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328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328A
KR20240035328A KR1020230106614A KR20230106614A KR20240035328A KR 20240035328 A KR20240035328 A KR 20240035328A KR 1020230106614 A KR1020230106614 A KR 1020230106614A KR 20230106614 A KR20230106614 A KR 20230106614A KR 20240035328 A KR20240035328 A KR 20240035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ing device
garnish bod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6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근
이민하
김규록
김병욱
정회원
신호성
조성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DE102023208414.7A priority Critical patent/DE102023208414A1/de
Priority to US18/242,130 priority patent/US20240083351A1/en
Priority to CN202311141550.0A priority patent/CN117663040A/zh
Publication of KR20240035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3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4Lighting devices embedded in interior trim, e.g. in roof l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2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a generally plan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6/00In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안내하고 확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도광판, 확산된 상기 광이 조사되는 조명 영역을 포함하는 가니쉬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가니쉬 몸체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실내 조명으로는 일반 조명 기능에 더하여 실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드 조명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무드 조명으로 차실 내부 가니쉬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가지는 조명을 제공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종래 그라데이션 무드 조명에서는, 조명장치의 단부에 LED가 장착된다. LED에 의한 1차 광선을 도광체를 통과시키면 도광체 전반적으로 빛이 발하면서 반사면(예를 들어, 사출물, 가죽 스킨 등)에 2차 광선이 조사된다. 2차 광선이 반사면의 표면 거칠기에 의해 난반사된 3차 광선은, 도광체와 반사면 사이의 폭, 각도, 이격 거리 등의 물리적인 조건에 따라 반사 광량이 조절됨으로써 탑승자의 눈에 시인되며 그라데이션 조명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하이그로시 표면과 같은 부재에서는 난반사가 유발되기 어렵고, 빛이 흡수되며 반사율이 매우 낮으므로 상기한 종래 조명 방식으로는 그라데이션 효과의 구현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055260호 (공개일자: 2010.05.2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라데이션 효과를 가지는 조명을 통해 이채로운 실내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 시인성이 불리한 주간 야외 환경에서 무드 조명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안내하고 확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도광판, 확산된 상기 광이 조사되는 조명 영역을 포함하는 가니쉬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가니쉬 몸체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라데이션 효과를 가지는 조명을 통해 이채로운 실내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시인성이 불리한 주간 야외 환경에서 무드 조명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한 조명장치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술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개괄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로, 가니쉬 몸체가 생략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선 Q1-Q1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판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도광판이고,
도 6c 및 6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이고,
도 6e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하우징이고,
도 6f 및 6g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조명 영역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조명 영역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도시한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무드 조명은 차량 주행 중 차량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고, 감성적으로는 탑승자의 뇌파에 영향을 미쳐 신체적 이완과 심리적, 정신적인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와 같은 그라데이션 무드 조명에서는, 주간 주행 중인 차량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밝기의 태양의 가시광선이 무드 조명을 위한 반사광과 중첩되면 반사광이 탑승자의 눈에 시인되지 않고, 무드 조명은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드 조명에 사용되는 LED의 최대 밝기 증대, LED의 개수의 증가, 낮은 반사율의 부재 적용, 차폐 구조의 부가 등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안들은 무드 조명의 제어기의 열화를 발생시킬 수 있고, 재료비를 상승시키거나 간접 조명의 휘도가 저하되거나 디자인의 제약 등이 존재하여 궁극적인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
또한, 종래 그라데이션 무드 조명에서는 설계상 제약이 있다. 예를 들어, 조명과 반사면의 관계에 의한 형상 제약, 반사면의 재질과 칼라에 따른 색상 및/또는 휘도의 차이 발생, 조명의 수정 시 금형 수정이 요구되는 등으로 디자인의 자유도가 낮다. 더욱이, 차실 내 적용되는 블랙 하이그로시 부재에서는 도장 표면 처리 특성상 그라데이션 간접 조명의 구현이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고, 직접 조명 방식을 취하면서도 간접 조명이 가지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10)으로부터의 광(L)을 안내하고 확산시키는 도광판(20) 및 확산된 광이 조사되는 조명 영역(A1)을 포함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차량의 실내 조명장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부재는 가니쉬 몸체(30)이다. 가니쉬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착되는 장식 부재로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니쉬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크래쉬 패드, 도어, 콘솔, 각종 트림류에 부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니쉬는 외관의 패턴 구현 등을 위하여 우드 그레인 필름지나 도장 처리된 표면을 가진다. 이러한 가니쉬의 외관을 형성하는 가니쉬 몸체(30)는 실내 조명을 위하여 차량의 실내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니쉬 몸체(30)는 차량의 글러브 박스,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콘솔 등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명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광판(20)은 하우징(40)에 수용되고, 하우징(40)은 가니쉬 몸체(30)에 장착된다. 도광판(20)의 양 쪽 길이방향 단부에는 각각 광원(10)이 장착된다. 광원(10)의 작동은 광원(1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기(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광원(10)으로부터의 광(L)은 도광판(20)을 통해 이동하면서 가니쉬 몸체(30)에 형성되는 조명 영역(A1)으로 조사될 수 있다. 조명 영역(A1)은 가니쉬 몸체(3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고, 조명 영역(A1)의 광은 외부, 즉, 차실에서 인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20)은 하우징(40)을 통해 가니쉬 몸체(30)에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가니쉬 몸체(30)에 장착되고, 도광판(20)은 하우징(40) 내에 형성되는 공간(42)에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40)의 형상에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하우징(40)은 대체로 반원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은 반사체로 구성될 수 있다.
도광판(20)을 통과하는 광(L)은 광원(10)으로부터 출력된다. 일 구현예에서, 광원(10)은 LED (light-emitting diode)일 수 있고, 또는 RGB (reg, green and blue) LED일 수 있다. 광(L)은 도광판(20)을 통해 안내되면서 발광할 수 있고, 가니쉬 몸체(30)를 통해 조명 영역(A1)으로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도광판(20)은 가니쉬 몸체(30)와 기 설정된 각도(θ)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도광판(20)과 가니쉬 몸체(30)는 서로 평행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20)이 가니쉬 몸체(30)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면, 도광판(20)의 제1 측(S1측)과 가니쉬 몸체(30) 사이의 거리는 도광판(20)의 제2 측(S2)과 가니쉬 몸체(30)와의 거리보다 커진다. 따라서, 양 측의 경우, 도광판(20)으로부터의 광(L)의 경로가 조명 영역(A1)까지 동일하지 않고, 도광판(20)의 제1 측(S1)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가 제2 측(S2)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보다 길어진다. 이처럼 조명 영역(A1)으로 조사되는 광(L)의 세기가 동일하지 않고, 조명 영역(A1)을 따라 차이가 생기므로 상대적으로 멀리 조사되는 영역에서는 광이 상대적으로 어둡게 조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명 영역(A1)에서 발하는 광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어두워지는 또는 밝아지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S2에서 S1을 향해 조명 영역(A1)에서의 빛의 밝기가 감소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 조명 방식을 이용하면서 간접 조명 방식의 그라데이션 효과가 획득될 수 있다.
도광판(20)은 장착면(22) 및 경사면(24)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면(22)은 하우징(40)의 내면에 장착된다. 경사면(24)은 장착면(22)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가니쉬 몸체(3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장착면(22)과 경사면(24)이 서로 평행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경사면(24)이 가니쉬 몸체(3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면 족하다.
도광판(20)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즉, 제1 측(S1) 및 제2 측(S2) 중 적어도 하나의 측은 곡면(26)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26)은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이 퍼지게 하면서 발산시킬 수 있으므로 광효율을 증대시키고 그라데이션 효과를 보강할 수 있다. 즉, 도광판(20)의 경사면(24)은 대체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광이 직접 조사되는 형태이나 곡면(26)에서는 광이 은은하게 퍼지면서 발산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도광판(20)에서 곡면(26)의 위치는 경사면(24) 중에 가니쉬 몸체(30)에 대해 가장 멀게 배치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는 경사면(24) 중 제1 측(S1)에 곡면(26)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처럼 은은하게 퍼지면서 발산되는 광은 상대적으로 먼 거리의 광 경로를 통해 조명 영역(A1)으로 발산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영역(A1)의 일 측에서 타측으로(도면에서는 S2에서 S1의 방향) 갈수록 조명이 어두워지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구현예에 의하면, 가니쉬 몸체(30)로 직접 광(L)이 조사되는 직접 조명 방식이 이용되면서 간접 조명 방식에서 발휘되는 그라데이션 효과를 나타내는 이점이 제공된다. 궁극적으로 이와 같은 그라데이션 효과는 차실 내 무드 조명을 통해 분위기의 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도광판(20)은 옵틱 구조(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옵틱 구조(28)는 도광판(20)의 하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가니쉬 몸체(30)에 대하여 가장 멀리 위치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옵틱 구조(28)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옵틱 구조(28)는 도광판(20)에서 발산된 광이 난반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20)에서 옵틱 구조(28)의 크기를 조절하여 난반사되는 광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도광판(20)에서 옵틱 구조(28)의 위치를 조절하여 광량이 제어될 수 있다. 옵틱 구조(28)는 도광판(20)의 중심선(C)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형성되어 구간별 광량의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에서 생성된 광(L)은 도광판(20)을 통해 난반사되고, 난반사가 된 광은 가니쉬 몸체(30)에 형성되는 조명 영역(A1)으로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니쉬 몸체(30)로 확산이 이루어지는 광량은 도광판(20)의 옵틱 구조(28)의 크기가 크면 광량이 증대되고, 그 크기가 작으면 광량이 약화된다. 또한, 옵틱 구조(28)의 위치에 따라 휘도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장치의 설계 시 가니쉬 몸체(30)로 확산이 이루어지는 광량 및/또는 휘도를 조절하면서 설계가 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설계 자유도가 상승됨과 동시에 빛의 손실로 인한 휘도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간과 같이 주변이 밝은 곳에서도 간접 조명이 적합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옵틱 구조(28)의 크기는 도광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판(20)의 길이방향 중심부로터 단부에 이르기까지 옵틱 구조(28)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도광판(20)에 옵틱 구조(2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서는, 도광판(20)의 길이방향 단부, 즉, 도광판(20)이 광원(10)에 근접하는 부분에는 옵틱 구조(28)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옵틱 구조(28)의 설계는 조명 영역(A1)의 길이방향 중심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발하는 광이 점진적으로 약해지도록 하여 그라데이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옵틱 구조(28)의 크기는 도광판(20)의 폭방향(내지는 S1-S2 방향)을 따라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밝은 영역(S2) 쪽의 옵틱 구조(28)의 크기가 어두운 영역(S1) 쪽의 옵틱 구조(28)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제1 행 또는 밝은 영역(S2) 쪽의 옵틱 구조(28)의 피치(z)와 제2 행 또는 어두운 영역(S1) 쪽의 옵틱 구조(28)의 피치(z)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두운 영역(S1) 쪽의 옵틱 구조(28)의 피치(z)는 밝은 영역(S2) 쪽의 옵틱 구조(28)의 피치(z)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옵틱 구조(28)의 설계는, 조명 영역(A1)의 밝은 영역(S2)에서 어두운 영역(S1)으로 갈수록 광이 점진적으로 약해지도록 하여 그라데이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도광판(20)은 위치 리브(29)를 포함한다. 위치 리브(29)는 하우징(40)에서의 도광판(20)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곡면 형상의 그라데이션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도광판(20)이 전반적으로 균일한 휘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광판(20)의 위치 리브(29)는 도광판(20)이 뒤틀리지 않도록 하여 조명 영역(A1)의 길이방향과 폭방향 모두를 따라 균일한 휘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6c 및 6d를 참조하면, 위치 리브(29)는 도광판(20)의 폭방향(내지는 S1-S2방향)에서 양 쪽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리브(29)는 하우징(40) 내에서 전후방향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도광판(20)에 불규칙한 돌출부가 마련되면 해당 부분에서 빛이 튀게 되므로 균일한 휘도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판(20)의 폭방향 양 쪽 또는 전후에 위치 리브(29)를 형성하고 도광판(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에 위치 리브(29)를 형성함으로써, 빛이 튀는 현상 내지는 핫스팟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하우징(40)은 지지 리브(41)를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 리브(41)가 하우징(40)에서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리브(41)는 하우징(40)의 공간(42)을 향해 돌출할 수 있다. 비단 지지 리브(41)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위치 리브(29)와 연관하여 작동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그 어떠한 형상을 취해도 좋다.
도 6f 및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리브(41)는 위치 리브(29)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위치 리브(29)와 메이팅되어 하우징(40) 내에서의 도광판(20)의 상하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지지 리브(41)는 도광판(20)이 뒤틀리는 경우 주 광원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재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하우징(40)은 가니쉬 몸체(30)의 조명 영역(A1)의 일부에 대응되는 가니쉬 몸체(30)를 차지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40)은 가니쉬 몸체(30)의 조명 영역(A1) 전체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지 않고 가니쉬 몸체(30)의 내면에 비장착영역(N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명 영역(A1)에 하우징(40)이 설치되는 장착영역을 제외한 비장착영역(N1)이 형성되기 때문에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대적으로 먼 광 경로를 거쳐 조명 영역(A1)으로 발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40)이 장착되면 위에서 설명한 도광판(20)의 경사 배치 구조에 의하여 광원(10)에서 조사되는 광이 조명 영역(A1)까지의 광 경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조명 영역(A1)에 걸쳐 광이 어두워지도록 발산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하우징(40)은 가니쉬 몸체(30)의 조명 영역(A1)의 전부에 대응되는 가니쉬 몸체(30)를 차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40)의 형상의 변경으로 광의 경로가 쉽게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하우징(40)은 돌기(46)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46)는 도광판(20)과 접촉하는 하우징(40)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돌기(46)는 하우징(40)으로 부터 돌출하고, 하나 이상의 돌기(46)가 마련될 수 있다. 도광판(20)이 하우징(40)에 장착되면 돌기(46)에 의해 하우징(40)과 도광판(20)이 이격됨으로써, 도광판(20)을 통한 광효율이 증대될 수도 있다.
돌기(46)는 하우징(40)과 도광판(20)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도록 서로를 선 접촉시키면서 도광판(20)의 배치 방향이 변화하지 않게끔 도광판(20)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돌기(46)는, 폭의 크기가 작고 긴 길이(예를 들어, 1미터 이상)를 가질 수 있는 도광판(20)을 기설정된 각도로 배치시키고, 차량 주행 중에도 도광판(20)의 자세가 유지되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돌기(46)는 마찰로 인한 소음(Buzz, Squeak, and Rattle)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하우징(40)은 반사면(44)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44)은 도광판(20)에서 발산되는 광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반사면(44)은 도광판(20)으로부터의 광의 경로가 상방을 향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반사시켜 광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그라데이션 효과를 보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반사면(44)은 하우징(40) 내의 측벽에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반사면(44)의 형상은 계단 형상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광을 반사시켜 상방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면(44)은 계단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되 일부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b 및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44)은 계단 형상 외에 곡률이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광판(20)과 조명 영역(A1)의 위상차에 따른 물리적인 휘도 저감을 위하여 반사면(44)의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조명 영역(A1)과 그라데이션 효과 정도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가니쉬 몸체(30)는 복수의 홀(32)을 포함한다. 홀(32)의 크기는 미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니쉬 몸체(30)의 조명 영역(A1)에는 광이 통과하는 홀(32)이 복수의 열 및 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존에는 홀(32)이 동일한 크기로 배치되었으나, 본 구현예에서는 행 별로 홀(32)의 크기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홀(32)은 배치 형태에 따라 열 별로 크기가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32)은 제1 행(도면에서 가장 위쪽에 배치되는 행)에서 다음 행(도면에서 아래방향)으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 제1 행에 배치된 크기가 가장 큰 홀(32)은 조명 영역(A1) 중에서 가장 오른쪽(S2 측)에 배치되고, 가장 아래 행에 배치된 크기가 가장 작은 홀(32)은 조명 영역(A1) 중에서 가장 왼쪽(S1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홀(32)의 크기는 S1방향으로 크기가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기 형태를 가지면 도시된 구현예에서의 좌측의 조명 영역(A1)이 제일 어둡게 발산되기 때문에 그라데이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는, 홀(32)은 행 또는 열 별로 크기가 변화되지만 같은 행에 배치된 홀(32)의 피치(P1, P2: 집합적으로, P)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행(R1)에 배치된 홀(32)의 피치(P1)는 서로 동일하고, 제2 행(R2)에 배치된 홀(32)의 피치(P2)는 서로 동일하며 이하에 배치된 행들의 피치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행 별로 피치가 동일하게 형성되면 각 행의 홀(32)의 사이마다 타 행의 홀(32)이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홀(32)은 조명 영역(A1)에서 일 측에서 타 측으로(도시된 구현예에서 S2(밝은 영역)에서 S1(어두운 영역)으로) 그 크기(Φd)가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홀(32)은 조명 영역(A1)에서 일 측에서 타 측으로(도시된 구현예에서 S2에서 S1으로) 홀(32) 사이의 피치(P)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32)은 가니쉬 몸체(30)의 길이방향 단부를 향해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홀(32) 사이의 피치(P)가 가니쉬 몸체(30)의 길이방향 단부를 향해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홀(32)은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가니쉬 몸체(30)에 형성된 홀 부분에서 가니쉬 몸체(30)의 두께가 반드시 0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가니쉬 몸체의 일부(30)에만 홀 형상을 형성하여 외관에서 홀이 보이지 않는 히든 라이팅 효과를 줄 수도 있다(도면 미도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가니쉬 몸체(30)는 옵틱 패턴(34)을 포함할 수 있다. 옵틱 패턴(34)은 하우징(40)과 직접 접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옵틱 패턴(34)의 각 옵틱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여 빛의 산란 정도를 이용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구현예에서와 같이, 가니쉬 몸체(30)에서 함몰 형성되는 옵틱 패턴(34)의 함몰 크기는 S2에서 S1측 방향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따르면, 가니쉬 몸체(30)의 두께가 변하도록 구성된다. 가니쉬 몸체(30)의 두께 변화는 광의 투과율에 차이를 유도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보강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와 같이, 밝은 쪽의 가니쉬 몸체(30)의 두께(X1)를 어두운 쪽의 가니쉬 몸체(30)의 두께(X2)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밝은 쪽으로부터 어두운 쪽에 이르기까지 가니쉬 몸체(30)의 두께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3을 재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장치는 스크린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부재(50)는 조명장치의 단부 부분의 그라이데이션 효과 구현을 위해 도광판(20)의 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조명장치는 이너렌즈(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렌즈(60)는 광원(10)의 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너렌즈(60)는 광원(10)을 보호하고 광원(10)의 주 광원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니쉬 몸체(30)와 도광판(20) 사이의 에어 갭, 홀(32)의 크기 및 홀(32) 사이의 피치(P)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그라데이션 효과를 가지는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갭이 작을수록, 홀(32)의 크기가 클수록, 홀(32) 사이의 피치(P)가 작을수록 광량이 커지고 조명이 밝아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에어 갭이 클수록, 홀(32)의 크기가 작을수록, 홀(32) 사이의 피치(P)가 클수록 광량이 작아지고 조명이 어두워질 수 있다. 따라서, 그라데이션 조명에서 밝은 쪽이 되는 S2 측의 에어 갭은 작게, 홀(32)의 크기를 크게, 홀(32) 사이의 피치(P)는 작게할 수 있다. 반면, 어두운 쪽이 되는 S1 측의 에어 갭은 크게, 홀(32)의 크기를 작게, 홀(32) 사이의 피치(P)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간접 그라데이션 조명의 주간 시인성이 불가능한 문제를 개선하여 조명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어떠한 표면을 가지는 부재에 균일한 그라데이션 조명을 가능하게 한다. 블랙 하이그로시 표면과 같은 부재뿐만 아니라, 일반 도장, 하프미러 공법, 이온 진공증착, 인서트 필름 등 다양한 공법에 제약없이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육안으로 관찰 시 기존 간접 그라데이션 조명 이상의 휘도 값 및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반사면이 되는 부재의 형상, 재질, 칼라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므로 설계에 용이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금형의 수정 없이 홀의 크기, 피치, 조명의 폭, 길이 등을 수정할 수 있어서 투자비 절감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차량이 야간 주행 시 아웃사이드 미러 얼비침 문제를 그라데이션 효과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광원 12: 제어기
20: 도광판 22: 장착면
24: 경사면 26: 곡면
28: 옵틱 구조 29: 위치 리브
30: 가니쉬 몸체 32: 홀
34: 옵틱 패턴 40: 하우징
41: 지지 리브 42: 공간
44: 반사면 46: 돌기
50: 스크린부재 60: 이너렌즈

Claims (20)

  1.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안내하고 확산시키도록 구성되는 도광판;
    확산된 상기 광이 조사되는 조명 영역을 포함하는 가니쉬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가니쉬 몸체에 대하여 기 설정된 각도로 배치되는 것인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을 수용하고 상기 가니쉬 몸체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반사체로 구성되는 것인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의 난반사되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옵틱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옵틱 구조는 상기 도광판의 중심선에 대하여 편심 배치되는 것인 조명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옵틱 구조는 상기 도광판을 따라 크기 및 피치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조명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을 수용하고 상기 가니쉬 몸체에 연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돌출하는 위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위치 리브와 연관하여 작동가능한 지지 리브를 포함하는 것인 조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곡면을 포함하는 것인 조명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곡면은 상기 가니쉬 몸체와 도광판 사이의 거리 중 상기 거리가 가장 큰 부분의 도광판에 형성되는 것인 조명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 몸체의 조명 영역은 복수의 열 및 행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것인 조명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의 크기는 상기 가니쉬 몸체와 도광판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은 위치에서 상기 가니쉬 몸체와 도광판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큰 위치를 향하여 감소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홀의 홀 사이의 피치는 상기 가니쉬 몸체와 도광판 사이의 거리가 가장 작은 위치에서 상기 가니쉬 몸체와 도광판 사이의 거리가 가장 큰 위치를 향하여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조명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가니쉬 몸체의 길이방향 단부를 향해 크기가 감소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가니쉬 몸체의 길이방향 단부를 향해 피치가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조명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 몸체는 옵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옵틱 패턴은 상기 도광판과 접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것인 조명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옵틱 패턴의 크기는 상기 가니쉬 몸체가 도광판과 포개어지는 영역에서 상기 가니쉬 몸체가 도광판과 포개어지지 않는 영역으로 크기가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조명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도광판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되는 것인 조명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도광판을 덮도록 스크린부재가 장착되는 것인 조명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전면에는 상기 광원을 보호하도록 구성되는 이너렌즈가 배치되는 것인 조명장치.
  1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계단 형상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것인 조명장치.
  1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공간을 향해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조명장치.
  1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가니쉬 몸체의 조명영역과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는 것인 조명장치.
  20. 청구항 1에 따른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
KR1020230106614A 2022-09-08 2023-08-16 조명장치 KR2024003532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3208414.7A DE102023208414A1 (de) 2022-09-08 2023-09-01 Beleuchtungseinrichtung
US18/242,130 US20240083351A1 (en) 2022-09-08 2023-09-05 Lighting device
CN202311141550.0A CN117663040A (zh) 2022-09-08 2023-09-06 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335 2022-09-08
KR20220114335 2022-09-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328A true KR20240035328A (ko) 2024-03-15

Family

ID=9027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614A KR20240035328A (ko) 2022-09-08 2023-08-16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53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260A (ko) 2008-11-17 2010-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수납부용 무드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260A (ko) 2008-11-17 2010-05-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수납부용 무드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8879B2 (ja) 車両用発光部品
US10696220B2 (en) Illuminated decorative part
US9121565B2 (en) Automotive lighting unit
US9937858B2 (en) Illumination device
CN109311420B (zh) 具有照明的汽车装饰件
EP3053778A1 (en) Luminous decorative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KR101684117B1 (ko) 차량용 무드등
JP6655347B2 (ja) 車両用照明保持構造
JP2008174132A (ja) 車両用室内照明装置
WO2016208388A1 (ja) 自動車室内用照明装置
JP2022127302A (ja) 車両用灯体装置
JP4966146B2 (ja) 面発光装置
KR20240035328A (ko) 조명장치
US20240083351A1 (en) Lighting device
CN117663040A (zh) 照明装置
KR102037788B1 (ko) 가니쉬 일체형 차랑용 엠비언트 라이트
WO2020246257A1 (ja) 車両用照明装置
US9989207B2 (en) Light device, especially a projector system of a headlight for motor vehicles
JP6305146B2 (ja) 車両用照明構造
JP2024050116A (ja) 照明装置
US11872935B2 (en) Illumination apparatus for the interior of a motor vehicle
JP7249462B1 (ja) 照明装置
WO2023189905A1 (ja) 車両用灯具
JP7223532B2 (ja) 道路の照明、信号の発信、又は、内部照明のための発光デバイス
WO2018230285A1 (ja) 車両用照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