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0931A - 컨테이너선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0931A
KR20240030931A KR1020220186155A KR20220186155A KR20240030931A KR 20240030931 A KR20240030931 A KR 20240030931A KR 1020220186155 A KR1020220186155 A KR 1020220186155A KR 20220186155 A KR20220186155 A KR 20220186155A KR 20240030931 A KR20240030931 A KR 20240030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storage
storage tank
reinforcing member
container
b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6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이명주
송연경
Original Assignee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디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30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0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63B3/60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with curved or corrugated pl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Machine Parts And Wound Product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은,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 추진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로서 액상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탱크; 추진엔진을 수용하며 선미에 마련되는 엔진룸; 및 상기 연료 저장탱크와 인접 배치되며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홀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저장탱크는,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액상연료의 수용 시 상기 연료 저장탱크의 정면벽 및 배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길이방향 팽창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정면벽과 상기 배면벽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에 관한 것이다.
세계의 경제 발전에 따라서 해상 화물의 운송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운송하는 화물의 종류도 다양해짐에 따라 화물창에 냉동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등의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ULCS)이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선박은, 선원이 거주하는 선실을 선체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며 선미에 마련되는 엔진룸의 상부에 엔진 케이싱을 위치시키는 배치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컨테이너 선박에서 선실 및 엔진 케이싱이 배치되는 공간에는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고, 선실의 하측에는 연료 탱크가 배치되고 엔진 케이싱의 하측에는 엔진룸이 배치되므로 컨테이너가 적재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는 동시에, 컨테이너의 적하역 시 크레인의 동작에 방해가 되므로 신속한 적하역 작업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도 가진다.
또한 컨테이너 선박을 조종하기 위해서는, 선실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어야 하는데, 선실이 선체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면 선실의 전방에 컨테이너가 적재되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컨테이너가 적재되면 선실의 전방 시야를 방해할 수 있어, 컨테이너를 선실의 전방에 충분히 적재할 수는 없는 문제점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실을 안전하게 선수에 배치하여 전방 시야를 확보하며 컨테이너를 최대한 적재하기 위한 컨테이너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 추진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로서 액상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탱크; 추진엔진을 수용하며 선미에 마련되는 엔진룸; 및 상기 연료 저장탱크와 인접 배치되며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홀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저장탱크는,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액상연료의 수용 시 상기 연료 저장탱크의 정면벽 및 배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길이방향 팽창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정면벽과 상기 배면벽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재는, 주름을 갖는 격벽 형태로 상기 연료 저장탱크를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재는,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주름이 배열되어, 주름의 마루와 골이 종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료 저장탱크 내에서 2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재는, 3개로 마련이 되어 1개의 중앙 보강부재와 2개의 사이드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보강부재는 폐쇄형이며 상기 사이드 보강부재는 일부분이 열려 있는 개방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 저장탱크는, 상기 보강부재를 통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액상연료 저장공간이 분할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를 제외하고는 내부에서 수직하게 연결되는 별도의 보강재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재의 상기 주름은, 서로 겹쳐지지 않게 마련이 되며, 상기 중앙 보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액상연료 저장공간 사이에서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동 허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선은, 선박에서 최적의 선실 배치를 통해 전방 시야를 확보하며 컨테이너를 최대한 적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실이 배치되는 선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실이 배치되는 선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수에 마련되는 불워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실이 배치되는 선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마스트헤드가 마련된 선박의 일부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평면도이며, 마스트헤드 및 사이드 마스트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보강부재가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보강부재가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보강부재의 유무에 따른 비교 자료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보강부재가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펌프룸이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펌프룸이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엔진 케이싱에 마련되는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엔진 케이싱에 대한 일부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연돌을 포함한 선미의 일부 평면도 및 수평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화물창, 연료 저장탱크(50) 및 엔진룸(70)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선박(1)의 갑판 및 화물창에 컨테이너(100)를 적재할 수 있다.
컨테이너(100)는 갑판 상인 온데크 적재공간 및 화물창인 인홀드 적재공간에 적재될 수 있으며, 연료 저장탱크(50)는 추진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로서 비등점이 상온보다 낮거나 높은 액상연료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액상연료는 비등점이 상온보다 낮은 LPG, 암모니아, 비등점이 상온보다 높은 메탄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엔진룸(70)은 추진엔진을 수용하며 선미(11)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액상연료는 비등점이 상온보다 낮거나 높음에 제한되지 않고,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연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박(1)의 종류에 따라 모양이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선박(1)의 선수(10)로 갈수록 갑판의 너비 및 갑판의 하부 공간은 작아질 수 있어, 선수(10)에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되지 않으며 선수(10) 및 선미(11)에는 선박(1)을 계류시키기 위한 무어링 장비, 윈치 등을 포함하는 계류장비(24) 설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선실(20)이 선수(10)에 마련되어 선실(20)의 전방면(21)에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되지 않으며, 선실(20)의 후면부터 연속적으로 컨테이너(100)가 적재되어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파도로부터 선실(20)을 보호하고자 선수(10)의 주변에 불워크(30)가 마련되어 있고, 종래의 선수(10)에 마련되는 계류장비(24) 설치공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선실(20)이 선수(10)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에서 선수(10)의 형상은, 종래의 선수(10)의 전단에서 구상선수(12)가 돌출되고 구상선수(12) 상단부는 함몰된 선수(10)의 형상과는 상이하게, 측면에서 볼 때 선수(10)의 전단이 연직한 형상을 가지며 구상선수(12)가 선수(10)의 측면으로는 돌출될 수 있으나 전단으로는 돌출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에서 불워크(30)는, 상방과 하방의 각도가 상이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부분이 선실(20)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실이 배치되는 선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실이 배치되는 선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수에 마련되는 불워크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의 선실(20)은 갑판과 이격된 상태로 선수(10)에 마련되어 있으며, 선실(20)이 마련된 선수(10)의 주변에는 불워크(30)가 마련되어 있다.
선실(20)은 승선원의 거주공간 및 선박(1)의 운항을 위한 조타공간이 구비될 수 있도록, 다층의 건물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선실(20)은 기둥(212)을 통하여 갑판과 이격 배치되게 하는 필로티부(2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로티부(211)는 기둥(212)과 기둥(212) 사이 및 기둥(212)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장비가 배치가능한 개방형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선수(10)에는 선박(1)이 육상이나 항만, 타선 등에 대하여 계류를 하기 위한 계류장비(24)가 마련되는 계류장비(24) 설치공간이 필요할 수 있는데, 선실(20)이 선수(10)에 마련됨에 따라 계류장비(24) 설치공간이 부족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의 선실(20)은 하부에 개방형 구조인 필로티부(211)가 마련되어, 계류장비(24) 설치공간과 선실(20)의 적어도 일부가 겹치게 배치되어 선실(20)의 배치로 인하여 선수(10)에 계류장비(24) 설치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을 해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선수(10)에 계류장비(24) 설치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계류장비(24) 중 일부는 선실(20)의 하부 또는 필로티부(211)에 포함된 것을 알 수 있다. 필로티부(211)는, 복수 개의 기둥(212)을 가지며 기둥(212) 사이에 주벽이 생략된 구조일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일 예로 5개의 기둥(212)이 도시되어 있고 기둥(212) 사이에 계류장비(24)가 마련되어 있다.
선실(20)은 양측면(23), 전방면(21), 하면 및 상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면에는 필로티부(211)가 마련되어 선실(20)이 갑판과 이격 배치되게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선실(20)의 양측면(23)과 전방면(21) 사이에는 경사도가 상대적으로 큰 경사면(22)이 마련되어 있으며, 전방면(21)은 선실(20)의 하부에 마련된 기둥(212)의 위치에 따라 경사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인 선실(20)의 배치와 상이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의 선실(20)은 선수(10)에 배치되어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선실(20)은 큰 구조물로서, 선수(10)에 선실(20)이 배치됨에 따라 생기는 공기 저항은 선박(1)의 추진성능을 저하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선실(20)에 경사가 있는 전방면(21)과 경사면(22)이 마련되어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선실(20)의 전방면(21)은 필로티부(211)의 기둥(212)이 마련된 위치를 기점으로 경사가 달라질 수 있어 다각형의 형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필로티부(211)에 5개의 기둥(212)이 있다면 가운데 기둥(212)을 중심으로 전방면(21)의 경사가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선실(20)의 경사면(22)은 전방면(21)의 경사 대비 경사지게 마련되어 전방면(21)의 공기를 선미(11)방향으로 유동하여 선박(1)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을 줄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사면(22)과 연결되는 양측면(23)도 경사를 가지고 경사면(22)보다 경사지게 마련되어, 선실(20)은 전방면(21)에서 양측면(23)으로 갈수록 경사도가 커지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100)선에서 연료 저장탱크(50)는 선박(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에서는 선실(20)이 선수(10)에 전진되어 선실(20)의 하부에 연료 저장탱크(50)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선수(10)의 하부는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하여 곡선형을 가질 수 있으므로 연료 저장탱크(50)가 마련될 공간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연료 저장탱크(50)는 추진엔진이 마련되는 엔진룸(70)의 전방에 배치되어 연료를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불워크(30)는 선수(10)에서 갑판의 가장자리 또는 주변을 두르도록 선박(1)의 높이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지고 마련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선실(2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불워크(30)는 갑판과 연결되는 하측부(31)와 하측부(31)의 상단에 마련되며 기울기가 달라지는 상측부(32)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하측부(31)는 하단이 갑판에 지지되며 상방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벌어지게 마련될 수 있고, 상측부(32)는 하측부(31)의 상방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 있다.
불워크(30)는 하측부(31) 및 상측부(32)를 통하여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마련되어, 선수(10)에서의 공간을 최대화하며 선수(10) 및 선실(20)에서의 파도의 영향은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상측부(32)를 마련하여 불워크(30)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불워크(30)의 하측부(31)는 갑판의 주변에서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상측부(32)가 내측으로 기울어지는데, 상측부(32)는 일부분이 선실(20)과 연결되어 갑판의 단면에는 불워크(30)가 포함되지 않게 마련되어 선수(10)의 공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측부(32)가 선실(20)에 연결됨에 따라 불워크(3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불워크(30)의 높이는 달라질 수 있으나, 도 2를 참조하면 불워크(30)의 상측부(32)가 선실(20)의 양측면(23)과 연결되어 불워크(30)는 선실(20)의 필로티부(211)에 마련되는 기둥(212)의 높이보다 높거나 적어도 같게 마련될 수 있다.
불워크(30)는 높이 방향에서는 하측부(31) 및 상측부(32)로 마련되어 서로 기울기가 다를 수 있으며, 길이 방향에서는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선박(1)의 선수(10)에 마련된 불워크(30)의 측면도이며, 오른쪽이 선박(1)의 선수(10)인 전단이며 왼쪽이 선미(11) 방향인 후단이다. 불워크(30)는 전단에서 선실(20)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며, 선실(20)과 겹치는 부분은 높이가 일정하고, 선실(20)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므로, 선실(20)에 연결되는 부분이 최대 높이일 수 있다.
불워크(30)가 선실(20)에 연결되는 부분을 최대 높이로 전단과 후단에서 불워크(30)는 각각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기울기 크기는 같게 마련될 수 있다. 불워크(30)의 후단에서 갑판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기울기가 크게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부(31) 및 상측부(32)와 일단이 연결되어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불워크(30)의 전단에서 선실(20)에 연결되는 부분과 불워크(30)의 후단에서 선실(20)에서 연결되는 부분에는 다각형의 부재가 마련될 수 있는데, 전단과 후단에 마련되는 부재의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불워크(30)에서 선실(20)과 연결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다각형 부재는 공기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불워크(30)의 상측부(32)와 선실(20)을 연결하여 상측부(3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나, 설계에 따라서 다각형의 부재가 구비되지 않고 불워크(30)와 선실(20)이 연결될 수 있다.
불워크(30)의 하측부(31)에는 선수(10)에 마련되는 계측장비가 관통할 수 있는 개폐가 가능한 복수 개의 계류 통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 4를 참조하면 불워크(30)의 하측부(31)에서 전단은 연직하게 마련이 되고 하측부(31)의 나머지 부분이 외측으로 점차 벌어지게 마련되어, 하측부(31) 내에서도 기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1)의 선수(10)에서 하부에는 구상선수(12)가 돌출되고 구상선수(12)의 상단은 함몰되는 형상이 마련되는 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에서 선수(10)의 형상은 측면에서 볼 때 선수(10)의 전단이 연직한 형상을 가지며 구상선수(12)가 선수(10)의 전단으로 돌출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선수(10)의 전단이 연직하게 마련이 되어, 파도를 가르면서 항해할 수 있어 파도에 의한 영향 또는 저항이 감소할 수 있으며, 선수(10)의 전단의 하부에 구상선수(12)가 마련이 되어 추가적으로 파도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5는 선수(10)의 외판에 대한 사시도이며, 선수(10)의 전단이 연직하게 마련되어 선수(10)의 전단에서 하부에는 구상선수(12)가 마련되기는 하나 선수(10)의 전단으로는 돌출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선수(10)에 마련되는 구상선수(12)는, 선수(10)의 전단의 하부에서 선미(11)방향으로 좌우로 볼록한 형태를 가져 선수(10)의 전단으로는 돌출되지는 않으나 선수(10)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구상선수(12)의 부가저항 저감효과를 가질 수 있다.
구상선수(12)가 측면방향으로 돌출되는 각도는 선미(11)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어 구상선수(12)의 전면이 볼록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구상선수(12)는 선미(11)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질 수 있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상선수(12)는 선수(10)에 연직하게 마련되는 전단에서 선미(11)방향으로 일정구간동안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커질 수 있어, 곡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선실이 배치되는 선수의 사시도이다. 이후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전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6과 도 2를 비교하면, 선실(20)이 선수(10)에 마련되는 것, 선실(20)의 외면이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과 선수(10)의 주변에 불워크(30)가 마련되는 것은 유사하나, 선실(20)과 불워크(30)가 연결되는 부분 및 불워크(30)의 형태는 상이할 수 있다.
선실(20)에서 양측면(23), 경사면(22), 전방면(21) 및 필로티부(211)가 마련되는 것은 유사하나, 각각의 면의 경사가 상이할 수 있다. 도 6에서 선실(20)의 전방면(21)은 가운데 기둥(212)을 중심으로 각도가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5개의 기둥(212) 중에서 2번째 및 4번째 기둥(212)을 기준으로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선실(20)의 전방면(21)은 2번째 내지 4번째 기둥(212) 사이에서 직선으로 마련이 되며, 2번째 및 4번째 기둥(212)에서 각도가 달라지며 경사면(22)과 연결될 수 있다.
선실(20)의 경사면(22)과 양측면(23)이 연결되는 부분은 사선으로 마련이 될 수 있으며, 선실(20)의 양측면(23)에는 일부분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선실(20)의 화재시 등의 비상상황에서 선실(20)에 거주하는 선원들을 포함한 인원을 탈출하게 할 수 있으며 구명정으로 이동을 하게 할 수 있다.
불워크(30)는 하측부(31)와 상측부(32)로 마련될 수 있는데, 도 6을 참조하면 불워크(30)의 하측부(31)의 크기가 상측부(32)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되며, 불워크(30)의 하측부(31)가 갑판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된 것을 알 수 있다.
불워크(30)의 상측부(32)는 하측부(31)에서 더욱 내측으로 경사지게 마련이 되어, 불워크(30)는 선수(10)를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파도나 바람으로부터 선수(10)를 보호할 수 있다.
불워크(30)는 선실(20)과 일부분이 연결될 수 있는데, 불워크(30)의 상측부(32)는 선실(20)의 경사면(22)과 연결이 되며 불워크(30)의 하측부(31)는 선실(20)의 양측면(23)과 연결이 될 수 있으며, 불워크(30)와 선실(20)을 연결하는 다각형의 부재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불워크(30)의 전단과 후단의 높이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었는데, 도 6을 참조하면 불워크(30)의 전단의 높이는 일정하게 마련이 되어 선실(20)과 연결이 되고, 불워크(30)와 선실(20)이 연결된 부분의 후방은 곡선 또는 직선의 형태로 경사지게 갑판과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마스트헤드가 마련된 선박의 일부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평면도이며, 마스트헤드 및 사이드 마스트에 대한 개념도이다.
선박(1)은 규정에 따라 마스트헤드(40)를 설치해야 하는데, 적어도 2개의 마스트헤드(40)가 마련되어야 하며 마스트 헤드는 선수(10)와 선미(11) 방향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트 등은 선수(10)에서 독립 구조물로 20m 이상의 일정 높이로 마련이 될 수 있는데, 마스트 등이 선수(10)에서 독립 구조물로 높게 마련되어 선박(1)의 공기저항이 증가할 수 있었으며 파도 또는 바람에 의하여 진동이 크게 발생하여 손상의 우려가 있고, 독립 구조물 설치 및 관리 비용이 소모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마스트헤드(40)를 독립 구조물로 설치하지 않고, 선박(1)의 선수(10)에 마련되는 계류장비(24) 설치공간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전후 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마스트헤드(40)는 선수(10)에 마련되는 선실(20)의 상부에서 적어도 둘 이상이 마련될 수 있어, 독립 구조물에 필요한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독립 구조물로 인하여 발생하는 선박(1)의 공기저항도 줄일 수 있다.
마스트헤드(40)는 선실(20)의 상부에서 전방에 마련되는 전방 마스트헤드(41)와 상대적으로 후방에 마련되는 후방 마스트헤드(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방 마스트헤드(41)와 후방 마스트헤드(42)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방 마스트헤드(41)는 선실(20)의 상부에 배치되고 후방 마스트 헤드(42)는 선실(20)의 상부에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며, 전방 마스트헤드(41)와 후방 마스트헤드(42)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선실(20)의 후방에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수 있는데, 선박(1)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갑판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100)의 최대 적재 높이는 선수(10)에 마련된 선실(2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전방 마스트헤드(41)는 선실(20)의 상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컨테이너(100)의 최대 적재 높이보다 낮게 마련될 수 있으며, 후방 마스트헤드(42)는 컨테이너(100)의 최대 적재 높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선수(10)에 마련되는 마스트헤드(40)와는 별도로 선박(1)의 측면인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되는 사이드 마스트(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a)와 (b)를 참조하면, 선박(1)에 사이드 마스트(43)가 마련되어 있는데, 사이드 마스트(43)는 선박(1) 또는 선체에서 선수(10)부터 선미(11)까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선박(1)의 좌현 및 우현에 마련될 수 있다.
도 8의 (a)와 (b)를 참조하면, 사이드 마스트(43)는 등간격을 가지게 마련이 될 수 있어 선박(1)의 길이와 진행 방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선박(1)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사이드 마스트(43)는 선수(10)부터 선미(11)까지 복수 개로 통로 또는 핸드레일에 마련이 되어, 선박(1)의 내부에서도 선박(1)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보강부재가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사시도이며, 도 10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보강부재가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보강부재의 유무에 따른 비교 자료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보강부재가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추진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로서 비등점이 상온보다 낮거나 높은 액상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탱크(50), 추진엔진을 수용하며 선미(11)에 마련되는 엔진룸(70) 및 연료 저장탱크(50)와 인접 배치되며 컨테이너(100)를 수용하는 홀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는, 선박(1)에서 갑판의 하부에 마련이 되며 선수(10) 방향의 정면벽(51) 및 선미(11) 방향의 배면벽(5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료 저장탱크(50)의 정면벽(51)에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수 있는 인홀드 적재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배면벽(52)에는 추진엔진이 수용되는 엔진룸(70)이 마련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는 액상연료의 수용 시 일부분이 팽창할 수 있는데, 정면벽(51)이 팽창하면 적재된 컨테이너(100)가 손상될 수 있고 배면벽(52)이 팽창하면 엔진룸(70)에 손상이 생겨 추진엔진 또는 배출 배관(72)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연료 저장탱크(50)의 팽창은 방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연료 저장탱크(50)의 정면벽(51) 및 배면벽(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길이방향 팽창을 해소하기 위해, 정면벽(51)과 배면벽(52)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부재(53)는, 주름을 갖는 격벽 형태로 마련이 되어 연료 저장탱크(50)를 구획할 수 있다. 보강부재(53)는 높이 방향을 따라 주름이 배열이 되어, 주름의 마루와 골이 종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보강부재(53)에서 주름은 종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마련이 되며, 선박(1)의 높이 방향으로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강부재(53)는 연료 저장탱크(50) 내부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어, 중앙 보강부재(53)와 사이드 보강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료 저장탱크(50)의 내부에 보강부재(53)가 3개가 마련이 되며 중앙에 배치되는 1개의 중앙 보강부재(53)와 2개의 사이드 보강부재(53)가 마련이 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재(53)는 연료 저장탱크(50)의 중앙에 마련이 되고 폐쇄형으로 일부분이 개폐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이드 보강부재(53)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사이드 보강부재(53)는 중앙 보강부재(53)에서 일정간격이 이격 배치되어 연료 저장탱크(5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일부분이 개폐가 가능하거나 개방되어 있는 개방형으로 마련되어, 사이드 보강부재(53)를 통하여 액상연료가 유동할 수 있다.
각각의 사이드 보강부재(53)에서 개방된 일부분의 모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중앙 보강부재(53)를 통하여 연료 저장탱크(5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액상연료 저장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 내부에서 보강부재(53)를 제외하고는 내부에서 수직하게 연결되는 별도의 보강재는 포함되지 않아, 보강부재(53)가 연료 저장탱크(50)의 상단의 하중을 지지하고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에서 일정 연료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특수도장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내부의 구조에서 굴곡점이 있어서 가려지는 부분이 있다면 특수도장을 적용하기 힘들어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에서 보강부재(53)는, 주름이 마련되기는 하나 주름이 서로 겹쳐지지 않게 마련이 되어 좌현 또는 우현에서 보강부재(53)를 바라보았을 때 가려지는 부분이 없어, 특수도장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컨테이너(100)선에서 보강부재(53)의 유무에 따른 비교 자료로서, (a)에는 구조물이 마련되어 있으나 주름이 횡방향으로 마련되는 구조물이 적용되었고, (b)는 주름이 종방향으로 마련된 본 발명의 보강부재(53)가 적용되었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주름이 횡방향으로 적용된, 즉 주름이 수직방향으로 적용된 구조물의 경우 선박(1)의 높이방향인 수직방향의 변형에 대해서는 저항할 수 있으나, 길이방향인 수평방향의 변형에 대하여 취약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는 액상연료의 수용 시 정면벽(51) 또는 배면벽(52)의 일부분이 팽창할 수 있는데, 이는 선박(1)의 길이방향인 수평방향의 변형이므로 도 11의 (a)에 마련된 주름이 횡방향으로 적용된 구조물은 탱크의 변형을 제어하지 못하여 탱크의 정면벽(51) 또는 배면벽(52)이 팽창한 것을 알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의 정면벽(51) 방향에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되고 후면벽 방향에는 엔진룸(70)이 마련되어, 연료 저장탱크(50)가 팽창하게 되면 컨테이너(100)가 손상되거나 엔진룸(70)이 손상되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연료 저장탱크(50)의 변형을 제어할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하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의 연료 저장탱크(50)의 보강부재(53)가 적용되었으며, 보강부재(53)의 주름은 종방향의 적용된, 즉 주름이 수평방향으로 적용되었다.
연료 저장탱크(50)의 수평방향의 변형은 보강부재(53)의 수평방향의 주름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어, 연료 저장탱크(50)의 정면벽(51) 또는 배면벽(52)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변형 분포 자료를 보면, 도 11의 (a)와 비교하여 변형이 제어된 것을 알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는 중앙 보강부재(53)를 통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액상연료 저장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각각의 액상연료 저장공간에는 액상연료의 유출입을 한 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중앙 보강부재(53)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사이드 보강부재(53)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액상연료 저장공간에 각각 펌프가 마련되어 있다. 한 쪽의 액상연료 저장공간의 펌프가 고장 또는 정비가 필요하여 작동이 안되는 경우에는 액상연료의 유출입이 어려울 수 있어 일반적으로는 예비 펌프가 같이 마련되기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예비 펌프의 유무와 상관없이 다른 액상연료 저장공간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중앙 보강부재(53)의 하부에는 액상연료 저장공간 사이에서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동 허용 부재가 마련될 수 있는데, 유동 허용 부재는 개폐가 가능하여 비상시에만 개방을 하여 다른 액상연료 저장공간의 펌프를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유동 허용 부재는 Butterfly valve를 통하여 개폐가 가능할 수 있으며, 비상시 외에도 각각의 액상연료 저장공간에 남아있는 액상연료의 양을 조절 또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펌프룸이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펌프룸이 마련된 연료 저장탱크의 정면도이다.
갑판의 하부에는 연료 저장탱크(50)와 인접 배치되며 컨테이너(100)를 수용하는 홀드가 마련될 수 있다. 홀드는 해치코밍을 갖는 인홀드 적재공간으로, 연료 저장탱크(50)와 인접 배치되어 컨테이너(100)가 수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 저장탱크(50)는 선실(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에서는 선실(20)이 선수(10)에 마련이 되어, 연료 저장탱크(50)가 선실(20)의 하부가 아니라 엔진룸(70)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엔진룸(70)도 연료 저장탱크(50)와 인접 배치될 수 있으며, 연료 저장탱크(50)의 상방에는 연료 저장탱크(50)에서 배출되는 액상연료를 엔진룸(70)으로 전달하는 펌프룸(60)이 마련될 수 있다.
펌프룸(60)은 연료 저장탱크(50)의 직상방에 마련이 되며, 펌프룸(60)과 마주하는 연료 저장탱크(50)의 상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부분적으로 함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연료 저장탱크(50)는 펌프룸(60)과 마주하며 주변 대비 함몰된 함몰부(61)와 펌프룸(60)과 어긋나며 함몰부(61) 대비 상방으로 치우져 마련되는 주변부(63) 및 주변부(63)와 함몰부(61)를 연결하는 경사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의 내부에 마련되는 중앙 보강부재(53)는 펌프룸(6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함몰부(61)와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펌프룸(60)의 바닥은 수평하게 마련이 되고, 이에 따라 연료 저장탱크(50)의 상부도 수평하게 마련이 되어 액상연료 저장공간의 작아질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에서는 펌프룸(60)의 바닥의 일부분이 경사지게 만들고, 연료 저장탱크(50)의 상면에 함몰부(61), 경사부(62) 및 주변부(63)를 포함하여, 펌프룸(60)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액상연료 저장공간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다.
연료 저장탱크(50)에서 펌프룸(60) 외에 액상연료를 공급을 처리하는 배관들은 액상연료 처리 공급부(64)에 마련될 수 있으며, 펌프룸(60)과 액상연료 처리 공급부(64)는 별도로 마련되어 펌프룸(6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4는 연료 저장탱크(50)의 정면도이며, 펌프룸(60)이 연료 저장탱크(50)의 상면과 맞닿게 마련될 수 있다. 펌프룸(60)은 적어도 1개의 보강부재(53)에 의하여 하중을 지지받을 수 있고, 보강부재(53)는 연료 저장탱크(50)의 함몰부(61)의 중앙에서 펌프룸(60)을 지지할 수 있다.
펌프룸(60)에는 보강부재(53)에서 유동 허용 부재 및 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장비가 마련될 수 있으며, 액상연료를 공급을 처리하는 배관들은 액상연료 처리 공급부(64)에 따로 마련이 되어, 액상연료 저장공간의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측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엔진 케이싱에 마련되는 소켓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엔진 케이싱에 대한 일부 측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에서 연돌을 포함한 선미(11)의 일부 평면도 및 수평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연돌(73)이 엔진룸(70)과 배출 배관(7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나 엔진룸(70)의 상부가 아니라 엔진룸(70)보다 더욱 선미(1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연돌(73)과 엔진룸(70)은 이격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연돌(73)은 갑판 상에서 선미(11)에 마련되어 추진엔진의 배기를 대기로 방출할 수 있으며, 엔진룸(70)과 배출 배관(7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돌(73) 또는 엔진케이싱은 엔진룸(70)의 상부에 마련되어, 엔진룸(70)에 마련되는 추진엔진의 배기를 수직으로 배출할 수 있었다. 연돌(73)이 엔진룸(70)의 상부에 마련되는 경우, 연돌(73)에 비상발전장치 등의 추가 장비들은 배치될 수 있으나 크레인의 접근이 어렵고 여유 공간이 크지 않아 연돌(73) 상에서는 컨테이너(100)의 적재가 어려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연돌(73)과 엔진룸(70)을 이격 배치하여 엔진룸(70)의 상단에도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수 있게 만들며, 선미(11)에 마련되는 연돌(73)도 좌측 또는 우측에 편향되게 배치하여 컨테이너(100)가 최대한 적재될 수 있다.
선박(1)에서 컨테이너(100)는 갑판의 상부에 적재되는 온데크 적재공간과 갑판의 하부에 적재되는 인홀드 적재공간에 적재될 수 있다. 온데크 적재공간은 인홀드 적재공간의 해치코밍에 마련되는 해치커버(91) 상에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수 있으며, 해치커버(91)의 주변에 마련되는 래싱 브릿지(90)에 의하여 컨테이너(100)가 고박될 수 있다.
인홀드 적재공간은 갑판의 하부인 선내의 홀드이며, 컨테이너(100)가 해치코밍을 통과하여 적재되고 셀 가이드를 통해 컨테이너(100)의 움직임을 제한될 수 있다.
해치코밍에는 해치커버(91)가 마련되어 인홀드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컨테이너(100)는 닫힌 공간에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홀드 적재공간의 컨테이너(100)는 셀 가이드를 통하여 움직임이 제한되고 온데크 적재공간의 컨테이너(100)는 해치커버(91) 상에서 래싱 브릿지(90)를 통하여 고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컨테이너(100)가 갑판 상부에 적재되면서도 해치커버(91) 상에는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6의 (a)와 (b)를 참조하면, 엔진룸(70)의 상단이자 갑판에 엔진룸 하우징(7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6 의 (b)에서 엔진룸 하우징(71)의 주변에는 래싱 브릿지(90)가 밀접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래싱 브릿지(90)의 사이에는 해치커버(91)가 마련되어 컨테이너(100)가 해치커버(9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엔진룸 하우징(71)의 하부에는 비상발전장치 등의 장비들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 및 소켓(80)이 마련될 수 있다.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부는 수평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일부 구역이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부가 수평한 경우에는 소켓(80) 또한 수평하게 마련되어, 컨테이너(100)가 소켓(80) 상에서 적재되며 주변의 래싱 브릿지(90)를 통하여 고박될 수 있다. 다만, 엔진룸 하우징(71)의 일부 구역이 돌출되게 마련되는 캠버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엔진룸 하우징(71) 상부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캠버가 적용된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부는, 중앙부가 가장자리보다 높게 마련되어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부에 물이 고이지 않고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캠버는 대략 100mm가 적용될 수 있다.
캠버의 높이 변화에 따라서 소켓(80)의 높이도 달라질 수 있는데, 캠버의 높이가 높은 부분은 소켓(80)의 높이가 낮게 마련되고 캠버의 높이가 낮은 부분은 소켓(80)의 높이가 높게 마련되는 상호보완 작용을 통하여, 소켓(80) 상에서 컨테이너(100)가 수평을 유지하며 적재될 수 있다.
캠버가 적용된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부에서 소켓(80)은 중앙부에서 높이가 낮게 마련되고, 가장자리에서 높이가 높게 마련이 될 수 있으며,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부와 연결되는 소켓(80)의 각도도 달라질 수 있다.
소켓(80)은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부에서 컨테이너(100)의 위치를 제한하며, 컨테이너(100)의 수평을 맞춰 적재되는 컨테이너(100)의 하중이 한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소켓(80)은 마련되는 위치에 따라서 크기 및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엔진룸 하우징(71)의 주변에는 래싱 브릿지(90)가 마련되는데, 종래에는 엔진룸(70) 상부에 연돌(73)이 마련되고 연돌(73)에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수 없어서, 연돌(73)의 전방 및 후방에 인접한 래싱 브릿지(90)는 연돌(73)을 마주한 한쪽면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엔진룸(70) 상부에 엔진룸 하우징(71)을 마련하고 연돌(73)은 선미(11)에 이격 배치하여, 사용할 수 없던 래싱 브릿지(90)의 한쪽면을 이용할 수 있으며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부에 컨테이너(100)를 적재할 수 있어, 컨테이너(100) 적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부에 컨테이너(100)가 마련되며 엔진룸 하우징(71)의 주변에는 래싱 브릿지(90)가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엔진룸 하우징(71)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엔진룸 하우징(71)의 상단에 마련되는 컨테이너(100)는 적어도 1단이 래싱 브릿지(90)를 통하여 고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100)선은 연돌(73)을 선미(11)에 마련하여 선실(20)의 후단과 선미(11) 사이에서 컨테이너(100)가 적재 단절 없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온데크 적재공간을 가질 수 있어, 보다 많은 컨테이너(100) 적재가 가능하며 컨테이너(100)를 선박(1)에 싣고 내리는 크레인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8의 (a)는 선박(1)의 선미(11)의 일부 평면도이며, 도 18의 (b)는 연돌(73)과 엔진룸(70)이 포함된 수평 단면도이다.
연돌(73)은 선미(11)에 마련이 되며, 선박(1) 갑판의 최후단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편향 배치되어 온데크 적재공간에서 컨테이너(100)가 최대한 적재되게 할 수 있으며, 연돌(73)의 주변에는 계류 장비나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수 있다.
도 18의 (a)를 참조하면 연돌(73)의 주변에는 계류장비(24)가 마련되어 연돌(73)이 선박(1)의 갑판에서 최후단에 마련된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18의 (b)를 참조하면 연돌(73)은 배출 배관(72)을 통하여 엔진룸(70)과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배출 배관(72)은 수직한 연돌(73)과 연결될 수 있으며, 엔진룸(70)에 수용되는 추진엔진 등에서 발생하는 배기를 대기로 방출할 수 있도록 연돌(73)로 전달할 수 있다.
배출 배관(72)은 갑판의 하부에 마련이 되어, 온데크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컨테이너(100)의 수량을 제한하지 않으며, 선미(11)의 발라스트 탱크와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출 배관(72)이 마련된 공간에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되지 못하나, 배출 배관(72)과 인접한 인홀드 적재공간에는 컨테이너(100)가 적재될 수 있다.
배출 배관(72)은 연돌(73)과 수평적으로 연결이 되며 엔진룸(70)의 배기가 연돌(73)로 바로 전달되게 할 수 있으며, 연돌(73)과 수평적으로 연결되나 높이 꺾이는 부분이 마련되어, 배출 배관(72) 내에서 높이가 다른 부분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 배관(72)은 연돌(73)과 수평적 또는 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어, 선미(11)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편향 배치되는 연돌(73)의 위치에 따라서 배출 배관(72)이 마련되는 위치도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엔진룸(70)과 배출 배관(72)이 연결되는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 중 일부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선박 10: 선수
11: 선미 12: 구상선수
20: 선실 21: 전방면
211: 필로티부 212: 기둥
22: 경사면 23: 양측면
24: 계류장비 30: 불워크
31: 하측부 32: 상측부
40: 마스트헤드 41: 전방 마스트헤드
42: 후방 마스트헤드 43: 사이드 마스트
50: 연료 저장탱크 51: 정면벽
52: 배면벽 53: 보강부재
60: 펌프룸 61: 함몰부
62: 경사부 63: 주변부
64: 액상연료 처리 공급부 70: 엔진룸
71: 엔진룸 하우징 72: 배출 배관
73: 연돌 80: 소켓
90: 래싱 브릿지 91: 해치커버
100: 컨테이너

Claims (7)

  1.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컨테이너선에 있어서,
    추진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연료로서 액상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저장탱크;
    추진엔진을 수용하며 선미에 마련되는 엔진룸; 및
    상기 연료 저장탱크와 인접 배치되며 컨테이너를 수용하는 홀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저장탱크는,
    상기 연료 저장탱크에 액상연료의 수용 시 상기 연료 저장탱크의 정면벽 및 배면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길이방향 팽창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정면벽과 상기 배면벽을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주름을 갖는 격벽 형태로 상기 연료 저장탱크를 구획하는, 컨테이너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주름이 배열되어, 주름의 마루와 골이 종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마련되는, 컨테이너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료 저장탱크 내에서 2개 이상이 마련되는, 컨테이너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3개로 마련이 되어 1개의 중앙 보강부재와 2개의 사이드 보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보강부재는 폐쇄형이며 상기 사이드 보강부재는 일부분이 열려 있는 개방형으로 마련이 되는, 컨테이너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저장탱크는,
    상기 보강부재를 통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액상연료 저장공간이 분할되어 형성되며, 상기 보강부재를 제외하고는 내부에서 수직하게 연결되는 별도의 보강재는 포함하지 않는, 컨테이너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상기 주름은,
    서로 겹쳐지지 않게 마련이 되며,
    상기 중앙 보강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액상연료 저장공간 사이에서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유동 허용 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KR1020220186155A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KR202400309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0269 2022-08-31
KR1020220110269 2022-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931A true KR20240030931A (ko) 2024-03-07

Family

ID=90271661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099A KR20240030929A (ko)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KR1020220186128A KR20240030930A (ko)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KR1020220186183A KR20240030933A (ko)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KR1020220186169A KR20240030932A (ko)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KR1020220186155A KR20240030931A (ko)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6099A KR20240030929A (ko)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KR1020220186128A KR20240030930A (ko)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KR1020220186183A KR20240030933A (ko)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KR1020220186169A KR20240030932A (ko) 2022-08-31 2022-12-27 컨테이너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240030929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0932A (ko) 2024-03-07
KR20240030930A (ko) 2024-03-07
KR20240030929A (ko) 2024-03-07
KR20240030933A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02813B1 (ja) 船舶
KR101949215B1 (ko)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구비한 부체 구조물 및 그 설계 방법
CN107000814B (zh) 具备液化气体储存设备的浮体结构物
JP4550842B2 (ja) 液体貨物輸送船の貨物倉構造
JP2020132082A (ja) 燃料供給船
US10710682B1 (en) Bunkering marine vessel
KR20240030931A (ko) 컨테이너선
JP2021194986A (ja) 液化ガス運搬船
JP6554126B2 (ja) 自動車運搬船のガス燃料独立タンク設置構造
JP7434061B2 (ja) 貨物船
JP7074276B2 (ja) 船舶
KR102061930B1 (ko)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WO2023199859A1 (ja) 船舶
KR20230113179A (ko) 선박
WO2023127383A1 (ja) 液体貨物船
KR20190119289A (ko) 선박
WO2023199864A1 (ja) 船舶
KR20220125749A (ko) 선박용 공기 저항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10120409A (ko) 액화가스 추진 선박
KR20210120189A (ko) 컨테이너 선박
KR20240068266A (ko) 메탄올 연료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10106087A (ko) 연료 공급 시스템
Kim et al. T-Shape Barge Design for Transportation and Mating of Sakhalin II Topsides
KR20200134933A (ko) 갑판 상부에 액화가스 연료탱크가 배치되는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