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641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641A
KR20240033641A KR1020230097556A KR20230097556A KR20240033641A KR 20240033641 A KR20240033641 A KR 20240033641A KR 1020230097556 A KR1020230097556 A KR 1020230097556A KR 20230097556 A KR20230097556 A KR 20230097556A KR 20240033641 A KR20240033641 A KR 20240033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connector
contact piec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헤이 가가미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3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6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9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multiple contact p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편에 의해 접촉하는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이 접촉편의 부분을 보유지지(保持)하는 하우징을 없앰으로써, 박형화의 요구를 적확하게 충족하도록 한다.
(해결 수단) 리셉터클 커넥터(2)에 있어서, 단자(10)는, 기판(100) 등의 소정의 부재에 실장되는 실장부(11)와, 이 실장부(11)에 연결되고, 당해 실장부(11)로부터 짧은쪽 방향(X)으로 연장되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아암부(12)를 갖고, 이 한 쌍의 아암부(12)는, 각각, 하우징(20)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13)와, 이 피보유지지부(13)에 연결되고,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와 접촉하는 접촉편(14)을 갖고, 단자(10)는, 실장부(11) 및 한 쌍의 아암부(12)가 각각 판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한 쌍의 아암부(12)의 판두께 방향(D2)이 실장부(11)의 판두께 방향(D1)과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단자 및 당해 단자를 보유지지(保持)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프린트 배선 기판이나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 및 하우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여러 가지의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공개특허공보 2012-49013호)에는,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홈부)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의 단자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접촉편을 구비하는 단자와, 상대 커넥터의 발출 시에 접촉편의 가장자리부에 맞닿음으로써 당해 접촉편의 변위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에서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의 일 방향(상 방향)으로의 접촉편의 변위를 억제하기 위해, 접촉편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방향의 일 방향측(상측)에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접촉편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방향의 다른 방향측(하측)에도 하우징이 설치되고, 당해 하우징에 의해 접촉편이 지지되어 있다. 그 외에도,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17641호)에, 상기의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4901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평5-217641호
최근, 스마트 폰이나 휴대 단말 등의 전자 기기의 소형화나 고기능화 등에 따라, 프린트 배선 기판에 탑재되는 전자 부품의 고밀도 실장화가 진행되고 있고, 그에 수반하여, 전기 커넥터 자체의 박형화(저배화) 등도 요구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의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기 커넥터에서는, 단자의 접촉편에 있어서 끼워맞춤 방향의 일 방향측 및 다른 방향측(상측 및 하측)에 하우징이 설치되어 있는, 즉 접촉편이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에 의해 끼워져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서는, 하우징-단자-하우징의 3층 구조가 되어, 끼워맞춤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를 박형화하는 것이 곤란했다.
상기와 같이 전기 커넥터를 3층 구조로 하는 이유의 하나로서, 접촉편의 판두께 방향이 끼워맞춤 방향을 따르도록, 환언하면 접촉편의 판면이 끼워맞춤 방향에 직교하여 연재하도록, 단자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단자를 구성한 경우에는, 접촉편의 끼워맞춤 방향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의 단자의 삽입 시 또는 발출 시에 접촉편이 크게 변위하여 좌굴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단자의 접촉편의 좌굴을 억제하기 위해, 접촉편의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해,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접촉편을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전형적으로는, 이러한 3층 구조의 전기 커넥터는, 단자를 하우징에 압입함으로써 만들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편에 의해 접촉하는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이 접촉편의 부분을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없앰으로써, 박형화의 요구를 적확하게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단자 및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단자는, 소정의 부재에 실장되는 실장부와, 이 실장부에 연결되고, 당해 실장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아암부를 갖고, 이 한 쌍의 아암부는, 각각,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이 피보유지지부에 연결되고,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단자는, 실장부 및 한 쌍의 아암부가 각각 판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한 쌍의 아암부의 판두께 방향이 실장부의 판두께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편에 의해 접촉하는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이 접촉편의 부분을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없앰으로써, 박형화의 요구를 적확하게 충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플러그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리셉터클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1개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Ⅵ-Ⅵ선을 따라 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1개의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1개의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1개의 단자를 구성하는 판 형상 부재의 전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 전의 측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 중의 ⅩⅡB-ⅩⅡB선을 따라 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 시의 측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 중의 ⅩⅢB-ⅩⅢB선을 따라 본,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원칙, 동일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반복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변형예도 포함함)는, 독립적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서로의 구성 요소를 조합하여, 전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플러그 커넥터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리셉터클 커넥터측(도 1과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는, 리셉터클 커넥터(2) 및 플러그 커넥터(3)를 갖고 있고, 이들 리셉터클 커넥터(2) 및 플러그 커넥터(3)는 끼워맞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 및 플러그 커넥터(3)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커넥터(2, 3)」 또는 간단히 「커넥터」라고 표기한다. 커넥터(2, 3)는, 도시하지 않는 소정 부재로서의 프린트 배선 기판 등의 기판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커넥터(2) 및 플러그 커넥터(3)는, 각각의 저벽(25)(도 2 참조) 및 저벽(43)(도 1 참조)의 측에 있어서 기판에 부착된다. 또한, 커넥터(2, 3)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스마트 폰, 디지털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내부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 커넥터」의 일 예이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2)는, 상기한 기판 이외에도,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의 여러 가지의 부재(소정의 부재)에 실장 가능하지만, 이하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를 기판에 실장하는 예를 든다.
여기에서, 도 1 및 도 2에서는(다른 도면도 동일), 커넥터의 짧은쪽 방향(폭방향)을 「X」라고 표기하고(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방향」에 상당함), 커넥터의 긴쪽 방향(안길이 방향)을 「Y」라고 표기하고(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방향」에 상당함),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향(상하 방향)을 「Z」라고 표기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어느 커넥터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측을 「상」 또는 「앞」이라고 정의하고, 기판에 부착되는 측을 「하」 또는 「뒤」라고 정의한다.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 「Z1」로 나타내는 방향이 「상 방향」에 상당하고,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 「Z2」로 나타내는 방향이 「하 방향」에 상당하고, 한편으로, 플러그 커넥터(3)에서는,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 「Z2」로 나타내는 방향이 「상 방향」에 상당하고,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 「Z1」로 나타내는 방향이 「하 방향」에 상당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는, 주로, 단자(10)와, 이 단자(10)를 보유지지하는 하우징(20)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리셉터클 커넥터(2)는, 짧은쪽 방향(X) 및 긴쪽 방향(Y)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 4개의 단자(10)를 갖고, 이들 4개의 단자(10)가 하우징(20)에 보유지지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2)는, 단자(10)를 형성하는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 부재와, 하우징(20)을 형성하는 액정 폴리머(LCP)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에 의해 작성된다. 전형적인 예에서는, 단자(10)가 하우징(20)에 대하여 인서트 성형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은, 긴쪽 방향(Y)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외벽(환언하면 둘레벽)을 구성함과 함께, 짧은쪽 방향(X)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외벽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제1 측벽(21)과, 이 제1 측벽(21)에 연결되고, 짧은쪽 방향(X)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외벽의 다른 부분(제1 측벽(21) 이외의 부분)을 구성하는 제2 측벽(22)과, 각 단자(10)의 긴쪽 방향(Y)의 양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짧은쪽 방향(X)으로 연장되는 3개의 내벽(23)과, 이들 3개의 내벽(23)의 사이에 설치된 2개의 오목부(24)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20)은, 저벽(25)을 갖고, 이 저벽(25)에는, 단자(10)를 납땜에 의해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실장부(11)가 노출되어 있다(도 2 참조). 실장부(11)는, 저벽(25)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벽(21)은, 제2 측벽(22)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제2 측벽(22)에 의해, 단자(10)의 짧은쪽 방향(X)의 일단을 보유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20)에 있어서는, 단자(10)를 보유지지하는 외벽의 부분만이 제2 측벽(22)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이외의 외벽의 부분은 제1 측벽(2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벽(21)은, 그의 내측에, 끼워맞춤 방향(Z)으로 연장되는 관통공(21a)을 형성하고 있고, 이 관통공(21a)은, 짧은쪽 방향(X)으로 패인 4개의 오목부(21b)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4개의 오목부(21b)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4모퉁이 부근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측벽(21)은, 그의 상단에, 하 방향(Z2)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1c)이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하우징(20)은, 4개의 단자(10)의 각각의 일부분(후술하는 아암부(12)의 접촉편(14))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끼워맞춤 방향(Z)으로 연장되는 4개의 관통공(26)도 갖는다(도 2도 참조).
이어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는, 주로, 단자(30)와, 이 단자(30)를 보유지지하는 하우징(40)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커넥터(3)는, 짧은쪽 방향(X) 및 긴쪽 방향(Y)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된 4개의 단자(30)를 갖고, 이들 4개의 단자(30)가 하우징(40)에 보유지지된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3)는, 단자(30)를 형성하는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 부재와, 하우징(40)을 형성하는 액정 폴리머(LCP)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일체 성형에 의해 작성된다. 전형적인 예에서는, 단자(30)가 하우징(40)에 대하여 인서트 성형된다.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은, 긴쪽 방향(Y)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외벽(환언하면 둘레벽)을 구성하는 제1 측벽(41)과, 이 제1 측벽(41)에 연결되고, 짧은쪽 방향(X)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외벽을 구성하고, 또한, 단자(30)의 짧은쪽 방향(X)의 일단을 보유지지하는 제2 측벽(42)과, 단자(30)의 짧은쪽 방향(X)의 타단을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44)를 갖는다. 제1 측벽(41)은, 제2 측벽(42)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측벽(41)에는, 짧은쪽 방향(X)으로 돌출된 4개의 볼록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4개의 볼록부(41a)는, 플러그 커넥터(3)의 4모퉁이에 위치한다. 또한, 하우징(40)은, 저벽(43)을 갖고, 이 저벽(43)에는, 단자(30)를 납땜에 의해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실장부(31)가 노출되어 있다(도 1 참조). 실장부(31)는, 저벽(43)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3)의 끼워맞춤,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과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끼워맞춤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커넥터(2, 3)가 끼워맞춤하는 과정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에 있어서 높게 형성된 제1 측벽(21)과,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에 있어서 높게 형성된 제1 측벽(41)이 접촉한다. 이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의 제1 측벽(21)에 형성된 오목부(21b)와,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제1 측벽(41)에 형성된 볼록부(41a)가, 커넥터(2, 3)가 끼워맞춤할 때의 위치 맞춤을 가이드한다. 더하여, 하우징(20)의 제1 측벽(21)에 형성된 경사면(21c)이나, 하우징(40)의 제1 측벽(41)에 형성된 경사면(41b)도, 끼워맞춤 시의 위치 맞춤을 가이드한다. 그 외에도, 리셉터클 커넥터(2)에 있어서 하우징(20)의 제2 측벽(22)이나 내벽(23)이나 단자(10) 등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이나, 플러그 커넥터(3)에 있어서 하우징(40)의 보유지지부(44)나 단자(30) 등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도, 끼워맞춤 시의 위치 맞춤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커넥터(2, 3)가 끼워맞춤하면, 리셉터클 커넥터(2)의 내측에 플러그 커넥터(3)의 전체가 꼭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의 제1 측벽(21)에 형성된 관통공(21a)에,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제1 측벽(41)이 수용된다(끼워 넣어진다). 이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의 제1 측벽(21)에 형성된 오목부(21b)와,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제1 측벽(41)에 형성된 볼록부(41a)가 걸어맞춤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의 내벽(23)의 사이에 설치된 오목부(24)에,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보유지지부(44)가 수용된다.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3)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3)로부터 발출한 일부분, 상세하게는 1개의 단자(30)와 그의 주변의 하우징(40)의 부분을,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3)의 1개의 단자(30)만을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구성을 주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은, 단자(30)의 짧은쪽 방향(X)의 일단을 제2 측벽(42)에 형성된 보유지지부(45)에 의해 보유지지하고, 단자(30)의 짧은쪽 방향(X)의 타단을 보유지지부(44)에 의해 보유지지한다. 다른 한편으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는, 납땜에 의해 단자(30)를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실장부(31)와, 이 실장부(31)에 연결되고, 하우징(40)의 보유지지부(45)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32)와, 이 피보유지지부(32)에 연결되고,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와 접촉하는 접촉부(33)와, 이 접촉부(33)에 연결되고, 하우징(40)의 보유지지부(44)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34)를 갖고 있고, 이들 구성부는 짧은쪽 방향(X)을 따라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자(30)에 있어서는, 하우징(40)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32, 34)를 제외한 실장부(31) 및 접촉부(33)의 부분만이 노출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자(30)의 접촉부(33)는, 긴쪽 방향(Y)에 있어서 양측에 있는 측면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상세하게는 후술하는 한 쌍의 아암부(12)의 접촉편(14))와 접촉하는 접촉면(33a)을 구성한다. 또한, 접촉부(33)는, 그의 상단에, 하 방향(Z1)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33b)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 중의 Ⅵ-Ⅵ선을 따라 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발출한 일부분, 상세하게는 1개의 단자(10)와 그의 주변의 하우징(20)의 부분을,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로부터 발출한 일부분, 상세하게는 1개의 단자(10)와 그의 주변의 하우징(20)의 부분을, 긴쪽 방향(Y)을 따라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의 1개의 단자(10)만을 비스듬한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의 1개의 단자(10)만을 긴쪽 방향(Y)을 따라 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의 1개의 단자(10)를 구성하는 판 형상 부재를 절곡하기 전의 전개도이다. 또한, 여기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의 구성을 주로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상기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짧은쪽 방향(X) 및 긴쪽 방향(Y)으로 연장되고, 오목부(21b)를 포함하는 관통공(21a)을 형성하는 제1 측벽(21)과, 긴쪽 방향(Y)으로 연장되고, 단자(10)의 짧은쪽 방향(X)의 일단을 보유지지하는 제2 측벽(22)과, 각 단자(10)의 긴쪽 방향(Y)의 양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짧은쪽 방향(X)으로 연장되는 3개의 내벽(23)과, 이들 3개의 내벽(23)의 사이에 설치되고,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보유지지부(44)를 수용하는 2개의 오목부(24)와, 4개의 단자(10)의 각각의 아암부(12)의 일부분(구체적으로는 접촉편(14))을 수용하도록 끼워맞춤 방향(Z)으로 연장되는 4개의 관통공(26)을 갖는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제1 측벽(21)의 끼워맞춤 방향(Z)의 길이(L11)는, 하우징(20)의 제2 측벽(22)의 끼워맞춤 방향(Z)의 길이(L12) 및 내벽(23)의 끼워맞춤 방향(Z)의 길이(L13)보다도 길다(L11>L12, L13). 즉, 하우징(20)에 있어서는, 제1 측벽(21)은, 제2 측벽(22) 및 내벽(23)보다도 상 방향(Z1)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환언하면, 제1 측벽(21)의 상단은, 제2 측벽(22) 및 내벽(23)의 각각의 상단보다도 위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가 플러그 커넥터(3)와 끼워맞춤할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2)에 있어서 하우징(20)의 제1 측벽(21)을 제2 측벽(22) 및 내벽(23)보다도 먼저, 플러그 커넥터(3)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20)의 주된 외벽(둘레벽)을 구성하는 제1 측벽(21)에 있어서 끼워맞춤 시의 위치 맞춤을 대략적으로 행하고 나서, 하우징(20)의 제2 측벽(22) 및 내벽(23)에 있어서 미세한 위치 맞춤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하우징(20)에 있어서는, 제2 측벽(22)의 끼워맞춤 방향(Z)의 길이(L12)는, 내벽(23)의 끼워맞춤 방향(Z)의 길이(L13)보다도 약간 길어져 있다(L12>L13).
이어서,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는, 주로, 납땜에 의해 단자(10)를 기판에 접속하기 위한 실장부(11)와, 이 실장부(11)에 연결되고, 당해 실장부(11)로부터 짧은쪽 방향(X) 및 상 방향(Z1)으로 연장되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아암부(12)를 갖는다. 이 경우, 한 쌍의 아암부(12)는, 일체를 이루는 실장부(11)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즉 한 쌍의 아암부(12)는 1개의 실장부(11)를 공용하고 있다. 또한, 단자(10)의 아암부(12)는, 하우징(20)의 제2 측벽(22)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13)와, 이 피보유지지부(13)에 연결되고, 당해 피보유지지부(13)로부터 짧은쪽 방향(X)으로 연장되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접촉편(14)을 갖는다.
이러한 단자(10)의 접촉편(14)은, 한 쌍의 아암부(12)의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삽입되면, 긴쪽 방향(Y)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고, 그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에 탄성력(접촉 압력)을 부여한다. 그 결과, 아암부(12)의 접촉편(14)이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를 보유지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 간의 전기적 접속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부(12)는, 그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삽입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보유지지부(45)를 수용 가능하게 이간하고 있다. 또한, 아암부(12)의 접촉편(14)은, 그의 상단에, 하 방향(Z2)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14a)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짧은쪽 방향(X)에 있어서 피보유지지부(13)가 연결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와 접촉하는 부분인 접촉부(15)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아암부(12)(피보유지지부(13) 및 접촉편(14)을 포함함)의 각각의 판두께 방향(D2)(길이 방향(Y)을 따르고 있음)이, 실장부(11)의 판두께 방향(D1)(끼워맞춤 방향(Z)을 따르고 있음)과 직교하도록, 단자(10)가 구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아암부(12)의 판면(단자(10)를 구성하는 금속판 등의 판 형상 부재를 신장시킬 때에 롤러가 접촉하는 면(롤면)에 상당함)이 끼워맞춤 방향(Z)을 따라 연재하도록, 단자(10)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자(10)를 구성한 경우에는, 전술한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접촉편의 판두께 방향이 끼워맞춤 방향(Z)을 따르도록 구성된 단자, 환언하면 접촉편의 판면이 끼워맞춤 방향(Z)에 직교하여 연재하도록 구성된 단자(이하에서는 적절히 「비교예」라고 칭함)보다도, 접촉편(14)의 끼워맞춤 방향(Z)의 길이가 길어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비교예와 비교하여,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아암부(12)로의 삽입 시 또는 아암부(12)로부터의 발출 시에 있어서, 아암부(12)의 접촉편(14)의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접촉편(14)의 좌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10)의 아암부(12)의 접촉편(14)에 있어서는, 하 방향(Z2)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b)가 접촉부(15)에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5b)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여, 접촉부(15)의 긴쪽 방향(Y)에 있어서의 내측의 측면(다른 한쪽의 아암부(12)의 접촉부(15)에 접하는 측면)이,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와 접촉하는 접촉면(15a)을 구성한다. 이러한 하 방향(Z2)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5b)를 포함하는 접촉부(15)를 이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를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와 끼워맞춤시킴으로써, 단자(10)에 있어서의 단자(30)와의 끼워맞춤 방향(Z)을 따른 접촉 길이(유효 끼워맞춤 길이에 상당함)를 연장시킬 수 있는, 즉 단자(10)에 있어서의 단자(30)와의 접촉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접촉편(14)에 있어서의 접촉부(15)의 돌출부(15b)의 선단은,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한 쌍의 아암부(12)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에 접촉편(14)의 하 방향(Z2)으로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16)를 구성한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한 쌍의 아암부(12)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에 접촉편(14)이 하 방향(Z2)으로 변위해도, 당해 접촉부(15)의 돌출부(15b)의 선단에 있는 규제부(16)가 기판(100)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도 10 참조), 접촉편(14)이 하 방향(Z2)으로 이 이상 변위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접촉편(14)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규제부(16)를, 끼워맞춤 시에 있어서 접촉편(14)의 변위가 가장 커지는 짧은쪽 방향(X)에 있어서의 단부(즉 접촉부(15))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편(14)의 좌굴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단자(10)의 한 쌍의 아암부(12)의 접촉편(14)은, 하우징(20)의 관통공(26)에 수용되어 있고, 또한, 한 쌍의 아암부(12)의 각각의 접촉편(14)의 긴쪽 방향(Y)측에는, 하우징(20)의 내벽(23)이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다(도 1, 도 5도 참조). 즉, 한 쌍의 아암부(12)는, 그의 긴쪽 방향(Y)의 양측에 있는 한 쌍의 내벽(23)에 의해 사이에 두어져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의 내벽(23)에 의하면, 단자(10)의 한 쌍의 아암부(12)의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삽입되었을 때에, 당해 한 쌍의 아암부(12)의 긴쪽 방향(Y)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삽입에 의해 긴쪽 방향(Y)으로 확대된 한 쌍의 아암부(12)가, 옆의 단자(10)의 아암부(1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벽(23)은, 단자(10)의 접촉편(14)보다도 상 방향(Z1)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내벽(23)의 상단은, 접촉편(14)의 상단보다도 위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가 플러그 커넥터(3)와 끼워맞춤할 때에, 하우징(20)의 내벽(23)을 단자(10)의 접촉편(14)보다도 먼저 플러그 커넥터(3)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의 내벽(23)에 있어서 끼워맞춤 시의 위치 맞춤을 먼저 가이드하고 나서(특히 내벽(23)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23a)이 이 위치 맞춤을 효과적으로 가이드함),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를 단자(10)의 한 쌍의 접촉편(14)의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절히 위치 맞춤되어 있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단자(10)의 접촉편(14)에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는, 접촉편(14)의 좌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0)의 내벽(23)에는, 그의 상단으로부터 하 방향(Z2)으로 연장되는 절결부(27)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절결부(27)는, 내벽(23)에 있어서, 접촉편(14)의 접촉부(15)에 대체로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의 내벽(23)에 형성된 절결부(27)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인서트 성형에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내벽(23)의 절결부(27)는, 단자(10)의 접촉편(14)을 긴쪽 방향(Y)에 있어서 인서트 성형의 금형으로 사이에 끼우기 위해 이용된다.
더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 하우징(20)의 절결부(27)의 단부(즉 내벽(23)에 있어서 절결부(27)가 형성된 부분의 상단)와, 단자(10)의 접촉편(14)의 하단의 사이에는, 간극(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28)도, 리셉터클 커넥터(2)의 인서트 성형에서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서트 성형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2)의 상측 및 하측의 각각에 설치되는 금형을, 이러한 간극(28)에 있어서 오버랩시킴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의 금형을 간극(28) 내에 배치함과 함께, 상측의 금형을 간극(28)의 긴쪽 방향(Y)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접촉편(14) 주변의 하우징(20)을 위한 수지를 적절히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가 접촉편(14)과 절결부(27)의 극간을 누출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는, 절단되어 성형된 하나로 이어지는 판 형상 부재(금속판 등)를, 화살표(A1)로 나타내는 부분에 있어서 절곡함으로써 작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아암부(12)에 대응하는 부분을 기립하도록, 판 형상 부재가 화살표(A1)로 나타내는 부분에 있어서 만곡된다. 여기에서, 단자(10)의 한 쌍의 아암부(12)에 있어서는, 피보유지지부(13)의 길이(L21)가, 접촉편(14)(엄밀하게는 접촉부(15)를 제외한 부분)의 길이(L22)보다도 길게 구성되어 있다(도 10도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한 쌍의 아암부(12)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의 접촉편(14)의 휨에 의한 응력을, 접촉편(14)보다도 길게 구성된 피보유지지부(13)의 부분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편(14)의 탄성을 적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촉편(14)의 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접촉편(14)의 길이(L22)를 길게 구성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그렇게 하면 박형화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 않다. 한편으로, 피보유지지부(13)에 대해서는, 하우징(20)의 제2 측벽(22)에 보유지지되고(실제, 피보유지지부(13)의 길이(L21)는 제2 측벽(22)의 길이(L12)와 동(同)정도로 되어 있음), 이와 같이 피보유지지부(13)를 포함하는 제2 측벽(22)의 부분은, 커넥터(2, 3)의 끼워맞춤 시에 있어서 커넥터(3)의 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피보유지지부(13)의 길이(L21)를 길게 구성해도 박형화의 요구를 저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단자(10)의 피보유지지부(13)는, 그의 상 방향(Z1)측의 상면이 하우징(20)의 제2 측벽(22)으로부터 노정(露呈)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이에 따라, 이 피보유지지부(13)의 노정 부분에 검사 핀을 맞닿게 함으로써, 단자(10)를 검사 가능하다.
[단자의 끼워맞춤]
다음으로,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를 참조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와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끼워맞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2, 3)의 끼워맞춤 전의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a는, 커넥터(2, 3)로부터 발출한 일부분, 보다 상세하게는 1개의 단자(10) 및 1개의 단자(30)와 그들 주변의 하우징(20, 40)의 부분을, 긴쪽 방향(Y)을 따라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12b는, 이 도 12a 중의 ⅩⅡB-ⅩⅡB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2, 3)의 끼워맞춤 시의 측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a는, 커넥터(2, 3)로부터 발출한 일부분, 보다 상세하게는 1개의 단자(10) 및 1개의 단자(30)와 그들 주변의 하우징(20, 40)의 부분을, 긴쪽 방향(Y)을 따라 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13b는, 이 도 13a 중의 ⅩⅢB-ⅩⅢB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2, 3)의 끼워맞춤 전에 있어서는,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접촉부(33)를,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의 한 쌍의 아암부(12)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접촉편(14)의 사이(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접촉편(14)의 각각의 접촉부(15)의 사이)에 삽입하기 위해, 짧은쪽 방향(X) 및 긴쪽 방향(Y)에 대해서 커넥터(2, 3)가 위치 맞춤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의 제1 측벽(21), 제2 측벽(22) 및 내벽(23)이나,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제1 측벽(41) 등, 또한, 이들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21c, 22a, 23a, 41b) 등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과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끼워맞춤을 위한 위치 맞춤이 가이드된다. 그리고,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접촉부(33)가,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의 한 쌍의 접촉편(14)의 사이에 삽입될 때에는, 단자(30)의 접촉부(33)의 경사면(33b) 및 단자(10)의 접촉편(14)의 경사면(14a)에 의해, 이 삽입이 가이드된다.
이 후,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접촉부(33)가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의 한 쌍의 접촉편(14)의 사이에 삽입을 끝내면,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커넥터(2, 3)의 끼워맞춤 상태가 된다. 이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의 한 쌍의 접촉편(14)의 각각에 있어서 긴쪽 방향(Y)의 내측에 있는 접촉면(15a)과,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접촉부(33)에 있어서 긴쪽 방향(Y)의 양측에 있는 접촉면(33a)이 접촉한다.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의 한 쌍의 접촉편(14)이 긴쪽 방향(Y)의 외측으로 탄성 변형하고, 그리고, 이 접촉편(14)의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려고 하는 힘(탄성력(접촉 압력))이,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접촉부(33)에 부여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와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전기적 접속이 확보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끼워맞춤 시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의 접촉편(14)이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삽입에 의해 하 방향(Z2)으로 변위함으로써, 접촉편(14)의 접촉부(15)의 하단에 있는 규제부(16)가, 기판(100)의 상면에 접촉하는 경향이 있다(도 10도 참조). 그에 따라, 접촉편(14)의 하 방향(Z2)으로의 변위가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단자(10)는, 기판(100) 등의 소정의 부재에 실장되는 실장부(11)와, 이 실장부(11)에 연결되고, 당해 실장부(11)로부터 짧은쪽 방향(X)으로 연장되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아암부(12)를 갖고, 이 한 쌍의 아암부(12)는, 각각, 하우징(20)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13)와, 이 피보유지지부(13)에 연결되고,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와 접촉하는 접촉편(14)을 갖고, 단자(10)는, 실장부(11) 및 한 쌍의 아암부(12)가 각각 판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한 쌍의 아암부(12)의 판두께 방향(D2)이 실장부(11)의 판두께 방향(D1)과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에 있어서, 아암부(12)의 판면이 끼워맞춤 방향(Z)을 따라 연재하도록, 단자(10)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자(10)를 구성한 경우에는, 접촉편의 판두께 방향이 끼워맞춤 방향(Z)을 따르도록 구성(환언하면 접촉편의 판면이 끼워맞춤 방향(Z)에 직교하여 연재하도록 구성)된 비교예에 따른 단자보다도, 접촉편(14)의 끼워맞춤 방향(Z)의 길이가 길어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비교예와 비교하여,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아암부(12)로의 삽입 시 또는 아암부(12)로부터의 발출 시에 있어서, 아암부(12)의 접촉편(14)의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의 변위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접촉편(14)의 좌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비교예와 같이, 단자(10)의 접촉편(14)을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 하우징(20)에 의해 보유지지할 필요가 없어지고, 구체적으로는 접촉편(14)의 상측 및 하측을 하우징(20)에 의해 사이에 끼워 하우징-단자-하우징의 3층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단자(10)를 박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하여, 비교예와 같이, 접촉편(14)을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 하우징(20)으로 보유지지하는 경우, 하우징(20)을 긴쪽 방향(Y)에 있어서의 접촉편(14)의 양측에 설치하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러한 하우징(20)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2)의 긴쪽 방향(Y)의 사이즈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하우징(20)은, 끼워맞춤 방향(Z)으로 연장되는 관통공(26)을 갖고, 단자(10)의 접촉편(14)은, 이 관통공(26) 내에 수용된다. 이와 같이 단자(10)의 접촉편(14)을, 그의 상측 및 하측에 하우징(20)이 존재하지 않는 관통공(26) 내에 설치함으로써, 단자(10)를 효과적으로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단자(10)의 접촉편(14)은, 그의 하단부에,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한 쌍의 아암부(12)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에 접촉편(14)의 하 방향(Z2)으로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16)를 갖는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삽입에 의해 접촉편(14)이 하 방향(Z2)으로 변위해도, 당해 접촉편(14)의 하단부가 규제부(16)에 접촉함으로써, 접촉편(14)이 하 방향(Z2)으로 이 이상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접촉편(14)의 좌굴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단자(10)의 접촉편(14)은, 짧은쪽 방향(X)에 있어서 피보유지지부(13)가 연결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와 접촉하는 접촉부(15)를 갖고, 이 접촉부(15)는, 하 방향(Z2)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 돌출된 부분(돌출부(15b))의 선단에 규제부(16)를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15b)를 포함하는 접촉부(15)를 이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와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를 끼워맞춤시킴으로써, 단자(10)에 있어서의 단자(30)와의 끼워맞춤 방향(Z)을 따른 접촉 길이(유효 끼워맞춤 길이에 상당함)를 연장시킬 수 있는, 즉 단자(10)에 있어서의 단자(30)와의 접촉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규제부(16)를, 접촉편(14)의 접촉부(15)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즉 끼워맞춤 시에 있어서 접촉편(14)의 변위가 가장 커지는 짧은쪽 방향(X)에 있어서의 단부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편(14)의 좌굴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단자(10)의 피보유지지부(13)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방향(Z)의 길이(L21)는, 단자(10)의 접촉편(14)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방향(Z)의 길이(L22)보다도 길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한 쌍의 아암부(12)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의 접촉편(14)의 휨에 의한 응력을, 접촉편(14)보다도 길게 구성된 피보유지지부(13)의 부분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접촉편(14)의 탄성을 적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단자(10)의 접촉편(14)은, 그의 상단에 경사면(14a)을 갖는다. 이러한 접촉편(14)에 형성된 경사면(14a)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아암부(12)의 사이로의 삽입을 적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단자(10)의 한 쌍의 아암부(12)는,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당해 한 쌍의 아암부(12)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에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일부(보유지지부(45))를 수용 가능하게 이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2, 3)의 끼워맞춤 시에,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의 아암부(12)와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일부가 간섭하는 것을 적확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단자(10)의 한 쌍의 아암부(12)는, 일체를 이루는 실장부(11)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아암부(12)에서 1개의 실장부(11)를 공용함으로써, 단자(1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하우징(20)은, 그의 가장자리 단(端) 부근에,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에 형성된 볼록부(41a)가 걸어맞춤되는 오목부(21b)를 갖는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에 형성된 오목부(21b)와,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에 형성된 볼록부(41a)를 이용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3)의 끼워맞춤,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과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의 끼워맞춤을 위한 위치 맞춤을 적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는, 끼워맞춤 방향(Z) 및 긴쪽 방향(Y)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단자(10)를 갖고, 하우징(20)은, 단자(10)의 한 쌍의 아암부(12)의 각각에 대하여 긴쪽 방향(Y)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짧은쪽 방향(X)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내벽(23)을 갖는다. 이러한 하우징(20)의 내벽(23)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삽입에 의해 한 쌍의 아암부(12)가 긴쪽 방향(Y)으로 변위해도, 당해 한 쌍의 아암부(12)가 내벽(23)에 접촉함으로써, 한 쌍의 아암부(12)가 긴쪽 방향(Y)으로 이 이상 변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의 삽입에 의해 긴쪽 방향(Y)으로 확대된 한 쌍의 아암부(12)가, 옆의 단자(10)의 아암부(1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하우징(20)의 내벽(23)에는, 그의 일부분에 끼워맞춤 방향(Z)으로 연장되는 절결부(27)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 방향(Z)에 있어서 절결부(27)의 단부와 단자(10)의 접촉편(14)의 단부의 사이에는 간극(2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우징(20)의 내벽(23)에 형성된 절결부(27)에 의해, 단자(10)를 하우징(20)에 대하여 적확하게 인서트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의 내벽(23)의 절결부(27)와 단자(10)의 접촉편(14)의 사이에 간극(28)을 설치함으로써,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접촉편(14) 주변의 하우징(20)을 위한 수지를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지가 접촉편(14)과 절결부(27)의 극간을 누출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하우징(20)의 내벽(23)은, 단자(10)의 접촉편(14)보다도 상 방향(Z1)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즉, 내벽(23)의 상단은, 접촉편(14)의 상단보다도 위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가 플러그 커넥터(3)와 끼워맞춤할 때에, 하우징(20)의 내벽(23)을 단자(10)의 접촉편(14)보다도 먼저 플러그 커넥터(3)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의 내벽(23)에 의해 끼워맞춤 시의 위치 맞춤을 가이드한 후에,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를 단자(10)의 접촉편(14)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적절히 위치 맞춤되어 있지 않은 플러그 커넥터(3)의 단자(30)가 단자(10)의 접촉편(14)에 접촉하는 것에 기인하는, 접촉편(14)의 좌굴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에서는, 하우징(20)은, 내벽(23)의 외측에 설치되고, 또한, 내벽(23)보다도 상 방향(Z1)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제1 측벽(21)을 갖는다. 즉, 제1 측벽(21)의 상단은, 내벽(23)의 상단보다도 위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2)가 플러그 커넥터(3)와 끼워맞춤할 때에, 리셉터클 커넥터(2)에 있어서 하우징(20)의 제1 측벽(21)을 내벽(23)보다도 먼저, 플러그 커넥터(3)에 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20)의 주된 외벽(둘레벽)을 구성하는 제1 측벽(21)에 있어서 끼워맞춤 시의 위치 맞춤을 대략적으로 행하고 나서, 하우징(20)의 내벽(23)에 있어서 미세한 위치 맞춤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다음으로, 전술한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에 있어서, 한 쌍의 아암부(12)가 일체를 이루는 실장부(11)에 각각 연결되어 있었지만, 즉 한 쌍의 아암부(12)가 1개의 실장부(11)를 공용하고 있었지만, 변형예에서는, 2개의 분리한 실장부를 설치하고, 한 쌍의 아암부(12)의 각각을 별개의 실장부에 연결시켜도 좋다. 이 경우, 2개의 실장부를 동전위로 구성하면 좋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에 피걸어맞춤부로서의 오목부(21b)를 형성하고,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에 걸어맞춤부로서의 볼록부(41a)를 형성하고, 커넥터(2, 3)의 끼워맞춤 시에 볼록부(41a)를 오목부(21b)에 걸어맞춤시키고 있었지만, 변형예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하우징(20)에 볼록부 등의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플러그 커넥터(3)의 하우징(40)에 오목부 등의 피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커넥터(2, 3)의 끼워맞춤 시에 이들을 걸어맞춤시켜도 좋다. 또한, 걸어맞춤부 및 피걸어맞춤부로서, 볼록부 및 오목부를 이용하는 것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에 있어서, 한 쌍의 아암부(12)의 판두께 방향(D2)이 실장부(11)의 판두께 방향(D1)과 직교하고 있었지만, 한 쌍의 아암부(12)의 판두께 방향(D2)을 실장부(11)의 판두께 방향(D1)에 대하여 엄밀하게 직교시키는 것에 한정은 되지 않는다. 즉, 한 쌍의 아암부(12)의 판두께 방향(D2)이 실장부(11)의 판두께 방향(D1)과 대략 직교하도록(환언하면 판두께 방향(D2)과 판두께 방향(D1)이 이루는 각도를 90도로부터 몇 도 어긋나도록),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자(10)를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2)를 작성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변형예에서는, 압입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2)를 작성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전기 신호의 고속 전송을 행하는 스마트 폰,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판 간을 플랫 케이블로 접속하는 등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1 : 커넥터 조립체
2 : 리셉터클 커넥터(전기 커넥터)
3 : 플러그 커넥터
10 : 단자
11 : 실장부
12 : 아암부
13 : 피보유지지부
14 : 접촉편
14a : 경사면
15 : 접촉부
15a : 접촉면
15b : 돌출부
16 : 규제부
20 : 하우징
21 : 제1 측벽
21a : 관통공
21b : 오목부(피걸어맞춤부)
22 : 제2 측벽
23: 내벽
26 : 관통공
27 : 절결부
28 : 간극
30 : 단자
31 : 실장부
33 : 접촉부
33a : 접촉면
40 : 하우징
41 : 제1 측벽
41a : 볼록부(걸어맞춤부)
42 : 제2 측벽
44, 45 : 보유지지부
X : 짧은쪽 방향
Y : 긴쪽 방향
Z : 끼워맞춤 방향

Claims (14)

  1. 단자 및 상기 단자를 보유지지(保持)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소정의 부재에 실장되는 실장부와, 이 실장부에 연결되고, 당해 실장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아암부를 갖고,
    이 한 쌍의 아암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이 피보유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단자는, 상기 실장부 및 상기 한 쌍의 아암부가 각각 판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판두께 방향이 상기 실장부의 판두께 방향과 대략 직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편은, 이 관통공 내에 수용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접촉편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기 위한 규제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편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피보유지지부가 연결되는 측과 반대측의 단부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고, 이 접촉부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측과 반대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 돌출된 부분의 선단에 상기 규제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피보유지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길이는,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편에 있어서의 상기 끼워맞춤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전기 커넥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편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측의 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한 쌍의 아암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당해 한 쌍의 아암부의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의 일부분을 수용 가능하게 이간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상기 한 쌍의 아암부는, 일체를 이루는 상기 실장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의 가장자리 단(端) 부근에, 상기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되는 피걸어맞춤부, 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끼워맞춤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상기 단자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의 상기 한 쌍의 아암부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2 방향측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내벽을 갖는, 전기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벽에는, 그의 일부분에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의 단부와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편의 단부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벽은,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편보다도, 상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내벽의 외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내벽보다도, 상기 끼워맞춤 방향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측벽을 갖는, 전기 커넥터.
  14. 단자 및 상기 단자를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단자는, 소정의 부재에 실장되는 실장부와, 이 실장부에 연결되고, 당해 실장부로부터,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아암부를 갖고,
    이 한 쌍의 아암부는, 각각,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와, 이 피보유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편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끼워맞춤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단자의 상기 접촉편은, 이 관통공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230097556A 2022-09-05 2023-07-26 전기 커넥터 KR20240033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40575A JP2024035934A (ja) 2022-09-05 2022-09-05 電気コネクタ
JPJP-P-2022-140575 2022-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641A true KR20240033641A (ko) 2024-03-12

Family

ID=9014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556A KR20240033641A (ko) 2022-09-05 2023-07-26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88596A1 (ko)
JP (1) JP2024035934A (ko)
KR (1) KR20240033641A (ko)
CN (1) CN220710667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641A (ja) 1991-11-18 1993-08-27 Molex Inc 低プロフィルの電気コネクタ
JP2012049013A (ja) 2010-08-27 2012-03-0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7641A (ja) 1991-11-18 1993-08-27 Molex Inc 低プロフィルの電気コネクタ
JP2012049013A (ja) 2010-08-27 2012-03-0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35934A (ja) 2024-03-15
CN220710667U (zh) 2024-04-02
US20240088596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6737B1 (en) Connector
US2020035821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US20200127400A1 (en) Connector
KR102507203B1 (ko) 커넥터
US11233346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196982B2 (en) Circuit board-circuit board connector
JP2018081869A (ja) コネクタ
KR102580251B1 (ko) 커넥터
US9979122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WO2010032341A1 (ja) コネクタ装置
KR102613520B1 (ko) 기판 접속 커넥터를 위한 단자, 커넥터 및 커넥터 제조 방법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CN114514657A (zh) 连接器及连接器组件
KR20240033641A (ko) 전기 커넥터
JP7086620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2006331711A (ja) コネクタ
JP2021082390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20240113466A1 (en) Electric connector
US20240022024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2009289627A (ja) コネクタ
JP2008251511A (ja) 電気コネクタ
KR20220130570A (ko) 기판 커넥터
JP2023183819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JP2023023054A (ja) 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