩 보조 용액은 실시예 1에 설명된 대로 제조했다.
B. 지질 포말 제조 및 리포솜 압출
DSPC/콜레스테롤/PEG-DSG(3:2:0.3 몰비)을 칭량하고 밀폐된 유리 바이알 또는 병에 ~60℃에서 열을 사용하여 지질 1g/mL의 농도로 클로로포름에 용해시켰다.
농축 지질의 점성 클로로포름 용액을 형성한 후 진공을 적용하여 몇 초 만에 지질 포말을 생성했다. 지질 포말을 Buchi 진공 펌프 시스템 (V-512, Buchi)에 넣고 0.5시간 동안 가열하거나 주변 온도에서 밤새 방치하여 클로로포름을 완전히 제거했다. 건조된 포말은 즉시 사용하지 않을 경우 -20℃에서 보관했다.
지질 포말에 수조에서 65℃로 예열된 250 mM 황산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여 수화시켰다. 가열된 용액을 지질 포말에 250 mM 황산암모늄 용액의 50 mg 지질/mL 농도로 첨가했다. 20 내지 30초의 사이클 동안 와동한 후 2 내지 3분 동안 가열하여 다층 소포 (MLV)를 생성했다.
사용하는 로딩 보조제에 따라 250 mM 황산암모늄을 300 mM 암모늄 시트레이트, 또는 0.5-1 N 트리에틸아민-SOS 또는 0.5-1 N 암모늄-SOS 또는 0.5-1 N 트리에탄올아민-SOS로 치환할 수 있다.
MLV는 65℃에서 유지된 10 mL 재킷형 리포솜 압출기 (LIPEX®)를 사용하여 20-100 psi에서 200 nm PCTE (폴리카르보네이트 트랙 에칭됨) 막을 통해 한 번 압출했다. 그런 다음 결과물인 MLV를 65℃에서 유지된 10 mL 재킷형 리포솜 압출기를 사용하여 50-200 psi에서 100 nm PCTE 막을 통해 7회 압출했다. 리포솜 제형을 저온에서 취급 및 보관해야 하는 경우, 로딩 보조제와 동결 보호제로 수크로오스를 사용하여 리포솜을 압출할 수 있다.
압출된 리포솜은 0.9% 식염수를 희석액으로 사용한 동적 광 산란 (Malvern Nano ZS)으로 측정한 결과 110 nm +/- 20 nm의 평균 유체역학적 직경을 가졌다.
소량 부피 (즉, < 20 ml)의 경우, 250 mM 황산암모늄 또는 300 mM 암모늄 시트레이트가 함유된 압출 리포솜을 1 mL/8.3 mL 베드 부피의 비율로 Sephadex G25 컬럼 (PD-10 컬럼, Cytiva)에 로딩하고 전도도가 < 50 μS/cm인 리포솜 용출 분획을 수집하여 캡슐화되지 않은 임의의 로딩 보조제를 제거함으로써, 9% w/v 덱스트로스로 완충액 교환했다.
소량 부피의 경우, 0.5-1 N 트리에틸아민-SOS, 또는 0.5-1 N 암모늄-SOS 또는 0.5-1 N 트리에탄올아민-SOS를 함유하는 압출 리포솜을 1 mL/10mL 베드 부피의 비율로 Sepharose CL4B 컬럼에 로딩하고 전도도가 < 20 μS/cm인 리포솜 용출 분획을 수집하여, 캡슐화되지 않은 임의의 로딩 보조제를 제거함으로써, 9-18% w/v 덱스트로스 (삼투압 균형을 맞추기 위한 로딩 보조제의 정상 여부에 따라 다름)로 완충액 교환했다.
더 큰 규모 부피의 경우, 250 mM 황산암모늄 또는 300 mM 암모늄 시트레이트, 또는 0.5-1 N 트리에틸아민-SOS, 또는 0.5-1 N 암모늄-SOS 또는 0.5-1 N 트리에탄올아민-SOS를 함유하는 압출 리포솜은 100 kDa MWCO Hydrosart PES 막을 사용한 접선 흐름 여과 (Sartorius Slice 200)를 사용하여 9-18% w/v 덱스트로스로 18회 부피 교환하여 완충액 교환했다.
C. 화합물 9의 리포솜으로의 캡슐화
로딩 보조제로서 250 mM 황산암모늄의 경우, 화합물 9를 20-100 mg/mL 농도로 DMSO에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제조된 리포솜에 적가하고 65℃로 가열하여 용액의 최종 약물 농도가 0.2 내지 0.8 mg/mL 범위가 되고 최종 D/L 비율이 0.1 내지 0.8 mol/mol 범위가 되도록 했다. 최종 DMSO 농도는 2 내지 30% 사이였다.
시료를 65℃에서 45분 동안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여 약물을 리포솜에 쉽게 로딩할 수 있도록 했다. 로딩 후 시료를 빙조에서 냉각했다.
D. 화합물 9-로딩된 리포솜의 정제
제형의 정제는 100-300k MWCO (Hydrosart, Sartorius) PES 막이 장착된 접선 흐름 여과 (Slice 200, Sartorius)를 사용하여 수행했다. 먼저 제형을 50 mL로 농축한 다음, 캡슐화되지 않은 약물을 제거하기 위해 로딩 절차 동안과 유사한 농도의 산성화 (0.01 M HCl 또는 MeSO3H) 덱스트로스를 12 내지 24회 부피 교환하여 정제했다. 그 후, 5% 덱스트로스를 12회 더 부피 교환하여 제형을 정제했다. 대안적으로, 리포솜 제형을 저온 보관해야 하는 경우 덱스트로스 대신 수크로오스를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형을 10 내지 20 mg/ml 지질로 농축하고, 수집하고 0.22 μm PES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했다.
실시예 3. 약물 및 지질 검정
다양한 약물을 함유하는 리포솜 제형을 실시예 1 및 2에 설명된 대로 제조했다. 지질 함량은 인지질 C 및 콜레스테롤 검정 키트 (Fujifilm)와 UV 분광기 (Cytation 5, BioTek Instruments Inc.)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약물 함량을 결정하기 위해 먼저 약물이 로딩된 리포솜을 70% 에탄올과 100 mM HCl을 함유하는 가용화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화합물 9 분말 및 동일한 가용화 혼합물을 사용하여 검정 곡선을 준비했다. 3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UV 분광기 (Cytation 5, BioTek Instruments Inc.)를 사용하여 약물을 검출했다.
약물 수율은 제형 정제 후의 약물 회수율 (즉, 지질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약물 수율 (%) = 약물 농도 최종 제형 / 대조군 내 약물 농도 * 100
대조군은 동일한 제형이었지만 정제하지 않은 것이다 (즉, 회수율 100%).
캡슐화 효율 (EE)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EE (%) = 최종 제형의 약물 대 지질 비율 / 대조군의 약물 대 지질 비율 * 100
예를 들어, 약물 대 지질 비율이 0.10 (대조군)이고 정제 후 최종 제형의 약물 대 지질 비율이 0.05인 경우 EE는 50%가 될 것이다 (0.05/0.1*100).
이러한 제형의 구성은 표 1에 제공된다. 이러한 지질의 특성 (예를 들어, 캡슐화 효율, 리포솜 크기)은 아래 표 2에 나와 있다.
실시예 4. 약물 로딩된 리포솜의 제형화 및 약동학 특성화
실험 설계
암컷 B6D2F1/J 마우스는 Jackson Laboratory에서 구입하여 연구 시작 7일 전에 적응시켰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마우스를 케이지당 3마리의 용량으로 오토클레이브 Allentown 통풍 케이지에 가두었다. 케이지를 격주로 교체했다. 케이지에 공급된 환경 농축물은 Envigo 7097 1/4" 옥수수 속대 베딩 위에 Bio-Serv의 투명 착색 폴리카보네이트 마우스 이글루인 Ancare의 Nestlets였다. 모든 농축액은 케이지를 오토클레이브 처리하기 전에 케이지에 첨가되었다. 마우스에게 Envigo Teklad Global Rodent Diet 2018을 공급하였다. 설치류 사료는 와이어 뚜껑의 호퍼에 보관하고 격주로 교체했다. 역삼투압 물은 Avidity Science 자동 급수 밸브를 통해 25 내지 50 ml/분의 유속으로 공급되었다. 조명의 환경 제어와 온도, 습도 및 공기 흐름 모니터링은 WatchDog에서 수행했다. 동물 수용실의 조명 주기는 12시간 켜짐과 12시간 소등으로 설정되었다. 온도, 습도 및 공기 흐름은 BCCRC 시설에서 유지 및 제어했다.
시험/대조 물품 보관
모든 시험/대조 물품 (TA/CA)은 바로 주입할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되었으며 2 내지 8℃에서 보관되었다.
용량 투여
마우스에 28G 바늘을 사용하여 개별 마우스 체중에 따라 정해진 용량 (10 mg/kg)을 동물에 투여하는 데 필요한 부피를 주입했다. 주사 부피는 200 μL/20 g 마우스였다. 정맥 주사하는 동안 마우스를 짧게 (30초 미만) 구속했다. 정맥의 확장은 동물을 1 내지 2분의 기간 동간 열 램프 아래에 두어 달성했다 (SOP-AF-018의 현 개정판).
데이터 수집
약동학 샘플링
마우스의 체중을 개별적으로 측정했다. 마우스에 시험 물품/대조 물품을 주사하고 연구 그룹 분류표에 따라 혈액을 채취했다. 혈액 채취를 위해 마우스를 이소플루란에 이어 CO2 흡입을 통해 안락사시켰다 (SOP-AF-042). 혈액은 심장 천자를 통해 채취했다 (SOP-AF-002의 현 개정판). 심장 천자의 경우, 마지막 호흡 시 마우스를 흡입실에서 제거하고 25G 바늘로 심장 천자를 통해 약 500 μL의 혈액을 채취하여 적절한 마이크로테이너 튜브(K2EDTA)에 넣었다. 시료를 1300g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한 다음 피펫팅하여 라벨이 부착된 바이알에 넣었다. 혈장을 -20℃에서 동결하고 남은 투여 물질은 시료가 배송될 때까지 약 4℃에서 보관했다.
약물 혈장 농도 결정
혈장 샘플을 산성화된 메탄올에 희석하고 격렬하게 와류시켰다. 그런 다음 혈장/메탄올 시료를 8℃에서 10분간 10000 rcf로 원심분리했다. 상층액을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완충액 및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구배를 실행하는 Phenomenex Synergi Fusion-RP 2.5 μm 50x3 mm 컬럼에 주입했다. 300 nm 파장의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를 사용하여 약물을 검출했다. 혈장 약물 농도는 1 내지 40 μg/mL 범위의 선형 보정 곡선에 대해 계산되었다.
리포솜 제형
본원에 기술된 약동학 연구에 사용된 모든 리포솜은 DPSC/콜레스테롤/PEG화 (56/38/5.6 mol%)로 구성되었으며, 실시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되었다.
실시예 5. 화합물 2 리포솜 제형의 혈장 안정성의 결정
혈장 안정성은 실시예 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집된 혈장에서 다양한 시점에 화합물 2의 농도를 측정하여 결정됐다. 모든 리포솜 제형은 실시예 1 내지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DSPC/콜레스테롤/PEG화 (56/38/5.6 mol%)를 포함했다. 제형 1 내지 4는 로딩 보조제로서 250 mM AS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제형 5는 로딩 보조제로 500 mM AS를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화합물 2를 2% DMSO를 사용하여 제형 1, 4 및 5의 리포솜에 로딩했다. 화합물 2는 10% DMSO를 사용하여 제형 2 및 3의 리포솜에 로딩했다.
도 1a는 유리 약물을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다양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2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2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종래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그리고 유리 약물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Merrimack"으로 표시된 제형은 WO 2017/12361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TEASOS (0.43 N)를 로딩 보조제로 사용하여 DMSO 없이 로딩된 DSPC/콜레스테롤/PEG화 (56/38/5.6 mol%)를 포함하는 리포솜으로 구성되었다.
실시예 6. 화합물 9 리포솜 제형의 혈장 안정성의 결정
혈장 안정성은 실시예 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집된 혈장에서 다양한 시점에 화합물 9의 농도를 측정하여 결정됐다. 모든 리포솜 제형은 실시예 1 내지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DSPC/콜레스테롤/PEG화 (56/38/5.6 mol%)를 포함했다. 제형 1은 로딩 보조제로 250 mM AS를 사용했다. 제형 2는 로딩 보조제로 500 mM AS를 사용했다. 제형 3은 로딩 보조제로 0.5 N TEASOS를 사용했다. 제형 4는 로딩 보조제로 0.5 N NH4SOS를 사용했다.
도 2a는 다양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9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9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종래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그리고 유리 약물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Merrimack"으로 표지된 제형은 WO 2017/123616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TEASOS (0.43 N)를 로딩 보조제로 사용하여 DMSO 없이 로딩된 DSPC/콜레스테롤/PEG화 (56/38/5.6 mol%)를 포함하는 리포솜을 포함한다.
실시예 7. 화합물 9의 혈소판 감소 활성에 대한 리포솜 캡슐화의 영향
실험 설계
암컷 B6D2F1/J 마우스는 Jackson Laboratory에서 구입하여 연구 시작 7일 전에 적응시켰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마우스를 케이지당 3마리의 용량으로 오토클레이브 Allentown 통풍 케이지에 가두었다. 케이지를 격주로 교체했다. 케이지에 공급된 환경 농축물은 Envigo 7097 1/4" 옥수수 속대 베딩 위에 Bio-Serv의 투명 착색 폴리카보네이트 마우스 이글루인 Ancare의 Nestlets였다. 모든 농축액은 케이지를 오토클레이브 처리하기 전에 케이지에 첨가되었다. 마우스에게 Envigo Teklad Global Rodent Diet 2018을 공급하였다. 설치류 사료는 와이어 뚜껑의 호퍼에 보관하고 격주로 교체했다. 역삼투압 물은 Avidity Science 자동 급수 밸브를 통해 25 내지 50 ml/분의 유속으로 공급되었다. 조명의 환경 제어와 온도, 습도 및 공기 흐름 모니터링은 WatchDog에서 수행했다. 동물 수용실의 조명 주기는 12시간 켜짐과 12시간 소등으로 설정되었다. 온도, 습도 및 공기 흐름은 BCCRC 시설에서 유지 및 제어했다.
시험/대조 물품 보관
모든 시험/대조 물품 (TA/CA)은 바로 주입할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되었으며 2 내지 8℃에서 보관되었다.
용량 투여
마우스에 28G 바늘을 사용하여 개별 마우스 체중에 따라 정해진 용량 (10 mg/kg)을 동물에 투여하는 데 필요한 부피를 주입했다. 주사 부피는 200 μL/20 g 마우스였다. 정맥 주사하는 동안 마우스를 짧게 (30초 미만) 구속했다. 정맥의 확장은 동물을 1 내지 2분의 기간 동간 열 램프 아래에 두어 달성했다 (SOP-AF-018의 현 개정판).
데이터 수집
혈액 채취
마우스의 체중을 측정하고 무작위로 연구 그룹에 배정했다. 복재 혈액 채취 동안 마우스를 팔콘 튜브 안에 가뒀다. 정맥의 확장은 동물을 1 내지 2분의 기간 동안 열 램프 아래에 두어 달성하였으며 다리를 면도하고 이소프로판올로 닦았다. 복재 정맥 위에 바셀린을 도포하고 차폐시켰다. 90도 각도로 25G 바늘을 사용하여 정맥을 관통하고 50 내지 75 μL의 혈액을 Microvette® CB 300 K2 EDTA 튜브에 채취한 후 EDTA 피펫 팁으로 8 내지 10회 혼합하여 혈전이 없는 것을 확인한 후 얼음 위에 두었다. 동물을 케이지로 돌려보내기 전에 정맥을 지혈하여 출혈을 멈췄다 (SOP-AF-001).
말단 혈액 채취를 위해 마우스를 이소플루란에 이어 CO2 흡입을 통해 안락사시켰다 (SOP-AF-042). 심장 천자를 통해 혈액을 채취했다 (SOP-AF-002의 현 개정판). 심장 천자의 경우, 마지막 호흡 시 마우스를 흡입실에서 제거하고 25G 바늘로 심장 천자를 통해 약 500 μL의 혈액을 채취하여 적절한 마이크로테이너 튜브 (K2EDTA)에 넣었다.
혈액학의 경우, 전혈을 K2 EDTA 튜브에 넣고 최소 8 내지 10회 정도 부드럽게 뒤집었다. 시료가 응고되지 않는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시료를 뒤집은 다음 얼음 위에 두었다. 시료는 채취 후 30분 이내에 완전 혈구 수 (CBC) 분석을 위해 보내졌다. 시료 채취 후 2시간 이내에 Element HT5에서 CBC 분석이 완료되었다. 시료는 중복으로 실행되었다. 20 μL의 전혈을 480 μL의 V-52 D 희석액으로 희석하고 3분간 휴지시킨 후 Element HT5에서 실행했다. 시료 실행에 대한 전체 지침은 작업 지침 "Element HT5 자동 혈액학 분석기"를 참조한다.
약물 혈장 농도 결정
혈장 시료를 산성화된 메탄올에 희석하고 격렬하게 와류시켰다. 그런 다음 혈장/메탄올 시료를 8℃에서 10분간 10000 rcf로 원심분리했다. 상층액을 1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 완충액 및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구배를 실행하는 Phenomenex Synergi Fusion-RP 2.5 μm 50x3 mm 컬럼에 주입했다. 300 nm 파장의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를 사용하여 약물을 검출했다. 혈장 약물 농도는 1 내지 40 μg/mL 범위의 선형 보정 곡선에 대해 계산되었다.
리포솜 제형
본원에 기술된 약동학 연구에 사용된 모든 리포솜은 DSPC/콜레스테롤/PEG화(56/38/5.6 mol%) 및 화합물 9로 구성되었으며, 실시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되었다.
도 3a는 다양한 용량의 유리 약물 또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량의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평균 혈소판 수의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3b는 다양한 용량의 유리 약물 또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량의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4a는 다양한 용량의 유리 화합물 9를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4b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다양한 용량으로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실시예 8. 약물 체류에 대한 리포솜 조성물의 효과
실험 설계
DHSM: 콜레스테롤: PEG 53:45:2 (0.1 약물: 지질 비율)를 포함하는 리포솜은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DMSO 로딩 보조제를 사용하여 생성되었으며 90% 초과의 캡슐화 효율을 보였다. 리포솜 DSPC: 콜레스테롤: PEG 57:38:5.6 (0.1 약물: 지질 비율)도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DMSO 로딩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되었으며 90% 초과의 캡슐화 효율을 보였다. 약동학 및 약물 체류 연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되었다. DHSM: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 PEG: 1,2-디스테아로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 (에틸렌 글리콜-2000) (DSG-PEG2000 및 PEG (2000)-디스테아로일글리세롤로도 알려짐)
도 5a는 다양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9 (Bcl-22B)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다양한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9 (Bcl-22B)의 약물 대 지질 비율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9. 혈소판 감소증에 대한 리포솜 PEG의 영향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리포솜을 만들었다. 다양한 리포솜 조성은 다음과 같다: DSPC/Chol/베타-시토스테롤/5.6%PEG-DSG; DSPC/Chol/2%PEG-DMG, DSPC/Chol/5.6%PEG-DSG, EPC/Chol/5.6%PEG-DSG 및 DSPC/Chol/5.6% PEG-DSG/TEASOS. 화합물 9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리포솜에 로딩되었다.
도 6a는 상이한 지질 조성의 리포솜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투여한 후 시간에 따른 혈소판 수의 정규화 변화를 비교한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포솜에 함유된 PEG-DSG의 양을 줄이면 혈소판 수의 감소가 줄어든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포솜에 함유된 PEG-DMG의 양을 줄이면 혈소판 수의 감소가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도 6d의 그래프는 1% PEG-DMG를 함유한 리포솜이 1% PEG-DSG를 함유한 리포솜보다 더 많은 양의 혈소판 감소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6e의 그래프는 0.5% PEG-DSG를 함유한 리포솜과 0.5% PEG-DMG를 함유한 리포솜은 비슷한 혈소판 감소를 가져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10. 혈소판 보호에 대한 유리체와 리포솜 BCL 억제제의 비교
저용량 황산 암모늄 (LAS) 및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을 포함하는 다양한 로딩 보조제를 사용하여 리포솜을 생성하고, 화합물 2 (11B), 화합물 7 (11G), 또는 화합물 9 (22B)로 로딩하였다. 혈소판 보호 연구는 이러한 리포솜 제형의 효과를 상응하는 유리 약물 (FD)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도 7a 내지 7g에서, 다음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용량의 황산 암모늄 (LAS) 또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1 mg/kg 투여한 경우 0.1 mg/kg 유리 약물 (FD)에 비해 10배 초과의 혈소판 보호량을 제공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용량의 황산 암모늄 (LAS) 또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2 mg/kg 투여한 경우 0.2 mg/kg 유리 약물 (FD)에 비해 10배 초과의 혈소판 보호량을 제공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용량의 황산 암모늄 (LAS) 또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을 3 mg/kg 투여한 경우 0.3 mg/kg 유리 약물에 비해 10배 초과의 혈소판 보호량을 제공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용량의 황산 암모늄 (LAS) 또는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9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은 유리 약물에 비해 약 20배 초과의 혈소판 보호를 나타냈다.
도 7e의 그래프는 DHSM: 콜레스테롤: PEG 53:45:2 및 화합물 9 ("22B") (0.1 약물: 지질 비율)를 포함하는 리포솜을 3 mg/kg 투여한 경우, DSPC: 콜레스테롤: PEG 57:38:5.6 및 화합물 9 ("22B") (0.1 약물: 지질 비율)를 포함하는 리포솜을 3 mg/kg으로 투여한 경우에 비해 우수한 혈소판 보호를 입증한다.
도 7f는 화합물 7이 테스트 용량에서 내약성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도 7g는 DSPC를 함유하는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화합물 2를 포함하는 리포솜 제형이 우수한 혈소판 보호 효과를 나타냄을 보여준다.
실시예 11. 화합물 7 리포솜 제형의 혈장 안정성에 대한 산 세척 정제의 영향
혈장 안정성은 실시예 4에 설명된 바와 같이 수집된 혈장에서 다양한 시점에 화합물 7의 농도를 측정하여 결정됐다. 두 리포솜 제형 모두 실시예 1A 및 1B에 설명된 바와 같이 DSPC/콜레스테롤/PEG화 (59/39/2 mol%)를 포함했다. 로딩 보조제는 500 mM AS였고, 두 리포솜 제형 모두에서 D/L 비율은 0.4였다.
산 세척 제형은 일반적으로 실시예 1A 및 1B에 설명된 절차에 따라 본원에 설명된 특정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정제되었다. 제형의 정제는 100-300k MWCO (Hydrosart, Sartorius) PES 막이 장착된 접선 흐름 여과 (Slice 200, Sartorius)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제형을 50 mL로 농축한 다음, 10 mM 메탄설폰산을 5 wt% 덱스트로스 수용액에 12회 부피 교환하여 정제했다. 그 후, 5% 덱스트로스를 추가로 12회 부피 교환하여 제형을 정제했다. 마지막으로, 제형을 10 내지 20 mg/ml 지질로 농축하고 수집하고 0.22 μm PES 주사기 필터를 통해 여과했다.
무산 세척 제형은 100-300k MWCO (Hydrosart, Sartorius) PES 막이 장착된 접선 흐름 여과 (Slice 200, Sartorius)를 사용하여 정제했다. 먼저 제형을 50 mL로 농축한 다음 5% 덱스트로스를 12회 부피 교환하여 정제하고, 지질을 10-20 mg/ml로 농축한 다음 0.22 μm PES 주사기 필터를 통해 수집 및 여과했다.
도 8은 산 세척 단계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제조된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리포솜 제형을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화합물 7의 정규화된 혈장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8은 산 세척 정제 단계가 있는 리포솜이 산 세척 정제 단계가 없는 리포솜에 비해 우수한 약동학적 특성 (예컨대, 화합물 7의 서방출)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 세척 정제 단계가 없는 리포솜은 제1 기간에 50% 초과의 약물 손실로 인해 약물의 폭발적 방출이 발생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산으로 사전 세척한 리포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약물 방출이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48)

  1. 리포솜을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로서, 리포솜은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를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지질이 중합체 접합 지질인, 리포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지질이 1,2-디스테아로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1,2-디미리스토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1,2-디팔미토일-rac-글리세로-3-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로-3-포스포에탄올아민-폴리(에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리포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지질이 DSG-PEG2000인, 리포솜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질 이중층이 제2 지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제2 지질이 인지질인, 리포솜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2 지질이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 또는 디하이드로스핑고미엘린 (DHSM)인, 리포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제1 지질이 제1 인지질인, 리포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지질이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콜린 (DSPC)인, 리포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제2 지질이 제2 인지질인, 리포솜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지질이 디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DSPG)인, 리포솜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매질은 수성 내부 매질인, 리포솜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수성 내부 매질이 산성의 수성 내부 매질인, 리포솜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매질이 추가 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추가 용매가 유기 용매인, 리포솜 조성물.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추가 용매가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인, 리포솜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로딩 보조제가 이온성 로딩 보조제인, 리포솜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로딩 보조제가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탄올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OH)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암모늄 시트레이트,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일부 실시양태에서 (TEASOS),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인, 리포솜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로딩 보조제가 황산 암모늄 (AS)인, 리포솜 조성물.
  20.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로딩 보조제가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인, 리포솜 조성물.
  21.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매질이 제2 로딩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
  22. 제21항에 있어서, 제2 로딩 보조제가 이온성 로딩 보조제인, 리포솜 조성물.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제2 로딩 보조제가 황산 암모늄 (AS), 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NH4SOS),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 트리에틸암모늄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TEASOS), 및 나트륨 시트레이트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리포솜 조성물.
  24. 제21항 내지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로딩 보조제는 칼륨 수크로오스 옥타설페이트 (KSOS)이고, 제2 로딩 보조제는 나트륨 시트레이트인, 리포솜 조성물.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스테롤이 콜레스테롤 또는 베타-시토스테롤인, 리포솜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cl 억제제가 Bcl-2 억제제인, 리포솜 조성물.
  27.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cl 억제제가 Bcl-XL 억제제인, 리포솜 조성물.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cl 억제제가 Bcl-2/Bcl-XL 이중 억제제인, 리포솜 조성물.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cl 억제제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며, 여기서:
    V는또는이고;
    W는 H 또는 이고;
    X는 또는 이고;
    Y는 -NO2 또는 -SO2CF3 이고;
    Z는 , 및 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리포솜 조성물.
  30.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cl 억제제가


    베네토클락스 (ABT-199), 나비토클락스 (ABT-263), 오바토클락스 메실레이트 (GX15-070), 사부토클락스, TW-37, (R)-(-)-고시폴 아세트산, HA14-1, BH3-모방체, 및 오블리메르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리포솜 조성물.
  31. 제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리포솜 조성물.
  32. 제31항에 있어서, 추가 치료제가 리포솜에 캡슐화된, 리포솜 조성물.
  33. 제32항에 있어서, 추가 치료제가 -6에서 12 사이의 cLogP를 갖는, 리포솜 조성물.
  34. 제32항에 있어서, 추가 치료제가 양성자화될 수 있고, 양성자화된 형태는 약 -6에서 약 12 사이의 pKa를 갖는, 리포솜 조성물.
  35. 제32항에 있어서, 추가 치료제가 항종양제인, 리포솜 조성물.
  36. 제32항에 있어서, 추가 치료제가 알킬화제, 항혈관생성제, 항대사제, 세포사멸 유도제, 세포주기 억제제, 세포주기 조절 억제제, 체크포인트 억제제, 사이클린 의존성 키나제 억제제, 세포 독성제, DNA 손상제, DNA 복구 억제제, 미토콘드리아 독,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텔로머라제 억제제, 신호 전달 억제제, 전사 억제제, Bcl 억제제, PARP 억제제, PI3K 억제제, HSP90 억제제, JAK 억제제, ATR 억제제, HDAC 억제제,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수용체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 BTK 억제제, 알킬화제, SMO 억제제, 항투불린제, MEK 억제제,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RAF 억제제, BRAF 억제제, 또는 프로테아좀 억제제 중에서 선택되는, 리포솜 조성물.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포솜이 약 50 nm에서 약 250 nm 사이의 평균 직경을 갖는, 리포솜 조성물.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리포솜이 담체 매질에 현탁되는, 리포솜 조성물.
  39. 제38항에 있어서, 담체 매질이 덱스트로스 수용액인, 리포솜 조성물.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포솜 조성물이 약 0.001에서 0.5 사이의 다분산 지수 (PDI)를 갖는, 리포솜 조성물.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솜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리포솜 외부에 있는 치료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2.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솜 조성물, 또는 제41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를 전달하는 방법.
  43. 과증식성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솜 조성물, 또는 제41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과증식성 장애가 혈액암인,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혈액암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골수 증식성 신생물 (MPN) 및 림프종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혈액암이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또는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인, 방법.
  47. 치료적 유효량의 Bcl 억제제 투여와 관련된 혈소판 감소증의 발생 또는 중증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솜 조성물, 또는 제41항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리포솜 조성물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의 발생 또는 중증도는 비리포솜 형태로 Bcl 억제제를 투여함으로써 발생하는 혈소판 감소증의 발생 또는 중증도보다 적고;
    리포솜 조성물 내의 Bcl 억제제의 총량은 비리포솜 형태로 투여될 때의 Bcl 억제제의 치료적 유효량과 동일한, 방법.
  48. 리포솜으로서,
    (a) 제1 지질 및 제1 스테롤을 포함하는 지질 이중층;
    (b) 제1 로딩 보조제를 포함하는 내부 매질; 및
    (c) 상기 리포솜의 내부 매질에 캡슐화된 Bcl 억제제
    를 포함하는, 리포솜.
KR1020247004242A 2021-07-16 2022-07-15 Bcl 억제제의 리포솜 제형 KR202400372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22887P 2021-07-16 2021-07-16
US63/222,887 2021-07-16
PCT/US2022/037371 WO2023288100A1 (en) 2021-07-16 2022-07-15 Liposomal formulations of bcl inhib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264A true KR20240037264A (ko) 2024-03-21

Family

ID=84829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4242A KR20240037264A (ko) 2021-07-16 2022-07-15 Bcl 억제제의 리포솜 제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40037264A (ko)
CN (1) CN117897139A (ko)
AU (1) AU2022312484A1 (ko)
CA (1) CA3175913A1 (ko)
IL (1) IL31015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175913A1 (en) 2023-01-16
AU2022312484A1 (en) 2024-02-15
IL310159A (en) 2024-03-01
CN117897139A (zh)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1039B2 (ja) 肺疾患の処置に使用するための吸入可能なリポソーム徐放性組成物
AU2017350499B2 (en) Liposomal formula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ES2333400T3 (es) Composiciones y procedimientos para tratar linfonas.
JPWO2005117878A1 (ja) イリノテカン製剤
US20240041769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anticancer agents with improved therapeutic index
US20230172856A1 (en) Liposome formulations for treatment of cancers and drug resistance of cancers
WO2004052294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ed to lipid:emodin formulations
US20230059528A1 (en) Liposomal formulations of bcl inhibitors
KR20240037264A (ko) Bcl 억제제의 리포솜 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