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284A -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284A
KR20240036284A KR1020220114907A KR20220114907A KR20240036284A KR 20240036284 A KR20240036284 A KR 20240036284A KR 1020220114907 A KR1020220114907 A KR 1020220114907A KR 20220114907 A KR20220114907 A KR 20220114907A KR 20240036284 A KR20240036284 A KR 20240036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fference
test
electronic device
man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인링 리우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4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284A/en
Priority to PCT/KR2022/014046 priority patent/WO2024058297A1/en
Publication of KR20240036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2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F11/3072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 G06F11/307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the data filtering being achieved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among the monitored data, e.g. ensuring that the monitored data belong to the same timeframe, to the same system or compon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5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if the computing system is on, off, available, not avai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88Test management for test execution, e.g. scheduling of test sui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68Software testing
    • G06F11/3672Test management
    • G06F11/3692Test management for test results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정보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정보 관리 방법은, 오토 디노이즈(auto-denoise) 처리와 관련하여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설정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제1 테스트 정보, 제2 테스트 정보 및 타겟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is disclosed. Th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the setting state is ON or OFF in relation to auto-denoise processing; When the setting state is ON, checking first test information, second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Confirming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Confirming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and extracting information that satisfies a set condition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Figure P1020220114907
Figure P1020220114907

Description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Electronic device and it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오토 디노이즈 처리와 관련된 설정 상태가 온(ON) 상태일 경우 서로 다른 시간에 대응하는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태깅하고, 제1 테스트 정보와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에서 태깅된 정보를 제외하도록 처리하는 전자 장치에서 수행하는 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confirms information that changes dynamically with tim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first test information and second te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ifferent times when the setting state related to auto denoise processing is ON. This relates to a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performed in an electronic device that tags and processes the tagged information to exclude it from the difference between first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소비자는 자신의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아이템을 검색하여 구매할 수 있고, 이에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들은 고유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각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온라인을 이용하는 아이템 구매율은 점차 증가추세에 있다. Consumers can search for and purchase items using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ir devices, and each service provider manages its own applications. Consumers can purchase items online using applications provided by each service provider, and the rate of purchasing items online is gradually increasing.

이러한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는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소비자들이 구매를 결정할 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서비스 제공자들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여러가지로 테스트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의도적으로 일부 변경하여 소비자들의 반응을 테스트할 수 있고, 테스트 결과 소비자들의 반응이 좋은 경우 이를 반영할 수 있다. In this online e-commerce market, efficiently providing item-related information is an important factor when consumers make purchasing decisions. Accordingly, service providers are testing various ways to provide information in applications. For example, administrators who manage applications can test consumers' reactions by intentionally changing some of the ways to provide information, and if the test results show positive responses from consumers, they can reflect this.

이때,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일부 변경한 정보 외에도 다른 의도하지 않은 변경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이중에서 어떠한 변경된 정보가 의도적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면, 관리자는 체크 결과를 고려하여 보다 편리하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관리자들의 편의성을 개선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At this time, if, in addition to some information intentionally changed by the administrator, other unintentionally changed information is included, and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ny of the changed information was intentional, the administrator may consider the check results and use the application more conveniently. You can manage the information provid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echnology tha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administrators who manage applications.

개시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 및 그의 정보 관리 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disclose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thereof. The technical challenges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can be inferred from the following embodiments.

제1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정보 관리 방법은, 오토 디노이즈(auto-denoise) 처리와 관련하여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설정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제1 테스트 정보, 제2 테스트 정보 및 타겟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a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checking a setting state of whether it is on or off with respect to auto-denoise processing; When the setting state is ON, checking first test information, second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Confirming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Confirming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and extracting information that satisfies a set condition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이 정보와 함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상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racting step may include extracting information that satisfies the set condition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by considering information set by an administrator along with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상기 제1 차이 정보 및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racting step may include extracting information excludi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에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checki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detecting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a different order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순서가 다른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테스트 정보를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ecting step may include rearranging the second test information based on a rul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in a different order when there is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in a different order. .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규칙에 기반하여 재정렬된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rearranging step may include checking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rearranged based on the rule.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없는 경우,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테스트 정보를 재정렬하지 않고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checking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ncludes, if there is no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a different order,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without rearranging the second test information based on a rule. It may include the step of checking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규칙을 고려하여 재정렬된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of checking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may include checking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re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rule. You can.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이 정보 및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제2 차이 정보 간의 공통된 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타입을 고려하여 태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extracting step includes tagging comm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in consideration of a preset type. can do.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태깅된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타입을 고려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ep may include processing information tagged i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t type.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서로 다른 시간에 입력된 정보에 각 대응하는 응답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may b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to the application at different times.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설정 상태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테스트 정보 및 상기 타겟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tting state is OFF, checking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And it may include checking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xtracting information excluding information set by an administrator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제2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및 오토 디노이즈(auto-denoise) 처리와 관련하여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제1 테스트 정보, 제2 테스트 정보 및 타겟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차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Memory; And in relation to auto-denoise processing, check whether the setting state is ON or OFF, and if the setting state is ON, first test information, second test information, Check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check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controller that checks the generated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nd extracts information that satisfies a set condition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제3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적 기록매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on a computer is recorded.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개시에 따르면, 관리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중에서 의도적으로 일부를 변경하여 테스트할 수 있고, 테스트에 따른 결과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비교를 통해 시간에 동적으로 변경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제1 테스트 정보와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에서 이를 제외한 정보에 기반하여 테스트에 따른 결과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반영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테스트에 따른 결과가 의도하지 않은 사항일 경우, 관리자는 정보를 일부 수정하여 다시 테스트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중에서 변경된 사항이 있는 경우, 이중에서 어떠한 변경된 사항이 관리자가 의도와 달리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정보를 자동으로 체크할 수 있고 관리자는 체크 결과를 고려하여 보다 편리하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 administrator can intentionally change and test some of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and check whether the results of the test are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In other words, information that changes dynamically over time can be confirmed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nd the results of the test are obta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excluding thi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You can check whether it is reflected through the application. If the results of the test are unintended, the administrator can modify some of the information and test again. Therefore, if there is a change among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the administrator can automatically check which information has changed dynamically over time, contrary to the administrator's intention, and the administrator can consider the check results to provide more convenience. You can manage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종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sortable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정보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shows a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manage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is a diagram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final val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is a diagram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sortable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7 show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relevant descrip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disclosure,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Additionally,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b,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s ‘a alone’, ‘b alone’, ‘c alone’, ‘a and b’, ‘a and c’, ‘b and c ', or 'all a, b, c'.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mentioned below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that can connect to a server or oth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laptop, desktop, laptop, etc.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 all types of communication-based terminals such as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LTE (Long Term Evolution), smartphones, tablet PCs, etc. It may include a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m.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나타낸다. 1 shows a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전자 장치(10), 단말 1(20), 단말 2(30) 및 네트워크(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고, 소비자는 단말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아이템과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고 이를 구매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system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10, terminal 1 (20), terminal 2 (30), and a network 40. The electronic device 10 may provide an application contain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item, and a consumer may access the application using a terminal to check information related to the item and purchase it.

이때, 단말 1(20)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단말에 대응할 수 있으며, 단말 2(30)은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아이템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단말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단말 1(20) 및 단말 2(30)는 일례에 불과하고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erminal 1 (20)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used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application, and terminal 2 (30)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used by a consumer who accesses the application and purchases an item. At this time, terminal 1 (20) and terminal 2 (30) are only examples and the scope of rights of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system shown in FIG. 1 shows only components related to this embodiment.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전자 장치(10)와 단말 1(20) 및 단말 2(30)은 네트워크(40) 내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40)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lectronic device 10, terminal 1 (20), and terminal 2 (3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in the network 40. The network 40 include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ir respective networks. It is a comprehensive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ncludes a combination and allows each network constituent shown in FIG. 1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each other, and may include wired Internet, wireless Internet, an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s include, for example, wireless LAN (Wi-Fi), Bluetooth, Bluetooth low energy, ZigBee, WFD (Wi-Fi Direct), UWB (ultra wideband), and infrared communicatio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실시 예에 따르면, 관리자는 단말 1(20)을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검색어에 따라 표시되는 검색 결과 리스트라도 관리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다. 소비자는 단말 2(30)을 이용하여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anager can manage information about items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using terminal 1 (20).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can perform various tests to efficiently provide information about items through the application. For example, even a search result list displayed according to the same search term may be displayed in various ways by the administrator. The consumer can use terminal 2 (30) to check information managed by the manager through the application.

이때, 관리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중에서 의도적으로 일부를 수정하여 테스트할 수 있고, 테스트에 따른 결과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테스트에 따른 결과가 애플리케이션에 반영되지 않은 경우, 관리자는 이를 다시 수정하여 테스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dministrator can intentionally modify and test some of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and check whether the results of the test are displayed through the application. If the results of the test are not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the administrator can modify and test it again.

만약, 관리자의 수정 외에도 다른 수정이 감지된 경우, 이중에서 어떠한 수정이 관리자의 의도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면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관리자의 수정 외에 다른 수정을 노이즈로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If other modifications are detected in addition to the administrator's modification, the convenience of the administrator managing the application can be improved if it is possible to check which of the modifications was the administrator's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electronic device can automatically process modifications other than the administrator's modifications as noise.

따라서, 전자 장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중에서 수정 사항이 있는 경우, 이중에서 어떠한 수정이 관리자가 의도한 것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관리자는 체크 결과를 고려하여 보다 편리하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re is a modification among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whether any of the modifications were intended by the administrator, and the administrator considers the check results to more conveniently provide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You can manage information.

이하, 전자 장치(10)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관리하는 구체적인 과정을 기재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process by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0 manages information provided to consumers through an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정보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n electronic device manage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오토 디노이즈(auto-denoise) 처리와 관련하여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오토 디노이즈 처리가 온(ON) 상태일 경우와 오프(OFF) 상태일 경우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the setting status related to auto-denoise processing. An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different operations when auto denoise processing is in an ON state and when it is in an OFF state.

실시 예에 따르면, 오토 디노이즈 처리가 온(ON)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는 동작 1(S230)에 따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오토 디노이즈 처리가 온(ON)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는 관리자가 의도하지 않은 수정을 자동으로 노이즈로 처리하여 이를 제거하고, 관리자가 의도한 수정을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서 의도적으로 수정한 내용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auto denoise processing is in the ON state,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the process according to operation 1 (S230). When the auto denoise processing is in the ON state, the electronic device can automatically process and remove modifications that the administrator did not intend as noise, and detect and display modifications that the administrator intended. Therefore, administrators can more conveniently manage whether intentional changes are reflected in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전자 장치는 타겟 정보(S231), 제1 테스트 정보(S232) 및 제2 테스트 정보(S233)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테스트 정보(S232)는 관리자가 의도한 수정이 반영되기 전,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이다. 즉, 관리자가 의도한 수정이 애플리케이션에 반영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이다. 예를 들면, 검색 결과 리스트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관리자의 의도한 수정이 반영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검색어 A에 따라 응답 정보로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 리스트에 아이템 1, 아이템 2, 아이템 3 ~ 순서로 포함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target information (S231),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Here,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before the modification intended by the administrator is reflected. In other words, it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before the administrator's intended modification is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For example, before the administrator's intended modific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arch result list is reflected, the search result list provided a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arch term A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includes Item 1, Item 2, and Item 3 ~ May be included in any order.

또한, 제2 테스트 정보(S233)는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비교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제2 테스트 정보(S233) 또한 관리자가 의도한 수정이 반영되기 전,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1 시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인 제1 테스트 정보와 비교하여, 제2 테스트 정보는 제1 시간과 서로 다른 제2 시간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제1 시간에 입력된 정보와 제2 시간에 입력된 정보는 동일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검색어 A에 따라 응답 정보로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 리스트는 제1 테스트 정보이고, 제1 시간과 다른 제2 시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검색어 A에 따라 응답 정보로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 리스트는 제2 테스트 정보이다. Additionally,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may b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at a different time compared to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t this time,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is also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before the modification intended by the administrator is reflected. For example, compared to first test information, which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to the application at a first time, the second test information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at a second time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It can b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input at the first time and the information input at the second time may be the same information. For example, a search result list provided a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arch word A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at a first time is first test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arch word A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at a second time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The search result list provided as is second test information.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제2 테스트 정보(S233)은 서로 다른 시간에 동일한 입력에 대한 응답 정보이지만, 관리자의 의도와 관계 없이 시간 별로 동적으로 변하는 정보(예컨대, 광고)가 반영되어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제2 테스트 정보(S233)는 완전 동일하지 않고 일부 차이가 검출될 수도 있다.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ar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same input at different times, but the first test information (e.g., advertisement) is reflected in information that changes dynamically by time regardless of the administrator's intention. The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are not completely identical and some differences may be detected.

또한, 타겟 정보(S231)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관리자의 수정이 반영된 이후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이다. 즉, 타겟 정보(S231)는 관리자에 의해 수정된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에 반영된 상황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자에 의해 검색어 A에 따른 검색 결과 리스트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일부가 수정된 이후에, 애플리케이션에 검색어 A가 입력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리스트가 타겟 정보(S231)일 수 있다. 타겟 정보(S231)은 관리자에 의해 수정된 정보와 시간 별로 동적으로 변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정보(S231)에서 관리자의 의도와 관계 없이 시간 별로 동적으로 변하는 정보를 노이즈로 처리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Additionally, the target information (S231)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after the administrator's modifications to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are reflected. That is, the target information (S231) may b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to the application in a situation where information modified by the administrator is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search word A is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after som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list according to search word A is modified by the administrator, the corresponding search result list may be target information (S231). The target information (S231) may include both information modified by the administrator and information that changes dynamically over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ss and remove information that changes dynamically over time from the target information (S231) as noise, regardless of the manager's intention.

전자 장치는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제2 테스트 정보(S233) 사이의 차이를 검출하는 doDiff(S234)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제1 차이 정보(S235)를 검출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a doDiff(S234) operation to det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and detect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based on this. .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제2 테스트 정보(S233)은 관리자의 수정이 반영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에 서로 다른 시간에 입력된 정보에 따른 응답 정보로서, 시간 차이에 기반하여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제2 테스트 정보(S233)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시간에 입력된 정보와 제2 시간에 입력된 정보는 동일한 정보이지만, 시간 차이로 인하여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제2 테스트 정보(S233) 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이러한 차이를 검출하여 제1 차이 정보(S235)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차이 정보(S235)는 시간 별로 동적으로 변하는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1 차이 정보(S235)에 기반하여 관리자의 수정이 반영되기 전에 시간 별로 동적으로 변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are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at different times before the administrator's modification is reflected, and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is based on the time difference. A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Although the information entered at the first time and the information entered at the second time are the same information, a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due to the time difference, and the electronic device may have this The difference can be detected and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can be output. This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can correspond to information that changes dynamically over time.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information that changes dynamically over time before the manager's modification is reflected based on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예를 들면, 검색어 A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 노출되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의 경우, 시간 별로 서로 다른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동일한 입력인 검색어 A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페이지에 포함되는 광고의 경우 관리자의 의도와 관계 없이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차이 정보(S235)는 이러한 검색 결과 페이지에 포함되는 내용 중에서 시간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area where advertisements are displayed on a search results page displayed in an application according to search term A, different content may be displayed depending on the time. In the case of advertisements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s page corresponding to the same input, search term A, different content may be displayed over time regardless of the administrator's intention.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may correspond to advertising content that dynamically changes over time among the content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page.

다른 예를 들면, 검색어 A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필터링(예컨대, 판매량 또는 검색 순위)에 따른 검색 결과 리스트를 표시할 경우, 시간 별로 판매량 또는 검색 순위는 변경될 수 있어 동일한 검색어 A라도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제2 테스트 정보(S233)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테스트 정보(S232)는 검색어 A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판매량 순위에 따른 아이템 1, 아이템 3, 아이템 2, 아이템 4 ~ 순서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포함하지만, 제2 테스트 정보는 검색어 A에 대응하는 복수의 아이템들 중에서 판매량 순위가 변경되어 아이템 1, 아이템 3, 아이템 4, 아이템 2 ~ 순서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이러한 검색 결과 리스트의 차이를 검출하여 제1 차이 정보(S235)를 생성할 수 있다. For another example, when displaying a list of search results according to filtering (e.g., sales volume or search ranking) among a plurality of items corresponding to search word A, the sales volume or search ranking may change over time, so even the same search word A is not guaranteed. There may b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For example,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includes a list of search results in the order of Item 1, Item 3, Item 2, and Item 4 according to sales volume ranking among a plurality of items corresponding to the search term A, but the second test The information may include a list of search results in the order of Item 1, Item 3, Item 4, and Item 2, with the sales ranking changed among the plurality of items corresponding to the search word A. Th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differences in the search result list and generat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전자 장치는 sortable(S236) 동작을 통해 제1 테스트 정보(S232)과 제2 테스트 정보(S233) 사이에서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변경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템 1, 아이템 3, 아이템 2, 아이템 4 ~ 순서의 검색 결과 리스트와 아이템 1, 아이템 3, 아이템 4, 아이템 2 ~ 순서의 검색 결과 리스트를 비교하면, 아이템 2와 아이템 4는 동일한 값이지만 시간에 따라 표시되는 순서가 다른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관리자가 의도하지 않은 것으로서, 관리자의 의도가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만 다른 정보를 재정렬하여, 노이즈 없이 관리자의 의도가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정확히 체크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a changed order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through the sortable (S236) operation. For example, when comparing the search result list in the order Item 1, Item 3, Item 2, Item 4 and the search result list in the order Item 1, Item 3, Item 4, Item 2, Item 2 and Item 4 are the same. Although it is a value, it may be information that appears in a different order depending on time. This information was not intended by the administrator and may act as noise in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administrator's intention was reflected.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rearrange information of the same value but in a different order and accurately check whether the manager's intention is reflected without noise.

이때,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를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제2 테스트 정보를 재정렬(S237)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제2 테스트 정보에서 아이템 2와 아이템 4 간의 순서를 재정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재정렬된 제2 테스트 정보와 제1 테스트 정보 사이 doDiff(S234)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제1 차이 정보(S235)를 검출할 수 있고, 제1 차이 정보에서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변경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re is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in a different order, the electronic device may rearrange the second test information based on a rule set for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in a different order (S237).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rearrange the order between item 2 and item 4 in the second test informa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by re-performing the doDiff (S234) operation between the rearranged second test information and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with a changed order in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You can check again whether it exists or not.

Sortable(S236) 동작에서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없다고 확인된 경우에, 전자 장치는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타겟 정보(S231) 사이 doDiff(S238) 동작을 수행하여 제2 차이 정보(S239)를 검출할 수 있다. When it is confirmed in the Sortable (S236) operation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different order, the electronic device performs a doDiff (S238) operation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target information (S231) to obtain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 S239) can be detected.

이때, 앞서 설명한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재정렬(S237) 동작을 수행한 경우 전자 장치는 설정된 규칙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는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타겟 정보(S231)을 재정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정된 규칙은 제2 테스트 정보(S233)에서 재정렬된 데이터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며, 전자 장치는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타겟 정보(S231)에서 대응하는 정보를 재정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재정렬된 타겟 정보(S231)와 제1 테스트 정보(S232) 사이에 doDiff(S238) 동작을 수행하여 제2 차이 정보(S239)를 검출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reordering (S237) oper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set rule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 can store the set rule, and the electronic device can realign the target information (S231) based on the set rule. Specifically, the set rule corresponds to information about data rearranged in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and the electronic device can rearrang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 the target information (S231) based on the set rule. Th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9) by performing a doDiff (S238) operation between the rearranged target information (S231) and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만약,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재정렬(S237)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타겟 정보(S231)을 재정렬하지 않고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doDiff(S238) 동작을 수행하여 제2 차이 정보(S239)를 검출할 수 있다. If the realignment (S237) operation is not performed based on the set rule,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realign the target information (S231) and performs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doDiff (S238) operation to generate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8). S239) can be detected.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S239)에서 제1 차이 정보(S235) 및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최종값(S240)으로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차이 정보(S239)에서 제2 차이 정보(S239)와 제1 차이 정보(S235) 사이 공통되는 정보와 관리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정보를 제외하고 남은 정보를 최종값(S240)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차이 정보(S235)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X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는 제1 차이 정보(S235)와 제2 차이 정보(S239) 간의 공통된 정보이고, 제2 차이 정보(S239)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Y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는 제2 차이 정보(S239)와 관리자의 의해 설정된 정보 간의 공통된 정보이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S239)에서 X 영역 및 Y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외하고 남은 정보를 최종값(S240)으로 추출할 수 있다.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 다른 도면에서 자세히 기재한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extract information excludi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and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9) as the final value (S240). Specifically, excluding information common betwee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9) and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i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9) and information preset by the manager, the remaining information is set to the final value (S240). It can be extracted. For example, amo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X area is comm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and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9), and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9) Among the information included,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Y area is comm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9) and the information set by the administrator.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exclude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X area and the Y area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9) and extract the remaining information as the final value (S240). More specific details in this regard are described in detail in other drawings below.

전자 장치는 최종값(S240)을 통해 확인된 정보에 기반하여, 관리자의 의도가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가 의도적으로 수정한 정보에 대응하여 출력되는 정보에서 일부 정보를 제외하고 남은 정보인 최종값(S240)을 통해, 전자 장치는 관리자의 의도가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노이즈 없이 정확히 체크할 수 있다. 만약, 의도가 반영되지 않은 경우 관리자는 이를 반영하여 다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관련하여 프로그램 코드를 수정할 수 있다. 또는, 의도가 반영된 경우 관리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와 관련하여 프로그램 코드를 수정하지 않을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whether the manager's intention has been reflected based on the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final value (S240). Through the final value (S240), which is the remaining information after excluding some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output in response to information intentionally modified by the manager, the electronic device can accurately check without noise whether the manager's intention has been reflected. If the intention is not reflected, the administrator can reflect this and modify the program code in rel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Alternatively, if the intention is reflected, the administrator may not modify the program code in rel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오토 디노이즈 처리가 오프(OFF)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는 동작 2(S250)에 따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타겟 정보(S251)과 제1 테스트 정보(S252)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타겟 정보(S251)과 제1 테스트 정보(S252)는 타겟 정보(S231) 및 제1 테스트 정보(S232)에 대응하는 정보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auto denoise processing is OFF, th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the process according to operation 2 (S250).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the target information (S251) and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52). At this time, the target information (S251) and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52)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arget information (S231) and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제2 테스트 정보(S233) 사이 doDiff(S234) 동작을 수행하는 오토 디노이즈 처리가 온(ON) 상태일 경우와 달리, 오프(OFF) 상태일 경우 전자 장치는 이러한 동작 없이 바로 제1 테스트 정보(S252)와 타겟 정보(S251) 사이 doDiff(S253)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제2 차이 정보(S254)를 검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S254)에서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정보를 제외하고 남은 정보를 최종값(S255)로 추출할 수 있다. Unlike when the auto denoise processing that performs the doDiff (S234) operation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is in the ON state, when it is in the OFF state, the electronic device does this. The doDiff(S253) oper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52) and the target information (S251) without any operation, and based on this,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54) can be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may exclude the information preset by the manager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54) and extract the remaining information as the final value (S255).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최종값을 추출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3 is a diagram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final valu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영역(310)은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정보를 포함하고, 영역(320)은 제1 테스트 정보와 타겟 정보 사이 차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포함하며, 영역(330)은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사이 차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rea 310 includes information preset by the administrator, area 320 contains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first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and area ( 330) may includ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first test information and second test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영역(310)에 포함된 A, B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정보이다. 영역(320)에 포함된 B, C, D, E, F 정보는 제2 차이 정보이며, 영역(330)에 포함된 B, C, D, H 정보는 제1 차이 정보이다. 여기서, A, B, C, D, E, F 및 H 정보는 이하 도 5 내지 도 6에 기재된 것과 같은 정보를 간단히 표시한 것으로, 이에 대해 이하 다른 도면에서 자세히 기재한다. Specifically, the A and B information included in area 310 is information preset by the administrator. The B, C, D, E, and F information included in area 320 is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nd the B, C, D, and H information included in area 330 is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Here, the information A, B, C, D, E, F, and H is a simple re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shown in FIGS. 5 and 6,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other drawings below.

영역(330)에 포함된 제1 차이 정보는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정보이고, 영역(320)에 포함된 제2 차이 정보는 제1 테스트 정보와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정보이다.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rea 330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rea 320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This is information created based on differences between information.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에서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정보와 제2 차이 정보 사이 공통된 정보를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인 B, C, D, E 및 F와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정보인 A 및 B 사이 공통된 정보인 B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공통된 정보인 B는 도 2에서 제2 차이 정보(S239) 내에 포함된 Y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에서 Y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인 B 정보를 제외하고 남은 C, D, E 및 F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exclude information common between the information preset by the administrator and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information B, which is common information between B, C, D, E, and F, which ar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 and B, which are information preset by the administrator. At this time, B, which is comm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rea Y included i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S239) in FIG. 2.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the remaining C, D, E, and F information by excluding B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Y area,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또한,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에서 제1 차이 정보와 제2 차이 정보 사이 공통된 정보를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인 B, C, D, E 및 F와 제1 차이 정보인 B, C, D 및 H 사이 공통된 정보인 B, C 및 D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B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정보와 공통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공통된 정보인 B, C 및 D는 도 2에서 제1 차이 정보(S235) 내에 포함된 X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에서 X 영역에 대응하는 정보인 B, C 및 D 정보를 제외하고 남은 E 및 F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lectronic device may exclude information common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can identify B, C, and D, which are comm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B, C, D, E, and F and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B, C, D, and H. For reference, B information may be common information with information preset by the administrator. At this time, common information B, C, and D a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rea X included in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S235) in FIG. 2.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the remaining E and F information by excluding the B, C, and 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X area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따라서, 전자 장치는 영역(340)에 포함된 E 및 F 정보를 최종값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관리자는 최종값으로 표시된 E 및 F 정보에 의도한 수정이 반영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extract the E and 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rea 340 as the final value, and the manager can check whether the intended correction is reflected in the E and F information displayed as the final value.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sortable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for specifically explaining the sortable proces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영역(320)이 제2 차이 정보이고 영역(330)은 제1 차이 정보인 도 3과 달리, 영역(410)에 포함된 B, D, C, E 및 F 정보는 제1 테스트 정보이고, 영역(420)에 포함된 B, C, D 및 H 정보는 제2 테스트 정보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unlike FIG. 3 in which the area 320 is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nd the area 330 is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the B, D, C, E, and 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rea 410 is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1 test information, and B, C, D, and H information included in area 420 may be second test information.

전술한 도 2에서 sortable(S236)에 따른 타겟 정보를 재정렬하지 않을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간의 C 및 D 정보 간의 순서의 차이로 인하여 이를 제외하지 않고 최종값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sortable(S236)에 따른 타겟 정보를 재정렬하지 않을 경우 최종값은 도 3과 달리, D, C, E 및 F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mentioned FIG. 2, if the target information is not rearranged according to sortable (S236),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exclude it but includes it in the final value due to the difference in order between the C and D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You can do it. For example, if the target information is not rearranged according to sortable (S236), the final value may include D, C, E, and F information, unlike FIG. 3.

다만, C 및 D 정보 간의 순서의 차이는 관리자의 의도와 관계 없이 반영된 부분으로서, 이를 필터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도 3과 같이 sortable(S236) 동작에 따른 제2 테스트 정보를 재정렬할 수 있고, 이러한 규칙을 반영하여 타겟 정보를 재정렬함으로써, C 및 D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최종값 E 및 F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However, the difference in order between C and D information is reflected regardless of the administrator's intention and needs to be filtered.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can rearrange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ortable (S236) operation as shown in FIG. 3, and rearrange the target information by reflecting these rules to obtain final values E and F that do not include C and D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영역(510)은 제1 테스트 정보에 대응하며, 영역(520)은 제2 테스트 정보에 대응하며, 영역(530)은 타겟 정보에 대응하며, 영역(540)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며, 영역(550)은 제2 차이 정보에 대한 처리에 대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rea 510 corresponds to first test information, area 520 corresponds to second test information, area 530 corresponds to target information, and area 540 corresponds to the manager.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set by , and the area 550 may correspond to processing of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영역(510)은 "iphone 128GB" 아이템과 관련하여 a) 추천 아이템으로서, "id" 123인 "Galaxy S20" 아이템과 "id" 789인 "Vodafone" 아이템을 표시하며 b) 판매 가격으로 1,290,000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에 대응할 수 있다. 영역(520)은 영역(510)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정보를 포함하므로,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는 없다. Area 510 is a) a recommended item in relation to the "iphone 128GB" item, displaying the "Galaxy S20" item with an "id" of 123 and the "Vodafone" item with an "id" of 789, and b) the selling price at 1,290,000 won. You can respond to pages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Since the area 520 includes the same information as the area 510, there is no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영역(530)은 타겟 정보로서, 영역(531)과 같이 추천 아이템으로서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테스트 정보와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는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id" 123인 "Galaxy S20" 아이템에 대한 정보,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에 대한 정보 및 "id" 789인 "Vodafone" 아이템에 대한 정보가 도 3에서와 같은 A, B, C, D, E, F, H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 The area 530 is target information and, like the area 531, may further include the “LG velvet” item with an “id” of 456 as a recommended item. Accordingly,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For reference, information about the "Galaxy S20" item with "id" 123, information about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and information about the "Vodafone" item with "id" 789 are A as shown in FIG. 3. , B, C, D, E, F, H information.

또한, 영역(540)과 같이, 페이지에 포함된 추천 아이템 중에서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을 무시(ignore)하라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as in the area 540, the administrator may set to ignore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among the recommended items included in the page.

이때, 영역(550)과 같이, 전자 장치는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에 대해 "MANUAL_IGNORE"와 같은 기 설정된 타입으로 처리하도록 태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차이 정보는 없으므로 제2 차이 정보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 간의 공통된 정보를 기 설정된 타입 "MANUAL_IGNORE"에 따라 무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최종값에서 이를 제외하여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in the area 550, the electronic device may tag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to be processed as a preset type such as “MANUAL_IGNORE”. Specifically, since there is no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cess the comm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to be ignored according to the preset type “MANUAL_IGNORE”.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can output the value by excluding it from the final value.

도 6은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를 참조하면, 영역(610)은 제1 테스트 정보에 대응하며, 영역(620)은 제2 테스트 정보에 대응하며, 영역(630)은 타겟 정보에 대응하며, 영역(640)은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에 대응하며, 영역(650)은 제2 차이 정보에 대한 처리에 대응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rea 610 corresponds to first test information, area 620 corresponds to second test information, area 630 corresponds to target information, and area 640 corresponds to the manager.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set by , and the area 650 may correspond to processing of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영역(610)은 "iphone 128GB" 아이템과 관련하여 a) 추천 아이템으로서, "id" 123인 "Galaxy S20" 아이템과 "id" 789인 "Vodafone" 아이템을 표시하며 b) 판매 가격으로 1,290,000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에 대응할 수 있다. 영역(620)은 영역(621)과 같이 추천 아이템으로서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는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천 아이템은 검색 순위 등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것으로서, 시간에 따른 검색 순위의 변화로 인하여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참고로, "id" 123인 "Galaxy S20" 아이템에 대한 정보,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에 대한 정보 및 "id" 789인 "Vodafone" 아이템에 대한 정보가 도 3에서와 같은 A, B, C, D, E, F, H 정보에 대응할 수 있다.Area 610 is a) a recommended item in relation to the "iphone 128GB" item and displays the "Galaxy S20" item with an "id" of 123 and the "Vodafone" item with an "id" of 789, and b) the selling price is 1,290,000 won. You can respond to pages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Like area 621, area 620 may further include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as a recommended item. Accordingly,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Such recommended items are recommended based on search rankings, etc., and may change dynamically due to changes in search rankings over time. For reference, information about the "Galaxy S20" item with "id" 123, information about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and information about the "Vodafone" item with "id" 789 are A as shown in FIG. 3. , B, C, D, E, F, H information.

영역(630)은 타겟 정보로서, 영역(631)과 같이 추천 아이템으로서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테스트 정보와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는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rea 630 is target information and, like the area 631, may further include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as a recommended item. Accordingly,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또한, 도 5와 달리, 영역(640)과 같이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가 없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타겟 정보에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처리하지 않을 수 있다. Additionally, unlike FIG. 5, there is no information set by the administrator, such as area 640.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may not process information set by the administrator in the target information.

이때, 영역(650)과 같이, 전자 장치는 "id" 456인 "LG velvet" 아이템에 대해 "AUTO_IGNORE"와 같은 기 설정된 타입으로 처리하도록 태깅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로서 "MANUAL_IGNORE" 타입으로 처리되지만, 도 6의 경우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자동으로 감지에 따른 정보로서 "AUTO_IGNORE" 타입으로 처리될 수 있다. 다만, "MANUAL_IGNORE"와 "AUTO_IGNORE"은 타입은 구별되지만, 제2 차이 정보에서 이를 처리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는 없으므로, 제1 차이 정보와 제2 차이 정보 간의 공통된 정보를 기 설정된 타입 "AUTO_IGNORE"에 따라 무시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최종값에서 이를 제외하여 출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in the area 650, the electronic device may tag the “LG velvet” item with “id” 456 to be processed as a preset type such as “AUTO_IGNORE”. In the case of FIG. 5, it is information set by the administrator and is processed as the "MANUAL_IGNORE" type, but in the case of FIG. 6, it is information based on automatically det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nd can be processed as the "AUTO_IGNORE" type. there is. However, although the types of "MANUAL_IGNORE" and "AUTO_IGNORE" are distinct, the method of processing them i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s the same. Specifically, since there is no information set by the administrator,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cess the common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to be ignored according to the preset type “AUTO_IGNORE”.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can output the value by excluding it from the final value.

또한, 태깅된 정보를 기 설정된 타입을 고려하여 처리할 때, 기 설정된 타입은 상기 전술한 타입 외에도 기 설정된 "FIEDL_VALUE_DIFF", "ADD_REMOVE_DIFF" 등 다양한 타입을 포함하며, 타입 별로 태깅된 정보에 대한 처리 방식이 상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processing tagged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t type, the preset type includes various types such as preset "FIEDL_VALUE_DIFF" and "ADD_REMOVE_DIFF"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types, and processing methods for tagged information by type. This may be different.

도 7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수행하는 정보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전술한 기재가 여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Figure 7 shows a flowchart of a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performed by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scription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here as well.

도 7를 참조하면 단계 S710에서, 전자 장치는 오토 디노이즈(auto-denoise) 처리와 관련하여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오토 디노이즈 처리와 관련하여 온(ON) 상태일 경우,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step S710,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in an ON state or an OFF state in relation to auto-denoise processing. When the auto denoise processing is in the ON state,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단계 S720에서, 전자 장치는 설정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제1 테스트 정보, 제2 테스트 정보 및 타겟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S720, when the setting state is ON,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the first test information, second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이때,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서로 다른 시간에 입력된 정보에 각 대응하는 응답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테스트 정보(S232)는 관리자가 의도한 수정이 반영되기 전,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이다. 즉, 관리자가 의도한 수정이 애플리케이션에 반영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이다. 예를 들면, 검색 결과 리스트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관리자의 의도한 수정이 반영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검색어 A에 따라 응답 정보로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 리스트에 아이템 1, 아이템 2, 아이템 3 ~ 순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테스트 정보(S233)는 제1 테스트 정보(S232)와 비교하여 서로 다른 시간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제2 테스트 정보(S233) 또한 관리자가 의도한 수정이 반영되기 전,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이다. 예를 들면, 제1 시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인 제1 테스트 정보와 비교하여, 제2 테스트 정보는 제1 시간과 서로 다른 제2 시간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제1 시간에 입력된 정보와 제2 시간에 입력된 정보는 동일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시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검색어 A에 따라 응답 정보로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 리스트는 제1 테스트 정보이고, 제1 시간과 다른 제2 시간에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검색어 A에 따라 응답 정보로서 제공되는 검색 결과 리스트는 제2 테스트 정보이다.At this time,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may b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to the application at different times. Here,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before the modification intended by the administrator is reflected. In other words, it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before the administrator's intended modification is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For example, before the administrator's intended modification to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search result list is reflected, the search result list provided a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arch term A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includes Item 1, Item 2, and Item 3 ~ May be included in any order. Additionally,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may b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at a different time compared to the first test information (S232). At this time, the second test information (S233) is also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before the modification intended by the administrator is reflected. For example, compared to first test information, which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to the application at a first time, the second test information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at a second time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It can b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input at the first time and the information input at the second time may be the same information. For example, a search result list provided as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arch word A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at a first time is first test information, and respons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arch word A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at a second time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The search result list provided as is second test information.

또한, 타겟 정보(S231)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에 대해 관리자의 수정이 반영된 이후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이다. 즉, 타겟 정보(S231)는 관리자에 의해 수정된 정보가 애플리케이션에 반영된 상황에서,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응답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자에 의해 검색어 A에 따른 검색 결과 리스트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일부가 수정된 이후에, 애플리케이션에 검색어 A가 입력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 리스트가 타겟 정보(S231)일 수 있다. 타겟 정보(S231)은 관리자에 의해 수정된 정보와 시간 별로 동적으로 변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정보(S231)에서 관리자의 의도와 관계 없이 시간 별로 동적으로 변하는 정보를 노이즈로 처리하여 제거할 필요가 있다. Additionally, the target information (S231) is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after the administrator's modifications to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application are reflected. That is, the target information (S231) may b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to the application in a situation where information modified by the administrator is reflected in the application. For example, when search word A is entered into the application after some of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list according to search word A is modified by the administrator, the corresponding search result list may be target information (S231). The target information (S231) may include both information modified by the administrator and information that changes dynamically over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cess and remove information that changes dynamically over time from the target information (S231) as noise, regardless of the manager's intention.

단계 S730에서, 전자 장치는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730,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은 서로 다른 시간에 입력된 동일한 정보에 대한 응답 정보이지만, 관리자의 의도와 관계 없이 시간 별로 동적으로 변하는 정보(예컨대, 광고)가 반영되어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는 완전 동일하지 않고 일부 차이가 검출될 수도 있다. 전자 장치는 시간 차이로 인하여 생성된 제1 테스트 정보와 제2 테스트 정보 간의 차이를 검출할 수 있다.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r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same information entered at different times, but regardless of the administrator's intention, information (e.g., advertisements) that changes dynamically over time is reflected, so that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The test information is not completely identical and some differences may be detected. The electronic device can detec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generated due to the time difference.

이때, 전자 장치는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있는 경우, 순서가 다른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제2 테스트 정보를 재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테스트 정보는 정보 1, 정보 2, 정보 3, 정보 4 ~ 순서로 나열된 정보를 포함하며, 제2 테스트 정보는 정보 1, 정보 3, 정보 2, 정보 4 ~ 순서로 나열된 정보를 포함할 경우, 정보 2와 정보 3 간의 순서의 차이를 고려하여 규칙에 기반하여 재정렬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제2 테스트 정보를 정보 1, 정보 2, 정보 3, 정보 4 ~ 순서로 재정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1 테스트 정보와 규칙에 기반하여 재정렬된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re is information of the same value but in a different order, the electronic device may rearrange the second test information based on a rul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in a different order. For example, the first te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listed in the order Information 1, Information 2, Information 3, Information 4,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listed in the order Information 1, Information 3, Information 2, Information 4. If included, it can be rearranged based on rules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order between information 2 and information 3. That is, the electronic device can rearrange the second test information in the order of information 1, information 2, information 3, and information 4.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rearranged based on the rule.

단계 S740에서, 전자 장치는 제1 테스트 정보와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step S740,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전자 장치는 규칙에 기반하여 타겟 정보를 재정렬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하여 제1 테스트 정보와 재정렬된 타겟 정보 사이의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규칙은 제2 테스트 정보에서 순서를 재정렬할 때 이용된 규칙으로서, 시간 차이로 인하여 동적으로 변하는 부분을 보정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may rearrange the target information based on a rule, and based on this, check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rearranged targe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rule is a rule used when rearranging the order in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nd can correct parts that change dynamically due to time differences.

만약,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없는 경우, 규칙에 기반하여 제2 테스트 정보를 재정렬하지 않고 제1 테스트 정보와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If there is no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a different order,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without rearranging the second test information based on a rule.

단계 S750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차이 정보를 고려하여 제2 차이 정보에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In step S750, the electronic device may extract information that satisfies a set condition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by consideri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제1 차이 정보와 함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고려하여 제2 차이 정보에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된 조건은 제2 차이 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에서 제1 차이 정보 및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공통되지 않은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에서 제1 차이 정보 및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may consider information set by the administrator along with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extract information that satisfies the set conditions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t condition may correspond to a condition that is not common to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amo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amo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electronic device can extract information excludi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전자 장치는 오토 디노이즈에 따라 제1 차이 정보 및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제2 차이 정보 간의 공통된 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타입(예컨대, 도 6에 기재된 "AUTO_IGNORE" 타입)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태깅할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에서 자동으로 태깅된 정보를 기 설정된 타입을 고려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도 6에서와 같이 자동으로 태깅된 정보를 "AUTO_IGNORE" 타입에 따라 무시하여 처리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considers a preset type (e.g., "AUTO_IGNORE" type shown in FIG. 6) for common information between at least one information amo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and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uto denoise. This allows automatic tagging. At this time,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cess the information automatically tagged i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by considering the preset type. For example, the electronic device may process automatically tagged information by ignoring it according to the “AUTO_IGNORE” type, as shown in FIG. 6 .

한편, 전자 장치는 설정 상태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제1 테스트 정보 및 타겟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테스트 정보와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차이 정보를 고려하는 설정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와 달리, 전자 장치는 제2 차이 정보에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만을 제외한 정보를 추출하여 최종값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setting state is OFF, the electronic device can check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check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Unlike the case where the setting state consideri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is ON, the electronic device can extract information excluding only the information set by the administrator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nd confirm the final value.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8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자 장치(8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810), 메모리(820) 및 제어부(controller)(8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전자 장치(800)는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800)는 전술한 전자 장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바,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8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810, a memory 820, and a controller 830. The electronic device 800 shown in FIG. 8 shows only components related to this embodiment. 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8. Since the electronic device 800 may include content related to the electronic device described above, description of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통신부(810)는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전자 장치(80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30)는 메모리(8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생성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830)는 메모리(82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여 전자 장치(800)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8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810 can transmit and receiv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terminal and a network. The control unit 83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800 and process data and signals. The control unit 830 may include at least one hardware unit.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830 may operate by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generated by executing program codes stored in the memory 820. The control unit 830 may execute program codes stored in the memory 82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800 and process data and signals.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83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제어부(830)는 오토 디노이즈(auto-denoise) 처리와 관련하여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제1 테스트 정보, 제2 테스트 정보 및 타겟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차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830 checks the setting status of whether it is ON or OFF in relation to auto-denoise processing, and if the setting status is ON, the first test is performed. information, second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check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nd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can be confirmed, and information that satisfies a set condition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by consideri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구매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or termina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cludes a processor, memory for storing and executing program data, permanent storage such as a disk drive, a communication por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touch panel, and a key. ), purchaser interface devices such as buttons, etc. may be included. Methods implemented as software modules or algorithms may be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s computer-readable codes or program instructions executable on the processor. He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e.g., ROM (read-only memory), RAM (random-access memory), floppy disk, hard disk, etc.) and optical read media (e.g., CD-ROM). ), DVD (Digital Versatile Disc), etc.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among computer systems connected to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media may be readable by a computer, stored in memory, and executed by a processor.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This embodiment can be represented by functional block configurations and various processing steps. These functional block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numbers of hardware or/and software configurations that execute specific functions. For example, embodiments include integrated circuit configurations such as memory, processing, logic, look-up tables, etc. that can execute various functions under the control of one or more microprocessors or other control devices. can be hired. Similar to how the components can be implemented as software programming or software elements, the present embodiments include various algorithms implemented as combinations of data structures, processes, routines or other programming constructs, such as C, C++, Java ( It can be implemented in a programming or scripting language such as Java), assembler, etc. Functional aspects may be implemented as algorithms running on one or more processors. Additionally, this embodiment may employ conventional technologies for electronic environment settings, signal processing, and/or data processing. Terms such as “mechanism,” “element,” “means,” and “composition” can be used broadly and are not limited to mechanical and physical components. The term may include the meaning of a series of software routines in connection with a processor, etc.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Claims (15)

전자 장치의 정보 관리 방법으로서,
오토 디노이즈(auto-denoise) 처리와 관련하여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설정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설정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제1 테스트 정보, 제2 테스트 정보 및 타겟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차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Checking the setting status of whether it is ON or OFF in relation to auto-denoise processing;
When the setting state is ON, checking first test information, second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Confirming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Confirming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and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that satisfies a condition set i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이 정보와 함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상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extraction step is,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that satisfies the set condition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by considering information set by an administrator along with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상기 제1 차이 정보 및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extraction step is,
Comprising the step of extracting information excludi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에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p of checking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is,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re is information of the same value but different order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순서가 다른 정보를 고려하여 설정된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테스트 정보를 재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4,
The detecting step is,
When there is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in a different order, rearranging the second test information based on a rul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information in the different order.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규칙에 기반하여 재정렬된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rearrangement step is,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rearranged based on the rule,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동일한 값이면서 순서가 다른 정보가 없는 경우, 규칙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테스트 정보를 재정렬하지 않고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tep of checking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s,
If there is no information with the same value but in a different order, confirming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without rearranging the second test information based on a rule. Including,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규칙을 고려하여 재정렬된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step of checking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s,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rearr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rule,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차이 정보 및 상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와 상기 제2 차이 정보 간의 공통된 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타입을 고려하여 태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extraction step is,
Comprising the step of tagging common information betwee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t by the manager, considering a preset type,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태깅된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타입을 고려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9,
Comprising the step of processing information tagged i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t type,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는, 애플리케이션에 서로 다른 시간에 입력된 정보에 각 대응하는 응답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re respon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nformation input to the application at different times,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상태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테스트 정보 및 상기 타겟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setting state is OFF, checking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and
Comprising the step of checking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제외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Further comprising extracting information excluding information set by the administrator from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How to manage information.
제1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기록매체.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1 on a computer. 전자 장치로서,
통신부;
메모리; 및
오토 디노이즈(auto-denoise) 처리와 관련하여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인지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설정 상태가 온(ON) 상태인 경우, 제1 테스트 정보, 제2 테스트 정보 및 타겟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제2 테스트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1 차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테스트 정보와 상기 타겟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반으로 생성된 제2 차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차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2 차이 정보에서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controller)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s an electronic device,
Ministry of Communications;
Memory; and
Regarding auto-denoise processing, check the setting status whether it is ON or OFF, and if the setting status is ON, first test information, second test information and target information, check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st information, and determine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est information and the target information. Comprising a controller that checks the generated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and extracts information that satisfies the conditions set in the second differenc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irst difference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s.
KR1020220114907A 2022-09-13 2022-09-13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KR2024003628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907A KR20240036284A (en) 2022-09-13 2022-09-13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PCT/KR2022/014046 WO2024058297A1 (en) 2022-09-13 2022-09-20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907A KR20240036284A (en) 2022-09-13 2022-09-13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284A true KR20240036284A (en) 2024-03-20

Family

ID=9027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907A KR20240036284A (en) 2022-09-13 2022-09-13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6284A (en)
WO (1) WO2024058297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3437B1 (en) * 1998-01-27 2002-05-21 Microsoft Corporation Web developer isolation techniques
US7444327B2 (en) * 2004-01-09 2008-10-28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optimization of search result relevance
US8971642B2 (en) * 2012-04-26 2015-03-03 Google Inc. Testing the rendering of visual content
US9842044B2 (en) * 2013-02-13 2017-12-12 Sugarcrm Inc. Commit sensitive tests
US9760471B2 (en) * 2015-09-23 2017-09-12 Optimizely, Inc. Implementing a reset policy during a sequential variation test of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297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8801B1 (en) Parameterized user interface for capturing user feedback
US11295365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product brands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for
US11315167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information related to item
US10970775B1 (en) System, manufacture, and method for auto listing creation for marketplaces
US11379900B1 (en) Electronic apparatus, manufactur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TW202343285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240036284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TW202326554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ve method for managing item sales
US20180144068A1 (en) Clearance check method and clearance check device
US20220318881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5787754B (en) Advertisement inventory visualization method and device
US20180253319A1 (en) Adaptively linking data between independent systems based on a uniform resource locator
US1090215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migration to centralized compliance content for integration with a plurality of digital applications
CN112000746A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server
US11403693B1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item
US20220374954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ata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2391873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KR102620225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data related to service
KR20240014845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thereof
KR10164663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 form of an electronic documen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KR102653516B1 (en) Method and appartus for providing data
KR102344438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KR20230151676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151678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30146833A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for sales of items and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