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872A - 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surface printing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surface printing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872A
KR20240033872A KR1020220112674A KR20220112674A KR20240033872A KR 20240033872 A KR20240033872 A KR 20240033872A KR 1020220112674 A KR1020220112674 A KR 1020220112674A KR 20220112674 A KR20220112674 A KR 20220112674A KR 20240033872 A KR20240033872 A KR 20240033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inkjet printer
inkjet
nozzle
printing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테크
Priority to KR1020220112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872A/en
Publication of KR20240033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87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Handling wide cop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에 관한 것으로, 잉크젯 프린터에서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위치가 변경되며 프린팅 노즐이 대향되는 위치에 프린팅이 수행되는 프린팅 대상물을 위치시키는 거치 스테이지로서,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를 받치며,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복수의 레그를 구비하고, 각 레그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거치된 프린팅 대상물의 거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프린팅 대상물에서 프린팅이 수행되는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변경되어도,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과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곡면을 포함하는 프린팅 대상물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평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것과 같은 상태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과 프린팅 대상면을 배치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In an inkjet printer, the position oppos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is changed along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and the printing object to be printed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facing the printing nozzle. It is a mounting stage that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printing object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whose heights are individually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leg individually to adjust the mounting shape of the mounted printing object,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printing object. Even if the surface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is changed,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and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is kept constant, and the surface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is parallel to the groun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control the stat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effect of arrang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and the printing object surface in the same state as when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on a general plane when performing inkjet printing on a printing object including a curved surface.

Description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SURFACE PRINTING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nd inkjet printer including same {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SURFACE PRINTING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잉크젯 프린터에서 프린팅 대상물을 거치하는 거치 스테이지와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곡면을 가지는 프린팅 대상물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한 거치 스테이지와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stage for mounting a printing object in an inkjet printer and an inkjet printer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ounting stage for performing inkjet printing on a printing object having a curved surface and an inkjet printer including the same. .

현재 산업분야에서는 다양한 목적에 의해서 액체를 토출하는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전기 회로 등의 특정한 모양을 그리기 위한 목적으로 원하는 위치에 액체를 토출하여 패턴을 형성하고, 얇은 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액체를 얇게 토출하기도 하며, 표면을 코팅하기 위하여 코팅 대상물의 표면에 액체를 토출하기도 한다.Currently, in the industrial field, devices that discharge liquid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for the purpose of drawing a specific shape such as an electric circuit, liquid is discharged at a desired location to form a pattern, to manufacture thin fibers, liquid is discharged thinly, and to coat the surface, it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coated. It may also spit out liquid.

형상 신호에 따라 매체 표면에 액상의 잉크를 액적형태로 분사하는 잉크젯 방식은 문서나 광고지를 작성하는 프린팅으로서 뿐만이 아니라,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분야의 용액 공정에 이용되고 있다.The inkjet method, which sprays liquid ink in the form of droplets on the surface of a medium according to shape signals, is used not only for printing documents or flyers, but also for solution processes in the semiconductor or display fields.

기판에 복잡한 형상의 패턴을 형성하거나 특정 위치에만 잉크를 정확하게 토출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팅의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문서 작성을 위한 소형의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 액적을 토출하는 잉크젯 헤드에서 잉크를 저장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대형의 문서 작성용 프린터나 산업용으로 제작된 잉크젯 프린터는 많은 양의 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잉크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잉크젯 헤드가 분리된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The scope of application of inkjet printing, which can form complex patterns on a substrate or precisely discharge ink only at specific locations, is expanding. Small inkjet printers for document creation store ink in an inkjet head that ejects ink droplets, but large document printers or inkjet printers manufactured for industrial use use large amounts of ink, so ink is stored in the inkjet head that discharges ink droplets. A structure where the storage unit and the inkjet head are separated is applied.

또한, 잉크젯 프린팅 과정에서 정확한 양의 잉크를 토출하기 위해서는, 잉크젯 헤드에서 토출 준비상태인 잉크가 노즐 입구를 기준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내측으로 요입된 곡면 상태인 메니스커스(meniscus)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헤드부공급용 저장부의 위치를 잉크젯 헤드보다 높게 위치하게 하고, 대신에 헤드부공급용 저장부의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헤드부공급용 저장부 내에 음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잉크젯 헤드에서 잉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여 메니스커스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eject an accurate amount of ink during the inkjet printing process, the ink that is ready for ejection from the inkjet head must maintain the meniscus state, which is a curved surface that is indented inward by capillary action based on the nozzle entrance. do. To this end, the position of the head supply storage unit is located higher than the inkjet head, and instead, the inside of the head supply storage unit is maintained in a vacuum to generate negative pressure within the head supply storage unit, so that the ink flows from the inkjet head. It is common to maintain the meniscus state by preventing it from falling down.

이러한 산업용 잉크젯 프린팅 장치는 잉크젯 프린팅이 가지는 기본적인 특성인 정밀함을 유지한 상태로 그 적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나, 최근에는 곡선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대상물이 평면이 아닌 곡면 형태인 경우가 생기면서, 잉크젯 프린팅의 적용이 제한되고 있다.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se industrial inkjet printing devices is gradually expanding while maintaining the precision that is the basic characteristic of inkjet printing. However, recently, when the object on which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is curved rather than flat, such as a curved display device,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inkjet printing is limited.

도 14는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곡면에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on a curved surface using a general inkjet printing method.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는 하부의 거치 스테이지에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10)이 위치되며, 기판(10)의 상부에 잉크젯 헤드(3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한다. In a typical inkjet printer, the substrate 10, which is a printing object, is placed on a lower stage, and the inkjet head 30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op of the substrate 10 to perform inkjet printing.

현재의 잉크젯 프린팅 공정은 평면에 대하여 프린팅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잉크젯 헤드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곡률을 가지는 곡면 구조의 기판(10)에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경우에, 잉크젯 헤드(300)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기판(10) 표면과 잉크젯 헤드(300) 사이의 간격이 달라진다. 이와 같이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 표면 사이의 거리 차이에 의해서 프린팅 품질에 차이가 발생하고 잉크젯 프린팅의 주요한 특징인 정밀도에서 문제가 생긴다. 또한, 잉크젯 헤드(300)에 대향되는 기판(10)의 표면이 잉크젯 헤드(300)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종래의 방식으로는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 표면의 각도에 따라서 프린팅 결과가 달라지며, 정밀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In the current inkjet printing process, printing is generally performed on a flat surface, and in this case, no problem occurs even when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while the inkjet head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on a substrate 10 having a curved structure as shown, when the inkjet head 30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and the inkjet head 300. The spacing changes. In this way, differences in printing quality occur due to differences in distance between the inkjet head 300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and problems arise in precision, which is a major characteristic of inkjet printing. 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opposite the inkjet head 300 is disposed in an inclined form with respect to the inkjet head 300,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angle between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300 and the substrate 10 is adjusted. Printing results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it is difficult to perform precise inkjet printing.

도 15는 곡면에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5 is a diagram to explain another method of performing inkjet printing on a curved surface.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 표면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젯 헤드(30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도 움직이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gap between the inkjet head 300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varies, a structure in which the inkjet head 30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lso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applied.

이때, 잉크젯 헤드(300)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잉크젯 헤드의 메니스커스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뿐만이 아니라,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 표면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여도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 표면의 각도가 달라지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한다.At this time, not only is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meniscus of the inkjet hea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inkjet head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300 and the substrate 10 is the same, the inkjet head 300 It does not solve the problem that the angles of the surfaces of (300) and the substrate (10) are different.

도 16은 곡면에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또 다른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6 is a diagram to explain another method of performing inkjet printing on a curved surface.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 표면 사이의 간격과 각도가 달라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잉크젯 헤드(30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시에 상하방향으로도 움직일 뿐만이 아니라 각도가 변경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gap and angle between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300 and the substrate 10 changing, a structure in which the inkjet head 300 not only mov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but also changes the angle can be applied. You can.

이러한 구조에서는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 표면 사이의 간격과 각도는 동일하게 유지되지만, 잉크젯 헤드(300)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고 각도까지 변경되는 과정에서 잉크젯 헤드의 메니스커스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잉크젯 헤드(300)가 기판(10) 표면의 각도를 따라서 기울어진 경우에 잉크가 사선으로 토출되어 정밀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In this structure, the gap and angle between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300 and the substrate 10 are kept the same, but the meniscus of the inkjet head is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inkjet head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hanging the angle.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In addition, when the inkjet head 300 is tilted along the angle of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nk is ejected diagonally, thereby making it impossible to perform precise inkjet printing.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팅 장치와 방법으로는 곡면에 대한 정밀한 프린팅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프린팅 대상 표면의 형상을 3차원 좌표로 획득하고 정확한 프린팅을 위하여 위치별로 잉크 토출 시간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제어 방법이 너무 복잡하여 실제 사용이 어려운 실정이다.As seen above, since precise printing on a curved surface cannot be performed using conventional general inkjet printing devices and methods, the shape of the surface to be printed must be acquired in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and the ink ejection time for each location must be set for accurate printing. Control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but the control method is so complicated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pract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04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60466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곡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거치 스테이지 및 잉크젯 프린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ounting stage and an inkjet printer capable of performing inkjet printing on a curved surfa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는, 잉크젯 프린터에서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위치가 변경되며 프린팅 노즐이 대향되는 위치에 프린팅이 수행되는 프린팅 대상물을 위치시키는 거치 스테이지로서,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를 받치며,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복수의 레그를 구비하고, 각 레그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거치된 프린팅 대상물의 거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프린팅 대상물에서 프린팅이 수행되는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변경되어도,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과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position opposite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along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in the inkjet printer, and printing is perform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rinting nozzle is opposed. It is a mounting stage for positioning a printing object, which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printing object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whose heights are individually adjusted. By individ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leg, the mounting shape of the mounted printing object is adjusted. , Even if the surface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on which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printing object changes,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and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remains constant, and the surface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remains consta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trolled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복수의 레그가 설치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수평이동장치가 베이스부를 수평방향으로 직선 운동 시키는 것일 수 있다.The mounting stage may further include a base portion on which a plurality of legs are installed, and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may cause the base portion to move linear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레그는,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에 접촉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에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g includes a head portion that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ing object; and a length adjusting part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head part, and the head part is preferably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상기 헤드부에는 접촉한 프린팅 대상물을 흡인하여 고정하는 흡착공이 형성될 수 있다.A suc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head portion to attract and fix the printing object in contact.

상기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프린팅 대상물이 형상에 맞추어 표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 port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ose surface shape can be modified to match the shape of the printing object.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린팅 대상물을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ding stag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printing object about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프린팅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프린팅 대상물을 수평 직선 운동 시키는 제2수평이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stag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rizontal movement device that moves the printing object horizontally and linear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곡면 프린팅을 위한 거치 스테이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상기 잉크젯 헤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프린팅 대상물이 설치되는 거치 스테이지; 및 상기 잉크젯 헤드 또는 상기 거치 스테이지 중에 적어도 하나를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 이동 시켜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한 프린팅 대상물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는 제1수평이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를 받치며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복수의 레그를 구비하고, 각 레그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거치된 프린팅 대상물의 거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프린팅 대상물에서 프린팅이 수행되는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변경되어도,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과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kjet printer equipped with a mounting stage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head including a nozzle for ejecting ink; A mounting stage located below the inkjet head and on which a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and a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that chang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rinting object with respect to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by horizontally moving at least one of the inkjet head or the mounting stage along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wherein the mounting stage moves the printing objec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that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and the height of which is individually adjusted, and the height of each leg is individually adjusted to adjust the mounting shape of the mounted printing object, so that the printing object is connected to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where printing is performed. Even if the opposing surface changes,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ppos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and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remains constant, and the surface oppos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can be controlled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복수의 레그가 설치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수평이동장치가 베이스부를 수평방향으로 직선 운동 시키는 것일 수 있다.The mounting stage may further include a base portion on which a plurality of legs are installed, and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may cause the base portion to move linear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레그는,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에 접촉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에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g includes a head portion that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ing object; and a length adjusting part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head part, and the head part is preferably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상기 헤드부에는 접촉한 프린팅 대상물을 흡인하여 고정하는 흡착공이 형성될 수 있다.A suction hole may be formed in the head portion to attract and fix the printing object in contact.

상기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프린팅 대상물이 형상에 맞추어 표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 portio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ose surface shape can be modified to match the shape of the printing object.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린팅 대상물을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lding stag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printing object about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프린팅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프린팅 대상물을 수평 직선 운동 시키는 제2수평이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stag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rizontal movement device that moves the printing object horizontally and linear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를 받치는 복수의 레그가 개별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프린팅 대상물이 거치되는 형태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legs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rinting object are configured to individually adjust their heights, so that the shape in which the printing object is mounted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또한, 복수의 레그를 조절하여 프린팅 대상물이 거치되는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프린팅 대상물에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부분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form in which the printing object is mounted by adjusting the plurality of legs, there is an effect in that the portion of the printing object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can be maintained at a parallel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나아가 복수의 레그를 조절하여 프린팅 대상물이 거치되는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프린팅 대상물에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부분이 노즐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by adjusting the form in which the printing object is mounted by adjusting the plurality of legs, there is an effect of controlling the part of the printing object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nozzle is kept constant.

최종적으로 곡면을 포함하는 프린팅 대상물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평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것과 같은 상태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과 프린팅 대상 면을 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nally, when performing inkjet printing on a printing object including a curved surface, there is an effect of arrang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and the printing target surface in the same state as when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on a general plane.

결국, 종래에 평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던 잉크젯 헤드 및 노즐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하여 곡면에 대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In the end,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being able to perform inkjet printing on curved surfaces by appl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kjet head and nozzle, which conventionally performed inkjet printing on flat surfaces, without changing them.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에 포함된 레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에 다른 형태의 프린팅 대상물이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곡면에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곡면에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다른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곡면에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또 다른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leg included in a mount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 different type of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on a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on a curved surface using a general inkjet printing method.
Figure 15 is a diagram to explain another method of performing inkjet printing on a curved surface.
Figure 16 is a diagram to explain another method of performing inkjet printing on a curved surface.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and elements indicated by the same symbol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구비할 수 있는 것을 의미 한다.An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but rather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r be provided with other components. .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에 포함된 레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unt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leg included in the mount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본 실시예의 거치 스테이지는 산업용 잉크젯 프린터에서 프린팅 대상물을 설치하는 부분이다. 특히, 프린팅 대상물이 평판 구조가 아닌 곡면을 포함하는 구조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이다.The mounting stage of this embodiment is a part of an industrial inkjet printer that installs a printing object. In particular, it is a mount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that can be applied when the printing object has a structure that includes a curved surface rather than a flat structure.

이하에서는 프린팅 대상물로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형 정단면을 가지는 기판(10)을 적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프린팅 대상물은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률반경이 다른 곡선형 기판이나 다른 형태의 구조물도 적용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case where a substrate 10 having a curved top cross-section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applied as the printing object. The printing object is not limited to this structure, and curved substrates with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or other types of structures can also be applied.

본 실시예의 거치 스테이지는 베이스부(100)와 복수의 레그(200)를 포함한다. The mounting stag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base portion 100 and a plurality of legs 200.

베이스부(100)는 거치 스테이지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레그(200)가 설치된다. 베이스부(100)는 레그(20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거치 스테이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베이스부(100)를 움직이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레그(200)가 동시에 수평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base portion 100 is the basis of the mounting stage, and a plurality of legs 200 are installed. The base portion 100 facilitates installation of the legs 200, and when the mounting stage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base portion 100 is configured to move so that the plurality of legs 200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you to do so.

레그(200)는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10)의 하부에 접촉하는 헤드부(210)와 기판(10)의 표면 높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220)를 포함한다.The leg 200 includes a head portion 210 that contacts the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10, which is a printing object, and a length adjustment portion 220 that adjusts the surface height of the substrate 10.

본 실시예에서 기판(10)에 접촉하는 헤드부(210)는 기판(1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에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복수 레그(200)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기판(10)이 잉크젯 프린팅에 적합한 위치 및 각도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과정에서 기판(10)이 배치되는 형태가 다양하게 변형되고 기판(10)이 배치되는 형태에 따라서 무게중심의 변화로 인하여 움직일 수도 있기 때문에, 기판(10)이 헤드부(210)의 표면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헤드부(210)가 기판(10)에 흡착되는 것이 좋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부(210)의 표면에 공기를 흡입하는 하나 이상의 흡착공(240)을 형성하고, 흡착공(240)을 통해서 기판(10)이 헤드부(210)의 표면에 흡착되어 고정되도록 하였다. 헤드부(210)의 표면은 다양한 곡면을 포함하는 프린팅 대상물들에 맞추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헤드부(210) 전체 또는 적어도 헤드부(210)의 표면을 탄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ead portion 210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10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substrate 10 from moving.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divid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legs 200 so that the substrate 10 is arranged at a position and angle suitable for inkjet printing, and in the process, the substrate 10 Since the arrangement shape is variously modified and the substrate 10 may move due to a change in the center of gravity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shape, it performs the function of fixing the substrate 10 so that it does not slip on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210. shall.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part 210 is adsorbed to the substrate 10, and in this embodiment, one or more suction holes 240 for sucking air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210, and the suction holes 240 ) through which the substrate 10 was adsorbed and fixed to the surface of the head portion 210. It is desi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head unit 210 be able to change its shape to suit printing objects containing various curved surfaces, and the entire head unit 210 or at least the surface of the head unit 2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You can.

한편, 흡착공(240)에 의해서 헤드부(210)가 기판(10)에 흡착되는 경우에, 헤드부(210)가 흡착된 상태로 기판(10)의 배치형태를 다양하게 바꾸기 위해서는 헤드부(210)와 길이조절부(220)가 연결되는 부위에 회전축(230)을 형성하여, 헤드부(210)가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회전축은 1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축 이상의 다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볼헤드 방식의 다방향 회전축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d portion 210 is adsorbed to the substrate 10 by the suction hole 240, in order to variously change the arrangement form of the substrate 10 while the head portion 210 is adsorbed, the head portion ( A rotation axis 230 is formed at the area where 210) and the length adjustment part 220 are connected, so that the head part 210 can move at various angles. At this time, the rotation axis may be composed of a single axis, may be composed of two or more axes, or may be a ball head type multi-directional rotation axis.

길이조절부(220)는 레그(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헤드부(210) 또는 헤드부(210)에 접촉하는 기판(10)의 높이를 조절한다. 레그(200)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체적인 기계적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직하게 배치된 레그(200)에서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거치 스테이지에 기판이 거치된 모습을 정면에서 도시한 정면도이기 때문에 기판(10)은 앞뒤방향으로 폭감을 가지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 감을 갖도록 구성된 헤드부(210)의 양쪽에 각각 길이조절부(220)를 설치한 형태이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The length adjusting unit 220 adjusts the length of the leg 200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head unit 210 or the substrate 10 in contact with the head unit 210. The specific mechanical structure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leg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tructure that can adjust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eg 200 arranged vertically can be applied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 In addition, since 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ubstrate mounted on the mounting stage from the front, the substrate 10 has a wid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ure 2, this embodiment has a leng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lthough the length adjustment part 22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ead part 210, it is not limited thereto.

그리고 여러 레그(20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기판(10)과 잉크젯헤드부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잉크젯헤드부와 대향된 기판(10)의 표면이 수평하게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면, 레그(200)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레그(200)를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heights of the various legs 200 can be adjust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substrate 10 and the inkjet head,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facing the inkjet head can be adjusted to be positioned horizontally, The number of legs 2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wo or more legs 200 can be applied.

거치 스테이지에 설치된 복수의 레그(200)가 동작하는 구체적인 형태는 잉크젯 헤드와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달라지며, 잉크젯 헤드와 기판(10)의 표면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고 잉크젯 헤드에 대향되는 기판(10)의 표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가 되도록 기판(10)을 배치한다. 이는 잉크젯 헤드의 노즐에 대향되는 부분, 즉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부분이 노즐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여, 일반적인 평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만드는 것이며, 이러한 특징에 의해서 종래에 평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던 잉크젯 헤드 및 노즐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하여 곡면에 대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거치 스테이지의 움직임 정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잉크젯 헤드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자세한 설명은 이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 스테이지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터에 대한 잉크젯 헤드의 움직임을 포함한 구체적인 동작을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specific form in which the plurality of legs 200 installed on the mounting stage operate varies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 with the inkjet hea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and the substrate 10 is the same and the substrate 10 facing the inkjet head is the same. ) Place the substrate 10 so that its surface is level with the ground. This is to ensure that the part opposite to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that is, the part where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is arranged parallel to the ground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the nozzle, creating a state as if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on a general plane, and this feature This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inkjet printing on curved surfaces by appl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kjet head and nozzle, which conventionally performed inkjet printing on flat surfaces, without changing them. 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explain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stage, it is better to describe it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inkjet head,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later, including the movement of the inkjet head with respect to the inkjet printer including the mounting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lanation is based on specific actions.

도 3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에 다른 형태의 프린팅 대상물이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a different type of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on a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는 복수의 레그(200)를 구비하되, 레그(200) 각각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곡률반경이 다른 기판(10)을 각각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헤드부가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각도의 변경이 자유롭기 때문에, 프린팅 대상물의 형태에 무관하게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에 헤드부의 표면이 접촉할 수 있으며, 헤드부에 형성된 흡착공을 통해서 프린팅 대상물의 하면을 흡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The mount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legs 200, and since the length of each leg 200 can be individually adjusted, it can be used on substrates 10 with different curvature radii as shown in FIG. 3. ) can be installed stably. In particular, since the head par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angle can be changed freely, the surface of the head part can contact the lower part of the printing object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printing objec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ing object can be adsorbed through the suction hole formed in the head part. It can be fixed.

도 3에서는 비교를 위하여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지만 각 기판의 곡면에 적용되는 곡률반경은 일정한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프린팅 대상물에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거치 스테이지는 복수의 레그를 구비하고, 각 레그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일부에만 곡면이 있거나 곡률반경이 변하는 프린팅 대상물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Figure 3, for comparison purposes, a case where the curvature radii are different but the curvature radii applied to the curved surface of each substrate is constant is explained. However, this does not apply only to printing objects with a constant curvature radius. The mounting stage of this embodiment has a plurality of legs, and the height of each leg is individually adjusted, so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even for printing objects that only have a partially curved surface or whose radius of curvature changes.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는 곡면을 가지는 프린팅 대상물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한 구조의 거치 스테이지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with a mounting stage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o perform inkjet printing on a printing object having a curved surface.

이때, 거치 스테이지에 설치된 프린팅 대상물과 잉크젯 헤드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고, 프린팅 대상물과 잉크젯 헤드의 상대적 위치를 변화시키는 구조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잉크젯 프린터가 구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while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rinting object and the inkjet head installed on the mounting stage change, and various types of inkjet printers can be configur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that changes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rinting object and the inkjet head.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이 형성된 잉크젯 헤드(300)와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10)이 설치되는 거치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거치 스테이지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거치 스테이지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거치 스테이지를 수평 이동시키기 위한 제1수평이동장치가 설치된다.The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n inkjet head 300 with a nozzle for ejecting ink and a mounting stage on which a substrate 10, which is a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The mounting stage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as i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stage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a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is installed to horizontally move the mounting stage along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도 4에서 곡면을 가지는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10)이 설치된 거치 스테이지가 좌우로 이동하며, 잉크젯 헤드(300)는 좌우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복수의 레그(200)가 설치된 베이스부(100)를 좌우로 움직이는 제1수평이동장치를 적용함으로써 복수의 레그(200) 및 그 위에 설치된 기판(10)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잉크젯 헤드(300)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며, 거치 스테이지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기판(10)에서 프린팅이 수행되어야 할 부분이 잉크젯 헤드(300)의 하부에 위치할 때에 잉크젯 헤드(300)의 노즐을 통해서 잉크가 토출되어 프린팅이 수행되는 것은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FIG. 4 , the mounting stage on which the substrate 10, which is a printing object having a curved surface, is installed moves left and right, and the inkjet head 300 does not move left or right and its position is fixed.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that moves the base portion 100 on which the plurality of legs 200 are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the plurality of legs 200 and the substrate 10 installed thereon move left and right.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inkjet head 300 changes, and the holding stage moves left and right, and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300 is opened when the part of the substrate 10 to be printed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kjet head 300. Since printing is performed by ejecting ink through the printer, it is the same as a general inkjet printer, so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거치 스테이지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의 표면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고 잉크젯 헤드(300)에 대향되는 기판(10)의 표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가 유지되도록 복수의 레그(200)가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ounting sta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inkjet head 300 and the substrate 10 is the same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opposite the inkjet head 300 is parallel to the ground.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egs 200 to maintain the state will be described.

먼저 일반적 잉크젯 프린팅의 경우와 같이, 기판(10)의 한쪽에서 다른 쪽 끝으로 프린팅이 수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거치 스테이지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작 위치는 기판(10)의 우측 끝부분이 잉크젯 헤드(300)에 대향되는 위치, 즉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위치이다. First, as in the case of general inkjet printing, printing is performed from one end of the substrate 10 to the other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ounting stage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performs inkjet printing while moving in the right direction, and as shown in FIG. 3, the starting position is at the right end of the substrate 10 at the inkjet head 300. This is the opposite location, that is, the location where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이때,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판(10)의 프린팅 대상면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오목한 곡면이며, 잉크젯 헤드(300)에 대향되는 기판(10)의 우측 끝부분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형태가 되기 위해서는 반대편 끝부분의 높이를 높여야 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의 좌측 끝부분을 받치고 있는 레그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기판(10)의 좌측 부분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잉크젯 헤드(300)에 대향되는 기판(10)의 우측 끝부분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기판(10)의 가운데 부분을 받치는 레그들도 적당한 길이로 높이를 조절하여 기판(10)의 우측 끝부분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에서 기판(10)의 무게가 전체 레그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의 좌측 부분을 높게 위치시키면 기판(10)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면서 기판(10) 전체적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지만, 레그의 헤드부에 형성된 흡착공에 의해서 기판(10)이 옆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으로 연결된 헤드부 각각의 각도가 변경되면서, 모든 레그의 헤드부가 기판(10)에 안정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받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inting target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s a concave curved surface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nd in order for the right end of the substrate 10 opposite the inkjet head 300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The height of the opposite end must be increased. As shown, the length of the leg supporting the left end of the substrate 10 is extended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left side of the substrate 10, so that the right end of the substrate 10 facing the inkjet head 300 is rais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ate where the part is parallel to the ground. The legs supporting the middle part of the substrate 10 are also adjusted in height to an appropriate length so that the weight of the substrate 10 is evenly distributed over all legs while the right end of the substrate 10 is parallel to the ground. It is desirable. In addition, when the left part of the substrate 10 is placed high as shown in FIG. 4,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bstrate 10 moves and the entire substrate 10 receives a force to move to the right, but the head portion of the leg The substrate 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sideways by the formed suction hole. And as the angle of each head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changes, the heads of all legs can be supported in a state of stable contact with the substrate 10.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 스테이지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잉크젯 헤드(300)와 대향되는 기판(10)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때, 레그 각각의 높이가 변경되면서, 잉크젯 헤드(300)와 대향되는 기판(10)의 표면이 지면에 수평한 상태가 된다. 또한, 잉크젯 헤드(300)와 대향되는 기판(10)의 표면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레그는 길이가 점차 길어지면서 헤드부의 높이가 높아지고, 도면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레그는 길이가 점차 짧아지면서 헤드부의 높이가 낮아지며,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레그들은 잉크젯 헤드(300)보다 좌측에 위치할 때에는 길이가 점차 짧아졌다가 잉크젯 헤드(300)의 아래를 지나서 우측에 위치할 때에는 길이가 점차 길어진다. Next, as shown in FIG. 5, when the mounting stage moves to the right,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10 facing the inkjet head 300 changes. At this time, as the height of each leg is change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facing the inkjet head 300 becomes horizontal to the ground. 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inkjet head 300 and the opposing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s maintained to be the same. Specifically, the leg located on the far right in the drawing gradually becomes longer in length and the height of the head increases, the leg located on the leftmost in the drawing gradually becomes shorter in length and the height of the head becomes lower, and the legs located in the middle become inkjet. When located to the left of the head 300, the length gradually becomes shorter, and when located to the right of the inkjet head 300, the length gradually becomes longer.

이와 같이, 거치 스테이지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레그들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면서, 최종적으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의 좌측 끝부분까지 잉크젯 헤드(300)의 하부에 대향되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이 진행된다. 거치 스테이지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작과 레그들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어 기판(10)의 배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은 서로 연계되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잉크젯 헤드(300)가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여 도면상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경우라면 거치 스테이지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과 기판(10)의 배치형태가 변경되는 동작 및 잉크젯 헤드(300)에서 잉크가 토출되는 동작이 모두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300)가 도면상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거치 스테이지가 필요한 만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젯 헤드(300)에 대향되는 기판(10)이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레그들이 조절되면, 잉크젯 헤드(300)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고, 다시 거치 스테이지가 움직이는 형태로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way, as the mounting stage moves to the right, the heights of the legs are individually adjusted, and finally, as shown in FIG. 6, the position opposite the lower part of the inkjet head 300 reaches the left end of the substrate 10. Inkjet printing proceeds while moving. The operation of the mounting stage moving to the right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rrangement form of the substrate 10 by individ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gs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the inkjet head 3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ozzles. Therefore, in the case where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without moving forward or backward on the drawing, the movement of the mounting stage to the right,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substrate 10, and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ink from the inkjet head 300 are all continuous. It can be performed as: In the case where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while the inkjet head 300 moves forward and backward on the drawing, the holding stage moves to the right as necessary and moves the leg so that the substrate 10 opposite the inkjet head 300 is placed at the required position. When these values are adjusted, inkjet printing may be performed with the inkjet head 300 moving back and forth, and then the mounting stage may be moved again.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는 거치 스테이지에 설치된 복수의 레그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프린팅 진행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가 이동하여도 프린팅 대상물에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부분은 노즐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뿐만이 아니라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부분이 항상 지면에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평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만드는 것이며, 이러한 특징에 의해서 종래에 평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던 잉크젯 헤드 및 노즐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하여 곡면에 대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프린팅 대상물의 곡면에 맞추어서 잉크젯 프린터의 모듈 및 헤드의 각도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잉크젯 프린터 기술에서 거치 스테이지만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곡면에 대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een above, the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ly adjusts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legs installed on the mounting stage, so that the printing object remains in the printing object even if its relative position moves in the printing direction. The part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not only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nozzle, but also ensures that the part where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is always maintained parallel to the ground. This creates the same state as when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on a general flat surface, and due to this feature, inkjet printing on a curved surface is performed without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kjet head and nozzle that conventionally performed inkjet printing on a flat surf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In the end, problem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inkjet printer's module and head to match the curved surface of the printing object can be prevented, and inkjet printing on curved surfaces can be performed simply by changing the mounting stage in existing inkjet printer technology.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configure a new inkjet printer that can perform.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to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이 형성된 잉크젯 헤드(300)와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10)이 설치되는 거치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거치 스테이지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잉크젯 헤드(30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세 번째 실시예에서는 제1수평이동장치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잉크젯 헤드(300)를 수평 이동시킨다.The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n inkjet head 300 with a nozzle for ejecting ink and a mounting stage on which a substrate 10, which is a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The mounting stage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as i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kjet head 30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horizontally moves the inkjet head 300 along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도 7에서 곡면을 가지는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10)이 설치된 거치 스테이지의 위에 위치하는 잉크젯 헤드(300)가 좌우로 이동하며, 거치 스테이지는 좌우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잉크젯 헤드(300)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기판(10)에서 프린팅이 수행되어야 할 부분이 잉크젯 헤드(300)의 하부에 위치할 때에 잉크젯 헤드(300)의 노즐을 통해서 잉크가 토출되어 프린팅이 수행되는 것은 일반적인 잉크젯 프린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In FIG. 7 , the inkjet head 300 located on the mounting stage on which the substrate 10, which is a printing object having a curved surface, is installed moves left and right, and the position of the mounting stage is fixed without moving left or right. When the inkjet head 300 moves left and right and the portion of the substrate 10 to be printed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nkjet head 300, ink is ejected through the nozzle of the inkjet head 300 to perform printing. Since it is the same as a general inkjet printe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는 잉크젯 헤드(30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과정에서,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의 표면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고 잉크젯 헤드(300)에 대향되는 기판(10)의 표면이 지면과 수평을 이룬 상태가 유지되도록 복수의 레그(200)가 동작하는 모습을 설명한다.Hereinafter, while the inkjet head 300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inkjet head 300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s the same,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opposite the inkjet head 300 is aligned with the ground.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legs 200 to maintain a horizontal state will be described.

먼저 일반적 잉크젯 프린팅의 경우와 같이, 기판(10)의 한쪽에서 다른쪽 끝으로 프린팅이 수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잉크젯 헤드(3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며,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작 위치는 잉크젯 헤드(300)가 기판(10)의 우측 끝부분에 대향되는 위치, 즉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위치이다. First, as in the case of general inkjet printing, printing is performed from one end of the substrate 10 to the other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kjet head 300, which moves left and right, performs inkjet printing while moving in the left direction. As shown in FIG. 7, the starting position is the inkjet head 300 is on the right side of the substrate 10. This is the position opposite the end, that is, the position where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이때,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판(10)의 프린팅 대상면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된 오목한 곡면이며, 잉크젯 헤드(300)에 대향되는 기판(10)의 우측 끝부분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형태가 되기 위해서는 반대편 끝부분의 높이를 높여야 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의 좌측 끝부분을 받치고 있는 레그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여 기판(10)의 좌측 부분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잉크젯 헤드(300)에 대향되는 기판(10)의 우측 끝부분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를 만들 수 있다. 기판(10)의 가운데 부분을 받치는 레그들도 적당한 길이로 높이를 조절하여 기판(10)의 우측 끝부분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에서 기판(10)의 무게가 전체 레그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의 좌측 부분을 높게 위치시키면 기판(10)의 무게 중심이 이동하면서 기판(10) 전체적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받게 되지만, 레그의 헤드부에 형성된 흡착공에 의해서 기판(10)이 옆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으로 연결된 헤드부 각각의 각도가 변경되면서, 모든 레그의 헤드부가 기판(10)에 안정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받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rinting target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s a concave curved surface formed with the same curvature, and in order for the right end of the substrate 10 opposite the inkjet head 300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The height of the opposite end must be increased. As shown, the length of the leg supporting the left end of the substrate 10 is extended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left side of the substrate 10, so that the right end of the substrate 10 facing the inkjet head 300 is rais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state where the part is parallel to the ground. The legs support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substrate 10 are also adjusted in height to an appropriate length so that the weight of the substrate 10 is evenly distributed over all legs while the right end of the substrate 10 is parallel to the ground. It is desirable. In addition, when the left part of the substrate 10 is placed high as shown in FIG. 7,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bstrate 10 moves and the entire substrate 10 receives a force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but the head portion of the leg The substrate 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sideways by the formed suction hole. And as the angle of each head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changes, the heads of all legs can be supported in a state of stable contact with the substrate 10.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잉크젯 헤드(300)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잉크젯 헤드(300)와 대향되는 기판(10)의 위치가 변경된다. 이때, 레그 각각의 높이가 변경되면서, 잉크젯 헤드(300)와 대향되는 기판(10)의 표면이 지면에 수평한 상태가 된다. 또한, 잉크젯 헤드(300)와 대향되는 기판(10)의 표면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 가장 우측에 위치하는 레그는 길이가 점차 길어지면서 헤드부의 높이가 높아지고, 도면에서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레그는 길이가 점차 짧아지면서 헤드부의 높이가 낮아지며,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레그들은 잉크젯 헤드(300)가 우측에서 다가올 때는 길이가 점차 짧아졌다가 잉크젯 헤드(300)가 지나가면서 좌측으로 멀어질 때에는 길이가 점차 길어진다. Next, as shown in FIG. 8, when the inkjet head 300 moves to the left, the position of the substrate 10 opposite the inkjet head 300 changes. At this time, as the height of each leg is change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 facing the inkjet head 300 becomes horizontal to the ground. 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inkjet head 300 and the opposing surface of the substrate 10 is maintained to be the same. Specifically, the leg located on the far right in the drawing gradually becomes longer in length and the height of the head increases, the leg located on the leftmost in the drawing gradually becomes shorter in length and the height of the head becomes lower, and the legs located in the middle become inkjet. When the head 300 approaches from the right, the length gradually becomes shorter, and as the inkjet head 300 passes by and moves away to the left, the length gradually becomes longer.

이와 같이, 잉크젯 헤드(300)가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레그들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면서, 최종적으로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의 좌측 끝부분까지 잉크젯 헤드(300)가 이동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이 진행된다. 잉크젯 헤드(300)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작과 레그들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어 기판(10)의 배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은 서로 연계되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잉크젯 헤드(300)가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여 도면상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없이 좌우방향으로만 이동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경우라면, 잉크젯 헤드(300)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과 기판(10)의 배치형태가 변경되는 동작 및 잉크젯 헤드(300)에서 잉크가 토출되는 동작이 모두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잉크젯 헤드(300)가 도면상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잉크젯 헤드(300)가 필요한 만큼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기판(10)이 프린팅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레그들이 조절되면, 잉크젯 헤드(300)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고, 이후에 다시 잉크젯 헤드(300)가 좌측으로 움직이는 형태로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될 수도 있다.In this way, as the inkjet head 300 moves to the right, the heights of the legs are individually adjusted, and finally, as shown in FIG. 9, the inkjet head 300 moves to the left end of the substrate 10. Inkjet printing is in progress. The operation of the inkjet head 300 moving to the right and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rrangement form of the substrate 10 by individ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legs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the inkjet head 300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If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by using a nozzle and moving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out moving forward or backward on the drawing, the inkjet head 300 moves to the left and the arrangement of the substrate 10 changes. All ink ejection operations from the head 300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In the case where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while the inkjet head 300 moves forward and backward on the drawing, the legs are adjusted so that the inkjet head 300 moves to the left as necessary and the substrate 10 is placed in a position suitable for printing. Inkjet printing may be performed while the inkjet head 300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then inkjet printing may be performed again with the inkjet head 300 moving to the left.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는 거치 스테이지에 설치된 복수의 레그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프린팅 진행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가 이동하여도 프린팅 대상물에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부분은 노즐과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뿐만이 아니라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부분이 항상 지면에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평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이 수행되는 것과 같은 상태를 만드는 것이며, 이러한 특징에 의해서 종래에 평면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던 잉크젯 헤드 및 노즐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하여 곡면에 대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결국, 프린팅 대상물의 곡면에 맞추어서 잉크젯 프린터의 모듈 및 헤드의 각도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잉크젯 프린터 기술에서 거치 스테이지만을 변경하는 것만으로도 곡면에 대한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een above, the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vidually adjusts the length of the plurality of legs installed on the mounting stage, so that the printing object remains in the printing object even if its relative position moves in the printing direction. The part fac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not only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nozzle, but also ensures that the part where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is always maintained parallel to the ground. This creates the same state as when inkjet printing is performed on a general flat surface, and due to this feature, inkjet printing on a curved surface is performed without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kjet head and nozzle that conventionally performed inkjet printing on a flat surfa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In the end, problem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angle of the inkjet printer's module and head to match the curved surface of the printing object can be prevented, and inkjet printing on curved surfaces can be performed simply by changing the mounting stage in existing inkjet printer technology.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configure a new inkjet printer that can perform.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to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네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이 형성된 잉크젯 헤드(300)와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10)이 설치되는 거치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거치 스테이지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수평이동장치에 의해서 거치 스테이지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는 구조인 점에서 두 번째 실시예와 같다. 두 번째 실시예와 같이 거치 스테이지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것과 함께, 거치 스테이지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가 추가된 점에 특징이 있다.The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n inkjet head 300 with a nozzle for ejecting ink and a mounting stage on which a substrate 10, which is a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The mounting stage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as is, and is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mounting stage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by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Like the second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stage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rotating device that rotates the mounting stage is added.

다양한 형태의 프린팅 대상물에 대하여 잉크젯 프린팅을 수행하기 위하여 준비하는 과정에서, 먼저 프린팅 대상물을 잉크젯 헤드(300)의 하부 쪽에 위치하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프린팅 대상물의 크기와 형태로 인하여 수평방향으로 거치스테이지가 움직이는 과정에서 프린팅 대상물과 잉크젯 헤드가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거치 스테이지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를 추가하여 프린팅 대상물의 거치 방향을 변환함으로써 프린팅 대상물과 잉크젯 헤드가 충돌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preparing to perform inkjet printing on various types of printing objects, it is necessary to first place the printing object on the lower side of the inkjet head 300. However, due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printing object, a problem may occur where the printing object and the inkjet head collide while the mounting stage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revent this problem, in this embodiment, a rotation device that rotates the mounting stage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dded to change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printing object, thereby preventing the printing object and the inkjet head from colliding.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 거치 스테이지가 그대로 우측으로 이동하면, 잉크젯 헤드(300)와 기판(10)이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If the mounting stage is moved to the right in the state shown in FIG. 10, a problem of collision between the inkjet head 300 and the substrate 10 occurs.

본 실시예는 거치 스테이지의 회전장치를 통해서,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판(10)의 배치 방향을 변환할 수 있고, 기판(10)과 잉크젯 헤드(300)가 충돌하지 않는 배치 방향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placement direction of the substrate 10 can be changed as shown in FIG. 11 through the rotation device of the mounting stage, and the substrate 10 and the inkjet head 300 are positioned in a placement direction where they do not collide. You can do it.

기판(10)과 잉크젯 헤드(300)가 충돌하지 않는 배치 방향에서,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 스테이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후에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 스테이지를 회전하여 기판(10)이 잉크젯 프린팅에 적합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In an arrangement direction where the substrate 10 and the inkjet head 300 do not collide, the mounting stage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2, and then the mounting stage is rotated as shown in FIG. 13 to place the substrate ( 10) Ensure that it is placed in a direction suitable for inkjet printing.

본 발명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이 형성된 잉크젯 헤드와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이 설치되는 거치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거치 스테이지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거치 스테이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수평이동장치에 의해서 잉크젯 헤드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는 구조인 점에서 세 번째 실시예와 같다. 세 번째 실시예와 같이 잉크젯 헤드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과 함께, 거치 스테이지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가 추가된 점에 특징이 있다.The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head with a nozzle for ejecting ink and a mounting stage on which a substrate, which is a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The mounting stage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as is, and is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the inkjet head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direction by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while the mounting stage is fixed. It's the same. Like the third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kjet head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direction and a rotary device that rotates the mounting stage is added.

잉크젯 헤드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 프린팅 대상물에 충돌하는 배치인 경우, 먼저, 거치 스테이지를 회전하여 프린팅 대상물이 잉크젯 헤드와 충돌하지 않는 방향으로 프린팅 대상물의 배치 방향을 바꾼다.In the case where the inkjet head collides with the printing object when i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rst, the holding stage is rotated to change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rinting object in a direction so that the printing object does not collide with the inkjet head.

그리고 프린팅 대상물과 잉크젯 헤드가 충돌하지 않는 배치 방향에서 잉크젯 헤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후에 다시 거치 스테이지를 회전하여 프린팅 대상물이 잉크젯 프린팅에 적합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Then, the inkjet head is moved horizontall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rinting object and the inkjet head do not collide, and then the holding stage is rotated again so that the printing object is placed in a direction suitable for inkjet printing.

본 발명의 여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이 형성된 잉크젯 헤드와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이 설치되는 거치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거치 스테이지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수평이동장치에 의해서 거치 스테이지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는 구조인 점에서 두 번째 실시예와 같다. 두 번째 실시예와 같이 거치 스테이지가 프린팅 진행방향으로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과 함께, 거치 스테이지를 프린팅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수평이동장치가 추가된 점에 특징이 있다.The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head with a nozzle for ejecting ink and a mounting stage on which a substrate, which is a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The mounting stage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as is, and is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at the mounting stage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by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mounting stage moves horizontally in the printing direction, and a second horizontal movement device is added to move the mounting sta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rinting direction.

거치 스테이지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면 프린팅 대상물에 충돌하는 배치인 경우, 먼저, 거치 스테이지를 프린팅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거치 스테이지가 프린팅 진행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위치가 잉크젯 헤드부를 벗어나는 범위가 되도록 위치시킨다.In the case where the mounting stage collides with the printing object when it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direction, first, move the mounting stage horizontal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where the mounting stage moves horizontally in the printing direction is the inkjet head. Position it so that it is outside the range.

이후에 거치 스테이지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면, 잉크젯 헤드의 옆에 프린팅 대상물이 위치한다.Afterwards, when the holding stage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direction, the printing object is positioned next to the inkjet head.

그리고 거치 스테이지를 프린팅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프린팅 대상물이 잉크젯 헤드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때 프린팅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은 프린팅 대상물과 잉크젯 헤드가 충돌하지 않는 배치 방향이 되어, 잉크젯 헤드와 프린팅 대상물이 충돌하지 않는다. Then, the holding stage is moved horizontal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direction so that the printing object is positioned below the inkjet head. At this time,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direction is an arrangement direction in which the printing object and the inkjet head do not collide, The inkjet head and printing object do not collide.

본 발명의 일곱 번째 실시예에 따른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이 형성된 잉크젯 헤드와 프린팅 대상물인 기판이 설치되는 거치 스테이지를 포함한다. 거치 스테이지는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거치 스테이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수평이동장치에 의해서 잉크젯 헤드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는 구조인 점에서 세 번째 실시예와 같다. 세 번째 실시예와 같이 잉크젯 헤드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는 것과 함께, 거치 스테이지를 프린팅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수평이동장치가 추가된 점에 특징이 있다. The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kjet head with a nozzle for ejecting ink and a mounting stage on which a substrate, which is a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The mounting stage may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2 as is, and is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the inkjet head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direction by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while the mounting stage is fixed. It's the same.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inkjet head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direction, and a second horizontal movement device is added to move the mounting stag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direction.

잉크젯 헤드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면 프린팅 대상물에 충돌하는 배치인 경우, 먼저, 거치 스테이지를 프린팅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잉크젯 헤드의 프린팅 진행방향 수평이동 범위에서 프린팅 대상물이 벗어나도록 한다. In the case where the inkjet head collides with the printing object when it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direction, first, move the holding stage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direction so that the printing object moves out of the horizontal movement range of the inkjet head in the printing direction. Let’s do it.

잉크젯 헤드의 이동영역에서 벗어난 상태에서 잉크젯 헤드가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으로 움직이면, 잉크젯 헤드의 옆에 프린팅 대상물이 위치한다.When the inkjet head moves horizontally along the printing direction while out of the movement area of the inkjet head, the printing object is located next to the inkjet head.

그리고 거치 스테이지를 프린팅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프린팅 대상물이 잉크젯 헤드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이때 프린팅 진행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은 프린팅 대상물과 잉크젯 헤드가 충돌하지 않는 배치 방향이 되어, 잉크젯 헤드와 프린팅 대상물이 충돌하지 않는다. Then, the holding stage is moved horizontal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direction so that the printing object is positioned below the inkjet head. At this time,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direction is an arrangement direction in which the printing object and the inkjet head do not collide, The inkjet head and printing object do not collid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example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matter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not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기판
100: 베이스부
200: 레그
210: 헤드부
220: 길이조절부
230: 회전축
240: 흡착공
300: 잉크젯 헤드
10: substrate
100: base part
200: Leg
210: head part
220: Length adjustment part
230: rotation axis
240: suction hole
300: Inkjet head

Claims (15)

잉크젯 프린터에서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위치가 변경되며 프린팅 노즐이 대향되는 위치에 프린팅이 수행되는 프린팅 대상물을 위치시키는 거치 스테이지로서,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를 받치며,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복수의 레그를 구비하고,
각 레그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거치된 프린팅 대상물의 거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프린팅 대상물에서 프린팅이 수행되는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변경되어도,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과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
In an inkjet printer, the position opposite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changes along the direction of printing, and the printing object to be printed is placed at the position where the printing nozzle is opposed.
It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printing object and has a plurality of legs whose heights are individually adjusted,
By individ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leg to adjust the mounting shape of the mounted printing object, even if the surface oppos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where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printing object changes, the surface oppos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and the inkjet printer A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nozzles of the inkjet printer is kept constant and the surface opposite to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can be controlled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한 프린팅 대상물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프린팅 대상물을 수평 직선 운동 시키는 제1수평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
In claim 1,
A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further comprising a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that moves the printing object horizontally and linearly in order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rinting object with respect to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along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청구항 2에 있어서,
복수의 레그가 설치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수평이동장치가 베이스부를 수평방향으로 직선 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
In claim 2,
It further includes a base portion on which a plurality of legs are installed,
A mount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moves the base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linear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에 접촉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에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
In claim 1,
The leg is,
A h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rinting object; and
It includes a length adjustment part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head part,
A mount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접촉한 프린팅 대상물을 흡인하여 고정하는 흡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
In claim 4,
A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is formed with a suction hole that attracts and fixes the printing object in contac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프린팅 대상물이 형상에 맞추어 표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
In claim 4,
A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ose surface shape can be modified to match the shape of the printing object.
청구항 1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린팅 대상물을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
In claim 1,
A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printing object about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청구항 1에 있어서,
프린팅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프린팅 대상물을 수평 직선 운동 시키는 제2수평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용 거치 스테이지.
In claim 1,
A holding stage for an inkjet printer for curved printing, further comprising a second horizontal movement device that moves the printing object horizontally and linearly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잉크젯 헤드;
상기 잉크젯 헤드의 하부에 위치하며 프린팅 대상물이 설치되는 거치 스테이지; 및
상기 잉크젯 헤드 또는 상기 거치 스테이지 중에 적어도 하나를 프린팅 진행방향을 따라서 수평 이동 시켜서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한 프린팅 대상물의 상대적인 위치를 변경하는 제1수평이동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를 받치며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복수의 레그를 구비하고,
각 레그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여 거치된 프린팅 대상물의 거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프린팅 대상물에서 프린팅이 수행되는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변경되어도,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과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잉크젯 프린터의 노즐에 대향되는 면이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거치 스테이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An inkjet head including a nozzle that ejects ink;
A mounting stage located below the inkjet head and on which a printing object is installed; and
A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that changes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rinting object with respect to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by horizontally moving at least one of the inkjet head or the mounting stage along the printing direction,
The mounting stag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that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printing object and whose height is individually adjusted,
By individually adjusting the height of each leg to adjust the mounting shape of the mounted printing object, even if the surface oppos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where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printing object changes, the surface opposing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and the inkjet printer An inkjet printer equipped with a supporting stage for curve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nozzles of the inkjet printer is kept constant and the surface opposite to the nozzle of the inkjet printer can be controlled to be parallel to the groun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복수의 레그가 설치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수평이동장치가 베이스부를 수평방향으로 직선 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거치 스테이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In claim 9,
The mounting stage further includes a base portion on which a plurality of legs are installed,
An inkjet printer equipped with a mounting stage for curved printing,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movement device moves the base por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linearly.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프린팅 대상물의 하부에 접촉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길이조절부의 상부에서 각도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거치 스테이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In claim 9,
The leg is,
A hea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printing object; and
It includes a length adjustment part that adjusts the height of the head part,
An inkjet printer equipped with a mounting stage for curved printing, wherein the head part is connected to an upper part of the length adjustment part so that the angle can be chang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에는 접촉한 프린팅 대상물을 흡인하여 고정하는 흡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거치 스테이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In claim 11,
An inkjet printer equipped with a holding stage for curve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ortion is formed with a suction hole that attracts and fixes the printing object in contac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프린팅 대상물이 형상에 맞추어 표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거치 스테이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In claim 11,
An inkjet printer equipped with a holding stage for curved printing,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ose surface shape can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rinting object.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프린팅 대상물을 회전할 수 있는 회전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거치 스테이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In claim 9,
An inkjet printer with a holding stage for curved prin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stage further includes a rotation device that can rotate the printing object about a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거치 스테이지는 프린팅 진행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프린팅 대상물을 수평 직선 운동 시키는 제2수평이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 프린팅을 위한 거치 스테이지를 구비한 잉크젯 프린터.
In claim 9,
The holding stage further includes a second horizontal movement device that moves the printing object in a horizontal straight lin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inting progress direction.
KR1020220112674A 2022-09-06 2022-09-06 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surface printing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KR202400338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674A KR20240033872A (en) 2022-09-06 2022-09-06 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surface printing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674A KR20240033872A (en) 2022-09-06 2022-09-06 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surface printing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872A true KR20240033872A (en) 2024-03-13

Family

ID=9029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674A KR20240033872A (en) 2022-09-06 2022-09-06 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surface printing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87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466B1 (en) 2010-12-27 2012-06-28 (주)에스티아이 Driving method for ink jet he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466B1 (en) 2010-12-27 2012-06-28 (주)에스티아이 Driving method for ink jet hea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213B1 (en) Fluid deposition device
EP1918113B1 (en) Three-dimensional printer
JP6656102B2 (en) Coating device and coating method
KR100863527B1 (en) Method for forming mark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KR101279008B1 (en) Printheads and systems using printheads
US11376847B2 (en) Liquid droplet ejection device and liquid droplet ejection method
US20140118444A1 (en) Apparatus for Jetting Droplet and Apparatus for Jetting Droplet Using Nanotip
KR20240033872A (en) Mounting stage for ink-jet printer for curved surface printing and ink-jet printer having the same
JP6243278B2 (en) Coating liqui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15196123A (en) coating liquid coating apparatus
JP6199084B2 (en) Printing device
JP2014223749A (en) Ink jet device and head arrangement method for ink jet device
JP2019109573A (en) Film formation apparatus and film formation method
JP2003305832A (en) Printer having mechanism for adjusting angle of inkjet head
KR20210044431A (en) Inkjet print apparatus and inkjet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20039996A (en) Liquid droplet application device and liquid droplet application method
TWI760131B (en) Pattern forming apparatus, pattern forming method, and discharge data generating method
JP2012206476A (en) Printing apparatus
JP2012206088A (en) Droplet eject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KR100993344B1 (en) Fixing apparatus of inkjet head
JP5923863B2 (en) Conveying apparatus and printing apparatus
JP2010064359A (en) Electrostatic liquid droplet discharge mechanism, and multi-nozzle unit
JP2012086194A (en) Drawing device and drawing method
JP2018001687A (en) Industrial inkjet drawing device
JP5682421B2 (en) Prin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